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518A -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518A
KR20180018518A KR1020177034533A KR20177034533A KR20180018518A KR 20180018518 A KR20180018518 A KR 20180018518A KR 1020177034533 A KR1020177034533 A KR 1020177034533A KR 20177034533 A KR20177034533 A KR 20177034533A KR 20180018518 A KR20180018518 A KR 20180018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rim
engaging member
modul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띠유 오잔느
올리비에 마르땡
디디에 뷔아그니오
Original Assignee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filed Critical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8001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8Means to eject the cartridge after brew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클로저(10a) 및 림(10b)을 포함하는 캡슐(10) 및 캡슐로부터 음료수를 제조하기 위한 모듈(1)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모듈(2)은 캡슐 배출 위치와 음료 제조 위치 사이에서 상호협력하는 제2 캡슐 결합 부재(2d)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제1 캡슐 결합 부재(3)를 포함하고,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3)는 내부에 캡슐을 홀딩하도록 구성된 홀딩 수단을 포함하고, 모듈은 제1 캡슐 결합 부재(3)가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그의 캡슐 배출 위치로 변위될 때 제1 캡슐 결합 부재를 지나서 연장되는 캡슐의 림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수단(7, 7a, 7b)을 포함하고, 홀딩 수단은 캡슐의 림(10b)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별개의 후크(341, 342)이고, 보유 수단은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그의 캡슐 배출 위치로의 제1 캡슐 결합 부재(3)의 변위 동안 2개의 결합 수단 중 하나(7b)가 다른 결합 수단(7a)에 앞서 캡슐의 림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BEVERAGE PRODUCTION SYSTEM USING CAPSULES}
본 발명은 캡슐 내에 함유된 성분들에 기초하여 음료 또는 다른 액체 식료품을 제조하는 분야에 관한 것이다.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에서, 캡슐은 통상 기계의 음료 제조 모듈 내로 삽입된다. 모듈은 액체를 캡슐 내에 함유된 성분과 상호작용하게 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온수와 같은 액체를 캡슐 내로 주입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몇몇 음료 제조 기술들은 커피 음료 같이 가압식 주입을 필요로 하고, 예컨대 브루잉 차(brewing tea)와 같은 다른 것들은 주위 압력에서 만들어질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양 시나리오들에서 응용을 찾을 수 있다. 상호작용의 결과물, 즉 생성된 음료 또는 액체 식료품은 이어서 캡슐로부터 배출되고, 예컨대 음료용 출구 아래에 놓인 컵과 같은 리셉터클(receptacle)에 공급된다.
본 발명은 특히, 제1 캡슐 결합 부재를 갖는 모듈을 포함하고, 제1 캡슐 결합 부재가 개방된 캡슐 삽입 위치와 폐쇄된 캡슐 봉입 위치 사이에서 상호협력하는 제2 캡슐 결합 부재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음료 제조 기계에 관한 것이다. 모듈은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캡슐이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캡슐 배출 위치로 캡슐을 능동적으로 후퇴(retract)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한 기계는 음료 제조 위치에 대해 오프셋된 캡슐 배출 위치를 갖는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점은, 기계가 음료 유동 경로의 수직 방향에 대해 오프셋된 위치에서 캡슐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음료가 기계와 접촉하지 않고서 음료를 캡슐로부터 컵 내로 직접 전달하도록 기계 및 캡슐이 창안되는 경우에 관심 대상이 된다. 그러한 음료 제조 기계가 EP-A1-2033551호, WO 2011/144479호 또는 WO 2015/032651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한 기계에서, 캡슐은 음료 제조 모듈 내에 도입되고, 사전-고정 아암에 의해 사전-결합 위치에서 보유되고, 이어서 캡슐에 대한 제1 결합 부재의 이동에 더하여 캡슐 형상에 등각(conformal)인 제1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이동의 마지막에, 캡슐은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 사이에 클램핑되고, 대체로 물인 희석액이 캡슐 내의 성분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도입될 수 있다. 생성되는 음료는 캡슐 결합 동안 캡슐에 제공되고/되거나 기계에 의해 생성된 출구를 통해 캡슐로부터 유출되고, 중력에 의해 컵 내에 떨어진다. 일단 음료가 전달되었다면, 제1 결합 부재는 음료 유동 경로의 수직 방향에 대해 오프셋된 위치를 향해 캡슐을 드래그(drag)하는 캡슐 배출 위치로 다시 이동한다. 제1 결합 부재의 이동은 선형 이동과 단부 선회 이동의 조합이어서, 캡슐이 중력에 의해 제1 결합 부재로부터 떨어질 수 있게 한다.
모듈은 제1 캡슐 결합 부재가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그의 캡슐 배출 위치로 변위될 때 제1 캡슐 결합 부재를 지나서 연장되는 캡슐의 림(rim)을 보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단은 모듈의 프레임의 횡방향 벽 상에 대칭으로 위치되고 캡슐의 림을 보유할 수 있는 2개의 탭으로 구성된다.
