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906B1 - 윤곽 보정회로 - Google Patents

윤곽 보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906B1
KR930002906B1 KR1019890019443A KR890019443A KR930002906B1 KR 930002906 B1 KR930002906 B1 KR 930002906B1 KR 1019890019443 A KR1019890019443 A KR 1019890019443A KR 890019443 A KR890019443 A KR 890019443A KR 930002906 B1 KR930002906 B1 KR 930002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uminance signal
generating
luminance
image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9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858A (ko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9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906B1/ko
Priority to DE4039122A priority patent/DE4039122C3/de
Priority to US07/632,074 priority patent/US5151787A/en
Priority to JP2405271A priority patent/JP2856364B2/ja
Priority to GB9028024A priority patent/GB2241408B/en
Publication of KR910013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5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 H04N5/208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for compensating for attenuation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e.g. crispening, aperture distortion 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윤곽 보정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아날로그 윤곽보정회로에 대한 구성도.
제 2 도는 는 제 1 도의 각부 파형도.
제 3 도는 종래의 디지탈 윤곽보정회로에 대한 구성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각부 파형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윤곽보정회로의 구성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각부 파형도.
제 7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윤곽보정의 비교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4 : 지연기 21-24 : 감산기
31-34 : 절대값회로 41-44 : 비교기
51-52 : 게이트 60 : 데이타선택기
본 발명은 디지탈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윤곽을 선명하게 보정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텔리비젼 등에 사용되는 통상의 윤곽보정회로는 제 1 도와 같은 구성을 갖게 되는데, 먼저 수신되는 영상휘도신호(Y)를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또는 고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를 통해 윤곽성분을 추출하고, 이 추출신호는 곱셈회로(2)에서 이득제어신호(gain control signal)와 믹싱된 후, 가산회로(3)의 일측 단자로 인가된다. 이때 상기 가산회로(3)는 상기 영상휘도신호를 다른 단자로 수신하므로, 가산회로(3)에서는 상기 수신되는 영상휘도신호와 상기 곱셈회로(2)의 출력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가산회로(3)를 출력하는 영상휘도신호는 윤곽이 보정된 신호가 된다.
상기와 같은 아날로그 방식의 윤곽보정과정을 제 2 도의 파형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영상휘도신호(Y)가 (2a)와 같이 입력될시, 상기 필터(1)를 통하게 되면 (2b)와 같이 수신되는 영상휘도신호(Y)의 윤곽부분이 추출된다. 이후 상기(2b)와 같은 윤곽성분을 곱셈회로(2)에서 이득제어신호와 믹싱한 후 가산회로(3)에서 상기 (2a)와 같은 영상휘도신호(Y)와 곱셈회로(2)의 출력을 더하게 되면, 최종적으로 (2c)와 같이 영상휘도신호의 윤곽이 보정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2c)와 같은 윤곽보정신호를 CRT에 주사하는 경우, (2a)와 같은 영상휘도신호(Y)에서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의 휘도신호차이는 "H1" 정도이나, (2c)에서는 "H2"만큼의 차이나 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즉, 통상의 윤곽보정회로는 영상신호의 윤곽부분을 검출한 후 검출한 윤곽부분을 수신되는 영상휘도신호에 가산하는 방식으로, 수신되는 영상휘도신호의 윤곽부분에서 명암차를 더욱 크게 함으로서 시청자로 하여금 뚜렷한 영상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아날로그방식의 윤곽보정방식은 제 3 도와 같이 디지탈 차분회로를 응용함으로서 디지탈 윤곽보정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3 도와 같은 종래의 디지탈 윤곽보정회로에 대한 동작을 제 4 도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아날로그 형태의 영상휘도신호(Y)가 샘플링 및 양자화 과정을 거치면, (4a)와 같은 디지탈화된 영상휘도신호(Y)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4a)와 같은 영상휘도신호(Y)가 제 1 지연회로(102)를 통하면 (4b)와 같이 소정단위 시간만큼 지연되고, 상기 제 1 지연회로(102)를 통한 (4b)의 영상휘도신호(Y)가 제 2 지연회로(103)를 통하면 다시 소정단위 시간만큼 지연되어 (4c)와 같이 지연된다.
