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120B1 - Alert notification system for pedestrian based bluetooth low energy, and thereof service method - Google Patents

Alert notification system for pedestrian based bluetooth low energy, and thereof servic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120B1
KR101708120B1 KR1020150107010A KR20150107010A KR101708120B1 KR 101708120 B1 KR101708120 B1 KR 101708120B1 KR 1020150107010 A KR1020150107010 A KR 1020150107010A KR 20150107010 A KR20150107010 A KR 20150107010A KR 101708120 B1 KR101708120 B1 KR 101708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information
beacon
mobile device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0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15584A (en
Inventor
신동렬
남춘성
신현호
정현희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07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120B1/en
Publication of KR20170015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5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1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91Housing and user interface of child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G08B5/226Display details with alphanumeric or graphic display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보행자 위험 경보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GPS 데이터를 수신받아 자신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된 경고지역(Alert area)에 포함되는 경우, 내장된 비콘(Beacon)장치를 통해 경고 메시지의 비콘신호를 주기적으로 방출(broadcast)하는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 및 비콘(Beacon)장치가 장착되어 차량에 구비되는 단말로, 상기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비콘신호를 수신받는 경우, 안전운전 경고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용 비콘 단말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보행자 위험지역에 있는 경우, 주변 차량들에게 안전운전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운전자에게 위험지역임을 환기시킴으로써 보행자 안전을 높이고, 안전운전을 유도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보행자 위험 경보 시스템 및 그 서비서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power Bluetooth-based pedestrian risk warning system and a service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w-power Bluetooth-based pedestrian risk warning system and a service method thereof that receives GPS data and periodically acquires its own position information, A mobile device for a pedestrian that periodically broadcasts a beacon signal of a warning message through an embedded beacon device; And a beacon terminal mounted on the vehicle with a beacon device mounted thereon for displaying the safe driving warning information when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edestrian mobil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low-power Bluetooth-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send a safe driving warning message to nearby vehicles when a pedestrian is in a dangerous area and can prevent an accident by inducing safe driving by raising a pedestrians' Pedestrian risk warning system and its service method.

Figure 112015073631459-pat00001
Figure 112015073631459-pat00001

Description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보행자 위험 경보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ALERT NOTIFICATION SYSTEM FOR PEDESTRIAN BASED BLUETOOTH LOW ENERGY, AND THEREOF SERVICE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power Bluetooth-based pedestrian danger warning system, and a service method thereof.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본 발명은 보행자 위험 경보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자 위험지역에서 주변 차량들에게 안전운전 경고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보행자 안전성을 높이고 차량들에게 안전운전 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보행자 위험 경보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risk warning system and a service method thereof.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risk warning system and a service method thereof, A low-power Bluetooth-based pedestrian risk warning system and its service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accidents.

최근, 생활환경이 전반적으로 윤택해지면서, 차량의 보급대수 또한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어떻게 하면 TNA(Traffic accident Notice Area)(예컨대, 횡단보도 설치지역) 주변에서 발생하는 각종 교통사고를 효율적으로 줄일 것인가>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living environment has been generally improved, the number of vehicles to be supplied has been greatly increased. Accordingly, the traffic accident notice area (TNA) (for example, a pedestrian crossing area) The question of how to effectively reduce accidents is emerging as a very important social issue.

종래의 경우, 교통관리기관(경찰기관, 교통시설관리기관, 행정기관 등) 측에서는 상술한 사회적 이슈를 고려하여, 각 TNA 주변에 보행자용 신호등 및 운전자용 신호등을 추가 설치하고, 이를 통해, 보행자 및 운전자 각각에게 예컨대, <적색 신호등이 점등될 때에는 보행 또는 주행을 멈추고, 녹색 신호등이 점등될 때에만, 보행 또는 주행을 시행하라>라고 하는 일련의 통행규칙을 부여함으로써, TNA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교통사고를 미리 차단시키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cas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social issues, the traffic management institutions (police agencies, traffic facility management institutions, administrative agencies, etc.) additionally install pedestrian traffic lights and driver traffic lights around each TNA, By giving each of the drivers a series of traffic rules such as &quot; when the red traffic light is lit, stopping or running and stopping or running only when the green traffic light is lit &quot; The accident is blocked in advance.

그러나, 이러한 보행자용 신호등 및 운전자용 신호등이 갖추어진 상황에서도, 여러 가지 예상치 못한 상황, 예를 들어, 보행자(특히, 어린이나 노약자)가 녹색 신호등의 점등 또는 적색 신호등의 점등 사실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거나, 운전자가 운전자용 신호등의 점멸 사실을 아예 무시하는 위법상황이 발생할 경우, 해당 보행자 또는 운전자 측에서는 각 신호등의 정상적인 설치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교통사고에 고스란히 노출될 수밖에 없게 된다.However, even in situations where these pedestrian traffic lights and driver's traffic lights are equipped, various unexpected situations such as pedestrians (especially young children or elderly persons) may not be able to recognize the fact that the green traffic lights or the red traffic lights are lit Or the driver ignores the blinking of the traffic lights for the driver, the pedestrian or the driver must be exposed to serious traffic accidents despite the normal installation of the traffic lights.

