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845A -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845A
KR20220109845A KR1020210013350A KR20210013350A KR20220109845A KR 20220109845 A KR20220109845 A KR 20220109845A KR 1020210013350 A KR1020210013350 A KR 1020210013350A KR 20210013350 A KR20210013350 A KR 20210013350A KR 20220109845 A KR20220109845 A KR 20220109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vehicle
sound source
driving motor
phas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3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9845A/ko
Priority to US17/373,003 priority patent/US11912194B2/en
Priority to CN202110856641.7A priority patent/CN114801984A/zh
Publication of KR20220109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7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 G10K11/17873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using a reference signal without an error signal, e.g. pure feedforw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for signaling silent vehicles, e.g. for warning that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 G10K11/1782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the input signals onl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3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handling or detecting of non-standard events or conditions, e.g. changing operating modes under specific operating condi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2Synthesis of acoust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preventing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12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60L2240/421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2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1Noise generation, e.g. drive noise to warn pedestrians that an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8Vehicles
    • G10K2210/1282Automobil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23Estimation of noise, e.g. on error signals
    • G10K2210/30231Sources, e.g. identifying noisy processes or compon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25Determination of spectrum characteristics, e.g. F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는 차량의 주행 속도 및 구동 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따른 소음의 역위상 음원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역위상 음원 중에서 감지된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상응하는 상기 역위상 음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추가되는 비용이나 중량없이 차량 내 전장 부품들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켜, 탑승자에게 편안한 차량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차량은 내연기관이 아닌 모터로 구동되기 때문에 엔진음을 비롯한 각종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보행자들에게 차량이 주행중인 상태임을 인지시키기 위해 가상의 엔진음을 출력하는 가상 엔진음 출력 시스템(Virtual Engine Sound System, VESS)이 필수적으로 장착되고 있다.
한편, 전기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 모터의 소음, 감속기 소음, 스위칭 소음 등 전기차를 구동시키는 부품들에서 소음이 발생되는데, 이는 엔진음에 비해 적은 소음이지만 탑승자에게는 불편함을 유발하고 있다. 이에, 전기 차량에 구비된 전장 부품들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전기 차량 내 전장 부품들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는 차량의 주행 속도 및 구동 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따른 소음의 역위상 음원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역위상 음원 중에서 감지된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상응하는 상기 역위상 음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따른 소음을 고속퓨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상기 소음의 주파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음의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저감시키고자 하는 특정 오더(order) 소음을 구동 모터의 회전수 별로 추적할 수 있다.
상기 오더는 상기 구동 모터의 단위 회전당 상기 소음을 유발하는 이벤트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수 별로 추적된 상기 특정 오더 소음을 시간 데이터(time data)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데이터로 변환된 특정 오더 소음의 역위상 음원을 생성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누적 주행거리에 상응하여 미리 생성된 역위상 음원 및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누적 주행거리가 상기 미리 설정된 누적 주행거리가 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역위상 음원을 상기 누적 주행거리에 따라 상기 미리 새성된 역위상 음원으로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운드 출력 방법은 차량의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따른 소음의 역위상 음원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및 구동 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역위상 음원 중 감지된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상응하는 상기 역위상 음원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위상 음원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따른 소음을 고속퓨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상기 소음의 주파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위상 음원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소음의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저감시키고자 하는 특정 오더(order) 소음을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수 별로 