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787A - Leveling tool - Google Patents

Leveling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787A
KR20220150787A KR1020210058173A KR20210058173A KR20220150787A KR 20220150787 A KR20220150787 A KR 20220150787A KR 1020210058173 A KR1020210058173 A KR 1020210058173A KR 20210058173 A KR20210058173 A KR 20210058173A KR 20220150787 A KR20220150787 A KR 20220150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ing tool
fastening
connector
present
lev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1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7386B1 (en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이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현 filed Critical 이종현
Priority to KR1020210058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386B1/en
Publication of KR2022015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7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3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ing tool. The leveling tool includes: a base part composed of a distribution portion in contact with ground coffee and a fastening portion; a connector part configured to adjust a vertical position of the base part; a handle part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connector part, surrounding an upper end of the fastening portion, and pressed by a user; and a support part disposed between the distribution portion and the connector part and including a bearing.

Description

레벨링 툴{LEVELING TOOL}Leveling tool {LEVELING TOOL}

본 발명은 레벨링 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벨링 툴과 포터 필터와의 마찰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일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피로감을 줄여주는 레벨링 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ing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veling tool that improves work efficiency and reduces user fatigue by effectively reducing friction between the leveling tool and a portafilter.

커피는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음료 중 하나이다. 커피가 대중화됨에 따라 커피의 맛에 대한 대중의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고, 그 예로, 균일한 에스프레소의 추출을 위해 레벨링 툴이라는 도구가 사용되고 있다. Coffee is one of the beverages loved by many people. As coffee becomes popular, the public's demand for the taste of coffee is increasing, and for example, a tool called a leveling tool is being used for uniform extraction of espresso.

레벨링 툴 (leveling tool) 은 디스트리뷰터 (distributor), 레벨러 (leveler) 라고도 불리며, 원두 가루를 포터 바스켓에 도징 (dosing) 한 후 도징된 원두를 고르게 분배, 레벨링하기 위한 도구를 의미한다. A leveling tool, also called a distributor or a leveler, means a tool for dosing coffee powder into a porter basket and then evenly distributing and leveling the dosed coffee beans.

종래에는, 도징 후 바로 탬핑 (tamping) 을 실시한 뒤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방식이 이용되었으나, 레벨링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로 탬핑을 하는 경우, 원두 가루의 밀도 차가 발생하여 균일한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a method of extracting espresso after performing tamping immediately after dosing has been used, but when tamping is performed without level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uniform extraction is not achieved due to a difference in density of ground coffee beans.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그라인딩 중간 중간에 포터 필터를 거치대에 툭툭 치는 노킹 (knocking) 을 통해, 원두 가루를 내부에 고르게 담기도록 유도하는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완벽하게 균일한 레벨링을 하기에 한계가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onventionally, a method of inducing the bean powder to be evenly contained inside was used by knocking the portafilter on the cradle in the middle of grinding, but in this way, perfectly uniform There was a limit to leveling.

한편, 다른 방법으로, 종래에는, 손을 이용하거나 또는, 나이프, 자 등의 도구를 활용하는 방식이 있으나, 손 레벨링의 경우 바리스타의 테크닉에 따라 추출 과정에서 레벨링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차 범위가 크다는 한계가 있었고, 원두 가루와 손가락이 접촉하므로 위생적인 문제도 갖고 있었다. 한편, 나이프, 자 등의 도구를 활용하는 방식은, 손보다 위생적이라는 장점이 있고, 손가락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원두 가루의 평평한 형태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으나, 커피가 포터 필터보다 낮은 높이까지만 도징될 경우, 상기 도구가 원두 가루에 닿지 않으므로, 상기 도구들로는 원두 가루를 레벨링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method, conventionally, there is a method of using hands or tools such as knives and rulers, but in the case of hand leveling, not only can deviations in leveling occur during the extra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barista's technique, but also There was a limit that the margin of error was large, and there was also a sanitary problem because the bean powder and the fingers contacted.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using tools such as knives and rulers has the advantage of being more hygienic than hands, and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finger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reate a flat shape of ground coffee, but the coffee has a lower height than a portafilter. When dosing only up to, the tools do not touch the ground coffee, so there is a limit to leveling the ground coffee with the tools.

따라서, 종래에는, 도 1과 같은, 필터 바스켓 내부까지 레벨링이 가능한 레벨링 툴(1)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레벨링 툴(1)을 사용하면, 필터 바스켓 내부에 담기는 원두의 도징량이 적은 경우에도, 베이스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레벨링이 가능해진다. Therefore, conventionally, a leveling tool 1 capable of leveling up to the inside of the filter basket has been developed, as shown in FIG. Leveling is possibl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se.

다만, 이러한 레벨링 툴(1)을 이용하여 원두 가루를 레벨링하는 경우, 레벨링 툴(1)의 상단부를 손으로 가압하면서 동시에 회전시킴으로써 원두 가루의 레벨링이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종래의 레벨링 툴(1)은, 포터 필터 또는 포터 바스켓과의 마찰이 크게 발생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피로감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leveling the ground coffee using the leveling tool 1, the leveling of the ground coffee is achieved by simultaneously rotating the upper end of the leveling tool 1 while pressing it with a hand. In this case, the conventional leveling tool 1 ) has a problem in that friction with the portafilter or the porter basket is large, causing fatigue in the user's wrist.

