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641U - Plant cultivation device - Google Patents

Plant cultiv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641U
KR20150004641U KR2020140004682U KR20140004682U KR20150004641U KR 20150004641 U KR20150004641 U KR 20150004641U KR 2020140004682 U KR2020140004682 U KR 2020140004682U KR 20140004682 U KR20140004682 U KR 20140004682U KR 20150004641 U KR20150004641 U KR 201500046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llumination
water
light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68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영화
Original Assignee
진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영화 filed Critical 진영화
Priority to KR2020140004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641U/en
Publication of KR201500046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641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LED조명을 구비한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직립가능하게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임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지지되며,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재배트레이와; 상기 재배트레이 상에 설치되는 재배포트와; 상기 재배트레이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방에 위치하는 재배트레이를 향하여 빛을 방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LED들을 구비한 조명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재배트레이 내부로 물을 공급 및 공급된 물을 회수하는 급수부와; 상기 재배대상식물의 종류나 품종 및 생장시기에 따라 서로 다른 조명모드를 제공하도록 동일한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LED들 별로 빛의 세기를 조정 및 해당 빛의 세기 정보를 각각 조명모드별로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조명모드들 중에서 관리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된 컨트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재배포트로 물을 무화시켜 공급하는 수분공급유닛;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는 조명부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재배대상식물의 종류나 품종 및 생육 시기별로 차이가 있는 선호 파장의 빛을 공급하도록 색광에 따른 LED의 세기 비율을 조절함과 아울러 식물의 빛 흡수능력에 따라 조도를 조절하는 조광이 이루어져 조명흡수율을 극대화시키고 빛의 손실을 최소화시켜 에너지효율 및 재배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는 재배대상식물의 재배환경에 필요한 습도와 야간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재배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LED lighting, comprising: a main frame formed upright; A cultivating tray supported on the main frame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water therein; A cultivation port installed on the cultivation tray; An illumination uni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ultivating tray to emit light toward a cultivating tray located below and including LEDs emit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A water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main frame for recovering water supplied and supplied to the cultivation tray; The intensity of light and the corresponding intensity information of each LED emitting light of the same color may be stored for each illumination mode to provide different illumination modes depending on the kind, breed, and growing time of the cultivated plant, A controller for allowing the administrator to select any of the stored illumination modes; And a water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main frame and atomizing and supplying water to the redistribution trough.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intensity ratio of the LED according to the color light so as to supply the light having the preferred wavelength which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cultivated plant, Light intensity control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bsorption ability, thereby maximizing the light absorption rate and minimizing the loss of light, thereby remarkably improving the energy efficiency and the cultivation efficiency.
Also,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cultivation effect by supplying the humidity required for cultivation environment of the cultivated plant and oxygen necessary for nighttime.

Description

식물재배장치{Plant cultivation device}Plant cultivation device

본 고안은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LED를 이용하여 재배대상식물의 품종 및 생육시기에 따라 생장에 필요한 적합한 빛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providing suitable light required for growth depending on the cultivated plant and the growing season using L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는 수분공급유닛을 구비하여 재배대상식물의 품종 및 생육시기에 따라 생장에 필요한 습도를 제공하고, 야간에 재배대상식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unit to provide the humidity necessary for growth according to the cultivated plant and the growing season, and to supply the oxygen to the cultivated plant at night .

근래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식물공장은 복층의 선반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에서 배양액이 담기는 파레트와 조명기구를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것으로서 빛이나 온도가 인공적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날씨의 변화 등에 의한 흉작이나 과다생산이 없이 고품질 야채를 안정적으로 공급가능하고 일관적인 모양과 맛, 영양소의 관리가 가능하여 일정한 가격이 유지 가능하다. 또한, 무농약 야채가 가능하여 먹거리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고, 연속재배가 가능하며 밤낮의 길이, 온도나 습도, 그리고 배양액성분과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는 등으로 최적의 환경을 갖출 수 있어 토지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자연재배 대비 수확량이 획기적으로 증대되며 도시 한가운데에서도 전업규모의 식물재배가 가능하다. Plant plants that have recently been gaining attention are plants that grow using pallets and lighting fixtures that contain culture fluid in a frame made of multi-layered shelves. Light and temperature are artificially controlled, It is possible to supply high quality vegetable with stable, consistent shape, taste and nutrient manageme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anxiety about the food, to be able to grow continuously, to adjust the length and the length of day and night,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culture medium and carbon dioxide. It is possible to cultivate full-scale plants even in the middle of the city by dramatically increasing yield compared with natural cultivation.

