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155B1 - Service apparatus of checking room occupation having door free function - Google Patents

Service apparatus of checking room occupation having door free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155B1
KR101930155B1 KR1020170021965A KR20170021965A KR101930155B1 KR 101930155 B1 KR101930155 B1 KR 101930155B1 KR 1020170021965 A KR1020170021965 A KR 1020170021965A KR 20170021965 A KR20170021965 A KR 20170021965A KR 101930155 B1 KR101930155 B1 KR 101930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ousehold
redundancy check
communication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9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5958A (en
Inventor
한정태
Original Assignee
(주)참슬테크
(주)현암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참슬테크, (주)현암앤티 filed Critical (주)참슬테크
Priority to KR1020170021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155B1/en
Publication of KR20180095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9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1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9Signalling of the alarm condition to a substation whose identity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relaying alarm signals in order to extend communication r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대원의 재실 여부를 확인하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를 개시한다.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는 비콘 장치, 통신부, 및 서비스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비콘 장치는 설정된 주파수의 비콘 신호를 발생한다. 통신부는 세대의 월패드와 통신하고, 상기 세대에 재난이 발생 시 세대 재난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세대의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와 통신한다. 서비스 컨트롤러는 상기 세대 재난신호가 수신될 때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 후,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재실 식별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될 때, 상기 재실 식별신호에 근거하여 재실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for confirming redundancy of a household member.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includes a beacon unit, a communication unit, and a service controller. The beacon device generates a beacon signal of the set frequency. The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es with the wall pad of the household, receives a disaster signal when a disaster occurs in the household, and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registered wireless terminal of the household. The service controller generates a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when the generation disaster signal is received, transmits the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to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n transmits the redundancy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receiving the beacon signal And generates a redundancy check signal based on the redundancy identification signal when it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section and transmits the redundancy confirmation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section.

Description

도어 프리 기능을 갖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Service apparatus of checking room occupation having door free functio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hecking room occupation using door free function,

본 발명은 단독주택, 빌딩, 또는 공동주택과 같은 건물에서 사람이 있는 지를 확인하는 재실 확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나 지진 등의 재난 발생시에 구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프리 기능을 갖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firming whether a person is present in a building such as a single-family house, a building or a multi-family house, and more particularly, And a confirmation service device.

단독주택, 빌딩, 또는 공동주택과 같은 건물에는 사람이 살거나 존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빌라나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소방관 등의 구조자는 세대 내부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는지 또는 몇 명이나 있는 지를 미리 알기 어렵다. 또한, 구조자는 사람이 세대 내부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세대 복도, 베란다, 비상계단, 또는 승강기 등과 같은 세대 근방에 위치하는지를 알기 어렵다. People live or exist in buildings such as detached houses, buildings, or apartment houses. For example, when a fire occurs in a multi-family house such as a villa or an apartment house, a rescuer such as a firefighter can hardly know in advance whether there is a person inside the household or how many persons there are. Also, it is difficult to know whether the rescuer is located within a household, such as a generation hallway, a veranda, an emergency staircase, an elevator, or the like.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 세대원이 잠을 자고 있는 중이라면 세대원은 대피 방송이 발생된 경우에도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서 스스로 대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세대원은 화재 발생 시에 생성되는 유독성 가스에 의해 순식간에 의식을 잃을 수도 있어 자력 대피가 어려울 수 있다. If a family member is sleeping in the case of a fire in a multi-family house, household members may be unable to evacuate themselves within the household of the multi-family house even if evacuation broadcasts occur. In addition, household members may lose consciousness in an instant due to the toxic gas generated in the event of fire, so it may be difficult to evacuate the magnetic force.

한편, 공동주택의 특정 세대에 거주하는 사람이 4명인 경우라고 하면 2명은세대 내부에 있고(재실) 나머지 2명은 외출 중이어서 세대와 멀리 떨어진 세대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그런 경우 구조자는 특정 세대에 접근 시 구조하여야 할 사람이 2명임을 알 필요성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are four people living in a certain household of the apartment house, two people are inside the house (the room) and the other two are out of the house, and may be outside the house far away from the household. In such a case, it is necessary for the rescuer to know that there are two people who need to be rescued when approaching a certain generation.

단독 주택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는 관리시스템이나 관리실이 없을 수 있어 단독 주택의 세대에 누가 있는지 혹은 세대의 어디에 세대원이 위치되어 있는지를 더욱 알기 어렵다. 따라서 화재 재난의 발생 시에 대피와 구조가 공동주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 When a fire occurs in a single-family house, there may be no management system or management room, so it is difficult to know who is in the household of the single-family house or where the household is located in the household. Therefore, evacuation and rescue can be relatively weak in case of fire disaster.

한편, 화재 발생 시 세대원이 자력으로 대피하기 어려운 경우라면, 외부에 있는 구조자의 도움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 세대원이 들어 있는 세대의 도어록은 잠겨있는 상태이므로 도어록을 개방하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즉, 도어록이 잠겨있는 상태에서는 구조가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구조자는 도어록을 파괴하거나 도어 일부를 절단하여야 한다. 따라서, 도어록 개방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면 구조자는 세대원을 신속하게 구조하기 어렵다.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fire, it is necessary to help the rescuer outside if it is difficult for the family members to evacuate by themselves. However, in this case, the door lock of the household containing the household member is locked, so it may take time to open the door lock. That is, since the structure can not be constructed when the door lock is locked, the rescuer must break the door lock or cut a part of the door.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a rescuer to quickly rescue a household member if a considerable time is required to open the door lock.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재난 발생 시에 구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ne room confirmation service device capable of quickly and easily performing a structure in the event of a disast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재나 지진 등의 재난 발생 시에 세대원의 재실 유무 및 재실 중인 세대원의 위치를 모니터 상에 표시하고 구조자나 관리자에게 세대원들의 위치 상태를 알릴 수 있는 도어 프리 기능을 갖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free function capable of display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household member in a fire or an earthquake in the event of a disaster, And to provide a loneliness confirmation service apparatus having the sam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 통신부, 및 서비스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는 세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설정된 주파수의 무선통신 신호를 발생한다. 통신부는 상기 세대에 재난이 발생 시 세대 재난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세대의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와 통신한다. 서비스 컨트롤러는 상기 세대 재난신호가 수신될 때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다. 상기 재실 확인 요청신호가 전송된 이후, 서비스 컨트롤러는 상기 무선통신 신호를 받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재실 식별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될 때, 도어 프리 및 구조 알림이 달성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재실 식별신호에 따라 재실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udspeaker confirmation service apparatus includ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 communication unit, and a service controller. The near-field communication device is installed in at least one generation to generate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of a set frequency.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a generation disaster signal when a disaster occurs in the household, and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registered wireless terminal of the household. The service controller generates a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when the generation disaster signal is received and transmits the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to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fter the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he service controller, when the redundancy iden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recei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Generates a redundancy check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identifica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는 블루투스 장치, 통신부, 및 서비스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장치는 세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설정된 주파수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생한다. 통신부는 상기 세대의 월패드와 통신하고, 상기 세대에 재난이 발생 시 세대 재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세대의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와 통신한다. 서비스 컨트롤러는 상기 세대 재난 신호에 응답하여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재실 확인 요청신호가 전송된 후, 상기 서비스 컨트롤러는,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재실 식별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될 때, 도어 프리 및 구조 알림이 달성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재실 식별신호와 상기 세대의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를 근거로 재실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ud-speaker identification service device includes a Bluetooth device, a communication unit, and a service controller. At least one Bluetooth device is installed in a household and generates a Bluetooth signal of a set frequency. The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es with the wall pad of the generation, receives a disaster signal when a disaster occurs in the household, and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registered wireless terminal of the household. The service controller generates a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in response to the generation disaster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to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fter the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he servic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perform a door-free and structure notification when the redundancy iden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that receives the Bluetooth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Generates a re-confirmation signal based on the room identification signal and the household access record data of the household, and transmits 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는, 세대에 설치되어 세대 내부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화재 감지부와, 상기 화재 감지부가 화재 발생을 감지 시에 설정된 주파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는, 무선랜(WLAN)을 통해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는 재실 판단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재실 판단 컨트롤러는 상기 화재 감지부가 화재 발생을 감지 시에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재실 판단 컨트롤러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부터 재실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로 전송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and-alone room confirmation service device, comprising: a fire detection unit installed in a household and configured to detect occurrence of a fire inside a household;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having a frequency set at the time of detection. Further, the stand-alone room availability confirmation service apparatus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via a wireless LAN (WLAN). In addition, the stand-alone loud-speaker identification service apparatus includes a loudspeaker determination controller. The redundancy judgment controller controls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when the fire detection unit detects a fire. When the redundancy response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redundancy judgment controller generates a fire occurrence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재난 발생시에 재실하고 있는 사람들이 몇 명이고 누구인지를 구조자가 미리 알 수 있고 도어록 프리 기능이 달성되므로 구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재난 발생 시에 건물 내에 존재하는 사람의 위치도 구조자가 미리 알 수 있으므로 구조 작업이 신속해진다. 또한, 재실하고 있지 않은 재외부자도 세대원의 구조 상황에 대한 정보를 세대의 외부에서 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cuer can know in advance how many people are staying in the event of a disaster, and the door lock-free function is achieved, so that the rescue operation is facilitated. In addition, the rescue work can be speeded up because the rescuer can know the location of the person in the building in advance in case of a disaster. In addition, overseas wealthy people who are not rewiring can receive information on the rescue situation of household members from outside the househol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확인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선 단말기의 재실 식별신호 생성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재실 식별신호 생성의 예시를 보여주는 테이블이다.
도 5는 도 1의 세대 내에 설치된 월패드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재실 확인 신호 생성의 예시를 보여주는 테이블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재실 확인 표시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는 도 9의 무선 단말기의 재실 식별신호 생성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rmation service system including a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FIG.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generation of a room identification signal of the wireless terminal of FIG.
FIG. 4 is a table showing an example of generation of a room identification signal according to FIG.
5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of a wall pad installed in the household of FIG.
6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of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shown in FIG.
FIG. 7 is a table showing an example of generation of a redundancy check signal according to FIG.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dundancy check indication according to FIG.
9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 service system including a stand-alone lone room identification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of the stand-alone loud-speaker identification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FIG.
11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of the single room type room confirmation service apparatus shown in FIG.
FIG. 12 is a flow chart showing generation of a room identification signal of the wireless terminal of FIG. 9;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이해의 편의를 제공할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개시된 내용이 보다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intention other than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어떤 소자 또는 라인들이 대상 소자 블록에 연결된다 라고 언급된 경우에 그것은 직접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어떤 다른 소자를 통해 대상 소자 블록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의미까지도 포함한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mentioned that some element or lines are connected to a target element block, it also includes a direct connection as well as a meaning indirectly connected to the target element block via some other element.

