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025A - 전자 장치 및 그의 멀티 윈도우를 이용한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의 멀티 윈도우를 이용한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025A
KR20210044025A KR1020190127087A KR20190127087A KR20210044025A KR 20210044025 A KR20210044025 A KR 20210044025A KR 1020190127087 A KR1020190127087 A KR 1020190127087A KR 20190127087 A KR20190127087 A KR 20190127087A KR 20210044025 A KR20210044025 A KR 20210044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display
electronic device
processor
p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옥
오영학
김보근
신인경
이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7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4025A/ko
Priority to PCT/KR2020/013683 priority patent/WO2021075786A1/en
Priority to US17/066,813 priority patent/US11334244B2/en
Publication of KR20210044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 및 그의 멀티 윈도우를 이용한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을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팝업 윈도우를 확장하여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의 감지에 대응하여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인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인 경우 상기 팝업 윈도우를 제거하고, 상기 멀티 윈도우들 중 메인 윈도우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윈도우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서브 윈도우 상에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제2 UI를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의 멀티 윈도우를 이용한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PROCESSING POP-UP WINDOW USING MULTI-WINDOW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 및 그의 멀티 윈도우를 이용한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들(예: 이동 단말, 스마트 폰, 또는 착용형(wearable) 단말)은 다양한 기능(예: 음악 재생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근거리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 지문 인식 기능, 사진(정지 영상)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녹화) 기능, 또는 전자 결제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성능 향상 및 디스플레이의 크기 증가에 따라, 디스플레이(또는 화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멀티 윈도우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전자 장치는 이벤트 수신 시 팝업 윈도우를 통해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팝업 윈도우는 크기 제약으로 인하여, 모든 정보를 표시할 수 없고 일부의 정보(예: 통화 수신의 경우 발신자 정보, 거부 메뉴, 허여 메뉴, 및 확장 메뉴)만을 표시할 수 있다. 팝업 윈도우는 터치 입력 또는 확장 메뉴의 선택 시 디스플레이의 전체 화면(풀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전체 화면으로 확장 시 팝업 윈도우는 추가적인 정보(예: 통화 수신의 경우 키패드 메뉴, 마이크 오프 메뉴, 블루투스 메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팝업 윈도우가 디스플레이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이전에 사용하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이벤트에 대응하는 팝업 윈도우를 확장하여 표시하도록 요청되었을 때, 멀티 윈도우(화면 분할)를 이용하여 기존 어플리케이션 및 팝업 윈도우(이벤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의 폴딩 및/또는 언 폴딩에 따른 팝업 윈도우의 표시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을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팝업 윈도우를 확장하여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의 감지에 대응하여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인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인 경우 상기 팝업 윈도우를 제거하고, 상기 멀티 윈도우들 중 메인 윈도우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윈도우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서브 윈도우 상에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제2 UI를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면을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팝업 윈도우를 확장하여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의 감지에 대응하여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인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인 경우 상기 활성화 중인 멀티 윈도우의 수가 지정된 수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활성화 중인 멀티 윈도우의 수가 상기 지정된 수 미만인 경우 상기 팝업 윈도우를 제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추가 분할을 통해 서브 윈도우를 추가하고, 상기 추가된 서브 윈도우 상에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제2 UI를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멀티 윈도우를 이용한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은,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를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팝업 윈도우를 확장하도록 요청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인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인 경우 상기 활성화 중인 멀티 윈도우의 수가 지정된 수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활성화 중인 멀티 윈도우의 수가 상기 지정된 수 미만인 경우 상기 팝업 윈도우를 제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추가 분할을 통해 서브 윈도우를 추가하고, 상기 추가된 서브 윈도우 상에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제2 UI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팝업 윈도우를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요청되었을 때, 멀티 윈도우를 이용하여 팝업 윈도우를 처리(예: 표시 방식을 전환)할 수 있어,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의 폴딩 및/또는 언 폴딩에 따른 팝업 윈도우의 표시 방식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언 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변경 시 전자 장치의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언 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변경 시 전자 장치의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폴딩 상태에서 언 폴딩 상태로 변경 시 전자 장치의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폴딩 상태에서 언 폴딩 상태로 변경 시 전자 장치의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팝업 윈도우가 표시될 멀티 윈도우 상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통지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팝업 윈도우가 표시될 멀티 윈도우 