추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더는 상기 구동 모터의 단위 회전당 상기 소음을 유발하는 이벤트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역위상 음원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수 별로 추적된 상기 특정 오더 소음을 시간 데이터(time data)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위상 음원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데이터로 변환된 특정 오더 소음의 역위상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운드 출력 방법은 미리 설정된 누적 주행거리에 상응하여 미리 생성된 상기 역위상 음원을 획득 및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누적 주행거리가 상기 미리 설정된 누적 주행거리가 되면, 상기 저장된 역위상 음원을 상기 누적 주행거리에 따라 상기 미리 생성된 역위상 음원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 및 방법은 추가되는 비용이나 중량없이 차량 내 전장 부품들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켜, 탑승자에게 편안한 차량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속퓨리에(FFT) 변환된 차량 내 소음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터 회전수 별로 추적된 특정 오더 소음의 주파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간 데이터로 변환된 특정 오더 소음을 모터 회전수에 매칭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간 데이터로 변환된 특정 오더 소음을 모터 회전수에 매칭한 결과의 역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위상 음원 생성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운드 출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운드 출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100)는 센서(110), 저장부(120), 구동 모터(130) 출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0)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정보는 차량의 주행 속도 및 구동 모터(130)의 회전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110)는 차속 센서 및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의 동작을 위해 각종 명령의 연산이나 실행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구동 모터(130)의 회전수에 따른 소음의 역위상 음원을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저장부(120)는 차량의 누적 주행거리에 따라 갱신된 역위상 음원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c), 메모리 카드,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130)는 전기 차량의 구동축에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며, 구동 모터(130)의 축에 감속기를 연결하여 적절한 토크를 차륜에 전달하여 차량을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 모터(130)는 배터리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시켜주는 인버터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제어부(150)가 생성한 가상의 엔진음 또는 차량 내 소음의 역위상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각종 명령의 연산이나 실행을 수행 가능한 반도체 칩 등을 내장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의 다양한 처리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저장부(120)에 저장된 역위상 음원 중에서 감지된 모터의 회전수에 상응하는 역위상 음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50)는 구동 모터(130)의 회전수에 따른 소음의 역위상 음원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30km/h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구동 모터(130)의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구동 모터(130)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구동 모터(130)의 소음, 감속기의 소음, 인버터의 소음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구동 모터(130)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구동 모터의 소음, 감속기의 소음, 인버터의 소음을 구동 모터(130)의 회전수에 따라 분리시켜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구동 모터(130)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구동 모터의 소음, 감속기의 소음, 인버터의 소음의 각 주파수 정보를 획득 및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구동 모터(130)의 회전수에 따른 구동 모터의 소음, 감속기의 소음, 인버터의 소음을 각각 고속퓨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하여 구동 모터(130)의 회전수에 따른 주파수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속퓨리에(FFT) 변환된 차량 내 소음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어부(150)는 구동 모터(130)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구동 모터(130)의 소음, 감속기의 소음, 인버터의 소음을 고속퓨리에 변환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130)의 소음, 감속기의 소음, 인버터의 소음 각각의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따른 주파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가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따른 주파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획득된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저감(상쇄)시키고자 하는 특정 소음만을 추출하기 위함이다. 특정 소음을 추출하는 동작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터 회전수 별로 추적된 특정 오더 소음의 주파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어부(150)는 도 2에서와 같이 소음이 변환된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따른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저감시키고자 하는 소음의 특정 오더(order)를 추출하고, 특정 오더 소음의 모터 회전수 별 주파수를 추적할 수 있다. 여기서, 오더(order)는 모터의 단위 회전당 소음을 유발하는 이벤트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모터가 회전하면서 부품(구동 모터와 연관된 부품(예, 펌프, 기어 등))이 반복 접촉 또는 반복 진동되어 소음을 유발하는 경우, 오더는 부품이 반복적으로 접촉되는 횟수 또는 반복적으로 진동하는 횟수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구동 모터가 단위 회전하면서, 기어가 부딪히는 소리가 48회 발생하였다고 할 때, 기어가 부딪히는 소리는 소음을 유발하므로 기어가 부딪히며 발생되는 소음은 오더가 48인 소음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제어부(150)가 오더가 48인 소음을 저감시키고자 하는 경우, 소음의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오더가 48인 소음을 추출하고, 오더가 48인 소음의 주파수 정보를 모터 회전수 별로 추적할 수 있다(order tracking).
