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809B1 - Coffee tamper - Google Patents

Coffee tam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809B1
KR102454809B1 KR1020220075916A KR20220075916A KR102454809B1 KR 102454809 B1 KR102454809 B1 KR 102454809B1 KR 1020220075916 A KR1020220075916 A KR 1020220075916A KR 20220075916 A KR20220075916 A KR 20220075916A KR 102454809 B1 KR102454809 B1 KR 102454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mping
tamping body
block
coffe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9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꿍스
Priority to KR1020220075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8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8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3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to be used with loose coffe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ffee tamper,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mping body (120), and a level (130) coupled to the tamping body (120).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case where coffee is extracted on one side or defective, and the taste and aroma of espresso extracted from a portafilter are uniform.

Description

커피 탬퍼{Coffee tamper}Coffee tamper {Coffee tamper}

본 발명은 커피 탬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 필터 내에 채워져 있는 커피 원두를 탬핑 바디로 가압하기 이전에 수평계를 보고 수평 상태를 맞춘 상태에서 커피 원두 가루를 일정한 힘으로 눌러줌으로써 에스프레소와 같은 커피가 균일하게 추출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커피 탬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tamper, and more particularly, to coffee such as espresso by pressing coffee beans powder with a certain force in a horizontal state by looking at the level before pressing the coffee beans filled in the portafilter with the tamping body. It relates to a coffee tamper of a new configuration that can be uniformly extracted.

일반적으로, 커피 탬퍼(coffee temper)는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때 사용되는 도구로, 포터 필터(porter filter) 내부에 삽입하여 포터 필터 내부에 채워진 분쇄된 원두가루를 평평하게 압축시키기 위한 도구를 의미한다.In general, a coffee temper (coffee temper) is a tool used when extracting espresso coffee, inserted into a porter filter (porter filter) refers to a tool for flatly compressing the ground coffee powder filled in the porta filter .

포터 필터에 원두가루를 채워놓은 상태에서 커피 탬퍼로 일정한 압력으로 눌러서 포터 필터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을 쓴다. 이러한 과정을 탬핑(Tamping)이라 한다. 즉, 탬핑은 커피 용어로 포타필터(Porter filter) 안의 분쇄된 에스프레소(Espresso)에 압력을 일정하게 하여 물을 통과시키면서 에스프레소(Espresso)의 고유한 특성을 추출하기 위한 강한 저항력을 만드는 것을 의미하며, 포터 필터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기 원하는 사람이 원두가루가 채워진 포터 필터에 커피 탬퍼를 대고 일정힘으로 눌러주는 탬핑을 실행하게 된다.It uses a method of extracting coffee from the portafilter by pressing it with a coffee tamper while filling the portafilter with coffee beans. This process is called tamping. In other words, tamping is a coffee term, and it means to make a strong resistance to extra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spresso while allowing water to pass through by applying constant pressure to the ground espresso in the porter filter. A person who wants to extract coffee using a portafilter applies a coffee tamper to a portafilter filled with ground coffee and presses it with a certain force to perform tamping.

그런데, 기존에는 포터 필터에 커피 원두를 갈아서 넣고, 사람이 손으로 일정한 힘을 주어서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수평 균형이 안맞아서 커피가 한쪽으로 추출되거나 불량이 날 수 있는 확률이 높은 문제가 있고, 커피가 균일하게 추출되지 못하거나 불량이 나게 되면서 에스프레소의 향과 풍미가 제대로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past,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coffee may be extracted to one side or defective because the horizontal balance is not in the process of grinding coffee beans in the portafilter and extracting coffee by applying a certain force by h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roma and flavor of espresso cannot be properly guaranteed as it is not uniformly extracted or is defective.

한국등록특허 제10-1314136호(2013년09월26일 등록)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14136 (Registered on September 26, 2013) 한국등록특허 제10-1509140호(2015년03월31일 등록)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09140 (registered on March 31, 2015)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67173호(2018년06월20일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67173 (published on June 20, 2018)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02759호(2018년09월18일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02759 (published on September 18, 2018)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포터 필터 내에 채워져 있는 커피 원두를 탬핑 바디로 가압하기 이전에 수평계를 보고 수평 상태를 맞춘 상태에서 커피 원두 가루를 일정한 힘으로 눌러줌으로써 에스프레소와 같은 커피가 균일하게 추출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커피 탬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t the coffee bean powder in a uniform state by looking at the level before pressing the coffee beans filled in the portafilter with the tamping bod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ffee tamper of a new configuration in which coffee such as espresso can be uniformly extracted by pressing with forc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탬핑 바디(120); 상기 탬핑 바디(120)에 결합된 수평계(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탬퍼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tamping body 120; There is provided a coffee tamper comprising; a level 130 coupled to the tamping body 120 .

상기 수평계(130)는 수평 맞춤 중심원(133)을 중심으로 십자형으로 눈금(134)이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탬핑 바디(120)를 커피 원두 가루가 채워져 있는 포터 필터(20)에 삽입하여 누르기 이전에 상기 수평 맞춤 중심원(133)에 수평 맞춤 버블(136)이 들어가도록 하여서 상기 수평계(130)와 상기 탬핑 바디(120)의 수평을 맞춘 다음, 상기 탬핑 바디(120)를 눌러서 포터 필터(20)에서 커피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The level 13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cale 134 is arranged in a cross shape around the horizontal alignment center circle 133, and the tamping body 120 is inserted into the portafilter 20 filled with coffee bean powder and pressed. Prior to leveling the level 130 and the tamping body 120 by allowing the leveling bubble 136 to enter the leveling center circle 133, the portafilter ( 20) is configured to extract coffee.

상기 수평계(130)는 상면이 투명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맞춤 중심원(133)은 상기 수평계(130)의 상기 투명판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 맞춤 중심원(133)을 기준으로 십자형으로 상기 눈금(134)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veling unit 130 has an upper surface formed of a transparent plate, and the horizontal alignment center circle 133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transparent plate of the level level 130 , and is cross-shaped based on the horizontal alignment center circle 133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cale 134 is disposed.

상기 수평계(130)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탬핑 바디(120)에 구비된 복수개의 픽싱 블록(140)과, 상기 탬핑 바디(120)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어 픽싱 블록(140)이 수평계(130)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픽싱 작동 볼트(142)를 더 포함한다.A plurality of fixing blocks 140 provided in the tamping body 120 so as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ler 130, and the fixing block 140 are coupled to the tamping body 120 in a forward and backward manner. It further includes a fixing operation bolt 142 to be pressed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ler 130 .

상기 픽싱 작동 볼트(142)를 한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픽싱 블록(140)을 밀어주면 복수개의 픽싱 블록(140)이 수평계(130)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고 동시에 픽싱 블록(140)의 상면 일부와 저면 일부는 탬핑 바디(120) 내부에 형성된 블록 이동홈(122)에 걸려짐으로써 수평계(130)가 탬핑 바디(120) 내부의 안착홈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When the fixing block 140 is pushed by rotating the fixing operation bolt 142 in one direction (eg, clockwise), the plurality of fixing blocks 140 are pressed and pressed agains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veler 130 and at the same time the fixing block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nd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140 are hung on the block moving groove 122 formed inside the tamping body 120 so that the level 130 is stably fixed to the seating groove inside the tamping body 120 .

상기 탬핑 바디(120)에 결합된 복수개의 탬핑 보조 블록(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tamping auxiliary blocks 160 coupled to the tamping body 120 .

