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852A - Wasp Capturing Device Assembled To Beehive - Google Patents

Wasp Capturing Device Assembled To Beehi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852A
KR20210089852A KR1020200002901A KR20200002901A KR20210089852A KR 20210089852 A KR20210089852 A KR 20210089852A KR 1020200002901 A KR1020200002901 A KR 1020200002901A KR 20200002901 A KR20200002901 A KR 20200002901A KR 20210089852 A KR20210089852 A KR 20210089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passage
wasp
beehiv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9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12757B1 (en
Inventor
김호겸
Original Assignee
김호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겸 filed Critical 김호겸
Priority to KR1020200002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757B1/en
Priority to PCT/KR2021/000209 priority patent/WO2021141417A1/en
Publication of KR20210089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8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7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7/00Appliances for providing, preventing or catching swarms; Drone-catc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4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p capturing device used by being fixed to a beehive comprising: a first space unit; a second space unit which is positioned in a lower part of the first space unit; a third space unit which is positioned in an upper part of the first space unit inside; and a capturing body. The capturing body includes: an entrance which connects the first space unit to the outside; a first passage which connects the first space unit and a second space unit; an entrance connecting hole which connects the second space unit to a beehive entrance; a second passage which connects the second space unit to the outside; and a third passage which connects the first space unit and the third space unit. The entrance is extended to the first space unit and includes a part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toward the inside. The third passage is extended to the third space unit and includes a part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toward an end unit. The first passag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which a honeybee passes and a wasp dost not pass. The entrance is formed in a size through which both the wasp and the honeybee pass. The third passage is formed in a size through which both the wasp and the honeybee pass. The present invention easily captures the wasp.

Description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Wasp Capturing Device Assembled To Beehive}Wasp Capturing Device Assembled To Beehive

본 발명은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벌통으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말벌이 포획되어 말벌이 벌통으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p trapping device fixed to a beehi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p trapping device fixed to a beehive that blocks wasps from entering the hive by capturing wasps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hive.

일반적으로 말벌은 5∼10마리로도 짧은 시간 내에 한 무리의 꿀벌 봉군을 전멸시킬 수 있으며, 말벌로부터 공격받은 봉군을 축소하거나 다른 말벌의 피해를 받은 봉군에 합봉을 해야 할 정도로 양봉 농가는 말벌로 인한 피해가 크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매년 7월 중순 이후부터 10월 초순까지 반복적으로 발생하므로 말벌로 인한 양봉 농가는 피해는 막대하다. 그에 따라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말벌을 포획 또는 교살하는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 꿀벌에 비하여 몸집이 큰 말벌이 벌통 내로 출입 못하도록 벌통의 입구에 망 등을 설치거나, 일명 끈끈이를 사용하거나, 배드민턴 라켓 등으로 직접 잡거나, 살충제 등을 살포하여 교살하는 방법으로 말벌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효율적이지 못하여 말벌로 인한 피해를 원천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In general, even 5 to 10 wasps can annihilate a colony of bee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damage caused by In addition, since this phenomenon occurs repeatedly from mid-July to early October every year, the damage to beekeepers caused by wasps is enormous. Accordingly, various methods of catching or strangling wasps have been proposed to minimize such damage. To prevent wasps larger than bees from entering the hive, a net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hive, so-called sticky, badminton racket, etc. Efforts were made to prevent damage caused by wasps by directly catching them with a hornet or by strangulation by spraying insecticides. However, this method was not efficient, an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not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damage caused by wasps.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3-0140363호 공개특허공보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14036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벌통으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말벌이 포획되어 말벌이 벌통으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p trapping device used by fixing to a beehive that blocks wasps from entering the hive by capturing wasps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hive. do it with

본 발명에 따르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는 제1 공간부와, 상기 제1 공간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공간부와, 상기 제1 공간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3 공간부가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입구와, 상기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제1 통로와, 상기 제2 공간부를 벌통 출입구로 연통시키는 입구연결공과, 상기 제2 공간부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제2 통로와, 상기 제1 공간부와 제3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제3 통로가 형성된 포획본체를 포함하며;A wasp catching device fixed to a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pace portion, a second space portion located below the first space portion, and a third space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portion inside. formed; An inlet for communicating the first space to the outside, a first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first space with the second space, an inlet connection hole for communicating the second space with the beehive entrance, and the second space to the outside a capture body having a second passag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a third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third space portion;

상기 입구는 제1 공간부로 연장되며 내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부분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3 통로는 제3 공간부로 연장되며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부분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통로는 꿀벌은 통과할 수 있으며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복수의 통공으로 형성되고, 입구는 말벌과 꿀벌이 모두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제3 통로는 말벌과 꿀벌이 모두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를 제공한다.The inlet extends into the first space and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portion whos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toward the inside; the third passage extends into the third space and is formed to have a portion whos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toward the end; The first passag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a size that bees can pass through but wasps cannot pass through, the entrance is formed of a size through which both wasps and bees can pass, and the third passage is between wasps and bees. It provides a wasp catching device used by fixing to a beehiv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ize that can pass through all.

상기에서, 포획본체에는 제3 공간부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탈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탈출부는 꿀벌은 통과할 수 있으며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복수의 통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capture body is formed with an escape portion for communicating the third space to the outside; The escap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a size that the bees can pass through and the wasps cannot pass through.

상기에서, 포획본체에는 제3 공간부에 연통된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에는 착탈 가능하게 덮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capture body is formed with an install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space portion, the installation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member is detachably provided.

상기에서, 제2 통로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포획본체는 상기 제2 통로의 외측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일부가 전후방으로 관통된 제1 가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second passage is formed in a size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end; The capture body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end of the second passage, and a part of the first shield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ront and rear penetration.

상기에서, 포획본체의 내측에는 제1 공간부와 제3 공간부를 분할하는 제3 격벽이 구비되며, 상기 제3 통로는 제3 격벽에 구비되며 제3 공간부로 연장되고 단부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는 형태의 중공체인 제3 통로부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3 통로부에는 측방으로 말벌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inside of the capture body is provided with a third partition wall dividing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third space portion, the third passage is provided in the third partition wall, extending to the third space portion and decreasing in diameter toward the end. It is formed by a third passage part that is a hollow shape, and the third passage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a size that a wasp cannot pass through are formed in the side.

