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982A - System for monitoring and alarming abnormal operation of facilities - Google Patents

System for monitoring and alarming abnormal operation of 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982A
KR20200110982A KR1020190030604A KR20190030604A KR20200110982A KR 20200110982 A KR20200110982 A KR 20200110982A KR 1020190030604 A KR1020190030604 A KR 1020190030604A KR 20190030604 A KR20190030604 A KR 20190030604A KR 20200110982 A KR20200110982 A KR 20200110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signal
worker
unit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중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파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파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파이브
Priority to KR1020190030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0982A/en
Publication of KR20200110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98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7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with call or message storage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integrating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ing, and more specifically, to a system for integrating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ing, which detects an abnormal signal (alarming signal) generated during abnormal operation of various facilities (air conditioning/water supply and drainage/communications/electricity/firefighting/heating, etc.) installed in a building and operated through an Internet of things (IoT) sensor, and then integrates a detection signal with a dedicated terminal or a virtual private server (cloud server) so as to transmit an alarming message to a worker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 abnormal signal (alarming signal) generated during abnormal operation of various facilities through the IoT sensor for each of the facilities, and integrally receives a detection signal to a dedicated terminal or a virtual private server (cloud server) to transmit an alarming message to a terminal of a worker, thereby providing an alarming situation of facilities to the worker more stably.

Description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AND ALARMING ABNORMAL OPERATION OF FACILITIES}Facility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system {SYSTEM FOR MONITORING AND ALARMING ABNORMAL OPERATION OF FACILITIES}

본 발명은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물에 설치 운용되는 각종 시설물(공조/급배수/통신/전력/소방/난방 등)의 이상 동작시 발생하는 이상신호(경보신호)를 IoT(Internet of thing) 감지기를 통해 감지한 후 그 감지신호를 전용 단말기 또는 가상사설서버(클라우드 서버)로 통합하여 근무자 단말기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 system, and in detail, an abnormal signal (alarm signal) generated when an abnormal operation of various facilities (air conditioning/water supply/drainage/communication/power/firefighting/heating, etc.) installed and operated in a building ) Is detected through an Internet of thing (IoT) detector, and the detection signal is integrated into a dedicated terminal or a virtual private server (cloud server) to transmit an alarm message to a worker's terminal.

일반적으로, 현대시대에는 각종 건물들이 고도화 및 복잡화되어 감에 따라 이러한 건물들을 효율적으로 운용 및 관리하기 위해 공조설비, 급배수설비, 전력설비, 소방설비, 통신설비, 난방설비 등과 같은 다양한 시설물들이 설치 운용되고 있다. In general, in the modern era, various facilities such as air conditioning facilities, water supply and drainage facilities, power facilities, firefighting facilities, communication facilities, and heating facilities are installed to efficiently operate and manage these buildings as various buildings become more sophisticated and complex. It is in operation.

이러한 시설물들은 건물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이나 방문자들에게 보다 나은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 운용되는 공동 시설물로서, 이상 동작시에는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공동 시설물들이 설치된 건물들에는 시설물들의 이상 동작을 감시하여 이상 동작시 경보를 알리는 관리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These facilities are common facilities that are installed and operated to provide better convenience to users or visitors who use buildings, and abnormal operation may cause property damage and personal damage. Accordingly, in buildings in which common facilities are installed, a management system that monitors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facilities and notifies an alarm in case of abnormal operation is established.

지금까지 알려진 종래기술에 따른 관리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건물 내에 설치된 시설물의 이상 동작시 이를 감지기를 통해 감지하여 중앙 관리실에 구축된 관리서버 또는 전용 단말기(PC)로 전송하여 시설물의 이동 동작을 관리자에게 제공하였다.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known so far basically detects an abnormal operation of a facility installed in a building through a detector and transmits it to a management server or a dedicated terminal (PC) built in the central management room to provide the manager with the movement of the facility. I did.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However, such 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종래기술에 따른 관리 시스템에서는 시설물의 이상 동작(고장)시 이를 감지한 후 단순히 중앙 관리실에 구축된 관리서버 또는 전용 단말기로 전송하여 경고하는 방식으로, 근무자가 부재중인 경우에는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First, in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an abnormal operation (breakdown) of a facility is detected, it is simply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or dedicated terminal built in the central management room to warn.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n't.

물론, 중앙 관리실에 비치된 전용 단말기를 통해 관리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로 경보 메시지(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으나, 대부분 1회성으로 경보 메시지를 발송함에 따라 근무자가 경보 메시지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여전히 시설물의 이상 동작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Of course, an alarm message (notification message) can be transmitted to a terminal carried by the administrator through a dedicated terminal provided in the central management room, but since most of the alarm messages are sent one-time, workers often do not recognize the alarm message.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quickly respond to abnormal operation of the facility.

둘째, 종래기술에 따른 관리 시스템에서는 시설물의 이상 동작시 1차적으로 중앙 관리실의 전용 단말기를 통해 감지신호에 따른 경보신호를 제공받은 후 관리실 근무자가 현장 근무자(시설물 근처에서 작업하는 시설물 근무자)에게 전화를 걸어 시설물에 이상 동작이 발생한 것을 통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신속한 대응이 어려웠다. Second, in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the event of an abnormal operation of a facility, after receiving an alarm signal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through a dedicated terminal in the central management room, a worker in the management room calls the field worker (the facility worker working near the facility). It was difficult to respond quickly as it was carried out in a manner of notifying that an abnormal operation occurred in the facility.

셋째, 종래기술에 따른 관리 시스템에서는 시설물의 이상 동작시 현재 근무자와 비근무자를 선별하여 경보 메시지를 발송하는 것이 아니라 기등록된 모든 시설 관리직원의 단말기로 동시에 경보 메시지를 발송하기 때문에 근무시간 이외에도 경보 메시지를 제공받아 가중한 업무 스트레스를 유발시켜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Third, in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a facility is malfunctioning, it does not send an alert message by selecting the current worker and the non-worker, but sends an alert message to the terminals of all registered facility management staff at the same time. Being provided with a message can cause aggravating work stress and adversely affect health.

넷째, 종래기술에 따른 관리 시스템에서는 감지기의 오동작시 이를 필터링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경보 메시지를 무분별하게 발송하는 문제가 있었다. Fourth, in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of indiscriminately sending an alarm message because there is no means for filtering it when a detector malfunctions.

다섯째, 종래기술에 따른 관리 시스템에서는 시설물의 이상 동작시 근무자(현장 근무자 포함)가 단말기로 발송되는 경보 메시지를 수신받아 확인했는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시설물의 감시 및 경보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여전히 한계가 있었다. Fifth, in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still a limit to improving the efficiency of monitoring and alarming of the facility because it cannot be confirmed whether the worker (including the field worker) has received and confirmed the alarm message sent to the terminal in case of abnormal operation of the facility. .

KR 10-1035908 B1, 2011. 05. 13.KR 10-1035908 B1, 2011.05.13. KR 10-1872464 B1, 2018. 06. 22.KR 10-1872464 B1, 2018. 06. 2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s the following objects.

첫째, 본 발명은 각종 시설물의 이상 동작시 발생하는 이상신호(경보신호)를 IoT(Internet of thing) 감지기를 통해 각 시설물별로 감지한 후 그 감지신호를 전용 단말기 또는 가상사설서버(클라우드 서버)로 통합 수신하여 근무자의 단말기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 abnormal signal (alarm signal) generated during abnormal operation of various facilities for each facility through an Internet of thing (IoT) detector, and then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a dedicated terminal or a virtual private server (cloud server). Its purpose is to provide a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system that receives and transmits alarm messages to workers' terminals.

