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906B1 - 정보 검색 이용을 위한 전화망 정합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검색 이용을 위한 전화망 정합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906B1
KR940007906B1 KR1019910021109A KR910021109A KR940007906B1 KR 940007906 B1 KR940007906 B1 KR 940007906B1 KR 1019910021109 A KR1019910021109 A KR 1019910021109A KR 910021109 A KR910021109 A KR 910021109A KR 940007906 B1 KR940007906 B1 KR 940007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atching
line
relay lin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581A (ko
Inventor
김형주
이문우
김동원
김태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10021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906B1/ko
Publication of KR930011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9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보 검색 이용을 위한 전화망 정합장치 및 방법
제 1 도는 종래의 전화망을 통한 데이타 통신방법의 흐름도.
제 2 도는 종래의 전화망 이용 정보검색 장치의 구성도.
제 3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전자교환기의 구성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망 정합장치의 구성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회선접속부의 세부 구성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망 정합방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신가입자 및 모뎀 2, 22 : 발신교환기
3, 23 : 착신교환기 4, 24 : 집합모뎀
5, 25, 34 : 호스트 컴퓨터 21 : 모뎀
31, 231 : 중계선 정합 교환시스템 32 : 전화망 정합장치
33 : 데이타 처리장치 41 : 디지틀 중계선 정합부
42 : 신호 서어비스 장치 43, 51 : 하위레벨 프로세서
44 : 회전접속부 45, 55 : 서브 하이웨이
47 : 집선기 52 : 확장공통 제어부
53 : 회선정합부 52 : TD-버스
232 : 연결망 제어시스템 233 : 가입자 정합 교환시스템
234 : 가입자회선 521 : 수신단
522 : 송신단 523 : 모드/주소 패리티 점검부
524 : 타이밍 회로 525 : 데이타 패리티 점검부
526 : 직/병렬 레지스터 527 : 부호기
528 : 버퍼 531 : 코덱
532 : 모뎀
본 발명은 전전자교환기의 중계선 부분을 이용한 텍스트 데이타의 패킷망 연결을 위한 전화망 정합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전자교환기의 중계선 부분의 용량을 최소화하여 중계선 채널에 직접 회선접속부(코덱과 모뎀)를 연결하여 텍스트 데이타를 상대국 교환기의 중계선으로부터 수신하는 전화망 정합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PC의 대량보급으로 인하여 많은 가정에서 공중전화망을 이용하여 패킷망에 연결된 데이타 정보를 볼 수 있기를 원하는 요구사항이 극대화되고 있다.
이에따른 종래의 전화망 및 패킷망은 가입자로부터 발신측 전화교환기의 아날로그 가입자 정합블럭을 거쳐, 발신측 디지틀 정합블럭, 중계선, 착신측 디지틀 정합블럭 및 착신측 시분할스위치를 통해 사용되지 않고 있는 착신측 아날로그 가입자 정합카드가 연결된다. 또한 착신측 교환기에서 정해진 각 회선(전화번호 각각 하나)에 따라 모뎀을 1 : 1 대응되게 설치하여 데이타 신호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신호를 다시 패킷화 장치를 통해 패킷화하여 패킷망에 접속시키는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제 1 도는 종래의 전화망을 통한 데이타 통신방법의 흐름도로, 1은 발신가입자 및 모뎀, 2는 발신교환기, 3은 착신교환기, 4는 집합모뎀, 5는 호스트 컴퓨터를 각각 나타내며, 접속과정을 제 1 도를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신호에 대해 발신가입자(1)가 자기의 모뎀(1)을 동작시키면 발신교환기(2)가 이러한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발신가입자(1)에게로 발신음을 제공하며, 상기 