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583A - Smart pavement marker and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mart pavement marker and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583A
KR20210059583A KR1020200020360A KR20200020360A KR20210059583A KR 20210059583 A KR20210059583 A KR 20210059583A KR 1020200020360 A KR1020200020360 A KR 1020200020360A KR 20200020360 A KR20200020360 A KR 20200020360A KR 20210059583 A KR20210059583 A KR 20210059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smart
mobile terminal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3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0709B1 (en
Inventor
설동열
김윤순
Original Assignee
설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동열 filed Critical 설동열
Publication of KR20210059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5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7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78Traffic lines consisting of preformed elements, e.g. tapes, block-type elements specially designed or arranged to make up a traffic li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 smart sign, which comprises: a plurality of smart signs embedded in a predetermined walking area and periodically transmitting a beacon signal; and a mobile terminal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edestrian based on beacon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mart signs, determining whether the pedestrian enters the walking area based on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predetermined pedestrian service, when the pedestrian enters the walking area.

Description

스마트 표지병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SMART PAVEMENT MARKER AND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Smart label bottle and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it {SMART PAVEMENT MARKER AND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표지병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표지병과 이동 단말기와 서비스 제공 서버 간을 상호 연동하여 보행자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 smart mar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rvice provid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services to a pedestrian or a vehicle driver by interworking between a smart marker and a mobile terminal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

일반적으로 도로 표지병은 차량 운전자의 안전한 주행과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을 돕기 위해 도로의 중앙선 또는 산책로, 자전거 전용도로, 갓길, 정지선, 우범지역 등에 설치된다. 근래에는 도로 표지병에 대용량 배터리 및/또는 솔라셀(solar cell)을 내장하여 LED 소자를 야간에 발광함으로써 안전사고에 대한 예방 효과를 높이고 있다.In general, road markers are installed on the center line or promenade of a road, bicycle-only roads, shoulders, stop lines, accidental areas, etc. in order to help the safe driving of the vehicle driver and the safe walking of the pedestrians. In recent years, a large-capacity battery and/or solar cell is built into the road marking bottle to emit light at night, thereby enhancing the effect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그러나 시각장애인은 도로 표지병이 발광을 하더라도 이를 인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최근 스마트폰을 보면서 보행하는 일명 스몸비족이 증가하면서 새로운 안전 사고가 급증하고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isually impaired can not recognize the road sign even if it emits light, and new safety accidents are increasing rapidly as the number of smombs walking while looking at a smartphone is increasing recently.

그리고 야간의 경우 도로 표지병은 보행자가 주변에서 접근하는 경우에도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도로 표지병 주변에서 갑자기 나타나는 보행자에 의해 교통 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사고 다발 지역이거나 우범지역의 경우 보행자들이 안전에 각별히 주의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일반적인 도로 표지병은 이러한 사고 다발 지역 또는 우범지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사고가 재발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nighttime, since the road marker does not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pedestrian approaching from the surrounding area, a traffic accident may be caused by a pedestrian suddenly appearing around the road marker. In addition, in the case of accident-prone areas or accidental areas, pedestrians nee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safety, but general road signs do not provide information on such accident-prone areas or accidental areas, and accidents often occur.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조명 기능뿐만 아니라 비컨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표지병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and other problems.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smart marker with built-in beacon function as well as lighting function.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 표지병과 이동 단말기와 서비스 제공 서버 간을 상호 연동하여 보행자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service provid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services to pedestrians or vehicle drivers by interworking between a smart marker bottle and a mobile terminal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보행자로부터 기 설정된 제스쳐 입력에 대응하는 보행자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보행자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점멸 제어 신호를 상기 보행자와 인접한 스마트 표지병으로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점멸 제어 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LED 소자들을 제어하여 일정 시간 주기로 점멸 동작을 수행하는 스마트 표지병을 포함하는 보행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s,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a pedestrian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set gesture input is received from a pedestrian, and a predefined blinking in response to the received pedestrian request signal. A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a smart marker adjacent to the pedestrian; And it provides a system for providing a pedestrian service including a smart marker for performing a blink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by controlling one or more LED elements according to the blinking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보행 지역에 매립되어, 비컨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들; 및 상기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들로부터 수신된 비컨 신호들을 기반으로 보행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보행자가 상기 보행 지역 내로 진입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보행자가 상기 보행 지역 내로 진입한 경우, 미리 결정된 보행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보행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mart markers buried in a predetermined walking area, periodically transmitting a beacon signal; And det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destrian based on the beacon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mart markers, checking whether a pedestrian enters the pedestrian area based on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pedestrian entering the pedestrian area In one case, a system for providing a pedestrian service including a mobile terminal providing a predetermined pedestrian service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특정 보행 지역으로 접근하는 보행자에게 미리 결정된 보행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표지병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상기 특정 보행 지역에 매립된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들로부터 복수의 비컨 신호들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복수의 비컨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보행자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보행자가 상기 특정 보행 지역 내로 진입한 경우, 미리 결정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보행자의 위치와 관련된 알림 정보를 해당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알림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mory for storing a smart marker application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pedestrian service to pedestrians approaching a specific pedestrian area;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beacon signals from a plurality of smart markers buried in the specific walking area when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memory is executed;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pedestrian using the plurality of beacon signals, and when the pedestrian enters the specific walking area, accessing a predetermined service providing server to receive no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pedestrian from the server A control unit;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inclu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스마트 표지병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mart mark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ffect of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마트 표지병과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 간을 상호 연동하여 보행자에게 안전 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safe return service can be provided to a pedestrian by interworking between a smart marker bottle and a pedestrian's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마트 표지병과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와 서비스 제공 서버 간을 상호 연동하여 보행자에게 보행자 보호 서비스 및 보행자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pedestrian protection service and a pedestrian notification service can be provided to a pedestrian by interworking between a smart sign bottle and a pedestrian's mobile terminal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스마트 표지병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that can be achieved by the smart labeling bottle and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re the technolog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 표지병의 도로 배치를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표지병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와 인접 스마트 표지병 간의 연동을 통해 해당 보행자에게 안심 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6은 스마트 표지병과 이동 단말기와 서비스 제공 서버 간의 연동을 통해 보행자 보호 서비스를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7은 스마트 표지병과 이동 단말기와 서비스 제공 서버 간의 연동을 통해 보행자 알림 서비스를 관광객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
1 and 2 are diagrams illustrating a road arrangement of a smart marker bott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lab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safe home service to a corresponding pedestrian through interlocking between a pedestrian's mobile terminal and an adjacent smart marker;
6 is a diagram referred to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pedestrian protection service to a visually impaired person through interworking between a smart marker bottle and a mobile terminal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7 is a diagram referred to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pedestrian notification service to tourists through interworking between a smart marker bottle and a mobile terminal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prepara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That is, the term'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FPGA, or ASIC, and the'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Includ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units', or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units'.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본 발명은 조명 기능 및 비컨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표지병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표지병과 이동 단말기와 서비스 제공 서버 간을 상호 연동하여 보행자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mart marker with a built-in lighting function and a beacon func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ervice provid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services to a pedestrian or a vehicle driver by interworking between a smart marker and a mobile terminal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 표지병의 도로 배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1 and 2 are diagrams illustrating a road arrangement of a smart marker bott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들(100)이 골목길의 양쪽 경계선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들(100)은 야간에 광을 조사하여 보행자들에게 경관 조명 기능, 디지털 이정표 기능 및 범죄 예방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smart marker bottles 100 may be installed along both border lines of an alleyway. The plurality of smart markers 100 may irradiate light at night to provide a landscape lighting function, a digital milestone function, and a crime prevention function to pedestrians.