둘째, 본 발명은 전용 단말기 또는 가상사설서버를 통해 근무자의 단말기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할 때 직원의 근무 스케쥴링을 토대로 해당 일자의 근무자와 비근무자를 선별하여 근무자의 단말기로만 경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비근무자의 업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Second,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the workers and non-workers on the day based on the work scheduling of the staff when sending the alarm message to the worker's terminal through a dedicated terminal or a virtual private server, and transmits the alarm message only to the terminal of the worker.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n integrated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 system that can reduce work stress.

셋째, 본 발명은 시설물의 정상 동작에도 불구하고 다른 요소에 의해 IoT 감지기가 오동작하여 무분별하게 근무자의 단말기로 경보 메시지가 발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an alarm message from being sent to a worker's terminal indiscriminately due to a malfunction of an IoT detector due to other factors despite the normal operation of the facility. .

넷째, 본 발명은 시설물의 이상 동작시 근무자가 전용 단말기로부터 근무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경보 메시지를 확인(인지)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경보 메시지를 근무자 단말기로 일정 간격으로 전송함으로써 시설물의 감시 및 경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Fourth,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transmits the alarm message to the worker terminal at regular intervals until the worker checks (recognizes) the alarm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dedicated terminal to the worker terminal in the event of an abnormal operation of the facility, thereby improving the monitoring and alarm efficiency of the facility.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improved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syste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내외부에 설치된 공조설비, 급배수설비, 전력설비, 소방설비, 통신설비, 난방설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비를 포함하는 시설물의 이상 동작이나 고장 발생시 발생하는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IoT(Internet of thing) 감지기들; 및 상기 IoT 감지기들과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시설물의 이상 동작이나 고장 발생시 발생하는 이상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IoT 감지기들의 감지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제공받아 해당 시설물의 이상신호를 표시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기등록된 근무자 단말기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용 단말기 또는 가상사설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acility including at least one of air conditioning facilities, water supply and drainage facilities, power facilities, fire fighting facilities, communication facilities, and heating facilitie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various buildings. Internet of thing (IoT) detectors for detecting abnormal signals generated when abnormal operation or failure occurs; And a detection signal of the IoT detectors corresponding to an abnormal signal generated when an abnormal operation or failure of the facility occurs by being connected to the IoT detectors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displays the abnormal signal of the facility. And, it provides a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dicated terminal or a virtual private server for transmitting an alarm message to a previously registered worker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바람직하게, 상기 IoT 감지기들은 각각 상기 시설물에 설치되거나 상기 시설물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시설물의 이상 동작이나 고장 발생시 발생하는 시설물의 이상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시설물의 이상신호는 경보음, 진동음, 또는 비정상적인 전류/전압/온도/압력/가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IoT detector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acility or installed in close proximity to the facility to detect an abnormal signal of the facility generated when an abnormal operation or failure of the facility occurs, and the abnormal signal of the facility is an alarm sound, a vibration sound, or It may be characterized by any one of abnormal current/voltage/temperature/pressure/gas.

바람직하게, 상기 IoT 감지기들은 각각 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상기 전용 단말기 또는 상기 가상사설서버는 상기 IoT 감지기들 중 어느 하나의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감지신호에 포함된 고유한 식별번호를 토대로 현재 감지신호를 전송한 IoT 감지기를 식별하여 이상신호가 발생한 시설물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IoT detectors are each assigned an identification number so that the dedicated terminal or the virtual private server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one of the IoT detectors, based on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received detection signal. It may be characterized by identifying an IoT detector that has transmitted a detection signal to identify a facility where an abnormal signal has occurred.

바람직하게, 상기 전용 단말기는 상기 IoT 감지기들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감지신호를 토대로 어느 시설물의 이상신호에 대응하는 감지신호인지를 식별하여 이상신호가 발생된 시설물을 식별하는 신호 식별부; 상기 신호 식별부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신호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해당 시설물의 이상신호가 경보음, 진동음 또는 비정상적인 전류/전압/온도/압력/가스/연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이상신호인지를 분석하는 신호 분석부; 상기 신호 식별부와 상기 신호 분석부에 의해 식별 및 분석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신호 식별부로부터 식별된 해당 시설물에 대응하는 경고 메시지를 근로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문자 전송부; 상기 시설물을 관리하는 관리직원의 전체 스케쥴을 설정 및 관리하는 스케쥴 관리부; 및 상기 표시부를 통해 현재 이상신호가 발생한 해당 시설물과, 해당 시설물의 이상신호의 종류를 표시하고, 상기 문자 전송부를 통해 현재 이상신호가 발생한 해당 시설물과 이상신호의 종류를 포함하는 경고 메시지를 상기 근로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을 제공한다.Preferably, the dedicated terminal includes a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oT detectors; A signal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facility in which the abnormal signal is generated by identifying a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n abnormal signal of a facility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ignal receiving unit; An abnormality corresponding to any one of an alarm sound, a vibration sound, or an abnormal current/voltage/temperature/pressure/gas/smoke by analyzing th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identification unit. A signal analysis unit that analyzes whether a signal is a signal;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result identified and analyzed by the signal identification unit and the signal analysis unit; A text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warning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facility identified by the signal identification unit to a worker terminal; A schedule management unit for setting and managing the entire schedule of the management staff managing the facility; And the corresponding facility for which an abnormal signal is currently generated and the type of the abnormal signal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a warning message including the type of the facility and the type of the abnormal signal for which the current abnormal signal has occurred is displayed through the text transmission unit. It provides a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system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설물들 중 어느 하나의 시설물에 이상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스케쥴 관리부에 의해 설정된 해당 일자에 근무를 수행하는 근무자의 근무자 단말기로만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when an abnormal signal occurs in any one of the facilities, the control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an alarm message only to a worker terminal of a worker who works on a corresponding day set by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

바람직하게, 상기 전용 단말기는 상기 문자 전송부에서 상기 근무자 단말기로 전송된 경보 메시지를 확인했는지 그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문자 수신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근무자 단말기에는 '감시 및 경보 통합앱'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문자 전송부에서 경보 메시지가 전송되면 '감시 및 경보 통합앱'이 자동으로 활성화됨과 동시에 상기 근로자 단말기의 화면창에는 경보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버튼이 함께 제공되고, 근무자가 상기 확인 버튼을 터치하면, 경보 메시지 확인신호는 상기 근무자 단말기에 실행된 '감시 및 경보 통합앱'을 통해 상기 문자 수신 확인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dedicated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text reception confirmation unit that checks whether or not the text transmission unit has confirmed the alarm message transmitted to the worker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nd the worker terminal includes a'monitoring and alarm integration 'App' is installed, so when an alarm message is transmitted from the text transmission unit, the'integrated monitoring and alarm app' is automatically activated, and a confirmation button is provided on the screen window of the worker terminal to confirm whether the alarm message has been received. , When the worker touches the confirmation button, an alarm message confirm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text reception confirmation unit through a'monitoring and alarm integration app' executed on the worker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전용 단말기는 상기 시설물들 중에서 2개 이상의 복수 개의 시설물에서 이상신호가 동시에 발생하여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IoT 감지기로부터 2개 이상의 감지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 우선적으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할 시설물을 결정하는 우선순위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dedicated terminal is a facility that will preferentially transmit an alarm message when two or more detection signals are simultaneously received from the IoT detector through the signal receiver due to simultaneous occurrence of an abnormal signal in two or more facilities among the facilitie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iority determining unit to determine the.

