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468A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468A
KR20230112468A KR1020220008755A KR20220008755A KR20230112468A KR 20230112468 A KR20230112468 A KR 20230112468A KR 1020220008755 A KR1020220008755 A KR 1020220008755A KR 20220008755 A KR20220008755 A KR 20220008755A KR 20230112468 A KR20230112468 A KR 20230112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isode
episodes
product type
content
p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7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재선
김혜경
김혜령
최가인
김지현
최가희
정영석
김현아
김진아
한지수
Original Assignee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8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2468A/en
Publication of KR20230112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46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전자기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들을 가지는 에피소드 리스트를 상기 전자기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피소드 리스트는 열람을 위한 디지털 화폐의 지불 여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들을 가지며, 최신 회차를 기준으로 특정 범위의 에피소드들은 상기 서로 다른 상품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상품 타입으로 설정되고, 상기 특정 범위는 상기 복수의 에피소드들의 마지막 회차까지 업로드가 완료되는 지 여부에 따라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viewing request for specific content from an electronic device, and providing an episode list having a plurality of episodes included in the specific content to the electronic device in response to the reading request, wherein the episode list has episodes of different product types based on whether digital currency is paid for viewing, episodes in a specific range based on the latest episode are set to any one product type among the different product types, and the specific range is uploaded until the last episode of the plurality of episodes. The size may chang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is completed.

Figure P1020220008755
Figure P1020220008755

Description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는, 전화나 문자 메시지와 같은 통신 기능은 물론, 인터넷을 활용한 웹 서핑, 음악 감상, 영상 콘텐츠의 시청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As technology develops, utilization of digital devices is increasing. In particular, electronic devices (eg, smart phones, tablet PCs, etc.) have various functions such as web surfing using the Internet, listening to music, and viewing video content, as well as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phone calls and text messages.

이러한 전자기기의 대중화에 힘입어, 콘텐츠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콘텐츠의 대표적인 예로서, 웹툰(WEBTOON)이 존재한다.Thanks to the popularization of these electronic devices, the consumption of content is rapidly increasing, an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content, there is a webtoon (WEBTOON).

여기에서, 웹툰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연재하고 배포하는 만화로서, 웹(web)과 카툰(cartoon)의 합성어이다.Here, webtoon is a cartoon serialized and distributed through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a compound word of web and cartoon.

이러한 웹툰에 대한 소비가 꾸준하게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사업자(또는 웹툰 관련 서비스 사업자)들은,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자사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As the consumption of these webtoons steadily increases, various operators (or webtoon-related service providers) are developing various services so that users can use their services more conveniently.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69281호(웹툰의 다국어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웹툰 사용자의 사용 언어를 판단하고 해당 사용 언어에 따라 웹툰의 제책 방식과 언어를 변경하는 지원하여, 사용자가 언어의 제약 없이 웹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69281 (Webtoon multilingual support system and method) determines the language used by a webtoon user and supports changing the webtoon booklet method and language according to the language used, thereby providing a method for users to use web contents without language restrictions.

이와 같이,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의 소비 및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의향을 향상시켜, 보다 많은 소비자들을 유치하는 것과 동시에,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소비를 유지시키고자 하는 니즈는 여전히 존재한다.In this way, in order to induce consumption and interest of consumers for content,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urthermore, there is still a need to attract more consumers by improving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for content and at the same time to maintain continuous consumption of conten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용권을 통해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so that a user can view the content through a right of us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연재가 완료된 콘텐츠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소정의 기간 동안 이용권을 통해 열람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so that a user can view the conte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ven for content that has been serialized.

나아가, 본 발명은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capable of intuitively providing information on content.

나아가, 본 발명은 콘텐츠가 갖는 속성을 사용자가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that allows a user to more easily grasp the properties of content.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보다 직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that allows a user to more easily grasp information on available content by more intuitively providing information on a user's right to use.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전자기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들을 가지는 에피소드 리스트를 상기 전자기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피소드 리스트는 열람을 위한 디지털 화폐의 지불 여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들을 가지며, 최신 회차를 기준으로 특정 범위의 에피소드들은 상기 서로 다른 상품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상품 타입으로 설정되고, 상기 특정 범위는 상기 복수의 에피소드들의 마지막 회차까지 업로드가 완료되는 지 여부에 따라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receiving a viewing request for specific content from an electronic device, and providing an episode list having a plurality of episodes included in the specific content to the electronic device in response to the reading request, the episode list has episodes of different product types based on whether or not digital currency for viewing is paid, episodes in a specific range based on the latest episode are set to any one product type among the different product types, and the specific range is set to the plurality of The size may change depending on whether uploading is completed until the last episode of the episode.

나아가,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전자기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에피소드들을 가지는 에피소드 리스트를 상기 전자기기 상에 제공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피소드 리스트는 열람을 위한 디지털 화폐의 지불 여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들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최신 회차를 기준으로 특정 범위의 에피소드들을 상기 서로 다른 상품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상품 타입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에피소드들의 마지막 회차까지 업로드가 완료되는 지 여부에 따라 상기 특정 범위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 viewing request for specific content from an electronic device, a storage unit that stores a plurality of episodes included in the specific conten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provide an episode list having the plurality of episodes to the electronic device in response to the viewing request. , and the size of the specific range can be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uploading is completed until the last episode of the plurality of episodes.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전자기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들을 가지는 에피소드 리스트를 상기 전자기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피소드 리스트는 열람을 위한 디지털 화폐의 지불 여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들을 가지며, 최신 회차를 기준으로 특정 범위의 에피소드들은 상기 서로 다른 상품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상품 타입으로 설정되고, 상기 특정 범위는 상기 복수의 에피소드들의 마지막 회차까지 업로드가 완료되는 지 여부에 따라 크기가 변경되도록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viewing request for specific content from an electronic device, and providing an episode list having a plurality of episodes included in the specific content to the electronic device in response to the reading request, wherein the episode list has episodes of different product types based on whether or not digital currency is paid for viewing, episodes in a specific range based on the latest episode are set to any one product type among the different product types, and the specific range is uploaded until the last episode of the plurality of episodes. It may include commands that execute so that the size is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is completed.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콘텐츠가 갖는 속성에 따라 최신 회차를 기준으로 에피소드들의 상품 타입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여러가지 수단을 이용하여 에피소드를 열람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product types of episodes can be set based on the latest episode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content. Accordingly, the user can browse the episodes using various means.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연재가 완료된 콘텐츠 및 연재가 진행 중인 콘텐츠에 대해 콘텐츠를 구성하는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을 서로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꾸준하게 콘텐츠에 대한 관심을 잃지 않고 이용하도록 유도하고, 사용자가 부담 없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different product types of episodes constituting content for content that has been serialized and content that is being serializ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duce users to steadily use the contents without losing interest in the contents, and to provide user convenience so that the users can use the contents without burden.

이때, 본 발명에서는, 연재가 진행 중인 콘텐츠에 대해서는 최신 회차 에피소드가 연재될 때 마다, 기존에 디지털 화폐를 통해 열람 가능했던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을 이용권을 통해 열람 가능하도록 하는 상품 타입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는 계속적으로 더 많은 에피소드를 이용권을 통해 열람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ever the latest episode of the serialized content is serialized, the product type of the episode that was previously available for viewing through digital currency is changed to a product type that allows viewing through a voucher, so that the user can continuously view more episodes through the voucher.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연재가 완료된 콘텐츠에 대해서는 소정의 기간 동안, 기존에 디지털 화폐를 통해 열람 가능했던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을 이용권을 통해 열람 가능하도록 하는 상품 타입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는 연재가 완료되더라도 에피소드를 끝까지 이용권을 통해 열람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content that has been serialized, the product type of an episode that was previously available for viewing through digital currency is changed to a product type that allows viewing through a voucher,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episode to the end through the voucher even if the serialization is comple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에피소드 리스트를 제공하는 사용자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5, 도 6a, 도 6b, 도 6c, 도 6d, 도 6e, 도 6f 및 도 6g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이 전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특정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 리스트를 제공하는 사용자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안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0, 도 11,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 구매 시 사용자가 보다 경제적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3B, and 4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user environment for providing an episode list 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6a, 6b, 6c, 6d, 6e, 6f, and 6g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hat a product type of an episode is switched 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user environment for providing an episode list of a specific product type in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guiding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10, 11, and 12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inducing a user to consume more economically when purchasing an episode of a paid product type 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excluded in advance.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콘텐츠의 연재가 완결되더라도 소정의 기간 동안 이용권을 통해 완결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용자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and a system for the same, and provides a method for enabling more users to use the content by enabling the use of the completed content through a right of use for a predetermined period even after the serializat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system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ystem providing at least one of various types of content.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콘텐츠의 종류는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웹툰(WEBTOON), 음악, 전자책(E-BOOK), 동영상, 이미지 등의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본 발명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types of cont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may be very diverse, and for example, at least one of contents such as webtoon, music, e-book, video, and image may be provid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웹툰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웹툰이란, 웹(web)과 카툰(cartoon)의 합성어로서,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되는 카툰 또는 만화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contents corresponding to webtoon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ere, webtoon is a compound word of web and cartoon, and means a cartoon or cartoon provided through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이러한, 웹툰에 해당하는 콘텐츠(이하, “웹툰 콘텐츠”라 명명함)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통하여, 전자기기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기기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웹툰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Such content corresponding to webto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webtoon content”) may be provided on an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use the webtoon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여기에서,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전자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제공되는 웹툰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기기이면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Here, the electronic device means an electronic device used by a user,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ype as long as it is capable of outputting webtoon contents provided through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웹툰 콘텐츠는, 전자기기를 통해 접속되는 웹페이지(web page)를 제공될 수 있다.The webtoon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system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web page accessed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이 경우, 웹페이지에 출력되는 콘텐츠 및 이에 대한 제어는,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web page and control thereof may be performed by a content providing system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는, 전자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ed by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on an electronic device.

이 경우, 전자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통해,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은 “웹툰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일 수 있다.In this case, content may be provided through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may be a dedicated application for providing “webtoon contents”.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설명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요소들 및 해당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기능들은,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요소들 및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exist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That is, components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described below and functions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components of an application and functions performed by the components of the application.

나아가, 웹툰 콘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반드시 “웹툰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웹툰 콘텐츠의 제공과 함께 다른 추가 기능(예를 들어, 메신저, 웹서핑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an application providing webtoon contents may not necessarily be limited to a dedicated application for providing “webtoon contents”.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may provide other additional functions (eg, messenger, web surfing function, etc.) along with providing webtoon contents.

나아가, 애플리케이션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수행하는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고, 나머지 일부는,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하는 별도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application may perform at least some of the functions performed by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described below, and the other part may be performed by a separate content providing system communicating with the applica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주체를 구분하지 않고 설명하기로 한다. 위에서도 살펴본 것과 같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콘텐츠 제공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의하여 구현되거나 또는 웹페이지 상에 구현될 수 있다.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out distinguishing the subject that provides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reviewed above,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described below may be implemented by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or implemented on a web page.

한편, 본 발명에서 웹툰 콘텐츠는, 복수의 서브 콘텐츠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서브 콘텐츠들은, 웹툰 콘텐츠의 시리즈(series)를 구성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webtoon conten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contents. Such a plurality of sub-contents may constitute a series of webtoon contents.

여기에서, 시리즈는, 연속적인 기획물 또는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Here, a series may mean a continuous project or content.

본 발명에서는, 웹툰 콘텐츠와 서브 콘텐츠 간의 용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서브 콘텐츠”를 “에피소드(episode)”라고 명명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void confusion of terms between webtoon content and sub-content, “sub-content” is named “episode”.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복수의 에피소드로 구성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a, 도 3b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에피소드 리스트를 제공하는 사용자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고, 도5, 도 6a, 도 6b, 도 6c, 도 6d, 도 6e, 도 6f 및 도 6g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이 전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특정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 리스트를 제공하는 사용자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안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고, 도 10, 도 11,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 구매 시 사용자가 보다 경제적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Hereinafter, a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episodes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3B and 4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user environment for providing an episode list 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user environment for providing an episode list of a specific product typ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and 9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guiding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and FIGS. 10, 11, and 12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inducing a user to consume more economically when purchasing an episode of a paid product type 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mmunication unit 110 , a storage unit 120 and a control unit 130 .

여기에서, 통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웹툰 콘텐츠를, 전자기기(200) 상에 제공(또는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serve to provide (or transmit) webtoon contents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기기(200)는,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휴대용 컴퓨터(laptop comput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not limited in its type, and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 desk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nd a wearable device (eg, a wearable device). For example, it may be a watch type terminal (smartwatch), glass type terminal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and the like.

다음으로, 저장부(120)는, 웹툰 콘텐츠의 제공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20)는 복수의 웹툰 콘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서버(100a, 또는 콘텐츠 DB(data base))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storage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st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vision of webtoon contents. The storage unit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content server 100a or content DB (data base) containing a plurality of webtoon content.

이하에서는, 콘텐츠 서버와 콘텐츠 DB를 구분하지 않고, 콘텐츠 서버라고 통일하여 명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콘텐츠 서버는, 콘텐츠 DB로도 이해되어 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a content server and a content DB will not be distinguished, and will be collectively named as a content server. That is, of course, the content server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nderstood as a content DB.

나아가, 복수의 웹툰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서버(100a)는 저장부(120)와 별도의 구성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콘텐츠 서버(100a)를 제어하여, 콘텐츠 서버(100a)에 저장된 웹툰 콘텐츠를 사용자 전자기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ntent server 100a for storing a plurality of webtoon content may exist in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storage unit 120 . In this case,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may control the content server 100a to provide the webtoon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server 100a to the user electronic device 200 .