발신가입자(1)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동 다이얼링하고, 상기 발신교환기(2)는 상기 발신가입자(1)로부터 수신된 선택정보를 분석하여 착신교환기(3)측과의 해당 중계선 통화로를 점유하기 위해 상기 착신교환기(3)로 점유신호를 보내면 상기 착신교환기(3)는 상기 착신가입자에게 해당되는 번호의 송출을 허용하는 신호를 상기 발신교환기(2)로 보내면, 상기 번호 송출허용 신호를 수신한 상기 발신교환기는 발신가입자 정보와 서어비스 등급을 나타내는 선택신호를 상기 착신교환기(3)로 보내게 되며 상기 선택신호를 수신한 착신교환기(3)는 선택신호를 분석한 후에 집합모뎀(4)으로 통화의 착신을 알리는 호출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발신모뎀(4)에게는 통화로가 연결되어 착신측 집합모뎀(4)으로 호출신호를 보내고 있음을 알리는 호출음을 중계선 통화로를 통해서 송출하게 되면, 착신모뎀은 즉시 후크오프 하므로써 상기 착신교환기(3)는 상기 발신교환기(2)로 착신가입자의 응답상태를 알리며 이때 전화망 통화로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호스트 컴퓨터(5)로부터 요구되는 로그인 메시지가 상기 발신가입자(1)의 단말기에 전달된다. 상기 발신가입자(1)가 자기 로그인 이름을 입력하면 즉시 상기 호스트 컴퓨터(5)는 비밀 부호를 묻게 되며, 상기 발신가입자(1)가 비밀부호를 응답할때 정보 검색은 시작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보 검색을 위한 호접속 방법은 전화망 교환기의 교환기능을 이용해야만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착신집합모뎀(4)도 상기 착신교환기(3)의 가입자회선 하나에 하나씩 1 : 1 대응연결이 되어 각 회선마다 전화번호를 일일이 부여해야 하거나 대표 전화번호 체계를 도입하여도 겨우 1 : 40의 비율밖에는 성공시킬 수 없으므로 많은 가입자를 수용할 수 없으며 가입자가 많이 사용하는 시간대에는 항상 통화중 신호만 내보내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발신가입자(1)는 상기 착신측 집합모뎀(4)이 응답톤만 내준 후, 데이타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도 통화료를 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 2 도는 종래의 전화망 이용 정보검색 장치의 구성도로, 21은 모뎀, 22는 발신교환기, 23은 착신교환기, 24는 집합모뎀, 25는 호스트 컴퓨터, 231은 중계선 정합 교환시스템, 232는 연결망 제어시스템, 233은 가입자 정합 교환시스템, 234는 가입자회선을 각각 나타낸다.
발신가입자 모뎀(21)을 이용하여 정보 검색 호스트 컴퓨터(25)에 연결되고자 하여, 상기 모뎀(21)을 자동다이얼링하면, 발신교환기(22)에서 접수하여 착신교환기(23)의 중계선 정합 교환시스템(231)과 연결하거나 상기 발신교환기(22)의 자국호인경우 상기 발신교환기(22)내 가입자회선에 연결된다. 상기 착신교환기(23)의 중계선 정합 교환시스템(231)을 거친 신호는 연결망 제어시스템(232) 및 가입자 정합 교환시스템(233)의 가입자회선(234)을 통하고, 집합모뎀(24)과 호스트 컴퓨터(25)로 연결되는 일반 전화망을 이용한 정보 검색을 수행한다.
일반적인 데이타 통신시에는 아날로그 가입자회선(234)에 상기 모뎀(24)만 연결되면, 상기 착신교환기(23)는 상기 모뎀(24)을 가입자로 인식하여 통화로만 구성해 주는 임무만을 수행하게 된다. 이것은 한 모뎀이 한 회선을 점유하므로 같은 번호로 여러명이 동시에 통화를 희망하는 경우, 그 회선을 점유하지 못하는 발신측은 화중음을 듣게되어 통화가 불가능하여 대표번호의 부여로 최대 40가입자까지(현재 한경(KETEL)이 20가입자 대표번호 운용) 동시에 통화할 수 있게 했지만, 근본적인 해결은 되지 못하고 있다.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가입자가 하나의 전화번호만 돌리면 언제나 사용되지 않는 회선채널에 직접 연결되도록 하여 원할한 데이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많은 가입자에 대해 적은 모뎀이 소요되게 하고 동시에 설비비용이나 패킷화 장치의 규모도 줄이기 위한 정보 검색 이용을 위한 전화망 정합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계선 T1 신호로 데이타 신호를 추출하고 과금이나 시스템 관리에 필요한 데이타를 생산할 수 있는 기능을 실시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중계선으로부터 연결되는 PCM신호의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틀 중계선 정합수단, 상기 디지틀 중계선 정합수단에 TD-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전화망 정합장치를 제어하는 하위레벨 프로세서 수단, 상기 하위레벨프로세서 수단에 TD-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R2MFC신호와 