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1739A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739A
KR20230031739A KR1020210114294A KR20210114294A KR20230031739A KR 20230031739 A KR20230031739 A KR 20230031739A KR 1020210114294 A KR1020210114294 A KR 1020210114294A KR 20210114294 A KR20210114294 A KR 20210114294A KR 20230031739 A KR20230031739 A KR 20230031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account
type
user
gen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효정
차연주
이춘해
송창근
김준홍
심재영
길웅섭
김효건
이준상
신수정
유준상
하지훈
최윤연
임재훈
Original Assignee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4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1739A/en
Publication of KR20230031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7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free content from a content providing service through a vouch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of: providing a page including a thumbnail corresponding to content to a user terminal; receiving a selection for the thumbnail from the user terminal; providing an episode list for at least one episode included i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to the user terminal; when one item in the episode list i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checking whether a voucher for a specific episode corresponding to the item exists in a user account logged in the user terminal; and providing the specific episode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hecked resul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nducing the user to use the episode through the voucher.

Description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conten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는, 전화나 문자 메시지와 같은 통신 기능은 물론, 인터넷을 활용한 웹 서핑, 음악 감상, 영상 시청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As technology develops, utilization of digital devices is increasing. In particular, electronic devices (eg, smart phones, tablet PCs, etc.) have various functions such as web surfing using the Internet, listening to music, and watching videos, as well as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phone calls and text messages.

전자기기의 대중화에 힘입어, 종래 정통적 콘텐츠 소비 매체와 다르게 PC나 모바일 등의 전자기기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고 있으며, 일 예로서, 웹툰(WEBTOON)이 존재한다.Thanks to the popula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unlike traditional content consumption media, consumption of content provided through electronic devices such as PCs and mobile devices is rapidly increasing. As an example, there is a webtoon.

이러한 콘텐츠에 대한 소비가 꾸준하게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사업자(또는 콘텐츠 관련 사업자)들은, 보다 많은 사용자가 자사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As the consumption of such content steadily increases, various operators (or content-related operators) are developing services that allow more users to use their content.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69281호(웹툰의 다국어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웹툰 사용자의 사용 언어를 판단하고 해당 사용 언어에 따라 웹툰의 제책 방식과 언어를 변경하는 지원하여, 사용자가 언어의 제약 없이 웹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For example,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69281 (Webtoon Multilingual Support System and Method), the webtoon user's language is determined and the webtoon booklet method and language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language used, It provides a way for users to use web contents without language restrictions.

이와 같이,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의 소비 및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의향을 향상시켜, 보다 많은 소비자들을 유치하는 것과 동시에,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소비를 유지시키고자 하는 니즈는 여전히 존재한다.In this way, in order to induce consumption and interest of consumers for content,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urthermore, there is still a need to attract more consumers by improving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for content and at the same time to maintain continuous consumption of content.

본 발명은, 콘텐츠와 관련된 이용권 정보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intuitively providing content-related usage right information to a user.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의 관심 콘텐츠를 관리하고, 관심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 이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ent of interest to a user and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of interest.

나아가, 본 발명은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소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that enables continuous consumption of content.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콘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thumbnail)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썸네일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에 대한 에피소드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에피소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상기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응되는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썸네일은,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표시 영역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콘텐츠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에 대한 이용권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된 상기 이용권 정보에 대응되는 이용권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oviding a page including a thumbnail corresponding to content to a user terminal, receiving a selection for the thumbnail from the user terminal Step,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an episode list for at least one episode included i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f any one item from the episode list i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Checking whether the logged-in user account has a right to use a specific episod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items, and providing the specific episode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heck result, wherein the Thumbnails include a plurality of information display areas, each disposed at different locations, and one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display areas includes usage right information on a usage right available in the content, and whether the usage right exists In the checking step,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a use right corresponding to the use right information displayed in any one area exists in the user account.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계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콘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thumbnail)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썸네일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에 대한 에피소드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에피소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상기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응되는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며,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썸네일은,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표시 영역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콘텐츠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에 대한 이용권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확인은,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된 상기 이용권 정보에 대응되는 이용권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ge includ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user account,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account, and a thumbnai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and a control unit providing an episode list for at least one episode included i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to the user terminal when receiving a selection for the thumbnail from the user terminal. and when any one item of the episode list i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it is checked whether a user account logged in to the user terminal has a right to use a specific episode corresponding to the one item, Based on the confirmation result, the specific episode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thumbnail includes a plurality of information display areas respectively disposed at different locations, an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display areas, the content The right to use information on the right to use available in is included, and to check whether the right to use exists,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right to use corresponding to the right to use information displayed in any one area exists in the user account.

나아가, 볼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콘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thumbnail)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썸네일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에 대한 에피소드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에피소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상기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응되는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썸네일은,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표시 영역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콘텐츠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에 대한 이용권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된 상기 이용권 정보에 대응되는 이용권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Furthermore, a program executed by one or more processes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vides a page including thumbnails corresponding to contents to a user terminal; Receiving a selection for the thumbnail from the user terminal,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an episode list for at least one episode included i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from the user terminal, the episode list If any one of the items is selected, checking whether the user account logged in to the user terminal has the right to use a specific episode corresponding to the one item, and based on the check result, the user terminal includes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specific episode, wherein the thumbnail includes a plurality of information display areas respectively disposed at different locations, and in one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display areas, the content In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right to use is included, and whether the right to use exists,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right to use corresponding to the right to use information displayed in any one area exists in the user account.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 계정에 콘텐츠에 대한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이용 권한에 근거하여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용권을 통해 에피소드를 이용하도록 유도할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whether the user account has the right to use the content, and provides a specific episode based on the right to use, so that the user uses the episode through the right to use. can be induced to do so.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콘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에, 콘텐츠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이용권을 통해 이용 가능한 콘텐츠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nd provide information on the right to use available in the content in the thumbnai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content available through the right to use the user possesses. can make it possibl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의 관심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소비를 유도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right to use for rea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continuous consumption of the user's content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user's interest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콘텐츠가 제공되는 사용자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의 장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이용권을 발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3a, 도 13b, 도13c, 도 14, 도 15, 및 도 16은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7은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를 안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썸네일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26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7, 도 28, 도 29 및 도30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알림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user environment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in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right to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right to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genre of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6, 7, 8, 9, 10, 11, and 12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issuing a use right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a, 13b, 13c, 14, 15, and 16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hat can be viewed with a license.
17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gu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right to use.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9 to 21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he use right service pag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3, 24 and 25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humbnail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user pag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27, 28, 29 and 30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본 발명은,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콘텐츠에 대한 이용을 유도함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소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right to use for reading content and a system therefor, which can improve consumption of content by inducing use of the content.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포함하거나, 연결되는 시스템으로서,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을 통하여 발급되는 이용권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의 열람에 이용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that includes or is connec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the license issued through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can be used to browse the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can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용어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의 열람을 위한 이용권을 발급하는 방법을 설명하나, 이러한 이용권 발급 기능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일 기능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도 명명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term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 method of issuing a license for reading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is described, but this license issuing function is performed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In this cas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tents providing system 100” can also be referred to as a “contents providing system”.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콘텐츠의 종류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툰(WEBTOON), 웹소설(WEBNOVEL), 음악, 전자책(E-BOOK), 동영상, 이미지 등의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본 발명에서 발급되는 이용권을 통하여 열람될 수 있다. Meanwhile, types of cont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may be very divers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contents such as webtoon, webnovel, music, e-book, video, image, etc. can be read through the use right issu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웹툰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웹툰이란, 웹(web)과 카툰(cartoon)의 합성로서,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되는 카툰 또는 만화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contents corresponding to webtoon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ere, a webtoon is a combination of a web and a cartoon, and means a cartoon or cartoon provided through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이러한 콘텐츠는, 복수의 서브 콘텐츠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콘텐츠들은, 콘텐츠의 시리즈(series)를 구성할 수 있다. Such conten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contents. A plurality of sub-contents may constitute a series of contents.

여기에서, 시리즈는, 연속적인 기획물 또는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Here, a series may mean a continuous project or content.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와 서브 콘텐츠 간의 용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서브 콘텐츠”를 “에피소드(episode)”라고 명명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void confusion between terms of content and sub-content, “sub-content” is named “episode”.

이러한 에피소드는, “무료 상품 타입” 및 “유료 상품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상품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se episodes may be composed of any one product type of “free product type” and “paid product type”.

“무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란, 사용자가 에피소드를 이용(또는 열람)하기 위하여, 전자화폐(또는 디지털 화폐), 쿠폰 또는 이용권(또는 열람권) 등의 지불없이 곧바로 이용할 수 있는 에피소드를 의미할 수 있다."Episodes with free product type" may refer to episodes that can be used immediately without payment of electronic money (or digital currency), coupons, or tickets (or reading tickets) in order for the user to use (or view) the episode. there is.

반대로,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란, 사용자가 에피소드를 이용(또는 열람)하기 위하여, 전자화폐, 쿠폰 또는 이용권(또는 열람권) 등을 지불하는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는 에피소드를 의미할 수 있다.Conversely, "episode with a paid product type" may mean an episode that can be used only when the user pays electronic money, coupons, or tickets (or viewing rights) to use (or view) the episode. .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 중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은, 상품 타입 전환과 관련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것에 근거하여, 무료 상품 타입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품 타입 전환과 관련된 기 설정된 시간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Among a plurality of episodes constituting specific content, a product type of a specific episode having a paid product type may be converted into a free product type based on e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related to product type conversion. The preset time associated with the product type conversion may be set by the manager of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발급하는 이용권은, 유료 상품의 타입에 해당하는 에피소드의 열람에 이용될 수 있다. The voucher issued by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view episodes corresponding to the paid product type.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로 구성된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이용권을 발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콘텐츠가 제공되는 사용자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Hereinafter, a method and system for issuing a license to view contents composed of episodes having the paid product type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user environment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in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right to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지급되는 이용권은,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가 출력되는 이용권 사용과 관련된 페이지 (또는 “화면”이라고 명명 가능, 300)를 통해 이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ticket provided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rough a page related to the use of the ticket (or can be named “screen”, 300) on which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is output. It can be.

이러한, 이용권 사용과 관련된 페이지(300)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등을 통하여 단말기(200)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지급된 이용권의 사용과 관련된 일련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위에서 살펴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The page 300 related to the use of the right to use may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200 through an application or a web browser. Through the application, a series of processes related to the use of the right to use paid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is at least part of the functions performed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s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이용권 사용과 관련된 페이지(300)는 도시와 같이, 사용자 계정에 지급되는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영역(310) 및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영역(320)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age 300 related to the use of a license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area 310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voucher paid to a user account and a second area 320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as illustrated. can do.

제1 영역(310)에는, 사용자 계정에 지급된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이용권(또는 프리패스) 보유 개수 정보, 이용권 지급(또는 충전)까지 남은 시간 정보, 이용권 지급(또는 충전) 기준(예를 들어, 시간, 개수 등)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는, 이용권이 지급되거나 이용권이 차감되는 경우 업데이트되어 출력될 수 있다. In the first area 310, information related to the vouchers paid to the user account, for exampl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vouchers (or free passes) held,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time until voucher payment (or charging), voucher payment (or charging) standard Information (eg, time, number, etc.) may be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right to use may be updated and output when the right to use is paid or the right to use is deducted.

제2 영역(320)에는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콘텐츠의 썸네일, 콘텐츠의 작가명 정보, 콘텐츠 조회수 정보와 관련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In the second area 320,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for example, thumbnails of the content, author name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of views of the content may be displayed.

사용자는 제2 영역(320)에 포함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에 대응되는 일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선택된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에 해당하는 리스트 정보를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The user may select a region corresponding to any one content among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included in the second region 320 . When there is such a user selectio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li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episodes constituting the selected content to the terminal.

여기에서, 리스트는 복수의 에피소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항목(item, 3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에피소드에 각각 대응되는 에피소드 항목(330)에는 에피소드의 상태 정보(또는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Here, the list may include a plurality of items 330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episodes. In addition, episode status information (or current status information) may be matched to episode items 330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episodes.

에피소드의 상태 정보는, i)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임을 알리는 정보(예를 들어 “PASS FREE”, 340), ii) 유료 에피소드 열람 조건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열람 시 차감되는 전자화폐(쿠키)의 수량, 3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Episode status information includes i)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episode can be viewed with a pass (eg, “PASS FREE”, 340), ii) information related to viewing conditions for paid episodes (eg, electronic money deducted from viewing (cookies) ), at least one of 350).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임을 알리는 정보(예를 들어 “PASS FREE”, 340)가 매칭된 에피소드 항목은, 이용권을 이용하여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이고,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임을 알리는 정보(예를 들어 “PASS FREE”, 340)가 매칭되어 있지 않은 항목은 이용권으로 열람 할 수 없는 에피소드 일 수 있다. The episode item matched with information notifying that the episode can be viewed with the pass (for example, “PASS FREE”, 340) is an episode that can be viewed using the pass,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episode can be viewed with the pass (for example, “PASS FREE”). ”, 340) may be episodes that cannot be viewed with a subscription.

한편, 제어부(130)는 업로드 된 복수의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에피소드에 대해서는, 이용권에 의한 열람을 제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30 may limit the viewing by the right to use for an episode that satisfies a preset condition among episodes having a plurality of paid product types uploaded.

이 때, 이용권을 통해 열람이 제한되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에피소드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서버에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유료 상품 중 최신 에피소드에 대해서는 이용권을 통해 열람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pisode that satisfies the pre-set condition in which viewing is restricted through the right of use may be at least one episode most recently updated in the server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viewing of the latest episode of paid products can be restricted through a use right.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PASS FREE”가 매칭되어 있는 에피소드 항목(340)은 이용권을 통해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이고, “PASS FREE”가 매칭되어 있지 않은 항목(350)은 이용권을 통해 열람할 수 없는 에피소드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episode item 340 to which “PASS FREE” is matched is an episode that can be viewed through a pass, and the item 350 to which “PASS FREE” is not matched can be viewed through a pass. There may be no episodes.

사용자는,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임을 알리는 정보(340)가 매칭되어 있는 에피소드 항목(예를 들어, 195: dollar Bill Heart, 360)에 대해, 지급된 이용권을 이용하여 열람할 수 있다. The user can view an episode item (eg, 195: dollar Bill Heart, 360) to which the information 340 indicating that the episode can be viewed with the ticket is matched using the paid ticket.

한편, 도 1에서는 에피소드에 각각 대응되는 항목마다,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임을 알리는 정보(340)가 표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in FIG. 1, information 340 indicating that the episode can be viewed with a subscription is displayed for each item corresponding to the episo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즉, 에피소드임을 알리는 정보는, 콘텐츠의 썸네일 또는 뒤에서 설명될 도 13c와 함께 살펴본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 페이지(또는 콘텐츠 진입 페이지, 1360)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information notifying that it is an episode can be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a thumbnail of the content or a detailed information page (or content entry page, 1360) for the content reviewed together with FIG. 13C to be described later.

이 경우, 에피소드 항목마다, 에피소드임을 알리는 정보(340)가 표시되지 않더라도, 특정 콘텐츠가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콘텐츠인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이용하여, 특정 콘텐츠에 해당하는 특정 에피소드 항목을 열람할 수 있다. In this case, for each episode item, even if the information 340 indicating that it is an episode is not displayed, if the specific content is content that can be viewed with a license, the user uses the license held in the user account to use the specific episode item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content. can be read.

한편, 이 경우에도, 이용권으로 열람이 가능한 특정 콘텐츠 이더라도,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에피소드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일부는 이용권을 통해 이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Meanwhile, even in this case, even if the specific content is viewable with the right to use, at least some of the episodes included in the specific content that satisfy the preset conditions may not be available through the right to use.

여기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에피소드는,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서버에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유료 상품 중 최신 에피소드에 대해서는 이용권을 통해 열람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pisode satisfying the preset condition may be at least one episode most recently updated in the server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viewing of the latest episode of paid products can be restricted through a use right.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발급 지급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이용권을 통하여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을 지급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이용권을 콘텐츠를 사용자 계정에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In this way, the user can browse the content through the use right provided by the use pass issuance and pay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series of processes of providing the right to use to the user account and providing the right to use to the user account based on the user's reques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의 장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이용권을 발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고, 도 13a, 도 13b, 도13c, 도 14, 도 15, 및 도 16은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고, 도 17은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를 안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3,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썸네일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나아가, 도 26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7, 도 28, 도 29 및 도30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알림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a right to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genres of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6, 7, 8, 9, 10, 11, and 12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issuing a use right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a , FIGS. 13b, 13c, 14, 15, and 16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that can be viewed with a use right, and FIG. 1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gu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use right. . 1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9 to 21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right to use service pag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9 to 21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he use right service pag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3, 24 and 25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humbnail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more, FIG. 2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user pag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7, 28, 29, and 30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mmunication unit 110 , a storage unit 120 and a control unit 130 .

여기에서,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이용권에 대한 이용 요청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communication unit 110, from the user terminal 200, may play a role of receiving a use request for the right to use.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기 (200)는,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휴대용 컴퓨터(laptop comput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전자기기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전자기기에도 단말기와 동일한 부호 ‘200’이 부여 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terminal 200 is not limited in its type, and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laptop computer, and a slate PC. , tablet PC, ultrabook, desktop computer,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wearable device (for example, , watch type terminal (smartwatch), glass type terminal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and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an electronic device, and the same code '200' as the terminal may be given to the electronic device.

다음으로, 저장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 또는 이용권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를 들어, 웹툰 이용권 제공 시스템)에 가입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Next, 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user information subscribed to a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or a right to us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g, a system to provide a right to use a webtoon).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계정(예를 들어, ID(identification))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또는 이용권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로그인(login) 함으로써, 이용권을 이용하여 웹툰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Such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user account (eg, ID (identification)). The user can use the webtoon content using the right to use by logging in to the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or the right to use) using a user acc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나아가, 저장부(120)는 사용자 계정에 할당된 이용권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또는 이용권 사용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히스토리 서버(100a, 또는 히스토리 DB(data base))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torage unit 120 includes at least one history server 100a or a history DB (data base) including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right to use allocated to the user account (or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 of the right to use). ) may be included.

복수의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히스토리 서버(100a)는 저장부(120)와 별도의 구성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히스토리 서버(100a)를 참조하여,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이용권을 발급할 수 있다. The history server 100a that stores a plurality of pieces of history information may exist as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storage unit 120 . In this case,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may refer to the history server 100a to issue a right to use for a user account.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을 할당하기 위한 일련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Next, the control unit 130 may perform a series of controls for allocating use rights to user accounts.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과 함께, 본 발명에서 콘텐츠 열람에 사용되는 이용권을 발급(지급 도는 충전)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Hereinafter, together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a method of issuing (paying or charging) a license used for viewing content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에 대해, 콘텐츠 장르별로 사용 가능한 이용권을 각각 지급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usable use rights for each content genre to a user account subscribed to a content providing servic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제공 방법은,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에 대해, 제1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1 장르와 다른 제2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개수만큼 각각 지급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310).More specifically, the method of providing a right of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 a user account subscribed to a content providing service, a right of use of a first type usable for reading content of a first genre and content of a second genre different from the first genre. A process of provid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second-type vouchers available for viewing may proceed (S310).

본 발명에서 이용권이 적용되는 콘텐츠는 콘텐츠에 대한 복수의 장르 중 적어도 하나의 장르로 분류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콘텐츠 각각에, 복수의 장르 중 적어도 하나의 장르와 관련된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to which the right of use is applied may be classified into at least one genre among a plurality of genres for the content. The controller 130 may match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genre among a plurality of genres to each content.

여기에서, 콘텐츠 장르는, 콘텐츠의 주제, 내용(또는 줄거리), 분위기, 형식 등이 유사한 콘텐츠들을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하기 위한 기준일 수 있다. Here, the content genre may be a criterion for classifying content similar in subject, content (or plot), atmosphere, form, etc. into the same group.