각각의 스마트 표지병(100)은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200)와 연동하여 자신의 인접 영역에 위치하는 보행자에게 보행신호정보, 보행주의정보, 보행안내정보, 보행위치정보, 관광정보 및 지리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안내하도록 지원하는 스마트 표지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Each smart marker 100 interlocks with the pedestrian's mobile terminal 200 to provide pedestrian signal information, pedestrian caution information, pedestrian guidance information, pedestrian behavior information, tourist information, and geographic information to pedestrians located in their neighboring areas. It can provide a smart marker function that supports guiding various information.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들(100)은 차도의 중앙선 또는 양쪽 경계선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들(100)은 차도의 바닥에 설치되거나 혹은 차도의 가드레일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들(100)은 야간에 광을 조사하여 보행자 및/또는 차량 운전자들에게 경관 조명 기능, 디지털 이정표 기능 및 교통사고 예방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smart marker bottles 100 may be installed along a center line or both boundary lines of a roadway.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smart marker bottles 100 may b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driveway or on the guardrail of the driveway. The plurality of smart markers 100 may irradiate light at night to provide a landscape lighting function, a digital milestone function, and a traffic accident prevention function to pedestrians and/or vehicle drivers.

마찬가지로, 각각의 스마트 표지병(100)은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200)와 연동하여 자신의 인접 영역에 위치하는 보행자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보행신호정보, 보행주의정보, 보행안내정보, 보행위치정보, 주행주의정보 및 주행안내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안내하도록 지원하는 스마트 표지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Likewise, each smart marker 100 is linked with the pedestrian's mobile terminal 200 to provide pedestrians or vehicle drivers located in the adjacent area of the pedestrian signal information, pedestrian caution information, pedestrian guidance information, pedestrian behavior information, driving caution. A smart marker function that support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and driving guid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한편, 도면에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들(100)은 자전거 도로, 횡단보도, 관광명소 및 공공장소 등과 같은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경관 조명 기능, 디지털 이정표 기능, 범죄 예방 기능 및 교통사고 예방 기능 등을 제공할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smart markers 100 ar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uch as bicycle roads, crosswalks, tourist attractions and public places, and have landscape lighting functions, digital milestone functions, crime prevention functions, and traffic.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n accident prevention function and the like can be provid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표지병의 구성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lab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표지병(100)은 비콘 모듈(110), 솔라 모듈(120), 배터리(130), 발광 모듈(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스마트 표지병(100)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스마트 표지병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mart lab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acon module 110, a solar module 120, a battery 130, a light emitting module 140, and a control unit 150. I can.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to implement the smart label 100, the smart label bottle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비콘 모듈(110)은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와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신호 송신부(미도시) 및 신호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beacon module 110 may include a signal transmitter (not shown) and a signal receiver (not shown) to enable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pedestrian's mobile terminal.

비콘 모듈(110)은 스마트 표지병(100)의 장치 식별 정보(즉, 디바이스 ID 정보), 스마트 표지병(100)의 위치 정보 및 서버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컨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비컨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beacon module 110 generates a beacon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e, device ID information) of the smart label 100,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label 100, and server address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The beacon signal can be transmitted periodically.

비콘 모듈(110)은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 또는 인접 스마트 표지병으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 신호는 발광 요청 신호 또는 구조 요청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eacon module 110 may receive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a pedestrian's mobile terminal or an adjacent smart marker. In this case, the radio signal may include a light emission request signal or a rescue request signal.

