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631A - A surveillance system - Google Patents

A surveillan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631A
KR20160136631A KR1020150070398A KR20150070398A KR20160136631A KR 20160136631 A KR20160136631 A KR 20160136631A KR 1020150070398 A KR1020150070398 A KR 1020150070398A KR 20150070398 A KR20150070398 A KR 20150070398A KR 20160136631 A KR20160136631 A KR 20160136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unit
angular velocity
heart rate
determin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3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기봉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0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6631A/en
Publication of KR20160136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631A/en
Priority to KR1020220002829A priority patent/KR1024437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providing notification on incoming messages, e.g. pushed notifications of receiv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rveillance system which informs a protector of an event, such as violence, abuse, or a health hazard exposure, which is generated in a subject in a surveillance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veillance system comprises: a sensor unit which is worn on each of subjects located in a surveillance region and measures bio-information of each of the subjects; an image acquisition device which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unit capturing an image of the surveillance region and generating image data and an event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is generated in at least one of the subjects based on the bio-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and a push alarm unit which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image data and an alarm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event to at least one terminal preregistered so as to correspond to an event gen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Description

감시 시스템 {A surveillance system}A surveillance system

본 발명은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시 영역 내의 객체에게 폭력, 학대 등의 이벤트가 발생시, 이를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veillan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rveillance system that notifies a guardian of an event such as violence or abuse to an object in a surveillance area.

감시 시스템은 수평 및/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여 감시 영역을 다른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감시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시 영역 내의 객체(Object)를 촬영하여 객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The surveillance system photographs an object in the surveillance area using a surveillance camera that rotates in a horizontal and / or vertical direction and changes the surveillance area to another direction to generate image data related to the object.

또한, 감시용 카메라 내에 구비된 줌 렌즈 등을 조절하여, 감시 영역 내의 객체를 확대 또는 축소 촬영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zooming the zoom lens or the like provided in the surveillance camera, the object in the surveillance area can be enlarged or reduced.

감시용 카메라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감시 시스템에 네트워크 기술을 접목하여 보호자는 언제든지 영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surveillance camera is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the surveillance system can be connected with the network technology so that the guardian can check the image data at any time.

또한, 현재의 감시 시스템은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감시 영역 내의 외부인의 침입을 감지, 객체의 움직임 감지, 얼굴 감지, 객체의 카운팅 등의 영상 분석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lso, the current surveillance system can analyze the acquired image data and provide the user with image analysis information such as detection of intrusion of an outside person in the surveillance area, motion detection of objects, face detection, and object counting.

하지만, 현재의 영상 데이터 분석 기술로는 감시 영역 내 객체가 폭력, 건강상의 위험에 노출되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 사용자는 감시 영역 내 보호가 필요한 객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해야하는 데 이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However, current video data analysis technology has difficulty in accurately determining whether objects in the surveillance area are exposed to violence or health risks in real time. Therefore, in order to do this, the user needs to monitor the objects that need to be protected in the monitoring area in real time, which is difficult in reality.

예를 들면, 아동이 폭력에 노출되었을 경우, 감시용 카메라를 통해 해당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획득은 가능하나, 영상 분석을 통해 폭력, 학대 등의 행위를 정확히 인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보호자는 폭력, 학대 등의 사건이 발생한 후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확인해야만 그 당시의 상황을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For example, when a child is exposed to violence, it is possible to acquire image data of the situation through a surveillance camera, bu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recognize acts of violence or abuse through image analysis. Therefore, the guardian has to check the status at that time only after confirming all or part of the stored image data after the occurrence of an event such as violence or abuse.

