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741A - Platform for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 Google Patents

Platform for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741A
KR20220014741A KR1020200094746A KR20200094746A KR20220014741A KR 20220014741 A KR20220014741 A KR 20220014741A KR 1020200094746 A KR1020200094746 A KR 1020200094746A KR 20200094746 A KR20200094746 A KR 20200094746A KR 20220014741 A KR20220014741 A KR 20220014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tore
information
instructions
relat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7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민석
Original Assignee
(주)지니인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니인포테크 filed Critical (주)지니인포테크
Priority to KR1020200094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4741A/en
Publication of KR20220014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7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Suggested ar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roduct and a service based on big data.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for providing a product and a service based on big data includes: a plurality of omni-sensor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tores to manage information related with each of the stores, including customer status, reservation status and product status of the stores, to remotely transmit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through a first user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nd to receive advertisement-related instru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to transmit the instructions to the other user terminals located within a preset range from the stores;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receiving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omni-sensors to transmit the information to a service server, and receiving the advertisement-related instru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to transmit the instructions to each of the omni-sensors in a corresponding store; and the service server receiving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omni-sensors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nd transmitting the advertisement-related instru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to the omni-sensors in the corresponding store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oviding user-customized marketing information.

Description

빅데이터에 기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 플랫폼{Platform for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Platform for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본 발명은 빅데이터에 기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과거 소매유통업은 오프라인 중심인 백화점, 아울렛몰, 쇼핑센터 등이 주축을 이루었지만, 최근에는 온라인 쇼핑 시장이 급부상하고 있다. 2015년의 경우 홈쇼핑, 인터넷 쇼핑, 모바일 쇼핑을 포함한 온라인 쇼핑업계 전체의 시장성장율은 약 9%에 달했고, 매출은 60조원에 육박하고 있다. In the past, the retail industry was dominated by offline department stores, outlet malls, and shopping centers, but recently, the online shopping market is rapidly emerging. In 2015, the overall market growth rate of the online shopping industry, including home shopping, internet shopping, and mobile shopping, reached about 9%, and sales reached 60 trillion won.

이러한 온라인 쇼핑 시장의 급속한 성장의 원인 중 하나로는 고객 정보를 활용한 맞춤형 마케팅 활동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은 일반적으로 회원가입 절차를 통한 고객의 인구통계학 정보의 파악이 가능하고, 개별 고객의 과거 구매 내역 및 상품 사용후기나 평가 등의 방대한 자료 축적이 용이하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마케팅 기법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As one of the reasons for the rapid growth of the online shopping market, customized marketing activities using customer informa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general, online shopping malls can identify customers' demographic information through th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ss, and it is easy to accumulate vast amounts of data such as individual customers' past purchases and product reviews and evaluations, and apply various marketing techniques using this.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able to do this.

이에 반해, 오프라인 쇼핑몰의 경우 우편물 발송(DM), 텔레마케팅 등의 전통적인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고는 있지만, 온라인 대비 가용한 고객 정보 및 정보 전달 매체의 한계로 인해 마케팅 활동이 제한적이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offline shopping malls, traditional marketing activities such as mail sending (DM) and telemarketing are performed, but marketing activities are limited due to the limitations of available customer information and information delivery media compared to online.

또한, 오프라인 쇼핑몰에 방문하여 현재 쇼핑중인 고객에게 실시간으로 다양한 쇼핑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안내 방송이나, 포스터, 현수막, 단체 문자 등 불특정 다수의 고객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방식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대형 쇼핑몰 내에서는 다수의 고객이 존재하는 매장 특성상, 고객에 대한 일대일 마케팅을 적용하기가 어려우며, 이에 따라 고객에게 필요한 매장이나 상품에 대한 안내정보를 고객에게 직접 제공할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오프라인 쇼핑 시장에서는 마케팅 활동의 범위가 주로 상품간의 연관성 파악에 의한 진열 및 배치, 세트 상품 구성 등에 국한되어 왔다.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various shopping information in real time to customers who are currently shopping by visiting an offline shopping mall, it is common to rely on marketing methods targeting an unspecified number of customers, such as announcements, posters, banners, and group text messages. .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apply one-to-one marketing to customers due to the nature of stores where a large number of customers exist in a large shopping mall, and accordingly, it is not possible to directly provide customers with information about the stores or products they need. For this reason, in the offline shopping market, the scope of marketing activities has been mainly limited to display and arrangement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s, and composition of set product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6-0015414호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품을 검색하는 경우, 해당 상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매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매장에 대한 길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오프라인 매장 추천 시스템이 제안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6-0015414 discloses that when a user searches for a product using his/her terminal, information on one or more stores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s provided, and a specific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s provided. An offline store recommendation system that provides directions to a store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반드시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상품을 검색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을 이용하여 위치측정을 수행함에 따라, 실내 지역 또는 건물 밀집 지역 등의 GPS 신호가 도달할 수 없는 지역에서는 사용자의 위치 측정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어, 백화점, 아울렛몰, 쇼핑센터 등 유동인구가 많은 오프라인 쇼핑몰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그 제공되는 정보 역시 지극히 제한적이고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inconvenient in that the user must search for a desired product through his or her user terminal. Accordingly,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user's location measurement is significantly restricted in areas where GPS signals cannot reach, such as indoor areas or areas with dense buildings. There are many difficulties, and the provided information is also extremely limited and inefficien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과거 구매 내역 및 상품 사용후기나 평가 등의 방대한 자료를 활용한 다양한 마케팅 기법을 적용하는 사용자 맞춤형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분석 및 예측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user-customized marketing information that applies various marketing techniques using vast data such as the user's past purchase history and product reviews or evaluations based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nd predicting a pattern.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빅데이터에 기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매장에 설치되어 매장의 고객 현황, 예약 현황, 상품 현황을 포함하는 각각의 매장 관련 정보를 관리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원격으로 서비스 서버에 매장 관련 정보를 송신하며,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련 정보에 따른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수신하여 매장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다른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복수의 옴니 센서, 매장 관련 정보를 복수의 옴니 센서로부터 수신하여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고, 매장 관련 정보에 따른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매장의 옴니 센서로 각각 송신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및 매장 관련 정보를 복수의 옴니 센서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하고, 매장 관련 정보에 따른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 매장의 옴니 센서로 송신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In one aspect, the system for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tores to manage each store-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customer status, reservation status, and product status of the store, and a plurality of A plurality of other user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store by remotely transmitting store-related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through a first user terminal among the user terminals, and receiving advertisement related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A plurality of omni sensors that transmit to the terminal, store-related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omni sensors and sent to the service server, and promotional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and transmitted to the omni sensor of the store, respectively. Receive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nd store-related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omni sensors through a first user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nd receive promotion-related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to the omni sensor of the store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Includes a sending service server.