또한,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급적 나타내고 있다. 일부 도면들에 있어서, 소자 및 라인들의 연결관계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나타나 있을 뿐, 타의 소자나 회로블록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possible. In some drawing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elements and lines is shown for an effec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contents, and other elements or circuit blocks may be further provided.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장치(또는 모듈), 서버, 및 방재 시스템의 구체적 동작 및 기능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Each embodiment described and exemplified herein may also include its complementary embodiment, and the specific operations and functions of the Bluetooth device (or module), the server, and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are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확인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rmation service system including a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확인 서비스 시스템은 세대 건물 기기(100), 방재 시스템(200),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 홈네트워크 서버(400), 및 매니저 모니터링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1, the verification service system may include a household building device 100, a disaster prevention system 200, a redundancy check service device 300, a home network server 400, and a manager monitoring device 500 .

세대 건물 기기(100)는 월패드(110), 스캐너(120), WiFi 장치(122), 동체 감지기(130), 비콘 장치들(140,142), 도어록(150), 및 감지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ehold building appliance 100 includes a wall pad 110, a scanner 120, a WiFi device 122, a fuselage sensor 130, beacons 140 and 142, a door lock 150, and a detector 160 .

월패드(110)는 세대 건물의 벽에 설치되어 아파트 단지 내의 전달 사항이나 방문자의 출입 상황을 모니터링한다. 월패드(110)는 홈네크워크 서버(400)와 연결되어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월패드(110)는 세대 건물 내의 세대 기기 예컨대 보일러 컨트롤러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월패드(110)는 세대 내의 조명을 제어하는 기능도 포함할 수 있다. 월패드(110)는 홈네트워크 서버(400)를 통해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The moon pad 110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household building to monitor the information in the apartment complex or the entrance / exit of the visitor. The wall pad 110 may be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server 400 to perform a call function. The wall pad 110 may be connected to a household appliance, such as a boiler controller, in a household building. In addition, the wall pad 110 may also include a function of controlling illumination within a generation. The wall pad 110 may communicate with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through the home network server 400.

스캐너(120)는 출입 패스를 위한 키이(20)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월패드(110)나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스캐너(120)는 키이(20)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스캐너(120)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설정 포맷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The scanner 120 may receive the information of the key 20 for the entrance / exit pass and transmit it to the wall pad 110 or the outside. The scanner 120 includes a receiver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key 20. [ The scanner 120 includes an output unit for converting the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into a setting format and outputting the setting signal.

WiFi 장치(122)는 세대 건물의 내부(세대 건물의 근방 포함)에 위치된 통신 기기들(예 스마트 폰)을 WiFi 망에 연결한다. The WiFi device 122 connects communication devices (e.g., smartphones) located within the interior of the household (including the vicinity of the household) to the WiFi network.

동체 감지기(130)는 세대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대 건물 내의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The fuselage detector 13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ehold building to detect movement of the animal in the household building.

비콘 장치들(140,142)은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설정된 주파수의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 비콘 장치들(140,142)은 상시로 비콘 신호를 송출하거나, 구동 제어신호를 받아 활성화될 때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장치들(140,142)는 32-bit ARM C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장치들(140,142)는 2.4Ghz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는 블루투스 4.0 이상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장치들(140,142)는 또한 가속도 센서나 온도센서를 내부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장치들(140,142)은 예컨대 "HBT2X3N" 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beacons 140 and 142 are installed at fixed positions and transmit a beacon signal of a set frequency. The beacons 140 and 142 can transmit a beacon signal at all times or transmit a beacon signal when activated by receiving a drive control signal. The beacon devices 140 and 142 may include a 32-bit ARM CPU. The beacon devices 140 and 142 may support Bluetooth 4.0 or higher communicating in the 2.4 GHz frequency band. The beacon devices 140 and 142 may further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or a temperature sensor internally. The beacon devices 140 and 142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as "HBT2X3N ".

도어록(150)은 세대 건물의 세대 출입을 위한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 개방과 록킹을 수행한다. 도어록(150)은 무선이나 유선으로 도어 개방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어록(150)은 미도시된 도어폰과 연결되어 도어 개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door lock 150 is installed on a door for entering and leaving a household of a household, and performs door opening and locking. The door lock 150 can perform an operation for opening the door by wireless or wire. The door lock 150 is connected to a door phone (not shown) to perform a door opening operation.

감지기(160)는 세대 건물의 화재를 감지 시에 화재 감지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대 건물의 내부나 근방에서 화재가 발생되었다면 화재 시에 발생되는 연기나 뜨거운 온도에 의해 감지기(160)는 화재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화재 감지 신호는 라인(L10)을 통해 방재 시스템(200)으로 전송된다. 상기 라인(L10)은 유선 통신 라인 혹은 무선 통신 라인이 될 수 있다. 또한, 화재 감지 신호는 상기 라인(L10)을 통해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로도 전송될 수 있다. 한편, 감지기(160)는 세대 건물의 지진을 감지 시에는 지진 감지기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감지기(160)는 세대에서 일어나는 각종 재난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기일 수 있다. The detector 160 may function as a fire detector upon detecting a fire in a household building. For example, if a fire occurs inside or near the building, the detector 160 may generate a fire detection signal due to the smoke or hot temperature generated during the fire. The fir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200 via the line L10. The line L10 may be a wired communication lin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line. The fire detection signal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through the line L10. Meanwhile, the detector 160 may function as an earthquake sensor when detecting an earthquake of a household building. In addition, the detector 160 may be a sensor for detecting various disaster situations occurring in the household.

도 1에서, 세대 건물의 내부에는 무선 단말기로서의 스마트 폰(10)과 출입 패스를 위한 키이(20)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세대 건물의 계단(103), 복도, 또는 엘리베이터 홀 등과 같은 세대 건물의 근방에도 스마트 폰(12)과 키이(22)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세대 건물과는 멀리 떨어진 외부 예를 들어 세대 건물에서 30킬로미터 떨어진 직장 근무처에도 세대원의 스마트 폰(14)이 위치될 수 있다. In FIG. 1, a smartphone 10 as a wireless terminal and a key 20 for an access pass may be located inside a household building. In addition, the smartphone 12 and the key 22 can be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a household building such as a staircase 103, a hallway, or an elevator hall of a household building. Also, a smartphone 14 of household members may be located in a workplace remote from a generation building, for example, 30 km away from a generation building.

방재 시스템(200)은 아파트의 단지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방재 시스템(200)은 각 세대 건물의 감지기(160)와 복수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방재 시스템(200) 은 복수의 감지기들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200 can be installed in a complex of an apartment.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20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etectors 160 of each generation building. That is,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200 can receive a fire detection signal from a plurality of detectors.

방재 시스템(200)은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 시에 감지기(160)의 고유 ID를 판별하여 화재가 발생된 아파트의 동 및 세대 건물의 호수를 인식할 수 있다. 방재 시스템(200)는 특정 세대 건물에 재난이 발생 시 세대 재난신호 예컨대 세대 화재신호(HFS)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세대 화재 신호(HFS)는 라인(L20)을 통해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200 can recognize the unique ID of the detector 160 upon receiving the fire detection signal and recognize the lake of the same building of the apartment where the fire occurred.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200 can generate a generation disaster signal, such as a household fire signal (HFS), in the event of a disaster occurring in a specific household. The generated generation fire signal (HFS) can be transmitted to the rekeying service device 300 through the line L20.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상기 라인(L20)을 통해 방재 시스템(200)과 연결되고, 라인(L30)을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400:H/N)와 연결될 수 있다. 홈네트워크 서버(400)는 상기 월패드(110)와 연결될 수 있다. 홈네트워크 서버(400)는 또한 아파트 단지의 주차 위치 유도나 주차 위치 확인에 관련된 서비스를 담당하는 주차 위치 서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홈네트워크 서버(400)는 주차 위치 확인 정보를 통해서도 등록된 세대원의 세대 출입 상황 정보를 얻을 수 있다.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may be connected to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200 through the line L2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server 400 through the line L30. The home network server 400 may be connected to the wall pad 110. The home network server 400 may also be coupled to a parking location server (not shown) responsible for parking location guidance of the apartment complex or service related to parking location identification. The home network server 400 can also obtain household access status information of registered household members through the parking posi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내부 단자(I1)을 통해 상기 세대 화재 신호(HFS)를 수신하고, 내부 단자(I3)를 통해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40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내부 단자(I2)을 통해 라인(L40)에 연결된 스마트 폰들(10,14)과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라인(L40)은 무선 통신 라인이며 WiFi 망이나 LTE 등의 이동 통신망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인(L40)에는 세대 건물 근방에 위치된 스마트 폰(12)도 연결될 수 있다.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receives the generation fire signal HFS through the internal terminal I1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home network server 400 via the internal terminal I3. Also,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can communicate with the smart phones 10, 14 connected to the line L40 via the internal terminal 12. Herein, the line L4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line and may mea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nnel such as a WiFi network or an LTE network. Accordingly, the smartphone 12 located in the neighborhood of the household building may be connected to the line L40.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세대 건물마다 설치된 월패드(110)와 통신하고, 특정 세대에 재난이 발생 시 특정 세대의 세대 재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상기 세대의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 폰들(10,12,14)과 통신할 수 있다.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communicates with the monthly pad 110 installed for each generation building and can receive a generation disaster signal of a specific generation when a disaster occurs in a certain generation. Also,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can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registered wireless terminal, for example, smart phones 10, 12, and 14 of the generation.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상기 세대 재난 신호에 응답하여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들(10,12,14)로 전송할 수 있다.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들(10,12,14)로 부터 재실 식별신호가 수신될 때, 재실 식별신호에 근거하여 재실 확인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들(10,12,14)로 부터 재실 식별신호가 수신될 때, 도어 프리 및 구조 알림이 달성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재실 식별신호와 상기 세대의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에 근거하여 재실 확인신호를 최종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may transmit a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to the at least one smart phone 10, 12, 14 in response to the generation disaster signal.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may generate a redundancy check signal based on the redundancy identification signal when the redundancy iden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smart phone 10, 12 or 14. Also,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device 30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redundancy identification signal when the redundancy iden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smart phone 10, 12, 14, It is possible to finally generate a redundancy check signal based on the household access record data of the second generation.

결국, 재실 확인신호는 재실 식별신호 자체가 될 수도 있고,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와의 비교 분석에 의해 새롭게 생성된 최종 판단신호일 수도 있다. 재실 확인신호(RCS)는 라인(L50)을 통해 매니저 모니터링 장치(50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매니저 모니터링 장치(500)는 재난 구조를 지휘하는 방재 센터가 될 수도 있다. As a result, the redundancy check signal may be the redundancy judgment signal itself or the final judgment signal newly generated by comparison analysis with the entry / exit data. The redundancy check signal RCS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r monitoring apparatus 500 via line L50. Here, the manager monitoring apparatus 500 may be a disaster prevention center that directs a disaster structure.