한국특허공개 공보 제2001-0095906호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00959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감시 영역 내의 객체에게 폭력, 학대, 건강상의 위험 노출 등의 이벤트 발생시, 이를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rveillance system for notifying a guardian of an event such as violence, abuse, or exposure to health hazard to an object in a surveillance area.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감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객체들에게 각각 착용되어, 상기 객체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유닛;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획득부와, 상기 센서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생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객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체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이벤트 판단부를 포함하는 영상 획득 유닛; 및 상기 이벤트 판단부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발생 신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및 알림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하는 푸시 알림 유닛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rveillance system comprising: a sensor unit, which is worn by objects located in a surveillance region and measures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object; An image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an image of a surveillance region and generating image data; and an event determiner for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in at least one of the objects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unit; And a push notif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image data and a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event to at least one terminal previously registered corresponding to the event gen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생체 정보에는, 상기 객체의 심장 박동수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객체들의 심장 박동수를 기초로 평균 심장박동수를 산출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biometric information includes a heart rate of the object, and the event determiner may calculate an average heart rate based on a heart rate of the objects.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객체들의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산출된 상기 평균 심장박동수에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may generate an event generation signal when at least one of the heart rate of the objects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calculated average heart rate.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객체의 각속도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객체들의 각속도 정보를 기초로 평균 각속도 값을 산출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sensor unit measures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may calculate an average angular velocity value based on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objects.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객체들의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산출된 상기 평균 심장박동수에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상태에서 상기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객체에서 측정된 객체의 각속도 값이 상기 평균 각속도 값에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when at least one of the heart rate of the objects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calculated heart rate,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angular velocity value of the object measured in the object is less than the average angular velocity value If it is out of the predetermined range, an event occurrence signal can be generated.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생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이벤트의 발생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and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may generate the event occurrence time information and store the generated time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감시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감시 영역 내의 객체에게 폭력, 학대 등의 이벤트가 발생시, 이를 보호자에게 신속하게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When an event such as violence or abuse occurs to an object in the surveillance area, it is effective to inform the guardian thereof promptly.

이벤트 발생 시간 정보를 저장 매체에 저장하여, 보호자가 용이하게 이벤트 발생 당시의 영상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The event occurrence tim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so that the guardian can easily retrieve the image data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even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센서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영상 획득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that schematically illustrates a monitor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urveillance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nsor unit of a surveill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acquisition unit of a surveillance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surveill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Quot; comprises " and / or "comprising" when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taken to specify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감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센서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영상 획득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that schematically illustrates a monitor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urveillance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nsor unit of a surveill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acquisition unit of a surveillance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10)은 센서 유닛(100), 영상 획득 유닛(200) 및 푸시 알림 유닛(300)를 포함한다. 또한, 감시 시스템(10)은 저장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감시 시스템(10)은 영상 획득 장치(200)에서 얻은 영상을 모니터링하거나, 영상 획득 장치(200), 푸시 알림 송신 장치(300) 또는 저장부(400)를 제어하기 위해서 PC 등과 같은 외부 기기와 연결할 수 있는 출력부(500)를 포함한다. 1 to 4, a surveillance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00, an image acquisition unit 200, and a push notification unit 300. The monitoring system 10 also includes a storage unit 400. The monitoring system 10 monitors an image obtained from the image acquiring apparatus 200 or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C to control the image acquiring apparatus 200, the push notification transmitting apparatus 300, And an output unit 500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500.

도 1을 참조하면, 센서 유닛(100)은 감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객체들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 유닛(100)이 측정하는 생체 정보에는 객체의 심장 박동수, 뇌파, 호르몬 수치, 체온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영상 획득 유닛(200)은 감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객체가 충격, 폭력, 건강상 위험 등에 노출될 경우, 센서 유닛(100)에서 측정한 셍체 정보 데이터의 변화 정도를 토대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sensor unit 100 measures biometric information of objects located within a surveillance area.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0 includes information on the heart rate, brain waves, hormone levels, body temperature, etc. of the object. Accordingly, when the object located in the surveillance area is exposed to shock, violence, health hazard, etc.,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event is generated based on the degree of change of the body part information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0 can do.

또한, 센서 유닛(100)은 감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객체들의 각속도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객체의 각속도 정보를 측정함에 따라, 영상 획득 유닛(200)은 객체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영상 획득 유닛(200)는 객체의 각속도 정보의 측정을 통해 객체의 갑작스러운 움직임, 이상(異常)적인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Also, the sensor unit 100 can measure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objects located in the surveillance area. By measuring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object,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can grasp the movement of the object. In other words,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can grasp the sudden motion or the abnormal motion of the object through the measurement of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object.

