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141A - 멀티 윈도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윈도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141A
KR20190021141A KR1020170106349A KR20170106349A KR20190021141A KR 20190021141 A KR20190021141 A KR 20190021141A KR 1020170106349 A KR1020170106349 A KR 1020170106349A KR 20170106349 A KR20170106349 A KR 20170106349A KR 20190021141 A KR20190021141 A KR 20190021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application program
electronic device
providing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규철
황대식
정주현
김용권
백종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6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1141A/ko
Priority to US16/108,448 priority patent/US20190065240A1/en
Publication of KR20190021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06F9/485Task life-cycle, e.g. stopping, restarting, resuming exec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12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interrupt, e.g. masked
    • G06F9/4818Priority circ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522
    • H04M1/7258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 안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아이콘들의 어레이를 표시하고, 상기 아이콘들 각각은 실질적으로 제 1 크기를 가지며, 상기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크기보다 작은 제 2 크기를 가지는 제 1 아이콘 및 제 2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아이콘은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내며, 상기 제 2 아이콘을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내며, 상기 아이콘들의 상기 적어도 하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제 1 시점으로부터, 상기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순서대로 표시하고, 상기 제 1 시점으로부터 제1 시구간 동안에, 반복적으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교대로 포어 그라운드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더 저장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윈도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MULTI-WINDOW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멀티 윈도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연관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기능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멀티 윈도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멀티 윈도우 기능을 통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하나의 화면에서 구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멀티 윈도우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기능에 대한 접근성 및 동시 사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를 각각 가지지 못하는 경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 포커스를 가질 수 있어, 전자 장치는 멀티 윈도우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질적으로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멀티 윈도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불완전한 초기화로 인해 윈도우 화면이 표시되지 않거나, 윈도우 화면이 표시되더라도 정확한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멀티 윈도우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과 관련된 제한된 리소스(그래픽, 사운드, 포커스 등)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멀티 윈도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순차로 실행하는 경우에, 안정적으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초기화를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 안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아이콘들의 어레이를 표시하고, 상기 아이콘들 각각은 실질적으로 제 1 크기를 가지며, 상기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크기보다 작은 제 2 크기를 가지는 제 1 아이콘 및 제 2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아이콘은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내며, 상기 제 2 아이콘은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내며, 상기 아이콘들의 상기 적어도 하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제 1 시점으로부터, 상기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순서대로 표시하고, 상기 제 1 시점으로부터 제 1 시구간 동안에, 반복적으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교대로 포어 그라운드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멀티 윈도우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아이콘들의 어레이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아이콘들 각각은 실질적으로 제 1 크기를 가지며, 상기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크기보다 작은 제 2 크기를 가지는 제 1 아이콘 및 제 2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아이콘은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내며, 상기 제 2 아이콘은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냄-; 상기 아이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제 1 시점으로부터, 상기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순서대로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시점으로부터 제 1 시구간 동안에, 반복적으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교대로 포어 그라운드에서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명령어(instructions)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computer readable)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아이콘들의 어레이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아이콘들 각각은 실질적으로 제 1 크기를 가지며, 상기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크기보다 작은 제 2 크기를 가지는 제 1 아이콘 및 제 2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아이콘은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내며, 상기 제 2 아이콘은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냄-; 상기 아이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제 1 시점으로부터, 상기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순서대로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시점으로부터 제 1 시구간 동안에, 반복적으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교대로 포어 그라운드에서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구동하는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의 구동과 관련된 제한된 리소스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 포커스를 가지는 경우에 멀티 윈도우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안정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멀티 윈도우를 구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안정적인 초기화를 보장하여, 초기 구동시 불안정한 초기화로 인한 화면 백화, 잘못된 화면의 표시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임의 종료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블럭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을 생성하는 상황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을 선택하는 상황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표시하는 상황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9는 전자 장치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제어할 때 발생하는 오류 화면의 예시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1 시간 동안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교대로 포커스를 가지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는 동안, 시간에 대한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의 생명 주기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14a 및 1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잠금 화면에서 함께 실행하는 상황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잠금 화면에서 함께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예: 표시 장치(160) 또는 입력 장치(150)), 상기 하우징 안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예: 무선 통신 모듈(192)),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60)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19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및 상기 프로세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예: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60) 상에 아이콘들의 어레이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아이콘들 각각은 실질적으로 제1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를 가지는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아이콘은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제2 아이콘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아이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시점으로부터, 상기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60) 상에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제1 시구간 동안에, 반복적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교대로 포어 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240)의 블록도(200)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240)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 체제(242), 미들 웨어(244), 또는 상기 운영 체제(242) 상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246)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242)는, 예를 들면, AndroidTM, iOSTM, WindowsTM, SymbianTM, TizenTM, 또는 BadaTM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240) 중 적어도 일부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제조 시에 전자 장치(101)에 프리로드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또는 104), 또는 서버(108))로부터 다운로드되거나 갱신 될 수 있다.