캡슐 형상과 등각인 제1 결합 부재는, 음료 유동 경로의 수직 방향에 대해 오프셋된 위치를 향하여 캡슐 배출 위치로 되돌리는 제1 결합 부재에 의한 캡슐의 운반 동안 캡슐을 내부에 홀딩(holding)하도록 구성된 홀딩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홀딩 수단은 제1 캡슐 결합 부재에 결합될 때 캡슐 인클로저 외부 벽에 마찰을 가하는 마찰 수단이다. WO 2011/144479호 또는 WO 2015/032651호에 따르면, 이러한 홀딩 수단은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중공 벨(bell) 부재의 내부 표면 상에 배치되고 탄성중합체 재료와 같은 가요성 및 탄성 재료로 제조된 별개의 범프(discrete bump)이다. 실제로, 캡슐 변위 동안 탭이 캡슐을 그의 림을 통해 쉽게 보유할 수 있도록 캡슐 상의 마찰이 그렇게 중요해서는 안되고, 그러한 목적을 위해, 탄성중합체 재료의 특성이 완벽하게 적응된다. 그러나, 가요성 및 탄성 재료의 그러한 범프는 그 특성, 및 경질 플라스틱으로 통상 제조되는 제1 결합 부재의 내부 표면 상에 그를 조립할 필요성을 고려하여 기계 제조 면에서 소정의 비용을 의미한다. 이는, 이러한 범프의 특성을 변경하거나 이러한 범프를 제거하는 것이 제1 캡슐 결합 부재로부터의 캡슐의 효율적인 배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이제, 그러한 음료 기계로부터 캡슐의 신뢰성있는 배출을 제공하면서 기계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WO 2011/144479호 또는 WO 2015/032651호에 기술된 음료 제조 기계의 개선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서, 캡슐 및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으로서,
- 캡슐은 인클로저 및 림을 포함하고,
- 모듈은
. 캡슐 배출 위치와 음료 제조 위치 사이에서 상호협력하는 제2 캡슐 결합 부재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제1 캡슐 결합 부재, 및
.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캡슐이 제1 캡슐 결합 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캡슐 배출 위치로 제1 캡슐 결합 부재를 능동적으로 후퇴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는 캡슐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 캡슐은
. 캡슐 리셉터클의 적어도 일부분에 등각인 인클로저 외부 형상, 및
. 일단 캡슐이 제1 캡슐 결합 부재에 결합되면, 캡슐의 림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서 연장되도록 하는 림 크기를 제공하고,
-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는 캡슐 리셉터클 내에 캡슐을 홀딩하도록 구성된 홀딩 수단을 포함하고,
- 모듈은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가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그의 캡슐 배출 위치로 변위될 때 제1 캡슐 결합 부재를 지나서 연장되는 캡슐의 림을 보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홀딩 수단은 캡슐의 림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별개의 후크이며,
캡슐의 림을 보유하기 위한 상기 2개의 수단은, 제1 캡슐 결합 부재가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그의 캡슐 배출 위치로 변위하는 동안, 2개의 보유 수단 중 하나가 다른 보유 수단에 앞서 캡슐의 림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시스템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모듈은 EP-A1-2033551호에 기술된 모듈의 특징부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2개의 상호협력하는 캡슐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데, 제1 부재는, 캡슐이 2개의 부재들 사이에 결합되고 음료 제조 위치로 지칭되는 폐쇄 위치와 어떠한 캡슐도 부재들에 의해 결합되지 않고 캡슐 배출 위치로 지칭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하다.
제1 부재가 음료 제조 위치에 있을 때, 음료는 캡슐로부터 추출되어 음료용 용기에 분배될 수 있다.
캡슐 배출 위치는 음료 제조 위치와 구별된다. 따라서, 캡슐 배출 위치는 음료 제조 위치, 즉, 음료 유동 경로의 수직 방향에 대해 오프셋된다.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는 컵 형상 캡슐 리셉터클 또는 중공 벨 형상 리셉터클과 같은 캡슐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이러한 리셉터클은 캡슐을 함유하기 위한 브루잉 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제2 캡슐 결합 부재와 구획(delimit)하는 측벽 및 마우스를 제공한다.
모듈은 2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제1 캡슐 결합 부재를 변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모듈은 캡슐 내로 물을 주입하고 캡슐이 음료 제조 위치에 있는 동안 캡슐로부터 음료를 배출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결합 부재는 제1 부재가 캡슐을 가압할 수 있게 되는 전방 벽이다. 일단 전방 벽에 대해 가압되면, 캡슐 내의 출구가 개방될 수 있어서, 음료가 상기 출구로부터 흘러 나와 전방 벽을 따라 음료용 용기 내에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모듈, 바람직하게는 제2 캡슐 결합 부재는 캡슐을 천공하고 캡슐 내에 음료 출구를 생성하기 위한 개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 수단은 WO 2010/146101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펀처(puncher)일 수 있다. 이러한 개방 수단은 일반적으로 제2 캡슐 결합 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심지어 이러한 제2 캡슐 결합 부재의 일부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캡슐은 모듈 내에 도입되기 전에 개방된 음료 출구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결합 부재는 본질적으로 음료 유동 경로의 수직 방향으로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캡슐은 음료 성분이 함유되는 인클로저를 포함한다. 이러한 성분은 예를 들어 다음 목록에서 선택될 수 있다: 찻잎, 허브 또는 과일 찻잎, 로스팅 및 그라인딩된 커피, 용해성 음료 성분, ... 인클로저는 일반적으로 삼각형, 원형, 타원형, 계란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과 같은 상이한 단면들을 포괄할 수 있는 컵 형상 프레임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클로저는 중공 벨 형상을 제공한다.
인클로저는 일반적으로 커버, 바람직하게는 평면 커버에 의해 폐쇄된다.
