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195A - Emergency state monitoring system - Google Patents

Emergency state monito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195A
KR20110011195A KR1020090068730A KR20090068730A KR20110011195A KR 20110011195 A KR20110011195 A KR 20110011195A KR 1020090068730 A KR1020090068730 A KR 1020090068730A KR 20090068730 A KR20090068730 A KR 20090068730A KR 20110011195 A KR20110011195 A KR 20110011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ubject
monitoring terminal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7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지훈
신동익
허수진
Original Assignee
시스레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스레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스레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8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1195A/en
Publication of KR20110011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1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Cardi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n emergency state monitoring system is provided to supply proper medical information to a tested person through a biometric signal and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of the person. CONSTITUTION: A monitoring terminal(100) is held in an ankle of a tested person, and measures a biometric signal and a behavior pattern of the tested person. The monitoring terminal judges an emergency state and a warning situation. A central management server(200) receives a message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In an emergency state,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transfers emergency state notification to the tested person. A medical agency(300) provides proper medical information through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Description

응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Emergency state monitoring system}Emergency stat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환자나 노인 등의 피측정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측정자의 발목에 착용된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및 행동 패턴을 기반으로 원격지에서 의료 서비스 제공 또는 긴급 출동 등의 서비스를 피측정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onitoring a condition of a subject such as a patient or an elderly person, and more particularly, based on a biosignal and behavior pattern of a subject provided from a monitoring terminal worn on the ankle of the su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ing system that enables a subject to provide services such as provision or emergency dispatch.

무선 통신의 발달로, 원격지에서 피측정자(예; 환자, 노인, 거동 불편자 등)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서비스(즉, 모니터링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a service (i.e., a monitoring service)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a subject (eg, a patient, an elderly person, a disabled person, etc.) at a remote location is provided.

그런데 이러한 모니터링 서비스는 수면중이거나 침대에 위치하는 등 일정 공간이나 장소에 있는 피측정자에 측정 장치를 착용시켜 각종 정보(예; 생체 정보 등)를 얻고 있다. 각종 정보를 얻는 다른 경우로 측정장치를 피측정자의 흉부에 장착시켜 활동중인 피측정자에 대한 상태를 측정하고 있기도 한다.However, such a monitoring service obtain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eg, biometric information, etc.) by putting a measuring device on a subject in a certain space or place, such as while sleeping or in a bed. In other cases of obtaining information, a measuring device may be mounted on the chest of a subject to measure the status of an active subject.

그러나 종래의 모니터링 서비스는 정상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피측정자에게 고정 위치에서만 활동하게 하거나 흉부에 장치를 장착시켜 활동에 불편을 주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onitoring ser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subject to be able to perform normal activity only in a fixed position or to mount the device on the chest to inconvenience the activity.

즉, 고정 위치에서 피측정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종래의 모니터링 서비스는 노인과 같이 정상적인 활동을 하다가 갑자기 위급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를 모니터링할 수 없고, 측정장치를 흉부에 장착하는 종래의 모니터링 서비스는 근력이 약한 노인이 항상 착용하고 정상적인 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많은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다.That is, the conventional monitoring service that monitors the condition of the subject in a fixed position cannot monitor the case where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suddenly during normal activities such as the elderly, and the conventional monitoring service that mounts the measuring device to the chest There is a problem that gives a lot of discomfort by having a weak old man always worn and normal activiti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표는, 피측정자가 정상적인 생활에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및 행동 패턴을 측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subject to measure a biosignal and behavioral pattern of the subject without causing inconvenience to normal lif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표는 피측정자가 정상적인 생활 중 갑자기 발생하는 되는 응급 상태나 과도 상태(응급 상태가 될 가능성이 있는 상태로, 응급 상태 발생 전 상태임)을 감지하여 적절한 조치가 피측정자에게 제공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the emergency or transient state (the state that is likely to become an emergency state, the state before the emergencies) that occurs suddenly during the normal life of the subject, and the appropriate action is given to the subject. To be provided.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피측정자의 발목에 착용되어 생체 신호 및 행동 패턴-정지상태 및 이동 상태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생체 신호 및 행동 패턴을 이용하여 응급 상태 및 응급 경고 상황 발생을 판단하며, 응급 상태, 응급 경고 상황 및 정상 상황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외부로 전송하고, 응급 경고 상황 발생 시 응급 경고에 상응하는 경보를 발생시키며, 상기 행도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총 활동량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모니터링 단말기;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상기 응급 상태, 응급 경고 상황 및 정상 상황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응급 상태 시 피측정자 별로 기저장된 연락처를 이용하여 응급 상태 알림을 전송하며, 상기 상응하는 메시지에 포함된 생체 신호 및 행동 패턴을 피측정자 별로 매칭하여 저장하는 중앙관리서버; 상기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에서 제공한 각종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각종 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피측정자에 부합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 기관; 및 상기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에서 제공한 각종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각종 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피측정자에 부합하는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공공 기관 포함한다.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worn on the ankle of the subject to measure the bio-signal and behavior pattern-stop state and movement state, and using the measured bio-signal and behavior pattern emergency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the status and emergency warning situation, sending messages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condition, emergency warning situation and normal situation to the outside, and generating an alarm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warning when the emergency warning situation occurs, A monitoring terminal for calculating and providing a total amount of activity of the subject; Receives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state, emergency warning situation and normal situation from a monitoring terminal, and transmits an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by using previously stored contacts for each subject in the emergency state, and the biosignal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message. And a central management server for matching and storing behavior patterns for each subject. A medical institution that receives the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onitoring terminal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analyzes the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and provides medic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And a public institution that receives the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onitoring terminal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analyzes the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and provides healt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측정자의 발목에 착용된 모니터링 단말기로서, 피측정자가 정상적인 생활에 불편함을 주지 않게 하면서 생체 신호 및 행동 패턴 정보를 원격에서 수집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onitoring terminal worn on an ankle of a subject, the subject may be able to remotely collect biosignal and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without causing inconvenience to normal lif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생체 신호 및 행동 패턴 정보를 통해 응급 상태 이전이나 응급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피측정자의 발목에 착용됨으로써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피측정자의 행동 패턴 정보를 좀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 emergency state or an emergency state through biosignal and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provided by a monitoring terminal. By being worn on the ankle of the subject, the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of the subject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may be measured more accurate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응급 상태 발생 시 외부에 자동으로 응급 구조 요청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ergency rescue request can be made to the outside automatically when an emergency condition occurs.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조도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mergency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모니터링 단말기(100), 중앙관리센터(200), 의료기관(300)과 공공기관(4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emergency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nitoring terminal 100,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200, medical institutions 300 and public institutions 400.

