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709A -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 Google Patents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709A
KR20160057709A KR1020140158653A KR20140158653A KR20160057709A KR 20160057709 A KR20160057709 A KR 20160057709A KR 1020140158653 A KR1020140158653 A KR 1020140158653A KR 20140158653 A KR20140158653 A KR 20140158653A KR 20160057709 A KR20160057709 A KR 20160057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ps
sub
child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6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철
이태경
Original Assignee
(주)커널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커널링크 filed Critical (주)커널링크
Priority to KR1020140158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7709A/en
Publication of KR20160057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7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ldren tracking terminal system and a method using the same. The children tracking terminal system comprises a missing child prevention main terminal and a sub-terminal each having Bluetooth and GPS communication means. The children tracking terminal system computes the movement and direction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sub-terminal by using the location and direction data of a GPS when a reception level between the main terminal and the-sub terminal is detected to be lower than a reference level by using Bluetooth. The children tracking termin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the movement and direction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sub-terminal on a display in real time by using the location and direction data of the GPS when the reception level between the main terminal and the sub-terminal is detected to be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by using Bluetooth or Wi-Fi direct between the main terminal and the sub-terminal and can display a distance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sub-terminal on the display in real time.

Description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본 발명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은, 블루투스와 GPS를 이용한 미아방지 단말기를 이용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using a blind prevention terminal using Bluetooth and GPS, and a method using the same.

최근 스마트폰과 같이 GPS를 탑재한 모바일 단말이 보편화되면서 GPS기능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를 추적하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a GPS-equipped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has become popular, and a system for tracking and monitoring a remote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GPS function is being used.

이와 관련하여, 한국특허공개 제2012-0063578호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위성과,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현재위치를 검출해서 무선으로 송신하고,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화면상에 수신된 소정의 데이터를 출력하며, GPS 수신기능과, 무선통신기능을 가진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현재위치를 지리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사용자의 긴급상황시 구조팀을 출동시키기 위해 변환된 상기 지리정보를 대형스크린 및 프린터로 출력하는 관제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경호, 경비 및 구조시스템을 게시하였으나,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2-0063578, as shown in FIG. 1, includes a GPS satellite for grasping the position of a user and a GPS receiver for detecting a current position through a signal received from the GPS satellite, A user terminal having a GPS receiving func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predetermined data received from the user and outputting predetermined data received on the screen, converting the current posi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to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a control system for outputting the converted geographical information to the large screen and the printer in order to dispatch the rescue team in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user.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이동 물체의 원격 위치를 추적하고자 하는 경우 그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이동 물체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것은 비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으며, 특히 관리할 모바일 단말이 많아지는 경우 관제서버에 많은 부하가 발생하여 관제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t is an inefficient method to monitor and manage the location of a moving object by coll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real time when the remote location of the moving object is to be tracked using the mobil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control service deteriorates due to a large load on the control server.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은 한국특허출원 제2012-100093호에 게시한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을 기본으로 한다.
Meanwhile, the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ed on a remote location tracking system of a mobile terminal, which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12-10009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원격경호, 경비 및 구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조방법의 문제점을 해결코자 발명된 것으로서,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간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간 수신레벨이 기준레벨 이하로 감지된 경우 GPS의 위치와 방향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의 이동사항 및 방향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한편,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의 위치와 방향에 따른 거리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는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remote security, cost and structure system and the structure method using the same,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the moving directions and directions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sub terminal in real time on the display and displays the distance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sub terminal in real time using the GPS position and direction data. And a method of using the child positioning terminal syste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은, 블루투스와 GPS를 이용한 미아방지 단말기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컨트롤러를 통해 상호 전송받는 송신감도 레벨 및 수신감도 레벨을 감지하고 기준 수신레벨 이하의 경우 경고음을 송출하며 각 기준레벨에 대한 거리를 표시하는 한편, GPS를 이용하여 GPS의 방향을 산출하여 부모와 아이의 방향 및 위치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미아가 발생시 실시간으로 위치 및 방향을 확인하여 빠른 시간 내에 미아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transmission sensitivity level and a reception sensitivity level mutually transmitted through a Bluetooth controller using a Bluetooth and a GPS anti- When the reception level is below the reception level, a warning sound is transmitted and the distance to each reference level is displayed. Also, the direction of the GPS is calculated using the GPS, and the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parent and child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in real time. And the direction of the child can be detected so that the child can be found within a short time.