제어부(150)는 저감시키고자 하는 특정 오더 소음(예, 오더가 48인 소음)의 모터 회전수 별 주파수 정보가 추적되면, 이를 타임 데이터(time data)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임 데이터는 실시간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특정 오더 소음(예, 오더가 48인 소음)의 모터 회전수 별 주파수 정보를 LMS Audio Replay and Filtering을 이용하여 타임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가 특정 오더 소음의 모터 회전수 별 주파수 정보를 타임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은 특정 오더 소음의 모터 회전수 별 주파수 정보가 탑승자에게 실질적으로 인지되는 음원 데이터가 아니므로, 주파수 정보를 탑승자에게 실질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음원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특정 오더 소음의 모터 회전수 별 주파수 정보를 타임 데이터로 변환하는 경우, 구동 모터가 회전하면서 발생된 다양한 소음들 중에서 특정 오더의 소음을 분리시켜, 차량 탑승자에게 인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타임 데이터로 변환된 특정 오더의 소음을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따라 매칭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르면 매칭 결과의 음원 파형은 도 4로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간 데이터로 변환된 특정 오더 소음을 모터 회전수에 매칭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150)는 차량 탑승자가 인지할 수 있는 음원(시간 데이터)으로 변환된 특정 오더의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모터 회전수에 매칭된 특정 오더 소음(시간 데이터)의 역위상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역위상 음원을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역위상 음원의 파형은 도 5의 그래프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간 데이터로 변환된 특정 오더 소음을 모터 회전수에 매칭한 결과의 역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역위상 음원이 저장부(120)에 저장된 이후, 실시간으로 주행 속도 및 구동 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저장부(120)에 기 저장된 역위상 음원 중에서 실시간으로 감지된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상응하는 역위상 음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역위상 음원 중에서 실시간으로 감지된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상응하는 역위상 음원(도 5의 파형을 갖는 역위상 음원)을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140)를 통해 역위상 음원이 출력되면, 역위상 음원과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중 저감시키고자 하는 소음(특정 오더 소음)은 서로 상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차량 탑승자가 특정 오더 소음이 현저히 감소됨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탑승자에게 조용하고, 편안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은 차량의 누적 주행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내구성이 변화되면서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누적 주행거리에 상응하여 미리 생성된 역위상 음원을 획득 및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개발단계에서 본 발명의 차량과 동일 차종의 타차량에 의해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에 따른 역위상 음원이 미리 설정된 누적 주행거리에 상응하여 미리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 일 예로, 차량의 개발단계에서 동일 차종의 타차량은 누적 주행거리가 10000km인 경우의 역위상 음원, 누적 주행거리가 20000km인 경우의 역위상 음원…100000km인 경우의 역위상 음원을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동일 차종의 타차량으로부터 미리 생성된 역위상 음원을 획득하고 저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차량의 실제 누적 주행거리가 미리 설정된 누적 주행거리가 되면, 저장부(120)에 저장된 역위상 음원을 누적 주행거리에 따라 미리 생성된 역위상 음원으로 갱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의 누적 주행거리가 10000km인 경우, 제어부(150)는 기 저장된 역위상 음원을 누적 주행거리가 10000km인 경우에 미리 생성된 역위상 음원으로 갱신할 수 있고, 누적 주행거리가 20000km인 경우, 제어부(150)는 기 저장된 역위상 음원을 누적 주행거리가 20000km인 경우에 미리 생성된 역위상 음원으로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차량과 동일 차종의 타차량에서 미리 생성된 역위상 음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의 동작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로서, 제어부(150)는 누적 주행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저하되는 내구성에 의해 차량 내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변화되어도 그에 상응하는 역위상 음원을 출력함으로써, 차량 탑승자에게 조용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위상 음원 생성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차량의 주행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S110). 제어부(150)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0). 실시예에 따르면, S120에서 제어부(150)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30km/h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120에서, 제어부(150)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면(Y), 구동 모터(130)의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다(S130). S120에서, 제어부(150)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N), 역위상 음원을 생성하지 않고 종료한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S130에서 구동 모터(130)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구동 모터(130)의 소음, 감속기의 소음, 인버터의 소음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구동 모터(130)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구동 모터의 소음, 감속기의 소음, 인버터의 소음을 구동 모터(130)의 회전수에 따라 분리시켜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구동 모터(130)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구동 모터의 소음, 감속기의 소음, 인버터의 소음의 각 주파수 정보를 획득 및 저장할 수 있다(S140). 실시예에 따르면, S140에서 제어부(150)는 구동 모터(130)의 회전수에 따른 구동 모터의 소음, 감속기의 소음, 인버터의 소음을 각각 고속퓨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하여 구동 모터(130)의 회전수에 따른 주파수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S140에서 획득된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저감(상쇄)시키고자 하는 특정 소음만을 추출하기 위하여, 저감시키고자 하는 소음의 특정 오더(order)를 추출하고, 특정 오더 소음의 모터 회전수 별 주파수를 추적할 수 있다(S150).