매니저 모니터링 장치(500)는 상황 디스플레이를 위한 모니터(5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510)의 화면 상에는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해당 세대원들의 재실 유무 또는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도 8의 표시 상황의 세부는 후술될 것이다. The manager monitoring device 500 may be coupled to a monitor 510 for status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monitor 510, the presence or position of the household members as shown in FIG. 8 can be displayed. Details of the display state of Fig. 8 will be described later.

도어 프리는 디지털 방식으로 동작되는 도어록을 재실 확인신호(RCS)에 의해 개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구조 알림은 재실 확인신호(RCS)가 생성될 때 구조자에 의해 재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반 표시를 의미할 수 있다. The door free may mean that the door lock, which is operated in a digital manner, is opened by a re-confirmation signal (RCS). In addition, the structure notification may refer to any indication that a disaster relief can be made by the rescuer when a redundancy check signal (RCS) is generated.

도 1에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라인(L40)을 통해 소방서(502)및 국민 안전처(504)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민 안전처(504)의 상황실 컴퓨터는 상기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제공되는 재실 확인신호(RCS)를 수신할 수 있다. In FIG. 1,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ehouse 502 and the national security center 504 via a line L40. For example, the situation room computer of the national security center 504 may receive a redundancy check signal (RCS) provided from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

도 2는 도 1에 따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2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FIG.

도 2를 참조하면,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통신부(320) 및 서비스 컨트롤러(310)를 포함한다.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또한 입력부(330), 출력부(370), ROM(340), RAM(350), 및 플래시 메모리(3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20 and a service controller 310.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device 300 may also include an input 330, an output 370, a ROM 340, a RAM 350, and a flash memory 360.

통신부(320)는 도 1의 라인들(L20,L30,L50, 및 L40)과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세대의 월패드(11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상기 세대에 재난이 발생 시 세대 재난 신호 예컨대 세대 화재 신호(HFS)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상기 세대의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예:10)과 통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320 may be connected to the lines L20, L30, L50, and L40 of FIG. The communication unit 320 can communicate with the wall pad 110 of the generation. The communication unit 320 can receive a generation disaster signal, such as a generation fire signal (HFS), when a disaster occurs in the household. The communication unit 320 can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registered smartphone (e.g., 10) of the household.

서비스 컨트롤러(310)는 상기 세대 화재 신호(HFS)에 응답하여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예 10)로 상기 통신부(32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컨트롤러(310)는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예 10)로부터 재실 식별신호가 상기 통신부(320)를 통해 수신되는 지를 체크할 수 있다. 서비스 컨트롤러(310)는, 상기 재실 식별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재실 식별신호와 상기 세대의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에 근거하여 재실 확인신호를 최종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컨트롤러(310)는, 상기 재실 식별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재실 식별신호를 재실 확인신호로서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컨트롤러(310)는 생성된 재실 확인신호(RCS)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다. The service controller 310 may transmit a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to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e.g.,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20 in response to the generation fire signal (HFS). After transmitting the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the service controller 310 may check whether a redundancy iden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exampl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20. [ The service controller 310 may finally generate a redundancy check signal based on the room identification signal and the household access record data of the household when the room iden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In addition, the service controller 310 may generate the staff identification signal as the staff identification signal when the staff iden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The service controller 310 transmits the generated redundancy check signal RC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서비스 컨트롤러(310)는 CPU, FPGA, 혹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 컨트롤러(310)는 예를 들어 "ATmega128L"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ervice controller 310 may be implemented by a CPU, an FPGA, or a microprocessor. The service controller 310 may be implemented with, for example, "ATmega128L ".

입력부(330)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또는 전자 펜이 될 수 있다. 입력부(330)는 키 입력 조작을 수신하기 위해 텐 키 및 기능 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330 may be a keyboard, a mouse, a microphone, or an electronic pen. The input unit 330 may include ten keys and function keys for receiving a key input operation.

출력부(370)는 모니터, 스피커, 사이렌, 또는 프린터가 될 수 있다. The output unit 370 may be a monitor, a speaker, a siren, or a printer.

ROM(340)은 리드 전용 메모리로서 서비스 컨트롤러(310)의 부팅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The ROM 340 is a read-only memory and can store a boot program of the service controller 310. [

RAM(350)은 랜덤 억세스 메모리로서 서비스 컨트롤러(310)의 작업용 메모리로서 기능할 수 있다.The RAM 350 may function as a work memory of the service controller 310 as a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360)는 전원이 오프되어도 저장된 데이터를 기록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플래시 메모리(360)는 서비스 컨트롤러(310)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360)는 상기 재실 식별신호, 상기 세대의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 및 재실 확인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360)는 무선 단말기들의 정보가 세대별로 등록된 등록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무선 단말기들의 정보는 세대원의 동 호수, 무선 단말기의 휴대자 이름, 전화번호, 무선 단말기 고유 ID(식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lash memory 360 is a nonvolatile memory that records stored data eve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he flash memory 360 may store an operation program of the service controller 310. The flash memory 360 may store the room identification signal, the household's access record data, and the room identification signal. The flash memory 360 may store a registration table in which information of wireless terminals is registered for each household. Th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s may include a dynamic lake of a household member, a name of a portable terminal of the wireless terminal, a telephone number, a wireless terminal unique ID (identifier), and the like.

도 3은 도 1의 무선 단말기의 재실 식별신호 생성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generation of a room identification signal of the wireless terminal of FIG.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S310에서 무선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 폰(예 10)은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재실 확인 요청신호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에서 스마트 폰(예 10)으로 인가되는 신호이다. 스마트 폰(예 10)은 재실 확인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웹서버를 통해 스마트 폰에 다운 로딩될 수 있다. 스마트 폰(예 10)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 동안에 GPS, WiFi, NFC, 블루투스, 비콘, 및 LTE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n operation S310, the wireless terminal, for example, the smartphone (Ex. 10) receives a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from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FIG. The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is a signal applied from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to the smart phone (Ex. 10). The smart phone (Example 10) executes an application program for a redundancy check service. The application program can be downloaded to the smartphone via the web server. The smartphone (Ex. 10) may perform at least one of GPS, WiFi, NFC, Bluetooth, beacon, and LTE communication during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동작 S320에서 스마트 폰(예 10)은 재실 확인 요청신호의 수신 시에 화재 발생임을 인식한다. 스마트 폰(예 10)은 화재 발생을 인식 시에 화재 재난 상황을 국민 안전처(504)나 소방서(502)로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예 10)은 소방서(502)로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xx 아파트 x동 x호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음성이나 문자로 알릴 수 있다. 여기서 음성은 음성 IC에 미리 저장된 음성이거나 상황에 맞게 전자적으로 생성되는 음성일 수 있다. In operation S320, the smartphone (Ex. 10) recognizes that a fire occurs upon receipt of the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The smart phone (Example 10) can automatically transmit a fire disaster situation to the National Security Administration (504) or the fire department (502) when recognizing the occurrence of a fire. That is, the smartphone (Example 10) automatically calls the fire department 502 to inform the user of the occurrence of a fire in the xx apartment x number x by voice or text. Here, the voice may be a voice stored in advance in the voice IC or a voice electronically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동작 S330에서 스마트 폰(예 10)은 세대 건물 내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였는 지를 체크한다. 스마트 폰(예 10)이 세대 건물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스마트 폰(예 10)은 WiFi, NFC, 또는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예 10)은 비콘 장치(140)가 활성화되어 있고 스마트 폰(예 10)이 세대 건물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비콘(beacon)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operation S330, the smartphone (Ex. 10) checks whether or not the signal transmitted in the generation building has been received. The smartphone (Example 10) may receive a WiFi, NFC, or Bluetooth signal when the smartphone (Ex. 10) is present in the household building. In addition, the smartphone (Ex. 10) can receive a beacon signal when the beacon device 140 is active and the smartphone (Ex. 10) is present in the household building.

동작 S340에서 스마트 폰(예 10)은 GPS, WiFi, NFC, 블루투스, 및 비콘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재실 결정 유무를 체크한다. In operation S340, the smartphone (Ex. 10) checks whether or not the GPS receiver, the WiFi, the NFC, the Bluetooth, and the beacon signal are receiv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receiver is determined to be lost.

스마트 폰(예 10)은 GPS 신호가 수신되면 스마트 폰(예 10)이 존재하는 위치를 알 수 있다. 스마트 폰(예 10)은 GPS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재실인지 아닌 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The smart phone (Example 10) can know the location where the smart phone (Example 10) exists when the GPS signal is received. The smartphone (Example 1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redundant when a GPS signal is received.

스마트 폰(예 10)은 WiFi 장치(122)를 통해 무선 WiFi 통신이 연결될 경우에 WiFi 장치(122)의 ID번호를 인식하여 재실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The smartphone (Example 10) can recognize the ID number of the WiFi device 122 when the wireless WiFi communication is connected through the WiFi device 122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WiFi device 122 is rewiring.

스마트 폰(예 1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에 RFID 장치와 NFC 통신을 수행하여 재실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NFC는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The smart phone (Example 10) can perform NFC communication with the RFID device when th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is activated to determine presence or absence of rewiring. NFC is a non-contact,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uses the frequency band of 13.56 MHz.

스마트 폰(예 10)은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에 세대 건물 내의 블루투스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여 재실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스마트 폰(예 10)은 상기 블루투스 기기와 페어링 기능을 통해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When the Bluetooth function is activated, the smartphone (Example 10) can perform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Bluetooth device in the household building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wireless device is rewiring. The smart phone (Example 10) performs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Bluetooth device through a pairing function.

스마트 폰(예 10)은 비콘 장치(140)가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BLE(블루투스 로우 에너지)통신을 수행하여 재실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The smartphone (Ex. 10) can perform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beacon device 140 is rewiring when it transmits a beacon signal.

비콘 장치(140)는 비콘 신호를 송신만 하는 송신 전용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비콘 신호는 블루투스 4.0(BLE)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송신될 수 있다. 비콘 신호는 비콘 장치(140)로부터 최대 50m 이내에 위치된 수신 장치들(예컨대 스마트 폰 10)로 제공될 수 있다. 비콘 신호에 의한 위치 구별은 5~10㎝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콘 신호를 이용한 통신의 경우에 소량 데이터의 패킷 전송이 가능하고 두 기기를 연결시키는 페어링(pairing)이 불필요하다. 또한 저전력으로 통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에 비해 위치 인식이 저비용이다. The beacon device 140 may operate in a transmit-only mode that only transmits a beacon signal. The beacon signal may be transmitted based on the Bluetooth 4.0 (BLE) protocol. The beacon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receiving devices (e.g., the smartphone 10) located within a maximum of 50 m from the beacon device 140. The location of beacon signal can be distinguished by 5 ~ 10cm unit. In the case of communication using a beacon signal, a packet of a small amount of data can be transmitted, and pairing for connecting the two devices is unnecessary. Also, since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 low power, location recognition is less costly than othe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또한, 상기 비콘 장치(140)는 블루투스 신호를 송신하고, 신호 송신 구간 이외의 구간에서 스마트 폰(예 10)으로부터 제공되는 응답신호(무선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Also, the beacon device 140 may operate in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for transmitting a Bluetooth signal and receiving a response signal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provided from the smartphone (Ex. 10) in a section other than the signal transmission section.