각각의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매장 중 제1 매장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매장에 설치된 옴니 센서로부터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수신하여 알림으로 나타낸다. When each user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first store among a plurality of stores, the advertisement-related instructions are received from the omni sensor installed in the first store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each user terminal and displayed as a notification.

각각의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매장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입력 받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매장 정보와 사용자의 나이, 현재 위치, 현재 계절,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매장 방문 기록, 사용자의 생활 패턴, 사용자의 직업,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에 따라 AI를 통해 복수의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선별하여 나타내는 분석부 및 선별된 복수의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Each user terminal ha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stor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user, the stor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user and the user's age, current location, current season, user's gender, user's store visit record, user's life An analysis unit that selects and displays a plurality of publicity-related instructions through AI according to user-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 pattern, a user's occupation, and user's body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recommends a plurality of selected publicity-related instructions to the user include

분석부는,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매장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AI를 통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복수의 매장 또는 해당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선별하고, 복수의 매장 또는 해당 홍보 관련 지시 사항에 대해 매장 관련 정보에 따라 각각의 매장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정보 제공부는 부여된 가중치에 따라 사용자에게 복수의 매장을 추천하고, 해당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나타낸다. When the stor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user i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the analysis unit selects a plurality of stores or corresponding promotion-related instruction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rough AI, and analyzes the plurality of stores or the corresponding promotion-related instructions A weight is given to each store according to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recommends a plurality of stores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assigned weight, and displays instructions related to the promotion.

서비스 서버는 온라인, 오프라인, 모바일을 포함하는 모든 채널에서의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석 및 저장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매장 내 프로모션에 활용하도록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송신하고, 구매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실시간으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송신한다. The service server analyzes and stores the user's purchase pattern in real time in all channels, including online, offline, and mobile,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sends promotional instructions to use it for in-store promotions, and to increase the purchase rate. In real time, the advertisement-related instructions are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서비스 서버는 온라인, 오프라인, 모바일을 포함하는 모든 채널에서의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석 및 저장하고, 사용자의 나이, 현재 위치, 현재 계절,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매장 방문 기록, 사용자의 생활 패턴, 사용자의 직업,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와 함께 빅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예측한다.The service server analyzes and stores the user's purchase pattern in real time in all channels including online, offline, and mobile, and the user's age, current location, current season, user's gender, user's store visit record, user's life Big data is created and stored together with user-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patterns, user occupations, and user body information, and future user purchasing patterns are predicted based on the big data.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과거 구매 내역 및 상품 사용후기나 평가 등의 방대한 자료를 활용한 다양한 마케팅 기법을 적용하는 사용자 맞춤형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분석 및 예측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it provides user-customized marketing information that applies various marketing techniques using a vast amount of data such as the user's past purchase history and product use reviews or evaluations, and the user's purchase Patterns can be analyzed and predi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에 기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통채널 패러다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에 기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상품 및 서비스 제공을 통한 매장 추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상품 및 서비스 제공을 통한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송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에 기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latform for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stribution channel paradig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ore recommendation process through the provision of big data-based products and ser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publicity related instructions through the provision of big data-based products and ser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에 기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platform for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에 기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 플랫폼은 복수의 매장에 각각 설치된 옴니 센서(111, 112), 복수의 사용자 단말(121, 122) 및 서비스 서버(130)를 포함한다. The platform for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mni sensors 111 and 112 respectiv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tores,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21 and 122 and a service server 130 .

복수의 매장에 각각 설치된 옴니 센서(111, 112)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장치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이다. 옴니 센서(111, 112)는 매장 내의 또는 매장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21, 122)을 통해 서비스 서버(130)와 연결된다. 여기서 블루투스는 실시예일뿐 블루투스 이외의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The omni sensors 111 and 112 respectiv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tores are, for exampl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Bluetooth devices. The omni sensors 111 and 112 are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130 through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21 and 122 in the store o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store. Here, Bluetooth is only an embodiment, and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other than Bluetooth may be used.