상기 탬핑 보조 블록(160)에는 연결 간살(162)을 매개로 결합 지지편(164)이 연결되고 결합 지지편(164)은 탬핑 보조 블록(160)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 지지편(164)은 픽싱 볼트(166)에 의해 탬핑 바디(120)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탬핑 보조 블록(160)의 저면이 탬핑 바디(12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upling support piece 164 is connected to the tamping auxiliary block 160 via a connecting rib 162 , and the coupling support piece 164 is disposed below the tamping auxiliary block 160 and the coupling support piece 164 .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mping body 120 by a fixing bolt 166 to maintain the lower surface of the tamping auxiliary block 160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amping body 120 .

상기 탬핑 보조 블록(160)에는 힌지(HG)를 매개로 상향 회동되도록 결합된 한 쌍의 프레싱 아암(170)을 더 포함한다.The tamping auxiliary block 160 further includes a pair of pressing arms 170 coupled to rotate upward through a hinge HG.

상기 힌지(HG)를 기준으로 한 쌍의 프레싱 아암(170)을 하향 회동시킬 때에 한 쌍의 프레싱 아암(170)의 내측단이 탬핑 보조 블록(16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한 쌍의 프레싱 아암(170)이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pair of pressing arms 170 is rotated downwardly based on the hinge HG, the inner ends of the pair of pressing arms 170 are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amping auxiliary block 160 to contact the pair of pressing arms ( 170) maintains the horizontally unfolded state.

상기 탬핑 바디(120)는 제1탬핑 바디(120A)와, 상기 제1탬핑 바디(120A)에 결합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제2탬핑 바디(120B)를 포함하며, 상기 탬핑 바디(120)로 포터 필터(20)에 채워져 있는 커피 원두 가루를 눌러주고자 할 때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상기 제2탬핑 바디(120B)의 하단부가 커피 원두 가루에 직접 접촉된 상태에서 눌러주게 되어서, 상기 탬핑 바디(120)에 의해 포터 필터(20) 내에 채워져 있는 커피 원두 가루를 눌러주는 힘을 가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mping body 120 includes a first tamping body 120A and a second tamping body 120B made of stainless material coupled to the first tamping body 120A, and the tamping body 120 includes a porta filter. When you want to press the coffee bean powder filled in 20, the lower end of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made of stainless material is pressed while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ffee bean powder, so that by the tamping body 1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ce of pressing the coffee bean powder filled in the portafilter 20 is increased.

상기 제2탬핑 바디(120B)의 저면 둘레부에는 하향 연장 테두리편(124)이 구비되어, 상기 하향 연장 테두리편(124)에 의해 상기 제2탬핑 바디(120B)의 저면 아래쪽에 프레싱 블록 수용홈(126)이 형성되고, 상기 제2탬핑 바디(120B)의 저면에는 자성체(180)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싱 블록 수용홈(126)에 보조 프레싱 블록(19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프레싱 블록(19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 프레싱 블록(190)의 상면에는 블록측 자성체(200)(180)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 프레싱 블록(190)이 프레싱 블록 수용홈(126)에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자성체(180)와 블록측 자성체(200)(180)가 자력에 의해 붙는 힘에 의해서 상기 보조 프레싱 블록(190)이 제2탬핑 바디(120B) 저면 아래에 확보된 프레싱 블록 수용홈(126)에 안정적으로 들어가서 결합되고, 상기 보조 프레싱 블록(190)의 저면이 포터 필터(20)에 채워져 있는 커피 원두 가루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탬핑 바디(120)를 눌러주어서 포터 필터(20)에서 에스프레소와 같은 커피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A downwardly extending rim piece 124 is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and a pressing block receiving groove is provided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by the downwardly extending rim piece 124 . 126 is formed, a magnetic material 18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an auxiliary pressing block 190 is provided in the pressing block receiving groove 126, and the auxiliary pressing block ( 190 is made of a stainless material, and the block-side magnetic body 200 , 18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pressing block 190 , and the auxiliary pressing block 190 enters the pressing block receiving groove 126 . The auxiliary pressing block 190 is secured under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by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magnetic body 180 and the block-side magnetic body 200 and 180 by magnetic force in the pressing block receiving groove 126. ) is stably entered and combined, and the tamping body 120 is pressed in a state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pressing block 190 is in contact with the coffee bean powder filled in the portafilter 20 to produce espresso in the portafilter 20. It is configured to extract the same coffee.

상기 제1탬핑 바디(120A)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2탬핑 바디(120B)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결착 블록(210)과, 상기 제2탬핑 바디(120B)의 상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결착 작동 볼트(220)와, 상기 결착 작동 볼트(22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착 블록(210)의 외주면에 접촉된 결착 작동 테이퍼 블록(230)을 더 포함한다.A plurality of binding blocks 210 provided inside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so as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amping body 120A,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are raised and lowered It further includes a binding actuating bolt 220 that is possibly coupled, and a taper binding actuating block 230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inding actuating bolt 220 and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inding block 210 .

상기 결착 작동 테이퍼 블록(230)은 결착 작동 볼트(220)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는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The binding operation taper block 230 is configured in a block shape in which the outer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binding operation bolt 220 .