한편, 다른 실시 예의 경우에 비콘 장치(140)는 블루투스 통신 이외의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통신 모듈로 대치될 수 있다. WPAN 통신 모듈은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또는 밀리미터파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일 수 있다. 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the beacon device 140 may be replaced with a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other than the Bluetooth communication. The WPAN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 module that performs ZigBee, UWB, 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도 1에서 비콘 장치가 복수 개로 설치되는 경우에 스마트 폰(예 10)는 삼각 측량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스마트 폰(10,12)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In FIG. 1, when a plurality of beacon devices are installed, the smartphone (Example 10)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smartphones 10 and 12 by performing a triangulation algorithm.

삼각 측량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수신 전계강도(RSSI)의 측정을 통해 구현된다. 여기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는 수신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단위는 dBm 이다. 수신 전계강도(RSSI)의 측정 시에 비콘 신호의 PDU(Protocol Data Unit)에 들어있는 데이터가 참조될 수 있다. 상기 PDU에 들어 있는 데이터 내에는 TX(송신) 파워에 대한 파워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송신 파워 데이터는 약 2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riangulation algorithm is typically implemented through measurement of the received field strength (RSSI). Here,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is an index indicating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unit is dBm. The data contained in the PDU (Protocol Data Unit) of the beacon signal can be referred to when measuring the RSSI. Power data for TX (transmit) power is included in the data contained in the PDU. The transmission power data may be composed of about two bytes.

스마트 폰(예 10)은 각각의 비콘 장치들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스마트 폰(예 10)과 가장 가까이에 있는 비콘 장치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의 전계 강도는 다른 비콘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들의 전계 강도보다 세다. 물론, 복수의 비콘 장치들에서 각기 송출되는 비콘 신호의 송신 파워 데이터는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결국, 스마트 폰(예 10)은 3개 이상의 비콘 신호들에 관련된 수신 세기 정보를 비교하여 가장 큰 수신 세기 정보를 찾는다. 그리고 찾은 수신 세기 정보에 대응되는 비콘 장치를 최근접 위치로서 인식한다. The smart phone (Example 10) receives a beacon signal from each of the beacon devices. At this time,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beacon signal received from the beacon device closest to the smartphone (Example 10) is greater than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beacon signals received from the other beacon devices. Of course, it is assumed that the transmission power data of the beac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beacon devices are all the same. As a result, the smartphone (Example 10) compares reception intensity information related to three or more beacon signals to find the largest reception intensity information. And recognizes the beac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ound reception intensity information as the closest position.

스마트 폰들(예 10,12,14)은 2GHz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4G 롱텀 에볼루션(LTE)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들(예 10,12,14)은 5G 통신도 수행할 수 있다. 5G 통신은 28GHz의 초고대역 주파수를 사용한다. The smart phones (Ex. 10, 12, 14) can perform 4G Long Term Evolution (LTE) communications using frequencies below 2 GHz. In addition, the smart phones (Ex. 10, 12, 14) can also perform 5G communication. 5G communication uses ultra-high frequency of 28GHz.

동작 S330 및 동작 S340은 동작 S310의 수행 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스마트 폰 어플의 실행에 의해 미리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은 보다 신속한 처리 동작을 위해 재실 확인 요청신호의 수신 이전에 현재 위치가 어디인지를 미리 파악해 둘 수 있다. Operation S330 and operation S340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after execution of operation S310, but may be separately performed in advance by execution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 That is, the smartphone can grasp in advance the loc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before receiving the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for faster processing operations.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S350에서 스마트 폰(예 10)은 재실 식별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한다. 재실 식별신호는 재실 결정의 유무에 따라 후술되는 도 4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3, in operation S350, the smartphone (Ex. 10) generates and transmits a room identification signal. The occupant identific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as described in FIG. 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redundancy determination.

동작 S360에서 스마트 폰(예 10)은 도어 프리를 달성하기 위해 도어록 개방 신호를 전송한다. 도어록 개방 신호는 도어록과 연결된 도어폰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어록 개방 신호는 도어록(150)으로 직접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어록 개방 신호는 도어록(150)을 제어하는 월패드(110)로도 전송될 수 있다. 도어록 개방 신호는 화재 재난 등과 같은 특별한 상황에서 세대 외부에 있는 구조자가 세대 출입문을 신속히 개방하고자 할 때 유용할 수 있다. 도어록 개방 신호는 재실 식별신호 자체가 되거나 재실 식별신호에 근거하여 별도의 포맷으로 생성되는 신호일 수 있다. In operation S360, the smartphone (Ex. 10) transmits a door lock open signal to achieve door free. The door lock open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door phone connected to the door lock. The door lock open signal may be transmitted directly to the door lock 150. The door lock open signal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wall pad 110 which controls the door lock 150. The door lock open signal may be useful when a resident outside the household wants to quickly open a household door in a particular situation, such as a fire disaster. The door lock open signal may be a room identification signal itself or a signal generated in a separate format based on the room identification signal.

스마트 폰(10)은 물론 다른 스마트 폰(12)이나 세대 외부에 있는 스마트 폰(14)에 의해서도 도어록 개방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결국, 스마트 폰들(예 10,12,14)에 의해 생성된 도어록 개방 신호는 긴급 시 도어 프리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도어록(150)으로 전송될 수 있다. A door lock open signal can be generated by the smart phone 10, the smart phone 14 or the other smart phone 12 or the outside of the household. As a result, the door lock open signal generated by the smart phones (e.g., 10, 12, and 14) may be transmitted to the door lock 150 to achieve door-free function in an emergency.

한편, 세대 보안이 우선시되는 경우에 동작 S360은 생략될 수 있다. 동작 S360의 생략은 세대원의 요청, 운영자의 요청, 혹은 필요에 따라 수행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generation security is prioritized, operation S360 may be omitted. Omission of the operation S360 is performed according to a request of a household member, an operator's request, or a need.

동작 S370에서 스마트 폰(예 14)은 세대 건물 외부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였는 지를 체크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예 14)이 세대와 떨어진 곳에 있는 경우(예 세대원의 출근)에 스마트 폰(예 14)은 세대 건물 외부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미수신할 수 있다. In operation S370, the smartphone (Example 14) checks whether or not a signal transmitted from outside the household is received. For example, when the smartphone (Example 14) is located away from the household (for example, when the household member goes to work), the smartphone (Example 14) may receive or not receive signals transmitted from outside the household.

동작 S380에서 스마트 폰(예 14)은 재외부 식별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한다. 재외부 식별신호는 재실 식별신호와는 구별되는 신호이다. 재외부 식별신호의 전송은 LTE 통신이나 5G 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In operation S380, the smartphone (Example 14) generates and transmits a re-external identification signal. The re-external identification signal is a signal different from the occupant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ssion of re-external identification signal can be done through LTE communication or 5G communication.

동작 S390에서 스마트 폰들(10,12,14)은 미확인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들(10,12,14)이 재실 식별신호나 재외부 식별신호를 생성하지 못할 경우에 스마트 폰들(10,12,14)은 미확인 신호를 생성 후 전송할 수 있다. In operation S390, the smart phones 10, 12, and 14 may generate and transmit unacknowledged signals. That is, when the smart phones 10, 12, and 14 can not generate the room identification signal or the re-external identification signal, the smart phones 10, 12, and 14 can generate and transmit the unconfigured signal.

도 4는 도 3에 따른 재실 식별신호 생성의 예시를 보여주는 테이블이다.FIG. 4 is a table showing an example of generation of a room identification signal according to FIG.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예 10)은 도 1에서와 같이 세대 건물에 위치된 경우이므로 재실 식별신호를 "재실 O과 (실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재실 O는 재실 중을 나타낸다. 재실 식별신호가 재실 0과 (실내)로서 생성되는 이유는 스마트 폰(예 10)이 WiFi 신호, 블루투스 신호, 제1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GPS 신호와 NFC 신호를 미수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스마트 폰(예 10)은 제2 비콘 신호를 제1 비콘 신호에 비해 약한 강도로 수신할 수 있다. 왜냐하면 도 1에 따르면 제1 비콘 장치(140)는 세대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고 제2 비콘 장치(142)는 세대 건물의 외부 근방 예컨대 세대 복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Referring to FIG. 4, since the smartphone (Example 10) is located in the household building as shown in FIG. 1, it can generate the room identification signal as " room O and (room) ". Here, the occupancy O indicates the occupancy. This is because the smartphone (Example 10) can receive the WiFi signal, the Bluetooth signal, the first beacon signal, and can not receive the GPS signal and the NFC signal because the speaker iden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as room 0 and room (indoor). In this case, the smartphone (Example 10) can receive the second beacon signal with a weaker intensity than the first beacon signal. 1, because the first beacon unit 140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household building and the second beacon unit 142 i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outside of the household building, for example, in a generation hallway.

스마트 폰(예 12)은 세대 건물의 외부 근방에 위치된 경우이므로 재실 식별신호를 "재실 O과 (복도)"로서 생성할 수 있다. 왜냐하면, 스마트 폰(예 12)은 GPS 신호, WiFi 신호, 블루투스 신호, 제2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NFC 신호를 미수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스마트 폰(예 12)은 제1 비콘 신호를 제2 비콘 신호에 비해 약한 강도로 수신할 수 있다. Since the smartphone (Ex. 12)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outside of the generation building,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room identification signal as "room O and corridor ". This is because the smartphone (Example 12) can receive the GPS signal, the WiFi signal, the Bluetooth signal, the second beacon signal, and can not receive the NFC signal. In this case, the smartphone (Ex. 12) can receive the first beacon signal with a weaker intensity than the second beacon signal.

스마트 폰(예 14)은 세대 건물과는 멀리 떨어진 세대 외부에 완전히 위치된 경우이므로 재실 식별신호를 "재실 X(부재 중)와 외부"로서 생성할 수 있다. 왜냐하면, 스마트 폰(예 14)은 GPS 신호, 블루투스 신호, NFC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WiFi 신호, 제1,2 비콘 신호를 미수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상기 "재실 X(부재 중)와 (외부)"는 재실 식별신호가 아닌 상기 재외부 식별신호를 의미한다. Since the smartphone (Example 14) is completely located outside the generation far away from the generation building,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room identification signal as "room X (out of office) ". This is because the smartphone (Example 14) can receive the GPS signal, the Bluetooth signal, the NFC signal, and can not receive the WiFi signal and the first and second beacon signals. As a result, the above-mentioned "room X (out of office) and (outside)" refer to the re-external identification signal other than the room identification signal.