모니터링 단말기(100)는 피측정자의 발목에 착용된다. 이러한 모니터링 단말기(10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목에 밀착되어 착용되는 본체부(100a)와 밴드부(100b)로 구성된다.The monitoring terminal 100 is worn on the ankle of the subject. As shown in (a) of FIG. 3, the monitoring terminal 100 includes a main body part 100a and a band part 100b that are worn in close contact with the ankle.

밴드부(100b)는 양단에 형성된 접착부재에 의해 양단이 서로 결합되어, 본체부(100a)를 발목에 고정시킨다. 밴드부(100b)는 가벼운 소재로 하여 착용시 이질감이나 중량감을 적게 하며, 쉽게 탈착 및 부착이 용이하게 한다. 밴드부(100b)와 본체부(100a)는 일체화된 형태일 수 있고, 본체부(100a)가 밴드부(100b)에 착탈되는 형태일 수 있다.Both ends of the band part 100b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member formed at both ends, thereby fixing the main body part 100a to the ankle. Band portion 100b is made of a light material to reduce the sense of heterogeneity or weight when worn, and easily removable and attached. The band part 100b and the main body part 100a may be integrated, and the main body part 100a may be detachable from the band part 100b.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부(100a)를 모니터링 단말기(100)라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main body part 100a is referred to as a monitoring terminal 100.

모니터링 단말기(100)는 주기적으로 피측정자의 심박수, 체온, 호흡수 및 활동성을 측정하여 중앙관리서버(200)에 제공한다. 여기서 활동성이란 피측정자가 얼마나 많이 움직였느냐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The monitoring terminal 100 periodically measures the heart rate, body temperature, respiratory rate and activity of the subject and provides it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200. Here, activity is a measure of how much the subject has moved.

모니터링 단말기(100)는 심박수, 체온, 호흡수 등을 측정하기 생체 신호를 파악하고, 활동성을 측정하기 위해 행동 패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모니터링 단말기(100)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중앙관리서버(200)에게 알려 위급시 피측정자를 쉽게 찾을 수 있게 한다.The monitoring terminal 100 grasps a biological signal for measuring heart rate, body temperature, respiratory rate, and the like, and generates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to measure activity. In addition, the monitoring terminal 100 informs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200 of its lo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so that an emergency subject can be easily found.

모니터링 단말기(100)는 응급 상태 발생이나 과도 상태 발생시 자체적으로 경보를 발생시키고, 특히 응급 상태 발생시에 무선 통신망을 통해 중앙관리서버(200)로 응급 구조 요청을 전송한다.The monitoring terminal 100 generates an alarm upon occurrence of an emergency state or a transient state, and in particular, transmits an emergency rescue request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en an emergency state occurs.

이하에서는 생체 신호 및 행동 패턴 그리고 위치정보를 모니터링 정보라 한다.Hereinafter, the biosignal, behavior pattern, and location information are referred to as monitoring information.

모니터링 단말기(100)는 측정한 모니터링 정보 또는 응급 상태나 과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으로 SMS 메시지(단문 메시지)를 이용하거나, 지그비(zigbee)나 RF(Radio Frequency) 신호 등의 근거리 무선 신호를 이용하거나, 망접속모듈(예; CDMA 모듈 등)을 이용한다.The monitoring terminal 100 uses an SMS message (short message) as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measured monitoring information or information on an emergency state or a transient state, or a short range radio such as a zigbee or a radio frequency (RF) signal. Signal, or a network connection module (e.g., a CDMA module).

물론 근거리 무선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모니터링 단말(100)에서 전송한 근거리 신호가 근거리 무선 수신 장치에 수신되고, 근거리 무선 수신 장치가 중앙관리서버(200)에게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알리게 된다. 모니터링 단말기(100)에서 중앙관리서버(200)로 전송되는 신호에는 피측정자 또는/및 모니터링 단말기(100)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가 포함된다.Of course, in the case of using the near field wireless signal, the near fiel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100 is received by the near field wireless receiving device, and the near field wireless receiving device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100 in real time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200. You will be informed.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100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200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ubject or / and the monitoring terminal 100.

중앙관리서버(200)는 서비스 대상자(즉, 피측정자)에 대한 개인정보를 등록하고 있으며, 각 피측정자의 모니터링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해당 개인 정보에 매칭하여 관리한다. 또한 중앙관리서버(200)는 모니터링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의료기관(300) 및 공공기관(400)에 제공한다.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200 registers personal information on the service target (ie, the subject), and manage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100 of each subject by matching the corresponding person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200 provide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100 to the medical institution 300 and the public institution 400.

중앙관리서버(20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모니터링 단말기(100)로부터 생체 신호 정보, 행동 패턴 정보 및 응급 구조 요청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한다.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200 receives at least one signal of the biosignal information,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and emergency rescue request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1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중앙관리서버(200)는 응급 상태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응급 구조 기관 및 보호자의 연락처 등으로 응급 상태 발생 알림 및 응급 구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emergency state occurs,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200 may transmit an emergency state occurrence notification and emergency rescue request to preset emergency rescue agencies and guardian contacts.

또한, 중앙관리서버(200)는 해당 피측정자의 현재 생체 신호 정보 및 행동 패턴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는 웹(web) 페이지를 생성한다. 참고로, 피측정자의 보호자 또는 담당 의료진들은 인터넷 등을 통해 상기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200 generates a web (web) page that can check the current biological signal information and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of the subject. For reference, the guardian or medical staff of the subject may access the web page through the Internet.

의료기관(300)은 중앙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피측정자의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필요시 분석한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맞춤 처방을 피측정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의료기관(300)은 응급 상태나 과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의료진을 피측정자에게 보낸다. 여기서 의료기관(300)은 피측정자가 지정하거나 피측정자의 거주지에 근접한 위치의 의료기관일 수 있다.The medical institution 300 receives and analyzes the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subject receiv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200, and provides the subject with a personalized prescription corresponding to the analyzed information when necessary. In addition, the medical institution 300 sends the medical staff to the subject when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or transient state. Here, the medical institution 300 may be a medical institution designated by the subject or located near the residence of the subject.