운영 체제(242)는 전자 장치(101)의 시스템 리소스 (예: 프로세스, 메모리, 또는 전원)를 제어(예: 할당 또는 회수)할 수 있다. 운영 체제(242)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전자 장치(101)의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면,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 웨어(244)는 어플리케이션(246)이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이 제공하는 기능 또는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246)으로 제공할 수 있다. 미들 웨어(244)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01), 윈도우 매니저(203), 멀티미디어 매니저(205), 리소스 매니저(207), 파워 매니저(209),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11), 패키지 매니저(213), 커넥티비티 매니저(215),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 로케이션 매니저(219), 그래픽 매니저(221), 시큐리티 매니저(223), 통화 매니저(225), 또는 음성 인식 매니저(227)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0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246)의 생명 주기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203)는, 예를 들면, 화면에서 사용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205)는, 예를 들면,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207)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246)의 소스 코드 또는 메모리의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209)는, 예를 들면, 배터리의 용량, 온도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이 중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를 결정 또는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매니저(209)는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와 연동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1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246)에서 사용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213)는, 예를 들면,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갱신을 관리할 수 있다. 커넥티비티 매니저(215)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무선 또는 유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는, 예를 들면, 발생된 이벤트(예: 통화, 메시지, 또는 알람)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로케이션 매니저(219)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221)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시큐리티 매니저(223)는, 예를 들면,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 통화(telephony) 매니저(225)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매니저(227)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서버(108)로 전송하고, 해당 음성 데이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에서 수행될 기능에 대응하는 명령어(command) 또는 해당 음성 데이터에 기반하여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 웨어(244)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 웨어(244)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체제(242)의 일부로 포함되거나, 또는 운영 체제(242)와는 별도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246)은, 예를 들면, 홈(251), 다이얼러(253), SMS/MMS(255), IM(instant message)(257), 브라우저(259), 카메라(261), 알람(263), 컨택트(265), 음성 인식(267), 이메일(269), 달력(271), 미디어 플레이어(273), 앨범(275), 와치(277), 헬스(279)(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281)(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246)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로 지정된 정보 (예: 통화, 메시지, 또는 알람)를 전달하기 위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이메일 어플리케이션(269))에서 발생된 이벤트(예: 메일 수신)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 또는 그 일부 구성 요소(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의 전원(예: 턴-온 또는 턴-오프) 또는 기능(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의 밝기, 해상도, 또는 포커스)을 제어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삭제, 또는 갱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블럭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320)(예: 도 2의 어플리케이션(246)), 프레임워크(330)(예: 도 2의 미들웨어(244)), 커널(340)(예: 도 2의 미들웨어(244)) 및 운영체제(350)(예: 도 2의 운영체제(242))를 포함하는 프로그램(300)(예: 도 2의 프로그램(24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예: 도 1의 입력 장치(15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320)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시키기 위한 단축 아이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에 제공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는 단축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320)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단축 아이콘을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20)은, 멀티 윈도우 UI(321), 제1 어플리케이션(322), 제2 어플리케이션(323) 및 제3 어플리케이션(32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윈도우 UI(321)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멀티 윈도우 UI(32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정보를 리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멀티 윈도우 UI(321)는 사용자 터치 입력, 펜 입력, 음성 명령 등의 실행 명령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고,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프로그램(300)에 포함된 각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322), 제2 어플리케이션(323) 등)은 독립적으로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되고 각각 실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어플리케이션(320)은 어플리케이션(320) 사이의 연관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320) 실행 시에 어플리케이션(320)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윈도우 UI(32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322) 및 제2 어플리케이션(323)을 함께 구동시킬 수 있는 단축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 상에 감지된 상기 단축 아이콘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시키기 위한 생성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 멀티 윈도우 UI는 메인 메뉴, 숏컷 메뉴, 또는 엣지 메뉴 등의 형태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 등의 정보를 표시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launch)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윈도우 UI는 퀵 메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임워크(330)는, 프로그램(300)에서 사용하기 위해 설계 및 구현된 다양한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워크(330)는, 멀티윈도우 매니저(331), 액티비티 매니저(332), 사운드 매니저(333), 윈도우 매니저(334) 및 시큐리티 매니저(33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윈도우 매니저(331)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멀티 윈도우로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윈도우 매니저(331)는, 멀티 윈도우 실행 이후에 발생하는 문제를 수정하거나, 예외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액티비티 매니저(332)는 액티비티(activity)라 하는 어플리케이션 객체의 생명 주기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객체는, 생성(create), 시작(start), 재시작(resume), 일시 정지(pause), 정지(stop), 파기(destroy)의 생명주기(lifetime) 단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액티비티의 전체의 생명주기(entire lifetime) 단계의 액티비티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생성 함수(예를 들어, onCreate() 함수)가 호출된 후부터 파기 함수(예를 들어, onDestroy() 함수)가 호출될 때까지를 나타낼 수 있다. 전체 생명 주기는, 액티비티의 가시적 생애(visible lifetime)를 포함할 수 있다. 가시적 생애는, 포어 그라운드 생애(foreground lifetime)를 포함할 수 있다. 가시적 생애 단계의 액티비티는,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시작 함수(예를 들어, onStart() 함수)가 호출된 후부터 정지 함수(예를 들어, onStop() 함수)가 호출될 때까지를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가시적 생애 단계의 액티비티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포어 그라운드 생애 단계의 액티비티는,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재시작 함수(예를 들어, onResume() 함수)가 호출된 후부터 일시 정지 함수(예를 들어, onPause() 함수)가 호출될 때까지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가 포어 그라운드 생애 단계인 동안, 어플리케이션은 포어 그라운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포어 그라운드 상태인 경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코드가 실행(running)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가시적 생애 단계에 포함되지만,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running)을 일시 정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태가 있을 수 있다. 백그라운드 상태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일시 정지 함수(예를 들어, onPause() 함수)가 호출된 후부터 재시작 함수(예를 들어, onResume() 함수)가 호출되기 전까지를 의미할 수 있다. 백그라운드 상태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지만,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코드가 실행(running)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focus)를 가진다는 것은 어플리케이션이 포어 그라운드 상태에 해당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재시작 함수가 호출되고, 일시 정지 함수가 호출되기 전까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은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상태에 해당하는 것을 의미하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일시 정지 함수가 호출되고, 재시작 함수가 호출되기 전까지를 나타낼 수 있다. 