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669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669A
KR20190101669A KR1020180021938A KR20180021938A KR20190101669A KR 20190101669 A KR20190101669 A KR 20190101669A KR 1020180021938 A KR1020180021938 A KR 1020180021938A KR 20180021938 A KR20180021938 A KR 20180021938A KR 20190101669 A KR20190101669 A KR 20190101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bypass flow
sensor
evaporator
by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9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7972B1 (en
Inventor
김성욱
박경배
최상복
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972B1/en
Priority to CN202210300871.XA priority patent/CN114674108B/en
Priority to CN201880088953.4A priority patent/CN111771092B/en
Priority to PCT/KR2018/012711 priority patent/WO2019164084A1/en
Priority to EP18906880.2A priority patent/EP3757487A4/en
Priority to AU2018409749A priority patent/AU2018409749B2/en
Publication of KR20190101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669A/en
Priority to US16/991,479 priority patent/US2020037081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9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6Defroster control with electronic control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2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frigerator comprises: an inner case forming a storage chamber; a cold air duct guiding flow of the air in the storage chamber and forming a heat exchange space along with the inner case; an evaporator located in the heat exchange space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cold air duct; a bypass flow path arranged in the cold air duct in a recessed shape, and enabling the air to bypass the evaporator to flow; a sensor arranged in the bypass flow path and having different output values in accordance with a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 the bypass flow path; a defrosting means for removing a frost generated on a surface of the evaporato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efrosting means based on the output values of the sensor.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냉장고는 캐비닛에 구비된 저장실에 음식물과 같은 대상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저장실은 단열벽으로 둘러싸이므로 상기 저장실 내부는 외부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can store an object such as food at a low temperature in a storage compartment provided in a cabinet. Since the storage compartment is surrounded by a heat insulating wall, the interi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may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an external temperature.

상기 저장실의 온도 대역에 따라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될 수 있다. The storage compartment may be divided into a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a freezing compartmen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band of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의 공기는 상기 증발기가 위치되는 공간으로 유동하여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되는 과정에서 냉각되고, 냉각된 공기가 다시 상기 저장실로 공급된다.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n evaporator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storage compartment. The air in the storage compartment flows to the space where the evaporator is located and is cooled in the process of heat exchange with the evaporator, and the cooled air is supplied to the storage compartment again.

이때,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되는 공기가 수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가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될 때, 수분이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서 응결되어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성에가 생성된다. At this time, when the air heat-exchanged with the evaporator contains water, when the air is heat-exchanged with the evaporator, moisture condenses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to form frost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상기 성에는 공기의 유동 저항으로 작용하므로,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응결되는 성에의 양이 많을 수록 성에가 유동 저항이 커지게 되어, 상기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고 소비 전력이 증가된다. Since the frost acts as a flow resistance of the air, the greater the amount of frost that condenses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the greater the frost flow resistance, thereby lowering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evaporator and increasing power consumption.

따라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증발기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수단을 더 포함한다. Thus, the refrigerator further includes defrosting means for defrosting the evaporator.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0-0004806에는 제상주기 가변방법이 개시된다. Prior art document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0-0004806 discloses a defrosting period variable method.

선행문헌에서는, 압축기의 누적 운전 시간과 외기 온도를 이용하여 제상주기를 조절한다. In the prior literature, the defrost cycle is adjusted using the cumulative operating time of the compressor and the outside air temperature.

그런데, 선행문헌과 같이 단지 압축기의 누적 운전 시간과 외기 온도를 이용하여 제상주기를 결정하는 경우, 실제 증발기의 성에의 양(이하 "착상량" 이라함)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실제로 제상이 필요한 시점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However, when determining the defrosting cycle using only the cumulative operating time and the outside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amount of frost in the evapor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position amount"), and thus actually defrosting.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time required.

즉, 사용자의 냉장고 사용패턴, 공기가 수분을 머금은 정도 등 다양한 환경에 따라서, 증발기의 착상량이 많거나 적을 수 있는데, 선행문헌의 경우, 이러한 다양한 환경을 반영하지 못하고, 제상주기를 결정하는 단점이 있다. That is, according to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the user's refrigerator usage pattern, the degree of air holding moisture, the amount of implantation of the evaporator may be large or small. In the case of the prior literature, the disadvantage of determining the defrosting cycle is not reflected in the various environments. have.

따라서, 착상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제상이 시작되지 않아 냉방 성능이 저하되거나, 착상량이 적음에도 불구하여 제상이 시작되어 불필요한 제상에 따른 소비 전력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Therefore, the cooling performance is deteriorated because the defrosting does not start despite a large amount of defrosting, or the defrosting starts even though the defrosting amount is small, resulting in an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due to unnecessary defrosting.

본 발명의 과제는, 증발기의 착상량에 따라 달라지는 패러미터를 이용하여 제상 운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defrosting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a parameter that depends on the amount of implantation of the evaporator.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착상 감지를 위한 바이패스 유로를 이용함으로써, 증발기의 착상량에 따른 제상 필요 시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accurately determining a defrosting necessary time according to an amount of implantation of an evaporator by using a bypass flow path for detecting an implantation.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착상 감지를 위한 유로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minimizing the length of a flow path for detecting an idea.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제상 시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센서의 정밀도가 낮아도 제상 시점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defrosting point even when the accuracy of the sensor used for determining the defrosting point is low.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착상 감지를 위한 센서 주변에 성에가 생성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frost is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around a sensor for detecting an idea.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착상 감지를 위한 바이패스 유로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liquid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a bypass flow path for detecting an idea.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의 내측에 냉기 덕트가 구비되며, 냉기 덕트가 인너 케이스와 함께 열교환 공간을 형성한다. The refrigerator for solving the said subject is provided with the cold air duct inside the inner case which forms a storage chamber, and a cold air duct forms a heat exchange space with an inner case.

상기 열교환 공간에는 증발기가 위치되고, 상기 냉기 덕트에는 함몰된 형태의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센서가 배치된다. An evaporator is positioned in the heat exchange space, a bypass passage having a recessed shape is formed in the cold air duct, and a sensor is disposed in the bypass passage.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에 따라 출력 값이 다른 센서로서, 상기 센서의 출력 값을 이용하여 상기 증발기의 제상 필요 시점이 결정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has a different output value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the defrosting necessary time of the evaporator may be determined using the output value of the sensor.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생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수단; 및 상기 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상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상 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다.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defrosting means for removing frost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efrosting means based on an output value of the sensor,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frosting is necessary, the controller may operate the defrosting means.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는, 발열 소자와, 상기 발열 소자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 소자와, 상기 발열 소자 및 상기 감지 소자가 설치되는 센서 피씨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or may include a heating element, a sensing element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and a sensor PC in which the heating element and the sensing element are installed.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발열 소자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 소자에서 감지되는 온도와, 상기 발열 소자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 소자에서 감지되는 온도의 차이값이 기준 온도값 이하인 경우에, 제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ing element when the heating element is turned on and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ing element when the heating element is turned off is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temperature value, defrost is necessary. Can be judged.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상기 열교환 공간과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커버하는 유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flow channel cover covering the bypass flow path to partition the bypass flow path from the heat exchange spac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는 면인 상하 연장면을 포함하고, 상기 유로 커버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서 연장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하 연장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배리어를 포함함으로써, 착상 전에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을 줄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ld air duct includes a vertically extending surface which is a surface on which the bypass flow path is formed, and the flow path cover extends from the cover plate and the cover plate to cover the bypass flow path. By including a barrier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extension surface in the state covering the bypass flow path,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into the bypass flow path before implantation.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길이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상하 연장면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ypass flow path may extend in a straight line shap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o that the length of the bypass flow path is minimized.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외측으로 도출된 배리어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증발기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후면 배리어와, 상기 후면 배리어에서 좌우 이격된 위치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측면 배리어와, 상기 복수의 측면 배리어를 연결하며, 상기 후면 배리어와 이격되고 상기 후면 배리어를 기준으로 상기 증발기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전면 배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arrier which is drawn out of the bypass flow passage may include a rear barrier continuously extending from the cover plate and positioned adjacent to the evaporator, a plurality of side barriers extending from left and right spaces apart from the rear barrier, and the plurality of barriers. And a front barrier that is connected to the side barrier and spaced apart from the rear barrier and positioned opposite the evaporator with respect to the rear barrier.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상하 연장면의 단부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며, 공기를 상기 증발기 측으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ld air duct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ed surface extending inclined at the end of the upper and lower extension surface, and guides air to the evaporator sid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경사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 측으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배리어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은 공기의 통로를 제공하며 일 예로 상기 후면 배리어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barrier may include a slot to allow air flow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to flow to the evaporator side. The slot provides a passage of air and may be formed in the rear barrier as an exampl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 내의 센서 주변에서 성에가 생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센서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바닥벽 및 상기 유로 커버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nsor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wall of the bypass flow path and the flow path cover to prevent frost from being generated around the sensor in the bypass flow path.

상기 센서의 감지 정확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센서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입구 및 출구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서 상기 바닥벽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간의 거리를 이등분하는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In order to improve detection accuracy of the sensor, the sensor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an inlet and an outlet of the bypass flow path, and may be positioned at a point that bisects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wall and the cover plate in the bypass flow path. .