참고로, 상기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간 블루투스 대신 다이렉트 와이파이(Directly WI-FI)를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direct WiFi can be used instead of Bluetooth between the main terminal and the sub terminal.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은, 블루투스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받은 수신레벨과 기준수신 레벨값과 비교하여 수신레벨이 기준수신레벨보다 작은 경우 메인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 및 경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기준수신레벨 이하의 경우 메인단말기의 GPS의 위치와 방향 값을 이용하여 메인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방향, 서브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방향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anwhile, the method using the child posi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reception level received from the Bluetooth controller with the reference reception level value. When the reception level is lower than the reference reception level, Displaying the present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current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sub terminal on the display us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value of the GPS of the main terminal if the received signal is below the reference reception level .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간 블루투스 또는 다이렉트 와이파이(Directly WI-FI)를 이용하여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간 수신레벨이 기준레벨 이하로 감지된 경우 GPS의 위치와 방향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의 이동사항 및 방향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한편,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의 위치와 방향에 따른 거리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는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ception level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sub-terminal is detected to be below the reference level using Bluetooth or direct Wi-Fi during the main terminal and sub terminal period, There is provided a child posi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the moving direction and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the sub terminal in real time and displaying the distance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sub terminal on the display, can do.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원격경호, 경비 및 구조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에서 단말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에서 시작 및 사용자 입력화면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에서 위치지정 어플리케이션 설정화면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에서 이동경로 확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security,
2 is a block diagram of a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in a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art and user input screen reference diagrams in the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location specifying application setting screen reference screen in a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oute guidance application screen reference in a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using a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using a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은, 블루투스 및 GPS 통신 수단을 구비한 미아방지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를 포함하는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호간 수신레벨이 기준레벨 이하로 감지된 경우, GPS의 위치와 방향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의 이동사항 및 방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ild posi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including a child-preventing main terminal having a Bluetooth and GPS communication means and a sub terminal, When the mutual reception level is detected to be below the reference level using the terminal Bluetooth,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sub terminal are calculated using the GPS position and direction data.

즉, 본 발명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은, 블루투스와 GPS 통신 수단을 구비한 미아방지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컨트롤러를 통해 상호 전송받는 송신감도 레벨 및 수신감도 레벨을 감지하고 기준 수신레벨 이하의 경우 경고음을 송출하며 각 기준레벨에 대한 거리를 표시하는 한편, GPS를 통해 GPS의 위치와 방향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의 이동사항 및 방향을 산출하고 부모와 아이의 방향 및 위치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미아가 발생시 실시간으로 위치 및 방향을 확인하여 빠른 시간 내에 미아를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경고음 송출에 있어서 경고음은 진동도 될 수 있음은 공지 공연으로 알려져 있듯이 자명한 사항이다.
That is, the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transmission sensitivity level and a reception sensitivity level mutually transmitted through a Bluetooth controller by using a child-proof main terminal and a sub terminal having Bluetooth and GPS communication means, When the reception level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reception level, a warning sound is transmitted and a distance to each reference level is displayed. Meanwhile, the movement and direction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sub terminal are calculated using the GPS position and direction data through GPS, And the loc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in real time, so that the location and direction can be confirmed in real time when a lost child is generated, so that the child can be found within a short time. It is obvious that the warning sound can be vibrated at the time of transmitting the warning sound as it is known in the public performance.

따라서, 본 발명은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간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간 수신레벨이 기준레벨 이하로 감지된 경우 GPS의 위치와 방향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의 이동사항 및 방향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한편,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의 위치와 방향에 따른 거리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movement and direction of a main terminal and a sub terminal using the GPS position and direction data when the reception level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sub terminal is detected to be below a reference level using Bluetooth between the main terminal and the sub terminal On the display in real time while displaying distances according to the positions and directions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sub terminal in real time on the display.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에서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에서 단말기의 구성은, 무선 송수신부, 블루투스컨트롤러, GPS제어부, 방향제어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무선 송수신부, 블루투스컨트롤러, GPS제어부, 방향제어부, 디스플레이부와 상호 전기적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in a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e structure of a terminal in a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transceiver unit, a Bluetooth controller, a GPS controller, a direction controller, a display unit, the wireless transceiver unit, A GPS control unit, a direction control unit, and a display unit, and a main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controlling mutual electrical data.