비콘 모듈(110)은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 및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스마트 표지병(100)의 인접 영역에 위치하는 보행자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보행신호정보, 보행주의정보, 보행안내정보, 보행위치정보, 주행주의정보, 주행안내정보, 관광정보 및 지리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안내하도록 지원하는 스마트 표지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beacon module 110 interlocks with a pedestrian's mobile terminal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to provide pedestrians or vehicle drivers located in the adjacent area of the smart marker 100 with walking signal information, pedestrian caution information, walking guidance information, walking information, and driving. A smart marker function that support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caution information, driving guide information, tourist information, and geographic information can be provided.

솔라 모듈(120)은 낮 시간 동안 태양으로부터 획득한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솔라 모듈(120)은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The solar module 120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verting light energy obtained from the sun during the daytime into electrical energy. The solar module 120 may store the converted electrical energy in the battery 130.

배터리(130)는, 충전 모드 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전 모드 시,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30)는 스마트 표지병(100)의 구성 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The battery 130 may store electrical energy in a charging mode and may supply the stored electrical energy to the outside in a discharge mode. The battery 130 may provide power to drive the components of the smart label 100.

발광 모듈(140)은, 제어부(14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발광 및 점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140)은 하나 이상의 LED 소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may perform light emission and flashing functions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140. The light-emitting module 140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LED devic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또는 프로세서, 150)는 스마트 표지병(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더 나아가, 제어부(15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표지병(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or processor 1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label bottle 100. Furthermore, in order to implement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on the smart lab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by combining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표지병은 비콘 모듈을 이용하여 인접 보행자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보행신호정보, 보행주의정보, 보행안내정보, 보행위치정보, 주행주의정보, 주행안내정보, 관광정보 및 지리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안내하도록 지원하는 스마트 표지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smart beac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beacon module to provide walking signal information, pedestrian caution information, walking guidance information, walking information, driving caution information, driving guidance information, and tourism to neighboring pedestrians or vehicle drivers. A smart marker function that support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and geographic information can be provid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부(210), 출력부(220), 입력부(230), 메모리(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4, a mobile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n output unit 220, an input unit 230, a memory 240, and a control unit 250. have.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무선 통신부(210)는,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무선 인터넷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210)는 스마트 표지병, 보행 신호등, 바닥 신호등, 인접 이동 단말기 및 서비스 제공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less Internet modu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provide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t least one of a smart marker, a pedestrian traffic light, a floor traffic light, an adjacent mobile terminal,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2G 내지 5G 기술 중 하나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타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one of 2G to 5G technologies),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Wideband CDMA (WCDMA), Base stations, other terminals, and servers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uilt according to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etc.) It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with at least one of them.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Wideband), ZigBee, NFC (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USB) technologies may be used to support short-range communication.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in or external to the mobile terminal.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Examples of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Fidelity),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etc.,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radio 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according to the Internet technology.

출력부(22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햅팁 모듈 및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220)는 스마트 표지병으로 접근하는 보행자와 관련된 다양한 알림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220)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보행자의 위치와 관련된 다양한 알림 정보들을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2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an audio output unit, a hap tip module, and a light output unit. The output unit 220 may output various notification signals related to a pedestrian approaching with a smart marker. In addition, the output unit 220 may output various no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pedestrian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디스플레이부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는 이동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는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in the mobile terminal, or UI (User Interface) and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such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The sound output unit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or stored in the memory 24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햅틱 모듈(haptic module)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광원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The haptic module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a tactile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may be vibration. The light output unit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using a light sourc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입력부(23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230 includes a camera or video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or an audio input unit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d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for example, a touch key). , Push key (mechanical key, etc.).

메모리(240)는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240)는 이동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메모리(240)는 스마트 표지병이 설치된 영역으로 접근하는 보행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표지병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24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The memory 24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by the mobile terminal, data f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commands. In this embodiment, the memory 240 may store a smart marker application for providing various services to pedestrians who access the area where the smart marker bottle is installed.

제어부(또는 프로세서, 250)는 이동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스마트 표지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스마트 표지병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더 나아가, 제어부(25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or processor 2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In addition, the controller 250 executes a smart label application stored in the memory 240 and controls an operation related to the smart label application. Furthermore, in order to implement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on the mobil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250 may control by combining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인접 스마트 표지병 및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단말기의 보행자에게 보행자 보호 서비스 및 보행자 알림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various services, such as a pedestrian protection service and a pedestrian notification service, to a pedestrian of a corresponding terminal by interworking with an adjacent smart sign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도 5는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와 인접 스마트 표지병 간의 연동을 통해 해당 보행자에게 안심 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safe home service to a corresponding pedestrian through interlocking between a pedestrian's mobile terminal and an adjacent smart marker.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보행자에게 안심 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하, 설명의 편의 상, '스마트 표지병 애플리케이션'이라 칭함)을 실행할 수 있다(S510). 상기 스마트 표지병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될 때까지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태로 실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mobile terminal 200 may execute an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smart marker applic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providing a safe home service to a pedestrian according to a user command or the like (S510). The smart label application may be executed in a background state until the application is terminated.

이러한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보행 중 미리 결정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보행자는 이동 단말기(200)를 흔들거나 특정 버튼을 눌러 보행자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S520). 이때, 상기 보행자 요청 신호는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주행 주의 요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특정 이벤트가 주변에 구조를 요청하는 이벤트인 경우, 상기 보행자 요청 신호는 구조 요청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특정 이벤트가 차량 운전자의 주의를 요청하는 이벤트인 경우, 상기 보행자 요청 신호는 주행 주의 요청 신호일 수 있다.When a predetermined specific event occurs while walking in such a background state, the pedestrian may input a pedestrian request signal by shaking the mobile terminal 200 or pressing a specific button (S520). In this case, the pedestrian request signal may include a rescue request signal or a driving attention request signal. For example, when the specific event is an event for requesting rescue in the vicinity, the pedestrian request signal may be a rescue request signal. Meanwhile, when the specific event is an event that requests attention of a vehicle driver, the pedestrian request signal may be a driving attention request signal.