본 발명은 내부에 일정한 양의 커피 원두 가루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포터 필터 내에 존재하는 커피 원두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탬핑 바디를 구비하여, 포터 필터 내에 채워져 있는 커피 원두를 탬핑 바디로 가압하기 이전에 수평계를 보고 수평 상태를 맞춘 상태에서 커피 원두 가루를 탬핑함에 따라 커피가 한쪽으로 추출되거나 불량이 나는 경우를 방지하고, 포터 필터에서 추출되는 에스프레소의 맛과 향이 균일해지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mping body that is formed to accommodate a certain amount of coffee bean powder therein and at the same time pressurizes coffee beans present in the portafilter, and pressurizes the coffee beans filled in the portafilter with the tamping body. By tamping the coffee bean powder in the state where the level was set before looking at the level, it prevents the coffee from being extracted to one side or is defective, and the taste and aroma of the espresso extracted from the portafilter are uniform.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탬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피 탬퍼가 결합되는 포터 필터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터 필터를 커피 추출 용기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포터 필터를 커피 추출 용기에 결합시킨 상태와 포터 필터에 본 발명의 커피 탬퍼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수평계의 수평 맞춤 버블이 수평 맞춤 중심원 내부 영역에서 벗어나서 커피 탬퍼의 수평이 맞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수평계의 수평 맞춤 버블이 수평 맞춤 중심원 내부 영역으로 들어와서 커피 탬퍼의 수평이 맞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탬퍼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피 탬퍼의 주요부인 수평계의 수평 맞춤 버블이 수평 맞춤 중심원 내부 영역에서 벗어나서 커피 탬퍼의 수평이 맞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인 수평계의 수평 맞춤 버블이 수평 맞춤 중심원 내부 영역으로 들어와서 커피 탬퍼의 수평이 맞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커피 탬퍼가 결합되기 위한 포터 필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포터 필터에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커피 탬퍼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탬핑 바디와 픽싱 블록 및 볼트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픽싱 블록을 탬핑 바디에 수용된 수평계에 가압 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피 탬퍼의 탬핑 바디와 픽싱 블록 및 볼트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픽싱 블록을 탬핑 바디에 수용된 수평계에 가압 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탬핑 바디와 픽싱 블록과 볼트 및 스프링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픽싱 블록을 탬핑 바디에 수용된 수평계에 가압 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피 탬퍼의 탬핑 바디와 픽싱 블록과 스프링 및 볼트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픽싱 블록을 탬핑 바디에 수용된 수평계에 가압 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탬퍼의 다른 주요부인 탬핑 보조 블록과 연결 간살 및 결합 지지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일측면도,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탬핑 보조 블록과 간살 및 결합 지지편을 본 발명의 커피 탬퍼에 결합시키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탬핑 보조 블록과 간살 및 결합 지지편을 본 발명의 커피 탬퍼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탬핑 보조 블록과 연결 간살 및 결합 지지편을 본 발명에 의한 커피 탬퍼의 탬핑 바디에 결합하고 볼트로 고정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5는 도 24의 볼트에 의해 탬핑 보조 블록과 연결 간살 및 결합 지지편을 본 발명에 의한 커피 탬퍼의 탬핑 바디에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탬퍼의 다른 주요부인 프레싱 아암(170)을 힌지를 기준으로 탬핑 보조 블록의 상면 쪽으로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프레싱 아암(170)을 힌지를 기준으로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탬퍼의 주요부인 탬핑 바디의 하부에 보조 프레싱 블록이 결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보조 프레싱 블록을 탬핑 바디의 하부에서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탬퍼의 주요부인 제1탬핑 바디에 제2탬핑 바디를 고정하여 결합하기 위한 결착 블록과 결착 작동 볼트 및 결착 작동 테이퍼 블록 부분을 일부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결착 블록과 결착 작동 볼트 및 결착 작동 테이퍼 블록에 의해 본 발명의 커피 탬퍼의 주요부인 제1탬핑 바디에 제2탬핑 바디를 고정하여 결합시킨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ffee t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ortafilter to which the coffee tamper of FIG. 1 is couple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filter shown in FIG. 2 is coupled to a coffee extraction container;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filter shown in FIG. 2 is coupled to the coffee extraction container and a state in which the coffee t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portafilter;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ling bubble of the leveling system,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ut of the inner area of the leveling center circle and the coffee tamper is not leveled;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eveling state of the coffee tamper as the leveling bubble of the leveling system,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enters the area inside the leveling center circle;
7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coffee t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ling bubble of the leveling system,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coffee tamper shown in FIG. 7, is out of the inner region of the leveling center circle and the coffee tamper is not leveled;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eveling state of the coffee tamper as the leveling bubble of the leveling system,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enters the area inside the leveling center circl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ortafilter to which the coffee t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7 to 9 is coupled;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ffee t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7 to 9 is coupled to the portafilter shown in FIG. 10;
12 is a partially cu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amping body, a fixing block, and a bolt part, which are the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artially cu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block shown in FIG. 12 is pressed and pressed to the level accommodated in the tamping body;
14 is a partially cu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amping body, a fixing block, and a bolt portion of a coffee tam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artially cu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block shown in FIG. 14 is pressed and adhered to the level accommodated in the tamping body;
16 is a partially cu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amping body, a fixing block, a bolt and a spring part, which are the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artially cu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block shown in FIG. 16 is pressed and pressed to the level accommodated in the tamping body;
18 is a partially cu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amping body, a fixing block, a spring and a bolt part of a coffee tam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artially cu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block shown in FIG. 18 is pressed into the horizontal system accommodated in the tamping body;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other main part of the coffee t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mping auxiliary block and the connection gansal and the coupling support piece;
21 is a side view of FIG. 20;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coupling the tamping auxiliary block and the grinding and coupling support pieces shown in FIG. 20 to the coffee t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amping auxiliary block shown in FIG. 22 and the gansal and coupling support pieces are coupled to the coffee t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before coupling the tamping auxiliary block and the connecting shank and the coupling support piece shown in FIG. 21 to the tamping body of the coffee t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xing it with bolts;
2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amping auxiliary block and the connection gansal and the coupling support piece are fixed to the tamping body of the coffee t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bolts of FIG. 24;
2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arm 170, which is another main part of the coffee t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tamping auxiliary block based on the hinge;
2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arm 170 shown in FIG. 26 is unfolded based on the hinge;
28 is a partially cu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auxiliary pressing block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tamping body,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coffee t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partially cu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pressing block shown in FIG. 28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tamping body;
3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enlarged of a binding block for fixing and coupling a second tamping body to a first tamping body, which is a main part of a coffee t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inding operation bolt, and a binding operation taper block part;
3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enlarged an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tamping body is fixed and coupled to the first tamping body,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coffee t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binding block, the binding operation bolt, and the binding operation taper block shown in FIG. it is d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between each component another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탬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피 탬퍼가 결합되는 포터 필터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터 필터를 커피 추출 용기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포터 필터를 커피 추출 용기에 결합시킨 상태와 포터 필터에 본 발명의 커피 탬퍼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수평계의 수평 맞춤 버블이 수평 맞춤 중심원 내부 영역에서 벗어나서 커피 탬퍼의 수평이 맞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수평계의 수평 맞춤 버블이 수평 맞춤 중심원 내부 영역으로 들어와서 커피 탬퍼의 수평이 맞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탬퍼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피 탬퍼의 주요부인 수평계의 수평 맞춤 버블이 수평 맞춤 중심원 내부 영역에서 벗어나서 커피 탬퍼의 수평이 맞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인 수평계의 수평 맞춤 버블이 수평 맞춤 중심원 내부 영역으로 들어와서 커피 탬퍼의 수평이 맞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커피 탬퍼가 결합되기 위한 포터 필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포터 필터에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커피 탬퍼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ffee t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ortafilter to which the coffee tamper of FIG. 1 is coupled, and FIG. 3 is a state in which the portafilter shown in FIG. 2 is coupled to the coffee extraction container. A perspective view showing,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filter shown in FIG. 2 is coupled to the coffee extraction container and a state in which the coffee t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portafilter, FIG.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ffee tamper is not leveled out of this leveling center circle inner area, FIG. 6 is a leveling bubble of the leveler,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enters the leveling center circle inner area and the coffee tamper is leveled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FIG. 7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coffee t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leveling bubble of the leveler, which is a main part of the coffee tamper shown in FIG.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n-horizontal state,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eveling state of the coffee tamper as the leveling bubble of the leveler,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enters the area inside the leveling center circle,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ortafilter to which the coffee t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7 to 9 is coupled, and FIG. 11 is the coffe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tamper is combined.

본 발명의 커피 탬퍼는 탬핑 바디(120)와, 상기 탬핑 바디(120)에 결합된 수평계(13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터 필터(20)의 하부에는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커피 추출 용기(23)가 결합될 수 있다.The coffee t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mping body 120 and a level 130 coupled to the tamping body 120 . As shown in FIG. 4 , a coffee extraction container 23 for extracting coffee may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ortafilter 20 .

상기 탬핑 바디(120)는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탬핑 바디(120)는 평단면으로 볼 때에 단면 원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The tamping body 120 is configured in a block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mping body 120 is configured in a cross-sectional circular block shape when viewed in a flat cross-section.

상기 수평계(130)는 상면이 투명판으로 형성되고, 수평계(130)의 투명판의 중심부에 수평 맞춤 중심원(133)이 배치되고, 상기 수평 맞춤 중심원(133)을 기준으로 십자형으로 눈금(134)이 배치된다.The horizontal level 130 has an upper surface formed of a transparent plate, a horizontal alignment center circle 133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transparent plate of the level level 130, and a cross-shaped scale based on the horizontal alignment center circle 133 ( 134) is placed.