공공기관(400)은 소방방제청과 같은 응급시 응급 구호가 가능한 국가 기관이다. 공공기관(400)은 중앙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피측정자의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필요시 분석한 정보에 대응하는 건강 정보를 피측정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공공기관(400)은 응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응급 구호를 위한 동작(차량 및 응급구호자 급파)을 수행한다.Public institution 400 is a national agency capable of emergency relief in an emergency, such as firefighting control. The public institution 400 receives and analyzes the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subject receiv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200 and provides the subject with healt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nalyzed information when necessary. In addition, the public institution 400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tate and performs an operation (emergency vehicle and emergency responders dispatch) for emergency relief.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 기(10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monitoring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가속도 센서의 좌표 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패턴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nitor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oordinate axis of an acceleration sensor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a behavior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movement spe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기(100)는 생체 신호 측정부(110), 행동 패턴 측정부(120), 응급 상태 판단부(130), 제어부(140), 무선 통신부(150) 및 GPS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니터링 단말기(100)는 휴대용 단말기이므로,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 탑재되어 있으나, 이러한 사항은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2, the monitoring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iosignal measuring unit 110, a behavior pattern measuring unit 120, an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a control unit 14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and the GPS unit 160 is included. Here, the monitoring terminal 100 is a portable terminal, but a configuration for supplying power by using a battery is mounted. However, these matters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thus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부(110)가 터치 센서(111), 산소포화도 센서(112) 및 온도 센서(113) 등을 포함한 것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패턴 측정부(120)가 가속도 센서(121) 및 행동패턴 정보생성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었다.In FIG. 2,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1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ensor 111, an oxygen saturation sensor 112, a temperature sensor 113, and the like. In addition, FIG. 2 shows that the behavior pattern measurer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121 and a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generator 122.

생체 신호 측정부(110)는 도 2에서와 같이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들(즉, 터치 센서, 산소포화도 센서, 온도 센서 등)로부터 측정된 생체 신호를 응급 상태 판단부(130)로 전송한다.As shown in FIG. 2,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110 measures the biosignal measur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ie, a touch sensor, an oxygen saturation sensor, a temperature sensor, etc.) for measuring a biosignal of a subject. Send to 130.

이때, 터치 센서(111)는 모니터링 단말기(100)가 피측정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피측정자의 피부에 닿으면 유효 신호(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의 하이(high) 신 호)를 발생시켜 응급 상태 판단부(130)로 전송한다. 즉, 터치 센서(111)는 피측정자가 모니터링 단말기(100)를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이다.In this case, the touch sensor 111 generates an effective signal (for example, a high signal of a digital signal) when the monitoring terminal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subject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subject. Transmit to the determination unit 130. That is, the touch sensor 111 is a sensor that detects whether or not the subject wears the monitoring terminal 100.

산소포화도 센서(112)는 PPG(Photo plethysmo graphy) 센서로서, PPG 센서는 피측정자의 피부(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피측정자의 발목 피부)에 광원을 입사시킨 후 반사 또는 투과되는 광도를 측정한다. The oxygen saturation sensor 112 is a photoplethysmography (PPG) sensor, and the PPG sensor measures light intensity reflected or transmitted after the light source is incident on the skin of the subject (in particular, the ankle skin of the subjec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

온도 센서(113)는 피측정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응급 상태 판단부(130)로 전송한다.The temperature sensor 113 measures the body temperature of the subject to be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행동 패턴 측정부(120)는 피측정자의 활동성을 측정한다. 이를 위해 행동 패턴 측정부(120)는 가속도 센서(121)와 행동패턴 정보생성부(122)를 포함하며, 가속도 센서(121)를 통해 측정되는 결과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움직임 상태 및/또는 움직임 속도를 파악할 수 있는 행동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행동 패턴 정보를 응급 상태 판단부(130)로 전송한다.The behavior pattern measuring unit 120 measures the activity of the subject. To this end, the behavior pattern measurer 120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121 and a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generator 122, and the movement state and / or movement of the subject using the result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121. Generates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spee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to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121)는 피측정자의 움직임에 따라 모니터링 단말기(100)에 작용하는 힘(예를 들어, 중력, 움직임 등)을 시간 경과에 따라 측정하여 행동패턴 정보생성부(122)로 전송한다.Specifically, the acceleration sensor 121 measures the force (for example, gravity, movement, etc.) acting on the monitoring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over time to the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2. sen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행동 패턴 측정부(120)의 가속도 센서(121)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을 이루는 3개의 좌표 축들의 좌표 값들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3축 가속도 센서인 것을 나타내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leration sensor 121 of the behavior pattern measuring unit 120, as shown in Figure 3 (b), using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three coordinate axes that are perpendicular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It was shown that it is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that can measure.

이때,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기(100) 즉, 본체(100a)를 도 3의 (b)와 같이, 피측정자의 발목에 장착하였을 때, 가속도 센 서(121)의 Y 축을 통해 피측정자의 상/하(즉, 위/아래)에 작용되는 힘을 측정하고, X 축을 통해 피측정자의 앞/뒤(즉, 정면/후면)에 작용되는 힘을 측정하고, Z 축을 통해 피측정자의 좌/우(즉, 오른쪽/왼쪽)에 작용되는 힘을 측정하는 것을 나타내었다.At this time, (b) of Figure 3, when the monitoring terminal 100, that is, the main body 10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b), when mounted on the ankle of the subject, the acceleration sensor ( The force applied to the subject's up / down (i.e., up / down) through the Y axis of 121)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front / rear (i.e., front / rear) of the subject through the X-axis. , Z-axis to measure the force applied to the left / right (ie right / left) of the subject.

행동패턴 정보생성부(122)는 가속도 센서(121)를 통해 측정된 각 좌표 축에 작용하는 힘에 기초하여 피측정자의 움직임 상태 및 움직임 속도를 분석하고, 분석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설정 기준시간(30초, 1분 등)을 단위로 하는 움직임 상태 및 움직임 속도를 나타내는 행동 패턴 정보를 생성하여 응급 상태 판단부(130)로 전송한다.The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2 analyzes the movement state and the movement speed of the subject based on the force acting on each coordinate axis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121, and sets a reference time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indicating the movement state and the movement speed in units of (30 seconds, 1 minute, etc.)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구체적으로, 행동패턴 정보생성부(122)는 가속도 센서(121)의 Y 축의 좌표 값(상, 하 방향의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피측정자의 움직임 즉, 정지상태(예; 서있는 상태, 앉아있는 상태, 누워있는 상태)와 이동 상태(예; 걷는 상태, 뛰는 상태 등) 및/또는 움직임 속도를 측정한다.Specifically, the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2 is based on the change in the coordinate values (up and down values) of the Y-axis of the acceleration sensor 121, that is, the stationary state (eg, standing state, sitting) Measure the presence, lying state, and movement state (eg, walking state, running state, etc.) and / or speed of movement.