나아가, 저장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를 들어, 웹툰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가입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계정(예를 들어, ID(identification))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로그인(login) 함으로써, 웹툰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user information subscribed to a service (eg, a webtoon content providing system)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user account (eg, ID (identification)). A user may use webtoon contents by logging in to a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s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user account.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전자기기 상에 웹툰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130 may perform a series of controls to provide webtoon content on electronic devices.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과 함께, 본 발명에서 웹툰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webtoon contents in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에 대한 선택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210, 도 2 참조).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receiving a selection request for content may proceed (S210, see FIG. 2).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은 전자기기(200) 상에서 특정 콘텐츠(311)가 선택되는 동작에 근거하여 전자기기에서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수신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A , a content viewing request may be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0 to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based on an operation of selecting specific content 311 on the electronic device 200 .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전자기기(200)로부터 특정 콘텐츠(311, 예를 들어, 특정 웹툰 콘텐츠)에 대한 선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receive a selection request for specific content 311 (eg, specific webtoon content)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통신부(110)는, 전자기기(200)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자기기(200)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콘텐츠(311)가 선택되는 경우, 통신부(110)는 전자기기(20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l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serve as a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 That is, when specific content 311 is selected by a user in the electronic device 200,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serve to receive a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들을 가지는 에피소드 리스트를 전자기기에 제공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220, 도 2 참조).Nex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a reading request, a process of providing an episode list having a plurality of episodes included in specific content to an electronic device may proceed (S220, see FIG. 2).

제어부(130)는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정 콘텐츠(311)에 대한 선택 요청을 수신하면,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선택 요청에 근거하여, 특정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복수의 에피소드 항목들을 포함한 리스트(도 3b의 320a 참조)를 전자기기 상에 제공할 수 있다.When receiving a selection request for the specific content 311 as shown in FIG. 3A,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a list (see 320a in FIG. 3B) including a plurality of episode item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episodes included in the specific content on the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selection request, as shown in FIG. 3B.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에피소드 리스트(320a)는 복수의 에피소드 항목들(도 3b의 321 내지 326)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B, the episode list 320a may include a plurality of episode items (321 to 326 in FIG. 3B).

이때, 복수의 에피소드 항목들(도 3b의 321 내지 326)은,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들(예를 들어, 1회차 에피소드 내지 6회차 에피소드)에 각각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episode items (321 to 326 in FIG. 3B)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episodes constituting the specific content (eg, the first episode to the sixth episode), respectively.

한편,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에피소드들은 서로 다른 상품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상품 타입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에피소드 리스트는, 서로 다른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들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episode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t to any one product type among different product types, and the episode list may be composed of episodes of different product types.

도 4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기기(200) 상에 제공되는 에피소드 리스트(410)에 각 에피소드들의 상품 타입 정보(또는 그래픽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product type information (or graphic objects) of each episode may be output to the episode list 410 provided on the electronic device 200 .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에피소드는 “무료 상품 타입” 및 “유료 상품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상품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An episod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ny one product type among “free product type” and “paid product type”.

“무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란, 사용자가 에피소드를 열람(또는 이용)하기 위하여, 디지털 화폐, 쿠폰 또는 열람권(또는 이용권) 등의 지불없이 곧바로 이용할 수 있는 에피소드를 의미할 수 있다."Episode having a free product type" may refer to an episode that a user can immediately use without paying a digital currency, coupon, or reading ticket (or ticket) in order to view (or use) the episode.

반대로,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란, 사용자가 에피소드를 열람(또는 이용)하기 위하여, 디지털 화폐(전자화폐), 쿠폰 또는 이용권(또는 열람권) 등을 지불하는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는 에피소드를 의미할 수 있다. Conversely, "episode with a paid product type" means that the user can only use digital currency (electronic money), coupons or vouchers (or viewing tickets) to view (or use) the episode. It can mean an episode that can be used.

즉,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이용권(또는 열람권)은, 디지털 화폐 지불 없이,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를 열람(대여 또는 소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용권은, (무료)소장권, (무료)대여권, 쿠폰 등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at is, the right to use (or right to read)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view (rent or collect) an episode having a paid product type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without digital currency payment. The voucher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free) collection voucher, a (free) rental voucher, and a coupon.

여기에서, "디지털 화폐(digital currency)"는 디지털 방식으로 사용(컴퓨터에 보관하여 사용하거나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되는 형태의 화폐로서, “사이버 머니”로도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화폐는, 금전적 가치가 전자적 형태로 저장된 화폐를 의미할 수 있다. Here, "digital currency" is a type of money that is used digitally (stored in a computer or used on a network), and may also be referred to as "cyber money." Such digital currency may refer to money in which monetary value is stored in an electronic form.

나아가,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 “디지털 화폐의 지불을 통해 열람이 가능한 에피소드”와, “이용권을 사용하여 열람이 가능한 에피소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Furthermore, it may correspond to any one of "episodes of a paid product type", "episodes that can be viewed through payment of digital currency", and "episodes that can be viewed using a voucher".

“디지털 화폐의 지불을 통해 열람이 가능한 에피소드”는 디지털 화폐의 지불로만 이용할 수 있으며, 이용권을 통해서는 이용이 불가능한 에피소드일 수 있다. "Episodes that can be viewed through digital currency payment" may be available only through digital currency payment, and may not be available through a subscription.

그리고, “이용권을 사용하여 열람이 가능한 에피소드”는 이용권을 통해서만 이용이 가능한 에피소드이거나, 이용권 및 디지털 화폐 중 어느 하나를 지불하여 이용 가능한 에피소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준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로 명명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pisode viewable using a ticket” may be an episode available only through a ticket or an episode available by paying any one of a ticket and digital currency.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may be referred to as "episode of a semi-paid product type".

이하에서는, 용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디지털 화폐의 지불을 통해 열람이 가능한 에피소드를 ”제1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로 명명하고, 이용권을 사용하여 열람이 가능한 에피소드를 “제2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로 명명하고, 디지털 화폐의 지불이나 무료 이용권의 사용이 없이 열람이 가능한 에피소드를 “제3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와 혼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in order to avoid confusion of terms, episodes that can be viewed through payment of digital currency are named "episode of the first product type", episodes that can be viewed using vouchers are named "episode of the second product type", and episodes that can be viewed without payment of digital currency or use of free vouchers will be described interchangeably with "episode of the third product type".

한편, 사용자 계정과 연계하여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본 발명에서는 “이용권 지급(또는 발행 또는 할당)“으로 이해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 right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account can be understood as "payment (or issuance or allocation) of the use right".

나아가, 사용자 계정과 연계하여 저장되는 디지털 화폐는 제어부(130) 또는 이와 연동되는 서버 상에 전자적 형태로 저장되어 존재할 수 있다.Furthermore, digital currency stored in association with a user account may be stored in electronic form on the control unit 130 or a server linked thereto.

이러한 디지털 화폐는, 사용자 계정과 연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구매한 수량만큼의 디지털 화폐가 사용자 계정과 연동되어 존재할 수 있다.Such digital currency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a user account. That is, digital currency corresponding to the quantity purchased by the user may exist in conjunction with the user account.

이러한, 디지털 화폐는 경제적 소비 활동에 활용되며, 소셜(social) 화폐, 인터넷 쿠폰(coupon), 모바일 쿠폰, 게임 머니 등도 디지털 화폐의 일 예에 포함할 수 있다.Such digital currency is used for economic consumption activities, and may include social currency, Internet coupons, mobile coupons, game money, and the like as examples of digital currency.

한편, 디지털 화폐가 발행된 사업자를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소가 서로 다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business operator in which the digital currency was issued, the places where it can be used may be different.

예를 들어, A사(社)에서 발행되는 디지털 화폐는 A사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플랫폼(예를 들어, A 쇼핑몰)에서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A사가 운영하는 서비스 플랫폼이 복수인 경우, A사에서 발행된 디지털 화폐는 A사의 정책에 의하여, 복수의 서비스 플랫폼에서 공통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digital currency issued by Company A can only be used on a service platform (eg, A shopping mall) provided by Company A. 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rvice platforms operated by company A, the digital currency issued by company A can be commonly used in a plurality of service platforms according to company A's policy.

또한, 이러한 디지털 화폐는 서로 상이한 사업자들의 서비스 플랫폼들 간에도, 사업자들 간의 제휴에 의하여 공통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such digital currency can be used in common even between service platforms of different operators, through partnerships between operators.

나아가, 디지털 화폐는 다양한 용어로 명명될 수 있으며, 사업자에 의하여 그 용어가 명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화폐는, 콩, 빈, 도토리, 콘 등의 임의의 명칭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화폐를 “쿠키(또는 코인)”라고 명명하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화폐의 용어와 함께, “쿠키”의 용어를 혼용하며, “쿠키”의 용어는 디지털 화폐로 이해될 것이다.Furthermore, digital currency may be named in various terms, and the terms may be named by business operators. For example, digital currency may be named by any name such as bean, bean, acorn, or corn. In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digital currencies are named "cookies (or coin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cookie" is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term digital currency, and the term "cookie" will be understood as digital currency.

한편, 디지털 화폐는 전자 결제(electronics settlement(payment), 電子決濟)에 의하여 구매되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digital currency can be purchased by electronic settlement (payment).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전자 결제(electronics settlement(payment), 電子決濟)”는 금전적 가치를 갖는 화폐에 대한 거래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기능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사용자(또는 소비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대가를 지불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 “electronics settlement (payment)”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a user (or consumer) pays for the purchase of a product or service by using a user terminal 200 connected to a program or function capable of trading for currency having monetary value.

이러한 전자 결제는, 온라인 상에서, 카드 결제, 포인트 결제, 계좌 이체 등의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Such electronic payment may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payments made online, such as card payment, point payment, account transfer, and the like.

한편, 본 발명에서, “전자 결제를 통하여 디지털 화폐가 구매”되어지는 것을 “디지털 화폐가 충전” 된다고 표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 결제에 의하여, 디지털 화폐를 “구매” 또는 “충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매 또는 충전되는 디지털 화폐는, 사용자 계정에 연동되어 존재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purchasing digital currency through electronic payment” may be expressed as “charging digital currency”. That is, the user can “purchase” or “charge” digital currency by electronic payment. Digital currency purchased or charged in this way may exist in conjunction with a user account.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콘텐츠를 구성하는 에피소드들의 상품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A , the control unit 130, upon receiving a request to view specific content, may check product types of episodes constitut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제어부(130)는 에피소드들의 상품 타입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기기(200) 상에 제공되는 에피소드 리스트(410)에 각 에피소드들의 상품 타입 정보(또는 그래픽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Based on the product type confirmation result of the episodes, the controller 130 may output product type information (or graphic objects) of each episode to the episode list 410 provided on the electronic device 200, as shown in FIG. 4(a).

상품 타입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에피소드 리스트(410)를 구성하는 에피소드 항목들 각각의 일 영역(410a)에,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특정 에피소드 항목(420)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Looking at the method of outputting product type information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3C, the controller 130 may output product type information of an episode to one area 410a of each of the episode items constituting the episode list 410. A specific episode item 42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먼저, 제어부(130)는, 도 4 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이면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이 불가능한 에피소드(제1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에피소드 항목(423)에는, 해당 유료 에피소드를 구매 가능한 금액정보(또는 전자 화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예를 들어,”5coins”)를 출력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d) of FIG. 4, the control unit 130 is an episode of a paid product type and corresponds to an episode (episode of the first product type) for which a paid episode reading ticket cannot be used. In the episode item 423, first information (for example, “5coins”)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money (or electronic money information) that can purchase the corresponding paid episode can be output.

다음으로, 도 4 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이면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사용 가능한 에피소드(제2 상품 타입)에 대응되는 에피소드 항목(422)에는, 상기 제1 정보와 다른 제2 정보(422a, 예를 들어, “unlock” 잠금해제)를 포함시킬 수 있다.Next, as shown in (c) of FIG. 4, the control unit 130 is an episode of a paid product type and corresponds to an episode (second product type) for which a paid episode reading ticket can be used. In the episode item 422, second information 422a different from the first information (eg, “unlock” unlock) can be included.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료 상품 타입(또는 제3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421)에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와는 다른 제3 정보(412a, “#”)를 출력할 수 있다. 제3 정보는 해당 에피소드가 무료임은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무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경우, 해당 에피소드에 대해 사용자 계정이 이용권한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Next, as shown in (b) of FIG. 4 , the controller 130 may output third information 412a (“#”) different from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to the item 421 corresponding to the episode of the free product type (or third product type). The thir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episode is free. In the case of an episode having a free product type, the controller 130 may not determine whether the user account has the right to use the corresponding episod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를 포함하는 에피소드 리스트를 사용자의 전자기기(200) 상에 제공할 수 있으며, 에피소드 리스트에는 에피소드 각각의 상품 타입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품 타입 정보를 통해, 대응되는 에피소드의 열람 수단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pisode list including episodes having different product types may be provided on the user's electronic device 200, and the episode list may include product type information for each episode. The user may intuitively recognize a viewing means of a corresponding episode through product type information.

한편,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가 모두 무료 상품 타입(제3 상품 타입)에 해당되면, 사용자 측면에서는 무료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지만,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측면에서는 콘텐츠 열람을 통한 수익을 얻기 어려울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a plurality of episodes constituting a specific content all fall under the free product type (third product type), the user can use the content for free, but it may be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view the content to earn money.

또한,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가 모두 디지털 화폐를 지불하여 열람 할 수 있는 유료 상품 타입(제1 상품 타입)의 콘텐츠에 해당되면, 사용자는 디지털 화폐 지불에 대한 부담을 느껴 콘텐츠 이용을 감소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사업자 측면에서도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 방법이 아닐 수 있다. In addition, if a plurality of episodes constituting a specific content are all of the paid product type (first product type) that can be viewed by paying digital currency, the user feels the burden of paying digital currency and uses the content. This may not be an effective service provision method from the business operator's point of view.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디지털 화폐에 대한 지불에 부담을 갖지 않고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콘텐츠에 대한 홍보를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 각각의 상품 타입을, 제1 상품 타입 내지 제3 상품 타입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도록 설정하고, 특정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에 따라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을 유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mote content by enabling users to use content without burden of payment for digital currency, the product type of each of a plurality of episodes constituting specific content is set to correspond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product types, and the product type of the episode can be flexibly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ent type of the specific content.