상기 수평계(130)는 수평 맞춤 중심원(133)을 중심으로 십자형으로 눈금(134)이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탬핑 바디(120)를 커피 원두 가루가 채워져 있는 포터 필터(20)에 삽입하여 누르기 이전에 상기 수평 맞춤 중심원(133)에 수평 맞춤 버블(136)이 들어가도록 하여서 상기 수평계(130)와 상기 탬핑 바디(120)의 수평을 맞춘 다음, 상기 탬핑 바디(120)를 눌러서 포터 필터(20)에서 커피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The level 13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cale 134 is arranged in a cross shape around the horizontal alignment center circle 133, and the tamping body 120 is inserted into the portafilter 20 filled with coffee bean powder and pressed. Prior to leveling the level 130 and the tamping body 120 by allowing the leveling bubble 136 to enter the leveling center circle 133, the portafilter ( 20) is configured to extract coffee.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에 일정한 양의 커피 원두 가루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포터 필터(20) 내에 존재하는 커피 원두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탬핑 바디(120)를 구비하여, 포터 필터(20) 내에 채워져 있는 커피 원두를 탬핑 바디(120)로 가압하기 이전에 수평계(130)를 보고 수평 상태를 맞춘 상태에서 커피 원두 가루를 탬핑함에 따라 커피가 한쪽으로 추출되거나 불량이 나는 경우를 방지하고, 포터 필터(20)에서 추출되는 에스프레소의 맛과 향이 균일해지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탬핑 바디(120)에 수평계(130)를 달아서 놓고 사람이 수평계(130)를 보고 수평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탬핑 바디(120)로 포터 필터(20)에 채워져 있는 커피 원두를 일정한 힘으로 꾹 눌러주면 커피 가루가 균일하게 눌려지기 때문에 커피가 한쪽으로 추출되거나 불량이 나는 경우를 방지하는 것이며, 커피가 균일하게 추출되거나 불량이 나는 경우를 방지하여 에스프레소의 맛과 향이 균일하게 보장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mping body 120 that is formed to accommodate a certain amount of coffee bean powder therein and at the same time pressurizes coffee beans existing in the portafilter 20, Before pressing the coffee beans filled in the inside with the tamping body 120, look at the level 130 and tamp the coffee bean powder in the horizontal state to prevent the coffee from being extracted to one side or to be defective, and the port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aste and aroma of the espresso extracted from the filter 20 becomes uniform.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l 130 is attached to the tamping body 120 and a person can accurately align the level by looking at the level 130, and in this state, the portafilter 20 is filled with the tamping body 120. If you press the coffee beans with a certain force, the coffee powder is uniformly pressed, so coffee is extracted to one side or is not bad. A uniformly guaranteed effect can be expected.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탬핑 바디와 픽싱 블록 및 볼트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픽싱 블록을 탬핑 바디에 수용된 수평계에 가압 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피 탬퍼의 탬핑 바디와 픽싱 블록 및 볼트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픽싱 블록을 탬핑 바디에 수용된 수평계에 가압 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탬핑 바디와 픽싱 블록과 볼트 및 스프링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픽싱 블록을 탬핑 바디에 수용된 수평계에 가압 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피 탬퍼의 탬핑 바디와 픽싱 블록과 스프링 및 볼트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픽싱 블록을 탬핑 바디에 수용된 수평계에 가압 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탬퍼의 다른 주요부인 탬핑 보조 블록과 연결 간살 및 결합 지지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일측면도,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탬핑 보조 블록과 간살 및 결합 지지편을 본 발명의 커피 탬퍼에 결합시키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탬핑 보조 블록과 간살 및 결합 지지편을 본 발명의 커피 탬퍼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탬핑 보조 블록과 연결 간살 및 결합 지지편을 본 발명에 의한 커피 탬퍼의 탬핑 바디에 결합하고 볼트로 고정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5는 도 24의 볼트에 의해 탬핑 보조 블록과 연결 간살 및 결합 지지편을 본 발명에 의한 커피 탬퍼의 탬핑 바디에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탬퍼의 다른 주요부인 프레싱 아암(170)을 힌지를 기준으로 탬핑 보조 블록의 상면 쪽으로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프레싱 아암(170)을 힌지를 기준으로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탬퍼의 주요부인 탬핑 바디의 하부에 보조 프레싱 블록이 결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보조 프레싱 블록을 탬핑 바디의 하부에서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탬퍼의 주요부인 제1탬핑 바디에 제2탬핑 바디를 고정하여 결합하기 위한 결착 블록과 결착 작동 볼트 및 결착 작동 테이퍼 블록 부분을 일부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결착 블록과 결착 작동 볼트 및 결착 작동 테이퍼 블록에 의해 본 발명의 커피 탬퍼의 주요부인 제1탬핑 바디에 제2탬핑 바디를 고정하여 결합시킨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 12 is a partially cu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amping body, the fixing block, and the bolt part,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the fixing block shown in FIG. A partially cu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FIG. 14 is a partially cu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amping body, a fixing block, and a bolt part of a coffee tam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fixing block shown in FIG. 14 to the tamping body A partially cu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it is pressed and adhered to the accommodated level, FIG. 16 is a partially cu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mping body, the fixing block, and the bolt and spring part, FIG. 17 is the fixing shown in FIG. A partially cu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ck is pressed into the horizontal system accommodated in the tamping body, FIG. 18 is a partially cu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amping body, the fixing block, and the spring and bolt part of the coffee tam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artially cu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block shown in FIG. 18 is pressed and adhered to the level accommodated in the tamping body, and FIG.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support piece, FIG. 21 is a side view of FIG. 20, and FIG.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before coupling the tamping auxiliary block and the interlocking and coupling support pieces shown in FIG. 20 to the coffee t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amping auxiliary block shown in FIG. 22 and the grinding and coupling support pieces are coupled to the coffee t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s the tamping auxiliary block shown in FIG. A sid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coupling to the tamping body of the coffee t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xing it with bolts, FIG. A side view showing a state fixed to the tamping body, Figure 26 is another main part of the coffee t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arm 170 is fold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tamping auxiliary block based on a hinge, FIG. 2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arm 170 shown in FIG. 26 is unfolded based on a hinge, FIG. A partially cu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auxiliary pressing block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tamping body,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coffee tamp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 29 is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pressing block shown in FIG. 28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tamping body A partially cu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FIG. 3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enlarged of a binding block for fixing and coupling the second tamping body to the first tamping body,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coffee t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inding operation bolt and binding operation taper block part 31 is an enlarged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tamping body is fixed and coupled to the first tamping body,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coffee t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binding block, the binding actuating bolt, and the binding actuating taper block shown in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본 발명은 수평계(130)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탬핑 바디(120)에 구비된 복수개의 픽싱 블록(140)과, 상기 탬핑 바디(120)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어 픽싱 블록(140)이 수평계(130)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픽싱 작동 볼트(142)를 더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xing blocks 140 provided in the tamping body 120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ler 130, and the fixing block 140 are coupled to the tamping body 120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 further includes a fixing operation bolt 142 to be pressed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ler 130 .

