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887B1 - System and method for alarming indoor fire prevention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alarming indoor fire preven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887B1
KR102245887B1 KR1020190060384A KR20190060384A KR102245887B1 KR 102245887 B1 KR102245887 B1 KR 102245887B1 KR 1020190060384 A KR1020190060384 A KR 1020190060384A KR 20190060384 A KR20190060384 A KR 20190060384A KR 102245887 B1 KR102245887 B1 KR 102245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ensing information
detection sensor
detected
fir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3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34651A (en
Inventor
이동명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0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887B1/en
Publication of KR20200134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6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8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47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signal strengt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미리 설정한 수집주기에 따라 센싱정보를 각각 수집하고, 특정 화재감지센서의 센싱정보에서 화재발생 이상징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수집주기를 가변하여 더 많은 센싱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한 후, 상기 수집한 각각의 센싱정보에서 또 따른 이상징후가 감지되는 것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화재발생을 미리 예측하고 이를 알림으로 제공하여 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모니터링결과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화재발생 알림 및 탈출경로를 신속하게 제공하여 화재로 인한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wherein sensing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according to a preset collection period, and an abnormal symptom of fire occurrence is detected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of a specific fire detection sensor. In this case, by changing the collection period to quickly collect more sensing information, and by monitoring that another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in each of the collected sensing information, the occurrence of a fire is predicted in advance, and it is provided as a notification. In addition to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fire in advance, if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as a result of the above monitoring, the fire occurrence notification and escape route are promptly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o minimize damage to property and personnel caused by the fire. It relates to an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Description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LARMING INDOOR FIRE PREVENTION}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and its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ALARMING INDOOR FIRE PREVENTION}

본 발명은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미리 설정한 수집주기에 따라 센싱정보를 각각 수집하고, 특정 화재감지센서의 센싱정보에서 화재발생 이상징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수집주기를 가변하여 더 많은 센싱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한 후, 상기 수집한 각각의 센싱정보에서 또 따른 이상징후가 감지되는 것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화재발생을 미리 예측하고 이를 알림으로 제공하여 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모니터링결과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화재발생 알림 및 탈출경로를 신속하게 제공하여 화재로 인한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collect sensing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according to a preset collection period, and to generate abnormalities in fire in the sensing information of a specific fire detection sensor. When a symptom is detected, by changing the collection period to quickly collect more sensing information, and by monitoring that another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in each of the collected sensing information, the occurrence of a fire is predicted and notified in advance.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as a result of the above monitoring, fire occurrence notification and escape routes are promptly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fire. It relates to an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and a method that can be minimized.

최근 산업기술과 건축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대부분의 건물들이 점점 고층화되고 고밀도화되면서 화재와 같은 재난사고가 발생될 경우, 재산상의 피해뿐만 아니라 인명피해가 급격하게 증가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construction technology, most of the buildings are getting higher and higher density, and if a disaster such as a fire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property damage but also life damage may increase rapidly.

이에 따라, 공공기관, 아파트, 지하철, 학교, 공장, 공항 등과 같이 화재로 인해 인명 및 재산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서는, 화재발생을 감지하여 이에 대한 대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Accordingly, in areas where human and property damage is expected to be large due to fire, such as public institutions, apartments, subways, schools, factories, airports, etc., fire detection is used to detect fires and promptly respond to them. The need for systems is gradually increasing.

특히,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화재발생을 미리 예측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화재가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수행함과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지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에게 안전한 탈출경로를 제공하는 것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In particular,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fire, it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fire by predicting and taking action in advance.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very important to quickly respond to it and at the same time in the area where the fire occurred. It is also an important factor to provide safe escape routes for those who are located in the city.

또한 화재감지 시스템의 또 다른 중요한 요소로는, 화재발생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화재발생에 대한 오보를 줄여 해당 지역에 위치하는 사람이나 관리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important element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is to accurately detect the occurrence of fire and reduce misinformation about the occurrence of fire, thereby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of people or managers located in the area.

그러나 종래의 화재감지 시스템은, 건물 내 다수의 지역에 설치되는 복수의 CCTV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CCTV 영상을 관리자가 직접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직접 화재경보를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관리자가 모니터링을 상기 수행해야하고 별도의 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fire detection system, the administrator directly monitors CCTV images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a plurality of CCTV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reas in a building, and the user directly performs a fire alarm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ager must perform the above monitoring and a separate manpower is requir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불꽃센서, 연기센서, 온도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화재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각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토대로 화재의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관리자 혹은, 소방서와 같은 화재 대응 기관으로 자동 알림을 제공하는 화재감지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시스템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various fire detection sensors such as flame sensor, smoke sensor, temperature sensor, etc. have been installed to automatically detect the occurrence of fire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sensor.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 fire detection sensor that provides automatic notification to fire response organizations has been developed and is being commercialized.

그러나 종래의 화재감지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시스템의 경우, 화재발생을 미리 예측하여 화재를 예방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미 화재로 인한 피해가 발생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 conventional fire detection sensor, it is not intended to prevent fire by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fire in advance, but to detect the occurrence of fire using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It already has a structure in which damage from fire is bound to occur.

또한 종래의 화재감지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시스템은, 단순히 화재감지센서에서 미리 설정한 온도값 이상이 감지되거나, 불꽃이 감지되거나 또는 연기가 감지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화재 대응 기관의 불필요한 출동이나 해당 지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에 대한 불필요한 대피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 fire detection sensor considers that a fire has occurred when more than a temperature value set in advance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detected, a flame is detected, or smoke is detected. If not,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unnecessary dispatch of fire response agencies or unnecessary evacuation of people located in the area.

즉, 종래의 화재감지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시스템은, 화재발생에 대한 오보가 자주 발생될 수 있어, 사람들의 불편함을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That is, the conventional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 fire detection sensor has a problem that may cause discomfort for people, since misinformation about the occurrence of a fire may occur frequently.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과전류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온도센서, 카메라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미리 설정한 수집주기에 따라 센싱정보를 각각 수집하여, 특정 화재감지센서에서 화재발생에 대한 이상징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각 화재감지센서에 대한 수집주기를 단축하여 많은 센싱정보를 수집하도록 하고, 상기 수집주기를 단축하여 수집한 센싱정보를 복합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화재발생을 정확하게 예측하여 알림으로써, 화재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화재발생에 대한 오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로 화재발생 알림 및 화재가 발생한 지점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출구 중 해당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출구로 안내하는 탈출경로를 증강현실, 가상현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공함으로서, 화재로 인한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sensing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including an overcurrent detection sensor, a smoke detection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d a camera sensor according to a preset collection period, so that a fire occurs in a specific fire detection sensor. When an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the collection period for each fire detection sensor is shortened to collect a lot of sensing information, and the collection period is shortened to monitor the collected sensing information in a complex manner to accurately predict the occurrence of fire. As a notific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fire in advance,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misinformation about the occurrence of a fir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the user's terminal will be notified of the fire occurrence and the farthest It is intended to propose a method to minimize the damage to property and human life due to fire by providing an escape route that guides the user to the nearest exit among the distant exits in augmented reality, virtual reality, or a combination thereof.

즉, 본 발명은, 화재감지센서의 개별적인 센싱정보만을 이용하여 단순히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화재감지센서에서를 통한 이상징후 감시여부에 따라 상기 센싱정보의 수집주기를 가변하여,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에 대한 센싱정보를 더 많이 수집하여, 상기 수집한 센싱정보에서 이상징후가 복합적으로 발생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화재의 발생을 사전에 정확하게 예측하여 화재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imply detect the occurrence of fire using only individual sensing information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but varies the collection period of the sen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abnormal symptoms are monitored through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By collecting more sensing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and detecting the occurrence of complex abnormalities in the collected sensing information, the occurrence of fire can be accurately predicted in advance so that fire can be efficiently prevented. will be.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Next, the prior art existing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n the technical matter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achieve differently compared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먼저 한국공개특허 제2009-082800호(2009.07.31.)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열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및 적외선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화재 신호에 의해 1차 화재 발생 신호를 출력하며, 그 후 나머지 센서들로부터 화재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2차 화재 발생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외부로 화재 발생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First,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9-082800 (2009.07.31.) relates to a fire detection system, and the primary fire is generated by a fire signal input from any one of a heat sensor, a smoke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etection system for generating a fire alarm to the outside by outputting a signal and then outputting a secondary fire occurrence signal when a fire signal is input from the remaining sensors.

