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786B1 - Security and emergency reporting system based on smart phone - Google Patents

Security and emergency reporting system based on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786B1
KR101386786B1 KR1020120074148A KR20120074148A KR101386786B1 KR 101386786 B1 KR101386786 B1 KR 101386786B1 KR 1020120074148 A KR1020120074148 A KR 1020120074148A KR 20120074148 A KR20120074148 A KR 20120074148A KR 101386786 B1 KR101386786 B1 KR 101386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detection signal
unit
sensor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1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7118A (en
Inventor
송오철
이용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20074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786B1/en
Publication of KR20140007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1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7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종 센서와 이를 구비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주변 영역에서 보안 및 비상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지정된 곳으로 현 위치를 포함한 메시지 또는 응급 콜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폰을 조작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응급 요청을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정 구역 내에 각각 배치되어 해당 구역 내의 보안 및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패턴의 감지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비상 통보신호를 송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이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신호의 패턴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감지신호의 패턴과 다를 경우 통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통보 제어 신호를 입력받으면,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비상 통보신호를 출력하는 통보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을 개시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using a variety of sensors and smart phones equipped with a place that is automatically designated when security and emergency occurs in the surrounding area of the user By performing a message or emergency call containing the current location to enable the emergency request in the situation that the user can not operate the phone.
To this e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sensor disposed in each of the predetermined area to detect security and emergency in the area;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ion signal is a detection signal of a preset pattern, and transmits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configured to store at least one pattern of at least one detection signal in advance;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notification control signal whe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is different from the pattern of the detection signal stored in the memory; And a notification service unit for outputt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to a predetermined contact when receiving the notifica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Description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SECURITY AND EMERGENCY REPORTING SYSTEM BASED ON SMART PHONE}Smartphone-based crime prevention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SECURITY AND EMERGENCY REPORTING SYSTEM BASED ON SMART PHO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기반의 보안 관련 프로그램은 긴급 상황시 사용자가 직접 스마트폰 긴급 벨을 눌러 호출하거나, 도착 예정 시간을 맞추어 놓고 그 시간에 프로그램을 종료하지 않으면, 긴급 신호 메시지를 자동으로 발송한다.In general, a smartphone-based security related program automatically sends an emergency signal message when a user presses a smartphone emergency bell directly in case of an emergency or sets a scheduled arrival time and does not terminate the program at that time.

전자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조작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응급 상황을 보낼 수 없는 문제가 있고, 후자는 응급 상황이 발생한 직후에 상황을 전송하지 못하고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기다려야 함으로써, 빠른 대처를 요하는 긴급 상황에서는 적합하지 않다.The former has a problem that the user can not send an emergency if the user can not operate the smartphone, the latter must not wait to send the situation immediately after the emergency occurs, and wait until the end of the program, requiring a quick response Not suitable for emergency situations.

또한, 경로 기반의 종래 앱(app)들도 사용자가 직접 경로를 지도상에 표시하여야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입력의 불편과 감지의 부정확도가 높은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oute-based apps (app) also has a problem that the user has a high degree of inconvenience of input and inaccurate detection because the user must display the route directly on the map.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종 센서와 이를 구비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주변 영역에서 보안 및 비상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지정된 곳으로 현 위치를 포함한 메시지 또는 응급 콜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폰을 조작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응급 요청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variety of sensors and smart phones equipped with the user to operate the phone by performing a message or emergency call,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ignated place automatically when security and emergency occurs in the surrounding area of the user Provides a smart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that enables emergency requests in situations that can not b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이 많은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부합하도록 경비의 비용 부담을 최소화하고, 보안이 취약한 환경에 노출된 사용자에게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방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phone that can minimize the burden of expenses to meet the lifestyle of the modern mobile, and provide a security service regardless of the place to users exposed to a security-vulnerable environment Provide a base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은 소정 구역 내에 각각 배치되어 해당 구역 내의 보안 및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패턴의 감지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비상 통보신호를 송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이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신호의 패턴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감지신호의 패턴과 다를 경우 통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통보 제어 신호를 입력받으면,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비상 통보신호를 출력하는 통보 서비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Smart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predetermined area, respectively, the senso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sensor for detecting security and emergency in the area;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ion signal is a detection signal of a preset pattern, and transmits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configured to store at least one pattern of at least one detection signal in advance;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notification control signal whe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is different from the pattern of the detection signal stored in the memory; And a notification service unit outputt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to a predetermined contact when receiving a notifica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상기 통보 서비스부는 문자 보내기, 전화 걸기 또는 푸쉬 통보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may be at least one of a text sending, a dialing, or a push notification service.