특히, 하루에 많은 양의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상업 시설 등에서는, 동일한 작업을 수없이 반복해야 하는데, 이 경우 마찰에 의해 사용자의 능률이 매우 저하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스킬에 따라 추출되는 에스프레소가 달라지므로, 균일한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없어 맛의 편차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었다.In particular, in commercial facilities that extract a large amount of espresso a day, the same operation must be repeated countless times. Since is different, it is not possible to extract uniform espresso, which may cause a problem in that the difference in taste increas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레벨링 툴의 사용시 마찰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편리하고 신속하게 레벨링 작용이 가능한 레벨링 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veling tool that can conveniently and quickly perform a leveling action by dramatically reducing friction when using the leveling tool.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problem,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레벨링 툴은, 원두 가루와 접촉하는 분배부와, 체결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연직 방향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분배부와 상기 커넥터부 사이에 배치되며 베어링을 포함하는 지지부; 를 포함한다.The level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ase portion including a distribution portion in contact with ground coffee and a fastening portion; a connector portion configured to adjust a vertical position of the base portion; a handle portion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connector portion,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and pressed by a user; and a suppor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distribution portion and the connector portion and including a bearing; includes

여기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커넥터부를 관통하며 상기 커넥터부와 볼트 체결되고, 상기 커넥터부를 관통하여 노출된 상기 체결부의 단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볼트 체결될 수 있다.Here, the fastening part passes through the connector part and is bolted to the connector part, and an end of the fastening part exposed through the connector part may be bolted to the handle part.

한편, 상기 지지부는, 수평부 및 수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의 하면은, 원두를 담는 포터 바스켓의 상면 및 상기 포터 바스켓을 담는 포터 필터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할 수 있다.Meanwhile, the support part may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part and a vertical part, and a lower surface of the vertical part may contact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of a porter basket containing beans and an upper surface of a portafilter containing the porter basket.

한편, 상기 베어링은, 반경 방향으로, 상기 체결부와 상기 수평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Meanwhile, the bearing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astening part and the horizontal part in a radial direction.

한편, 상기 베어링은 볼 베어링이고, 상기 볼 베어링의 내륜이 상기 체결부와 결합되고, 상기 볼 베어링의 외륜이 상기 지지부의 수평부와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bearing may be a ball bearing, an inner ring of the ball bearing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and an outer ring of the ball bearing may be coupled to a horizontal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한편, 상기 지지부와 상기 커넥터부는 연직 방향으로 이간되어 있을 수 있다.Meanwhile, the support part and the connector part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한편, 상기 레벨링 툴은, 판부 및 봉부를 포함하는 눈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부는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며, 상기 봉부는 상기 체결부의 중심부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될 수 있다.Meanwhile, the leveling tool may include a scale portion including a plate portion and a bar portion, the bar portion may pass through the handle portion, and the bar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a center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한편, 본 발명의 레벨링 툴은, 원두 가루와 접촉하는 분배부와, 체결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체결부와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분배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배치되며 베어링을 포함하는 지지부; 를 포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evel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ibution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coffee, the base portion including a fastening portion; a handle portion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and pressed by a user; and a suppor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distribution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and including a bearing; may include.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벨링 툴의 회전시 발생하는 마찰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편리하고 신속한 레벨링 작용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nient and rapid leveling action is possible by dramatically reducing friction generated during rotation of the leveling tool.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벨링 툴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스킬에 관계 없이 균일한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tract uniform espresso regardless of the skill of the user using the leveling tool.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손목의 부담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burden on the user's wrist performing repetitive task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레벨링 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툴의 구성요소들과, 포터 필터 및 포터 바스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툴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툴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툴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포터 필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툴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포터 바스켓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툴의 구성요소들 중, 베이스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툴의 구성요소들 중, 베이스부의 사시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etails described in such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leveling tool.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leveling tool, a portafilter, and a porter bas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components of a level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s of the level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filter that can be used with a leveling too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er basket that can be used with a leveling too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part among components of a level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part among components of a leveling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ppropriately us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툴의 구성요소들과, 포터 필터(30) 및 포터 바스켓(31)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툴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툴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components of a leveling tool, a portafilter 30, and a porter basket 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s of the leveling tool are coupled,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s of the leveling tool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벨링 툴(2)은, 원두 가루와 접촉하는 분배부(202)와, 체결부(201)를 포함하는 베이스부(20); 상기 베이스부(20)의 연직 방향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커넥터부(21); 상기 커넥터부(21)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201)에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손잡이부(22); 및 상기 분배부(202)와 상기 커넥터부(21) 사이에 배치되며 베어링(234)을 포함하는 지지부(23); 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2 to 4, the leveling tool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ortion 20 including a distribution portion 202 and a fastening portion 201 in contact with ground coffee; a connector part 21 configured to adjus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base part 20; a handle portion 22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connector portion 21,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201, and pressed by a user; and a support part 23 disposed between the distribution part 202 and the connector part 21 and including a bearing 234; includes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벨링 툴(2)은, 지지부(2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23)는 수평부(231), 수직부(232), 베어링(234)을 포함하며, 분배부(202)와 커넥터부(2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23)는 체결부(201)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도 2 및 도 4에는, 지지부(23)와 체결부(201)가 볼트 체결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2 and 4, the leveling tool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ortion 23, and the support portion 23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231, a vertical portion 232, It includes a bearing 234 and is disposed between the distribution part 202 and the connector part 21 .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23 is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201 . For example, although FIGS. 2 and 4 show that the support part 23 and the fastening part 201 are coupled through bolt fastening, i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베이스부(20)의 분배부(202)의 형상이 나타나 있다. 분배부(202)는 대략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그 일 면의 지름을 그리는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일 면의 중심부가 연직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이는 도징된 원두 가루가 원의 중심 방향으로 몰려 있기 때문에, 이를 퍼트리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분배부(202)를 원두 가루에 접촉 가압한 후 최소 180도 회전하면 평평한 표면을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7,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ortion 202 of the base portio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e distribution unit 202 has a shape substantially similar to that of a cylinder, and has a shape in which a central portion of one surface protrude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vertical direction based on a line drawing a diameter of the one surface. This is to spread the dosed bean powder because it is concentrated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circle, and a flat surface can be obtained by rotating the distribution unit 202 at least 180 degrees after contacting and pressing the bean powder.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부(20)의 다른 실시예로서, 분배부(202)의 일 면은 평평한 형상일 수도 있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base part 20, one surface of the distribution part 202 may have a flat shape.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부(202)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사시도이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8 , the distribution unit 202 may have a shape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7 .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분배부(202)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본체부(202a) 및 그 일 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부(202b)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202b)는 본체부(202a)의 일 면과 대략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202b)는 포터 바스켓 내에 도징된 원두 가루의 내부까지 침투될 수 있고, 그 후 베이스부(20)의 회전에 의해, 원두 가루 내부를 휘젓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원두 가루는 전 영역에서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감안하여, 상기 돌출부(202b)는, 예를 들어 직경 대비 길이의 비율이 매우 큰 대략 침 형태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distribution unit 202 include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body portion 202a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202b protruding from one surface thereof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rotruding portion 202b has a shape extending along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2a.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02b can penetrate into the inside of the ground coffee dosed in the porter basket, and then, by the rotation of the base part 20, they can stir the inside of the ground coffee. By this action, the coffee bean powder can be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area. Considering this function, the protruding portion 202b may have, for example, a substantially needle shape with a very high ratio of length to diameter.

