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583A - Care device and care system for the old and the infrim - Google Patents

Care device and care system for the old and the infri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583A
KR20180106583A KR1020170035141A KR20170035141A KR20180106583A KR 20180106583 A KR20180106583 A KR 20180106583A KR 1020170035141 A KR1020170035141 A KR 1020170035141A KR 20170035141 A KR20170035141 A KR 20170035141A KR 20180106583 A KR20180106583 A KR 20180106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anagement
data
elderl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08293B1 (en
Inventor
김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젠텍
Priority to KR1020170035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293B1/en
Publication of KR20180106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5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2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derly-and-infirm management device which can determine whether the elderly and the infirm are abnormal comprises: a GPS sensor for sensing a GPS signal; a bio-signal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a bio-signal exposed through a skin;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mmunication packet through a near field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rocessing unit for configuring GPS data capable of specifying a position from the GPS signal, and configuring bio-data from the bio-signal of the measurement sensor, and outputting the GPS data and the bio-data to a local management terminal throug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etwork.

Description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CARE DEVICE AND CARE SYSTEM FOR THE OLD AND THE INFRIM}[0001] CARE DEVICE AND CARE SYSTEM [0002]

본 발명은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노약자의 활동 상태와 건강 상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상태에 따라 노약자의 이상유무를 파악하며 파악된 이상유무에 따라 긴급상황의 발생을 자동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anaging aged persons and a system for managing aged persons, and more specifically, it is intended to identify the activity state and health state of the aged person, to identify the aged person's abnormality according to the identified state, And an elderly person management system for automatically informing the elderly persons of the elderly.

식습관의 개선,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수명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그에 따라 전체 인구에서 고령자 비율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보호, 관리, 치료가 필요한 노인들도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Lifespan is continuously increasing due to improved eating habits and advances in medical technology. As a result, the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in the total popul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As the population ages,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who need protection, care, and treatment is increasing.

사회, 경제, 문화적 변화로 인해 혼자 생활하는 독거 노인의 수도 늘어나고 있으며 노인들 중 독거 노인의 비중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노인들의 치매 유병률도 지속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The number of elderly living alone living alone due to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hanges is increasing, and the proportion of elderly living alone among the elderly is expected to increase continuously. As the aging process continues,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the elderly is on the rise.

혼자 사는 독거 노인과 치매 노인들은 지속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대상자이나 그 관리가 용이치 않은 게 현 실정이다. 사회복지사나 요양사 등이 독거 노인이나 치매 노인 등을 관리하고 있으나 관리 요원의 수가 부족하여 많은 독거 노인과 치매 노인들이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demented elderly living alone are in need of continuous care and management, but the management is not enough. Although social workers and nursing homes are managing the elderly living alone or the elderly with dementia, many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demented elderly people are neglected because of lack of management personnel.

일부 노약자를 대상으로 노약자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이나 기기 등이 알려져 있다. 기존 노약자 관리 시스템은 노약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GPS 모듈, 통신 모듈 등을 구비하여 GPS 모듈을 통해 결정된 위치를 부모, 자식 등 관리자(보호자)의 스마트폰으로 알려주도록 구성된다. Systems and devices for monitoring elderly people are known to some elderly people. The existing senior citizen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GPS module and a communication module so as to monitor the position of the aged person, and is configured to notify the location determined by the GPS module to a smartphone of a parent (guardian) such as a parent or a child.

기존 노약자 관리 시스템은 노약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나 노인의 활동상 또는 건강상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 The existing elderly care management system can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elderly,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derly can not grasp the activity state or health abnormality state in real time.

즉, 위치뿐 아니라 노인에게 닥칠 수 있는 외부 비상상황이나 건강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그 긴급상황을 알수 있도록 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That is, there is a need for an elderly care management system and an elderly care management system that monitors not only the location but also the external emergency situations or health conditions that may be encountered by the elderly, and the emergency situa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독거 노인 또는 치매 노인 등과 같은 노약자의 활동 상태와 건강 상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상태에 따라 노약자의 이상유무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derly person management device for discriminating an aged person, such as an elderly living alone or a demented elderly person, And an aged person management system.

또한, 본 발명은 파악된 이상유무에 따라 긴급상황의 발생시에 지정된 관리자에게 발생된 긴급상황을 자동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nior citizen management device and a senior citizen management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notify an emergency situation generated to a designated manager when an emergency occurs according to a detected abnormality.

또한, 본 발명은 긴급상황 발생에 따른 알림 메시지 전송 후에 지정된 관리자의 단말로부터 전화 호출시 노약자의 관리 디바이스가 자동 착신하여 노약자의 상황을 음성이나 영상을 통해 알릴 수 있도록 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nior citizen management device and a senior citizen management system, which enable a management device of a senior citizen to automatically receive a call from a designated terminal after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an emergency occurs,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은 관리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자동 착신 기능을 이용하여 긴급상황의 발생 유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후속 조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enior citizen management device and a senior citizen management system that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by using an automatic call reception function provided by a management device,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follow- .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는 GPS 신호를 센싱하는 GPS 센서; 피부를 통해 노출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센서; 근거리 통신망를 통해 통신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GPS 신호로부터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GPS 데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측정센서의 생체신호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구성하는 프로세싱 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GPS 데이터 및 상기 생체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망를 통해 로컬 관리 단말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ior management device includes a GPS sensor for sensing a GPS signal; A bio-signal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bio-signal exposed through the skin;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mmunication packet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And a processing unit for composing GPS data capable of specifying a position from the GPS signal and for constructing biometric data from a bio-signal of the measurement sensor, wherein the processing unit transmits the GPS data and the biometric data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To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상기한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센서는 심박측정 센서이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심박측정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심박 생체신호에서 심박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상기 로컬 관리 단말로 출력한다. In the above elderly care management device, the bio-signal measurement sensor is a heart-rate measurement sensor, and the processing unit determines a heart rate in a heartbeat bio-signal output from the heart-rate measurement sensor and transmits biometric data including a determined heart- .

상기한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의 착용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착용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착용센서로부터의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상태 데이터를 구성하여 통신 유닛을 통해 로컬 관리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GPS 데이터, 상기 생체 데이터 및 상기 착용상태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통신 유닛을 통해 로컬 관리 단말로 전송된다.And a wear sensor configured to recognize whether the elder care management device is worn by the elder care management device, wherein the processing unit constructs worn state data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wearer wears the wearer from the signal from the wear sensor And transmits the GPS data, the biometric data, and the worn state data to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GPS data, the biometric data, and the worn state data are periodically transmitted to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손목에 착용 가능한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는 GPS 신호를 센싱하는 GPS 센서; 피부를 통해 노출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센서;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무선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 유닛;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측정 가능한 움직임 센서; 정상 생체 범위, 예정 위치 영역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GPS 신호로부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의 위치를 특정하고 특정된 위치가 예정 위치 영역들 내인지 결정하고 상기 생체신호를 생체 데이터로 변환하고 생체 데이터가 정상 생체 범위 내인지를 결정하며 상기 움직임 센서의 움직인 신호부터 움직임 이상을 결정하는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특정된 위치가 예정 위치를 벗어나거나 변환된 생체 데이터가 정상 생체 범위를 벗어나거나 움직임 이상이 감지된 경우 비상상황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광대역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rist-wearable elderly care device includes a GPS sensor for sensing a GPS signal; A bio-signal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bio-signal exposed through the skin;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packet through a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A motion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 motion of the elderly care apparatus; A memory for storing normal body regions, predetermined position regions; And determining a location of the elder care management device from the GPS signal and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ed location is within the predetermined location areas, converting the bio signal into biometric data, determining whether biometric data is within a normal biometric range, An alarm indicating an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specified position is out of the predetermined position or the converted biometric data is out of the normal living range or a motion abnormality is detected, Message to a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한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노출된 외부 이미지를 캡쳐링하는 이미지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알림 메시지의 관리 서버로의 전송에 후속하여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을 통해 수신된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The above elderly person manage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And an image sensing unit for capturing the exposed external image, wherein the processing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voice and image data received via the microphone and the image sensing unit to the management server, To the management server.

상기한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전화 접속이 허용된 전화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전화번호 리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광대역 통신망을 통한 전화 호출(call)시 호출한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에 자동으로 착신하여 자동 전화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above-mentioned elderly care manage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telephone number list including at least one telephone number for which dial-up is allowed, and the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telephone number dialed during a telephone call through the broad- When the telephone number list is included in the telephone number list, an automatic telephone call is established.

상기한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노출된 외부 이미지를 캡쳐링하는 이미지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자동 전화 접속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을 통해 수신된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전화 접속한 기기로 송출하고 전화 접속한 기기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The above elderly person manage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And an image sensing unit for capturing the exposed external image, wherein the processing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voice and image data received via the microphone and the image sensing unit to the digital camera through a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And outputs the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telephone-connected device through the speaker.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노약자 관리 시스템은 상기한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로부터 GPS 데이터 및 생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로컬 관리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로컬 관리 단말은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를 착용한 노약자의 정상 생체 범위 및 예정 위치 영역들을 설정하고 수신된 GPS 데이터로부터의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가 예정 위치 영역들 내인지 결정하고 상기 생체 데이터가 정상 생체 범위 내인지를 결정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예정 위치를 벗어나거나 정상 생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광대역 통신망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derly ca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elderly care management device described above; And a local management terminal connected to the elderly management device via a local area network and capable of receiving GPS data and biometric data from the elderly management device, wherein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comprises a normal living range of the elderly person wearing the elderly management device And predetermine location areas,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device from the received GPS data is within the predetermined location areas, determine whether the biometric data is within the normal biometric range, An alarm message is generated and outputted to a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상기한 노약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컬 관리 단말은 지정 시간동안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통신 패킷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출력하고 구비된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통해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 In the above-described elderly person management system, when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fails to receive a communication packet from the device for a designated time,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generates an alarm message, outputs the alarm message through a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and outputs a warning signal through a display and a speaker.

상기한 노약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상기 로컬 관리 단말에 연결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로컬 관리 단말로부터의 알람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수신된 알람 메시지를 상기 로컬 관리 단말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단말로 상기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And a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through a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alarm message from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and transmits the received alarm message to the local To the one or more terminals designated to the management terminal through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상기한 노약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를 착용한 노약자의 정상 생체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로컬 관리 단말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복수 회 생체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고 복수의 생체 데이터로부터 기준 생체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기준 생체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정상 생체 범위로 결정한다.In the above-described elderly person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set the normal living range of the elderly person wearing the elderly care management device,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receives biometrics data from the device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a plurality of times, And determines a range including the determined reference biometric value as a normal biometric range.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노약자 관리 시스템은 상기한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lderly ca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mentioned elder care management device.

상기한 노약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는 구비된 움직임 센서를 통해 움직임 이상을 결정한 경우 움직임 이상에 따른 알람 메시지를 전화 호출을 통해 구비된 메모리에 설정된 연락처로 전송한다.In the above-described elderly person management system, when the elderly person management device determines a motion abnormality through the provided motion sensor, the elderly person management device transmits an alarm message according to motion abnormality to a contact set in a memory provided through a telephone call.