상기 선행기술은, 열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및 적외선 감지센서로부터 화재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화재 신호가 입력 될 때마다 화재 발생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는 화재의 발생을 사전에 예측하는 것도 아니며, 단순히 하나의 센서에서 화재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화재 발생 경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화재 발생 경보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The prior art is to generate a fire alarm whenever the fire signal is input when a fire signal is input from a heat sensor, a smoke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This does not predict the occurrence of a fire in advance, and since a fire alarm is generated even when a fire signal is input from a single sensor, the fire alarm is generated even when a fire does not occur,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It contains a problem that causes a problem.

반면에 본 발명은, 미리 설정한 수집주기에 따라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센싱정보를 수집하고, 특정 화재감지센서의 센싱정보에서 화재발생 이상징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수집주기를 단축하여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센싱정보를 수집하도록 한 후, 상기 수집한 각 화재감지센서의 센싱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화재발생 이상징후가 복합적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화재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서, 화재발생에 대한 오보를 방지하고 화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선행기술은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sensing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according to a preset collection period, and when an abnormal symptom of fire occurrence is detected in the sensing information of a specific fire detection sensor, the collection period is shortened to prevent the fire. After collecting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sensor, by monitoring the sensing information of each of the collected fire detection sensors, predicting that a fire will occur and providing it to the manager when the abnormal symptoms of the fire occurrence are detected in combination. To prevent misinformation and prevent fire in advance, the prior art does not describe or suggest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3-0085653호(2013.07.30.)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비상 사고가 발생한 특정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단말로 해당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에 대한 영상정보, 위치정보 및 비상탈출 방향정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여, 카메라뷰 모드로 표시하도록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3-0085653 (2013.07.30.) relates to a route guidance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nd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ute guidance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in which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including imag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emergency exit direction information on an area is provided and displayed in a camera view mode, and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상기 선행기술은 단순히, 해당 비상 사고가 발생한 위치에 상관없이 해당 지역에 대한 영상정보에 탈출경로를 오버랩한 증간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과 같이 화재의 발생을 예측하고 감지하는 것이 아니며,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가 발생한 지점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해당 사용자와 가까운 출구를 안내하는 탈출경로를 제공하는 기술적 구성을 기술적 구성을 전혀 기재하고 있지 않아, 상기 선행기술과 본 발명은 서로 상이한 기술적 특징을 가진 것이 분명하다.The prior art simply provides incremental reality content in which an escape route is overlapped with image information for a corresponding area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accident, and does not predict and detect the occurrence of a fir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vent of a fire, the technical configuration for providing an escape route that guides an exit that is far away from the point where the fire occurred and is close to the user is not described at all, so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have different technical characteristics. It is clea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 된 것으로서, 과전류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온도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화재감지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센싱정보를 복합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화재발생을 사전에 예측하여 알림으로써, 화재예방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mplexly monitoring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various fire detection sensors such as overcurrent detection sensor, smoke detection sensor, temperature sensor, etc., and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fire in advan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performing fire prevention by means of notification.

이때, 상기 모니터링은 상기 수신되는 각 센싱정보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을 계산하여, 산출되는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In this case, the monitoring is performed by calculating a change amount of each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over time and confirming a trend of the calculated sensing information increase or decrease patter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화재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에서 화재발생에 대한 이상징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화재감지센서에 대한 센싱정보 수집주기를 가변(즉, 수집주기를 줄임)하여 상기 각 화재감시센서로부터 더 많은 센싱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각각의 센싱정보에 대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를 모니터링하여 새로운 이상징후가 복합적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화재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여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화재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bnormal symptom of a fire occurrence is detected by any one of the fire detection sensors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for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varied (ie, the collection period is reduced) to Quickly collects mor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fire monitoring sensor, monitors the trend of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for each of the collected sensing information, predicts that a fire will occur when a new abnormal symptom is complexly detected, and asks the manag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fire in advance as a notific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니터링 결과,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및 화재 대응 기관으로 신속하게 알림으로써, 상기 화재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quickly responding to the fire by promptly notifying the manager and the fire response organiz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Another purpose is to do i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화재발생 알림과 동시에 화재발생 지점 및 해당 사용자의 위치와 가장 가깝고 상기 화재발생 지점과 먼 출구를 안내하는 탈출경로를 증강현실, 가상현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공하여,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has occurred, informs the fire occurrence point to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and at the same time guides the fire occurrence point and the exit closest to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distant from the fire occurrence poin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n escape route in augmented reality, virtual reality, or a combination thereof to safely esc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은, 실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화재감지센서별 센싱정보를 시간 순서대로 누적하여 저장하는 센싱정보 수신부, 상기 저장한 각 센싱정보에 대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을 각각 산출하는 센싱정보 증감패턴 산출부 및 상기 산출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를 모니터링하여 화재발생을 사전에 예측하거나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화재발생 예측부 및 상기 화재발생을 예측한 결과 또는 화재발생을 감지한 결과를 관리자 혹은 재난 대응 기관으로 제공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sensing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installed indoors, and accumulates and stores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for each fire detection sensor in chronological order. A fire receiving unit, a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calculating unit that calculates a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for each of the stored sensing information, and a fire that predicts fire in advance or detects a fire by monitoring the trend of the calculated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ccurrence prediction unit and a notification unit for providing a result of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fire or a result of detecting the occurrence of fire to a manager or a disaster response organization.

또한 상기 센싱정보 증감패턴은, 상기 시간 순서대로 누적하여 저장한 각 화재감지센서의 센싱정보를 단위시간으로 미분함으로써, 시간에 따른 상기 각 화재감지센서의 센싱정보에 대한 변화량을 계산함으로써,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is calculated by differentiating the sensing information of each fire detection sensor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chronological order by unit time, and calculat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ensing information of each fire detection sensor over time. It is characterized by that.

또한 상기 화재발생 예측부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 특정 화재감지센서에서 수집된 센싱정보에서 이상징후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에 대한 센싱정보 수집주기를 단축시켜 센싱정보를 수집하도록 하고, 상기 단축시킨 센싱정보 수집주기에 따라 수집한 센싱정보에 대해 산출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에 대한 추세를 모니터링한 결과 또 다른 화재감지센서에서 이상징후가 감지된 경우, 상기 이상징후가 감지된 센싱정보를 전송한 화재감지센서의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In addition, the fire occurrence prediction unit, when an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in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by a specific fire detection sensor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shortens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for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to collect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shortening When an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by another fire detection sensor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trend of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calculated for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according to the set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cycle, the sensing information in which the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is transmitted. Predict that a fire will occur at the location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상기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여 증가하거나, 상기 각 센싱정보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센싱정보를 전송한 화재감지센서의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며,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when the trend of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increases by exceeding a preset threshold, or if each sensing information exceeds a preset threshold, fire at the location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that transmitted the sensing information. Is detected as occurred,

상기 이상징후는, 상기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when the trend of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continuously increases.

또한 상기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실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탈출경로 제공하는 탈출경로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탈출경로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상기 실내를 촬영한 실제영상에 화재발생위치와 상기 화재발생위치와 가장 멀리 위치하고 해당 사용자의 위치와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비상구에 대한 이동경로를 오버레이하여 상기 탈출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includes an escape rout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n escape route to a user terminal of a user located indoors when it is detected that a fire has occurred, and the escape route providing unit includes: The escape route is provided by overlaying a fire occurrence location and a movement route for an emergency exit located furthest from the fire occurrence location and closest to the location of a corresponding user on the actual image photographed indoors.