복수의 상기 돌출부(202b)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함께 사용되는 포터 바스켓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돌출부(202b)들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테면, 함께 사용되는 포터 바스켓의 내부가 대략 원통 형상이면, 돌출부(202b)의 길이가 모두 대략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함께 사용되는 포터 바스켓의 내부가 대략 원뿔 형상이면, 돌출부(202b)의 길이는 대략 중심부에서 가장 길고 외주 쪽으로 갈수록 짧아질 수 있다.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02b may all be formed the same or may be formed differently.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02b may have different length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porter basket used together. For example, if the inside of the porter basket used together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ll of the protrusions 202b may be formed to have approximately the same length, and if the inside of the porter basket used together has a substantially conical shape, the protrusion 202b The length is approximately the longest at the center and may be shortened toward the outer periphery.

사용자는, 함께 사용할 포터 바스켓의 내부의 형상에 따라, 또는, 도징된 원두의 높이에 따라, 또는, 추출할 에스프레소의 목표 농도에 따라, 적절한 형상의 베이스부(2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user can select and use the base part 20 having an appropriate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side of the porter basket to be used together, the height of the dosed beans, or the target concentration of espresso to be extracted.

한편, 상기 지지부(23)에 포함된 베어링(234)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레벨링 툴에 대해 상부에서 하부로 압력을 가하면서 동시에 레벨링 툴(2)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강한 가압력을 유지하면서도 레벨링 툴(2)을 쉽게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베어링(234)의 적용으로 인해 상기 지지부(23)의 회전 유무에 관계 없이 베이스부(2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23)와 포터 필터(30) 또는 지지부(23)와 포터 바스켓(31) 사이의 마찰력이 작용하더라도 베어링(234)에 의해 베이스부(20)는 쉽게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레벨링 툴(2)의 사용시 쉽고 편리하고 신속한 레벨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imultaneously rotating the leveling tool 2 while applying pressure from the top to the bottom with respect to the level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bearing 234 included in the support part 23, a strong pressing force is maintained It is possible to easily rotate the leveling tool 2 while doing so. That is,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bearing 234, the rotation of the base portion 20 is possible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support portion 23 rotates. Even if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upport part 23 and the portafilter 30 or between the support part 23 and the porter basket 31 acts, the base part 20 can be easily rotated by the bearing 234. Accordingly, when using the leveling tool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sy, convenient and rapid leveling can be performed.