예를 들면, 객체가 가만히 있을 경우 객체의 각속도는 대략 0으로 측정되나, 객체가 충격, 폭력, 건강상 위험 등에 노출되어 움직임이 급하게 변할 경우, 객체의 각속도는 매우 크게 측정된다. 이에 따라, 영상 획득 유닛(200)은 센서 유닛(100)에서 측정한 각속도 정보 데이터의 변화 정도를 토대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object is still, the angular velocity of the object is measured to be approximately 0. However, when the object suddenly changes due to shock, violence, health hazard, etc., the angular velocity of the object is measured to be very large. Accordingly, the image acquiring unit 200 can determine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or not, based on the degree of change of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유닛(100)은 영유아, 노인, 장애인 등의 객체의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 밴드(100a, 100b, 100c)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센서 유닛(100)은, 목걸이, 시계 등의 신체에 착용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ensor unit 100 may include wristbands 100a, 100b, and 100c worn on the wrists of an infant, an elderly person, a disabled person, and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nsor unit 100 can be configured to be worn on the body such as a necklace, a watch, and the like.

또한, 센서 유닛은(100), 센서 측정부(110), 센서 제어부(120), 센서 통신부(130) 및 센서 출력부(140)를 포함한다.The sensor unit 100 includes a sensor measurement unit 110, a sensor control unit 120, a sensor communication unit 130, and a sensor output unit 140.

센서 측정부(110)는 객체의 생체 정보, 객체의 각속도 정보 등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 측정부(110)는 측정한 생체 정보, 각속도 정보 등을 센서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또한, 센서 측정부(110)는 생체 정보 측정부(미도시) 및 각속도 측정부(미도시)를 포함한다.The sensor measuring unit 110 measures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object,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the like. The sensor measuring unit 110 transmits the measured biometric information,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and the like to the sensor control unit 120. The sensor measuring unit 110 includes a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unit (not shown) and an angular velocity measuring unit (not shown).

생체 정보 측정부는 객체의 심장 박동수, 뇌파, 호르몬 수치, 체온 등의 생체 정보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측정부는 객체의 심장 박동수를 측정하는 센서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객체의 체온, 호르몬 수치 등을 측정하는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측정부는 일정 시간안에 일어나는 심장 박동의 횟수를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센서 제어부(120)에 객체의 심장 박동수를 전송한다.The bio-information measuring unit measures the bio-information such as the heart rate of the object, brain waves, hormone levels, and body temperatu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information measuring unit includes a sensor for measuring the heart rate of the objec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bio-information measuring unit may be a sensor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and hormone level of the objec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information measuring unit measures the number of heart beats occurring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periodically transmits the heart rate of the object to the sensor control unit 120.

각속도 정보 측정부는 객체의 각속도 값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속도 정보 측정부는 자이로 센서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객체의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등의 종류이면 충분하다.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measuring unit measures the angular velocity of the objec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measuring unit is composed of a gyro senso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n angular velocity of an object is sufficient.

센서 통신부(130)는 센서 제어부(120)의 제어 명령에 의해 센서 측정부(110)에서 측정한 생체 정보 및/또는 각속도 정보를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 통신부(130)는 후술할 영상 획득 유닛(200)의 영상 통신부(210)로 생체 정보 및/또는 각속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130 transmits biometric information and / or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measuring unit 110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sensor control unit 12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130 may transmit biometric information and / or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to the video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통신부(130)는 Bluetooth, Zigbee,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생체 정보 및/또는 각속도 정보 등을 송신한다. As shown in FIG. 1, 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130 transmits biometric information and / or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Zigbee, WiFi, or the like.

센서 출력부(140)는, 센서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 및/또는 각속도 정보 등을 출력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객체는 현재 생체 정보 및/또는 각속도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sensor output unit 140 outputs biometric information and / or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measuring unit 110. Accordingly, the object can confirm current biometric information and / or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in real time.

센서 제어부(120)는 센서 측정부(110)에서 측정한 생체 정보 및/또는 각속도 정보를 센서 출력부(140)에 출력 및 센서 통신부(130)에서 송신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The sensor control unit 120 generates a control command to output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 or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measurement unit 110 to the sensor output unit 140 and to transmit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 or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from 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130.