포어 그라운드 상태 및 백그라운드 상태 모두 가시적 생애 단계에 포함되기 때문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가 생성된 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에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운드 매니저(333)는 액티비티의 동작에 기반하여 사운드 리소스를 할당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 매니저(333)는 제1 어플리케이션(322)이 포어 그라운드 상태인 경우 제1 어플리케이션(322)에서 사운드 재생이 요청되는 경우, 해당 사운드를 출력 모듈을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운드 매니저(333)는 제1 어플리케이션(322)이 백 그라운드 상태인 경우 제1 어플리케이션(322)에서 사운드 재생이 요청되는 경우, 해당 사운드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 매니저(334)는 액티비티의 표시(view) 상태에 기반하여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에 표시하기 위한 윈도우를 구성하고, 윈도우에 대한 그리기(draw), 표시(view), 및 포커스(focus)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매니저(334)는 제1 어플리케이션(322) 및 제2 어플리케이션(323)이 모두 가시적 상태인 경우 제1 어플리케이션(322) 및 제2 어플리케이션(323)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시큐리티 매니저(335)는 액티비티 수행을 위한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시큐리티 매니저(335)는 어플리케이션 마다 실행을 위한 잠금 해제가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고, 잠금 해제가 필요한 경우 윈도우 매니저(334)에 잠금 해제를 위한 아이콘 등을 표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널(340)은 운영체제(35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을 나타낼 수 있고, 운영체제(350)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정의 및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널(340)은 도 2의 미들 웨어(244) 중 하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운영 체제(350)는 전자 장치(100)의 모든 하드웨어 및 모든 소프트웨어를 관리할 수 있는 가장 총괄적인 관리자를 의미할 수 있고, 도 2의 운영 체제(24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4a 및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을 생성하는 상황의 일 예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a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멀티윈도우로 실행하기 위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영역(410), 최근에 실행된 멀티윈도우 어플리케이션(app)을 표시하는 영역(420), 및 멀티윈도우로 사용자에 제공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을 표시하는 영역(43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a에서, 전자 장치(400)는, 영역(410)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워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411)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입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워드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430) 내에 표시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엑셀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431)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윈도우로 실행하기 위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영역(410)에 액셀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412)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도 4a 및 도 4b의 영역(410) 내에 생성 버튼(440)과 삭제 버튼(450)을 제공할 수 있다. 생성 버튼(440)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400)는, 영역(410) 내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시킬 수 있는 단축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삭제 버튼(450)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400)는, 영역(410) 내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을 삭제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멀티 윈도우로 제공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순서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더 높은 우선 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순위의 숫자가 작을 수록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다고 할 때, 도 4b에서 먼저 선택된 워드 어플리케이션(411)의 우선 순위가 1이고, 나중에 선택된 엑셀 어플리케이션(412)의 우선 순위가 2일 수 있다.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은 한 화면에서 사용자에게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은 순차적으로 시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은 각각의 우선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시작할 수 있다.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함께 실행이 요청된 후, 요청에 대응하는 실행이 완료된 시점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모두에 포커스를 둘 수 없을 때, 전자 장치(400)는 우선 순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에 포커스를 둘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멀티 윈도우로 표시되는 경우, 전자 장치(400)는, 우선 순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 상단에 표시하고, 우선 순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 하단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시키기 위한 단축 아이콘을 전자 장치(400)의 메모리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상기 단축 아이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단축 아이콘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멀티 윈도우로 함께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임을 식별하는 식별자, 멀티 윈도우로 함께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각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표시와 연관된 순서 정보, 각 어플케이션의 레이 아웃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구성된 썸네일 이미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입력 우선 순위,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 출력 우선 순위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단축 아이콘을 저장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을 선택하는 상황의 일 예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도 5a와 같이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홈 화면의 오른쪽 경계에 엣지 메뉴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500)는 사용자의 입력(예: 플릭(flick))이 발생하기 전에 도 5a와 같이 엣지 메뉴를 숨겨진 상태(510)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500)는, 사용자의 입력(501)에 대응하여, 도 5b와 같이 엣지 메뉴를 홈 화면의 오른쪽의 일부 영역(52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의 상, 하, 좌, 우에서 감지되는 입력에 대응하여 홈 화면의 상, 하, 좌, 우에 엣지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엣지 메뉴는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아이콘은 단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 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아이콘들의 어레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500)는, 도 5b와 같이 엣지 메뉴 영역(520)에 약 10개의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들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제1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를 가지는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은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500)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축 아이콘(521), 시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축 아이콘(522),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축 아이콘(523),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축 아이콘(524),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축 아이콘(525),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축 아이콘(526), 문서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축 아이콘(527), 날씨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축 아이콘(528),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축 아이콘(529) 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단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워드 어플리케이션 및 엑셀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530)에 대한 입력이 발생되면,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할 수 있고, 멀티 윈도우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단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들(521, 522, ..., 529)가 제1 크기를 가진다고 할 때,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530)은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를 가지는 제1 아이콘과 제2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b에서, 단축 아이콘(530)은 워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1 아이콘 및 엑셀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2 아이콘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도 4a 및 도 4b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 생성 방법에 따라 생성된 단축 아이콘(530)을 도 5b와 같이 엣지 메뉴(52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엣지 메뉴로 제공된 단축 아이콘이, 사용자 입력(예: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 등)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선택되면, 전자 장치(5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단축 아이콘에 포함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멀티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는 엣지 메뉴 형태로 아이콘을 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이와 같은 형태로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콘을 특정 입력(예를 들어, 전자 펜의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메뉴, 홈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 또는 잠금 화면 등 다양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5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아이콘을, 