본 실시 예에서, 바이패스 유로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냉기 유입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의 영향을 받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냉기 덕트에 형성되는 냉기 유입홀과 상하 방향으로 미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ypass flow path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the cold air inflow hole formed in the cold air duct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bypass flow path is prevented from being affected by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cold air inflow hole. It may be arranged to overlap.

또한,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출구는 상기 냉기 덕트에 내에 구비되는 송풍팬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송풍팬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한 영역의 외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let of the bypass passage may be located in an outer region of the restricted reg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blowing fan based on the center of the blowing fan provided in the cold air duct.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냉기 덕트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상방에는 차단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block liquid from flowing into the bypass flow path, a blocking rib may be provided above the bypass flow path in the cold air duct.

일 예로, 상기 차단 리브의 좌우 최소 길이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좌우 최소 폭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좌우 전체는 상기 차단 리브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eft and right minimum lengths of the blocking ribs may be larger than the left and right minimum widths of the bypass flow path, and the entir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ypass flow path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blocking ribs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바이패스 유로에 증발기의 착상량에 따라 출력 값이 달라지는 센서를 이용하여 제상 필요 시점을 결정하므로, 제상 필요 시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since the defrosting necessary time is determined by using a sensor whose output value vari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implantation of the evaporator in the bypass passag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efrosting necessary time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냉기 덕트에서 상하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되므로, 바이패스 유로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ypass passage extends in a straight line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old air duc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ength of the bypass passage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서 센서는, 바이패스 유로 내에서 유동 변화량의 영향이 적은 지점에 위치되고, 완전유동발달 영역에서 유로의 중앙 영역에 위치되므로, 센서의 감지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nsor is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influence of the flow change amount is small in the bypass flow path, and is locat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flow path in the full flow development area,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sensor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서 센서가 바이패스 유로의 바닥멱과 유로 커버와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센서의 주변에서 성에가 생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nsor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bypass flow path and the flow path cover, frost is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around the sensor.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유로 커버가 바이패스 유로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배리어를 포함함으로써, 착성 전 바이패스 유로의 유량이 최소화되어 상기 센서에 의한 제상 필요 시점의 판단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low path cover includes a barrier that protrudes outward of the bypass flow path, the flow rate of the bypass flow path before the formation is minimized, and thus the determination accuracy of the defrost need time by the sensor may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이패스 유로의 상방에 차단 리브가 구비됨에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blocking rib is provided above the bypass flow passa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quid from flowing into the bypass flow pass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기 덕트의 사시도.
도 3은 냉기 덕트에서 유로 커버 및 센서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증발기의 착상 전과 착상 후의 열교환 공간과 바이패스 유로에서의 공기 유동을 주는 도면.
도 5는 바이패스 유로 내에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바이패스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에 따른 센서 주변의 열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바이패스 유로 상에서의 센서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바이패스 내에서의 공기 유동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바이패스 유로 내에서 센서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기 덕트에서 바이패스 유로와 유로 커버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패스 유로 및 제상수 유입 방지를 위한 리브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로 커버의 배리어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배리어의 돌출 길이에 따른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의 변화량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로 커버의 배리어의 단면도.
도 16은 배리어에서 슬롯의 유무에 따른 공기의 유동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배리어에 형성된 슬롯의 길이에 따른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의 변화량을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열교환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ld air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ow path cover and a sensor are separated from a cold air duct;
FIG. 4 is a diagram showing air flow in a heat exchange space and a bypass flow path before and after implantation of an evaporator;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a sensor is disposed in a bypass flow path.
6 illustrates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thermal flow around a sensor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through a bypass flow path.
8 shows the sensor position on the bypass flow path.
9 shows air flow patterns in the bypass.
10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in the state in which the sensor is installed in the bypass flow path.
11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bypass flow path and the flow path cover in the cold air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ribs for preventing a bypass flow path and defrost water inf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barrier of the flow path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n amount of change in temperature detected by a sensor according to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barrier.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rrier of a flow path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shows a change in air flow with and without slots in the barrier. FIG.
FIG. 17 is a view illustrating an amount of change in temperature sensed by a sensor according to a length of a slot formed in a barrier.
18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between compon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기 덕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냉기 덕트에서 유로 커버 및 센서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ld air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path cover and sensor in the cold air duct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ed stat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11)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ner case 12 forming a storage compartment 11.

상기 저장실(11)은 냉장실 및 냉장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compartment 11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상기 저장실(11)의 후측 공간에는 상기 저장실(11)로 공급된 냉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냉기 덕트(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덕트(20)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후측벽(13) 사이에는 증발기(30)가 배치된다. 즉, 상기 냉기 덕트(20)와 상기 후측벽(13) 사이에는 상기 증발기(30)가 배치되는 열교환 공간(222)이 정의된다. A cold air duct 20 is formed in the rear sp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11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cold air supplied to the storage compartment 11 flows. In addition, an evaporator 30 is disposed between the cold air duct 20 and the rear wall 13 of the inner case 12. That is, a heat exchange space 222 in which the evaporator 30 is disposed is defined between the cold air duct 20 and the rear wall 13.

따라서, 상기 저장실(11)의 공기는 상기 냉기 덕트(20)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후측벽(13) 사이의 열교환 공간(222)으로 유동하여 상기 증발기(30)와 열교환되고, 상기 냉기 덕트(20) 내부를 유동한 후에 상기 저장실(11)로 공급된다. Accordingly, the air in the storage compartment 11 flows into the heat exchange space 222 between the cold air duct 20 and the rear wall 13 of the inner case 12 to exchange heat with the evaporator 30, and the cold air After flowing inside the duct 20, it is supplied to the storage chamber 11.

상기 냉기 덕트(20)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제1덕트(210)와 ,상기 제1덕트(210)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2덕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ld air duct 2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first duct 210 and a second duct 220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irst duct 210.

상기 제1덕트(210)의 전면은 상기 저장실(11)을 바라보는 면이고, 상기 제1덕트(220)의 후면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후측벽(13)을 바라보는 면이다.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uct 210 faces the storage chamber 11,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uct 220 faces the rear wall 13 of the inner case 12.

상기 제1덕트(210)와 상기 제2덕트(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덕트(210)와 상기 제2덕트(220) 사이에는 냉기 유로(212)가 형성될 수 있다. A cold air passage 212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duct 210 and the second duct 22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duct 210 and the second duct 220 are couple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제2덕트(220)에는 냉기 유입홀(22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덕트(210)에는 냉기 토출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old air inlet hole 221 may be formed in the second duct 220, and a cold air discharge hole 211 may be formed in the first duct 210.

상기 냉기 유로(212)에는 송풍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이 회전되면, 상기 증발기(13)를 지난 공기가 상기 냉기 유입홀(221)을 통해 상기 냉기 유로(212)로 유입되고, 상기 냉기 토출홀(211)을 통해 상기 저장실(11)로 토출된다. The cold air passage 212 may be provided with a blowing fan (not shown). Therefore, when the blowing fan is rotate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3 flows into the cold air flow path 212 through the cold air inlet hole 221, and the storage chamber 11 through the cold air discharge hole 211. To be discharged.

상기 냉기 덕트(20)와 상기 후측벽(13) 사이에 상기 증발기(30)가 위치되되, 상기 증발기(30)는 상기 냉기 유입홀(221)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evaporator 30 may be located between the cold air duct 20 and the rear wall 13, and the evaporator 30 may be located below the cold air inlet hole 221.

따라서, 상기 저장실(11)의 공기는 상승하면서 상기 증발기(30)와 열교환된 후에 상기 냉기 유입홀(221)로 유입된다. Therefore, the air of the storage chamber 11 is introduced into the cold air inlet hole 221 after the heat exchange with the evaporator 30 while rising.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증가되면, 상기 증발기(30)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열교환 효율이 감소된다. 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if the amount of implantation of the evaporator 30 is increased,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0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에 따라서 변화되는 패러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증발기(30)의 제상 필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frosting necessary time of the evaporator 30 may be determined by using a parameter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implantation of the evaporator 30.

일 예로 상기 냉기 덕트(20)에는 상기 열교환 공간(222)을 유동하기 위한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바이패스되도록 하고, 공기의 유량에 따라 출력이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제상 필요 시점을 결정하는 착상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in the cold air duct 20, at least a part of the air for flow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space 222 is bypassed, and an idea of detection is performed to determine a defrosting necessary time using a sensor whose outpu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the air. It may further include.

상기 착상 감지 수단은, 상기 열교환 공간(222)을 유동하는 적어도 일부가 바이패스 되기 위한 바이패스 유로(230)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 상에 위치되는 센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mplantation detecting means may include a bypass passage 230 for bypa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 exchange space 222 and a sensor 270 positioned on the bypass passage 230. .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는 상기 제1덕트(210)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가 상기 제2덕트(22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Although not limited, the bypass flow path 230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first duct 210. Alternatively, the bypass flow path 230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duct 220.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는 상기 제1덕트(210) 또는 상기 제2덕트(220)의 입부가 상기 증발기(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bypass flow path 230 may be formed as the mouth of the first duct 210 or the second duct 220 is recess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vaporator 30.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는 상기 냉기 덕트(20)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bypass flow path 23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old air duct 20.