바람직하게, 상기 스케쥴 관리부는 상기 시설물들 중 어느 하나의 시설물에 이상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일자에 근무하는 근무자의 근무자 단말기로만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월간 캘린더 방식으로 제공하여 시설 관리직원의 스케쥴을 관리하되, 전체 시설 관리직원을 '주간', '야간', '그룹별'로 구별하여 근무시간과 교대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manages facilities by providing a monthly calendar method through the display unit in order to transmit an alarm message only to the terminal of the worker of the worker working on that day when an abnormal signal occurs in any one of the facilities. It manages the employee's schedule, but it can be characterized by setting the working hours and shift hours by dividing the entire facility management staff into'weekly','nighttime', and'by group'.

바람직하게, 상기 스케쥴 관리부는 현재 근무자와 다음 근무자 간의 공백을 고려하여 근무시간이 끝나는 끝시간과 다음 근무자의 교대시간이 시작되는 시작시간 사이에 이들 시간이 일정 시간 중첩되는 중첩시간을 추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첩시간에 상기 시설물들 중 어느 하나의 시설물에서 이상신호가 발생하면 현재 근무자 및 다음 근무자의 근무자 단말기로 모두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adds an overlapping time in which these times overlap a certain time between the end time at which working hours end and the start time at which the shift time of the next worker starts, taking into account the gap between the current worker and the next worker, and the The control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when an abnormal signal occurs in any one of the facilities during the overlapping time, it may transmit an alarm message to both the current worker and the next worker's worker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전용 단말기는 잦은 오동작 발생시 무분별하게 경보 메시지가 근무자에게 발송되어 혼동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SMS 발송시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SMS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감지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SMS 발송시 지연시간 내로 설정된 시간 후 동일한 IoT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시설물 또는 해당 IoT 감지기의 오동작으로 판단하여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dedicated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SMS setting unit for setting a delay time during SMS transmission to prevent confusion by indiscriminately sending an alarm message to a worker when frequent malfunctions occur, and the control unit detects it through the signal receiving unit. When a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same IoT detector after a time set within the delay time when the SMS is sent after the signal is received, it is determined that the facility or the IoT detector malfunctions, and an alarm message is not transmit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본 발명은 각종 시설물의 이상 동작시 발생하는 이상신호(경보신호)를 IoT(Internet of thing) 감지기를 통해 각 시설물별로 감지한 후 그 감지신호를 전용 단말기 또는 가상사설서버(클라우드 서버)로 통합 수신하여 근무자의 단말기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시설물의 경보 상황을 근무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 abnormal signal (alarm signal) generated during abnormal operation of various facilities for each facility through an Internet of thing (IoT) detector, and then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a dedicated terminal or a virtual private server (cloud server). By receiving integrated and transmitting an alarm message to the worker's terminal,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provide the alarm situation of the facility to the worker.

둘째, 본 발명은 전용 단말기 또는 가상사설서버를 통해 근무자의 단말기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할 때 직원의 근무 스케쥴링을 토대로 해당 일자의 근무자와 비근무자를 선별하여 근무자의 단말기로만 경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비근무자의 업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Second,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the workers and non-workers on the day based on the work scheduling of the staff when sending the alarm message to the worker's terminal through a dedicated terminal or a virtual private server, and transmits the alarm message only to the terminal of the worker. It can reduce work stress.

셋째, 본 발명은 시설물의 정상 동작에도 불구하고 다른 요소에 의해 IoT 감지기가 오동작하여 무분별하게 근무자의 단말기로 경보 메시지가 발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n alarm message from being indiscriminately sent to a worker's terminal due to a malfunction of an IoT detector due to other factors despite the normal operation of the facility.

넷째, 본 발명은 시설물의 이상 동작시 근무자가 전용 단말기로부터 근무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경보 메시지를 확인(인지)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경보 메시지를 근무자 단말기로 일정 간격으로 전송함으로써 시설물의 감시 및 경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ourth,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transmits the alarm message to the worker terminal at regular intervals until the worker checks (recognizes) the alarm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dedicated terminal to the worker terminal in the event of an abnormal operation of the facility, thereby improving the monitoring and alarm efficiency of the facility Can be improved.

다섯째, 본 발명은 각종 시설물의 이상 동작시 발생하는 이상신호(경보신호)를 IoT 감지기를 통해 각 시설물별로 감지한 후 그 감지신호를 전용 단말기 또는 가상사설서버로 통합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정확하고 빠른 실시간 경보 현황 확인이 가능하고, 과거 경보 이력을 조회할 수 있어 데이터 관리가 용이하다. Fifth,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 abnormal signal (alarm signal) generated during abnormal operation of various facilities for each facility through an IoT detector, and then integrates and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to a dedicated terminal or a virtual private server and converts it into a database for accurate and fast. Real-time alarm status can be checked, and past alarm history can be searched for easy data management.

여섯째, 본 발명은 시설 관리직원의 근무 스케쥴링시 월간 또는 연간 단위로 근무자의 스케쥴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케쥴 관리가 보다 편리하고 용이한 이점이 있다. Sixt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schedule management is more convenient and easier by allowing a worker's schedule on a monthly or annual basis when scheduling the work of a facility management employe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용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용 단말기의 메인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용 단말기의 스케쥴 설정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용 단말기의 SMS 환경 설정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edicated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main screen of a dedicated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schedule setting screen of a dedicated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n SMS environment setting screen of a dedicated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은 각종 시설물(#1~#n)의 이상 동작이나 고장 발생시 발생하는 이상신호(경보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각종 시설물(#1~#n)에 각각 설치된 IoT(Internet of thing) 감지기(11a~11n)와, IoT 감지기(11a~11n)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14)을 통해 각종 시설물(#1~#n)의 이상 동작이나 고장 발생시 발생하는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IoT 감지기(11a~11n)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를 무선 통신망(15)을 통해 제공받아 근무자 단말기(#P1~#Pn)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용 단말기(1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facilities (alarm signals) in order to detect abnormal signals (alarm signals) generated when an abnormal operation or failure of various facilities (#1 to #n) occurs. Internet of thing (IoT) detectors (11a~11n) installed in #1~#n), IoT detectors (11a~11n) and various facilities (#1~#n) through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4)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IoT detectors (11a~11n) that detects the abnormal operation or abnormal signal generated when a fault occurs is provid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5) and transmits an alarm message to the worker terminals (#P1~#Pn). It includes a dedicated terminal 12.

시설물(#1~#n)은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각종 건물들을 효율적으로 윤용 및 관리하기 위해 건물 내외부에 설치되는 시설물로서, 공조설비(#1), 급배수설비(#2), 통신설비(#3), 전력설비(#4), 소방설비(#n)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Facilities (#1~#n) are facilitie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to provide users' convenience and efficiently use and manage various buildings, including air conditioning facilities (#1), water supply and drainage facilities (#2), and It includes at least one of equipment (#3), power equipment (#4), and fire fighting equipment (#n).