상기 픽싱 작동 볼트(142)를 한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픽싱 블록(140)을 밀어주면 복수개의 픽싱 블록(140)이 수평계(130)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고 동시에 픽싱 블록(140)의 상면 일부와 저면 일부는 탬핑 바디(120) 내부에 형성된 블록 이동홈(122)에 걸려짐으로써 수평계(130)가 탬핑 바디(120) 내부의 안착홈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When the fixing block 140 is pushed by rotating the fixing operation bolt 142 in one direction (eg, clockwise), the plurality of fixing blocks 140 are pressed and pressed agains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veler 130 and at the same time the fixing block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nd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140 are hung on the block moving groove 122 formed inside the tamping body 120 so that the level 130 is stably fixed to the seating groove inside the tamping body 120 .

이때, 상기 수평계(130)의 외주면에는 블록 삽입홈(132)이 더 구비되어 복수개의 픽싱 블록(140)이 수평계(130)의 블록 삽입홈(132)에 들어가서 결합된다.At this time, a block insertion groove 132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veler 130 so that a plurality of fixing blocks 140 enter the block insertion groove 132 of the leveler 130 and are coupled thereto.

이러한 경우에는 복수개의 픽싱 블록(140)이 수평계(130)의 외주면에서 수평계(130)를 더 잡아주기 때문에 탬핑 바디(120)에 수평계(130)를 더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plurality of fixing blocks 140 further hold the level 13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l 130 , there is an effect of more firmly coupling the level 130 to the tamping body 120 .

한편, 상기 픽싱 작동 볼트(142)를 다른 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픽싱 블록(140)을 밀어주는 힘을 해제하면 복수개의 픽싱 블록(140)이 수평계(130)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된 상태가 해재되므로, 수평계(130)를 탬핑 바디(120) 내부의 안착홈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xing actuating bolt 142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eg, counterclockwise) to release the force pushing the fixing block 140 , the plurality of fixing blocks 140 are aligned with the level of the level 130 . Since the pressure-adhered state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released, the leveler 130 can be separated from the seating groove inside the tamping body 120 .

상기 픽싱 블록(140)의 외주면과 탬핑 바디(120) 내부의 블록 이동홈(122) 사이에는 스프링(15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pring 150 is connect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block 140 and the block moving groove 122 inside the tamping body 120 .

상기 픽싱 블록(140)이 전진하여 수평계(130)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된 상태에서는 스프링(150)이 늘어나 있다가 상기 픽싱 작동 볼트(142)를 반대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후진되도록 하면 늘어나 있던 스프링(150)이 원래의 상태로 줄어들면서 수평계(130) 외주면의 블록 삽입홈(132)에서 빠지게 되어서 상기 수평계(130)를 탬핑 바디(120) 내부의 안착홈에서 들어내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block 140 is advanced and pressed agains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ler 130 , the spring 150 is extended and then the fixing operation bolt 142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eg, counterclockwise). When it is set backward, the stretched spring 150 is reduced to its original state and is pulled out from the block insertion groove 132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vel 130, and the level 130 is lifted from the seating groove inside the tamping body 120. It is designed to be separable.

이러한 경우에는 스프링(150)이 당기는 힘에 의해 복수개의 픽싱 블록(140)이 자동으로 수평계(130)의 외주면에서 벌어지면서 수평계(130) 외주면의 블록 삽입홈(132)에서 픽싱 블록(140)이 빠지므로 탬핑 바디(120) 내부의 안착홈에서 원활하게 수평계(130)를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fixing blocks 140 are automatically open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ler 130 by the pulling force of the spring 150, and the fixing block 140 in the block insertion groove 132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ler 130. Since it falls ou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leveler 130 can be smoothly separated from the seating groove inside the tamping body 120 .

본 발명은 탬핑 바디(120)에 결합된 복수개의 탬핑 보조 블록(160)을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tamping auxiliary blocks 160 coupled to the tamping body 120 .

상기 탬핑 보조 블록(160)에는 연결 간살(162)을 매개로 결합 지지편(164)이 연결되고 결합 지지편(164)은 탬핑 보조 블록(160)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 지지편(164)은 픽싱 볼트(166)에 의해 탬핑 바디(120)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탬핑 보조 블록(160)의 저면이 탬핑 바디(12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탬핑 바디(120)가 제1탬핑 바디(120A)와 제2탬핑 바디(120B)로 구성된 경우, 픽싱 볼트(166)의 선단부가 제1탬핑 바디(120A)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됨으로써 탬핑 보조 블록(160)의 저면이 탬핑 바디(12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24 및 도 24 참조.A coupling support piece 164 is connected to the tamping auxiliary block 160 via a connecting rib 162 , and the coupling support piece 164 is disposed below the tamping auxiliary block 160 and the coupling support piece 164 . Silver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mping body 120 by the fixing bolt 166 to maintain the lower surface of the tamping auxiliary block 160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amping body 120 .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amping body 120 is composed of the first tamping body 120A and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the tip of the fixing bolt 166 is pressed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amping body 120A. It is configured to keep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lock 160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tamping body 120 . See Figures 24 and 24.

상기 탬핑 보조 블록(160)의 상면을 사람이 눌러줄 때에 탬핑 바디(120)가 포터 필터(20)에 채워진 커피 원두 가루를 누르는 힘이 탬핑 보조 블록(160)에 의해 더해져서 포터 필터(20)에서 에스프레소와 같은 커피를 추출할 때에 힘이 덜 들어가서 편하고 커피도 포터 필터(20)에서 더 확실하게 고르게 추출되어 커피의 향과 풍미를 더 확실하게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When a person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tamping auxiliary block 160, the force of the tamping body 120 to press the coffee bean powder filled in the portafilter 20 is added by the tamping auxiliary block 160 to the portafilter 20 When extracting coffee such as espresso, less force is required to extract coffee, and coffee is more reliably and evenly extracted from the portafilter 20, thereby more reliably ensuring the aroma and flavor of coffee.

상기 탬핑 보조 블록(160)에는 힌지(HG)를 매개로 상향 회동되도록 결합된 한 쌍의 프레싱 아암(170)을 더 포함한다. 힌지(HG)는 경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amping auxiliary block 160 further includes a pair of pressing arms 170 coupled to rotate upward through a hinge HG. The hinge HG may be formed of a hinge.

상기 힌지(HG)를 기준으로 한 쌍의 프레싱 아암(170)을 하향 회동시킬 때에 한 쌍의 프레싱 아암(170)의 내측단이 탬핑 보조 블록(16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한 쌍의 프레싱 아암(170)이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pair of pressing arms 170 is rotated downwardly based on the hinge HG, the inner ends of the pair of pressing arms 170 are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amping auxiliary block 160 to contact the pair of pressing arms ( 170) maintains the horizontally unfolded state.

한 쌍의 프레싱 아암(170)이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사람이 양손으로 한 쌍의 프레싱 아암(170)을 눌러주면 탬핑 보조 블록(160)과 탬핑 바디(120)를 누르는 힘이 더 높아져서 상기 탬핑 바디(120)의 하단부가 포터 필터(20)에서 채워져 있는 커피 원두 가루를 누르는 힘을 더욱 크게 하므로, 사람이 탬핑 바디(120)를 누르는 탬핑 작동을 할 때에 사람이 탬핑 바디(120)를 누르는 힘을 더욱 줄일 수 있으므로, 탬핑 바디(120)를 눌러서 포터 필터(20)에서 커피를 추출할 때에 더욱 편리하고 포터 필터(20)에 채워진 커피 원두 가루를 더욱 균일하게 추출하고 나아가 커피가 더욱 고르게 추출되어 커피의 향과 풍미를 더욱 확실하게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When a person presses the pair of pressing arms 170 with both hands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pressing arms 170 are spread o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orce of pressing the tamping auxiliary block 160 and the tamping body 120 increases, so that the tamping Since the lower end of the body 120 increases the force of pressing the coffee bean powder filled in the portafilter 20 , the force of the person pressing the tamping body 120 when the person presses the tamping body 120 . Since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It has the effect of ensuring the aroma and flavor of coffee more reliably.