상기에서, 포획본체의 내측에는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를 분할하는 제1 격벽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통로를 이루는 통공은 제1 격벽의 후방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inside of the capture body is provided with a first partition wall dividing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The through-hole forming the first passag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hrough the rear of the first partition wall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에서, 제1 통로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하향 연장되어 제2 공간부의 전방을 이루는 제2 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통로는 제2 격벽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중공체인 제2 통로부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가림부는 제2 통로부의 전방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제2 통로부를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partition wall spaced forward from the first passage and extending downward to form a front of the second space portion; the second passage is formed by a hollow second passage that protrudes forward from the second partition and whos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front; The first shielding portion is spaced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assage portion to cover the second passage portion.

상기에서, 포획본체는 제1 공간부와 제3 공간부의 전면을 이루는 벽체인 전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전면부의 후방으로 상기 제1 공간부와 제3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는 전면부에 구비되어 제1 공간부로 연장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의 중공체인 입구부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의 후방 단부는 제3 격벽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제3 통로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capture body further includes a front portion that is a wall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third space portion,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third space portion are formed in the rear of the front portion; The inlet is provided in the front portion and extends to the first space portion and is formed by an inlet portion, which is a hollow body having a reduced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rear; The rear end of the inlet part is spaced downward from the third partition wall and is positioned below the third passage part.

본 발명에 따르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는 입구를 통하여 들어온 말벌의 성향인 밝은 곳을 향하고 위로 올라가려는 특성을 이용하여 입구의 바로 상부로 제3 통로를 위치시켜 말벌이 비행하여 깔때기 형태의 제3 통로를 지나 제3 공간부로 이동시켜 제3 공간에 말벌을 가두어 포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wasp trapping device fixed to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nnel shape by positioning the third passage just above the inlet by using the characteristic of going up to the bright place, which is the tendency of the wasps that entered through the inlet, to position the third passagewa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asp can be trapped and captured in the third space by moving it through the third passage of the third spa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가 벌통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의 후방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sp catching device used by fixing to a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eehiv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p trap used by fixing to a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wasp trap used by fixing to a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other direction of the wasp trap used by fixing to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AA direction of FIG. 2 .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wasp trapping device used by fixing to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가 벌통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의 후방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A-A 방향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asp trapping device fixed to a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eehive,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p trapping device used by fixing to a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wasp trapping device fixed to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wasp trapping device used by fixing to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AA direction.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의 "A"방향을 폭 방향으로, "B"방향으로 상하 방향으로, "C"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기재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A" direction in FIG. 1 is described as the width direction, the "B" direction as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C" direction as the front-back direc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통(H)에는 벌통출입구(H1)가 형성되고, 벌통출입구(H1)에는 벌이 안착할 수 있도록 벌통출입구(H1)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출입구받침판(H2)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 the beehive inlet (H1) is formed in the beehive (H), and the doorway support plate (H2) protruding forward in the lower part of the beehive inlet (H1) so that the bees can be seated in the beehive inlet (H1). this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100)는 벌통(H)의 벌통출입구(H1)의 전방으로 설치된다. 출입구받침판(H2)이 구비된 경우, 말벌 포획 장치(100)는 출입구받침판(H2)에 안착되도록 설치한다.The wasp trapping device 100 used by being fixed to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beehive inlet (H1) of the beehive (H). When the doorway support plate (H2) is provided, the wasp trapping device 100 is installed to be seated on the doorway support plate (H2).

상기 말벌 포획 장치(100)는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말벌 포획 장치(100)는 중공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복수의 공간부와 벌의 통로가 형성된 포획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wasp trapping device 10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or metal. The wasp trapping device 100 is made of a hollow body, and includes a trapping body having a plurality of spaces and a passage of bees therein.

상기 포획본체는 본체부(110)와, 제1 격벽(120)과, 제2 격벽(130)과, 제2 통로부(140)와, 제3 격벽(150)과, 제3 통로부(160)와, 입구부(170)와, 덮개부재(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apture body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110 , a first partition wall 120 , a second partition wall 130 , a second passage portion 140 , a third partition wall 150 , and a third passage portion 160 . ), and an inlet 170 and a cover member 180 .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는 중공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10)는 후면부(111)와, 측면부(115)와, 바닥부(113)와, 탑부(117)와, 전면부(119)로 이루어진다. 1 to 4, the main body 110 is made of a hollow body. The body part 110 includes a rear part 111 , a side part 115 , a bottom part 113 , a top part 117 , and a front part 119 .

상기 후면부(111)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후면부(11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부가 전방으로 절곡되고 다시 상향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후면부(111)의 하단에는 상기 벌통출입구(H1)와 연통되도록 상향 오목하며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입구연결공(107)이 형성된다.The rear part 111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The rear portion 111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portion is bent forward, and the rear portion 111 is formed by bending upward again.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part 111, an inlet connection hole 107 that is concave upward to communicate with the beehive inlet H1 and penetr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s formed.

상기 측면부(115)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측면부(115)는 상기 후면부(111)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후면부(11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측면부(115)는 상기 후면부(111)의 전방으로 서로 마주하여 나란하게 구비된다.The side part 115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The side part 115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part 111 in the width direction, and extends forward from the rear part 111 . The side parts 115 are provided in parallel to face each other in front of the rear part 111 .

상기 측면부(115)에는 제1 슬릿(115-1)과, 제3 슬릿(115-5)과, 제2 슬릿(115-3)이 형성된다. A first slit 115 - 1 , a third slit 115 - 5 , and a second slit 115 - 3 are formed in the side portion 115 .

상기 제1 슬릿(115-1)은 상기 측면부(115)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슬릿(115-1)은 상기 측면부(115)의 상하 방향 중심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슬릿(115-1)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1 슬릿(115-1)에는 제1 공간부(101)와 제3 공간부(105)를 분리하는 제3 격벽(15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first slit 115 - 1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side portion 115 . The first slit 115 - 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ide part 115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slit 115 - 1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s formed through the first slit 115 - 1 in the width direction. A third partition wall 150 separating the first space portion 101 and the third space portion 105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first slit 115 - 1 .