아울러, 상기 지지부(23)에 포함된 베어링(234)에 의해, 레벨링 툴의 빠른 회전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분배부(202)와 접하지 않는 원두의 아래 부분까지 진동이 전달되어 포터 바스켓(31)에 담긴 원두의 표면뿐만 아니라, 원두의 내부까지도 균일한 분배가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bearing 234 included in the support part 23 makes it possible to rotate the leveling tool quickly, and accordingly,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ffee beans that does not contact the distribution part 202, so that the porter basket ( 31), it is possible to evenly distribute not only the surface of the beans, but also the inside of the beans.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20)의 체결부(201)는, 커넥터부(21)의 대략 중심부를 관통하며 커넥터부(21)와 볼트 체결되고, 상기 손잡이부(22)의 대략 중심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구멍(221)과 볼트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art 201 of the base part 20 passes through the approximate center of the connector part 21 and is bolted to the connector part 21, and the approximately of the handle part 22 It may be bolted to the hole 221 formed in the center to a predetermined depth.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4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툴의 구성요소들과, 포터 필터(30) 및 포터 바스켓(31)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툴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components of a leveling tool, a portafilter 30, and a porter basket 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s of the leveling tool are combined.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20)는 원두 가루와 직접 접촉하는 분배부(202)와, 다른 구성요소들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20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체결부(201)는 분배부(202)의 대략 중심부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체결부(201)의 외주면 상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21)는 링부(211)와 관통 구멍(212)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 구멍(212)은 링부(211)의 대략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 구멍(212)의 내벽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커넥터부(21)의 외주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커버가 씌워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커넥터부(21)를 회전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22)는 대략 중심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구멍(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221)의 내벽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2)의 상면(222)은, 사용자가 레벨링 시 손으로 가압하는 면이다.Referring to FIG. 4 , the base par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tribution part 202 that directly contacts ground coffee and a fastening part 201 for coupling with other components. Meanwhile, the fastening part 201 has a shap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distribution part 202 .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part 201 . In addition, the connector part 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ing part 211 and a through hole 212 . The through hole 212 may be formed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ring portion 211 .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12 . Meanwhile, a cover made of rubber or silicon may be cover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unit 21 . This is to enable the user to easily rotate the connector part 21 . 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2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e 221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and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hole 221.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222 of the handle part 22 is a surface that the user presses with his/her hand during leveling.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20)의 체결부(201)와 커넥터부(21)는 볼트 체결될 수 있고, 베이스부(20)의 체결부(201)와 손잡이부(22)는 볼트 체결될 수 있다. 이처럼, 체결부(201)의 외주면, 커넥터부(21)의 관통 구멍(212)의 내벽면, 손잡이부(22)의 구멍(221)의 내벽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부(20), 커넥터부(21), 손잡이부(22)는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베이스부(20)와 커넥터부(21) 간의 볼트 체결 깊이 및 베이스부(20)와 손잡이부(22) 간의 볼트 체결 깊이를 조절하여 베이스부(20)의 연직 방향 높이, 즉 지지부(23)와 베이스부(20)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두의 도징 높이에 따라, 그에 맞게 베이스부(20)의 연직 방향 높이인 지지부(23)와 베이스부(20)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손잡이부(22)를 회전시켜서 커넥터부(21)와 손잡이부(22) 사이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커넥터부(21)의 연직 방향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 the fastening part 201 of the base part 20 and the connector part 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astened with bolts, and the fastening part 201 of the base part 20 And the handle portion 22 may be bolted. As such, since thread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part 201,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12 of the connector part 21,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le 221 of the handle part 22, the base part 20 ), the connector part 21, and the handle part 22 may be integrally coupled, and the user may determine the bolt fastening depth between the base part 20 and the connector part 21 and the base part 20 and the handle part 22 The height of the base part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art 23 and the base part 2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bolt fastening depth between the livers. 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the base part according to the dosing height of the beans.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art 23 and the base part 20, which is the vertical height of the part 20, can be adjusted. After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handle part 22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or part 21 and the handle part 22, there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part 21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레벨링 툴은, 눈금부(2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눈금부(25)는, 판부(251) 및 봉부(252)를 포함한다. 상기 봉부(252)는 상기 손잡이부(22)를 관통한다. 상기 봉부(252)는 상기 체결부(201)의 중심부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되어 체결부(201)에 고정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2 to 4 , the leveling tool may further include a graduation part 25 . The scale part 25 includes a plate part 251 and a bar part 252. The rod part 252 passes through the handle part 22 . The rod part 252 may be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astening part 201 and fixed to the fastening part 201 .

상기 눈금부(25)의 판부(251)는 손잡이부(22) 위에 겹쳐지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판부(251)에는 미세한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손잡이부(22) 및 커넥터부(21)의 회전량을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판부(251)에 표시된 눈금을 통해, 사용자는 미세한 회전량까지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판부(251)에 표시된 눈금을 통해 손잡이부(22)의 회전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손잡이부(22) 상에도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The plate portion 251 of the scale portion 25 may have a shape overlapping the handle portion 22 . A minute scale is displayed on the plate part 251, so that the user can quantitatively check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handle part 22 and the connector part 21. In particular, through the graduations displayed on the plate portion 251, the user can adjust even the minute amount of rotation. A scale may also be displayed on the handle part 22 so that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handle part 22 can be easily grasped through the scale displayed on the plate part 251 .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A 방향으로 손잡이부(22) 및 커넥터부(21)를 회전시키면 지지부(23)와 베이스부(20)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B 방향으로 손잡이부(22) 및 커넥터부(21)를 회전시키면 지지부(23)와 베이스부(20) 간의 거리가 멀어진다. 에스프레소의 농도를 진하게 추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부(22) 및 커넥터부(21)를 B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부(23)와 베이스부(20) 간의 거리가 커지기 때문에, 포터 바스켓(31)에 담긴 원두 가루를 더 강하게 압축할 수 있게 된다.3 and 4, for example, when the handle part 22 and the connector part 21 are rotated in the A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art 23 and the base part 20 becomes closer, and the handle part in the B direction. When (22) and the connector part (21) are rotated,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art (23) and the base part (20) increases. In the case of extracting a thicker espresso, rotating the handle part 22 and the connector part 21 in the B direction incre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art 23 and the base part 20, so the porter basket 31 The contained bean powder can be compressed more strongly.