가청신호음에 대한 신호 서어비스 기능별로 신호를 발생하여 중계선으로 송출하는 기능과 중계선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기능과 같이 시간 지연없이 실시간 처리되어야 하는 서어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 서어비스 수단, 상기 디지틀 중계선 정합수단과 신호 서어비스 수단에 서브 하이웨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신호 서어비스 수단의 하드웨어폭을 줄이기 위한 집선수단 및 상기 집선수단과 상기 하위레벨 프로세서 수단에 서브 하이웨이 및 TD-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한 가입자 정합장치가 가입자 대신 정보제공자의 컴퓨터들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회선접속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를 이용하여 상대국 교환기로부터 중계선 점유요구 신호의 수신여부를 검색하여 상기 중계선 점유요구가 수신되면 신호장비 점유를 요구하고 통보하는 제 1 단계, 상기 상대국 교환기로부터 마지막 디지트까지 수신하였는지 검색하여 수신되었으면 프리픽스를 전달하고 회선접속채널을 선택하는 제 2 단계, 상기 회선접속채널이 통화 가능한 상태인지 검색하여 통화 가능한 상태이면 중계선 정합을 통보하고 회선정합 코덱을 연결하고 초기 과금 및 통계 데이타를 통보하는 제 3 단계, 통화로 절단요구의 수신여부를 검색하여 상기 통화로 절단요구가 수신되면 신호해제 메시지를 전달한 후 회선을 절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모든 디지트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비 회선채널을 연결하고 안내화면을 송출한 후 상기 초기 과금 및 통계 데이타를 통보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회선접속채널이 통화 불가능한 상태이면 화중음을 통보하고 상기 중계선을 해제하는 제 4 단계로 진행하는 제 6 단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전자교환기의 구성도로, 31은 중계선 정합 교환시스템, 32는 전화망 정합장치, 33은 데이타 처리장치, 34는 호스트 컴퓨터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이 적용된 전자교화기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교환기의 중계선 정합 교환시스템(31)에서 중계선을 거쳐 전화망 정합장치(32)로 연결되고 다시 상기 전화망 정합장치(32)에 데이타 처리장치(33)로 연결되고 상기 데이타 처리장치(33)에 호스트 컴퓨터(34)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중계선 정합 교환시스템(31)에서 호 점유가 요구되면 상기 전화망 정합장치(32)가 응답하여 통화로를 구축한 후, 상기 데이타 처리장치(33)로 회선에서 추출된 데이타 신호를 전달한다. 이로써 아날로그 가입자 정합회로와 집합모뎀과의 동작이 하나의 모듈인 전화망 정합장치(32)로 구성되어 중계선 입력신호를 데이타 처리장치(33)에 전송하게 된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망 정합장치의 구성도로, 41은 디지틀 중계선정합부, 42는 신호 서어비스장치, 43은 하위레벨 프로세서, 44는 회선접속부, 45는 서브 하이웨이, 47은 집선기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전화망 정합장치(32)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계선 정합 교환시스템(31)에 연결된 디지틀 중계선 정합부(41)에 서브 하이웨이(45)를 통해 집선기(47)를 연결하고, 상기 디지틀 중계선 정합부(41)에 TD-버스를 통해 하위레벨 프로세서(43)를 연결하고, 상기 집선기(47)에 서브 하이웨이(45)를 통해 회선접속부(44)와 신호 서어비스 장치(42)를 연결하고, 상기 신호 서어비스 장치(42)와 회선접속부(44)와 디지틀 중계선 정합부(41)에 TD-버스를 통해 하위레벨 프로레서(43)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중계선으로부터 연결되는 PCM신호의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디지틀 중계선 정합부(41)의 구성은 종래의 전자교환기의 구성을 이용하며, R2MFC신호와 가청신호음에 대한 신호 서어비스 기능별로 신호를 발생하여 중계선으로 송출하는 기능과 중계선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기능등의 시간 지연없이 실시간 처리되어야 하는 서어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신호 서어비스 장치(42)의 구성도 종래의 전자교환기의 구성에 따른다.