여기에서, 콘텐츠 타입은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제1 콘텐츠 타입 및 제2 콘텐츠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Here, the content type may be classified into any one of the first content type and the second content type according to whether serializat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예를 들어,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완료된 경우, 연재가 완료된 콘텐츠는 제1 콘텐츠 타입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콘텐츠 타입의 콘텐츠”는 “완결 콘텐츠”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serialization of content is completed, the serialized content may be defined as a first content type. In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s of the first content type”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complete content”.

그리고,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진행 중인 경우, 연재가 진행중인 콘텐츠는 제2 콘텐츠 타입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 콘텐츠 타입의 콘텐츠”는 “연재 콘텐츠”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Also, when serialization of content is in progress, the content in progress may be defined as a second content type. In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s of the second content type”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serial content”.

여기에서,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완료되었다”고 함은, 콘텐츠를 구성하는 에피소드에 대한 업로드가 완료(또는 완결)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Here, “serialization of the content has been completed” may mean a state in which uploading of episodes constituting the content has been completed (or completed).

일 예로서, 32부작의 에피소드로 구성되는 콘텐츠에서, 32번째 에피소드까지 업로드가 완료된 경우, “해당 콘텐츠는 연재가 완료되었다”고 표현될 수 있다.As an example, in content consisting of 32 episodes, when uploading up to the 32nd episode is completed, it may be expressed as “the content has been serialized”.

이와 반대로,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진행 중이다”라고 함은, 콘텐츠를 구성하는 에피소드에 대한 업로드가 진행중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Conversely, “serialization of the content is in progress” may mean a state in which an episode constituting the content is being uploaded.

일 예로서, 32부작의 에피소드로 구성되는 콘텐츠에서, 30번재 에피소드까지 업로드가 완료된 경우, “해당 콘텐츠는 연재가 중이다”라고 표현될 수 있다.As an example, in content consisting of 32 episodes, when uploading up to the 30th episode is completed, it may be expressed as “the content is being serialized”.

여기에서, “연재”라고 함은, 콘텐츠를 구성하는 에피소드가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상태로 콘텐츠 서버(100a) 등에 업로드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Here, "serialization" may mean uploading an episode constituting content to the content server 100a or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it can be provided to users.

한편, 에피소드는 기 설정된 주기 마다(예를 들어, 1주일 단위),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상태로 콘텐츠 서버(100a) 등에 업로드 되는 방식으로 연재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에피소드는, 임의의 시점에,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상태로 콘텐츠 서버(100a) 등에 업로드 되는 방식으로 연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pisode may be serialized in a manner that is uploaded to the content server 100a or the like in a state that can be provided to users at predetermined intervals (eg, weekly). Alternatively, episodes may be serialized in such a way that they are uploaded to the content server 100a or the like at any time in a state that can be provided to users.

본 발명에서는, 에피소드의 연재 순서를 “회차”로 명명할 수 있다. “회차”는 에피소드에 매칭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가장 처음 연재된 에피소드는 “1회차”에피소드 이고, 두번째로 연재된 에피소드는 “2회차”에피소드 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of serialization of episodes can be named "episode". “Episode” may be matched with an episode, and the first serialized episode may be a “1st episode” episode, and the second serialized episode may be a “second episode” episode.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장 최근에 연재된 에피소드를 “최신 회차”에피소드로 명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2부작의 에피소드로 구성되는 콘텐츠에서, 30번재 에피소드까지 업로드가 완료된 경우, 30번째 업로드 된 에피소드는 “최신 회차” 에피소드라고 표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t recently serialized episode can be named the “latest episode” episode. For example, in content consisting of 32 episodes, when uploading up to the 30th episode is completed, the 30th uploaded episode may be expressed as the “latest episode”.

또한, 본 발명에서는, 특정 에피소드가 연재됨으로써 콘텐츠가 제2 콘텐츠 타입(연재 콘텐츠)에서 제1 콘텐츠 타입(완결 콘텐츠)로 변경되는 경우, 특정 에피소드를 “마지막 회차”에피소드라고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2부작의 에피소드로 구성되는 콘텐츠에서, 32번째 에피소드가 “마지막 회차” 에피소드로 표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지막 회차” 에피소드는 “최신 회차”에피소드로 표현될 수 도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ent is changed from the second content type (serial content) to the first content type (complete content) by serializing a specific episode, the specific episode can be expressed as a “last episode” episode. For example, in content consisting of 32 episodes, the 32nd episode may be expressed as the “last episode” episode. In this case, the “last episode” episode may be expressed as a “latest episode” episode.

이처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는 연재 여부에 따라 제1 콘텐츠 타입 및 제2 콘텐츠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 타입을 가지며, 제어부(130)는 최신 회차를 기준으로 특정 범위의 에피소드들은 제1 상품 타입, 제2 상품 타입 및 제3 상품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상품 타입으로 설정할 수 있다. As such, the conten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content type of the first content type and the second content type depending on whether it is serialized, and the control unit 130 may set the episodes in a specific range based on the latest episode as the first product type, the second product type, and the third product type.

이하에서는,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에 근거하여,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들 각각의 상품 타입을 설정 및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setting and changing the product type of each of a plurality of episodes constituting specific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type of the cont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제어부(130)는,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 중 제1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개수 및 회차에 대한 제1 범위, 제2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개수 및 회차에 대한 제2 범위, 제3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개수 및 회차에 대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set a first range for the number of episodes and episodes with a first product type among a plurality of episodes included in specific content, a second range for the number of episodes and episodes with a second product type, and a range for the number of episodes and episode with a third product type.

동일 범위에 속하는 에피소드들은 동일한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범위에 속하는 에피소드들은 모두 디지털 화폐를 지불하여 열람 가능한 제1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들일 수 있다. Episodes belonging to the same range may be episodes having the same product type. For example, episodes belonging to the first range may all be episodes having a first product type that can be viewed by paying digital currency.

먼저, 제어부(130)는 최신 회차를 기준으로 특정 범위의 에피소드들은 제1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최신 회차를 기준으로 제1 범위의 에피소드들을 제1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로 설정할 수 있다. First, the controller 130 may set episodes within a specific range as episodes of the first product type based on the latest episode. That is, the controller 130 may set the episodes of the first range as episodes of the first product type based on the latest episode.

도 5 의(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시간 역순서에 따라 가장 최근에 연재된 최신 회차 에피소드(예를 들어, “8회차 에피소드”, 918)를 포함한 제1 기 설정된 개수 만큼의 에피소드(916, 917, 918)의 상품 타입이 제1 상품 타입(디지털 화폐를 지불하여 에피소드를 열람)으로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5, the control unit 130 may set the product type of episodes 916, 917, and 918 as many as the first preset number, including the most recently serialized episode (e.g., “Episode 8”, 918) in reverse chronological order to be set as the first product type (viewing episodes by paying digital currency).

제어부(130)는 제1 범위를, 시간 역순서에 따라 가장 최근에 연재된 최신 회차 에피소드를 포함한 제1 기 설정된 개수 만큼에 대응되는 에피소드로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may set the first range to episod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eset number including the most recently serialized episode in reverse time order.

여기에서, 시간 역순서는,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 중 가장 최근에 연재된 에피소드의 연재 시점(또는 공개된 시점)을 기준으로 카운팅 될 수 있다.Here, the reverse order of time may be counted based on the serialization time (or publication time) of the most recently serialized episode among a plurality of episodes constituting specific content.

제어부(130)는 최신 회차 에피소드인 8회차 에피소드(918)를 포함하여, 최근 시점에 연재된 제1 기 설정된 개수 만큼의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이, 디지털 화폐를 지불하여 열람이 가능한 유료 상품 타입을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product types of the first preset number of episodes serialized at the latest time, including the latest episode, the 8th episode 918, to have a paid product type that can be viewed by paying digital currency.

다음으로,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시간 순서에 따라 가장 처음 연재된 에피소드(예를 들어, “1회차 에피소드”,911)를 포함한 제2 기 설정된 개수 만큼의 에피소드(911, 912, 913) 상품 타입이 제3 상품 타입(디지털 화폐 및 이용권 지불 없이 에피소드를 열람)에 해당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a) of FIG. 5,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episode (911, 912, 913) of the second preset number including the episode first serialized in chronological order (e.g., “episode 1”, 911) to correspond to the third product type (viewing episodes without paying for digital currency and vouchers).

제어부(130)는 제3 범위를, 가장 처음 연재된 에피소드를 포함한 제2 기 설정된 개수 만큼에 대응되는 에피소드로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set the third range to episod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eset number including the first serialized episode.

여기에서, 시간 순서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에피소드들이 사용자에 의해 이용 가능한 상태로 연재된 시점(또는 공개된 시점)을 기준으로 카운팅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간 순서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에피소드들 중 연재된 시점이 가장 빠른 에피소드의 연재 시점을 기준으로 카운팅될 수 있다.Here, the time order may be counted based on the time when the episodes constituting the content are serialized (or releas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can use them. More specifically, the time order may be counted based on the serialization time of the earliest serialized episode among the episodes constituting the content.

나아가, 제어부(130)는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 중 제1 상품 타입 및 제3 상품 타입에 해당하지 않는 에피소드들의 상품 타입을 제2 상품 타입(이용권을 사용하여 에피소드를 열람)으로 설정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ler 130 may set the product types of episodes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first product type and the third product type among a plurality of episodes constituting specific content as the second product type (viewing episodes using a voucher).

제어부(130)는, 제2 범위를, 시간 역순서에 따라 가장 최근에 연재된 최신 회차 에피소드를 포함한 제1 기 설정된 개수 만큼에 대응되는 에피소드 및 시간 순서에 따라 가장 처음 연재된 에피소드(예를 들어, “1회차 에피소드”,911)를 포함한 제2 기 설정된 개수 만큼의 에피소드를 제외한 에피소드로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may set the second range to episod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eset number including the most recent episodes serialized in reverse time order and episodes excluding the second preset number of episodes including episodes serialized first in chronological order (e.g., “episode 1”, 911).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8회차의 에피소드가 연재된 경우에는, 6회차 내지 8회차 에피소드(916, 917, 918)의 상품 타입은 제1 상품 타입으로 설정되고, 1회차 내지 3회차 에피소드(911, 912, 913)의 상품 타입은 제3 상품 타입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4회차 및 5회차 에피소드(914, 915)의 상품 타입은 제2 상품 타입으로 설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a), when the 8th episode is serialized, the product type of the 6th to 8th episodes (916, 917, 918) is set to the first product type, the product type of the 1st to 3rd episodes (911, 912, 913) is set to the third product type, and the remaining 4th and 5th episodes (914, 915) The product type may be set to the second product type.

제1 기 설정된 개수 및 제2 기 설정된 개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The first preset number and the second preset number may be set by a system mana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based on history information matched to a user account.

제어부(130)는 콘텐츠의 특성 및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을 유도하도록,하는 제1 기 설정된 개수 및 제2 기 설정된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set a first preset number and a second preset number to induce the user to use the conte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and the history information matched to the user account.

일 예로, 제어부(130)는 디지털 화폐를 이용한 에피소드 열람 이력이 많은 제1 사용자 계정에 대해서는, 이용권을 이용한 에피소드 열람 이력이 많은 제2 사용자 계정에 비하여, 디지털 화폐 지불을 통해 열람 가능한 상품 타입과 관련된 제1 기 설정된 개수를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set the first preset number related to product types that can be viewed through payment with digital currency to be relatively large for a first user account with a large history of episode viewing using digital currency, compared to a second user account with a large history of viewing episodes using vouchers.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조회수가 낮은 콘텐츠에 대해서는, 조회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콘텐츠에 비하여, 무료 상품 타입과 관련된 제2 기 설정된 개수를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allow users to enter the content by setting the second predetermined number related to the free product type to be relatively larger than content with a relatively high number of views for content with a low number of views.

한편, 제어부(130)는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이 제2 콘텐츠 타입(연재 콘텐츠)인 경우, 최신 회차의 에피소드를 제1 상품 타입(디지털 화폐를 지불하여 에피소드를 열람) 으로 설정하여, 업로드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type of the content is the second content type (serial content), the episode of the latest episode can be set as the first product type (viewing the episode by paying digital currency) and uploading it.

최신 회차의 에피소드가 업로드되는 경우, 제1 상품 타입(디지털 화폐를 지불하여 에피소드를 열람)의 에피소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최신 회차의 에피소드에 대한 업로드와 연동하여 제2 상품 타입(이용권을 사용하여 에피소드를 열람, “준유료 상품 타입”으로 상품 타입이 변경(또는 전환)될 수 있다(이하, 제1 에피소드 상품 타입 전환 프로세스). When an episode of the latest episode is uploaded, at least one of the episodes of the first product type (viewing the episode by paying digital currency) is linked to the upload of the episode of the latest episode, and the second product type (viewing the episode using a voucher, the product type can be changed (or converted) to a “semi-paid product type” (hereinafter, the first episode product type conversion process).

제어부(130)는 최신 회차의 에피소드가 업로드되는 경우, 제1 범위의 제1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상품 타입(이용권을 사용하여 에피소드를 열람, “준유료 상품 타입”)으로 변경(또는 전환)하여 제1 범위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가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제1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개수가 제1 기 설정된 개수에 대응되도록, 에피소드들의 상품 타입을 변경할 수 있다. When an episode of the latest episode is uploaded, the controller 130 changes (or converts) at least one of the episodes of the first product type in the first range to the second product type (viewing an episode using a voucher, “semi-paid product type”) to control the size of the first range to be maintained constant. That is, the controller 130 may change the product types of the episodes so that the number of episodes having the first product type corresponds to the first preset number.