이때 제 1 차분회로(104)에서는 (4a)와 같은 영상휘도신호를 제 1 지연된 (4b)와 같은 영상휘도신호와 감산하여 (4d)와 같은 신호를 얻게 되며, 제 2 차분회로(105)에서는 (4b)와 같은 제 1 지연된 영상휘도신호를 (4c)와 같이 제 2 지연된 영상휘도신호와 감산하여 (4e)와 같은 신호를 얻게 된다. 이후 (4d) 및 (4e)와 같은 제 1 차분회로(104) 및 제 2 차분회로(105)의 출력을 제 1 가산회로(106)에서 가산하면, (4a)와 같은 영상휘도신호의 윤곽경계점 및 방향에 대한 신호가 (4f)와 같이 발생된다. 이후 상기 (4f)와 같은 제 1 가산회로(106)의 출력은 곱셈회로(107)에서 이득제어신호와 믹싱된 후 지연보정부(101)를 통한 영상휘도신호(Y)와 제 2 가산회로(108)에서 합산되어 (4g)와 같이 윤곽이 보정된 영상휘도신호로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윤곽보정된 영상휘도신호는 D/A 변환기를 통해 (4g)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도와 같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의 윤곽보정회로나 또는 제 3 도와 같은 종래의 디지탈 방식의 윤곽보정회로에서는 필터(2) 또는 차분회로(104, 105)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지연보정이 달라지고, 윤곽보정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이 결정된다. 따라서 영상휘도신호를 이용하여 윤곽을 보정하는 종래의 방식은 아날로그 방식이나 디지탈 방식에 관계없이 윤곽경계 시점에서 영상휘도신호의 레벨차를 크게함으로서, CRT 또는 표시장치에 영상출력시 윤곽부분을 뚜렷하게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흰자막 또는 글씨등과 같이 밝은 부분의 경계를 윤곽보정을 할시, 윤곽경계 부분에서 과대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서 오히려 경계부분이 뿌옇게 번지는 현상이 발생되었으며, 이로 인해 영상이 눈에 거슬리게 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탈 영상처리장치에서 영상휘도신호의 레벨이 변화하는 부분에서 영상휘도신호의 변화시간을 짧게 하여 윤곽보정을 행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탈 영상처리장치에서 영상신호의 상태에 관계없이 경계가 뚜렷한 윤곽보정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구체적 일실시예도로서, 디지탈화된 제 1 영상휘도신호를 소정 단위시간으로 지연시켜 각각 제 2 영상휘도신호-제 5 영상휘도신호로 발생하는 직렬접속 구성의 제 1 지연기(11)-제 4 지연기(14)와, 상기 제 1 지연기(11)-제 4 지연기(14)의 출력에서 상기 제 1 영상휘도신호-제 4 영상휘도신호를 각각 일측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제 2 영상휘도신호-제 5 영상휘도신호를 각각 타측단자로 수신하며, 수신되는 두 신호를 상기 감산하여 두 신호의 차에 대응되는 제 1 감산신호-제 4 감산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제 1 감산기(21)-제 4 감산기(24)와, 상기 제 1 감산기(21)-제 4 감산기(24)의 출력을 각각 수신하며, 수신되는 제 1 감산신호-제 4 감산신호를 절대값으로 변환하여 각각 양수의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절대값회로(31)-제 4 절대값회로(34)와, 소정 기준신호를 공통 입력하고, 상기 제 1 절대값회로(31)-제 4 절대값회로(34)의 각 출력들은 각각 비교신호로 수신하며, 상기 기준신호와 수신되는 해당 비교신호를 비교하여 잡음이 제거된 제 1 비교신호-제 4 비교신호를 각각 발생되는 제 1 비교기(41)-제 4 비교기(44)와, 상기 제 1 비교신호의 반전신호와 제 2 비교신호를 논리곱하여 영상휘도신호가 변화를 종료하고 안정되기 시작하는 시점의 유무를 나타내는 제 1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 1 게이트(51)와, 상기 제 4 비교신호의 반전신호와 제 3 비교신호를 논리곱하여 영상휘도신호가 변화하기 시작하는 시점의 유무를 나타내는 제 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 2 게이트(52)와, 상기 제 3 영상휘도신호를 제 1 입력단자 및 제 4 입력단자로 수신하고, 제 2 영상신호를 제 2 입력단자로 수신하며, 제 4 영상휘도신호를 제 3 입력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제 1 제어신호 및 제 2 제어신호를 선택단자로 수신하여 상기 제 1 제어신호 및 제 2 제어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수신되는 제 2 영상휘도신호-제 4 영상휘도신호를 선택하여 윤곽보정신호로 출력하는 데이타선택기(60)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제 1 게이트(51) 및 제 2 게이트(52)는 앤드게이트(AND gate)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연기(11-14)는 D-플립플롭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D-플립플롭의 클럭신호를 샘플링클럭으로 하면 상기 지연기(11-14)의 영상휘도신호의 지연주기는 샘플링주기가 된다.