이들 장치들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를 하기 위한 장치인 상기 하위레벨 프로세서(43)의 구성도 종래의 전자교환기에서 사용된 하드웨어을 그대로 이용한다. 종래의 종자교환기에서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한 가입자 정합장치가 가입자 대신 정보제공자의 컴퓨터들에 연결될 수 있도록 코덱과 모뎀으로 구성된 상기 회선접속부(44)가 동일 카드내에 구현된다. 상기 회선접속부(44)는 앞에 언급된 장치(41,42)등과 함께 TD-버스로 연결되어 하위레벨 프로세서(43)의 제어를 받게 된다.
이들 장치간에 클럭과 직렬데이타를 전송하는 서브 하이웨이(45)도 종래의 전자교환기에 사용중인 것을 이용한다. 그리고 신호 서어비스 장치(42)의 하드웨어를 대폭 줄이기 위해 집선기(47)가 설치된다. 상기 집선기(47)는 하나의 카드위에 실현될 수 있도록 종래의 전자교환기에서 사용되는 스위치를 축소 제작한다.
제 5 도는 제 4 도의 회선접속부(44)의 세부 구성도로, 51은 하위레벨 프로세서, 52는 확장공통 제어브, 53은 회선정합부, 52는 TD-버스, 55는 서브 하이웨이, 521은 수신단, 522는 송신단, 523은 모드/주소 패리티 점검부, 524는 타이밍 회로, 525는 데이타 패리티 점검부, 526는 직/병렬 레지스터, 527은 부호기, 528은 버퍼, 531은 코덱, 532는 모뎀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회선접속부(44)는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공통 제어부(52)와 회선정합부(53)로 구성된다.
상기 확장공통 제어부(52)의 하드웨어는 전자교환기의 구성을 이용하여 TD-버스에 연결된 수신단(521)과 송신단(522), 상기 수신단(521)과 송신단(522)에 연결된 타이밍 회로(524)와 데이타 패리티 점검부(525), 상기 수신단(521)에 연결된 모드/주소 패리티 점검부(523), 상기 모드/주소 패리티 점검부(523)에 연결된 직/병렬 레지스터(526), 상기 타이밍 회로(534)에 연결된 부호기(527) 및 상기 직/병렬 레지스터(526)와 부호기(527)에 연결된 버퍼(528)로 구성되며, 상기 하위레벨 프로세서(51)에서 제어 데이타가 제공되어 채널선택과 아날로그 신호 정보에서 데이타 신호만 추출하는 상기 회선정합부(53)는 종래의 코덱(531)과 모뎀(532)을 이용하여 채널선택과 아날로그 신호 변복조의 기능을 갖게 설계했다.
상기 하위레벨 프로세서(51)에서 착신채널이 결정되면, 채널선택정보가 상기 TD-버스(54)를 통해 상기 확장공통 제어부(52)의 수신단(52)으로 전달되고 상기 수신단(521)에서 모드/주소 패리티 점검부(523)를 통한 패리티 검색후, 직/병렬 변환 레지스터(526)로 전달되어 상기 패리티 검색된 모드/주소 직렬 데이타는 병렬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병렬로 변환된 모드/주소 데이타는 상기 버퍼(528)를 통해 상기 부호기(527)에서 부호화되며 상기 부호화된 모드/주소 데이타는 다시 상기 버퍼(528)를 통해 상기 회선정합부(53)의 코덱(531)을 제어하고 상기 모뎀(532)의 동작에 변화를 주게 된다.
상기 모뎀(532)의 동작이 변화하게 되면, 상기 모뎀(532)과 코덱(531)의 제어 데이타들이 변하게 되고 상기 서브 하이웨이(55)로부터 전달된 아날로그 데이타 신호를 복조하여 데이타 처리부로 전달하게 되며, 변화된 레지스터값은 송신단(522)을 통해 TD-버스(54)를 거쳐 상기 하위레벨 프로세서(51)에 전달된다. 이로써 상기 하위레벨 프로세서(51)는 각 착신채널이 정상동작인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데이타 처리부의 서어비스 프로세서에 전달하게 된다.