행동패턴 정보생성부(122)에 입력되는 가속도 센서(121)의 출력의 일 예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An example of the output of the acceleration sensor 121 input to the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generator 122 is illustrated in FIG. 4.

도 4에서 (a) 그래프는 피측정자가 서있는 상태에서 가속도 센서(121)의 3축의 좌표 값을 시간 경과에 따라 나타낸 것이고, (b) 그래프는 앉아있는 정지 상태에서 가속도 센서(121)의 3축의 좌표 값을 시간 경과에 따라 나타낸 것이며, (c) 그래프는 피측정자가 걷고 있는 상태에서 가속도 센서(121)의 3축의 좌표 값을 시간 경과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In FIG. 4, (a) the graph shows coordinate values of three axes of the acceleration sensor 121 in a state where the subject stands, and (b) the graph shows three axes of the acceleration sensor 121 in a sitting stationary state. The coordinate values are shown over time, and (c) the graph shows the coordinate values of three axes of the acceleration sensor 121 over time while the subject is walking.

행동패턴 정보생성부(122)는 도 4와 같이 입력되는 가속도 센서(121)의 출력에 대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Y축에 대한 피크치(peak data)를 구한다. 즉, 행동패턴 정보생성부(122)는 도 5의 (a)와 같이 입력되는 Y축 데이터에 대해 도 5의 (b)와 같이 미분을 통해 피크값을 디텍팅한다.As shown in FIG. 5, the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generator 122 obtains peak data on the Y-axis with respect to the output of the acceleration sensor 121 input as shown in FIG. 4. That is, the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2 detects the peak value through the derivative as shown in FIG. 5B with respect to the Y-axis data input as shown in FIG. 5A.

이렇게 피크값만을 디텍팅하면, 도 5의 (b)와 같이 피크값의 값(value)과 피크값간의 간격(d)를 얻을 수 있게 된다.If only the peak value is detected in this manner, the interval d between the peak value and the peak value can be obtained as shown in FIG.

이러한 피크값에 대한 그래프를 얻은 행동패턴 정보생성부(122)는 일정기준 시간(예: 30초, 1분 등)을 단위로 하는 행동 패턴을 생성하여 응급 상태 판단부(130)에 제공한다.The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2 that obtains a graph of the peak value generates an behavior pattern based on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for example, 30 seconds, 1 minute, etc.) and provides the behavior pattern to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생체 신호 측정부(110)와 행동패턴 정보생성부(122)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각 센서의 출력을 분석하고 분석한 모니터링 정보를 중앙관리서버(200)에 제공한다. 또한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각 센서의 출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응급 상태 또는 과도 상태를 판단하고 응급 상태 또는 과도 상태에 부합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receives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biosignal measurement unit 110 and the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2, and analyzes the output of each sensor and analyzes the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200. To provide. In addition,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an emergency state or a transient state by analyzing the output of each sensor and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state or the transient state.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응급 상태 발생이 확인되면 응급 상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참고로, 응급 상태 알림 메시지는 생체 신호 정보 및 행동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응급 상태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때, 생체 신호 정보는 가장 최근에 측정된 산소포화도 정보, 심장 박동 정보, 체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행동 패턴 정보는 피측정자의 현재 움직임 상태 정보 및/또는 움직임 속도 정보를 포함한다.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generates an emergency state notification messag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emergency stat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controller 140 when an emergency state occurs. For reference, the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message includes at least one information of the biosignal information and the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and the emergency status identifier. In this case, the biosignal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most recently measured oxygen saturation information, heart rate information, an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urrent movement state of the subject and / or the movement speed information. .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터치 센서(111)의 출력으로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온도 센서(112)의 출력으로 체온을 계산한다.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o be worn by the output of the touch sensor 111, and calculates the body temperature by the output of the temperature sensor 112.

그리고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산소포화도 센서(112)의 출력(즉, 산소포화도)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호흡 여부를 파악하고, 호흡 여부를 카운트하여 심장 박동 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이러한 체온, 심박수 등을 각각의 기준 값(이하, '응급 기준값'이라 한다)들과 비교하여 응급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현재 측정된 산소 포화도가 기설정된 기준 산소 포화도 미만의 값을 갖고, 심장 박동 수가 기설정된 기준 박동 수에 대해 초과 또는 미만의 값을 가질 때 응급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온도 센서(113)를 통해 수신된 피측정자의 체온이 기설정된 기준 체온에 대해 초과 또는 미만의 값을 가질 때 응급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compares the output of the oxygen saturation sensor 112 (that is, the oxygen saturation degree) with a set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o breathe and counts the breathing to calculate the heart rate. The body temperature and heart rate are compared with each reference valu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mergency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emergency state. That is,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indicates that an emergency condition occurs when the currently measured oxygen saturation has a value less than the preset reference oxygen saturation, and the heart rate has a value greater than or less than the preset reference heart rate. To judge. In addition,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condition occurs whe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subject receiv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113 has a value above or below the preset reference body temperature.

참고로, 상기 기준 산소 포화도, 기준 박동 수 및 기준 체온은 피측정자의 평소 정상치 산소 포화도, 심장 박동수 및 체온과 의료학 상의 안전 기준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reference oxygen saturation, reference heart rate, and reference body temperature may be set based on the normal normal oxygen saturation of the subject, heart rate, body temperature, and medical safety standard.

그리고,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행동패턴 정보생성부(122)에서 출력한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피측정자의 상태 및 과도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피츠정자의 상태 및 과도 상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피측정자를 대상으로 실험한 피측정자의 상태별 기본 패턴과 과도 상태 임계값을 저장하고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analyzes the behavior pattern output from the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2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subject and the transient state.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stores the basic pattern and the transient state threshold value for each state of the subject tested on the subject in order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fitz sperm and the transient state.