상기 센서부는 해당 구역 내의 출입문에 장착된 자석을 구비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감지 신호의 패턴과 다른 경우 통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The sensor unit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having a magnet mounted to a door in a corresponding area, and the control unit outputs a notification control signal when a detection signal detect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is different from a pattern of a detection signal stored in the memory.

상기 감지 신호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가속도 센서가 부착된 출입문이 분리되는 때의 힘의 크기일 수 있다.The detection signal may be a magnitude of a force when the magnet provided in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door to which the acceleration sensor is attached are separated.

상기 메모리는 해당 구역 내에 출입하도록 허용된 출입자의 인증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The memory may store in adva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a person who is allowed to enter the corresponding area.

상기 센서부는 해당 구역 내에 출입하는 출입자의 RFID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를 구비하는 RFID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ID 리더에 의하여 수신하는 출입자의 RFID 인증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출입자의 인증정보가 다른 경우 통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Th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n RFID module including an RFID reader configured to receive RFI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an accessor entering and exiting a corresponding area, and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n RFI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an accessor received by the RFID reader and an accessor stored in the memory. I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different, a notification control signal is output.

상기 통보 서비스부는 상기 RFID 리더에 의하여 수신된 출입자의 RFID 인증 정보를 통보할 수 있다.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may notify the RFI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person received by the RFID reader.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dat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무선랜, 무선 인터넷, 유선 인터넷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The data transceiver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t least one of infrared communication, Bluetooth, WLAN, wireless Internet, and wired Internet.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통보 서비스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의 통제 제어 신호의 전송여부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result of whether the control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to a predetermined contac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은 각종 센서와 이를 구비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주변 영역에서 보안 및 비상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지정된 곳으로 현 위치를 포함한 메시지 또는 응급 콜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폰을 조작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응급 요청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Smart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ing a variety of sensors and smart phones equipped with the message or emergency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ignated place automatically when the security and emergency situation in the surrounding area of the user Calls can be made to enable emergency requests in situations where the user cannot operate the phon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은 이동이 많은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부합하도록 경비의 비용 부담을 최소화하고, 보안이 취약한 환경에 노출된 사용자에게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방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mart 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cost of expenses to meet the lifestyle of many modern mobile, and regardless of location to users exposed to a weak security environment Can provide security servi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mart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mart 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EXEMPLARY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d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mart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1)은, 센서부(20)와 이동통신 단말기(1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smartphone-based crime prevention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20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상기 센서부(2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소정 구역 내에 각각 배치되어 해당 구역 내의 보안 및 비상상황을 감지한다. 상기 센서부(2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는 사용자가 거주하는 주택, 사용자가 여행시 머무르는 모텔이나 호텔 등의 여행 숙박업소, 캠핑카 등의 출입문 등에 자유롭게 장착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자석이 부착된 가속도 센서(21)일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21)는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자석의 분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21)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하를 검출하여 가속도를 구하는 압전형, 기전력을 검출하여 가속도를 구하는 동전형, 저항선 변형 게이지에 의하여 가속도를 구하는 저항선 변형 게이지형, 또는 힘과 저항의 변화에서 가속도를 구하는는 반도체 변형 게이지형 등의 충격감지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속도 센서(21)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sensor unit 20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and is disposed in each of the predetermined zones to detect security and emergency situations in the corresponding zones. At least one sensor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20 may be freely mounted on a house where the user resides, a travel lodging facility such as a motel or a hotel where the user stays when traveling, a doorway such as a camping car, and the like, and a magnet is attached thereto. It may be an acceleration sensor 21. The acceleration sensor 21 may detect whether the magnet is separated u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The acceleration sensor 21 is generally a piezoelectric type to detect the acceleration used to obtain the acceleration, coin type to detect the acceleration by electromotive force, resistance line strain gauge type to obtain the acceleration by the resistance line strain gauge, or change in force and resistance An acceleration sensor such as a semiconductor strain gage type may be used to obtain the acceleration from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ype of the acceleration sensor 21.

또한, 상기 센서부(20)는 해당 구역 내에 출입하는 출입자의 RFID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를 구비하는 RFID 모듈(22)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or unit 20 may be an RFID module 22 having an RFID reader that receives RFI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a person entering and leaving the corresponding area.