상기 열교환 공간(222)의 공기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바이패스 될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는 상기 증발기(30)의 좌우 폭 범위 내에서 상기 증발기(30)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bypass flow path 230 may face the evaporator 30 within a left and right width range of the evaporator 30 so that the air in the heat exchange space 222 may be bypassed to the bypass flow path 230. Can be arranged.

상기 착상 감지 수단은,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가 상기 열교환 공간(222)과 구획되도록 하기 위한 유로 커버(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mplantation detect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flow path cover 260 for allowing the bypass flow path 230 to be partitioned from the heat exchange space 222.

상기 유로 커버(260)는 상기 냉기 덕트(20)에 결합되며, 상하로 연장되는 바이패스 유로(23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The flow path cover 260 may be coupled to the cold air duct 20 and may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bypass flow path 230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상기 유로 커버(260)는, 커버 플레이트(261), 상기 커버 플레이트(261)의 상측에서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262)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261)의 하측에 구비되는 배리어(2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커버(260)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The flow path cover 260 may include a cover plate 261, an upper extension part 262 extending from an upper side of the cover plate 261, and a barrier 263 provided below the cover plate 261. Can be. A detailed shape of the flow path cover 26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증발기의 착상 전과 착상 후의 열교환 공간과 바이패스 유로에서의 공기 유동을 주는 도면이다. FIG. 4 is a diagram showing air flow in a heat exchange space and a bypass flow path before and after implantation of an evaporator.

도 4의 (a)는 착상 전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고, 도 4의 (b)는 착상 후의 공기 유동을 보여준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예로 제상 운전이 완료된 후가 착상 전의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4 (a) shows the air flow before implantation, and FIG. 4 (b) shows the air flow after implantation.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after the defrost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state before the implantation.

먼저,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증발기(30)에 성에가 존재하지 않거나 착상량이 현저히 적은 경우에는 공기의 대부분이 상기 열교환 공간(222)에서 상기 증발기(30)를 통과한다(화살표 A 참조). 반면, 공기 중 일부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할 수 있다(화살표 B 참조). First, referring to FIG. 4A, when no frost is present in the evaporator 30 or the amount of implantation is significantly small, most of the air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30 in the heat exchange space 222 (arrow). A). 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air may flow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230 (see arrow B).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많은 경우(제상이 필요한 경우임), 상기 증발기(30)의 성에가 유로 저항으로 작용하므로, 상기 열교환 공간(222)을 유동하는 공기의 양은 줄어들고(화살표 C 참조),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의 양은 증가된다(화살표 D 참조). Referring to FIG. 4B, when the amount of implantation of the evaporator 30 is large (defrost is necessary), since the frost of the evaporator 30 acts as a flow path resistance, the heat exchange space 222 flows. The amount of air to be reduced is reduced (see arrow C), and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230 is increased (see arrow D).

이와 같이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에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또는 유속)이 달라진다. As such, the flow rate (or flow rate) of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230 vari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implantation of the evaporator 30.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270)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 변화에 따라 출력값이 달라지고, 이러한 출력값 변화에 기초하여 제상 필요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nsor 270, the output valu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230,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defrosting based on the change in the output value.

이하에서는 센서(270)의 구조 및 원리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principle of the sensor 270 will be described.

도 5는 바이패스 유로 내에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바이패스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에 따른 센서 주변의 열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nsor is disposed in the bypass flow passage, FIG. 6 is a view showing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low rate of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flow passage. Figure is a view showing the heat flow around the sensor according.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 내의 일 지점에 상기 센서(27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270)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와 접촉할 수 있으며, 공기의 유량 변화에 대하여 반응하여 출력값이 달라질 수 있다. 5 to 7, the sensor 270 may be disposed at a point in the bypass flow path 230. Accordingly, the sensor 270 may be in contact with air flowing along the bypass flow path 230, and the output value may be changed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flow rate of air.

상기 센서(270)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입구(231)와 출구(232) 각각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에서의 센서(270)의 구체적인 위치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The sensor 27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inlet 231 and the outlet 232 of the bypass flow path 230. A detailed position of the sensor 270 in the bypass flow path 2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상기 센서(270)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 상에 위치하므로, 상기 센서(270)는 상기 증발기(30)의 좌우 폭 범위 내에서 상기 증발기(30)와 마주볼 수 있다. Since the sensor 270 is positioned on the bypass flow path 230, the sensor 270 may face the evaporator 30 within a left and right width range of the evaporator 30.

상기 센서(270)는 일 예로 발열 온도 센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270)는, 센서 피씨비(271)와, 상기 센서 피씨비(271)에 설치되는 발열 소자(273)와, 상기 센서 피씨비(271)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 소자(27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270 may be, for example, a heating temperature sensor. In detail, the sensor 270 includes a sensor PC 271, a heating element 273 installed in the sensor PC 271, and a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273 provided in the sensor PC 271. It may include a sensing element 274 for sensing.

상기 발열 소자(273)는, 전류를 인가하면 발열하는 저항일 수 있다. The heat generating element 273 may be a resistor that generates heat when a current is applied.

상기 감지 소자(274)는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The sensing element 274 may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273.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적으면, 공기에 의한 상기 발열 소자(273)의 냉각량이 적어 상기 감지 소자(274)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높다. When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 the bypass flow path 230 is small, the amount of cooling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273 by the air is small,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ing element 274 is high.

반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많으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발열 소자(273)의 냉각량이 증가되므로, 상기 감지 소자(274)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낮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in the bypass flow path 230 is large, the cooling amount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273 is increased by the air flowing in the bypass flow path 230, the sensing element 274 The sensed temperature will be low.

상기 센서 피씨비(271)는,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오프 상태에서 상기 감지 소자(274)에서 감지되는 온도와,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 소자(274)에서 감지되는 온도의 차이를 판단할 수 있다. The sensor PCB 271 may include a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ing element 274 in the off state of the heating element 273, and a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ing element 274 in the on state of the heating element 273. You can judge the difference.

상기 센서 피씨비(271)는 발열 소자(273) 온/오프 상태의 온도 차이값(일 예로 최대값)이 기준 차이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sensor PC 271 may determine whether a temperature difference value (for example, a maximum value) in the on / off state of the heating element 273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ifference value.

예를 들어,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적은 경우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적다. 이 경우, 상기 발열 소자(273)의 열의 유동이 거의 없고, 공기에 의해서 냉각되는 양이 적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and FIG. 7, when the amount of implantation of the evaporator 30 is small,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into the bypass flow path 230 is small. In this case, there is little heat flow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273, and the amount cooled by air is small.

반면,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많은 경우,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많다. 그러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발열 소자(273)의 열의 유동이 많고 냉각량이 많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amount of implantation of the evaporator 30 is large,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into the bypass flow path 230 is large. Then, the heat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273 is increased by the air flowing along the bypass flow path 230 and the amount of cooling is large.

따라서,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많은 경우에 상기 감지 소자(274)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적은 경우에 상기 감지 소자(274)에서 감지되는 온도 보다 작다. Therefore, when the amount of implantation of the evaporator 30 is large,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ing element 274 is smaller tha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ing element 274 when the amount of implantation of the evaporator 30 is small.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 소자(274)에서 감지된 온도와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 소자(274)에서 감지된 온도의 차가 기준 온도차 이하인 경우, 제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difference between a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ing element 274 while the heating element 273 is turned on and a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ing element 274 when the heating element 273 is turned off If it is less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difference, it may be determined that defrost is necessary.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센서(270)는, 착상량에 따라 유량이 가변되는 공기에 의해서 가변되는 발열 소자(273)의 온도의 변화를 감지하므로,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에 따라 제상 필요 시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or 270 detects a change in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273 that is varied by the air whose flow rate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amount of implantation, and thus defrost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implantation of the evaporator 30. Accurately determine the time required.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가 직접 상기 센서 피씨비(271), 발열 소자(273) 및 상기 온도 센서(274)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센서(270)는 센서 하우징(27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하우징(271)은 일측이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피씨비(271)에 연결된 전선이 인출되고, 그 이후에 개구된 부분이 커버부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The sensor 270 is a sensor housing 271 such that the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230 is prevented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sensor PC 271, the heating element 273, and the temperature sensor 274. It may further include. In the state in which the sensor housing 271 is opened, the wire connected to the sensor PCB 271 may be drawn out, and the opened portion may be covered by the cover part.

상기 센서 하우징(271)은 상기 센서 피씨비(271), 발열 소자(273) 및 상기 온도 센서(274)를 둘러쌀 수 있다.The sensor housing 271 may surround the sensor PCB 271, the heat generating element 273, and the temperature sensor 274.

도 8은 바이패스 유로 상에서의 센서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바이패스 내에서의 공기 유동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바이패스 유로 내에서 센서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position of the sensor on the bypass flow path, FIG. 9 is a view showing the air flow pattern in the bypass flow path,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in the state where the sensor is installed in the bypass flow path. Drawing.

도 5,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유로 커버(260)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5 and 8 to 10, the flow path cover 260 may cover a portion of the bypass flow path 230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공기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 중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유로 커버(260)가 존재하는 영역(열교환 공간과 구획된 영역임)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air flows along the region of the bypass passage 230 where the passage cover 260 exists (which is a region partitioned from the heat exchange space).

상기 센서(2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입구(231)와 출구(232)에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27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let 231 and the outlet 232 of the bypass flow path 230.

상기 센서(270)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변화의 영향을 적게 받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nsor 270 may be disposed at a location that is less affected by the flow change of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230.