IoT 감지기(11a~11n)는 각 시설물(#1~#n)에 직접 설치되거나, 혹은 근접하게 설치되어 각 시설물(#1~#n)의 이상 동작이나 고장 발생시 각 시설물(#1~#n)의 이상신호를 감지하여 수집한다. 이때, 시설물(#1~#n)의 이상신호는 경보음(싸이렌), 진동음, 전류, 전압, 온도, 압력 등 각 시설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파라미터일 수 있다. IoT detectors (11a~11n) are installed directly or adjacent to each facility (#1~#n), and each facility (#1~#n) is installed in case of abnormal operation or failure of each facility (#1~#n). ) To detect and collect. At this time, the abnormal signal of the facilities #1 to #n may be various parameter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each facility such as an alarm sound (siren), a vibration sound, current, voltage, temperature, and pressure.

이러한 IoT 감지기(11a~11n)는 하나의 시설물에 한 대 또는 여러 대가 설치되어 시설물에서 발생하는 경보신호를 포함하는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하는 시설물의 이상신호로는 예를 들어, 시설물의 경보음, 진동음, 또는 비정상적인 전류/전압/온도/압력/가스/연기 등일 수 있다. These IoT detectors 11a to 11n include sensors for detecting abnormal signals including an alarm signal generated by one or more units installed in one facility. For example, an abnormal signal of a facility detected through the sensor may be, for example, an alarm sound, a vibration sound, or an abnormal current/voltage/temperature/pressure/gas/smoke of the facility.

IoT 감지기(11a~11n)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리 감지센서, 진동 감지센서, 과전류센서, 과전압센서, 온도센서, 압력센서, 증기센서, 수압센서, 연기센서, 가스센서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이러한 센서들은 시설물의 특성에 따라 시설물의 이상 동작이나 고장발생에 기인한 이상신호 등을 감지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IoT detectors 11a to 11n are at least one of a sound sensor, a vibration sensor, an overcurrent sensor, an overvoltage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pressure sensor, a steam sensor, a water pressure sensor, a smoke sensor, a gas sensor, etc. Including sensors, these sensors detect an abnormal operation of a facility or an abnormal signal caused by a failur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y.

또한, IoT 감지기(11a~11n)는 전용 LCD 표시창이 구비되어 시설물의 이상신호 감지여부와, 감지신호를 전용 단말기(12)로 전송 완료 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In addition, the IoT detectors 11a to 11n are provided with a dedicated LCD display window to display whether or not an abnormal signal of the facility is detected and the status of transmission completion of the detection signal to the dedicated terminal 12 in real time.

그리고, IoT 감지기(11a~11n)에서 전용 단말기(12)로 전송되는 감지신호는 시설물의 이상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갖는다. 예를 들어, 신호의 크기(폭)를 다르게 하여 이상신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감지신호를 출력하여 차별화한다. In addition, the detecti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IoT detectors 11a to 11n to the dedicated terminal 12 have different signals according to the abnormal signal of the facility. For example, different signal sizes (width) are differentiated by outputting different detection signals according to the type of abnormal signal.

예를 들면, 소방설비(#1)에서 발생한 이상신호가 소방설비(#1)의 화재 경보음인 경우 제1 폭을 갖는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화재 경보음 이외에 소방설비(#1)에 구축된 전기 및 전자장치의 과전류이나 과전압에 대응하는 이상신호인 경우 제1 폭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차별화하여 생성한다. For example, when the abnormal signal generated by the firefighting facility #1 is a fire alarm sound of the firefighting facility #1, a detection signal having a first width is generat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abnormal signal corresponding to an overcurrent or overvoltage of an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built in the firefighting facility #1 in addition to the fire alarm sound, a detection signal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is generated by differentiating it.

또한, IoT 감지기(11a~11n)에 의해 생성된 감지신호의 데이터는 IoT 감지기(11a~11n)에 포함된 각 센서에 대응하여 부여받은 고유한 식별번호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센서별 고유한 식별번호는 시설물의 이상신호 종류와 대응한다. 상기 센서의 종류, 예를 들면, 소리 감지센서, 진동 감지센서, 과전류센서, 과전압센서, 온도센서, 압력센서, 증기센서, 수압센서, 연기센서, 가스센서에 따라 고유한 식별번호가 부여되고, 이러한 식별번호는 IoT 감지기(11a~11n)에 의해 생성된 감지신호에 포함된다. In addition, the data of the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IoT detectors 11a to 11n includes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given in response to each sensor included in the IoT detectors 11a to 11n. The identification number corresponds to the type of abnormal signal of the facility.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ensor, for example, sound detection sensor, vibration detection sensor, overcurrent sensor, overvoltage sensor, temperature sensor, pressure sensor, steam sensor, water pressure sensor, smoke sensor, gas sensor, This identification number is included in the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IoT detectors 11a to 11n.

이를 통해, 전용 단말기(12)는 IoT 감지기(11a~11n)에서 전송되는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이상신호가 발생된 시설물을 식별하는 한편, 해당 감지신호의 크기를 토대로 이상신호의 종류를 쉽게 분석하여 이상신호의 원인을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dedicated terminal 12 analyzes th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oT detectors 11a to 11n to identify the facility where the abnormal signal is generated, and easily analyzes the type of the abnormal signal based on the size of the detection signal. The cause of the abnormal signal can be more easily recognized.

또한,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 시설물(#1~#n)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각 시설물(#1~#n)의 이상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수집하고, 각 시설물(#1~#n)의 이상신호 발생시 감지된 감지신호를 무선 통신망(15)을 통해 전용 단말기(12)로 전송한다. 이때, 무선 통신망(15)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 인터넷망 또는 이동 통신망일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facility (#1~#n) by wire or wireless to detect and collect abnormal signals of each facility (#1~#n) in real time, and When an abnormal signal is generated, the detect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edicated terminal 12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5.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5 may b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 Internet networ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oT 감지기(11a~11n)에는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번호(또는 식별기호) 등이 부여된다. 그리고, IoT 감지기(11a~11n)에서 생성된 감지신호에는 IoT 감지기별로 부여된 식별번호와 대응하는 식별번호가 포함된다. 즉, 상기 감지신호는 IoT 감지기마다 부여된 고유한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이다. 이에 따라, 전용 단말기(12)는 IoT 감지기(11a~11n) 중 어느 하나의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감지신호의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한 식별번호를 토대로 현재 감지신호를 전송한 IoT 감지기를 식별하고, 이를 통해 해당 IoT 감지기가 감지한 시설물을 식별하여 표시한다. The IoT detectors 11a to 11n are given an identification number (or identification symbol) to be identified. In addition, the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IoT detectors 11a to 11n includes an identification number assigned to each IoT detector and an identification number corresponding to it. That is, the detection signal is a data signal including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ssigned to each IoT detector. Accordingly, when a detection signal of any one of the IoT detectors 11a to 11n is received, the dedicated terminal 12 detects the IoT detector that has transmitted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data of the received detection signal. It identifies and displays the facility detected by the IoT detector through this.

전용 단말기(12)는 중앙 관리실, 예를 들면 아파트의 경우 관리실이나 경비실에 비치되고, 각 시설물(#1~#n)의 이상신호 발생에 대응하여 각 IoT 감지기(11a~11n)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통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한편, 무선 통신망(15)을 통해 기등록된 근로자 단말기(#P1~#Pn)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Dedicated terminal 12 is provided in a central management room, for example, in a management room or security room in the case of an apartment, and detection transmitted from each IoT detector 11a-11n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signal in each facility (#1 ~ #n). The signal is received and integrated into a database, while an alarm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previously registered worker terminals #P1 to #P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5.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용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edicated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용 단말기(12)는 사용자와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면, 휴대가 용이하도록 9인치 터치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dedicated terminal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9-inch touch terminal to facilitate portability, for example, to provide a user interface (GUI).