여기에서, 최근 회차 에피소드가 업로드 되는 것과 연동되어 상품 타입이 전환되는 에피소드는, 제1 상품 타입에 해당하는 복수의 에피소드 중 가장 처음 연재된 에피소드로, 가장 빠른 회차의 에피소드일 수 있다. Here, the episode in which the product type is switched in conjunction with the upload of the latest episode may be the first serialized episode among the plurality of episod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duct type, and may be the episode of the earliest episode.

제어부(130)는, 최근 회차 에피소드가 업로드 되면, 제1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들 중 가장 빠른 회차의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이, 제2 상품 타입으로 변경(또는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a recent episode is uploaded,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product type of the earliest episode among episodes of the first product type to be changed (or converted) to the second product type.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새로운 최신 에피소드(“9회차 에피소드”, 429)가 연재되는 것에 근거하여, 제1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6회차, 7회차 및 8회차, 916, 917, 918, 도 5의 (a) 참조) 중 가장 빠른 회차의 에피소드(“6회차 에피소드”, 916, 426)의 상품 타입을, 제1 상품 타입에서 제2 상품 타입으로 변경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5 , the control unit 130 sets the product type of the episode (“sixth episode”, 916, 426) of the earliest episode among the episodes (6th, 7th, and 8th episodes, 916, 917, 918, see FIG. 5(a)) having the first product type, based on the serialization of the new latest episode (“9th episode”, 429). may be changed from the first product type to the second product type.

제어부(130)에 의해, 제1 에피소드 상품 타입 전환 프로세스에 대한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에 근거하여, 제2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의 개수는 증가하고, 제2 범위의 크기는 변경될 수 있다. Based on data processing for the first episode product type conversion process by the controller 130, the number of episodes of the second product type may increase and the size of the second range may be changed.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신 에피소드(“9회차 에피소드”, 429)가 업로드 되고, 에피소드(“6회차 에피소드”(426)의 상품 타입이, 제1 상품 타입에서 제2 상품 타입으로 변경되면, 제2 범위는, “4회차”, “5회차” 및 “6회차” 에피소드(924, 925, 926)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5, when the latest episode (“9th episode” 429) is uploaded and the product type of the episode (“6th episode” 426) is changed from the first product type to the second product type, the second range may include “4th episode”, “5th episode”, and “6th episode” episodes 924, 925, and 926.

이와 달리, 제어부(130)는 제1 에피소드 상품 타입 전환 프로세스가 수행되더라도, 제3 상품 타입(무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제3 범위는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contrast,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third range corresponding to an episode having a third product type (free product type) to be fixed even if the first episode product type conversion process is performed.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최신 회차 에피소드가 연재되더라도, 가장 처음 연재된 에피소드를 포함한 제2 기 설정된 개수 만큼에 대응되는 에피소드만이 제3 상품 타입을 갖도록 제어함으로써, 제3 범위의 크기가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even if the latest episode is serialized,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only the episod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edetermined number including the first serialized episode to have the third product type, so that the size of the third range is maintained.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신 에피소드(“9회차 에피소드”, 429)가 업로드 되더라도, “1회차”, “2회차” 및 “3회차” 에피소드(921, 922, 923)는 그대로 제3 상품 타입을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5, even if the latest episode ("9th episode", 429) is uploaded, as shown in (b) of FIG.

한편, 특정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이 제2 콘텐츠 타입(연재 콘텐츠)를 갖는 경우,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주기(또는 임의 시점)를 기준으로 제1 상품 타입의 새로운 에피소드를 순차적으로 업로드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type of the specific content includes the second content type (serial content), the controller 130 may sequentially upload new episodes of the first product type based on a preset period (or arbitrary point in time).

제어부(130)는,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들이 모두 업로드되어 연재가 완료될 때까지 각각의 에피소드를 순차적으로 업로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repeatedly perform a process of sequentially uploading each episode until serialization is completed by uploading all of the plurality of episodes constituting the specific content.

나아가, 제어부(130)는 제1 상품 타입의 새로운 에피소드가 순차적으로 업로드 되는 것에 근거하여, 제1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 중 가장 빠른 회차의 에피소드를 제2 상품 타입으로 변경(전환)하는 반복할 수 있다. Further, the controller 130 may repeatedly change (convert) an episode of the first product type to a second product type based on sequentially uploading new episodes of the first product type.

예를 들어, 도 5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지막 회차 에피소드(“10회차 에피소드”, 933)가 업로드 되어,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이 제2 콘텐츠 타입(연재 콘텐츠)에서 제1 콘텐츠 타입(완결 콘텐츠)로 전환될 때 까지, 최신 회차의 에피소드를 제1 상품 타입으로 업로드 하고, 제1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 중 가장 최신 회차의 에피소드를 제2 상품 타입으로 변경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c) of FIG. 5, until the last episode ("episode 10", 933) is uploaded and the content type of the content is switched from the second content type (serial content) to the first content type (complete content), the latest episode can be uploaded as the first product type, and the most recent episode among the episodes of the first product type can be changed to the second product type.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최신 회차 에피소드가 연재되는 것에 따라 이용권을 사용하여 열람할 수 있는 에피소드의 범위를 증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연재 콘텐츠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고 계속적으로 콘텐츠를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latest episodes are published serially, by increasing the range of episodes that can be viewed using a right of use, it is possible to induce users to continuously use the content without losing interest in the serialized content.

한편, 제어부(130)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들의 마지막 회차까지 업로드가 완료되는 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범위의 크기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size of the first range to be changed according to whether uploading is completed until the last episode of a plurality of episodes constituting the content.

제어부(130)는 콘텐츠의 연재가 완료된 이후에 기 설정된 기간이 도과 하면 제1 범위의 크기가 변경되도록, 제1 범위에 대응되는 제1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을 변경(또는 전환)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may change (or switch) the product type of an episode having the first product ty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so that the size of the first range is changed when a predetermined period elapses after the serializat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이 제2 콘텐츠 타입(연재 콘텐츠에)에서 제1 콘텐츠 타입(완결 콘텐츠)로 전환된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기간이 도과하면, 제1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 중 가장 빠른 회차에 해당하는 에피소드를 제2 상품 타입으로 변경(또는 전환)할 수 있다(이하, 제2 에피소드 전환 프로세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may change (or convert) an episode corresponding to the earliest episode among episodes having the first product type to the second product type whe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based on a point in time when the content type of the content is switched from the second content type (serial content) to the first content type (complete content) (hereinafter, a second episode switching process).

예를 들어, 도 5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완결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기간(N일)이 도과 하면, 제1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931, 932, 933, 도 5의 (c) 참조) 중 가장 처음 연재된 에피소드(“8회차 에피소드”, 932, 944)의 상품 타입을, 제1 상품 타입에서 제2 상품 타입으로 전환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d) of FIG. 5 , the control unit 130 may switch the product type of the first serialized episode (“8th episode”, 932, 944) among episodes (931, 932, 933, FIG. 5(c)) having the first product type when a predetermined period (N days) has e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serializat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from the first product type to the second product type. .

나아가, 제어부(130)는, 제1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 중 가장 빠른 회차에 해당하는 에피소드를 제2 상품 타입으로 변경하는 제2 에피소드 전환 프로세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제1 범위를 순차적으로 차감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ler 130 may sequentially deduct the first range by repeatedly performing a second episode conversion process of changing an episode corresponding to the earliest episode among episodes having the first product type to a second product type.

예를 들어, 도 5의 (e)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기간이 반복적으로 도과하는 시점(N일 이후, 2N일 이후) 마다, 제1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 중 가장 빠른 회차에 해당하는 에피소드(“9회차 에피소드”, 951)를 제1 상품 타입에서 제2 상품 타입으로 전환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e) of FIG. 5 , the controller 130 may switch an episode (“9th episode”, 951) corresponding to the earliest episode among episodes having the first product type from the first product type to the second product type at each point in time (after N days or after 2N days) whe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repeatedly passes.

나아가, 도 5의 (f)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범위의 순차적인 차감에 의하여,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 중 제1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가 존재하지 않도록, 제어부(130)는, 복수의 에피소드들 중 마지막 회차의 에피소드를 제1 상품 타입에서 제2 상품 타입으로 변경할 수 있다. Furthermore, as shown in FIG. 5(f), by sequentially deducting the first range, the controller 130 may change the episode of the last episode among the plurality of episodes from the first product type to the second product type so that there is no episode of the first product type among a plurality of episodes constituting specific content based on a specific time point.

여기에서, “특정 시점”은, 마지막 회차의 에피소드가 연재(업로드 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인 제2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된 시점 또는 그 이후일 수 있다. Here, the "specific point in time" may be a point in time at which the episode of the last episode is repeated a second preset number of times, which is a preset period from the serialized (uploaded) point of time, or later.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1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3개)”에 대응되는 횟수(예를 들어, “3번)”만큼 제1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를 제2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로 전환하는 프로세스를 반복 수행함으로써, 마지막 회차의 에피소드(예를 들어, 10회차 에피소드)를 포함한 모든 제1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를 제2 상품 타입으로 변경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may change all episodes of the first product type, including the last episode (for example, the 10th episode), to the second product type by repeating the process of converting episodes having the first product type into episodes having the second product type a number of times (for example, “three tim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eset number (for example, “three)”.

이와 달리, 제어부(130)는 제2 에피소드 상품 타입 전환 프로세스가 수행되더라도, 제3 상품 타입(무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제3 범위는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Unlike this,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third range corresponding to an episode having a third product type (free product type) to be fixed even if the second episode product type conversion process is performed.

제어부(130)는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완결되면, 제1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범위는 순차적으로 감소하고, 제2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범위는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반면에, 제3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범위는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serializat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30 sequentially decreases the range of episodes having the first product type and sequentially increases the range of episodes having the second product type, while controlling the range of episodes having the third product type to be fix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완결된 이후 소정의 기간 동안 사용자가 콘텐츠에 포함된 에피소드를 무료 또는 이용권을 통해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기간을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완결되더라도 서비스 기간 동안은 이용권을 통해 에피소드를 끝까지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by having a service period in which a user can view an episode included in the content for free or through a license for a predetermined period after the serializat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even if the serializat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the user can use the episode to the end through the license during the service period.

한편, 제어부(130)는 마지막 회차의 에피소드가 제1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에서 제2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로 이후에 특정 기간이 경과하면, 마지막 회차의 에피소드를 기준으로 제1 범위의 에피소드를 제1 상품 타입으로 재 전환할 수 있다. (이하, 제3 에피소드 전환 프로세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30, if a specific period elapses after the last episode of the first product type to the second product type, the episode of the first range based on the last episode can be converted to the first product type again. (Hereinafter, the third episode conversion process)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마지막 회차의 에피소드가 제2 상품 타입으로 변경된 시점으로부터 특정 기간이 경과하면, 시간 역순서에 따라 마지막 회차 에피소드를 포함한 제1 기 설정된 개수 만큼의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이 제2 상품 타입(이용권을 사용하여 에피소드 열람)에서 제1 상품 타입(디지털 화폐를 지불하여 에피소드를 열람)을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product type of the first predetermined number of episodes, including the last episode, to have the first product type (viewing episodes by paying digital currency) in the second product type (viewing episodes using a voucher) when a specific period elapses from the time when the episode of the last episode is changed to the second product type.

예를 들어, 도 5의 (g)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시간 역순서에 따라 마지막 회차 에피소드(예를 들어, “10회차 에피소드”980)를 포함한 제1 기 설정된 개수 만큼의 에피소드(978, 979, 980)를 제2 상품 타입에서 다시 제1 상품 타입을 갖도록 변경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g) of FIG. 5 , the controller 130 may change a first predetermined number of episodes (978, 979, 980) including the last episode (e.g., “10th episode” 980) from the second product type to have the first product type again in reverse time order.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시간 역순서는,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971, 972, 973, 974, 975, 976, 977, 978, 979, 980) 중 가장 최근에 연재된 에피소드(980)의 연재 시점(또는 공개된 시점)을 기준으로 카운팅 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verse time order may be counted based on the serialization time (or publication time) of the most recently serialized episode 980 among a plurality of episodes (971, 972, 973, 974, 975, 976, 977, 978, 979, 980) constituting specific content.

나아가, 제어부(130)는 제3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971, 972. 973)의 상품 타입을 전환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product types of the episodes 971, 972, and 973 having the third product type not to be switched.

제어부(130)는 제3 에피소드 전환 프로세스를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특정 콘텐츠가, i) 제1 기 설정된 개수 만큼의 무료 상품 타입(F)의 에피소드(971, 972, 973), ii) 제2 기 설정된 개수 만큼의 이용권 이용이 불가능한 유료 상품 타입(U)의 에피소드(978, 979, 980) 및 iii) 에피소드의 총 개수에서 제1 기 설정된 개수 및 제2 기 설정된 개수를 차감한 만큼에 대응되는 이용권 이용이 불가능한 유료 상품 타입(A)의 에피소드(974, 975, 976, 977)로 구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performs data processing for the third episode conversion process, so that specific content corresponds to i) the first preset number of episodes (971, 972, 973) of the free product type (F), ii) the second preset number of episodes (978, 979, 980) of the paid product type (U) for which vouchers cannot be used, and iii) the total number of episodes minus the first preset number and the second preset number It can be controlled to be composed of episodes 974, 975, 976, and 977 of the paid product type (A) in which the use of the voucher cannot be used.