S150에서, 오더(order)는 모터의 단위 회전당 소음을 유발하는 이벤트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모터가 회전하면서 부품(구동 모터와 연관된 부품(예, 펌프, 기어 등))이 반복 접촉 또는 반복 진동되어 소음을 유발하는 경우, 오더는 부품이 반복적으로 접촉되는 횟수 또는 반복적으로 진동하는 횟수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구동 모터가 단위 회전하면서, 기어가 부딪히는 소리가 48회 발생하였다고 할 때, 기어가 부딪히는 소리는 소음을 유발하므로 기어가 부딪히며 발생되는 소음은 오더가 48인 소음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제어부(150)가 오더가 48인 소음을 저감시키고자 하는 경우, 소음의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오더가 48인 소음을 추출하고, 오더가 48인 소음의 주파수 정보를 모터 회전수 별로 추적할 수 있다(order tracking).
제어부(150)는 저감시키고자 하는 특정 오더 소음(예, 오더가 48인 소음)의 모터 회전수 별 주파수 정보가 추적되면, 이를 타임 데이터(time data)로 변환할 수 있다(S160). S160에서 타임 데이터는 실시간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특정 오더 소음(예, 오더가 48인 소음)의 모터 회전수 별 주파수 정보를 LMS Audio Replay and Filtering을 이용하여 타임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S160에서 제어부(150)가 특정 오더 소음의 모터 회전수 별 주파수 정보를 타임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은 특정 오더 소음의 모터 회전수 별 주파수 정보가 탑승자에게 실질적으로 인지되는 음원 데이터가 아니므로, 주파수 정보를 탑승자에게 실질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음원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특정 오더 소음의 모터 회전수 별 주파수 정보를 타임 데이터로 변환하는 경우, 구동 모터가 회전하면서 발생된 다양한 소음들 중에서 특정 오더의 소음을 분리시켜, 차량 탑승자에게 인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타임 데이터로 변환된 특정 오더 소음을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따라 매칭할 수 있다(S170).
S170에서 제어부(150)는 특정 오더 소음이 구동 모터의 회전수가 매칭되면,제어부(150)는 차량 탑승자가 인지할 수 있는 음원(시간 데이터)으로 변환된 특정 오더의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모터 회전수에 매칭된 특정 오더 소음(시간 데이터)의 역위상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S18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운드 출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차량의 주행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S210). 제어부(150)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20). 실시예에 따르면, S220에서 제어부(150)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30km/h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220에서, 제어부(150)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면(Y), 구동 모터의 회전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S230).