물론, 신호등의 점등 사실, 차량(운전자)의 신호위반 진행사실, 보행자의 무단 통행사실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를 당사자(보행자, 운전자), 또는, 외부의 교통관리기관 측에 적극적으로 통지해줄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이러한 교통사고의 발생은 큰 폭으로 줄어들 수 있겠지만, 종래의 경우, TNA 주변에는 단지, 녹색 등의 멸등 예정시간을 보행자 측에 알려주어, 보행자의 보행을 재촉하는 정도의 장치만이 보조적으로 설치·제공되었기 때문에, 교통관리기관 측에서는 TNA 주변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획기적으로 억제시키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Of course, it senses in real time the fact that the traffic lights are turned on, the fact that the vehicle (driver) is in violation of the traffic signal, and the fact that the pedestrian is unauthorized traffic, and actively notifies the parties (pedestrian, driver)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se, it is necessary to inform the pedestrian side of the estimated time of extinction of green or the like in the vicinity of the TNA, Since only the device was installed and provided as a supplementary device, the traffic management agency had to face many difficulties in drastically suppressing traffic accidents that occurred in the vicinity of TNA.

한편, 이와 같은 보다 정확하고 빠른 교통상황 정보의 공유에 대한 기술적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 VANETs(Vehicular Ad-hoc Networks: 이하 'VANETs'라 한다.)가 대두되고 있다. VANETs는 크게 두 가지 통신으로 나뉘는데, 첫 번째는 차량 대 차량간(Vehicle to Vehicle: 이하 "V2V"라 한다.) 통신이다. V2V는 차량과 차량간 통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V2V를 통해 차량의 운전자는 실시간으로 보다 직접적이고 많은 교통상황 정보를 확인하고 방어운전 또는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두 번째는 차량 대 인프라간(Vehicle to Infrastructure: 이하 "V2I" 라 한다.) 통신으로, V2I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차량이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거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그리고 보행자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VANETs 애플리케이션 또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Meanwhile, VANETs (Vehicular Ad-hoc Networks, hereinafter referred to as "VANETs") are emerging in order to improve technical limitations on the sharing of more accurate and rapid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VANET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of communications, the first being Vehicle to Vehicle (V2V) communication. V2V means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Through V2V,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see more direct and more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induce him to perform defensive driving or safe driving. The second is a vehicle-to-infrastructure (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communication, which connects to the Internet via V2I to acquire the desired information or receive data for convenience. to provide. VANETs applications to increase the safety of pedestrians have also been studied.

그러나, 위와 같은 VANETs은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를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보행자로부터의 사고에 대한 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고, 특히, 위험지역 및 사고다발구역에서의 보행자에 대한 위치정보 등의 사고예방을 위한 정보를 차량이 획득할 수 없기 때문에, 정보의 제한된 공유로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기술로서 다소 미흡한점이 있다. However, since such VANETs can not track user's location data, they are not prepared for accidents from pedestrians. Especially, accident preven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on pedestrians in dangerous area The vehicle can not acquire the information for the vehicl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somewhat insufficient as a technique for inducing safe driving with a limited sharing of information.

따라서 실시간으로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챠량 및 보행자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사고 위험지역 또는 사고다발 구역 근처에서 주행하는 차량들이 보행자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전운전을 유도하고 보행자도 주의를 환기시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보행자 위험 경보 시스템 및 그 서비스가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more accurately and quickly share information about traffic volume and pedestrians in real time, vehicles traveling in an accident hazard area or an accident lot area can receive pedestrian information, thereby inducing safe driving, A pedestrian risk warning system and its service are needed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by ventila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8878호(공개일자: 2007년08월30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88878 (Published Date: August 30, 200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6978호(등록일자: 2010년05월03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56978 (Registered Date: May 03, 2010)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보행자 위험 경보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The low-power Bluetooth based pedestrian risk warning system and the service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보행자 위험을 환기시켜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a service method for inducing safe driving by ventilating a pedestrian risk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둘째,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 및 보행자 모두에게 보행자 위험지역에 위치하고 있음을 환기시키고 안전운전 및 안전보행을 유도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a service method for preventing both a driver and a pedestrian from being involved in a pedestrian-dangerous area and inducing safe driving and safe walking, thereby preventing a traffic accident.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GPS 데이터를 수신받아 자신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된 경고지역(Alert area)에 포함되는 경우, 내장된 비콘(Beacon)장치를 통해 경고 메시지의 비콘신호를 주기적으로 방출(broadcast)하는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 및 비콘(Beacon)장치가 장착되어 차량에 구비되는 단말로, 상기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비콘신호를 수신받는 경우, 안전운전 경고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용 비콘 단말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PS receiver that receives GPS data and periodically acquire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GPS receiver, and when the acquired posi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alert area, A mobile device for a pedestrian that periodically broadcasts a beacon signal of a warning message through a beacon device; And a beacon terminal mounted on the vehicle with a beacon device mounted thereon for displaying the safe driving warning information when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edestrian mobile device.

여기서, 상기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는, 휴대폰, 테블릿 PC 및 PDA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경고지역(Alert Area)은, 교차로, 횡단보도 및 미리 설정된 사고다발구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차량용 비콘 단말은, 내비게이션 전용 단말, 스마트 폰 및 차량 컴퓨터 단말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edestrian mobile device is any one of a mobile phone, a tablet PC, and a PDA, and the alert area is set to at least one of an intersection, a pedestrian cross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vehicle beacon terminal is any one of a navigation dedicated terminal, a smart phone, and a vehicle computer terminal.