즉, 제어부(130)는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 각각의 상품 타입이, 특정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완료(또는 콘텐츠가 제2 콘텐츠 타입에서 제1 콘텐츠 타입으로 변경 된 시점, 도 5의 (c) 참조)과 동일한 상품 타입을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product type of each of a plurality of episodes included in the specific content to have the same product type as when serialization of the specific content is completed (or when the content is changed from the second content type to the first content type, see FIG. 5(c)).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완결된 이후 서비스 기간(콘텐츠에 포함된 모든 에피소드를 무료 또는 열람권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기간)을 제공하고, 소정의 기간이 지난 이후에는 일부 에피소드를 다시 디지털 화폐를 지불하여 열람하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화폐 이용에 대한 사용자의 부담을 감소시키는 것과 동시에, 에피소드 열람을 통한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다. In this way,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erializat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a service period (a service period during which all episodes included in the content are available for free or through a viewing right) is provided, and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some episodes are paid for digital currency to be viewed again, thereby reducing the user's burden for using digital currency and at the same time generating revenue through viewing episodes.

소정의 기간 동안 사용자가 콘텐츠에 포함된 에피소드를 무료 또는 이용권을 통해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기간을 가짐으로써, By having a service period that allows users to view the episodes included in the cont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free or through a subscrip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완결되더라도, 사용자에게 소정의 기간 동안은 마지막 회차의 에피소드까지 이용권을 통해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way,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erializat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a service that allows the user to browse through the right to use up to the last episod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can be provided.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시간 역순서는,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 중 가장 최근에 연재된 에피소드의 연재 시점(또는 공개된 시점)을 기준으로 카운팅 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verse order of time may be counted based on the serialization time (or release time) of the most recent serialized episode among a plurality of episodes constituting specific content.

한편,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 전자기기(200)상에 출력되는 에피소드 리스트(1010)는, 제1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에피소드 항목(1011, 1012, 1013)이 정렬되는 제1범위(1010c), 제2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에피소드 항목(1014, 1015)이 정렬되는 제2범위(1012b) 및 제3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에피소드 항목(1016, 1017, 1018)이 정렬되는 제3범위(1012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6 , the episode list 1010 output on the electronic device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ange 1010c in which episode items 1011, 1012, and 1013 corresponding to episodes of the first product type are aligned, a second range 1012b in which episode items 1014 and 1015 corresponding to episodes of the second product type are aligned, and episodes of the third product typ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third range 1012a in which corresponding episode items 1016, 1017, and 1018 are aligned.

제1 범위(1010c)에 정렬되는 에피소드 항목(1016, 1017, 1018)의 일 영역에는, 제1 정보(예를 들어, “5Coins”, 1016a, 1017a, 1018a)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정보는 해당 유료 에피소드를 구매 가능한 금액정보(또는 전자 화폐 정보)를 포함 수 있다. One area of the episode items 1016, 1017, and 1018 arranged in the first range 1010c may include first information (eg, “5 Coins”, 1016a, 1017a, and 1018a).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price information (or electronic money information) for purchasing the corresponding paid episode.

제2 범위(1010b)에 정렬되는 에피소드 항목(1014, 1015)의 일 영역에는, 상기 제1 정보와는 다른 제2 정보(예를 들어, ““unlock”, “잠금해제”, 1014a, 1015a)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2 정보는 해당 유료 에피소드가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사용 가능한 에피소드임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 수 있다In one area of the episode items 1014 and 1015 aligned in the second range 1010b, second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information (eg, “unlock”, “unlock”, 1014a, 1015a) may be includ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informing that the paid episode is an episode for which a paid episode reading right can be used.

제3 범위(1010a)에 정렬되는 에피소드 항목(1011, 1012, 1013)의 일 영역에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와는 다른 제3 정보(예를 들어, “#”, 1011a, 1011a, 1011a)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3 정보는 해당 에피소드가 무료임은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One area of the episode items 1011, 1012, and 1013 arranged in the third range 1010a may include third information (eg, “#”, 1011a, 1011a, and 1011a) different from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episode is free.

제어부(130)는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이 변경되면, 에피소드 리스트(1010)의 제1 범위, 제2 범위 및 제3 범위가 변경되어 전자기기(200)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변경된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을 즉각적으로 인식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product type of an episode is changed,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first range, the second range, and the third range of the episode list 1010 to be changed and outputted on the electronic device 200, so that the user can immediately recognize and use the product type of the changed episode.

이하에서는 도 6b, 도 6c, 도 6d, 도 6e, 도 6f 및 도 6g 와 함께, 에피소드가 연재되는 것에 따라 전자기기(200) 상에 서로 다른 범위를 갖는 에피소드 리스트(1020, 1030, 1040, 1050, 1060, 107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pisode lists (1020, 1030, 1040, 1050, 1060, 1070) having different ranges on the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serial serialization along with FIGS. 6B, 6C, 6D, 6E, 6F, and 6G will be described.

먼저, 제어부(130)는, 특정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이 제2 콘텐츠 타입(연재 콘텐츠)인 경우, 제1 상품 타입을 갖는 최신 회차 에피소드(“9회차 에피소드, 929, 도 5의 (b) 참조)를 업로드 할 수 있다. First, when the content type of specific content is the second content type (serial content), the controller 130 can upload the latest episode (“9th episode, 929, see FIG. 5(b)) having the first product type.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최신 회차 에피소드가 업로드 되면, 최신 회차 에피소드가 업로드 되기 전의 에피소드 리스트(1010, 도 6a 참조)와는 다른 범위를 가지는 에피소드 리스트(1020)가 전자기기(200)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B, when the latest episode is uploaded,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episode list 1020 having a range different from the episode list (1010, see FIG. 6A) before the latest episode is uploaded to be output on the electronic device 200.

제어부(130)는, 다른 범위를 가지는 에피소드 리스트(1020)가, 변경된 에피소드 상품 타입에 대응되도록 제1 범위 내지 제3 범위(1020a, 1020b, 1020c)가 정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first to third ranges 1020a, 1020b, and 1020c to be aligned so that the episode list 1020 having different ranges corresponds to the changed episode product type.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에피소드 리스트(1020) 상에 업로드 된 최신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1023)을 업데이트 하고, 최신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1023)의 일 영역에 제1 정보(1023a, “5coins”)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품 타입이 전환된 “6회차”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1022)에, 기 출력되었던 제1 정보(1016a, “5coins”, 도6a 참조)가 아닌, 새로운 제2 정보(1021a, “unlock” 잠금해제)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updates the item 1023 corresponding to the latest episode uploaded on the episode list 1020, and controls the first information 1023a (“5coins”) to be included in one area of the item 1023 corresponding to the latest episode. In addition, the item 1022 corresponding to the “6th” episode in which the product type was switched can be controlled to output new second information (1021a, “unlock”) instead of the previously output first information (1016a, “5coins”, see FIG. 6A).

나아가, 제어부(130)는,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완결될 때 까지, 최신 에피소드가 업로드 되는 것에 근거하여, 에피소드 리스트 상에 업로드 된 최신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을 업데이트 하고, 상품 타입이 전환된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에, 기 출력되었던 제1 정보가 아닌, 새로운 제2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ntrol unit 130 updates the item corresponding to the latest episode uploaded on the episode list based on the upload of the latest episode until the serializat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and the item corresponding to the episode in which the product type is switched can be controlled so that new second information, not the previously output first information, is output.

예를 들어, 마지막 회차의 에피소드(“10회차 에피소드”, 935)의 업로드에 의해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완결될 수 있다(도 5의 (c) 참조). For example, the serialization of the content may be completed by uploading the last episode ("Episode 10", 935) (see (c) of FIG. 5).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에피소드 리스트(1030)에, 마지막 회차의 에피소드를 기준으로 설정된 제1 범위 내지 제3 범위(1030a, 1030b, 1030c)가 정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C ,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first to third ranges 1030a, 1030b, and 1030c set based on the episode of the last episode to be aligned in the episode list 1030.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에피소드 리스트(1020) 상에 마지막 회차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1033)을 업데이트 하고, 최신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1033)의 일 영역에 제1 정보(1033a, “5coins”)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품 타입이 전환된 “7회차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1031)에, 기 출력되었던 제1 정보(1022a, “5coins”, 도 6b 참조)가 아닌, 새로운 제2 정보(1031a, “unlock” 잠금해제)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30 updates the item 1033 corresponding to the last episode on the episode list 1020, and controls the first information 1033a (“5coins”) to be included in one area of the item 1033 corresponding to the latest episode. And, in the item 1031 corresponding to the “7th episode” in which the product type was switched, the new second information (1031a, “unlock”), instead of the previously output first information (1022a, “5coins”, see FIG. 6B), can be controlled to be output.

나아가, 제어부(130)는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완결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N일)이 경과하면, 제1 범위에 정렬되어 있는 에피소드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제1 정보가 아닌 제2 정보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o include the second information instead of the first information in any one of the episode items arranged in the first range when a predetermined period (N days) has e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serializat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예를 들어,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완결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N일)이 경과하면, 제1 상품 타입을 갖는 복수의 에피소드(“8회차”, “9회차”, “10회차”, 931, 931, 933, 도 5의 (c) 참조) 중 가장 빠른 회차의 에피소드(“8회차”, 944, 도 5의 (d) 참조)의 상품 타입이 제1 상품 타입에서 제2 상품 타입으로 전화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N days) elapses from the time when the serializat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the product type of the earliest episode (“8th episode”, 944, see FIG. 5(d)) among a plurality of episodes (“8th episode”, “9th episode”, “10th episode”, 931, 931, 933, see FIG. 5(c)) having the first product type is converted from the first product type to the second product type. It can be.

즉,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완결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N일)이 경과하면, 제1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개수(또는 제1 범위의 크기)는 감소하고, 제2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개수(또는 제2 범위의 크기)는 증가할 수 있다. 제3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개수(또는 제3 범위의 크기)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That is, whe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N days) has e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serializat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the number of episodes (or the size of the first range) having the first product type decreases, and the second product type. The number of episodes (or the size of the second range) may increase. The number of episodes having the third product type (or the size of the third range) may not change.

도 6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에피소드 리스트(1040)에, 크기가 감소된 제1 범위(1040c)와, 크기가 증가된 제2 범위(1040b) 및 크기가 고정된 제3 범위(1040a)가 정렬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D , the controller 130 can control the episode list 1040 so that the first range 1040c whose size is reduced, the second range 1040b whose size is increased, and the third range 1040a whose size are fixed are aligned and output.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완결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N일)이 경과하면,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 전환에 근거하여, 에피소드 리스트(1040) 상에 상품 타입이 전환된 “8회차”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1041)에, 기 출력되었던 제1 정보(1032a, “5coins”, 도 6c 참조)가 아닌, 새로운 제2 정보(1041a, “unlock” 잠금해제)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N days) has elapsed since the serialization of the content wa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new second information (1041a, “unlock”) instead of the previously output first information (1032a, “5coins”, see FIG. 6c) in the item 1041 corresponding to the “8th” episode in which the product type was switched on the episode list 1040, based on the product type conversion of the episode. can be controlled to be output.

나아가, 제어부(130)는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완결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N일, 2N일, 3N일) 마다, 제1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가 존재하지 않을 때 까지, 제1 범위에 정렬되어 있는 에피소드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제1 정보가 아닌 제2 정보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any one of the episode items arranged in the first range to include the second information instead of the first information, until an episode having the first product type does not exist every predetermined cycle (N days, 2N days, and 3N days) from the time when the serializat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마지막 회차 에피소드(10회차 에피소드)가 제1 상품 타입에서 제2 상품 타입으로 변경 될 때 까지, 기 설정된 주기(N일, 2N일, 3N일) 마다, 제1 상품 타입을 갖는 복수의 에피소드 중 가장 빠른 회차의 에피소드(“9회차” 951, 도 5의 (e) 참조)의 상품 타입을 제1 상품 타입에서 제2 상품 타입으로 전화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change the product type of the earliest episode among a plurality of episodes having the first product type (“9th episode” 951, see FIG. 5(e)) from the first product type to the second product type at predetermined intervals (N days, 2N days, 3N days) until the last episode (the 10th episode) is changed from the first product type to the second product type.

즉, 기 설정된 주기 마다, 제1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개수(또는 제1 범위의 크기)는 순차적으로 감소하고, 제2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개수(또는 제2 범위의 크기)는 순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제3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개수(또는 제3 범위의 크기)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That is, for each predetermined period, the number of episodes (or size of the first range) with the first product type sequentially decreases, and the number of episodes (or size of the second range) with the second product type is sequentially increased. The number of episodes having the third product type (or the size of the third range) may not change.

도 6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에피소드 리스트(1050)에, 크기가 감소된 제1 범위(1050c)와, 크기가 증가된 제2 범위(1050b) 및 크기가 고정된 제3 범위(1050a)가 정렬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E, the controller 130 can control the episode list 1050 so that a first range 1050c whose size has been reduced, a second range 1050b whose size has been increased, and a third range 1050a whose size is fixed are aligned and output.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주기 마다,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 전환에 근거하여, 에피소드 리스트(1040) 상에 상품 타입이 전환된 “9회차”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1051)에, 기 출력되었던 제1 정보(1042a, “5coins”, 도 6d 참조)가 아닌, 새로운 제2 정보(1051a, “unlock” 잠금해제)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can control so that new second information (1051a, “unlock” unlock), instead of the previously output first information (1042a, “5coins”, see FIG. 6D), is output to the item 1051 corresponding to the “ninth” episode in which the product type was switched on the episode list 1040, based on the product type change of the episode, at a predetermined period.

나아가, 제어부(130)는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에피소드 리스트 상에서 제1 범위가 포함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에피소드 리스트 상에 제2 범위 및 제3 범위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not to include the first range on the episode list based on a specific time point. That is,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second range and the third range to be included on the episode list based on a specific point in time.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콘텐츠의 마지막 회차의 에피소드를 제1 상품 타입에서 제2 상품 타입으로 변경하라 수 있다(도 5f 참조).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change the last episode of a specific content from a first product type to a second product type based on a specific time point (see FIG. 5F ).