상기한 노약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로부터의 알람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수신된 알람 메시지를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단말로 상기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And a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elderly management device via a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an alarm message from the elderly management device, and transmits the received alarm message to the aged person To the one or more terminals designated to the management device through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상기한 노약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상 생체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생체신호 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복수의 생체신호를 복수의 생체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복수의 생체 데이터로부터 기준 생체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기준 생체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정상 생체 범위로 결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In the above-described elder people management system, the elderly care management device converts a plurality of living body signals measured through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ing sensor into a plurality of living body data to set a normal living body range stored in the memory, Determines a reference biometric value from the biometric data, determines a range including the determined reference biometric value as a normal biometric range, and stores it in the memor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은 독거 노인 또는 치매 노인 등과 같은 노약자의 활동 상태와 건강 상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상태에 따라 노약자의 이상유무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elderly care management device and the elderly ca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ve the effect of discriminating the activity state and the health state of the elderly such as the elderly living alone or the demented elderly person and discriminating the elderly person's abnormality according to the identified state .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은 파악된 이상유무에 따라 긴급상황의 발생시에 지정된 관리자에게 발생된 긴급상황을 자동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elderly care management device and the elderly ca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ve the effect of automatically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generated to a designated administrator when an emergency occurs according to the detected abnormality.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은 긴급상황 발생에 따른 알림 메시지 전송 후에 지정된 관리자의 단말로부터 전화 호출시 노약자의 관리 디바이스가 자동 착신하여 노약자의 상황을 음성이나 영상을 통해 알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derly care management device and the elderly ca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receive the management device of the aged person at the time of the telephone call from the terminal of the designated manager after the transmission of the notification message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So that it can be informed through the Internet.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은 관리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자동 착신 기능을 이용하여 긴급상황의 발생 유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후속 조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elderly care device and the elderly ca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or not an emergency has occurred by using the automatic call receiving function provided by the management device,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follow- .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노약자 관리를 위한 노약자 관리 시스템에 구성되는 장치 간 연결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관리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관리 디바이스의 다른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노약자 관리를 위한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노약자 관리를 위한 다른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apparatuses constituted in the elderly person management system for the elderly persons management.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block diagram of a management devic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emplary block diagram of a management device.
4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control flow for the elderly ca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emplary control flow for the elderly care.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It can be easily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노약자 관리를 위한 노약자 관리 시스템에 구성되는 장치 간 연결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apparatuses constituted in the elderly person management system for the elderly persons management.

도 1의 예와 같이 노약자 관리 시스템은 노약자 관리에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관리 디바이스(100), 관리 서버(300) 및 알람 수신 단말(400)을 포함하고 설계예에 따라 로컬 관리 단말(200)을 더 포함한다. 1, the elderly care management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management device 100, a management server 300, and an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used for managing the elderly person and further includes a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according to a design example .

특정 예의 관리 디바이스(100)(도 1의 'A', 본 타입의 관리 디바이스를 지칭하기 위해 '제1타입 디바이스'라고 지칭할 수도 있음)는 근거리 통신망(600)을 통해 로컬 관리 단말(200)에 연결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의 관리 디바이스(100)(도 1의 'B', 본 타입의 관리 디바이스를 지칭하기 위해 '제2타입 디바이스'라고 지칭할수도 있음)는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관리 서버(300) 등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A particular example of a management device 100 (which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type device' to refer to a management device of this type) is a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via a local area network 600,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Another example of the management device 100 (which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type device' to refer to a management device of this type)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or the like via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500 Various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도 1의 구성요소를 간단히 살펴보면, 관리 디바이스(100)는 관리 대상인 노약자를 관리하기 위한 기기이다. 노약자는 노인, 어린이, 유아, 장애인, 환자 등 보호자 등에 의해 지속적인 관리(care)가 필요한 자를 지칭한다. 관리 디바이스(100)는 관리 대상자의 몸에 휴대하거나 착용하거나 부착 가능한 기기로서 예를 들어 손목 밴드 타입이나 목걸이 타입의 기기일 수 있다.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management device 100 is a device for managing the elderly person to be managed. Elderly person refers to a person who needs continuous care by an elderly person, child, infant, disabled person, patient, etc. The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for example, a wrist band type or a necklace type device as a device that can be carried, worn or attached to the body of the person to be managed.

관리 디바이스(100)는 관리 대상자의 몸에 밀착하여 각종 생체신호를 센싱할 수 있고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관리 디바이스(100)는 생체신호 측정 센서(103; 도 2 참조)로서 심박측정 센서와 GPS 센서(101)를 구비하는 손목 밴드 타입의 기기로 구성되어 관리 디바이스(100)에 접촉하고 있는 손목에서 심박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관리 디바이스(100)는 노약자 등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GPS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device 100 is configured to closely contact the body of the management subject and to sense various bio-signals and to receive GPS signals. For example, the management device 100 may include a wrist band type device having a heart rate sensor and a GPS sensor 101 as a bio-signal measurement sensor 103 (see Fig. 2) It is configured to measure cardiac bio-signals from the wrist. The management device 100 may sense the GPS signal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elderly or the like.

제1타입 디바이스(100)는 생체신호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구성하고 GPS 신호로부터 GPS 데이터를 구성하여, 구성된 생체 데이터와 GPS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망(600)을 통해 연결된 로컬 관리 단말(200)로 지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first type device 100 constructs biometric data from a bio-signal and constructs GPS data from the GPS signal. The first type device 100 generates biometric data and GPS data in a period designated by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connected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600 Can be periodically transmitted.

제2타입 디바이스(100)는 생체신호를 생체 데이터로 변환하고 GPS 신호로부터 위치를 특정하여 관리 디바이스(100)의 관리 대상자의 비상상황(이상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비상상황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알람 메시지를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관리 서버(300) 및/또는 알람 수신 단말(4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The second type device 100 converts an in-vivo signal into biometric data and determines an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abnormal situation) of the management target of the management device 100 by specifying a position from the GPS signal, and generates an alarm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 or the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via the broadband network (500).

제1타입 디바이스(100)는 간단한 구성으로 로컬 관리 단말(200)에 의해 각종 설정이나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제2타입 디바이스(100)는 로컬 관리 단말(200)의 중재없이 직접 각종 비상상황을 인식하여 노약자 등의 불의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type device 100 can be variously set and managed by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in a simple configuration and the second type device 100 can recognize various emergency situations directly without intervention of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So as to prevent unexpected accidents such as the elderly.

관리 디바이스(100)에 대해서는 도 2 이하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The management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로컬 관리 단말(200)은 근거리 통신망(600)을 통해 제1타입 디바이스(100)에 연결되어 제1타입 디바이스(100)로부터 측정하거나 센싱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로컬 관리 단말(200)은 무선의 근거리 통신망(600)을 통해 제1타입 디바이스(100)와 통신 채널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해 약속된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GPS 데이터와 생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type device 100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600 and receives various data measured or sensed from the first type device 100. For example,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first type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600 and repeatedly transmits GPS data and biometric data .

로컬 관리 단말(200)은 AP(Application Processor), 비휘발성 메모리, 광대역 통신망(500)에 연결되기 위한 통신 칩셋,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하여 제1타입 디바이스(100)와의 통신과 데이터 수신에 기초하여 제1타입 디바이스(100)를 이용하고 있는 관리 대상자(예를 들어 어린이, 노인, 장애인,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includes an application processor (AP), a nonvolatile memory, a communication chipset for connecting to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500, a speaker, a display, and the like, (For example, a child, an elderly person, a person with a disability, a patient) using the first type device 100, and monitors and manages the state of the first person.

로컬 관리 단말(200)에 관해서는 도 4를 통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관리 서버(300)는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로컬 관리 단말(200) 및/또는 제2타입 디바이스(100)에 연결된다. The management server 300 is connected to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and / or the second type device 100 through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500.

관리 서버(300)는 구비된 하드디스크 등에 노약자 관리 DB를 구성하고 노약자 관리 DB는 복수의 사용자 엔트리를 포함한다. 각각의 사용자 엔트리는 노약자 식별자, 노약자 정보,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유형, 유형에 따른 로컬 관리 단말 식별자, 관리 디바이스 식별자, 알람 수신자 식별자, 알람 수신 단말(400)들의 식별자, 예정 위치 영역들, 정상 생체 범위 등을 포함한다. The management server 300 configures the elderly care DB in a hard disk or the like, and the elderly care DB includes a plurality of user entries. Each user entry includes an elderly person identifier, a senior citizen information, a senior management device type, a type of local management terminal identifier, a management device identifier, an alarm recipient identifier, an identifier of the alarm receiving terminals 400, .

각각의 사용자 엔트리의 각종 식별자와 예정 위치 영역들은 노약자의 보호자 등에 의해서 설정되고 예를 들어 보호자가 휴대하는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등과 같은 알람 수신 단말(400)을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The various identifiers and the predetermined position areas of each user entry may be set by an aged person's caregiver or the like and set using an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such as a personal computer, smart phone or the like carried by a protector, for example.

관리 서버(300)는 노약자 관리 DB의 사용자 엔트리를 이용하여 관리 디바이스(100), 로컬 관리 단말(200), 알람 수신 단말(400) 등과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되는 데 사용자 엔트리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노약자 식별자는 관리 대상자인 노약자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노약자 식별자는 예를 들어 이름, 주민번호, 사회보장번호, 주소 등을 포함한다. The management server 300 is configured to interface with the management device 100,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and the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using the user entry of the elderly management DB. More specifically, The identifier is data for identifying the elderly person to be managed. The elderly person identifier includes, for example, a name, a social security number, a social security number, an address, and the like.

노약자 정보는 노약자의 나이, 병력, 특이사항 등을 포함한다.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유형은 관리 대상자인 노약자가 착용, 휴대하고 있는 관리 디바이스(100)의 유형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제1타입 또는 제2타입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The information on the elderly includes the age, medical history, and uniqueness of the elderly. The elderly care device type is data representing the type of the management device 100 worn and carried by the elderly person to be managed, for example, the first type or the second type.

로컬 관리 단말 식별자는 로컬 관리 단말(200)을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로컬 관리 단말(200)의 맥(MAC)주소, IP 주소, 전화번호(휴대) 등이거나 로컬 관리 단말(200)을 통한 관리 서버(300)로의 로그인시 이용되는 로그인 ID 및/또는 패스워드 등일 수 있다. 관리 디바이스(100)의 유형(제2타입)에 따라 본 로컬 관리 단말 식별자는 엔트리에서 생략될 수 있다.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identifier is data for identifying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for example, a MAC address, an IP address, a telephone number (portability) of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A login ID and / or a password used when logging into the management server 300 via the Internet. Depending on the type (second type) of the management device 100, this local management terminal identifier may be omitted from the entry.

관리 디바이스 식별자는 관리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맥(MAC)주소, IP주소, 전화번호(휴대) 등일 수 있다. 관리 디바이스(100)의 유형에 따라(제1타입) 본 관리 디바이스(100) 식별자는 생략될 수도 있다. The management device identifier is data for identifying the management device, for example, a MAC address, an IP address, a telephone number (portable),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management device 100, the identifier of the management device 100 (the first type) may be omitted.

알람 수신자 식별자는 관리 대상자인 노약자 등에게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비상상황의 발생 등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수신할 대상자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알람 수신자는 예를 들어 관공서, 가족, 보호자를 나타내고 알람 수신자 식별자는 예를 들어 이름(명칭), 주민번호, 주소 등을 포함한다. The alarm receiver identifier is data for identifying a person to receive an alarm message indicating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or the lik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ituation to the elderly person as a management subject. The alarm receiver indicates, for example, a government office, a family, or a guardian, and the alarm receiver identifier includes, for example, a name (name), a resident number, an address, and the like.

알람 수신 단말(400)들의 식별자는 알람 수신자가 이용하는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알람 수신 단말(400)들은 여러 개 존재할 수 있고 알람 수신 단말(400)의 식별자는 예를 들어 맥(MAC)주소, IP주소, 전화번호(휴대) 등일 수 있다. The identifier of the alarm receiving terminals 400 is data for identifying the terminal used by the alarm receiver. There may be a plurality of alarm receiving terminals 400 and an identifier of the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may be, for example, a MAC address, an IP address, a telephone number (portable), and the like.