상기 스마트 폰들(10,12,14)은 재실 확인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상기 스마트 폰들은 GPS 통신, WiFi 통신, 블루투스 통신, 비콘 수신, LTE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상기 스마트 폰들(10,12,14)은 블루투스 통신의 수행 시 BLE 4.0 이상의 버젼으로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mart phones 10, 12, and 14 execute an application program for a redundancy check service. The smart phones ar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at least one of GPS communication, WiFi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beacon reception, and LTE communication. The smart phones 10, 12, and 14 may perform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version of BLE 4.0 or higher when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도 5는 도 1의 세대 내에 설치된 월패드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5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of a wall pad installed in the household of FIG.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S510에서 월패드(110)는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화재발생 신호는 홈네트워크 서버(4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동작 S520에서 월패드(110)는 세대 건물 내에 설치된 스피커로 화재 재난 등에 관련된 경보를 전송한다. 동작 S530에서 월패드(110)는 동체 감지기(130)와 연결된 비콘 장치(140)를 활성화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operation S510, the wall pad 110 may receive a fire occurrence signal. A fire occurrence signal may be provided from the home network server 400. In operation S520, the wall pad 110 transmits an alarm related to a fire disaster to a speaker installed in a household building. In operation S530, the wall pad 110 may activate the beacon device 140 connected to the moving object detector 130. [

동작 S540에서 월패드(110)는 동체 감지기(130)로부터 받은 동체 감지 신호를 홈네트워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월패드(110)는 화재 재난이 발생 시에 도어록(150)이 강제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도어록 개방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도어록(1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어록(15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블루투스 통신을 실행하여 도어록 잠금을 개방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150)일 수 있다. 또한 월패드(110)는 도어폰 영상신호를 받아 홈네트워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폰 영상신호는 세대 건물 기기(100)에 포함될 수 있는 도어폰으로부터 제공되는 세대 현관 근방의 영상신호이다. 도어폰에는 카메라 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세대 현관 근방의 영상신호는 월패드(110)로 제공될 수 있다. 도어폰의 카메라 모듈은 예를 들어, 고 해상도 보안 처리 카메라용 프로세서인 "ASC8852A"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스틸 컷 즉 정지 영상을 세대 현관 근방의 이미지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In operation S540, the wall pad 110 may transmit a moving body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moving body detector 130 to the home network server 400. [ In addition, the wall pad 110 may generate a door open signal to forcibly open the door lock 150 when a fire accident occurs, and may transmit the door open signal to the door lock 150. [ In this case, the door lock 150 may be a digital door lock 150 that can perform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or the Bluetooth communication to open the door lock. In addition, the wall pad 110 may receive the door phone image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home network server 400. Here, the door phone video signal is a video signal in the vicinity of a household entrance door provided from a door phone that can be included in the household building apparatus 100. Since the door phone includes a camera module, a video signal in the vicinity of the household entrance can be provided to the wall pad 110. The camera module of the door phone may include, for example, "ASC8852A ", which is a processor for high resolution security processing cameras. The camera module can extract a still cut, i.e., still image, from the images near the entrance of the household.

도 6은 도 1에 따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6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of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shown in FIG.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S610에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화재 재난 신호를 수신하였는 지를 체크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경우에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세대 화재 신호(HFS)가 라인(L20)을 통해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세대 화재 신호(HFS)는 화재 발생 시에 방재 시스템(200)에 의해 발생 된다. 한편, 화재 재난 신호는 월패드(110)나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6, in operation S610,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checks whether a fire disaster signal has been receiv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1,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checks whether a generation fire signal (HFS) is received via the line L20. The generation fire signal (HFS) is generated by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200 when a fire occurs. Meanwhile, a fire disaster signal may be received from the month pad 110 or the smartphone 10.

동작 S620에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세대 등록 테이블을 서치하여 등록된 세대의 스마트 폰들로 세대 화재신호를 전송하거나 중계한다. 여기서 세대 등록 테이블은 도 7의 일부에서 예시적으로 보여진다. 세대 등록 테이블에는 동,호, 세대원의 성명,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In operation S620,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searches for a generation registration table and transmits or relays a generation fire signal to registered smart phones of the registered generation. Where the generation registration table is illustratively shown in part of FIG. The household registration table may include the name, phone number of the household, household, and household members.

세대 화재 신호의 중계나 전송은 재실확인 요청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재실 유무를 확인하여 줄 것을 나타내는 재실확인 요청신호를 화재 신호에 포함하여 중계하거나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은 스마트 폰(10)으로 세대 화재 신호가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고, 중계는 스마트 폰(14)으로 세대 화재 신호가 제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e relaying or transferring of the generation fire signal may include a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That is,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relays or transmits a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indicating that the redundancy check is to be performed by including it in the fire signal. Here, the transmission means that a generation fire signal is provided to the smartphone 10, and the relaying can mean that a generation fire signal is provided to the smartphone 14.

동작 S630에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화재 재난 상황을 국민 안전처나 소방서로 신고한다. 즉,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세대 화재 신호(HFS)가 수신되는 경우에 화재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인식하고 미리 설정된 신고 음성이나 알림 문자를 전송한다. 신고 음성이나 알림 문자는 사람에 의한 조작 없이도 국민 안전처(504)나 소방서(502)의 상황실로 자동으로 전송된다. In operation S630,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reports a fire disaster situation to the National Security Agency or the fire department. In other words, when the household fire signal (HFS) is received,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recognizes that a fire disaster has occurred and transmits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voice or notification character. The notification voice or the notification character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national security center 504 or the situation room of the fire station 502 without any operation by a person.

동작 S640에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재실 식별신호를 포함한 각종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각종 신호는 재외부 식별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재외부 식별신호는 세대 건물의 외부에 위치된 스마트 폰(예를 들어 도 1의 14)으로부터 제공되는 식별신호이다. 스마트 폰(14)은 재실확인 요청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본 발명의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외부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재외부 식별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In operation S640,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receives various signals including a redundancy identification signal. Here, various signals may include re-external identification signals. The re-external identification signal is an identification signal provided from a smart phone (e.g., 14 in Fig. 1) located outside the household building. The smartphone 14 may execute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utput a re-external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application is related to the service when the re-confirm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상기 각종 신호는 또한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는 동체 감지신호, 주차위치 신호, 및 공동현관 출입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arious signals may also include generation access record data. Generation access record data may include a body detection signal, a parking position signal, and a common entrance / exit signal.

동체 감지신호는 도 1의 동체 감지기(130)로부터 생성되는 신호이다. 세대 내부에 세대원이 존재하는 경우(재실의 경우)에 월패드(110)를 통해 동체 감지신호가 수신된다. The fuselage sensing signal is a signal generated from the fuselage sensor 130 in Fig. A body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month pad 110 when a household is present in the household (in the case of a room).

주차위치 신호는 아파트 단지의 주차를 관리하는 주차위치 관리 서버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주차위치 신호는 세대원의 등록된 차량이 입차되었는 지 혹은 출차되었는 지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신호이다. 또한 주차위치 신호는 차량이 주차되었을 때 주차장 내의 주차 구역의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이다. 따라서, 주차위치 신호를 수신하면 세대원의 등록된 차량이 입차되었는 지 혹은 출차되었는 지가 확인된다. 또한, 주차위치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이 아파트의 주차장에 주차된 경우에 차량이 주차장 내의 어느 위치에 주차되어 있는 지가 확인된다. 주차위치 신호는 주차위치 관리 서버를 통해 도 1의 홈네트워크 서버(400)로 제공될 수 있다. The parking position signal may be generated by a parking position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parking of the apartment complex. The parking position signal is a signal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a registered vehicle of a household member has entered or departed. The parking position signal is also a signal containing the position data of the parking area in the parking lot when the vehicle is parked. Accordingly, when the parking position signal is received, it is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registered vehicle of the family member is entered or departed. Further, when the parking position signal is received, it is confirmed where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lot when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The parking position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home network server 400 of FIG. 1 through the parking position management server.

공동현관 출입 신호는 세대원이 아파트의 공동현관을 출입하였는 지의 유무를 나타내는 출입정보이다. 세대원이 공동현관을 들어오는 경우에 공통현관 출입문이 개방되고 엘리베이터가 자동으로 호출될 수 있다. 이때 공동현관 출입 신호 즉 출입 정보는 세대원이 공동현관을 들어온 것임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된다. 한편, 세대원이 공동현관을 나가는 경우에 공통현관 출입문이 개방되나 엘리베이터는 호출되지 않는다. 이때 공동현관 출입 신호는 세대원이 공동현관을 나간 것임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된다.The entrance hall entrance / exit signal is acces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household member has access to the common entrance of the apartment. When household members enter the common entrance, the common entrance door is opened and the elevator can be called automatically. At this time, the common entrance / exit signal, that is, the entrance / exit information, is data indicating that the household member has entered the common entrance. On the other hand, when household members leave the common entrance, the common entrance door is opened but the elevator is not called. At this time, the common entrance / exit signal is data indicating that the household member has left the common entrance.

동작 S650에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수신된 신호들 및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에 근거하여 세대원의 재실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도 1의 라인(L30)을 통해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도 1의 라인(L40:예를 들면 무선 채널)을 통해 스마트 폰들(10,12,14)로터 제공되는 재실의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도 1의 라인(L30)을 통해 동체 감지신호, 주차위치 신호, 및 공동현관 출입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로서 수신할 수 있다.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스마트 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재실 식별신호와 상기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에 근거하여 세대원의 재실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In operation S650,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finally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household member is re-housed based on the received signals and the household access record data.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can receive generation access record data through the line L30 in FIG.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may receive an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redundancy provided in the smart phones 10, 12, and 14 through the line (L40; for example, a wireless channel)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can receive at least one of a moving body detection signal, a parking position signal, and a common entrance / exit signal through the line L30 in FIG. 1 as generation / access record data.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finally determines whether or not a household member is redundant based on the redundancy identif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smart phone and the access log data.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재실 여부의 최종 결정 시에 재실 식별신호와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에 각기 주어진 신뢰 가중치를 참조할 수 있다. 신뢰 가중치는 프로그램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 조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실 식별신호의 신뢰 가중치가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의 신뢰 가중치보다 낮게 설정될 경우에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재실 확인신호의 의존도는 재실 식별신호에 비해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가 더 높다. 세대원이 스마트 폰을 세대 내부에 두고서 차량을 몰고 출근한 경우라고 하면, 해당 세대원의 재실 확인신호는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에 상대적으로 더 의존하여 재실이 아닌 재외부로 인식된다. 한편, 재실 식별신호의 신뢰 가중치가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의 신뢰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될 경우에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재실 확인신호의 의존도는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에 비해 재실 식별신호가 더 높다. 따라서, 세대원이 스마트 폰을 세대 내부에 두고서 출근한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세대원의 재실 확인신호는 재실 식별신호에 상대적으로 더 의존하여 재실로 인식될 것이다.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can refer to the confidence weights given to the occupancy identification signal and the generation access data at the time of the final determination of redundancy. The trust weights can be set programmatically and can vary depending on the setting conditions. For example, when the confidence weight of the staff identification signal is set to be lower than the trust weight of the household access record data, the dependency of the staff identification signal finally determined is higher than that of the staff identification signal. When a household member puts a smartphone in the household and drives the vehicle, the loud room confirmation signal of the household member is recognized as a re-exterior rather than a room loudspeaker depending on the household access record data. On the other hand, when the trust weight of the staff room identification signal is set higher than the trust weight of the household access record data, the dependency of the staff identification signal finally determined is higher than that of the household access record data. Therefore, even if the household member goes to work with the smartphone in the household, the loud room confirmation signal of the household member will be recognized as the loud room depending on the loud room identification signal.