한편, 봉부(252)는 체결부(201)의 대략 중심에 형성된 구멍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베이스부(20)의 회전시 눈금부(25)도 함께 회전한다. 도 4에는 봉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고무와 같은 마찰력이 큰 물질이 감싸져 있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눈금부(25)와 베이스부(20)가 서로 일체로 회전할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결합 방식이라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rod portion 252 is firmly coupled to a hole formed at the approximate center of the fastening portion 201 . Therefore, when the base part 20 rotates, the graduation part 25 also rotates together. 4 shows an example in which a material having high frictional force such as rubber is wrapped around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ale part 25 and the base part 20 rotate integrally with each other. Any coupling method is possible as long as it can be coupled firmly enough to be possible.

한편, 상기 지지부(23)는, 수평부(231) 및 수직부(2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232)의 하면(233)은, 원두를 담는 포터 바스켓(31)의 상면 및 상기 포터 바스켓(31)을 담는 포터 필터(30)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art 23 further includes a horizontal part 231 and a vertical part 232, and the lower surface 233 of the vertical part 232 is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er basket 31 containing beans and the above It contacts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s of the portafilter 30 containing the porter basket 31.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4 to 6.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툴의 구성요소들과, 포터 필터(30) 및 포터 바스켓(31)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툴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툴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포터 필터(3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툴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포터 바스켓(3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components of a leveling tool, a portafilter 30, and a porter basket 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s of the leveling tool are combined.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filter 30 that can be used with a level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hat can be used with a level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er basket 3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3)는, 수평부(231), 수직부(232) 및 베어링(234)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포터 필터(30)는 컵부(302)와 손잡이(301)를 포함하고, 컵부(302)의 하면의 중앙부에는 관통 구멍(30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포터 바스켓(31)의 하면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들(3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추출을 위해서, 포터 바스켓(31)은 포터 필터(30) 내부에 끼워 넣어진다.Referring to FIG. 4 , the support part 2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part 231 , a vertical part 232 and a bearing 234 . Meanwhile, referring to FIG. 5 , the portafilter 30 includes a cup portion 302 and a handle 301, and a through hole 303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up portion 302. Also, referring to FIG. 6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2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orter basket 31 . Also, for extraction, the porter basket 31 is fitted inside the portafilter 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3)의 수직부(232)의 하면(233)은, 상기 포터 필터(30)의 컵부(302)의 상면 및 상기 포터 바스켓(31)의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한다. 본 발명의 지지부(23)에 포함된 베어링(234)의 적용으로 인해, 레벨링 툴(2)을 회전시키더라도, 지지부(23)의 수직부(232)의 하면(233)은, 상기 포터 필터(30)의 컵부(302)의 상면 및/또는 상기 포터 바스켓(31)의 상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베이스부(20), 커넥터부(21), 손잡이부(22)만이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레벨링 툴을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동시에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lower surface 233 of the vertical part 232 of the support part 2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part 302 of the portafilter 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er basket 31. to contact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bearing 234 included in the support portion 23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leveling tool 2 is rotated, the lower surface 233 of the vertical portion 232 of the support portion 23 is the portafilter ( 30), only the base part 20, the connector part 21, and the handle part 22 can be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firm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part 302 and/or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er basket 31. . 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simultaneously rotate the leveling tool while pressing it from the top to the bottom with little force.

한편, 상기 베어링(234)은, 반경 방향으로, 상기 체결부(201)와 상기 수평부 (23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베어링(234)은 볼 베어링일 수 있고, 상기 볼 베어링의 내륜이 상기 체결부(201)와 결합되고, 상기 볼 베어링의 외륜이 상기 지지부(23)의 수평부(231)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bearing 23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astening part 201 and the horizontal part 231 in a radial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bearing 234 may be a ball bearing, the inner ring of the ball bearing is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201, and the outer ring of the ball bearing is the horizontal portion 231 of the support portion 23 can be combined with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툴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s of the level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23)에는 볼 베어링(234)이 포함되어 있으며, 볼 베어링(234)의 외륜은 지지부(23)의 수평부(231)와 결합되어 있고, 볼 베어링(234)의 내륜은 베이스부(20)의 체결부(201)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4, the support part 23 includes a ball bearing 234, and the outer ring of the ball bearing 234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part 231 of the support part 23, and the ball bearing 234 It can be seen that the inner ring is directly or indirectly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201 of the base part 20.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레벨링 툴(2)은 지지부(23)가 포터 필터(30) 및/또는 포터 바스켓(31)과 접촉한 상태에서 베이스부(20)의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레벨링 툴(2)의 사용자는, 레벨링 툴(2)을 연직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동시에 베이스부(20)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structure, the leveling tool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smooth rotation of the base part 20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rt 23 is in contact with the portafilter 30 and/or the porter basket 31. do. Therefore, the user of the leveling tool 2 can smoothly rotate the base part 20 while pressing the leveling tool 2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상기 지지부(23)와 상기 커넥터부(21)는 연직 방향으로 이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the support part 23 and the connector part 21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툴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s of the level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23)와 커넥터부(21)는 스페이서(24)에 의해, 연직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23)와 커넥터부(21) 사이에 소정 간격 이간되어 있는 구조로 인해서, 고정되어 있는 지지부(23)의 수평부(231)의 상면과, 회전하는 커넥터부(21)의 하면 사이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베이스부(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t can be seen that the support part 23 and the connector part 21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spacer 24 . In this way,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a predetermined distance is spaced between the support part 23 and the connector part 21,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rt 231 of the fixed support part 2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connector part 21 It is possible to prevent friction, and thus, the rotation of the base part 20 can be made smoothly.