예정 위치 영역들 각각은 관리 대상자인 노약자가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거나 허용된 공간 영역을 나타낸다. 예정 위치 영역은 보호자의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등과 같은 알람 수신 단말(400)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예정 위치 영역은 주소, 위도와 경도의 좌표 영역(직사각형) 등으로 표현될 수 있고 노약자가 위치하거나 허용되거나 방문이 예정된 특정 공간을 나타낸다. Each of the prospective location areas represents a space area that is expected or permitted to be located by the elderly person to be managed. The prospective location area may be set via an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such as a guardian's personal computer, smart phone or the like. The prospective location area can be represented by an address, a coordinate area (latitude) of latitude and longitude, etc., and indicates a specific space in which the elderly person is located, permitted or scheduled to be visited.

정상 생체 범위는 관리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로부터 결정되는 생체 데이터의 정상 범위를 나타낸다. 관리 디바이스(100)가 측정한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생체 데이터가 이 정상 생체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노약자가 정상적인 생체 상태를 현재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정상 생체 범위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혈압에 대한 정상 범위이거나 심박수에 대한 정상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정상 생체 범위는 관리 디바이스(100)를 통해 수신되어 엔트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The normal living range indicates the normal range of the living body data determined from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ement sensor 103 provided in the management device 100. [ If the biometric data corresponding to the biometric signal measured by the management device 100 is included in the normal biometric range, the elderly person can be regarded as having a normal biometric status at present. The normal living range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for example, a normal range for blood pressure or a normal range for heart rate. The normal biometric range may be received via the management device 100 and stored in the entry.

관리 서버(300)는 로컬 관리 단말(200) 및/또는 제2타입 디바이스(100)로부터 알람 메시지를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수신하고 로컬 관리 단말(200) 및/또는 제2타입 디바이스(100)에 대응하는 알람 수신 단말(400)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300)는 알람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이나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노약자 관리 DB의 사용자 엔트리를 검색한다. 검색된 사용자 엔트리에서 알람 수신 단말(400)들의 식별자를 추출하고 알람 수신 단말(400)들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알람 수신 단말(400)로 알람 메시지를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전송한다. The management server 300 receives the alarm message from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and / or the second type device 100 via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500 and transmits the alarm message to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and / or the second type device 100 The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corresponding to the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is determined.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300 searches the user entry of the elderly person management DB using the identifier of the terminal or device that transmitted the alarm message. The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extracts the identifiers of the alarm receiving terminals 400 from the retrieved user entry and transmits the alarm message to the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through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500 using the identifiers of the alarm receiving terminals 400.

알람 수신 단말(400)은 관리 디바이스(100)를 휴대, 착용하고 있는 노약자로부터의 이상상황(비상상황)을 보고받을 수 있는 자가 이용가능한 단말이다. 알람 수신 단말(400)은 예를 들어 소방서, 사회복지기관, 경찰서 등에 설치되거나 휴대하는 개인용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폰, 전용 휴대 단말이거나 노약자의 보호자(가족)가 휴대하거나 이용가능한 개인용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The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is a terminal that can receive and report an abnormal situation (emergency situation) from a senior citizen carrying the management device 100 and wearing it. The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may be a personal computer,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dedicated portable terminal installed in or carried by a fire station, a social welfare institution, a police station, a personal computer carried or usable by a guardian (family member) Smartphone, and the like.

알람 수신 단말(400)은 알람 메시지를 관리 서버(300)를 통해 또는 관리 디바이스(100)(제2타입 디바이스(100))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알람 메시지를 구비된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하여 보호자에게 비상상황의 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can receive an alarm message directly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or from the management device 100 (the second type device 100) and can display a display or a speaker equipped with the received alarm message So that the guardian can be notified of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situation.

광대역 통신망(500)은 로컬 관리 단말(200), 제2타입 디바이스(100), 알람 수신 단말(400), 관리 서버(300) 등에 연결되어 통신 패킷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광대역 통신망(500)은 인터넷망, 이동통신사업자에 의해서 제공되는 무선의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한다.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500 is connected to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the second type device 100, the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and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data through communication packets.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500 includes an Internet network,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and the like.

근거리 통신망(600)은 로컬 관리 단말(200), 제1타입 디바이스(100) 등에 연결되어 통신 패킷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근거리 통신망(600)은 무선의 근거리 통신망(60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지그비,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 근거리 통신 기술로 구현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The local area network 600 is connected to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the first type device 100, and the like, and transmits / receives various data through communication packets. The local area network 600 may be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600 and may be, for example, a network implemented with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ZigBee, Bluetooth, WiFi, and the like.

도 2는 관리 디바이스(1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management device 100. FIG.

도 2는 제1타입 디바이스(100)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따르면 관리 디바이스(100)는 GPS 센서(101),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 측정센서(103), 착용 센서(105), 움직임 센서(107), 충격 센서(108), 통신 유닛(117), 안테나(119), 메모리(115) 및 프로세싱 유닛(121)을 포함한다. 제1타입의 본 관리 디바이스(100)는 손목, 발목, 허벅지 등에 찰 수 있는 스마트 밴드로 구성되거나 목에 걸 수 있는 목걸이로 구성될 수 있다. 2 shows an exemplary hardware block diagram of a first type device 100. As shown in FIG. 2, the management device 100 includes a GPS sensor 101, at least one living body signal measurement sensor 103, a wear sensor 105, a motion sensor 107, an impact sensor 108, a communication unit 117, An antenna 119, a memory 115 and a processing unit 121. [ The first type of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a smart band that can be worn on the wrist, ankle, thigh, or a necklace that can hang on the neck.

GPS 센서(101)는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신호들을 센싱한다. GPS 센서(101)는 센싱된 GPS 신호, GPS 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 또는 여러 GPS 신호로부터 결정되는 위도, 경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GPS 데이터를 프로세싱 유닛(121)으로 출력할 수 있다. The GPS sensor 101 senses GPS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GPS satellites. The GPS sensor 101 may output GPS data including the sensed GPS signal, digital data corresponding to the GPS signal, or latitude and longitude data determined from various GPS signals to the processing unit 121. [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는 손목, 발목, 허벅지, 목 등의 피부를 통해 노출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는 착용한 관리 대상자의 심박(수)을 측정할 수 있는 심박측정 센서일 수 있다. 또는(나아가) 생체신호 측정 센서는 착용한 관리 대상자의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혈압측정 센서일 수 있다. The at least one living body signal measurement sensor 103 measures a living body signal exposed through the skin of the wrist, ankle, thigh, neck, etc. and outputs the measured living body signal. For example, one bio-signal measurement sensor 103 may be a heart-rate measurement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heart rate (number) of a wearer to be worn. Alternatively (or further), the bio-signal measuring sensor may be a blood pressure measuring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blood pressure of the wearer.

착용 센서(105)는 관리 디바이스(100)의 착용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착용 센서(105)는 예를 들어 피부측 방향으로 돌출된 푸쉬 스위치를 구비하여 푸쉬 스위치의 눌림을 인식하여 눌림 신호(예를 들어 3.3V 신호)를 출력하거나 온도 센서를 구비하여 피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신호를 측정하거나 근접 센서를 구비하여 근접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착용 센서(105)는 관리 대상자의 관리 디바이스(100) 착용 여부를 센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wear sensor 105 enables recognition of whether the management device 100 is worn or not. The wear sensor 105 is provided with a push switch protruding in the skin direction, for example, to detect the push of the push switch and output a push signal (for example, a 3.3V signal) or a temperature sensor And is configured to measure a temperature signal or to detect proximity by using a proximity sensor. As described above, the wear sensor 105 is configured to sense whether the management subject wears the management device 100 or not.

움직임 센서(107)는 관리 대상자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움직임 센서(107)는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이다. 가속도 센서는 관리 대상자에 대해 측정된 가속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가속도 신호를 통해 낙상, 추락 등의 비상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motion sensor 107 can sense the movement of the management subject. The motion sensor 107 is, for example, an acceleration sensor. The acceleration sensor can output the measured acceleration signal to the supervisor and can recognize the emergency situation such as falling or falling through the acceleration signal.

충격 센서(108)는 관리 대상자가 받는 충격을 센싱한다. 충격 센서(108)는 낙상, 추락 등에 의해서 관리 대상자가 받는 충격량, 충격량의 범위, 또는 설정된 충격량의 도달여부를 나타내는 충격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impact sensor 108 senses the impact of the management subject. The impact sensor 108 can output an impact signal indicating a range of the amount of impact, the amount of impact, or the arrival of the set amount of impact received by the person to be supervised by falling or falling.

통신 유닛(117)은 근거리 통신망(600)을 통해 무선의 통신 패킷을 송수신한다. 통신 유닛(117)은 지정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를 들어 지그비,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 칩셋을 구비하여 지정된 무선 통신 방식에 따른 신호를 인코딩하고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The communication unit 117 transmits and receives wireless communication packets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600. The communication unit 117 is configured to encode and decode a signal according to a designated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by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set for performing a designat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for example, ZigBee, Bluetooth, WiFi, etc.).

안테나(119)는 통신 유닛(117)에 연결되어 통신 유닛(117)으로부터 출력되는 통신 신호를 무선 신호로 송출하고 무선 신호를 캡쳐링하여 캡쳐링된 신호를 통신 유닛(117)으로 전달한다. 안테나(119)는 지정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적합하도록 설계된다. The antenna 119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17 to transmit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7 as a radio signal, and captures a radio signal to transmit the captured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117. The antenna 119 is designed to be suitable for the designat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메모리(115)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115)는 적어도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비휘발성 메모리는 관리 디바이스(100)에서 관리 대상자인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Memory 115 includes volatile memory and / or non-volatile memory. The memory 115 includes at least a nonvolatile memory and the nonvolatile memory stores a monitoring program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user who is the management target in the management device 100. [

프로세싱 유닛(121)은 프로그램의 명령어 코드를 수행하는 실행 유닛(Execution Unit)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메모리(115)에 저장되어 있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 디바이스(100)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한다. The processing unit 121 includes at least one execution unit for executing a command code of a program to load a monitoring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15 and to execute a function assigned to the management device 100 .

프로세싱 유닛(121)은 예를 들어 CPU, MPU, 마이컴, 프로세서, AP(Application Processor) 등이거나 지칭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특정 칩셋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이 칩셋은 또한 다른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는 데 프로세싱 유닛(121)을 내장하고 있는 칩셋은 메모리(115), 통신 유닛(117) 등이나 다른 센서를 더 내장할 수 있다. The processing unit 121 may be, for example, a CPU, an MPU, a microcomputer, a processor, an application processor (AP), or the like. The processing unit 121 may be embedded within a particular chipset. The chipset may further include other blocks, and the chipset having the processing unit 121 incorporated therein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115, a communication unit 117, or other sensor.