상기 제3 슬릿(115-5)은 상기 제1 슬릿(115-1)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제1 슬릿(115-3)과 측면부(115)의 하단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3 슬릿(115-5)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3 슬릿(115-5)은 제2 공간부(103)에 위치한다. 상기 제3 슬릿(115-5)은 본체부(110)의 내측 공간의 공기와 외부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공기순환공이 된다.The third slit 115 - 5 is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slit 115 - 1 an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lit 115 - 3 and the lower end of the side part 115 . The third slit 115 - 5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s formed through the third slit 115 - 5 in the width direction. The third slit 115 - 5 is located in the second space 103 . The third slit 115 - 5 serves as an air circulation hole through which the air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outside air can circulate.

상기 제2 슬릿(115-3)은 상기 제1 슬릿(115-1)과 제3 슬릿(115-5)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릿(115-3)은 상기 제1 슬릿(115-1)으로부터 하향 이격되고 제3 슬릿(115-5)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릿(115-3)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릿(115-3)에는 제1 공간부(101)와 제2 공간부(103)를 분리하는 제1 격벽(12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second slit 115 - 3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lit 115 - 1 and the third slit 115 - 5 . The second slit 115 - 3 is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slit 115 - 1 and upwardly spaced apart from the third slit 115 - 5 . The second slit 115 - 3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penetrates in the width direction. A first partition wall 120 separating the first space portion 101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103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econd slit 115 - 3 .

상기 바닥부(113)는 판상이다. 상기 바닥부(113)는 상기 측면부(115) 사이에서 후면부(111)와 측면부(115)의 하단에 구비된다. 상기 바닥부(113)의 전방 단부는 상기 측면부(115)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The bottom part 113 is plate-shaped. The bottom part 113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part 111 and the side part 115 between the side parts 115 . The front end of the bottom part 113 is provided rearwardly spaced apart from the front end of the side part 115 .

상기 탑부(117)는 판상이며, 상기 바닥부(113)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측면부(115) 사이에서 후면부(111)와 측면부(115)의 상단에 구비된다. 상기 탑부(117)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설치공(117-1)이 형성된다.The top part 117 is plate-shaped, and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part 111 and the side part 115 between the side parts 115 and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part 113 . The top part 117 has an installation hole 117 - 1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전면부(119)는 판상이며, 상기 후면부(111)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후면부(111)와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전면부(119)에는 일부가 폭 방향 양측으로 돌출된 결합부(119-2)가 더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19-2)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19-2)는 전면부(119)로부터 후방으로 절곡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front part 119 is plate-shaped,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part 111 in the front and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rear part 111 . The front part 119 is further provided with coupling parts 119-2, some of which protrude to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 slit penetr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formed in the coupling part 119-2. The coupling part 119 - 2 is provided to be bent backward from the front part 119 .

상기 측면부(115)에는 전방에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돌출부(115-2)가 더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119-2)의 슬릿이 상기 측면부(115)에 형성된 결합돌출부(115-2)로 삽입되며 전면부(119)가 측면부(115)에 결합된다.The side part 115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115-2 protru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front sid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part 115-2 formed in the side part 115 with a slit of the coupling part 119-2. ) and the front part 119 is coupled to the side part 115 .

상기 본체부(110)에서 후면부(111), 측면부(115), 바닥부(113), 탑부(117)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전방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119)는 별도의 부재로 결합되는 형태로 가능한다.In the main body part 110, the rear part 111, the side part 115, the bottom part 113, and the top part 117 are integrally injection-molded to form a front opening shape, and the front part 119 is separate. It is possible in the form of being combined with the member of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획본체의 내측 공간은 제1 공간부(101)와, 제2 공간부(103)와, 제3 공간부(105)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공간부(101)는 제2 공간부(103)와 제3 공간부(105)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 공간부(103)는 제1 공간부(101)의 하부로 위치하며, 제3 공간부(105)는 제1 공간부(101)의 상부로 위치한다.As shown in FIG. 5 , the inner space of the capture body is divided into a first space 101 , a second space 103 , and a third space 105 . The first space 101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space 103 and the third space 105 . The second space 103 is positioned below the first space 101 , and the third space 105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space 101 .

상기 제1 공간부(101)와 제2 공간부(103)는 제1 격벽(120)에 의하여 분할되어 형성된다.The first space portion 101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103 are divided by the first partition wall 120 .

상기 제1 격벽(120)은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격벽(120)은 폭 방향 양단이 상기 제2 슬릿(115-3)에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 격벽(120)은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고,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120)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우천시 말벌 포획 장치(100) 내부로 들어온 빗물이 배출공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partition wall 120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Both ends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20 are fixedly instal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slit 115-3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partition wall 120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and a discharge hole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ormed in the front. Since the first partition wall 120 is formed to be inclined,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rainwater entering the inside of the wasp trapping device 100 to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le in case of rain.

상기 제1 격벽(120)에는 상기 제1 공간부(101)와 제2 공간부(103)를 연통시키는 제1 통로(12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통로(121)는 복수의 통공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통로(121)를 이루는 통공은 제1 격벽(120)의 후방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A first passage 121 connecting the first space 101 and the second space 103 is formed in the first partition wall 120 . The first passage 121 is formed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e through hole forming the first passage 121 is formed to pene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rear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20 .

상기 제1 통로(121)를 이루는 통공은 꿀벌(이하에서 꿀벌은 토종벌과 서양벌을 의미한다.)은 통과할 수 있으며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통로(121)를 이루는 통공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직사각형의 짧은 변의 길이가 6㎜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지름이 6㎜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통로(121)를 이루는 통공의 크기가 6㎜로 형성됨으로써 통공 사이로 꿀벌은 통과가 가능하나 말벌은 통과할 수 없게 된다.The through hole constituting the first passage 121 is formed in such a size that honeybees (hereinafter, bees refer to native bees and western bees) can pass through, and wasps cannot pass through. For example, the through hole forming the first passage 12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hort side of the rectangle has a length of 6 mm. When formed in a circular shape, it is preferable to have a diameter of 6 mm. The size of the hole forming the first passage 121 is formed to be 6 mm, so that the honeybee can pass through the hole, but the wasp cannot pass through the hole.

