KR0130373B1 -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373B1
KR0130373B1 KR1019940012548A KR19940012548A KR0130373B1 KR 0130373 B1 KR0130373 B1 KR 0130373B1 KR 1019940012548 A KR1019940012548 A KR 1019940012548A KR 19940012548 A KR19940012548 A KR 19940012548A KR 0130373 B1 KR0130373 B1 KR 0130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address
tape
vcr
plu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2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2316A (ko
Inventor
장태석
김기원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40012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373B1/ko
Publication of KR960002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3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7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덱스 플러스(Index Plus) 기능을 이용하여 각 번지별로 기록된 신호를 배열순서를 자유로이 바꾸어가면서 녹화할 수 있도록 한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에는 소스 테이프의 내용을 타겟 테이프에 편집녹화를 하고자 할 경우 재생키, 녹화키, 포즈키 등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야만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녹화할 수 있었으며, 타겟 테이프에 기록된 내용의 순서를 바꾸고자 할 경우에는 타겟 테이프에 기록된 내용의 일정 부분을 지우고 다시 녹화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키입력수단과, 테이프 ID 및 각 테이프에 기록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타 등이 기록되는 메모리수단과, 자동편집녹화기 입력시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를 검출하여 디코딩하는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 디코딩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 또는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 디코딩수단 부터의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가 디스플레이되는 OSD수단과, 상기 키입력수단의 자동편집녹화키 입력시 타겟테이프로의 녹화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자동편집녹화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자동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프로그램의 배열순서대로 녹화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VCR 테이프의 구성도.
제2a, b도는 일반적인 콘트롤 펄스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종래의 편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장치의 블럭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입력부 20 : 메모리부
30 : 테이프 기록 및 재생부 40 :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 디코딩부
50 : OSD부 60 : 제어부
61 : 비교부
본 발명은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Auto Edit Record : 이하, AER이라 칭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덱스 플러스(Index Plus) 기능을 이용하여 각 번지별로 기록된 프로그램의 배열순서를 자유로이 바꾸어가면서 편집녹화할 수 있도록 한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VCR 테이프에 기록된 프로그램들의 서치를 위해 사용되는 기능들로는 VISS(Video Index Searching System), VASS(Video Address Searching System), 인덱스 플러스 등이 있다.
그리고 VCR 테이프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는 오디오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오디오 트랙이 위치되고, 하측에는 콘트롤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콘트롤 트랙이 위치되고, 중간에는 비데오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비데오 트랙이 위치된다.
그리고 비데오 트랙의 각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는 수직동기신호가 실리는 VBI(Vi-deo Blanking Interval : 이하, VBI라 칭함)라인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콘트롤 트랙에 실리는 콘트롤 신호는 VCR 테이프에 기록될 시 VCR 기록헤드에 의해 발생되고 기록된다.
즉, VCR의 콘트롤 헤드를 일정 듀티비(Duty Ratio)를 갖고 N극성 또는 S극성으로 자화시키면 VCR 테이프의 콘트롤 트랙에는 제2도의 (a),(b)와 같은 펄스 형태로 콘트롤 신호가 기록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제2도 (a)와 같이 N극성 자화 : S극성 자화에 따른 전류성분 듀티비가 약 6 : 4이고, 이에 따라 각 펄스에서 하이성분과 로우성분의 듀티비가 6 : 4인 경우를 0레벨 즉 로우레벨로 하고, 제2도 (b)와 같이 N극성 자화에 따른 전류성분 : S극성자화에 따른 전류성분의 튜티비가 약 3 : 7이고 이에 따라 각 펄스에서 하이성분과 로우성분의 튜티비가 3 : 7인 경우를 1레벨 즉 하이레벨로 하기로 약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VISS는 프로그램의 시작위치를 마킹(Marking)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시작부분 이외에서는 제2도 (a)와 같은 0레벨 형태의 콘트롤 신호를 발생하고, 프로그램의 시작위치에서는 제2도 (b)와 같은 1레벨 형태의 콘트롤 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VCR테이프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할 경우 프로그램의 시작위치의 1레벨의 콘트롤 신호에 의해 프로그램의 기록위치를 인식하는 기능이다.