본 발명에 따른 전용 단말기(12)는 IoT 감지기(11a~11n)의 감지신호를 수집하여 통합하고, 이에 응답하여 근로자 단말기(#P1~#Pn)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신호 수신부(121), 신호 식별부(122), 신호 분석부(123), 타이머(124, 제어부(125), 표시부(126), 문자 전송부(127), 스케쥴 관리부(128), 문자 수신 확인부(129) 및 SMS 설정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우선순위 결정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edicated terminal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nd integrates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IoT detectors 11a to 11n, and in response thereto, transmits an alarm message to the worker terminals #P1 to #Pn, as shown in FIG. Signal receiving unit 121, signal identification unit 122, signal analysis unit 123, timer 124, control unit 125, display unit 126, text transmission unit 127, schedule management unit 128, character reception confirmation It includes a unit 129 and an SMS setting unit 130. Further, a priority determining unit 131 may be further included.

신호 수신부(121)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 수신부로서, 각 IoT 감지기(11a~11n)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14)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여 각 시설물(#1~#n)의 이상신호 발생시 IoT 감지(11a~11n)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한다. The signal receiving unit 121 is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receiving unit, and when an abnormal signal of each facility (#1 to #n) is generated by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IoT detector (11a to 11n)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4) It receives a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oT detection (11a ~ 11n).

신호 식별부(122)는 신호 수신부(121)를 통해 수신된 감지신호가 어느 시설물의 이상신호를 감지한 IoT 감지기의 감지신호인지를 식별한다. 이때, 식별은 감지신호의 데이터에 포함된 IoT 감지의 고유 식별번호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ignal identification unit 122 identifies whether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ignal reception unit 121 is a detection signal of an IoT detector that has detected an abnormal signal of a facility.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may be implemented by analyzing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IoT detection included in the data of the detection signal.

신호 분석부(123)는 신호 식별부(122)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의 신호 크기(폭), 혹은 감지신호의 데이터에 포함된 이상신호 종류별 고유한 식별번호를 분석한다. The signal analysis unit 123 analyzes the signal size (width) of th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identification unit 122 or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for each type of abnormal signal included in the data of the detection signal.

즉, 상기 감지신호가 시설물의 이상신호가 경보음, 진동음, 전류, 전압, 온도, 압력 등의 파라미터들 중 어느 하나의 파라미터에 해당하는지를 분석한다. 이렇게 분석된 파라미터는 표시부(126)의 메인화면에 해당 시설물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That is, the detection signal analyzes whether the abnormal signal of the facility corresponds to any one of parameters such as alarm sound, vibration sound, current, voltage, temperature, and pressure. The analyzed parameter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facility on the main screen of the display unit 126.

제어부(125)는 전용 단말기(12)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신호 식별부(122)와 신호 분석부(123)에 의해 식별 및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현재 이상신호, 즉, 이벤트가 발생한 시설물과, 해당 시설물의 이상신호의 원인인 파라미터를 표시부(126)로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하고, 문자 전송부(127)를 통해 스케쥴 관리부(128)에 의해 해당 요일에 근무하는 근무자 단말기(#P1~#Pn)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The controller 125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dicated terminal 12, and based on the results identified and analyzed by the signal identification unit 122 and the signal analysis unit 123, the current abnormal signal, that is, the facility where the event has occurred, and , The parameter, which is the cause of the abnormal signal of the facility,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26 to be displayed, and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128 through the text transmission unit 127 uses the worker terminals (#P1~#Pn) working on the day of the week. ) To send an alarm message.

스케쥴 관리부(128)는 시설물을 관리하는 관리직원의 전체 스케쥴(근무일)을 설정 및 관리한다. 이를 통해, 시설물의 이상신호(이벤트) 발생시 해당 일과 해당 시간에 실질적으로 근무를 수행하는 근무자의 단말기로만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128 sets and manages the entire schedule (working days) of management staff who manage facilities. Through this, when an abnormal signal (event) of a facility occurs, an alarm message is transmitted only to the terminal of the worker who actually works on the day and time.

문자 수신 확인부(129)는 근무자가 문자 전송부(127)에서 근무자 단말기(#P1~#Pn)로 전송된 경보 메시지를 확인했는지 그 여부를 확인하여 제어부(125)로 전송한다. The text reception confirmation unit 129 checks whether or not the worker checks the alarm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text transmission unit 127 to the worker terminals #P1 to #Pn,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25.

근무자의 경보 메시지 확인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근무자 단말기(#P1~#Pn)에는 '감시 및 경보 통합앱'이 기설치되어 있어 문자 전송부(127)에서 경보 메시지가 전송되면 자동으로 실행되어 활성화됨과 동시에 단말기의 화면창에는 경보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버튼이 함께 제공된다. 이후, 근무자가 상기 확인 버튼을 터치하면, 경보 메시지 확인 신호는 근무자 단말기(#P1~#Pn)에 실행된 감시 및 경보 통합앱을 통해 문자 수신 확인부(129)로 전송된다. The method to check whether the worker's alarm message is checked is as follows. Worker terminals (#P1~#Pn) are equipped with a'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app', so when an alarm message is transmitted from the text transmission unit 127, it is automatically executed and activated, and an alarm message is received on the screen window of the terminal. It comes with a confirmation button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reafter, when the worker touches the confirmation button, the alarm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xt reception confirmation unit 129 through the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ion app executed on the worker terminals (#P1 to #Pn).

우선순위 결정부(131)는 시설물(#1~#n) 중 2개 이상의 복수 개의 시설물에서 이상신호가 동시에 발생하여 신호 수신부(121)를 통해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우선적으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할 시설물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소방설비(#n)의 이상 동작시 다른 시설물들에 비해 우선적으로 경보를 하도록 한다. The priority determining unit 131 is a facility that will preferentially transmit an alarm message when a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signal receiving unit 121 due to simultaneous occurrence of an abnormal signal in two or more of the facilities (#1 to #n). To decide.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bnormal operation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n is performed, an alarm is given priority over other facilitie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용 단말기의 메인화면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in screen of a dedicated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표시부(126)의 메인화면에는 각 시설물(#1~#n)에 대응하는 경보 아이콘(126a)이 우측 상단에 제공되고, 이상신호 발생시 '일자(날짜/시간)', '구분(상태)', '이벤트', '메시지 발송 보고서(SMS REPORT)' 등을 포함하는 이벤트 화면(126b)이 제공되며, 좌측 상단에는 메시지 전송 아이콘(SMS 보내기)(126c)이 제공된다. Referring to FIG. 3, on the main screen of the display unit 126, an alarm icon 126a corresponding to each facility (#1 to #n) is provided on the upper right, and when an abnormal signal occurs, a'date (date/time)', An event screen 126b including'classification (status)','event', and'SMS REPORT' is provided, and a message transmission icon (SMS sending) 126c is provided in the upper left corner.