도 6f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에피소드 리스트(1060)에, 제2 범위(1060b) 및 제3 범위(1060b)만 정렬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에피소드 리스트(1060)에 제1 범위에 포함되는 제1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를 포함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F ,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episode list 1060 so that only the second range 1060b and the third range 1060b are sorted and output. That is,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episode list 1060 not to include an episode of the first product type included in the first range.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특정 시점에, 출력되는 에피소드 리스트(1060)에, 마지막 회차 에피소드(“10회차”)에 대응되는 항목(1063)에, 기 출력되었던 제1 정보(1052a, “5coins”, 도 6e 참조)가 아닌, 새로운 제2 정보(1063a, “unlock” 잠금해제)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can control so that new second information (1063a, “unlock”) is output instead of the previously output first information (1052a, “5coins”, see FIG. 6E) to the item 1063 corresponding to the last episode (“Episode 10”) of the output episode list 1060 at a specific time point.

나아가, 제어부(130)는 마지막 회차의 에피소드가 제1 상품 타입에서 제2 상품 타입으로 변경된 이후에 특정 기간이 경과하면, 에피소드 리스트 상에 다시 제1 범위가 정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first range to be arranged again on the episode list when a specific period elapses after the episode of the last episode is changed from the first product type to the second product type.

예를 들어, 마지막 회차의 에피소드가 제1 상품 타입에서 제2 상품 타입으로 변경된 이후에 특정 기간이 경과하면, 시간 역순서에 따라 마지막 회차 에피소드(“10회차”, 980)를 포함한 제1 기 설정된 개수 만큼의 에피소드(“8회차”, “9회차”, “10회차”, 978, 979, 980)의 상품 타입이 제2 상품 타입으로 재 전환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도 5의 (g) 참조). For example, if a specific period elapses after the last episode is changed from the first product type to the second product type, the product type of the first set number of episodes (“8th episode”, “9th episode”, “10th episode”, 978, 979, 980) including the last episode (“10th episode”, 980) can be controlled to be re-converted to the second product type (FIG. 5(g)). see).

도 6g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에피소드 리스트(1070)에, 제1범위(1070c), 제2범위(1070b) 및 제3범위(1070a)에 대응되는 에피소드가 정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G ,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episod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070c, the second range 1070b, and the third range 1070a to be aligned in the episode list 1070.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시간 역순서에 따라 마지막 회차 에피소드(“10회차”)를 포함한 제1 기 설정된 개수 만큼의 에피소드(“8회차”, “9회차”, “10회차”)에 대응하는 에피소드 항목(1071, 1072, 1073)에 제2 정보(1071a, 1072a, 1073a, “unlock” 잠금해제, 도 6f 참조)가 아닌, 제1 정보(1071a, 1072a, 1073a, “5coins”)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30 adds second information (1071a, 1072a, 1073a, “unlock”, see FIG. 6f) to episode items (1071, 1072, 1073)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t number of episodes (“8th episode”, “9th episode”, “10th episode”) including the last episode (“10th episode”) in reverse order of time. Instead, the first information (1071a, 1072a, 1073a, “5coins”) may be output.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변경되는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에 대응되는 에피소드 리스트를 전자기기(200) 상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변경된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을 즉각적으로 인식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way,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episode list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type of the changed episode on the electronic device 200, the user can immediately recognize and use the product type of the changed episod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자기기(200) 상에 출력되는 에피소드 리스트에, 에피소드의 상태 정보가 포함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에피소드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pisode list output on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controlled to include episode state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episode state.

이하에서는, 에피소드 리스트에서, 에피소드의 상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 4와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Hereinafter, a method of intuitively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an episode in an episode lis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ogether with FIG. 4 attached.

여기에서, 에피소드의 상태 정보는, i)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 정보, ii) 이용권(또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사용한 에피소드인 경우, 유료 에피소드 이용 기한에 대한 정보, iii) 유료 에피소드의 판매 가격에 대한 정보, iv)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사용한 이력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 v) 이미 구매한 유료 에피소드임을 알리는 정보, vi) 이용 기한에 대한 정보 및 vii) 이용권 사용이 가능한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의 활성화 여부를 알리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pisode status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i) product type information of the episode, ii) information on the expiration date of the paid episode if a pass (or paid episode viewing ticket) was used, iii) information on the sales price of the paid episode, iv) information on whether there is a history of using the paid episode viewing ticket, v)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aid episode has already been purchased, vi) information on the expiration date, and vii)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an episode of a paid product type that can be used with a pass is activated. You can.

여기에서, 에피소드의 상태 정보는, 해당 에피소드에 대해 전자기기에 로그인 된 사용자 계정의 이용권한 보유 여부, 해당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 정보 및 해당 에피소드에 대한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Her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episode may be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the user account logged into the electronic device has the right to use for the episode, product type information of the episode, and user history information for the episode.

여기에서, 이용 권한은, 특정 에피소드를 전자기기에 로그인 된 사용자 계정이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이용 권한은,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 및 사용자 계정의 이용 권한 보유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Here, the usage authority means whether a user account logged in to an electronic device has authority to use a specific episode. The right to us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duct type of the episode and whether or not the user account has the right to use.

제어부(130)는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 및 사용자 계정이 보유한 이용 권한에 따라, 에피소드 항목의 일 영역에,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가능 여부에 대한 상태 정보(또는 그래픽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output status information (or a graphic object) on whether an episode is available in one area of an episode item according to the product type of the episode and the right to use the user account.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3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에피소드 리스트(410)를 구성하는 에피소드 항목들 각각의 일 영역(410a)에, 에피소드의 상태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특정 에피소드 항목(420)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Looking at the method of outputting state information in more detail, as shown in (a) of FIG. 3C, the control unit 130 may output state information of an episode to one region 410a of each of the episode items constituting the episode list 410. A specific episode item 42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먼저, 제어부(130)는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421)에는 해당 에피소드가 무료임은 나타내는 제3정보(412a, “#”)를 포함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무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경우, 해당 에피소드에 대해 사용자 계정이 이용권한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First, as shown in (b) of FIG. 4 , the controller 130 may include third information 412a (“#”)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episode is free in the item 421 corresponding to the episode of the free product type. In the case of an episode having a free product type, the controller 130 may not determine whether the user account has the right to use the corresponding episode.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이면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사용 가능한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에피소드 항목(422)에는, 상기 제3 정보와 다른 제2 정보(422a, 예를 들어, “unlock” 잠금해제)를 포함시킬 수 있다.Next, the controller 130 may include second information 422a different from the third information (eg, “unlock”) in the episode item 422 corresponding to an episode of a paid product type and for which a paid episode reading ticket is available.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의 일 영역에,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에 할당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사용 가능함을 알리는 그래픽 객체를 포함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ler 130 may include a graphic object informing that the paid episode reading right assigned to the specific user account is usable in one area of the item corresponding to the paid episode.

나아가, 제어부(130)는, 도 4 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이면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이 불가능한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에피소드 항목(423)에는, 상기 제2 및 제3 정보와 다른 제1 정보(423a)를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제3 정보는, 해당 유료 에피소드를 구매 가능한 금액정보(또는 전자 화폐 정보, 예를 들어, 5coins)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as shown in (c) of FIG. 4, the controller 130 may include first information 423a different from the second and third information in the episode item 423 corresponding to an episode of a paid product type and for which a paid episode reading ticket cannot be used. Here, the third information may include price information (or electronic money information, for example, 5coins) for purchasing the corresponding paid episode.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과거에 구매하거나 또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하여, 대여한 이력이 있는 에피소드에 대해서는, 히스토리 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의 (e)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과거 구매 또는 대여한 이력이 있는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에피소드 항목(424)의 일 영역에는, 히스토리 정보로서, “used”(424a)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히스토리 정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자 화폐를 통해 구매한 이력이 존재하는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에피소드 항목(425)에는, 히스토리 정보로서, “purchased”(425a)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과거 전자 화폐를 통해 구매한 에피소드에 대해서는, 재구매 없이 언제든지 다시 열람 가능하도록 사용자 계정에 대한 콘텐츠 제공을 제어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ntroller 130 may output history information together with respect to episodes having a history of having been purchased in the past or rented through paid episode viewing rights in the user account. For example, as shown in (e) of FIG. 4 , “used” 424a may be displayed as history information in one area of the episode item 424 corresponding to an episode having a past purchase or rental history. This history informa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for example, “purchased” 425a may be displayed as history information in the episode item 425 corresponding to an episode in which a purchase history exists through electronic money. Meanwhil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provision of content for a user account so that episodes purchased through electronic money in the past can be viewed again at any time without repurchase.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위에서 살펴본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구매된 에피소드에 대해서는, 구매된 에피소드의 콘텐츠 타입이 전환되더라도, 사용자 계정에서 해당 에피소드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계정에 대한 콘텐츠 제공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for an episode purchased in at least one of the above methods in a user account, even if the content type of the purchased episode is switched, the user account can use the corresponding episode for free. It can control the provision of content for the user account.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2 콘텐츠 타입(연재중)에서 전자 화폐 또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 등을 통하여 구매된 특정 에피소드는, 해당 특정 에피소드의 타입이 상기 제2 콘텐츠 타입에서 제1 콘텐츠 타입(연재 완료)으로 전환된 경우라도, 별도의 구매 없이, 이용 가능하도록, 상기 특정 에피소드를 구매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콘텐츠 제공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provision of content to the user account that purchased the specific episode so that a specific episode purchased through electronic money or paid episode viewing rights in the second content type (serialized) can be used without a separate purchase, even if the specific episode type is switched from the second content type to the first content type (serialization comple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은, 유료 에피소드를 대여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해 열람된 유료 에피소드는, 상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이용한 사용자 계정에서, 일정 기간(또는 기 설정된 기간, 예를 들어, 15일)동안에만,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 계정에서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해, 대여한 유료 에피소드에 대해서는, 상기 일정 기간 동안에, 언제든지 유료 에피소드를 이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paid episode viewing righ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renting paid episodes.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make the paid episodes viewed through the paid episode viewing rights available on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15 days) in the user account using the paid episode viewing rights. That is, the user account can use the paid episode at any time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for the paid episode rented through the paid episode reading ticket.

이는, 유료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기한(또는 구독 기한)이 정해져 있다고도 이해되어 질 수 있다. This can also be understood as a set usage period (or subscription period) for paid episodes.

한편, 상기 일정 기간 이후,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상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으로 이용한 유료 에피소드를 다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전자 화폐, 쿠폰 또는 열람권 등이 지불되도록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after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user account wants to use the paid episode used as the paid episode reading ticket again, the controller 130 may perform a payment process so that electronic money, coupons, reading rights, etc. are paid.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일정 기간 이내에, 유료 에피소드에 대한 실질적인 구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rough this, in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bstantially subscribe to paid episodes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본 발명에서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해 대여한 유료 에피소드의 이용 기한(또는 대여 기한)에 대한 정보는, 해당 유료 에피소드에 대한 항목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a usage period (or rental period) of a paid episode rented through a paid episode reading ticket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an item for the corresponding paid episode.

예를 들어, 도 4 의 (g) 및 (h)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해 대여한 유료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에피소드 항목(426, 427)에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해 해당 에피소드를 이용 가능한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426a, 427a)가 포함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g) and (h) of FIG. 4, the episode items 426 and 427 corresponding to the paid episodes rented through the paid episode viewing ticket may include the corresponding episode through the paid episode viewing ticket. Time information (426a, 427a) about the available time may be included.

예를 들어, 도 4 의 (g)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이용 기한이 1일 남은 경우, 해당 에피소드 항목(426)에는, “1day(s) left”라는 정보(426a)가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의 (h)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이용 기한이 23시간 59분 남은 경우, 해당 에피소드 항목(427)에는, “23:59 left”라는 정보(427a)가 출력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g) of FIG. 4, when the expiration date of the paid episode viewing ticket is 1 day left, information 426a of “1day(s) left” may be output to the corresponding episode item 426. And, as shown in (h) of FIG. 4, when the expiration date of the paid episode viewing ticket remains 23 hours and 59 minutes, information 427a of “23:59 left” may be output to the corresponding episode item 427.

한편,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이용 기한에 해당하는 잔여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시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time information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remaining time corresponding to the expiration date of the paid episode viewing rights.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이용 기한이 24시간 이상 남은 경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이용 기한에 대한 정보로서, “잔여 일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 의 (g)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이용한 에피소드에 해당하는 에피소드 항목(426)에는, 잔여 일수에 대한 정보로서, “1day(s) left(1일 남음, 426a)”라는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remaining days” as information on the expiration date of the paid episode viewing ticket when the expiration date of the paid episode viewing ticket remains for 24 hours or more. In this case, as shown in (g) of FIG. 4, in the episode item 426 corresponding to the episode using the paid episode viewing ticket, a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remaining days, “1day(s) left (1 day remaining, 426a)” information can be output.

그리고,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이용 기한이 24시간 미만 남은 경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이용 기한에 대한 정보로서, “잔여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 의 (h)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이용한 에피소드에 해당하는 에피소드 항목(427)에는, 잔여 시간에 대한 정보로서, “23:59 left(23시간 59분 남음, 427a)”라는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information on remaining time" as information on the usage period of the paid episode viewing ticket when less than 24 hours remain until the usage period of the paid episode viewing ticket. In this case, as shown in (h) of FIG. 4, in the episode item 427 corresponding to the episode using the paid episode viewing ticket, as information about the remaining time, “23:59 left (23 hours and 59 minutes left, 427a)” information can be output.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에피소드를 열람할 수 있는 이용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사용 가능한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에피소드 항목(428)에는, 에피소드의 비활성화를 안내하는 알림 정보2 정보(428a) 를 포함시킬 수 있다.Furthermore, if the user account does not have a right to view an episode, the control unit 130 may include notification information 2 information 428a for guiding deactivation of an episode in the episode item 428 corresponding to an episode for which a paid episode viewing ticket is available.