이러한 콘텐츠 장르는, 상위 개념인 메인 장르와, 메인 장르의 하위 개념인 서브 장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메인 장르를 제1 장르 및 제2 장르로 명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콘텐츠의 장르는 제1 장르 및 제2 장르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콘텐츠의 장르는 이외에도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Such a content genre may include a main genre, which is a higher level concept, and a sub-genre, which is a lower level concept of the main genr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plurality of main genres are referred to as a first genre and a second genr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genre of the content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first genre and the second genre, but the genre of the content may exist in various ways.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텐츠는 1차적으로 제1 장르(410) 및 제2 장르(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르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는 제1 장르(NOVEL 또는 소설, 410) 및 제2 장르(COMIX 또는 코믹, 420) 중 어느 하나의 장르로 분류될 수 있다. 제1 장르(NOVEL, 410)로 분류된 콘텐츠는, ‘로맨틱 판타지 장르’, ‘무협 장르’, ‘시대극 장르’, ‘로맨스 장르’ 등과 같은 복수의 서브 장르(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브 장르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제2 장르(COMIX, 420)로 분류된 콘텐츠는, ‘순정 장르’, ‘소년 장르’, ‘드라마 장르’, ‘무협 장르’ 등과 같은 복수의 서브 장르(4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브 장르로 분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content may be primarily classified into at least one of a first genre 410 and a second genre 420 . For example, content may be classified into one of a first genre (NOVEL or novel, 410) and a second genre (COMIX, or comic, 420). The content classified as the first genre (NOVEL, 410) i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sub-genres 430 such as 'romantic fantasy genre', 'martial arts genre', 'period drama genre', and 'romance genre'. can be classified as In addition, the content classified as the second genre (COMIX, 420) is at least one sub-genre 440 of a plurality of sub-genres 440 such as 'genre of romance', 'boy genre', 'drama genre', and 'martial arts genre'. It can be classified by genre.

콘텐츠 각각에는 복수의 장르 중 어느 하나의 메인 장르 및 서브 장르와 관련된 정보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콘텐츠에 매칭된 장르와 관련된 정보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또는 이용권 제공 시스템, 10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Information related to any one main genre and sub-genre among a plurality of genres may be matched to each cont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genre matched to the content may be set by a manager of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or the right to use system 100).

이처럼,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콘텐츠에는, 제1 장르 및 제2 장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르와 관련된 정보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장르와 관련된 정보가 매칭되어 있는 콘텐츠를 ‘제1 장르의 콘텐츠’로 명명하고, 제2 장르와 관련된 정보가 매칭되어 있는 콘텐츠를 ‘제2 장르의 콘텐츠’로 명명하도록 한다. As such,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genre and the second genre may be matched to the content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matched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genre is named 'contents of the first genre', and the content matched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genre is named 'contents of the second genre'.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대해, 제1 장르의 콘텐츠 열람이 이용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가능한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개수만큼 최초로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30 may initially provide a predetermined number of first-type usage rights available for viewing contents of a first genre and second-type usage rights available for viewing contents of a second genre with respect to a user account. there is.

이때. 기 설정된 개수만큼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이 제공되는 최초의 시점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의 시점은, i)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이용가능한 특정 서비스를 런칭한 시점, ii) 사용자 계정이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생성)된 시점, iii) 사용자 계정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를 최초로 이용하고자 하는 시점 등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initial point in time at which the right to use is provided to the user account as many as the preset number may be defin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initial time point is i) when a specific service that can use the first type of pass and the second type of pass is launched, ii) when a user account is subscribed (created) to a content providing service, iii) In the user account, it can be defined in various ways, such as the time when the specific service is to be used for the first time.

여기에서, 기 설정된 개수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최대로 보유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기 설정된 개수는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에 대해 동일한 개수로 설정되어 있거나,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에 대한 기 설정된 개수는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을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나아가, 이러한 기 설정된 개수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Here, the preset number may mean the maximum number of first-type usage rights and second-type usage rights that can be held in the user account. The preset number may be set to the same number for the first type of use right and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or may be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preset number of the first type of use right and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are set to be the same. Furthermore, this preset number may be set by a manager of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복수의 사용자(예를 들어, 제1 사용자(510), 제2 사용자(520), 제3 사용자(530) 및 제4 사용자(540)) 각각의 사용자 계정에, 제1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 ‘6’개(511, 521, 531, 541) 및 제2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가능한 제2 타입의 이용권 ‘6’개(512, 522, 532, 542)를 각각 지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the controller 130 controls a plurality of users (eg, a first user 510, a second user 520, a third user 530, and a fourth user) subscribed to a content providing service. In each user account of the user 540, '6' (511, 521, 531, 541) tickets of the first type available for browsing the content of the first genre and a second ticket available for viewing the content of the second genre are provided. '6' tickets (512, 522, 532, 542) of the type can be provided, respectively.

사용자(510, 520, 530, 540)은 사용자 계정에 부여된 이용권을 이용하여, 이용권 타입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사용자는(510, 520, 530, 540) 사용자 계정에 부여된 제1 타입의 이용권(511, 521, 531, 541)을 이용하여 제1 장르의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고, 제2 타입의 이용권(512, 522, 532, 542)을 이용하여 제2 장르의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The users 510, 520, 530, and 540 may brows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 right type by using the use right granted to the user account. The user (510, 520, 530, 540) can view the content of the first genre using the first type of ticket (511, 521, 531, 541) granted to the user account, and the second type of ticket ( 512, 522, 532, 542), content of the second genre can be viewed.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이용권 사용 요청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차감하고, 차감된 이용권에 매칭된 장르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deduct a usage right held in the user account based on a request to use a usage right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logged into the user account, and provide content of a genre matched to the deducted usage right.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이용권 최초 지급 시점에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을 기 설정된 개수만큼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a predetermined number of usage rights to user accounts subscrib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t the time of the first payment of the usage rights.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이용권 최초 지급 시점’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이용권 발급 서비스 런칭(Launching) 시에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모든 사용자 계정 각각에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개수 만큼 일괄적으로 지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이용권 지급 서비스 런칭 이후 시점에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하는 사용자 계정에 대해서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이 완료된 시점에 기 설정된 개수 만큼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각각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ime of first payment of the right to use' may be set by the administrator of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collectively provide a predetermined number of first-type and second-type vouchers to all user accounts subscrib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t the time of launching the voucher issuance service. can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130, for the user account subscribing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t the time after the subscription payment service is launched, provides the first type and second type of usage rights by a predetermined number at the time when the subscription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is completed. each can be provid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계정에 대해 이용권 지급 시점마다 반복해서 서로 다른 장르에 매칭된 이용권을 각각 추가 지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peatedly provide additional tickets matched to different genres to the user account every time the ticket is paid.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제공 방법은, 사용자 계정에 대해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된 이후, 사용자 계정에 대해,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각각 지급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320). More specifically, the method of providing a use r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type of use right and a second type of use right to a user account after the first type of use right and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are paid to the user account. A process of paying each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may proceed (S320).

이러한 기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발생되는 복수의 시점을, 본 발명에서는 제1 이용권 지급 시점 및 제2 이용권 지급 시점으로 명명할 수 있다. 제1 이용권 지급 시점 및 제2 이용권 지급 시점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을 가지는 어느 두개의 시점을 표현하는 용어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times occurring at each predetermined time interval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use right payment time point and a second use right payment time point. The first use right payment time and the second use right payment time may be terms expressing any two points of time having a preset time interval.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이용권 지급 시점이 2시간 마다(0시, 2시, 4시, 6시, 8시… 20시, 22시)반복되는 경우, 18시(610)와 20시(620) 관계에서는, 18시(610)가 제1 이용권 지급 시점이고 20시(620)이 제2 이용권 지급 시점일 수 있다. 또한, 20시(620)와 22시(630) 관계에서는, 20시(620)가 제1 이용권 지급 시점이고 22시(630)이 제2 이용권 지급 시점일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when a plurality of voucher payment points are repeated every 2 hours (0:00, 2:00, 4:00, 6:00, 8:00… 20:00, 22:00), 18:00 ( 610) and 20 o'clock 620, 18 o'clock 610 may be the first voucher payment time point and 20 o'clock 620 may be the second voucher payment timing.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20:00 620 and 22:00 630, 20:00 620 may be a first use voucher payment time and 22:00 630 may be a second use voucher payment time.

이러한 이용권 지급 시점을 특정하기 위하여,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시간에 대한 카운팅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카운팅 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에 해당되면, 카운된 시간을 초기화(또는 리셋(reset)) 하고, 기 설정된 시간에 대한 카운팅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In order to specify the time of payment of the right to use, the controller 130 may perform counting for a preset time. When the counted time corresponds to the preset time, the controller 130 may initialize (or reset) the counted time and perform counting for the preset time again.

제어부(130)는 반복되는 이용권 지급 시점에 마다, 이벤트 할당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2시간 마다(0시, 2시, 4시, 6시, 8시… 20시, 22시) 발생되는 복수의 시점 마다 이용권 할당 이벤트(640)가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2시간 마다 발생되는 이용권 할당 이벤트(640)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 각각에 대한 이용권 지급과 관련된 이용권 지급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that an event allocation event has occurred at each repeated point of payment of the vouch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a ticket allocation event 640 occurs every 2 hours (0:00, 2:00, 4:00, 6:00, 8:00… 20:00, 22:00) can happen The control unit 130 may perform a process for providing a license related to payment of a license for each user account based on the license allocation event 640 that occurs every 2 hours.

한편, 사용자 계정에 지급되는 이용권은, 사용자가 실제 에피소드 열람을 이용을 위하여 사용한 경우에 한하여, 이용권 지급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지급되는 이용권들은 각각의 일련번호를 가질 수 있으며, 이용권에 대한 정보에는 이용권들이 사용되어진 콘텐츠 및 에피소드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이용권 지급시점 마다 사용자 계정에 지급되는 이용권은 사용자 계정에서 사용 가능한 이용권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며, 실제 이용권의 지급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콘텐츠(또는 에피소드)의 열람 요청을 수신한 것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 right paid to the user account may be processed for payment of the use right only when the user uses it for viewing actual episodes. Tickets paid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may have respective serial numbers, and information on the tickets may further include content and episode information for which the tickets are used. That is, the vouchers issued to the user account at each point of payment of the plurality of vouchers may represent information on the vouchers available in the user account, and the actual payment of the vouchers may be made when a request to view content (or episodes)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can be made based on

한편, 이용권 지급 프로세스는, 사용자 계정 각각이 이용권 지급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이용권 지급 기준을 만족하는 사용자 계정에 대해서만 이용권을 지급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Meanwhile, the use right payment process may refer to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each user account satisfies the use right payment standard and providing the use right only to user accounts that satisfy the use right payment standar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lat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제공 방법에서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의 열람과 관련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330). Meanwhile,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right to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receiving a viewing request related to reading specific content from a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a user account may proceed (S330).

앞서 도 1과 함께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에 해당되는 리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출력된 리스트 정보 중에서, 열람하고 싶은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일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일 영역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일 영역에 대응되는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control unit 130 may output li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episodes constituting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200 . The user may select a region corresponding to an episode to be viewed from among list information output to the user terminal 200 . When there is a selection of one area by the user,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re is a request to view an episode corresponding to the one area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이러한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요청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페이지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페이지는, 앞서 도 1의 (b)에서 살펴본 에피소드 리스트가 표시된 화면일 수 있다.A viewing request for such an episode may be received through a page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page may be a screen displaying an episode list discussed in (b) of FIG. 1 above.

나아가,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요청이 수신되는 페이지는, 이용권 사용과 관련된 페이지일 수 있다.Furthermore, the page on which the viewing request for the episode is received may be a page related to the use of the right to use.

앞서 도1 과 함께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이용권 사용과 관련된 페이지(3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용권 사용과 관련된 페이지 (300)는 사용자 계정에 지급된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영역(310) 및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영역(3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page 300 related to the use of a right to use. The page 300 related to use of a licens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area 310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use right paid to a user account and a second area 320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사용자는 제2 영역(320)에 포함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에 대응되는 일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특정 콘텐츠에 대한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The user may request selection of specific content by selecting a region corresponding to any one content among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included in the second region 320 .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특정 콘텐츠에 대한 선택 요청에 근거하여,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 각각에 대응되는 항목(330)을 포함하는 리스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Based on the selection request for specific conten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control unit 130 transmits list information including items 330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episodes constituting specific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200. can be provided to

사용자는 단말기(200)에 표시된 리스트 정보 중 특정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특정 항목에 대한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특정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특정 항목에 대한 선택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The user may input a selection for a specific item corresponding to a specific episode from lis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erminal 200 . Selection of a specific item corresponding to a specific episode of the user may b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서, 특정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특정 항목에 대한 선택은,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요청을 의미할 수 있다. Here, selection of a specific item corresponding to a specific episode may mean a request to view the specific episode.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리스트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195: dollar Bill Heart”에 대응되는 영역(360)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195: dollar Bill Heart”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list information shown in FIG. 1, if the user selects the area 360 corresponding to “195: dollar Bill Heart”,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e “195: dollar Bill Heart” It can be judged that there is a reading request.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특정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의 이용권을 차감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340).A method of providing a right of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of deducting any one of a first type of right of use and a second type of right of use held in a user account, based on a request to view specific content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This may proceed (S340).

제어부(130)는 특정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특정 항목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특정 에피소드가 이용권에 의해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열람 요청에 의해 특정된 에피소드가 이용권에 의해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When receiving a selection for a specific item corresponding to a specific episode,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whether the specific episode is an episode that can be viewed according to the right to use. That is,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whether the episode specified by the viewing request is an episode that can be viewed by the right to use.

이용권에 의해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에피소드 각각에 대응되는 상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러한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열람 요청이 이루어진 특정 에피소드가,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통해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Information on whether the episode is viewable by the right of use may be included in statu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episode. Based on this status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whether a specific episode for which a viewing request is made is an episode that can be viewed through a use right held in a user account.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에피소드의 상태 정보는, i)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임을 알리는 정보(예를 들어 “PASS FREE”, 340), ii) 유료 에피소드 열람 조건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열람 시 차감되는 전자화폐(쿠키)의 수량, 3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특정 에피소드가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서버에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에피소드 중 어느 하나 인 경우, 특정 에피소드는 이용권에 의해 열람이 제한되는 에피소드르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최신 에피소드에 대해서는 이용권을 통해 열람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episode is i)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episode can be viewed with a pass (eg, “PASS FREE”, 340), ii) information related to viewing conditions for paid episodes (eg, deducted when viewing The number of electronic money (cookies) to be used, 350) may include at least one. Furthermore, if the specific episode is one of the most recently updated episodes in the server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specific episode is an episode whose viewing is restricted by the right to us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viewing of the latest episode can be restricted through a use right.

제어부(130)는 열람 요청에 의해 특정된 에피소드의 상태 정보에,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임을 알리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열람 요청에 의해 특정된 에피소드가 이용권에 의해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라고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that the episode specified by the reading request is an episode that can be viewed by the usage right, whe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episode specified by the viewing request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episode can be viewed by the usage right.

열람 요청에 의해 특정된 에피소드가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인 경우, 제어부(130)는 열람 요청에 의해 특정된 에피소드(또는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장르가 제1 장르 및 제2 장르 중 어느 장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장르를 제1 장르 및 제2 장르 중 어느 하나의 장르로 특정할 수 있다. If the episode specified by the reading request is an episode that can be viewed with the right to use,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ich genre of the first genre and the second genre is the genre corresponding to the episode (or specific content) specified by the reading request. You can check. That is, the controller 130 may specify a genre corresponding to specific content as one of the first genre and the second genre.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장르가 특정되면, 제어부(130)는 특정된 장르에 대응되는 타입의 이용권이 사용자 계정에, 존재(보유)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계정은, 특정 콘텐츠의 열람을 요청한 사용자 계정일 수 있다. When a genr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ntent is specified, the controller 130 may check whether a usage right of a typ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ed genre exists (holds) in the user account. In this case, the user account may be a user account that has requested viewing of specific content.

확인 결과, 사용자 계정에 특정된 장르에 대응되는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보유)하면, 제어부(130)는 특정된 장르에 대응되는 타입의 이용권을 차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장르가 상기 제1 장르에 해당하고, 사용자 계정에 제1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면, 제1 타입의 이용권을 차감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checking, if there is (possessed) a usage right of a typ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ed genre in the user account, the controller 130 may deduct the usage right of the typ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ed gen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if the genr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content corresponds to the first genre and the user account has the first type of use right that can be used to browse the content of the first genre, the first type of right of use can be deducted.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계정(510)에서 제1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사용자 계정(510)에, 상기 제1 장르의 콘텐츠에서 이용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re is a request to view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genre from the first user account 510, the controller 130 provides the first user account 510 with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content of the first genre. It may be checked whether the first type of right of use exists.

그리고, 확인 결과, 제1 사용자 계정(510)에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사용자 계정(510)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을 열람 요청 횟수만큼 차감하고, 상기 열람 요청에 대응되는 특정 콘텐츠의 특정 에피소드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와 같이, 제어부(130)는 제1 사용자 계정(510)에 매칭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 정보를 ‘6’(511)에서 ‘5’ 로 변경할 수 있다. And,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first type of use right exists in the first user account 510, the controller 130 deducts the first type of use right held in the first user account 510 by the number of reading requests. And, a specific episode of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ading reques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lso, as illustrated, the control unit 130 may chang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ckets of the first type matched to the first user account 510 from '6' (511) to '5'.

나아가, 제어부(130)는 제1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제1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이 한 번 더 있는 경우, 마찬가지로, 제어부(130)는 제1 사용자 계정(510)에, 상기 제1 장르의 콘텐츠에서 이용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Furthermore, when there is another request to view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genre from the first user account, the controller 130 similarly controls the first user account 510 to view the first genr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re is a first type of use right available in the content of .

그리고, 확인 결과, 제1 사용자 계정(510)에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사용자 계정(510)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을 열람 요청 횟수만큼 차감하고, 상기 열람 요청에 대응되는 특정 콘텐츠의 특정 에피소드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와 같이, 제1 사용자 계정(510)에 매칭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 정보를 ‘5’에서 ‘4’(711)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130)는 제1 사용자 계정(510)으로부터 제2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사용자 계정(510)에, 상기 제2 장르의 콘텐츠에서 이용가능한 제2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And,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first type of use right exists in the first user account 510, the controller 130 deducts the first type of use right held in the first user account 510 by the number of reading requests. And, a specific episode of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ading reques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nd, as illustrated,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ckets of the first type matched with the first user account 510 may be changed from '5' to '4' (711).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request to view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enre from the first user account 510, the controller 130 sends the first user account 510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re is a second type of use right available in the content.

그리고, 확인 결과, 제1 사용자 계정(510)에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30)제1 사용자 계정(510)에 보유된 제2 타입의 이용권을 열람 요청 횟수만큼 차감하고, 상기 열람 요청에 대응되는 특정 콘텐츠의 특정 에피소드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와 같이, 제어부(130)는 제1 사용자 계정(510)에 매칭된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 정보를 ‘6’(512)에서 ‘5’(712)로 변경할 수 있다(도 7 참고).And,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exists in the first user account 510, the control unit 130 deducts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held in the first user account 510 by the number of reading requests, , A specific episode of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ading reques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nd, as illustrated, the control unit 130 may chang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ckets of the second type matched to the first user account 510 from '6' 512 to '5' 712 (see FIG. 7 ). ).

한편, 사용자 계정에, 상기 열람 요청에 대응되는 특정 콘텐츠의 특정 장르에 대응되는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상기 특정 장르와 다른 장르의 이용권이 사용자 계정에 존재하더라도,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다른 장르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을 차감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제1 장르의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 확인 결과, 제1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이 미존재하고, 제2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2 타입의 이용권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어느 이용권도 차감하지 않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account does not have a use right of a typ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genre of the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ading request,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even if a use right of a genre different from the specific genre exists in the user account, the user account may not deduct the use rights available in other genres held in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30 responds to a request to view the content of the first genre from the user account, an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right to use held in the user account, the first type of right available for viewing the content of the first genre does not exist. And, if there is only the second type of right to use for browsing the content of the second genre, none of the right to use may be deducted.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특정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특정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차감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발급되는 이용권은, 이용권 타입에 대응되는 장르의 콘텐츠에 대해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다른 장르에 대해서는 교차 사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 unit 130 may deduct the right of use held in the user account only when there is a right of use of a specific type that can be used to view contents of a specific genr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ntent in the user account. As such, the ticket issued by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only for content of a genre corresponding to the ticket type, and cross-use for other genres may not be possible.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사용자 계정(530)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는 ‘0’(1210)개이고,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는 ‘4’개(1220)인 경우, 제어부(130)는 제3 사용자 계정(530)으로부터 제1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더라도, 제어부(130)는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차감하지 않을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 the number of first-type vouchers held in the third user account 530 is '0' (1210), and the number of second-type vouchers is '4' (1220 units). ), the control unit 130 does not deduct the first type of use right and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even if there is a request to view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genre from the third user account 530. may not be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장르에 대응되는 이용권이 존재하는지 확인한 결과, 사용자 계정에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장르의 이용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특정 에피소드의 열람을 위하여 사용자 계정에서 지불 가능한 수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130 checks whether there is a right to use corresponding to a genr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content in the user account, and if there is no right to use a genr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content in the user account, the user terminal displays a specific episode. Information on payment methods available in the user account can be provided for viewing.