일 예로, 상기 센서(270)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입구(실제로 상기 유로 커버(260)의 하단부임)에서 적어도 6Dg (또는 6 * 유로의 직경) 이격된 위치(이하 "입구 기준 위치"라 함)에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nsor 270 is located at least 6Dg (or 6 * diameter diameter) at an inlet of the bypass flow path 230 (actually, a lower end portion of the flow path cover 260)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let reference”). Location ").

또한, 상기 센서(270)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출구(실제로 상기 유로 커버(260)의 상단부임)에서 적어도 3Dg (또는 3 * 유로의 직경) 이격된 위치(이하 "출구 기준 위치"라 함)에 배치될 수 있다. Further, the sensor 270 is at least 3Dg (or 3 * diameter diameter) spaced apart from the exit of the bypass flow path 230 (actually, the upper end of the flow path cover 260) (hereinafter referred to as “outlet reference position”). It can be arranged in).

공기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입되는 과정 또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에서 배출되는 과정에서 유동 변화가 심하다. 만약, 공기의 유동 변화량이 큰 경우, 착상량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제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공기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따라 유동할 때, 유동 변화가 적은 위치에 센서(270)를 설치하여 감지 오류를 줄인다.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air into the bypass passage 230 or the process of discharging from the bypass passage 230, the flow change is severe. If the flow change amount of the air is large, it may be determined that defrosting is necessary despite the small amount of implantation.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ir flows along the bypass flow path 230, the sensor 270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flow change is small to reduce the detection error.

일 예로 상기 센서(270)는 상기 입구 기준 위치와 상기 출구 기준 위치 사이에 범위 내에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270)는 상기 입구 기준 위치 보다 상기 출구 기준 위치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270)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에서 입구(231) 보다 출구(232)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nsor 270 may be located within a range between the inlet reference position and the outlet reference position. The sensor 270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outlet reference position than to the inlet reference position. Thus, the sensor 270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outlet 232 than the inlet 231 in the bypass flow path 230.

적어도 상기 입구 기준 위치에서 유동이 안정화되고 상기 출구 기준 위치까지는 유동이 안정화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상기 센서(270)를 상기 출구 기준 위치에 가까게 위치시키면, 유동이 안정화된 공기가 상기 센서(270)와 접촉하게 된다. Since the flow is stabilized at least at the inlet reference position and the flow is stabilized up to the outlet reference position, placing the sensor 270 close to the outlet reference position results in the flow stabilized air being the sensor 270. ).

따라서, 착상량의 많고 적음에 따른 유동 변화 외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상기 센서(270)의 감지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refore, it is not influenced other than the change of the flow due to the large and small amount of implantation amount, the sensing accuracy of the sensor 270 can be improved.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 내에서 입구(231) 측에서 멀어질수록 공기는 완전발달유동 형태가 된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9, the air becomes a fully developed flow form as it moves away from the inlet 231 in the bypass flow path 230.

상기 센서(270)는 공기의 유동 변화에 매우 민감하므로, 상기 센서(270)가 완전발달유동을 가지는 지점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중앙부에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센서(270)에서 공기의 유동 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Since the sensor 270 is very sensitive to a change in the flow of air, when the sensor 27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bypass flow path 230 at the point where the sensor 270 has full development flow, Accurately detect changes in flow.

따라서, 도 10과 같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 내의 중앙 영역에 상기 센서(270)가 설치될 수 있다. 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sensor 270 may be install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bypass flow path 230.

이때,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중앙 영역은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에서 함몰된 부분의 바닥벽(236)과 상기 유로 커버(260)를 이등분 하는 지점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즉, 상기 센서(270)의 일부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에서 함몰된 부분의 바닥벽(236)과 상기 유로 커버(260)를 이등분 하는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enter area of the bypass flow path 230 is an area including a point that bisects the bottom wall 236 of the portion recessed in the bypass flow path 230 and the flow path cover 260. That is, a part of the sensor 270 may be located at a point bisecting the bottom wall 236 of the portion recessed in the bypass flow path 230 and the flow path cover 260.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270)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바닥벽(236) 및 상기 유로 커버(260)와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 내의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바닥벽(236)과 상기 센서(270) 사이 공간을 유동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센서(270)와 상기 유로 커버(260) 사이 공간을 유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sensor 27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wall 236 of the bypass flow path 230 and the flow path cover 260. Accordingly, some of the air in the bypass flow path 230 flow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wall 236 and the sensor 270, and another part of the air flows between the sensor 270 and the flow path cover 260. It can flow.

정리하면, 상기 센서(270)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 내에서 공기의 유동 변화가 최소인 지점, 완전발달유동이 흐르는 지점에서 유로의 중앙 영역에 설치되어야 감지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summary, the sensor 270 may be install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flow path at the point where the change of air flow is minimal in the bypass flow path 230 and at the point where the complete development flow flows, so that the detection accuracy may be improved.

이러한 배치에 의해서 상기 센서(270)는 착상량의 많고 적음에 따른 공기의 유동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270)에서 감지되는 온도 변화량을 크게 할 수 있다. This arrangement allows the sensor 270 to respond sensitively to changes in the flow of air due to the high and low amount of implantation. That is, the amount of temperature change detected by the sensor 270 may be increased.

이와 같이 상기 센서(270)에서 감지되는 온도의 변화량이 커지게 되면, 상기 센서(270) 자체의 온도 감지 정밀도를 낮추어도 제상 필요 시점의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센서(270) 자체의 온도 감지 정밀도는 가격과 관련되므로, 정밀도가 낮아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센서(270)를 사용하여도 상기 제상 필요 시점의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or 270 is increased in this way, even when the temperature detection accuracy of the sensor 270 itself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efrosting necessary time. Since the temperature sensing precision of the sensor 270 itself is related to price, even when the sensor 270 having a low precision and a relatively low price is us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efrosting necessary tim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기 덕트에서 바이패스 유로와 유로 커버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 bypass flow path and a flow path cover in a cold air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유로 커버(260)의 하단부(260a)는 상기 증발기(30)의 하단과 유사한 높이에 위치하거나 상기 증발기(30)의 하단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lower end portion 260a of the flow passage cover 260 may be positioned at a height similar to the lower end of the evaporator 30 or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evaporator 30.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증가되는 경우 공기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쉽게 유동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when the amount of implantation of the evaporator 30 is increased, air can easily flow into the bypass flow path 230.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기 덕트(20) 내에 송풍팬이 위치되므로 상기 송풍팬이 회전되면 상기 냉기 덕트(20)의 공기 유입홀(221) 부분이 저압 영역이 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blowing fan is located in the cold air duct 20, when the blowing fan is rotated, the air inlet hole 221 of the cold air duct 20 becomes a low pressure region.

또한, 공기는 상기 증발기(30)를 따라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하므로, 상기 증발기(30)를 기준으로 상기 증발기(30)의 하측이 고압 영역이고, 상기 증발기(30)의 상측이 저압 영역이 된다. In addition, since air flow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long the evaporator 30, the lower side of the evaporator 30 is a high pressure region and the upper side of the evaporator 30 is a low pressure region based on the evaporator 30. .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유로 커버(260)의 상단부(260b)는 상기 저압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end portion 260b of the flow path cover 260 may be located in the low pressure region.

따라서, 상기 유로 커버(260)의 하단부(260a)가 고압 영역에 위치되고, 상단부(260b)가 저압 영역에 위치되므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since the lower end portion 260a of the flow passage cover 260 is located in the high pressure region and the upper end portion 260b is located in the low pressure region, air flows to the bypass flow passage 230.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유로 커버(260)의 상단부(260b)는 상기 증발기(30)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30)를 통과한 공기에 영향을 받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end portion 260b of the flow path cover 260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evaporator 30. Therefor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ypass flow path 230 may be less affected b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0.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는 상기 공기 유동홀(221)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출구(232)의 공기가 상기 공기 유동홀(221)로 유입되는 공기의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bypass flow path 230 may be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the air flow hole 22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is to prevent the air at the outlet 232 of the bypass flow path 230 from being affected by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flow hole 221.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출구(232)는 상기 송풍팬의 중심(C)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출구(232)는 상기 공기 유동홀(221)의 최저점 보다도 낮게 위치될 수 있다. The outlet 232 of the bypass flow path 230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center C of the blowing fan. In addition, the outlet 232 of the bypass flow path 230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lowest point of the air flow hole (221).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기 유동홀(221)은 직경은 D1이고 상기 송풍팬의 직경은 D2이다. 상기 송풍팬의 직경 D2은 공기 유동홀(221)의 직경 D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ir flow hole 221 has a diameter of D1 and the diameter of the blowing fan is D2. The diameter D2 of the blowing fan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D1 of the air flow hole 221.

상기 송풍팬의 중심(C)을 기준으로 송풍팬의 직경 D2 보다 큰 직경 D3인 제한 영역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출구(232)는 직경이 D3인 제한 영역의 외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A restricted area having a diameter D3 larg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blower fan may be set based on the center C of the blower fan, and the outlet 232 of the bypass flow path 230 may be outside the restricted area having a diameter D3. It can be located in the area.

또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는 상기 제한 영역 외측의 영역에서 상하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length of the bypass flow path 230, the bypass flow path 230 may extend in a straight line shape in a vertical direction in an area outside the restriction area.