동작 S660에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재실 확인신호를 생성 및 전송한다. 여기서, 재실 확인신호에는 위치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In operation S660,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generates and transmits a redundancy check signal. Here, the occupancy confirmation signal may include a position signal.

동작 S670에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재외부자의 스마트 폰으로 같은 세대 내의 다른 세대원의 구조에 관련된 상황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황정보는 문자 혹은 영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황정보의 전송에 따라 세대 외부에 있는 세대원은 자신과 관련된 세대원의 구조상황을 알 수 있다. In operation S670,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can transmit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ructure of another generation member in the same generation as a smartphone of a foreigner. The context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s text or video.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the situation information, a household member outside the household can know the structure of the household member related to the household member.

도 7은 도 6에 따른 재실 확인 신호 생성의 예시를 보여주는 테이블이다. FIG. 7 is a table showing an example of generation of a redundancy check signal according to FIG.

도 7을 참조하면, 재실 확인 신호는 최종결정인 확인신호 항목에서 표시된다. 예를 들어, 119동 708호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라고 하면, 708호의 세대원들은 물론 608호와 808호의 세대원들도 화재재난 구조의 대상이 된다. 도 7의 등록 테이블을 통해 808호에는 3명, 708호에는 4명, 608호에는 5명이 미리 등록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예를 들어 808호의 세대원인 강순길씨는 스마트 폰의 전화번호가 010-2105-9904이다. 강순길씨의 스마트 폰은 재실확인 요청신호를 받은 후에 재실 식별신호를 O(재실 중)으로 전송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도 6의 동작 S650을 수행한다. 즉,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재실 식별신호와 강순길 씨의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에 근거하여 강순길 씨가 재실 중(최종결정:O)이라는 것을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이 경우에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808호의 월패드(110)로부터 동체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주차위치 서버로부터 강순길 씨의 주차 확인신호를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로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홈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아파트의 공동현관 출입 정보를 상기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로서 수신할 수 있다. 결국,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강순길 씨의 재실 식별신호뿐 만 아니라 강순길 씨의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에 근거하여 재실 확인신호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redundancy check signal is displayed in the confirmation signal item as a final decision. For example, if a fire occurs at No. 708, No. 119, members of households of the 708, 608, and 808 are subject to fire disaster. It is confirmed through the registration table of FIG. 7 that three persons are registered in the 808, four persons are registered in the register 708, and five persons are registered in the register 608. For example, Gang Sun-gil, the generation of the 808, has a phone number of 010-2105-9904. It can be seen that Kang Sun-gil's smartphone transmitted the room identification signal to O (re-room) after receiving the room alarm request signal. Therefor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performs operation S650 in Fig. In other words,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finally determines that Mr. Kang Soon-Kil is re-working (final decision: O) based on the staff room identification signal and the household access record data of Mr. Kang Soon-Kil. In this case,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may receive the moving body detection signal from the wall pad 110 of the 808. Also,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device 300 can receive a parking confirmation signal of Mr. Kang Soon-Kil from the parking position server as household access record data. Also,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can receive the common entrance entrance information of the apartment from the home network server as the household entrance / exit record data. As a result,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finally determines the redundancy check signal based on the generation access record data of Mr. Kang Soon-Kil, as well as the redundancy identification signal of Mr. Kang Soon-Kil.

한편, 708호의 세대원인 김미화 씨의 경우에는 재실 식별신호 및 주차위치 확인정보가 O(유효 정보)으로 수신되더라도 공동현관을 통해 들어온 최근의 공동현관 출입 신호(외출 중)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기 때문에 재실 확인신호는 X(재실 아님)로 결정된다. 이 경우에는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의 신뢰 가중치가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된 경우이다. 따라서, 김미화씨가 스마트 폰을 세대 내부에 두고 차량을 두고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출근한 경우에 재실 확인신호를 재실 중이라고 결정하는 오류가 방지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Kim Mi-hwa, the generation cause of 708, even if the staff identification signal and the parking posi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as O (effective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recent common entrance / exit signal The acknowledgment signal is determined as X (non-rewiring). In this case, the trust weight of the household access record data is set to be relatively high. Therefore, if Kim Mi-Hwa comes to work by using public transportation in a car with a smartphone inside the household, it is avoided to make a decision to re-enter the confirmation message.

이와 같이, 출입 기록 데이터는 스마트 폰의 재실 식별신호가 참인지 거짓 인지를 판별하는 기준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Thus, the access record data can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discriminating whether the staff identification signal of the smartphone is true or false.

한편, 708호의 세대원인 김기동 씨는 스마트 폰을 가지지 않고 세대 출입용 패스 키이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재실 식별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에 근거하여 재실 확인신호를 O(재실 중)으로 결정한다.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Kim, who is a generation member of the 708, has a pass key for a household access without a smart phone. In this case, the occupant identification signal may not be received. Therefore,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apparatus 300 determines the redundancy check signal as O (redundant) on the basis of the entry / exit data.

도 8은 도 6에 따른 재실 확인 표시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dundancy check indication according to FIG.

도 8을 참조하면, 각 세대원들의 재실 확인신호에 근거하여 재실 유무 정보 및 각 세대원들의 존재 위치가 모니터(510)의 화면상에 표시된다. 각 세대원들의 존재 위치는 필요 시에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으로도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on the screen of the monitor 510, rewiring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existence position of each household are displayed based on the rewiring confirmation signal of each household member. The location of each household member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as a moving picture or a still image when necessary.

도 8에서, 모니터(510)의 화면상에는, 예를 들어 808호의 강순길씨는 재실중(O)이고 실내에 있는 것으로 표시된다. 한편, 808호의 강민호씨는 부재중(x)이고 실내에 없는 것으로 표시된다. In Fig. 8, on the screen of the monitor 510, for example, the number 808 is indicated as being in the room (O) and indoors. On the other hand, Mr. Kang Min-ho of 808 is shown as absent (x) and not in the room.

또한, 708호의 김기동씨는 재실중(O)이고 세대의 복도에 있는 것으로 표시된다. Also, Mr. Kim Ki - dong of 708 is indicated as being in the room (O) and in the corridor of the generation.

한편, 608호의 최성실씨는 재실중(O)이고 세대의 엘리베이터(E/V)에 있는 것으로 표시된다. 또한, 608호의 박초롱씨는 재실중(O)이고 세대의 계단에 있는 것으로 표시된다.On the other hand, Choi Seong-sil of No. 608 is indicated as being in the room (O) and the elevator (E / V) of the generation. In addition, Mr. Bhaktharong of No. 608 is indicated as being in the room (O) and on the stairs of the household.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9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 service system including a stand-alone lone room identification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105), 관제서버(202), 및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2)를 포함할 수 있다. 9, the location service system may include a network 105, a control server 202, and a stand-alone loudspeaker confirmation service device 302. [

통신망(105)은 단독형 세대(308)의 내부에 있는 WiFi 장치(122)와 무선 단말기(예 스마트 폰:10)를 관제서버(202)에 연결하기 위한 무선 통신망이다. The communication network 105 i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connecting the WiFi device 122 and the wireless terminal (e.g., smartphone 10) to the control server 202 inside the single-

관제서버(202)는 통신망(105)을 통해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2)나 무선 단말기(10)와 연결되어 위치 확인 서비스를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관제서버(202)는 데이터 수집을 위한 클라우드 서버(204)에 연결될 수 있다. 관제서버(202)는 또한 소방서(502)나 국민 안전처(504)와도 연결될 수 있다. The control server 202 is connected to the stand-alone re-confirmation service device 302 or the radio terminal 1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05 to perform a control operation for the location confirmation service. The control server 202 may be connected to the cloud server 204 for data collection. The control server 202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fire station 502 or the national security office 504. [

관제서버(202)는 단독형 세대(308)의 외부에 있는 무선 단말기(예 스마트 폰:14)와도 통신할 수 있다. The control server 202 may also communicate with a wireless terminal (e.g., smartphone) 14 that is external to the standalone generation 308.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2)는 단독형 화재 감지기(304)와 감지 통신 컨트롤러(306)를 포함한다. The stand-alone loud room identification service device 302 includes a stand-alone fire detector 304 and a sensory communication controller 306.

도 10은 도 9에 따른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의 블록도이다. 10 is a block diagram of the stand-alone loud-speaker identification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FIG.

도 10을 참조하면, 단독형 화재 감지기(304)는 화재 감지부(304a), 스피커(304b), 및 발광 경보기(304c)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single type fire detector 304 may include a fire detection unit 304a, a speaker 304b, and a light emission alarm 304c.

화재 감지부(304a)는 세대에 설치되어 세대 내부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스피커(304b)는 화재 감지부(304a)가 화재를 감지할 때 소리를 발생한다. 발광 경보기(304c)는 화재 감지부(304a)가 화재를 감지할 때 전기적으로 불빛을 발생한다. The fire detection unit 304a is installed in the household and is configured to detect occurrence of a fire inside the household. The speaker 304b generates a sound when the fire detection unit 304a detects a fire. The luminescent alarm 304c generates an electric light when the fire detection unit 304a detects a fire.

감지 통신 컨트롤러(306)는 구동부(306a), 근거리 통신모듈(306b),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 및 무선 통신부(306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communication controller 306 may include a driving unit 306a,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306b, a room determination controller 306c,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6d.

구동부(306a)는 라인(L10)을 통해 화재 감지부(304a)와 연결된다. 구동부(306a)는 화재 감지부(304a)가 화재를 감지할 때 통신 모듈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The driving unit 306a is connected to the fire sensing unit 304a through the line L10. The driving unit 306a generates a communication module driving signal when the fire detection unit 304a detects a fire.

근거리 통신모듈(306b)은 화재 감지부(304a)가 화재 발생을 감지할 때 설정된 주파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한다.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는 NFC,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비콘 신호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06b)은 예를 들어, 스마트 폰(예 10)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장치일 수 있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306b transmit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having a frequency set when the fire detection unit 304a detects the occurrence of a fir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may be NFC, ZigBee, Bluetooth, or a beacon signal.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306b may be, for example, a Bluetooth device for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smart phone (e.g., 10).