전체 아이콘을 모두 표시하는 전체 메뉴에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50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축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메뉴는 복합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6a 및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표시하는 상황의 일 예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6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기 위한 멀티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드 어플리케이션과 엑셀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는 요청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600)는, 멀티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600)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적어도 두 개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화면 각각에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멀티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에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제2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의 한 엣지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경계를 따라 서로 접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제1 길이를 갖는 제 1 사이드와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를 갖는 제 2 사이드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엣지는 제2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 일 수 있다. 예컨대, 긴 길이를 가지는 제 2 사이드를 수직으로 분할하는 직선을 경계로 디스플레이 화면이 두 개의 서로 동일한 크기의 서브 화면(610 및 620)으로 분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0)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드 어플리케이션 및 엑셀 어플리케이션 중 워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 전자 장치(600)는 디스플레이 상단의 서브 화면(610)에 워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우선 순위가 낮은 엑셀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 하단의 서브 화면(62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적어도 두 개로 분할하여 멀티 윈도우를 제공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0)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제1 길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사이드를 수직으로 분할하는 직선을 경계로 디스플레이 화면(600)을 두 개의 서브 화면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브 화면의 분할을 위한 경계는, 직선이 아닌 곡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화면들의 크기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크기가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 및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함께 실행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01)는,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서브 화면은 크게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단에 배치할 수 있고,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 서브 화면은 제1 서브 화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디스플레이 화면의 하단에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우선 순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 상단에 배치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 입력이 많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에도 다스플레이 하단에 배치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 외에, 다양한 형태로 멀티 윈도우가 배치 및 표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6b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기 위한 멀티 윈도우가 팝업 형태인 경우를 예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윈도우를 팝업 형태로 다른 윈도우와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600)는,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1 팝업 윈도우로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장치(160))에 표시하고,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2 팝업 윈도우로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팝업 윈도우의 적어도 일부가 가시적(visibl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워드 어플리케이션과 엑셀 어플리케이션 중 엑셀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 전자 장치(600)는, 도 6b와 같이 워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팝업 윈도우(640) 위에 엑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팝업 윈도우(630)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중첩하여 표시되는 경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우선 순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예: 워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팝업 윈도우(640)는, 우선 순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예: 액셀 어플리케이션)의 팝업 윈도우(630)와 중첩하여 표시되더라도, 우선 순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예: 워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팝업 윈도우(640)의 적어도 일부는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600)는 우선 순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예: 워드 어플리케이션)이 출력하는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b에서, 워드 어플리케이션 및 엑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이 완료된 시점에, 전자 장치(600)는, 우선 순위가 높은 엑셀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도 6b와 같이 팝업 형태의 윈도우로 표시되는 경우, 전자 장치(6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팝업 윈도우의 크기, 또는 팝업 윈도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양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두 개의 팝업 윈도우는 서로 중첩되지 않게 표시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 중 우선 순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전체 화면에 표시되고, 우선 순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에 팝업 윈도우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710 동작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아이콘들의 어레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이콘들은 실질적으로 제 1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크기보다 작은 제 2 크기를 가지는 제 1 아이콘 및 제 2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아이콘은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내며, 상기 제 2 아이콘은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낼 수 있다.
72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아이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launch)하고, 순차적으로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730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101)는, 제 1 시점으로부터, 상기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순서대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Creat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Start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Creat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Start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Paus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Paus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Paus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소드(method)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함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onCreate 메소드는 OnCreate() 함수일 수 있다.예를 들어, 상기 제1 시점은,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난 후, 순차적으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시점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각각의 액티비티가 생성(create)되고, 시작(start)된 시점으로,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각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테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우선 순위를 확인하거나, 새로운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우선 순위가 제2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기반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을 우선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74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 1 시점으로부터 제1 시구간 동안에, 반복적으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교대로 포어 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Paus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Paus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를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를 가지도록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Paus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를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를 가지도록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Paus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를 가지고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포어 그라운드 상태를 나타낼 수 있고, 전자 장치(101)는, 포어 그라운드 상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정 실행 코드를 실행(run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구간은, 예를 들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초기 실행 시 요구되는 초기화가 완료되기 위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시구간이 약 2 초 내지 약 4 초 범위에 있도록 지정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가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액티비티 매니저(803)(예: 도 3의 액티비티 매니저(332)), 멀티 윈도우 매니저(804)(예: 도 3의 멀티윈도우 매니저(331))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805)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801) 및 제2 어플리케이션(802)을 제어할 수 있다.