또한 상기 지연기(11, 12), 감산기(21, 22), 절대값회로(31, 33) 및 비교기(41, 42) 및 제 1 게이트(51)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상기 영상휘도신호의 레벨변화가 시작된 후 변화된 신호의 레벨이 안정되는 시점에서 제 1 논리를 갖는 제 1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 1 제어신호발생기(72)가 되며, 상기 지연기(13, 14), 감산기(23, 34), 절대값회로(33, 34) 및 비교기(43, 44) 및 제 2 게이트(52)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상기 영상휘도신호의 레벨이 안정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신호의 레벨이 변화되는 시점에서 제 1 논리를 갖는 제 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제어신호발생기(71)이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논리는 논리 "하이"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영상휘도신호의 윤곽을 보정하면, 상기 제 2 제어신호 및 제 1 제어신호가 "00" 또는 "11"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타선택기(60)는 제 3 영상휘도신호를 선택출력하고, "10"인 경우에는 영상휘도신호의 레벨이 변화되기 전의 제 4 영상휘도신호를 선택출력하며, "01"인 경우에는 영상휘도신호의 레벨이 변화하고 난 이후의 제 2 영상휘도신호를 선택출력하므로서, 영상휘도신호의 레벨이 변화되는 윤곽부분, 즉 영상휘도신호의 레벨이 변하는 부분의 신호에서 영상휘도신호의 변화하는 시간을 감축하여 영상신호의 윤곽부분을 선명하게 보정한다.
제 6 도는 상기 제 5 도 각부의 동작파형도로서, (6A)-(6E)는 제 1 영상휘도신호-제 5 영상휘도신호이고, (6F)-(6I)는 제 1 비교신호-제 4 비교신호이며, (6J)-(6K)는 제 1 제어신호-제 2 제어신호이고, (6L)은 상기 제 1 제어신호-제 2 제어신호에 의해 데이타선택기(60)에서 출력하는 윤곽보정된 최종 영상휘도신호이다.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윤곽이 보정되는 영상휘도신호와 종래의 윤곽보정방식에 대한 비교파형도이다.
상술한 제 5 도의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 6 도 및 제 7 도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6A)와 같은 디지탈화된 영상휘도신호가 입력되면, 직렬 접속된 제 1 지연기(11)-제 4 지연기(14)를 통해 각각 각각 (6B)-(6E)와 같이 소정단위 시간으로 지연되는 제 2 영상휘도신호-제 5 영상휘도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 1 지연기(11)-제 4 지연기(14)는 통상의 D-플립플롭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지연단위(delay unit)는 샘플링클럭(sampling clock) 주기로 하여 영상휘도신호를 지연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영상휘도신호-제 5 영상휘도신호는 샘플링 주기간격으로 지연된 영상휘도신호이며, 실제 디지탈 신호처리회로에서는 1샘플링클럭 주기동안 샘플링된 양자화 값을 홀딩하게 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6 도와 같이 도트(dot)로 표현하였다. 그러므로 상기 제 6 도의 도트는 샘플링된 영상휘도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6A)-(6B)와 같은 제 1 영상휘도신호-제 4 영상휘도신호 및 상기 (6B)-(6E)와 같은 제 2 영상휘도신호-제 5 영상휘도신호는 각각 제 1 감산기(21)-제 4 감산기(24)의 입력신호로 인가되며, 상기 제 1 감산기(21)-제 4 감산기(24)는 상기와 같이 수신되는 각각의 두 신호 값을 감산하며, 상기 감산된 결과는 음수, 양수 또는 "0"로 나타난다. 이때 상기 제 1 감산기(21)-제 4 감산기(24)로부터 출력되는 결과가 "0"이 아닌 양수 또는 음수의 데이타로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영상휘도신호의 레벨이 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6A)와 같은 제 1 영상휘도신호와 (6B)와 같은 제 2 영상휘도신호를 수신하여 감산하는 제 1 감산기(21)는 제 6 도의 t2, t3, t4 시점에서 "0"가 아닌 데이타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의 감산결과치는 양수데이타로 발생된다. 또한 제 6 도의 t10, t11, t12시점에서도 제 1 감산기(21)는 "0"가 아닌 데이타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의 결과치는 음수로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 6 도의 t1-t16 시점에서 상기 제 1 감산기(21)-제 4 감산기(24)로부터 발생되는 각각의 출력을 살펴보면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kpo00001
그러므로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상기 제 1 감산기(21)-제 4 감산기(24)는 영상휘도신호의 레벨이 변화하는 시점에서 "0"가 아닌 양수 또는 음수값을 갖는 출력을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제 1 감산기(21)-제 4 감산기(24)의 각각의 출력은 각각 1 : 1로 대응되는 제 1 절대값회로(31)-제 4 절대값회로(34)로 입력되어 결과치가 양수 또는 음수에 관계없이 동일크기의 양수값을 갖는 데이타로 변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감산기(21)-제 4 감산기(24)를 출력하는 음수데이타가 양수의 데이타로 변환된다.