여기서 피측정자의 상태는 다음과 같이 파악한다.The condition of the subject is as follows.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도 4의 (a), (b), (c) 그래프에서와 같이 가속도 센서(121)의 Y 축에 작용하는 힘의 값(즉, Y 축 좌표의 피크값)에 따라 정지 상태나 이동 상태 등을 구분한다.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as shown in the graph (a), (b), (c) of Figure 4 the value of the force acting on the Y axis of the acceleration sensor 121 (that is, the peak value of the Y-axis coordinat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the stationary state or moving state.

정지 상태는 서있는 상태, 앉아있는 상태, 누워있는 상태 등이 있다.Stationary states are standing, sitting, and lying down.

정지 상태는 값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각 축의 값의 변화가 거의 없는 상태이다.The stationary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value of each axis has little change over time.

그러나, 서있거나 앉아있는 상태는 Y 축이 지면방향 즉, 아래쪽을 향하게 된다. 이 경우에 Y 축으로 1g(중력값)의 중력이 가해지게 된다(예; Y축 값= -1g). 그러나 누워있는 상태에서는 Y축으로 중력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예; Y축 값 = 0).However, the standing or sitting state causes the Y axis to face down, ie downward. In this case, 1 g (gravity value) of gravity is applied to the Y axis (eg, Y axis value = -1 g). In the lying state, however, gravity is not applied to the Y axis (eg Y axis value = 0).

따라서, Y 축의 좌표 값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가 없는 경우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피측정자가 서있거나 앉아 있는 상태로 판단하며, 그 값이 없는 경우에 누워있는 상태로 판단한다. 물론, 서있는 경우에는 앞으로 진행하거나 뒤로 진행하는 중에 서는 것이므로 초기에 X축의 파형 변화가 발생하고, 앉는 경우에는 서 있는 상태에서 아래 쪽으로 힘이 이동하기 때문에 X축의 파형 변화가 거의 없어 차이가 있긴 하지만, 이러한 초기의 변화를 제외하면 거의 동일하다.Therefore, when the coordinate value of the Y axis does not change over time,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subject is standing or sitting, and determines that it is lying when there is no value. Of course, if you are standing, you are moving forward or backward, so the initial change in the waveform of the X-axis occurs, and the sitting force moves downward while standing, so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the waveform of the X-axis. Almost the same except for these initial changes.

한편, 이동 상태는 걷는 상태와 뛰는 상태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ving state includes a walking state and a running state.

도 4의 (c) 그래프에서는 피측정자가 걷거나 뛰고 있는 동작 상태일 때 가속도 센서(121)의 3축 좌표 값을 시간 경과에 따라 나타내었다. 이때, 도 4의 (c) 그래프에서와 같이 가속도 센서(121)의 Y 축 좌표 값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피측정자의 상태를 동작 상태로 판단한다.In the graph of FIG. 4C, the 3-axis coordinate values of the acceleration sensor 121 are shown as time passes when the subject is walking or running. In this case, as shown in the graph (c) of FIG. 4, when the Y-axis coordinate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121 changes with time,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e state of the subject as an operation state.

그리고,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가속도 센서(121)의 Y 축의 피크(peak) 값 과 피크값간의 간격(d)를 이용하여 피측정자가 걷고 있는지 또는 뛰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피크값은 피측정자에 작용한 중력 즉, 피측정자가 행한 힘의 정도이고, 간격(d)은 보폭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subject is walking or running by using the interval d between the peak value of the Y axis and the peak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121. The peak value is the gravitational force acting on the subject, that is, the degree of force exerted by the subject, and the interval d means stride length.

여기서,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피측정자를 대상으로 실험하여 얻은 정상 보폭(걷기)시의 Y축의 피크값과 간격(d)에 대한 기본 패턴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Here,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stores basic pattern information about the peak value of the Y-axis and the interval d during normal stride (walking) obtained by experimenting with the subject.

따라서,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행동패턴 정보생성부(122)에서 제공한 행동 패턴에서 피크값을 기본 패턴 정보의 피크값과 비교하고, 수신한 행동 패턴에서 설정시간 내의 간격(d)의 횟수를 기본 패턴 정보에서 설정시간 내의 간격의 횟수와 비교한다. 여기서, 설정시간 내의 간격(d)의 횟수는 속도로 환산될 수 있다.Therefore,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compares the peak value in the behavior pattern provided by the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2 with the peak value of the basic pattern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interval d within the set time in the received behavior pattern. The number of times is compared with the number of intervals within the set time in the basic pattern information. Here, the number of intervals d within the set time may be converted into a speed.

만약, 기본 패턴의 피크값보다 크고, 간격의 횟수가 많으면,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피측정자가 뛰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한다. If it is larger than the peak value of the basic pattern and the number of intervals is large,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subject is running.

한편,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활동량을 측정한다.On the other hand,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measures the amount of activity.

활동량의 측정은 행동 패턴의 피크값을 기준으로 한다.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행동 패턴의 피크값을 누적 연산하여 산출하며, 측정한 활동량이 과도 상태 임계값 이상이 되면 과도 상태이라고 한다. 예컨대, 피측정자가 뛰고 있는 상태에서의 활동량과 걷고 있는 상태의 활동량과 비교하면, 뛰고 있는 상태는 피크값이 걷고 있는 상태보다 크고, 설정 시간내에 피크값이 나타나는 횟수가 많으므로, 걷고 있는 상태의 활동량보다 높게 나타난다.Activity measurements are based on peak values of behavior patterns.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accumulates and calculates a peak value of the behavior pattern, and when the measured activity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ransient state threshold, it is called a transient state. For example, compared with the amount of activity in the state where the subject is running and the amount of activity in the state of walking, the state of running is greater than the state in which the peak is walking and the number of peaks appears within the set time, so that the state of walking is It is higher than the amount of activity.

과도 상태는 피측정자가 무리하게 활동을 하여 피측정자가 견디기 힘든 육체적 상태가 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상황이다.The transient state is a situation in which the subject is working excessively and is in a physical state that is difficult for the subject to endure.