또한, 상기 안전운전 경고정보는, 음성정보, 영상정보 및 진동정보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afe driving warn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oice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vibration inform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비콘(Beacon)장치를 구비하는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와 차량용 비콘 단말로 구성된 보행자 위험 경보 시스템을 이용하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에서 주기적으로 GPS 데이터를 수신받아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가 획득된 상기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경고지역(Alert area)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가 상기 경고지역에 포함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의 비콘신호를 주기적으로 방출(broadcast)하는 단계; 및 (d) 상기 비콘 단말이 방출된 상기 비콘신호를 수신받는 경우, 안전운전 경고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rvice method using a pedestrian risk alarm system comprising a mobile device for a pedestrian equipped with a beacon device and a car beac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And acquir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al information obtained by the mobile device for a pedestrian is included in a preset alert area; (c) periodically broadcasting a beacon signal of a warning mess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device for a pedestrian is included in the warning area; And (d) when the beacon terminal receives the beacon signal, displaying the safe driving warning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a) 단계는,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에서 주기적으로 GPS 수신장치를 통해 GPS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가 수신받은 GPS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맵 정보와 매칭시켜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경고지역(Alert Area)은, 교차로, 횡단보도 및 미리 설정된 사고다발구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ep (a), the mobile device for pedestrians periodically receives GPS data periodically via the GPS receiving device; And acquiring positional information by matching the GPS data received by the mobile device for pedestrians with previously stored map information, wherein the predetermined alert area includes an intersection, a pedestrian crossing, It is preferable to set at least one of the accident-frequent zones.

또한, 상기 안전운전 경고정보의 표시는, 상기 비콘 단말을 통하여 음성정보, 영상정보 및 진동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안전운전 경고정보의 표시는, 비콘 단말에 표시되는 내비게이션 정보에 부가되어, 음성정보, 영상정보 및 진동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fe driving warning information is displayed by at least one of audio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vib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beacon terminal, and the safe driving warning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beacon terminal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information in at least one of the audio information,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vibr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navigation information.

더하여,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비콘 단말이 방출된 상기 비콘신호를 수신받는 경우, 안전운전 경고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d2) 상기 비콘 단말이 상기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로 안전보행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가 획득한 상기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경고지역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비콘장치를 활성화하는 경고모드(Alert Mode) 또는 비활성화하는 안전모드(Secure Mode)로 변환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ep (d) includes the steps of: (d1) displaying safe driving warning information when the beacon signal emitted from the beacon terminal is received; And (d2) transmitting the safety gait message to the beacon mobile device by the beacon terminal. In the step (b),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pedestrian mobile device is set in advance (Alert Mode) for activating the beacon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r a secure mode for deactivating the beacon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또한, 상기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가 상기 안전모드로 변환하는 경우, 상기 경고메시지의 비콘신호를 방출(broadcast)하지 않고, 상기 (a) 단계 이하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peating the steps (a) and (b) without broadcasting a beacon signal of the warning message when the pedestrian mobile device transits to the safe mode.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차량용 보행자 위험 경보 서비스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으 그 특징으로 한다.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low-power Bluetooth-based vehicular pedestrian risk alarm service method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보행자 위험 경보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low-power Bluetooth-based pedestrian risk warning system and the service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BLE 기반의 비콘(Beacon)장치를 이용해 위험지역에서 차량 운전자에게 보행자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써, 보행자 위험을 환기시켜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보행자 위험 경보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destrian risk alarm system and a service method thereof that promptly induces pedestrian risk by providing pedestrian information to a driver in a dangerous area quickly and accurately by using a BLE-based beacon device .

둘째,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 및 보행자 모두에게 위험지역에서 보행자의 위치정보 및 위험 경고 메시지 등을 서로 교환함으로써, 안전운전 및 안전보행을 유도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보행자 위험 경보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Seco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risk alarm system and a service method thereof, which can prevent a traffic accident by inducing safe driving and safe walking by exchanging pedestrian position information and a danger warning message to both a driver and a pedestrian in a dangerous area .

셋째, 본 발명은 BLE 기반의 비콘장치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의 통신 전력손실을 줄이고, 효율적인 통신 수행을 통해 채널 선점을 줄여 통신 충돌을 낮출 수 있는 보행자 위험 경보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Thir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destrian risk alarm system and a service method thereof that can reduce a communication power loss of a mobile device having a BLE-based beacon device and reduce a communication collision by reducing channel preemption through efficient communica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보행자 위험 경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보행자 위험 경보 서비스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ow-power Bluetooth-based pedestrian risk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ow-power Bluetooth-based pedestrian risk alarm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Wherever possible,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as long as the phrases do not expressly express the opposite meaning theret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is specified and that other specific feature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 /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a group.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Predefined terms are further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evant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very formal meanings unless defined otherwise.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보행자 위험 경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위험 경보 시스템은, GPS 데이터를 수신받아 자신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된 경고지역(Alert Area)에 포함되는 경우, 내장된 비콘(Beacon)장치를 통해 경고 메시지의 비콘신호를 주기적으로 방출(broadcast)하는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100); 및 비콘(Beacon)장치가 장착되어 차량에 구비되는 단말로, 상기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상기 비콘신호를 수신받는 경우, 안전운전 경고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용 비콘 단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ow-power Bluetooth-based pedestrian risk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pedestrian risk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GPS data and periodically acquires its own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acquired posi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alert area A mobile device 100 for a pedestrian that periodically broadcasts a beacon signal of a warning message via an embedded beacon device; And a vehicle beacon terminal (200) for displaying safe driving warning information when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edestrian mobile device (100) by a terminal equipped with a beacon device do.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고위험 지역(횡단보도, 교차로 등)이나 사고다발구역과 같은 경고지역(Alert Area)에서 보행자가 보행함에 있어, 경고지역 주변에서 주행하고 있는 차량에게 보행자가 있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비콘(Beacon)장치를 이용해 전송하고, 경고 메시지를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단말 등에 내장된 비콘장치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단말에 표시하도록 하여 안전운전을 유도하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보행자 위험 경보 시스템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edestrian is walking in an accident area (crosswalk, intersection, etc.) or in an alert area such as an accident lot area, the vehicle traveling around the warning area has a pedestrian The alerting system transmits a warning message using a beacon device, receives a warning message through a beacon device built in a navigation terminal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displays the received message on the terminal, thereby inducing safe driving and preventing an accident Provide a pedestrian risk warning system.