본 발명의 캡슐은 또한 인클로저의 에지에 림을 제공한다. 커버는 이러한 림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는 캡슐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캡슐은 상기 캡슐 리셉터클의 적어도 일부분에 등각인 인클로저 외부 형상을 제공한다. "등각"이라 함은, 캡슐 외부 형상이 캡슐 리셉터클 내부 형상의 적어도 일부분과 매칭하기 위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캡슐의 외부 윤곽의 적어도 일부는 캡슐 리셉터클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게다가, 캡슐은 캡슐의 림의 적어도 일부가 캡슐 리셉터클에 결합되면 그것이 제1 캡슐 결합 부재를 지나서 연장되도록 하는 림 크기를 제공한다.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는 캡슐 리셉터클 내에 캡슐을 홀딩하도록 구성된 홀딩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홀딩 수단은 제1 캡슐 결합 부재가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캡슐 배출 위치로 능동적으로 후퇴될 때 캡슐 리셉터클 내부에 캡슐을 홀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홀딩 수단은 제1 결합 부재가 후퇴되는 동안 캡슐이 제2 결합 부재에 부착된 채로 남아있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홀딩 수단은 캡슐의 림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별개의 후크이다.
바람직하게는,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는 캡슐의 림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2개의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캡슐 리셉터클의 전방면의 횡방향 측부 상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2개의 후크는 캡슐 리셉터클의 전방면의 횡방향 측부 상에 위치된다.
후크 및 제1 캡슐 결합 부재는 동일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어, 후크가 제1 캡슐 결합 부재와 함께 하나의 단일 부품으로서 성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후크는 캡슐 리셉터클의 전방면의 횡방향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아암이고, 상기 아암은 경사 단부를 제공하고 수직 슬릿을 포함한다. 경사 단부는, 제1 캡슐 결합 부재가 캡슐로 이동하여 그를 둘러싸고 제2 결합 부재에 대해 가압할 때 각각의 후크가 캡슐의 림과 점진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한다. 캡슐의 림은 경사 단부를 따라 활주하고, 상기 림을 홀딩하도록 구성된 수직 슬릿으로 이어진다.
모듈은 또한, 제1 캡슐 결합 부재가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그의 캡슐 배출 위치로 변위될 때 제1 캡슐 결합 부재를 지나서 연장되는 캡슐의 림을 보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2개의 수단은, 제1 캡슐 결합 부재가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그의 캡슐 배출 위치로 변위하는 동안, 2개의 보유 수단 중 하나가 캡슐 림과 결합하기 전에 다른 보유 수단이 캡슐의 림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캡슐은 하기의 짧고 가까운 2개의 단계로 제1 캡슐 결합 부재로부터 결합해제된다:
- 첫째, 캡슐의 하나의 횡방향 림이 제1 보유 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제1 보유 수단은 캡슐의 림을 홀딩하고 중공 벨 형상을 갖는 부재의 제1 후크로부터 캡슐의 림을 제거한다.
- 둘째, 캡슐의 다른 횡방향 림이 제2 보유 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제2 보유 수단은 캡슐의 림을 홀딩하고 중공 벨 형상을 갖는 부재의 제2 후크로부터 캡슐의 림을 제거한다.
결과적으로, 2개의 후크로부터 캡슐의 림의 제거는 2개의 단계로 분할된다. 각각의 후크로부터 림을 연속적으로 제거하는 데 필요한 힘이 양쪽 후크로부터 동시에 림을 제거하는 데 필요한 힘보다 열등하기 때문에, 캡슐은 더 적은 힘으로 중공 벨 형상을 갖는 부재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캡슐이 제1 캡슐 결합 부재로부터 모듈의 전방 방향으로 수평으로 밀려나고, 캡슐 통(bin)에서 간단히 아래로 끌어 당기는 대신에 기계에서 막힌 채로 남아있게 되어 모듈 내에 임의의 새로운 캡슐의 도입을 방지하는 위험성이 없게 된다.
이어서, 캡슐은 제1 결합 부재가 그의 이동 과정을 완료하는 동안 양쪽 보유 수단에 의해 그의 림을 통해 보유된다. 이러한 이동의 마지막에서, 제1 결합 부재는 캡슐 리셉터클로부터 캡슐을 완전히 해제하고, 캡슐은 바람직하게는 캡슐 수집 통에서 자유롭게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보유 수단이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변위의 종축의 각각의 횡방향 측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변위의 종축을 따르는 2개의 보유 수단의 위치들은 하나가 다른 것에 대해 오프셋된다.
일반적으로, 모듈의 프레임의 종축을 따르는 2개의 보유 수단의 위치들은 적어도 1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5 mm, 심지어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 mm만큼 하나가 다른 것에 대해 오프셋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경로의 각각의 횡방향 측부 상에 횡방향 벽들을 포함하고, 보유 수단은 상기 횡방향 벽들로부터 돌출된 탭이다.
탭은, 각각의 탭이 다른 탭에 의해 결합되는 캡슐의 횡방향 측부에 대향하는 캡슐의 횡방향 측부를 결합할 수 있도록 각각의 횡방향 벽 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캡슐 림의 상이한 부분들이 결합된다.
탭은,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경로 내에서, 제1 결합 부재와 함께 상기 캡슐이 이동하는 동안 그들이 캡슐의 림과 결합하게 되는 그러한 높이만큼 돌출된다.