상기 제1 격벽(120)의 후방 단부에는 제1 격벽(120)의 후방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입구연결공(107)의 상단을 형성하는 제2 가림부(11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 가림부(111-1)가 구비될 경우, 상기 제2 가림부(111-1) 상기 후면부(111)가 상기 제1 격벽(120)을 지나 하향 연장된 부분에 의하여 형성된다.A second shielding part 111-1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20 to form an upper end of the inlet connection hole 107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20 . have. When the second shielding part 111-1 is provided, the rear part 111 of the second shielding part 111-1 is formed by a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past the first partition wall 120 .

상기 제2 공간부(103)는 상기 제1 격벽(120)에 의하여 상기 제1 공간부(101)와 분할되며, 제2 공간부(103)의 전방을 이루는 제2 격벽(130)이 더 포함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 공간부(103)는 후방에 상기 입구연결공(107)이 형성되어 제2 공간부(103)와 벌통출입구(H1)가 연통된다.The second space portion 103 is divided from the first space portion 101 by the first partition wall 120 ,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partition wall 130 forming a front of the second space portion 103 . is formed The second space 103 has the inlet connection hole 107 formed at the rear so that the second space 103 communicates with the beehive inlet H1.

상기 제2 격벽(130)은 판상이며, 투명한 재질(예:투명 아크릴 등)로 구비된다. 상기 제2 격벽(130)은 상기 제1 격벽(120)의 하부로 구비되며 후면부(111)와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 가림부(111-1)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2 격벽(130)은 상기 제2 가림부(111-1)와 마주하여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 격벽(130)은 상기 제1 통로(121)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하향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 격벽(130)의 하단은 상기 바닥부(113)의 전방 단부와 연결되어 구비된다. The second partition wall 130 has a plate shape and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eg, transparent acrylic, etc.). The second partition wall 130 is provided under the first partition wall 120 and is provided parallel to the rear surface part 111 . When the second shielding part 111-1 is provided, the second partition wall 130 faces the second shielding part 111-1 and is provided in parallel. The second partition wall 130 is spaced forward from the first passage 121 and extends downwar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30 is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front end of the bottom portion 113 .

상기 제2 격벽(130)에는 제2 통로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통로부(140)는 투명한 재질(예: 투명한 아크릴)로 구비된다. 상기 제2 통로부(140)는 제2 격벽(13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중공체이다. 상기 제2 통로부(140)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A second passage portion 140 is provid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130 . The second passage 14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eg, transparent acrylic). The second passage portion 140 is a hollow body that protrudes forward from the second partition wall 130 and decreases in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front. The second passage portions 140 are provided in plurality while being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제2 통로부(140)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제2 통로(141)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통로(141)는 전방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2 통로(141)는 상기 제2 공간부(103)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통로가 된다. 상기 제2 통로(141)의 전방 단부의 크기는 꿀벌이 자유롭게 나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통로(141)의 전방 단부의 지름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통로(141)의 지름이 10㎜로 제작되어도 원뿔 모양의 형상 및 제1 가림부(119-3)에 의하여 말벌은 물론 꿀벌도 외부에서 제2 공간부(103)로 진입이 불가능하다. A second passage 141 penetrat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formed in the second passage portion 140 . The second passage 141 is formed in a size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front end. The second passage 141 is a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second space 103 to the outside. The size of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assage 141 is formed to a size that the bees can come out freely. For example, the diameter of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assage 141 is preferably 10 mm. Even when the diameter of the second passage 141 is 10 mm, it is impossible for bees as well as bees to enter the second space 103 from the outside due to the conical shape and the first shielding part 119-3. .

상기 제2 통로부(140)에는 상부에 복수의 통공(143)이 형성된다. 즉, 제2 통로부(140)의 상부에는 상기 통공(143)이 형성되고, 하부는 막혀있게 된다. 상기 제2 통로부(140)의 상부에 형성된 통공(143)은 꿀벌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통공(143)의 크기는 예를 들어 3.6㎜ 이하로 형성된다.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43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assage 140 . That is, the through hole 143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assage 140, and the lower portion is blocked. The through hole 143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assage 140 is formed in a size that honeybees cannot pass through.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143 is, for example, 3.6 mm or less.

상기 제2 통로부(140)의 전방에는 제2 통로부(140)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제1 가림부(119-3)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1 가림부(119-3)는 상기 제1 격벽(120)을 지나 하향 연장된 전면부(119)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 가림부(119-3)는 상기 전면부(119)에 구비되는 입구(171)의 하부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가림부(119-3)의 하단은 상기 바닥부(113)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제1 가림부(119-3)의 하단은 제2 통로부(140)의 전방 단부의 하단과 제2 통로부(140)의 후방 단부의 하단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가림부(119-3)는 제2 통로부(140)의 후방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가림부(119-3)의 재질은 투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가림부(119-3)는 제2 격벽(130)과 서로 마주하여 나란하게 구비된다. A first shielding part 119 - 3 is further provided in front of the second passage 140 ,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second passage 140 . The first shielding part 119 - 3 is formed by the front part 119 extending downward past the first partition wall 120 . The first shielding part 119 - 3 is formed under the inlet 171 provided in the front part 119 . The lower end of the first shielding part 119 - 3 is located upwardly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art 113 . The lower end of the first shielding portion 119 - 3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assage 140 and the lower end of the rear end of the second passage 140 . The first shielding part 119-3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econd passage part 140, and in this case, the material of the first shielding part 119-3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first shielding part 119 - 3 faces the second partition wall 130 and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상기 제1 가림부(119-3)가 구비됨으로써 전방에서 제2 통로부(140)가 보이지 않게 되므로 말벌이 제2 통로부(140)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꿀벌도 제2 통로부(140)를 통하여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들어가는 꿀벌은 입구(171)를 통해서 들어가고, 나오는 꿀벌은 제2 통로(141)를 통하여 나오도록 함으로써 들어가는 꿀벌과 나오는 꿀벌을 분리되어 혼잡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second passage part 140 is not visible from the front by providing the first shielding part 119-3, it is possible to prevent wasps from approaching the second passage part 140, and bees can also prevent the second passage part from being seen. By not entering through 140, the entering bees enter through the inlet 171, and the coming out bees come out through the second passage 141, thereby separating the entering bees and the coming out bees, thereby preventing congestion.