상기 탬핑 바디(120)는 제1탬핑 바디(120A)와, 상기 제1탬핑 바디(120A)에 결합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제2탬핑 바디(120B)를 포함하며, 상기 탬핑 바디(120)로 포터 필터(20)에 채워져 있는 커피 원두 가루를 눌러주고자 할 때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상기 제2탬핑 바디(120B)의 하단부가 커피 원두 가루에 직접 접촉된 상태에서 눌러주게 되어서, 상기 탬핑 바디(120)에 의해 포터 필터(20) 내에 채워져 있는 커피 원두 가루를 눌러주는 힘을 가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mping body 120 includes a first tamping body 120A and a second tamping body 120B made of stainless material coupled to the first tamping body 120A, and the tamping body 120 includes a porta filter. When you want to press the coffee bean powder filled in 20, the lower end of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made of stainless material is pressed while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ffee bean powder, so that by the tamping body 1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ce of pressing the coffee bean powder filled in the portafilter 20 is increased.

스테인레스 재질의 제2탬핑 바디(120B)의 중량이 더해진 상태에서 탬핑 바디(120)로 포터 필터(20) 내에 채워져 있는 커피 원두 가루를 눌러주는 탬핑 작업을 하기 때문에, 상기 탬핑 바디(120)에 의해 포터 필터(20) 내에 채워져 있는 커피 원두 가루를 눌러주는 힘을 가중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탬핑 바디(120)로 커피 원두 가루를 눌러서 커피를 추출할 때에 보다 편리한 효과가 있다.In the state in which the weight of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made of stainless steel is added, the tamping body 120 presses the coffee bean powder filled in the portafilter 20 with the tamping body 120. By the tamping body 12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orce of pressing the coffee bean powder filled in the portafilter 20 , which has a more convenient effect when extracting coffee by pressing the coffee bean powder with the tamping body 120 .

상기 제2탬핑 바디(120B)의 저면 둘레부에는 하향 연장 테두리편(124)이 구비되어, 상기 하향 연장 테두리편(124)에 의해 상기 제2탬핑 바디(120B)의 저면 아래쪽에 프레싱 블록 수용홈(126)이 형성되고, 상기 제2탬핑 바디(120B)의 저면에는 자성체(180)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싱 블록 수용홈(126)에 보조 프레싱 블록(19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프레싱 블록(19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 프레싱 블록(190)의 상면에는 블록측 자성체(200)(180)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 프레싱 블록(190)이 프레싱 블록 수용홈(126)에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자성체(180)와 블록측 자성체(200)(180)가 자력에 의해 붙는 힘에 의해서 상기 보조 프레싱 블록(190)이 제2탬핑 바디(120B) 저면 아래에 확보된 프레싱 블록 수용홈(126)에 안정적으로 들어가서 결합되고, 상기 보조 프레싱 블록(190)의 저면이 포터 필터(20)에 채워져 있는 커피 원두 가루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탬핑 바디(120)를 눌러주어서 포터 필터(20)에서 에스프레소와 같은 커피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A downwardly extending rim piece 124 is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and a pressing block receiving groove is provided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by the downwardly extending rim piece 124 . 126 is formed, a magnetic material 18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an auxiliary pressing block 190 is provided in the pressing block receiving groove 126, and the auxiliary pressing block ( 190 is made of a stainless material, and the block-side magnetic body 200 , 18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pressing block 190 , and the auxiliary pressing block 190 enters the pressing block receiving groove 126 . The auxiliary pressing block 190 is secured under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by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magnetic body 180 and the block-side magnetic body 200 and 180 by magnetic force in the pressing block receiving groove 126. ) is stably entered and combined, and the tamping body 120 is pressed in a state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pressing block 190 is in contact with the coffee bean powder filled in the portafilter 20 to produce espresso in the portafilter 20. It is configured to extract the same coffee.

따라서, 상기 보조 프레싱 블록(190)이 반복되어 커피 원두 가루를 눌러줌으로 인해서 더러워진 경우 작업자는 자성체(180)와 블록측 자성체(200)(180)가 서로 붙는 힘보다 더 큰 힘을 주어서 보조 프레싱 블록(190)을 제2탬핑 바디(120B)의 저면에서 분리하여 보조 프레싱 블록(190)을 청소한 다음 다시 제2탬핑 바디(120B)의 저면 아래의 프레싱 블록 수용홈(126)에 삽입하면 자성체(180)와 블록측 자성체(200)(180)가 서로 붙는 자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제2탬핑 바디(120B)의 저면에 보조 프레싱 블록(190)을 결합할 수 있고, 청소가 완료되는 보조 프레싱 블록(190)을 다시 제2탬핑 바디(120B)의 저면에 결합하는 셈이 되어서 위생적인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when the auxiliary pressing block 190 is repeatedly pressed and becomes dirty due to pressing the coffee bean powder, the operator applies a greater force than the force between the magnetic body 180 and the block side magnetic body 200 and 180 to adhere to each other. When the block 19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to clean the auxiliary pressing block 190, and then inserted again into the pressing block receiving groove 126 under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the magnetic material The auxiliary pressing block 19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by the magnetic force in which 180 and the block-side magnetic body 200 and 180 adhere to each other, and the cleaning is completed. Since the 19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again, there is a more desirable effect in terms of hygiene.

이때, 상기 하향 연장 테두리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핑거 삽입홈(127)이 구비되고, 핑거 삽입홈(127)은 하향 연장 테두리부의 내외표면으로 연통되어 있어서, 작업자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을 핑거 삽입홈(127)들에 삽입한 상태에서 보조 프레싱 블록(190)을 잡을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보조 프레싱 블록(190)을 제2탬핑 바디(120B)의 저면 아래쪽으로 당겨주면 보다 쉽게 자성체(180)와 블록측 자성체(200)(180)의 서로 붙는 자력을 이기고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downwardly extending edge por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or more finger insertion grooves 127, and the finger insertion grooves 127 communicate with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downwardly extending edge portion, so that the operator inserts at least two fingers into the finger insertion grooves ( 127) can hold the auxiliary pressing block 190 in the inserted state, and in this state, if the auxiliary pressing block 190 is pulled downwards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the magnetic body 180 and the block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magnetic force of the side magnetic materials 200 and 180 to separate them.

상기 제1탬핑 바디(120A)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2탬핑 바디(120B)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결착 블록(210)과, 상기 제2탬핑 바디(120B)의 상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결착 작동 볼트(220)와, 상기 결착 작동 볼트(22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결착 블록(210)의 외주면에 접촉된 결착 작동 테이퍼 블록(230)을 더 포함한다.A plurality of binding blocks 210 provided inside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so as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amping body 120A,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are raised and lowered It further includes a binding actuating bolt 220 coupled as possible, and a taper binding actuating block 230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inding actuating bolt 220 and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inding block 210 .