상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통지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팝업 윈도우가 표시될 멀티 윈도우 상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통지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본 문서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 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예: 표시 장치(160))가 노출되는 제1 면 및 제1 면의 반대에 위치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또는 화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분할 화면)하고, 각 영역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멀티 윈도우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폴더블 타입의 전자 장치 일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는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이고, 전자 장치는 제2 면을 통해 노출되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a 및 도 4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201 동작에서, 수신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를 화면(또는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중인 동안 통신 회로(예: 통신 모듈(190))을 통해 이벤트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이벤트의 수신을 알리는 팝업 윈도우를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UI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들 중 일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팝업 윈도우를 통해 표시될 수 있는 통화 수신, 문자 메시지 수신, 또는 푸쉬 메시지(push message) 수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도 3a의 식별 부호 310 및 도 3b의 식별 부호 34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수신 시 화면 상단의 일부 영역에 통화 수신을 알리는 팝업 윈도우(301)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는, 도 4a의 식별 부호 410 및 도 4b의 식별 부호 44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수신 시 화면 상단의 일부 영역에 통화 수신을 알리는 팝업 윈도우(401)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팝업 윈도우(301, 401)는 발신자 정보(301a, 401a), 허여 메뉴(301b, 401b), 거부 메뉴(301c, 401c) 및 확장 메뉴(301d, 401d)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 부호 310, 340, 410, 및 440의 도면과 같은 상태에서, 허여 메뉴(301b, 401b)의 선택 시 통화를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통화의 활성화 시 프로세서는, 식별 부호 320, 350, 420, 및 45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 윈도우(301, 401)의 허여 메뉴(301b, 401b) 및 거부 메뉴(301c, 401c)를 스피커 폰 메뉴(301e, 401e), 뮤트 메뉴(301f, 401f), 및 종료 메뉴(301g, 401g)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203 동작에서, 팝업 윈도우에 대한 확장 요청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식별 부호 320, 350, 420, 및 45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메뉴(301d, 401d)의 선택(예: 터치) 시 상기 확장 요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확장 요청은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제1 UI를 제2 UI로 전환하도록 하는 요청일 수 있다. 상기 제2 UI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다른 정보(예: 통화 수신의 경우 키패드 메뉴, 마이크 오프 메뉴, 블루투스 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 부호 310, 식별 부호 340, 식별 부호 410, 및 식별 부호 440의 도면과 같은 상태에서, 확장 메뉴(301d, 401d)의 선택(예: 터치)을 감지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팝업 윈도우(301, 401)에 확장 메뉴(301d, 401d)가 포함되지 않고, 팝업 윈도우(301, 401)의 일 영역에서 지정된 터치 입력(예: 탭, 더블 터치, 롱 터치, 제스처, 압력 터치 등)의 감지 시 프로세서는 상기 팝업 윈도우(301, 401)의 확장 요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205 동작에서,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상기 확장 요청에 대응하여 멀티 윈도우가 동작(예: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이 멀티 윈도우 상에 각각 표시)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205 동작의 확인 결과,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된 경우 프로세서는, 207 동작에서, 메인 윈도우를 제외한 서브 윈도우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서브 윈도우에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제2 UI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UI는 디스플레이의 전체 화면이 아닌,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서브 윈도우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2 UI는 제1 UI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확대된 UI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UI는 제1 UI에 포함되지 않은 추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윈도우는 멀티 윈도우들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 크기가 가장 큰 윈도우가 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 윈도우는 멀티 윈도우들 중 현재 선택된(예: 포커스된) 윈도우일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는 멀티 윈도우들의 사용 이력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 사용한 윈도우일수록 우선 순위가 높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식별 부호 320의 도면과 같이 제1 분할 영역(31a)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고, 제2 분할 영역(31b)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된 멀티 윈도우 상태에서 상기 팝업 윈도우(301)의 확장이 요청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식별 부호 33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된 제1 분할 영역(31a)이 아닌 제2 분할 영역(31b)의 전체에 통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유사하게, 프로세서는, 식별 부호 350 및 36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 윈도우(301)의 확정 요청 시 포커스된 제2 분할 영역(31b)이 아닌 제1 분할 영역(31a)의 전체에 통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a의 식별 부호 420 및 도 4b의 식별 부호 450의 도면과 같이, 제1 분할 영역(41a)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고, 제2 분할 영역(41b)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고, 제3 분할 영역(41c)에 제3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된 멀티 윈도우 상태에서 상기 팝업 윈도우(401)의 확장이 요청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도 4a의 식별 부호 430 및 도 4b의 식별 부호 46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가장 큰 제1 분할 영역(41a)(메인 윈도우)을 제외하고, 제2 분할 영역(41b) 및 제3 분할 영역(41c)의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제2 분할 영역(41b)의 전체 또는 제3 분할 영역(41c)의 전체에 통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205 