한편,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이용 기한이 만료되는 경우, 해당 유료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에피소드 항목에는, 도 4의 (c), (d), (e)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i)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이용 가능함을 알리는 정보, ii) 유료 에피소드의 판매 가격, iii) 과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이용한 이력이 있음을 알리는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해당 유료 에피소드의 현재 상태(예를 들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 사용 가능 여부 등)에 따라, 적절한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xpiration date of the paid episode reading ticket expires, in the episode item corresponding to the paid episode, as shown in (c), (d), and (e) of FIG. 4, at least one of i) information informing that the paid episode reading ticket is available, ii) sales price of the paid episode, and iii) history information notifying that there is a history of using the paid episode reading ticket in the past.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appropriate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of the corresponding paid episode (eg, availability of paid episode reading rights, etc.).

나아가, 도 4 의 (i)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에피소드를 열람할 수 있는 이용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사용 가능한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에피소드 항목(428)에, 에피소드의 비활성화를 안내하는 알림 정보 (428a) 를 포함시킬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30)는, 상기 에피소드의 비활성화를 안내하는 알림 정보(428a)에 대응되는 영역(아이콘 또는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이 보유되지 않음을 알리는 안내 정보와 함께, 이용권 지급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이용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에피소드 열람을 위해 이용권 지급 이벤트에 참여해 보세요” 또는 “이용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용권은 매일 10시에 지급됩니다”) 또는 전자화폐 충전을 유도하는 안내 정보(예를 들어, “이용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에피소드 열람을 위해서 쿠키를 충전 하시겠습니까?”)를 출력할 수 있다. Furthermore, as shown in (i) of FIG. 4, if the user account does not have a right to view an episode, the controller 130 may include notification information 428a for guiding deactivation of the episode in the episode item 428 corresponding to an episode for which a paid episode viewing ticket is available. Although not shown, if there is a user input to an area (icon or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428a for inactivating the episode, the control unit 130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ticket payment (for example, "You do not have a ticket. Try participating in a ticket payment event to view episodes" or "You do not have a ticket. The ticket is issued every day at 10:00") along with information notifying that the user account does not hold the ticket. ) or guidance information to induce electronic money charging (for example, "You do not have a subscription. Do you want to charge cookies to view episodes?") can be output.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 각각에, 해당 에피소드에 대한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에피소드 리스트에 포함된 정보 만으로도, 해당 에피소드를 이용하고자 할 때, 어떤 이용 조건 또는 이용 권한이 필요한지에 대해 직관적인 예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tus information for a corresponding episode may be displayed in each item corresponding to the episode.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predict what use conditions or use rights are required when trying to use a corresponding episode only with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pisode list.

이하에서는, 에피소드 리스트가 포함되는 콘텐츠 진입 화면(또는 “화면” 이라고 명명 가능)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entry screen (or can be named “screen”) including an episode list will be reviewed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제어부(130)는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 중 동일한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들을 별도로 모아서 접근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First,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a function of separately collecting and accessing episodes having the same product type among a plurality of episodes constituting specific content.

도 7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에피소드 리스트(1220)가 출력되는 페이지(예를 들어, “콘텐츠 진입 페이지”)의 일 영역에는, 특정 상품 타입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를 별도로 모아서 접근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 영역(1210)이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7, in one area of the page on which the episode list 1220 is output (e.g., “content entry page”), at least one episode having a specific product type is separately collected and accessed. In order to provide a function, one area 1210 may be allocated.

도 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상기 일 영역(12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에피소드 리스트(1220)가 출력되던 영역에, 특정 상품 타입에 대한 에피소드 리스트(123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상기 일 영역(12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페이지 상에 제1 상품 타입(디지털 화폐를 지불하여 에피소드를 열람)을 갖는 에피소드 리스트(123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shown in (b) of FIG. 7 , when a user input for the region 1210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30 can control the episode list 1230 for a specific product type to be output to the region where the episode list 1220 has been output.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can control an episode list 1230 having a first product type (viewing an episode by paying digital currency) to be displayed on the page based on a user input for the region 1210.

나아가, 제어부(130)는 특정 상품 타입에 대한 에피소드 리스트(1230)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일 영역(12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재인가 인가되면, 상기 페이지 상에 기존이 출력되었던 에피소드 리스트(1220)가 다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a state where the episode list 1230 for a specific product type is being output, the control unit 130 can control the previously output episode list 1220 to be displayed on the page again, when a user input for the region 1210 is applied again.

한편, 제어부(130)는, 특정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3개”) 이하인 경우, 특정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 각각의 썸네일(1211, 1222, 1223)이 상기 일 영역(1210) 상에 출력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of episodes with a specific product typ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number (for example, “thre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umbnails 1211, 1222, and 1223 of each episode with a specific product type to be output on the one region 1210.

이를 통해, 사용자는 특정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에 대한 간략한 정보(에피소드의 개수 및 에피소드의 썸네일)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brief information (the number of episodes and a thumbnail of the episode) on an episode having a specific product type.

이와 달리, 제어부(130)는 특정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3개”)를 초과하는 경우, 특정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개수 정보(예를 들어, “미리보기 6개”)가 상기 일 영역(121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contrast, when the number of episodes having a specific product type exceeds a preset number (eg, “3”),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episodes having a specific product type (eg, “6 previews”) to be displayed on the area 1210.

한편, 제어부(130)는, 앞서 도 2a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특정 콘텐츠에 대한 선택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콘텐츠 진입 화면(또는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A, when a request for selection of specific content is received at the request of a user,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a content entry screen (or page) for receiving a selection of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episodes constituting specific content, as shown in FIGS. 8 and 9.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텐츠 진입 화면(510, 540)은,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예를 들어, 제1 영역(520, 550)) 및 에피소드 리스트가 포함되는 영역(예를 들어, 제2 영역(530, 56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9 , the content entry screens 510 and 540 may include areas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e.g., first areas 520 and 550) and areas including an episode list (e.g., second areas 530 and 560).

이때, 상기 제1 영역(520, 550)에는, 특정 콘텐츠 및 상기 전자기기에 로그인 된 특정 사용자 계정 및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1 영역(520, 550)을 “공지 영역”이라고도 명명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reas 520 and 550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related to specific content and a specific user account logged into the electronic device and at least one of th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se first areas 520 and 550 may also be referred to as “known areas”.

제어부(130)는,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한 안내 정보 또는 해당 특정 콘텐츠와 관련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안내 정보를 제1 영역(520, 550)에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output gu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pecific content or guide information on a user account related to the specific content to the first regions 520 and 550 .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정 콘텐츠에 대한 에피소드의 업로드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제어부(130)는 “휴재공지: 오늘 에피소드 연재는 쉬어 갑니다”와 같은 안내 정보를 제1 영역(520)에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 when an episode of a specific content is not uploaded, the control unit 130 may output guide information such as “Notice of cessation: Today's episode serialization is taking a break” to the first area 520.

나아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에피소드에 대해, 사용자 계정이 보유하고 있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이 가능한 경우, 제1 영역(540)에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9 , the control unit 130, when it is possible to use paid episode reading rights possessed by a user account for an episode included in specific content, can output information about paid episode reading rights to the first region 540.

여기에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에 대한 정보는, i) 사용자 계정이 보유하고 있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개수(또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가능 횟수) 정보, ii)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속성에 대한 정보 및 iii) 현재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가능 상태 정보(예를 들어, 사용 가능한 경우, “이용가능” 이라고 표시됨)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information on the paid episode viewing right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 the number of paid episode viewing rights (or the number of available paid episode viewing rights) information held by the user account, ii) information on the properties of the paid episode viewing rights, and iii) information on the availability status of the current paid episode viewing rights (for example, if available, displayed as “available”).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속성에 대한 정보는, i)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잔여 개수 정보(또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잔여 사용 가능 횟수 정보) 및 ii) 기 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매일(24시간)로, 몇 개의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지급되는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properties of the paid episode viewing right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number of paid episode viewing rights (or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number of times the paid episode reading rights can be used) and ii) predetermined periodicity (eg, every day (24 hours), information on how many paid episode viewing rights are paid).

한편, 제어부(130)는, 전자기기로부터, 유료 에피소드의 열람 요청이 수신된 경우, 사용자 계정에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계정에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사용처리 하고, 유료 에피소드를 전자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request to view a paid episode is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whether a paid episode viewing right exists in the user account. In addition, when a paid episode reading right exists in the user account, the controller 130 may use the paid episode reading right held in the user account and provide the paid episode to the electronic device.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의 제공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할당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가능 횟수를 차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가능 횟수가 차감되는 것에 근거하여, 제1 영역(540)에 출력된 알림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Based on the provision of paid episodes, the control unit 130 may deduct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paid episode reading rights allocated to the user account.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may updat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irst area 540 based on the deduction of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paid episode reading right can be used.

즉, 사용자 계정이 보유하고 있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가능 횟수가 차감되는 것에 근거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그리고,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과 관련된 알림 정보가 출력되는 제1 영역(540)에 포함된 정보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에 연동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That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aid episode viewing rights possessed by the user account may be updated based on the deduction of the number of times the paid episode reading rights can be used. In addi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area 540 where no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paid episode reading rights is output may be updated in association with the use of paid episode reading rights.

한편, 제1 영역(510, 540) 및 제2 영역(520, 50)의 배치는 예시일 뿐,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1 영역(510, 530)은, 제2 영역(520, 540)의 리스트가 스크롤 되는 것에 관계없이, 고정되어 전자기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제1 영역(510, 530)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제2 영역(520, 540)에 포함된 리스트를 스크롤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regions 510 and 540 and the second regions 520 and 50 is merely an example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Regardless of whether the list of the second areas 520 or 540 is scrolled, the first areas 510 and 530 may be fixed and output on the electronic device. That is, the controller 130 can scroll the list included in the second areas 520 and 540 without changing the output positions of the first areas 510 and 530 .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공지 영역을 통하여,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에피소드 리스트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에피소드를 이용하기 전에 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together with an episode list to the user through a public area, the user can intuitively understand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before using the episod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에 대하여,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사용하거나, 전자 화폐를 지불하려고 할 때, 해당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무료 전환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uses a paid episode reading ticket or pays electronic money for an episode having a paid product type, information about a time point of free conversion of an episode having a corresponding paid product type can be provided.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에 대한 선택 요청이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가능 횟수를 차감 또는 전자 화폐를 지불처리 하기 전에,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이, 무료 상품 타입으로 전환되는 시점을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이, 무료 상품 타입으로 전환되는 시점이 기 설정된 기간 이내인 경우, 전자기기로, 상기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의 전환 시점에 대한 알림 정보(또는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When a selection request for an episode having a paid product type is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the control unit 130 may check the time point at which the product type of the episode having the paid product type is converted to the free product type before deducting the number of times the paid episode reading ticket can be used or processing electronic money as payment. In addition, when the time point at which the product type of an episode having a paid product type is converted to a free product type is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notification information (or guide information) about the time of conversion of the product type of the specific episode to the electronic device.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자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에 대해 불필요한 소비를 하지 않도록,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unnecessaryly consume an episode having a paid product type by the user.

예를 들어, 도 10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기기로부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이용가능한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 항목(611)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30)는, 도 10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해당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 항목(611)이, 일정 시간 이후(예를 들어, 14일 이후), 무료 상품 타입으로 전환됨을 알리는 알림 정보(예를 들어, “이 에피소드는, 14일 후에 무료로 전환됩니다. 그래도 지금 읽으시겠습니까?”)를 출력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10 , when an episode item 611 having a paid product type for which “paid episode viewing ticket” is available is selected from an electronic device, the controller 130, as shown in (b) of FIG. 10 , notification information (e.g., “This episode, It will go free in 14 days. Would you like to read it now?”).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으로부터(또는 전자기기로부터)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 열람 요청이 수신된 경우(예를 들어, 전자기기 상에서 “unlock” 아이콘 선택됨), 사용자 계정에 할당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가능 횟수를 차감하고, 유료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a request to view an episode having a paid product type is received from a user account (or from an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n “unlock” icon is selected on the electronic device), the controller 130 may deduct the available number of paid episode viewing rights assigned to the user account and provide a paid episode.

나아가, 도 10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알림 정보(621) 상에, 나머지 에피소드를 열람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와 같이, 제어부(130)는, “나머지 에피소드 모두는, 코인 결제로 잠금 해제가 가능합니다”와 같이, 나머지 에피소드 전체를 이용하기 위하여는, 전자 화폐를 이용한 결제가 필요함을 알리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as shown in (b) of FIG. 10 , the controller 130 may additionally provide information on a method for viewing the remaining episodes o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621 . 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troller 130 may additionally provide information notifying that payment using electronic money is required to use the remaining episodes, such as “all remaining episodes can be unlocked by coin payment”.

전자 화폐를 이용하여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를 구매하는 경우에도, 제어부(130)는 위에서 살펴본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에 대한 무료전환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Even when an episode having a paid product type is purchased using electronic money,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a free conversion time for an episode having a paid product type in a manner similar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도 11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기기로부터, 전자 화폐의 지불이 필요한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 항목(711)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30)는, 도 11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해당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 항목(711)이, 일정 시간 이후(예를 들어, 내일 저녁 6시 이후), 무료 상품 타입으로 전환됨을 알리는 알림 정보(예를 들어, “내일 저녁 6시에 무료 보기가 가능합니다!”)를 출력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11 , when an episode item 711 having a paid product type that requires electronic money payment is selec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the controller 130 displays notification information notifying that the episode item 711 having the corresponding paid product type is converted to a free product type after a certain time (eg, after 6 p.m. is possible!”) can be output.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으로부터(또는 전자기기로부터)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 구매 요청이 수신된 경우(예를 들어, 전자기기 상에서 “구매” 아이콘 선택됨),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전자 화폐를 차감하고,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a request to purchase an episode having a paid product type is received from the user account (or from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purchase” icon is selected on the electronic device), the controller 130 may deduct the electronic money held in the user account and provide an episode having a paid product type.