여기에서, 지불 가능한 수단은, 콘텐츠 이용에 이용되는 "디지털 화폐(digital currency)"일 수 있다. 디지털 화폐는, 디지털 방식으로 사용(컴퓨터에 보관하여 사용하거나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되는 형태의 화폐로서, “사이버 머니”로도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화폐는, 금전적 가치가 전자적 형태로 저장된 화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화폐는, 콩, 빈, 도토리, 콘 등의 임의의 명칭으로 명명될 수 있다. Here, the payable means may be "digital currency" used for content use. Digital currency is a form of money that is used digitally (stored in a computer or used on a network), and may also be referred to as “cyber money.” Such digital currency may refer to money in which monetary value is stored in an electronic form. For example, digital currency may be named by any name such as bean, bean, acorn, or cor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제공 방법은,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이 차감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로, 열람 요청에 의해 특정되는 특정 콘텐츠의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350).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of providing the right to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ight to use held in the user account is deducted, a process of providing a specific episode of specific content specified by the reading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200 may proceed (S350). ).

이 경우, 제어부(130)는 특정 에피소드와 함께, 특정 콘텐츠의 장르에 대응되는 타입의 이용권이 차감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믹 장르의 이용권이 차감되었습니다”와 같은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information notifying that the use right of the type corresponding to the genre of the specific content has been deducted, together with the specific episode.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The right to use the comic genre has been deducted" may be controlled to be output to the user terminal 200 .

이처럼,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발급된 이용권을 통해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계정에 각 장르의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장르별 이용권을 반복해서 부여하고 있다.In this way, the user can browse the content through the use right issued by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is end,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peatedly grants the user account the right to use each genre to view content of each genre.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발급 서비스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콘텐츠를 소비하도록 유도하고,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흥미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Through the use right issu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users to consume content and maintain interest in the content continuousl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흥미가 유료 결제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이용권 지급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용권을 지급하기 위한, 이용권 지급 기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 Meanwhile,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grant a user account a right to use only when a predetermined criterion for payment of a right to use is satisfied so that the user's interest in the content may lead to paid payment.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use right payment standard for paying the use right will be given.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기 설정된 시간 마다 반복되는 이용권 지금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을 발급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ssue a use right to a user account at this point in time, which is repeated every preset time.

제어부(130)는 이용권 지급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각각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인 경우에, 사용권 계정에 대해 이용권을 발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issue a use right to the right of use account when the number of each of the first type and second type of use tickets held in the user account at the time of payment of the use pass is less than a preset number.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이용권 지급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의 보유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whether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first-type and second-type usage rights held in the user account is less than a preset number at the time of payment of the usage rights.

판단 결과, 제어부(130)는 이용권 지급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입의 이용권이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이면, 기 설정된 개수 미만에 해당되는 타입의 이용권을 특정 개수 만큼 사용자 계정에 지급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at the time of payment of the voucher, if the number of vouchers of the first type and the voucher of the second type held in the user account is less than the preset number, the number corresponds to less than the preset number. A specific number of vouchers of a type may be provided to a user account.

또한, 판단 결과,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입의 이용권이 기 설정된 개수이면, 기 설정된 개수에 해당되는 타입의 이용권을 사용자 지급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ontrol unit 130, if the number of at least one type of the first type of use ticket and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held in the user account is a preset number, the type of use voucher corresponding to the preset number. Users may not pay.

즉, 사용자 계정에서 최대 보유할 수 있는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는 각각 기 설정된 개수 만큼일 수 있다. That is, the maximum number of first-type and second-type usage rights that can be held in the user account may be as many as the preset number.

이러한 판단에 따라,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모두 지급(case 1)하는 거나, ii)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모두 지급하지 않거나(case 2), iii) 제1 타입의 이용권만 지급하거나 (case 3), iv) 제2 타입의 이용권만 지급(case 4)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determination, the control unit 130 either pays both the first type and the second type of pass to the user account (case 1), or ii) provides both the first and second type of pass (case 2), iii) only the first type of voucher can be paid (case 3), or iv) only the second type of voucher can be paid (case 4).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모두 지급(case 1)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제어부(130)는 이용권 지금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이 모두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이면,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각각 특정 개수 만큼 지급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case where both the first type and the second type of pass are paid (case 1),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first and second type of pass held in the user account are If all of them are less than the preset number, a specific number of first-type and second-type voucher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ccount.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제1 사용자 계정(510)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는 ‘4’개(711)이고,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는 ‘5’개(712)인 경우,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제1 이용권 지급 시점(20시, 620)에 제1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811)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812)을 각각 한 개씩 지급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the number of first-type vouchers held in the first user account 510 is '4' (711) and the number of second-type vouchers is '5' (712).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 the controller 130 assigns the first type 811 and the second type 812 to the first user account at the time of the first pass payment (20:00, 620). Each can be paid for one.

다음으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모두 지급하지 않는 경우(case 2)를 살펴보면, 제어부(130) 이용권 지금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이 모두 기 설정된 개수 이면,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추가로 지급하지 않을 수 있다. Next, looking at the case where both the first type and the second type of pass are not paid (case 2), the control unit 130 uses the first type and the second type of pass held in the user account at this time. If all of the use rights of are the preset number, the first type of use right and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may not be additionally provided to the user account.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제2 사용자 계정(520)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가 모두 ‘6’ (721, 722)인 경우,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제1 이용권 지급 시점(20시, 620)에, 제2 사용자 계정(520)에 대해 추가 이용권을 지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용자 계정에 보유할 수 있는 최대 개수의 이용권을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계정은, 이용권 지급 시점이 경과하더라도, 이용권의 개수가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when the number of first-type and second-type usage tickets held in the second user account 520 is '6' (721, 722), the same as shown in FIG. Similarly, the control unit 130 may not provide additional use rights to the second user account 520 at the first use right payment point (620 at 20:00). That is, for a user account having the maximum number of use rights that can be held in a user account, the number of use rights may not increase even if the time of payment of the use rights has elapsed.

다음으로, 제1 타입의 이용권만 지급하는 경우(case 3)를 살펴보면, 제어부(130)는 이용권 지금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이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이고 제2 타입의 이용권의 보유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인 경우,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만 특정 개수만큼 지급하고, 제2 타입의 이용권은 지급하지 않을 수 있다.Next, looking at the case in which only the first type of voucher is paid (case 3),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number of vouchers of the first type held in the user account is less than the preset number and the voucher of the second type at this point in time. When the number of holdings is a predetermined number, only the first type of use right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ccount by a specific number, and the second type of use rights may not be provided.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제3 사용자 계정(530)이 보유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는 ‘4’개(731)이고,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는 ‘6’개 (732)인 경우,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제1 이용권 지급 시점(20시, 620)에, 제3 사용자 계정(530)에 대해 제2 타입의 이용권(813)만 추가 지급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when the number of first-type vouchers possessed by the third user account 530 is '4' (731) and the number of second-type vouchers is '6' (732). , As shown in FIG. 8 , the controller 130 may additionally provide only the second type of voucher 813 to the third user account 530 at the first voucher payment point (20:00, 620). .

다음으로, 제2 타입의 이용권만 지급(case 4)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제어부(130)는 이용권 지금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이 기 설정된 개수이고 제2 타입의 이용권의 보유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인 경우,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은 지급하지 않고, 제2 타입의 이용권만 특정 개수만큼 지급할 수 있다. Next, looking at the case where only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is paid (case 4),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number of first type use rights held in the user account is a preset number and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at this point in time. If the number of holdings is less than the preset number, only the second type of use voucher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ccount by a specific number without providing the first type of use vouchers.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제4 사용자 계정(540)이 보유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는 ‘6’개(741)이고,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는 ‘4’개(742)인 경우,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제1 이용권 지급 시점(20시, 620)에, 제4 사용자 계정(540)에 대해 제2 타입의 이용권(814)만 추가 지급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when the number of first-type vouchers possessed by the fourth user account 540 is '6' (741) and the number of second-type vouchers is '4' (742). , As shown in FIG. 8 , the controller 130 may additionally provide only the second type of voucher 814 to the fourth user account 540 at the first voucher payment point (20:00, 62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기 설정된 시간 마다 반복되는 이용권 지급 시점에, 반복해서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을 발급하고 있다. Meanwhile,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peatedly issues a use right to a user account at a point in time when the right to use is repea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시간 경과에 대한 시간 카운팅(Counting)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카운팅을 수행한 결과를 이용하여 이용권 지급 시점을 특정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ler 130 may perform time counting for the lapse of a preset time. The control unit 130 may specify a time point for payment of the voucher using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counting.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 경과에 대한 카운팅(Counting)을 수행하는 것은, 카운팅 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이 될 때 까지 시간을 카운트(Count)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Here, counting for the lapse of a preset time may mean counting the time until the counting information reaches the preset time.

제어부(130)는 이용권 지급 시점이 특정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경과에 대한 카운팅 정보를 초기화 시킬 수 있다. 이 때, 카운팅 정보를 초기화 한다는 것은, 카운팅 한 시간을 ’0(예를 들어, 00분 00초)’로 초기화 하여, 새로운 카운팅을 시작하기 위한 준비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initialize counting information for the lapse of a preset time when the point of time for payment of the voucher is specified. At this time, initializing the counting information may mean a preparation step for starting a new counting by initializing the counted time to '0 (eg, 00 minutes and 00 seconds)'.

이러한 카운팅 정보에 대해, 제어부(130)는 카운팅 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에 대응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시간 카운팅이 중단되거나 카운팅 정보가 초기화 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Regarding this counting information, the controller 130 may limit time counting from being stopped or counting information from being initialized, except when the counted time corresponds to a preset time.

즉,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는, 이용권 지급 시점이 기 설정된 시간 경과에 대해 카운팅 하는 카운팅 정보에만 근거하여 특정되도록 제어하고, 그 외 발생되는 이벤트(예를 들어, 이용권 차감(또는 사용), 이용권 지급 또는 이용권 미지급 등)에 의해 특정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point of time for payment of the pass is specified based only on counting information counting for the lapse of a preset time, and other events that occur (eg, deduction of the pass (or use), payment of the right to use, or non-payment of the right to use).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이 미지급되더라도, 제1 이용권 지급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에 대한 시간 카운팅을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미지급 하는 경우는, 이용권 지급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이 각각 기 설정된 개수인 경우일 수 있다. In detail, the controller 130 may maintain time counting for the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point of payment of the first type of pass even if the first type of pass and the second type of pass are not paid to the user account. When the first type of use voucher and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are not paid to the user account, it may be the case that the first type of use voucher and the second type of use voucher held in the user account at the time of payment of the use voucher are a preset number, respectively. .

여기에서,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에 대한 경과에 시간 카운팅을 유지한다는 것은, 이용권 지급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시간에 대한 카운팅을 수행하고, 카운팅 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에 대응되면 카운팅 정보를 초기화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경과에 대한 카운팅을 재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이 미지급 되더라도, 카운팅 정보를 초기화 하고,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에 대한 시간 카운팅을 재 시작할 수 있다. Here, maintaining time counting for the lapse of a preset time means performing counting for a preset time based on the time of payment of the voucher, and initializing the counting information when the counting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preset time. , may mean re-performing counting for a preset time elaps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initialize counting information and restart time counting for the lapse of a preset time, even if the first type of use right and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are not paid to the user account.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을 미지급하는 것과 관계없이, 제1 이용권 지급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제2 이용권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각각의 보유 개수에 대한 확인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확인 결과에 따른 이용권 지급 프로세스는 앞에서 설명한 프로세스가 반복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first type of use right and the second type of right of use held in the user account at the time of the second use right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of payment of the first use right,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 right is not paid to the user account. The confirmation of the number of possessions of each right of use may be performed again. The voucher pay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result may repeat the process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제1 이용권 지급 시점(20시, 620)에, 제1 사용자(510) 에는 제1 타입의 이용권(811) 및 제2 타입의 이용권(812)이 지급되었고, 제2 사용자 계정에는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이 미지급 되었다 하더라도, 제어부(130)는 제1 이용권 지급 시점(20시, 620)에 카운팅 정보를 초기화 하고 기 설정된 시간에 대한 시간 카운팅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 at the point of time (20:00, 620) when the first use pass is given, the first user 510 is provided with the first type use pass 811 and the second type use pass 812, and Even if the first type of pass and the second type of pass are not paid to the user account 2, the controller 130 initializes the counting information at the point of payment of the first pass (20:00, 620) and performs time counting for a preset time. can be done again.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이 차감(또는 사용)되더라도,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에 대한 시간 카운팅을 유지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ler 130 performs time counting for the lapse of a preset time, even if at least one of the first type of use right and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held in the user account is deducted (or used). can keep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에 대한 경과에 시간 카운팅을 유지한다는 것은, 이용권 지급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시간에 대한 카운팅을 수행하고, 카운팅 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에 대응되면 카운팅 정보를 초기화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경과에 대한 카운팅을 재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시간에 대한 카운팅을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의 차감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기 설정된 시간 경과에 대한 카운팅이 중단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maintaining time counting for the lapse of a preset time means performing counting for a preset time based on the point of payment of the voucher, and initializing the counting information when the counting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preset time. After that, it may mean re-performing the counting for the lapse of a preset time.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counting of the preset time to not be interrupted even when an event of deducting the right to use held in the user account occurs while counting the preset time.

예를 들어, 도 8 및9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이용권 지급 시점(20시, 620)과 제1 이용권 지급 시점(22시, 630) 사이의 일 시점(20시 45분, 621)에, 제2 사용자 계정(520)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1’개의 차감 이벤트(910)가 발생되거나, 제3 사용자 계정(530)에 보유된 제2 타입의 이용권 ‘3’개의 차감 이벤트(920)가 발생되더라도, 기 설정된 시간 경과(2시간)에 대한 카운팅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8 and 9 , at a point in time (20:45, 621) between the first pass payment point (20:00, 620) and the first pass pass payment point (22:00, 630). , A deduction event 910 for '1' tickets of the first type held in the second user account 520 occurs, or an event for deducting '3' tickets of the second type held in the third user account 530. Even if step 920 is generated, counting for the elapsed time (2 hours)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without stoppin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는, 사용자 계정에, 특정 개수 만큼의 이용권을 지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number of usage rights may be provided to a user account.

여기에서, 특정 개수는 이용권 지급 시점 마다 사용자 계정에 지급되는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 또는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일 수 있다. 이러한 특정 개수는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각각 마다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도 있으며,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에 대한 특정 개수는 서로 동일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특정 개수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Here, the specific number may be the number of first-type or second-type vouchers that are issued to the user account at each point in time when the voucher is paid. This specific number may be set differently or the same for each of the first type of use right and the second type of right of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pecific number of the first type of use right and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is specific number may be set by the administrator of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특정 개수는, 제1 이용권 지급 시점과 제2 이용권 지급 시점 사이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의 차감 개수와 관계없이 동일할 수 있다. This specific number may be the same regardless of the deducted number of the use rights held in the user account between the time of payment of the first use right and the time of payment of the second use right.

즉, 제1 이용권 지급 시점 이후, 사용자 계정에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이 차감되거나, 차감된 개수가 특정 개수보다 많거나, 이용권이 차감되지 않은 경우에도, 복수의 이용권 지급 시점 중 제2 이용권 지급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이 특정 개수만큼 지급될 수 있다. That is, even if the first type of voucher is deducted from the user account after the first voucher is paid, the deducted number is greater than a specific number, or the voucher is not deducted, the second voucher is paid during the payment of the plurality of vouchers. At a point in time, a user account may be provided with a specific number of first-type vouchers.

예를 들어, 도 8 및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이용권 지급 시점(20시, 621) 이후에, i) 제1 사용자 계정(510)과 제3 사용자 계정(530)에서는 제1 타입의 이용권이 차감되지 않은 경우, ii) 제2 사용자 계정(520)에서 ‘1’개의 제1 타입의 이용권 차감 이벤트(910)가 발생한 경우, iii) 제4 사용자 계정(540)에서 ‘3’개의 제1 타입의 이용권 차감 이벤트(930)가 발생한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지, 도 10과 같이 제2 이용권 지급 시점(22시, 630)에는 1개의 제1 타입의 이용권(1010, 1020, 1030, 1040)이 지급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8 and 9 , after the first voucher issuance time (20:00, 621), i) the first user account 510 and the third user account 530 have a first type of When the right to use is not deducted, ii) when '1' number of first-type deduction events 910 occur in the second user account 520, iii) '3' number of points in the fourth user account 540 There may be a case where one type of ticket deduction event 930 occurs. In any case, as shown in FIG. 10 , one first type of voucher 1010 , 1020 , 1030 , and 1040 may be provided at the second voucher issuance point (22:00, 630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는, 사용자 계정에,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 계정에 발급할 수 있는 이용권 최대 발급 가능 개수는 특정되어 있을 수 있다. Meanwhile,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number of issuable tickets that can be issued to the user accou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may be specified in the user account.

이러한 이용권 최대 발급 가능 개수는,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에 대해 서로 다르게 설정되거나,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에 대해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에 대해 설정된 이용권 최대 발급 가능 개수가 동일한 것을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용권 최대 발급 가능 개수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The maximum number of issuable vouchers may be set differently for the first type of voucher and the second type of voucher, or set identically for the first type of voucher and the second type of voucher.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example in which the maximum issuable number of use tickets set for the first type and the second type is the same will be described. The maximum number of issuable tickets may be set by the manager of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30)는 이용권 지급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이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이더라도, 사용자 계정에 일정 기간(예를 들어 하루(0시부터 24시)동안) 지급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가 이용권 최대 발급 가능 개수이면,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을 지급할 수 없다. At the time of payment of the pass,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type of pass held in the user account is less than the preset number, and the first type paid to the user accou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example, from 0:00 to 24:00). If the number of vouchers of the type is the maximum number of vouchers that can be issued, the first type of vouchers cannot be provided to the user account.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과 관련하여, 제1 타입의 이용권 지급 횟수 및 제2 타입의 지급 횟수에 대한 카운팅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30 may perform counting of the number of times of payment of the first type and the number of payments of the second type, respectively, in relation to the user account.

여기에서, 이용권 지급 횟수를 카운팅 하는 것은, 사용자 계정에 대해 이용권을 지급할 때 마다 지급 횟수를 세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을 지급하면, 제1 타입의 이용권 지급 횟수와 관련된 정보를 ‘0’에서 ‘1’로 변경하고, 사용자 계정에 제2 타입의 이용권을 지급하면, 제2 타입의 이용권 지급 횟수와 관련된 정보를 ‘0’에서 ‘1’로 변경할 수 있다. Here,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of payment of the use right may mean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of payment whenever the right to use is paid to the user account. For example, when the first type of voucher is issued to the user account, the control unit 130 chang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type of voucher is issued from '0' to '1', and assigns the second type of voucher to the user account. When the use right is paid,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of times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is paid may be changed from '0' to '1'.

나아가, 제어부(130)는 일정 기간(예를 들어, 하루)이 경과하는 것에 근거하여, 제1 타입의 이용권 지급 횟수와 관련된 정보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지급 횟수와 관련된 정보를 ‘0’으로 초기화 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ler 130 initialize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of times of payment of the first type of voucher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of times of payment of the second type of voucher to '0' based on the elapse of a certain period of time (eg, one day). can do.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제1 타입의 이용권 지급 횟수가 이용권 최대 발급 개수이면,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이더라도,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을 지급하지 않을 수 있다. In this way, if the number of times of issuance of the first type of pass is the maximum number of issuances of the pass, the control unit 130 assigns the first type of pass to the user account even if the number of the first type of pass is less than the preset number. may not pay.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이용권 지급 시점(22시, 630)에, 제1 사용자 계정(510)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이 ‘5개’더라 하더라도, 제1 사용자 계정(510)에 제1 타입의 이용권이 이용권 최대 발급 가능 개수만큼 발급된 경우에는, 제1 타입의 이용권을 미발급(1110)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even if the number of first-type usage rights held in the first user account 510 is '5' at the time of payment of the second usage rights (22:00, 630), the first When the user account 510 has been issued with the maximum number of first-type usage rights, the first type of usage rights may not be issued (1110).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발급 시스템(100)은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 계정에 제공할 수 있는 제1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를 제한하고,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의 교차 지급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 뿐만 아니라, 다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에 대한 소비까지 이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As such, the voucher issuanc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mits the number of first-type vouchers and second-type vouchers that can be provided to a user accou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limits the first-type vouchers and the second-type vouchers. By restricting the cross payment of the right to use, it is possible to induce users to consume not only conte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genre, but also content corresponding to other genres.