또한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는, 실내 복수의 구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실내 전기배선장치나 전기선에 흐르는 과전류를 측정하는 과전류 센서, 상기 각 구역에서 온도값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각 구역의 공기 중 유해화학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화학물질 감지센서, 상기 각 구역의 연기 분포를 확인하기 위한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are each installed at least one or more in a plurality of indoor areas, an overcurrent sensor measuring an overcurrent flowing through an indoor electric wiring device or an electric line, a temperature sensor measuring a temperature value in each of the area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emical detec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in the air in each zone, an image sensor for taking an image to check the smoke distribution in each zone, or a combination thereof.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화재예방 알림 방법은, 실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화재감지센서별 센싱정보를 시간 순서대로 누적하여 저장하는 센싱정보 수신 단계, 상기 저장한 센싱정보에 대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을 각각 산출하는 센싱정보 증감패턴 산출 단계 및 상기 산출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를 모니터링하여 화재발생을 사전에 예측하거나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화재발생 예측 단계 및 상기 화재발생을 예측한 결과 또는 화재발생을 감지한 결과를 관리자 및 재난 대응 기관으로 제공하는 알림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nsing information that receives sensing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installed indoors, and accumulates and stores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for each fire detection sensor in chronological order. An information reception step, a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for the stored sensing information, and a fire occurrence prediction or fire detection by monitoring a trend of the calculated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And a notification step of providing a fire prediction step and a result of predicting the fire occurrence or a result of detecting the fire occurrence to a manager and a disaster response organization.

또한 상기 화재발생 예측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 특정 화재감지센서에서 수집된 센싱정보에서 이상징후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에 대한 센싱정보 수집주기를 단축시켜 센싱정보를 수집하도록 하고, 상기 단축시킨 센싱정보 수집주기에 따라 수집한 센싱정보에 대해 산출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에 대한 추세를 모니터링한 결과 또 다른 화재감지센서에서 이상징후가 감지된 경우, 상기 이상징후가 감지된 센싱정보를 전송한 화재감지센서의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상기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여 증가하거나, 상기 각 센싱정보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센싱정보를 전송한 화재감지센서의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며, 상기 이상징후는, 상기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ire occurrence prediction step, when an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in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by a specific fire detection sensor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for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is shortened to collect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When an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by another fire detection sensor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trend of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calculated for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according to the shortened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cycle, the sensing information in which the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is transmitted. Predict that a fire will occur at the location of one fire detection sensor, and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the trend of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increases beyond a preset threshold, or each sensing information exceeds a preset threshold. In this case, it is detected that a fire has occurred at the location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that has transmitted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when the trend of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continuously increases.

또한 상기 실내 화재예방 알림 방법은, 상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실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탈출경로 제공하는 탈출경로 제공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탈출경로 제공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상기 실내를 촬영한 실제영상에 화재발생위치와 상기 화재발생위치와 가장 멀리 위치하고 해당 사용자의 위치와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비상구에 대한 이동경로를 오버레이하여 상기 탈출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metho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fire has occurred, includes the step of providing an escape route for providing an escape route to a user terminal of a user located indoors, and the providing of the escape route comprises: It characterized by providing the escape route by overlaying the fire occurrence location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emergency exit located furthest from the fire occurrence location and the closest location to the user's location on the actual image photographed in the room according to the location. .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복수의 화재감지센서 중 화재발생에 대한 이상징후가 감지되는 경우, 화재감지센서의 센싱정보에 대한 수집주기를 줄여 짧은 시간 내에 상기 센싱정보를 보다 많이 수집하여 모니터링함으로써, 화재발생 이상징후를 세밀하게 분석하여, 화재의 발생을 사전에 정확하게 예측하여 효율적으로 화재예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 발생에 대한 오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n abnormal symptom of a fire occurrence is detected among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by reducing the collection period of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and collecting and monitoring more of the sensing information within a short time, It has the effect of analyzing the abnormal signs of fire in detail,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fire accurately in advance, enabling efficient fire prevention, and preventing misinformation about the occurrence of fire.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리자 및 화재 대응 기관에 신속하게 알림과 동시에 해당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에 따라 최적의 탈출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by promptly notifying the manager and the fire response organization and providing the optimal escape route according to the user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personal injury.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토대로, 화재 발생의 예측 및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센서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정보의 증감패턴을 산출하여 화재발생을 예측하거나 감지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예방 알림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을 통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실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탈출경로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화재예방 알림 장치를 통해 수행되는 화재예방 알림에 대한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edicting and detecting a fire occurrence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in an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toring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in a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predicting or detecting a fire occurrence by calculating an increase/decrease pattern of sen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escape route to a user terminal of a user located indoors when a fire is detected through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a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performed through an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일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 되어 있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아니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ifi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technical or scientific All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ing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N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10)은, 실내의 특정 구역에 설치되는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모듈(200),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200)를 동작을 제어하고, 해당 화재감지센서(20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토대로 상기 실내에서의 화재발생을 사전에 예측하여 관리자 단말(400)이나, 화재 대응 기관(500)으로 알림으로써, 화재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 modules 200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indoors,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 20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a fire in the room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fire detection sensor 200 in advance, and notifying the manager terminal 400 or the fire response organization 5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fire in advance.

여기서 상기 실내는, 지하철, 학교, 공공기간, 아파트 등과 같이 다양한 건물의 내부를 의미하며,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200)는 상기 실내의 복수의 구역에 각각 설치된다.Here, the interior means the interior of various buildings such as subways, schools, public periods, apartments, and the like, and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200 ar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reas of the interior, respectively.

또한 상기 화재감지센서모듈(200)은,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해당 화재감지센서모듈(200)이 설치된 구역의 위치정보화 함께 상기 각 화재감지센서들의 센싱정보를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includes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and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of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fire detection sensors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rea where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is installed.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to the device 100.

이때, 상기 화재감지센서는, 과전류센서, 온도센서, 이미지센서, 화학물질 감지센서, 냄새감지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e detection sensor may be composed of an overcurrent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 image sensor, a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an odor detection sensor, or a combination thereof.

즉, 상기 화재감지센서모듈(200)은,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하여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위치정보 및 센싱정보를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로 전송하여 화재예방을 위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is composed of a single module including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sensing information to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to prevent fire. Make it possible to perform monitoring.

다만, 상기 각 화재감지센서는, 복수의 구역에 독자적으로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된 위치정보와 함께 센싱정보를 각각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However, it is natural that each of the fire detection sensors may be independent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reas, and may be implemented to transmit sensing information together with installed loc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과전류센서는, 실내 배선장치나 전기선에 장착되어, 상기 배선장치나 전기선에 흐르는 과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온도센서는 해당 구역에서의 온도값을 측정하여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vercurrent sensor is mounted on an indoor wiring device or electric line, detects an overcurrent flowing in the wiring device or electric line, and transmits it to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and the temperature sensor is a temperature value in a corresponding area. Is measured so tha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또한 이미지센서는, 상기 구역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미지를 토대로 해당 구역에서의 연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화학물질 감지센서는 화재시 발생될 수 있는 유해화학물질(예: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등)의 양을 감지하여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가스센서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image sensor allows the image of the area to be captured and transmitted to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so that smoke in the corresponding area can be detected based on the image, and the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It is configured with a gas sensor that detects the amount of harmful chemical substances (eg, carbon dioxide, carbon monoxide, etc.) that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s it to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또한 상기 냄새감지센서는, 미리 설정한 냄새 이외의 냄새가 감지되는 경우, 이에 대한 센싱정보(즉, 냄새감지유무)를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상기 미리 설정한 냄새가 감지되는 경우 이에 대한 센싱정보를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a smell other than a preset smell is detected, the smell detection sensor transmits sensing information (ie, whether or not smell is detected) to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or detects the preset smell. If so, it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sensing information about this to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또한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과전류센서, 온도센서, 이미지센서, 화학물질 감지센서, 냄새감지센서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화재감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통해 상기 센싱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an overcurrent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 image sensor, a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and an odor detection sensor ar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ensors that can be used for fire detection are used. It is natural that it can be implemented to collect sensing information.

또한 상기 화재감지센서모듈(200)은,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에서 설정한 센싱정보 수집주기에 따라 상기 각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collects sensing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fire detection sensors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cycle set by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and transmits it to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Performs a function.

또한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상기 각 화재감지센서모듈(200)에서 전송되는 각각의 센싱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면서 상기 각 센싱정보의 증감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증감패턴의 추세를 모니터링하여, 특정 화재감지센서에서 화재발생 이상징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각 화재감지센서모듈(200)의 센싱정보 수집주기를 단축하여 설정하여 보다 많은 센싱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calculates an increase/decrease pattern of each sensing information while storing each sen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in a database, and the calculated increase/decrease pattern trend When an abnormal symptom of fire occurrence is detected by a specific fire detection sensor,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of each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is shortened and set so that more sensing information can be quickly collected.