경보 아이콘(126a)은 각 시설물(#1~#n)에 각각 대응하는 아이콘으로서, 각 시설물(#1~#n) 중 현재 이상신호가 발생된 시설물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활성화시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아이콘 활성화는 점등이나 점멸 등으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alarm icon 126a is an icon corresponding to each facility (#1 to #n), and is displayed by activating an icon corresponding to a facility where an abnormal signal is currently generated among the facilities (#1 to #n). In this case, activation of the icon may be implemented by lighting or flashing.

이벤트 화면(126b)에서, '일자'는 현재 이상신호가 발생하는 날짜와 시간을 표시하고, '구분(상태)'은 시설물의 이상신호 발생 여부를 표시하는 것으로, 이상신호 발생시 '발생'을 표시하고, 시설물의 이상 발생이 완료되면 '해제'로 표시한다. In the event screen 126b,'Date' indicates the date and time at which the current abnormal signal occurs, and'Division (Status)' indicates whether or not an abnormal signal has occurred in the facility, and indicates'Occurrence' when an abnormal signal occurs. And, when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in the facility is completed, it is marked as'off'.

'이벤트'는 이상신호가 발생된 대상 시설물을 표시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통신설비(#3)에 이상신호가 발생한 경우 '통신모듈장애'로 표시하고, 소방설비(#n)의 이상 동작이나, 혹은 화재 발생으로 인해 화재 경보음과 같은 이상신호가 발생된 경우에는 '소방경보'로 표시한다. '메시지 발송 보고서'는 시설물의 이상신호 발생시 경보 메시지의 발송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시간 및 메시지 발송 근무자 등을 표시한다. 'Event' indicates the target facility where an abnormal signal has occurred. For example, if an abnormal signal occurs in the communication facility (#3), it is indicated as'communication module failure', and the firefighting facility (#n) malfunctions. However, if an abnormal signal such as a fire alarm sound is generated due to the occurrence of a fire, it is indicated as'fire alarm'. The'message sending report' displays information about sending an alarm message when an abnormal signal occurs in a facility, and displays the time and the person who sent the message.

도 1과 같이, 전용 단말기(12)는 시설물의 이상신호 발생시 근무자 단말기(#P1~#Pn)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이때 경보 메시지를 모든 시설 관리직원에거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일자에 근무하는 근무자의 단말기로 선별하여 전송한다. As shown in FIG. 1, the dedicated terminal 12 transmits an alarm message to the worker terminals (#P1 to #Pn) when an abnormal signal of a facility occurs, and at this time, the alarm message is not transmitted to all facility management personnel, but works on the corresponding day. Se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working work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용 단말기의 스케쥴 설정화면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dule setting screen of a dedicated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스케쥴 관리부(128)는 표시부(126)를 통해 시설물의 이상신호 발생시 해당 일 또는 시간에 근무하는 근무자의 단말기로만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시설 관리직원의 스케쥴을 관리할 수 있는 스케쥴 관리화면(126d)을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128 can manage the schedule of the facility management staff in order to transmit an alarm message only to the terminal of the worker working at the corresponding day or time when an abnormal signal of the facility occurs through the display unit 126. A schedule management screen 126d is provided.

스케쥴 관리화면(126d)은 메인화면과 별도로 새로운 화면창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메인화면에는 스케쥴 관리 아이콘(미도시)이 더 제공되어 사용자가 상기 스케쥴 관리 아이콘을 클릭하면 자동 실행되도록 프로그램화될 수 있다. The schedule management screen 126d may be provided as a new screen window separate from the main screen. In this case, a schedule management icon (not shown) is further provided on the main screen shown in FIG. 3, and the program can be programmed to be automatically executed when the user clicks the schedule management icon.

스케쥴 관리부(128)는 전체 시설 관리직원을 '주간', '야간', 그룹별('A그룹', 'B그룹', 'C그룹')로 구별하여 각 직원의 근무 스케쥴을 설정하도록 제공하고, 이때, 캘린더(calendar) 방식으로 월/일/시간 별로 근무시간을 설정하여 등록한다.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128 divides the entire facility management staff into'daytime','nighttime', and by group ('A group','B group','C group') to set the work schedule for each employee. , At this time, the working hours are set and registered for each month/day/hour in a calendar method.

즉, 스케쥴 관리부(128)는 전체 시설 관리직원을 '주간', '야간', 그룹별('A그룹', 'B그룹', 'C그룹')로 구별하여 근무시간과 교대시간을 설정하고, 표시부(126)를 통해 월간 캘린더 방식으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입력하여 설정하도록 한다. That is,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128 sets the working hours and shift hours by classifying the entire facility management staff into'daytime','nighttime', and by group ('A group','B group','C group'). , It is provided in a monthly calendar method through the display unit 126 so that the administrator inputs and sets it.

또한, 현재 근무자와 다음 근무자 간의 공백을 고려하여 근무시간이 끝나는 끝시간과 교대시간이 시작되는 시작시간 사이에 이들 시간이 일정 시간 중첩되는 중첩시간을 추가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25)는 상기 중첩시간에 시설물의 이상 신호가 발생하면 현재 근무자와 다음 근무자의 단말기로 모두 경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gap between the current worker and the next worker, an overlapping time in which these times overlap for a predetermined time can be added between the end time at which the working hours ends and the start time at which the shift time begins.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25 transmits an alarm message to both the terminals of the current worker and the next worker when an abnormal signal of the facility occurs during the overlapping time.

한편, 상기 중첩시간은 현재 근무자의 근무시간이 끝나는 끝시간과 다음 근무자의 교대시간이 시작되는 시작시간의 전후로 대략 5분에서 10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근무시간의 끝시간이 9시 00분이고, 다음 근무시간의 시작시간이 9시 00분이면, 상기 중첩시간은 8시 50분에서 9시 10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overlapping time may be set to approximately 5 to 10 minutes before and after the end time at which the current worker's working time ends and the start time at which the next worker's shift time starts. For example, if the end time of the current working time is 9:00 and the start time of the next working time is 9:00, the overlapping time may be set from 8:50 to 9:1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용 단말기의 SMS 환경 설정화면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SMS environment setting screen of a dedicated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와 같이, SMS 설정부(130)는 표시부(126)를 통해 SMS 환경설정 화면(126e)을 제공하여 관리자가 전송할 경보 메시지의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As shown in FIG. 5, the SMS setting unit 130 provides an SMS environment setting screen 126e through the display unit 126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set the environment of the alert message to be transmitted.

SMS 환경설정 화면(126e)에는 'SMS 계정', '계정 암호', '발신 번호', 그리고, SMS 발송과 관련한 '대기시간', '발송횟수' 등을 입력하는 입력창이 제공된다. 또한, 전체 시설 관리직원의 성명, 직책, 핸드폰 번호 등을 입력하는 입력창이 제공된다. On the SMS configuration screen 126e,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SMS account','account password','calling number', and'waiting time' related to SMS sending, and'number of transmissions' are provided. In addition, an input window for entering the name, title, and mobile phone number of the entire facility management staff is provided.

또한, SMS 설정부(130)는 잦은 오동작 발생시 무분별하게 경보 메시지가 근무자에게 발송되어 혼동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SMS 발송시 지연시간을 설정하도록 제공한다. 이때, SMS 발송 지연시간은 초 단위로 설정하고, 이상 신호 발생한 상태에서 설정된 지연 시간 경과 후 경보 메시지가 근무자 단말기(#P1~3Pn)로 발송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SMS setting unit 130 provides to set a delay time during SMS transmission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by indiscriminately sending an alarm message to a worker when frequent malfunctions occur. At this time, the SMS sending delay time is set in seconds, and an alarm message is sent to the worker terminals (#P1~3Pn) after the set delay time elapses in the state of an abnormal signal.