상기 센서부(2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23)는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무선랜, 무선 인터넷, 유선 인터넷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The sensor unit 20 may include a data transceiver 23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one sensor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re, the data transceiver 23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t least one of infrared communication, Bluetooth, wireless LAN, wireless Internet, and wired Internet.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의 비상상황시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미리 지정된 연락처에 접속하여 비상 통보신호를 송신하는 기기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센서부(2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패턴의 감지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비상 통보신호를 송신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a device that transmits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by accessing a predetermined contact point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case of an emergency of a user. Specifical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20,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ion signal is a detection signal of a preset pattern, and transmits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메모리(12), 제어부(11), 통보 서비스부(13) 및 디스플레이부(14)를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cludes a memory 12, a control unit 11, a notification service unit 13, and a display unit 14.

상기 메모리(12)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신호의 패턴 또는 해당 구역 내에 출입하는 출입자의 인증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감지신호의 패턴은 가속도 센서(21)가 그 부착된 영역과의 분리될 때 가속도 센서(21)에 가해지는 충격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충격에 관한 정보는 센서에 부착된 자석과 센서가 부착된 출입문이 분리되는 때의 힘의 크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자의 인증 정보는 RFID 모듈(22)에 의하여 인식되도록 해당 구역 내에 출입하도록 허용된 출입자의 인증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2)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플래쉬 메모리일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상기 메모리(12)에는 프로그램이 가볍고, 기능이 제한적이지 않으며, SQL 문법을 지원하며, 스마트폰에 주로 이용되는 Sqlite의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나, 이러한 종류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emory 12 stores at least one preset pattern of a detection signal 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a person entering and leaving the area. The pattern of the preset detection signal may be information about an impact applied to the acceleration sensor 21 when the acceleration sensor 21 is separated from the attached area. For example, the impact information may be the magnitude of the force when the magnet attached to the sensor and the door to which the sensor is attached are separated. 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or may b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or allowed to enter and exit the corresponding area to be recognized by the RFID module 22. In addition, the memory 12 may be a flash memory basically moun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memory 12 is a light program, the function is not limited, supports the SQL grammar, and can store data in the form of a database of Sqlite that is mainly used in smartphones,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kind It is not limited.

상기 제어부(11)는 메모리(12), 통보 서비스부(13) 및 디스플레이부(14)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는 센서부(20)로부터의 감지신호가 메모리(12)에 저장된 감지신호의 패턴과 다를 경우 통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부(11)는 센서부(20)의 가속도 센서(21)로부터 감지되는 힘의 크기가 메모리(12)에 미리 설정된 힘의 크기와 다른 경우, 또는 출입자의 RFID 인증 정보와 메모리(12)에 저장된 출입자의 인증 정보를 비교 판단하여 서로 다를 경우 통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The controller 11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memory 12, 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13, and the display unit 14. The control unit 11 outputs a notification control signal whe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20 is different from the pattern of the detection signal stored in the memory 12. That is, the control unit 11 is the case that the magnitude of the force detect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21 of the sensor unit 20 is different from the magnitude of the force preset in the memory 12, or the RFI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memory 12 of the visitor Compare and determin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or stored in the) and output a notification control signal if they differ.

상기 통보 서비스부(13)는 제어부(11)로부터 통보 제어 신호를 입력받으면,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비상 통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통보 서비스부(13)는 문자 보내기, 전화 걸기 또는 푸쉬 통보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통보 서비스부(13)는 RFID 리더에 의하여 수신된 출입자의 RFID 인증 정보를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통보할 수 있다.When 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13 receives a notifica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1, 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13 outputs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to a predetermined contact. 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13 provides at least one of a text sending, a dialing, or a push notification service. In addition, 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13 may notify the predetermined contact point of the RFI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received by the RFID reader.

상기 디스플레이부(14)는 통보 서비스부(13)로부터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의 통제 제어 신호의 전송여부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제 제어 신호의 전송여부 결과를 확인하여 비상상황 발생시보다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The display unit 14 may display a result of whether the control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13 to a predetermined contact. Therefore, the user can check the result of the transmission of the control control signal to be able to cope more safely in case of emergency.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의 비상상황시 비상 통보신호를 송신하는 스마트 폰 일 수 있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장치와 동일한 장치이다.
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may be a smart phone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in case of an emergency of the user, the same device as the smart 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described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mart 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장치(100)는, 센서부(110), 메모리(130), 제어부(120), 통보 서비스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2, the smart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110, memory 130, control unit 120, notification service unit 140 ) And the display unit 150.