이동 단말기(200)는 보행자로부터 입력된 보행자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점멸 제어 신호(또는 LED 제어 신호)를 해당 보행자와 인접한 제1 스마트 표지병(100_1)으로 전송할 수 있다(S530). 이러한 LED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1 스마트 표지병(100_1)은 하나 이상의 LED 소자들을 제어하여 일정 시간 주기로 점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540). 이에 따라, 상기 LED 소자들의 점멸 신호를 통해 주변 보행자들에게 해당 보행자가 위험에 처해 있다는 사실을 알리거나 혹은 차량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차량 속도를 감소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00 may transmit a predefined blinking control signal (or LED control signal) to the first smart marker 100_1 adjacent to the corresponding pedestrian in response to the pedestrian request signal input from the pedestrian (S530). Upon receiving the LED control signal, the first smart marker 100_1 may control one or more LED elements to perform a blink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S540). Accordingly, through the blinking signals of the LED elements, it is possible to inform nearby pedestrians that the corresponding pedestrian is in danger, or to call the vehicle driver's attention to induce a decrease in the vehicle speed.

한편, 제1 스마트 표지병(100_1)은 점멸 동작을 요구하는 미리 정의된 릴레이 신호를 자신과 인접한 제2 스마트 표지병(100_2)으로 전송할 수 있다(S550). 이때, 상기 릴레이 신호는 해당 신호를 전송하는 표지병(즉, 제1 스마트 표지병)의 장치 식별 정보와, 해당 신호가 전달되는 마지막 표지병의 장치 식별 정보와, 점멸 요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릴레이 신호는 최초 점멸 동작이 수행되는 시작 표지병의 장치 식별 정보와, 마지막 점멸 동작이 수행되는 종료 표지병의 장치 식별 정보와, 점멸 요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smart marker 100_1 may transmit a predefined relay signal requesting a blinking operation to the second smart marker 100_2 adjacent to itself (S550). In this case, the relay signal may includ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label bottle (ie, the first smart label bottle)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signal,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last label bottle to which the signal is transmitted, and a blink request signal. Meanwhile, as another example, the relay signal may includ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tart label on which the first blinking operation is performed,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end label on which the last blink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a blink request signal.

이러한 릴레이 신호를 수신한 제2 스마트 표지병(100_2)은 제1 스마트 표지병(100_1)과 동일한 방식으로 LED 소자들을 제어하여 일정 시간 주기로 점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560). 마찬가지로, 제2 스마트 표지병(100_2)은 동일한 릴레이 신호를 그 인접 스마트 표지병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릴레이 신호 전달 과정은 마지막 수신 장치로 설정된 스마트 표지병에 해당 릴레이 신호가 도착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보행자와 가장 가까운 스마트 표지병뿐만 아니라 해당 보행자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스마트 표지병들이 순차적으로 점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smart marker 100_2 receiving such a relay signal may perform a blink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by controlling the LED elements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mart marker 100_1 (S560). Likewise, the second smart marker 100_2 may transmit the same relay signal to the adjacent smart marker. This relay signal transmission process may continue until the corresponding relay signal arrives at the smart label set as the last receiving devi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ntrol not only the smart markers closest to the corresponding pedestrian, but also the smart markers existing within a certain range from the corresponding pedestrian to sequentially perform a blinking operation.

도 6은 스마트 표지병과 이동 단말기와 서비스 제공 서버 간의 연동을 통해 보행자 보호 서비스를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referenced to explain a method of providing a pedestrian protection service to a visually impaired person through interworking between a smart marker and a mobile terminal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100_1~100_4), 보행자(가령, 시각 장애인)의 이동 단말기(200),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보행 신호등(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6, a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mart markers (100_1 to 100_4), a mobile terminal 200 of a pedestrian (for example, a visually impaired person), a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 walking system. It may include a traffic light 400 and the like.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100_1~100_4)은 횡단보도의 인접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100_1~100_4)은 횡단보도 앞 보행자 대기 영역(500)의 모서리 부분에 매립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plurality of smart marker bottles 100_1 to 100_4 may be installed in an adjacent area of the crosswalk.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plurality of smart marker bottles 100_1 to 100_4 may be buried in a corner portion of the pedestrian waiting area 500 in front of a pedestrian cross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각각의 스마트 표지병(100_1~100_4)은 경관 조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발광 모듈(미도시)과 디지털 이정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비콘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콘 모듈은 스마트 표지병의 장치 식별 정보(즉, 디바이스 ID 정보), 스마트 표지병의 위치 정보 및 서버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컨 신호를 생성하여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Each of the smart marker bottles 100_1 to 100_4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module (not shown) for providing a landscape lighting function and a beacon module (not shown) for providing a digital milestone function. The beacon module may generate and periodically transmit a beacon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e, device ID information) of the smart labe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label, and server address information.

이동 단말기(200)는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100_1~100_4)이 설치된 영역으로 접근하는 보행자에게 소정의 보행자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표지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200 may execute a smart marker application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pedestrian protection service to a pedestrian approaching an area where a plurality of smart marker bottles 100_1 to 100_4 are installed according to a user command or the like.

이동 단말기(200)는 횡단보도의 인접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100_1~100_4)으로부터 전송 받은 비컨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보행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200 may detect a current position of a pedestrian based on at least one of beacon signal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smart markers 100_1 to 100_4 installed in an adjacent area of a crosswalk.