옴니 센서(111, 112)는 매장의 고객 현황, 예약 현황, 매장의 상품 현황 등을 포함하는 매장 관련 정보를 관리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21, 122)(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 TV, PC 등)중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홍보와 관련된 각종 지시(예를 들어, 쿠폰 발행, 홍보 메시지, 할인 행사 정보)를 수신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은 옴니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의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게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송신한다. 서비스 서버(130)는 모든 매장들의 옴니센서로부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받아, 빅데이터 기반으로 각 매장에 지시를 보낸다. The omni sensor (111, 112) manages store-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customer status of the store, the reservation status, the product status of the store, and the like,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21, 122) (eg, smartphones, smart TVs) , PC, etc.) receives various instructions related to promotion (eg, coupon issuance, promotional message, discount event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130 through one user terminal. Then, the user terminal transmits promotional instructions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round using the omni sensor. The service server 130 receives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from the omni sensor of all stores, and sends instructions to each store based on big data.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통채널 패러다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stribution channel paradig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에 기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 플랫폼에 있어서, 옴니 채널(Omni-Channel) 이란, 고객 중심으로 모든 채널을 통합하고 연결하여 일관된(Seamless) 커뮤니케이션 제공으로 고객 경험 강화 및 판매를 증대시키는 채널 전략을 의미한다. In the platform for providing product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mni-Channel is a customer-centered system that integrates and connects all channels to provide consistent communication to enhance customer experience and Channel strategy to increase sales.

도 2(a)는 종래기술에 따른 싱글 채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오프라인 매장만 존재한다.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멀티 채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각 채널의 독립적 운영이 이루어지고, 온, 오프 경쟁관계에 있다. 도 2(c)는 종래기술에 따른 크로스 채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각 채널의 유기적 운영이 이루어지고, 온, 오프 보완관계에 있다. 2( a )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ngle chann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only offline stores exist.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chann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which each channel is independently operated, and there is an on-off competition relationship. FIG. 2(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chann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which each channel is organically operated, and there i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on and off.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옴니 채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옴니 채널은 고객 중심의 유기적 채널 운영이 이루어지고, 온, 오프 상생관계에 있다. 이러한 옴니 채널은 다양한 채널이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극대화하며 단일 채널로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각 채널이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서로 경쟁하는 멀티채널과 큰 차이를 보인다. Figure 2 (d) is a diagram showing an omni-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mni-channel is customer-oriented organic channel operation is made, there is a win-win relationship on and off. These omni-channels are different from multi-channels that compete with each other and operate independently in that various channels complement each other's shortcomings, maximize their strengths, and act as a single chann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에 기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 플랫폼은 이러한 옴니 채널을 통해 매장들을 중심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 및 서비스를 사용자 위치에 기반하여 제공할 수 있다. The platform for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goods and services desired by the user based on the user's location, centered on the stores through such an omni-channel.

위치에 기반하여 상품 및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는 과거 구매 내역 및 상품 사용후기나 평가 등의 방대한 자료를 활용한 다양한 마케팅 기법을 적용하는 사용자 맞춤형 마케팅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오프라인, 모바일을 포함하는 모든 채널에서의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석 및 저장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예측하여 매장 내 프로모션에 활용하도록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송신하고, 구매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실시간으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송신할 수 있다. Through the user terminal application that provides products and services quickly based on location, users receive customized marketing information that applies various marketing techniques using vast data such as past purchases and product reviews and evaluations. can In addition, it analyzes and stores users' purchasing patterns in all channels including online, offline, and mobile in real time, predicts users' purchasing pattern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nd sends promotional instructions to use them for in-store promotions, ,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promotional instructions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in real time to increase the purchase rat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에 기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안하는 빅데이터에 기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300), 서비스 서버(360), 복수의 옴니 센서(370)를 포함한다. The proposed system for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includes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 a service server 360 , and a plurality of omni sensors 370 .

복수의 옴니 센서(370)는 복수의 매장에 설치되어 매장의 고객 현황, 예약 현황, 상품 현황을 포함하는 각각의 매장 관련 정보를 관리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원격으로 서비스 서버에 매장 관련 정보를 송신한다. 이후,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련 정보에 따른 홍보 관련 지시 사항(예를 들어, 쿠폰 발행, 홍보 메시지, 할인 행사 정보)을 수신하여 매장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다른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송신한다. A plurality of omni sensors 370 ar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tores to manage each store-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customer status, reservation status, and product status of the store, and service remotely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Sends store-related information to the server. Thereafter, a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store by receiving promotion-related instructions (eg, coupon issuance, promotional message, discount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send to

서비스 서버(360)는 매장 관련 정보를 복수의 옴니 센서(370)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하고, 매장 관련 정보에 따른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 매장의 옴니 센서로 송신한다. The service server 360 receives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omni sensors 370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nd receives the promotion-related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transmitted to the omni sensor of

서비스 서버(360)는 온라인, 오프라인, 모바일을 포함하는 모든 채널에서의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석 및 저장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매장 내 프로모션에 활용하도록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송신하고, 구매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실시간으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송신한다. The service server 360 analyzes and stores the user's purchase pattern in real time in all channels, including online, offline, and mobile,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ransmits promotional instructions to use it for in-store promotion, and increases the purchase rate. In order to increase, in real time,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re sent promotional related instructions.

또한, 서비스 서버(360)는 온라인, 오프라인, 모바일을 포함하는 모든 채널에서의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석 및 저장하고, 사용자의 나이, 현재 위치, 현재 계절,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매장 방문 기록, 사용자의 생활 패턴, 사용자의 직업,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와 함께 빅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예측한다.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360 analyzes and stores the user's purchase pattern in real time in all channels including online, offline, and mobile, the user's age, current location, current season, user's gender, user's store visit Big data is created and stored together with user-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records, user's life pattern, user's occupation, and user's body information, and future user's purchasing pattern is predicted based on the big data.

복수의 사용자 단말(300)은 매장 관련 정보를 복수의 옴니 센서(370)로부터 수신하여 서비스 서버(360)로 송신하고, 매장 관련 정보에 따른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서비스 서버(360)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매장의 옴니 센서로 각각 송신한다.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receive store-related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omni sensors 370 and transmit them to the service server 360, and receive promotion-related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360 Each is transmitted to the store's omni sensor.