한편, 위에서 살펴본 이용권 지급 횟수는, 이용권 사용 횟수로도 표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1일(하루) 동안 최대로 사용 가능한 이용권 횟수를 각 장르별로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하루 동안 각 장르별로 12개씩의 이용권이 최대로 사용될 수 있도록, 즉 지급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제1 장르에 대해서 12개의 에피소드를, 제2 장르에 대해서 12개의 에피소드를 각각 이용권으로 이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vouchers given above may also be expressed as the number of vouchers used, and the control unit 130 may limit the maximum number of vouchers that can be used in a user account for one day (day) for each genre. For example,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so that 12 vouchers for each genre can be maximally used, that is, provided. As a result, the user can use 12 episodes of the first genre and 12 episodes of the second genre as a ticket, respectively.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용권”의 사용이 허용된 특정 콘텐츠에 대해, 이용권의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Hereinafter,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 of the right of use for the specific content for which the use of the above “right of use” is permitt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에, 콘텐츠 제공 서비스 또는 이용권 발급(또는 사용) 서비스와 관련된 기본 페이지(또는 “기본 화면”이라고 명명 가능, 1310)을, 도 1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with a basic page (or can be named “basic screen”, 1310) related to a content providing service or a ticket issuance (or use) service, as shown in FIG. 13A. .

이러한, 기본 페이지(1310)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등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Such a basic page 1310 may be output on a user terminal through an application or a web browser.

기본 페이지(1310)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 또는 이용권 발급(또는 사용)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페이지와 연계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본 페이지(1310)는 이용권의 사용에 특화된 메뉴(무료 BOX, 131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asic page 1310 may include a menu associated with a page providing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a content providing service or a ticket issuance (or use) servic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A , the basic page 1310 may include a menu (free BOX, 1311) specialized for use of a voucher.

여기에서, 이용권 사용에 특화된 메뉴(무료 BOX 아이콘, 1311)는, 이용권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무료 BOX 페이지, 1320)와 연계된 메뉴일 수 있다. Here, a menu (free box icon, 1311) specialized for use of a pass may be a menu associated with a pass service page (free box page, 1320) that provides services related to the pass.

사용자는 기본 페이지(1310)에서 이용권 사용에 특화된 메뉴(1311, 무료 BOX 아이콘)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이용권의 사용에 특화된 메뉴(1311, 무료 BOX 아이콘) 선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The user may select a menu (1311, free BOX icon) specialized for use of a pass on the basic page 1310. The controller 130 may receive a request for selecting a menu (1311, free BOX icon) specialized for use of the right to use from the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이용권의 사용에 특화된 메뉴(1311, 무료 BOX 아이콘) 선택 요청을 수신하면, 제어부(130)는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무료 BOX 페이지, 1320)를 제공할 수 있다. When receiving a request to select a menu (1311, free BOX icon) specialized for use of a pass from the user terminal, the controller 130 provides a pass service page (free BOX page, 1320) to the user terminal as shown in FIG. 13B can do.

이러한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는,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i)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의 정보가 포함되는 제1 영역(1330), ii)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에 해당하는 콘텐츠들의 썸네일(thumbnail)이 포함되는 제2 영역(1340) 및 iii) 제2 영역 상에 선호 장르와 다른 장르의 콘텐츠들의 썸네일이 표시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3 영역(13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B, the right to use service page 1320 includes i) a first area 1330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right to use held in the user account, ii) thumbnails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genre of the user account a second area 1340 including (thumbnail) and iii) a third area 1350 receiving a user input for displaying thumbnails of content in a genre different from the preferred genre on the second area. can

먼저, 제1 영역(13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1 영역(1330)의 구성은 일 예시일 뿐,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First, the first region 13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region 1330 is only an example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제1 영역(1330)에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1 그래픽 객체(1331) 및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2 그래픽 객체(1332)가 출력될 수 있다. In the first area 1330, a first graphic object 1331 indicating the number of first type usage rights held in the user account and a second graphic object indicating the number of the second type usage rights held in the user account ( 1332) may be output.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와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를 각각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보유한 이용권을 개(또는 수량)와 관련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도 1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대로 보유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6개) 중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4개)와, 최대로 보유 가능한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6개) 중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6개)를 그래픽 객체(1331, 1332)로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can intuitively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or quantity) of tickets held by the user by displaying the number of tickets of the first type and the number of tickets of the second type, respectively, held in the user account. there is.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13A ,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e number (4) of the maximum number of first-type use tickets held in the user account among the maximum number of first-type use tickets (6), and the maximum The number (6) of the number (6) of the second type of use vouchers that can be held in the user account may be displayed as graphic objects (1331 and 1332).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이용권의 사용에 특화된 메뉴(1311, 무료 BOX 아이콘) 선택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30, when there is a request for selecting a menu (1311, free BOX icon) specialized for use of a pass from the user terminal, checks the number of first-type and second-type passes matched to the user account. can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의 종류 및 개수가 변경되면, 이에 근거하여 제1 영역에 출력되는 제1 그래픽 객체(1331) 및 제2 그래픽 객체(1332)의 시각적 외관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이용권 지급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지급한 경우, 제1 그래픽 객체(1331) 및 제2 그래픽 객체(1332)를 특정 개수가 더해진 개수만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ler 130 changes the visual appearance of the first graphic object 1331 and the second graphic object 1332 output to the first area based on the change in the type and number of tickets held in the user account. can As an example, when the controller 130 pays the first type of use right and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to the user account based on the occurrence of the use right payment event, the first graphic object 1331 and the second graphic object ( 1332) can be updated by the number to which a specific number is added.

나아가, 제1 영역(1310)에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른 이용권 지급 시점을 카운팅 하기 위한 시간 카운팅(counting)에 대한 정333)가 표시될 수 있다. Further, in the first area 1310, information 333 regarding time counting for counting the point of time of payment of the voucher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may be displayed.

여기에서, 시간 카운팅에 대한 정보(1333)는 제1 이용권 지급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 카운팅 된 시간 정보이거나,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현재 시점부터 제2 이용권 지급 시점 까지 남은 시간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Here, the time counting information 1333 is time information counted from the first voucher payment point to the present time, or, as shown in FIG. 13B,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maining time from the current time point to the second voucher payment time can

제어부(130)는 시간이 카운팅 되는 것에 근거하여, 제1 영역(1330)에 출력되는 시간 카운팅에 대한 정보(1333)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update time counting information 1333 output on the first area 1330 based on the counting of time.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선호 장르에 따라,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의 제2 영역(1340) 및 제3 영역(1350)을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30 may configure the second area 1340 and the third area 1350 of the subscription service page 1320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red genre.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이용권의 사용에 특화된 메뉴(1311, 무료 BOX 아이콘) 선택 요청을 수신하면,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제1 장르 및 제2 장르 중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를 확인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a request for selecting a menu (1311, free BOX icon) specialized for use of a pass from the user terminal, the user matched with the user account among the first genre and the second genre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You can check your account's preferred genre.

여기에서,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선호 장르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1 장르 및 제2 장르 중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더 선호하는 장르로 이해될 수 있다. Here, the preferred genre matched to the user account may be understood as a genre that the user prefers relatively more among the first genre and the second gen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되었던 콘텐츠의 내용에 기반하여,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를 특정하고, 특정된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를 사용자 계정에 매칭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specify a preferred genre of the user account based on contents of contents viewed in the user account, and match the preferred genre of the specified user account to the user account.

일 예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제1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열람한 횟수가 제2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열람한 횟수보다 많은 경우, 제1 장르를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로 특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마지막으로 제2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마지막으로 열람한 경우, 제2 장르를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로 특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specify the first genre as the preferred genre of the user account when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genre is viewed in the user account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enre is viewed. can As another example, wh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enre is last viewed in the user account, the controller 130 may specify the second genre as the preferred genre of the user account.

한편, 제2 영역(1340)에는 사용자의 선호 장르에 따라, 복수의 서브 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서브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Meanwhile, one subpage among a plurality of subpages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1340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red genre.

제2 영역(1340)에 표시되는 서브 페이지는,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에 포함되는 콘텐츠들의 썸네일(Thumbnail, 1341, 1342)을 포함하는 제1 서브 페이지 및 상기 선호 장르와 다른 장르에 포함되는 콘텐츠들의 썸네일을 포함하는 제2 서브 페이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subpag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1340 includes a first subpage including thumbnails (Thumbnail, 1341, 1342) of contents included in the preferred genre of the user account and contents included in genres other than the preferred genre. It may be any one of second subpages including thumbnails.

이러한 제1 서브 페이지 및 제2 서브 페이지는 제3 영역(1350)의 제1 그래픽 객체(1351) 및 제2 그래픽 객체(1352)와 각각 연계될 수 있다. 제1 그래픽 객체(1351)는 선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서브 페이지에 연계된 제1 탭이고, 제2 그래픽 객체(1352)는 선호 장르와 다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서브 페이지에 연계된 제2 탭일 수 있다. The first subpage and the second subpage may be associated with the first graphic object 1351 and the second graphic object 1352 of the third area 1350 , respectively. The first graphic object 1351 is a first tab associated with the first sub-page including thumbnail information of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genre, and the second graphic object 1352 i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a genre different from the preferred genre. It may be a second tap associated with a second subpage including thumbnail information.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에 대응되는 제1 서브 페이지를 제2 영역(1340)에 출력하고, 제1 그래픽 객체(1351)를 제2 그래픽 객체(1352)보다 선 순위에 배치하는 것을 기본 값(디폴트(default)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에서 선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사용자에게 먼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outputs the first subpage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genre of the user account to the second area 1340 and arranges the first graphic object 1351 ahead of the second graphic object 1352. It can be set to the default value (default valu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umbnails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user's preferred genre may be first exposed to the user on the subscription service page 1320 .

사용자는 선호 장르 외 다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정보(썸네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에서 제3 영역(1350)의 제2 그래픽 객체(1352)에 대한 입력을 가할 수 있다. The user may apply an input to the second graphic object 1352 of the third area 1350 on the subscription service page 1320 in order to check information (thumbnail) of content corresponding to a genre other than the preferred genre.

제어부(130)는 제2 그래픽 객체(1352)에 대해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2 영역에는 선호 장르에 해당하는 콘텐츠들의 썸네일이 사라지도록 제어하고, 선호 장르와 다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들의 썸네일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제2 그래픽 객체(1352)에 대한 입력에 근거하여 제2 영역(1340)에 제2 서브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econd graphic object 1352,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umbnails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genre to disappear from the second area, and displays contents corresponding to genres different from the preferred genre. You can control the display of thumbnails. That is, the controller 130 may output the second subpage to the second area 1340 based on the user's input to the second graphic object 1352 .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제3 영역에 출력된 그래픽 객체들에 대한 선택에 근거하여, 제2 영역에 출력되는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As such, the controller 130 may change information output to the second area based on selection of the graphic objects output to the third area.

도 14 및 도15와 함께 사용자 맞춤형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살펴본다. 14 and 15, the user-customized subscription service page 13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일 예로, 제1 사용자 계정(‘효스타’ 님)에 매칭된 선호 장르는 제1 장르(NOVEL)이고, 제어부(130)는 제1 사용자 계정(‘효스타’ 님)으로부터 이용권의 사용에 특화된 메뉴(1311, 무료 BOX 아이콘) 선택 요청을 수신하면, 도 1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영역(1340)에는 제1 장르(NOVEL)에 포함된 콘텐츠들의 썸네일들(1411, 1412, 1413, 1414)을 포함하는 제1 서브 페이지를 먼저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서브 페이지는 제3 영역(1350)의 제1 그래픽 객체(1351)과 연계된 서브 페이지일 수 있다. 제1 사용자 계정(‘효스타’ 님)으로부터 제3 영역(1350)의 제2 그래픽 객체(1351)에 대한 입력이 가해지면, 제어부(130)는 도 1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그래픽 객체(1351)와 연계된 제2 서브 페이지가 제2 영역(135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서브 페이지는, 제1 사용자 계정(‘효스타’ 님)의 선호 장르와는 다른 제2 장르(COMIX)에 포함된 콘텐츠들의 썸네일들(1421, 1422, 1423, 1424)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제3 영역(1350)의 제1 그래픽 객체(1351)에 입력을 가함으로써, 선호 장르인 제1 장르(NOVEL)에 포함된 콘텐츠들의 썸네일들(1411, 1412, 1413, 1414)을 제2 영역(1340)에 다시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eferred genre matched to the first user account ('Hyostar') is the first genre (NOVEL), and the control unit 130 is configured to specialize in the use of the right from the first user account ('Hyostar'). When a menu (1311, free BOX icon) selection request is received, thumbnails 1411 and 1412 of contents included in the first genre (NOVEL) ar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1340 as shown in FIG. , 1413, 1414) may be displayed first. This first subpage may be a subpage associated with the first graphic object 1351 of the third region 1350 . When input is applied to the second graphic object 1351 of the third area 1350 from the first user account ('Hyostar'), the controller 130, as shown in (b) of FIG. 14, The second subpage associated with the second graphic object 1351 can be controlled to be output to the second area 1350 . This second subpage may include thumbnails (1421, 1422, 1423, 1424) of contents included in a second genre (COMIX) different from the preferred genre of the first user account ('Hyostar'). can By applying an input to the first graphic object 1351 of the third region 1350, the user displays thumbnails 1411, 1412, 1413, and 1414 of contents included in the first genre NOVEL, which is a preferred genre, as a second graphic object 1351. Area 1340 can be output again.

다른 예로, 제2 사용자 계정(별 님)에 매칭된 선호 장르는 제2 장르(COMIX)이고, 제어부(130)는 제2 사용자 계정(‘별’ 님)으로부터 이용권의 사용에 특화된 메뉴(1311, 무료 BOX 아이콘) 선택 요청을 수신하면, 도 1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영역(1340)에 제2장르(COMIX)에 포함된 콘텐츠들의 썸네일들(1511, 1512, 1513, 1514)을 포함하는 제1 서브 페이지를 먼저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서브 페이지는 제3 영역(1350)의 제1 그래픽 객체(1351)과 연계된 서브 페이지일 수 있다. 제2 사용자 계정(‘별’ 님)으로부터 제3 영역(1350)의 제2 그래픽 객체(1351)에 대한 입력이 가해지면, 제어부(130)는 도 1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그래픽 객체(1351)와 연계된 제2 서브 페이지가 제2 영역(135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서브 페이지는, 제2 사용자 계정(‘별’ 님)의 선호 장르와는 다른 제1 장르(NOVEL)에 포함된 콘텐츠들의 썸네일들(1521, 1522, 1523, 1524)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제3 영역(1350)의 제1 그래픽 객체(1351)에 입력을 가함으로써, 선호 장르인 제2 장르(COMIX)에 포함된 콘텐츠들의 썸네일들(1511, 1512, 1513, 1514)을 제2 영역(1340)에 다시 출력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preferred genre matched to the second user account (byeol) is the second genre (COMIX), and the control unit 130 provides a menu specialized for use of a pass from the second user account (byeol) (1311, Free BOX icon), thumbnails 1511, 1512, 1513, and 1514 of contents included in the second genre (COMIX) ar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1340 as shown in (a) of FIG. ) may be displayed first. This first subpage may be a subpage associated with the first graphic object 1351 of the third region 1350 . When an input is applied to the second graphic object 1351 of the third region 1350 from the second user account ('star'),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first graphic object 1351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subpage associated with the graphic object 1351 can be controlled to be output to the second area 1350 . This second subpage may include thumbnails 1521, 1522, 1523, and 1524 of contents included in a first genre (NOVEL) different from the preferred genre of the second user account ('Star'). there is. By applying an input to the first graphic object 1351 of the third area 1350, the user displays thumbnails 1511, 1512, 1513, and 1514 of contents included in the second genre (COMIX), which is a preferred genre, as a second graphic object. Area 1340 can be output again.

또한, 제1 서브 페이지의 일 영역(1530)에는, 제2 사용자 계정(별 님)에 매칭된 선호 장르(COMIX)에 대응되는 추천 콘텐츠의 썸네일(1511, 1512)가 표시되고, 제1 서브 페이지의 다른 일 영역(1540)에는 제2 사용자 계정(별 님)에 매칭된 선호 장르(COMIX)에 대응되는 인기 콘텐츠의 썸네일(1513, 1514)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 페이지의 일 영역(1550)에는 제2 사용자 계정(별 님)에 매칭된 선호 장르와 다른 장르(NOVEL)에 대응되는 추천 콘텐츠의 썸네일(1521, 1522)가 표시되고, 제2 서브 페이지의 다른 일 영역(1560)에는 제2 사용자 계정(별 님)에 매칭된 선호 장르와 다른 장르(NOVEL)에 대응되는 인기 콘텐츠의 썸네일(1523, 1524)이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umbnails 1511 and 1512 of recommend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genre (COMIX) matched to the second user account (byeol) are displayed in one area 1530 of the first subpage, and the first subpage Thumbnails 1513 and 1514 of popular content corresponding to a preferred genre (COMIX) matched to the second user account (Byul) may be displayed on another area 1540 of . In addition, thumbnails 1521 and 1522 of recommended content corresponding to a genre (NOVEL) different from the preferred genre matched to the second user account (byeol) are displayed in one region 1550 of the second sub-page. Thumbnails 1523 and 1524 of popular content corresponding to a genre (NOVEL) different from the preferred genre matched to the second user account (Byul) may be displayed on another area 1560 of the subpage.

한편, 제2 영역(1340)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은,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장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서브 장르에 포함되는 콘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 일 수 있다. Meanwhile, the thumbnail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second area 1340 may be a thumbnail corresponding to a content included in at least one sub-genre among a plurality of sub-genres included in the preferred genre of the user account.

여기에서, 서브 장르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메인 장르인 제1 장르 및 제2 장르 각각의 하위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장르(NOVEL, 410)의 서브 장르는, ‘로맨틱 판타지 장르’, ‘무협 장르’, ‘시대극 장르’, ‘로맨스 장르’ 등과 같은 복수의 서브 장르(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제2 장르(COMIX, 420)의 서브 장르는, ‘순정 장르’, ‘소년 장르’, ‘드라마 장르’, ‘무협 장르’ 등과 같은 복수의 서브 장르(4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Here, as described above, the sub-genre may be understood as a sub-concept of each of the first genre and the second genre, which are the main genr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the sub-genre of the first genre (NOVEL, 410) includes a plurality of sub-genres such as 'romantic fantasy genre', 'martial arts genre', 'period drama genre', and 'romance genre'. At least one of the genres 430, and the sub-genres of the second genre (COMIX, 420) include a plurality of sub-genres (440 ) may be at least one of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되었던 콘텐츠들의 내용에 기반하여,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예를 들어, NOVEL)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장르(예를 들어, ‘로맨틱 판타지 장르’, ‘무협 장르’, ‘시대극 장르’, ‘로맨스 장르’, 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서브 장르(예를 들어, ‘로맨틱 판타지 장르’, ‘로맨스 장르’)를 특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controls a plurality of sub-genres (eg, 'romantic fantasy genre', 'martial arts genre') included in the preferred genre (eg, NOVEL) of the user account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viewed in the user account. ', 'period drama genre', 'romance genre', 430)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sub-genre (eg, 'romantic fantasy genre', 'romance genre') may be specified.

일 예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NOVEL)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장르(430) 중 ‘로맨틱 판타지 장르’ 및 ‘로맨스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열람 횟수가, 다른 서브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열람 횟수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로맨틱 판타지 장르’ 및 ‘로맨스 장르’를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장르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장르로 특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e number of viewing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omantic fantasy genre' and 'romance genre' among the plurality of sub-genres 430 included in the preferred genre (NOVEL) of the user account in the user account. If the number of reading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other sub-genres is relatively greater, 'romantic fantasy genre' and 'romance genre' may be specified as at least one sub-genre among a plurality of sub-genres included in the preferred genre of the user account. .

제어부(130)는, 특정된 서브 장르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을 제2 영역(1340)에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output a thumbnail corresponding to content included in the specified subgenre to the second area 1340 .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3 영역(1350)의 제2 그래픽 객체(1352)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와 다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을 제2 영역(1340)에 노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n input to the second graphic object 1352 in the third area 1350 from the user terminal, the controller 130 displays a thumbnail of content corresponding to a genre different from the preferred genre of the user account in the second area ( 1340) can be exposed.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와 다른 장르(COMIX)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장르(예를 들어, ‘순정 장르’, ‘소년 장르’, ‘드라마 장르’, ‘무협 장르’, 4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서브 장르(예를 들어, ‘순정 장르’, ‘소년 장르’)를 특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controls a plurality of sub-genres included in a genre (COMIX) different from the preferred genre of the user account (eg, 'genre of romance', 'genre of boys', 'genre of drama', 'genre of martial arts', 440). A sub-genr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sub-genres (eg, 'genre of genuine' and 'genre of boys') may be specified.