즉,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특정 센서에서 화재발생 이상징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센싱정보 수집주기를 가변하여 설정함으로써, 화재발생 예측을 위한 데이터(즉, 센싱정보)를 보다 많이 수집하여 화재발생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when a fire occurrence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by a specific sensor, by varying and setting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more data (ie, sens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fire occurrence It is collected so that the occurrence of fire can be accurately predicted.

이후,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상기 단축한 센싱정보 수집주기에 따라 수집되는 센싱정보에 대한 증감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증감패턴에 대한 추세를 모니터링한 결과, 타 센서에서도 상기 화재발생 이상징후가 감지된 경우, 화재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관리자 단말(400) 및 화재 대응 기관(500)으로 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구역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reafter,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calculates an increase/decrease pattern for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according to the shortened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and monitors the trend for the calculated increase/decrease pattern. When an abnormal sign of fire occurrence is detected, it is predicted that a fire will occur, and information about it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400 and the fire response organization 500 so that the relevant area can be quickly identified,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fire. It should be prevented in advance.

한편, 상기 증감패턴은, 시간에 따른 상기 센싱정보의 변화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수집주기에 따라 누적되어 저장되는 센싱정보를 단위시간으로 미분함으로써, 산출되며, 상기 증감패턴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Meanwhile, the increase/decrease pattern refers to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ensing information over time, and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sensing information accumulat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collection period by unit time, and the description of the increase/decrease pattern is shown in FIG.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또한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상기 증감패턴에 대한 추세를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증감패턴이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여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상기 각 센서의 센싱정보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400) 및 화재 대응 기관(500)으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화재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trend of the increase/decrease pattern, the increase/decrease pattern rapidly increases by exceeding a preset threshold value, or the sensing information of each sensor is a preset threshold value. If it exceeds,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and a notification is provided to the manager terminal 400 and the fire response organization 500, so that a quick response to the fire can be performed.

또한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상기 실내에 대한 실제 맵과 비상구 의 위치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으면서, 상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상기 실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00)로 해당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실제 맵에 상기 화재 발생 관련정보 및 탈출경로를 오버레이함으로서, 상기 탈출경로를 가상현실 혹은 증강현실로 제공하여, 상기 탈출경로에 대한 시인성을 높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stores the actual map of the room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exit in advanc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has occurred,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By overlaying the fire occurrence-related information and the escape route on the real map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ith the user terminal 300 of the located user, the escape route is provided in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and the escape route is Increase the visibility of people so that they can evacuate quickly.

한편 사용자는 미리 자신의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에 접속한 후,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와 함께 상기 탈출경로 제공용 애플리케이션 혹은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상기 설치한 탈출경로 제공용 애플리케이션 혹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화제예방 알림 장치(100)로부터 상기 탈출경로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탈출경로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user accesses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using his/her user terminal 300 in advance, the user agrees to provid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and downloads and installs the application or program for providing the escape route. And, by executing the installed escape route providing application or program, the escape route may be provided from the topic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Meanwhile, a method of providing the escape rout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토대로, 화재 발생의 예측 및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edicting and detecting a fire occurrence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in an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10)을 통해 화재의 발생을 사전에 미리 예측하고 감지하는 과정은, 우선 실내 복수의 구역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모듈(200)은, 미리 설정한 센싱정보 수집주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로 전송한다(①).As shown in FIG. 2,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fire in advance through the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fire detection installed in a plurality of indoor areas. The sensor module 200 collects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according to a preset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cycle and transmits it to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①).

한편 상기 센싱정보는, 해당 화재감지센서모듈(200)이 설치된 상기 실내의 특정 구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감지센서모듈(200)에 포함된 각각의 화재감지센서는, 자신의 고유한 기능에 따라 센싱정보를 각각 수집하여 상기 화재감지센서모듈(200)을 통해 상기 수집한 센싱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the sensing information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area in the room in which the corresponding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is installed, and each fire detection sensor included in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has its own unique Each of the sensing information is collected according to one function, so that the collected sensing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다음으로,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상기 수신한 센싱정보를 화재감지센서모듈(200)별 화재감지센서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FIFO(first in first out)방식으로 저장하여, 상기 각 센싱정보에 대한 증감패턴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한 증감패턴의 추세를 모니터링한다(②).Next,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stores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in a database according to the fire detection sensor for each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in a FIFO (first in first out) method, and the sensing information By calculating the increase/decrease pattern for, the trend of the calculated increase/decrease pattern is monitored (②).

이때, 상기 증감패턴은 상기 각 화재감지센서모듈(200) 및 화재감지센서별로 각각 산출되는 것으로, 상기 증감패턴을 산출하는 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increase/decrease pattern is calculated for each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and each fire detection sensor, and a method of calculating the increase/decrease patter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다음으로,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상기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특정 센싱정보에서 이상징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설정한 센싱정보 수집주기를 단축하여 상기 센싱정보 수집주기를 새롭게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센싱정보 수집주기 설정정보를 상기 화재감지센서모듈(200)로 전송한다(③).Next, when an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in specific sensing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monitoring,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shortens the set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to newly set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 Transmits the set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setting information to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③).

한편, 상기 화재감지센서가 화재감지센서모듈(200)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센싱정보의 수집, 전송, 센싱정보 수집주기 설정 또한 상기 각 화재감지센서별로 수행된다. 이때, 상기 새롭게 설정한 센싱정보 수집주기 설정정보는 해당 이상징후가 감지된 해당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하여 해당 화재감지센서에 인접한 타 화재감지센서로 전송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not composed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but is installed independently, the collection and transmission of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setting of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are also performed for each of the fire detection sensors. At this time, the newly set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set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other fire detection sensors adjacent to the fire detection sensor including the fire detection sensor in which the corresponding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즉,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특정 화재감지센서에서 이상징후가 감지된 경우, 화재발생을 사전에 정확하게 예측하고 오보를 방지하기 위해 더 많은 데이터(즉,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모니터링위해 상기 센싱정보 수집주기를 단축하여 새롭게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an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by a specific fire detection sensor,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collects and monitors more data (that is, sensing information) to accurately predict the occurrence of fire in advance and prevent misinformation.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is shortened so as to be newly set.

다음으로,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상기 새롭게 설정한 센싱정보 수집주기에 따라 수신되는 센싱정보에 대한 증감패턴을 산출하여 모니터링(⑤)하고, 상기 이상징후가 감지된 화재감지센서 이외의 타 화재감지센서의 센싱정보에서 또 다른 이상징후가 감지된 경우, 화재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화재발생을 사전에 예측(⑥)하고, 상기 예측한 결과를 상기 관리자 단말(400)이나, 화재 대응 기관(500)으로 알림(⑦)으로써, 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Next,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calculates and monitors (⑤) an increase/decrease pattern for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according to the newly set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and other than the fire detection sensor in which the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When another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in the sensing information of other fire detection sensors, by determining that a fire will occur, the occurrence of a fire is predicted in advance (⑥), and the predicted result is determined by the manager terminal 400 or the fire. By notifying (⑦) to the response organization 500, the occurrence of fir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때,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상기 센싱정보의 이상징후를 더욱 세밀하게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단위시간을 단축하여 하여 상기 증감패턴을 산출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calculates the increase/decrease pattern by shortening the unit time in order to more closely monitor the abnormal symptoms of the sensing information.

한편,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상기 모니터링결과 타 화재감지센서에서 이상징후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이상징후가 감지된 특정 화재감지센서에 대한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관리자 단말(400)로 이상징후가 감지된 것을 알려, 해당 구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in the case that the abnormal symptom is not detected by the other fire detection sensor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the manager terminal 400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specific fire detection sensor in which the abnormal symptom was detected. ) To indicate that an abnormal symptom has been detected, so that the relevant area can be identified.