각각의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매장 중 제1 매장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매장에 설치된 옴니 센서로부터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수신하여 알림으로 나타낸다. 이하, 복수의 사용자 단말(300) 각각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When each user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first store among a plurality of stores, the advertisement-related instructions are received from the omni sensor installed in the first store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each user terminal and displayed as a notification. Hereinafter,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 단말(300)은 프로세서(310), 버스(3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0), 메모리(340) 및 데이터베이스(3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운영체제(341) 및 빅 데이터 기반 상품 및 서비스 제공 루틴(34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입력부(311), 분석부(312) 및 정보 제공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300)은 도 3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 단말(300)은 디스플레이나 트랜시버(transceiver)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processor 310 , a bus 320 , a network interface 330 , a memory 340 , and a database 350 . The memory 340 may include an operating system 341 and a big data-based product and service provision routine 342 . The processor 310 may include an input unit 311 , an analysis unit 312 ,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313 . In other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may include more components than those of FIG. 3 . However, there is no need to clearly show most of the prior art component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such as a display or a transceiver.

메모리(34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40)에는 운영체제(341)와 빅 데이터 기반 상품 및 서비스 제공 루틴(342)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34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0)를 통해 메모리(340)에 로딩될 수도 있다. The memory 340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include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permanent mass storage device such as a disk drive. In addition, program codes for the operating system 341 and the big data-based product and service provision routine 342 may be stored in the memory 340 . Thes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fro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eparate from the memory 340 using a drive mechanism (not shown). The separat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not shown) such as a floppy drive, a disk, a tape, a DVD/CD-ROM drive, and a memory card. In another embodiment, th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memory 340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330 instead of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버스(3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300)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320)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bus 320 may enable communication and data transmission between components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 Bus 320 may be configured using a high-speed serial bus, parallel bus, storage area network (SAN), and/or other suitable communication technology.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300)을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300)을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330 may be a computer hardware component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to a computer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330 may connect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to a computer network through a wireless or wired connection.

데이터베이스(350)는 빅 데이터 기반 상품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300)의 내부에 데이터베이스(350)를 구축하여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이나 환경 등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혹은 전체 또는 일부의 데이터베이스가 별개의 다른 시스템 상에 구축된 외부 데이터베이스로서 존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The database 350 may serve to store and maintain all information necessary to provide big data-based products and services. In FIG. 3 , the database 350 is constructed and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system implementation method or environment, or the entire or part of the database is provided. It is also possible to exist as an external database built on another separate system.

프로세서(3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300)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34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0)에 의해, 그리고 버스(320)를 통해 프로세서(310)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입력부(311), 분석부(312) 및 정보 제공부(313)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34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The processor 310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commands of a computer program by performing basic arithmetic, logic, and input/output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 The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the processor 310 by the memory 340 or network interface 330 and via the bus 320 . The processor 310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program codes for the input unit 311 , the analysis unit 312 ,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313 . Such program codes may be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the memory 340 .

입력부(311), 분석부(312) 및 정보 제공부(313)는 도 6의 단계들(610~630)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The input unit 311 , the analysis unit 312 ,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313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steps 610 to 630 of FIG. 6 .

복수의 사용자 단말(300) 각각은 입력부(311), 분석부(312) 및 정보 제공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may include an input unit 311 , an analysis unit 312 ,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313 .

입력부(311)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매장 정보를 입력 받는다. 사용자는 제안하는 빅데이터 기반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매장 분류와 상품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다시 말해, 고객)가 화장품 구매를 원하는 경우, 매장 분류에 '화장품 가게'를 입력하고, 상품명에는 '선크림'을 입력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311 receives the stor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user from the user. The user may input the store classification and product required by the user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terminal for providing the proposed big data-based products and services. For example, when a user (that is, a customer) wants to purchase cosmetics, 'cosmetic store' may be input in the store category and 'suncream' may be input in the product name.

분석부(312)는 입력 받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매장 정보와 사용자의 나이, 현재 위치, 현재 계절,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매장 방문 기록, 사용자의 생활 패턴, 사용자의 직업,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에 따라 AI를 통해 복수의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선별하여 나타낸다. 분석부(312)는 입력부(311)를 통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매장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AI를 통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복수의 매장 또는 해당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선별하고, 복수의 매장 또는 해당 홍보 관련 지시 사항에 대해 매장 관련 정보에 따라 각각의 매장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The analysis unit 312 analyzes the stor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received user and the user's age, current location, current season, user's gender, user's store visit record, user's life pattern, user's occupation, and user's bod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cluded user-related information, a plurality of promotional instructions are selected and displayed through AI. When the stor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user i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311 , the analysis unit 312 selects a plurality of stores or corresponding promotional instruction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rough AI, and selects a plurality of stores or the corresponding promotion instructions through the input unit 311 . For the promotional instructions, each store may be weighted according to store-related information.

정보 제공부(313)는 선별된 복수의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사용자에게 추천한다. 정보 제공부(313)는 분석부(312)를 통해 부여된 가중치에 따라 사용자에게 복수의 매장을 추천하고, 해당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되는 복수의 매장의 할인 정보, 이벤트 정보 및 장기 무이자 할부 혜택을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를 푸시 알림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313 recommends a plurality of selected promotional instructions to the user.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313 may recommend a plurality of stores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weight given through the analysis unit 312 , and may indicate corresponding promotion related instructions. For example, service information including discount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and long-term interest-free installment benefits of a plurality of recommended stores may be displayed through a push notific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상품 및 서비스 제공을 통한 매장 추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ore recommendation process through the provision of big data-based products and ser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매장 정보를 입력 받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store information required by a user from a user.