상기 결착 작동 테이퍼 블록(230)은 결착 작동 볼트(220)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는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2탬핑 바디(120B)에는 결착 결착 작동 볼트(220)와 결착 작동 테이퍼 블록(230)이 승강 가능하도록 하는 승강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승강 가이드홀을 제2탬핑 바디(120B)의 상면으로 관통되어 있고, 상기 제2탬핑 바디(120B)의 내부에는 승강 가이드홀과 연통되면서 동시에 결착 결착 작동 볼트(220)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결착 작동 볼트 결합홀이 구비되어, 상기 결착 결착 작동 볼트(220)를 제2탬핑 바디(120B) 내부의 결착 작동 볼트 결합홀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결착 결착 작동 볼트(220)를 제2탬핑 바디(120B)에서 승강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binding operation taper block 230 is configured in a block shape in which the outer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binding operation bolt 220 .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is provided with an elevating guide hole that enables the binding and binding operation bolt 220 and the binding operation taper block 230 to be lifted and lowered, and the elevating guide hole is penetrat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is provided with a binding operation bolt coupling ho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elevating guide hole and at the same time the binding engagement operation bolt 220 is screwed together, the binding operation bolt 220 ) may be rotated based on the binding operation bolt coupling hole inside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to allow the binding operation bolt 220 to be lifted from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상기 결착 작동 볼트(220)를 한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2탬핑 바디(120B)의 내부에서 하강시키면, 상기 결착 작동 테이퍼 블록(230)이 결착 블록(210)을 제1탬핑 바디(120A)의 수직 방향 중심부 쪽으로 밀어서 복수개의 결착 블록(210)이 제1탬핑 바디(120A)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고 동시에 결착 블록(210)의 상면 일부와 저면 일부는 제2탬핑 바디(120B) 내부에 형성된 결착 블록 이동홈에 걸려짐으로써 제2탬핑 바디(120B)가 제1탬핑 바디(120A)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When the binding actuating bolt 2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eg, clockwise) to descend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the binding actuating taper block 230 removes the binding block 210 . 1 By pushing toward the cen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amping body 120A, the plurality of binding blocks 210 are pressed and pressed agains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amping body 120A, and at the same time,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nd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inding block 210 are part of the second tamping body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is configured to be stably fixed to the first tamping body 120A by being caught in the binding block moving groove formed inside the 120B.

이때, 상기 제1탬핑 바디(120A)의 외주면에는 결착 블록 삽입홈(120CBG)이 더 구비되어 복수개의 결착 블록(210)이 제1탬핑 바디(120A)의 결착 블록 삽입홈(120CBG)에 들어가서 결합된다.At this time, a binding block insertion groove 120CBG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amping body 120A so that a plurality of binding blocks 210 enter the binding block insertion groove 120CBG of the first tamping body 120A and engage. do.

이러한 경우에는 복수개의 결착 블록(210)이 제1탬핑 바디(120A)의 외주면에서 제1탬핑 바디(120A)를 제2탬핑 바디(120B)에 더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더 잡아주기 때문에 제1탬핑 바디(120A)와 제2탬핑 바디(120B) 사이의 결합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plurality of binding blocks 210 further hold the first tamping body 120A to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amping body 120A, the first tamping bod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120A and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can be more firmly implemented.

한편, 상기 결착 작동 볼트(220)를 다른 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2탬핑 바디(120B)의 내부에서 상승시키면, 상기 결착 작동 테이퍼 블록(230)이 결착 블록(210)을 제1탬핑 바디(120A)의 수직 방향 중심부 쪽으로 밀어주는 힘이 해제되어 복수개의 결착 블록(210)이 제1탬핑 바디(120A)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는 상태가 해제되므로 제1탬핑 바디(120A)에서 제2탬핑 바디(120B)를 분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inding actuating bolt 22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for example, counterclockwise) to rise inside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the binding actuating taper block 230 is the binding block ( Since the force pushing the 210 to the center of the first tamping body 120A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released, the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binding blocks 210 are pressed agains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amping body 120A is released, so the first tamping body is released. It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can be separated from the 120A.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chang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who has it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20. 포터 필터 120. 탬핑 바디
120A. 제1탬핑 바디 120B. 제2탬핑 바디
122. 블록 이동홈 124. 하향 연장 테두리편
126. 프레싱 블록 수용홈 127. 핑거 삽입홈
128. 결착 블록 삽입홈 130. 수평계
132. 블록 삽입홈 133. 수평 맞춤 중심원
134. 눈금 136. 수평 맞춤 버블
140. 픽싱 블록 142. 픽싱 작동 볼트
150. 스프링 160. 탬핑 보조 블록
162. 연결 간살 164. 결합 지지편
166. 픽싱 볼트 170. 프레싱 아암
HG. 힌지 180. 자성체
190. 보조 프레싱 블록 200. 블록측 자성체
210. 결착 블록 220. 결착 작동 볼트
230. 결착 작동 테이퍼 블록
20. Portafilter 120. Tamping Body
120A. First tamping body 120B. 2nd tamping body
122. Block moving groove 124. Downward extension edge piece
126. Pressing block receiving groove 127. Finger insertion groove
128. Binding block insertion groove 130. Level
132. Block insertion groove 133. Horizontal alignment center circle
134. Scale 136. Leveling Bubbles
140. Fixing block 142. Fixing actuation bolt
150. Spring 160. Tamping Auxiliary Block
162. Interconnection gap 164. Joint support piece
166. Fixing bolt 170. Pressing arm
HG. Hinge 180. Magnetic
190. Auxiliary pressing block 200. Block side magnetic body
210. Locking block 220. Locking actuation bolt
230. Tie-down action tapered block

Claims (4)