그리고 VISS는 현재위치에서 앞쪽(Forward)이나 뒤쪽(Backward)의 한쪽 방향으로만 서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VISS는 상대적 위치탐색만이 가능하다.
또한, VASS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지 않을 시에는 제2도 (a)와 같은 0레벨의 콘트롤 신호를 발생하고 프로그램의 시작위치에서는 양단에 0레벨의 2개의 콘트롤 신호를 배열하고 이들 사이에는 소정갯수의 1레벨의 콘트롤 신호를 배열한다.
따라서 VASS는 상기 VISS와는 달리 어느 위치에서든지 FF나 REW를 수행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을 찾을 수 있게 된다. 즉, VASS는 절대적 위치 탐색이 가능하다.
그리고 인덱스 플러스는 VCR테이프의 첫 VBI구간에 렌탈(Rental) 테이프인 경우에는 그 테이프의 프로그램에 대한 번지와 데이타(각 프로그램의 제목)을 실고, 일반 소비자용 테이프에는 소정 화면단위로 VBI구간에 프로그램의 번지와 데이타를 실으며(이때 시스템의 메모리에는 테이프 ID(Identification)와 프로그램에 대한 번지 및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음), 재생시에는 인덱스 플러스키 입력시 OSD(On Screen Display)로 렌탈 테이프 및 일반 소비자용 테이프 모두 프로그램의 번지와 데이타(프로그램의 제목)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종래에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테이프(이하, 소스 테이프라 칭함)의 내용을 녹화할 테이프(이하, 타겟 테이프라 칭함)에 녹화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재생VCR(1)에 들어 있는 소스 테이프를 재생시켜 보면서 녹화하고 싶은 부분이 나오면 타겟 테이프가 들어 채널 녹화VCR(2)의 녹화키를 눌러 녹화 VCR(2)에 녹화시키며 녹화하고자 하는 부분의 녹화가 끝나면 다시 녹화VCR(2)의 포즈(Pause)키를 눌러 녹화VCR(2)은 포즈상태로 한다.
그리고 재생VCR(1)은 계속 재생상태로 하면서 또다시 녹화하고자 하는 부분이 있으면 다시 녹화VCR(2)의 녹화키를 눌러 녹화시키며, 필요한 부분의 녹화가 끝나면 다시 녹화VCR(2)의 포즈키를 눌러 대기상태로 하며, 테이프가 끝날 때까지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녹화를 할 경우 소스 테이프의 내용을 모두 알 수 없기 때문에 소스 테이프를 재생시키다 녹화순서를 바꾸고 싶은 부분이 있게 되면 녹화VCR(2)을 FF나 REW하여 타겟 테이프의 앞부분에 기록된 내용을 지우고 다시 끼워 맞추어 기록을 하게 된다.
한편, 프로그램의 편집을 원하는 특정부위의 초기위치 및 끝위치에서 편집키를 누름에 따라 편집데이타를 타겟 테이프에 기록하고, 소스 테이프가 들어 있는 재생VCR은 고속서치를 수행하고 기록된 편집데이타로 특정부위의 초기위치 및 끝위치를 판별하여 그 초기 위치로부터 끝위치까지 정속재생을 수행하고 타겟테이프가 들어있는 녹화VCR은 대기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재생VCR이 정속재생을 수행할 때마다 녹화를 수행하도록 하여 특정부위만을 편집기록하게 하는 동기편집(Sycro Edit)방법도 있으나, 이도 역시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녹화순서를 바꾸고 싶을 경우는 타겟 테이프의 기록된 내용을 지우고 다시 녹화를 해야만 한다.