일 예로, 이동 단말기(200)는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보행자가 횡단보도 앞에 위치하는 보행자 대기 영역(500)으로 이동하는 경우, 해당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200)는 제1 스마트 표지병(100_1)에서 전송하는 제1 비컨 신호, 제2 스마트 표지병(100_2)에서 전송하는 제2 비컨 신호, 제3 스마트 표지병(100_3)에서 전송하는 제3 비컨 신호, 제4 스마트 표지병(100_4)에서 전송하는 제4 비컨 신호 중 적어도 3개 이상의 비컨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이동 단말기(200)는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100_1~100_4)으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3개의 비컨 신호들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보행자가 보행자 대기 영역(500) 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200 may detect the current position of a pedestrian using a triangulation method. For example, when a pedestrian moves to the pedestrian waiting area 500 located in front of the crosswalk, the pedestrian's mobile terminal 200 transmits a first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smart marker 100_1 and a second smart marker 100_2. ), the third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hird smart marker 100_3, and the fourth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ourth smart marker 100_4. . Thereafter, the mobile terminal 200 can accurately detec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edestrian by using at least three beacon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mart beacons 100_1 to 100_4, and based on this, the pedestrian is the pedestrian waiting area 500 It is possible to check in real time whether or not it enters the interior.

한편, 다른 실시 예로, 이동 단말기(200)는 수신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보행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보행자가 횡단보도 앞에 위치하는 보행자 대기 영역(500)으로 이동하는 경우, 해당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200)는 제1 스마트 표지병(100_1)에서 전송하는 제1 비컨 신호, 제2 스마트 표지병(100_2)에서 전송하는 제2 비컨 신호, 제3 스마트 표지병(100_3)에서 전송하는 제3 비컨 신호, 제4 스마트 표지병(100_4)에서 전송하는 제4 비컨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비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이동 단말기(200)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표지병으로부터 수신된 비컨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세기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현재 위치를 예측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보행자가 보행자 대기 영역(500) 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00 may detect the current position of a pedestrian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For example, when a pedestrian moves to the pedestrian waiting area 500 located in front of the crosswalk, the pedestrian's mobile terminal 200 transmits a first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smart marker 100_1 and a second smart marker 100_2. ), the third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hird smart marker 100_3, and the fourth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ourth smart marker 100_4 may be received. Thereafter, the mobile terminal 200 may measure the strength of the beacon signal received from at least one smart marker, and use the measured strength to predic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edestrian, and based on this, the pedestrian may use the pedestrian waiting area 500 ), you can check in real time whether or not you enter.

보행자가 보행자 대기 영역(500) 내로 진입한 경우, 이동 단말기(200)는 보행자가 보행자 대기 영역(500) 내로 진입하였음을 지시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보행자가 보행자 대기 영역(500) 내로 진입하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200)는 보행자가 보행자 대기 영역(500)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When a pedestrian enters the pedestrian waiting area 500, the mobile terminal 200 may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pedestrian has entered the pedestrian waiting area 500. Meanwhile, when the pedestrian does not enter the pedestrian waiting area 500, the mobile terminal 200 may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to induce the pedestrian to move to the pedestrian waiting area 500.

또한, 이동 단말기(200)는 횡단보도의 인접 영역에 설치된 보행 신호등(400)으로부터 보행신호정보를 포함하는 비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행신호정보는 대기 잔여시간 정보 및 보행 잔여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횡단보도 주변에 위치하는 보행 신호등의 비컨 신호와 스마트 표지병들의 비컨 신호들은 동일한 그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200 may receive a beacon signal including walking signal information from a walking traffic light 400 install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crosswalk. In this case, the walking signal information may include waiting remaining time information and walking remaining time information. In addition, beacon signals of pedestrian traffic lights located around a specific crosswalk and beacon signals of smart markers may include the same group information.

보행자가 보행자 대기 영역(500) 내로 진입한 경우, 이동 단말기(200)는 인접 보행 신호등(400)으로부터 수신된 보행신호정보를 보행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When a pedestrian enters into the pedestrian waiting area 500, the mobile terminal 200 may provide walking sig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adjacent pedestrian traffic light 400 to the pedestrian in real time.

한편, 이동 단말기(200)는 미리 결정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여,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100_1~100_4)으로부터 수신된 비컨 신호들에 포함된 정보(즉, 위치 정보 및 장치 식별 정보)와 보행 신호등(400)으로부터 수신된 비컨 신호에 포함된 정보(즉, 보행신호정보) 등을 해당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200 accesses the predetermined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includes information (ie, location information and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mart beacons 100_1 to 100_4. Information (ie, walking sig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received from the pedestrian traffic light 400 may be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이동 단말기(200)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보행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가령, 보행자의 보행 안내 및 안전과 관련된 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200)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알림 정보를 보행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00 may receive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edestrian (eg, pedestrian walking guide and safety related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200 may provid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o the pedestrian in real time.

도 7은 스마트 표지병과 이동 단말기와 서비스 제공 서버 간의 연동을 통해 보행자 알림 서비스를 관광객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referenced to explain a method of providing a pedestrian notification service to tourists through interworking between a smart marker bottle and a mobile terminal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100_1~100_4), 보행자(가령, 관광객)의 이동 단말기(200) 및 서비스 제공 서버(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mart marker bottles 100_1 to 100_4, a mobile terminal 200 for pedestrians (eg, tourists),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an do.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100_1~100_4)은 관광명소, 공공장소 또는 문화재 등의 인접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100_1~100_4)은 문화재 또는 관람 시설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보행자 관람 영역(600)의 모서리 부분에 매립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plurality of smart marker bottles 100_1 to 100_4 may be installed in an adjacent area such as a tourist attraction, a public place, or a cultural property. As an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lurality of smart marker bottles 100_1 to 100_4 may be buried in a corner portion of the pedestrian viewing area 600 separated by a certain distance from a cultural property or viewing facilit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각각의 스마트 표지병(100_1~100_4)은 경관 조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발광 모듈(미도시)과 디지털 이정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비콘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콘 모듈은 스마트 표지병의 장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및 서버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컨 신호를 생성하여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Each of the smart marker bottles 100_1 to 100_4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module (not shown) for providing a landscape lighting function and a beacon module (not shown) for providing a digital milestone function. The beacon module may generate and periodically transmit a beacon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server address information of the smart label.