일반적으로 현대 사회의 보행자(Pedestrian)는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기기를 소지하고 있고 스마트 폰에는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인 블루투스가 대부분 장착되어 있다는 점에서, 보행자의 위치 혹은 개인 데이터를 운전자와 보행자들 간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In general, pedestrians in modern society are equipped with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smart phones are equipped with Bluetooth, which is a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refore, the position of pedestrians or personal data is communicated between the driver and pedestrians Lt; / RTI &gt;

특히,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이하 “BLE”라 한다.) 통신이란 RSS(Received Signal Strength)값을 사용해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통신으로, BLE 통신 기술은 스마트 폰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위치 및 존재를 탐지하기 위해 Scanning을 이용하고, 디바이스의 위치 및 존재를 알리기 위한 방법으로 주기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방출 또는 방송(broadcast)의 형태로 전송한다.Particularly, Bluetooth Low Energy (hereinafter referred to as "BLE") communication is a communication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a user using RSS (Received Signal Strength) Scanning is used to detect presence, and the device periodically transmits its location in the form of broadcast or broadcast in order to indicate the location and presence of the devic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BLE 기반의 비콘(Beacon)장치를 이용해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100)와 주행 차량에 구비된 비콘 단말(200)이 교신하도록 하여 보행자의 위치정보 및 위험 경고 메시지 등을 전달하고 서로 교환함으로써, 경고지역에서 안전운전을 유도하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con terminal 200 provided in the traveling vehicle communicates with the pedestrian mobile device 100 using the BLE-based beacon device, And by exchanging with each other, it is proposed to induce safe driving in the warning area and prevent accidents.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를 소지하고 있는 보행자가 이동하는 구역 중 보행자에게 위험이 있는 구역을 경고지역(Alert area)이라 정의하고, 경고지역(Alert area)이 되는 구역의 기준은 차량과 보행자의 이동이 많아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 지역이거나 통계상으로 사고다발지역을 미리 결정하여 설정한다. As shown in FIG. 1, a zone in which a pedestrian carrying a mobile device moves is defined as an alert area, and a zone in an alert area is defined as an alert area The area where the accident is likely to occur due to the high number of pedestrian movements, or statically, a lot of accident areas are determined and set in advance.

교차로, 횡단보도 및 미리 설정된 사고다발구역 등의 보행자 위험지역을 경고지역(Alert area)으로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100)나 차량용 비콘 단말(200)에 미리 설정하여 맵(map)과 매칭시켜 상기 모바일 기기나 비콘 단말(200)의 위치가 경고지역에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Pedestrian danger zones such as an intersection, a crosswalk, and a predetermined accident bundle zone are preset in an alerting area in the mobile device 100 for a pedestrian or the beacon terminal 200 for a vehicle and are matched with a map, It periodically determines whether the position of the device or the beacon terminal 200 is in the warning area.

즉, 보행자가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해 주기적으로(1s) GPS 데이터를 수신받아 보행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한 위치는 경고지역(Alert area)과 근접해 있는 위치인지 혹은 안전한 구역인지 비교한 후, 만약 보행자가 경고지역(Alert area)에 진입하였음을 탐지하면, 비콘(Beacon) 장치의 BLE 통신을 통해 주변 차량들로 안전운전의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경고 메시지를 수신받은 차량들은 단말기를 통해 안전운전의 경고메시지를 표시하고, 이 메시지를 운전자가 확인하고 주변에 사람이 있음을 인지시키고 안전운전을 하도록 유도하게 된다.That is,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is grasped by receiving the GPS data periodically (1s) using the smart device which is the mobile device possessed by the pedestrian, and the detected position is compared with the position in proximity to the alert area or the safe area Then, if it detects that the pedestrian has entered the alert area, it transmits a warning message of safe driving to the surrounding vehicles through the BLE communication of the beacon device. Then, the vehicles receiving the warning message display a warning message of safe operation through the terminal, recognize the message by the driver, recognize that there is a person nearby, and induce them to drive safely.

또한, 메시지를 수신받은 차량의 비콘 단말(200)은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100)로 안전보행 메시지를 전송하고, 안전보행 메시지를 수신받은 보행자는 주변에 차량의 존재를 확인한 후 안전하게 보행하는 안전보행을 유도하게 된다.In addition, the beacon terminal 200 of the vehicle receiving the message transmits the safety gait message to the mobile device 100 for the pedestrian, and the pedestrian receiving the safety gait message confirms the existence of the vehicle in the vicinity, .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저전력 기반의 블루투스(BLE) 통신을 사용하는 비콘(Beacon)장치를 사용하여 보행자의 모바일 기기와 주행차량의 비콘 단말(200)의 통신을 통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보행자 위험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device of the pedestrian and the beacon terminal 200 of the traveling vehicle uses a beacon device using Bluetooth (BLE) communication based on low power to quickly and accurately Pedestrian risk warning system will be provided.