제어부(125)는 신호 수신부(121)를 통해 감지신호가 수신된 후 설정된 시간(즉, SMS 발송 지연시간 내의 시간) 후 동일한 IoT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시설물 또는 해당 IoT 감지기의 오동작으로 판단하여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same IoT detector after a set time (i.e., within the delay time of SMS sending) after th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signal receiving unit 121, the control unit 125 malfunctions of the facility or the IoT detector. It is judged as and does not transmit an alarm message.

또한, SMS 설정부(130)는 경보 메시지 발송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문자 전송부(127)는 SMS 설정부(130)에 의해 설정된 설정 조건에 따라 경보 메시지를 근무자 단말기(#P1~#Pn)로 전송한다. 이때, 경보 메시지 전송은 근무자가 근무자 단말기(#P1~#Pn)로 전송되는 경보 메시지를 확인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SMS setting unit 130 may set the number of times the alert message is sent. Accordingly, the text transmission unit 127 transmits an alert message to the worker terminals #P1 to #Pn according to the setting conditions set by the SMS setting unit 130.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of the alarm message is repeated until the worker checks the alarm message transmitted to the worker terminal (#P1~#P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과 달리 전용 단말기(12) 대신에 가상사설서버(클라우드 서버)(22)를 구축하여 각각의 IoT 감지기(11a~11n)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수집한 후 무선 통신망(15)을 통해 근무자 단말기(#P1~#Pn)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가상사설서버(22)는 전술한 전용 단말기(12)와 동일한 작동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프로그램화되어 있고, 인터넷망을 통해 기타 IT 인프라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이외는 도 1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6, the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rtual private server (cloud server) 22 instead of a dedicated terminal 12 unlike the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ion system shown in FIG. Is constructed to receive and collect detecti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respective IoT detectors 11a to 11n, and then transmits an alarm message to the worker terminals (#P1 to #P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5. At this time, the virtual private server 22 is programmed to operate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dedicated terminal 12, and other IT infrastructures can be conveniently us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Other than that, it has the same structure as FIG.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preferr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not limitation. As such,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n : 시설물
#P1~#Pn : 근무자 단말기
11a~11n : IoT 감지기
12 : 전용 단말기
14 : 유선 및 무선 통신망
15 : 무선 통신망
22 : 가상사설서버(클라우드 서버)
121 : 신호 수신부
122 : 신호 식별부
123 : 신호 분석부
124 : 타이머
125 : 제어부
126 : 표시부
127 : 문자 전송부
128 : 스케쥴 관리부
129 : 문자 수신 확인부
130 : SMS 설정부
131 : 우선순위 결정부
126a : 경보 아이콘
126b : 이벤트 화면
126c : 메시지 전송 아이콘
126d : 스케쥴 관리화면
126e : SMS 환경 설정화면
#1~#n: Facilities
#P1~#Pn: Worker terminal
11a~11n: IoT detector
12: dedicated terminal
14: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15: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2: Virtual private server (cloud server)
121: signal receiver
122: signal identification unit
123: signal analysis unit
124: timer
125: control unit
126: display
127: text transmission unit
128: schedule management unit
129: text receipt confirmation unit
130: SMS setting unit
131: priority decision unit
126a: alarm icon
126b: Event screen
126c: message transfer icon
126d: Schedule management screen
126e: SMS configuration screen

Claims (10)