제어부(150)는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매칭되어 도 6의 S180에서 저장된 역위상 음원 중, S230에서 감지된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상응하는 역위상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S240). S240에서 출력부(140)를 통해 역위상 음원이 출력되면, 역위상 음원과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중 저감시키고자 하는 소음(특정 오더 소음)은 서로 상쇄된다. 따라서, S240에서 제어부(150)는 차량 탑승자가 특정 오더 소음이 현저히 감소됨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탑승자에게 조용하고, 편안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S220에서 제어부(150)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N), 가상 엔진음을 출력할 수 있다(S250). S250에서 가상 엔진음은 전기차량이 주행 또는 접근하고 있음을 보행자에게 알리는 인공 소음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운드 출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미리 설정된 누적 주행거리에 상응하여 미리 생성된 역위상 음원을 획득 및 저장할 수 있다(S310). S310에서 미리 생성된 역위상 음원은 차량의 개발단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동일 차종의 타차량에 의해 미리 설정된 누적 주행거리(예, 10000km, 20000km,....,100000km) 별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동일 차종의 타차량에 의해 생성된 역위상 음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의 동작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차량의 실제 누적 주행거리가 미리 설정된 누적 주행거리가 되면, 저장부(120)에 저장된 역위상 음원을 누적 주행거리에 따라 미리 생성된 역위상 음원으로 갱신할 수 있다(S320). 일 예로, S320에서 제어부(150)는 차량의 실제 누적 주행거리가 10000km가 되었을 때, 저장부(120)에 저장된 역위상 음원을 타차량에 의해 미리 생성된 10000km인 경우 미리 생성된 역위상 음원으로 갱신할 수 있다. 이로서, 제어부(150)는 누적 주행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저하되는 내구성에 의해 차량 내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변화되어도 그에 상응하는 역위상 음원을 출력함으로써, 차량 탑승자에게 조용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 100
센서 110
저장부 120
구동 모터 130
출력부 140
제어부 150

Claims (16)

  1. 차량의 주행 속도 및 구동 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따른 소음의 역위상 음원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역위상 음원 중에서 감지된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상응하는 상기 역위상 음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따른 소음을 고속퓨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상기 소음의 주파수 정보를 획득하는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음의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저감시키고자 하는 특정 오더(order) 소음을 구동 모터의 회전수 별로 추적하는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더는
    상기 구동 모터의 단위 회전당 상기 소음을 유발하는 이벤트 횟수를 나타내는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수 별로 추적된 상기 특정 오더 소음을 시간 데이터(time data)로 변환하는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데이터로 변환된 특정 오더 소음의 역위상 음원을 생성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누적 주행거리에 상응하여 미리 생성된 역위상 음원을 획득 및 저장하는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누적 주행거리가 상기 미리 설정된 누적 주행거리가 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역위상 음원을 상기 누적 주행거리에 따라 상기 미리 생성된 역위상 음원으로 갱신하는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
  9. 차량의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따른 소음의 역위상 음원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및 구동 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역위상 음원 중 감지된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상응하는 상기 역위상 음원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사운드 출력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역위상 음원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따른 소음을 고속퓨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상기 소음의 주파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사운드 출력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역위상 음원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소음의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저감시키고자 하는 특정 오더(order) 소음을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수 별로 추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사운드 출력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오더는
    상기 구동 모터의 단위 회전당 상기 소음을 유발하는 이벤트 횟수를 나타내는 차량의 사운드 출력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역위상 음원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수 별로 추적된 상기 특정 오더 소음을 시간 데이터(time data)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사운드 출력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역위상 음원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데이터로 변환된 특정 오더 소음의 역위상 음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사운드 출력 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누적 주행거리에 상응하여 미리 생성된 상기 역위상 음원을 획득 및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사운드 출력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누적 주행거리가 상기 미리 설정된 누적 주행거리가 되면, 상기 저장된 역위상 음원을 상기 누적 주행거리에 따라 상기 미리 생성된 역위상 음원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사운드 출력 방법.