한편, 상기 레벨링 툴(2)은, 지지부(23)와 커넥터부(21) 사이 및/또는 지지부(23)와 분배부(202)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2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leveling tool 2 may further include a spacer 24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part 23 and the connector part 21 and/or between the support part 23 and the distribution part 202 .

이 경우, 상기 지지부(23)와 분배부(202)는 스페이서(24)에 의해, 연직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23)와 분배부(202) 사이에 소정 간격 이간되어 있는 구조로 인해서, 고정되어 있는 지지부(23)의 수평부(231)의 하면과, 회전하는 분배부(202)의 상면 사이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베이스부(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4)의 이러한 기능을 고려하여, 상기 스페이서(24)는 베어링(234)의 내륜에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support part 23 and the distribution part 202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spacer 24 . In this way,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a predetermined distance is spaced between the support part 23 and the distribution part 202,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rt 231 of the fixed support part 2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distribution part 202 It is possible to prevent friction, and thus, the rotation of the base part 20 can be made smoothly. Considering this function of the spacer 24 , the spacer 24 may be coupled to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234 .

상기 스페이서(24)는 고무링, 와셔 및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간격을 확보할 수 있는 부재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분배부(202)와 지지부(23) 사이의 간격을 작게 설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직 방향 길이가 작은 고무링 또는 와셔를 사용할 수 있고, 간격을 크게 설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직 방향 길이가 긴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 spacer 24 may be any one of a rubber ring, a washer, and a spr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ember capable of securing a gap may be used. For example, when it is desired to set a small distance between the distribution unit 202 and the support part 23, a rubber ring or washer having a small vertical length may be used, and when a large distance is to be set, a vertical direction You may be able to use a longer spring.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링 툴(2)이 커넥터부(21)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있으나, 커넥터부(21)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베이스부(20)의 연직 방향 높이, 즉 지지부(23)와 베이스부(20) 간의 거리 조절은, 예를 들어 손잡이부(22)의 구멍(221)의 깊이 및/또는 체결부(201)의 길이 및/또는 분배부(202)의 중심부가 연직방향으로 돌출된 길이 등을 통해 조절 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leveling tool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only when the connector part 21 is include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connector part 21 is omitted.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base part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art 23 and the base part 20 is adjusted, for example, the depth of the hole 221 of the handle part 22 and / or the fastening part ( 201) and/or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tribution unit 202 protru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amples,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only to these examples.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에스프레소 추출 조건은 이하와 같다.The espresso extraction cond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같은 굵기의 원두 9g을 이용하여 9 bar 에서 30g의 에스프레소를 추출하였고, 그 과정에서, 에스프레소 30g 추출에 걸리는 시간(s), T.D.S. 값(%), 수율(%)을 각 사용자 A, B 별로 측정하여, 그 수치를 표 1에 기재하였다.30g of espresso was extracted at 9 bar using 9g of beans of the same thickness, and in the process, the time (s) required to extract 30g of espresso, T.D.S. Value (%) and yield (%) were measured for each user A and B, and the values are listed in Table 1.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링 툴을 이용하여 레벨링 및 탬핑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예에서는 종래의 탬핑 기구를 이용하여 탬핑을 실시하였다.Specifically, in the embodiment, leveling and tamping were performed using the level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comparative example, tamping was performed using a conventional tamping mechanism.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 에스프레소 추출 시간 >< Espresso extraction time >

같은 굵기의 원두 9g을 이용하여 9 bar 에서 30g의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통상적으로, 탬핑을 강하게 할수록 원두 가루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추출 시간이 길고, 탬핑을 약하게 할수록 원두 가루의 밀도가 낮아져 추출 시간이 짧다. 한편, 추출 시간이 너무 길면, 원두가 과다하게 추출되어 쓴 맛이 강해지고, 추출 시간이 너무 짧으면 원두가 과소하게 추출되어 맛이 밍밍해진다. 일반적으로, 추출 시간이 20 ~ 40초 사이가 되어야 부드럽고 맛있는 커피가 추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time taken to extract 30 g of espresso at 9 bar using 9 g of beans of the same thickness was measured. In general, the stronger the tamping, the higher the density of the coffee bean powder, so the extraction time is long, and the weaker the tamping, the lower the density of the coffee bean powder, so the extraction time is short. On the other hand, if the extraction time is too long, the beans are extracted excessively and the bitter taste becomes strong, and if the extraction time is too short, the coffee beans are under-extracted and the taste becomes bland. In general, it is known that smooth and delicious coffee is extracted only when the extraction time is between 20 and 40 seconds.