이때,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상기 새롭게 설정한 센싱정보 수집주기를 원래의 센싱정보 수집주기로 설정하여 상기 각 화재감지센서의 동작을 원상복귀시킬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sets the newly set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as the original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so that the operation of each fire detection sensor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한편, 상기 가변된 수집주기에 따라 수신되는 센싱정보에 대한 증감패턴의 추세를 모니터링할 때, 상기 증감패턴의 추세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한 속도로 증가하거나, 상기 센싱정보가 미리 설정함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해당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⑥).On the other hand, when monitoring the trend of the increase/decrease pattern for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according to the variable collection period, the trend of the increase/decrease pattern increases at a rate exceeding a preset threshold, or the sensing information is preset. When the threshold value is exceeded,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determines that a fire has occurred in the corresponding area (⑥).

이후,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구역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모니터링결과를 상기 관리자 단말(500) 및 화재 대응 기관으로 알림(⑦)으로써, 상기 화재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reaft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notifies (⑦) the monitoring result to the manager terminal 500 and the fire response organization along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rea. To be able to quickly respond to the situation.

이때,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상기 실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에게 최적합한 탈출경로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⑧)하여,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provides (⑧) an escape route optimal for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located indoors, and promptly Make it possible to escape.

또한 상기 탈출경로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공되며, 상기 모니터링결과에 따른 화재관련정보(예: 연기발생 위치, 화재발생 위치, 유해화학물질 발생위치 등), 해당 사용자의 위치에서 최적합한 비상구로의 이동경로를 실제 실내 맵에 오버레이하여 제공함으로서, 신속하게 상기 화재로부터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escape route is provided in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fire-related information (e.g., smoke generation location, fire location, hazardous chemical location, etc.)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By providing a moving route to the optimal emergency exit in an overlay on an actual indoor map, it is possible to quickly escape from the fir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센서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toring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in a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센서모듈(200)로부터 수신되는 각각의 화재감지센서에 대한 센싱정보는, 화재감지센서별 센싱정보를 각각 FIFO(first in first out)방식으로 저장한다.As shown in Figure 3, the sensing information for each fire detection sensor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the sensing information for each fire detection sensor FIFO (first in first). out) method.

이러한 저장방식은, 수집주기에 따라 수집되어 전송되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별 센싱정보를 시간의 순서대로 누적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각 센싱정보에 대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을 간편하게 산출하여, 상기 산출한 증감패턴의 추세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기 위해 수행된다.This storage method accumulates and stores the sensing information for each fire detection sensor collected and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collection cycle in chronological order, so that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 or decrease pattern for each sensing information is easily calculated, and the calculated increase or decrease pattern This is done in order to be able to effectively monitor the trend of.

한편, 상기 센싱정보 증감패턴은, 상기 시간 순서대로 누적하여 저장된 센싱정보가 미리 설정한 개수 이상인 경우에 산출되는 것으로, 시간에 따른 센싱정보의 변화량을 의미하며, 상기 누적하여 저장된 센싱정보를 단위시간으로 미분함으로써, 산출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On the other hand,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is calculated when the sensing information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chronological ord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number, and means a change amount of sensing information over time, and the accumulated sensing information is unit time. By differentiating with, the calculation is as described above.

이렇게 산출된 센싱정보 증감패턴은, 상기 각 센싱정보의 변화에 대한 추세를 모니터링함으로써, 화재의 발생을 사전에 예측하거나, 화재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The calculated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may predict the occurrence of a fire in advance or detect the occurrence of a fire by monitoring the trend of the change of each sensing inform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정보의 증감패턴을 산출하여 화재발생을 예측하거나 감지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predicting or detecting a fire occurrence by calculating an increase/decrease pattern of sen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정보 증감패턴을 산출하는 방법은, 우선 데이터베이스에 화재감지센서모듈(200)에 따른 화재감지센서별 센싱정보를 시간 순서대로 누적하여 저장한 각각의 센싱정보에 대한 센싱정보 변화량을 계산함으로써, 수행된다.As shown in Figure 4,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 or decrease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ccumulates sensing information for each fir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in a database in time order. It is performed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change in sensing information for each of the stored sensing information.

즉,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상기 시간 순서대로 누적하여 저장한 각각의 센싱정보를 단위시간으로 미분하여, 시간에 따른 상기 각 화재감지센서의 센싱정보에 대한 변화량을 계산함으로써, 상기 각 화재감지센서의 센싱정보에 대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을 산출하게 된다.That is,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differentiates each sensing information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chronological order by a unit time, and calculates a change amount of the sensing information of each fir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ime,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for the sensing information of each fire detection sensor is calculated.

다시 말해, 상기 센싱정보 증감패턴은, 미리 설정되거나, 특정 센싱정보에서 이상징후가 감지되어 센싱정보 수집주기가 가변됨에 따라 수신되는 각각의 센싱정보를 FIFO 방식으로 시간 순서대로 저장한 후, 시간에 따른 센싱정보의 변화량을 계산함으로써, 산출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is set in advance, or after an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in specific sensing information and the sensing information is stored in chronological order as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is varied. It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ensing information accordingly.

또한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정상적인 상황에서 미리 설정한 센싱정보 수집주기에 따라 수신되는 각각의 센싱정보에 대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각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를 모니터링하여 화재발생 이상징후를 감지한다.In addition,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calculates a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for each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according to a preset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in a normal situation, and calculates the calculated trend of each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Monitoring and detecting abnormal signs of fire occurrence.

또한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상기 모니터링결과 특정 화재감지센서에서 이상징후가 발생된 경우, 상기 센싱정보 수집주기를 단축하여, 상기 단축한 센싱정보 수집주기에 따라 상기 각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측정한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In addition,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when an abnormal symptom occurs in a specific fire detection sensor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by shortening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from each of the fire detection sensors according to the shortened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The measured sensing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이후,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센싱정보 증감패턴 산출방법을 통해 새롭게 수집한 센싱정보의 증감패턴을 산출하여 모니터링한 결과 타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싱정보에서 화재발생 이상징후가 감지된 경우, 화재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여 상기 모니터링 결과와 해당 지역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400) 및 화재 대응 기관(500)에 알림으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수집주기를 단축하여 수집한 센싱정보에 대한 증감패턴을 산출할 때, 상기 센싱정보의 증감패턴을 더욱 정밀하게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상기 단위시간을 더욱 세밀하게 설정하여 상기 증감패턴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Thereafter,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calculates and monitors the increase/decrease pattern of the newly collected sensing information through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calculation method described above. When a symptom is detected, it predicts that a fire will occur, and the monitoring result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region are provided as a notific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400 and the fire response organization 500. On the other hand, when calculating the increase/decrease pattern for the collected sensing information by shortening the collection period,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further precisely monitors the increase/decrease pattern of the sensing information. It is set so that the increase/decrease pattern can be calculated.

이때, 상기 이상징후 감지는, 상기 산출한 증감패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거나, 상기 산출한 증감패턴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즉, 상기 추세가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이상징후가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에서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상기 화재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abnormal symptom detection refers to a trend in which the calculated increase/decrease pattern is continuously increasing or the calculated increase/decrease pattern rapidly increases (i.e., when the trend changes rapidly). When abnormal symptoms occur in combination in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predicts that the fire will occur.

또한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새롭게 수집주기를 설정(즉, 수집주기 단축)하여 상기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산출한 증감패턴의 추세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여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이 감지되거나, 또는 상기 센싱정보(예: 온도값)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예: 100도)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이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상기 관리자 단말(400) 및 화재 대응 기관(500)으로 알림으로써, 제공한다.In addition,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monitoring by newly setting a collection period (i.e., shortening the collection period), the trend of the calculated increase/decrease pattern exceeds a preset threshold and increases rapidly. When it is detected or the sensing information (eg, temperature value) exceeds a preset threshold (eg, 100°C), it is considered that a fire has occurred in the area, and the monitoring result for this is reported to the manager terminal ( 400) and by providing notification to the fire response organization (50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예방 알림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실내의 복수의 구역에 각각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모듈(200)로부터 화재감지센서에서 수집한 센싱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700)에 저장하는 센싱정보 수신부(110), 상기 저장한 센싱정보별로 센싱정보 증감패턴을 산출하는 센싱정보 증감패턴 산출부(120), 상기 산출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를 모니터링하여 화재발생을 예측하거나,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화재발생 예측부(130), 상기 화재감지센서모듈(200)에 대한 각 화재감지센서의 수집주기를 설정하는 센싱정보 수집주기 설정부(140), 상기 예측한 결과 및 감지한 결과를 알림으로 제공하는 알림부(150) 및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실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탈출경로를 제공하는 탈출경로 제공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5,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respectiv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reas in the room A sens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that receives each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700, a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calculation unit 120 that calculates a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for each of the stored sensing information, and the calculated trend of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A fire occurrence prediction unit 130 that monitors and predicts a fire occurrence or detects a fire occurrence, and a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140 that sets a collection period of each fire detection sensor for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 including a notification unit 150 for providing the predicted result and the detected result as a notification, and an escape route providing unit 160 for providing an escape route to a user located in the room when it is detected that a fire has occurred. It is composed of.