동작의 확인 결과,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는, 209 동작에서, 화면 분할을 수행하고, 분할된 화면들 중 하나에 현재 화면(예: 홈 화면 또는 현재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제2 UI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후술하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들 중 하나의 전체 영역에 현재 화면을 표시하고, 다른 하나의 전체 영역에 상기 제2 UI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팝업 윈도우에 대한 확장 요청 시 멀티 윈도우를 이용하여 팝업 윈도우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이전에 실행 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제어함에 따라 이전에 실행 중이던 적어도 일부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림 그리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이었던 경우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그림 그리기 어플리케이션 및 통화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화면 전환 없이, 그림 그리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작업을 계속하거나, 통화 화면에서 필요한 작업(예: 키 패드를 통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501 동작에서, 수신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UI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를 화면(또는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중인 동안 통신 회로(예: 통신 모듈(190))을 통해 통화 요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도 6a의 식별 부호 61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단의 일부 영역에 통화 수신을 알리는 팝업 윈도우(601)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식별 부호 610의 도면과 같은 상태에서 허여 메뉴(601b)의 선택 시 프로세서는, 식별 부호 62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를 활성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503 동작에서, 팝업 윈도우(601)에 대한 확장 요청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식별 부호 620, 640, 및 66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 윈도우(601)의 확장 메뉴(601d)의 선택(예: 터치)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확장 요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 부호 610의 도면과 같은 상태에서, 확장 메뉴(601d)의 선택(예: 터치)을 감지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팝업 윈도우(601)에 확장 메뉴(601d)가 포함되지 않고, 팝업 윈도우(601)의 일 영역에서 지정된 터치 입력(예: 탭, 더블 터치, 롱 터치, 제스처, 압력 터치 등)의 감지 시 프로세서는 상기 팝업 윈도우(601)의 확장 요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505 동작에서,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상기 확장 요청에 대응하여 현재 멀티 윈도우가 동작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505 동작의 확인 결과,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예: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 실행된 경우 또는 홈 화면이 표시된 경우) 프로세서는, 507 동작에서, 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화면들 중 하나에 현재 화면을 표시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제2 UI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UI는 제1 UI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확대된 UI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UI는 제1 UI에 포함되지 않은 추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식별 부호 63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을 2개로 분할하고, 제1 분할 영역(또는 제1 윈도우)(61a)의 전체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또는 홈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분할 영역(또는 제2 윈도우)(61b)의 전체에 팝업 윈도우(601)(또는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예: 통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부호 630의 도면은 화면을 세로 방향으로 분할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화면은 전자 장치의 설정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상기 505 동작의 확인 결과,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된 경우 프로세서는, 509 동작에서, 멀티 윈도우의 수가 지정된 수(N) 미만인지 확인 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자연수(양의 정수)이고, 전자 장치가 지원하는 화면을 분할 가능한 최대 수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N은 4일 수 있다. 이는 일 예일 뿐,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509 동작의 확인 결과, 멀티 윈도우의 수가 지정된 수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는, 511 동작에서, 추가 분할을 통해 서브 윈도우를 추가하고, 추가된 서브 윈도우에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제2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의 식별 부호 640의 도면과 같이 화면이 제1 크기의 제1 분할 영역(제1 윈도우)(63a) 및 제1 크기의 제2 분할 영역(제2 윈도우)(63b-1)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 요청이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식별 부호 65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크기의 제2 분할 영역(63b-1)을 분할하여 제2 크기의 제2 분할 영역(63b-2) 및 제3 크기의 제3 분할 영역(제3 윈도우)(63c)을 생성하고, 통화 화면을 제3 분할 영역(63c)의 전체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크기 및 제3 크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 부호 650의 도면에서 제1 분할 영역(63a)이 포커스된 상태이기 때문에 프로세서는 제1 크기의 제2 분할 영역(63b-1)을 분할하여 제2 크기의 분할 영역(63b-2) 및 제3 크기의 제3 분할 영역(63c)을 생성하였다. 반대로, 제1 크기의 제2 분할 영역(63b-1)이 포커스된 경우 프로세서는 제1 크기의 제1 분할 영역(63a)을 분할하여 제2 크기의 제1 분할 영역 및 제3 크기의 제3 분할 영역(63c)을 생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c의 식별 부호 660의 도면과 같이 화면이 제1 크기의 제1 분할 영역(제1 윈도우)(65a-1), 제2 크기의 제2 분할 영역(제2 윈도우)(65b) 및 제2 크기의 제3 분할 영역(제3 윈도우)(65c)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 요청이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식별 부호 67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크기의 제1 분할 영역(65a-1)을 분할하여 제2 크기의 제1 분할 영역(65a-2) 및 제2 크기의 제4 분할 영역(제4 윈도우)(65d)을 생성하고, 제4 분할 영역(65d)의 전체에 통화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 부호 650 및 670의 도면은 제1 크기의 제2 분할 영역(63b-1) 및 제1 크기의 제1 분할 영역(65a-1)을 가로 방향으로 분할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의 설정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제1 크기의 제2 분할 영역(63b-1) 및 제1 크기의 제1 분할 영역(65a-1)을 세로 방향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상기 509 동작의 확인 결과, 멀티 윈도우의 수가 지정된 수 미만이 아닌 경우(예: 멀티 윈도우의 수가 지정된 