각종 건물의 내외부에 설치된 공조설비, 급배수설비, 전력설비, 소방설비, 통신설비, 난방설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비를 포함하는 시설물의 이상 동작이나 고장 발생시 발생하는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IoT(Internet of thing) 감지기들; 및
상기 IoT 감지기들과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시설물의 이상 동작이나 고장 발생시 발생하는 이상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IoT 감지기들의 감지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제공받아 해당 시설물의 이상신호를 표시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기등록된 근무자 단말기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용 단말기 또는 가상사설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
IoT (IoT) that detects abnormal signals generated in the event of abnormal operation or failure of a facility including at least one of air conditioning equipment, water supply and drainage equipment, power equipment, firefighting equipment, communication equipment, and heating equipment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of various buildings. Internet of thing) detectors; And
The IoT detectors are connected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receive detection signals of the IoT detectors corresponding to an abnormal signal generated when an abnormal operation or failure of the facility occurs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display an abnormal signal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 Dedicated terminal or virtual private server for transmitting an alarm message to a previously registered worker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system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감지기들은 각각 상기 시설물에 설치되거나 상기 시설물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시설물의 이상 동작이나 고장 발생시 발생하는 시설물의 이상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시설물의 이상신호는 경보음, 진동음, 또는 비정상적인 전류/전압/온도/압력/가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oT detector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acility or installed close to the facility to detect an abnormal signal of the facility that occurs when an abnormal operation or failure of the facility occurs, and the abnormal signal of the facility is an alarm sound, a vibration sound, or an abnormal current/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voltage / temperature / pressure / ga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감지기들은 각각 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상기 전용 단말기 또는 상기 가상사설서버는 상기 IoT 감지기들 중 어느 하나의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감지신호에 포함된 고유한 식별번호를 토대로 현재 감지신호를 전송한 IoT 감지기를 식별하여 이상신호가 발생한 시설물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IoT detectors is assigned an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dedicated terminal or the virtual private server receives a current detection signal based on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received detection signal when any one of the IoT detectors is received. A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identifying a transmitted IoT detector to identify a facility where an abnormal signal has occurr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단말기는,
상기 IoT 감지기들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감지신호를 토대로 어느 시설물의 이상신호에 대응하는 감지신호인지를 식별하여 이상신호가 발생된 시설물을 식별하는 신호 식별부;
상기 신호 식별부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신호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해당 시설물의 이상신호가 경보음, 진동음 또는 비정상적인 전류/전압/온도/압력/가스/연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이상신호인지를 분석하는 신호 분석부;
상기 신호 식별부와 상기 신호 분석부에 의해 식별 및 분석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신호 식별부로부터 식별된 해당 시설물에 대응하는 경고 메시지를 근로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문자 전송부;
상기 시설물을 관리하는 관리직원의 전체 스케쥴을 설정 및 관리하는 스케쥴 관리부; 및
상기 표시부를 통해 현재 이상신호가 발생한 해당 시설물과, 해당 시설물의 이상신호의 종류를 표시하고, 상기 문자 전송부를 통해 현재 이상신호가 발생한 해당 시설물과 이상신호의 종류를 포함하는 경고 메시지를 상기 근로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edicated terminal,
A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oT detectors;
A signal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facility in which the abnormal signal is generated by identifying a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n abnormal signal of a facility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ignal receiving unit;
An abnormality corresponding to any one of an alarm sound, a vibration sound, or an abnormal current/voltage/temperature/pressure/gas/smoke by analyzing th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identification unit. A signal analysis unit that analyzes whether a signal is a signal;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result identified and analyzed by the signal identification unit and the signal analysis unit;
A text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warning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facility identified by the signal identification unit to a worker terminal;
A schedule management unit for setting and managing the entire schedule of the management staff managing the facility; And
Through the display unit, the facility for which an abnormal signal is currently generated and the type of the abnormal signal of the facility are displayed, and a warning message including the type of the facility where the abnormal signal is currently generated and the type of the abnormal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text transmission unit to the worker terminal.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to;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system comprising a.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설물들 중 어느 하나의 시설물에 이상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스케쥴 관리부에 의해 설정된 해당 일자에 근무를 수행하는 근무자의 근무자 단말기로만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n an abnormal signal occurs in any one of the facilities,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alarm message only to a worker terminal of a worker who works on a corresponding day set by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단말기는 상기 문자 전송부에서 상기 근무자 단말기로 전송된 경보 메시지를 확인했는지 그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문자 수신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근무자 단말기에는 '감시 및 경보 통합앱'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문자 전송부에서 경보 메시지가 전송되면 '감시 및 경보 통합앱'이 자동으로 활성화됨과 동시에 상기 근로자 단말기의 화면창에는 경보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버튼이 함께 제공되고, 근무자가 상기 확인 버튼을 터치하면, 경보 메시지 확인신호는 상기 근무자 단말기에 실행된 '감시 및 경보 통합앱'을 통해 상기 문자 수신 확인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dedicated terminal further includes a text reception confirmation unit that checks whether the text transmission unit has confirmed the alarm message transmitted to the worker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nd the worker terminal includes a'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app' When an alarm message is transmitted from the text transmission unit, the'monitoring and alarm integration app' is automatically activated, and a confirmation button is provided on the screen window of the worker terminal to confirm receipt of the alarm message. When the confirmation button is touched, an alarm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xt reception confirmation unit through a'monitoring and alarm integration app' executed on the worker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단말기는 상기 시설물들 중에서 2개 이상의 복수 개의 시설물에서 이상신호가 동시에 발생하여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IoT 감지기로부터 2개 이상의 감지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 우선적으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할 시설물을 결정하는 우선순위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dedicated terminal preferentially determines a facility to transmit an alarm message when two or more detection signals are simultaneously received from the IoT detector through the signal receiving unit because an abnormal signal is simultaneously generated from two or more facilities among the facilities.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iority determining uni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 관리부는 상기 시설물들 중 어느 하나의 시설물에 이상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일자에 근무하는 근무자의 근무자 단말기로만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월간 캘린더 방식으로 제공하여 시설 관리직원의 스케쥴을 관리하되, 전체 시설 관리직원을 '주간', '야간', '그룹별'로 구별하여 근무시간과 교대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n an abnormal signal occurs in any one of the facilities,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provides a monthly calendar method through the display unit in order to transmit an alarm message to only the terminal of the worker of the worker who works on that day. The facility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ire facility management staff is divided into'weekly','night', and'by group' to set working hours and shift time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 관리부는 현재 근무자와 다음 근무자 간의 공백을 고려하여 근무시간이 끝나는 끝시간과 다음 근무자의 교대시간이 시작되는 시작시간 사이에 이들 시간이 일정 시간 중첩되는 중첩시간을 추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첩시간에 상기 시설물들 중 어느 하나의 시설물에서 이상신호가 발생하면 현재 근무자 및 다음 근무자의 근무자 단말기로 모두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adds an overlapping time in which these times overlap for a certain time between the end time at which working hours end and the start time at which the shift time of the next worker starts, taking into account the gap between the current worker and the next worker,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When an abnormal signal occurs in any one of the facilities at the overlapping time, an alarm message is transmitted to both the terminal of the current worker and the next work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단말기는 잦은 오동작 발생시 무분별하게 경보 메시지가 근무자에게 발송되어 혼동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SMS 발송시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SMS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감지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SMS 발송시 지연시간 내로 설정된 시간 후 동일한 IoT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시설물 또는 해당 IoT 감지기의 오동작으로 판단하여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dedicated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SMS setting unit for setting a delay time during SMS transmission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by indiscriminately sending an alarm message to a worker in case of frequent malfunction,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a detection signal through the signal receiving unit. After the SMS is sent, if a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same IoT detector after a time set within the delay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facility or the IoT detector malfunctions and does not transmit an alarm message. .
KR1020190030604A 2019-03-18 2019-03-18 System for monitoring and alarming abnormal operation of facilities KR2020011098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604A KR20200110982A (en) 2019-03-18 2019-03-18 System for monitoring and alarming abnormal operation of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604A KR20200110982A (en) 2019-03-18 2019-03-18 System for monitoring and alarming abnormal operation of facili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982A true KR20200110982A (en) 2020-09-28

Family

ID=72801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604A KR20200110982A (en) 2019-03-18 2019-03-18 System for monitoring and alarming abnormal operation of 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0982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91698A (en) * 2021-04-19 2021-06-18 奇力士(武汉)智慧水务科技有限公司 Pump room health degree dete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secondary water supply equipment
KR20220155969A (en) * 2021-03-12 2022-11-24 한양기전공업 주식회사 Big data .
KR20230029270A (en) * 2021-08-24 2023-03-03 박은정 Real-time response system for the urgent state in a collective building through the manager of a collective building
KR102606063B1 (en) * 2023-05-19 2023-11-24 이에스콘트롤스(주) Building Automation System with failure prediction fun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908B1 (en) 2009-05-27 2011-05-23 지멘스 주식회사 intergrated type processing system of warning signal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KR101872464B1 (en) 2017-11-07 2018-08-02 주식회사 세진 Lonworks-based building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control system with heterogeneous protocol conversion fun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908B1 (en) 2009-05-27 2011-05-23 지멘스 주식회사 intergrated type processing system of warning signal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KR101872464B1 (en) 2017-11-07 2018-08-02 주식회사 세진 Lonworks-based building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control system with heterogeneous protocol conversion func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969A (en) * 2021-03-12 2022-11-24 한양기전공업 주식회사 Big data .
CN112991698A (en) * 2021-04-19 2021-06-18 奇力士(武汉)智慧水务科技有限公司 Pump room health degree dete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secondary water supply equipment
KR20230029270A (en) * 2021-08-24 2023-03-03 박은정 Real-time response system for the urgent state in a collective building through the manager of a collective building
KR102606063B1 (en) * 2023-05-19 2023-11-24 이에스콘트롤스(주) Building Automation System with failure prediction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0982A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alarming abnormal operation of facilities
US118938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building
KR101223680B1 (en) Smart type fire monitoring and detecting system
KR100767065B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403465B1 (en) Switchboard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mobile app.
KR20130056211A (en) Aspirating environmental sensor with webserver and email notification
US20140266764A1 (en) Security system providing a localized humanly-perceivable alert for identifying a facility to emergency personnel
KR102403189B1 (en)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JP6691722B2 (en)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1017324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ing fire alarm control panels from distance
EP327024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and displaying site safety metrics
KR101727530B1 (en) Maintenance System for electric installation based on mobile app
KR1022458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alarming indoor fire prevention
KR100892604B1 (en) Complex control module for fire protection
US20150123782A1 (en) Supervising alarm notification devices
CN213049122U (en) Fire control system based on thing networking
KR101775489B1 (en) Monitoring system of power supply apparatus for fire fighting equipment
WO2019079862A1 (en) Fire detection system, automatic data capture, remote testing, analysis, apparatus and methods
KR101023800B1 (en) Remote fire protection system
KR20130094097A (en) Address type wire and wireless fire alarm system
JP6810616B2 (en) Fire alarm system
US8635337B2 (en) System and method of troubleshooting
JP6641176B2 (en) Security service support system and security device
KR100796143B1 (en) Alarm message transmit system and process
JP6650751B2 (en) Security operation suppo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