상기 센서부(110)는 비상상황시 사용자 주변의 보안 및 비상상황을 감지한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부(110)는 사용자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111),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GPS센서(112), 사용자로부터 비상상황에 대한 음성신호를 감지하는 음성인식센서(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속도 센서(111)는 사용자에게 발생한 충격(예를 들면, 납치 등)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에 출력한다. 좀더 엄밀히 말하면, 상기 가속도 센서(111)는 스마트폰의 가속도 정보를 제어부에 출력한다. 상기 GPS 센서(112)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상기 음성인식센서(113)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의 패턴(예를 들면, 신호의 주기, 크기 등)을 감지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가속도 센서(111) 및 GPS 센서(112)는 대부분의 스마트폰에 장착되어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취득하여 이용하는 방법은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기술이다. 따라서, 이러한 가속도 센서(111) 및 GPS 센서(112)로부터 얻은 정보를 취득하여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The sensor unit 110 detects a security and emergency situation around the user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order to implement such an operation, the sensor unit 110 may detect an acceleration sensor 111 for detecting an acceleration of a user, a GPS sensor 112 for detec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and detect a voice signal for an emergency situation from a user. It includes a voice recognition sensor 113 to. In this case, the acceleration sensor 111 detects a shock (for example, abduction, etc.) occurring to the user, and outputs information about the shock to the controller. More precisely, the acceleration sensor 111 outputs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to the controller. The GPS sensor 112 detec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outpu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20. The voice recognition sensor 113 detects a pattern (for example, a signal period, a magnitude, and the like) of a voice signal input from a user and outpu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20. Here, the acceleration sensor 111 and the GPS sensor 112 is mounted on most smartphones, and a method of acquiring and using information from these sensors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description about the method of acquiring and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such the acceleration sensor 111 and the GPS sensor 112 is abbreviate | omitted.

상기 메모리(130)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신호의 패턴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신호의 패턴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될 음성신호의 패턴(예를 들면, 신호의 주기 또는 크기) 정보와, 사용자의 가속도 정보(예를 들면, 가속도 크기)를 포함한다. The memory 130 stores in advance a pattern of at least one detection signal. Here, the pattern of the detection signal includes a pattern (eg, period or magnitude of the signal) of the voice signal to be input from the user, and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eg, magnitude of acceleration) of the user.

상기 제어부(120)는 센서부(110)로부터의 감지신호와 메모리(130)에 저장된 감지신호의 패턴을 비교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통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어부(120)는 음성인식센서(113)에 의하여 감지된 음성신호의 주기 또는 크기 정보와 메모리(130)에 저장된 음성신호의 주기 또는 크기 정보가 동일한 경우, 통보 제어 신호를 통보 서비스부(14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가속도 센서(111)에 의하여 감지된 충격에 대한 가속도 크기와 메모리(130)에 저장된 가속도 크기와 다르거나 가속도 크기 비율을 초과할 경우, 통보 제어 신호를 통보 서비스부(140)로 출력한다.The controller 120 compares and determines a pattern of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110 and the pattern of the detection signal stored in the memory 130, and outputs a notificatio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20, when the period or siz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detected by the voice recognition sensor 113 and the period or siz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stored in the memory 130 is the same, a notification control signal Output to 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140. 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120 is different from the acceleration magnitude for the shock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111 and the acceleration magnitude stored in the memory 130 or exceeds the acceleration magnitude ratio, the control unit may notify the notification control signal ( 140).

일 예로, 상기 제어부(120)는 가속도 센서(111)로부터 얻은 사용자의 가속도가 중력 가속도의 대략 2배일 경우 통보 서비스부(140)에 통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물론, 상기 수치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120)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GPS 센서(112) 및 가속도 센서(111)를 통한 사용자의 이동이 전혀 감지되지 않거나, GPS 센서(112)를 통한 사용자의 위치가 목적지 위치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통보 서비스부(140)에 통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중력 가속도에 대한 가속도의 비율 범위는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례로 스마트폰의 OS(operating system)에 탑재되어 구동되는 앱(app)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어부(120)의 종류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 outputs a notification control signal to 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140 when the acceleration of the user obtain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111 is approximately twice the gravity acceleration.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numerical values. 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but the movement of the user through the GPS sensor 112 and the acceleration sensor 111 is not detected at all, or the user's position through the GPS sensor 112 is far from the destination location. Even in the event of a loss, a notification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140. Here, the ratio range of the acceleration to the gravity acceleration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program), for example, may be an app (app) mounted on the operating system (OS) of the smart phon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kind of the control unit 120.