이때,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직경 D3는 상기 송풍팬의 직경의 1.5배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although not limited, the diameter D3 may be set to more than 1.5 times the diameter of the blowing fan.

상기 공기 유동홀(221)을 통해 공기가 상기 냉기 덕트(20)로 유입되므로, 상기 공기 유동홀(221)에서의 유속은 크다. Since air flows into the cold air duct 20 through the air flow hole 221, the flow velocity of the air flow hole 221 is large.

그리고, 상기 공기 유동홀(221)의 빠른 유속에 의해서 상기 직경 D3의 영역에서의 공기의 유속도 빠르다. In addition, the flow velocity of air in the region having the diameter D3 is high due to the high flow velocity of the air flow hole 221.

만약,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출구(232)가 상기 제한 영역 내에 위치되는 경우, 빠른 유속의 영향으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 내에서의 공기의 유동 변화가 존재하게 되어 상기 센서(270)의 감지 정확성이 낮아지게 된다. If the outlet 232 of the bypass flow path 230 is located in the restricted region, there is a change in the flow of air in the bypass flow path 230 due to the influence of the high flow rate so that the sensor 270 ), The accuracy of detection becomes low.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길이를 줄이면서도, 상기 공기 유동홀(221) 주변의 유속이 빠른 공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가 직선 형태로 연장되며, 출구(232)는 상기 제한 영역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ile reducing the length of the bypass flow path 230, the bypass flow path 230 in a straight form so that the flow rate around the air flow hole 221 is not affected by the fast air. Extending, the outlet 232 may be located outside of the restriction area.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패스 유로 및 제상수 유입 방지를 위한 리브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12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ribs for preventing a bypass flow path and defrost water inf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가 수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에서 상기 센서(270)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형성하는 벽 간의 공간에서 모세관 현상에 따라 유로 내 착상이 발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0 and 12, since the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230 contains water, the sensor 270 and the bypass flow path 230 are formed in the bypass flow path 230. In the flow path between the walls of the capillary phenomenon may occur.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유로 내 착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센서(270)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바닥벽(236) 및 상기 유로 커버(260)와 이격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or 27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wall 236 of the bypass flow path 230 and the flow path cover 260 to prevent in-flow implantation.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센서(270)는 상기 바닥벽(236) 및 상기 유로 커버(260) 각각과 1.5mm 이상 이격("최소 이격 거리"라고 할 수 있음)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the sensor 270 may be desig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bottom wall 236 and the flow path cover 260 by 1.5 mm or more (which may be referred to as a “minimum separation distance”).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깊이(D)는 (2 * 최소 이격 거리)와 센서(27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refore, the depth D of the bypass flow path 230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2 * minimum separation distance) and the thickness of the sensor 270.

한편,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좌우 폭(W)은 상기 깊이(D)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left and right widths W of the bypass flow path 230 may be larger than the depth D.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좌우 폭(W)을 깊이(D) 보다 크게 형성하게 되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공기가 유동될 때, 공기와 상기 센서(27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센서(270)에서 감지되는 온도의 변화량을 크게 할 수 있다. When the left and right widths W of the bypass flow path 230 are formed larger than the depth D, when the air flows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230,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air and the sensor 270 is increased. As a result, the amount of change in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or 270 may be increased.

상기 냉기 덕트(20)에는 제상 과정에서 녹아서 형성된 제상수 또는 수분 등과 같은 액체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 리브(24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cold air duct 20 may be provided with a blocking rib 240 for preventing a liquid such as defrost water or moisture formed during the defrosting process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bypass flow path 230.

상기 차단 리브(240)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출구(232)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 리브(240)는 상기 냉기 덕트(20)에서 돌출되는 돌출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blocking rib 240 may be located above the outlet 232 of the bypass flow path 230. The blocking rib 240 may have a shape of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old air duct 20.

상기 차단 리브(240)는 낙하되는 액체를 좌우로 퍼지도록 하여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blocking rib 240 spreads the falling liquid to the left and right to prevent the inflow into the bypass flow path 230.

상기 차단 리브(240)는 좌우로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방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blocking rib 24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from side to side, or may be formed in a rounded shape so as to be convex upward.

상기 차단 리브(240)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좌우 전체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좌우 최소 길이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좌우 폭 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blocking ribs 240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entir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ypass flow path 230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may be formed such that a minimum left and right lengths are larg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bypass flow path 230.

상기 차단 리브(240)가 상기 냉기 덕트(20)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차단 리브(240)가 공기의 유동 저항 역할을 하므로, 상기 차단 리브(240)의 좌우 최소 길이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좌우 폭(W)의 2배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When the blocking rib 240 is formed in the cold air duct 20, since the blocking rib 240 serves as a flow resistance of air, the left and right minimum lengths of the blocking rib 240 are the bypass flow path 230. It may be set to less than twice the width (W) of the left and right.

상기 차단 리브(240)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와 가깝게 위치될 수록 상기 차단 리브(240)의 길이는 줄어들 수 있으나, 반면, 제상수가 상기 차단 리브(240)를 타고 넘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인입될 우려가 있다. As the blocking rib 240 is located closer to the bypass flow path 230, the length of the blocking rib 240 may be reduced. On the other hand, the defrost water flows over the blocking rib 240 and passes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There is a fear of entering into (230).

따라서, 상기 차단 리브(240)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되, 최대 이격 거리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좌우 폭(W) 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blocking rib 24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ypass flow path 23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maximum separation distance may be set within a left and right width (W) range of the bypass flow path 230.

상기 냉기 덕트(20)는 상기 센서(270)를 설치하기 위하여 함몰되는 센서 설치홈(23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ld air duct 20 may include a sensor installation groove 235 recessed to install the sensor 270.

상기 냉기 덕트(20)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형성하기 위한 바닥벽(236), 양측벽(233, 234)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 설치홈(235)은 상기 양측벽(233, 234) 중 하나 이상에서 함몰될 수 있다. The cold air duct 20 includes a bottom wall 236 and both side walls 233 and 234 for forming the bypass flow path 230, and the sensor installation groove 235 includes both side walls 233, 234).

상기 센서(270)가 상기 센서 설치홈(235)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27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최소 이격 거리 만큼 상기 바닥벽(236) 및 상기 유로 커버(260)와 이격될 수 있다. In the state where the sensor 270 is installed in the sensor installation groove 235, the sensor 27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wall 236 and the flow channel cover 260 by a minimum separation distance as described abov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로 커버의 배리어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배리어의 돌출 길이에 따른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의 변화량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로 커버의 배리어의 단면도이다. FIG. 13 is a view showing a barrier of a flow path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howing an amount of change of temperature detected by a sensor according to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barrier, and FIG.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rrier of the flow path cover.

도 16은 배리어에서 슬롯의 유무에 따른 공기의 유동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7은 배리어에 형성된 슬롯의 길이에 따른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의 변화량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6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the flow of air with or without a slot in the barrier, Figure 17 is a view showing the amount of change in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or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lot formed in the barrier.

도 18은 본 발명의 열교환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8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도 8,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유로 커버(260)는, 커버 플레이트(261), 상측 연장부(262) 및 배리어(263)를 포함할 수 있다. 3, 8, 12 to 18, the flow path cover 260 may include a cover plate 261, an upper extension 262, and a barrier 263.

상기 커버 플레이트(261)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커버하며,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61)는 일 예로 상기 바닥벽(236)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커버할 수 있다. The cover plate 261 covers the bypass flow path 230 and may be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For example, the cover plate 261 may cover the bypass flow path 230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wall 236.

상기 냉기 덕트(20)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61)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235a)이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61)가 상기 안착홈(235a)에 안착되면, 상기 커버 플레이트(261)의 외면은 상기 냉기 덕트(20)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 In the cold air duct 20, a mounting groove 235a for mounting the cover plate 261 may be vertically long. When the cover plate 261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235a,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261 may form a surface that is substantially continuous with the cold air duct 20.

상기 상측 연장부(262)도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261)에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The upper extension part 262 may also cover a portion of the bypass flow path 230, and may exten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cover plate 261.

상기 상측 연장부(262)는 상기 냉기 덕트(20)의 일부(226: 이하 "상측 경사부"라 함)가 경사짐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261)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구성이다. The upper extension portion 262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to extend from the cover plate 261 correspondingly as a portion of the cold air duct 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upward inclined portion”) is inclined.

만약, 상기 냉기 덕트(20)가 상측 경상부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상측 연장부(262)가 생략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261)가 일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If the cold air duct 20 does not include an upper mirror portion, the upper extension portion 262 may be omitted so that the cover plate 261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상기 상측 연장부(262)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일부 만을 커버한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출구(232)가 된다. The upper extension 262 covers only a part of the bypass flow path 230. Thus, a portion of the bypass flow path 230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become the outlet 232.

상기 커버 플레이트(261)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배리어(263)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외측에 위치된다. 일 예로 상기 배리어(263)는 상기 냉기 덕트(20)의 상하 연장면(227)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barrier 263 is positioned outside the bypass flow path 230 while the cover plate 261 covers the bypass flow path 230. For example, the barrier 263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vertically extending surface 227 of the cold air duct 20.

따라서, 상기 배리어(263)의 일부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 내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Accordingly, a part of the barrier 263 is located in the bypass flow path 230, and the other par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ypass flow path 230.