또한, 상기 제2 통로부(140)와 제2 격벽(130)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벌통(H)으로부터 나온 꿀벌이 전방의 밝은 곳을 따라 제2 통로부(140)의 제2 통로(141)를 통하여 나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passage 140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130 ar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bees coming out of the hive H follow the bright spot in front of the second passage 141 of the second passage 140 . ) can be obtained through

그리고 상기 통로부(140)는 제2 통로부(140)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제1 가림부(119-3)에 의해 단부가 가려져 있어 제2 통로부(140)로 말벌이 접근하여 측방 하부를 통해 들어가려고 하나, 측방 하부가 막혀 있으므로 말벌이 지지할 발판이 없어 제2 공간부(103)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nd the end of the passage portion 140 is covered by the first shielding portion 119 - 3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second passage portion 140 , so that the wasp approaches the second passage portion 140 and lowers the side Howe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entry into the second space 103 because there is no foothold for the wasp to support because the lower side is blocked.

상기 제1 공간부(101)와 제3 공간부(105)는 제3 격벽(150)에 의하여 분할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3 격벽(150)은 상기 제1 격벽(120)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3 격벽(150)은 폭 방향 양단이 상기 측면부(115)에 형성된 제1 슬릿(115-1)에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The first space portion 101 and the third space portion 105 are divided by the third partition wall 150 . The third partition wall 150 is provided to be upward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rtition wall 120 . Both ends of the third partition wall 150 are fixedly instal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slits 115 - 1 formed in the side surface portion 115 .

상기 제3 격벽(150)에는 상기 제1 공간부(101)와 제3 공간부(105)를 연통시키는 제3 통로부(160)가 구비된다. 상기 제3 격벽(150)과 제3 통로부(160)는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The third partition wall 150 is provided with a third passage portion 160 for communicating the first space portion 101 and the third space portion 105 . The third partition wall 150 and the third passage portion 160 are integrally injection-molded.

상기 제3 통로부(160)는 상기 제3 격벽(150)으로부터 제3 공간부(105)로 연장되며 단부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는 형태의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3 통로부(160)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3 통로부(160)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3 통로(161)가 형성된다. 상기 제3 통로(161)는 단부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여 단면적이 좁아지는 부분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3 통로(161)는 상기 제1 공간부(101)와 제3 공간부(105)를 연통시키는 통로가 된다. 상기 제3 통로(161)는 꿀벌과 말벌이 모두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제3 통로(161)의 지름은 27㎜로 형성된다.The third passage portion 160 is provided with a hollow body extending from the third partition wall 150 to the third space portion 105 and having a diameter decreasing toward the end. The third passage 160 is formed in a funnel shape. A third passage 161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third passage portion 160 . The third passage 161 is formed to have a portion having a narrower cross-sectional area as the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end thereof. The third passage 161 serves as a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space portion 101 and the third space portion 105 . The third passage 161 is formed in a size through which both bees and wasps can pass, for example, the diameter of the third passage 161 is formed to be 27 mm.

상기 제3 통로부(160)에는 측방으로 복수의 통공(163)이 형성된다. 상기 제3 통로부(160)의 측방으로 형성된 통공(163)은 말벌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통공(163)의 크기는 예를 들어 6㎜ 이하로 형성된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63 are formed laterally in the third passage portion 160 . The through hole 163 formed on the side of the third passage 160 is formed in a size that a wasp cannot pass through.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163 is formed to be, for example, 6 mm or less.

상기 제3 통로부(160)에 형성된 통공(163)은 말벌의 밝은 빛을 따라 이동하는 성향을 이용한 것으로, 통공(163)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따라 제1 공간부(101)의 말벌이 제3 공간부(105)로 올라오게 된다. 즉, 제3 공간부(105)가 제1 공간부(101)보다 밝으면 말벌은 밑으로 내려오지 않게 된다.The through hole 163 formed in the third passage 160 uses a tendency to move along the bright light of the wasp, and the wasp in the first space 101 follows the light enter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63 for the third It comes up to the space part (105). That is, if the third space 105 is brighter than the first space 101 , the wasp does not come down.

제3 통로(161)를 통하여 나온 말벌이 나왔던 출구로 다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to prevent the wasp coming out through the third passage 161 from entering the exit again.

상기 제1 격벽(120)과 제3 격벽(15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제1 공간부(101)에는 제1 공간부(101)와 외부를 연통시키며 벌들이 들어오는 통로가 되는 입구부(170)가 구비된다. 상기 입구부(170)는 제1 공간부(101)의 전면을 이루는 벽체인 전면부(119)에 구비된다. 상기 제1 공간부(101)는 상기 전면부(119)의 후방으로 형성된다.The first space portion 101, which is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wall 120 and the third partition wall 150, has an inlet portion 170 tha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pace portion 101 and the outside and serves as a passage for bees to enter. is provided The inlet portion 170 is provided in the front portion 119, which is a wall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pace portion (101). The first space 101 is formed behind the front part 119 .

상기 입구부(170)는 전면부(119)로부터 제1 공간부(101)로 연장되어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의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입구부(170)는 상기 제3 격벽(150)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입구부(170)의 후방 단부는 상기 제3 통로(161)의 상단의 개구된 단부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입구부(170)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The inlet portion 170 is provided with a hollow body extending from the front portion 119 to the first space portion 101 and having a reduced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rear. The inlet portion 170 is provided to be spaced downward from the third partition wall 150 . The rear end of the inlet 170 is located below the open end of the upper end of the third passage 161 . One or more inlet portions 17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입구부(170)는 입구(171)와 입구연장부(173)로 이루어진다.The inlet 170 includes an inlet 171 and an inlet extension 173 .