수와 동일한 경우) 프로세서는, 513 동작에서, 메인 윈도우를 제외한 서브 윈도우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서브 윈도우에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제2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상술한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팝업 윈도우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예: 통화 화면)을 메인 윈도우를 제외한 서브 윈도우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서브 윈도우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언 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변경 시 전자 장치의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언 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변경 시 전자 장치의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폴더블 타입의 전자 장치로, 하우징의 제1 면을 통해 노출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제2 면을 통해 노출되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701 동작에서,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식별 부호 810, 840, 및 870의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 폴딩 상태에서 통화 화면(예: 팝업 윈도우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801)을 멀티 윈도우 중 하나에 표시하고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703 동작에서, 전자 장치의 폴딩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다양한 센서(예: 홀 센서, 벤딩 센서)를 통해 전자 장치의 폴딩을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705 동작에서, 외부 장치의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식별 부호 87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예: 블루투스) 출력 장치(예: 이어폰, 헤드 셋)(804)의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804)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도록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705 동작의 확인 결과, 외부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는, 707 동작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상에 통화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식별 부호 820 및 850의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장치(804)가 미연결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가 폴딩되는 경우 외부 디스플레이(82) 상에 통화 화면(801)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709 동작에서, 스피커 폰 모드를 오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식별 부호 84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 폴딩 상태에서 스피커 폰 모드(801a)로 통화를 제공하고, 폴딩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식별 부호 85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폰 모드를 오프(801b)할 수 있다. 이는 언 폴딩 상태에서는 한 손으로 통화가 불편한데 반하여, 폴딩 상태에서는 한 손으로 통화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709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709 동작은 사용자의 의도(설정)에 따라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705 동작의 확인 결과,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프로세서는, 711 동작에서, 멀티 윈도우들 중 메인 윈도우에 대응하는 화면을 외부 디스플레이(82)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식별 부호 88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된 메인 윈도우(802)에 대응하는 화면을 외부 디스플레이(82)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외부 장치(804)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통화 어플리케이션보다는 메인 윈도우(8702)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713 동작에서, 언 폴딩이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713의 동작의 확인 결과 언 폴딩이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701 동작으로 복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식별 부호 830, 860, 및 890의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 전 상태(식별 부호 810, 840, 및 870의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된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713의 동작의 확인 결과 언 폴딩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는, 715 동작에서, 통화가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715 동작의 확인 결과 통화가 종료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는 713 동작으로 복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715 동작의 확인 결과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팝업 윈도우 처리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폴딩 상태에서 언 폴딩 상태로 변경 시 전자 장치의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폴딩 상태에서 언 폴딩 상태로 변경 시 전자 장치의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901 동작에서, 폴딩 상태에서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폴딩 상태에서 통신 회로(예: 통신 모듈(190))을 통해 통화 수신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통화 요청을 허여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프로세서는, 도 10의 식별 부호 101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화면(1001)을 외부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903 동작에서, 언 폴딩 상태로의 전환을 감지할 수 있다. 언 폴딩 상태로의 전환에 대응하여 프로세서는, 905 동작에서,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905 동작의 확인 결과,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예: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 실행된 경우 또는 홈 화면이 표시된 경우) 프로세서는, 907 동작에서, 화면(디스플레이)을 분할하고, 분할된 화면들 중 하나에 현재 화면을 표시하고, 다른 하나에 이벤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식별 부호 102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6)를 2개로 분할하고, 제1 분할 영역(또는 제1 윈도우)(16a)의 전체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또는 홈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분할 영역(또는 제2 윈도우)(16b)의 전체에 통화 화면(1001)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부호 1020의 도면은 화면을 세로 방향으로 분할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의 설정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화면을 가로 방향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상기 언 폴딩 시 프로세서는 스피커 폰 모드가 오프(1001a)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언 폴딩 시 프로세서는, 식별 부호 10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폰 모드를 온(1001b)할 수 있다.