이와 같은 식물공장의 주요 구성요소 중 하나는 식물의 생육 및 광합성에 필요한 빛을 제공하는 조명시스템이다. 식물은 그 종류 및 생육상태에 따라 각각 선호하는 빛의 파장이 상이하다. 예를 들면 엽록소의 광합성 작용에는 빛의 스펙트럼 분포의 적색이나 청색을 흡수하고 녹색이 반사되는 한편, 주황색 부분은 식물의 생식작용인 씨앗의 발아, 뿌리의 생육, 줄기의 형성, 개화시기, 과실의 생육에 관여한다. 따라서, 식물공장에서는 식물의 빛에 대한 특성을 최대한 이용하고자 식물이 필요로 하는 파장을 많이 포함한 색광의 빛을 어떤 시기에 얼마나 공급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수확내용에 차이가 나게 된다.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such a plant is an illumination system that provides the light necessary for plant growth and photosynthesis. Plants differ in their preferred wavelengths of light depending on their species and growth state. For example, the photosynthesis of chlorophyll absorbs the red or blue of the spectrum of light and reflects green, while the orange part reflects the germination of the plant, the growth of the root, the formation of the stem, the flowering time, It is involved in growth. Therefore, in plant factories, in order to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of plants to the maximum, the contents of harvest are different depending on when and how much light of color light including many wavelengths required by plants is supplied.

식물이 필요로 하는 파장의 청색광, 적색광 등의 광원은 제조과정에서 반도체에 첨가되는 불순물의 종류나 코팅 등에 따라 발광파장 및 색광을 임의로 조정함으로써 청색, 적색 등 다양한 특정 색광의 조사가 가능한 LED(Light Emitting Diode)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식물이 빛을 흡수함에 있어서 광원이 식물로부터 멀리 위치될 경우 빛이 허공으로 분산 손실되기 때문에 광원은 식물에 대하여 가깝게 위치될수록 효과적이다.The light sources such as blue light and red light of wavelengths required by the plant can be controlled by arbitrarily adjusting the emission wavelength and color depending on the type of impurities added to the semiconductor or coating, Emitting Diode) is used. Also, when a plant absorbs light, the light source is more effective as it is located closer to the plant, since the light is scattered and lost in the air when the light source is located far away from the plant.

종래에는 조명기구가 선반 구조물에 고정설치되며 그 위치는 식물이 자라남에 따른 간섭방지를 위하여 높은 곳에 위치된다. 따라서, 식물의 생육 초기에서부터 수확단계 이전까지 조명기구는 식물로부터 멀리 위치되고 특히 생육 초기에는 그 간격이 과도하게 벌어짐에 따라 빛 흡수가 매우 비효율적이며 이는 식물의 생육속도를 지연시키고 조명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a lighting apparatus is fixedly installed on a shelf structure, and its position is located at a high place for preventing interference due to the growth of plants. Therefore, from the initial stage of growing plants to the stage before harvesting, the lighting apparatus is located far away from the plant, and especially in the early stage of growth, the light absorption is very inefficient as the interval becomes excessively widened, which delays the plant growth rate and wastes illumination energy .