영상 획득 유닛(200)는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영상 획득 유닛(200)는 건물 또는 특정 지역의 내부나 외부 영상을 획득하여 이를 영상 데이터화 한다.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photographs the surveillance area and generates image data.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acquires internal or external images of a building or a specific area and converts the acquired images into image data.

영상 획득 유닛(200)은 영상 획득부(230), 이벤트 판단부(220) 및 영상 통신부(210)를 포함한다.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unit 230, an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and a video communication unit 210.

영상 획득부(230)는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영상 획득부(230)는, 실제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카메라와 네트워크 카메라에 연결되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mage acquisition unit 230 photographs a surveillance area and generates image data. The image acquisition unit 230 may include at least one network camera that captures an actual image and an encoder that is connected to a network camera and generates image data.

또한, 영상 획득부(200)는 복수의 네트워크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획득부(200)는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등의 복수의 네트워크 카메라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획득부(200)는 복수의 광학 렌즈, CCD, CMOS 등과 같은 촬상 소자 등으로 구성된 공지의 카메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network cameras. For example,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network cameras such as a 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image acquiring unit 200 may include a known camera unit composed of a plurality of optical lenses, an image pickup device such as a CCD, a CMOS, or the like.

복수의 네트워크 카메라는 서로 다른 영역을 감시하기 위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네트워크 카메라는 설치된 지점에서 소정 각도로 일정한 영역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에는 감시 영역 내의 복수의 객체가 포함될 수 있다.A plurality of network cameras may be installed at different locations to monitor different areas. A plurality of network cameras can generate image data of a predetermined area at a predetermined angle at the installed point. The video data may include a plurality of objects in the surveillance area.

영상 통신부(210)는 센서 유닛(100)의 센서 통신부(130)와 Bluetooth, Zigbee,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생체 정보 및/또는 각속도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통신부(210)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센서 유닛(100)에서 수신한 정보 데이터를 이벤트 판단부(220)로 전송한다. 다시 말하면, 센서 유닛(100)에서 측정되어 영상 획득 유닛(200)으로 전송된 생체 정보, 각속도 정보 등의 각종 정보는 이벤트 판단부(220)에서 종합되어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자료로 사용된다. The video communication unit 210 can receive biometric information and / or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Zigbee, WiFi, etc. with 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130 of the sensor unit 100. Also, the video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the information data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00 to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through the wired and /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other word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biometric information and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0 and transmitted to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are used by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to determine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영상 획득 유닛(200)은 영상 통신부(210)가 센서 통신부(130)와 주기적으로 페어링된다. 이에 따라, 이벤트 판단부(220)는 영상 통신부(210)를 통해 주기적으로 생체 정보 및/또는 각속도 정보가 입력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periodically paired with 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130. Accordingly,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periodically inputs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 or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through the video communication unit 210.

이벤트 판단부(220)는 영상 통신부(210)를 통해 센서 유닛(100)으로부터 수신한 생체 정보 및/각속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객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체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벤트 판단부의 이벤트 발생 여부의 판단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in at least one of the objects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00 through the video communication unit 210 .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event has occurred i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영상 획득 유닛(200)의 이벤트 판단부(220)는 영상 통신부(210)와 통신하고 있는 센서 유닛(100)에 고유의 ID를 부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벤트가 발생한 센서 유닛(100a~c)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가 발생한 센서 유닛을 착용한 객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가 발생시,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한다. In additio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may assign a unique ID to the sensor unit 100 communicating with the image communication unit 210. Accordingly, when an event occurs,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can correctly grasp the sensor units 100a through 100c in which the event occurred. That is,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can accurately grasp the object wearing the sensor unit in which the event occurs. In additio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generates an event generation signal when an event occurs.

영상 획득 유닛(200)은 이벤트가 발생시, 영상/음성 데이터뿐만 아니라 센서 유닛 ID, 후술할 이벤트의 발생 시간 정보 등을 푸시 알림 유닛(300) 및/또는 저장부(400)로 전송한다. When the event occurs, the image acquiring unit 200 transmits not only the video / audio data, but also the sensor unit ID, the occurrence time information of an event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like to the push notification unit 300 and / or the storage unit 400.