여기서,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활동량을 산출함에 있어서, 연속하는 걷기 또는 뛰기 상황에서의 피크값을 이용한다. 즉,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피크값을 누적하여 산출하는 중에, 행동 패턴이 서기나 앉기 또는 눕기 등의 정지 상태가 되면 더 이상 피크값을 누적 산출하는 동작을 하지 않는다. 즉 중지한다. 그리고 다시 피측정자가 뛰거나 걷으면 이전에 산출한 활동량을 리셋한 후 새로 활동량을 산출한다. 물론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피측정자의 정지상태(즉, 서기, 앉기, 눕기)의 지속 시간을 체크하여 피측정자가 충분히 쉬었다고 판단되는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이전에 산출한 총 피크값을 리셋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이면 이전에 산출한 총 피크값에 새로운 뛰기 또는 걷기 상태의 피크값을 누적하여 총 피크값을 산출한다.Here,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uses the peak value in the continuous walking or running situation in calculating the amount of activity. That is,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does not accumulate the peak value any more when the behavior pattern becomes a standing state such as standing, sitting or lying down, while calculating and calculating the peak value. That is, stop. When the subject runs or walks again, the previously calculated activity is reset and new activity is calculated. Of course,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checks the duration of the subject's stationary state (ie, standing, sitting, lying down), and the total peak previously calculated when the subject exceeds the reference time determined to be sufficiently rested. The value is reset, and if not, the total peak value is calculated by accumulating the peak value of the new running or walking state on the previously calculated total peak value.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총 피크값을 중앙관리서버(200)에 모니터링 정보로 제공한다.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provides the total peak value as the monitoring information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200).

이상에서는, 응급 상태 판단부(130)가 각 생체 신호 즉, 산소 포화도, 심장 박동 수, 체온 등의 파라미터에 대해 각각 응급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상기 각 생체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가 기설정된 기준 범위 값 외의 값을 갖는 것으로 판단될 때 또는 상기 각 생체 신호가 모두 기설정된 기준 범위 값 외의 값을 갖는 것으로 판단될 때 응급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the abov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e emergency state for each of the biological signals, that is, parameters such as oxygen saturation, heart rate, and body temperature. At this time,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bio-signals of each of the bio-signals has a value ot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range value or all of the bio-signals When it is determined to have a value other than the set reference range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condition has occurred.

참고로,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생체 신호 측정부(110)의 터치 센서(111)를 통해 유효 신호가 수신되면 생체 신호 측정이 시작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후 수 신되는 생체 신호들을 이용하여 응급 상태 발생에 대한 판단 처리를 시작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measurement of the biosignal is started when the valid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touch sensor 111 of the biosignal measurement unit 110 and then uses the received biosignals to provide an emergency. Determination processing for the occurrence of a state can be started.

한편,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생체 신호 측정부(110)를 통해 측정된 생체 신호 및 행동 패턴 측정부(120)를 통해 수신된 행동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응급 경고 상황을 판단한다. 그리고,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응급 경고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응급 경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참고로, 응급 경고 알림 메시지는 생체 신호 정보 및 행동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응급 경고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때, 응급 경고 상황은 응급 상태와 구분되는 상황으로서 피측정자가 현재 상태를 자각할 수 있도록 경고하기 위한 단계이다.Meanwhile,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e emergency warning situation by using the behavioral signa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iosignal and the behavioral pattern measurement unit 120 measured by the biosignal measurement unit 110.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warning situation occurs,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generates an emergency warning notification messag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40. For reference, the emergency alert notification message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biosignal information and the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and the emergency alert identifier. At this time, the emergency warning situation is a step for warning the subject to be aware of the current state as a situation distinguished from the emergency condition.

구체적으로,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생체 신호 측정부(110)로부터 수신된 각 생체 신호를 각각의 기준 값(이하, '경고 기준값'이라 함)들과 비교한다. 참고로, 상기 경고 기준 값은 상기 응급 기준 값과 상이한 기준 값이며, 피측정자의 평소 정상치 생체 신호 및 행동 패턴에 기초하여 응급 상태 발생이 우려될 정도(즉, 과도 상태)의 수치를 상기 경고 기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detail,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compares each biosignal received from the biosignal measurement unit 110 with respective reference valu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lert reference values”). For reference, the warning reference value is a reference value different from the emergency reference value, and the warning reference value is a level of the degree of concern (that is, transient state) that an emergency condition is concerned based on the usual normal biosignal and behavior pattern of the subject. It can be set to a value.

이때,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상기 각 생체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가 경고 기준 값 범위 외의 값을 갖는 것으로 판단될 때 또는 상기 각 생체 신호가 모두 기설정된 경고 기준 값의 범위 외의 값을 갖는 것으로 판단될 때 응급 경고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피측정자의 산소 포화도 및 심장 박동 수가 응급 상태 발생이 우려될 정도의 수치로 측정될 경우 응급 경고 상황으 로 판단한다. In this case,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at least one of the bio-signals has a value outside the warning reference value range, or that each of the bio-signals is outside the range of the preset warning reference value. When it is determined to have an emergency warning situation can be determined. That is, if the oxygen saturation and heart rate of the subject are measured to a level that is concerned about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condition, it is determined as an emergency warning situation.

또한,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행동 패턴 측정부(120)로부터 수신된 움직임 속도를 기설정된 기준 속도와 비교한다. 그리고,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일정 시간 내에 수신되는 움직임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를 초과할 때 또는 상기 수신되는 움직임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를 초과하여 기설정된 기준 기간 이상 지속될 경우 응급 경고 상황으로 판단한다. 즉, 피측정자가 기준 속도 이상으로 뛰거나 걷고 있거나, 기준 시간 이상 기준 속도 이상으로 걷거나 뛰는 경우 응급 상태가 발생될 수 있는 응급 경고 상황으로 판단한다.In addition,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compares the movement speed received from the behavior pattern measurement unit 120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speed. In addition,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warning situation occurs when a movement speed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exceeds the reference speed or when the received movement speed exceeds the reference speed and continues for a preset reference period. do. That is, it is determined as an emergency warning situation in which an emergency condition may occur when the subject runs or walks above the reference speed, or walks or runs above the reference speed by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상기 각 생체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 또는 모든 생체 신호가 응급 경고 값 범위 이외의 값을 가질 때 및 행동 패턴이 응급 경고 상황에 부합될 때 응급 경고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hen the at least one bio-signal or all of the bio-signals of each of the bio-signal has a value outside the range of the emergency warning value and the behavior pattern corresponds to the emergency warning situation Can be determined to have an emergency warning situation.

한편,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응급 상태 또는 응급 경고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즉, 정상 상황)에서는 주기적으로 건강 모니터링 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참고로, 건강 모니터링 정보 메시지는 측정된 생체 신호 정보 및 행동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모니터링 식별자 등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generates a health monitoring information message periodically and transmits the generated health monitoring information message to the control unit 140 in an emergency state or an emergency warning state (that is, a normal situation). For reference, the health monitoring information message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measured biosignal information and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a monitoring identifier, and the like.