이동 단말기(200)는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100_1~100_4)이 설치된 영역으로 접근하는 보행자에게 소정의 보행자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표지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00 may execute a smart marker application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pedestrian notification service to a pedestrian approaching an area where a plurality of smart marker bottles 100_1 to 100_4 are installed according to a user command or the like.

이동 단말기(200)는 관광명소 또는 문화재의 인접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100_1~100_4)으로부터 전송 받은 비컨 신호들을 기반으로 보행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00 may detect a current location of a pedestrian based on beacon signal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smart markers 100_1 to 100_4 installed in an area adjacent to a tourist attraction or cultural property.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200 may accurately detect the current position of a pedestrian using a triangulation method.

보행자의 위치 검출 결과, 해당 보행자가 보행자 관람 영역(600) 내로 진입한 경우, 이동 단말기(200)는 보행자가 보행자 관람 영역(600) 내로 진입하였음을 지시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보행자가 보행자 관람 영역(600) 내로 진입하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200)는 보행자가 보행자 관람 영역(600)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s a result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when the corresponding pedestrian enters into the pedestrian viewing area 600, the mobile terminal 200 may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pedestrian has entered the pedestrian viewing area 600. Meanwhile, when the pedestrian does not enter the pedestrian viewing area 600, the mobile terminal 200 may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to induce the pedestrian to move to the pedestrian viewing area 600.

이동 단말기(200)는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100_1~100_4)으로부터 수신된 비컨 신호들에 포함된 정보(즉, 위치 정보 및 장치 식별 정보)와 이동 단말기(200)에 설정된 사용자 언어 정보 등을 미리 결정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200 determines information (ie, location information and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mart markers 100_1 to 100_4 and user language information set in the mobile terminal 200 in advance. It can be provided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100_1~100_4)의 위치 정보 및 장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보행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행자의 위치와 관련된 다양한 알림 서비스(가령, 이정표 서비스, 길 안내 서비스, 지리정보 서비스 등)를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다국어 지원 서비스가 가능한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여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200)에 설정된 사용자 언어에 대응하는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다국어 지원 서비스는 해당 지역을 처음 방문하는 외국인에게 특히 유용하다.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detects the current position of a pedestria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mart marker bottles 100_1 to 100_4, and various notification services related to the detected pedestrian's location (for example, a milestone service). , Road guidance service,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etc.) can b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of the pedestrian. In this case,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provide a notification service corresponding to a user language set in the pedestrian's mobile terminal 200 by constructing a database (DB) capable of supporting multilingual services. This multilingual support service is especially useful for foreigners visiting the area for the first time.

이동 단말기(200)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보행자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알림 정보들(가령, 관광지 정보, 문화재 정보, 지리 정보, 관공서 정보, 주변 맛 집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200)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알림 정보를 해당 보행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00 may receive no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edestrian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eg, tourist destination information,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geographic information, government office information, surrounding restaurant information, etc.).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200 may provid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o the corresponding pedestrian in real tim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하나 이상의 스마트 표지병이 설치된 영역으로 접근하는 보행자에게 보행자 보호 서비스 또는 보행자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표지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810).Referring to FIG. 8, the mobile terminal 200 may execute a smart marker application for providing a pedestrian protection service or a pedestrian notification service to a pedestrian approaching an area in which one or more smart markers are installed according to a user command or the like (S810). ).

보행자가 표지병 설치 영역(가령, 보행자 대기 영역 또는 보행자 관람 영역 등)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200)는 해당 표지병 설치 영역에 존재하는 스마트 표지병들(100)로부터 비컨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S820). 이때, 각각의 비컨 신호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 표지병(100)에 설치된 비콘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장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When a pedestrian moves to a marker installation area (for example, a pedestrian waiting area or a pedestrian viewing area), the mobile terminal 200 may receive beacon signals from the smart markers 100 existing in the corresponding marker installation area ( S820). In this case, each beacon signal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and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terminal installed on one or more smart markers 100.

하나 이상의 스마트 표지병(10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비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컨 신호들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S830). 일 예로, 이동 단말기(200)는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들(100)으로부터 각각 수신된 적어도 3개의 비컨 신호들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When receiving at least one beacon signal from one or more smart markers 100, the mobile terminal 200 may detec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edestrian using the at least one beacon signal (S830).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200 may accurately detect the current position of a pedestrian by using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at least three beacon signals each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mart markers 100 and a triangulation method.