또한, 이벤트 판단부(220)는 객체에 이벤트가 발생할 때, 이벤트의 발생 시간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이벤트의 발생 시간 정보는 저장부(500)에 저장된다.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generates event occurrence time information when an event occurs in the object. The generated time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even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500.

푸시 알림 유닛은(300), 영상 획득 유닛(200)의 이벤트 판단부(220)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신호에 따라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20)로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및 알림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알림 메시지에는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고, 이벤트의 발생 시간 정보, 이벤트가 발생된 객체 정보, 이벤트의 발생 장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ush notification unit 300 transmits the image data and the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event to at least one terminal 20 previously registered according to the even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And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m. Here, the notification message includes information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time of the event, object information on which the event is generated, information on the place where the event occurred, and the like.

또한, 단말기(20)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는 이벤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로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에는 이벤트 발생한 시점의 전후 일정 시간 동안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20)는 휴대용 PDA(20a), 스마트 폰(20b), 노트북(20c)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data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 may includ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event when the event occurs. In addition, the image data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 may include image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and after the occurrence of the event. Here, the terminal 20 may include a portable PDA 20a, a smartphone 20b, a notebook 20c, and the like.

저장부(500)는 영상 획득 유닛(200)의 영상 획득부(23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영상 획득 유닛(200)의 이벤트 판단부(220)에서 생성된 이벤트의 발생 또는 발생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보호자는 이벤트의 발생 시간 정보를 통해 저장부(50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이벤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500)는 상기 데이터를 바탕으로 푸시 알림 유닛(300)이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및 알림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storage unit 500 stores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230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and stores the generated or generated time of the event generated by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It serves to store information. Accordingly, the guardian can easily retrieve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event among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500 through the occurrence time information of the event.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500 transmits the at least one of the video data and the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push notification unit 300 based on the data.

이하, 이벤트 판단부(220)에서 이벤트 발생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for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벤트 판단부(220)는 센서 유닛(100)이 측정한 객체들의 심장 박동수를 기초로 평균 심장 박동수를 산출한다. 이벤트 판단부(220)는 객체들의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평균 심장 박동수보다 매우 크거나 매우 작은 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calculates the average heart rate based on the heart rate of the object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0.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at an event has occurred when at least one of the heartbeat numbers of the objects is much larger or smaller than the average heartbeat number.

다시 말하면, 이벤트 판단부(220)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체의 심장박동수가 산출된 평균 심장박동수에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In other words,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at an event has occurred when the heart rate of at least one object deviates from the calculated average heart rate.

복수의 객체는 각각 심장박동수가 상이하거나 주변 환경 변수, 운동 등에 의한 객체의 상황 변수 등에 따라 심장박동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객체들의 심장박동수의 평균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심장 박동수를 기초로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할 경우, 감시 시스템(10)은 주변 환경 변수, 객체의 상황 변수에 따른 이벤트 발생 여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heart rate of a plurality of objects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heart rate of each object, circumstantial environment variables, object parameters, and the like. Accordingly, when the average of the heart rate of the objects is calculated and the event occurrence is determined based on the calculated average heart rate, the surveillance system 10 calculates the accuracy of event occurrenc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variables, Can be improved.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는 평균 심장 박동수를 기준으로 소정의 +된 값과, 평균 심장박동수를 기준으로 소정의 -값의 범위를 의미하며, 평균 심장박동수가 기 설정된 범위의 중간 값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소정의 +값 및 -값은 사용자나 제조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이다. Here, the predetermined range refers to a range of a predetermined value based on a predetermined positive value and an average heart rate on the basis of the average heart rat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verage heart rate corresponds to an intermediate value of a predetermined range will be. The predetermined positive value and negative value are preset values by the user or the manufacturer.

또한, 이벤트 판단부(220)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체의 심장박동수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는, 어느 정도 안정한 심장 박동수 범위로 설정되며, 사용자나 제조자에 의해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Also,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at an event has occurred when the heart rate of at least one of the objects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Here, the preset range is set to a somewhat stable heart rate range, and the range can be set by the user or the manufacturer.