프로세싱 유닛(121)은 메모리(115)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관리 대상자의 모니터링에 이용될 각종 데이터를 구성하여 통신 유닛(117)을 통해 로컬 관리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processing unit 121 loads the monitoring program of the memory 115 and constructs various data to be used for monitoring the management subject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7. [

프로세싱 유닛(121)은 GPS 센서(101)의 GPS 신호로부터 관리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GPS 데이터를 구성하고 생체신호 측정센서(103) 각각으로부터의 생체신호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구성한다. The processing unit 121 constructs GPS data that can specify the position of the management device 100 from the GPS signal of the GPS sensor 101 and constructs biometric data from the biometric signal from each of the biometric signal measurement sensors 103 .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GPS 센서(101)를 통해 인식되는 여러 GPS 위성과의 거리에 따라 관리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결정한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관리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도와 경도를 GPS 신호로부터 특정할 수 있다. 특정된 위도와 경도 데이터 또는 특정된 위도와 경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GPS 데이터에 포함된다.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21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various GPS satellites recognized through the GPS sensor 101. [ The processing unit 121 may specify from the GPS signal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anagement device 100. [ The specified latitude and longitude data or data representing the specified latitude and longitude are included in the GPS data.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각각의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로부터 출력된 생체신호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구성한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심박측정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심박 생체신호에서 심박수를 결정하고 이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혈압측정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혈압 생체신호에서 혈압수치를 결정하고 이 혈압수치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21 constructs biometric data from the biometric signals output from the respective bio-signal measurement sensors 103. The processing unit 121 can determine the heart rate in the heartbeat bio-signal output from the heart rate measurement sensor and configure biometric data including the heart rate. The processing unit 121 can determine the blood pressure value from the blood pressure bio-signal output from the blood pressure measurement sensor and construct biometric data including the blood pressure value.

프로세싱 유닛(121)은 구성된 GPS 데이터 및 생체 데이터를 무선 패킷 내에 같이 또는 개별적으로 구성하여 지정된 송출 주기(예를 들어, 메모리(115)에 저장되어 있는 주기값, 1분, 30분 등)에 따라 주기적으로 통신 유닛(117)을 통해 근거리 통신망(600)으로 연결되는 로컬 관리 단말(200)로 출력한다. The processing unit 121 may configure the configured GPS data and the biometric data either in the wireless packet either individually or in accordance with a specified dispatch cycle (e.g., a cycle value stored in the memory 115, 1 minute, 30 minutes, etc.) To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connected to the local area network 6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7 periodically.

또한, 프로세싱 유닛(121)은 착용 센서(105)로부터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고 관리 대상자가 본 관리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지를 판단한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판단에 따라 착용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상태 데이터를 구성하고 이 착용상태 데이터를 무선 패킷으로 통신 유닛(117)을 통해 로컬 관리 단말(200)로 전송한다. Also, the processing unit 121 receives a signal from the wear sensor 105 to detect whether it is worn or not, and determines whether the management subject wears the present management device 100. [ The processing unit 121 constructs worn-out data indicating whether or not to wear the worn-out ward according to the judgment, and transmits the worn-out state data to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via the communication unit 117 as a wireless packet.

또한, 프로세싱 유닛(121)은 움직임 센서(107)로부터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움직임 신호에 기초하여 움직임 상태 데이터를 구성한다. 움직임 상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측정된 가속도 데이터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rocessing unit 121 receives the motion signal from the motion sensor 107 and constructs the motion state data based on the received motion signal. The motion state data includes, for example, measured acceleration data.

또한, 프로세싱 유닛(121)은 충격 센서(108)로부터 충격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충격 신호에 기초하여 충격 상태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unit 121 may receive the impact signal from the impact sensor 108 and configure the impact condition data based on the received impact signal.

GPS 데이터, 생체 데이터, 움직임 상태 데이터, 충격 상태 데이터 및/또는 착용상태 데이터는 지정된 송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통신 유닛(117)을 통해 로컬 관리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The GPS data, the biometric data, the movement state data, the impact state data, and / or the wear state data may be periodically transmitted to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via the communication unit 117 according to the designated transmission period.

도 3은 관리 디바이스(100)의 다른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emplary block diagram of the management device 100. FIG.

도 3은 제2타입 디바이스(100)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따르면 관리 디바이스(100)는 GPS 센서(101),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 측정센서(103), 착용 센서(105), 움직임 센서(107), 충격 센서(108), 마이크(109), 스피커(111), 이미지 센싱 유닛(113), 통신 유닛(117), 안테나(119), 메모리(115) 및 프로세싱 유닛(121)을 포함한다. 제2타입의 본 관리 디바이스(100)는 손목, 발목, 허벅지 등에 찰 수 있는 스마트 밴드로 구성되거나 목에 걸 수 있는 목걸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관리 디바이스(100)는 바람직하게는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 워치이다. FIG. 3 shows an exemplary hardware block diagram of a second type device 100. As shown in FIG. 3, the management device 100 includes a GPS sensor 101, at least one living body signal measurement sensor 103, a wear sensor 105, a motion sensor 107, an impact sensor 108, a microphone 109, An image sensing unit 113, a communication unit 117, an antenna 119, a memory 115 and a processing unit 121. [ The second type of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a smart band that can be worn on the wrist, ankle, thigh, or a necklace that can hang on the neck. The present management device 100 is preferably a smart watch that can be worn on the wrist.

GPS 센서(101)는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신호들을 센싱한다. GPS 센서(101)는 센싱된 GPS 신호, GPS 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 또는 여러 GPS 신호로부터 결정되는 위도, 경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GPS 데이터를 프로세싱 유닛(121)으로 출력할 수 있다. The GPS sensor 101 senses GPS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GPS satellites. The GPS sensor 101 may output GPS data including the sensed GPS signal, digital data corresponding to the GPS signal, or latitude and longitude data determined from various GPS signals to the processing unit 121. [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는 손목, 발목, 허벅지, 목 등의 피부를 통해 노출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는 착용한 관리 대상자의 심박(수)을 측정할 수 있는 심박측정 센서일 수 있다. 또는(나아가) 생체신호 측정 센서는 착용한 관리 대상자의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혈압측정 센서일 수 있다. The at least one living body signal measurement sensor 103 measures a living body signal exposed through the skin of the wrist, ankle, thigh, neck, etc. and outputs the measured living body signal. For example, one bio-signal measurement sensor 103 may be a heart-rate measurement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heart rate (number) of a wearer to be worn. Alternatively (or further), the bio-signal measuring sensor may be a blood pressure measuring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blood pressure of the wearer.

착용 센서(105)는 관리 디바이스(100)의 착용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착용 센서(105)는 예를 들어 피부측 방향으로 돌출된 푸쉬 스위치를 구비하여 푸쉬 스위치의 눌림을 인식하여 눌림 신호(예를 들어 3.3V 신호)를 출력하거나 온도 센서를 구비하여 피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신호를 측정하거나 근접 센서를 구비하여 근접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착용 센서(105)는 관리 대상자의 관리 디바이스(100) 착용 여부를 센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wear sensor 105 enables recognition of whether the management device 100 is worn or not. The wear sensor 105 is provided with a push switch protruding in the skin direction, for example, to detect the push of the push switch and output a push signal (for example, a 3.3V signal) or a temperature sensor And is configured to measure a temperature signal or to detect proximity by using a proximity sensor. As described above, the wear sensor 105 is configured to sense whether the management subject wears the management device 100 or not.

움직임 센서(107)는 관리 대상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움직임 센서(107)는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이다. 가속도 센서는 관리 대상자에 대해 측정된 가속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가속도 신호를 통해 낙상, 추락 등의 비상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motion sensor 107 can measure the movement of the management subject. The motion sensor 107 is, for example, an acceleration sensor. The acceleration sensor can output the measured acceleration signal to the supervisor and can recognize the emergency situation such as falling or falling through the acceleration signal.

충격 센서(108)는 관리 대상자가 받는 충격을 센싱한다. 충격 센서(108)는 낙상, 추락 등에 의해서 관리 대상자가 받는 충격량, 충격량의 범위, 또는 설정된 충격량의 도달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impact sensor 108 senses the impact of the management subject. The impact sensor 108 can output a signal indicating the amount of impact, the range of the amount of impact, or the arrival of the set amount of impact received by the management subject by falling or falling.

마이크(109)는 관리 디바이스(100) 외부의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마이크(109)는 진동판 등을 구비하여 진동을 대응하는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The microphone 109 receives a voice signal outside the management device 100. The microphone 109 includes a diaphragm or the like to convert the vibration into a corresponding electrical voice signal and output it.

스피커(111)는 관리 디바이스(100) 외부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The speaker 111 outputs a voice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management device 100.

이미지 센싱 유닛(113)은 관리 디바이스(100) 외부의 노출된 이미지를 캡쳐링한다. 이미지 센싱 유닛(113)은 카메라 렌즈,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센서)를 구비하여 카메라 렌즈를 통해 노출된 이미지를 카메라 센서를 통해 캡쳐링하고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 센싱 유닛(113)은 정지 영상 및/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image sensing unit 113 captures an exposed image outside the management device 100. The image sensing unit 113 includes a camera lens and a camera sensor (for example, a CCD or a CMOS sensor) to capture an image exposed through a camera lens through a camera sensor and output an image signal. The image sensing unit 113 is configured to capture a still image and / or a moving image.

통신 유닛(117)은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무선 패킷을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 유닛(117)은 무선 통신 방식(예를 들어 와이파이, 이동통신 기술방식(CDMA, GSM 등) 등)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 칩셋을 구비하여 지정된 무선 통신 방식에 따른 신호를 인코딩하고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The communication unit 117 transmits and receives wireless packets through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50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7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set for perform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for example, Wi-Fi, a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scheme (CDMA, GSM, etc.)) and encodes a signal according to a designated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Respectively.

안테나(119)는 통신 유닛(117)에 연결되어 통신 유닛(117)으로부터 출력되는 통신 신호를 무선 신호로 송출하고 무선 신호를 캡쳐링하여 캡쳐링된 신호를 통신 유닛(117)으로 전달한다. 안테나(119)는 지정 광대역 무선 통신 방식에 적합하도록 설계된다. The antenna 119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17 to transmit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7 as a radio signal, and captures a radio signal to transmit the captured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117. The antenna 119 is designed to be suitable for a designated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메모리(115)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115)는 적어도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비휘발성 메모리는 관리 디바이스(100)에서 관리 대상자인 사용자(노약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저장한다.Memory 115 includes volatile memory and / or non-volatile memory. The memory 115 includes at least a nonvolatile memory and the nonvolatile memory stores a monitoring program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a user (senior citizen) to be managed by the management device 100. [

메모리(115)는 관리 대상자의 모니터링에 이용될 각종 설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15)는 하나 이상의 정상 생체 범위, 예정 위치 영역들, 자동착신 전화번호 리스트, 발신 연락처 리스트를 그 설정 데이터로서 저장한다. The memory 115 stores various setting data to be used for monitoring the management subject. For example, the memory 115 stores one or more normal biometric ranges, predetermined location areas, an automatic incoming phone number list, and an outgoing contact list as its setting data.

각각의 정상 생체 범위는 대응하는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로부터 결정되는 생체 데이터의 정상 범위를 나타낸다. 예정 위치 영역들은 관리 대상자가 위치 가능한 영역을 나타내고 주소, 위도와 경도의 좌표 공간을 표현될 수 있다. 자동착신 전화번호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각각의 전화번호는 자동으로 착신 가능한 전화번호(휴대)를 나타낸다. 발신 연락처 리스트는 비상상황 등의 발생시에 알람 메시지 등을 발신할 연락처를 나타내고 각각의 발신 연락처는 전화번호나 알람 수신 단말(400)이나 관리 서버(300)의 식별자(예를 들어, 맥주소, IP주소, 휴대 전화번호 등)를 나타낼 수 있다. Each normal living range represents the normal range of the living body data determined from the corresponding living-body-signal measurement sensor 103. The predefined location areas represent the area in which the management subject can be located and can be represented by coordinate space of address, latitude and longitude. The automatic forwarding telephone number list includes one or more telephone numbers, and each telephone number automatically indicates an incoming telephone number (portable). The outgoing contact list indicates a contact to which an alarm message or the like is to be transmitted when an emergency occurs or the like and each outgoing contact indicates a telephone number or an identifier of the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or the management server 300 Address, mobile phone number, etc.).