탭은 모듈의 프레임의 횡방향 벽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듈의 프레임이 플라스틱인 경우, 그들은 함께 성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탭은 캡슐의 림의 일부와 결합하도록 모듈의 횡방향 벽 내에 위치되는데, 상기 일부는 후크들 중 하나와 결합된 림의 부분에 근접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모듈에서, 제1 캡슐 결합 부재를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캡슐 배출 위치로 능동적으로 후퇴시키기 위한 수단은 선형 이동과 선회 단부 이동의 조합을 구현하도록 설계된다.
통상적으로, 제1 캡슐 결합 부재는 캡슐을 천공하고 캡슐 내에 물을 주입하기 위한 개방 수단을 포함한다. 개방 수단은 물 공급원과 연결된 중공 니들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모듈은, 캡슐의 횡방향 측부에 제공되고 음료 제조 전에 제2 결합 부재에 근접한 캡슐의 고정을 위해 캡슐의 림과 결합하도록 설계된 사전-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서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음료 제조 시스템에서 인클로저 및 림을 포함하는 캡슐의 용도로서,
- 제1 캡슐 결합 부재가 상호협력하는 제2 캡슐 결합 부재로 변위될 때, 후크는 캡슐의 림과 결합하고,
- 모듈의 2개의 보유 수단은 제1 캡슐 결합 부재가 상기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그의 캡슐 배출 위치로 변위하는 동안 연속적으로 교대로 캡슐의 림을 보유하는, 캡슐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 출원에서, 용어들 "내부", "외부", "후방", "전방", "하부". 및 "횡방향"은 본 발명의 특징부들의 상대적 위치설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들 용어들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의 제조를 위해 모듈이 그의 정상적인 배향에 있는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태양들은 임의의 적합한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의 다양한 특징들은 상기 태양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되어 구체적으로 예시되고 기술된 것 이외의 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유리한 특징부는 청구범위,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다음의 도면들과 관련하여 더 잘 이해될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에서 캡슐을 도입하고, 음료 제조를 위해 캡슐을 위치설정하고, 캡슐을 방출(eject)하기 위한 모듈의 측면도이다.
- 도 2는 모듈 프레임이 투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대응한다.
- 도 3은 도 1의 모듈의 후방측의 평면도이다.
- 도 4a는 제1 캡슐 결합 부재를 도시한다.
- 도 4b는 도 4a의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후크 중 하나의 확대 평면도이다.
- 도 5는 도 4a의 제1 캡슐 결합 부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캡슐을 도시한다.
- 도 6a는 내부에 도 5의 캡슐(1)이 결합된 상태의 도 4의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배면도를 도시하고, 도 6b는 대응하는 정면도이다.
- 도 7a 내지 도 7d는 핸들의 개방 이동 동안의 모듈의 수직 단면도들이다.
- 도 8a 내지 도 8f는 캡슐의 도입으로부터 그의 방출까지의 모듈 내에서의 캡슐의 이동을 도시하는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들이다.
- 도 9는 본 발명의 음료 제조 시스템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기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의 모듈(1)을 도시한다. 모듈은 음료의 제조를 위한 캡슐의 도입 및 위치설정과 캡슐의 방출을 가능하게 한다. 모듈은 음료의 제조를 위한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모듈은 프레임(2)을 포함한다. 도 1은 프레임의 횡방향 벽(2a)과 후방 및 전방 단부들(2c, 2d)을 도시한다. 프레임은, 그 상측에, 프레임 전방 단부(2d) 근처의 기계 내에 캡슐을 도입하도록 설계된 상부 개구(21)를 제공한다. 상부 개구(21)는 핸들(41)에 의해 폐쇄된다. 횡방향 벽(2a)은 안내 핀(31a)이 활주할 수 있는 안내 만곡부(23a)를 포함한다. 다른 프레임 횡방향 벽(2b)이 동일한 만곡부를 포함한다(도 3 참조).
도 2에서, 프레임(2)은 모듈의 내부 부품들이 보이도록 투명하게 만들어져 있다. 모듈(1)은 프레임 전방 단부(2d) 근처의 음료 제조를 위한 위치에 제1 캡슐 결합 부재(3)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전방 단부(2d)는 제2 결합 부재로서 작용한다. 모듈은, 전방 단부에, 캡슐 결합 부재(3)에 결합되는 캡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부재(6)를 포함한다.
캡슐 결합 부재(3)는 2개의 횡방향 안내 핀들(31a, 31b)을 포함하며, 횡방향 안내 핀들 각각은 프레임 횡방향 벽들(2a, 2b)의 안내 만곡부들(23a, 23b) 중 하나와 상호협력한다. 이들 안내 만곡부들은 2개의 상이한 세그먼트들, 즉 프레임의 전방 단부(2d) 근처의 본질적으로 수평인 선형 세그먼트(232), 및 프레임의 후방 단부(2c) 근처로 상승하는 경사 선형 세그먼트(231)로 구성된다. 이들 안내 만곡부들(23a, 23b)을 추종함으로써, 캡슐 결합 부재의 횡방향 핀들(31a, 31b)은 프레임의 전방 단부(2d) 근처의 선형 변위와 프레임의 후방 단부(2c) 근처의 경사 변위의 조합에 따라 상기 부재를 이동시킨다. 전방 단부(2d)로부터 후방 단부(2c)로의 캡슐 결합 부재의 변위 동안의 이러한 방향 변화는 선회 이동을 생성하여 캡슐을 결합해제 및 방출한다. 방출은 또한, 캡슐을 내부에 결합한 상태의 캡슐 결합 부재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캡슐의 림과 결합하기 위해서 프레임 내에서 약간 상승하는 탭(7)의 존재에 기인한다.