또한, 이벤트 판단부(220)는 센서 유닛(100)에서 측정한 심장박동수를 기초로 하여 객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체의 심장 박동수의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벤트 판단부(220)는 산출된 심장 박동수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객체가 폭력이나 학대 등의 응급상황에 처할 경우, 객체의 심장 박동수는 급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객체의 심장 박동수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때, 객체에 응급 상황의 이벤트가 발생했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감시 시스템(10)은 주변 환경 변수, 객체의 상황 변수에 따른 이벤트 발생 여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may calculate a change amount of a heart rate of at least one object among the objects based on the heart rate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0. [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can determine that an event has occurred when the calculated amount of change in the heart rat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When an object is subjected to an emergency such as violence or abuse, the heart rate of the object changes rapidly. Accordingly,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heart rate of the object exceed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it can be determined that an event of an emergency occurs in the object. Therefore, the surveillance system 10 can improve the accuracy of occurrence or non-occurrence of an event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variables and the situation variables of the object.

생체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가 발생된 객체의 각속도가 기 설정된 각속도 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가 발생된 객체의 각속도가 기 설정된 각속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생체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 발생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고, 2차적으로 각속도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객체의 이벤트 발생 여부에 대한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v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whether the angular velocity of the object on which the event has occurred exceeds a preset angular velocity value.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generates an event generation signal whe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object on which the event is generated exceeds the predetermined angular velocity value. Accordingly, in order to generate an event generation signal,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primarily determines whether an event is generated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an event is generated based on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Therefore, the accuracy of the event occurrence of the object can be improved.

또한, 이벤트 판단부(220)는 센서 유닛(100)에서 측정한 객체들의 각속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평균 각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가 발생된 객체의 각속도가 산출된 평균 각속도에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때,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한다. In additio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may calculate the average angular velocity based on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object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0. Accordingly, when the event occurs,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generates an event generation signal whe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object where the event is generated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calculated average angular velocity.

또한, 생체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가 발생된 객체의 각속도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변화량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가 발생된 객체의 각속도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변화량을 초과할 경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한다.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v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whether the change amount of the angular velocity of the object in which the event is generated exceeds a predetermined change amount.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generates an event generation signal when the variation amount of the angular velocity of the object in which the event is generated exceeds a predetermined variation amount.

또한, 객체에 착용된 센서 유닛(100)에는 이벤트 발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객체는 폭력, 학대 등의 응급상황에 처할 경우, 이벤트 발생 버튼을 누를 수 있다. 객체가 이벤트 발생 버튼을 누를 경우, 영상 통신부(210)를 통해 영상 획득 유닛으로 수신되고, 영상 획득 유닛의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한다. In addition, the sensor unit 100 worn on the object may include an event generating button. Accordingly, when the object is in an emergency such as violence or abuse, the event generation button can be pressed. When the object is pressed by the event generation button, the event is receiv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through the image communication unit 210, and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determines that an event has occurred and generates an event generation signal.

이벤트 판단부(220)에서 생성된 이벤트 발생 신호는 푸시 알림 유닛(300)으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푸시 알림 유닛(300)은, 이벤트 발생 신호에 의해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및 알림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한다. The event gener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is transmitted to the push notification unit 300. Accordingly, the push notification unit 300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video data and the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event to at least one terminal previously registered by the event generation signa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surveill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영상 획득 유닛에서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21). 또한, 감시 영역 내의 객체에 착용된 센서 유닛이 감시 영역 내의 객체들의 생체 정보와 각속도 정보를 측정한다(S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 유닛이 측정하는 생체 정보는 심장박동수이다.Referring to FIG. 5, the surveill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hotographs a surveillance region in an image acquisition unit and generates image data (S21). In addition, the sensor unit worn by the object in the surveillance region measures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objects in the surveillance region (S21).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is a heart rate.

센서 유닛은 영상 획득 유닛으로 생체 정보 및/또는 각속도 정보를 영상 획득 유닛으로 전송한다(S22).The sensor unit transmits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 or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to the image acquisition unit as the image acquisition unit (S22).