사용자는 제안하는 빅데이터 기반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필요로 하는 매장 분류와 상품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다시 말해, 고객)가 화장품 구매를 원하는 경우, 매장 분류에 '화장품 가게'를 입력하고, 상품명에는 '선크림'을 입력할 수 있다. The user can input the required store classification and product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terminal for providing the proposed big data-based products and services. For example, when a user (that is, a customer) wants to purchase cosmetics, 'cosmetic store' may be input in the store category and 'suncream' may be input in the product name.

도 4(b)는 매장 관련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에 따라 AI를 통해 복수의 매장을 선별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lecting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stores through AI according to store-relate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사용자의 나이, 현재 위치, 현재 계절,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매장 방문 기록, 사용자의 생활 패턴, 사용자의 직업,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에 따라 AI를 통해 복수의 매장을 선별하여 표시한다. Based on user-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user age, current location, current season, user's gender, user's store visit record, user's life pattern, user's occupation, user's body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AI Multiple stores are selected and displayed.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크림'을 판매하는 '화장품 가게'를 검색하는 경우, 사용자의 나이, 현재 위치, 현재 계절,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매장 방문 기록, 사용자의 생활 패턴, 사용자의 직업,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와 입력 받은 매장 분류 '화장품 가게', 상품 '선크림'에 따라 AI를 통해 복수의 매장을 선별하여 표시한다. For example, if a user searches for a 'cosmetics store' that sells 'sunscreen', the user's age, current location, current season, user's gender, user's store visit history, user's lifestyle, user's occupation, According to the user-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body information and the received store classification 'cosmetics store' and product 'sun cream', a plurality of stores are selected and displayed through AI.

사용자 관련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매장을 선별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복수의 매장을 확률에 따라 수치 및 그래픽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4(b)와 같이, 사용자 관련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한 결과가, 예를 들어 최근 자주 방문했거나 주로 사용하는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의 우선 순위가 A매장 > B매장 > C매장의 순인 경우, A매장 70%, B매장 25%, C매장 3%로 사용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Stores determined to be necessary for the user may be selected by analysis based on user-relate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and a plurality of stor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may be displayed numerically and graphically according to probability. As shown in Fig. 4(b), the result of analysis based on user-relate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is, for example, the priority of stores that have recently visited or mainly used products, store A > store B > In the case of store C,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needs 70% of store A, 25% of store B, and 3% of store C.

도 4(c)는 위치에 기반하여 매장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된 복수의 매장 중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매장을 선택 받으면, 사용자 관련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가까이에 있고, 해당 브랜드의 매장이 있는 복수의 매장을 지도에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매장을 선택한 경우 주변에 있는 복수의 A매장에 대한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4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store information based on a location. When a desired store is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the displayed plurality of stores, a plurality of stores near the user's location and having stores of the corresponding brand may be displayed on the map based on user-relate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store A, locations of a plurality of stores A in the vicinity may be indicated.

이때,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매장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AI를 통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복수의 매장 또는 해당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선별하고, 복수의 매장 또는 해당 홍보 관련 지시 사항에 대해 매장 관련 정보에 따라 각각의 매장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부여된 가중치에 따라 사용자에게 복수의 매장을 추천하고, 해당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나타낼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stor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user i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a plurality of stores or corresponding promotional instruction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re selected through AI, and the stores or stores for the plurality of stores or corresponding promotional instructions are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A weight may be given to each store according to related information, a plurality of stores may be recommended to a user according to the weighted weight, and instructions related to promotion may be display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빅데이터 기반 상품 및 서비스 제공은 의료정보 제공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vision of big data-based products and services also includes provision of medical information.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증상 또는 원하는 진료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제안하는 빅데이터 기반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질환명과 증상을 입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information on symptoms or desired treatment may be input from the user. The user may input the disease name and symptom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terminal for providing the proposed big data-based products and services.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리를 다친 경우, 질환명에 '염좌'를 입력하고, 증상에는 '통증'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진료 과목으로 'X-ray'를 입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has injured his leg, he may input 'sprain' as the disease name and 'pain' as the symptom. In addition, you can input 'X-ray' as a desired treatment subject.

이후, 사용자 관련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에 따라 AI를 통해 복수의 진료 과목을 선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질병 발생 빈도, 사용자의 나이, 현재 위치, 현재 계절,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병원 방문 기록, 사용자의 검색 기록, 사용자의 생활 패턴, 사용자의 직업,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에 따라 AI를 통해 복수의 진료 과목을 선별하여 표시한다. Thereafter, a plurality of medical subjects may be selected and displayed through AI according to user-relate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User-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disease incidence frequency, user's age, current location, current season, user's gender, user's hospital visit record, user's search history, user's life pattern, user's occupation, and user's bod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the user, multiple medical subjects are selected and displayed through AI.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리를 다친 경우, 사용자의 질병 발생 빈도, 사용자의 나이, 현재 위치, 현재 계절,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병원 방문 기록, 사용자의 검색 기록, 사용자의 생활 패턴, 사용자의 직업,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질환명 '염좌', 증상 '통증', 진료 과목 'X-ray'에 따라 AI를 통해 복수의 진료 과목을 선별하여 표시한다. For example, if the user injured his leg,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user's disease, the user's age, the current location, the current season, the user's gender, the user's hospital visit history, the user's search history, the user's life pattern, the user's occupation , according to the user-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body information, the disease name 'sprain', the symptom 'pain', and the medical subject 'X-ray' input from the user, a plurality of medical subjects are selected and displayed through AI.

사용자 관련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진료과목을 선별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복수의 진료 과목을 확률에 따라 수치 및 그래픽으로 표시할 수 있다.By analyzing based on user-relate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medical subjects determined to be necessary for the user can be selected, and a plurality of medical subject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can be displayed numerically and graphically according to probability.