모듈은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조작자가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작동기를 포함한다. 작동기는 상부 개구(21)를 폐쇄할 수 있는 핸들(41), 및 프레임 후방 단부에서 프레임 횡방향 벽들(2a, 2b) 사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고정축(42)을 포함한다. 작동기는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작동기는 작동기 핸들의 후방 단부(41a)를 고정축(42)에 연결(join)하는 2개의 횡방향 벽들(43a, 43b)을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벽들 각각은 캡슐 결합 부재의 횡방향 안내 핀들(31a, 31b)과 상호협력하는 안내 만곡부(431a, 431b)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작동기의 유일한 이동은 고정축(42)을 중심으로 한 상기 작동기의 회전이며, 이러한 작동기(4)의 이동은 작동기의 안내 만곡부들(431a, 431b) 내에서의 안내 핀들(3a, 3b)의 이동에 기인하여 캡슐 결합 부재(3)의 이동을 유도한다.
작동기(4)의 이동은 핸들(41)에 의해 유도된다. 이어서, 조작자가 음료를 제조하고자 할 경우:
- 그/그녀는 프레임의 상부 개구(21)로부터 핸들(41)을 제거하기 위해서 그것을 위로 당긴다. 이러한 이동 동안, 핸들(41)은 도 1 및 도 2에서 고정축(4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어서, 횡방향 핀들(31a, 31b)이 프레임의 후방 단부(2c)에서 그리고 또한 캡슐 결합 부재(3)에서 당겨지는데, 이는 캡슐의 자유로운 도입을 위해 상부 개구(21) 아래의 프레임(3)에 공간을 만들어준다. 조작자는 개구(21)를 통해 캡슐을 도입할 수 있다. 캡슐은 사전-고정 부재들(5)에 의해 전방 단부(2d)의 전방에 보유된다.
- 이어서, 조작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개구(21)를 폐쇄하기 위해서 핸들(41)을 가압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핸들의 이동은 도 1 및 도 2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고정축(42)을 중심으로 한 작동기(4)의 회전을 유도한다. 이어서, 횡방향 핀들(31a, 31b)이 프레임의 전방 단부(2d)의 방향으로 그리고 또한 캡슐 결합 부재(3)의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러한 이동 동안, 캡슐 결합 부재(3)는 캡슐과 결합하여 그를 사전-고정 부재들(5)로부터 자유롭게 한다. 이러한 이동은 캡슐이 프레임의 전방 단부(2d)에 도달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 부재(6)와 접촉 상태로 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유체 공급원에 연결된 니들을 통해 캡슐 결합 부재에 유체, 통상적으로 온수를 도입함으로써 음료가 제조될 수 있다.
도 4a는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3)를 도시한다. 이 부재는 캡슐 리셉터클(32)을 포함한다. 캡슐 리셉터클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캡슐의 하우징의 외부 형상의 적어도 일부와 매칭된다. 도시된 리셉터클은 중공 벨 형상을 제공하지만, 다른 형상들(컵 형상, ...)이 설계될 수 있다.
도 5는 도 4a의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와 함께 사용되는 캡슐(10)의 몸체의 형상을 도시한다. 캡슐은 컵 형상의 인클로저(10a)를 포함하는데; 이 인클로저의 외부 형상은 도 4a의 캡슐 리셉터클(32)의 적어도 일부분의 형상과 매칭된다.
캡슐의 인클로저는 일반적으로 커버(도시되지 않음), 바람직하게는 평면 커버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캡슐은 인클로저의 에지에 림(10b)을 제공한다. 커버는 이러한 림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림 크기는, 일단 캡슐이 제1 캡슐 결합 부재(3)에 결합되면, 캡슐의 림(10b)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캡슐 결합 부재를 지나서 연장되도록 한다.
캡슐의 인클로저는 음료 성분들(도시되지 않음)로 충전된다.
도 4a는 제1 캡슐 결합 부재(3)의 후방 단부에서 중공 니들(31)이 캡슐을 천공하고 물을 주입하기 위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EP 2 080 454호에 기재된 니들이 사용될 수 있다. 캡슐 내에 물을 도입하기 위한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3)는 또한 중공 부재(32)의 전방부의 각각의 횡방향 측부 상에 보유 수단(341, 342)을 포함한다. 상기 보유 수단은 후크이다.
도 4b는 도 4a의 후크들(341) 중 하나의 후크의 확대 평면도이다. 후크(341)는, 캡슐 리셉터클(32)의 횡방향 측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캡슐 리셉터클의 전방 측부(32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아암(34a)을 포함한다. 아암(34a)은 경사 자유 단부(34b)를 제공한다. 단부는 캡슐 리셉터클(32)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져서, 제1 결합 부재가 캡슐을 향해 이동할 때, 경사 단부(34b)가 캡슐의 림을 따라 활주하고 이 림을 약간 압축하여 아암의 슬릿(34c) 내에 들어가게 하며, 이 슬릿 내에 캡슐의 림이 보유된다. 동일한 동작이 캡슐의 림의 다른 측부 상에 있는 다른 아암(342)에서 동시에 일어난다.