상기 입구(171)는 상기 제3 격벽(150)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입구(171)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며, 전면부(119)로부터 제1 공간부(101)로 연장되며 내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부분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입구(171)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입구(171) 내측의 하면은 입구(171)에 안착된 벌이 기어갈 수 있도록 경사가 완만하게 형성된다. The inlet 171 is provided to be spaced downward from the third partition wall 150 . The inlet 171 is ope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extends from the front portion 119 to the first space portion 101, and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portion whos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toward the inside. The inlet 171 is formed in a funnel shape.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side of the inlet 171 is formed with a gentle slope so that a bee seated in the inlet 171 can crawl.

상기 입구연장부(173)는 입구(171)의 내측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입구연장부(173)는 전후방으로 개구된 원통형이며, 입구(171)의 내측 단부로부터 내향 연장된다. 상기 입구(171)와 입구연장부(173)는 말벌과 꿀벌이 모두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The inlet extension 173 is provided at the inner end of the inlet 171 . The inlet extension 173 has a cylindrical shape that is opened forward and backward, and extends inwardly from the inner end of the inlet 171 . The inlet 171 and the inlet extension 173 are formed in a size through which both wasps and bees can pass.

상기 입구연장부(173)의 후방 단부는 상기 제3 통로(161)의 상단의 개구된 단부의 하부에 위치한다. 즉, 상기 입구연장부(173)와 제3 통로(161)는 직선을 이루어 상기 입구연장부(173)를 통하여 들어온 말벌이 상부로 바로 보이는 제3 통로(161)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The rear end of the inlet extension 173 is located below the open end of the upper end of the third passage 161 . That is, the inlet extension 173 and the third passage 161 form a straight line so that the wasp that enters through the inlet extension 173 can move toward the third passage 161 that appears directly upward.

상기 제1 공간부(101)의 상부로 구비된 공간인 제3 공간부(105)에는 꿀벌이 나가는 통로인 탈출부(119-1)가 형성된다. 상기 탈출부(119-1)는 상기 제3 공간부(105)의 전면을 이루는 벽체인 전면부(119)에 형성된다. 상기 탈출부(119-1)는 제3 공간부(105)를 이루는 측면부(115) 또는 후면부(111)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탈출부(119-1)는 제3 공간부(105)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통로가 된다.An escape part 119-1,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honeybees exit, is formed in the third space 105, which is a space provided above the first space 101. As shown in FIG. The escape portion 119 - 1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119 , which is a wall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third space portion 105 . The escape portion 119 - 1 may be formed in the side portion 115 or the rear portion 111 constituting the third space portion 105 . The escape portion 119 - 1 serves as a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third space portion 105 to the outside.

상기 탈출부(119-1)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통공으로 형성된다. 상기 탈출부(119-1)에 형성된 통공의 크기는 꿀벌은 통과할 수 있으며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통공의 크기는 6㎜로 형성된다.The escape portion 119 - 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enetr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ize of the hole formed in the escape portion 119-1 is formed to a size that honeybees can pass through and wasps cannot pass through. For example, the size of the hole is formed of 6 mm.

상기 제3 공간부(105)에는 상기 제3 공간부(105)를 이루는 탑부(117)에 형성된 설치공(117-1)에 덮개부재(180)가 더 구비된다.In the third space 105 , a cover member 180 is further provided in an installation hole 117 - 1 formed in the top portion 117 constituting the third space 105 .

상기 덮개부재(180)는 판상으로 구비되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부재(180)는 상기 설치공(117-1)에 삽입되어 설치공(117-1)의 내측에 위치한다.The cover member 180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 example, made of a transparent acrylic material. The cover member 180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117-1 and positioned inside the installation hole 117-1.

상기 덮개부재(180)의 하부의 둘레에는 하향 돌출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삽입돌기(185)가 구비된다. 상기 덮개부재(180)는 상기 삽입돌기(185)가 탑부(117)의 하부로 걸리며 상기 설치공(117-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A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185 that protrude downward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provided a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member 180 . In the cover member 180 , the insertion protrusion 185 is caught by the lower portion of the top portion 117 and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hole 117 - 1 .

상기 덮개부재(180)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통공(18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재(180)에 통공(181)이 형성될 경우, 통공(181)의 크기는 꿀벌은 통과할 수 있으며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통공(181)이 직사각형일 경우 짧은 변은 6㎜로 형성되며, 원형일 경우 지름이 6㎜로 형성된다.A plurality of through-holes 181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ormed in the cover member 180 . When the through hole 181 is formed in the cover member 180,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181 is formed so that bees can pass through and wasps cannot pass through. For example, when the through hole 181 is rectangular, the short side is formed to be 6 mm, and when the through hole 181 is circular, the diameter is formed to be 6 mm.

상기 덮개부재(180)의 상부에는 손잡이(183)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183)는 상향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재(180)는 손잡이(183)를 파지하여 위로 당겨 덮개부재(180)를 분리하여 제3 공간부(105)에 포획된 말벌을 다른 용기(예: 모기장으로 만든 포획망)에 옮길 수 있다.A handle 183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member 180 . The handle 183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The cover member 180 grasps the handle 183 and pulls upward to separate the cover member 180 to transfer the wasp captured in the third space 105 to another container (eg, a trap made of a mosquito net). hav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100)로 유입되는 벌의 이동경로를 살펴본다.Hereinafter, the movement path of the bees flowing into the wasp trapping device 100 used by being fixed to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전면부(119)에 형성된 입구(171)를 통해 꿀벌, 말벌이 제1 공간부(101)로 들어오게 된다. 제1 공간부(101)로 들어온 벌 중에서 꿀벌은 제1 격벽(120)에 형성된 제1 통로(121)를 통해 제2 공간부(103)로 들어가고, 제2 공간부(103)를 통해 벌통출입구(H1)로 들어가게 된다.Bees and wasps enter the first space 101 through the inlet 171 formed in the front part 119 . Among the bees entering the first space 101 , bees enter the second space 103 through the first passage 121 formed in the first partition 120 , and enter the beehive through the second space 103 . (H1) is entered.

벌통출입구(H1)를 통해 벌통(H)에서부터 제2 공간부(103)로 나온 꿀벌은 제2 격벽(130)에 형성된 제2 통로(141)를 통해 외부로 나갈 수 있게 된다.The bees that come out from the beehive H to the second space 103 through the hive entrance H1 can go out through the second passage 141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130 .