사용자 관련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한 결과, 정형외과 진료가 70%, 통증의학과 진료가 25%, 한의원 진료가 3%로 사용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user-relate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users, 70% of orthopedic treatment, 25% of pain medicine treatment, and 3% of oriental clinic treatment can be determined to be necessary for users.

판단 결과에 따라 위치에 기반하여 병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된 복수의 진료 과목 중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진료 과목을 선택 받으면, 사용자 관련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가까이에 있고, 해당 진료 과목의 전문의가 있는 복수의 병원을 지도에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형외과 진료를 선택한 경우 복수의 정형외과 병원에 대해 위치, 가격, 진료 예약일자 및 시간, 평균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병원 관련 정보에 따라 각각의 병원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사용자에게 복수의 병원을 추천한다.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hospita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based on the location. When a user selects a desired medical subject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ed medical subjects, based on user-relate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a plurality of hospitals that are close to the user's location and have specialists in the relevant medical subject can be displayed on the map. have. For example, when a user selects orthopedic treatment, weight is given to each hospital according to hospital-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price, appointment date and time, and average waiting time for a plurality of orthopedic hospitals. Multiple hospitals are recommended.

복수의 병원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의 거리, 가격순, 진료 예약 가능 여부에 따라 가중치가 부여되고, 부여된 가중치에 따라 우선순위대로 사용자에게 복수의 병원을 추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까운 병원일수록 우선순위를 갖거나, 평균 대기 시간이 짧은 병원일수록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Weights are assigned to a plurality of hospitals according to distance from the user, order of price, and availability of medical treatment reservations, and a plurality of hospitals may be recommended to the user in order of priority according to the assigned weights. In other words, a closer hospital may have priority, or a hospital with a shorter average waiting time may have priority.

이후, 추천된 복수의 병원 중 사용자가 선택한 병원에 대한 예약 및 상담을 위한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Thereafter, a procedure for reservation and consultation for a hospital selected by the user among a plurality of recommended hospitals may be performed.

사용자에 대한 예약 및 상담을 위한 절차가 진행되는 경우, 예약을 원하는 사용자의 질병 발생 빈도, 사용자의 나이, 현재 위치, 현재 계절,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병원 방문 기록, 사용자의 검색 기록, 사용자의 생활 패턴, 사용자의 직업,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에 관한 예약 알림 솔루션이 실시간으로 해당 병원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노-쇼(No-Show) 방지를 위한 예약결제가 진행될 수 있다. When the procedure for reservation and consultation for the user is in progress, the user's disease occurrence frequency, the user's age, current location, current season, user's gender, user's hospital visit record, user's search record, user's A reservation notification solution regarding user-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life pattern, user's occupation, and user's body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may be provided to the hospital in real time. In addition, a reservation payment may be made to prevent no-shows.

예약 알림 솔루션이란, 사용자 관련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해당 병원에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병원을 방문하기 전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미리 파악하도록 하여 진료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The reservation notification solution provides user-relate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o the hospital in real time, and allows the user to know information about the user before visiting the hospital, thereby saving treatment time.

또한, 예약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해당 병원의 할인 정보, 이벤트 정보 및 장기 무이자 할부 혜택을 포함하는 병원 서비스 정보 및 예약 스케쥴러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기 위해, 추천되는 복수의 병원 각각의 할인 정보, 이벤트 정보 및 장기 무이자 할부 혜택을 포함하는 병원 서비스 정보가 푸시 알림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병원 중 하나의 병원을 선택하기 위해 제공되는 병원 서비스 정보를 참조로서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hospital service information and reservation scheduler including discount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and long-term interest-free installment benefits of a corresponding hospital may be provided to a user who wants to make a reservation. For example, in order to be selected by the user, hospital service information including discount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and long-term interest-free installment benefits of each of a plurality of recommended hospitals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a push notification. The user may use hospital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to select one hospital from among a plurality of hospitals as a reference.

또한, 예약 스케쥴러가 제공되어 예약 가능 날짜와 시간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예약 스케쥴러를 통해 원하는 날짜와 시간에 대한 예약을 바로 진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 reservation scheduler is provided so that you can easily check available reservation dates and times, and you can directly make a reservation for a desired date and time through the reservation schedul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상품 및 서비스 제공을 통한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송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publicity related instructions through the provision of big data-based products and ser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사용자가 대형 쇼핑몰 내에 있는 경우, 매장 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로 홍보 관련 지시 사항(예를 들어, 쿠폰 발행, 홍보 메시지, 할인 행사 정보)를 송신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ransmitting promotional related instructions (eg, coupon issuance, promotional message, discount event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in the store when the user is in a large shopping mall.

대형 쇼핑몰 내에 있는 복수의 매장이 행사를 진행하고 있는 경우, 신상품 정보나 또는 세일 정보가 푸시 알림을 통해 사용자 사용자 단말로 송신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stores in a large shopping mall are running an event, new product information or sal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push notification.

도 5(b)는 사용자가 매장을 방문하면 구매 이력을 참조하여 관련 상품을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5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commending a related product with reference to a purchase history when a user visits a store.

온라인, 오프라인, 모바일을 포함하는 모든 채널에서의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석 및 저장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매장 내 프로모션에 활용하도록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송신하고, 구매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실시간으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송신할 수 있다. Analyze and store user's purchase patterns in real time in all channels including online, offline, and mobile,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send promotional instructions to use for in-store promotions, and multiple in real time to increase purchase rate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promotional-related instruction to the user terminal of th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테니스 라켓을 구매한 이력이 있는 경우, 이후 테니스 용품 매장을 방문하면 관련 상품인 테니스화 또는 테니스볼에 대한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푸시 알림을 통해 사용자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a user has a history of purchasing tennis racquets online or offline, when he visits a tennis goods store afterward, instructions related to promotion of tennis shoes or tennis balls, which are related products, are sent to the user's terminal through a push notification. can send

도 5(c)는 사용자가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통해 관련 상품을 추가 구매한 경우, 이에 따른 포인트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5( c )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ervice that provides points according to a case in which a user additionally purchases a related product through instructions related to promotion.