도 6a는 캡슐(10)이 캡슐 리셉터클(32)에 결합된 상태의 제1 캡슐 결합 부재(1)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캡슐의 림(10b)의 일부 부분은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경계(limit)를 지나서 연장된다. 림(10b)의 적어도 본질적으로 수직인 부분은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경계를 지나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이라는 용어는 음료의 제조를 위한 캡슐의 정상적인 배향에 따른 모듈 내부의 캡슐의 위치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제1 캡슐 결합 부재(3)는 또한 캡슐 케이지(cage)의 횡방향 측부에 제공된 안내 핀(31a, 31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케이지라는 용어는 캡슐 리셉터클을 가리킨다.
도 6b는 림(10b)이 후크(341, 342)에 의해 홀딩되고 있는 상태의, 캡슐 리셉터클에 결합된 캡슐(10) 및 제1 캡슐 결합 부재(32)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림은 후크에 홀딩된 때 약간 변형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모듈 요소의 이동, 특히, 핸들(41)이 캡슐을 도입하도록 설계된 프레임 상부 개구(21)를 폐쇄하는 위치 - 즉, 음료수를 준비하기 위한 위치 - 로부터 상기 개구가 핸들에 의해 더 이상 덮이지 않는 위치 - 즉, 사용된 캡슐이 방출될 수 있고 새로운 캡슐이 모듈에 도입될 수 있는 위치 - 로 이동될 때의 모듈의 상이한 내부 요소의 변위를 도시한다.
병진 이동과 이어진 선회 이동의 조합이 도시된다.
도 7b 내지 도 7d에서, 캡슐의 림과 결합하기 위한 2개의 탭들(7) 중 하나와 캡슐 림을 홀딩하기 위한 2개의 후크들(34) 중 하나가 분명히 보인다. 후크(34) 및 각각의 탭(7)은 캡슐 결합 부재(32)의 횡방향 측부 및 각각의 모듈의 횡방향 벽(2b) 상에 위치되어, 탭(7)이 후크(34)에 의해 홀딩된 림 부분에 근접한 영역에서 캡슐 림과 결합하게 한다.
도 8a 내지 도 8f는 모듈 내로의 캡슐의 도입으로부터 모듈 밖으로의 캡슐의 방출까지의 모듈 내에서의 캡슐의 이동을 도시하는 모듈(1)의 개략도들이다. 이 도면들은 모듈의 평면도들이고, 제1 및 제2 캡슐 결합 부재(3, 2d), 캡슐(10), 탭(7a, 7b), 사전-고정 부재(5a, 5b) 및 후크(341, 342)의 상대 이동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도 8a에서, 캡슐(10)은 모듈에 단지 도입되었다. 캡슐의 림(10b)은 모듈의 전방 단부(2d)와 사전-고정 부재(5a, 5b)의 단부 사이에 구획된 공간(s) 내에 위치된다. 이들 사전-고정 부재(5a, 5b)는 캡슐이 모듈의 배면측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캡슐 림의 하부 부분은 캡슐이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지지 수단(도 7b 내지 도 7d에 도시된 참조 부호 71, 71')에 기대어 있다. 따라서, 캡슐은 이 위치에서 그의 림에 의해 보유된다.
제1 결합 부재(3)는 제2 결합 부재에 대응하는 전방 단부(2d) 및 캡슐로부터 멀어지게 위치된다. 제1 결합 부재(3)는 종축(XX')을 따라 모듈의 전방 단부(2a)로 그리고 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다.
이 도면은 모듈(1)의 횡방향 측부 상에 2개의 탭들(7a, 7b)이 존재하는 것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이들 탭은 모듈의 프레임의 횡방향 벽들에 고정되고, 방출 위치로 이동될 때 캡슐의 림(10b)과 접촉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종축(XX')을 따르는 탭들의 위치는 하나가 다른 것에 대해 거리(l)만큼 오프셋된다.
도 8b에서, 캡슐 케이지의 폐쇄가 시작된다. 제1 결합 부재(3)는 전방 단부(2d)의 방향으로 변위된다. 동시에, 사전-고정 부재(5a, 5b)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의 림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기 시작한다.
도 8c에서, 캡슐 케이지는 전방 단부(2d)의 방향으로의 그의 이동을 완료한다. 사전-고정 부재(5a, 5b)는 캡슐의 림으로부터 완전히 멀리 이동되었고, 캡슐은 제1 결합 부재의 중공 부재(32) 내에 그리고 전방 단부(2d)에 대해 유지된다. 워터 니들(31)이 캡슐을 천공했고 추출이 일어날 수 있다. 캡슐의 림은 후크(341, 342)에 의해 홀딩된다.
도 8d에서, 방출 이동이 시작된다. 제1 결합 부재(3)는 전방 단부(2d)로부터 후방으로 멀어지게 이동하고 캡슐을 동반한다. 사전-고정 부재(5a, 5b)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의 초기 위치로 되돌아 올 수 있다.
도 8e에서, 제1 결합 부재(3)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캡슐의 림의 하나의 횡방향 부분은 캡슐 리셉터클(32)로부터 캡슐의 횡방향 분리를 유도하는 제1 탭(7b)에 의해 보유되고, 특히, 림(10b)은 후크(341)로부터 분리된다. 다른 횡방향 측부 상에서, 다른 후크(342)는 여전히 림을 보유한다. 개략적인 예시로 인해, 후크(341)가 제1 탭(7b)과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되지 않고 그에 따라서 상기 탭과 상호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이 직접적으로 명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제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 부재의 이동 동안에, 후크(34)는 탭(7) 아래로 이동한다.