또한, 종래의 어린이 안전용 비상호출기기는 이동통신과 GPS만을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실내에서의 위치를 파악할 수가 없었는데, 본 발명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에서 단말기는 고도를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높이를 파악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emergency call device for child safety uses only mobile communication and GPS mainly, it can not grasp the position in the room. In the child posi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includes a pressure sensor So that the user can ascertain the height at which the user is located.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에서 단말기는,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로 분류되는데, 기능적으로 모니터링 영역에 대해 펜스(fence)를 설정하는 펜스설정모듈; GPS를 통해 소정주기마다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수집모듈; 및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펜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가 모니터링 영역으로 진입하는지 또는 모니터링 영역에서 진출하는지를 판단하는 위치판단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판단부는 상기 위치수집부에 의해 모바일 단말의 현재시점의 위치정보가 수집되면 그 위치정보를 기초로 단말기가 모니터링 영역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결과와 그 이전시점에 결정된 결과를 비교하여 단말기가 모니터링 영역으로 진입하는지 또는 모니터링 영역에서 진출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anwhile, in the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is classified into a main terminal and a sub terminal, and includes a fence setting module for functionally setting a fence for a monitoring area; A location collecting module for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rough GPS; And a location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enters the monitoring area or the monitoring area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ence informa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time point is coll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rminal is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monitoring are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Then,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enters the monitoring area or compares the determined result with the determined result, Area of the image.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국특허출원 제2012-100093호에 게시한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을 기본으로 한다.
This is based on a remote location tracking system of a mobile terminal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12-100093, as described abov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에서 시작 및 사용자 입력화면 참고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에서 위치지정 어플리케이션 설정화면 참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에서 이동경로 확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참고도이다.FIG. 4 is a reference view of a start and a user input screen in a child posi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location reference application setting screen in a child posi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reference view of a route confirmation application screen in a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환경설정으로는 내 정보, 가족등록, 응급상황 설정, 안전 범위 설정이 가능도록 하며, 응급상황 설정은 기본적으로 온(On)상태이며 사용하지 않을 땐 오프(Off)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응급상황을 대비하여 전원버튼을 급하게 누르면 가족들에게 문자로 통보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desirable to set up my information, family register, emergency situation, and safety range as environment setting. Emergency setting is basically on and off when not in use. It is also desirable to promptly notify the family when the power button is pressed quickly in case of an emergency.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에서 위치관제 시스템 구성 및 운영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은 위치관제 시스템 구성 및 운영에 있어서, 단말기에 유심(USIM) 카드를 통해 고유 통신 번호를 부과하고, 부모 등 SOS 지정 수신인의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고객센터를 운영하여 SOS 통보에 따른 보안업체 또는 경찰서등에 관련 긴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조치할 수 있을 것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location control system in a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unique control number through a USIM card in a terminal 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t provides the function to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designated recipient's terminal, and can operate the customer center to take urgent action such as security company or police station according to SOS notifica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은, 블루투스 및 GPS 통신 수단을 구비한 미아방지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를 포함하는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블루투스 컨트롤러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 단계(S101), 상기 수신된 신호의 수신레벨과 기준수신 레벨값과 비교하는 단계(S102), 상기 수신레벨이 기준수신레벨보다 작은 경우 메인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 및 경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S110), 상기 수신레벨이 기준수신레벨보다 작은 경우 메인단말기의 GPS의 위치와 방향 값을 이용하여 메인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방향, 서브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방향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S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a method of using a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including a child-preventing main terminal having a Bluetooth and GPS communication means and a sub terminal A method of using a Bluetooth controller, comprising: receiving a signal from a Bluetooth controller of the terminal (S101); comparing the reception level of the received signal with a reference reception level value (S102); if the reception level is smaller than a reference reception level Displaying a warning sound and a warning image through a speaker of the main terminal through a display control unit (S110); if the reception level is lower than a reference reception level, us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value of the GPS of the main terminal, (S120) of displaying the current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sub terminal on the display .

한편, 메인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방향, 서브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방향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S120)는 GPS제어부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서버로 무선데이터를 전송을 하며, 서브단말기로부터 받은 GPS 위치 데이터 및 방향 데이터를 메인단말기에서 확인하여 서브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방향을 표시하며, 상기 서브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위치를 실시간으로 메인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메인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위치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간의 위치와 방향에 따른 거리를 메인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ep S120 of displaying the current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current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sub terminal S120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GPS controller to the server, And displays the current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sub terminal in real time on the display unit of the main terminal and displays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main terminal in real time And displays the distance on the display unit of the main termi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direction between the main terminal and the sub terminal.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변경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종사하는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are engaged.

100 : 메인단말기 100' : 서브단말기
110 : 무선 송수신부 120 : 블루투스컨트롤러
130 : GPS제어부 140 : 방향제어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메인제어부
100: main terminal 100 ': sub terminal
110: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20: Bluetooth controller
130: GPS controller 140: direction controller
140: display unit 150: main control unit

Claims (9)