제어부(140)는 응급 상태 알림 메시지, 응급 경고 알림 메시지 및 건강 모니터링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자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각 메시지에 피측정자 식별 정보를 부가한 후 무선 통신부(150)를 통해 중앙관리서버(200) 등으로 전송한다. 참고로, 피측정자 식별 정보는 피측정자에게 기부여된 식별 번호이거나 모니터링 단말기(100)에 기부여된 단말기 식별 번호일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receives an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message, an emergency warning notification message, and a health monitoring information message, and checks an identifier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message. Then, the controller 140 adds the su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each message and transmits it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For reference, the su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n identification number donated to the subject or a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donated to the monitoring terminal 100.

또한, 제어부(140)는 수신된 메시지에서 확인한 식별자가 응급 경고 식별자일 때 모니터링 단말기(100) 자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미도시) 및 스피커(미도시) 등을 통해 응급 경고를 출력한다. 참고로, 제어부(140)는 응급 경고 내용을 액정 화면(미도시)에 문자로 출력하거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경보음으로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outputs an emergency alert through a display screen (not shown) and a speaker (not shown) provided in the monitoring terminal 100 itself when the identifier checked in the received message is an emergency alert identifier. For reference, the controller 140 may output the emergency warning text on a liquid crystal screen (not shown) as a text or as an alarm sound through a speaker (not shown).

무선 통신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 통신망, 근거리 통신망 등의 무선 통신망 접속하여 응급 상태 알림 메시지, 응급 경고 알림 메시지 또는 건강 모니터링 정보 메시지를 중앙관리서버(200) 등의 외부로 전송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connect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local area network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40 to transmit an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message, an emergency warning notification message or a health monitoring information message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200. To send.

GPS부(160)는 모니터링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제어부(140)에제공하여, 중앙관리서버(200)에 제공하는 모니터링 정보 메시지 또는 응급 상태 알림 메시지, 과도 상태 알림 메시지에 포함되게 한다.The GPS unit 160 grasp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nitoring terminal 100 and provides the control unit 140 to be included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message or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message and transient status notification message provided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200. do.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기(100)가 응급 상태 및 응급 경고 상황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응급 상태 알림 메시지 및 응급 경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였다.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monitoring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message and an emergency warning notification message by determining an emergency condition and an emergency warning situation by itself.

그런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기(100)는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및 행동 패턴을 측정하여 건강 모니터링 정보 메시지를 생성 및 무선 송신하고, 외부(예를 들어,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응급 상태 알림 메시지 또는 응급 경고 상황 메시지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the monitoring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biosignal and behavior pattern of the subject to generate and wirelessly transmit a health monitoring information message, and transmits an emergency from an external (for example, central management server).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status notification messages or emergency alert situation messages wireless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기(100)는 자체적으로 위치 정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기(100)는 GPS 모듈 또는 이동통신 모듈을 장착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태 판단부(130)는 응급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위치 정보부(미도시)를 통해 피측정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응급 상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부(미도시)는 GPS 모듈을 통해 현재 피측정자의 위치를 획득하거나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현재 접속되는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unit (not shown) by itself. At this time, the monitoring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a GPS module or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hen,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ject through a location information unit (not show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condition has occurred, and further obtains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Create an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message that includes. For reference, the location information unit (not show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cquire the location of the current subject through a GPS module or obtain location information from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currently connec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6 is a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 central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관리서버(200)는 무선 통신부(210), 정보 관리부(220), 응급 상태 처리부(230) 및 웹 관리부(2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an emergency state processing unit 230, and a web management unit 240.

무선 통신부(2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모니터링 단말기(100)로부터 응급 상태 알림 메시지, 응급 경고 알림 메시지 및 건강 모니터링 정보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정보 관리부(220)로 전달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one of an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message, an emergency warning notification message, and a health monitoring information message from the plurality of monitoring terminals 1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it 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정보 관리부(220)는 수신된 응급 상태 알림 메시지, 응급 경고 알림 메시지 및 건강 모니터링 정보 메시지의 데이터 내용을 확인하여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정보 및 행동 패턴 정보를 피측정자의 식별 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한다.The information manager 220 checks the data contents of the received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message, emergency warning notification message, and health monitoring information message, and stores the biometric signal information and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of the subject in correspondence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ubject.

그리고, 정보 관리부(220)는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응급 상태 식별자가 확인되면 응급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피측정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급 상태 알림 메시지를 응급 상태 처리부(230)로 전달한다.When the emergency state identifier is confirmed from the received message, the information manager 220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state has occurred, and transmits an emergency state notification messag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ubject to the emergency state processor 230.

응급 상태 처리부(230)는 응급 상태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유무선 통신망 또는 인터넷 망 등을 통해 기설정된 연락처로 응급 상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The emergency status processor 230 transmits an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message to a preset contact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n internet network when an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message is received.

이때, 응급 상태 처리부(230)는 응급 상태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피측정자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피측정자의 식별 정보에 상응하여 기저장된 연락처 즉, 보호자 또는 응급 구조 센터를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mergency state processing unit 230 may check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ubject included in the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message, and may check a pre-stored contact, that is, a guardian or an emergency rescue cent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ubject.

웹 관리부(240)는 인터넷 망(미도시)에 접속하여 정보 관리부(220)를 통해 저장된 피측정자 별 생체 신호 정보 및 행동 패턴 정보를 실시간으로 웹 페이지에 업데이트 한다.The web manager 240 accesses an internet network (not shown) and updates the biosignal information and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for each subject stored in the web page in real time through the information manager 220.

한편,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관리서버(200)가 모니터링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응급 상태 알림 메시지, 응급 경고 알림 메시지 및 건강 모니터링 정보 메시지를 저장 및 관리하고, 응급 상태 발생시 해당 연락처로 응급 구조 요청을 하는 것을 나타내었다.Meanwhile, in FIG. 6,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nd manages an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message, an emergency warning notification message, and a health monitoring information message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100, when an emergency condition occurs. The emergency contact request was made to the contact.