도 8f에서, 제1 결합 부재(3)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 중인 동안, 캡슐의 림의 다른 횡방향 부분은 중공 부재(32)로부터 캡슐의 완전한 분리를 유도하는 제2 탭(7a)에 의해 보유되고, 림(10b)은 제2 후크(342)로부터 분리되고 있다. 제1 결합 부재(3)는 그의 초기 위치로의 이동을 완료할 수 있고, 한편, 캡슐은 모듈 아래로 중력에 의해 떨어질 수 있다.
가까운 2개의 단계로 중공 부재(32)로부터 캡슐(10)을 분리하기 위한 힘은 오직 하나의 단계 - 즉, 탭들(7a, 7b)이 축(XX')에서 떨어져 대칭으로 위치되는 경우 - 만으로 중공 부재로부터 캡슐을 분리하기 위한 힘보다 작고, 캡슐이 모듈 아래로 수직으로 떨어지는 대신에 효과적으로 분리되어 전방 단부(2d)의 방향으로 수평으로 밀려나는 위험성 - 새로운 캡슐의 도입을 막음 - 이 방지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음료 제조 시스템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기계를 도시한다. 기계는 예컨대 도 1, 도 2, 도 3, 및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모듈(1)을 포함한다. 중공 니들(31)은 연속적으로 체크 밸브, 히터, 펌프 및 유체 공급원, 통상적으로 물 탱크를 포함하는 유체 공급원에 연결된다. 기계의 상이한 요소들은 프레임(15)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기계는 모듈(1) 아래에 컵(19)을 지지하고 위치시키기 위한 드립 트레이(18)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16)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전술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들 예시된 실시예에 의해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특정 특징부에 대한 알려진 균등물이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균등물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기라도 한 것과 같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및 유사한 단어는 배타적 또는 완전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다시 말해서, 그것들은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면 부호의 목록:
Figure pct00001

Claims (13)

  1. 캡슐(10) 및 상기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모듈(1)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으로서,
    - 상기 캡슐(10)은 인클로저(10a) 및 림(rim)(10b)을 포함하고,
    - 상기 모듈(2)은
    . 캡슐 배출 위치와 음료 제조 위치 사이에서 상호협력하는 제2 캡슐 결합 부재(2d)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제1 캡슐 결합 부재(3), 및
    . 상기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상기 캡슐(1)이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3)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캡슐 배출 위치로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3)를 능동적으로 후퇴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3)는 캡슐 리셉터클(receptacle)(32)을 포함하고,
    - 상기 캡슐(1)은
    . 상기 캡슐 리셉터클(32)의 적어도 일부분에 등각(conformal)인 인클로저 외부 형상, 및
    . 일단 상기 캡슐이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3)에 결합되면, 상기 캡슐의 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서 연장되도록 하는 림 크기를 제공하고,
    - 상기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3)는 상기 캡슐 리셉터클(13) 내에 상기 캡슐을 홀딩(holding)하도록 구성된 홀딩 수단을 포함하고,
    - 상기 모듈은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3)가 상기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그의 캡슐 배출 위치로 변위될 때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를 지나서 연장되는 상기 캡슐의 림을 보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수단(7, 7a, 7b)을 포함하고,
    상기 홀딩 수단은 상기 캡슐의 림(10b)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별개의 후크(341, 342)이며,
    상기 캡슐의 림을 보유하기 위한 상기 2개의 수단(7, 7a, 7b)은,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3)가 상기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그의 캡슐 배출 위치로 변위하는 동안, 상기 2개의 보유 수단 중 하나(7b)가 다른 보유 수단(7a)에 앞서 상기 캡슐의 림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 하나의 보유 수단(7a, 7b)이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3)의 변위의 종축(XX')의 각각의 횡방향 측부 상에 위치되고,
    - 상기 변위의 종축을 따르는 상기 2개의 보유 수단의 위치는 하나가 다른 것에 대해 오프셋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의 프레임의 종축을 따르는 상기 2개의 보유 수단의 위치는 하나가 다른 것에 대해 적어도 1 mm만큼, 바람직하게는 최대 5 mm만큼, 심지어 더 바람직하게는 3 mm 및 4 mm만큼 오프셋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모듈은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경로의 각각의 횡방향 측부 상에 횡방향 벽을 포함하고,
    - 적어도 상기 2개의 보유 수단(7a, 7b)은 상기 횡방향 벽으로부터 돌출된 탭인, 음료 제조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3)는 상기 캡슐의 림(10b)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2개의 후크(341, 342)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캡슐 리셉터클의 전방면의 횡방향 측부(3211, 3212) 상에 위치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341, 342) 및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는 동일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고 그 부재와 하나의 단일 피스로서 성형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후크(341, 342)는 상기 캡슐 리셉터클의 전방면의 횡방향 측부(3211, 3212)로부터 연장되는 아암(34a)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은 경사 단부(34b)를 제공하고 수직 슬릿(34c)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탭(7a, 7b)은 상기 캡슐의 림(10b)의 일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모듈의 횡방향 벽(2a, 2b) 내에 위치되며, 상기 일부는 상기 후크(341, 342) 중 하나와 결합된 상기 림의 부분에 근접한, 음료 제조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3)를 상기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상기 캡슐 배출 위치로 능동적으로 후퇴시키기 위한 수단은 수평 선형 이동과 상향 선회 단부 이동의 조합을 구현하도록 설계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3)는 상기 캡슐을 천공하고 상기 캡슐 내에 물을 주입하기 위한 개방 수단(6)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캡슐 결합 부재(3)는 상기 캡슐을 천공하고 상기 캡슐 내에 음료 출구를 생성하기 위한 개방 수단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2)은 상기 제2 결합 부재(4)에 근접한 상기 캡슐(10)의 고정을 위해 상기 캡슐의 림(10b)과 결합하도록 설계된 사전-고정 부재(12)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음료 제조 시스템에서 인클로저(10a) 및 림(10b)을 포함하는 캡슐(10)의 용도로서,
    -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3)가 상호협력하는 상기 제2 캡슐 결합 부재(2d)로 변위될 때, 상기 후크(341, 342)는 상기 캡슐의 림(10b)과 결합하고,
    - 상기 모듈의 2개의 보유 수단(7, 7a, 7b)은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3)가 상기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그의 캡슐 배출 위치로 변위하는 동안 연속적으로 교대로 상기 캡슐의 림을 보유하는, 캡슐(10)의 용도.