무선 통신부(306d)는 무선랜(WLAN)을 통해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부(306d)는 도 9의 WiFi 장치(122)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6d is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LAN (WLA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6d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Fi device 122 of FIG.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는 상기 화재 감지부가 화재 발생을 감지 시에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 재실 응답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도어록 개방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로 전송한다.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는 상기 재실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로 전송한다. The redundancy judgment controller 306c controls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to se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when the fire detection unit detects a fire. When the redundancy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the redundancy judgment controller 306c generates a door lock ope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redundancy judgment controller 306c generates a fire occurrence signal when the redundancy response signal is not received and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도 10의 화재 감지부(304a), 구동부(306a), 근거리 통신 모듈(306b),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 및 무선 통신부(306d)는 동일한 하우징 내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하우징은 세대 내부의 천장이나 벽에 직접적으로 혹은 브라켓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The fire detection unit 304a, the driving unit 306a,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306b, the room determination controller 306c,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6d shown in FIG. 1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same housing. One housing may be installed directly on the ceiling or wall of the house or through a bracket.

도 11은 도 10에 따른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11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of the single room type room confirmation service apparatus shown in FIG.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S1110에서,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는 화재발생의 유무를 체크한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화재 감지부(304a)는 단독 세대에 화재가 발생하였는 지를 감지한다. 화재가 발생하면 스피커(304b)는 설정된 경고음을 송출하고, 발광 경보기(304c)는 예를 들어 빨강 색의 불빛을 낼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하면 구동부(306a)는 통신 모듈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근거리 통신모듈(306b)은 2.4GHz의 블루투스 신호를 단독 세대에서 송출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근거리 통신 모듈(306b)은 스마트 폰(예 10)과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in operation S1110, the stand-alone loud-speaker identification service apparatus checks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Specifically, the fire detection unit 304a of FIG. 10 detect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in a single household. When a fire occurs, the speaker 304b transmits a set alarm sound, and the flash alarm 304c can emit a red light, for example. When a fire occurs, the driving unit 306a generates a communication module driving signal. Accordingly,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306b starts to transmit the Bluetooth signal of 2.4 GHz from the single generation. Therefore,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306b can connect the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phone (example 10).

동작 S1120에서,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는 재실 응답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는 스마트 폰(예 10)에서 발생되는 재실 응답신호가 근거리 통신 모듈(306b)을 통해 수신되는 지를 예를 들어 1초 내지 3초간 대기할 수 있다. 스마트 폰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실 확인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스마트 폰은 GPS, WiFi, NFC, 지그비, 블루투스, 비콘, 및 LTE 통신 중의 하나 이상을 수행한다. 스마트 폰은 재실 확인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306b)로부터 2.4GHz의 블루투스 신호가 송출되면 단독 세대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인식한다. 스마트 폰은 GPS, WiFi, NFC, 지그비, 블루투스, 비콘, 및 LTE 통신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가능 유무를 체크하여 스마트 폰이 단독 세대에 위치한다고 판단 시에 상기 재실 응답 신호를 O(재실 유)으로 생성할 수 있다. In operation S1120, the stand-alone loud-speaker confirmation service apparatus waits for reception of a redundancy response signal. 10 may wait for 1 second to 3 seconds, for example, as to whether a response response signal generated in the smartphone (Ex. 10) is received through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306b. The smartphone executes an application program for a redundancy check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phone performs at least one of GPS, WiFi, NFC, ZigBee, Bluetooth, beacon, and LTE communication. When the 2.4-GHz Bluetooth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306b while the smartphone is executing the application program for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it recognizes that a fire has occurred in a single generation. The smart phone checks whether at least one of the GPS, WiFi, NFC, ZigBee, Bluetooth, beacon, and LTE communication is available and generates the re-response signal as O (re-realization) when determining that the smart phone is located in the single- can do.

동작 S1130에서,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는 재실 응답신호의 수신 유무에 따라 재실인지 부재인지를 체크한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는 스마트 폰(예 10)에서 발생되는 재실 응답신호가 근거리 통신 모듈(306b)을 통해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수신되면 재실임을 판단한다. 한편,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는 재실 응답신호가 근거리 통신 모듈(306b)을 통해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부재임을 판단한다. In operation S1130, the stand-alone loud-speaker confirmation service apparatus checks whether there is a loudspeaker or no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loudspeaker response signal is received. Specifically, the loud room determining controller 306c of FIG. 10 determines that the loudspeaker response signal generated in the smartphone (Example 10) is lost if it is received within the set waiting time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306b. On the other hand, the staff room determination controller 306c determines that the staff room response signal is absent if it is not received within the waiting time set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306b.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는 부재라는 것을 판단한 경우에 동작 S1140을 수행하고, 재실이라는 것을 판단한 경우에 동작 S1150을 수행한다. The lone room determination controller 306c performs the operation S114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ember is absent, and the operation S115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oom is the room.

동작 S1140에서,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는 화재 발생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306d)로 전송한다. 무선 통신부(306d)로 전송된 화재 발생신호는 도 9의 통신망(105)과 연결되는 WiFi 장치(122)를 통해 관제 서버(202)로 제공된다. 관제 서버(202)는 소방서(502)로 단독 세대의 화재 상황을 신고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2)는 국민 안전처(504)로 단독 세대의 화재 상황을 신고할 수 있다. 관제서버(202)는 스마트 폰(10)과 그룹핑된 스마트 폰(14)이 그룹핑 테이블에 존재하는 것을 찾은 경우에 단독형 세대(308)의 외부에 있는 스마트 폰(14)과 통신하여 화재 상황(화재 발생 및 재실자 존재 여부)을 알릴 수 있다. In operation S1140, the staff room determination controller 306c generates a fire occurrence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6d. The fire occurrence signal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6d is provided to the control server 202 via the WiFi device 122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105 of FIG. The control server 202 can report the fire situation of the single generation to the fire station 502. [ The control server 202 can report the fire situation of the single household to the national security office 504. [ The control server 202 communicates with the smartphone 14 outside the stand-alone generation 308 when it finds that the smartphone 14 grouped with the smartphone 10 exists in the grouping table, Fire occurrence and occupant presence).

동작 S1150에서,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는 단독 세대에 설치된 도어록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도어록 개방신호를 생성하여 도어록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재실의 경우에는 스마트 폰이 화재 상황 신고를 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은 도 9의 통신망(105)과 연결되는 WiFi 장치(122)를 통해 관제 서버(202)로 화재 상황을 알리는 재실 식별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관제 서버(202)는 스마트 폰을 통해 재실 식별신호를 받아 단독 세대의 화재 상황을 소방서(502)로 신고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2)는 스마트 폰을 통해 재실 식별신호를 받아 단독 세대의 화재 상황을 국민 안전처(504)로 신고할 수 있다.  In operation S1150, the staff room determination controller 306c can generate a door open signal to automatically open the door lock installed in a single household and transmit it to the door lock.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room, a smartphone can report a fire situation. That is, the smartphone can output a room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202 via the WiFi device 122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105 of FIG. Therefore, the control server 202 can receive the room identification signal through the smart phone and report the fire situation of the single household to the fire department 502. The control server 202 can receive the room identification signal through the smart phone and report the fire situation of the single household to the National Security Service 504. [

상술한 도 11의 제어 동작은 예시적인 것이며, 재실의 경우에도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가 재실 식별신호를 받아 화재 상황 신고를 직접적으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control operation of FIG. 11 described above is merely an example, and even in the case of a redundant room, the redundant room determination controller 306c may receive a redundant room identification signal and directly report a fire situation.

도 12는 도 9의 무선 단말기의 재실 식별신호 생성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FIG. 12 is a flow chart showing generation of a room identification signal of the wireless terminal of FIG. 9;

도 12를 참조하면, 동작 S1210에서, 무선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 폰(10)은 화재 발생 시에 근거리 통신 모듈(306b)로부터 화재 발생신호를 수신한다. Referring to FIG. 12, in operation S1210, the wireless terminal, for example, the smartphone 10 receives a fire occurrence signal from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306b in the event of a fire.

동작 S1220에서, 스마트 폰(10)은 화재 발생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근거리 통신 모듈(306b)로 전송한다. 즉, 스마트 폰(10)은 2.4GHz의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면 화재임을 인식하고 블루투스 신호에 응답하는 응답신호를 근거리 통신 모듈(306b)로 전송한다. 이 경우에 응답신호는 재실 식별신호가 된다. In operation S1220, the smartphone 1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306b in response to the fire occurrence signal. That is, when the smartphone 10 receives the Bluetooth signal of 2.4 GHz, it recognizes that it is a fire and transmits a response signal responding to the Bluetooth signal to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306b. In this case, the response signal becomes the occupant identification signal.

한편, 스마트 폰(10)은 관제 서버(202)로부터 화재 발생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폰(10)는 화재 발생신호에 응답하여 재실 식별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이동 통신 예컨대 LTE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martphone 10 can receive a fire occurrence signal from the control server 202. The smartphone 10 may generate a room identification signal in response to a fire occurrence signal and may transmit the room identification signal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for example, LTE communication.

동작 S1230에서, 스마트 폰(10)은 화재 신고를 자동으로 전송한다. 한편, 스마트 폰(10)은 도어록 개방신호를 생성하여 도어록으로 전송할 수 있다. In operation S1230, the smartphone 10 automatically transmits a fire report. On the other hand, the smartphone 10 can generate a door lock opening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door lock.