이 때, 제어부(13)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성별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와 다른 장르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장르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장르를 특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 may specify at least one sub-genre among a plurality of sub-genres included in genres different from the preferred genre of the user account, based on at least one of gender and age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user account. there is.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제3 영역(1350)의 제2 그래픽 객체(1352)에 대한 입력에 근거하여, 특정된 서브 장르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을 제2 영역(1340)에 출력할 수 있다.Based on the user's input to the second graphic object 1352 of the third area 1350, the controller 130 outputs a thumbnai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cluded in the specified subgenre to the second area 1340. can

일 예로,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가 ‘NOVEL’인 경우(1610), 제1 서브 페이지(‘NOVEL 탭’, 1611)에는 NOVEL 장르에 포함된 서브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노출되고, 제2서브 페이지(‘COMIX 탭’, 1612)에는, 사용자의 성별(1613)에 근거하여 특정된 서브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노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when the user account's preferred genre is 'NOVEL' (1610), the first sub-page ('NOVEL tab', 1611) displays content corresponding to a sub-genre included in the NOVEL genre. Thumbnails of are exposed, and on the second sub page ('COMIX tab', 1612), thumbnail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a sub-genre specified based on the user's gender 1613 may be exposed.

다른 예로,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가 ‘COMIX’인 경우(1620), 제1 서브 페이지(‘COMIX 탭’, 1621)에는 COMIX 장르에 포함된 서브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노출되고, 제2서브 페이지(‘NOVEL 탭’, 1622)에는, 사용자의 성별(1624)에 근거하여 특정된 서브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는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과 연계하여 저장된 서브 장르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되었던 콘텐츠가 없는 경우),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페르소나(persona)를 이용하여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를 특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성별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를 예측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16, when the user account's preferred genre is 'COMIX' (1620), the first sub-page ('COMIX tab', 1621) display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ub-genre included in the COMIX genre. Thumbnails of are exposed, and on the second subpage ('NOVEL tab', 1622), thumbnail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a sub-genre specified based on the user's gender 1624 may be exposed. Meanwhile,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a persona corresponding to the user account when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he subgenr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account (for example, when there is no content viewed in the user account).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preferred genre of the user account by using.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30 may predict the preferred genre of the user account based on at least one of gender and age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user account.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콘텐츠에 쉽고 직관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선호 장르에 따라 맞춤형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tom subscription service page 1320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red genr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intuitively access the preferred content.

한편, 앞서 살펴본 제1 서브 페이지 및 제2 서브 페이지는 각각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는 앞서 살펴본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선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표시되거나, 사용자의 정보(나이, 성별 등)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선호할 것이라고 예측(예상)되는 선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에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인기 있는 콘텐츠에 대한 썸네일 들이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each of the first subpage and the second subpage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gions. In the first area of the plurality of areas, thumbnail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genre matched to the user account described above are displayed, or preferences predicted (expected) that the user will prefer based on the user's information (age, gender, etc.) Thumbnail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genre may be displayed. Also, in a second area of the plurality of areas, thumbnails of popular content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may be displayed.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과 연계하여 저장된 서브 장르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되었던 콘텐츠가 없는 경우, 1630),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에 썸네일을 노출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살펴본, 제1 영역에 대해 콘텐츠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영역에는 인기 있는 콘텐츠에 대한 썸네일들이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30 displays a thumbnail on the subscription service page 1320 when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he subgenr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account (for example, when there is no content viewed in the user account, 1630). may not be exposed. In this case, content may not b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as described above, and thumbnails of popular content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영역에 표시된 썸네일들(1341, 1342)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1341, ‘재혼황후’의 썸네일)이 선택되면, 도 1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되는 특정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30, when one of the thumbnails 1341 (thumbnail of 'remarried empress') is selected from the thumbnails 1341 and 1342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from the user terminal, as shown in FIG. 13C. , a content entry page 1360 providing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humbnail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이러한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는, 도 1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i) 특정 콘텐츠(1361, ‘재혼황후’)와 관련된 정보가 출력되는 영역(1362), ii)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의 종류 및 개수와 관련된 정보가 출력되는 영역(1363), iii) 특정 콘텐츠(1361, ‘재혼황후’)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항목(1364a, 1364b)이 출력되는 영역 및 vi) 복수의 에피소드 중 특정 에피소드(예를 들어, 첫화 또는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되었던 에피소드의 다음 회차 에피소드)에 바로 접근하기 위한 기능 아이콘(1365)이 표시되는 영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C, such a content entry page 1360 includes: i) an area 1362 where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fic content 1361 ('Remarried Empress') is output, ii) the type of use right held in the user account and an area 1363 whe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is output, iii) an area where a plurality of items 1364a and 1364b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episodes included in the specific content 1361 ('Remarried Empress') are output, and vi) It may include any one of areas where a function icon 1365 for directly accessing a specific episode (eg, the first episode or the next episode of an episode viewed in a user account) among a plurality of episodes is displayed.

사용자는,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에 표시된 복수의 항목(1364a, 1364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항목(1364a, 1364b)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해당 항목에 대응되는 에피소드가 이용권에 의해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선택된 에피소드가 이용권에 의해 열람 가능하면, 사용자 계정에 선택된 에피소드에 매칭된 장르에 대응되는 특정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상기 특정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면, 특정 타입의 이용권을 차감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선택된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items 1364a and 1364b displayed on the content entry page 1360. When receiving a selection for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tems 1364a and 1364b from the user terminal, the control unit 130 may check whether an episod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tem is an episode that can be viewed according to the right to use. If the selected episode can be read based on the usage right,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whether a specific type of usage right corresponding to a genre matched to the selected episode exists in the user account. If the specific type of usage right exists in the user account, the controller 130 may deduct the specific type of usage right and provide the selected episode to the user terminal.

여기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었다는 것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응되는 “특정 에피소드를 열람하기 위한 요청”이 수신되었다고 이해될 수 있다.Here, "selection of one item" may be understood as the reception of a "request to view a specific episode" corresponding to the one item from the user terminal.

한편, 복수의 에피소드 중 특정 에피소드(예를 들어, 첫화 또는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되었던 에피소드의 다음 회차 에피소드)에 바로 접근하기 위한 기능 아이콘(1365)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Meanwhile, a function icon 1365 for directly accessing a specific episode (eg, the first episode or the next episode of an episode viewed in a user account) among a plurality of episodes will be described.

가장 최신에 연재된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에피소드 항목이 에피소드 리스트의 가장 상단에 배치되는 경우, 가장 처음에 연재된 에피소드부터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에피소드 리스트를 스크롤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편의 성을 제공하고자, 가장 처음에 연재된 에피소드로 바로 접근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 아이콘(1365)을 제공할 수 있다.When an episode item corresponding to the latest serialized episode is placed at the top of the episode list, a user who wants to use the first serialized episode may have to scroll through the episode list.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vide convenience, a function icon 1365 may be provided to provide a function of directly accessing the first serialized episode.

예를 들어, 도 1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의 일 영역에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들 중 특정 에피소드로의 접근을 위한 기능 아이콘(1365)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특정 에피소드는, 복수의 에피소드들 중 가장 처음에 연재된 에피소드일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C , a function icon 1365 for access to a specific episode among a plurality of episodes constituting specific content may be provided in one area of the content entry page 1360. . Here, the specific episode may be the first serialized episode among a plurality of episodes.

한편, 상기 기능 아이콘(1365)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기능 아이콘(1365)에 매칭된 특정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전자기기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기능 아이콘(1365)에 매칭된 특정 에피소드는,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들 중 가장 첫번째 연재된 에피소드일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function icon 1365 is selected,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conte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episode matched to the function icon 1365 on the electronic device. Here, the specific episode matched with the function icon 1365 may be the first serialized episode among a plurality of episodes constituting specific content.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기능 아이콘(1365)에는,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한 특정 에피소드가 매칭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한 특정 에피소드는, 상기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들 중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열람한 이력이 있는 에피소드일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한 특정 에피소드는, 상기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들 중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열람한 이력이 있는 에피소드의 다음회(또는 다음화)에 해당하는 에피소드일 수 있다. Alternatively, a specific episode based on user history information may be matched to the function icon 1365 . Here, the specific episode based on the user history information may be an episode of which the user most recently browsed among a plurality of episodes constituting the specific content. Alternatively, the specific episode based on the user history information may be an episode corresponding to the next (or next episode) of the episode the user most recently viewed among the plurality of episodes constituting the specific content. there i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맞춤형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 하는 장르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소비를 유도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customized subscription service page 1320 to provide convenience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access the preferred genre and continue to consume the user's content. can induce

한편,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이용권은, 속성(이용 대상(열람 가능한 콘텐츠), 이용권 지급 방법(또는 지급 조건), 이용권의 유효기간 등)이 서로 다른 이용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속성이 서로 다른 이용권을 제1 속성의 이용권, 제2 속성의 이용권으로 명명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use righ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use right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subject to use (contents that can be viewed), payment method (or payment condition) of use right, expiration date of the use right,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usage rights having different attributes are named as the usage rights of the first attribute and the usage rights of the second attribute.

제1 속성의 이용권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장르에 포함된 콘텐츠 열람에 이용되는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장르에 포함된 콘텐츠의 열람에 이용되는 제2 타입의 이용권을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ight of use of the first attribute may include a right of use of the first type used to view contents included in the first genre and a right of use of the second type used to view contents included in the second genre. there is.

이러한, 제1 속성의 이용권은 반복되는 기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각각의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인 경우에, 지급될 수 있다. Such use rights of the first attribute may be provided at repeated preset times, when the number of each type of use vouchers held in the user account is less than the preset number.

또한, 제1 속성의 이용권은, 제1 속성의 이용권은, 제1 속성의 이용권 타입(예를 들어, 제1 이용권 타입)에 대응되는 장르(예를 들어, 제1 장르 NOVEL)에 포함되는 콘텐츠 중, 이용권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알리는 정보가 매칭된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이용권을 의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ight to use of the first attribute is content included in a genre (eg, first genre NOVEL) corresponding to the right to use of the first attribute (eg, the first type of right to use). Among them, the right to use may mean the right to use content matched with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right to use is available.

즉, 제1 속성의 이용권은 특정된 복수의 콘텐츠(또는 에피소드)에 사용될 수 있다. That is, the use right of the first attribute may be used for a plurality of specified contents (or episodes).

한편, 제2 속성의 이용권은 특정된 하나의 콘텐츠에만 사용가능한 이용권을 의미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ight of use of the second property may mean a right of use usable only for one specific content.

이러한 제2 속성의 이용권은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정 콘텐츠(예를 들어, ‘재혼황후’)의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을 통해서 사용자 계정에 지급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특정 콘텐츠(예를 들어, ‘재혼황후’)의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와 함께, 제2 속성의 이용권 지급과 관련된 정보(1710, 1720)을 출력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7 , the right to use the second attribute may be paid to a user account through a content entry page 1360 of specific content (eg, 'Remarried Empress'). The controller 130 may output information 1710 and 1720 related to the payment of the second attribute along with the content entry page 1360 of specific content (eg, 'Remarried Empress').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예를 들어, ‘재혼황후’)의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에 출력된 제2 속성의 이용권 지급과 관련된 정보(1710, 1720)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특정 콘텐츠의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2 속성의 이용권을 사용자 계정에 지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1710 and 1720 related to the payment of the voucher of the second property, which is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on the content entry page 1360 of specific content (for example, 'remarried empress'). In this case, the right to use the second attribute usable for viewing specific conten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ccount.

이러한 제2 속성의 이용권은, 제1 속성의 이용권과 지급 방법(또는 지급 조건) 역시,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제2 속성의 이용권은 특정 시간에(예를 들어, 매일 22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특정 시간(예를 들어, 매일 22시)에 , 특정 콘텐츠(예를 들어, ‘재혼황후’)의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에 제2 속성의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1710)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right to use of the second attribute may also differ from the right to use the first attribute in a payment method (or payment condition). For example, the right to use the second attribute may be provided at a specific time (eg, 22:00 every day).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30 provides information 1710 related to the use right of the second property on the content entry page 1360 of a specific content (eg, 'Remarried Empress') at a specific time (eg, every day at 22:00). output can be controlled.

한편, 사용자 계정에 제1 속성의 이용권 및 제2 속성의 이용권이 모두 지급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요청에 근거하여, 제1 속성의 이용권 및 제2 속성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를 차감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both the right to use the first attribute and the right to use the second attribute have been provided to the user account,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e right to use the first attribute and the right to use the second attribute based on the viewing request for the specific episod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y one of the 2 property rights can be deducted.

이 때, 특정 에피소드의 열람 요청에 근거하여 차감되는 제1 속성의 이용권은, 특정 에피소드의 콘텐츠에 매칭된 장르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 타입이고, 제2 속성의 이용권은 특정 에피소드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임은 당연하다. At this time, the right of use of the first property deducted based on the request to view a specific episode is a type of right of use that can use a genre matched to the content of a specific episode, and the right of use of the second property is a type of right of use that can use the content of a specific episode. Of course, it is the right to use.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이용권 차감 순서에 근거하여, 제1 속성의 이용권 및 제2 속성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를 차감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30)는 제1 속성의 이용권 및 제2 속성의 이용권 중 유효기간이 빠른 이용권을 우선하여 차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급 시점이 빠른 이용권을 우선하여 차감하거나, 사용자 계정에 의해 선택된 이용권을 우선하여 차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제1 속성의 이용권 및 제2 속성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의 이용권을 선택 받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사용자단말기에 제1 속성의 이용권 및 제2 속성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기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deduct any one of the first attribute usage right and the second attribute usage right based on a preset usage right deduction order.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preferentially deduct a right of use having a shorter validity period among the right of use of the first attribute and the right of use of the second attribute. As another example, a use right with an early payment point may be preferentially deducted, or a use right selected by a user account may be deducted with priority.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a selection for an item corresponding to a specific episode from the user terminal in order to receive a selection of a right to use of the first attribute or a right to use of the second attribute from the user account,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for receiving a selection of one of the right of use of the first attribute and the right of use of the second attribute may be output.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이용권 차감 순서에 근거하여, 제1 속성의 이용권 및 제2 속성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를 차감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에피소드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deduct any one of the first attribute and the second attribute based on a preset order of deduction of the right to use, and output an episod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to the user terminal.

한편, 위의 제2 속성의 이용권은, 제3 타입의 이용권이라고도 명명될 수 있다.Meanwhile, the right of use of the second attribute above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right of use of the third type.

즉, 사용자 계정에는, 앞서 살펴본,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되는 조건과 다른 지급 조건을 갖는 제3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될 수 있다.That is, the user account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type of use right having payment conditions different from those for the above-described first type of use right and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예를 들어,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급되는 이용권일 수 있고,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은 특정 시간에만(예를 들어, 매일 밤 10시) 지급되는 이용권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type of voucher and the second type of voucher may be vouchers pai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third type of voucher may be issued only at a specific time (eg, every night at 10:00). ) may be a paid voucher.

또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은, 특정 장르의 콘텐츠에 대해서만 이용 가능하고,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은 콘텐츠의 장르에 관계없이 모두 이용가능한 이용권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ype of usage right and the second type of usage right may be available only for content of a specific genre, and the third type of usage right may be a usage right that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genre of the content.

한편, 제3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되는 이용권 지급 조건은 시간(또는 시점)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3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되는 시점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하루 중 기 설정된 특정 시간(예를 들어, 매일 밤 10시)에 사용자 계정에 지급되거나, 기 설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어, 24시간 간격)마다 사용자 계정에 지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 right payment conditions for which the third type of use right is paid may be made based on time (or timing). At this time, the timing at which the third type of voucher is pai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t is paid to the user account at a predetermined specific time of the day (eg, 10:00 every night), or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eg, 24-hour intervals) may be credited to the user's account.

즉, 제3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되는 기 설정된 이용권 지급 조건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과 관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되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과,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지급되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t use right payment condition for providing the third type of use right may be related to a preset time interval. In this case, a preset time interval at which the third type of voucher is paid may be different from a preset time interval at which the first type of voucher and the second type of voucher are supplied.

예를 들어, 제3 타입의 이용권은 24시간 마다 지급되고, 제1 타입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은, 2시간 마다 지급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rd type of vouchers may be issued every 24 hours, and the first and second types of vouchers may be paid every 2 hours.

제어부(130)는 현재 시간인, 제3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되는 이용권 지급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인 경우, 사용자 계정에 제3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개수만큼 지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a predetermined number of third-type use rights to the user account when the current time satisfies the use right payment condition for which the third type of use right is paid.

한편, 특정 콘텐츠가,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을 통해 열람 가능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요청에 근거하여,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제1 내지 제3 타입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를 차감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specific content is set to be viewable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type of use right and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or the third type of use right, a viewing request for a specific episode included in the specific content Based on this, the controller 130 may deduct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types of use rights held in the user account.

이때, 제어부(130)는 제1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차감시, 특정 콘텐츠의 장르를 확인하고, 확인된 장르에서 사용가능한 타입의 이용권을 차감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may check the genre of the specific content when deducting the first and second types of usage rights, and subtract the usage rights of a usable type from the identified genre.

한편,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상기 특정 콘텐츠의 장르에서 이용가능한 이용권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상기 특정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을 통해 열람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re is no use right available for the genre of the specific content among the first type of use right and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in the user account, the specific content is the third type of use right held in the user account. It can be made available for reading through.

나아가, 사용자 계정에, 특정 콘텐츠에 이용가능한 복수의 이용권이 존재하는 경우,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다양한 우선순위(예들 들어, 발급 시점, 소멸 기한 등)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이용권을 우선하여 차감할 수 있다.Furthermore, if there are multiple use rights available for a specific content in the user account, as discussed above, based on various priorities (eg, issuance time, expiry date, etc.), any one use right is preferentially deducted. can do.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흥미를 유도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속성의 이용권을 지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로 다른 속성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duce the user's interest in various cont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ight to use of different properties, and the right to use any one of these different properties can be used to view the content.

한편, 제어부(130)는 이용권의 속성(또는 타입)에 따라,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서로 다른 복수의 이용권에 대한 이용권 소진(사용)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확인하고, 확인 결과 사용가능한 복수의 이용권이 존재하는 경우, 이용권들 간에 설정된 이용권 소진 순서에 근거하여, 이용권을 순차적으로 소진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30 may set a priority for exhaustion (usage) of the use rights for a plurality of different use rights held in the user account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r types) of the use rights.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checks the usage rights held in the user account when there is a request to view the episode, and if there are a plurality of available usage rights as a result of the check, based on the order of exhaustion of the usage rights set among the usage rights, Tickets can be exhausted sequentially.

예를 들어, 열라 요청이 수신된 에피소드가, 제1 장르의 콘텐츠이고,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1 장르의 콘텐츠에 이용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과 앞서 살펴본, 콘텐츠의 장르에 관계없이 이용 가능한 제3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자.For example, if the episode for which the request to open is received is content of a first genre, the user account has a first type of license available for the content of the first genre and a second type of license available regardless of the genre of the content as described above. Assume that there are three types of right of use.

나아가, 이용권 간의 이용권 소진 우선 순서는, 콘텐츠의 장르에 관계없이 이용 가능한 제3 타입의 이용권이, 콘텐츠 장르에 따라 이용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또는 제2 타입의 이용권)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priority order of exhaustion of usage rights among usage rights may be set so that the third type usage rights available regardless of the genre of the content is higher than the first type usage rights (or the second type usage rights) available according to the content genre. .

이 경우, 제어부(130)는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확인하고, 확인 결과 사용자 계정에 제3 타입의 이용권과 제1 타입의 이용권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계정에서 제3 타입의 이용권을 우선적으로 소진(차감)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과,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 간에는, 이용권 차감 순서가 기 특정되어 존재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checks the usage rights held in the user account when there is a request to view the episode, and as a result of the check, if both the third type usage rights and the first type usage rights exist in the user account, the user The third type of right of use may be exhausted (deducted) from the account first, and the episod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hat is, between the first type of use right,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and the third type of use right, a specified order of deduction of the use right may exist.

따라서, 제어부(130)는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요청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특정 에피소드를 열람하기 위하여 사용 가능한 서로 다른 타입의 이용권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용권 차감 순서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서로 다른 타입의 이용권들 중 어느 하나를 우선하여 차감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troller 130 checks the usage rights held in the user account based on the viewing request for the episode, and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the user account has different types of usage rights usable for viewing the specific episode. If there is, any one of the different types of usage rights held in the user account may be deducted with priority based on the order of deduction of the usage rights.

이때, 이용권 차감 순서는,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이,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또는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보다 먼저 차감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rder of deduction of the use right may be set so that the use right of the third type is deducted before the right of use of the first type or the right of the second type.