제 6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망 정합방법의 흐름도로, 전화망 정합장치가 정보이용을 위한 서어비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상기 하위레벨 프로세서(51)를 초기화하고(600) 상대국 교환기로부터 중계선을 통해 디지틀 T1 신호를 디지틀 중계선 정합장치로 수신하기 위해 중계선 점유요구를 받았는지 검색한다(610). 상기 중계선 점유요구를 받으면 상기 디지틀 중계선 정합부(41)가 동작하여 상기 하위레벨 프로세서(43)에 중계선 점유통보를 하고, 상기 하위레벨 프로세서(51)는 상기 신호 서어비스 장치(42)에 신호장비 점유요구를 하고(620) 상기 신호 서어비스 장치(42)는 신호장치 점유를 상기 하위레벨 프로세서(51)에 통보한다(630).
그리고 상대국 교환기로부터 디지트를 수신하여(640) 정보 검색을 위해 할당된 번호인 '157'이 수신되고 안내 메시지가 송출되고(820,830) 그뒤 호스트 컴퓨터 지정번호가 10초가 경과하여도 입력되지 않는 경우(650), 사용중이지 않는 회선채널을 연결하고(790) 안내화면이 송출되도록 한다(800). 그리고 회선정합이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초기 과금 및 통계데이타를 데이타 처리부로 통보하여야 한다.
디지트가 호스트 컴퓨터 지정번호까지 입력이 되면(640,650,660), 프리픽스를 데이타 처리부에 전달하고 링백톤, 링신호를 연결하여 회선접속채널을 결정하고(670), 회선접속채널이 통화가능한 상태인지 검색하여(680), 통화중이면, 상기 신호 서어비스 장치(42)는 화중음(화중메시지)을 내보내게 된다(810). 다시 상기 회선접속채널이 통화가 가능한 후크오프 상태가 되면 응답을 중계선 정합장치에 통보하고(690) 회선정합 코덱을 연결한다(700). 상기 하위레벨 프로세서(51)는 초기 과금 및 통계데이타를 데이타 처리부로 전달한다(710). 회선접속채널의 모뎀은 상대국으로 응답톤을 송출하여 모뎀간 트레이닝 절차를 거쳐 데이타 통신으로 들어간다.
상기와 같이 중계선을 통한 데이타 통신이 가능하며, 모뎀의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는 과금처리가 되지않도록 할 수도 있는 기능을 부여할 수가 있다.
데이타 통신중 데이타 처리부가 판단하여 서어비스를 중단해야 한다고 결정되면(720) 즉각 신호 해제 메시지를 발신측에 전달한 후 회선을 절단하고, 정상적인 통신이 끝난 후 가입자가 호를 해제하는 경우(720)에도 신호해제 메시지를 발신측에 전달한 후 회선을 절단한다. 상기 중계선 해제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방향 절단신호 또는 강제 절단신호가 검출되어 통화로 절단요구가 수신되면(720) 상기 하위레벨 프로세서(51)는 초기 과금 및 통계 데이타를 상기 데이타 처리부로 통보하고(730) 릴리즈를 요구한후(740) 상기 데이타 처리부를 절단한다(750). 상기 데이타 처리부 절단후 릴리즈 가드신호를 송출하고(760) 통화로 및 신호장비를 절단하고(770) 회선접속을 절단한다(780).
상기와 같은 중계선 해제 단계는 가입자가 정보제공자의 컴퓨터내로 들어와서 데이타를 수신하는 도중 단말기를 방치하거나 수신중 다른 업무로 인해 수신이 끝나거나 중단됐음을 알지 못하는 경우에 발신측의 쓸데없는 회선점유의 시간으로 야기되는 불이익을 방지하게 되며 이는 데이타 통신이 급증하는 경우 회선활용에 융통성 있는 대처방안이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착신측 디지틀 정합블럭에서 집선기를 통해 사용되지 않고 있는 회선접속 카드에 접속시키므로 인해 교환역할과 데이타 신호 추출역할을 동시에 하게 된다. 즉, 아날로그 정합블럭과 모뎀을 같은 하드웨어 유니트내에 설계하므로써 모뎀이 교환 기능의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이로써 가입자는 하나의 전화번호만 돌리게 되면 언제나 사용되지 않는 회선채널에 직접 연결되므로써 원할한 데이타 통신을 이루게 되는 적용 효과가 있다. 또한 회선정합 카드가 종래의 전화망 정합장치에서 96채널을 수용할 수 있고 1채널당 집선비가 10 : 1이면 약 1000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한 전화번호에 1000가입자의 수용이 가능함에 따라 많은 가입자에 대해 적은 모뎀이 소요되게 되며, 동시에 설비비용이나 패킷화 장치의 규모도 줄어들게 되고, 동시에 100가입자 이상의 전화망 정합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이상 가입자는 언제든지 데이타 통신을 즐길 수 있게 되며 적은 비용으로 디지틀 정합블럭과 회선접속부의 카드를 증가시켜 나가면 엄청난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 적용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중계선 T1 신호로 데이타 신호를 추출하고 과금이나 시스템 관리에 필요한 데이타를 생산할 수 있는 기능을 실시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 중계선으로부터 연결되는 PCM신호의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틀 중계선 정합수단(41), 상기 디지틀 중계선 정합수단(41)에 TD-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전화망 정합장치를 제어하는 하위레벨 프로세서 수단(43), 상기 하위레벨 프로세서 수단(43)에 TD-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R2MFC신호와 