상기 제 1 절대값회로(31)-제 4 절대값회로(34)의 출력은 제 1 비교기(41)-제 4 비교기(44)로 각각 인가되어 외부에서 공통으로 공급되는 기준신호와 비교되는데, 수신되는 비교신호가 상기 기준신호보다 클 경우에만 (6F)-(6I)와 같이 논리 "1"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 1 비교기(41)-제 4 비교기(44)에서 기준신호와 제 1 감산신호-제 4 감산신호를 비교하는 이유는, 실제 영상휘도신호에는 잡음(noise)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동일 레벨의 두화소가 감산기에 입력되어도 차신호가 발생될 수 있는데, 상기 기준신호를 이용하여 이러한 잡음 성분의 신호를 제거하여 오동작을 막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비교기(41)-제 4 비교기(44)는 상기 영상휘도신호에 포함된 잡음신호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며 지연시킨 양단의 영상휘도신호의 차신호가 설정 레벨 이상일 경우, 즉 영상휘도신호의 레벨이 시간에 따라 변하고 있을 경우에는 논리"1"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지연시킨 양단 영상휘도신호의 차신호가 설정 레벨 이하일 경우, 즉 영상휘도신호의 레벨이 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논리 "0"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6A)와 같이 일정시간 흑레벨(black level)로 있다가 백레벨(white level)로 바뀌고, 일정시간 다시 흑레벨로 변화하는 제 1 영상휘도신호가 입력되었을시, 상기 제 1 지연기(11)-제 4 지연기(14)에서 각각 수신되는 영상휘도신호를 (6B)-(6E)와 같이 1샘플링 주기간격으로 지연시키면, 상기 제 1 비교기(41)-제 4 비교기(44)는 영상휘도신호의 레벨이 변화하는 과도기 기간에만 (6F)-(6I)와 같은 제 1 비교신호-제 4 비교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상기 제 2 게이트(52)는 제 3 비교신호와 제 4 비교신호의 반전신호를 입력하여 논리곱한 후 제 2 제어신호로서 (6K)와 같이 출력하며, 제 1 게이트(51)는 제 1 비교신호의 반전신호와 제 2 비교신호를 입력하여 논리곱한 후 제 1 제어신호로서 (6J)와 같이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제어신호는 (6C)와 같은 제 3 영상휘도신호(제 1 영상휘도신호를 2샘플링 주기 지연한 신호)를 기준으로 하였을때, (6K)와 같이 일정레벨의 신호가 다른 레벨의 신호로 변화하는 시점(t4, t12)에서 논리 "1"신호가 되며, 이 상태 이외는 논리 "0"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신호는 (6C)와 같은 제 3 영상휘도신호를 기준으로 하였을때, (6J)와 같이 신호레벨이 변화하다가 안정해지기 직전인 시점(t5, t13)에서 논리 "1"신호가 되며, 이 상태 이외에는 논리 "0"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제어신호 및 제 1 제어신호는 (6C)와 같은 제 3 영상휘도신호가 지연되기 전의 영상휘도신호와 비교하여 변화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변화하지 않는 경우에는 "00"가 되며, 상기 제 3 영상휘도신호가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다른 레벨의 신호로 변화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는 "10"가 되고, 또한 제 3 영상휘도신호가 변화하고 있다가 안정해지기 직전인 시점에서는 "01"이 된다.