영상 획득 유닛의 이벤트 판단부는 수신한 객체들의 심장박동수를 기초로 평균 심장 박동수를 산출한다(S23). 또한, 이벤트 판단부는, 객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체의 심장 박동수가 산출된 평균 심장 박동수를 기준으로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한다(S24). 예를 들면, 이벤트 판단부는 객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체의 심장 박동수가 산출된 평균 심장 박동수과 객체의 심장 박동수의 차가 허용 범위 내에 없는지 판단한다.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calculates the average heart rate based on the heart rate of the received objects (S23). In additio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heart rate of at least one of the objects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calculated heart rate (S24). For example,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heart rate of at least one of the objects is not within the allowable rang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lculated average heart rate and the heart rate of the object.

이벤트 판단부는, 어느 객체의 심장 박동수가 산출된 평균 심장 박동수를 기준으로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1차적으로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an event has occurred primarily when the heart rate of an object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calculated average heart rate.

1차적으로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이벤트 판단부는 수신한 객체들의 각속도 정보를 기초로 평균 각속도 값을 산출한다(S25). 또한, 이벤트 판단부는 1차적으로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객체의 각속도 값이 평균 각속도 값을 기준으로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한다(S26). 예를 들면, 이벤트 판단부는 1차적으로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객체의 각속도 값과 평균 각속도 값의 차가 허용 범위 내에 없는지를 판단한다.In a state where the event is primarily generated,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calculates an average angular velocity value based on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received objects (S25). In additio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angular velocity of the object, which is determined to have generated the event,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average angular velocity value (S26). For example,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a difference between an angular velocity value and an average angular velocity value of an object determined to have generated an event is within an allowable range.

1차적으로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객체의 각속도 값이 평균 각속도 값에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벤트 판단부는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푸시 알림 유닛으로 입력한다(S27). 또한, 1차적으로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객체의 각속도 값이 평균 각속도 값에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의 발생 시간(Time Stamp)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한다(S28). 뿐만 아니라, 영상 획득 유닛은 이벤트의 발생 시간 정보뿐만 아니라 영상 획득부에서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If the angular velocity of the object, which is determined to have generated the event primarily, deviates from the predetermined angular velocity value,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generates an event generation signal and inputs it to the push notification unit (S27). If the angular velocity of the object which is determined to have generated the event primarily out of the predetermined angular velocity value,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generates time stamp information of the event and stores the generated time stamp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S28). In addition, the image acquisition unit stores not only the occurrence time information of the event but also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in the storage unit.

푸시 알림 유닛은 이벤트 판단부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발생 신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이벤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및 알림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한다(S29). The push notification unit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image data and the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event to at least one terminal registered in advance in response to the event gen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S29).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감시 시스템 20: 단말기
100: 센서 유닛 200: 영상 획득 유닛
300: 푸시 알림 유닛 400: 저장부
500: 출력부
10: Surveillance system 20:
100: sensor unit 200: image acquisition unit
300: Push notification unit 400:
500: Output section

Claims (6)

감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객체들에게 각각 착용되어, 상기 객체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유닛;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획득부와, 상기 센서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생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객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체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이벤트 판단부를 포함하는 영상 획득 유닛; 및
상기 이벤트 판단부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발생 신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및 알림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하는 푸시 알림 유닛을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A sensor unit which is respectively worn by objects located in a surveillance area and measures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object;
An image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an image of a surveillance region and generating image data; and an event determiner for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in at least one of the objects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unit; And
And a push notif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video data and a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event to at least one terminal previously registered corresponding to an event gen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에는, 상기 객체의 심장 박동수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객체들의 심장 박동수를 기초로 평균 심장박동수를 산출하는,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ometric information includes a heart rate of the object,
Wherein the event determiner calculates an average heart rate based on a heart rate of the objec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객체들의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산출된 상기 평균 심장박동수에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감시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generates an event generation signal when at least one of the heartbeat numbers of the objects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calculated average heartbeat nu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객체의 각속도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객체들의 각속도 정보를 기초로 평균 각속도 값을 산출하는, 감시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nsor unit measures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object,
Wherei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calculates an average angular velocity value based on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object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들의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산출된 상기 평균 심장박동수에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상태에서 상기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객체에서 측정된 객체의 각속도 값이 상기 평균 각속도 값에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감시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at least one of the heart rate of the objects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calculated average heart rate,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angular velocity of the object measured in the object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average angular velocity value , And generates an event occurrence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생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이벤트의 발생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Wherei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generates the event occurrence time information and stores the generated event time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KR1020150070398A 2015-05-20 2015-05-20 A surveillance system KR2016013663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398A KR20160136631A (en) 2015-05-20 2015-05-20 A surveillance system
KR1020220002829A KR102443785B1 (en) 2015-05-20 2022-01-07 A surveillan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398A KR20160136631A (en) 2015-05-20 2015-05-20 A surveillance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829A Division KR102443785B1 (en) 2015-05-20 2022-01-07 A surveillanc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631A true KR20160136631A (en) 2016-11-30