그런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관리서버(200)는 건강 모니터링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건강 모니터링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생체 신호 및 행동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응급 상태 및 응급 경고 상황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태 처리부(230)는 도 2의 응급 상태 판단부(130)와 동일한 동작을 통해 피측정자의 응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By the way,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health monitoring information message, using the biosignal and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ealth monitoring information message emergency state and emergency warning situation of the subject It is possible to judge. At this time, the emergency state processing unit 2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determine the emergency state of the subject through the same operation as 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of FIG.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 examples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조도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mergency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nitor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가속도 센서의 좌표 축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coordinate axis of an acceleration sensor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패턴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a behavior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movement spe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6 is a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 central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피측정자의 발목에 착용되어 생체 신호 및 행동 패턴-정지상태 및 이동 상태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생체 신호 및 행동 패턴을 이용하여 응급 상태 및 경고 상황 발생을 판단하며, 응급 상태, 응급 경고 상황 및 정상 상황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외부로 전송하고, 응급 경고 상황 발생 시 응급 경고에 상응하는 경보를 발생시키며, 상기 행동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활동량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모니터링 단말기;It is worn on the ankle of the subject to measure the bio-signal and behavior pattern-stop state and movement state, and determine the occurrence of emergency and warning situations by using the measured bio-signal and behavior pattern, emergency state, emergency warning situation and normal A monitoring terminal transmitting a message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to the outside, generating an alarm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warning when an emergency warning situation occurs, and calculating and providing an activity amount of the subject using the behavior pattern;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상기 응급 상태, 응급 경고 상황 및 정상 상황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응급 상태 시 피측정자 별로 기저장된 연락처를 이용하여 응급 상태 알림을 전송하며, 상기 상응하는 메시지에 포함된 생체 신호 및 행동 패턴을 피측정자 별로 매칭하여 저장하는 중앙관리서버;Receives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state, emergency warning situation and normal situation from a monitoring terminal, and transmits an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by using previously stored contacts for each subject in the emergency state, and the biosignal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message. And a central management server for matching and storing behavior patterns for each subject. 상기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에서 제공한 각종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각종 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피측정자에 부합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 기관; 및A medical institution that receives the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onitoring terminal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analyzes the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and provides medic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And 상기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에서 제공한 각종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각종 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피측정자에 부합하는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공공 기관 포함하는 응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Emergency status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public institution that receives the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onitoring terminal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and analyzes the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and provides healt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는,The monitoring terminal, PPG(Photo plethysmo graphy) 센서를 통해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가속도 센서를 통해 피측정자의 행동 패턴을 측정하여 상기 총 활동량을 산출하고, 응급 상태 및 응급 경고 상황 발생 및 정상 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Measuring the bio-signal of the subject through a PPG (Photo plethysmography) sensor and measuring the behavioral pattern of the subject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to calculate the total amount of activity, and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emergency and emergency warning situations and normal situations. An emergency condition monitoring syste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는,The monitoring terminal, 상기 피측정자의 상하 방향에 상응하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좌표 축의 좌표 값에 기초하여 상기 행동 패턴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And the behavior pattern is measured based on a coordinate value of a coordinate axis of the acceleration sensor corresponding to a vertical direction of the subjec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는,The monitoring terminal, 상기 피측정자의 피부에 닿으면 유효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센서 및 상기 피측정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And at least one sensor of a touch sensor that outputs a valid signal when the skin of the subject touches and a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a body temperature of the subjec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는,The monitoring terminal, 상기 측정된 생체 신호 및 행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경고 기준 값의 범위 이외의 값을 갖는 경우 응급 경고 내용을 디스플레이 하거나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And displaying at least one emergency alert or generating an alarm sound when at least one of the measured bio signals and behavior patterns has a value other than a range of a preset warning reference value.
KR1020090068730A 2009-07-28 2009-07-28 Emergency state monitoring system KR201100111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730A KR20110011195A (en) 2009-07-28 2009-07-28 Emergency state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730A KR20110011195A (en) 2009-07-28 2009-07-28 Emergency state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195A true KR20110011195A (en) 2011-02-08

Family

ID=4377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730A KR20110011195A (en) 2009-07-28 2009-07-28 Emergency state monito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1195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3672A1 (en) * 2014-03-03 2015-09-11 김성훈 Wearable sensing device and bio signal data monitoring/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same
WO2016003887A1 (en) * 2014-06-30 2016-01-07 Garmin Switzerland Gmbh Automatic reset of physical performance information
KR20160102916A (en) * 2015-02-23 2016-08-3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detecting seizure
KR101715552B1 (en) * 2016-02-22 2017-03-10 (주)대성마리프 Cuff air pressure
KR20220008934A (en) * 2015-05-20 2022-01-2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A surveillance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3672A1 (en) * 2014-03-03 2015-09-11 김성훈 Wearable sensing device and bio signal data monitoring/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same
WO2016003887A1 (en) * 2014-06-30 2016-01-07 Garmin Switzerland Gmbh Automatic reset of physical performance information
KR20160102916A (en) * 2015-02-23 2016-08-3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detecting seizure
KR20220008934A (en) * 2015-05-20 2022-01-2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A surveillance system
KR101715552B1 (en) * 2016-02-22 2017-03-10 (주)대성마리프 Cuff air press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an et al. Wearables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application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 Survey
JP5129240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sensor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patient health
Cao et al. E-FallD: A fall detection system using android-based smartphone
RU2629795C2 (en) Device for use in fall detector or fall detection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for such device
EP3132739B1 (en) Enhancing vehicle system control
Chen et al. Wearable sensors for reliable fall detection
US9044136B2 (en) Wearable mini-size intelligent healthcare system
WO2010108287A1 (en) A wearable intelligent healthcare system and method
JP2009500047A5 (en)
JP2011507569A (en)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3134845A1 (en) Wearable miniature health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Majumder et al. SmartPrediction: A real-time smartphone-based fall risk prediction and prevention system
NL2020786B1 (en) Wearable device
US201603000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user behavior safety
KR20110011195A (en) Emergency state monitoring system
US11504040B2 (en) Wearable heart monitoring device, hear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20120055273A (en) System for processing bio-signals and sensor for measuring of bio-signals
JP2014007533A (en) Wanderer position management system
KR20130096085A (en) Sport helmet
KR20150061195A (en) Mobile Emergency Management System
KR101905695B1 (en) Neckband wearable and activity notification system using it
KR101754576B1 (en) Biological signal analysis system and method
KR20130098533A (en) System for mobile terminal base u-health helmet and safety
US10747317B2 (en) Systematic bilateral situational awareness track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80038628A (e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for Silver Generation with Help Trig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