정상 생체 범위, 예정 위치 영역들, 자동착신 전화번호 리스트, 발신 연락처 리스트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되어 메모리(115)에 저장될 수 있다. 정상 생체 범위는 관리 디바이스(100)에 의한 생체 데이터 측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상 생체 범위는 관리 서버(300)로 전송된다. The normal living range, the predetermined location areas, the automatic incoming phone number list, and the outgoing contact list can be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stored in the memory 115. The normal living range may be constituted by the living body data measurement by the management device 100. In this case, the normal living range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프로세싱 유닛(121)은 프로그램의 명령어 코드를 수행하는 실행 유닛(Execution Unit)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메모리(115)에 저장되어 있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모니터링 프로그램과 각종 설정 데이터를 통해 관리 디바이스(100)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한다. The processing unit 121 includes at least one execution unit for executing a command code of a program to load a monitoring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15 and transmits the monitoring program to the management device 100 through a monitoring program and various setting data. As shown in FIG.

프로세싱 유닛(121)은 예를 들어 CPU, MPU, 마이컴, 프로세서, AP(Application Processor) 등이거나 지칭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특정 칩셋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이 칩셋은 또한 다른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는 데 프로세싱 유닛(121)을 내장하고 있는 칩셋은 메모리(115), 통신 유닛(117) 등이나 다른 센서를 더 내장할 수 있다. The processing unit 121 may be, for example, a CPU, an MPU, a microcomputer, a processor, an application processor (AP), or the like. The processing unit 121 may be embedded within a particular chipset. The chipset may further include other blocks, and the chipset having the processing unit 121 incorporated therein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115, a communication unit 117, or other sensor.

프로세싱 유닛(121)에서 이루어지는 주요 기능을 살펴보면, 프로세싱 유닛(121)은 GPS 센서(101)를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하고 GPS 신호를 이용하여 관리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를 특정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GPS 신호의 수신 이벤트에 따라 반복적으로 관리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도 및 경도 데이터를 GPS 신호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main function performed in the processing unit 121, the processing unit 121 receives the GPS signal via the GPS sensor 101 and uses the GPS signal to specify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anagement device 100. [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21 may repeatedly determine latitude and longitude data represen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anagement device 100 from the GPS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reception event of the GPS signal.

프로세싱 유닛(121)은 특정된 현재 위치가 메모리(115)의 예정 위치 영역들 내인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특정된 위도 및 경도 데이터가 어느 한 예정 위치 영역의 좌표 범위 내인지를 판단하여 적어도 하나의 예정 위치 영역 내인 경우 관리 대상자가 지정된 위치 영역에 현재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The processing unit 121 determines whether the specified current position is with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areas of the memory 115. [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21 may determine that the specified latitude and longitude data is within the coordinate range of any one of the predetermined positional areas, and may determine that the managed subject is present in the specified positional area if the data is within the at least one predetermined positional range .

만일, 예정 위치를 벗어나 있는 경우, 프로세싱 유닛(121)은 비상상황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구성하고 구성된 알람 메시지를 발신 연락처 리스트의 발신 연락처로 통신 유닛(117)을 경유하여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전송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현재 특정된 위치(위도 및 경도)를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관리 서버(300) 나아가 지정된 특정 알람 수신 단말(400)로 직접(전화호출) 전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프로세싱 유닛(121)은 관리 서버(300) 등과 통신 채널(예를 들어 전화 연결)을 설정할 수도 있다. If so, the processing unit 121 configures an alarm message indicating an emergency and sends the configured alarm message to the originating contact of the originating contact list via the communication unit 117 via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500 send.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21 may send an alarm message including the currently specified location (latitude and longitude) directly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also to the designated specific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by phone call). In this process, the processing unit 121 may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e.g., a telephone connec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the like.

또한, 프로세싱 유닛(121)은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를 통해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체신호를 생체 데이터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심박측정 센서에서 수신된 심박 생체신호를 생체 데이터인 심박수로 변환하고(거나) 혈압측정 센서에서 수신된 혈압 생체신호를 혈압수치로 변환한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생체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ing unit 121 receives the bio-signal through the bio-signal measurement sensor 103 and converts the bio-signal into the bio-data.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21 converts heartbeat bio-signals received from the heart rate sensor into heart rate data, which is biometric data, and converts the blood pressure bio-signals received from the blood pressure measurement sensor to blood pressure values. The processing unit 121 periodically receives biometric signals and converts them into biometric data in accordance with the set period.

프로세싱 유닛(121)은 변환된 생체 데이터가 대응하는 정상 생체 범위 내인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측정된 심박수가 관리 대상자에 대한 정상 심박수 범위인지를 결정하고(거나) 측정된 혈압수치가 관리 대상자에 대한 정상 혈압 범위인지를 결정한다. The processing unit 121 determines whether the converted biometric data is within the corresponding normal biometric range.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21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heart rate is a normal heart rate range for the caregiver and / or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blood pressure value is a normal blood pressure range for the caregiver.

만일, 측정된 생체 데이터가 정상 생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프로세싱 유닛(121)은 비상상황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구성하고 구성된 알람 메시지를 발신 연락처 리스트의 발신 연락처로 통신 유닛(117)을 경유하여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전송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현재 측정된 생체 데이터(예를 들어 심박수, 혈압수치)를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관리 서버(300) 나아가 지정된 특정 알람 수신 단말(400)로 직접(전화호출) 전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프로세싱 유닛(121)은 관리 서버(300) 등과 통신 채널(예를 들어 전화 연결)을 설정할 수도 있다. If the measured biometric data deviates from the normal living range, the processing unit 121 constructs an alarm message indicating an emergency situation and transmits the configured alarm message to the originating contact of the originating contact list via the communication unit 117, Lt; / RTI >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21 may send an alarm message containing the currently measured biometric data (e.g., heart rate, blood pressure value) directly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also to the designated specific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 In this process, the processing unit 121 may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e.g., a telephone connec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the like.

또한, 프로세싱 유닛(121)은 움직임 센서(107)를 통해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움직임 신호에서 움직임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가속도 센서로부터 가속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속도 신호의 대응 가속도가 설정된 임계 가속도(프로그램 내에 또는 메모리(115)에 설정 데이터로 저장됨)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주기적으로 또는 움직임 센서(107)로부터의 이벤트에 따라 움직임 이상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unit 121 receives the motion signal via the motion sensor 107 and determines whether a motion error has occurred in the received motion signal.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21 receives an acceleration signal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acceleration of the received acceleration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threshold acceleration (stored in the program or in the memory 115 as the setting data). The processing unit 121 may periodically or in response to an event from the motion sensor 107 determine a motion anomaly.

다른 실시 형태로서, 프로세싱 유닛(121)은 움직임 센서(107)로부터 수신되는 움직임 신호와 충격 센서(108)로부터 수신되는 충격 신호를 함께 이용하여 움직임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ing unit 121 uses a mo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motion sensor 107 and an impact signal received from the impact sensor 108 together to determine if motion anomaly has occurred.

상기한 움직임 센서(107)만을 이용하면, 관리 대상자의 정상적인 움직임이면서 임계 가속도를 넘어서는 경우, 오작동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 디바이스를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올린 팔을 급격하게 내리는 경우 움직임 센서(107)만을 이용하면 낙상이 있는 것으로 잘못 판단할 수 있다.If only the motion sensor 107 described above is used, there may be a problem of malfunction if the normal motion of the management subject and the critical acceleration exceed. For example, when the arm is suddenly lowered with the management device worn on the wrist, only the motion sensor 107 can be erroneously determined that there is a fall.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움직임 센서와 충격 센서를 함께 이용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유닛(121)은 수신된 가속도 신호의 대응 가속도가 설정된 임계 가속도(프로그램 내에 또는 메모리(115)에 설정 데이터로 저장됨) 이상이면서, 수신된 충격량이 설정된 임계 충격량(프로그램 내에 또는 메모리(115)에 설정 데이터로 저장됨) 이상인 경우에 움직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otion sensor and an impact sensor together.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21 may determine that the corresponding acceleration of the received acceleration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threshold acceleration (stored in the program or as the setting data in the memory 115) Is stored in the memory 115 as setting data), it is determined that a motion abnormality has occurred.

움직임 이상이 발생한 경우, 프로세싱 유닛(121)은 비상상황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구성하고 구성된 알람 메시지를 발신 연락처 리스트의 발신 연락처로 통신 유닛(117)을 경유하여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전송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현재 측정된 움직임 정보(또는 움직임 정보와 충격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관리 서버(300) 나아가 지정된 특정 알람 수신 단말(400)로 직접(전화호출) 전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프로세싱 유닛(121)은 관리 서버(300) 등과 통신 채널(예를 들어 전화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In the event of a motion anomaly, the processing unit 121 constructs an alarm message indicative of an emergency situation and transmits the configured alarm message to the originating contact in the outgoing contact list via the communication unit 117 via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500.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21 may send an alarm message containing the currently measured motion information (or motion information and impact information) directly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also to the specified specific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have. In this process, the processing unit 121 can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e.g., a telephone connec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the like.

또한, 알람 메시지의 광대역 통신망(500)(관리 서버(300)나 특정 알람 수신 단말(400))으로의 전송에 후속하여, 프로세싱 유닛(121)은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한 전화 호출(call)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호출한 전화번호를 식별하고 식별된 전화번호가 자동착신 전화번호 리스트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자동착신 전화번호 리스트에 식별된 전화번호가 포함된 경우 프로세싱 유닛(121)은지정된 횟수(예를 들어 5회 등) 이내의 전화 링 신호음에 대해, 관리 대상자(즉, 노약자)의 착신 요청(입력, 예를 들어 관리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버튼)이 없는지를 판단한다. In addition, following the transmission of the alarm message to the broadband network 500 (the management server 300 or the specific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the processing unit 121 may make a telephone call via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500, Lt; / RTI > The processing unit 121 identifies the called telephone numb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identified telephone number is present in the auto-called telephone number list. When the telephone number included in the automatic incoming telephone number list is included, the processing unit 121 transmits an incoming request (input) of the management subject (that is, the elderly person) to the telephone ring tones within the designated number of times , For example, a button provided in the management device 100).

만일 착신 요청이 관리 대상자에 의해 없는 경우에 프로세싱 유닛(121)은 자동으로 전화 착신하여 전화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화 접속 후, 프로세싱 유닛(121)은 마이크(109)와 이미지 센싱 유닛(113)을 통해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전화 채널을 통해 전화 접속한 기기(예를 들어 관리 서버(300)나 알람 수신 단말(400) 등)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121)은 전화 접속한 기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11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If the incoming request is not made by the management subject, the processing unit 121 automatically makes a telephone call to make a dial-up connection. After the telephone connection, the processing unit 121 encodes the voice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rough the microphone 109 and the image sensing unit 113, and transmits the encoded voice and image data to a device The management server 300, the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rocessing unit 121 can receive voice data from the telephone-connected device through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500 and output the received voice data through the speaker 111. [

상기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관리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자동 착신 기능을 이용하여 긴급상황의 발생 유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후속 조치를 줄일 수 있고 실제 긴급 상황에는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출동 이전에 먼저 비상상황 여부를 먼저 확인하면 좋으나, 조작 미숙, 거동 곤란 등 여러 가지 사정으로 노약자가 호출을 수신을 위한 조작을 할 수 없거나 호출에 수신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는 데, 자동 착신에 따라 확인 가능성을 증대시키고 출동 오류와 빈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whether or no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by using the automatic call receiving function provided by the management device,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follow-up actions and responding to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more effectively It is effective. It may be necessary to first check whether or not the emergency situation exists before dispatching. However,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immaturity of operation, difficulty in operation, and the like, the elderly person can not perform an operation for receiving a call or may not receive a call. To increase the likelihood of confirmation and reduce dispatch errors and frequency.