구체적으로, 상기 배리어(263)는, 상기 증발기(30)와 가깝게 위치되는 후면 배리어(267)와, 상기 후면 배리어(267)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면 배리어(264)와, 상기 전면 배리어(264)와 상기 후면 배리어(267)를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 배리어(265, 2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측면 배리어(265, 266)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복수의 측면 배리어(265, 266)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arrier 263 may include a rear barrier 267 positioned close to the evaporator 30, a front barrier 264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rear barrier 267, and the front barrier ( 264 and a plurality of side barriers 265 and 266 connecting the rear barrier 267. The plurality of side barriers 265 and 266 may be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though not limited, the plurality of side barriers 265 and 266 may be disposed in parallel.

상기 후면 배리어(267)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61)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벽이다. 상기 복수의 측면 배리어(265, 266)는 상기 후면 배리어(267)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벽이다. 상기 전면 배리어(264)는 상기 복수의 측면 배리어(265, 266)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벽이다. The back barrier 267 is a wall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cover plate 261. The plurality of side barriers 265 and 266 are walls extending forward from the back barrier 267. The front barrier 264 is a wall connecting front ends of the plurality of side barriers 265 and 266.

상기 전면 배리어(264)는 상기 후면 배리어(267)를 기준으로 상기 증발기(30)의 반대편에 위치된다. The front barrier 264 is located opposite the evaporator 30 with respect to the rear barrier 267.

그리고, 상기 배리어(263)의 하면은 개구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 배리어(264), 복수의 측면 배리어(265, 266) 및 후면 배리어(267)에 의해서 상기 배리어(263)에는 공기를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안내하는 안내 유로(268)가 형성된다.The lower surface of the barrier 263 is opened. Accordingly, a guide flow path 268 that guides air to the bypass flow path 230 is formed in the barrier 263 by the front barrier 264, the plurality of side barriers 265 and 266, and the rear barrier 267. Is formed.

상기 안내 유로(268)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외측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와 연통되는 유로이다. 이러한 안내 유로(268)도 바이패스 유로 역할을 한다. The guide passage 268 is a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bypass passage 230 outside the bypass passage 230. The guide flow path 268 also serves as a bypass flow path.

상기 냉기 덕트(20)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가 형성되는 면(227)(이하 "상하 연장면"이라 함)은 실질적으로 수직한 면일 수 있다. The cold air duct 20 may have a surface 227 on which the bypass flow path 230 is form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up and down extension surface”) may be a substantially vertical surface.

상기 상하 연장면(227)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The bypass passage 230 may extend in a straight line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vertical extension surface 227.

상기 냉기 덕트(20)는 상기 상하 연장면(227)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경사면(2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28)은 상기 증발기(30)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The cold air duct 20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ed surface 228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upper and lower extending surfaces 227. The inclined surface 228 may extend downwardly as the distance from the evaporator 30 increases.

상기 경사면(228)은 상기 저장실(11)의 공기를 상기 열교환 공간(222)으로 안내하는 면이다. The inclined surface 228 is a surface for guiding the air in the storage chamber 11 to the heat exchange space 222.

따라서, 상기 저장실(11)의 공기는, 상기 열교환 공간(222)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경사면(228)에 의해서 상향 경사지게 유동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ir in the storage compartment 11 may flow upwardly inclined by the inclined surface 228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heat exchange space 222.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배리어(263)는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적은 경우에는 상기 열교환 공간(222)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barrier 263 may serve to limit the inflow of air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 space 222 into the bypass flow path 230 when the amount of implantation of the evaporator 30 is small. have.

반면, 상기 배리어(230)는,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많은 경우에는 상기 열교환 공간(222)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효과적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arrier 230 may serve to effectively guid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 space 222 to the bypass flow path 230 when the amount of implantation of the evaporator 30 is large.

이와 같이 상기 배리어(263)에 의해서,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의 많고 적음에 따라 공기의 유량 변화가 커지게 되면, 상기 센서(260)에서의 감지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low rate of the air increases as the amount of implantation of the evaporator 30 increases by the barrier 263,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sensor 260 may be improved.

즉,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의 많고 적음에 따라 공기의 유량 변화가 크면, 상기 센서(270)에서 감지되는 온도의 변화량이 크게 되어 상기 제상 필요 시점의 판단이 정확해질 수 있다. That is, if the flow rate of the air is large according to a large amount or a small amount of the amount of implantation of the evaporator 30, the amount of change in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or 270 is increased, so that the determination of the defrosting necessary time may be accurat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의 많고 적음에 따라 상기 센서(270)에서 감지되는 온도의 변화량이 커지면, 센서 정밀도가 낮은 센서(270)를 사용하여도 상기 제상 필요 시점의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or 270 increases as the amount of implantation of the evaporator 30 increases and decreases, even when the sensor 270 having a low sensor accuracy is used, Judgment is possibl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하 연장면(227)의 하단부(상하 연장면(227)과 상기 경사면(228)의 경계부임)로부터 상기 배리어(263)의 돌출 길이에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달라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extension surfaces 227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xtension surfaces 227 and the inclined surface 228) is extended from the lower end portion 227 to the bypass flow path 230 along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barrier 263. The flow rate of the incoming air can vary.

도 14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배리어의 돌출 길이고, 세로 축은 착상전의 온도와 착상 후의 온도 간의 변화량의 크기를 보여준다. Referring to Fig. 14, the horizontal axis shows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barrier, and the vertical axis shows the magnitude of the change amount between the temperature before implantation and the temperature after implantation.

상기 배리어(263)의 돌출 길이가 적으면, 착상 전에도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많아지게 된다. Whe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barrier 263 is small,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230 increases even before implantation.

착상 전에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많은 경우 상기 센서(270)의 온도 변화 폭(일 예로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 간의 차이값)이 크고, 착상 후에서도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많아 상기 센서(270)의 온도 변화 폭이 크다. If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230 before implantation is large, the temperature variation range of the sensor 270 (eg,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est temperature and the lowest temperature) is large, and even after implantation, the bypass flow path ( Since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through the 230 is large, the temperature change range of the sensor 270 is large.

결국, 착상 전의 센서(270)의 온도와 착상 후의 센서(270)의 온도의 변화량 (일 예로 착상 전 최저 온도와 착상 후 최저 온도의 차이값)이 작게 된다. As a result, the amount of change of the temperature of the sensor 270 before implantation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nsor 270 after implantation (for examp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west temperature before implantation and the lowest temperature after implantation) is reduced.

반대로, 상기 배리어(263)의 돌출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착상 전에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적어진다. 착상 전의 상기 센서(270)의 온도 변화 폭은 작게 된다. 반면, 착상 후에는 상기 센서(270)의 온도 변화 폭이 크므로, 착상 전의 센서(270)의 온도와 착상 후의 센서(270)의 온도의 변화량이 크게 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barrier 263 becomes long,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230 before implantation decreases. The temperature change width of the sensor 270 before implantation becomes small. On the other hand, since the temperature change width of the sensor 270 after implantation is larg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temperature of the sensor 270 before implantation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nsor 270 after implantation becomes large.

다만, 상기 배리어(263)의 돌출 길이가 너무 길어지게 되면, 착상 전 뿐만 아니라, 착상 후에도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적어지게 되어 착상 전의 센서(270)의 온도와 착상 후의 센서(270)의 온도의 변화량이 작게 된다. However, if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barrier 263 becomes too long,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into the bypass flow path 230 is reduced not only before the implantation but also after the implantation, and thus the temperature of the sensor 270 before the implantation is implanted. The change amount of the temperature of the sensor 270 afterwards becomes small.

따라서, 상기 센서(270)에서 착상 전과 착상 후의 온도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상이 될 수 있도록, 상기 배리어(230)의 돌출 길이는 10mm 이상 17mm 이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Therefore,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barrier 230 may be set to a value of 10 mm or more and 17 mm or less so that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before and after implantation in the sensor 270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riation.

한편, 상기 배리어(230)의 하측 단부는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면 배리어(264)와 상기 복수의 측면 배리어(265, 266)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the barrier 230 may be arranged horizontally. For example, the front barrier 264 and the plurality of side barriers 265 and 266 may be located on substantially the same horizontal plane.

이 경우, 도 16의 (a)와 같이 상기 저장실(11)의 공기는 상기 경사면(228)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유동하므로, 경사지게 유동하는 공기 중에서 상기 전면 배리어(264)를 지난 공기가 상기 후면 배리어(267)에 부딪히게 되면, 공기가 상기 증발기(30) 측으로 유동하지 못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동하게 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6A, the air in the storage compartment 11 flows upwardly inclin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228, so that the air passing the front barrier 264 among the inclined air flows through the rear barrier ( When hitting 267, air does not flow to the evaporator 30 and flows to the bypass flow path 230.

이렇게 되면, 착상량과 무관하게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into the bypass flow path 230 is increased regardless of the amount of implantation.

본 실시 예의 경우, 착상 전에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최소가 되어야 제상 필요 시점 판단의 정확성이 증가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before the implantation,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 the bypass flow path 230 must be minimum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defrosting time determination.

따라서, 상기 후면 배리어(267)에는 상기 전면 배리어(264)의 하단부를 지난 공기가 바로 상기 증발기(3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공기의 통로를 제공하는 슬롯(269)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a slot 269 may be formed in the rear barrier 267 to provide a passage of air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front barrier 264 may flow directly to the evaporator 30.