상기 905 동작의 확인 결과,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된 경우 프로세서는, 909 동작에서, 멀티 윈도우의 수가 지정된 수(N) 미만인지 확인 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자연수(양의 정수)이고, 전자 장치가 지원하는 분할 가능한 최대 수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N은 4일 수 있다. 이는 일 예일 뿐,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909 동작의 확인 결과, 멀티 윈도우의 수가 지정된 수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는, 911 동작에서, 추가 분할을 통해 서브 윈도우를 추가하고,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면(예: 통화 화면)을 추가된 서브 윈도우의 전체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911 동작은 511 동작, 도 6b 및 도 6c와 유사한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909 동작의 확인 결과, 멀티 윈도우의 수가 지정된 수 미만이 아닌 경우(예: 멀티 윈도우의 수가 지정된 수와 동일한 경우) 프로세서는, 913 동작에서, 메인 윈도우를 제외한 서브 윈도우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서브 윈도우의 전체에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면(통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상술한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통화 화면을 메인 윈도우를 제외한 서브 윈도우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서브 윈도우의 전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은 폴딩 상태에서 이벤트를 수신하고 언 폴딩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이벤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잠금 상태(lock state)에서 이벤트를 수신하고, 잠금 해제 상태(unlock state)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팝업 윈도우가 표시될 멀티 윈도우 상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통지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는 시각적 객체를 이용하여 팝업 윈도우(1101)에 대한 확장 UI(제2 UI)가 표시될 멀티 윈도우 상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시각적 객체는 팝업 윈도우(1101)를 확장하도록 요청하는 확장 메뉴(1101d)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각적 객체는 멀티 윈도우의 배치에 대응하는 레이아웃 형상을 가지고, 확장 UI가 표시될 영역이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부호 1110의 도면과 같은 상태에서 확장 메뉴(1101d)가 선택(예: 터치)되면, 프로세서는, 식별 부호 112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하단의 제3 윈도우의 전체에 통화 화면(1102)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시각적 객체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부호 1130의 시각적 객체는 2개의 분할 윈도우들 중 제2 윈도우(우측 윈도우)에 통화 화면이 표시됨을 의미하고, 식별 부호 1135의 시각적 객체는 2개의 분할 윈도우들 중 제1 윈도우(좌측 윈도우)에 통화 화면이 표시됨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식별 부호 1150의 시각적 객체는 3개의 분할 윈도우들 중 제3 윈도우(우측 하단 윈도우)에 통화 화면이 표시됨을 의미하고, 식별 부호 1153의 시각적 객체는 3개의 분할 윈도우들 중 제2 윈도우(우측 상단 윈도우)에 통화 화면이 표시되고, 식별 부호 1155의 시각적 객체는 3개의 분할 윈도우들 중 제1 윈도우(좌측 윈도우)에 통화 화면이 표시됨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식별 부호 1170의 시각적 객체는 4개의 분할 윈도우들 중 제4 윈도우(우측 하단 윈도우)에 통화 화면이 표시됨을 의미하고, 식별 부호 1172의 시각적 객체는 4개의 분할 윈도우들 중 제3 윈도우(우측 상단 윈도우)에 통화 화면이 표시되고, 식별 부호 1174의 시각적 객체는 4개의 분할 윈도우들 중 제2 윈도우(좌측 하단 윈도우)에 통화 화면이 표시되고, 식별 부호 1176의 시각적 객체는 4개의 분할 윈도우들 중 제1 윈도우(좌측 상단 윈도우)에 통화 화면이 표시됨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서는 확장 메뉴(1101d)가 시각적 객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시각적 객체는 확장 메뉴(1101d)에 포함되지 않고, 별도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팝업 윈도우가 표시될 멀티 윈도우 상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통지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는 시각적 객체를 이용하여 팝업 윈도우(1201)와 관련된 확장 UI(예: 제2 UI)가 표시될 멀티 윈도우 상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멀티 윈도우들 중 하나를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표시(예: 하이라이팅 또는 포커싱)(1203)하여 상기 확장 UI를 표시할 멀티 윈도우 상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부호 1210의 도면과 같은 상태에서 확장 메뉴(1201d)가 선택(예: 터치)되면, 프로세서는, 식별 부호 122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하단의 제3 윈도우의 전체에 통화 화면(1202)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2b의 식별 부호 1230의 도면은 2개의 분할 윈도우들 중 제2 윈도우(우측 윈도우)에 통화 화면이 표시됨을 의미하고, 도 12b의 식별 부호 1235의 도면은 3개의 분할 윈도우들 중 제2 윈도우(우측 상단 윈도우)에 통화 화면이 표시됨을 의미하고, 도 12b의 식별 부호 1250의 도면은 3개의 분할 윈도우들 중 제1 윈도우(좌측 윈도우)에 통화 화면이 표시됨을 의미하고, 도 12b의 식별 부호 1255의 도면은 4개의 분할 윈도우들 중 제4 윈도우(우측 하단 윈도우)에 통화 화면이 표시됨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팝업 윈도우가 표시될 멀티 윈도우 상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통지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는 도 11a 내지 도 12b에서 설명한 방법을 조합하여 팝업 윈도우(1301)(또는 이벤트)와 관련된 확장 UI(제2 UI)가 표시될 멀티 윈도우 상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 윈도우(1301)의 일 영역에 제2 UI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시각적 객체를 포함하는 확장 메뉴(1301d)를 표시하고, 멀티 윈도우들 중 제2 UI가 표시될 윈도우를 시각적으로 구별(예: 하이라이팅 또는 포커싱)되도록 하는 제2 시각적 객체(1303)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을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예: 표시 장치(160));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예: 메모리(13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예: 팝업 윈도우(301), 팝업 윈도우(401), 팝업 윈도우(601), 팝업 윈도우(1101), 팝업 윈도우(1201), 팝업 윈도우(1301))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팝업 윈도우를 확장하여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의 감지에 대응하여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인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인 경우 상기 팝업 윈도우를 제거하고, 상기 멀티 윈도우들 중 메인 윈도우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윈도우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서브 윈도우 상에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제2 UI를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이 아닌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을 2개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화면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현재 화면을 표시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제2 UI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멀티 윈도우의 사용 이력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윈도우는 상기 멀티 윈도우 중 크기가 가장 큰 윈도우 또는 현재 포커스된 윈도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팝업 윈도우의 표시 시 상기 제2 UI를 표시할 상기 멀티 윈도우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시각적 객체를 더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시각적 객체는 상기 팝업 윈도우의 확장을 요청하는 확장 메뉴에 포함되는 제1 시각적 객체 또는 상기 멀티 윈도우들 중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윈도우를 다른 윈도우와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하는 제2 시각적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벤트는 통화 수신 이벤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면의 반대에 위치하는 제2 면을 통해 노출되는 외부 디스플레이(예: 외부 디스플레이(8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가 폴딩되는 경우 통화 화면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에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가 언 폴딩 상태에서 상기 통화가 허여되는 것에 대응하여 스피커 모드로 통화를 