또한, 프로세싱 유닛(121)은 정상 생체 범위를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를 통해 설정하고 설정된 정상 생체 범위를 메모리(115)에 저장하고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대상자가 관리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프로세싱 유닛(121)은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를 통해 생체신호를 대응하는 생체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생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상 생체 범위를 결정한다. In addition, the processing unit 121 can set a normal living range through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ement sensor 103, store the set normal living range in the memory 115, and transmit the stored normal living range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In a state where the management subject wears the management device 100, the processing unit 121 converts the biomedical signal into corresponding biomedical data through the biomedical signal measurement sensor 103 and determines a normal biomedical range including the converted biomedical data do.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심박측정 센서로부터의 복수의 심박 생체신호를 대상으로 복수 회에 걸쳐 생체 데이터인 심박수로 변환한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변환된 심박수에서 기준 생체값인 기준 심박수를 결정한다. 기준 심박수는 복수의 심박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값으로서 평균값이거나 심박수의 값에 따라 필터링된 심박수에 대한 평균값 등일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결정된 기준 심박수를 포함하고 관리 대상자의 나이, 신체 특성을 반영한 정상 생체 범위인 정상 심박수 범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정상 심박수 범위를 메모리(115)에 저장하고 나아가 관리 서버(300)로 통신 유닛(117)을 통해 전송한다.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21 converts a plurality of heartbeat bio-signals from a heart-rate measuring sensor into heartbeats, which are biometric data, a plurality of times. The processing unit 121 determines a reference heart rate that is a reference biometric value at the converted heart rate. The reference heart rate may be an average value determined using a plurality of heart rates, an average value of the heart rate filtered based on the heart rate value, and the like. The processing unit 121 determines a normal heart rate range, which is a normal living body range including the determined reference heart rate and reflects the age and body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stores the determined normal heart rate range in the memory 115, And transmits it via the communication unit 117.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혈압측정 센서로부터의 복수의 혈압 생체신호를 대상으로 복수 회에 걸쳐 생체 데이터인 혈압수치로 변환한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변환된 혈압수치에서 기준 생체값인 기준 혈압수치를 결정한다. 기준 혈압수치는 복수의 혈압수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값으로서 평균값이거나 혈압수치의 값에 따라 필터링된 혈압수치에 대한 평균값 등일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결정된 기준 혈압수치를 포함하고 관리 대상자의 나이, 신체 특성을 반영한 정상 생체 범위인 정상 혈압수치 범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정상 혈압수치 범위를 메모리(115)에 저장하고 나아가 관리 서버(300)로 통신 유닛(117)을 통해 전송한다.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21 converts a plurality of blood pressure bio-signals from the blood pressure measurement sensor into blood pressure values that are biometric data a plurality of times. The processing unit 121 determines a reference blood pressure value which is a reference biometric value at the converted blood pressure value. The reference blood pressure value may be an average value determined using a plurality of blood pressure values, an average value of the blood pressure values filtered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blood pressure value, and the like. The processing unit 121 determines a normal blood pressure value range which is a normal living body range including the determined reference blood pressure value and reflects the age and body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stores the determined normal blood pressure value range in the memory 115, 300 via the communication unit 117.

여기서, 정상 생체 범위의 결정은 관리 디바이스(100)에서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기준 생체값 나아가 수집된 생체 데이터들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300)가 정상 생체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디바이스(100)는 정상 생체 범위의 결정에 이용될 실제 관리 대상자로부터 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관리 서버(300)로 제공하고 관리 서버(300)가 실제 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관리 대상자(노약자)를 위한 정상 생체 범위를 결정한다. Here, the determination of the normal living range need not be made in the management device 100. [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21 may transmit a reference biometric value and further collected biometric data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the management server 300 may determine a normal biometric range. In this case, the management device 100 provides the management server 300 with the biometric data measured from the actual management object to be used for determination of the normal biometric range, and the management server 300 provides the biometric data, (The elderly).

도 4는 노약자 관리를 위한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control flow for the elderly care.

도 4의 제어 흐름은 제1타입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미, 도 1 내지 도 3 등을 통해 관리 디바이스(100), 로컬 관리 단말(200) 및 관리 서버(300)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내용을 생략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한다.The control flow of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flow using the first type device 100. FIG. Since the management device 100,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and the management server 300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nd the like, the duplicate content will be omitted here and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먼저, 관리 서버(300)는 관리 대상자의 관리를 위한 각종 정보를 설정(①)한다. First, the management server 300 sets various information (1) for managing the management object.

예를 들어, 관리 서버(300)는 관리 대상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단말(알람 수신 단말(400))과 함께 사용자 엔트리를 구성한다. 관리 서버(300)는 DB에 사용자 엔트리를 신규 추가하고 사용자 엔트리의 노약자 식별자, 노약자 정보,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유형, 유형에 따른 로컬 관리 단말 식별자, 관리 디바이스 식별자, 알람 수신자 식별자, 알람 수신 단말(400)들의 식별자, 예정 위치 영역들, 정상 생체 범위 등을 알람 수신 단말(400)과 연동하여 설정한다.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300 forms a user entry together with the terminal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used by the guardian of the management subject. The management server 300 newly adds a user entry to the DB and stores the old user ID, the old person information, the old person management device type,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identifier according to the type, the management device identifier, the alarm receiver identifier, The predetermined location areas, the normal living range, and the like, in association with the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

정상 생체 범위는 관리 서버(300)에 의해 노약자 정보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으나 실제 측정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설정 과정에서 로컬 관리 단말(200)로 정상 생체 범위 설정 요청을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전송한다. 이 요청을 수신한 로컬 관리 단말(200)은 관리 디바이스(100)로부터 복수 회에 걸쳐 생체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망(600)을 통해 수신한다. 로컬 관리 단말(200)은 복수의 생체 데이터로부터 기준 생체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기준 생체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정상 생체 범위로 결정한다. The normal living range may be set by the management server 300 according to the elderly person information, but may be configured using actual measured living information. For this, the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a normal biometric range setting request to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through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500 in the process of setting the user.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receiving the request receives the biometric data from the management device 100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600 a plurality of times.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determines a reference biometric value from a plurality of biometric data and determines a range including the determined reference biometric value as a normal biometric range.

로컬 관리 단말(200)은 도 3의 관리 디바이스(100)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상 심박수 범위, 정상 혈압수치 범위를 결정하거나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로컬 관리 단말(200)은 도 3의 관리 디바이스(100)와 같이 로컬 관리 단말(200)이 기준 생체값이나 수집된 생체 데이터들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300)가 정상 생체 범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로컬 관리 단말(200)은 정상 생체 범위의 결정에 이용될 실제 관리 대상자로부터 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관리 서버(300)로 제공하고 관리 서버(300)가 실제 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관리 대상자(노약자)를 위한 정상 생체 범위를 결정한다.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can determine or determine a normal heart rate range and a normal blood pressure range as shown in the management device 100 of FIG.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transmits the reference biometric values or the collected biometric data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like the management device 100 of FIG. 3 and the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the reference biometric values to the normal biometric range . In this case,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provides the biometric data measured by the actual management object to be used for determination of the normal biometric range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the management server 300 performs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using the actually measured biometric data Determine the normal living range for the subject (elderly).

또한, 설정 과정을 통해, 로컬 관리 단말(200)은 관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관리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노약자의 정상 생체 범위 및 예정 위치 영역들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로컬 관리 단말(200)은 정상 심박수 범위 및/또는 정상 혈압수치 범위를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하거나 측정된 생체신호에 따라 결정하고 예정 위치 영역들을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다. In addition, through the setting process,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sets the normal living range and the predetermined location areas of the elderly wearer in cooper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0 by wearing the management device 100. For example,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receives a normal heart rate range and / or a normal blood pressure value range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or according to the measured bio signal, and receives the predetermined position areas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설정이 완료됨에 따라, 관리 디바이스(100)는 동작을 시작하고, 관리 디바이스(100)는 구비된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를 통해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신호를 생체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관리 디바이스(100)는 GPS 센서(101)를 통해 GPS 데이터를 구성한다. 또한 관리 디바이스(100)는 움직임 센서(107) 및/또는 충격 센서(108)를 통해 움직임 상태 데이터 및/또는 충격 상태 데이터를 구성(② 참조)한다.As the setting is completed, the management device 100 starts to operate, and the management device 100 measures the bio-signal through the at least one bio-signal measurement sensor 103 and converts the bio-signal into biometric data do. In addition, the management device 100 constructs GPS data through the GPS sensor 101. [ Also, the management device 100 constructs the motion state data and / or the impact state data through the motion sensor 107 and / or the impact sensor 108 (see (2)).

하나 이상 유형의 생체 데이터, GPS 데이터, 움직임 상태 데이터 및/또는 충격 상태 데이터가 구성됨에 따라 생체 데이터, GPS 데이터, 움직임 상태 데이터 및/또는 충격 상태 데이터를 무선의 근거리 통신망(600)을 통해 무선 패킷으로 로컬 관리 단말(200)로 전송(③ 참조)한다. GPS data, movement state data, and / or impulse state data vi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600 as one or more types of biometric data, GPS data, motion state data, and / To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see (3)).

관리 디바이스(100)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GPS 데이터 및/또는 생체 데이터를 무선 패킷으로 반복적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움직임 이상의 발생에 따라 또는 지정주기에 따라 움직임 상태 데이터 및/또는 충격 상태 데이터를 송출하도록 구성된다.The management device 100 is configured to repeatedly transmit GPS data and / or biometric data in a wireless packet in accordance with a set cycle, and to transmit motion state data and / or impact state data according to occurrence of motion abnormality, .

로컬 관리 단말(200)은 GPS 데이터, 생체 데이터, 움직임 상태 데이터 및/또는 충격 상태 데이터의 무선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만일 지정된 시간동안(예를 들어 1분, 5분, 10분 등) 관리 디바이스(100)로부터 무선의 통신 패킷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관리 디바이스(100)의 미인식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람 메시지를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관리 서버(300) 등으로 출력한다. 또한, 로컬 관리 단말(200)은 관리 디바이스(100)의 미인식시 구비된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통해 경고 신호를 출력하여 관리 대상자나 주변인에게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is configured to receive wireless packets of GPS data, biometric data, movement state data, and / or impulse state data, and if administered (e.g., 1 minute, 5 minutes, 10 minutes,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packet is not received from the device 100, generates an alarm message indicating that the management device 100 is unrecognized and outputs the generated alarm message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or the like via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500 do. Also,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may output a warning signal through the display and the speaker provided when the management device 100 is unrecognized, and output a warning to the management subject or the surrounding persons.

GPS 데이터와 생체 데이터 등이 수신되는 경우에, 로컬 관리 단말(200)은 수신된 GPS 데이터로부터의 관리 디바이스(100)의 위치가 예정 위치 영역들 내인지를 결정하고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정상 생체 범위 내인지를 결정(④ 참조)한다. 또한 로컬 관리 단말(200)은 낙상, 추락 등과 같이 움직임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수신된 움직임 상태 데이터 및/또는 충격 상태 데이터를 통해 결정한다. When GPS data and biometric data are received,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the position of the management device 100 from the received GPS data is with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areas, and if the received biometric data is within the normal biometric range (See ④). Also,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a motion abnormality such as a fall, a fall, or the like has occurred through the received motion state data and / or impact state data.