도 16의 (b)와 같이 상기 후면 배리어(267)에 슬롯(269)이 형성되면, 상기 전면 배리어(264)의 하단부를 지난 공기가 상기 후면 배리어(267)와 부딪히지 않게 되므로 상기 증발기(30) 측으로 바로 유동할 수 있다. When the slots 269 are formed in the rear barrier 267 as shown in FIG. 16B, the air 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front barrier 264 does not collide with the rear barrier 267 so that the evaporator 30 may be formed. Can flow directly to the sid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면 배리어(264)에 부딪힌 공기는 상기 복수의 측면 배리어(265, 266)를 따라 유동한 후에 상기 후면 배리어(267)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air that hits the front barrier 264 flows along the plurality of side barriers 265 and 266 and then flows toward the rear barrier 267.

상기 후면 배리어(267)에 상기 슬롯(269)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측면 배리어(265, 266)를 따라 유동한 공기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동하지 못하고 상기 증발기(30) 측으로 유동한다. When the slots 269 are not formed in the rear barrier 267, air flowing along the side barriers 265 and 266 may not flow to the bypass flow path 230 but flow toward the evaporator 30. do.

반면, 상기 후면 배리어(267)에 상기 슬롯(269)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측면 배리어(265, 266)를 따라 유동한 공기가 상기 슬롯(269)에 의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lot 269 is formed in the rear barrier 267, air flowing along the side barriers 265 and 266 flows toward the bypass flow path 230 by the slot 269. do.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실제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은, 적어도 상기 배리어(263)의 안내 유로(268)로 직접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과, 상기 배리어(263)의 둘레를 따라 유동한 후에 상기 슬롯(269)을 따라 상기 배리어(263)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ow rate of air actually flowing into the bypass flow path 230 includes at least a flow rate of air directly flowing into the guide flow path 268 of the barrier 263 and a circumference of the barrier 263. It may be determined by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barrier 263 along the slot 269 after flowing along.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슬롯(269)의 길이(배리어(262)의 하단부로부터 높이)가 작으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크고, 상기 슬롯(269)이 길어지게 되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적게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ength of the slot 269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barrier 262) is small,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into the bypass flow path 230 is large, and the slot 269 is lengthened.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into the bypass flow path 230 is reduced.

다만, 상기 슬롯(269)의 길이가 너무 커지게 되면, 오히려, 상기 측면 배리어(265, 266)를 따라 유동한 후에 상기 슬롯(269)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커지게 되어, 착상 전에도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커지게 된다. However, if the length of the slot 269 is too large, rather,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through the slot 269 after flowing along the side barriers 265 and 266 becomes large, even before implantation.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into the bypass flow path 230 is increased.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착상 전에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슬롯(269)의 길이는 4mm 이상 9 mm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슬롯(269)의 길이는 상기 배리어(263)의 돌출 길이의 1/5 내지 1/2 범위 내로 설계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slot 269 may be set to 4 mm or more and 9 mm or less so that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into the bypass flow path 230 before implantation is minimized. Although not limiting, the length of the slot 269 may be designed to be in the range of 1/5 to 1/2 of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barrier 263.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다. 19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상기 증발기(30)의 제상을 위하여 작동하는 제상 수단(50)과, 상기 제상 수단(50)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9,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defrosting means 50 that operates for defrosting the evaporator 30, and a controller 40 that controls the defrosting means 50. )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상 수단(50)은 일 예로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가 온되면 상기 히터에 의해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증발기(30)로 전달되어 상기 증발기(30)의 표면에 생성된 성에가 녹게 된다. The defrosting means 50 may include, for example, a heater. When the heater is turned on, heat generated by the heater is transferred to the evaporator 30 to melt frost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30.

상기 제어부(40)는 일정 주기로 상기 센서(270)의 발열 소자(273)가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40 may control the heating element 273 of the sensor 270 to be turned on at a predetermined cycle.

제상 필요 시점의 판단을 위하여, 상기 발열 소자(273)가 일정 시간 동안 온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감지 소자(274)에서는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가 감지될 수 있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need for defrosting, the heating element 273 may be in an on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sensing element 274 may sense a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273.

상기 발열 소자(273)가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온된 후에는 상기 발열 소자(274)가 오프되고, 상기 감지 소자(274)는 오프된 발열 소자(273)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 피씨비(263)는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오프 상태의 온도 차이값의 최대값이 상기 기준 차이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fter the heating element 273 is turned on for the predetermined time, the heating element 274 may be turned off, and the sensing element 274 may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turned off heating element 273. The sensor PC 263 may determine whether the maximum value of the temperature difference value of the on / off state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273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difference value.

그리고,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오프 상태의 온도 차이값의 최대값이 기준 차이값 이하인 경우가 제상 필요한 경우로 판단되고, 상기 제어부(40)에 의해서 상기 제상 수단(50)이 온될 수 있다. The defrosting means 50 may be turned on by the controller 40 when the maximum value of the temperature difference value of the on / off state of the heating element 273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difference value. have.

위에서는 상기 센서 피씨비(263)에서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오프 상태의 온도 차이값이 기준 차이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오프 상태의 온도 차이값이 기준 차이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상 수단(50)을 제어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nsor PC 263 determines wheth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value of the on / off state of the heating element 273 is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difference value. However,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that the heating element (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value in the on / off state of 273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difference value, and the defrosting means 50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1: 냉장고 11: 저장실
12: 인너 케이스 20: 냉기 덕트
230: 바이패스 유로 260: 유로 커버
261: 커버 플레이트 263: 배리어
269: 슬롯 270: 센서
273: 발열 소자 274: 감지 소자
1: refrigerator 11: storeroom
12: inner case 20: cold air duct
230: bypass euro 260: euro cover
261: cover plate 263: barrier
269: slot 270: sensor
273: heating element 274: sensing element

Claims (19)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저장실 내에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며 상기 인너 케이스와 함께 열교환 공간을 형성하는 냉기 덕트;
상기 인너 케이스와 상기 냉기 덕트 사이의 열교환 공간에 위치되는 증발기;
상기 냉기 덕트에서 함몰된 형태로 배치되며,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바이패스하여 유동하도록 하는 바이패스 유로;
상기 바이패스 유로 내에 배치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에 따라 출력 값이 다른 센서;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생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수단; 및
상기 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상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An inner case forming a storage compartment;
A cold air duct which guides the flow of air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forms a heat exchange space together with the inner case;
An evaporator positioned in a heat exchange space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cold air duct;
A bypass flow path disposed in the cold air duct and allowing air to flow by bypassing the evaporator;
A sensor disposed in the bypass flow passage, the sensor having an output value different according to a flow rate of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flow passage;
Defrosting means for removing frost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efrosting means based on an output value of the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발열 소자와,
상기 발열 소자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 소자와,
상기 발열 소자 및 상기 감지 소자가 설치되는 센서 피씨비를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the heating element,
A sensing element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And a sensor PC, in which the heating element and the sensing element are install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 소자에서 감지되는 온도와 상기 발열 소자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 소자에서 감지되는 온도의 차이값이 기준 온도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상 수단을 작동시키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ing element when the heating element is turned on and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ing element when the heating element is turned off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temperature value,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defrosting means. Refriger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상기 열교환 공간과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커버하는 유로 커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nd a flow channel cover covering the bypass flow path to partition the bypass flow path from the heat exchange spa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는 면인 상하 연장면을 포함하고,
상기 유로 커버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서 연장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하 연장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배리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ld air duct includes a vertical extending surface which is a surface on which the bypass flow path is formed,
The flow path cover may include a cover plate covering the bypass flow path,
And a barrier that extends from the cover plate and protrudes down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extension surfaces while the cover plate covers the bypass flow path.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연장면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5,
The bypass passage extends in a straight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vertically extending surfa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증발기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후면 배리어와,
상기 후면 배리어에서 좌우 이격된 위치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측면 배리어와,
상기 복수의 측면 배리어를 연결하며, 상기 후면 배리어와 이격되고 상기 후면 배리어를 기준으로 상기 증발기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전면 배리어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5,
The barrier includes a rear barrier extending continuously from the cover plate and positioned adjacent to the evaporator;
A plurality of side barriers extending at left and righ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rear barriers;
And a front barrie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ide barriers and spaced apart from the rear barrier and positioned opposite the evaporator with respect to the rear barri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의 하면은 개구되며,
상기 후면 배리어, 상기 복수의 측면 배리어 및 상기 후면 배리어는 공기를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유로를 형성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ower surface of the barrier is opened,
And the back barrier, the plurality of side barriers and the back barrier form a guide flow path for guiding air to the bypass flow path.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상하 연장면의 단부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며 공기를 상기 증발기 측으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 배리어에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 측으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슬롯이 구비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ld air duct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extending inclined at the end of the upper and lower extension surface and guides air to the evaporator side,
The rear barrier is provided with a slot for forming a passage for allowing the air flow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to flow to the evaporator si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바닥벽, 및 양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유로 커버는 상기 바닥벽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서, 상기 바닥벽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ld air duct includes a bottom wall for forming the bypass flow passage, and both side walls,
The flow path cover includes a cover plate covering the bypass flow path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wall,
The sensor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wall and the cover plate in the bypass flow path.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입구 및 출구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센서의 일부는 바이패스 유로에서 상기 바닥벽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간의 거리를 이등분하는 지점에 위치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nsor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bypass flow path,
And a part of the sensor is located at a point that bisects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wall and the cover plate in a bypass flow path.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입구 보다 출구에 가깝게 위치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sensor is located closer to an outlet than to an inlet of the bypass passag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 및 상기 유로 커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증발기의 좌우 폭 범위 내에서 상기 증발기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bypass passage and the passage cover are disposed to face the evaporator within a left and right width range of the evaporato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의 내부에는 송풍팬이 배치되고,
상기 냉기 덕트에는 냉기가 유입되기 위한 냉기 유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냉기 유입홀과 상하 방향으로 미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blowing fan is disposed inside the cold air duct,
The cold air duct is formed with a cold air inlet for introducing cold air,
The bypass passage is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the cold air inlet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출구는 상기 송풍팬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송풍팬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한 영역의 외측 영역에 위치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4,
The outlet of the bypass passage is locat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restricted area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blowing fan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blowing fan.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출구는 상기 증발기의 상단 보다 높게 위치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outlet of the bypass passage is located higher than the top of the evaporato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영역의 직경은, 상기 송풍팬의 직경의 1.5배 이상인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5,
The diameter of the said restriction | limiting area is 1.5 times or more of the diameter of the said blowing fa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상방에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리브가 형성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nd a blocking rib formed above the bypass flow passage in the cold air duct to block liquid from flowing into the bypass flow passag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리브의 좌우 최소 길이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좌우 최소 폭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좌우 전체는 상기 차단 리브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8,
The left and right minimum lengths of the blocking ribs are larger than the left and right minimum widths of the bypass flow path,
The entire left and right of the bypass flow passage is arranged to overlap the blocking rib in the vertical direction.
KR1020180021938A 2018-02-23 2018-02-23 Refrigerator KR1026279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938A KR102627972B1 (en) 2018-02-23 2018-02-23 Refrigerator
CN202210300871.XA CN114674108B (en) 2018-02-23 2018-10-25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CN201880088953.4A CN111771092B (en) 2018-02-23 2018-10-25 Refrigerator with a door
PCT/KR2018/012711 WO2019164084A1 (en) 2018-02-23 2018-10-25 Refrigerator
EP18906880.2A EP3757487A4 (en) 2018-02-23 2018-10-25 Refrigerator
AU2018409749A AU2018409749B2 (en) 2018-02-23 2018-10-25 Refrigerator
US16/991,479 US20200370815A1 (en) 2018-02-23 2020-08-12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938A KR102627972B1 (en) 2018-02-23 2018-02-23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669A true KR20190101669A (en) 2019-09-02
KR102627972B1 KR102627972B1 (en) 2024-01-23