< T.D.S. >< T.D.S. >

T.D.S.(Total Dissolved Solids)란, 커피 안에 녹아 있는 커피 성분과 물의 비율을 의미한다. 에스프레소에서는 강도(Strength) 또는 농도라고 표현되기도 한다. 즉, T.D.S. 값이 높으면 농도가 진해서 커피 맛이 진하며, T.D.S. 값이 낮으면 농도가 낮아서 커피 맛이 연하다고 표현된다. 본 실험에서는, H.M Digital 사의 RCM-1000BT 모델을 사용하여, 30g의 추출된 에스프레소에 대해 T.D.S. 값을 측정하였다.T.D.S. (Total Dissolved Solids) means the ratio of coffee ingredients and water dissolved in coffee. In espresso, it is also expressed as strength or concentration. In other words, T.D.S. Higher values result in thicker coffee flavor, and T.D.S. If the value is low, the concentration is low and the coffee taste is expressed as mild. In this experiment, using H.M Digital's RCM-1000BT model, T.D.S. values were measured.

< 수율 ><Yield>

추출 수율은 분쇄된 커피의 양에서 얼만큼 커피의 성분이 물에 녹아내렸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수율 18 ~ 22% 이 되면, 풍부한 맛의 커피를 얻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The extraction yield refers to a ratio indicating how much coffee components are dissolved in water in the amount of ground coffee. In general, it is known that when the yield is 18 to 22%, coffee with a rich taste can be obtained.

[평가][evaluation]

< 에스프레소 추출 시간 평가 ><Espresso extraction time evaluation>

비교예에서는 추출 시간의 편차가 사용자에 따라 20 ~ 32초로 매우 크게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추출 시간의 편차가 약 30 ~ 33초로 다소 낮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 관계 없이 일정한 추출 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 영향을 받지 않고, 에스프레소 맛의 균일화를 달성할 수 있다.In the comparative example, the extraction time deviation was very large, ranging from 20 to 32 seconds depending on the user, where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time deviation was measured as about 30 to 33 seconds, which was rather low.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constant extraction time regardless of the user, thereby achieving a uniform taste of espresso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use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비교예에 비해 추출 시간이 다소 길게 측정되었다. 이는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의 탬핑 압력이 강하게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찰된다. 이에 따라, 탬핑을 약하게 한 경우에 비해 균일한 에스프레소의 추출이 가능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time was measured slightly long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comparative example. It is speculated that this is because the tamping pressure of the example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xtract uniform espresso compared to the case where tamping is weak.

< T.D.S. 값 평가 >< T.D.S. value evaluation >

비교예의 T.D.S. 값은, 사용자에 따라 5.04 ~ 5.88 %로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난 반면, 실시예에서는, T.D.S. 값이 6.52 ~ 7.11 %로 비교적 균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 관계 없이 일정한 T.D.S. 값을 확보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 영향을 받지 않고, 에스프레소 맛의 균일화를 달성할 수 있다.T.D.S. of Comparative Example. While the value shows a very large deviation of 5.04 to 5.88% depending on the user, in the embodiment, T.D.S. The values were relatively uniform, ranging from 6.52 to 7.11%.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stant T.D.S. Since the value can be secured, uniformity of espresso taste can be achieved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user.

< 수율 값 평가 ><Yield value evaluation>

비교예의 수율 값은 사용자에 따라 17 ~ 20 %로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난 반면, 실시예에서는, 수율 값이 22 ~ 24 %로 비교적 균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 관계 없이 일정한 수율 값을 확보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 영향을 받지 않고, 에스프레소 맛의 균일화를 달성할 수 있다.The yield value of the comparative example showed a very large deviation of 17 to 20% depending on the user, whereas in the example, the yield value was relatively uniform at 22 to 24%.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constant yield value regardless of the user, thereby achieving uniformity of espresso taste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의 레벨링 툴의 베이스부의 높이를 같은 높이로 설정하기만 하면, 어느 누가 사용하든지 관계 없이 추출된 에스프레소의 각 수치 값의 편차 발생이 현저하게 적어진다. 게다가, 본 발명의 레벨링 툴을 이용하면, 레벨링과 탬핑이 한번에 가능하며, 누구나 쉽고 빠르게 진한 수율의 에스프레소를 균일한 맛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달성된다.Therefore, if the height of the base part of the level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the same height, the deviation of each numerical value of the extracted espresso is remarkably reduced regardless of who uses it. In addition, by using the level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leveling and tamping are possible at once, and an advantageous effect is achieved that anyone can easily and quickly produce a rich yield of espresso with a uniform taste.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 하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erms indicating directions such as up and down are used in this specification, these terms are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a target object or the location of an observer. self-eviden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 종래의 레벨링 툴
2 본 발명에 따른 레벨링 툴
20 베이스부
201 체결부
202 분배부
202a 본체부
202b 돌출부
21 커넥터부
211 링부
212 관통 구멍
22 손잡이부
221 구멍
222 상면
23 지지부
231 수평부
232 수직부
233 하면
234 베어링
24 스페이서
25 눈금부
251 판부
252 봉부
30 포터 필터
301 손잡이
302 컵부
303 관통 구멍
31 포터 바스켓
311 바스켓부
312 관통 구멍들
1 Conventional leveling tool
2 Level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base part
201 joint
202 distribution section
202a body part
202b protrusion
21 connector part
211 ring part
212 through hole
22 handle part
221 hole
222 top
23 support
231 horizontal part
232 vertical part
233
234 bearing
24 spacer
25 division
251 panbu
252 Bongbu
30 portafilter
301 handle
302 cup part
303 through hole
31 Porter's Basket
311 basket part
312 through holes