만일 관리 디바이스(100)가 예정 위치를 벗어나 있거나 정상 생체 범위를 벗어나거나 움직임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이를 나타내기 위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람 메시지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⑤ 참조)한다. If the management device 100 is out of the predetermined position, out of the normal living body range, or has a motion abnormality, an alarm message is generated to indicate it and the generated alarm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see .

관리 서버(300)는 알람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알람 메시지를 전송한 로컬 관리 단말(200)에 속한 사용자 엔트리를 검색(⑥ 참조)하고 검색된 사용자 엔트리의 알람 수신자 식별자와 알람 수신 단말(400)들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지정된 단말(알람 수신 단말(400))로 수신된 알람 메시지 또는 이에 기초한 메시지를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전송(⑦ 참조)한다. Upon receiving the alarm message, the management server 300 searches for a user entry belonging to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that has transmitted the alarm message (refer to (6)) and transmits the alarm receiver identifier of the searched user entry to the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Transmits an alarm message or a message based on the received alarm message to the designated terminal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through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500 (refer to (vii)).

알람 메시지의 전송에 후속하여, 로컬 관리 단말(200), 관리 서버(300) 및 알람 수신 단말(400)은 전화 접속, 데이터 접속 등을 통해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⑧ 참조)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관리 디바이스(100) 상의 이상상황을 관리 서버(300)나 알람 수신 단말(400)이 확인 가능하다. Following the transmission of the alarm message,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200,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the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can perform voice and video communication (refer to (v)) through dial-up, data connection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management server 300 or the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can confirm an abnormal situation on the management device 100. [

도 5는 노약자 관리를 위한 다른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emplary control flow for the elderly care.

도 5의 제어 흐름은 제2타입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미, 도 1 내지 도 3 등을 통해 관리 디바이스(100) 및 관리 서버(300)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내용을 생략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한다.The control flow of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flow using the second type device 100. FIG. Since the management device 100 and the management server 300 have already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the duplicate content will be omitted here,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먼저, 관리 서버(300)는 관리 대상자의 관리를 위한 각종 정보를 설정(①)한다. First, the management server 300 sets various information (1) for managing the management object.

예를 들어, 관리 서버(300)는 관리 대상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단말(알람 수신 단말(400))과 함께 사용자 엔트리를 구성한다. 관리 서버(300)는 DB에 사용자 엔트리를 신규 추가하고 사용자 엔트리의 노약자 식별자, 노약자 정보,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유형, 유형에 따른 로컬 관리 단말 식별자, 관리 디바이스 식별자, 알람 수신자 식별자, 알람 수신 단말(400)들의 식별자, 예정 위치 영역들, 정상 생체 범위 등을 알람 수신 단말(400)과 연동하여 설정한다.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300 forms a user entry together with the terminal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used by the guardian of the management subject. The management server 300 newly adds a user entry to the DB and stores the old user ID, the old person information, the old person management device type,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identifier according to the type, the management device identifier, the alarm receiver identifier, The predetermined location areas, the normal living range, and the like, in association with the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

정상 생체 범위는 관리 서버(300)에 의해 노약자 정보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으나 실제 측정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설정 과정에서 관리 디바이스(100)로 정상 생체 범위 설정 요청을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전송한다. 이 요청을 수신한 관리 디바이스(100)는 복수 회에 걸쳐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고 복수의 생체 데이터로부터 기준 생체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기준 생체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정상 생체 범위로 결정한다. The normal living range may be set by the management server 300 according to the elderly person information, but may be configured using actual measured living information. For this, the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a normal biometric range setting request to the management device 100 through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500 during the setting process of the user. Upon receiving the request, the management device 100 measures biometric data a plurality of times, determines a reference biometric value from a plurality of biometric data, and determines a range including the determined reference biometric value as a normal biometric range.

관리 디바이스(10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상 심박수 범위, 정상 혈압수치 범위를 결정하거나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 디바이스(100)는 기준 생체값이나 수집된 생체 데이터들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300)가 정상 생체 범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관리 디바이스(100)는 정상 생체 범위의 결정에 이용될 실제 관리 대상자로부터 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관리 서버(300)로 제공하고 관리 서버(300)가 실제 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관리 대상자(노약자)를 위한 정상 생체 범위를 결정한다.The management device 100 may determine or determine a normal heart rate range, a normal blood pressure range, as described above. The management device 100 may transmit the reference biometric value or the collected biometric data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the management server 300 may determine the normal biometric range. In this case, the management device 100 provides the management server 300 with the biometric data measured from the actual management object to be used for determination of the normal biometric range, and the management server 300 provides the biometric data, (The elderly).

또한, 설정 과정을 통해, 관리 디바이스(100)는 관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관리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노약자의 정상 생체 범위, 예정 위치 영역, 자동착신 전화번호 리스트, 발신 연락처 리스트들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관리 디바이스(100)는 정상 심박수 범위 및/또는 정상 혈압수치 범위를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하거나 측정된 생체신호에 따라 결정하고 예정 위치 영역들을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다. 관리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엔트리의 알람 수신자 식별자, 알람 수신 단말(400)들의 식별자 등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자동착신 전화번호 리스트, 발신 연락처 리스트들을 설정하고 메모리(115)에 저장한다.In addition, through the setting process, the management device 100 sets a normal living range, a scheduled location area, an automatic incoming phone number list, and a calling contact list of the aged person wearing the management device 100 in cooper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0 do. For example, the management device 100 receives a normal heart rate range and / or a normal blood pressure value range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or according to the measured bio signal and receives the predetermined position areas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The management device 100 sets up an automatic incoming phone number list and outgoing contact list in cooper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0 using the alarm receiver identifier of the user entry and the identifiers of the alarm receiving terminals 400, .

설정이 완료됨에 따라, 관리 디바이스(100)는 동작을 시작하고, 관리 디바이스(100)는 구비된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를 통해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GPS 센서(101)를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하고 움직임 센서(107)를 통해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며, 충격 센서(108)를 통해 충격 신호를 수신(② 참조)한다. 신호의 수신은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진다.As the setting is completed, the management device 100 starts to operate, and the management device 100 measures the bio-signal through the at least one bio-signal measurement sensor 103 provided, Receives a motion signal through the motion sensor 107, and receives an impact signal through the impact sensor 108 (see (2)). Reception of the signal is periodically repeated according to the set period.

관리 디바이스(100)는 생체신호를 생체 데이터로 변환하고 GPS 신호를 GPS 데이터로 변환하고 움직임 신호를 움직임의 정도(값)를 나타내는 움직임 데이터로 변환하며, 충격 신호를 충격의 정도/범위/여부를 나타내는 충격 데이터로 변환한다(③ 참조). The management device 100 converts the biological signal into biometric data, converts the GPS signal into GPS data, converts the motion signal into motion data indicating the degree of motion (value), and determines whether the impact signal is a degree / (Refer to ③).

관리 디바이스(100)는 변환된 GPS 데이터로부터의 관리 디바이스(100)의 위치가 예정 위치 영역들 내인지를 결정하고 변환된 생체 데이터가 정상 생체 범위 내인지를 결정하고 움직임 데이터 및/또는 충격 데이터를 통해 낙상, 추락 등과 같이 움직임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결정(④ 참조)한다. 움직임 데이터가 지정된 임계레벨 이상인 경우에, 또는 움직임 데이터가 지정된 임계 레벨이상이면서 충격 데이터가 지정된 임계레벨 이상인 경우에, 움직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관리 디바이스(100)가 결정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of the management device 100 from the converted GPS data is within the predetermined location areas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nverted biometric data is within the normal biometric range and stores the motion data and / (See ④) whether a motion abnormality such as falls or falls has occurred. The management device 100 can determine that a motion abnormality has occurred when the motion data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designated threshold level or when the motion data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pecified threshold level and the impact data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pecified threshold level.

만일 관리 디바이스(100)가 예정 위치를 벗어나 있거나 정상 생체 범위를 벗어나거나 움직임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이를 나타내기 위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람 메시지를 발신 연락처 리스트의 발신 연락처로 전송(⑤ 참조)한다. 발신 연락처는 예를 들어 관리 서버(300)이거나 특정 알람 수신 단말(400)일 수 있다. 특정 예로 관리 디바이스(100)는 메모리(115)에 설정된 발신 연락처 리스트의 특정 전화번호로 전화 호출을 통해 알람 수신 단말(400) 등으로 알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If the management device 100 is out of the predetermined position, out of the normal living range, or has a motion abnormality, an alarm message is generated to indicate it, and the generated alarm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alling contact of the outgoing contact list (see do. The originating contact may be,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300 or a specific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As a specific example, the management device 100 may transmit an alarm message to the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or the like through a telephone call to a specific telephone number of the calling contact list set in the memory 115. [

관리 서버(300)는 알람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알람 메시지를 전송한 관리 디바이스(100)가 속한 사용자 엔트리를 검색(⑥ 참조)하고 검색된 사용자 엔트리의 알람 수신자 식별자와 알람 수신 단말(400)들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지정된 단말(알람 수신 단말(400))로 수신된 알람 메시지 또는 이에 기초한 메시지를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Upon receiving the alarm message, the management server 300 searches for the user entry to which the management device 100 that transmitted the alarm message belongs (see (6)), and transmits the alarm receiver identifier of the retrieved user entry and the identifier of the alarm receiving terminals 400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or a message based on the received alarm message to the designated terminal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through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500. [

알람 메시지의 전송에 후속하여, 관리 디바이스(100), 관리 서버(300) 및 알람 수신 단말(400)은 전화 접속, 데이터 접속 등을 통해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⑦ 참조)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관리 디바이스(100) 상의 이상상황을 관리 서버(300)나 알람 수신 단말(400)이 확인 가능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Following the transmission of the alarm message, the management device 100,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the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can perform voice and video communication (refer to (vii)) through a telephone connection, a data connection,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management server 300 or the alarm receiving terminal 400 can confirm the abnormal situation on the management device 100 and can take necessary measure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100 : 관리 디바이스
101 : GPS 센서 103 : 생체신호 측정센서
105 : 착용 센서 107 : 움직임 센서
108 : 충격 센서 109 : 마이크
111 : 스피커 113 : 이미지 센싱 유닛
115 : 메모리 117 : 통신 유닛
119 : 안테나 121 : 프로세싱 유닛
200 : 로컬 관리 단말
300 : 관리 서버 400 : 알람 수신 단말
500 : 광대역 통신망 600 : 근거리 통신망
100: managed device
101: GPS sensor 103: Biosignal measurement sensor
105: Wear sensor 107: Motion sensor
108: Impact sensor 109: Microphone
111: speaker 113: image sensing unit
115: memory 117: communication unit
119: antenna 121: processing unit
200: Local management terminal
300: management server 400: alarm receiving terminal
500: Broadband network 600: LAN

Claims (16)