이러한, 이용권 차감 순서 및 이용권들에 대한 이용에 대한 규칙에 대한 정보 등은, 저장부에 저장되어 존재할 수 있다.Such information on the order of deduction of usage rights and rules for using usage rights may be stored and present in the storage unit.

한편, 지금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이용권을 통해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도록, 이용권을 지급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통해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도록, 이용권의 사용이 허용된 특정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Meanwhile,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a right to use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content through the right has been described so far. Hereinafter,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 with specific content permitted to use a right of use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content through the right of use held in the user account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이용권 사용에 특화된 메뉴(1311, 무료 BOX 아이콘) 선택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1810, 도 18 참고). First, 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receiving a request for selecting a menu (1311, free BOX icon) specialized for use of a license from a user terminal may proceed (S1810, see FIG. 18).

여기에서, 이용권 사용에 특화된 메뉴(무료 BOX 아이콘, 1311)는, 이용권 사용과 관련된 특정 페이지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용권 사용과 관련된 특정 페이지를,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무료 BOX 페이지, 1320)로 명명할 수 있다. Here, a menu (free box icon, 1311) specialized for use of a pass may be associated with a specific page related to use of a pass. In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page related to use of a license may be named a license service page (free BOX page, 1320).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는, 이용권 사용에 특화된 메뉴(무료 BOX 아이콘, 1311) 선택 요청에 근거하여,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들에 각각 대응되는 서로 다른 복수의 장르 중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선호 장르를 확인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1820, 도 18참고)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a request for selecting a menu (free BOX icon, 1311) specialized for use of a right to use, among a plurality of different genre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provid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logged in user terminals A process of checking the preferred genre matched to the user account may proceed (S1820, see FIG. 18).

여기에서,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선호 장르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1 장르 및 제2 장르 중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더 선호하는 장르로 이해될 수 있다. Here, the preferred genre matched to the user account may be understood as a genre that the user prefers relatively more among the first genre and the second gen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사용자 계정에는, 사용자 계정에서 더 선호하는 특정 선호 장르에 대한 정보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선호 장르는, 기 설정된 선호 장르 특정 조건에 근거하여 특정될 수 있다. The user account may be matched with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preferred genre preferred by the user account. Such a preferred genre may be specified based on a preset preferred genre specific condition.

일 예로, 제어부(130)는 제1 장르 및 제2 장르 중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된 횟수(또는 빈도)가 더 큰 장르를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로 특정하고, 특정된 선호 장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계정에 매칭할 수 있다. 이러한 기 설정된 선호 장르 특정 조건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specifies a genre with a greater number (or frequency) of being viewed in the user account among the first genre and the second genre as the preferred genre of the user account,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specified preferred genre to the user account. can be matched to The preset preference genre specific condition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선호 장르에 대한 확인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메뉴에 연계된 특정 페이지(서비스 이용권 페이지, 1320)와 함께, 특정 페이지(서비스 이용권 페이지, 1320) 상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의 정보 및 선호 장르에 해당하는 콘텐츠들의 썸네일(thumbnail)을 제공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1830, 도 18 참고)Next, 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onfirmation of the preferred genre matched to the user account, a specific page (service voucher page, 1320) linked to the menu is displayed in the user terminal. Page 1320), a process of providing thumbnail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right to use held in the user account and the preferred genre may proceed (S1830, see FIG. 18).

여기에서,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의 정보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의 타입(또는 타입), 사용권 계정에 최대로 보유 가능한 이용권의 개수(또는 이용권 타입별 최대로 보유 가능한 이용권의 개수), 사용권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의 개수(또는 이용권 타입별 보유된 이용권의 개수), 이용권 지급과 관련된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information on the tickets held in the user account includes the type (or types) of tickets held in the user account, the maximum number of tickets that can be held in the user account (or the maximum number of tickets that can be held for each ticket type), It may include the number of licenses held in the license account (or the number of licenses held for each license type), time information related to payment of licenses, and the like.

이러한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의 정보는, 서비스 이용권 페이지(1320)의 제1 영역(1330, 도 13b) 노출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The information on the right to use held in the user account is exposed in the first area 1330 (FIG. 13B) of the service right page 1320,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ight to use that he/she possesses.

한편, 제어부(130)는 서비스 이용권 페이지(1320)의 제2 영역(1340, 도 13b 참고)에 선호 장르에 해당하는 콘텐츠들의 썸네일(thumbnail)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선호 장르가 제1 장르(또는 제2 장르)이면, 제어부(130)는 제1 장르(또는 제2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을 제2 영역(1340)에 표시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thumbnails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genre in the second area 1340 (refer to FIG. 13B) of the service voucher page 1320. If the preferred genre matched to the user account is the first genre (or second genre),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thumbnail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genre (or second genre) on the second area 1340. there is.

이 때,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선호 장르에 대응되는 복수의 콘텐츠들 중,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통해 이용 가능한 콘텐츠의 썸네일이 상기 제2 영역(1340)상에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among a plurality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genre matched to the user account, displays thumbnails of contents usable through a use right held in the user account on the second area 1340. You can control it.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선호 장르에 대응되는 복수의 콘텐츠들 각각에 매칭된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태 정보에,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임을 알리는 정보가 포함된 콘텐츠의 썸네일을 상기 제2 영역(1340)상에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30 may check status information matched to each of a plurality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a preferred genre matched to a user account.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a thumbnail of content includ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episode is viewable with a license in the status information to be exposed on the second area 1340 .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르 중 사용자가 보유한 이용권을 통해 무료로 열람 가능한 콘텐츠의 썸네일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이용권을 통한 선호하는 콘텐츠 소비에 보다 직관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thumbnails of content that can be viewed free of charge through the user's right of use among genres preferred by the user, the user can more intuitively access the preferred content consumption through the right of use.

이하에서, 이용권의 사용이 허용된 콘텐츠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30)는 도19에 도시된 것과 같은 페이지(또는 화면)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Hereinafter, content for which use of a right of use is allow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irst, the controller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page (or screen)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9 .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요청(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웹 브라우저를 통한 접속 또는 이용권의 사용에 특화된 메뉴 선택 등)에 근거하여,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 이용권 사용이 허용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를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based on the user's request (execution of an application, connection through a web browser, selection of a menu specialized for use of a use right, etc.) A subscription service page 1320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19 .

이러한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는, 도 1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i)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의 정보가 포함되는 제1 영역(1920), ii)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에 해당하는 콘텐츠들의 썸네일(thumbnail)이 포함되는 제2 영역(1940, 1950), iii) 제2 영역 상에 선호 장르와 다른 장르의 콘텐츠들의 썸네일이 표시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3 영역(1930) 중 어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9 (a), the use right service page 1320 includes i) a first area 1920 containing information on the right to use held in the user account, ii)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genre of the user account. Among the second areas 1940 and 1950 including thumbnails of contents, iii) a third area 1930 that receives a user input for displaying thumbnails of contents of a genre different from the preferred genre on the second are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m.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1920, 1930, 1940, 1950)을 통칭하는 용어로, 제1 타입의 영역(1920, 1930, 1940, 1950)으로 명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to third regions 1920, 1930, 1940, and 1950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first type regions 1920, 1930, 1940, and 1950.

나아가, 도 1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에는 제1 타입의 영역(1920, 1930, 1940, 1950)과 구분되는 제2 타입의 영역(19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more, as shown in FIG. 19(a), the subscription service page 13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ype area 1910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type area 1920, 1930, 1940, and 1950. there is.

이러한 제2 타입의 영역(1910)은, 제1 그래픽 객체(1911) 및 제2 그래픽 객체(1912) 그래픽 객체(1911, 19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타입의 영역(1910)의 복수의 그래픽 객체(1911, 1912)를, 앞서 설명한 그래픽 객체들과 구분하기 위하여, 제3 그래픽 객체(1911) 및 제4 그래픽 객체(1912)로 명명하도록 한다. The area 1910 of the second type may include a first graphic object 1911 , a second graphic object 1912 , and graphic objects 1911 and 1912 .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istinguish the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1911 and 1912 of the second type area 1910 from the previously described graphic objects, a third graphic object 1911 and a fourth graphic object 1912 are provided. let it be named

이러한 제3 그래픽 객체(1911) 및 제4 그래픽 객체(1912)는 각각 제1 타입의 영역(1920, 1930, 1940, 1950)에 표시되는 서로 다른 정보들과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The third graphic object 1911 and the fourth graphic object 1912 may be associated with different pieces of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irst type regions 1920, 1930, 1940, and 1950,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제3 그래픽 객체(1911)는 도 1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의 정보(또는 제1 영역(1920)에 표시되는 정보), 콘텐츠의 썸네일과 관련된 정보(또는 제2 영역(1940, 1950)에 표시되는 정보), 콘텐츠 썸네일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와 관련된 정보(또는 제3 영역(1930)에 표시되는 정보, 1390)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9(a), the third graphic object 1911 includes information on the use right held in the user account (or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920)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thumbnail of the content. (or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econd areas 1940 and 1950)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graphic object associated with the content thumbnail (or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hird area 1930, 1390).

이와 달리, 제4 그래픽 객체(1912)는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계정이 보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 정보(List, 2100)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21 , the fourth graphic object 1912 may be associated with list information (List, 2100) including at least one piece of usage right information that a user account may possess.

제어부(130)는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에 제3 그래픽 객체(1911)와 연계된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기본 값(디폴트(default)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요청(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웹 브라우저를 통한 접속 또는 이용권의 사용에 특화된 메뉴 선택 등)이 있으면,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와 함께 제3 그래픽 객체(1911)와 연계된 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may set exposure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third graphic object 1911 on the right to use service page 1320 as a default value (default value). That is, if there is a user's request (execution of an application, connection through a web browser, or selection of a menu specialized for use of a license, etc.),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third graphic object 1911 along with the license service page 1320. Relevant information can be exposed.

제어부(130)는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 상에 제3 그래픽 객체(1911)와 연계된 정보가 노출된 상태에서, 제4 그래픽 객체(1912)에 대해 사용자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2 타입의 영역에 사용자 계정이 보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 정보(List, 2100, 도 21 참고)가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a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fourth graphic object 1912 in a state in which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third graphic object 1911 is exposed on the right to use service page 1320,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e second type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list information (List, 2100, see FIG. 21) including at least one piece of right-of-use information that can be held by a user account is exposed in the area.

상기 리스트 정보(2100)는 이용권으로 무료로 열람이 가능한 콘텐츠에 각각 대응되는 항목을 포함하는 리스트에 해당할 수 있다.The list information 2100 may correspond to a list including items corresponding to contents that can be viewed free of charge with a usage right.

한편, 상기 사용자 계정이 보유 가능한 이용권 정보는, 사용자가 이용권을 통해 무료로 열람할 수 있는 콘텐츠에 대한 이용권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 right information that the user account can hold may refer to use right information on content that the user can browse free of charge through the use right.

이러한 이용권 정보는, “선물함” 또는 “선물박스”라는 용어의 서비스 페이지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21에서는, 리스트 형식으로 이용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이용권 정보는 이용권 제공이 가능한 콘텐츠의 썸네일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Such use righ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service page termed “gift box” or “gift box”. In FIG. 21, although the use right informa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list, such use righ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s thumbnails of contents for which the right to use can be provided.

나아가, 제어부(130)는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 상에 제2 타입의 영역에 사용자 계정이 보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 정보(List, 2100, 도 21 참고)가 노출된 상태에서, 제3 그래픽 객체(1911)에 대해 사용자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2 타입의 영역에 제3 그래픽 객체(1911)와 연계된 정보가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list information (List, 2100, see FIG. 21) including at least one piece of usage right information that can be held by a user account in the second type area on the usage right service page 1320, in a state in which it is exposed. , When a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third graphic object 1911,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third graphic object 1911 may be controlled to be exposed in the second type area.

한편, 1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타입의 영역(1910)은 제2 타입의 영역(1960)이 스크롤(scroll) 되는 것에 관계없이, 고정되어 사용자 단말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제1 타입의 영역(1910)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제2 타입의 영역(1920, 1930, 1940, 1950, 1960)을 스크롤 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19(b), the first type area 1910 may be fixed and output on the user terminal regardless of whether the second type area 1960 is scrolled. That is, the controller 130 can scroll the second type area 1920 , 1930 , 1940 , 1950 , and 1960 without changing the output position of the first type area 1910 .

한편, 도 1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타입의 영역(1960)이 스크롤되는 경우, 제2 타입의 영역(1960)에는 썸네일 전환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1970)가 표시(또는 오버랩)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9(b), when the second type area 1960 is scrolled, a graphic object 1970 related to thumbnail conversion is displayed (or overlaps) on the second type area 1960. It can be.

이러한, 썸네일 전환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197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2 타입의 영역(1960)에, 현재 표시되는 콘텐츠의 썸네일과 다른 콘텐츠의 썸네일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a user's input is applied to the graphic object 1970 related to thumbnail conversion, the controller 130 displays a thumbnail of the currently displayed content and a thumbnail of another content in the second type area 1960. You can control it.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2 타입의 영역(1960)에 사용자 계정의 메인 장르에 대응되는 선호 장르(NOVEL)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썸네일 전환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197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2 타입의 영역(1960)에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와 다른 메인 장르(COMIX)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a graphic object related to thumbnail conversion in a state where thumbnail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genre NOVEL corresponding to the main genre of the user account are displayed in the second type area 1960. When a user's input is applied to (1970), the second type area (1960)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thumbnail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a main genre (COMIX) different from the preferred genre of the user account.

제2타입의 영역(1960)에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와 다른 메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표시되는 경우, 상기 다른 메인 장르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2타입의 영역(1960)에는 상기 다른 메인 장르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장르 중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선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표시될 수 있다.When thumbnails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a main genre different from the preferred genre of the user account are displayed in the second type area 1960, thumbnails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sub-genre belonging to the different main genre may be displayed. there is. In this case, thumbnail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a preferred genre matched to a user account among at least one sub-genre belonging to the other main genre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type area 1960 .

예를 들어, 제2 타입의 영역(1960)에 사용자 계정의 메인 장르에 대응되는 선호 장르(NOVEL)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썸네일 전환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197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2 타입의 영역(1960)에 상기 메인 장르에 대응되는 선호 장르(NOVEL)와 다른 메인 장르(COMIX)와 관련된 콘텐츠가 표시된다. 이때, ‘COMIX’ 장르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장르 중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선호 장르(드라마, 로맨스, 코미디)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제2타입의 영역(1960)에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umbnail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genre (NOVEL) corresponding to the main genre of the user account are displayed in the second type area 1960, the graphic object 1970 related to thumbnail conversion is displayed. When a user's input is applied, content related to a main genre (COMIX) different from the preferred genre (NOVEL) corresponding to the main genre is displayed in the second type area 1960 . At this time, a thumbnail of content corresponding to a preferred genre (drama, romance, comedy) matched to the user account among at least one sub-genre belonging to the 'COMIX' genre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type area 1960.

한편,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과 관련된 서브 페이지가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 상에 표시하는 것을 기본 값(디폴트(default)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30 sets the display of the sub-page related to the thumbnail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genre of the user account on the subscription service page 1320 as a default value (default value). can

예를 들어, 도 20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가 ‘NOVEL’인 경우,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 상에는 ‘NOVEL’ 장르의 콘텐츠 썸네일과 관련된 서브 페이지(또는 ‘NOVEL 탭’, 1931)이 먼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20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가 ‘COMIX’인 경우,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 상에는 ‘COMIX’ 장르의 콘텐츠 썸네일과 관련된 서브 페이지(또는 ‘COMIX 탭’, 1932)이 먼저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20, when the user account's preferred genre is 'NOVEL', on the subscription service page 1320, a subpage related to content thumbnails of the 'NOVEL' genre (or 'NOVEL tab', 1931) may be displayed first.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b) of FIG. 20, when the user account's preferred genre is 'COMIX', on the subscription service page 1320, a subpage related to the content thumbnail of the 'COMIX' genre (or 'COMIX tab ', 1932) may be displayed first.

이와 함께, ‘COMIX’ 장르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장르 중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선호 장르(드라마, 로맨스, 코미디)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제2타입의 영역(1960)에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umbnails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a preferred genre (drama, romance, comedy) matched to a user account among at least one sub-genre belonging to the 'COMIX' genre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type area 196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는,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이 보유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에 콘텐츠(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콘텐츠(에피소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Meanwhile,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account has the right to use, content (episod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ccount based on the user's request. Hereinafter,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episode)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use right held in a user accou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서는, 콘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thumbnail)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2110, 도 22참조)In the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providing a page including a thumbnai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may proceed (S2110, see FIG. 22).

“콘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thumbnail)을 포함하는 페이지”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이용권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무료 BOX 페이지, 1320, 도 23 참조)의미할 수 있으며, 이용권과 관계없이 콘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을 제공하는 페이지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page containing thumbnails corresponding to content” may mean a subscription service page (free BOX page, 1320, see FIG. 23) that provides services related to usage rights, regardless of usage rights. It may be a page providing thumbnails corresponding to content.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무료 BOX 페이지, 1320, 도 23 참조)를 콘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thumbnail)을 포함하는 페이지의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subscription service page (free BOX page, 1320, see FIG. 23)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page including thumbnails corresponding to content.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에는, 제1 장르 및 제2 장르 중 어느 하나의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제1 장르 및 제2 장르 중 어느 하나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선호 장르이고, 다른 하나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선호 장르와 다른 장르일 수 있다. The right to use service page 1320 may include thumbnail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first genre and the second genre. In this case, one of the first genre and the second genre may be a preferred genre matched to the user account, and the other may be a genre different from the preferred genre matched to the user account.

제어부(130)는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에,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선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 값(디폴트(default)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set, as a basic value (default value), that a thumbnail of a content corresponding to a preferred genre matched to a user account is provided on the subscription service page 1320 .

나아가, 제어부(130)는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에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선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의 일 영역에 대한 입력이 가해지면,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에 상기 선호 장르와 다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을 노출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130, in a state where a thumbnail of a content corresponding to a preferred genre matched to a user account is exposed on the subscription service page 1320, when an input is applied to one area of the subscription service page 1320, Thumbnail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genres different from the preferred genre may be displayed on the subscription service page 1320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썸네일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2120, 도 22참조) Meanwhile, 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receiving a selection for a thumbnail from a user terminal may proceed (S2120, see FIG. 22).

사용자는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에 표시된 복수의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예를 들어, ‘재혼황후’의 썸네일)을 선택할 수 있다(도 13b 참고). 이러한 사용자의 썸네일에 대한 선택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thumbnails displayed on the subscription service page 1320 (eg, the thumbnail of the 'remarried empress') (see FIG. 13B ). The user's selection of the thumbnail may b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썸네일에 대한 선택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에 대한 에피소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S2130). Based on the selection of the thumbnai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with an episode list for a plurality of episodes included i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humbnail (S2130).

여기에서, 에피소드 리스트(또는 리스트, 리스트 정보)는, 복수의 에피소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항목(item, 330)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episode list (or list, list inform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items 330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episodes.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의 썸네일(예를 들어, ‘재혼황후’의 썸네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면, 특정 콘텐츠(‘재혼황후’)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항목(1364a, 1364b)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도 13b 및 도 13c 참고).For example, when receiving a user's input for a thumbnail of specific content (eg, a thumbnail of 'remarried empress') from the user terminal, the controller 130 display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pecific content ('remarried empress'). A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items 1364a and 1364b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episode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see FIGS. 13B and 13C).

사용자는 단말기(200)에 표시된 에피소드 리스트 중 특정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특정 항목에 대한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특정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특정 항목에 대한 선택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The user may input a selection for a specific item corresponding to a specific episode from the episode list displayed on the terminal 200 . Selection of a specific item corresponding to a specific episode of the user may b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서, 특정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특정 항목에 대한 선택은,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요청을 의미할 수 있다. Here, selection of a specific item corresponding to a specific episode may mean a request to view the specific episod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에피소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2140).Next, 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y one item from the episode list i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a process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user account logged in to the user terminal has the right to use a specific episode is performed. It can (S2140).

본 발명에서 “사용자 계정에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권한이 존재한다”는 것은, 특정 에피소드에 매칭된 이용권 정보에 대응되는 이용권이 사용자 계정에 매칭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account has the right to use a specific episode" may mean that the right to use corresponding to the right to use information matched to the specific episode is matched to the user account.

여기서, 특정 에피소드에 매칭된 이용권 정보에 대응되는 이용권이 사용자 계정에 매칭되어 있다 함은 두 가지 의미로 설명될 수 있다. 첫 번째로 사용자 계정이 상기 특정 에피소드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을 보유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이용권 차감을 기반으로 사용자 계정에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사용자 계정이 이용권 차감을 통해 상기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권한 획득한 상태이다. 사용자 계정은 이용권 차감을 통해 소정 기간 내 또는 영구적으로 상기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Here, that the usage right corresponding to the usage right information matched to a specific episode is matched to the user account can be explained in two meanings. First, it is a case where the user account has the right to use the specific episod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account has the right to use a specific episode based on the deduction of the right to use. Second, the user account has acquired the right to use the specific episode through deduction of the right to use. The user account may acquire the right to use the specific episode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r permanently through deduction of the right to use.