여기서, 비콘(Beacon)장치는 비콘(Beacon) 통신기술을 사용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비콘(Beacon)이란 BLE(Bluetooth Low Energy)통신 기반의 RSS(Received Signal Strength)값을 이용해 사용자의 위치를 탐지하는 근거리통신 기술이다.Here, the beacon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uses a beacon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beacon detects the position of a user using RSS (Received Signal Strength) based on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Is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존의 블루투스(Bluetooth) 통신과 다른 저전력 통신으로써 낮은 비용과 높은 지속성 그리고 독립된 플랫폼 기반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위 통신의 기본적인 위치 추적 방식은 기존의 위치 추적 기술과 다르게 사용자가 BLE 통신 수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이용해 비콘존(Beacon Zone)에 접근할 때 탐지가 가능한 방식이다. 여기서 비콘존(Beacon Zone)이란 비콘장치를 통해 방출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반경의 영역을 말한다.It is characterized by low cost, high persistence and independent platform based on existing Bluetooth communication and other low power communication. Unlike existing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the basic location tracking method of the above communication is a method that can be detected when a user accesses the beacon zone using a device capable of receiving BLE communication. Here, the beacon zone refers to a radius area where a message can be received through a beacon device.

따라서 비콘(Beacon)은 근거리통신에 적합한 위치인식 혹은 상황인식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근거리 측정 및 추적을 이용해 다양한 서비스개발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Therefore, Beacon has location recognition or context recognition technology suitable for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d various services are being developed using near distance measurement and tracking.

보다 구체적으로, 비콘(Beacon)은 저전력 블루투스(BLE)를 통한 차세대 스마트폰 근거리통신 기술로서, 반경 50~70m 범위 안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찾아 메시지 전송, 모바일 결제 등을 가능하게 해주는 스마트폰 근거리통신 기술이다. NFC(근접무선통신)보다 가용거리가 길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O2O(On line to Off line) 서비스에 적합하고, 5~10㎝ 단위의 구별이 가능할 정도로 정확성이 높다.More specifically, Beacon is a next-generation smartphone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through low-power Bluetooth (BLE). It is a smartphone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enables users to locate a user within a radius of 50 to 70 meters, Technology. It is suitable for O2O (On line to Off line) service that connects online and offline because of the longer available distance th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accuracy is high enough to distinguish 5 ~ 10cm unit.

또한 이 기술을 이용하면 특정 장소에서 안내 서비스, 모바일 쿠폰 등을 이용하여 다양 서비스를 구현할 수고, 저전력으로 스마트폰의 배터리 소모량도 적으며, 실내에서는 GPS보다 정교한 위치 파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통신을 위한 페어링이 불필요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using this technology, various services can be implemented using a guidance service, a mobile coupon, and the like at a specific place, a battery consumption of a smart phone is low due to low pow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airing for the &quot;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저전력 기반의 블루투스(BLE) 통신장치를 이용 하는 것으로, 보행자가 일반적으로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기기와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내비게이션 단말에 각각 비콘(Beacon)장치를 내장하여 경고지역에서 보행자 위험 경고 메시지를 방출(broadcast)하고 해당 경고지역에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페어링 없이 주행 차량의 내비게이션 단말에서 수신되어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경고지역에서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행자 안전을 위해 안전운전을 유도하고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보행자 위험 경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low-power-based Bluetooth (BLE) communication devic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generally possessed by a pedestrian and a beacon device To broadcast a pedestrian risk warning message in a warning area and to display a warning message on the navigation terminal of the driving vehicle without pairing when the vehicle enters the warning area, It provides an efficient pedestrian risk warning system that can induce safe driving for pedestrian safety and prevent traffic accidents.

여기서, 차량용 비콘 단말(200)은 내비게이션 전용 단말,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앱이 설치된 스마트 폰 및 차량 컴퓨터 등 비콘(Beacon)장치가 설치되는 컴퓨팅 장치이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경고 메시지의 표시는 주행 차량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단말 등의 비콘 단말(200)에 영상 정보, 음성 정보 및 진동 정보 등의 방법으로 다양하게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Here, the vehicle beacon terminal 200 may be any computing device provided with a beacon device such as a navigation-only terminal, a smartphone equipped with a navigation application app, and a vehicle computer. The display of the warning message can be variously outputted and displayed on the beacon terminal 200 such as a naviga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traveling vehicle by means of video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and vibration information.