810 동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805)는, 페어 어플리케이션(pair application) 실행에 대한 요청을 액티비티 매니저(803)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페어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801) 및 제2 어플리케이션(802)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05)는, 상기 페어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시키기 위한 단축 아이콘을 제공하고, 입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단축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페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액티비티 매니저(803)는 페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페어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우선 순위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먼저 실행하고, 우선 순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늦게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801)에 설정된 우선 순위가 제2 어플리케이션(802)에 설정된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액티비티 매니저(803)는, 제1 어플리케이션(801)을 먼저 실행하기 위한 일련의 실행 함수들을 호출하고 난 후, 제2 어플리케이션(802)을 시작하기 위한 일련의 실행 함수들을 호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액티비티 매니저(803)는,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을 위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생성 함수(예를 들어, OnCreate() 함수), 시작 함수(예를 들어, OnStart() 함수), 재시작 함수(예를 들어, OnResume() 함수)를 순차적으로 호출할 수 있다. 액티비티 매니저(803)는,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801)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OnCreate 함수를 호출(811 동작)하고, OnStart 함수를 호출(812 동작)하고, OnResume 함수를 호출(813 동작)할 수 있다. 상기 813 동작에서, OnResume 함수가 호출되었으므로, 제1 어플리케이션(801)은 포어 그라운드 상태라 할 수 있다. 액티비티 매니저(803)는, 제2 어플리케이션(802)을 시작하기 위해서, 제2 어플리케이션(802)에 대한 생성 함수(예를 들어, OnCreate() 함수), 시작 함수(예를 들어, OnStart() 함수), 재시작 함수(예를 들어, OnResume() 함수)를 순차적으로 호출할 수 있다. 액티비티 매니저(803)는, 제2 어플리케이션(802)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OnCreate 함수를 호출(814 동작)하고, OnStart 함수를 호출(815 동작)하고, 제1 어플리케이션(801)에 대한 OnPause 함수를 호출(816 동작)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802)에 OnResume 함수를 호출(817 동작)할 수 있다. 상기 817 동작이 수행된 시점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801)은 onPause 함수가 호출되고, OnResume 함수가 호출되기 전이므로, 백 그라운드 상태라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817 동작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802)에 대한 OnRsume 함수가 호출되었으므로, 제2 어플리케이션(802)은 포어 그라운드 상태라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윈도우 매니저(804)는, 제1 어플리케이션(801)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802)이 포커스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840). 예를 들어, 멀티윈도우 매니저(804)는, 제1 어플리케이션(801)이 포커스를 가지도록 액티비티 매니저(803)를 제어할 수 있다(818 동작). 액티비티 매니저(803)는, 상기 818 동작에 응답하여, 포커스를 가지고 있는 제2 어플리케이션(802)에 OnPause 함수를 호출하고(819 동작), 제1 어플리케이션(801)에 OnResume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820 동작). 상기 820 동작이 수행된 시점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801)은 다시 포어 그라운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멀티윈도우 매니저(804)는, 제2 어플리케이션(802)이 포커스를 가지도록 액티비티 매니저(803)를 제어할 수 있다(821 동작). 액티비티 매니저(803)는, 상기 821 동작에 응답하여, 포커스를 가지고 있는 제1 어플리케이션(801)에 OnPause 함수를 호출하고(822 동작), 제2 어플리케이션(802)에 OnResume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823 동작). 상기 823 동작이 수행된 시점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802)은 다시 포어 그라운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9는 전자 장치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제어할 때 발생하는 오류 화면의 예시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을 백 그라운드 상태 예컨대, OnPause 함수가 호출된 이후에 화면 업데이트를 하지 않도록 구현하거나, 데이터 통신 등의 멀티 태스킹 작업을 중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드 어플리케이션 및 엑셀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기 위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자 장치(900)는 두 개의 서브 윈도우(910 및 920)를 포함하는 멀티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멀티 윈도우는, 워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서브 윈도우(910) 및 엑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 서브 윈도우(920)를 포함할 수 있다. 워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초기 실행이 시작되고, 초기 실행을 위한 초기화가 완료되기 전에 워드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를 잃어버린 경우, 워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포함되는 제1 서브 윈도우(910)과 같이 백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 어플리케이션에 할당 가능한 사운드 패스가 하나인 경우, 전자 장치(900)는, 멀티 윈도우 상에 함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포커스를 가진 어느 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운드만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함께 실행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일부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재생이 종료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00)는, 예를 들어, 도 7의 방법에 따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는 경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교대로 포커스를 주도록 제어함으로써, 도 9의 백화 현상과 같은 오류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1 시구간 동안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교대로 포커스를 가지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액티비티 매니저(1003)(예: 도 3의 액티비티 매니저(332)), 멀티 윈도우 매니저(1004)(예: 도 3의 멀티윈도우 매니저(331))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005)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1001) 및 제2 어플리케이션(1002)을 제어할 수 있다.
1010 동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5)는, 페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한 요청을 액티비티 매니저(1003)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페어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1001) 및 제2 어플리케이션(1002)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05)는, 상기 페어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시키기 위한 단축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고, 입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단축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페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액티비티 매니저(1003)는 페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에 대응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1001)과 제2 어플리케이션(1002)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티비티 매니저(1003)는, 제1 어플리케이션(1001)을 먼저 실행하기 위한 일련의 실행 함수들을 호출하고 난 후, 제2 어플리케이션(1002)을 실행하기 위한 일련의 실행 함수들을 호출할 수 있다. 액티비티 매니저(1003)는, 어플리케이션을 초기 실행을 위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생성 함수(예를 들어, OnCreate() 함수), 시작 함수(예를 들어, OnStart() 함수), 재시작 함수(예를 들어, OnResume() 함수)를 순차적으로 호출할 수 있다. 액티비티 매니저(1003)는, 제1 어플리케이션(1001)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제1 어플리케이션(1001)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OnCreate 함수를 호출(1011 동작)하고, OnStart 함수를 호출(1012 동작)하고, OnResume 함수를 호출(1013 동작)할 수 있다. 상기 1013 동작에서, OnResume 함수가 호출되었으므로, 제1 어플리케이션(1001)은 포어 그라운드 상태라 할 수 있다. 액티비티 매니저(1003)는, 제2 어플리케이션(1002)을 실행하기 위해서, 제2 어플리케이션(1002)에 대한 생성 함수(예를 들어, OnCreate() 함수), 시작 함수(예를 들어, OnStart() 함수), 재시작 함수(예를 들어, OnResume() 함수)를 순차적으로 호출할 수 있다. 액티비티 매니저(1003)는, 제2 어플리케이션(1002)를 실행시키기 위해서, 제2 어플리케이션(1002)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OnCreate 함수를 호출(1014 동작)하고, OnStart 함수를 호출(1015 동작)하고, 제1 어플리케이션(1001)에 대한 OnPause 함수를 호출(1016 동작)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1002)에 OnResume 함수를 호출(1017 동작)할 수 있다. 상기 1017 동작이 수행되고 난 시점에서, onPause 함수가 호출되고, OnResume 함수가 호출되기 전이므로, 제1 어플리케이션(1001)은 백 그라운드 상태라 할 수 있다. 예컨대, OnRsume 함수가 호출되고, OnPause 함수가 호출되기 전이므로 제2 어플리케이션(1002)은 포어 그라운드 상태라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74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시점부터 제1 시구간 동안, 반복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교대로 포커스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 윈도우 매니저(1004)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초기화가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번갈아 포커스를 가지도록 액티비티 매니저(100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윈도우 매니저(1004)는, 제2 어플리케이션(1002)이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되고 있는 시점(예를 들어, 상기 1017 동작이 완료된 시점)을 제1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윈도우 매니저(1004)는, 정해진 시간 주기(예를 들어, 500msec)로 제1 어플리케이션(1001)이 포커스를 가지도록 액티비티 매니저(1003)를 제어할 수 있다(1018 동작). 