제어부(130)는 특정 에피소드에 매칭된 이용권 정보에 대응되는 이용권이 사용자 계정에 매칭되어 있으면, 사용자 계정에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use right corresponding to the use right information matched to the specific episode is matched with the user account,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account has the use right for the specific episode.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S2150). Next, in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onfirmation result, the specific episod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S2150).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특정 에피소드의 열람에 대한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 경우, 특정 에피소드를 사용자 계정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차감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계정이 이미 이용 권한을 획득한 상기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재열람을 요청한 경우, 이용권이 차감되지 않는다.The controller 130 may transmit a specific episode to the user account when the user account has permission to view the specific episod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may deduct the use right held in the user account. However, if the user account requests re-viewing of the specific episode for which the user account has already obtained the right to use, the right to use is not deducted.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는, 사용자 계정에, 특정 콘텐츠(또는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권한이 보유 되어 있으면, 특정 콘텐츠(또는 특정 에피소드)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As such,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user account has the right to use specific content (or specific episode), the specific content (or specific episod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직관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콘텐츠에 매칭된 이용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The user can browse the content using the use right held in his/her user account. 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usage right information matched to cont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us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age right held in his/her user account.

한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는, 사용자가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콘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에 서로 다른 속성의 정보를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f different properties may be displayed and provided on thumbnails corresponding to content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check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에,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썸네일(2210)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2210)의 서로 다른 코너(corner)에는, 정보가 표시되는 제1 영역 내지 제4 영역(2220, 2230, 2240, 2250)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23 ,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a thumbnail 2210 having a rectangular shape on the subscription service page 1320 . In different corners of the thumbnail 2210, first to fourth areas 2220, 2230, 2240, and 2250 displaying information may be disposed.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영역 내지 제4 영역(2220, 2230, 2240, 2250) 각각에,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서로 다른 속성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영역 내지 제4 영역(2220, 2230, 2240, 2250)을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 명명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information of different attributes related to the content to be displayed o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regions 2220, 2230, 2240, and 225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fourth areas 2220, 2230, 2240, and 2250 may be referred to as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한편, 상기 제1 영역 내지 제4영역(2220, 2230, 2240, 2250)에 표시되는 정보는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을 최소한으로 가릴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영역 내지 제4영역(2220, 2230, 2240, 2250)에 표시되는 정보는 소정 투명도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영역 내지 제4영역(2220, 2230, 2240, 2250)에 정보가 표시되더라도 사용자는 썸네일의 내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first to fourth areas 2220, 2230, 2240, and 2250 minimizes the thumbnail corresponding to specific content. For exampl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first to fourth areas 2220, 2230, 2240, and 2250 may be displayed with a predetermined transparency. Accordingly, even if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first to fourth areas 2220, 2230, 2240, and 2250, the user can accurately check the content of the thumbnail.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1 영역(2220)에, 제1 속성 정보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속성 정보는, 특정 콘텐츠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에 대한 이용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first area 2220 to include the first attribute information. The first attribute information may include usage right information regarding a usage right available for specific content.

여기에서, 특정 콘텐츠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에 대한 이용권 정보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이용권 중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열람을 위해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use right information on the use right available for specific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use right information available for read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among a plurality of use rights of different types.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이용권은 서로 다른 속성(종류)의 복수의 이용권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속성(종류)의 복수의 이용권은, 이용권의 지급 조건 및 이용권의 지급 시기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이용권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용권의 지급 조건 및 이용권의 지급 시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이용권들을,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이용권(제1 종류의 이용권 및 제2 종류의 이용권)으로 명명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 righ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use rights of different attributes (types). A plurality of usage rights of different attributes (types) may be usage right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t least one of a payment condition of the usage rights and a payment timing of the usage right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use rights having different at least one of the payment conditions of the use right and the payment timing of the use right will be referred to as a plurality of use rights of different types (a first type of use right and a second type of use right). .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각각에는, 해당 콘텐츠의 열람을 위해 이용 가능한 이용권에 대한 정보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의 이용권을 통해 해당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면, 콘텐츠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이용권에 대한 정보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For each of the content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a usable right to view the corresponding contents may be matched. If a corresponding content can be viewed through any one of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ticket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tickets of different types may be matched with the content.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에 콘텐츠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제공하기 위하여, 콘텐츠에 매칭되어 있는 이용권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부(130)는 썸네일의 제1 영역(2220)에, 이용권 정보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order to provide a thumbnai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the controller 130 may check information on the right to use matched with the content. Based on the confirmation result,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first area 2220 of the thumbnail to include usage right information.

이 경우, 제어부(130)는, 콘텐츠에 매칭되어 있는 이용권의 종류가 서로 다르면, 제1 영역(2200)에 서로 다른 그래픽 객체(또는 아이콘)를 가지는 이용권 정보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if the types of usage rights matched with the contents are different,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usage rights information having different graphic objects (or icons) to be included in the first area 2200 .

예를 들어, 도 24(a)에 도시된 썸네일(2310)에 대응되는 콘텐츠에는 제1 종류의 이용권에 대한 정보가 매칭되어 있고, 도 24(b) 및 도 24(c)에 도시된 썸네일들(2320, 2330) 각각에는 제2 종류의 이용권에 대한 정보가 매칭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자. 제어부(130)는 도 24(a)에 도시된 썸네일(2310)의 제1 영역(2311)에는 제1 종류의 이용권의 정보(‘FREE’)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24(b) 및 도 24(c)에 도시된 썸네일들(2320, 2330)의 제1 영역(2321, 2331)에는 제2 종류의 이용권의 정보(‘시계 형상의 그래픽’ 객체)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2310 shown in FIG. 24 (a) is matched with information on the first type of right to use, and the thumbnails shown in FIGS. 24 (b) and 24 (c) Assume that information on the second type of right of use is matched to each of (2320 and 2330).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first area 2311 of the thumbnail 2310 shown in FIG. 24(a) to include the first type of usage right information ('FREE'). Unlike this, in the first areas 2321 and 2331 of the thumbnails 2320 and 2330 shown in FIGS. 24(b) and 24(c), information on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a 'clock-shaped graphic' object) can be controlled to include.

사용자는 썸네일의 제1 영역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또는 아이콘)을 통해,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열람을 위해 이용 가능한 이용권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A user may intuitively recognize a usage right available for reading content corresponding to a thumbnail through a graphic object (or icon) included in the first area of the thumbnail.

한편, 제어부(130)는 썸네일의 복수의 정보 표시 영역 중 제2 영역(2230)에는, 콘텐츠의 출처(source)와 관련된 제2 속성 정보가 표시되고, 제3 영역(2240)에는, 콘텐츠의 배포와 관련된 제3 속성 정보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30 displays second attribu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urce of the content in the second area 2230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display areas of the thumbnail, and displays distribution of the content in the third area 2240. It can be controlled to include third attribute information related to .

콘텐츠 출처와 관련된 제2 속성 정보의 일 예로는, 콘텐츠의 명칭(작품명), 콘텐츠의 작가명 등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의 배포와 관련된 정보의 일 예로는, 콘텐츠의 다운로드 수(또는 열람 횟수) 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고, 제2 속성 정보는 콘텐츠의 출처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3 속성 정보는 콘텐츠의 배포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n example of the second attribu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urce of the content may be the name of the content (the title of the work), the name of the author of the content, and the like. Also, an example of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distribution may be the number of downloads (or number of views) of the content.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econd attribute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urce of the content, and the third attribute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distribution of the content.

한편, 제어부(130)는 썸네일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 표시 영역 중 제4 영역에, 관심 콘텐츠 정보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content-of-interest information to be included in a fourth area among a plurality of information display areas included in the thumbnail.

이러한 관심 콘텐츠 정보는,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로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Such content-of-interest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s set as the content-of-interest of the user account.

여기에서,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로 설정된다”는 것은, 콘텐츠의 식별 정보가 사용자 계정에 매칭되어 관심 콘텐츠 리스트 정보로서 저장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로 설정된다”를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로 등록된다”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Here, “set as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user account” may mean tha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is matched with the user account and stored as content of interest list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et as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user accoun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registered as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user account".

또한, 사용자 계정에 매칭되어 관심 콘텐츠 리스트 정보로서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본 발명에서는 “관심 콘텐츠의 설정을 해제한다” 또는 “관심 콘텐츠를 해제한다”로 명명할 수 있다. In addition, dele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content that is matched with a user account and stored as content-of-interest list information may be referred to as “unsetting the content of interest” or “removing the content of interest” in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제어부(130)는 제4 영역(225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체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상기 제4 영역(2250)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마우스의 클릭(click)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110)는 이러한 제4 영역(225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30 may check a user input for the fourth area 2250 . To this end,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fourth area 2250 to receive a user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t this time, the user's input may be a user's touch input or a mouse click. The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user's input for the fourth area 2250.

제어부(130)는 제4 영역(225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콘텐츠가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로서 설정되는지 여부를 변경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change whether the content is set as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user account based on the user's input to the fourth area 2250 .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콘텐츠가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로 설정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제4 영역(2250)에 대한 사용자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콘텐츠를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로 설정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30 sets the content as the user account's content of interest when receiving the user's first input to the fourth area 2250 in a state where the content is not set as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user account. can

이와 달리, 제어부(130)는 콘텐츠가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4 영역(2250)에 대한 사용자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관심 콘텐츠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Unlike this, the controller 130 may cancel the setting of the content of interest when the user's second input for the fourth area 2250 is received while the content is set as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user account.

즉, 제어부(130)는 제4 영역(225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사용자 계정에 관심 콘텐츠 리스트 정보로서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ler 130 may store or delet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user account as interest content list information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fourth area 2250 .

한편, 도 24에 도시된 것과같이, 제어부(130)는 콘텐츠가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로서 설정된 경우, 제4 영역(2250)에 제1 그래픽 객체(2410)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4 ,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first graphic object 2410 to be included in the fourth area 2250 when the content is set as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user account.

또한, 제어부(130)는 콘텐츠가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로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제4 영역(2250)에 상기 제1 그래픽 객체(2410)와 서로 다른 시각적 외관을 갖는 제2 그래픽 객체(2420)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content is not set as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user account,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a second graphic object 2420 having a visual appearanc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graphic object 2410 in the fourth region 2250. can be controlled to be included.

제어부(130)는 제4 영역(2250)에 제2 그래픽 객체(2420)이 표시되는 것을 기본 값(디폴트(default)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set display of the second graphic object 2420 in the fourth region 2250 as a basic value (default value).

나아가, 제어부(130)는 제4 영역(2250)에 제1 그래픽 객체(2410)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4 영역(2250)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면, 제4 영역(2250)에 포함된 제1 그래픽 객체(2410)가 제2 그래픽 객체(2420)로 전환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urthermore, if the controller 130 receives the user's first input for the fourth area 2250 in a state where the first graphic object 2410 is included in the fourth area 2250, the fourth area 2250 The first graphic object 2410 included in ) may be controlled to be converted into the second graphic object 2420.

또한, 제어부(130)는 제4 영역(2250)에 제2 그래픽 객체(2420)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4 영역(2250)에 대한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면, 제4 영역(2250)에 포함된 제2 그래픽 객체(2410)가 제1 그래픽 객체(2420)로 전환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controller 130 receives the user's second input for the fourth area 2250 in a state where the second graphic object 2420 is included in the fourth area 2250, the fourth area 2250 The second graphic object 2410 included in ) can be controlled to be converted into the first graphic object 2420.

이처럼, 사용자는 썸네일의 제4 영역(2250)에 대한 입력을 통해 콘텐츠를 관심 콘텐츠로 등록하거나 해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4 영역(2250)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를 통해 콘텐츠의 관심 콘텐츠 설정 여부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user can not only register or cancel the content as the content of interest through an input to the fourth area 2250 of the thumbnail, but als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ntent is set as the content of interest through a graphic object included in the fourth area 2250. can be intuitively recognized.

한편, 제어부(130)는 콘텐츠가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로서 설정된 경우, 사용자 페이지(2500)에,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to be included in the user page 2500 when the content is set as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user account.

여기에서, 사용자 페이지(2500)는 사용자 계정에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지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페이지(2500)에 포함되는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또는 구매)한 콘텐츠 정보,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관심 콘텐츠 리스트 정보에 등 일 수 있다. Here, the user page 2500 may be a page including user information related to a user account. Us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 page 2500 may include content information viewed (or purchased) in a user account, information on a content list of interest matched to the user account, and the like.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 페이지(2500)에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관심 콘텐츠 리스트 정보(2510, 2520)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제4 영역(2250)에 대한 입력에 근거하여 관심 콘텐츠 리스트 정보(2510, 2520)가 업데이트(즉, 콘텐츠 식별 정보가 관심 콘텐츠 리스트 정보로서 저장되거나, 저장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가 삭제) 되는 경우, 업데이트 된 관심 콘텐츠 리스트 정보(2510, 2520)가 사용자 페이지(2500)에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6 ,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user page 2500 to include interest content list information 2510 and 2520 matched to the user account. The control unit 130 updates the content-of-interest list information 2510 and 2520 based on the user's input to the fourth area 2250 (i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as content-of-interest list information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stored content). is deleted), the updated content list information 2510 and 2520 can be controlled to be included in the user page 2500.

이처럼, 제어부(130)는 사용자 페이지(2500)에, 관심 콘텐츠 리스트 정보(2510, 2520)에 포함된 관심 콘텐츠 각각에 대한 콘텐츠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페이지(2500)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에 관심 콘텐츠로 등록된 콘텐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As such,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content information for each content of interest included in the content of interest list information 2510 and 2520 to be displayed on the user page 2500 . Through this user page 2500, the user can check content information registered as content of interest in the user account.

나아가, 사용자 페이지(2500)에는, 관심 콘텐츠 리스트 정보(2510, 2520)에 포함된 관심 콘텐츠(2511, 2512, 2513, 2524)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2531, 2532, 2533, 2534)를 포함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user page 2500 may include graphic objects 2531 , 2532 , 2533 , and 2534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of interest 2511 , 2512 , 2513 , and 2524 included in the contents of interest list information 2510 and 2520 , respectively. can

이러한 관심 콘텐츠(2511, 2512, 2513, 2524)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2531, 2532, 2533, 2534)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e graphic objects 2531 , 2532 , 2533 , and 2534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of interest 2511 , 2512 , 2513 , and 2524 may receive user input.

제어부(130)는 관심 콘텐츠(2511, 2512, 2513, 2524)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2531, 2532, 2533, 2534)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monitor a user's input for any one of the graphic objects 2531 , 2532 , 2533 , and 2534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ontents of interest 2511 , 2512 , 2513 , and 2524 .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그래픽 객체(2524)에 대응되는 관심 콘텐츠(2514)를, 관심 콘텐츠 리스트 정보에서 삭제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에 대한 관심 콘텐츠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delete the content of interest 2514 corresponding to the graphic object 2524 having the user's input from the content of interest list information. That is, the control unit 130 may release the setting of the content of interest for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예를 들어, 도 2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페이지(2500)에서, 관심 콘텐츠 설정을 해제하고 싶은 콘텐츠(“귀면쟁투”, 2514)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2534)에 대한 입력을 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선택된 콘텐츠(“귀면쟁투”, 2514)에 대한 관심 콘텐츠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 리스트 정보(2510)에서, 선택된 콘텐츠(“귀면쟁투”, 2514)의 식별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6(a), the user sets the content of interest in the user page 2500 for the graphic object 2534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Ghost Fight”, 2514). input can be entered. Based on the user's input, the control unit 130 may release the setting of the content of interest for the selected content ("combat for a ghost", 2514). That is, the controller 130 may delet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Ghost Battle", 2514) from the content list information 2510 of interest in the user account.

선택된 선택된 콘텐츠(“귀면쟁투”, 2514)의 식별 정보가 기존 관심 콘텐츠 리스트 정보(2510)에서 삭제되면, 도 2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업데이트 된 관심 콘텐츠 리스트 정보(2520)가 사용자 페이지(25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elected content (“Ghost Fight”, 2514) is deleted from the existing content-of-interest list information 2510, as shown in FIG. 2520)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user page 2500.

이와 같이, 사용자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포함된 페이지(1320)에서 관심 콘텐츠의 설정 여부를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페이지(2500)를 통해서도 관심 콘텐츠의 설정 여부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페이지(2500)를 통해 복수의 관심 콘텐츠에 대한 설정을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user can change whether to set the content of interest through the user page 2500 as well as change whether to set the content of interest in the page 1320 including the thumbnail of the content. A user can conveniently change settings for a plurality of content of interest through the user page 2500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는 관심 콘텐츠와 관련된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no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of interest to a user terminal.

관심 콘텐츠와 관련된 알림 정보는, 관심 콘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발생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No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of interest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vent that occurred when various events related to the content of interest occur.

예를 들어, 관심 콘텐츠와 관련된 알림 정보는, i) 관심 콘텐츠의 업데이트(새로운 에피소드 연재(또는 업로드) 소식 정보, ii) 관심 콘텐츠의 이용 권한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관심 콘텐츠의 상품 타입의 전환, iii) 관심 콘텐츠 이용을 위한 이용권 지급과 관련된 정보, 관심 콘텐츠 이용을 위한 이용권 보유 현황과 관련된 정보)등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of interest may include i) update of the content of interest (new episode serialization (or upload) news information, ii) information related to the right to use the content of interest (eg, product type of the content of interest) conversion, iii) information related to the payment of the right to use the content of interes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us of holding the right to use the content of interest), and the like.

제어부(130)는 콘텐츠가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로서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알림 설정 정보 및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단말기의 알림 설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When content is set as content of interest for a user account, the controller 130 may check not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matched to the user account and not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of a terminal to which the user account is logged in.

여기에서,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알림 설정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알림 정보를 사용자 계정에서 수신할 것인가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not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user account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whether the user account receives no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알림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에 알림 정보를 전송할 것인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account based on not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matched to the user account.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알림 설정 정보가 수신 허용 상태(예를 들어, 알림 받기 온(On) 상태)인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not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user account is in a reception permission state (eg, a notification receiving on state), the controller 130 may transmit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account.

이와 달리,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알림 설정 정보가 수신 거부 상태(예를 들어, 알림 받기 오프(OFF) 상태)인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알림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In contrast, when the not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user account is in a reception rejection state (eg, a notification receiving off state), the controller 130 may not transmit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account.

한편,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단말기의 알림 설정 정보는, 사용자 계정에 전송된 알림 정보가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지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단말기의 알림 설정 정보가 수신 거부 상태(예를 들어, 알림 받기 오프(OFF) 상태)인 경우, 사용자 계정에 알림 정보가 전송되더라도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단말기 상에는 알림 정보가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Meanwhile, the not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which the user account is logged in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whether no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account is output from the terminal. When the not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in a reception rejection state (eg, notification receiving off state), even i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accoun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not be output on the terminal to which the user account is logged in.

이하에서, “알림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알림 설정 정보”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알림 설정 정보와,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단말기의 알림 설정 정보를 통칭하는 용어일 수 있다. Hereinafter, “not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or “not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user account” may collectively refer to not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matched to the user account and not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of a terminal to which the user account is logged in.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알림 설정 정보를 확인하고, 알림 설정 정보가 알림 수신 거부(예를 들어, 알림 받기 오프(OFF)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알림 설정 정보 변경을 유도하는 유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checks not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account, and if the not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refusal to receive notifications (eg, notification receiving off state), notification is set to the user terminal. Guidance information leading to information change may be provided.

나아가, 제어부(130)는 알림 설정 정보 변경을 유도하는 유도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 상의 화면의 일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ler 130 may monitor a user input for one area of the screen on the user terminal when guidance information for inducing a change in not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user terminal.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화면의 일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모니터링 되는 것에 근거하여, 알림 설정 정보에 포함된 알림 수신 거부(예를 들어, 알림 받기 오프(OFF)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알림 수신 허용(예를 들어, 알림 받기 온(On) 상태)과 관련된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notifies information related to refusal to receive notifications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eg, receiving notifications OFF state) based on the monitoring of a user's input on one area of the screen from the user terminal. It can be changed to information related to reception permission (eg, notification reception on state).