활성화하고, 상기 스피커 모드로 통화하는 도중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이 감지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스피커 모드를 오프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감지 시 외부 장치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윈도우에 대응하는 화면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에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통화 화면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에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면의 반대에 위치하는 제2 면을 통해 노출되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에서 통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에 통화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언 폴딩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멀티 윈도우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상기 통화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면을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예: 표시 장치(160));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예: 메모리(13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예: 팝업 윈도우(301), 팝업 윈도우(401), 팝업 윈도우(601), 팝업 윈도우(1101), 팝업 윈도우(1201), 팝업 윈도우(1301))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팝업 윈도우를 확장하여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의 감지에 대응하여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인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인 경우 상기 활성화 중인 멀티 윈도우의 수가 지정된 수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활성화 중인 멀티 윈도우의 수가 상기 지정된 수 미만인 경우 상기 팝업 윈도우를 제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추가 분할을 통해 서브 윈도우를 추가하고, 상기 추가된 서브 윈도우 상에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제2 UI를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활성화 중인 멀티 미디어의 수가 상기 지정된 수와 동일한 경우 상기 멀티 윈도우들 중 메인 윈도우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윈도우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서브 윈도우 상에 상기 제2 UI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이 아닌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을 2개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화면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현재 화면을 표시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제2 UI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멀티 윈도우를 이용한 팝업 윈도우(예: 팝업 윈도우(301), 팝업 윈도우(401), 팝업 윈도우(601), 팝업 윈도우(1101), 팝업 윈도우(1201), 팝업 윈도우(1301))를 처리하는 방법은,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를 디스플레이(예: 표시 장치(160))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팝업 윈도우를 확장하도록 요청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인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인 경우 상기 활성화 중인 멀티 윈도우의 수가 지정된 수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활성화 중인 멀티 윈도우의 수가 상기 지정된 수 미만인 경우 상기 팝업 윈도우를 제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추가 분할을 통해 서브 윈도우를 추가하고, 상기 추가된 서브 윈도우 상에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제2 UI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이 아닌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을 2개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화면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현재 화면을 표시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제2 UI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활성화 중인 멀티 미디어의 수가 상기 지정된 수와 동일한 경우 상기 멀티 윈도우들 중 메인 윈도우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윈도우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서브 윈도우 상에 상기 제2 UI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멀티 윈도우의 사용 이력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메인 윈도우는 상기 멀티 윈도우 중 크기가 가장 큰 윈도우 또는 현재 포커스된 윈도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팝업 윈도우의 확장을 요청하는 확장 메뉴 상에 상기 제2 UI를 표시할 상기 멀티 윈도우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시각적 객체를 더 표시하는 동작; 또는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서브 윈도우를 다른 윈도우와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하는 제2 시각적 객체를 표시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노출되는 제1 면의 반대에 위치하는 제2 면을 통해 노출되는 외부 디스플레이(예: 외부 디스플레이(82))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타입의 전자 장치이고, 상기 이벤트는 통화 수신 이벤트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감지 시 외부 장치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윈도우에 대응하는 화면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에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통화 화면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에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고, 스피커 모드를 오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노출되는 제1 면의 반대에 위치하는 제2 면을 통해 노출되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타입의 전자 장치이고, 상기 이벤트는 통화 수신 이벤트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에서 상기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에 통화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언 폴딩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멀티 윈도우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상기 통화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을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팝업 윈도우를 확장하여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의 감지에 대응하여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인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인 경우 상기 팝업 윈도우를 제거하고, 상기 멀티 윈도우들 중 메인 윈도우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윈도우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서브 윈도우 상에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제2 UI를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이 아닌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을 2개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화면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현재 화면을 표시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제2 UI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멀티 윈도우의 사용 이력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윈도우는