가청신호음에 대한 신호 서어비스 기능별로 신호를 발생하여 중계선으로 송출하는 기능과 중계선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기능과 같이 시간 지연없이 실시간 처리되어야 하는 서어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 서어비스 수단(42), 상기 디지틀 중계선 정합수단(41)과 신호 서어비스 수단(42)에 서브 하이웨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신호 서어비스 수단(42)의 하드웨어 폭을 줄이기 위한 집선수단(47) 및 상기 집선수단(47)과 상기 하위레벨 프로세서 수단(43)에 서브 하이웨이 및 TD-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한 가입자 정합장치가 가입자 대신 정보제공자의 컴퓨터들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회선접속수단(4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망 정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접속수단(44)은 상기 하위레벨 프로세서 수단(43)에서 착신채널이 결정되면 채널선택정보가 전달되는 수신수단(521), 상기 수신수단(521)에 연결된 모드/주소 패리티 점검수단(523), 상기 수신수단(521)에 연결된 타이밍 수단(524), 상기 수신수단(521)에 연결된 데이타 패리티 점검 수단(525), 상기 타이밍 수단(524)과 데이타 패리티 점검수단(525)과 하이레벨 프로세서 수단(43)에 연결된 송신수단(522), 상기 모드/주소 패리티 저검수단(523)에 연결되어 패리티 검색된 모드/주소 데이타를 병렬로 변환하는 직/병렬 레지스터수단(526), 상기 타이밍 수단(524)에 연결된 부호수단(527) 및 상기 직/병렬 레지스터 수단(526)과 상기 부호수단(527)에 연결된 버퍼수단(528)으로 구성된 확장공통 제어수단(52)과, 상기 확장공통 제어수단(52)의 버퍼수단(528)에 연결된 코덱(531) 및 상기 확장공통 제어수단(52)의 버퍼수단(528)과 상기 코덱(531)에 연결된 모뎀(532)으로 구성된 회선정합수단(5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망 정합장치.
  3. 중계선으로부터 연결되는 PCM신호의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틀 중계선 정합수단(41), 상기 디지틀 중계선 정합수단(41)에 TD-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전화망 정합장치를 제어하는 하위레벨 프로세서 수단(43), 상기 하위레벨 프로세서 수단(43)에 TD-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R2MFC신호와 가청신호음에 대한 신호 서어비스 기능별로 신호를 발생하여 중계선으로 송출하는 기능과 중계선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기능과 같이 시간 지연없이 실시간 처리되어야 하는 서어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 서어비스 수단(42), 상기 디지틀 중계선 정합수단(41)과 신호 서어비스 수단(42)에 서브 하이웨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신호 서어비스 수단(42)의 하드웨어 폭을 줄이기 위한 집선수단(47) 및 상기 집선수단(47)과 상기 하위레벨 프로세서 수단(43)에 서브 하이웨이 및 TD-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한 가입자 정합장치가 가입자 대신 정보제공자의 컴퓨터들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회선접속수단(44)으로 구성되는 정합장치를 이용하여 중계선 T1 신호로 데이타 신호를 추출하고 과금이나 시스템 관리에 필요한 데이타를 생산할 수 있는 기능을 실시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망 정합방법에 있어서 ; 상대국 교환기로부터 중계선 점유요구 신호의 수신여부를 검색하여 상기 중계선 점유요구가 수신되면 신호장비 점유를 요구하고 통보하는 제 1 단계(600,610,620,630), 상기 상대국 교환기로부터 마지막 디지트까지 수시하였는지 검색하여 수신되었으면 프리픽스를 전달하고 회전접속채널을 선택하는 제 2 단계(640,650,660,670), 상기 회선접속채널이 통화 가능한 상태인지 검색하여 통화 가능한 상태이면 중계선 정합을 통보하고 회선정합 코덱을 연결하고 초기 과금 및 통계 데이타를 통보하는 제 3 단계(680,690,700,710), 통화로 절단요구의 수신여부를 검색하여 상기 통화로 절단요구가 수신되면 신호 해제 메시지를 전달한 후 회선을 절단하는 제 4 단계(720 내지 780), 상기 제 2 단계에서 모든 디지트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빈 회선채널을 연결하고 안내화면을 송출한 후 상기 초기과금 및 통계 데이타를 통보하는 제 5 단계(790,800)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회선접속채널이 통화 불가능한 상태이면 화중음을 통보하고 상기 중계선을 해제하는 제 4 단계로 진행하는 제 6 단계(81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망 정합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선을 해제하는 제 4 단계(720 내지 780)는 통화로 절단요구가 수신되었는지 검색하여 상기 통화로 절단요구가 수신되면 데이타 처리부로 초기 과금 및 통계 데이타를 통보하고 릴리즈를 요구하는 단계(720,730,740), 데이타 처리부를 절단하고 릴리즈 가드신호를 송출하는 단계(750,760) 및 통화로 및 신호장비를 절단하고 회선접속을 절단하는 단계(770,78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망 정합방법.