일 예로,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알림 설정 정보가 알림 수신 거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도 2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알림 설정 정보 변경을 유도하는 유도 정보(“작품 업데이트의 알림이 OFF 상태입니다. ON으로 변경하여 알림을 받으시겠습니까?”, 2610)가 사용자 단말기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유도 정보의 일 영역(예를 들어, “네 변경할게요!”, 2620)에 대한 입력을 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알림 정보가 수신되도록 알림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not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matched to the user account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notification refusal, the controller 130 changes the not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matched to the user account,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inducing information ("work update notification is OFF. Would you like to receive notification by changing it to ON?", 2610) is output on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wants to receiv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he or she may apply an input to one area of the guidance information (eg, “I'll change it!”, 2620). Based on the user's input, the controller 130 may change not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so that no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다른 예로,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단말기의 알림 설정 정보가 알림 수신 거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도 2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20)는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단말기의 알림 설정 정보 변경을 유도하는 유도 정보(예를 들어, “기기 알림 설정이 꺼짐 상태입니다. 기기 알림 설정을 먼저 변경하신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 2630)가 사용자 단말기 상에 팝업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유도 정보의 일 영역(“설정”, 2640)에 대한 입력을 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알림 설정 정보를 변경과 관련된 화면(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 설정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not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of a terminal to which a user account is logged in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refusal to receive notifications, as shown in FIG. Guidance information (for example, “Device notification settings are off. Please change device notification settings first and then try again”, 2630) that induces a change in setting information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as a pop-up on the user terminal . When the user wants to receiv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he or she can apply an input to one area (“setting”, 2640) of the indu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input,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a screen (eg, a user terminal setting screen) related to changing not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지금까지, 콘텐츠가 사용자 계정에 관심 콘텐츠로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가 관심 콘텐츠와 관련된 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알림 정보 변경을 위한 유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하에서는 관심 콘텐츠와 관련된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So far, a method of providing guidance information for changing notific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receive no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of interest when content is set as content of interest in a user account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se contents, a method of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of interest will be described below.

제어부(130)는 특정 콘텐츠가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로 설정되는 경우, 관심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이용권이 사용자 계정에 보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When a specific content is set as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user account, the controller 130 may check whether the user account has a right to view the content of interest.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관심 콘텐츠의 장르에 대응되는 타입의 이용권이 사용자 계정에 보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detail, the controller 130 may check whether a user account has a right to use the type corresponding to the genre of the content of interest.

사용자 계정에, 관심 콘텐츠의 장르에 대응되는 타입의 이용권이 보유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130)는 관심 콘텐츠 열람(또는 이용)을 유도하는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user account holds a usage right of a type corresponding to the genre of the content of interest,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with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inducing viewing (or use) of the content of interest.

이 때, 제어부(130)는, 관심 콘텐츠 열람을 유도하는 알림 정보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의 개수(관심 콘텐츠의 장르에 대응되는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만큼 관심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음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indicates that the content of interest can be viewed as much as the number of tickets held in the user account (the number of tickets of the type corresponding to the genre of the content of interest) i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inducing viewing of the content of interest. Guiding information may be included.

나아가, 제어부(130)는 관심 콘텐츠 열람을 유도하는 알림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 상에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단말기 상의 화면의 일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ler 130 may monitor a user input for one area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inducing viewing of the content of interest is output on the user terminal.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화면의 일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모니터링 되는 것에 근거하여, 관심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a content entry page 1360 providing content of interest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monitoring of a user's input to a region of the screen from the user terminal.

여기에서,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는, 관심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에 해당하는 리스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에 표시된 에피소드 리스트 정보 중 이용하고 싶은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에피소드를 열람할 수 있다(도 13c 참고). Here, the content entry page 1360 may display li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episodes included in the content of interest. The user can view an episode by selecting an item corresponding to an episode to be used among the episode lis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content entry page 1360 (see FIG. 13c).

예를 들어, 도 2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관심 콘텐츠(예를 들어, “바람의 나라”)의 장르는 ‘NOVEL’ 장르이고, ‘NOVEL’ 장르에 대응되는 타입의 이용권 ‘6’개(2710)가 사용자 계정에 보유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제어부(130)는 콘텐츠가 관심 콘텐츠로 등록되는 것에 근거하여,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 상에 관심 콘텐츠 열람을 유도하는 알림 정보(예를 들어, “관심 작품인 ‘바람의 나라’를 프리패스 이용권으로 6회 볼 수 있어요!”, 2720)기 팝업으로 출력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8, the genre of the content of interest (eg, “The Country of the Wind”) is the 'NOVEL' genre, and '6' tickets of the type corresponding to the 'NOVEL' genre (2710 ) is held in the user account. Based on the content being registered as the content of interest, the control unit 130 provides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inducing viewing of the content of interest on the ticket service page 1320 (for example, “A free pass ticket for 'The Country of the Wind' as a work of interest). You can watch it 6 times!”, 2720) can be controlled to be output as a pop-up.

사용자는 관심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알림 정보(2720)의 일 영역(예를 들어, “프리패스 보러가기”, 2730)에 대한 입력을 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일 영역(27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관심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content of interest, he or she may apply an input to one area (eg, “go to see free pass” 2730)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2720.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a content entry page 1360 providing content of interest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user input for the portion 2730 .

한편, 제어부(130)는 관심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이용권이 사용자 계정에 지급되는 경우, 관심 콘텐츠 열람(또는 이용)을 유도하는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inducing viewing (or use) of the content of interest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right to view the content of interest is paid to the user account.

제어부(130)는 콘텐츠가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이고, 사용자 계정에 콘텐츠에 대한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 확인한 결과, 사용자 계정에, 콘텐츠의 장르에 해당하는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적어도 하나의 지급과 관련된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confirms that the content is the content of interest to the user account and that the user account has the right to use the content, and if the user account does not have the right to use the type corresponding to the genre of the content, the user terminal , No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payment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type of voucher and the second type of voucher may be provided.

여기에서, 알림 정보에는, 기 사용자 계정에 대해 상기 콘텐츠의 장르에 해당하는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되었음을 알리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Her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notifying that a use right of a type corresponding to the genre of the content has been paid to the existing user account.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콘텐츠의 장르에 해당하는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되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with a use right of a type corresponding to a genre of content among the first type of use right and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granted to the user account.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관심 콘텐츠의 장르에 대응되는 타입의 이용권이 사용자 계정이 보유되어 있지 않은 상태(즉, 상기 타입의 이용권 개수가 ‘0’인 상태)에서, 상기 타입의 이용권이 사용자 계정에 지급되는 경우, 관심 콘텐츠 열람(또는 이용)을 유도하는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type of usage rights corresponding to the genre of the content of interest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account does not hold (ie, the number of usage rights of the type is '0'), When the user account is paid, notification information that induces viewing (or use) of the content of interes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예를 들어, 관심 콘텐츠(예를 들어, “바람의 나라”)의 장르는 ‘NOVEL’ 장르이고, ‘NOVEL’ 장르에 대응되는 타입의 이용권이 사용자 계정에 보유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하자. 도 2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NOVEL’ 장르에 대응되는 타입의 이용권이 사용자 계정에 지급되는 경우(즉,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NOVEL’ 장르에 대응되는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가 ‘0’에서 ‘1’로 변경되는 경우, 2810),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 상에 관심 콘텐츠 열람을 유도하는 알림 정보(예를 들어, “노블 이용권이 충전되었어요! 관심 작품인 ‘바람의 나라’를 프리패스 이용권으로 1회 더 볼 수 있어요!”, 2820)이 팝업으로 출력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assume that the genre of the content of interest (eg, “The Country of the Wind”) is the ‘NOVEL’ genre, and the user account does not have a usage right of a type corresponding to the ‘NOVEL’ genre. As shown in FIG. 28,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number of tickets of the type corresponding to the 'NOVEL' genre held in the user account when a usage ticket of the type corresponding to the 'NOVEL' genre is paid to the user account. is changed from '0' to '1', 2810),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Noble subscription has been charged! You can watch 'Nara' one more time with the free pass ticket!”, 2820)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as a pop-up.

사용자는 관심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알림 정보(2820)의 일 영역(예를 들어, “프리패스 보러가기”, 2830)에 대한 입력을 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일 영역(28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관심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content of interest, he or she may apply an input to one area (eg, “go to see free pass” 2830)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2820.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a content entry page 1360 providing content of interest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user input for the portion 2830 .

한편, 제어부(130)는 관심 콘텐츠로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가,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으로 이용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용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관심 콘텐츠의 열람을 유도하는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30, when the content registered as the content of interest is converted from a state in which it is not available to a state in which it is usable with a license held in the user account, provides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inducing viewing of the content of interest to the user. can be provided to the terminal.

제어부(130)는 관심 콘텐츠에 매칭된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관심 콘텐츠가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으로 이용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 of interest is in a state in which it is usable with the right to use held in the user account,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matched to the content of interest.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계정에 제1 종류의 이용권이 보유되어 있으나, 관심 콘텐츠에 제1 종류의 이용권으로 이용 가능함을 알리는 정보가 매칭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는 관심 콘텐츠가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으로 이용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f the user account has the first type of right to use, but the content of interest is not matched with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right to use the first type is available,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content of interest to be held in the user account. It may be judged that the use right is not available.

이와 달리, 관심 콘텐츠에 제1 종류의 이용권으로 이용 가능함을 알리는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관심 콘텐츠가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으로 이용이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contrast, whe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ntent of interest is usable with the first type of license matches the content of interest,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content of interest is in a state in which it is usable with the license held in the user account.

예를 들어, 도 3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예를 들어, “바람의 나라”)가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예를 들어, 프리패스)로 이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 상에 관심 콘텐츠 열람을 유도하는 알림 정보(예를 들어, “관심 작품인 “바람의 나라”가 프리패스 작품으로 등록되었어요! 빨리 보러 가세요”, 2910)가 팝업으로 출력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0, the content of interest in the user account (eg, “The Country of the Wind”) is converted into a usable state with a license (eg, free pass) held in the user account.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provides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inducing viewing of the content of interest on the subscription service page 1320 (for example, ““The Kingdom of the Wind”, a work of interest, has been registered as a free pass work! Go see it quickly”, 2910) can be controlled to be output as a pop-up.

사용자는 관심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알림 정보(2910)의 일 영역(예를 들어, “프리패스 보러가기”, 2920)에 대한 입력을 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일 영역(29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관심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content of interest, he or she may apply an input to one area (eg, “go to see free pass” 2920)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2910.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a content entry page 1360 providing content of interest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user's input to the portion 2920 .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는,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관심 콘텐츠의 이용을 유도하는 알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As such,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user to consume the content of interest by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inducing the use of the content of interest registered in the user account.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 계정에 콘텐츠에 대한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이용 권한에 근거하여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용권을 통해 에피소드를 이용하도록 유도할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whether the user account has the right to use the content, and provides a specific episode based on the right to use, so that the user uses the episode through the right to use. can be induced to do so.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콘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에, 콘텐츠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이용권을 통해 이용 가능한 콘텐츠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nd provide information on the right to use available in the content in the thumbnai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content available through the right to use the user possesses. can make it possibl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의 관심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소비를 유도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right to use for rea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continuous consumption of the user's content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user's interest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을 통해 무료로 이용 가능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이용권을 통해 무료로 이용가능한 콘텐츠들을 사용자 계정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이용권을 통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available free of charge through the use r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content available for free through the use right to a user account, so that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and easily obtain the use right. content can be made available through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사용자의 선호 장르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선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콘텐츠에 편리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right to use for rea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s the user's preferred genre matched to the user account, and provide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s preferred genre, thereby providing convenient access to the user's preferred content. and make it easily accessibl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소비를 유도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right to use for rea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continuous consumption of content by a user by providing user-customized content.

나아가,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명령어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r instructions i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gram.

한편,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isk (SSD), Silicon Disk Drive (SDD),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there is

나아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소를 포함하며 전자기기가 통신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일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Furthermore,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 server or cloud storage that includes storage and can be accessed by electronic devices through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computer may download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server or cloud storage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컴퓨터는 프로세서, 즉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가 탑재된 전자기기로서, 그 종류에 대하여 특별한 한정을 두지 않는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computer is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processor, that i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its type.

한편,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19)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콘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thumbnail)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썸네일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에 대한 에피소드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에피소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상기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응되는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썸네일은,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표시 영역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콘텐츠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에 대한 이용권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된 상기 이용권 정보에 대응되는 이용권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s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in a content providing service,
providing a page including a thumbnail corresponding to content to a user terminal;
receiving a selection of the thumbnail from the user terminal;
providing an episode list for at least one episode included i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to the user terminal;
If any one item from the episode list i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checking whether a user account logged in to the user terminal has a right to use a specific episode corresponding to the one item; and
Based on the confirmation result, providing the specific episode to the user terminal;
The thumbnail,
Includes a plurality of information display areas respectively disposed at different location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display areas includes usage right information on a usage right available in the content,
In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use right exists,
and confirming whether there is a usage right corresponding to the usage right information displayed in any one of the fields in the user accou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은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썸네일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 표시 영역은, 상기 썸네일의 서로 다른 코너(corner)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각각에는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서로 다른 속성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thumbnail has a rectangular shape,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display areas included in the thumbnail include first to fourth areas respectively disposed in different corner areas of the thumbnail;
Wherei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areas displays different attribu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보 표시 영역 중 제1 영역에는, 상기 이용권 정보에 해당하는 제1 속성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정보 표시 영역 중 제2 영역에는, 상기 콘텐츠의 출처와 관련된 제2 속성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복수의 정보 표시 영역 중 제3 영역에는, 상기 콘텐츠의 배포와 관련된 제3 속성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2,
A first area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display areas includes first attrib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age right information;
In a second area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display areas, second attribu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urce of the content is displayed;
A content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area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display areas includes third attribute information related to distribution of the cont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권 정보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이용권 중 상기 콘텐츠의 열람을 위해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usage righ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usage right available for reading the content among a plurality of usage rights of different typ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이용권은, 이용권 지급 조건 및 이용권 지급 시기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method of providing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use tickets of different types are distinguished based on at least one of a use right payment condition and a use right payment tim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보 표시 영역 중 제4 영역에는,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로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관심 콘텐츠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3,
In a fourth area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display areas,
and content-of-interest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s set as the content-of-interest of the user accou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로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 계정에 연관된 사용자 정보가 표시되는 사용자 페이지에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content is set as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user account,
Wherein a user page displaying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account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로서 설정된 경우, 상기 제4 영역에는 제1 그래픽 객체가 포함되고,
상기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로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4 영역에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와 서로 다른 시각적 외관을 갖는 제2 그래픽 객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content is set as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user account, the fourth region includes a first graphic object;
and when the content is not set as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user account, the fourth area includes a second graphic object having a visual appearanc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graphic objec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4 영역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로서 설정되는지 여부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fourth area is made to receive a user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based on the user input for the fourth area, whether or not the content is set as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user account is chan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장르에 해당하고, 나머지 일부는 제2 장르에 해당하며,
상기 이용권은,
상기 제1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1 장르와 다른 상기 제2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2 타입의 이용권을 포함하고,
상기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상기 콘텐츠의 장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상기 콘텐츠의 장르에 해당하는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some of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contents providing service correspond to a first genre, and the remaining parts correspond to a second genre;
The above license is
A first type of usage right available for viewing the contents of the first genre and a second type of usage right available for viewing the contents of the second genre different from the first genre,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use right exists,
checking the genre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and
and checking whether there is a use right of a type corresponding to a genre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among the first type of use right and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in the user accoun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0,
The method of providing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ype of use voucher and the second type of use voucher are provided to the user account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계정의 관심 콘텐츠이고, 상기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 확인한 결과,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콘텐츠의 장르에 해당하는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적어도 하나의 지급과 관련된 알림 정보가 제공되고,
상기 알림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해 상기 콘텐츠의 장르에 해당하는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되었음을 알리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알림 정보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상기 콘텐츠의 장르에 해당하는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If the content is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user account and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 right to use exists, the right to use of the type corresponding to the genre of the content does not exist in the user account.
In the user terminal, no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payment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type of ticket and the second type of ticket is provided,
I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right of use corresponding to the genre of the content has been paid to the user account is included;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 use right of a type corresponding to a genre of the content among the first type of use right and the second type of use right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being paid to the user accoun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특정 페이지에 표시되고,
상기 특정 페이지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의 정보가 포함되는 제1 영역;
상기 썸네일이 포함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상에 포함된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와 다른 장르의 콘텐츠들의 썸네일이 표시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thumbnail is displayed on a specific page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The specific page,
a first area containing information on the right to use held in the user account;
a second area including the thumbnails; and
and a third area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displaying thumbnails of content of a different genre from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ncluded in the second are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1 그래픽 객체 및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2 그래픽 객체가 포함되고,
상기 제1 그래픽 객체 및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의 시각적 외관은,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사용되는 이용권의 종류 및 개수에 근거하여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In the first region,
A first graphic object representing the number of use rights of the first type held in the user account; and
A second graphic object representing the number of the second type of use rights held in the user account is included;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visual appearance of the first graphic object and the second graphic object is changed based on the type and number of usage rights used in the user accoun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른 이용권 지급 시점을 카운팅 하기 위한 시간 카운팅(counting)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4,
In the first area,
The method of providing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ing information on time counting for counting the point of time of payment of the voucher according to the preset time interv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로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 각각은,
디지털 화폐의 지불을 통해 열람이 가능한 유료 상품 타입 및 상기 디지털 화폐의 지불됨 없이 열람이 가능한 무료 상품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상품 타입을 갖고,
상기 이용권은,
상기 유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는 에피소드의 열람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consists of at least one episode,
Each of the at least one episode,
Has any one product type of a paid product type that can be viewed through payment of digital currency and a free product type that can be viewed without payment of the digital currency;
The above license is
Content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used to view the episode corresponding to the paid product typ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 중 상기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은,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것에 근거하여, 무료 상품 타입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6,
A product type of a specific episode having a paid product type among the at least one episode is converted into a free product type based on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콘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thumbnail)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썸네일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에 대한 에피소드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에피소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상기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응되는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며,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썸네일은,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표시 영역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콘텐츠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에 대한 이용권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확인은,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된 상기 이용권 정보에 대응되는 이용권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As a content providing system providing a content providing service,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a user account;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account; and
A control unit providing a page including thumbnails corresponding to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e control unit
When receiving a selection for the thumbnail from the user terminal,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an episode list for at least one episode included i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When any one item of the episode list i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it is checked whether a user account logged in to the user terminal has a right to use a specific episode corresponding to the one item,
Based on the confirmation result, providing the specific episode to the user terminal;
The thumbnail,
Includes a plurality of information display areas respectively disposed at different location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display areas includes usage right information on a usage right available in the content,
To check whether the above permission exists,
and confirming whether a usage right corresponding to the usage right information displayed in any one of the fields exists in the user account.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콘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thumbnail)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썸네일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에 대한 에피소드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에피소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상기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응되는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썸네일은,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표시 영역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콘텐츠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에 대한 이용권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된 상기 이용권 정보에 대응되는 이용권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A program that is executed by one or more processes in an electronic device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aid program,
providing a page including a thumbnail corresponding to content to a user terminal;
receiving a selection of the thumbnail from the user terminal;
providing an episode list for at least one episode included i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to the user terminal;
If any one item from the episode list i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checking whether a user account logged in to the user terminal has a right to use a specific episode corresponding to the one item; and
Based on the confirmation result, including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specific episode to the user terminal,
The thumbnail,
Includes a plurality of information display areas respectively disposed at different location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display areas includes usage right information on a usage right available in the content,
In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use right exists,
A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firming whether there is a usage right corresponding to the usage right information displayed in any one of the fields in the user account.
KR1020210114294A 2021-08-27 2021-08-2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202300317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294A KR20230031739A (en) 2021-08-27 2021-08-2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294A KR20230031739A (en) 2021-08-27 2021-08-2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739A true KR20230031739A (en) 2023-03-07

Family

ID=8551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294A KR20230031739A (en) 2021-08-27 2021-08-2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173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167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upselling to a user of a digital book lending library
US10242227B1 (en) Sharing digital libraries
JP2014174912A (en) Content sharing system, content sharing server device, content shar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220345782A1 (en) Management server, user terminal, gift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4174911A (en) Content sharing system, content sharing server device, content shar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14901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JP5197700B2 (en) Electronic book browsing terminal, electronic book distribution system, electronic book distribution server and method
KR20230057935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20230031739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JP2020042733A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KR20230031738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20230031737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ikets for viewing content
KR102584989B1 (en) Payment method and system for purchasing digital currency
KR10264756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102460826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ducing digital currency purchase
KR102492353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ducing digital currency purchase
KR102495307B1 (en) Digital currency payment method and system
KR20230059603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20230063430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JP2015219816A (en) Display control method, display control program and browsing apparatus
KR20230109052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20220117753A (en) Method and system for inducing digital currency purchase
JP66990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73970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20042769A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