블루투스 및 GPS 통신 수단을 구비한 미아방지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를 포함하는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호간 수신레벨이 기준레벨 이하로 감지된 경우, GPS의 위치와 방향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의 이동사항 및 방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
A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including a child-proof main terminal having a Bluetooth and GPS communication means and a sub terminal,
Wherein when the reception level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sub terminal Bluetooth is lower than a reference level, movement directions and directions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sub terminal are calculated using the GPS position and direction data. Tracking terminal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구성은, 무선 송수신부, 블루투스컨트롤러, GPS제어부, 방향제어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무선 송수신부, 블루투스컨트롤러, GPS제어부, 방향제어부, 디스플레이부와 상호 전기적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tual electrical data to and from the wireless transceiver unit, the Bluetooth controller, the GPS controller, the direction controller, the display unit, the wireless transceiver unit, the Bluetooth controller, the GPS controller, The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고도를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높이를 파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ltitude so as to grasp the height at which the user is loca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기능적으로 모니터링 영역에 대해 펜스(fence)를 설정하는 펜스설정모듈; GPS를 통해 소정주기마다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수집모듈; 및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펜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가 모니터링 영역으로 진입하는지 또는 모니터링 영역에서 진출하는지를 판단하는 위치판단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comprises: a fence setting module for functionally setting a fence for a monitoring area; A location collecting module for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rough GPS; And a position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enters the monitoring area or the monitoring area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fence information,
블루투스 및 GPS 통신 수단을 구비한 미아방지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를 포함하는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블루투스 컨트롤러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 단계(S101), 상기 수신된 신호의 수신레벨과 기준수신 레벨값과 비교하는 단계(S102), 상기 수신레벨이 기준수신레벨보다 작은 경우 메인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 및 경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S110),
상기 수신레벨이 기준수신레벨보다 작은 경우 메인단말기의 GPS의 위치와 방향 값을 이용하여 메인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방향, 서브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방향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S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A method of using a child posi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including a child-proof main terminal having a Bluetooth and GPS communication means and a sub terminal,
(S102) of receiving a signal from the Bluetooth controller of the terminal (S101), comparing the reception level of the received signal with a reference reception level value (S102), and if the reception level is lower than the reference reception level A step S110 of displaying a warning sound and a warning image through the display control unit,
And displaying the present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current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sub terminal on the display us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value of the GPS of the main terminal when the reception level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reception level (S120) A method of using a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GPS제어부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서버로 무선데이터를 전송을 하며, 서브단말기로부터 받은 GPS 위치 데이터 및 방향 데이터를 메인단말기에서 확인하여 서브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방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ransmits the wireless data to the server through the data received from the GPS controller and displays the current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sub terminal by checking the GPS position data and the direction data received from the sub terminal in the main terminal. How to use the syste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위치를 실시간으로 메인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nd displays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sub terminal in real time on the display unit of the main terminal.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위치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nd displaying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main terminal in real time on the display uni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단말기와 서브단말기간의 위치와 방향에 따른 거리를 메인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nd displa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terminal and the sub termi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direction on the display of the main terminal
KR1020140158653A 2014-11-14 2014-11-14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600577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653A KR20160057709A (en) 2014-11-14 2014-11-14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653A KR20160057709A (en) 2014-11-14 2014-11-14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709A true KR20160057709A (en) 2016-05-24

Family

ID=56113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653A KR20160057709A (en) 2014-11-14 2014-11-14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770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410A (en) 2018-12-06 2020-06-17 김용환 Accident safety management system of school bus for children
KR20200105040A (en) * 2019-02-28 2020-09-07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preventing accidents for dementia patients and method and thereof
KR20220138150A (en) 2021-04-05 2022-10-12 팜피 주식회사 Intelligent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xr web authoring tool usage analysi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410A (en) 2018-12-06 2020-06-17 김용환 Accident safety management system of school bus for children
KR20200105040A (en) * 2019-02-28 2020-09-07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preventing accidents for dementia patients and method and thereof
KR20220138150A (en) 2021-04-05 2022-10-12 팜피 주식회사 Intelligent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xr web authoring tool usage analysi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9227B2 (en) Personal safety system
US20120242483A1 (en) Evacuation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JP4668014B2 (en) Security status notification device, security status notif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security status notification method
US20130116922A1 (en) Emergency guiding system, server and portable device using augmented reality
US20120171984A1 (en) Help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method
KR101633006B1 (en) Remote managing system for specific detecting zone
KR101930155B1 (en) Service apparatus of checking room occupation having door free function
JP2016024688A (en) Theft occurrence alarm device and theft occurrence alarm system
KR101637378B1 (en) Missing child preventing system using wearable Bluetooth device
JP2015102529A (en) Hazard monitoring system, and hazard warning terminal
US10965961B2 (en)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KR20160057709A (en)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60128977A (en) Emergency Information Billboard and Emergency Information System
KR101409824B1 (e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based on bluetooth communication
KR101684836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of car for educational institute using beacon on the base of bluetooth protocol
KR101300596B1 (en) Emergency call system
KR101386786B1 (en) Security and emergency reporting system based on smart phone
US11343543B2 (en)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0965960B2 (en)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KR20160118397A (en) System of accident report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114189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ance detection
KR101188386B1 (en) Locating System
US10904583B2 (en)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KR20180095957A (en) Service apparatus of checking room occupation
KR10150866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life safety accident in small space based on user mobile-device with portable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