상기 제1 공간부(101)로 들어온 벌 중에서 일부 꿀벌과 말벌은 입구연장부(173)의 상부로 바로 보이며 말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제3 통로(161)를 통해 제3 공간부(105)로 이동한다. 제3 공간부(105)로 이동한 말벌은 제3 통로부(160)의 외면에 앉아 제3 통로부(160)의 통공(163)을 통하여 다시 제1 공간부(101)로 이동하려고 하므로 제3 통로(161)를 통하여 역행하여 다시 제1 공간부(101)로 돌아갈 수 없어 제3 공간부(105)로 유입된 말벌은 제3 공간부(105)에 갇히게 된다.Among the bees entering the first space 101, some bees and wasps are seen directly above the inlet extension 173, and through the third passage 161 formed in a size that the wasps can pass through, the third space ( 105). The wasp that has moved to the third space 105 sit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passage 160 and tries to move back to the first space 101 through the through hole 163 of the third passage 160. The wasps that flow backward through the third passage 161 and cannot return to the first space 101 again are trapped in the third space 105 .

상기 제3 공간부(105)로 들어온 벌 중에서 일부 꿀벌은 전면부(119)에 형성된 탈출부(119-1)와 덮개부재(180)에 형성된 통공(181)을 통해 외부로 탈출할 수 있어 제3 공간부(105)에 갇히거나 말벌에게 공격받는 것이 방지된다.Among the bees that have entered the third space 105, some bees can escape to the outside through the escape portion 119-1 formed on the front portion 119 and the through hole 181 formed on the cover member 180. 3 It is prevented from being trapped in the space part 105 or being attacked by a wasp.

제3 공간부(105)에 포획된 말벌은 덮개부재(180)의 손잡이(183)를 파지하여 위로 당겨 덮개부재(180)를 분리하여 제3 공간부(105)에 포획된 말벌을 배출시킬 수 있다.The wasp captured in the third space 105 can be pulled up by gripping the handle 183 of the cover member 180 to separate the cover member 180 to discharge the wasp captured in the third space 105 . have.

본 발명인 말벌 포획 장치(100)는 말벌로부터 벌통을 보호할 수 있으며, 별도의 유인제 없이 말벌을 포획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두꺼비, 쥐, 소충나방 등의 피해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p capture device 100 can protect the hive from wasps, it is possible to capture the wasps without a separate attractant.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damage to toads, mice, caterpillars, and the lik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르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So far, the wasp trapping device fixed to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at anyon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the point.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
110: 본체부 120: 제1 격벽
130: 제2 격벽 140: 제2 통로부
150: 제3 격벽 160: 제3 통로부
170: 입구부 180: 덮개부재
100: a wasp trap used by fixing to a hive
110: main body 120: first bulkhead
130: second bulkhead 140: second passage
150: third bulkhead 160: third passage
170: inlet 180: cover member

Claims (8)

제1 공간부(101)와, 상기 제1 공간부(10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공간부(103)와, 상기 제1 공간부(10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3 공간부(105)가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101)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입구(171)와, 상기 제1 공간부(101)와 제2 공간부(103)를 연통시키는 제1 통로(121)와, 상기 제2 공간부(103)를 벌통출입구로 연통시키는 입구연결공(107)과, 상기 제2 공간부(103)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제2 통로(141)와, 상기 제1 공간부(101)와 제3 공간부(105)를 연통시키는 제3 통로(161)가 형성된 포획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171)는 제1 공간부(101)로 연장되며 내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부분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3 통로(161)는 제3 공간부(105)로 연장되며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부분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통로(121)는 꿀벌은 통과할 수 있으며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복수의 통공으로 형성되고, 입구(171)는 말벌과 꿀벌이 모두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제3 통로(161)는 말벌과 꿀벌이 모두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100).
The first space 101 , the second space 103 positioned below the first space 101 , and the third space 105 positioned above the first space 101 . ) is formed on the inside; An inlet 171 through which the first space 101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 first passage 121 through which the first space 101 and the second space 10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space An inlet connection hole 107 for communicating the part 103 to the beehive inlet, a second passage 141 for communicating the second space 103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space 101 and the third and a capture body in which a third passage 161 for communicating the space 105 is formed;
The inlet 171 extends into the first space 101 and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portion whos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toward the inside; The third passage 161 extends to the third space 105 and is formed to have a portion whos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toward the end; The first passage 121 is formed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a size that bees can pass through but wasps cannot pass through, and the inlet 171 is formed of a size through which both wasps and bees can pass, and the third The passage 161 is a wasp capture device 100 used by fixing to a beehiv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ize that allows both wasps and bees to pass through.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본체에는 제3 공간부(105)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탈출부(119-1)가 형성되며; 상기 탈출부(119-1)는 꿀벌은 통과할 수 있으며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복수의 통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100).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pture body is formed with an escape portion (119-1) for communicating the third space portion (105) to the outside; The escape part 119-1 is a wasp trapping device 100 for use by being fixed to a beehiv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a size that bees can pass through and that can not pass wasp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본체에는 제3 공간부(105)에 연통된 설치공(117-1)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117-1)에는 착탈 가능하게 덮개부재(1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100).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apture body is formed with an installation hole (117-1)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space (105), the installation hole (117-1) is provided with a detachably cover member (180) A wasp trapping device 100 used by being fixed to a beehiv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로(141)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포획본체는 상기 제2 통로(141)의 외측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일부가 전후방으로 관통된 제1 가림부(119-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100).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econd passage (141) is formed in a size that decreases toward the end of the cross-sectional area; The capture body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end of the second passage 141 and a wasp capture device for use by fixing to the beehiv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first shielding part 119-3, a part of which is penetrated forward and backward ( 10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본체의 내측에는 제1 공간부(101)와 제3 공간부(105)를 분할하는 제3 격벽(150)이 구비되며, 상기 제3 통로(161)는 제3 격벽(150)에 구비되며 제3 공간부(105)로 연장되고 단부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는 형태의 중공체인 제3 통로부(160)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3 통로부(160)에는 측방으로 말벌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복수의 통공(16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100).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hird partition wall 150 dividing the first space portion 101 and the third space portion 105 is provided inside the capture body, the third passage 161 is a third It is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 150 and extends to the third space portion 105 and is formed by a third passage portion 160 which is a hollow body whose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end, and the third passage portion 160 has a side surface. A wasp catching device 100 for use by fixing to a beehiv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63 of a size that the wasps cannot pass through are form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본체의 내측에는 제1 공간부(101)와 제2 공간부(103)를 분할하는 제1 격벽(12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통로(121)를 이루는 통공은 제1 격벽(120)의 후방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100).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rst partition wall (120) dividing the first space (101) and the second space (103) is provided inside the capture body; The through hole forming the first passage 121 is a wasp trapping device 100 for use by fixing to a beehiv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the back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로(121)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하향 연장되어 제2 공간부(103)의 전방을 이루는 제2 격벽(1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통로(141)는 제2 격벽(13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중공체인 제2 통로부(140)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가림부(119-3)는 제2 통로부(140)의 전방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제2 통로부(140)를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100).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artition wall (130) spaced forward from the first passage (121) and extending downward to form a front of the second space (103); the second passage 141 is formed by a second passage portion 140 which is a hollow body that protrudes forward from the second partition wall 130 and whos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front; The first shielding portion 119-3 is spaced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assage 140 to cover the second passage 140. The wasp catching device 100 used by being fixed to the beehive.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본체는 제1 공간부(101)와 제3 공간부(105)의 전면을 이루는 벽체인 전면부(119)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전면부(119)의 후방으로 상기 제1 공간부(101)와 제3 공간부(105)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171)는 전면부(119)에 구비되어 제1 공간부(101)로 연장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의 중공체인 입구부(170)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170)의 후방 단부는 제3 격벽(150)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제3 통로부(16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100).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apture body further includes a front portion 119, which is a wall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pace portion 101 and the third space portion 105, to the rear of the front portion (119). the first space portion 101 and the third space portion 105 are formed; The inlet 171 is provided in the front portion 119, extends to the first space portion 101, and is formed by the inlet portion 170, which is a hollow body whos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rear; The rear end of the inlet portion 170 is spaced downward from the third partition wall 150, and the wasp trapping device 100 used by being fixed to the beehiv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below the third passage portion 160.
KR1020200002901A 2020-01-09 2020-01-09 Wasp Capturing Device Assembled To Beehive KR1023127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901A KR102312757B1 (en) 2020-01-09 2020-01-09 Wasp Capturing Device Assembled To Beehive
PCT/KR2021/000209 WO2021141417A1 (en) 2020-01-09 2021-01-07 Harmful insect capturing device used while fixed to beehi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901A KR102312757B1 (en) 2020-01-09 2020-01-09 Wasp Capturing Device Assembled To Beehi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852A true KR20210089852A (en) 2021-07-19
KR102312757B1 KR102312757B1 (en) 2021-10-13