상기 센싱정보 수신부(110)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모듈(200)로부터 해당 화재감지센서모듈(200)에 포함된 복수의 화재감지센서에서 사전에 설정된 센싱정보 수집주기에 따라 수집되어 전송되는 센싱정보를 시간 순서대로 누적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70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is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and transmitted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according to a preset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cycle by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included in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Is accumulated in chronological order and stored in the database 700.

이때, 상기 저장되는 센싱정보는, 상기 각 센서에서 측정한 수치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화재감지센서가 과전류센서, 온도센서, 화학물질 감지센서인 경우, 과전류값, 온도값 및 화학물질 농도값을 각각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stored sensing information means a numerical value measured by each of the sensors, and when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an overcurrent sensor, a temperature sensor, or a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an overcurrent value, a temperature value, and a chemical substance concentration value Means each.

또한 상기 화재감지센서가 이미지센서이고, 상기 이미지센서를 통해 연기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연기에 대한 특징값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로부터 연기부분을 추출하고,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추출한 연기부분의 면적을 계산함으로서, 해당 면적을 상기 연기에 대한 센싱정보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700)에 저장하거나, 또한 레이저센서를 통해 감지한 공기 중의 연기입자에 대한 농도값을 연기에 대한 센싱정보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700)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an image sensor and smoke is detected through the image sensor, a smoke part is extracted from the image using a characteristic value for the smoke, and the area of the extracted smoke part is calculated from the image. As a result, the corresponding area is stored in the database 700 as sensing information on the smoke, or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smoke particles in the air detected through a laser sensor is used as sensing information on the smoke, and the database 700 is Can be saved on.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연기에 대한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은, 주지의 영상처리기술이나 다양한 연기센서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and storing the sensing information on the smoke may be performed through a known image processing technology or various smoke sensors,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is.

또한 상기 화재감지센서가 냄새감지센서이고, 미리 설정한 냄새가 감지되는 경우 1로, 그 외의 냄새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0으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700)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 detection sensor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700 by setting it as 1 when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an odor detection sensor, and when a preset odor is detected, and 0 when other odors are detected.

다만, 일반적인 냄새감지센서는, 공기 중의 화학물질을 토대로 냄새를 감지하도록 동작하기 때문에 상기 화학물질 감지센서를 통해서 공기 중의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므로, 별도의 냄새감지센서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화재발생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However, since general odor detection sensors operate to detect odors based on chemical substances in the air, it is sufficient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chemical substances in the air through the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so a separate odor detection sensor is not provided.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prediction about the occurrence of the fire can be performed without.

또한 상기 센싱정보 증감패턴 산출부(1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700)에 시간 순서대로 저장된 각각의 센싱정보에 대한 증감패턴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calculation unit 120 performs a function of calculating an increase/decrease pattern for each sens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700 in chronological order.

상기 증감패턴은, 상기 데이터베이스(700)에 저장된 각 센싱정보를 참조하여 시간의 흐름(단위시간)에 따라 센싱정보의 변화량을 계산함으로써, 산출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The increase/decrease pattern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change in sen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unit time) with reference to each sens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700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화재발생 예측부(130)는, 상기 산출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에 대한 추세를 모니터링하여 특정 센싱정보에서 이상징후가 발생한 것을 감지한다. 상기 이상징후는 상기 산출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 감지된다.In addition, the fire occurrence prediction unit 130 monitors a trend of the calculated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and detects that an abnormal symptom has occurred in the specific sensing information. The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when the calculated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continuously increases.

이후, 상기 화재발생 예측부(130)는, 상기 센싱정보 수집주기 설정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각 화재감지센서에 대한 센싱정보 수집주기를 단축하고, 단축한 수집주기에 따라 상기 각 화재감지센서에 대한 센싱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Thereafter, the fire occurrence prediction unit 130 controls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140 to shorten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for each fire detection sensor, and detects each fire according to the shortened collection period. Enables to receive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sensor.

이때, 상기 센싱정보 증감패턴 산출부(120)는, 상기 센싱정보 수집주기가 단축되어 수신되는 센싱정보에 대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을 산출하여, 상기 화재발생 예측부(130)를 통해 상기 산출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에 대한 추세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calculation unit 120 calculates a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for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as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is shortened, and the calculated sensing through the fire occurrence prediction unit 130 It makes it possible to monitor the trend of information increase or decrease pattern.

또한 상기 화재발생 예측부(130)는, 상기 수집주기를 단축하여 수신한 센싱정보에 대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를 모니터링한 결과 또 다른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에서 이상징후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화재감지센서모듈(200)이 위치하는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될 것으로 예측하여, 상기 모니터링 결과 및 위치정보를 상기 알림부(150)를 통해 관리자 단말(400) 및 화재 대응 기관(500)으로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the fire occurrence prediction unit 130 monitors the trend of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for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by shortening the collection period, an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i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nother fire detection sensor. To predict that a fire will occur at a location where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including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located, the monitoring result and loca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150 to the manager terminal 400 and Provided to the fire response organization (500).

한편, 상기 화재발생 예측부(130)는, 상기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를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추세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여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센싱정보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 및 위치정보를 상기 알림부(150)를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400) 및 화재 대응 기관(500)으로 제공함으로써, 화재의 발생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e occurrence prediction unit 130,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trend of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the trend rapidly increases by exceeding a preset threshold value, or the sensing information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In this case, by detecting that a fire has occurr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and providing the monitoring result an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400 and the fire response organization 500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150, the occurrence of the fire can be quickly notified. To be able to.

또한 상기 탈출경로 제공부(160)는, 상기 화재발생 예측부(130)에서 특정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한 경우, 실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로 구현된 탈출경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fire prediction unit 130 detects that a fire has occurred in a specific area, the escape route providing unit 160 provides an escape route implemented in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to a plurality of users located indoors. It performs the function it provides.

한편 상기 탈출경로 제공부(160)의 기능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function of the escape route providing unit 1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을 통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실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탈출경로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escape route to a user terminal of a user located indoors when a fire is detected through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10)을 통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실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00)로 탈출경로를 제공하는 방법은 우선, 상기 탈출경로 제공부(160)는, 상기 화재발생 예측부(130)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실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증강현실 도는 가상현실로 구현된 탈출경로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6, when a fire is detected through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scape route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300 of the user located indoors. The method is, first, the escape route providing unit 160, when it is detected that a fire has occurred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fire occurrence prediction unit 130, augmented reality or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located in the room. It performs the function of providing the escape route implemented as the user terminal 300 of the corresponding user.

이때, 상기 탈출경로 제공부(16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사용자의 위치를 이미 알고 있음을 밝혀둔다.At this time, the escape route providing unit 16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because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300 is collected in real time, it is revealed that it already knows the location of the user.