도 12의 경우에는 스마트 폰(10)이 근거리 통신 모듈(306b)로부터 화재 발생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10)이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관제 서버(202)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FIG. 12, the smart phone 10 receives the fire occurrence signal from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306b,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smartphone 10 does not perform Bluetooth communication, a fire occurrence signal may be provided from the control server 202.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를 통해 본 발명의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통신 방식이나 통신기기들에 대한 세부적 제어기능이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n optim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isclosed through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the matter is different, the detailed control functions of th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devices can be changed or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세대 건물 기기
200: 방재 시스템
300: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400: 매니저 모니터링 장치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Household equipment
200: Disaster prevention system
300: Repeat check service device
400: Manager monitoring device

Claims (21)

세대에 설치되어 무선통신 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
상기 세대에 재난이 발생 시 세대 재난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세대의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세대 재난신호가 수신될 때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 후, 상기 무선통신 신호를 받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재실 식별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될 때, 도어 프리 및 구조 알림이 달성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재실 식별신호와 상기 세대의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를 근거로 재실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재실 식별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가 재실 확인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 시에 상기 무선통신 신호를 받는 통신 이외에 GPS 통신을 수행함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세대의 상기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는 상기 세대를 관리하는 홈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공동현관 출입 신호와 상기 세대를 관리하는 주차위치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주차위치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이며,
상기 서비스 컨트롤러는 상기 재실 식별신호의 신뢰 가중치가 상기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의 신뢰 가중치보다 낮게 설정되었을 때 상기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의 의존도를 상기 재실 식별신호의 의존도보다 더 높도록 하여 상기 재실 확인신호를 생성하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At least on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stalled in a household and gen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 generation disaster signal when a disaster occurs in the generation and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registered wireless terminal of the generation; And
Generating a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when the generation disaster signal is received, transmitting the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to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ting a redundancy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recei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service controller for generating a re-confirmation signal based on the room identification signal and the household access record data of the household to receive the door free and the structure notification, and transmit the generated room identification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is generated by performing GPS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for recei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when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executes the application program for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The household access record data of the household is at least one of a common entrance entrance signal received from a home network server managing the household and a parking position signal received from a parking position management server managing the household,
When the trust weight of the room identification signal is set lower than the trust weight of the household access record data, the service controller makes the dependency of the access record data higher than the dependency of the access identification data to generate the access check signal A lone room confirmation servi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신호는 비콘 신호이며, 상기 세대 재난신호는 상기 세대의 방재를 관리하는 방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화재 신호 혹은 지진 신호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is a beacon signal, and the generation disaster signal is a fire signal or an earthquake signal received from a disaster prevention system that manages the disaster prevention of the househo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 확인신호가 생성될 때 상기 세대의 도어록은 상기 서비스 컨트롤러 혹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에 의해 개방되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oor lock of the generation is opened by the service controller or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when the redundancy check signal is gene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컨트롤러는 상기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전송 시에 화재 발생상황을 국민 안전처나 소방서로 전송하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Th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rvice controller transmits a fire occurrence status to a national security office or a fire department when transmitting the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컨트롤러가 상기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전송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는 화재 발생상황을 국민 안전처나 소방서로 전송하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when the service controller transmits the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transmits a fire occurrence status to a national security office or a fire depart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는 상기 GPS 및 LTE 통신 이외에 WiFi, NFC, 블루투스, 및 비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is a smartphone capable of performing WiFi, NFC, Bluetooth, and beacon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e GPS and LTE communic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이 상기 재실 식별신호를 재외부 신호로서 생성한 경우에 상기 스마트 폰은 화재재난의 구조 상황을 상기 서비스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6, wherein, when the smartphone generates the room identification signal as a re-external signal, the smart phone receives the structure of the fire alarm from the service controller. 세대에 설치되어 블루투스 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장치;
상기 세대의 월패드와 통신하고, 상기 세대에 재난이 발생 시 세대 재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세대의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세대 재난 신호에 응답하여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 전송한 후,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재실 식별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될 때, 도어 프리 및 구조 알림이 달성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재실 식별신호와 상기 세대의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를 근거로 재실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재실 식별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가 재실 확인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 시에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이외에 GPS 통신을 수행함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세대의 상기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는 상기 월패드로부터 수신되는 동체 감지신호, 상기 세대를 관리하는 홈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공동현관 출입 신호, 및 상기 세대를 관리하는 주차위치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주차위치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이며,
상기 서비스 컨트롤러는 상기 재실 식별신호의 신뢰 가중치가 상기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의 신뢰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되었을 때 상기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의 의존도를 상기 재실 식별신호의 의존도보다 더 낮도록 하여 상기 재실 확인신호를 생성하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At least one Bluetooth device installed in the household and generating a Bluetooth signal;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wall pad of the generation, receiving a disaster signal when a disaster occurs in the household, and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registered wireless terminal of the household;
Generating a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in response to the generation disaster signal, transmitting the generated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to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ting, from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receiving the Bluetooth signal, A service controller for generating a re-confirmation signal on the basis of the room identification signal and the household access record data of the household in order to achieve the door-free and structure notification when the iden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Lt; / RTI >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is generated by performing GPS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for receiving the Bluetooth signal when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executes the application program for the redundancy check service,
The household access record data of the household includes a moving body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wall pad, a common entrance entrance signal received from a home network server managing the household, and a parking position received from a parking position management server managing the household Signal,
When the trust weight of the room identification signal is set to be higher than the trust weight of the household access record data, the service controller makes the dependency of the access record data lower than the dependency of the room identification data, A lone room confirmation service device.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 재난신호는 상기 세대의 방재를 관리하는 방재 시스템이나 상기 세대의 단독형 감지기로부터 수신되는 화재 신호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9.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generation disaster signal is a fire signal received from a disaster prevention system that manages the disaster prevention of the household or from a single type detector of the househol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컨트롤러가 상기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전송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는 화재 발생상황을 국민 안전처나 소방서로 자동으로 전송하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9.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automatically transmits a fire occurrence status to a national security office or a fire department when the service controller transmits the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장치는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신호를 통신 신호로서 이용하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9.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at least one Bluetooth device utilizes a Bluetooth low energy (BLE) signal as a communication sign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는 상기 GPS 및 LTE 통신 이외에 WiFi, NFC, 블루투스, 및 비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is a smartphone capable of performing WiFi, NFC, Bluetooth, and beacon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e GPS and LTE communica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재실 확인신호에 위치 확인 신호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는 스마트 폰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15. The apparatus of claim 14, wherein the smartphone further includes a position confirmation signal in the feedback confirmation signal. 세대에 설치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상기 세대의 월패드와 통신하고, 상기 세대에 재난이 발생 시 세대 재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세대의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세대 재난 신호에 응답하여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 전송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재실 유무를 나타내는 재실 유무 식별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될 때, 도어 프리 및 구조 알림이 달성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재실 유무 식별신호와 상기 세대의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를 근거로 재실 유무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재실 유무 식별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가 재실 확인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 시에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이외에 GPS 통신을 수행함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세대의 상기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는 상기 월패드로부터 수신되는 동체 감지신호, 상기 세대를 관리하는 홈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공동현관 출입 신호, 및 상기 세대를 관리하는 주차위치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주차위치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이며,
상기 서비스 컨트롤러는 상기 재실 유무 식별신호의 신뢰 가중치가 상기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의 신뢰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되었을 때 상기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의 의존도를 상기 재실 유무 식별신호의 의존도보다 더 낮도록 하여 상기 재실 유무 확인신호를 생성하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At least on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stalled in a household and generat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wall pad of the generation, receiving a disaster signal when a disaster occurs in the household, and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registered wireless terminal of the household;
Generating a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in response to the generation disaster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redundancy check request signal to the at least one or more wireless terminal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generating a re-presence / absence confirmation signal based on the re-presence / absence identification signal and the generation / access record data of the household so as to achieve the door-free and structure notification when the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Controller,
The re-presence iden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by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performing GPS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communication for receiv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when executing an application program for a redundancy check service,
The household access record data of the household includes a moving body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wall pad, a common entrance entrance signal received from a home network server managing the household, and a parking position received from a parking position management server managing the household Signal,
Wherein the service controller makes the dependence of the household access record data lower than the dependency of the access identification data when the trust weight of the access identification signal is set higher than the trust weight of the access record data of the household, A redundancy check service device that generates a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21965A 2017-02-19 2017-02-19 Service apparatus of checking room occupation having door free function KR1019301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965A KR101930155B1 (en) 2017-02-19 2017-02-19 Service apparatus of checking room occupation having door free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965A KR101930155B1 (en) 2017-02-19 2017-02-19 Service apparatus of checking room occupation having door free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958A KR20180095958A (en) 2018-08-29
KR101930155B1 true KR101930155B1 (en) 2018-12-28

Family

ID=63434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965A KR101930155B1 (en) 2017-02-19 2017-02-19 Service apparatus of checking room occupation having door free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15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581B1 (en) * 2019-04-29 2019-06-26 최광기 household emergency signal processing device based on actual room existence information
CN110660204A (en) * 2019-10-16 2020-01-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Emergency rescue method suitable for intelligent door lock and intelligent door lock
KR102387782B1 (en) * 2020-07-14 2022-04-1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occupants
KR102532639B1 (en) * 2021-02-23 2023-05-1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re shutter control system
US11947029B2 (en) 2021-10-28 2024-04-02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occupant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8165A (en) 2008-03-28 2009-10-15 Carecom Co Ltd Residence monitoring system
JP2010044685A (en) * 2008-08-18 2010-02-25 Nec Infrontia Corp Entry and exit management system, evacuation-supporting method used when disaster occurs, evacuation support program used when disaster occurs,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KR101265456B1 (en) * 2012-09-26 2013-05-16 이한승 System for providing multi-service by using smart terminal at apartment
KR101536876B1 (en) 2014-12-30 2015-07-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System of evacuation and rescue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JP2016045646A (en) 2014-08-21 2016-04-0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Safety confirmation support system for collective housing resident
KR101613307B1 (en) * 2015-08-17 2016-04-29 희 남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of dangerous situation in building
KR101634207B1 (en) 2015-11-20 2016-07-01 손제욱 Emergency escape system using bluetooth beacon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8165A (en) 2008-03-28 2009-10-15 Carecom Co Ltd Residence monitoring system
JP2010044685A (en) * 2008-08-18 2010-02-25 Nec Infrontia Corp Entry and exit management system, evacuation-supporting method used when disaster occurs, evacuation support program used when disaster occurs,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KR101265456B1 (en) * 2012-09-26 2013-05-16 이한승 System for providing multi-service by using smart terminal at apartment
JP2016045646A (en) 2014-08-21 2016-04-0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Safety confirmation support system for collective housing resident
KR101536876B1 (en) 2014-12-30 2015-07-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System of evacuation and rescue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KR101613307B1 (en) * 2015-08-17 2016-04-29 희 남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of dangerous situation in building
KR101634207B1 (en) 2015-11-20 2016-07-01 손제욱 Emergency escape system using bluetooth beac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958A (en)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155B1 (en) Service apparatus of checking room occupation having door free function
US20240007685A1 (en) Set-top box,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wareness in a hospitality environment
KR101482715B1 (en) Apparatus for mobile phone based fire evacuation
US9842479B1 (en) Systems including a smart device for receiving a prerecorded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prerecorded message to a detector
US11750850B2 (en)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0965961B2 (en)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KR102010320B1 (en) Service apparatus of checking room occupation
JP2010152677A (en) Security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ecurity method
US10965960B2 (en)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KR101866124B1 (en) Service apparatus of checking room occupation with unwanted alarm verification
US11785265B2 (en)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CN106817477A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help-asking system based on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10827336B2 (en) Using access control devices to send event notifications and to detect user presence
US10904583B2 (en)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20180356514A1 (en) Mobile beacon for locating building occupants
KR102296974B1 (en) FIRE HYDRANT BASED IoT FIRE ALARM SYSTEM
KR20180111100A (en) System,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f Notification of Disaster
JP7113330B2 (en) Intercom system for collective facility, fir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fire information transmission program
KR20210064552A (en) Evacuate route guiding system
JP2007134881A (en) Portable telephone detection system, device, program and method
KR102127947B1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Coping Disaster Situation Using Key
CN220873098U (en) Non-contact type fire scene survivor search and rescue device
KR102349423B1 (en) Smart fire detector for firefighting
US1040513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ith an emergency mode for locating survivors in disasters
KR101781347B1 (en) Method for requesting rescue for a hearing impaired pers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