이동 단말기(200)는 보행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보행자가 표지병 설치 영역 내로 진입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보행자가 표지병 설치 영역 내로 진입한 경우, 이동 단말기(200)는 미리 결정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200)는 인접 스마트 표지병으로부터 수신된 비컨 신호들에 포함된 위치 정보 및 장치 식별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840). 또한, 이동 단말기(200)는 현재 자신의 운영 체제(OS)에서 단말 사용자에게 지원하고 있는 언어 정보(즉, 휴대폰에 기 설정된 사용자 언어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00 may check whether the corresponding pedestrian enters the area where the marker is install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destrian.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when the pedestrian enters the area where the marker is installed, the mobile terminal 200 may access a predetermined service providing server.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200 may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and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beacon signals received from adjacent smart beacons to a service providing server (S840).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200 may transmit language information (ie, user language information preset in the mobile phone) that is currently supported by its operating system (OS) to the terminal user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이동 단말기(200)는 보행자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알림 정보들(가령, 이정표 정보, 관공서/공공기관 정보, 관광지 정보, 맛 집 정보, 지도 정보, 지리 정보 등)을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850). 이때,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자신의 운영 체제에서 지원하고 있는 사용자 언어의 종류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들을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00 may receive no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edestrian (eg, milestone information, government office/public institution information, tourist destination information, taste house information, map information, geographic information, etc.) from a service providing server. (S850).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200 may receive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user language supported by its operating system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이동 단말기(200)는 보행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또는 알람 신호)를 해당 보행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S860). 이때, 상기 알림 신호는 보행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 청각적 알림 신호, 시각적 알림 신호 및 촉각적 알림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00 may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or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edestrian to the corresponding pedestrian (S860). In this case, the notification signal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n audible notification signal, a visual notification signal, and a tactile notification signal in order to call the pedestrian's attention.

일 예로, 이동 단말기(200)는 대기 잔여시간 정보 및 보행 잔여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는 보행신호정보를 보행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200)는 이정표 정보, 관공서/공공기관 정보, 관광지 정보, 맛 집 정보, 지도 정보, 지리 정보 등을 포함하는 보행위치정보를 보행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200)는 보행자(가령, 시각 장애인)로 하여금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도록 보행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보행안내정보를 해당 보행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200 may provide walking signal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remaining waiting time and remaining walking time to a pedestrian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200 may provide pedestrians with information about walking behavior, including milestone information, government office/public institution information, tourist destination information, taste house information, map information,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like to pedestrians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200 may provide, in real time, walking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walking path so that a pedestrian (eg, a visually impaired) can safely pass a crosswalk.

한편, 도면에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이동 단말기(200)는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된 안전시설 장치와 연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200)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소정의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의 안전시설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시설 장치로는 시선 유도등, 예비 신호등, 투광등, 횡단보도의 차선위반을 감시하는 카메라, 및 촬영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obile terminal 20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interworking with a safety facility device installed around a crosswalk and transmit it to the corresponding device. That is, the mobile terminal 200 not only can output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signal for the safety of pedestrians, but can also control surrounding safety facility devices. In this case, the safety facility device includes a gaze guide light, a spare traffic light, a floodlight, a camera for monitoring lane violations of a crosswalk, and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 photographed im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동 단말기(200)는, 현재 실행 중인 스마트 표지병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될 때까지, 상술한 820 단계 내지 860 단계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S870).The mobile terminal 200 may repeatedly perform the operations of steps 820 to 860 until the currently running smart label application is terminated (S870).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 표지병으로부터 수신된 비컨 신호들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알람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에 몰입하여 횡단보도를 진입하는 보행자들을 교통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 표지병으로부터 수신된 비컨 신호들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알람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시각 장애인 또는 외국인들이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시각 장애인 또는 외국인들의 디지털 이정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edestrian using beacon signals received from one or more smart beacons, thereby immersing in the mobile terminal and entering the pedestrian crossing. It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traffic accidents.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outputs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edestrian using beacon signals received from one or more smart beacons,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or foreigners can safely reach their destination from their current location. Digital milestone function can be performed.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s well as equivalents to the claims.

100: 스마트 표지병 110: 비콘 모듈
120: 솔라 모듈 130: 배터리
140: 발광 모듈 150: 제어부
200: 이동 단말기 300: 서비스 제공 서버
400: 보행 신호등
100: smart marker 110: beacon module
120: solar module 130: battery
140: light-emitting module 150: control unit
200: mobile terminal 300: service providing server
400: pedestrian traffic light