또한 상기 탈출경로 제공부(160)는, 상기 실내의 각 구역을 촬영한 실제 이미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화재발생위치, 연기발생위치, 유해화학물질발생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화재관련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화재관련정보가 표시된 위치와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 해당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비상구에 대한 이동경로를 상기 이미지에 오버레이하여 증강현실이나 가상현실로 구현된 탈출경로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최적의 탈출경로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escape route providing unit 160 has an actual image taken of each area of the room, and includes a fire occurrence location, a smoke generation location, a hazardous chemical occurrence loc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Based on the fire-related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an escape route implemented in augmented reality or virtual reality by overlaying the moving route of the emergency exit closest to the user while being far from the location where the fire-related information is displayed By providing the user terminal 300, it provides an optimal escape route according to the user's location.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디스플레이에 상기 탈출경로를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즉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발생한 화재에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300 displays the escape route on a display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it immediately, and safely and quickly escape from the fir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화재예방 알림 장치를 통해 수행되는 화재예방 알림에 대한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a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performed through an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를 통해 수행되는 화재예방 알림에 대한 절차는 우선,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각각의 센싱정보를 시간 순서대로 누적하여 데이터베이스(700)에 저장한다(S110).As shown in Figure 7, the procedure for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performed through the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a plurality of fires Sens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detection sensor, and each of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is accumulated in chronological order and stored in the database 700 (S110).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는 하나의 화재감지센서모듈(200)에 통합되어, 상기 화재감지센서모듈(200)이 상기 실내에 대한 복수의 구역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화재감지센서모듈(200)을 통해 상기 센싱정보를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are integrated into on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and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is installed in each of a plurality of zones in the room, through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200. It may be implemented to provide the sensing information to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다음으로,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상기 저장한 각 화재감지센서별 센싱정보를 토대로 각 센싱정보에 대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을 산출하여 모니터링 한다(S120).Next,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calculates and monitors a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for each sensing information based on the stored sensing information for each fire detection sensor (S120).

상기 센싱정보 증감패턴은, 시간에 따른 센싱정보의 변화량에 미리 설정한 단위시간으로 미분함으로써 산출되며, 상기 모니터링은, 상기 산출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is calculated by differentiating a change amount of sensing information over time by a preset unit time, and the monitoring is performed by confirming a trend of the calculated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다음으로,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상기 모니터링결과 특정 센싱정보에서 이상징후가 감지되는 경우(S120),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에 대한 센싱정보 수집주기를 단축하여, 상기 단축한 수집주기에 따라 상기 센싱정보를 각각 수신한 후, 해당 센싱정보에 대한 증감패턴을 산출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한다(S140).Next,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when an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in the specific sensing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S120), by shortening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for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the shortened collection After receiving each of the sen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period, monitoring is performed by calculating an increase/decrease pattern for the corresponding sensing information (S140).

한편 상기 수집주기를 단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보다 많은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사전에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shortening the collection period is performed to accurately predict the occurrence of fire in advance by receiving mor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다음으로, 상기 화재예방 알림 장치(100)는, 상기 S140단계를 통해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또 다른 센싱정보에서 이상징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상징후가 감지된 센싱정보를 전송한 화재감지센서가 위치하는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여 관리자 단말(400) 및 화재 대응 기관(500)으로 알림을 제공한다(S150).Next, th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00,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monitoring through the step S140, when an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in another sensing information, a fire detection sensor that transmits the sensing information in which the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Predicts that a fire will occur in the area where is located and provides a notific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400 and the fire response organization 500 (S150).

이때, 상기 알림은 해당 구역의 위치정보 및 모니터링 결과를 포함하여 제공됨으로써, 상기 관리자 및 화재 대응 기관을 통해 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is provided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monitoring results of the corresponding area, so that the occurrence of fir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hrough the manager and the fire response organization.

한편, 또 다른 센싱정보에서 이상징후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관리자 단말(400)로 상기 이전에 이상징후가 감지된 센싱정보를 전송한 화재감지센서에 대한 위치정보 및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bnormal symptom is not detected in the other sensing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monitoring result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that previously transmitted the sensing information in which the abnormal symptom was detected are provided to the manager terminal 400 to do so. So that it can be checked so that it can contribute to safety.

또한 상기 모니터링 결과,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신속하게 상기 관리자 및 화재 대응 기관으로 알리고, 실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300)로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최적의 탈출경로를 제공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In addition, when a fire i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it is promptly notified to the manager and the fire response organization, and the optimal escape route according to the user's loc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300 located indoors. sam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토대로 센싱정보 증감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을 이용하여 화재발생 이상징후를 복합적으로 감지하여 화재발생을 사전에 정확하게 예측함으로서, 화재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calculates a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and uses the calculated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damage caused by the fire in advance by accurately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the fire in advance by complexly detecting the abnormal symptoms of the fire occurrence.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or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same object and effect. I will be able to.

아울러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100 : 화재예방 알림 장치
110 : 센싱정보 수신부 120 : 센싱정보 증감패턴 산출부
130 : 화재발생 예측부 140 : 센싱정보 수집주기 설정부
150 : 알림부 160 : 탈출경로 제공부
200 : 화재감지센서모듈 300 : 사용자 단말
400 : 관리자 단말 500 : 화재 대응 기관
10: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100: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device
110: sens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sensing information increasing/decreasing pattern calculating unit
130: fire prediction unit 140: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cycle setting unit
150: notification unit 160: escape route providing unit
200: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300: user terminal
400: administrator terminal 500: fire response agency

Claims (10)