상기와 같은 변화를 갖는 상기 제 2 제어신호 및 제 1 제어신호는 데이타선택기(60)의 선택제어신호로 입력하게 되는데, 상기 데이타선택기(60)는 제 1 입력단자 및 제 4 입력단자로 제 2 지연기(12)의 출력인 제 3 영상휘도신호를 입력하고, 제 2 입력단자로 제 1 지연기(11)의 출력인 제 2 영상휘도신호를 입력하며, 제 3 입력단자로 제 3 지연기(13)의 출력인 제 4 영상휘도신호를 입력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타선택기(60)는 제 2 제어신호 및 제 1 제어신호가 "00" 또는 "11"상태일시에는 상기 제 3 영상휘도신호를 선택하여 그대로 출력한다. 이는 상기 제 3 영상휘도신호를 중심으로 이전의 영상휘도신호가 변화되지 않았고 또한 앞으로도 변화하지 않는 경우이므로, 제 3 영상휘도신호를 그대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데이타선택기(60)는 상기 제 2 제어신호 및 제 1 제어신호가 "10"(t4, t12)일시에는 제 3 입력단자로 수신되는 제 4 영상휘도신호를 선택출력한다. 이는 상기 제 3 영상휘도신호를 중심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다른 레벨의 영상휘도신호로 변화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제 4 영상휘도신호를 선택출력하는 것으로, 변화하기 전의 안정된 데이타가 최종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타선택기(60)는 상기 제 2 제어신호 및 제 1 제어신호가 "01"(t5, t13)일시에는 제 2 입력단자로 수신되는 제 2 영상휘도신호를 선택출력한다. 이는 상기 제 3 영상신호를 중심으로 영상휘도신호가 변화하고 있다가 안정되기 직전인 시점에서 제 2 영상휘도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것으로, 다음 상태에서 안정해지는 영상휘도신호를 미리 선택 출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데이타선택기(60)를 출력하는 최종 영상휘도신호는 (6L)과 같이 출력되어 영상휘도신호의 레벨이 변화하는 시점에서 레벨변환시간이 단축되어 윤곽이 보정된 신호가 된다.
따라서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7A)와 같은 영상휘도신호가 변화하기 시작하는 시점인 T1, T3 시점에서는 (7C)와 같이 변화하기 직전의 데이타를 출력하고, 변화하다 안정되기 직전의 시점인 T2, T4 시점에서는 안정화할때의 데이타를 출력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7C)와 같이 영상휘도신호의 레벨이 변화하는 시점, 즉, 신호의 윤곽부분에 대한 시작과 끝점을 검출하고 그 변화시간을 줄임으로서 윤곽보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신호의 윤곽보정시 신호레벨의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고, (7C)와 같이 변화하는 레벨의 시간을 줄임으로서 윤곽보정을 행함으로서, 선명하게 영상신호의 윤곽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 5 도에 도시된 구성을 다단 직렬연결하면 영상휘도신호의 레벨변화시간이 길더라도 확실한 윤곽보정회로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디지탈 영상신호처리 장치에서 윤곽보정시, 영상신호의 레벨이 변화하는 윤곽부분에서 신호레벨의 변화시간을 단축시켜 윤곽보정을 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경계부분의 화소명암에 무관하게 선명한 윤곽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영상신호의 윤곽영역에서 레벨변화시간을 감축하여 윤곽을 선명하게 보정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휘도신호가 변화하기 시작하는 위치에는 제 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 1 제어신호발생기와, 상기 변화로부터 휘도신호가 안정되기 전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제 1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제어신호발생기와, 상기 휘도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 1 제어신호 수신시 변화이전의 휘도신호를 선택출력하고, 상기 제 2 제어신호 수신시 안정되기 이전의 휘도신호를 선택출력하는 데이타선택기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제어신호발생기가, 직렬연결되며 설정된 시간으로 각각 지연되는 제 2 휘도신호 및 제 3 휘도신호를 발생하는 제 1 지연기 및 제 2 지연기와, 상기 휘도신호 및 제 2 휘도신호로부터 상기 제 2 휘도신호 및 제 3 휘도신호를 각각 감산하여 제 1 감산신호 및 제 2 감산신호를 발생하는 제 1 감산기 및 제 2 감산기와, 상기 제 1 감산신호 및 제 2 감산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제 1 절대값신호 및 제 2 절대값신호를 발생하는 제 1 절대값회로 및 제 2 절대값회로와, 소정의 기준신호에 상기 제 1 절대값신호 및 제 2 절대값신호를 각각 비교하여 잡음을 제거한 제 1 비교신호 및 제 2 비교신호를 발생하는 제 1 비교기 및 제 2 비교기와, 상기 제 2 비교신호에 상기 제 1 비교신호의 반전신호를 논리곱하여 상기 제 3 휘도신호가 불안정한 상태에서 안정된 상태로 변화하는 시점에서 상기 제 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 1 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제어신호 발생기가, 직렬연결되어 상기 제 2 제어신호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3 지연신호를 지연하여 각각 제 4 휘도신호 및 제 5 휘도신호를 발생하는 제 3 지연기 및 제 4 지연기와, 상기 제 3 휘도신호 및 제 4 휘도신호로부터 각각 상기 제 4 휘도신호 및 제 5 휘도신호를 감산하여 제 3 감산신호 및 제 4 감산신호를 발생하는 제 3 감산기 및 제 4 감산기와, 상기 제 3 감산신호 및 제 4 감산신호에 응답하여 각각 제 3 절대값신호 및 제 4 절대값신호를, 발생하는 제 3 절대값회로 및 제 4 절대값회로와, 기준신호와 상기 제 3 절대값신호 및 제 4 절대값신호를 각각 비교하여 제 3 비교신호 및 제 4 비교신호를 발생하는 제 3 비교기 및 제 4 비교기와, 상기 제 3 비교신호에 상기 제 4 비교신호의 반전신호를 논리곱하여 상기 제 3 휘도신호의 레벨이 변환하는 시점에서 상기 제 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 2 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선택기가, 제 2 입력단자 및 제 3 입력단자로 상기 제 3 휘도신호를 수신하며, 제 1 입력단자로 상기 제 2 휘도신호를 수신하고, 제 4 입력단자로 상기 제 4 휘도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 3 휘도신호를 레벨의 변화할시 상기 제 4 휘도신호를 선택출력하고 상기 제 3 휘도신호가 안정되기 전에 상기 제 2 휘도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4. 