제안하는 빅데이터 기반 상품 및 서비스 제공 플랫폼은 온라인, 오프라인, 모바일을 포함하는 모든 채널에서의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석 및 저장하고, 사용자의 나이, 현재 위치, 현재 계절,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매장 방문 기록, 사용자의 생활 패턴, 사용자의 직업,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와 함께 빅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제안하는 빅데이터 기반 상품 및 서비스 제공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통해 매장을 방문하거나 상품을 구매한 경우, 홍보 및 재구매를 촉구하기 위해 포인트 적립이나 할인혜택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The proposed big data-based product and service provision platform analyzes and stores users' purchasing patterns in real time in all channels including online, offline, and mobile, and the age, current location, current season, gender, and user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d store big data together with user-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store visit records, user's life pattern, user's occupation, and user's body information, and predict future user's purchasing patterns based on the big data. In addition, if you visit a store or purchase a product through the promotional instructions provided by the proposed big data-based product and service provision platform, various services such as point accumulation or discount benefits may be provided to encourage publicity and repurchase. hav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에 기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안하는 빅데이터에 기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복수의 매장에 설치된 복수의 옴니 센서를 통해 매장의 고객 현황, 예약 현황, 상품 현황을 포함하는 각각의 매장 관련 정보를 관리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원격으로 서비스 서버에 매장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610), 서비스 서버가 매장 관련 정보를 복수의 옴니 센서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하고, 매장 관련 정보에 따른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 매장의 옴니 센서로 송신하는 단계(620) 및 해당 매장의 옴니 센서가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련 정보에 따른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수신하여 매장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다른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6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posed big data-based product and service provision method manages each store-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customer status, reservation status, and product status of the store through a plurality of omni sensor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tores, Step 610 of remotely transmitting store-related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the service server receives store-related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omni sensors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and promotion according to store-related information Step 620 of transmitting the instructions to the omni sensor of the store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omni sensor of the store receives the promotional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It may include transmitting (630) to a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within the range.

단계(610)에서, 복수의 매장에 설치된 복수의 옴니 센서를 통해 매장의 고객 현황, 예약 현황, 상품 현황을 포함하는 각각의 매장 관련 정보를 관리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원격으로 서비스 서버에 매장 관련 정보를 송신한다. In step 610, through a plurality of omni sensor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tores, each store-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customer status, reservation status, and product status of the store is managed, and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Send store-related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remotely.

단계(620)에서, 서비스 서버가 매장 관련 정보를 복수의 옴니 센서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하고, 매장 관련 정보에 따른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 매장의 옴니 센서로 송신한다. In step 620, the service server receives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omni sensors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ransmits promotional-related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to the omni sensor of the store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do.

단계(630)에서, 해당 매장의 옴니 센서가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련 정보에 따른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수신하여 매장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다른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송신한다. In step 630, the omni sensor of the store receives the promotional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a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store.

복수의 옴니 센서는 복수의 매장에 설치되어 매장의 고객 현황, 예약 현황, 상품 현황을 포함하는 각각의 매장 관련 정보를 관리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원격으로 서비스 서버에 매장 관련 정보를 송신한다. 이후,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련 정보에 따른 홍보 관련 지시 사항(예를 들어, 쿠폰 발행, 홍보 메시지, 할인 행사 정보)을 수신하여 매장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다른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송신한다. A plurality of omni sensors ar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tores to manage each store-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customer status, reservation status, and product status of the store, and store in the service server remotely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Send related information. Thereafter, a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store by receiving promotion-related instructions (eg, coupon issuance, promotional message, discount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send to

서비스 서버는 매장 관련 정보를 복수의 옴니 센서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하고, 매장 관련 정보에 따른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 매장의 옴니 센서로 송신한다. The service server receives store-related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omni sensors through a first user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nd transmits promotional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to the omni sensor of the store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

서비스 서버는 온라인, 오프라인, 모바일을 포함하는 모든 채널에서의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석 및 저장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매장 내 프로모션에 활용하도록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송신하고, 구매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실시간으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송신한다. The service server analyzes and stores the user's purchase pattern in real time in all channels, including online, offline, and mobile,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sends promotional instructions to use it for in-store promotions, and to increase the purchase rate. In real time, the advertisement-related instructions are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또한, 서비스 서버는 온라인, 오프라인, 모바일을 포함하는 모든 채널에서의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석 및 저장하고, 사용자의 나이, 현재 위치, 현재 계절,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매장 방문 기록, 사용자의 생활 패턴, 사용자의 직업,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와 함께 빅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예측한다.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analyzes and stores the user's purchase pattern in real time in all channels including online, offline, and mobile, and the user's age, current location, current season, user's gender, user's store visit record, user Big data is created and stored along with user-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life pattern of the user, user's occupation, and user's body information, and future user's purchasing pattern is predicted based on the big data.

복수의 사용자 단말은 매장 관련 정보를 복수의 옴니 센서로부터 수신하여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고, 매장 관련 정보에 따른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매장의 옴니 센서로 각각 송신한다.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receives store-related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omni sensors and transmits them to the service server, receives advertisement-related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and transmits them to the omni sensors of the corresponding stores, respectively.