예컨대, 액티비티 매니저(1003)는, 포커스를 가지는 제2 어플리케이션(1002)에 OnPause 함수를 호출하고(1019 동작), 제1 어플리케이션(1001)에 OnResume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1020 동작). 제1 어플리케이션(1001)은 다시 포어 그라운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멀티윈도우 매니저(1004)는, 정해진 시간 주기(예를 들어, 500msec)로 제2 어플리케이션(1002)이 포커스를 가지도록 액티비티 매니저(1003)를 제어할 수 있다(1021 동작).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정해진 시간 주기는 500 msec 일 수 있다. 멀티윈도우 매니저(1004)는, 제1 어플리케이션(1001) 및 제2 어플리케이션(1002)의 초기 실행 시 소요되는 초기화 과정을 안정적으로 보장하기 위해서, 제1 시구간 동안, 제1 어플리케이션(1001) 및 제2 어플리케이션(1002)이 교대로 포커스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시구간은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초기화에 소요되는 예상 시간 중 큰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시구간은 2sec일 수 있다. 액티비티 매니저(1003)는, 포커스를 가지는 제1 어플리케이션(1001)에 OnPause 함수를 호출하고(1022 동작), 제2 어플리케이션(1002)에 OnResume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1023 동작). 제2 어플리케이션(1002)은 다시 포어 그라운드 상태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윈도우 매니저(1004)는, 정해진 시간 주기(예를 들어, 500msec)로 제1 어플리케이션(1001)이 포커스를 가지도록 액티비티 매니저(1003)를 제어할 수 있다(1024 동작). 액티비티 매니저(1003)는, 포커스를 가지는 제2 어플리케이션(1002)에 OnPause 함수를 호출하고(1025 동작), 제1 어플리케이션(1001)에 OnResume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1026 동작). 예컨대, 제1 어플리케이션(1001)은 다시 포어 그라운드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1001)이 포어 그라운드 상태로 초기 실행을 위한 태스크를 완료되면,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1001)에 대한 초기화를 종료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1001)에 대한 초기 실행의 태스크 완료 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005)에 제1 어플리케이션(1001)의 실행 화면을 표시(1027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윈도우 매니저(1004)는, 정해진 시간 주기(예를 들어, 500msec)로 제2 어플리케이션(1002)이 포커스를 가지도록 액티비티 매니저(1003)를 제어할 수 있다(1028 동작). 액티비티 매니저(1003)는, 포커스를 가지는 제1 어플리케이션(1001)에 OnPause 함수를 호출하고(1029 동작), 제2 어플리케이션(1002)에 OnResume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1030 동작). 예컨대, 제2 어플리케이션(1002)은 다시 포어 그라운드 상태가 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1002)은 포어 그라운드 상태로, 초기 실행을 위한 태스크를 완료되면, 전자 장치(101)는, 제2 어플리케이션(1002)에 대한 초기화를 종료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2 어플리케이션(1002)에 대한 초기 실행 완료 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005)에 제2 어플리케이션(1002)의 실행 화면을 표시(1031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1001) 및 제2 어플리케이션(1002)에 대한 초기화가 완료된 시점에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멀티 윈도우를 제공하여, 각각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는 동안, 시간에 대한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의 생명 주기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는 동안, 특정 시점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이 요청된 상황을 가정하고, 제1 어플리케이션을 "APP 1"으로 표시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을 "APP 2"로 표시할 수 있다.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순서대로 실행시킬 수 있다. 도 11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어플리케이션은 포어 그라운드 상태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어플리케이션은 백 그라운드 상태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은 포어그라운드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시점부터,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제2 시간 구간마다 포어 그라운드 상태로 두기 위해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반복적으로, 교대로 포커스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시간 구간 동안,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초기화를 완료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1201 동작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은 단축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 터치 입력일 수 있다.
1202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일련의 함수들을 호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우선 순위를 확인할 수 있고, 우선 순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이 우선권을 가진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우선권을 가진다고 판단하고, 제1 어플리케이션을 먼저 실행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질적으로 나중에 실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도 12의 일련의 동작들을 종료하는 시점에, 우선권을 가지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12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OnResume 함수를 호출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은 포어 그라운드 상태라 할 수 있다.
1204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일련의 함수들을 호출할 수 있다.
12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 상태로 두고, 제2 어플리케이션은 포어 그라운드 상태로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OnPause 함수를 호출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OnResume 함수를 호출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은 백 그라운드 상태가 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은 포어 그라운드 상태가 될 수 있다.
1206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인지 판단할 수 있다. 화이트 리스트로 관리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초기화 또는 실행 시에, 자원을 빈번하게 사용하는 등 포커스가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이트 리스트는 문서 편집 어플리케이션,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 또는 클라우드 서버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1207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종료할 수 있다. 다양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우선권을 가지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포커스를 할당한 후 종료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1207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된다고 판단된 경우, 1209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교대로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12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이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1208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이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1213 동작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반복하여 포커스를 할당하기 위해, 1213 동작을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할 수 있다.
1208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이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1209 동작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에 반복하여 교대로 포커스를 할당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이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반복하여 포커스를 할당하기 위해, 1211 동작을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할 수 있다.
1209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교대로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포어 그라운드 상태인 제2 어플리케이션을 백 그라운드로 실행시키기 위한 일시 정지 함수(예를 들어, OnPause() 함수)를 제2 어플리케이션에 호출하고, 제1 어플리케이션을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시키기 위한 재시작 함수(예를 들어, OnResume() 함수))를 제1 어플리케이션에 호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1)는, 포어 그라운드 상태인 제1 어플리케이션을 백 그라운드로 실행시키기 위한 일시 정지 함수(예를 들어, OnPause() 함수)를 제1 어플리케이션에 호출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시키기 위한 재시작 함수(예를 들어, OnResume() 함수))를 제2 어플리케이션에 호출할 수 있다.
121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시구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제1 시구간은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에 따른 초기화에 소요되는 시간 중 큰 값으로 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초기화에 소요되는 임계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1 시구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1 시구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표시장치(160))가 스크린 오프되는 경우 제1 시구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1 시구간이 경과되지 않은 동안, 1209 동작을 반복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에 교대로 포커스를 할당할 수 있다. 제1 시구간이 경과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1209 동작을 더 실행하지 않고,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종료하는 시점에, 우선권을 가지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121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반복하여 포커스를 할당하기 위해서, 제1 어플리케이션을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어플리케이션을 백 그라운드로 실행시키기 위한 일시 정지 함수(예를 들어, OnPause() 함수)를 제2 어플리케이션에 호출할 수 있고, 제1 어플리케이션을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시키기 위한 재시작 함수(예를 들어, OnResume() 함수)를 제1 어플리케이션에 호출할 수 있다.