영상휘도신호를 수신하여 윤곽부분을 보정하는 디지탈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휘도신호가 제 1 지연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지연기의 출력인 제 2 영상휘도신호가 제 2 지연기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지연기의 출력인 제 3 영상휘도신호가 제 3 지연기의 입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4 지연기가 제 5 영상휘도신호를 발생하는 구성으로 수신되는 영상휘도신호를 동일한 시간으로 직렬지연시킨 제 2 영상휘도신호-제 5 영상휘도신호를 발생하는 제 1 지연기-제 4 지연기와, 상기 제 1 영상휘도신호-제 4 영상휘도신호를 각각 일측 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제 2 영상휘도신호-제 5 영상휘도신호를 각각 타측 단자로 수신하며, 수신되는 상기 두신호를 각각 감산하여 양수의 제 1 감산신호-제 4 감산신호로 발생하는 수단들과, 상기 제 1 감산신호-제 4 감산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소정의 기준신호를 공통으로 수신되며, 수신되는 두 신호를 각각 비교하여 영상휘도신호의 레벨변화에 따른 상태신호인 제 1 비교신호-제 4 비교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제 1 비교기-제 4 비교기와, 상기 제 1 비교신호와 제 2 비교신호를 논리조합하여 상기 영상휘도신호의 레벨이 변화된 후 안정되는 시점에서 제 1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 3 비교신호와 제 4 비교회로를 논리조합하여 상기 영상휘도신호가 변화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제 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논리게이트와, 상기 제 2 영상휘도신호-제 4 영상휘도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제어신호 및 제 2 제어신호를 출력선택신호로 수신하며, 상기 제 1 제어신호 수신시 제 4 영상휘도신호를 선택출력하고, 상기 제 2 선택신호 수신시 제 2 영상휘도신호를 선택출력하며, 이외의 상태에서 상기 제 3 영상휘도신호를 선택출력하는 데이타선택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탈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기가 D-플립플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플립플롭의 지연주기가 샘플링 클럭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8. 제 4 항에 있어서, 양수의 제 1 감산신호-제 4 감산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이 감산기와 절대값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감산신호들의 절대값을 결정하도록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9. 신호의 천이를 향상시키는 신호처리회로에 있어서, 제 1 신호를 지연하여 제 2 신호를 발생하는 제 1 지연기와, 상기 제 2 신호를 지연하여 제 3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지연기와, 상기 제 3 신호를 지연하여 제 4 신호를 발생하는 제 3 지연기와, 상기 제 4 신호를 지여하여 제 5 신호를 발생하는 제 4 지연기와, 상기 제 2 신호, 제 3 신호 및 제 4 신호로 이루어지는 복수신호들을 수신하며,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 입력신호들 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데이타선택기와, 상기 제 1 신호와 제 2 신호간의 차크기를 계산하고, 제 1 크기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 2 신호와 제 3 신호간의 차크기를 계산하고, 제 2 크기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 3 신호와 제 4 신호간의 차크기를 계산하고, 제 3 크기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 4 신호와 제 5 신호간의 차크기를 계산하고, 제 4 크기 차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 1 크기 차신호, 제 2 크기 차신호, 제 3 크기 차신호 및 제 4 크기 차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타선택기의 선택회로를 발생하는 선택신호발생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크기 차신호, 제 2 크기 차신호, 제 3 크기 차신호 및 제 4 크기 차신호들이 상기 선택신호발생기의 입력으로 인가되기 전에 소정의 기준신호와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발생기가, 상기 제 1 크기 차신호의 반전신호와 상기 제 2 크기 차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제 1 앤드게이트와, 상기 제 4 크기 차신호의 반전신호와 상기 제 3 크기 차신호에 응답하여 제 2 선택회로를 발생하는 제 2 앤드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KR1019890019443A 1989-12-23 1989-12-23 윤곽 보정회로 KR930002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9443A KR930002906B1 (ko) 1989-12-23 1989-12-23 윤곽 보정회로