Claims (8)

원두 가루와 접촉하는 분배부와, 체결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연직 방향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분배부와 상기 커넥터부 사이에 배치되며 베어링을 포함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툴.
A distribution unit in contact with the ground coffee and a base unit including a fastening unit;
a connector portion configured to adjust a vertical position of the base portion;
a handle portion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connector portion,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and pressed by a user; and
a suppor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distribution portion and the connector portion and including a bearing;
A leveling too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커넥터부를 관통하며 상기 커넥터부와 볼트 체결되고,
상기 커넥터부를 관통하여 노출된 상기 체결부의 단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볼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툴.
According to claim 1,
The fastening part passes through the connector part and is bolted to the connector part,
The level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exposed through the connector portion is fastened with the handle portion and bolt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수평부 및 수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의 하면은,
원두를 담는 포터 바스켓의 상면 및 상기 포터 바스켓을 담는 포터 필터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툴.
According to claim 2,
The support part further includes a horizontal part and a vertical part,
The lower surface of the vertical part,
A level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er basket containing bean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afilter containing the porter bask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반경 방향으로, 상기 체결부와 상기 수평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툴.
According to claim 3,
The level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ring is disposed between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horizontal portion in a radial direc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볼 베어링이고,
상기 볼 베어링의 내륜이 상기 체결부와 결합되고,
상기 볼 베어링의 외륜이 상기 지지부의 수평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툴.
According to claim 3,
The bearing is a ball bearing,
The inner ring of the ball bearing is engaged with the fastening part,
Level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ring of the ball bearing is engaged with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sup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커넥터부는 연직 방향으로 이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툴.
According to claim 1,
The level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ortion and the connector portion are spaced apart in a vertic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툴은, 판부 및 봉부를 포함하는 눈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부는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며,
상기 봉부는 상기 체결부의 중심부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툴.
According to claim 1,
The leveling tool includes a scale portion including a plate portion and a rod portion,
The rod passes through the handle,
The level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ro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astening portion.
원두 가루와 접촉하는 분배부와, 체결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체결부와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분배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배치되며 베어링을 포함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툴.
A distribution unit in contact with the ground coffee and a base unit including a fastening unit;
a handle portion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and pressed by a user; and
a suppor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distribution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and including a bearing;
A leveling tool comprising a.
KR1020210058173A 2021-05-04 2021-05-04 Leveling tool KR1025073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173A KR102507386B1 (en) 2021-05-04 2021-05-04 Leveling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173A KR102507386B1 (en) 2021-05-04 2021-05-04 Leveling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787A true KR20220150787A (en) 2022-11-11
KR102507386B1 KR102507386B1 (en) 2023-03-06

Family

ID=84042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173A KR102507386B1 (en) 2021-05-04 2021-05-04 Leveling 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38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100B1 (en) * 2016-08-10 2017-02-24 최선욱 Leveling tamper
KR101930886B1 (en) * 2018-09-03 2018-12-19 (주)동일전자 Grinder capable precision control grinding gap
KR102175442B1 (en) * 2019-08-20 2020-11-06 이호준 Coffee temp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100B1 (en) * 2016-08-10 2017-02-24 최선욱 Leveling tamper
KR101930886B1 (en) * 2018-09-03 2018-12-19 (주)동일전자 Grinder capable precision control grinding gap
KR102175442B1 (en) * 2019-08-20 2020-11-06 이호준 Coffee tem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386B1 (en)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33953B (en) Apparatus for pressing a dose of coffee within the portafilter
US7992486B2 (en) Calibrated handheld espresso tamper
US10595667B2 (en) Coffee tamper
AU2010309509B2 (en) Improved portafilter for espresso coffee machines
KR20180102759A (en) Adjustable depth coffee tamper
CN203182711U (en) Coffee powder pressing machine
KR102507386B1 (en) Leveling tool
KR20180067173A (en) Coffee tamper
CN211559743U (en) Coffee powder loosening device
US10703561B2 (en) Knock box
US20200154936A1 (en) Filter holders for espresso machines with damped operating handles
TWI611784B (en) Manual coffee bean grinder
KR102034886B1 (en) A grinder of a coffee machine-an auxiliary holder which assists the coffee powder dispensed from the dispenser to be received at a uniform density on the holder cup
JP3212804U (en) Powdered coffee distribution device
CN218899179U (en) Balanced constant-force powder pressing hammer
RU2607052C2 (en) Device for preparing beverage
TWI740800B (en) Press device
CN215604995U (en) Hand-held coffee machine
KR20220086795A (en) Device for Leveling of Coffee Powder
DE937789C (en) Device for fastening household machines
CN214510793U (en) Double-head elastic powder distributor
KR102454809B1 (en) Coffee tamper
CN210130736U (en) Hand-operated bean grinder
TWM315557U (en) Improved structure of coffee powder pressing device
CN219088938U (en) Coffee cloth powder pr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