상기 통보 서비스부(140)는 제어부(120)로부터 통보 제어 신호를 입력받으면,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비상 통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통보 서비스부(140)는 문자 보내기, 전화 걸기 또는 푸쉬 통보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통보 서비스부(140)는 GPS센서(112)에 의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도 함께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통보하거나, 음성인식센서(113)로부터 감지된 사용자의 비상 상황신호를 수신하여 직접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통보할 수 있다. When 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140 receives a notifica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20, 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140 outputs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to a predetermined contact. 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140 uses at least one of a text sending, a dialing, or a push notification service. In addition, 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140 notifies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GPS sensor 112 to a predetermined contact, or receives an emergency situation signal of the user detected from the voice recognition sensor 113 You can notify the pre-designated contact directly.

예를 들면, 상기 통보 서비스부(140)는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문자 보내기, 전화 걸기 또는 푸쉬 통보 서비스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푸쉬 통보 서비스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에서 동일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메시지를 통보하는 미국 애플사에서 개발한 푸시 서비스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미리 지정된 연락처는 친구, 보호자 또는 경찰일 수 있으나, 이러한 종류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더불어, 상기 통보 서비스부(14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도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함께 통보함으로써, 지정된 연락처의 사람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신속히 알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통보 서비스부(140)는 상기 연락처 정보를 메모리(130)로부터 획득하고, 또한 현재 위치 정보는 GPS 센서(112) 또는 메모리(130)로부터 획득하여 이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140 performs at least one of a text sending, a dialing, or a push notification service to a predetermined contact. Here, the push notification service may be, for example, a push service developed by the US Apple, which notifies a message to users who use the same program in a smartphon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kind.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contact may be a friend, guardian or poli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kind. In addition, 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140 also notifi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a predetermined contact, so that the person of the designated contact can quickly know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Of course, 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140 may obtain the contact information from the memory 130,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from the GPS sensor 112 or the memory 130.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통보 서비스부(140)로부터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의 통제 제어 신호의 전송여부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제 제어 신호의 전송여부 결과를 확인하여 비상상황 발생시 보다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The display unit 150 may display a result of whether the control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140 to a predetermined contact. Therefore, the user can check the result of the transmission of the control control signal and can cope more safely in case of emergency.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just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 smart 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
10: 이동통신 단말기 11, 120: 제어부
12, 130: 메모리 13, 140: 통보 서비스부
14, 150: 디스플레이부 20, 110: 센서부
21, 111: 가속도 센서 22: RFID 모듈
23: 데이터 송수신부
100: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장치
112: GPS 센서 113: 음성인식센서
1: Smartphone 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120: control unit
12, 130: memory 13, 140: notification service unit
14, 150: display unit 20, 110: sensor unit
21, 111: acceleration sensor 22: RFID module
23: data transceiver
100: smart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112: GPS sensor 113: voice recognition sensor

Claims (18)

소정 구역 내에 각각 배치되어 해당 구역 내의 보안 및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패턴의 감지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비상 통보신호를 송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이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신호의 패턴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감지신호의 패턴과 다를 경우 통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통보 제어 신호를 입력받으면,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비상 통보신호를 출력하는 통보 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해당 구역 내의 출입문에 장착된 자석을 구비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감지 신호의 패턴과 다른 경우 통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
A sensor unit disposed in each of the predetermined zones and including at least one sensor for detecting security and emergency situations in the corresponding zones; And
A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compri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detection signal is a detection signal of a preset pattern, and transmitt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at least one pattern of the detection signal in advance;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notification control signal whe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is different from the pattern of the detection signal stored in the memory; And a notification service unit outputt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to a predetermined contact when receiving a notifica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he sensor unit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having a magnet mounted to the door in the area,
The control unit outputs a notification control signal when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is different from the pattern of the detection signal stored in the memory, the smart phone-based crime prevention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 서비스부는 문자 보내기, 전화 걸기 또는 푸쉬 통보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is a smart 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text transmission, dialing or push notification ser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가속도 센서가 부착된 출입문이 분리되는 때의 힘의 크기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ction signal is a smart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itude of the force when the magnet provided in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door attached to the acceleration sensor is sepa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해당 구역 내에 출입하도록 허용된 출입자의 인증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emory is a smart 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e-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allowed to enter and exit the are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해당 구역 내에 출입하는 출입자의 RFID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를 구비하는 RFID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ID 리더에 의하여 수신하는 출입자의 RFID 인증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출입자의 인증정보가 다른 경우 통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nsor unit further includes an RFID module having an RFID reader for receiving RFI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entering and leaving the area,
The control unit is a smart 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 notification control signal when the RFI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person received by the RFID reader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is differ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 서비스부는 상기 RFID 리더에 의하여 수신된 출입자의 RFID 인증 정보를 통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is a smart 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notifying the RFI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received by the RFID rea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unit
Smart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comprising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무선랜, 무선 인터넷, 유선 인터넷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smart 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t least one of Bluetooth, wireless LAN, wireless Internet, wired Inter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통보 서비스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의 통제 제어 신호의 전송여부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o the user the result of the transmission of the control control signal from the notification service unit to a predetermined contact, the smart phone-based security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74148A 2012-07-06 2012-07-06 Security and emergency reporting system based on smart phone KR1013867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148A KR101386786B1 (en) 2012-07-06 2012-07-06 Security and emergency reporting system based on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148A KR101386786B1 (en) 2012-07-06 2012-07-06 Security and emergency reporting system based on smart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118A KR20140007118A (en) 2014-01-17
KR101386786B1 true KR101386786B1 (en) 2014-04-22