즉, 종래의 경우에는 소스 테이프의 내용을 타겟 테이프에 편집녹화 하고자 할 경우 재생(Play)키, 녹화(Record)키, 포즈키 등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야만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녹화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여러번의 키조작을 수행하여야만 하므로 매우 불편한 것이었으며, 또한 타겟 테이프에 기록된 내용의 순서를 바꾸고자 할 경우에는 타겟 테이프에 기록된 내용의 일정 부분을 지우고 다시 녹화 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덱스 플러스 기능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배열순서를 바꾸어가면서 간편하게 편집녹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키입력수단으로 AER키 입력 및 각종 키입력을 행하고, 메모리수단에 테이프 ID 및 각 소스 테이프에 기록된 프로그램에 대한 번지 및 데이타 등을 기록하며,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 디코딩수단은 자동편집녹화키 입력시 테이프 기록 및 재생수단의 재생출력에서 소스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를 검출하여 디코딩하며, OSD수단에는 상기 키입력수단의 자동편집녹화키 입력시 상기 메모리수단 또는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 디코딩수단으로 부터의 소스 테이프에 대한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가 디스플레이되며, 제어수단은 상기 키입력수단의 자동편집녹화키 입력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번지와 소스 테이프에 대한 번지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타겟 테이프로의 녹화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장치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AER키 입력시 소스 테이프의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를 OSD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 디스플레이단계와, OSD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를 이용하여 편집할 프로그램의 번지를 선택하는 번지선택단계와, 번지선택 완료시 선택된 번지와 소스 테이프에 대한 번지를 비교하는 번지비교단계와, 상기 번지비교 단계의 비교결과 번지가 동일하면 재생VCR은 재생모드로, 녹화VCR은 녹화모드로 제어하고 동일하지 않으면 동일해질때까지 재생VCR은 재생모드, 녹화VCR은 포즈모드로 제어하는 녹화제어단계와, 지정한 번지의 녹화가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여 녹화완료시에는 종료하며 녹화미완료시에는 상기 번지비교단계를 반복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방법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장치의 블럭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AER키 입력 및 각종 키 입력을 위한 키입력부(10)와, 테이프 ID 및 각 테이프에 기록된 프로그램에 대한 번지 및 데이타 등이 기록되어 있는 메모리부(20)와, 테이프 기록 및 재생부(30)로부터의 재생데이타에서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를 검출하는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 검출부(41)와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 검출부(41)의 출력을 디코딩하는 디코더(42)로 된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 디코딩부(40)와, 상기 키입력부(10)의 AER키 입력시 상기 메모리부(20) 또는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 디코딩부(40)로 부터의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가 디스플레이되는 OSD부(50)와, 상기 키입력부(10)의 AER키 입력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번지와 상기 메모리부(20)로 부터의 번지 또는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 디코딩부(40)로 부터의 번지를 비교하는 비교부(61)를 구비하여 이 비교부(61)의 비교결과에 따라 타겟 테이프로의 녹화를 제어함과 동시에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6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우선, 사용자가 인덱스 플러스 기능을 이용하여 AER하고자 키입력부(10)를 통하여 AER키를 입력하면 OSD부(50)에는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부(20) 또는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 디코딩부(40)로 부터의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가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일반 소비자용 테이프인 경우에는 소비자가 퀵(Quick)녹화나 예약녹화 등을 이용하여 녹화시 테이프의 VBI구간에 소정간격으로 테이프 ID데이타와 테이프 위치에 대한 어드레스가 기록되고 메모리부(20)에는 테이프 ID와 매칭되는 ID 데이타와 프로그램의 번지와 테이프 위치 어드레스, 프로그램의 제목인 데이타 등이 메모리부(20)에 저장되므로(표 1 참조) 인덱스 플러스 키나 AER키를 입력한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부(20)로부터 프로그램 번지와 데이타 등의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가 표 2와 같이 OSD부(50)에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렌탈 테이프인 경우는 테이프 제작시 테이프의 VBI구간에 프로그램에 대한 번지 및 데이타 등의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를 기록하므로 렌탈 테이프인 경우에는 메모리부(20)에는 테이프에 관한 프로그램정보는 기록이 되지 않으므로, 상기 AER키 입력시는 테이프 기록 및 재생부(30)로 부터 재생된 프로그램에 대한 번지 및 데이타가 OSD부(50)에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와 같이 OSD(50)에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가 디스플레이 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사항중에서 녹화하기를 원하는 프로그램의 번지를 선택한다.