그리고, 여기서 내비게이션 전용 단말은 차량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 경로 정보를 제공하여 안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로서 GPS 수신기를 구비고, GPS 신호를 수신받아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며, 저장장치에 의해 미리 저장되거나 외부와 통신하여 획득하는 도로 지도(map), 교통정보 및 기타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와 같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된 컴퓨팅 장치의 하나이다.Here, the navigation dedicated terminal is provided in the vehicle, and includes a GPS receiver as a terminal for providing a desired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by a user, and acquire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by receiving GPS signals,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road map, traffic information, and other additional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or obtained by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a processor for processing a program for providing such navigation information One of the configured computing devices.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보행자 위험 경보 서비스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위험 경보 서비스 방법은, 비콘(Beacon)장치를 구비하는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100)와 차량용 비콘 단말(200)로 구성된 보행자 위험 경보 시스템을 이용하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100)에서 주기적으로 GPS 데이터를 수신받아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 (b) 상기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100)가 획득된 상기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경고지역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200); (c) 상기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100)가 경고지역에 포함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의 비콘신호를 주기적으로 방출(broadcast)하는 단계(S300); 및 (d) 상기 비콘 단말(200)이 방출된 상기 비콘신호를 수신받는 경우, 안전운전 경고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보행자 위험 경보 서비스 방법을 예시한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ow-power Bluetooth-based pedestrian risk alarm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pedestrian risk alarm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destrian risk alarm system including a mobile device 100 for a pedestrian equipped with a beacon device and a beacon terminal 200 for a vehicle The method includes: (a) receiving GPS data periodically from the mobile device for a pedestrian (100) and acquiring its own position information (S100); (b)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al information obtained by the pedestrian mobile device (100) is included in a preset warning area (S200); (c) periodically broadcasting (S300) a beacon signal of the warning mess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edestrian mobile device 100 is included in the warning area; And (d) displaying safe driving warning information when the beacon terminal 200 receives the emitted beacon signal (S400). The embodiment of FIG. 2 illustrates a low power Bluetooth based pedestrian risk alert service method using the system of the embodiment of FIG.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 단계는(S100),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100)가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GPS 수신장치를 통해 GPS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받고, 수신받은 GPS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맵 정보와 매칭시켜 모바일 기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도 2에서는 GPS 데이터를 0.5초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수신받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step (a) (S100) is a step in which the mobile device 100 for a pedestrian acquires its own position information and periodically receives GPS data through a GPS receiving device built in the mobile device And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by matching received GPS data with previously stored map information. In FIG. 2, GPS data is periodically received at 0.5 second intervals.

(b) 단계는(S200), 획득된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경고지역에 포함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모바일 기기에서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경고지역의 맵과 상기 GPS 데이터를 통해 획득한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모바일 기기가 경고지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경고지역(Alert area)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교차로, 횡단보도 및 미리 설정된 사고다발구역 등의 보행자 위험지역이다.In step (b),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a preset warning area, and the map of the warning area stored in advance in the mobile device and the map of the warning area acquired through the GPS data The location information is matched to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in the warning area. Here, the alert area is a pedestrian-dangerous area such as an intersection, a crosswalk, and a pre-set accident bundle area,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b) 단계는, 상기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100)가 획득한 상기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경고지역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비콘장치를 활성화하는 경고모드(Alert Mode) 또는 비활성화하는 안전모드(Secure Mode)로 변환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step (b),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pedestrian mobile device 100 is included in a preset warning area, and an alert mode (Alert Mode) for activating the beacon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r to a safe mode (inactive mode).

이처럼 모바일 기기가 경고지역에 위치 하는지 여부에 따라 경고모드(Alert Mode) 또는 안전모드(Secure)를 전환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은 비콘신호의 방출(broad)을 최소화하여 모바일 기기의 통신으로 인한 전력손실을 줄이기 위함이다.Performing the process of switching the alert mode (Alert Mode) or the secure mode (Secure)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in the alert area minimizes the broadening of the beacon signal, .

즉, 상기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100)가 상기 안전모드로 변환하는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의 비콘신호를 방출(broadcast)하지 않고, 비콘장치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모바일 기기의 통신 전력손실을 줄이고, 무분별한 비콘신호 방출(broadcast)로 인한 채널 선점을 줄여 통신 충돌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at is, when the pedestrian mobile device 100 is switched to the safe mode, the beacon device is disabled by not broadcasting the beacon signal of the warning message, thereby reducing communication power loss of the mobile device, The channel preemption due to signal broadcasting can be reduced, and communication collision can be reduc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BLE 통신이 가능한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100)와 차량용 비콘 단말(200)이 필요하고, 총 2가지의 상태(State)로 나뉘어 차량과 이용자와의 통신을 가진다. 첫 번째 상태로 경고모드(Alert Mode)이다. 주기적으로 수신한 GPS 데이터를 통해 위치 계산하여 경고지역(Alert area)임을 탐지하면 상태(State)가 비콘신호 방출(broadcast)로 바뀌고 0.2초 간격으로 안전운전 메시지를 차량으로 브로드캐스트 형태로 전송한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device 100 for a pedestrian and a beacon terminal 200 for a vehicle, which are capable of BLE communication, are required and are divided into two states, And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he first state is Alert Mode. If the location is calculated by periodically receiving the GPS data and the alert area is detected, the state changes to beacon signal broadcasting and the safety operation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in 0.2 second intervals.

이때 방송(broadcast) 형태의 비콘신호로 보행자의 주변의 모든 차량으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WIFI, 블루투스(Bluetooth) 방식과 달리 일정한 페어링이 없이 바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운전자가 빠르게 경고 메시지를 수신받아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beacon signal of the broadcast type transmits a warning message to all vehicles in the vicinity of the pedestrian, unlike the general WIFI or Bluetooth method, a warning message is transmitted without any constant pairing,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driver to perform safe driving.