1212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시구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제2 시구간은 제1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에 따른 초기화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2 시구간이 경과되지 않은 동안, 1211 동작을 반복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에 반복하여 포커서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에 포커스를 할당한 이후, 제2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해 제2 어플리케이션에 포커스가 재할당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2 시구간 동안, 제1 어플리케이션이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될 수 있도록, 반복하여 포커스를 할당할 수 있다. 제2 시구간이 경과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1211 동작을 더 실행하지 않고,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종료하는 시점에, 우선권을 가지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121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반복하여 포커스를 할당하기 위해서,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을 백 그라운드로 실행시키기 위한 일시 정지 함수(예를 들어, OnPause() 함수)를 제1 어플리케이션에 호출할 수 있고,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시키기 위한 재시작 함수(예를 들어, OnResume() 함수)를 제2 어플리케이션에 호출할 수 있다.
1214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3 시구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제3 시구간은 제2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에 따른 초기화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3 시구간이 경과되지 않은 동안, 1213 동작을 반복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에 반복하여 포커스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어플리케이션에 포커스를 할당한 이후, 제1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해 제1 어플리케이션에 포커스가 재할당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3 시구간 동안, 제2 어플리케이션이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될 수 있도록, 반복하여 포커스를 할당할 수 있다. 제3 시구간이 경과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1213 동작을 더 실행하지 않고,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종료하는 시점에, 우선권을 가지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1301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1302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 대한 플래그 값에 각각 1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래그 값은,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 시에 안정적인 초기화 과정을 보장하기 위한 포커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식별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플래그 값이 1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를 가지도록 OnResume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플래그 값이 1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를 가지도록 OnResume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 예컨대, 일시적으로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은 둘 다 포커스를 가질 수 있다.
13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일련의 함수들을 호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우선 순위를 확인할 수 있고, 우선 순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이 우선권을 가진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우선권을 가진다고 판단되는 경우, 1303 동작에 따라 제1 어플리케이션을 먼저 실행할 수 있고, 13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도 13의 일련의 동작들을 종료하는 시점에, 우선권을 가지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1304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OnResume() 함수를 호출하고, 제1 어플리케이션을 포어 그라운드 상태로 실행시킬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이 포어 그라운드인 상태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초기화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13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일련의 함수들을 호출할 수 있다.
1306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 중 플래그 값이 1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플래그 값이 1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할 수 있다. 일시적으로,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은 모두 포커스를 가질 수 있다.
13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초기화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어느 어플리케이션도 초기화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101)는, 초기화 수행을 완료하기 위해 1306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판단 결과, 전자 장치(101)는 초기화가 완료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1308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초기화에 소요되는 임계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초기화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초기화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표시장치(160))가 스크린 오프되는 경우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초기화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1308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초기화가 완료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플래그 값을 0으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초기화가 완료된 경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플래그 값을 0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의 초기화가 완료된 경우 제2 어플리케이션의 플래그 값을 0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플래그 값이 0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이 초기 실행을 위한 초기화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1309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플래그 값이 1인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308 동작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플래그 값을 0으로 변경한 경우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1208 동작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플래그 값을 0으로 변경한 경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a 및 1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잠금 화면에서 함께 실행하는 상황의 일 예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4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시키기 위한 단축 아이콘을 잠금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400)는, 디스플레이의 잠금 화면에서 메뉴를 제공하는 영역(1410)에 단축 아이콘들(1411, 1412, 1413)을 표시할 수 있다. 잠금 상태에서, 전자 장치(1400)는, 계산기 어플리케이션 및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시키기 위한 단축 아이콘(1412)에 대한 입력(1420)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400)는, 입력(1420)에 응답하여, 계산기 어플리케이션 및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멀티 윈도우로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잠금 해제가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잠금 해제를 요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어플리케이션이 잠금 해제가 필요 없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잠금 해제가 필요하고,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이 잠금 해제가 필요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101)는,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을 멀티 윈도우의 상단(1430)에 표시하고,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멀티 윈도우의 하단(1440)에 표시하고,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잠금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45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잠금 화면에서 함께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1501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잠금 화면에 페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키기 위한 제1 단축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축 아이콘은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을 결합하여 표시될 수 있다. 페어 어플리케이션은 제1 어플리케이션과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가 제2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가 높다고 가정하고, 전자 장치(101)는, 우선 순위가 높은 제1 어플리케이션을 멀티 윈도우 상의 상단에 배치할 수 있다.
1502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단축 아이콘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15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페어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잠금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잠금 상태에서 실행 불가능한 경우, 전자 장치(101)는, 1504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잠금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 경우, 전자 장치(101)는, 1506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1504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잠금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잠금 해제를 위한 패턴 입력을 위한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어플리케이션이 잠금 상태에서 실행 가능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잠금 해제를 요청하기 전에, 제1 어플리케이션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레이아웃을 확인하고, 제1 어플리케이션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이 멀티 윈도우 상단에 배치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이 멀티 윈도우 하단에 배치되는 경우, 잠금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멀티 윈도우의 하단에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101)는, 잠금 해제가 필요한 제1 어플리케이션을 멀티 윈도우 하단에 배치하도록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다.
15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잠금 해제를 위한 입력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멀티 윈도우에 페어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우선 순위가 높은 제1 어플리케이션을 멀티 윈도우 중 상위에 배치된 서브 윈도우에 표시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우선 순위가 낮은 제2 어플리케이션을 멀티 윈도우 중 하위에 배치된 서브 윈도우에 표시할 수 있다.