즉,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전자 화폐는, 상기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의 구매를 위하여 지불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전자 화폐가, 상기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를 구매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전자 화폐를 구매 또는 충전하기 위한 추가적인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That is, electronic money held in the user account can be paid for the purchase of an episode having the paid product type.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ler 130 may proceed with an additional process for purchasing or charging electronic money when the amount of electronic money held in the user account is insufficient to purchase an episode having the paid product type.

나아가, 도 1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계정에서, 과거에 구매하거나 또는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하여 대여한 이력이 있는 에피소드를 다시 구매 또는 열람하고자 하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30)는, 도 1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알림 정보(812)를 통하여, 과거 구매 또는 대여한 이력이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Furthermore, as shown in (a) of FIG. 12, when a request to repurchase or view an episode having a history of being purchased or rented in the past through an episode reading ticket having a paid product type is received from a user account, the control unit 130 can inform the user that there is a history of past purchase or rental through notification information 812, as shown in (b) of FIG. 12.

도 1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기기 상에서, 과거 구매 또는 대여한 이력이 있는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에피소드 항목(811)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30)는, 도 1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알림 정보(812)을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12, when an episode item 811 corresponding to an episode having a history of purchase or rental in the past is selected on the electronic device,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notification information 812 as shown in (b) of FIG. 12.

이러한, 알림 정보(812)는, 상기 선택된 에피소드 항목(811)에 대응되는 에피소드가, 과거 구매 또는 대여한 이력이 있음을 알리는 정보(예를 들어, “2019년 4월 11일에 이미 보셨습니다. 그래도 보시겠습니까?”)가 포함될 수 있다.The notification information 812 may include information notifying that an episod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episode item 811 has a history of purchase or rental in the past (eg, “You have already watched on April 11, 2019. Would you like to watch it anyway?”).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전자 화폐가, 상기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를 구매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전자 화폐를 구매 또는 충전하기 위한 추가적인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ler 130 may perform an additional process for purchasing or charging electronic money when the amount of electronic money held in the user account is insufficient to purchase an episode having the paid product type.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전자기기로부터,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다른 에피소드의 전환이 요청된 경우, 해당 에피소드(또는 다른 에피소드)가, 일정 시간 이후(예를 들어, 7일 이후), 무료 상품 타입으로 전환됨을 알리는 알림 정보(예를 들어, “7일후 무료로 전환됩니다”)를 출력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output, from the electronic device, notification information notifying that the episode (or another episode) is converted to a free product type afte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after 7 days) when a conversion request is made from the electronic device to a paid product type (for example, “It will be converted to free after 7 days”).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으로부터(또는 전자기기로부터)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 구매 요청이 수신된 경우(예를 들어, 전자기기 상에서 “구매” 아이콘 선택됨),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전자 화폐를 차감하거나,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차감하고, 유료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전자 화폐가, 상기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를 구매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전자 화폐를 구매 또는 충전하기 위한 추가적인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a request to purchase an episode having a paid product type is received from the user account (or from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purchase” icon is selected on the electronic device), the controller 130 may deduct electronic money held in the user account, deduct the right to view a paid episode, and provide a paid episode.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ler 130 may proceed with an additional process for purchasing or charging electronic money when the amount of electronic money held in the user account is insufficient to purchase an episode having the paid product type.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가 유료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유료 콘텐츠가 무료로 전환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 구매를 위하여 불필요한 재화를 소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wants to purchase paid content, provides information about when the paid content is converted to free,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consuming unnecessary goods for content purchase.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콘텐츠가 갖는 속성에 따라 최신 회차를 기준으로 에피소드들의 상품 타입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여러가지 수단을 이용하여 에피소드를 열람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product types of episodes can be set based on the latest episode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content. Accordingly, the user can browse the episodes using various means.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연재가 완료된 콘텐츠 및 연재가 진행 중인 콘텐츠에 대해 콘텐츠를 구성하는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을 서로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꾸준하게 콘텐츠에 대한 관심을 잃지 않고 이용하도록 유도하고, 사용자가 부담 없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different product types of episodes constituting content for content that has been serialized and content that is being serializ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duce users to steadily use the contents without losing interest in the contents, and to provide user convenience so that the users can use the contents without burden.

이때, 본 발명에서는, 연재가 진행 중인 콘텐츠에 대해서는 최신 회차 에피소드가 연재될 때 마다, 기존에 디지털 화폐를 통해 열람 가능했던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을 이용권을 통해 열람 가능하도록 하는 상품 타입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는 계속적으로 더 많은 에피소드를 이용권을 통해 열람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ever the latest episode of the serialized content is serialized, the product type of the episode that was previously available for viewing through digital currency is changed to a product type that allows viewing through a voucher, so that the user can continuously view more episodes through the voucher.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연재가 완료된 콘텐츠에 대해서는 소정의 기간 동안, 기존에 디지털 화폐를 통해 열람 가능했던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을 이용권을 통해 열람 가능하도록 하는 상품 타입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는 연재가 완료되더라도 에피소드를 끝까지 이용권을 통해 열람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content that has been serialized, the product type of an episode that was previously available for viewing through digital currency is changed to a product type that allows viewing through a voucher,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episode to the end through the voucher even if the serialization is completed.

이때, 본 발명에서는, 연재가 완료된 콘텐츠에 대해서는 시간 순서에 따라 리스트를 정렬함으로써, 사용자가 첫 회부터 순차적으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연재가 진행 중인 콘텐츠에 대해서는 시간 역순에 따라 리스트를 정렬함으로써,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rranging the list according to the chronological order for the content that has been serialized,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user to use the content sequentially from the first time.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rranging the list of content in progress in serialization in reverse chronological order, user convenience can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immediately use the most recently updated content.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에피소드 항목에 대해, 해당 에피소드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각의 에피소드 항목에 표시된 정보를 통하여, 해당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episode item included in the above list, information on the user's right to use the corresponding episode item may be provided. Therefore,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information on availability of the corresponding episode through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each episode item.

Claims (13)

전자기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들을 가지는 에피소드 리스트를 상기 전자기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피소드 리스트는 열람을 위한 디지털 화폐의 지불 여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들을 가지며,
최신 회차를 기준으로 특정 범위의 에피소드들은 상기 서로 다른 상품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상품 타입으로 설정되고,
상기 특정 범위는 상기 복수의 에피소드들의 마지막 회차까지 업로드가 완료되는 지 여부에 따라 크기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Receiving a request to read specific content from an electronic device; and
In response to the reading request, providing an episode list having a plurality of episodes included in the specific content to the electronic device;
The episode list has episodes of different product types based on whether digital currency is paid for viewing,
Episodes in a specific range based on the latest episode are set to any one product type among the different product types,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specific range is changed according to whether uploading is completed until the last episode of the plurality of episo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범위의 에피소드들은 디지털 화폐의 지불을 통해 열람이 가능한 유료 상품 타입으로 설정되고,
상기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최신 회차의 에피소드에 대한 업로드와 연동하여 무료 이용권을 사용하여 열람이 가능한 준유료 상품 타입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Episodes in the specific range are set as paid product types that can be viewed through payment of digital currency,
At least one of the episodes of the paid product type is changed to a semi-paid product type that can be viewed using a free ticket in conjunction with the upload of the latest episo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신 회차의 에피소드는 상기 유료 상품 타입으로 설정되어 업로드되고,
상기 최신 회차의 에피소드가 업로드되는 경우에, 상기 특정 범위의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준유료 상품 타입으로 변경하여 상기 특정 범위의 크기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episode of the latest episode is set as the paid product type and uploaded,
When an episode of the latest episode is uploaded, at least one of the episodes of the paid product type within the specific range is changed to the semi-paid product type so that the size within the specific range is maintain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에피소드들이 모두 업로드되어 연재가 완료될 때까지 각각의 에피소드를 순차적으로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연재가 완료된 이후에 기설정된 기간이 도과하면 상기 특정 범위의 크기가 변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3,
Uploading each episode sequentially until all of the plurality of episodes are uploaded and serialization is completed; and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changing the size of the specific range when a predetermined period elapses after the serialization is comple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되는 단계에서는,
상기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들 중 어느 하나를 준유료 상품 타입으로 변경하여 상기 특정 범위를 순차적으로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4,
In the changing step,
and changing any one of the episodes of the paid product type to a semi-paid product type and sequentially deducting the specific ran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인 차감에 의하여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에피소드 리스트에서 상기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가 존재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에피소드들 중 마지막 회차의 에피소드를 상기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에서 상기 준유료 상품 타입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by changing an episode of the last episode among the plurality of episodes from the paid product type episode to the semi-paid product type so that no episode of the paid product type exists in the episode list based on a specific time point by the sequential dedu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회차의 에피소드가 상기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에서 상기 준유료 상품 타입으로 변경된 이후에 특정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마지막 회차의 에피소드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범위의 에피소드를 상기 유료 상품 타입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6,
When a specific period of time elapses after the episode of the last episode is changed from the episode of the paid product type to the semi-paid product type, episodes within the specific range based on the episode of the last episode are converted to the paid product typ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업로드하는 단계에서는 기설정된 주기를 기준으로 상기 에피소드 리스트에 각각의 에피소드가 순차적으로 업로드되고, 상기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들 중 가장 빠른 회차의 에피소드를 상기 준유료 상품 타입으로 변경하고,
상기 특정 범위의 크기가 변화되는 단계에서는 새로운 에피소드의 업로드가 없이 상기 기설정된 주기를 기준으로 상기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들 중 가장 빠른 회차의 에피소드를 상기 준유료 상품 타입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4,
In the sequentially uploading, each episode is sequentially uploaded to the episode list based on a predetermined cycle, and the episode with the earliest episode among the episodes of the paid product type is changed to the semi-paid product type;
In the step of changing the size of the specific range, an episode of the earliest episode among episodes of the paid product type is changed to the semi-paid product type based on the predetermined cycle without uploading a new episode. Content provid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상품 타입은,
디지털 화폐의 지불을 통해 열람이 가능한 유료 상품 타입과, 무료 이용권을 사용하여 열람이 가능한 준유료 상품 타입과, 디지털 화폐의 지불이나 무료 이용권의 사용이 없이 열람이 가능한 무료 상품 타입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ifferent product types are
A content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by having a paid product type that can be viewed through payment of digital currency, a semi-paid product type that can be viewed using a free ticket, and a free product type that can be viewed without paying digital currency or using a free ticke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소드 리스트는 상기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가 정렬되는 제1범위, 상기 준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가 정렬되는 제2범위, 상기 무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가 정렬되는 제3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1범위는 상기 특정 범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9,
The episode list has a first range in which episodes of the paid product type are sorted, a second range in which episodes of the semi-paid product type are sorted, and a third range in which episodes of the free product type are sorted,
Wherein the first range corresponds to the specific rang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범위의 크기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제2범위의 크기가 변화하며 상기3범위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size of the second range changes as the size of the first range changes, and the third range is fixed.
전자기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에피소드들을 가지는 에피소드 리스트를 상기 전자기기 상에 제공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피소드 리스트는 열람을 위한 디지털 화폐의 지불 여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들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최신 회차를 기준으로 특정 범위의 에피소드를 상기 서로 다른 상품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상품 타입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에피소드들의 마지막 회차까지 업로드가 완료되는 지 여부에 따라 상기 특정 범위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reading request for specific content from the electronic device;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episodes included in the specific content; and
In response to the reading request,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provide an episode list having a plurality of episodes on the electronic device,
The episode list has episodes of different product types based on whether digital currency is paid for viewing,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latest episode, an episode in a specific range is set as one of the different product types, and the size of the specific range is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uploading is completed until the last episode of the plurality of episodes. A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전자기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들을 가지는 에피소드 리스트를 상기 전자기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피소드 리스트는 열람을 위한 디지털 화폐의 지불 여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들을 가지며,
최신 회차를 기준으로 특정 범위의 에피소드들은 상기 서로 다른 상품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상품 타입으로 설정되고,
상기 특정 범위는 상기 복수의 에피소드들의 마지막 회차까지 업로드가 완료되는 지 여부에 따라 크기가 변경되도록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A program that is executed by one or more processes in an electronic device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aid program,
Receiving a request to read specific content from an electronic device; and
In response to the reading request, providing an episode list having a plurality of episodes included in the specific content to the electronic device;
The episode list has episodes of different product types based on whether digital currency is paid for viewing,
Episodes in a specific range based on the latest episode are set to any one product type among the different product types,
The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size of the specific range is chang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uploading of the plurality of episodes is completed until the last episode of the plurality of episodes.
KR1020220008755A 2022-01-20 2022-01-20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2023011246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755A KR20230112468A (en) 2022-01-20 2022-01-20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755A KR20230112468A (en) 2022-01-20 2022-01-20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468A true KR20230112468A (en) 2023-07-27

Family

ID=8743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755A KR20230112468A (en) 2022-01-20 2022-01-20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246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01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20230112468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JP7282226B1 (en) Service providing devic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JP6962842B2 (en)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program
KR20230057935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117487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10264756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102460826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ducing digital currency purchase
KR102495307B1 (en) Digital currency payment method and system
KR20230059603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20230063430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20230031737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ikets for viewing content
KR20230130364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102492353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ducing digital currency purchase
KR20230031738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102584989B1 (en) Payment method and system for purchasing digital currency
US11568449B2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server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with a redisplay button
KR20230031739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JP6424287B1 (en) Electronic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nd electronic content providing method
KR20230109052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JP6794404B2 (en) Stamp rally ticket management system, stamp rally ticket management method, and stamp rally ticket management program
KR20220117753A (en) Method and system for inducing digital currency purchase
CN118096322A (en) Commodity display method, order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20230085329A (en) Apparatus for riview based direct advertizement for online delivery app users
JP2023072707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