실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수집한 화재감지센서별 센싱정보를 시간 순서대로 누적하여 각각 저장하는 센싱정보 수신부(110);
상기 저장한 각 센싱정보를 사전에 설정한 단위시간으로 미분하여, 상기 각 센싱정보에 대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을 산출하는 센싱정보 증감패턴 산출부(120);
상기 산출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를 모니터링하여 화재발생을 사전에 예측하거나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화재발생 예측부(130); 및
상기 화재발생 예측결과 또는 화재발생 감지결과를 관리자 혹은 재난 대응 기관으로 제공하는 알림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발생 예측부(130)는,
상기 모니터링한 결과, 특정 화재감지센서를 통해 수집된 센싱정보에서 이상징후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에 대한 센싱정보 수집주기를 단축시켜, 상기 단축시킨 센싱정보 수집주기에 따라 수집한 각 센싱정보에 대해 새롭게 산출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를 모니터링하여 또 다른 화재감지센서를 통해 수집된 센싱정보에서 이상징후가 감지된 경우, 해당 센싱정보를 전송한 화재감지센서의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상기 새롭게 산출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를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여 증가하거나, 상기 이상징후가 감지된 센싱정보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상징후가 감지된 센싱정보를 전송한 화재감지센서의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며,
상기 이상징후는, 상기 산출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A sensing information receiver 110 that collects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installed indoors, accumulates the collected sensing information for each fire detection sensor in chronological order, and stores each;
A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calculation unit 120 that differentiates each of the stored sensing information by a preset unit time and calculates a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for each of the sensing information;
A fire occurrence prediction unit 130 for predicting a fire occurrence or detecting a fire occurrence by monitoring a trend of the calculated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And
Including; a notification unit 150 for providing the fire occurrence prediction result or the fire occurrence detection result to a manager or a disaster response organization,
The fire occurrence prediction unit 130,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when an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in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specific fire detection sensor,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for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is shortened, and each collected according to the shortened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When an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in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nother fire detection sensor by monitoring the trend of the newly calculated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for the sensing information, a fire occurs at the location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that transmitted the sensing information. Predict that,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trend of the newly calculated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the trend of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increases beyond a preset threshold, or the sensing information at which the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exceeds a preset threshold. In this case, it is detected that a fire has occurred at the location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that transmitted the sensing information in which the abnormal symptom was detected,
The abnormal symptom is an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cted when the trend of the calculated sensing information increase or decrease pattern continuously increa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정보 증감패턴은,
상기 시간 순서대로 누적하여 저장한 각 화재감지센서의 센싱정보를 상기 단위시간으로 미분하여, 시간에 따른 상기 각 화재감지센서의 센싱정보에 대한 변화량을 계산함으로써,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 or decrease pattern,
Indoor fire pre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sensing information of each fire detection sensor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chronological order by the unit time, and calculat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ensing information of each fire detection sensor over time. Notification system.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은,
상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실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탈출경로 제공하는 탈출경로 제공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탈출경로 제공부(160)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실내를 촬영한 실제영상에 화재발생위치와 상기 화재발생위치와 가장 멀리 위치하고 해당 사용자의 위치와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비상구에 대한 이동경로를 오버레이하여 상기 탈출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fire has occurred, an escape route providing unit 160 for providing an escape route to a user terminal of a user located indoors; includes,
The escape route providing unit 160,
To provide the escape route by overlaying the fire occurrence location and the movement path for the emergency exit located furthest from the fire occurrence location and the closest location to the user's location on the actual image photographed in the room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b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는,
상기 실내의 복수의 구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실내 전기배선장치나 전기선에 흐르는 과전류를 측정하는 과전류 센서, 상기 각 구역에서 온도값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각 구역의 공기 중 유해화학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화학물질 감지센서, 상기 각 구역의 연기 분포를 확인하기 위한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At least one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areas of the room, an overcurrent sensor that measures an overcurrent flowing through an indoor electric wiring device or an electric line, a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a temperature value in each of the areas, and hazardous chemicals in the air in each of the areas. An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system comprising a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 substance, an image sensor photographing an image for checking the smoke distribution in each area, or a combination thereof.
실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수집한 화재감지센서별 센싱정보를 시간 순서대로 누적하여 각각 저장하는 센싱정보 수신 단계;
상기 저장한 각 센싱정보를 사전에 설정한 단위시간으로 미분하여, 상기 각 센싱정보에 대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을 산출하는 센싱정보 증감패턴 산출 단계;
상기 산출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를 모니터링하여 화재발생을 사전에 예측하거나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화재발생 예측 단계; 및
상기 화재발생 예측결과 또는 화재발생 감지결과를 관리자 혹은 재난 대응 기관으로 제공하는 알림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발생 예측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한 결과, 특정 화재감지센서를 통해 수집된 센싱정보에서 이상징후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에 대한 센싱정보 수집주기를 단축시켜, 상기 단축시킨 센싱정보 수집주기에 따라 수집한 각 센싱정보에 대해 새롭게 산출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를 모니터링하여 또 다른 화재감지센서를 통해 수집된 센싱정보에서 이상징후가 감지된 경우, 상기 이상징후가 감지된 센싱정보를 전송한 화재감지센서의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상기 새롭게 산출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를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여 증가하거나, 상기 이상징후가 감지된 센싱정보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센싱정보를 전송한 화재감지센서의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며,
상기 이상징후는, 상기 산출한 센싱정보 증감패턴의 추세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화재예방 알림 방법.
A sensing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collecting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installed indoors,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collected sensing information for each fire detection sensor in chronological order;
A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for each sensing information by differentiating each of the stored sensing information by a preset unit time;
A fire occurrence prediction step of predicting a fire occurrence in advance or detecting a fire occurrence by monitoring a trend of the calculated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And
Including; a notification step of providing the fire occurrence prediction result or the fire occurrence detection result to a manager or a disaster response organization,
The fire occurrence prediction step,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when an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in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specific fire detection sensor,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for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is shortened, and each collected according to the shortened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When an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in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nother fire detection sensor by monitoring the trend of the newly calculated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for sensing information, the fire detection sensor that transmitted the sensing information in which the abnormal symptom was detected. Predict that a fire will occur at the location,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trend of the newly calculated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the trend of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increases beyond a preset threshold, or the sensing information at which the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exceeds a preset threshold. If so, it is detected that a fire has occurred at the location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that transmitted the sensing information.
The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when a trend of the calculated sensing information increase/decrease pattern continuously increase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센싱정보 증감패턴은,
상기 시간 순서대로 누적하여 저장한 각 화재감지센서의 센싱정보를 상기 단위시간으로 미분하여, 시간에 따른 상기 각 화재감지센서의 센싱정보에 대한 변화량을 계산함으로써,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화재예방 알림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ensing information increase or decrease pattern,
Indoor fire pre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sensing information of each fire detection sensor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chronological order by the unit time, and calculat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ensing information of each fire detection sensor over time. Notification method.
삭제delet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실내 화재예방 알림 방법은,
상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실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탈출경로 제공하는 탈출경로 제공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탈출경로 제공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실내를 촬영한 실제영상에 화재발생위치와 상기 화재발생위치와 가장 멀리 위치하고 해당 사용자의 위치와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비상구에 대한 이동경로를 오버레이하여 상기 탈출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화재예방 알림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metho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fire has occurred, providing an escape route for providing an escape route to a user terminal of the user located indoors; includes,
The step of providing the escape route,
To provide the escape route by overlaying the fire occurrence location and the movement path for the emergency exit located furthest from the fire occurrence location and the closest location to the user's location on the actual image photographed in the room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method characterized b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는,
상기 실내의 복수의 구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실내 전기배선장치나 전기선에 흐르는 과전류를 측정하는 과전류 센서, 상기 각 구역에서 온도값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각 구역의 공기 중 유해화학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화학물질 감지센서, 상기 각 구역의 연기 분포를 확인하기 위한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화재예방 알림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At least one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areas of the room, an overcurrent sensor that measures an overcurrent flowing through an indoor electric wiring device or an electric line, a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a temperature value in each of the areas, and hazardous chemicals in the air in each of the areas. An indoor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method comprising a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 substance, an image sensor photographing an image to check the smoke distribution in each area, or a combination thereof.
KR1020190060384A 2019-05-23 2019-05-23 System and method for alarming indoor fire prevention KR1022458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384A KR102245887B1 (en) 2019-05-23 2019-05-23 System and method for alarming indoor fire preven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384A KR102245887B1 (en) 2019-05-23 2019-05-23 System and method for alarming indoor fire preven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651A KR20200134651A (en) 2020-12-02
KR102245887B1 true KR102245887B1 (en) 2021-04-28

Family

ID=73792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384A KR102245887B1 (en) 2019-05-23 2019-05-23 System and method for alarming indoor fire preven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88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495B1 (en) 2022-08-18 2023-02-06 주식회사 인텍비전 Automatic notification system for the location of the fi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03062A1 (en) 2020-10-16 2022-12-22 Lg Chem, Ltd. Metallocene supported catalyst and method for preparing olefine polymer using the same
KR102432758B1 (en) * 2021-07-19 2022-08-18 주식회사 경민엔지니어링 Firefighting and fire monitoring system for apartment houses
KR102461776B1 (en) * 2022-05-12 2022-11-01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Smart fire monitoring system using intelligent cctv and smoke control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612B1 (en) * 2014-09-17 2015-03-20 주식회사초록물고기아트텍 Emergency evacuation informat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information system thereof
KR101725940B1 (en) * 2016-10-31 2017-04-11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Multipurpose fire smoke alarm device
KR101915725B1 (en) * 2018-04-10 2018-11-06 주식회사 협성기전 Building automaticall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situation via algorith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406A (en) * 2015-06-18 2016-12-28 (주)아신정보기술 Apparatus for managing a disastear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612B1 (en) * 2014-09-17 2015-03-20 주식회사초록물고기아트텍 Emergency evacuation informat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information system thereof
KR101725940B1 (en) * 2016-10-31 2017-04-11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Multipurpose fire smoke alarm device
KR101915725B1 (en) * 2018-04-10 2018-11-06 주식회사 협성기전 Building automaticall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situation via algorith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495B1 (en) 2022-08-18 2023-02-06 주식회사 인텍비전 Automatic notification system for the location of the f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651A (en)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8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alarming indoor fire prevention
KR101775463B1 (en) Fire supervisory apparatus to be installed on building and unite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JP589337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oxic gas exposure compliance and warnings for health care and plant maintenance and warning of toxic gas exposure
KR101403465B1 (en) Switchboard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mobile app.
CN106485871A (en) System and method of the model to provide the early prediction and forecast of false alarm are inferred by applied statistics
KR102126281B1 (en) System for detecting fire using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IoT and the smart fire detector
KR100985804B1 (en) Tot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KR102158840B1 (en) Sensing system and method for firre in realtime
KR102322427B1 (en) Bigdata based building fire prevention response system and method
CN112044006A (en) Monitoring fire-fighting system for building
KR20160118515A (en) Fire monitoring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KR101150993B1 (en) Tunnel emergency remote control system
JP7343966B2 (en) Fire alarm equipment and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CN105976116A (en) IoT based fire safety dynamic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KR20200110982A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alarming abnormal operation of facilities
CN115394033A (en) Intelligent fire fighting method and device for nuclear power plant
KR102266545B1 (en) Central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KR100719505B1 (en) Accident preventing & management system of inner tunnel
KR101071917B1 (en) Ubiquitous fire safety management system
CN117159966A (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fan based on infrared-ultraviolet detection
KR100632445B1 (en) Monitoring system for a fire location and shelter path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KR200411295Y1 (en) Accident preventing & management System of inner tunnel
KR102103786B1 (en) Smart Fire Evacuation Leader
CN113643508B (en) Disaster prevention emergency channel monitoring method,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4093117B (en) Fire control management and control method and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