또한,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조명기구의 경우, 조사각이 대개 110° 내외로 되고 광량의 50%가 중앙 측에 집중되는 단점이 있어 식물에 대한 빛의 균일 조사가 요구되며, 식물은 품종 및 생육 시기별로 선호 파장이 다른 한편 빛 흡수능력에서 생육 초기와 수확 시기는 많은 차이가 있지만 종래에는 빛의 공급이 일정하여 비효율적이고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a lighting apparatus using an LED as a light source, it is required that the irradiation angle is approximately 110 °, and 50% of the light amount is concentrated on the center side, On the other hand, the light absorption ability differs greatly depending on the growing season and the harvesting time. However, conventional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pply of light is constant, resulting in inefficiency and energy loss.

게다가, 식물공장의 주요 구성요소 중 또 다른 하나는 식물의 생육환경에 필요한 습도 및 산소농도이다. 식물은 그 종류 및 생육상태에 따라 각각 선호하는 습도 및 산소농도도 상이하다. 예를 들어 열대식물의 경우 고온다습한 환경이 최적의 생육환경이 된다. 또한, 재배대상식물은 야간에 광합성에 의한 산소배출이 아닌 호흡에 의한 산소 흡수가 일어나 밀폐공간 내의 산소농도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식물공장에서는 재배대상식물의 습도 및 산소농도에 대한 특성을 최대한 이용하고자 재배대상식물이 필요로 하는 습도 및 산소농도를 어떤 시기에 얼마나 공급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수확내용에 차이가 나게 된다.In addition, another of the major components of the plant is the humidity and oxygen concentration required for the plant's growth environment. The plants also differ in their preferred humidity and oxygen concentrations depending on their species and growth stat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ropical plants, the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is the optimal growth environment. In addition, plants to be cultivated are not oxygenated by photosynthesis at night, but oxygen absorption by respiration occurs, resulting in lower oxygen concentration in the closed space. Therefore, in order to make full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humidity and oxygen concentration of plants to be cultivated in plant factories, there is a difference in harvesting contents depending on when and how much moisture and oxygen concentration required by cultivated plants are supplied.

KRKR 10-095999410-0959994 B1B1 KRKR 10-112106710-1121067 B1B1 KRKR 10-123811510-1238115 B1B1 KRKR 10-2011-010712610-2011-0107126 AA KRKR 2002012-00016222002012-0001622 UU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재배대상식물의 종류나 품종 및 생육 시기별로 차이가 있는 선호 파장의 빛을 공급하도록 색광에 따른 LED의 세기 비율을 조절함과 아울러 재배대상식물의 빛 흡수능력에 따라 조도를 조절하는 조광이 이루어져 조명흡수율을 극대화시키고 빛의 손실을 최소화시켜 에너지효율 및 재배효율을 현저히 향상토록 하는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djust the intensity ratio of LED according to color light so as to supply light of a preferred wavelength, which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kind,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maximizing the light absorption rate and minimizing light loss by significantly diminishing the energy efficiency and the cultivation efficiency by adjusting light intensity according to the light absorption ability of the plant.

또한, 본 고안은 조명부의 조사각을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조명부의 빛이 재배대상식물에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하는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uniformly irradiating a plant to be cultivated with light of an illumination unit by freely adjusting an irradiation angle of a lighting unit.