각각의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매장 중 제1 매장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매장에 설치된 옴니 센서로부터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수신하여 알림으로 나타낸다. When each user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first store among a plurality of stores, the advertisement-related instructions are received from the omni sensor installed in the first store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each user terminal and displayed as a notification.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the hardware component and the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A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can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apparatus,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may be embodied in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6)

복수의 매장에 설치되어 매장의 고객 현황, 예약 현황, 상품 현황을 포함하는 각각의 매장 관련 정보를 관리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원격으로 서비스 서버에 매장 관련 정보를 송신하며,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련 정보에 따른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수신하여 매장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다른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복수의 옴니 센서;
매장 관련 정보를 복수의 옴니 센서로부터 수신하여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고, 매장 관련 정보에 따른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매장의 옴니 센서로 각각 송신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및
매장 관련 정보를 복수의 옴니 센서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하고, 매장 관련 정보에 따른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 매장의 옴니 센서로 송신하는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는 빅데이터에 기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It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tores to manage each store-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customer status, reservation status, and product status of the store, and remotely transmits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 A plurality of omni sensors for receiving the promotion-related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o a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store;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for receiving store-related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omni sensors and transmitting them to the service server, and receiving advertisement-related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respectively, to the omni sensor of the store; and
A service server that receives store-related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omni sensors through a first user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nd transmits promotional-related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store-related information to the omni sensor of the store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A system for providing product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매장 중 제1 매장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매장에 설치된 옴니 센서로부터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수신하여 알림으로 나타내는
빅데이터에 기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Each user terminal,
When it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first store among a plurality of stores, it receives promotional instructions from the omni sensor installed in the first store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each user terminal and displays it as a notification.
A system for providing product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매장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입력 받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매장 정보와 사용자의 나이, 현재 위치, 현재 계절,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매장 방문 기록, 사용자의 생활 패턴, 사용자의 직업,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에 따라 AI를 통해 복수의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선별하여 나타내는 분석부; 및
선별된 복수의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빅데이터에 기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Each user terminal,
an input unit for receiving stor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user;
Stor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input user and user-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age, current location, current season, user's gender, user's store visit record, user's life pattern, user's occupation, and user's body information an analysis unit that selects and displays a plurality of PR-related instructions through AI; and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recommends a plurality of selected promotional instructions to the user
A system for providing product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including
제3항에 있어서,
분석부는,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매장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AI를 통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복수의 매장 또는 해당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선별하고, 복수의 매장 또는 해당 홍보 관련 지시 사항에 대해 매장 관련 정보에 따라 각각의 매장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정보 제공부는,
부여된 가중치에 따라 사용자에게 복수의 매장을 추천하고, 해당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나타내는
빅데이터에 기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analysis department,
When the stor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user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 plurality of stores or corresponding promotion-related instruction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re selected through AI, and store-related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stores or the relevant promotion-related instructions weights are given to each store according to the
The information provider,
Recommend multiple stores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weighted weight, and display the relevant promotional instructions.
A system for providing product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제1항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는,
온라인, 오프라인, 모바일을 포함하는 모든 채널에서의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석 및 저장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매장 내 프로모션에 활용하도록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송신하고, 구매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실시간으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홍보 관련 지시 사항을 송신하는
빅데이터에 기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service server,
Analyze and store user's purchasing patterns in real time in all channels including online, offline, and mobile,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send promotional instructions to use for in-store promotions, and multiple in real time to increase purchase rate to send publicity related instructions to the user terminal of
A system for providing product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제1항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는,
온라인, 오프라인, 모바일을 포함하는 모든 채널에서의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석 및 저장하고, 사용자의 나이, 현재 위치, 현재 계절,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매장 방문 기록, 사용자의 생활 패턴, 사용자의 직업,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와 함께 빅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예측하는
빅데이터에 기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service server,
Analyzes and stores the user's purchase pattern in real time in all channels including online, offline, and mobile, the user's age, current location, current season, user's gender, user's store visit history, user's lifestyle, and user It creates and stores big data along with user-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occupation and user's body information, and predicts future users' purchasing patterns based on big data.
A system for providing product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KR1020200094746A 2020-07-29 2020-07-29 Platform for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KR202200147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746A KR20220014741A (en) 2020-07-29 2020-07-29 Platform for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746A KR20220014741A (en) 2020-07-29 2020-07-29 Platform for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741A true KR20220014741A (en) 2022-02-07

Family

ID=8025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746A KR20220014741A (en) 2020-07-29 2020-07-29 Platform for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based on Big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474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illai et al. Shopping intention at AI-powered automated retail stores (AIPARS)
US7974889B2 (en) Social networking interactive shopping system
CA2847387C (en) System and method of a media delivery services platform for mobile offer bumping
KR101765093B1 (en) Providing real-time sales promotion management service through analysis of purchasing behavior patterns of connected customers
US20090157472A1 (en) Personalized Retail Information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US20130290096A1 (en) System and method of measuring lift in a marketing program
US20130024211A1 (en) Active learning and advanced relationship marketing and health interventions
US20120059729A1 (en) Location aware mobile marketplace application and system
US200201740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argeted advertising and personalized customer services
US20120253905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moting a sale of retail goods
CA29917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detection and interaction
WO2013009989A2 (en) System and method of a media delivery services platform for targeting consumers in real time
JP2016521399A (en) Strengthen shelf-level marketing and sales locations
US20160203524A1 (en) Apparatus for managing customer information, method for managing customer information, system for managing customer information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a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20190130429A1 (en) Customized activity-based reward generation
CN105631699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80104961A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shops-to-visit at off-line shopping malls based on customers' behaviors
WO2006077959A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cosmetics sales
WO2015159409A1 (en) Information delivery device and information delivery method
KR20220014740A (en) Platform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JP2003288472A (en) Facility operation support system, portable equipment for visitor, management terminal, program for portable equipment, program for terminal and facility operation support method
KR20200004983A (en) Pos based customer maketing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JP6151208B2 (e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JP2015087938A (en) Product sales management server and internet sales promotion system
JP6399986B2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