KR1019910021109A 1991-11-25 1991-11-25 정보 검색 이용을 위한 전화망 정합장치 및 방법 KR940007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1109A KR940007906B1 (ko) 1991-11-25 1991-11-25 정보 검색 이용을 위한 전화망 정합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1109A KR940007906B1 (ko) 1991-11-25 1991-11-25 정보 검색 이용을 위한 전화망 정합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581A KR930011581A (ko) 1993-06-24
KR940007906B1 true KR940007906B1 (ko) 1994-08-27

Family

ID=19323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109A KR940007906B1 (ko) 1991-11-25 1991-11-25 정보 검색 이용을 위한 전화망 정합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9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376B1 (ko) * 1996-12-21 1999-11-01 이계철 고속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서 다중전화접속서비스를 위하여 직렬통신방식을 이용한 전화망 정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581A (ko) 199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04491B2 (ja) 通信装置
US6473423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wo telephone sets via the internet
RU98108768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и маршрутизации речевых телефонных вызовов по компьютерной сети с коммутацией пакетов
AU5632890A (en)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
JPH11505973A (ja) 異なる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音声接続をセット・アップ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6654598B1 (en) Method for setting up call in wireless local loop system
JP3352747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
KR940007906B1 (ko) 정보 검색 이용을 위한 전화망 정합장치 및 방법
CA2308423C (en) Device and method for informing subscriber of call incoming during data communication service
JP2625460B2 (ja) 電話交換システムにおける通話ルート指定方法
RU2212117C2 (ru) Установление соединения в системе стационарной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KR100582569B1 (ko) 내선 가입자의 호를 전환하여 보류시키는 방법
JP2809029B2 (ja) Isdn交換装置
RU2258321C2 (ru) Беспроводная передача речевых сигналов через сеть интернет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нажатия кнопки для перехода в режим передачи
JP2001524781A (ja) 電話回線網インタフェース
JP3234698B2 (ja) Isdn交換機および端末
KR100250668B1 (ko) 안내대를 이용한 스피드콜 서비스 방법
KR100258120B1 (ko) 전자 교환기에서의 인블록 번호 방식의 서비스 제공 방법
RU220037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пряжения учрежденческой атс с сетью, работающей в асинхронном режиме передачи
KR100247713B1 (ko) 사설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포맷 방법
JP3112860B2 (ja) 網間接続装置
JP2734235B2 (ja) 非パケット形態データのdチャネルパケット通信方式
KR100222738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타국 국번 제한 방법
CN1287607C (zh) 一种经一条模拟线路向一个电话终端单元发送信息的方法和应用该方法的电信装置
KR100237457B1 (ko) 비동기 전송모드 망의 전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