게다가, 본 고안은 재배대상식물의 재배환경에 필요한 습도를 조절하여 배출함과 아울러 야간에 호흡을 하는 재배대상식물을 위해 물을 전기분해하여 산소를 공급하는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 electrolyzing water to supply oxygen by regulating the humidity required for the cultivation environment of cultivated plants and for cultivating plants that breathe at night, hav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는 직립가능하게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임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지지되며,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재배트레이와; 상기 재배트레이 상에 설치되는 재배포트와; 상기 재배트레이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방에 위치하는 재배트레이를 향하여 빛을 방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LED들을 구비한 조명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재배트레이 내부로 물을 공급 및 공급된 물을 회수하는 급수부와; 상기 재배대상식물의 종류나 품종 및 생장시기에 따라 서로 다른 조명모드를 제공하도록 동일한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LED들 별로 빛의 세기를 조정 및 해당 빛의 세기 정보를 각각 조명모드별로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조명모드들 중에서 관리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된 컨트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재배포트로 물을 무화시켜 공급하는 수분공급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a main frame that is vertically formed; A cultivating tray supported on the main frame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water therein; A cultivation port installed on the cultivation tray; An illumination uni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ultivating tray to emit light toward a cultivating tray located below and including LEDs emit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A water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main frame for recovering water supplied and supplied to the cultivation tray; The intensity of light and the corresponding intensity information of each LED emitting light of the same color may be stored for each illumination mode to provide different illumination modes depending on the kind, breed, and growing time of the cultivated plant, A controller for allowing the administrator to select any of the stored illumination modes; And a water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main frame for atomizing and supplying water to the redistribution trough.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명부의 조명모드를 설정 및 저장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를 설정모드로 전환시키거나, 상기 조명부를 상기 설정모드에서 설정된 조명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를 설정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시키는 세팅부와, 동일한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LED들 별로 빛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출력조정부와, 상기 출력조정부에 의해 조정되는 해당 LED의 색상정보를 표시하는 색상정보표시부와, 상기 출력조정부에 의해 조정되는 해당 LED의 세기정보를 표시하는 설정정보표시부와, 상기 컨트롤러가 설정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상기 출력조정부에서 조정되는 해당 LED의 세기 정보를 각각 조명모드별로 메모리에 저장처리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일반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상기 조명부를 상기 조명모드에 대응되게 동작시키도록 상기 조명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된 모드선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switch the controller to the setting mode to set and store the illumination mode of the illumination unit or to set the controller to switch from the setting mode to the normal mode to operate the illumination unit in the set illumination mode, A color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color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LED adjusted by the output adjusting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olor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L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LED adjusted by the output adjusting unit when the controller operates in the setting mode, Mode, the illumination unit is operated corresponding to the illumination mode The selection can be selected the lock mode, the illumination mode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상기 조명부는 상기 재배트레이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빛의 조사방향을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제1조명부와 제2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명부와 제2조명부는 각각 내측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방열부가 구비되며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모듈과,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모듈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하우징 외부로 투사시키는 투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lighting unit includes a fixing unit fixedly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ultivating tray, a first illuminating unit and a second illuminating unit rotatably mounted on the fixing unit, The first illumination unit and the second illumination unit each include a housing having a mounting space formed on the inner side thereof, a heat dissipating unit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 illumin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a light transmitting plate for projecting the emitted ligh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상기 급수부는 물이 저장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재배트레이로 물을 펌핑하여 공급하는 공급펌프와, 상기 공급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재배트레이 들중 최상 측에 위치하는 재배트레이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측 재배트레이로부터 하측 재배트레이로 물이 이동될 수 있도록 재배트레이 상호를 연결하는 회수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water tank in which water is stored, a supply pump for pump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to the cultivation tray, and a wat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supply pump for supplying water to a cultivation tray located on the uppermost one of the cultivation trays And a recovery pipe for connecting the cultivation trays to each other so that water can be moved from the upper cultivation tray to the lower cultivation tray.

상기 조명부는 적색광을 방출하는 제1LED가 배치된 제1조명모듈과, 청색광을 방출하는 제2LED가 배치된 제2조명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1LED와 상기 제2LED가 5:1의 비율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illumination unit includes a first illumination module in which a first LED for emitting red light is disposed and a second illumination module in which a second LED for emitting blue light is disposed, wherein the illumination unit includes a first LED and a second LED, .

상기 수분공급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저장공간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물저장공간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유닛과, 상기 하부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저장된 물을 무화 시키는 초음파발진자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초음파발진자에 의해 무화된 수분을 상기 재배포트의 재배대상식물로 배출될 수 있게 가습홈이 형성된 상부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lower case installed in the main frame and having a water storage space for storing water, a water supply unit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lower case, And an upper case coupled to the lower case and having a humidifying groove formed therein for discharging moisture that has been atomized by the ultrasonic oscillator to plants to be cultivated in the harvesting port.