Claims (13)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보행자로부터 기 설정된 제스쳐 입력에 대응하는 보행자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보행자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점멸 제어 신호를 상기 보행자와 인접한 스마트 표지병으로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점멸 제어 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LED 소자들을 제어하여 일정 시간 주기로 점멸 동작을 수행하는 스마트 표지병을 포함하는 보행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mobile terminal receiving a pedestrian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set gesture input from a pedestrian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and transmitting a predefined blink control signal to a smart marker adjacent to the pedestrian in response to the received pedestrian request signal; And
Pedestrian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smart beacon for performing a blink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by controlling one or more LED elements according to the blinking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 요청 신호는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주행 주의 요청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edestrian request signal is a pedestrian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cue request signal or a driving attention request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표지병은 점멸 동작을 요구하는 릴레이 신호를 인접 스마트 표지병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mart beacon is a pedestrian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ing a relay signal requesting the blinking operation to the adjacent smart beac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신호는, 최초 점멸 동작이 수행되는 시작 표지병의 장치 식별 정보와 마지막 점멸 동작이 수행되는 종료 표지병의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relay signal, a pedestrian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tart marker on which an initial flash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end marker on which a last flashing operation is performed.
미리 결정된 보행 지역에 매립되어, 비컨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들; 및
상기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들로부터 수신된 비컨 신호들을 기반으로 보행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보행자가 상기 보행 지역 내로 진입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보행자가 상기 보행 지역 내로 진입한 경우, 미리 결정된 보행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보행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plurality of smart markers buried in a predetermined walking area and periodically transmitting a beacon signal; And
Based on the beacon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mart marker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destrian is detected, based on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it is checked whether the pedestrian enters the pedestrian area, and the pedestrian enters the pedestrian area. In this case, a pedestrian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mobile terminal that provides a predetermined pedestrian ser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 신호는 각 스마트 표지병의 장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및 서버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beacon signal includes at least one of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server address information of each smart beac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보행자 서비스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행자 보호 서비스 또는 관광객을 위한 보행자 알림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predetermined pedestrian service is a pedestrian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edestrian protection ser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or a pedestrian notification service for tourist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보행 지역은, 횡단 보도에 인접한 보행자 대기 영역 또는 문화재/관광시설에 인접한 보행자 관람 영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predetermined walking area is a pedestrian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edestrian waiting area adjacent to a crosswalk or a pedestrian viewing area adjacent to a cultural property/tourist facilit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보행자가 상기 보행 지역 내로 진입하였음을 지시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mobile terminal outputs a no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pedestrian has entered the pedestrian are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들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3개 이상의 비컨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보행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mobile terminal detects the location of the pedestrian using at least three or more beacon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mart marker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미리 결정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보행자의 위치와 관련된 알림 정보를 해당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mobile terminal accesses a predetermined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receives no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pedestrian from a corresponding serv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비컨 신호들에 포함된 정보와, 현재 운영 체제(OS)에서 지원하고 있는 사용자 언어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s and user language information currently supported by an operating system (OS)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특정 보행 지역으로 접근하는 보행자에게 미리 결정된 보행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표지병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상기 특정 보행 지역에 매립된 복수의 스마트 표지병들로부터 복수의 비컨 신호들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복수의 비컨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보행자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보행자가 상기 특정 보행 지역 내로 진입한 경우, 미리 결정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보행자의 위치와 관련된 알림 정보를 해당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알림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A memory for storing a smart marker application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pedestrian service to a pedestrian approaching a specific pedestrian area;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beacon signals from a plurality of smart markers buried in the specific walking area when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memory is executed;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pedestrian using the plurality of beacon signals, and when the pedestrian enters the specific walking area, accessing a predetermined service providing server to receive no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pedestrian from the server A control unit; And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inclu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KR1020200020360A 2019-11-15 2020-02-19 Smart pavement marker and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246070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46663 2019-11-15
KR1020190146663 2019-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583A true KR20210059583A (en) 2021-05-25
KR102460709B1 KR102460709B1 (en) 2022-10-31

Family

ID=7614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360A KR102460709B1 (en) 2019-11-15 2020-02-19 Smart pavement marker and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70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5134A1 (en) 2021-05-07 2022-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Cross-linked structure-containing olefin polymer porous support, cross-linked structure-containing separa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same separator
EP4310451A1 (en) * 2022-07-19 2024-01-24 Mobiligent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navigation service for car, personal mobility vehicle and pedestria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1486A (en) * 2007-09-22 2009-03-26 전자부품연구원 Apparatus, system and methdod for showing the traffic emergency using sensor network
KR20110089688A (en) * 2010-02-01 2011-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ents genera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20130115040A (en) * 2012-04-10 2013-10-21 주식회사 온비트 Traffic light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59194A (en) *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퀀텀게이트 The pedestrian warning system generating visual alerts based on the distance of the adjacent roadway
KR102021435B1 (en) * 2018-10-26 2019-09-18 주식회사 아낌없이주는나무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Linked To Guide Sig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1486A (en) * 2007-09-22 2009-03-26 전자부품연구원 Apparatus, system and methdod for showing the traffic emergency using sensor network
KR20110089688A (en) * 2010-02-01 2011-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ents genera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20130115040A (en) * 2012-04-10 2013-10-21 주식회사 온비트 Traffic light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59194A (en) *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퀀텀게이트 The pedestrian warning system generating visual alerts based on the distance of the adjacent roadway
KR102021435B1 (en) * 2018-10-26 2019-09-18 주식회사 아낌없이주는나무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Linked To Guide Sig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5134A1 (en) 2021-05-07 2022-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Cross-linked structure-containing olefin polymer porous support, cross-linked structure-containing separa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same separator
EP4310451A1 (en) * 2022-07-19 2024-01-24 Mobiligent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navigation service for car, personal mobility vehicle and pedestri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709B1 (en)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6028C2 (en) Street navigation system using infrastructure elements
US10441494B2 (en) Route guid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ly impaired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nside subway station
KR102460709B1 (en) Smart pavement marker and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708120B1 (en) Alert notification system for pedestrian based bluetooth low energy, and thereof service method
Castillo-Cara et al. Ray: Smart indoor/outdoor routes for the blind using Bluetooth 4.0 BLE
JP2007257463A (en) Directional voice guide system and directional voice guide method
CA3045435A1 (en) Pedestrian protect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25617B1 (en) System for providing signal waiting tim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87010B1 (en) Light emitting sidewalk control apparatus based internet of things and method thereof
WO2015001677A1 (en) Safety assistance system and safety assistance device
KR102066065B1 (en) Smart traffic ligh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13172516A1 (en) Sound signal system for a blind person using gps and a smart phone application
KR20190109801A (en) A smart raised pavement marker and perration method thereof
KR101330622B1 (en) Sound guide system for the blind with gps and smartphone application
KR101789434B1 (en) System for safty management and mothed using the same
US11364942B2 (en) Stop announc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170031942A (en) System for securing a route for emergency vehicles And Control method
KR102197259B1 (en) Traffic Light Information System
KR101519418B1 (en) Location Based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KR2006009232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traffic information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230023981A (en) System and Method For Safety Traffic Light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KR20140026051A (en) System of utiliz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nfc and method of utiliz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nfc
KR20220109721A (en) Smart traffic signal control system
KR20200130794A (en) Smart block guide system
KR102457278B1 (en) Notification 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pedestrian crossing signals for the visually impair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