탬핑 바디(120);
상기 탬핑 바디(120)에 결합된 수평계(130);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계(130)는 수평 맞춤 중심원(133)을 중심으로 십자형으로 눈금(134)이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탬핑 바디(120)를 커피 원두 가루가 채워져 있는 포터 필터(20)에 삽입하여 누르기 이전에 상기 수평 맞춤 중심원(133)에 수평 맞춤 버블(136)이 들어가도록 하여서 상기 수평계(130)와 상기 탬핑 바디(120)의 수평을 맞춘 다음, 상기 탬핑 바디(120)를 눌러서 포터 필터(20)에서 커피를 추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평계(130)는 상면이 투명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맞춤 중심원(133)은 상기 수평계(130)의 상기 투명판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 맞춤 중심원(133)을 기준으로 십자형으로 상기 눈금(134)이 배치되고,
상기 수평계(130)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탬핑 바디(120)에 구비된 복수개의 픽싱 블록(140)과, 상기 탬핑 바디(120)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어 픽싱 블록(140)이 수평계(130)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픽싱 작동 볼트(1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픽싱 작동 볼트(142)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픽싱 블록(140)을 밀어주면 복수개의 픽싱 블록(140)이 수평계(130)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고 동시에 픽싱 블록(140)의 상면 일부와 저면 일부는 탬핑 바디(120) 내부에 형성된 블록 이동홈(122)에 걸려짐으로써 수평계(130)가 탬핑 바디(120) 내부의 안착홈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평계(130)의 외주면에는 블록 삽입홈(132)이 더 구비되어 복수개의 픽싱 블록(140)이 수평계(130)의 블록 삽입홈(132)에 들어가서 결합되어,
복수개의 픽싱 블록(140)이 수평계(130)의 외주면에서 수평계(130)를 더 잡아주기 때문에 탬핑 바디(120)에 수평계(130)를 더 견고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픽싱 작동 볼트(142)를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픽싱 블록(140)을 밀어주는 힘을 해제하면 복수개의 픽싱 블록(140)이 수평계(130)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된 상태가 해재되므로, 수평계(130)를 탬핑 바디(120) 내부의 안착홈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픽싱 블록(140)의 외주면과 탬핑 바디(120) 내부의 블록 이동홈(122) 사이에는 스프링(150)이 연결되어,
상기 픽싱 블록(140)이 전진하여 수평계(130)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된 상태에서는 스프링(150)이 늘어나 있다가 상기 픽싱 작동 볼트(142)를 회전시켜서 후진되도록 하면 늘어나 있던 스프링(150)이 원래의 상태로 줄어들면서 수평계(130) 외주면의 블록 삽입홈(132)에서 빠지게 되어서 상기 수평계(130)를 탬핑 바디(120) 내부의 안착홈에서 들어내서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탬퍼.
tamping body 120;
Including; a leveler 130 coupled to the tamping body 120;
The level 13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cale 134 is arranged in a cross shape around the horizontal alignment center circle 133, and the tamping body 120 is inserted into the portafilter 20 filled with coffee bean powder and pressed. Prior to leveling the level 130 and the tamping body 120 by allowing the leveling bubble 136 to enter the leveling center circle 133, the portafilter ( 20) is configured to extract coffee from,
The leveling unit 130 has an upper surface formed of a transparent plate, and the horizontal alignment center circle 133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transparent plate of the level level 130 , and is cross-shaped based on the horizontal alignment center circle 133 . As the scale 134 is arranged,
A plurality of fixing blocks 140 provided in the tamping body 120 so as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ler 130, and the fixing block 140 are coupled to the tamping body 120 in a forward and backward manner. It further includes a fixing operation bolt 142 to be pressed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ler 130,
When the fixing block 140 is pushed by rotating the fixing operation bolt 142 in one direction, the plurality of fixing blocks 140 are pressed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ler 130 , and at the same time a part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block 140 . A part is configured to be stably fixed to the seating groove inside the tamping body 120 by being caught in the block moving groove 122 formed in the tamping body 120,
A block insertion groove 132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veler 130 so that a plurality of fixing blocks 140 enter the block insertion groove 132 of the leveler 130 and are coupled thereto,
Since the plurality of fixing blocks 140 hold the level 130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vel 130 more firmly, the level 130 is more firmly coupled to the tamping body 120,
When the fixing operation bolt 142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o release the force pushing the fixing block 140 , the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fixing blocks 140 are pressed agains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l 130 is released. (130) can be separated from the seating groove inside the tamping body 120,
A spring 150 is connect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block 140 and the block moving groove 122 inside the tamping body 120,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block 140 is advanced and pressed agains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ler 130, the spring 150 is stretched. Coffee tamp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moved from the block insertion groove 132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l 130 while reducing to a state of the level 130, and can be separated by lifting the level 130 from the seating groove inside the tamping body 120.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탬핑 바디(120)는 제1탬핑 바디(120A)와, 상기 제1탬핑 바디(120A)에 결합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제2탬핑 바디(120B)를 포함하며, 상기 탬핑 바디(120)로 포터 필터(20)에 채워져 있는 커피 원두 가루를 눌러주고자 할 때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상기 제2탬핑 바디(120B)의 하단부가 커피 원두 가루에 직접 접촉된 상태에서 눌러주게 되어서, 상기 탬핑 바디(120)에 의해 포터 필터(20) 내에 채워져 있는 커피 원두 가루를 눌러주는 힘을 가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탬퍼.
The method of claim 1,
The tamping body 120 includes a first tamping body 120A and a second tamping body 120B made of stainless material coupled to the first tamping body 120A, and the tamping body 120 includes a porta filter. When you want to press the coffee bean powder filled in 20, the lower end of the second tamping body 120B made of stainless material is pressed while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ffee bean powder, so that by the tamping body 120 Coffee tamp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reases the force of pressing the coffee bean powder filled in the portafilter (20).
KR1020220075916A 2022-06-22 2022-06-22 Coffee tamper KR1024548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916A KR102454809B1 (en) 2022-06-22 2022-06-22 Coffee tam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916A KR102454809B1 (en) 2022-06-22 2022-06-22 Coffee tam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809B1 true KR102454809B1 (en) 2022-10-14

Family

ID=8359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916A KR102454809B1 (en) 2022-06-22 2022-06-22 Coffee tam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80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36B1 (en) 2013-07-18 2013-10-04 여태건 Coffee tamper
KR101509140B1 (en) 2014-09-02 2015-04-07 정순철 Automatic coffee tamper apparatus
KR20170073552A (en) * 2017-04-25 2017-06-28 주식회사 향기있는나눔 Tamping mat
KR101846185B1 (en) * 2017-08-25 2018-04-06 이왕일 Coffee tamper
KR20180067173A (en) 2016-12-12 2018-06-20 김용현 Coffee tamper
KR20180102759A (en) 2017-03-08 2018-09-18 고준섭 Adjustable depth coffee tamp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36B1 (en) 2013-07-18 2013-10-04 여태건 Coffee tamper
KR101509140B1 (en) 2014-09-02 2015-04-07 정순철 Automatic coffee tamper apparatus
KR20180067173A (en) 2016-12-12 2018-06-20 김용현 Coffee tamper
KR20180102759A (en) 2017-03-08 2018-09-18 고준섭 Adjustable depth coffee tamper
KR20170073552A (en) * 2017-04-25 2017-06-28 주식회사 향기있는나눔 Tamping mat
KR101846185B1 (en) * 2017-08-25 2018-04-06 이왕일 Coffee tamp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0199B2 (en) Removable cartridge extractor
US20210038015A1 (en) French coffee press
CN106073506B (en) Impact type constant-pressure coffee powder pressing device
US8887623B2 (en) Device for removing spent flavor base from a beverage brewing apparatus
KR102042056B1 (en) Coffee temper
JPWO2016132412A1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CN203182711U (en) Coffee powder pressing machine
KR102454809B1 (en) Coffee tamper
AU2012237037B2 (en) Brew chamber packet ejector
US20060150822A1 (en) Method for making espresso and device for the like
US11234554B2 (en) Tool for removing compacted particle residue from a cylindrical container
KR102175442B1 (en) Coffee temper
JP6827040B2 (en) A collection receptacle for collecting the insoluble material used to prepare the beverage, and an leaching device with such a collection receptacle.
EP2220971A1 (en) Tea leaf filter to be used in coffee extractor
KR102489023B1 (en) Coffee tamper
FR2471172A1 (en) EXTRACTING AND MILLING DEVICE
CN211985120U (en) Constant pressure type coffee powder pressing device
US20210298516A1 (en) Easy Clean Beverage/Coffee Press
JPH11244151A (en) Coffee extracting tool
WO2006106395A2 (en) Sachet for receiving a product to be brewed
KR101455150B1 (en) the dutch combined storage cupboards and coffee powder evenly squeezed tamper holder for coffee brewing
KR102057500B1 (en) a tamping device
CN218899179U (en) Balanced constant-force powder pressing hammer
US11730173B2 (en) Raised bottom cold brewer and method using same
KR101308069B1 (en) Tamping M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