1506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멀티 윈도우에 페어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잠금 해제를 요청할 필요 없이 멀티 윈도우 상에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 안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아이콘들의 어레이를 표시하고,
    상기 아이콘들 각각은 실질적으로 제 1 크기를 가지며,
    상기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크기보다 작은 제 2 크기를 가지는 제 1 아이콘 및 제 2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아이콘은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내며, 상기 제 2 아이콘은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내며,
    상기 아이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제 1 시점으로부터, 상기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순서대로 표시하고,
    상기 제 1 시점으로부터 제 1 시구간 동안에, 반복적으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교대로 포어 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더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와 연관되며,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시점으로부터, 순서대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Create 메소드(method)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Start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Creat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Start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Paus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Paus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Paus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 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적으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교대로 포어 그라운드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은, 순서대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Paus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Paus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한 엣지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경계를 따라 서로 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1 길이를 갖는 제1 사이드 및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를 갖는 제2 사이드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엣지는 상기 제2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인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구간은 2 초 내지 4 초의 범위에 있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우선 순위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우선 순위보다 높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우선 실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1 팝업 윈도우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2 팝업 윈도우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2 팝업 윈도우의 적어도 일부가 가시적인(visible)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가 멀티 윈도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아이콘들의 어레이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아이콘들 각각은 실질적으로 제 1 크기를 가지며,
    상기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크기보다 작은 제 2 크기를 가지는 제 1 아이콘 및 제 2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아이콘은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내며, 상기 제 2 아이콘은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냄;
    상기 아이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제 1 시점으로부터, 상기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순서대로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시점으로부터 제 1 시구간 동안에, 반복적으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교대로 포어 그라운드에서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와 연관되며,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순서대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Create 메소드(method)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Start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Creat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Start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Paus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Paus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Paus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적으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교대로 포어 그라운드에서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은, 순서대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Paus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Paus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순서대로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한 엣지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경계를 따라 서로 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1 길이를 갖는 제1 사이드 및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를 갖는 제2 사이드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엣지는 상기 제2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인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구간은 2 초 내지 4 초의 범위에 있는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우선 순위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우선 순위보다 높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는 동작; 및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우선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순서대로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1 팝업 윈도우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2 팝업 윈도우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2 팝업 윈도우의 적어도 일부가 가시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19. 프로세서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명령어(instructions)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computer readable)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아이콘들의 어레이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아이콘들 각각은 실질적으로 제 1 크기를 가지며,
    상기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크기보다 작은 제 2 크기를 가지는 제 1 아이콘 및 제 2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아이콘은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내며, 상기 제 2 아이콘을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냄;
    상기 아이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제 1 시점으로부터, 상기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순서대로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시점으로부터 제1 시구간 동안에, 반복적으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교대로 포어 그라운드에서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와 연관되며,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순서대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Creat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Start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Creat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Start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Paus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Paus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Pause 메소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onResume 메소드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70106349A 2017-08-22 2017-08-22 멀티 윈도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21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349A KR20190021141A (ko) 2017-08-22 2017-08-22 멀티 윈도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6/108,448 US20190065240A1 (en) 2017-08-22 2018-08-22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multiple-window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349A KR20190021141A (ko) 2017-08-22 2017-08-22 멀티 윈도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141A true KR20190021141A (ko) 2019-03-05

Family

ID=6543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349A KR20190021141A (ko) 2017-08-22 2017-08-22 멀티 윈도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90065240A1 (ko)
KR (1) KR201900211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0727B1 (en) 2011-08-05 2023-08-29 P4Tents1 Ll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36056A (zh) * 2018-01-29 2022-08-23 华为技术有限公司 认证窗口的显示方法和装置
US10955956B2 (en) * 2018-05-07 2021-03-23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on with an intensity-sensitive input region
CN108595228B (zh) 2018-05-10 2021-03-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程序预测模型建立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08595227A (zh) 2018-05-10 2018-09-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程序预加载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08614722B (zh) * 2018-05-10 2020-09-08 上海瑾盛通信科技有限公司 应用程序预加载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08710513B (zh) 2018-05-15 2020-07-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程序启动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08804157A (zh) 2018-06-05 2018-11-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程序预加载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09379484B (zh) * 2018-09-19 2020-09-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终端
KR20200122722A (ko) * 2019-04-18 2020-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분할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N112068907A (zh) * 2019-05-25 2020-12-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界面显示方法和电子设备
US11797113B2 (en) 2019-06-01 2023-10-24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on with a control
KR20210044025A (ko) * 2019-10-14 2021-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멀티 윈도우를 이용한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
US11455185B2 (en) * 2019-12-12 2022-09-27 Vmware, Inc. Service schedule optimization for background execution limits
CN111597006A (zh) * 2020-05-19 2020-08-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分屏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2241230B (zh) * 2020-10-20 2022-04-12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的窗口显示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12306325B (zh) * 2020-10-30 2022-05-3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交互控制方法和装置
CN112380014A (zh) * 2020-11-17 2021-02-19 莫雪华 基于大数据的系统资源分配系统及方法
CN112732535B (zh) * 2021-03-31 2021-06-22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控制应用程序限时使用的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1020B (zh) * 2011-10-26 2014-05-21 华为终端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的应用屏幕截图方法和装置
KR102155708B1 (ko) * 2013-02-26 2020-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멀티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US10203982B2 (en) * 2016-12-30 2019-02-12 TCL Research America Inc. Mobile-phone UX design for multitasking with priority and layered structure
CN106843732A (zh) * 2017-01-24 2017-06-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分屏显示的方法及移动终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0727B1 (en) 2011-08-05 2023-08-29 P4Tents1 Ll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65240A1 (en)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1141A (ko) 멀티 윈도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449220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ensitive display and method for managing the display
KR102497195B1 (ko) 컨텐츠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CN107393501B (zh) 电子设备
CN106708181B (zh) 电子装置及配置该电子装置的显示器的方法
US2018024026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thereof
KR102219861B1 (ko) 화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0753928B (zh) 控制应用程序的许可的方法和电子设备
KR20190045765A (ko)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7800865B (zh) 电子设备和在低功率状态下显示时间信息的方法
KR20200047162A (ko) 분할된 화면 상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069133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nput on view layers
US9625979B2 (e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377268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data thereof
KR20160046401A (ko) 보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200201518A1 (en) Method for starting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US10990207B2 (en)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provis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102350954B1 (ko)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503252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peech recognition information
US20160019602A1 (en) Advertisement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5549809B (zh) 用于通知内容改变的方法和装置
KR20160100746A (ko)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235442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mposing screen
CN114096946A (zh) 用于管理应用的方法和装置
KR102524517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