    상기 멀티 윈도우 중 크기가 가장 큰 윈도우 또는 현재 포커스된 윈도우인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팝업 윈도우의 표시 시 상기 제2 UI를 표시할 상기 멀티 윈도우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시각적 객체를 더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시각적 객체는 상기 팝업 윈도우의 확장을 요청하는 확장 메뉴에 포함되는 제1 시각적 객체 또는 상기 멀티 윈도우들 중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윈도우를 다른 윈도우와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하는 제2 시각적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통화 수신 이벤트인 전자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면의 반대에 위치하는 제2 면을 통해 노출되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가 폴딩되는 경우 통화 화면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에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가 언 폴딩 상태에서 상기 통화가 허여되는 것에 대응하여 스피커 모드로 통화를 활성화하고, 상기 스피커 모드로 통화하는 도중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이 감지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스피커 모드를 오프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감지 시 외부 장치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윈도우에 대응하는 화면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에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통화 화면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에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면의 반대에 위치하는 제2 면을 통해 노출되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에서 통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에 통화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언 폴딩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멀티 윈도우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상기 통화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면을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팝업 윈도우를 확장하여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의 감지에 대응하여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인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인 경우 상기 활성화 중인 멀티 윈도우의 수가 지정된 수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활성화 중인 멀티 윈도우의 수가 상기 지정된 수 미만인 경우 상기 팝업 윈도우를 제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추가 분할을 통해 서브 윈도우를 추가하고, 상기 추가된 서브 윈도우 상에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제2 UI를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활성화 중인 멀티 미디어의 수가 상기 지정된 수와 동일한 경우 상기 멀티 윈도우들 중 메인 윈도우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윈도우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서브 윈도우 상에 상기 제2 UI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이 아닌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을 2개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화면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현재 화면을 표시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제2 UI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4. 전자 장치의 멀티 윈도우를 이용한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를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팝업 윈도우를 확장하도록 요청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인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인 경우 상기 활성화 중인 멀티 윈도우의 수가 지정된 수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활성화 중인 멀티 윈도우의 수가 상기 지정된 수 미만인 경우 상기 팝업 윈도우를 제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추가 분할을 통해 서브 윈도우를 추가하고, 상기 추가된 서브 윈도우 상에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제2 UI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멀티 윈도우가 활성화 중이 아닌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을 2개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화면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현재 화면을 표시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제2 UI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활성화 중인 멀티 미디어의 수가 상기 지정된 수와 동일한 경우 상기 멀티 윈도우들 중 메인 윈도우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윈도우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서브 윈도우 상에 상기 제2 UI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멀티 윈도우의 사용 이력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메인 윈도우는 상기 멀티 윈도우 중 크기가 가장 큰 윈도우 또는 현재 포커스된 윈도우인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윈도우의 확장을 요청하는 확장 메뉴 상에 상기 제2 UI를 표시할 상기 멀티 윈도우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시각적 객체를 더 표시하는 동작; 또는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서브 윈도우를 다른 윈도우와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하는 제2 시각적 객체를 표시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노출되는 제1 면의 반대에 위치하는 제2 면을 통해 노출되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타입의 전자 장치이고, 상기 이벤트는 통화 수신 이벤트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감지 시 외부 장치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윈도우에 대응하는 화면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에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통화 화면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에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고, 스피커 모드를 오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노출되는 제1 면의 반대에 위치하는 제2 면을 통해 노출되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타입의 전자 장치이고, 상기 이벤트는 통화 수신 이벤트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에서 상기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에 통화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언 폴딩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멀티 윈도우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상기 통화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90127087A 2019-10-14 2019-10-14 전자 장치 및 그의 멀티 윈도우를 이용한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 KR20210044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087A KR20210044025A (ko) 2019-10-14 2019-10-14 전자 장치 및 그의 멀티 윈도우를 이용한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
PCT/KR2020/013683 WO2021075786A1 (en) 2019-10-14 2020-10-0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pop-up window using multi-window thereof
US17/066,813 US11334244B2 (en) 2019-10-14 2020-10-09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pop-up window using multi-window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087A KR20210044025A (ko) 2019-10-14 2019-10-14 전자 장치 및 그의 멀티 윈도우를 이용한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025A true KR20210044025A (ko) 2021-04-22

Family

ID=7538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087A KR20210044025A (ko) 2019-10-14 2019-10-14 전자 장치 및 그의 멀티 윈도우를 이용한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34244B2 (ko)
KR (1) KR20210044025A (ko)
WO (1) WO202107578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3904A1 (ko) * 2021-08-02 2023-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3249208A1 (ko) * 2022-06-21 2023-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34622B2 (en) 2021-08-02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lit screen layout controlling method and device