KR1020177034533A 2015-06-16 2016-06-13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KR201800185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72425 2015-06-16
EP15172425.9 2015-06-16
PCT/EP2016/063485 WO2016202735A1 (en) 2015-06-16 2016-06-13 Beverage production system using capsu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518A true KR20180018518A (ko) 2018-02-21

Family

ID=53434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533A KR20180018518A (ko) 2015-06-16 2016-06-13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537201B2 (ko)
EP (1) EP3310220B1 (ko)
JP (1) JP6726689B2 (ko)
KR (1) KR20180018518A (ko)
CN (1) CN107690299B (ko)
AU (1) AU2016279812A1 (ko)
CA (1) CA2984553A1 (ko)
RU (1) RU2700007C2 (ko)
SG (1) SG11201708226VA (ko)
WO (1) WO2016202735A1 (ko)
ZA (1) ZA201800260B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41653A1 (it) * 2004-08-17 2004-11-17 Maver S R L Macchina per l'erogazione di bevande in cialde
PL2374383T3 (pl) * 2010-04-07 2013-04-30 Nestec Sa System ekstrakcyjny do produkcji napoju wykorzystujący kapsułkę
DK2571405T3 (da) * 2010-05-19 2014-06-23 Nestec Sa Drikfremstillingssystem som anvender kapsler
ITTO20120659A1 (it) * 2012-07-26 2014-01-27 Lavazza Luigi Spa Gruppo erogatore per macchi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tramite capsule
CA2917211A1 (en) * 2013-09-03 2015-03-12 Nestec S.A. Beverage production machine using capsules
EP2856917A1 (de) * 2013-10-01 2015-04-08 Luna Technology Systems LTS GmbH Brühmodul
WO2015082664A1 (en) 2013-12-06 2015-06-11 Nestec S.A. Retractable guide in capsule handling device
CN106687916B (zh) 2014-07-30 2019-06-25 特伦蒂诺发展公司 真随机数生成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7135306A (ru) 2019-04-05
CN107690299A (zh) 2018-02-13
CN107690299B (zh) 2020-04-28
AU2016279812A1 (en) 2017-10-26
RU2017135306A3 (ko) 2019-07-30
SG11201708226VA (en) 2018-01-30
ZA201800260B (en) 2019-07-31
EP3310220A1 (en) 2018-04-25
US20180116442A1 (en) 2018-05-03
JP2018517480A (ja) 2018-07-05
JP6726689B2 (ja) 2020-07-22
US10537201B2 (en) 2020-01-21
EP3310220B1 (en) 2019-07-24
CA2984553A1 (en) 2016-12-22
WO2016202735A1 (en) 2016-12-22
RU2700007C2 (ru) 2019-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24652B (zh) 从胶囊保持器中取出胶囊
JP6223339B2 (ja) カートリッジ位置合わせシステム
JP5850922B2 (ja) 分量カプセルを抽出するための煎出装置、煎出装置を操作する方法、および煎出装置の使用
RU2607773C2 (ru) Экстрак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с камерой для картриджа
RU2428914C2 (ru) Разливочная головка для машины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с одноразовыми капсулами и машин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ую разливочную головку
AU2011254753B2 (en) Beverage production system using capsules
KR20160030114A (ko) 음료 제조를 위한 캡슐
JP2014524319A (ja) 長持ちするカートリッジ穿孔器
JP2014524318A (ja) カートリッジ除去システム
MX2015004589A (es) Sistema de preparacion de alimentos.
KR20180018518A (ko)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KR102425041B1 (ko) 캡슐 및 음료 제조 시스템
KR102422867B1 (ko) 음료 제조용 캡슐
AU2022344455A1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 and system for preparing beverages
WO2023194524A1 (en) Beverage pod system with pod recognition
KR20240056740A (ko) 추출 유닛, 음료 준비 기계, 캡슐을 삽입하기 위한 방법, 및 음료 준비 시스템
KR20240056743A (ko) 추출 유닛, 음료 준비 기계 및 음료 준비 시스템
KR20240056741A (ko) 추출 챔버 절반부, 추출 유닛, 음료 준비 기계, 캡슐을 방출하기 위한 방법, 및 음료 준비 시스템
EP3025623A1 (en)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