GPS 신호를 센싱하는 GPS 센서;
피부를 통해 노출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센서;
근거리 통신망를 통해 통신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GPS 신호로부터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GPS 데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측정센서의 생체신호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구성하는 프로세싱 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GPS 데이터 및 상기 생체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망를 통해 로컬 관리 단말로 출력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A GPS sensor for sensing a GPS signal;
A bio-signal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bio-signal exposed through the skin;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mmunication packet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And
And a processing unit for constructing GPS data capable of specifying a position from the GPS signal and for constructing biometric data from a bio-signal of the measurement sensor,
Wherein the processing unit outputs the GPS data and the biometric data to a local management terminal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Elderly car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센서는 심박측정 센서이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심박측정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심박 생체신호에서 심박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상기 로컬 관리 단말로 출력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o-signal measurement sensor is a heart-rate measurement sensor,
Wherein the processing unit determines a heart rate in a heartbeat bio-signal output from the heartbeat measurement sensor and outputs biometric data including a determined heart rate to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Elderly car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의 착용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착용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착용센서로부터의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상태 데이터를 구성하여 통신 유닛을 통해 로컬 관리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GPS 데이터, 상기 생체 데이터 및 상기 착용상태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통신 유닛을 통해 로컬 관리 단말로 전송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wear sensor configured to recognize whether the elderly care device is worn or not,
The processing unit constructs worn-out data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user wears a signal from a signal from the wear sensor, and transmits the worn-out data to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GPS data, the biometric data, and the wear status data are periodically transmitted to a local management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Elderly care device.
손목에 착용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로서,
GPS 신호를 센싱하는 GPS 센서;
피부를 통해 노출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센서;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무선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 유닛;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측정 가능한 움직임 센서;
정상 생체 범위, 예정 위치 영역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GPS 신호로부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의 위치를 특정하고 특정된 위치가 예정 위치 영역들 내인지 결정하고 상기 생체신호를 생체 데이터로 변환하고 생체 데이터가 정상 생체 범위 내인지를 결정하며 적어도 상기 움직임 센서의 움직인 신호부터 움직임 이상을 결정하는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특정된 위치가 예정 위치를 벗어나거나 변환된 생체 데이터가 정상 생체 범위를 벗어나거나 움직임 이상이 감지된 경우 비상상황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광대역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A device for managing a senior citizen to be worn on a wrist,
A GPS sensor for sensing a GPS signal;
A bio-signal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bio-signal exposed through the skin;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packet through a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A motion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 motion of the elderly care apparatus;
A memory for storing normal body regions, predetermined position regions; And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elder care management device from the GPS signal, determines whether the specified location is within the predetermined location areas, converts the biosignal into biometric data, determines whether biometric data is within a normal biometric range, And a processing unit for determining a motion error from the in-signal,
Wherein the processing unit transmits an alarm message to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via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specified position is out of the predetermined position or the converted biometric data is out of the normal living range or a motion abnormality is detected,
Elderly care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노출된 외부 이미지를 캡쳐링하는 이미지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5. The method of claim 4,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And
And an image sensing unit for capturing an exposed external image.
Elderly care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자동착신이 수행되는 전화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전화번호 리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광대역 통신망을 통한 전화 호출(call)시 호출한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에 자동으로 착신하여 자동 전화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mory further comprises a telephone number list including one or more telephone numbers to which an automatic incoming call is to be performed,
Wherein the processing un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receive an incoming call when an incoming telephone number is included in the telephone number list when making a telephone call through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Elderly care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노출된 외부 이미지를 캡쳐링하는 이미지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자동 전화 접속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을 통해 수신된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전화 접속한 기기로 송출하고 전화 접속한 기기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And
And an image sensing unit for capturing the exposed external image,
Wherein the processing unit sends voice and image data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and the image sensing unit to a telephone-connected device through a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after the automatic telephone connection is established, and transmits the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telephone- Output through a speaker,
Elderly care device.
노약자 관리 시스템으로서,
제1항의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로부터 GPS 데이터 및 생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상기 로컬 관리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로컬 관리 단말은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를 착용한 노약자의 정상 생체 범위 및 예정 위치 영역들을 설정하고 수신된 GPS 데이터로부터의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의 위치가 예정 위치 영역들 내인지 결정하고 상기 생체 데이터가 정상 생체 범위 내인지를 결정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예정 위치를 벗어나거나 정상 생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광대역 통신망으로 출력하는,
노약자 관리 시스템.
As a senior management system,
The elderly care device of claim 1; And
And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connected to the elderly management device via a local area network and capable of receiving GPS data and biometric data from the elderly management device,
Wherein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sets normal biometric range and preliminary location areas of the elderly wearer of the elderly care management device and determines whether the position of the elder care management device from the received GPS data is within the predetermined location areas,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alarm message to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device is out of the predetermined position or out of the normal living range,
Senior citizen management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관리 단말은 지정 시간동안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통신 패킷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출력하고 구비된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통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노약자 관리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generates an alarm message when the communication packet is not received from the device for a designated time, outputs the alarm message through a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and outputs a warning signal through a display and a speaker,
Senior citizen management system.
제9항에 있어서,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상기 로컬 관리 단말에 연결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로컬 관리 단말로부터의 알람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수신된 알람 메시지를 상기 로컬 관리 단말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단말로 상기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노약자 관리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through a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received alarm message to the one or more terminals designated to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through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upon receiving the alarm message from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Senior citizen management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를 착용한 노약자의 정상 생체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로컬 관리 단말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복수 회 생체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고 복수의 생체 데이터로부터 기준 생체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기준 생체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정상 생체 범위로 결정하는,
노약자 관리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local management terminal receives the biometrics data from the device a plurality of times via the local area network to determine a reference biometrics value from a plurality of biometrics data and sets a reference biometrics value from the determined reference biometrics data to determine a normal biometrics range of the elderly person wearing the elderly care management device, Value is determined as a normal living range,
Senior citizen management system.
제4항의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노약자 관리 시스템. The elderly ca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4, comprising the elderly person management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는 구비된 움직임 센서를 통해 움직임 이상을 결정한 경우 움직임 이상에 따른 알람 메시지를 전화 호출을 통해 구비된 메모리에 설정된 연락처로 전송하는,
노약자 관리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elderly care management device transmits an alarm message according to a motion abnormality to a contact set in a memory provided through a telephone call when a motion abnormality is determined through a motion sensor,
Senior citizen management system.
제12항에 있어서,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로부터의 알람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수신된 알람 메시지를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단말로 상기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노약자 관리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elderly management device via a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received alarm message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designated by the senior management device through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upon receipt of the alarm message from the senior management device,
Senior citizen management system.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상 생체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생체신호 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복수의 생체신호를 복수의 생체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복수의 생체 데이터로부터 기준 생체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기준 생체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정상 생체 범위로 결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노약자 관리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elderly care management device converts a plurality of biometric signals measured through the biometric signal measurement sensor into a plurality of biometric data and sets a reference biometric value from the plurality of biometric data to set a normal biometric range stored in the memory Determining a range including the determined reference biometric value as a normal biometric range,
Senior citizen management system.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의 충격을 측정하여 충격 신호를 출력하는 충격 센서(108);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움직임 센서의 움직인 신호와 상기 충격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충격 신호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움직임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4,
And an impact sensor (108) for measuring an impact of the elderly care device and outputting an impact signal,
Wherein the process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motion abnormality is generated by using a moving signal of the motion sensor and an impact signal received from the impact sensor together,
Elderly care device.
KR1020170035141A 2017-03-21 2017-03-21 Care device and care system for the old and the infrim KR1020082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141A KR102008293B1 (en) 2017-03-21 2017-03-21 Care device and care system for the old and the infri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141A KR102008293B1 (en) 2017-03-21 2017-03-21 Care device and care system for the old and the infri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583A true KR20180106583A (en) 2018-10-01
KR102008293B1 KR102008293B1 (en) 2019-08-07

Family

ID=6387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141A KR102008293B1 (en) 2017-03-21 2017-03-21 Care device and care system for the old and the infri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293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225B1 (en) 2019-04-04 2019-07-05 주식회사 렛츠온 Care system for the old and the infirm people
KR20200107163A (en) * 2019-03-06 2020-09-1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call therapy for demented elderly
KR102160463B1 (en) 2020-05-12 2020-09-28 (주)피스오브퍼즐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emergency response system for the elderly
KR102167296B1 (en) 2020-02-28 2020-10-19 김민경 Life-based care system for the elderly
KR102343360B1 (en) * 2020-11-24 2021-12-24 (주)메디코넥스 Monitoring System for Solitary Life Having Smart Watch
CN114242268A (en) * 2021-12-16 2022-03-25 深圳市发掘科技有限公司 Track state management system based on special crowd
KR20220098490A (en) 2021-01-04 2022-07-12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Location tracking system that tracks the location of the elderly and delivers it to the guardia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396B1 (en) 2019-11-22 2020-05-28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Apparatus for Recognizing Second-class Citizen and Driv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164A (en) * 2002-10-21 2004-04-28 (주)메드 밴 Nursing robot and mornitoring system using nursing robot
KR20120047392A (en) * 2010-11-04 2012-05-14 위몽룡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ending emergency rescue signal
KR20120136221A (en)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케이티 Security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curity service and real-time moving picture of camera
KR101648076B1 (en) 2016-02-05 2016-08-12 주식회사 지비콘 Senior citizen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beacon sig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164A (en) * 2002-10-21 2004-04-28 (주)메드 밴 Nursing robot and mornitoring system using nursing robot
KR20120047392A (en) * 2010-11-04 2012-05-14 위몽룡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ending emergency rescue signal
KR20120136221A (en)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케이티 Security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curity service and real-time moving picture of camera
KR101648076B1 (en) 2016-02-05 2016-08-12 주식회사 지비콘 Senior citizen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beacon signal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163A (en) * 2019-03-06 2020-09-1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call therapy for demented elderly
KR101997225B1 (en) 2019-04-04 2019-07-05 주식회사 렛츠온 Care system for the old and the infirm people
KR102167296B1 (en) 2020-02-28 2020-10-19 김민경 Life-based care system for the elderly
KR102160463B1 (en) 2020-05-12 2020-09-28 (주)피스오브퍼즐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emergency response system for the elderly
KR102246621B1 (en) 2020-05-12 2021-06-03 (주)피스오브퍼즐 Method of providing automatic insurance subscription service tailored to user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343360B1 (en) * 2020-11-24 2021-12-24 (주)메디코넥스 Monitoring System for Solitary Life Having Smart Watch
KR20220098490A (en) 2021-01-04 2022-07-12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Location tracking system that tracks the location of the elderly and delivers it to the guardian
CN114242268A (en) * 2021-12-16 2022-03-25 深圳市发掘科技有限公司 Track state management system based on special crow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293B1 (en)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293B1 (en) Care device and care system for the old and the infrim
US202303607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ctivities through portable devices
CN106652341B (en) A kind of old man's monitoring rescue skills and device based on body area network
KR20160110847A (en) Alarm systme of health-abnormal condition using multi bio-signal
US103043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ealth monitoring and providing emergency support
KR101897236B1 (en) Monitoring system for preventing accident using smart band and smart band therefor
KR20150116206A (en)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using wearable bluetooth biometrie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KR102165513B1 (en) System for managing patient based on information of biometrics
JP6680563B2 (en) Watching system and watching method
KR20120094590A (en) System and method for u-health medical examination by using toilet bowl
US8461980B2 (en) Wellbeing transponder system
JP2012181728A (en) Safety confirmation system, safety information confirmation method, safety information confirmation program, and memory medium
JP2016181224A (en) Watching system
US20170303866A1 (en) Medical Alert System
US20200069223A1 (en) System for detection of falls
KR20190058618A (en) Alarm system
KR20150016687A (en) Care System for Older People Living Alone
TWI656502B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ortable safety care
KR20200125871A (en) Notification System for patient
KR20210006200A (en) Silver Healthcare System using AMI Networks
KR20150090941A (en) Ubiquitous remote health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2002261955A (en) Urgent information system
KR102568803B1 (en) Emergency notification call system for care for the elderly
KR101251472B1 (en) Terminal using wireless pager network
Bhat et al. IoT based Counteracting Services for CARDIAC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