WO2024090959A1 (ko) * 2022-10-26 2024-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멀티 윈도우 기반의 알림 정보 표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320A1 (ko) * 2020-07-30 2022-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D967840S1 (en) * 2020-10-19 202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89802S1 (en) * 2021-03-05 2023-06-20 Mobiline, Inc. Smartphone display with missed cal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85017S1 (en) * 2021-03-05 2023-05-02 Mobiline, Inc. Smartphone display with personalized audio invit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85007S1 (en) * 2021-03-05 2023-05-02 Mobiline, Inc. Smartphone display with missed cal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89775S1 (en) * 2021-03-05 2023-06-20 Mobiline, Inc. Smartphone display with personalized video invit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TWI765706B (zh) * 2021-05-11 2022-05-21 凌華科技股份有限公司 彈出視窗的非侵入式共享處理方法及系統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7358B2 (en) * 2004-06-25 2008-10-14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data
KR100738540B1 (ko) * 2005-08-30 2007-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태스킹 환경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US20080163104A1 (en) * 2006-12-30 2008-07-03 Tobias Haug Multiple window handler on display screen
KR101569776B1 (ko) 2009-01-09 2015-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히는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1721535B1 (ko) * 2009-12-01 2017-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팝업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10092802A (ko) * 2010-02-10 201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개의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8850354B1 (en) * 2010-05-21 2014-09-30 Google Inc. Multi-window web-based application structure
US9351237B2 (en) * 2011-09-27 2016-05-24 Z124 Displaying of charging status on dual screen device
KR102086715B1 (ko) * 2012-11-01 202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9513929B2 (en) 2013-01-31 2016-12-06 Sap Se Foldable computing device capable of behaving as different types of devices
US20140218372A1 (en) * 2013-02-05 2014-08-07 Apple Inc.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desktop environment
KR102124801B1 (ko) * 2013-05-21 2020-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220085B1 (ko) * 2013-10-18 2021-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윈도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5112868A1 (en) * 2014-01-23 2015-07-30 Piyaxyst Dynamics Llc Virtual computer keyboard
EP2965184A4 (en) 2014-05-23 2016-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COLLEC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9648062B2 (en) 2014-06-12 2017-05-09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tasking o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KR102354582B1 (ko) * 2014-08-12 2022-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US10965633B2 (en) * 2014-09-29 2021-03-30 Microsoft Technoiogy Licensing, LLC Session history horizon control
KR20160073205A (ko) 2014-12-16 2016-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429740B1 (ko) * 2015-12-24 2022-08-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이벤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90295A (ko) 2016-01-28 201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91913A (ko) * 2016-02-02 201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45602B1 (ko) * 2016-08-01 2023-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89996B1 (ko) * 2017-03-28 2022-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화면 제어 방법
KR20190021141A (ko) * 2017-08-22 2019-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윈도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3904A1 (ko) * 2021-08-02 2023-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934622B2 (en) 2021-08-02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lit screen layout controlling method and device
WO2023249208A1 (ko) * 2022-06-21 2023-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90959A1 (ko) * 2022-10-26 2024-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멀티 윈도우 기반의 알림 정보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34244B2 (en) 2022-05-17
US20210109653A1 (en) 2021-04-15
WO2021075786A1 (en)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4025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멀티 윈도우를 이용한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
KR102638783B1 (ko) 폴딩 각도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11366584B2 (en)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r content associated with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carrying out same
EP3674881B1 (en)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sharing method using same
KR20200067567A (ko)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EP3695591B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KR20200045660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99383B1 (ko) 분할된 화면 상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474692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on which execution screen for multiple applications is displayed, and method for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
KR2022000027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53094A (ko)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936095B2 (en)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various functions based on signal received from electric pen
KR20210033784A (ko)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56601B1 (ko) 키보드 레이아웃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017162A (ko) 인커밍 콜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10140949A (ko)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알림 표시 제어 방법
KR2021008291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210041994A (ko)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335818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200117183A (ko) 메시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022942A (ko)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키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43235B1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상기 전자 장치와 연동되는 이어잭 단자 캡
KR20210144461A (ko) 기능 실행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16875A (ko) 터치 입력에 기반한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210041979A1 (en) Operation method based on touch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