두 번째 상태로 안전모드(Secure Mode)이다. GPS데이터가 안전지역에 있는 것으로 탐지하면 상태(state)를 stop으로 한 후 비콘장치를 비활성화시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행자의 모바일 기기가 경고지역에서만 방송(broadcast) 형태로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효율을 높이고, 무분별한 비콘신호 방출(broadcast)로 인한 채널 선점을 줄여 통신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The second state is Secure Mode. If GPS data is detected as in a safe area, stop the state and disable the beacon to not send a warning messag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obile device of the pedestrian transmits in broadcast form only in the warning area, the battery efficiency of the mobile device can be increased and the communication preemption can be minimized by reducing channel preemption due to indiscriminate beacon signal broadcasting This is because there are advantages.

(c) 단계는(S300)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100)가 경고지역에 포함되는 경우, 경고 메시지의 비콘신호를 주기적으로 방출(broadcast)하는 단계로서, 도 2의 예시에서는 0.2초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경고메시지를 방송(broadcast) 형태로 송출하게 된다.(Alert message Broadcast) The step (c) is a step of periodically broadcasting a beacon signal of the warning message when the mobile device 100 for a pedestrian is included in the warning area. In the example of FIG. 2, The alert message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broadcast (Alert message Broadcast).

이처럼 BLE 통신에 기반한 비콘장치가 내장된 모바일 기기가 방송 형태로 경고 메시지지의 비콘신호를 송출함으로써, 비콘장치를 구비한 차량 중에 상기 비콘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역에 위치하거나 경고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페어링 없이 즉각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신받을 수 있는 장치를 특정하거나 등록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 없이 용이하고 빠르게 BLE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When a mobile device having a beacon device based on BLE communication transmits a beacon signal of a warning message in a broadcast form, the beacon device i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beacon signal can be received or in a warning area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BLE communication can be implemented easily and quickly without any troublesome procedure such as specifying or registering a device that can receive and receive.

(d) 단계는(S400), 차량용 비콘 단말(200)이 모바일 기기에서 방출한 비콘신호를 수신받는 경우, 안전운전 경고정보를 표시하여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안전운전 경고정보의 표시는, 상기 비콘 단말(200)을 통하여 음성정보, 영상정보 및 진동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콘 단말(200)에 표시되는 내비게이션 정보에 부가되어, 음성정보, 영상정보 및 진동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p (d) is an output step of displaying the safe driving warning information to be verified by the driver when the beacon signal e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is received by the beacon terminal 200 of the vehicle.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fe driving warning information is displayed by at least one of voice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vib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beacon terminal 200, and the navig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beacon terminal 200 And is preferably displayed by at least one of audio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vibration information.

즉, 차량 운전자에게 경고지역에서 보행자가 주변에 있음을 환기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음성 메시지를 통해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고, 차량 운전자가 수시로 확인하는 내비게이션 단말의 내비게이션 정보에 부가정보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비콘 단말(200)을 진동시켜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에도 비콘 단말(200)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안전운전 경고정보를 출력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정확히 전달하고 보행자 위험 경고지역임을 환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a voice message through a voice message to the vehicle driver in order to remind the driver that the pedestrian is in the vicinity of the warning area, and to display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navigation information of the navigation terminal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beacon terminal 200 is vibrated and provided to the driver. In addition, the beacon terminal 200 may output the safe driving warning information in various manners, accurately transmit it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and remind the driver that it is a pedestrian danger warning area.

그리고, 상기 (d) 단계는, 안전운전 경고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비콘 단말(200)에서 상기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100)로 안전보행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p (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safety driving warn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afety gait message from the beacon terminal 200 to the pedestrian mobile device 100.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pparent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 200: 차량용 비콘 단말100: a mobile device for a pedestrian, 200: a beacon terminal for a vehicle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비콘(Beacon)장치를 구비하는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와 차량용 비콘 단말로 구성된 보행자 위험 경보 시스템을 이용하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에서 주기적으로 GPS 데이터를 수신받아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가 획득된 상기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경고지역(Alert area)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가 상기 경고지역에 포함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의 비콘신호를 주기적으로 방출(broadcast)하는 단계; 및
(d) 상기 비콘 단말이 방출된 상기 비콘신호를 수신받는 경우, 안전운전 경고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가 획득한 상기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경고지역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비콘장치를 활성화하는 경고모드(Alert Mode) 또는 비활성화하는 안전모드(Secure Mode)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가 상기 안전모드로 변환하는 경우, 상기 경고메시지의 비콘신호를 방출(broadcast)하지 않고, 상기 (a) 단계 이하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보행자 위험 경보 서비스 방법.
A service method using a pedestrian risk alarm system comprising a mobile device for a pedestrian equipped with a beacon device and a vehicle beacon terminal,
(a) receiving GPS data periodically from a mobile device for a pedestrian and obtaining its own position information;
(b)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al information obtained by the mobile device for a pedestrian is included in a preset alert area;
(c) periodically broadcasting a beacon signal of a warning mess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device for a pedestrian is included in the warning area; And
(d) when the beacon terminal receives the beacon signal, displaying the safe driving warning information,
Wherein the step (b)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mobile device for the pedestrian is included in a preset warning area and activating the beacon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o a secure mode,
And the step (a) is repeated without broadcasting a beacon signal of the warning message when the pedestrian mobile device transitions to the safe mode. The low-power Bluetooth-based pedestrian risk alarm service method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에서 주기적으로 GPS 수신장치를 통해 GPS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가 수신받은 GPS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맵 정보와 매칭시켜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보행자 위험 경보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a)
Periodically receiving GPS data in a pedestrian mobile device through a GPS receiver; And
And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by matching the GPS data received by the mobile device for pedestrians with previously stored map informa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경고지역(Alert Area)은,
교차로, 횡단보도 및 미리 설정된 사고다발구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보행자 위험 경보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predetermined alert area may include:
Crossing, a crosswalk, and a pre-established accident bundle zone. &Lt; Desc / Clms Page number 13 &gt;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운전 경고정보의 표시는,
상기 비콘 단말을 통하여 음성정보, 영상정보 및 진동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보행자 위험 경보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isplay of the safe driving warning information comprises:
Wherein the beacon terminal displays at least one of voice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vib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beacon terminal.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전운전 경고정보의 표시는,
비콘 단말에 표시되는 내비게이션 정보에 부가되어, 음성정보, 영상정보 및 진동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보행자 위험 경보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isplay of the safe driving warning information comprises:
Wherein the at least one of the voice information,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vibr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ddition to the navig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beacon terminal.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비콘 단말이 방출된 상기 비콘신호를 수신받는 경우, 안전운전 경고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d2) 상기 비콘 단말이 상기 보행자용 모바일 기기로 안전보행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보행자 위험 경보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d)
(d1) displaying safe driving warning information when the beacon terminal receives the emitted beacon signal; And
(d2) transmitting the safety gait message to the mobile device for pedestrians by the beacon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청구항 6의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차량용 보행자 위험 경보 서비스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a low power Bluetooth based vehicle pedestrian risk alert service method of claim 6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KR1020150107010A 2015-07-29 2015-07-29 Alert notification system for pedestrian based bluetooth low energy, and thereof service method KR1017081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010A KR101708120B1 (en) 2015-07-29 2015-07-29 Alert notification system for pedestrian based bluetooth low energy, and thereof servic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010A KR101708120B1 (en) 2015-07-29 2015-07-29 Alert notification system for pedestrian based bluetooth low energy, and thereof servic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584A KR20170015584A (en) 2017-02-09
KR101708120B1 true KR101708120B1 (en) 2017-02-20