DE4039122A DE4039122C3 (de) 1989-12-23 1990-12-07 Verfahren für einen Bildprozessor sowie Bildsignal-Kantenkorrekturschaltung zur Erzeugung eines kantenkorrigierten Bildsignals
US07/632,074 US5151787A (en) 1989-12-23 1990-12-21 Method and circuit for correcting image edge
JP2405271A JP2856364B2 (ja) 1989-12-23 1990-12-21 輪郭補正方法及び回路
GB9028024A GB2241408B (en) 1989-12-23 1990-12-24 Method and circuit for correcting image e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9443A KR930002906B1 (ko) 1989-12-23 1989-12-23 윤곽 보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858A KR910013858A (ko) 1991-08-08
KR930002906B1 true KR930002906B1 (ko) 1993-04-15

Family

ID=19293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9443A KR930002906B1 (ko) 1989-12-23 1989-12-23 윤곽 보정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51787A (ko)
JP (1) JP2856364B2 (ko)
KR (1) KR930002906B1 (ko)
DE (1) DE4039122C3 (ko)
GB (1) GB22414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23780T2 (de) * 1990-04-27 1997-05-07 Canon Kk Gerät zur Verarbeitung von Bildsignalen zwecks Verbesserung der Kantensteilheit
KR920008630B1 (ko) * 1990-09-28 1992-10-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수평윤곽 보상회로
JPH0757009B2 (ja) * 1991-03-26 1995-06-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輪郭補正装置
EP0514196B1 (en) * 1991-05-16 1997-12-29 Victor Company Of Japan, Ltd. Picture quality improving apparatus for compensating contour of images
US5304854A (en) * 1992-02-03 1994-04-19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Signal transient improvement circuit
US5293579A (en) * 1992-02-18 1994-03-08 Ray Drea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moothing jagged edges in a graphics display
US5546135A (en) * 1992-02-28 1996-08-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tour restoration apparatus
KR950003035B1 (ko) * 1992-04-17 1995-03-29 주식회사 금성사 영상신호의 천이영역 강조장치 및 방법
DE4214949A1 (de) * 1992-05-06 1993-11-11 Nokia Deutschland Gmbh Anordnung zur zeitlichen Detektion einer Signalflanke eines auf einer Übertragungsleitung übertragenen elektrischen Signals
KR940017695A (ko) * 1992-12-09 1994-07-27 정용문 블럭간의 유사성을 고려한 중간조 화상의 부호화 방법
DE4309351A1 (de) * 1993-03-23 1994-09-29 Nokia Deutschland Gmbh Eine Übertragungsanordnung einer bestimmten Übertragungsbandbreite mit einer nachgeschalteten Entzerreranordnung
US5491520A (en) * 1993-06-24 1996-02-13 Victor Company Of Japan, Ltd. Contour correcting circuit for sharpening rising and falling edges of video signals
JP3881039B2 (ja) * 1993-11-12 2007-02-14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超鋭敏センサアレー
JP3284286B2 (ja) * 1993-12-27 2002-05-20 三菱電機株式会社 波形応答改善回路
KR0141782B1 (ko) * 1994-09-10 1998-06-15 구자홍 영상선명화장치
JP3013746B2 (ja) * 1995-04-26 2000-02-28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ジタル輪郭補償装置
JPH09244609A (ja) * 1996-03-06 1997-09-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表示装置
JP3356201B2 (ja) * 1996-04-12 2002-12-16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および輪郭強調装置
US5959693A (en) * 1997-05-07 1999-09-28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Pixel adaptive noise reduction filter for digital video
DE19722358A1 (de) * 1997-05-28 1998-12-03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r Bearbeitung von Übergangsbereichen in einem Bildsignal
JP3697844B2 (ja) * 1997-07-25 2005-09-2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輪郭強調回路