이때 번지의 지정은 사용자가 원래 소스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순서대로 하여도 관계없고 원하는 대로 순서를 바꾸어서 선택하여도 된다.
이를 상기 표 2에서 예를 들면 사건 25시, 전원일기, 추적 60분 등으로 녹화하기를 원할 경우 03, 01, 02번지의 순서로 선택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녹화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번지선택이 완료되면 소스 테이프가 일반 소비자용일 경우 제어부(60)는 메모리부(20)로 부터의 번지와 선택된 번지를 비교하여(렌탈 테이프인 경우는 상기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 디코딩부(40)로 부터의 번지와 비교) 사용자가 선택한 번지와 동일하면 테이프 기록 및 재생부(30)로 부터의 비데오 신호를 OSD부(50)를 통하여 출력하여 타겟 테이프에 녹화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 디코딩부(40)로 부터의 번지 또는 메모리부(20)로 부터의 번지가 사용자가 선택한 순서와 동일하지 않으면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FF나 REW를 수행하여 번지가 동일해지면 타겟 테이프에 녹화되도록 하며, 소스 테이프가 FF나 REW시에 타겟 테이프가 들어 있는 녹화 VCR은 제어부(60)로 부터의 신호에 따라 포즈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순서대로 03번지의 프로그램을 녹화하기 위해서는 재생VCR을 FF상태로 하고 녹화VCR은 녹화대기상태인 포즈상태로 하며, 재생VCR이 FF를 수행하여 소스 테이프가 03번지의 프로그램에 달하면 재생 VCR은 정상 재생을 수행하고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녹화VCR은 녹화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03번지의 녹화완료시에는 01번지의 프로그램을 녹화하여야 되므로 상기 재생VCR은 REW를 수행하고, 녹화VCR은 포즈상태를 유지하여 소스 테이프가 01번지의 프로그램에 달하면 재생VCR은 정속재생을하고 녹화VCR은 녹화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01번지의 프로그램 녹화완료시에는 02번지의 프로그램을 녹화하여야 하므로 상기 재생VCR은 FF를 수행하고 녹화VCR은 포즈상태를 유지하여 소스 테이프가 02번지의 프로그램에 달하면 재생VCR은 정속재생을 하고 녹화VCR은 녹화상태로 된다.
이를 제5도의 플로우 챠트와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AER기능을 수행하고자 AER키를 입력하면(S1)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소스 테이프에 대한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들이 OSD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다(S2).
이때, OSD화면에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번지와 프로그램 제목인 데이타가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OSD화면을 보고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의 번지를 선택하며(S3), 번지의 선택이 끝나면(S4) 소스 테이프에 대한 번지를 읽어 사용자가 선택한 어드레스와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소스 테이프가 들어 있는 재생VCR은 재생모드(FF 또는 REW 포함)로 되고 녹화VCR은 편집대기상태인 포즈상태로 된다(S5), (S6).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번지와 소스 테이프에 대한 번지가 동일하면 재생VCR은 재생모드로, 녹화VCR은 녹화모드로 되어 녹화를 수행하게 된다(S7).
그리고 사용자가 지정한 번지의 프로그램 녹화가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여(S8)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지정한 번지의 프로그램 녹화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될 때까지 상기 단계(S5-S8)를 반복수행하고 종료하며, 지정한 번지의 프로그램 녹화가 완료되면 AER키를 다시 눌러 AER기능을 해제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AER기능이 해제된다.