KR1020210013350A 2021-01-29 2021-01-29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 및 방법 KR2022010984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350A KR20220109845A (ko) 2021-01-29 2021-01-29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 및 방법
US17/373,003 US11912194B2 (en) 2021-01-29 2021-07-12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of vehicle
CN202110856641.7A CN114801984A (zh) 2021-01-29 2021-07-28 用于输出车辆的声音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350A KR20220109845A (ko) 2021-01-29 2021-01-29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845A true KR20220109845A (ko) 2022-08-05

Family

ID=82526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350A KR20220109845A (ko) 2021-01-29 2021-01-29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12194B2 (ko)
KR (1) KR20220109845A (ko)
CN (1) CN114801984A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31402C2 (de) * 1995-08-26 1999-04-01 Mannesmann Sach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einflussen von Schwingungen in einem Fahrgastraum eines Kraftfahrzeugs un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kennen von Defekten an einem Kraftfahrzeug
US7606374B2 (en) * 2003-10-09 2009-10-20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Engine sound synthesizer, motor vehicle and game machine employing the engine sound synthesizer, engine sound synthesiz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computer program for engine sound synthesis
JP4314212B2 (ja) * 2005-05-30 2009-08-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能動型騒音・振動・効果音発生制御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が搭載された車両
JP2008160270A (ja) * 2006-12-21 2008-07-10 Denso Corp ノイズ低減信号生成装置、ノイズ低減装置、電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378391B2 (ja) * 2007-03-28 2009-12-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能動型騒音制御システム
JP5048628B2 (ja) * 2008-10-28 2012-10-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能動型音響制御システム
US20100239110A1 (en) * 2009-03-17 2010-09-23 Temic Automotive Of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an Audio Communication System
US8542844B2 (en) * 2011-04-07 2013-09-2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ound modification system and method
JP5822862B2 (ja) * 2013-03-21 2015-1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能動型振動騒音制御装置
US10235987B1 (en) * 2018-02-23 2019-03-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cel component noise using feedforward information
EP3553772A1 (en) * 2018-04-09 2019-10-1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sound in a vehicle
KR102644371B1 (ko) * 2018-12-06 2024-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v차량 드라이빙 사운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200075144A (ko) * 2018-12-13 2020-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사운드 인덱스 기반 인공지능 엔진음색 제어시스템 및 방법
US20210001769A1 (en) * 2019-07-01 2021-01-07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Drive mode optimized engine order cancellation
US11217221B2 (en) * 2019-10-03 2022-01-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utomotive noise mitig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01984A (zh) 2022-07-29
US11912194B2 (en) 2024-02-27
US20220242309A1 (en)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4511B2 (en) Vehicle diagnosis based on vehicle sounds and vibrations
JP5162469B2 (ja) 騒音に能動的に影響を与え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自動車におけるその使用方法
KR101856935B1 (ko) 차량의 가상 엔진음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US8416963B2 (en) System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driving sound
CN106671912A (zh) 车辆燃烧噪声掩蔽控制装置以及使用其的方法
US20130180324A1 (en) Tire state detection device and tire state detection method
EP19784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recognition of the operating state of a vehicle engine
US10266112B1 (en) Sound control method for hybrid vehicle
Montonen et al. Experimental identification and parameter estimation of the mechanical driveline of a hybrid bus
US106075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on of noise generated by two torque machines
CN113450826B (zh) 异常声音的产生部位确定方法、非临时性存储介质及车载装置
CN112788458A (zh) 使用电动机的主动噪声消除装置
CN105438097A (zh) 自适应主动噪音消除
CN111724761B (zh) 一种车载主动噪声控制装置及方法
KR20220109845A (ko) 차량의 사운드 출력 장치 및 방법
JP2002351488A (ja) ノイズキャンセル装置および車載システム
JPH1127810A (ja) 電気自動車
JP2003216163A (ja) 騒音制御装置
US20160118037A1 (en) Apparatus for outputting protecting sound in quieting vehicle
KR102373413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
KR101592750B1 (ko) 가상 엔진음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4182724B2 (ja) 地図表示装置及び地図表示方法
US62755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a component signal from a composite signal
JPH1083189A (ja) 能動型騒音低減装置、その騒音低減方法および能動型騒音低減装置で用いる記録媒体
EP0720144A1 (en) A system for reducing noise due to vibrations in a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