Family

ID=577072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398A KR20160136631A (en) 2015-05-20 2015-05-20 A surveillance system
KR1020220002829A KR102443785B1 (en) 2015-05-20 2022-01-07 A surveillance system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829A KR102443785B1 (en) 2015-05-20 2022-01-07 A surveillan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13663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8695A (en) * 2019-10-28 2021-05-05 James Rolfe Ashley Monitoring system for the prevention of mistreatment of a person in care
KR20220060587A (en) * 2020-11-04 2022-05-12 한국전자기술연구원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cting abnormal ev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906A (en) 2000-04-12 2001-11-07 이중구 A camera and the method to detect the beating of the pulse
KR20100018363A (en) * 2008-08-06 2010-02-17 김수종 Automatic Location Tracking System for Moving Objects
KR20110011195A (en) * 2009-07-28 2011-02-08 시스레인 주식회사 Emergency state monitoring system
KR101318042B1 (en) * 2012-02-27 2013-10-14 박재현 A system and a method for preventing a lost chil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8695A (en) * 2019-10-28 2021-05-05 James Rolfe Ashley Monitoring system for the prevention of mistreatment of a person in care
EP3816956A1 (en) * 2019-10-28 2021-05-05 Ashley James Rolfe Monitoring system for the prevention of mistreatment of a person in care
US11282366B2 (en) 2019-10-28 2022-03-22 Ashley Rolfe Monitoring system for the prevention of mistreatment of a person in care
GB2588695B (en) * 2019-10-28 2022-03-30 James Rolfe Ashley Monitoring system for the prevention of mistreatment of a person in care
KR20220060587A (en) * 2020-11-04 2022-05-12 한국전자기술연구원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cting abnormal ev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785B1 (en) 2022-09-15
KR20220008934A (en) 202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61426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alarming
KR102443785B1 (en) A surveillance system
US8075499B2 (en) Abnormal motion detector and monitor
JP2018097487A (en) Monitoring device and program
US20140368658A1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safety feature
JP6983866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fall detection
KR20180106583A (en) Care device and care system for the old and the infrim
KR1012113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video of electronic tagging wearer
JP2016115054A (en) Monitoring control program, monitoring controller, and monitoring control method
WO2016184189A1 (en) Warning method, wearable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1675529B1 (en) system for monitoring abnormal situation using biometric data and
KR101988206B1 (en)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using an Infrared Camera
KR20110035420A (en) Methods of notifying danger using sensor
KR101844382B1 (en)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1822091B1 (en) system for deciding and watching abnormal situation using biometric data and image data
JP5580683B2 (en) Reporting device
KR102394509B1 (en) Safety Accident Preventing Method of Children by Using Camera and System thereof
KR101652418B1 (en) Child Care System habing Bolometer type Infrared Detector and Child Care Management Method thereof
KR20170043267A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missing person and devices for same
KR20160123410A (en) Active situation-sensing system
KR100961476B1 (en) Behavior pattern recognition device and its method
US20210358284A1 (en) Visible-light-image physiological monitoring system with thermal detecting assistance
KR101806552B1 (en) An antitheft network camera
JP2012004720A (en) Monitor, and monitoring system
KR101752387B1 (en) A mobile device for detecting abnormal activity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