즉, 본 발명은 제어부(60)에서 현재 재생되는 프로그램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번지인가에 따라 재생VCR 및 녹화VCR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소스테이프에 있는 테이프의 내용중 필요없는 부분은 삭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을 선별적으로 타겟 테이프에 기록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ER에 인덱스 플러스 기능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프로그램의 배열순서를 사용자가 원하는 순서대로 지정하면 자동으로 지정한 프로그램의 배열순서대로 녹화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반복적으로 여러개의 키를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가 녹화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번지 배열순서만 지정하면 자동으로 지정된 순서대로 녹화되므로 종래에 비해 보다 간편하게 원하는 대로 편집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자동편집녹화키 입력 및 각종 키입력을 위한 키입력수단과, 테이프 ID 및 각 소스 테이프에 기록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타 등이 기록되는 메모리수단, 자동편집녹화키 입력시 테이프 기록 및 재생수단의 재생출력에서 소스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를 검출하여 디코딩하는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 디코딩수단과, 상기 키입력수단의 자동편집녹화키 입력시 상기 메모리수단 또는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 디코딩수단으로 부터의 소스 테이프에 대한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가 디스플레이되는 OSD수단과, 상기 키입력수단의 자동편집녹화키 입력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번지와 소스 테이프에 대한 번지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타겟 테이프로의 녹화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 디코딩수단은 상기 테이프 기록 및 재생수단으로부터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를 검출하는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 검출부와, 상기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 검출부의 검출 데이타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가 지정한 번지와 상기 메모리수단으로 부터의 번지 또는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 디코딩수단으로 번지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장치.
  4. AER키 입력시 소스 테이프의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를 OSD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 디스플레이단계와, OSD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인덱스 플러스 데이타를 이용하여 편집할 프로그램의 번지를 선택하는 번지선택단계와, 번지선택 완료시 선택된 번지와 소스 테이프에 대한 번지를 비교하는 번지비교단계와, 상기 번지비교단계의 비교결과 번지가 동일하면 재생VCR은 재생모드로, 녹화VCR은 녹화모드로 제어하고 동일하지 않으면 동일해질 때까지 재생VCR은 재생모드, 녹화VCR은 포즈모드로 제어하는 녹화제어단계와, 지정한 번지의 녹화가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 녹화완료시에는 종료하며 녹화미완료시에는 상기 번지비교단계를 반복수행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방법.
KR1019940012548A 1994-06-03 1994-06-03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장치 및 방법 KR0130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2548A KR0130373B1 (ko) 1994-06-03 1994-06-03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2548A KR0130373B1 (ko) 1994-06-03 1994-06-03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316A KR960002316A (ko) 1996-01-26
KR0130373B1 true KR0130373B1 (ko) 1998-04-17

Family

ID=1938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2548A KR0130373B1 (ko) 1994-06-03 1994-06-03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3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528B1 (ko) * 2002-07-16 2009-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편집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316A (ko) 199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3549B1 (en) Video media control system
JP2000339931A (ja) 録画再生装置
US4860122A (en) Device for reproducing a sequence of still pictures with an audio portion and without motion pictures between successive still pictures
KR0130373B1 (ko)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자동편집녹화장치 및 방법
JP2929724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KR100351801B1 (ko) 디브이씨알(dvcr)의인덱스서치장치
KR100220587B1 (ko)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녹화 프로그램 분류 방법
US5646743A (en) Method for formatting a videotape and recording/reproducing to/from the formatted videotape
KR0132806B1 (ko) 영상신호 재생방법
KR970010139B1 (ko) 비스(viss)화면 처리방법과 그 장치
JP3536854B2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
KR940008878B1 (ko) 되감기모드를 자동수행하는 예약녹화방법
KR0135587B1 (ko) 더블데크의 vcr의 편집기록방법
JP2675131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制御システム
KR0167892B1 (ko) 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간편녹화/재생방법 및 그에 따른 회로
JPH0963254A (ja) 自動頭出し装置
JPH09205604A (ja) 番組検索機能付き記録再生装置
JP2004007725A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及び記録装置
JP2002158954A (ja) 記録再生装置
JPH1133934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121934A (ja) 番組記録予約装置
JP200435580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9990016096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녹화 프로그램 재생 방법
KR19980011838U (ko) 리얼타임 카운트 서치 기능을 갖는 브이시알 시스템
KR19980011839U (ko) 제로스톱 단축키 기능을 갖는 브이시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