Family

ID=77125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901A KR102312757B1 (en) 2020-01-09 2020-01-09 Wasp Capturing Device Assembled To Beehi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75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184A1 (en) * 2021-11-24 2023-06-01 정혁 Wasp capture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0363A (en) 2012-06-14 2013-12-24 김민순 Apparatus of capturing a hymenoptera
KR20170135154A (en) * 2016-05-30 2017-12-08 오승재 Wasp trapping device
KR20180125411A (en) * 2018-11-05 2018-11-23 주식회사 한국말벌포획연구소 Wasp Capturing Device
KR101922670B1 (en) * 2017-11-17 2018-11-27 전응식 a Wasp defense tunnel of beekeeper
KR20190087162A (en) * 2018-01-16 2019-07-24 정혁 apparatus for protecting honeybee of beekeeping beehive
CN209390921U (en) * 2018-11-30 2019-09-17 孟宝升 Beehive hornet catching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0363A (en) 2012-06-14 2013-12-24 김민순 Apparatus of capturing a hymenoptera
KR20170135154A (en) * 2016-05-30 2017-12-08 오승재 Wasp trapping device
KR101922670B1 (en) * 2017-11-17 2018-11-27 전응식 a Wasp defense tunnel of beekeeper
KR20190087162A (en) * 2018-01-16 2019-07-24 정혁 apparatus for protecting honeybee of beekeeping beehive
KR20180125411A (en) * 2018-11-05 2018-11-23 주식회사 한국말벌포획연구소 Wasp Capturing Device
CN209390921U (en) * 2018-11-30 2019-09-17 孟宝升 Beehive hornet catch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184A1 (en) * 2021-11-24 2023-06-01 정혁 Wasp capture device
TWI828380B (en) * 2021-11-24 2024-01-01 丁爀 Wasp catc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757B1 (en) 202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4560B2 (en) Humane animal trap
KR101845239B1 (en) Wasp trapping device
KR101799771B1 (en) Wasp trapping device
KR101966024B1 (en) Wasp Capturing Device
US7632167B1 (en) Selective insect trapping system
KR102312757B1 (en) Wasp Capturing Device Assembled To Beehive
KR100868526B1 (en) Jellyfish separation net
KR200446750Y1 (en) The cool air sei·zure for preventing sliding door and panel structure
KR102367609B1 (en) Western Bee Catching Device For The Protection Of Native Bees
EP3360412A1 (en) Wasp catching device
KR20190045031A (en) Attachment device for wasp prevention, and bee hive
EP3372075A1 (en) Wasp-capturing device
KR102073151B1 (en) Insect capture device
KR102513825B1 (en) Harmful Insect Capturing Device Assembled To Beehive
US20210386048A1 (en) Wasp catching device provided on beehive
KR101979305B1 (en) A Hornet Blocking Device Of Beehive
KR20230137563A (en) Capturing trap for Aethina tumida
EP3878276A1 (en) Wasp catching device provided on beehive
KR102108379B1 (en) Wasp trap installed on the beehive
JP3220502U (en) Hornet trap
WO2021141417A1 (en) Harmful insect capturing device used while fixed to beehive
US20240122170A1 (en) Wasp catcher
KR102230146B1 (en) Wasp trap installed on the beehive
JP7085575B2 (en) Bee trap. A bee trap that captures colonies and moves them to new hives.
CN218649671U (en) Milking parlor with mosquito catch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