Family

ID=5014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148A KR101386786B1 (en) 2012-07-06 2012-07-06 Security and emergency reporting system based on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78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023A (en) 2017-11-16 2019-05-24 (주)바인아이티 Emergency reporting mothod by Smart mobile and based on bluetooth for wearab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7764B2 (en) * 2014-01-18 2018-08-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ivacy preserving sensor apparatus
KR102244213B1 (en) * 2014-03-10 2021-04-26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losing electronic devices
KR101649946B1 (en) * 2014-08-06 2016-08-23 아이라자스(주)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detection signal in fire fighting equipment
KR101508662B1 (en) * 2014-08-26 2015-04-07 주식회사 다누시스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life safety accident in small space based on user mobile-device with portable sens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051A (en) * 2004-03-18 2005-09-23 김치경 Unmanned guard system using mobile phone
KR100807757B1 (en) * 2006-10-27 2008-02-28 오상원 Voice recognition auto alarm system
KR20080033907A (en) * 2005-05-20 2008-04-17 하드로넥스, 엘엘씨 A remote sen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120033470A (en) * 2010-09-30 2012-04-09 주식회사 에스원 Emergency situation detecting device based on smart phone and methode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051A (en) * 2004-03-18 2005-09-23 김치경 Unmanned guard system using mobile phone
KR20080033907A (en) * 2005-05-20 2008-04-17 하드로넥스, 엘엘씨 A remote sen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807757B1 (en) * 2006-10-27 2008-02-28 오상원 Voice recognition auto alarm system
KR20120033470A (en) * 2010-09-30 2012-04-09 주식회사 에스원 Emergency situation detecting device based on smart phone and methode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023A (en) 2017-11-16 2019-05-24 (주)바인아이티 Emergency reporting mothod by Smart mobile and based on bluetooth for wear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118A (en) 201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786B1 (en) Security and emergency reporting system based on smart phone
JP411601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10009867B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n emergency in a room
RU2010121927A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TARGET CHALLENGE FOR USE OF THE LIFT INSTALLATION AND THE LIFT INSTALLATION
KR101459104B1 (en) Intelligent cctv system detecting emergency with motion analysis and method of emergency detection using the same
JP2010171911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210264755A1 (en) Doorbell system, location notification system, and intercom system
CN107251119B (en) Loitering notification server and loitering notification system
KR101584962B1 (en) System for blocking use of mobile device during driving and method therefor
KR100680904B1 (en) Notice method for emergent dispatch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31598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false alarms using the gps location of a mobile device
JP2007164486A (en) Information report unit
KR101564347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requesting emergency relief
KR200483108Y1 (en) System for preventing loss of mobile phone
KR20160118397A (en) System of accident report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120033470A (en) Emergency situation detecting device based on smart phone and methode thereof
KR1015027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issing protection using messenger app.
KR101682896B1 (en) Contacting method in a case of automobile accident using obd terminal
JP6326604B1 (en) Unauthorized use detection system and unauthorized use detection program
KR101887010B1 (en) Vehicle signal transmission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KR20160057709A (en) Child location tracking terminal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60019296A (en) System for detecting loss of mobile phone
KR1011022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US10347115B1 (en) Method for alerting the guest to collect the belongings in safe before checkout
KR101400492B1 (en) User loc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terminal using short distance location tracking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