DE69838779D1 (de) 1997-08-26 2008-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Korrekturvorrichtung für senkrechte konturen
DE19948638C1 (de) * 1999-10-08 2001-05-03 Micronas Gmbh Anordnung zur Korrektur eines Signalverlaufs
DE10113296B4 (de) * 2001-03-16 2005-04-21 Forschungszentrum Jülich GmbH Verfahren zum Ermitteln eines Pulsanstiegs oder -abfalls und Modul zur statistischen Analyse von Daten
DE10114813C1 (de) * 2001-03-26 2002-10-31 Micronas Muni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steilerung von Signalübergängen bei Fernsehbildern
JP2008176067A (ja) * 2007-01-18 2008-07-31 Fuji Electric Device Technology Co Ltd 半導体集積回路
EP2569931A1 (en) * 2010-05-10 2013-03-20 OCE-Technologies B.V. Method to restore edges in rasterized imag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923A (en) * 1977-07-08 1979-02-07 Hitachi Ltd Picture quality improving device
US4553042A (en) * 1983-07-27 1985-11-12 Rca Corporation Signal transition enhancement circuit
US4587448A (en) * 1983-07-27 1986-05-06 Rca Corporation Signal transition detection circuit
CA1219338A (en) * 1983-07-27 1987-03-17 Rca Corpor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JPS6276871A (ja) * 1985-09-30 1987-04-08 Toshiba Corp 画質補正回路
EP0257129B1 (de) * 1986-08-29 1990-04-11 ANT Nachrichtentechnik GmbH Verfahren zur Wiedergabe von Fernsehsignalen mit verbesserter Bildqualität
US4777385A (en) * 1987-02-09 1988-10-11 Rca Licensing Corporation Signal transient improvement circuit
JPS63292777A (ja) * 1987-05-25 1988-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輪郭補正装置
DE3890402T1 (de) * 1987-05-25 1989-05-24 Mitsubishi Electric Corp Konturkorrektureinrichtung
JPS6424681A (en) * 1987-07-21 1989-01-26 Mitsubishi Electric Corp Sharpness improving device for video signal
JP2575476B2 (ja) * 1988-10-20 1997-01-2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信号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2306775A (ja) * 1989-05-22 1990-12-20 Hitachi Ltd 輪郭補正回路
JPH02306779A (ja) * 1989-05-22 1990-12-20 Hitachi Ltd 映像信号フリー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039122A1 (de) 1991-06-27
DE4039122C2 (de) 1993-10-14
DE4039122C3 (de) 1999-05-20
GB9028024D0 (en) 1991-02-13
GB2241408A (en) 1991-08-28
US5151787A (en) 1992-09-29
GB2241408B (en) 1994-05-11
JPH04208778A (ja) 1992-07-30
KR910013858A (ko) 1991-08-08
JP2856364B2 (ja) 1999-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906B1 (ko) 윤곽 보정회로
EP0969658B1 (en) Noise reduc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KR0143389B1 (ko) 윤곽보정장치
US45232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igital chrominance signals of a color television receiver
US4796088A (en) Noise reducer using magnitude of noise and non-linear signal processing
US5612752A (en) Noise reduction method and apparatus
KR920001010B1 (ko) 영상신호 처리회로
JPH0445686A (ja) カラー撮像装置
JPH06292143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JPS6346881A (ja) デジタル輪郭補正回路
JP2871323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830609B2 (ja) 輪郭補正装置
JP2798562B2 (ja) 信号補正回路
JP2862700B2 (ja) 動き検出装置
KR940002416B1 (ko) 동기신호삽입방식 및 회로
JPS63139492A (ja) Acc回路
KR0150959B1 (ko) 적응형 화상윤곽 보정회로
JPS59211335A (ja) レベルシフト回路
JPH06350930A (ja) イメージセンサの暗時出力補正装置
JPH02202274A (ja) 映像信号の輪郭補正装置
JPS62281575A (ja) コントラスト・ブライトネス調整回路
KR930001384Y1 (ko) 디지탈 tv의 색상 및 휘도 보상회로
JPH062382Y2 (ja) 適応型輪郭強調y/c分離回路
JP2629928B2 (ja) クロマ信号ノイズリデユーサ
JPH04369179A (ja) 輪郭補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