Family

ID=6768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938A KR102627972B1 (en) 2018-02-23 2018-02-23 Refrigerator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370815A1 (en)
EP (1) EP3757487A4 (en)
KR (1) KR102627972B1 (en)
CN (2) CN111771092B (en)
AU (1) AU2018409749B2 (en)
WO (1) WO2019164084A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808A1 (en)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O2022030810A1 (en)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O2022030807A1 (en)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O2022030806A1 (en)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O2022030811A1 (en)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O2022030809A1 (en)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20018176A (en)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20018181A (en)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20018177A (en)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O2022270773A1 (en) * 2021-06-24 2022-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30000231A (en) 2021-06-24 2023-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6623B (en) * 2020-08-27 2021-07-27 西安交通大学 Heating power variable defrosting device of air-cooled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5904A (en) * 1966-01-21 1967-12-05 Texas Instruments Inc Differential fluid velocity sensing
US3465534A (en) * 1967-10-31 1969-09-09 Texas Instruments Inc Differential flow sensing apparatus
JPS59185968A (en) * 1983-04-08 1984-10-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Frost clogging detector
JPH01312378A (en) * 1988-06-10 1989-12-18 Toshiba Corp Frost sensor for heat exchanger
EP0676603A2 (en) * 1994-04-11 1995-10-11 Control and Regulation Circuits Meitav Ltd. Defrost control system
US20070006600A1 (en) * 2003-04-04 2007-01-1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åte Gmbh Refrigeration device with adaptive automatic defrosting and corresponding defrosting method
WO2014137060A1 (en) * 2013-03-04 2014-09-12 주식회사 두텍 Apparatus for detecting time to defrost evaporation heat exchanger based on bypass airflow measur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same
KR101536284B1 (en) * 2015-04-15 2015-07-14 주식회사 대일 Sensor device for detecting frost accumulation used for defrosting outdoor evaporator of a heat-pump system
WO2017131426A1 (en) * 2016-01-29 201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3877A (en) * 1966-05-10 1968-05-21 Ranco Inc Defrost control means for refrigerating systems
US3845637A (en) * 1973-09-06 1974-11-05 Texas Instruments Inc Defrost cycle initiation system
DE2922633A1 (en) * 1979-06-02 1980-12-04 Stiebel Eltron Gmbh & Co Kg Deicer for heat pump evaporator - includes pressure sensors in narrow gap between plates to operate switch when ice forms
SE444609B (en) * 1983-10-14 1986-04-21 Elektro Standard A regulatory device for defrosting of the cooler battery in a warm air exchanger pump
JPH08303932A (en) * 1995-05-08 1996-11-22 Fuji Electric Co Ltd Defrosting device for freezer/refrigerator show case
KR100292187B1 (en) 1998-06-30 2001-11-26 전주범 Defrost cycle variable method
DE602004023884D1 (en) * 2004-11-02 2009-12-10 Lg Electronics Inc COOLER
KR100893865B1 (en) * 2007-03-31 2009-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US9557091B1 (en) * 2013-01-25 2017-01-31 Whirlpool Corporation Split air pathway
KR101810736B1 (en) * 2015-06-05 2017-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A refrigerator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CN204854130U (en) * 2015-07-17 2015-12-09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Can realize refrigerator of accuracyization frost
US10612832B2 (en) * 2015-12-17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ith defrost operation control
CN105698465B (en) * 2016-03-31 2018-05-29 合肥海尔电冰箱有限公司 Refrigerating device
CN105865128B (en) * 2016-04-20 2018-08-28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A kind of refrigerator supply air system, method and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5904A (en) * 1966-01-21 1967-12-05 Texas Instruments Inc Differential fluid velocity sensing
US3465534A (en) * 1967-10-31 1969-09-09 Texas Instruments Inc Differential flow sensing apparatus
JPS59185968A (en) * 1983-04-08 1984-10-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Frost clogging detector
JPH01312378A (en) * 1988-06-10 1989-12-18 Toshiba Corp Frost sensor for heat exchanger
EP0676603A2 (en) * 1994-04-11 1995-10-11 Control and Regulation Circuits Meitav Ltd. Defrost control system
US20070006600A1 (en) * 2003-04-04 2007-01-1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åte Gmbh Refrigeration device with adaptive automatic defrosting and corresponding defrosting method
WO2014137060A1 (en) * 2013-03-04 2014-09-12 주식회사 두텍 Apparatus for detecting time to defrost evaporation heat exchanger based on bypass airflow measur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same
KR101536284B1 (en) * 2015-04-15 2015-07-14 주식회사 대일 Sensor device for detecting frost accumulation used for defrosting outdoor evaporator of a heat-pump system
WO2017131426A1 (en) * 2016-01-29 201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808A1 (en)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O2022030810A1 (en)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O2022030807A1 (en)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O2022030806A1 (en)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O2022030811A1 (en)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O2022030809A1 (en)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20018180A (en)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20018179A (en)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20018175A (en)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20018182A (en)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20018176A (en)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20018181A (en)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20018177A (en)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20018178A (en)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2270773A1 (en) * 2021-06-24 2022-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30000232A (en) 2021-06-24 2023-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30000231A (en) 2021-06-24 2023-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7487A4 (en) 2021-11-10
AU2018409749A1 (en) 2020-09-10
US20200370815A1 (en) 2020-11-26
EP3757487A1 (en) 2020-12-30
AU2018409749B2 (en) 2022-07-28
CN111771092A (en) 2020-10-13
CN111771092B (en) 2022-04-15
CN114674108A (en) 2022-06-28
CN114674108B (en) 2023-12-15
KR102627972B1 (en) 2024-01-23
WO2019164084A1 (en)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7972B1 (en) Refrigerator
KR20190106201A (en) Refrigerator
KR102614564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 same
KR102604129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 same
KR20190112482A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 same
CN105716350A (en) Air cooling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006531A (en) Refrigerator temperature control system incorporating freezer compartment temperature sensor
KR20220018181A (en) refrigerator
KR20040009646A (en) Cool air discharge apparatus with infrared temperature sensor for refrigerator
EP4194779A1 (en) Refrigerator
EP4194777A1 (en) Refrigerator
US20230288123A1 (en) Refrigerator
EP4194778A1 (en) Refrigerator
EP4194784A1 (en) Refrigerator
KR20230000232A (en) refrigerator
KR20220018176A (en) refrigerator
KR20220018177A (en) refrigerator
JP6041986B2 (en) Liquid level detection apparatus,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liquid level detection method
KR960024156A (en) Method of controlling temperature by controlling refrigerator and cold air discharge dir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