Family

ID=5815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010A KR101708120B1 (en) 2015-07-29 2015-07-29 Alert notification system for pedestrian based bluetooth low energy, and thereof servic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12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3331A (en) * 2016-09-28 2017-02-0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Riding early-warning method and device
GB2562706A (en) * 2017-03-22 2018-11-28 Pelotron Ltd Apparatus for enhancing safety of a vulnerable road user
KR102325049B1 (en) 2017-08-10 202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communication signal associated with pedestrian safet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KR20210001398A (en) 2019-06-28 2021-01-07 빈운택 Low Power Pedestrian Signal Violation Warning System Using Video Processing Technology
GB202005093D0 (en) * 2020-04-07 2020-05-20 Wybrow Brian Robert Alfred Detection system
CN112822667A (en) * 2020-12-31 2021-05-18 安克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Safe driving assistance method, device and system based on Bluetooth and storage medium
KR102457106B1 (en) * 2021-09-24 2022-10-20 (주)큐엔큐 System for preventing traffic accident based on beacon having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apparatus
KR102612223B1 (en) * 2021-11-30 2023-12-12 주식회사 텔러스 Communication device for vulnerable road users performing real-time communication with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8878A (en) 2006-02-27 2007-08-30 권순태 A wireless terminal having information exchange facility, information exchang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wireless terminal
KR100956978B1 (en) 2009-09-21 2010-05-11 주식회사 토페스 The system which integrated manages a traffic accident notice area
KR20130068159A (en) * 2011-12-14 2013-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early waring of padastrian car crash using mobile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지용 외 2인,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실내 보행자 위치 추적 알고리즘",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2014.11, Vol. 39C, No.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584A (en)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120B1 (en) Alert notification system for pedestrian based bluetooth low energy, and thereof service method
KR102325049B1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communication signal associated with pedestrian safet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KR101354049B1 (en) Method for pedestrians jaywalking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US9142124B2 (en) Vehicle-mounted communication device and navigation device equipped with this vehicle-mounted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device for pedestrians and navigation device equipped with this communication device for pedestrians, and pedestrian-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884202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arly warning detection of emergency vehicles
JP5834868B2 (en) Pedestrian-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ter-vehicle communication method
JP60679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and / or reception of safety messages by a portable wireless user device
JP464550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in-vehicle electronic devices
KR101661553B1 (en) Vehicle accident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6301719B2 (en) Pedestrian notification system
JP5866807B2 (en) Pedestrian terminal device, computer program, and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CN104067642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and/or reception of safety messages by portable wireless user devices
JP2015177370A (en) Vehicular communication apparatus
WO2011040356A1 (en) Navigation device
JP2016184200A (en) Pedestrian approach notification device, pedestrian approach notification system, computer program, and pedestrian approach notification method
JP2016066152A (en) Driving support device
JP2018022304A (en) Roadside communication device, o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traffic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04157847A (en) Road crossing pedestrian announcing system
KR102020631B1 (en) Hazard Loading Vehicle Warn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901129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ulnerable Road User Protection Based on Vehicular Communication
JP2013009027A (en) Pedestrian terminal device, computer progra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20170015585A (en) Navigation system using of bluetooth low energy beacon device, and thereof service method
KR10091209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warning a dangerous situation of a user walking across a pedestrian crossing, control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server
US20200401959A1 (en) Emergency traffic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device
KR20070081386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destrian safety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