상기 수분공급유닛은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기 가습홈을 통해 배출되는 무화된 수분을 상기 재배트레이로 공급하는 자바라관과, 상기 재배트레이의 상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moisture supply unit includes a guiding part including a bellows tube for supplying atomiz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umidification groove of the upper case to the cultivation tray and a lid for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cultivation tray, do.

상기 수분공급유닛은 야간에 재배대상식물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하부케이스에 저장된 물을 전기분해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에 설치되는 전기분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supply unit may include an electrolysis unit installed in the lower case to electrolyze water stored in the lower case to supply oxygen to the plant to be cultivated at night.

본 고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는 조명부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재배대상식물의 종류나 품종 및 생육 시기별로 차이가 있는 선호 파장의 빛을 공급하도록 색광에 따른 LED의 세기 비율을 조절함과 아울러 재배대상식물의 빛 흡수능력에 따라 조도를 조절하는 조광이 이루어져 조명흡수율을 극대화시키고 빛의 손실을 최소화시켜 에너지효율 및 재배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intensity ratio of the LED according to the color light so as to supply the light of the preferred wavelength which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kinds of the cultivated plants, the kinds of cultivars and the growing period by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illuminating part, The light intensity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light absorption ability of the light source, thereby maximizing the light absorption rate and minimizing the light loss, thereby remarkably improving the energy efficiency and the cultivation efficiency.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는 재배대상식물의 재배환경에 필요한 습도와 야간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재배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Also,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cultivation effect by supplying the humidity required for cultivation environment of the cultivated plant and oxygen necessary for nighttime.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물재배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조명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제어계통을 설명하는 블럭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조명부의 조명모듈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조명부의 조명모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조명부의 조명모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조명부의 다른 실시 예를 적용한 식물재배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식물재배장치의 단면도.
도 11은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수분공급유닛에 안내부가 더 구비된 예를 나타낸 식물재배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단면도.
도 13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단면도.
도 1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상세도.
도 16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상세도.
도 17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상세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llumination unit shown in Figs. 1 and 2. Fig.
FIG.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system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illumination module of the illumination unit shown in Figs. 1 to 3.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llumination module of the illumination unit shown in Figs. 1 to 3. Fig.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ighting module of the illumination unit shown in Figs. 1 to 3.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illumination unit shown in FIGS. 1 to 3 is applied.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ectional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guide unit is further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unit shown in Figs. 9 to 10. Fig.
FIG. 12 is a sectional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ectional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ectional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5 is a detailed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6 is a detailed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7 is a detailed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는 메인프레임(100)과, 재배트레이(200)와, 재배포트(300)와, 조명부(400)와, 급수부(500)와, 컨트롤러(600)를 구비한다.1 to 3 show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3,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100, a cultivation tray 200, a cultivation port 300, an illumination unit 400, a water supply unit 500, , And a controller (600).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바닥면에 직립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과, 받침플레이트(130) 및 연결프레임(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110)은 바닥면에 나란하면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받침플레이트(130)는 수평프레임(110) 사이에서 수평프레임(110)을 서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급수부(500)의 물탱크(510)가 안착된다. The main frame 100 is vertically formed on a floor and includes a horizontal frame 110, a vertical frame 120, a receiving plate 130, and a connecting frame 140. The horizontal frames 110 are arranged on the bottom surface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receiving plate 130 connects the horizontal frames 110 to each other between the horizontal frames 110 and a water tank 510 of a water supply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상기 수직프레임(120)은 수평프레임(110)의 중앙에서 수평프레임(110)과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하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40)은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일단과 타 단이 각각 수직프레임(120)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The vertical frame 120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frame 110 at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frame 110 and extends vertically. The connection frame 14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vertical frame 120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thereof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frames 120 to each other.

상기 재배트레이(2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지지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수용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시키는 관통구멍(201)이 형성되어 있다.The cultivating tray 200 is supported on the main frame 100 in a vertically spaced relation to each other. The receiving tray 200 has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water therein. A through hole 201 is formed.

상기 재배트레이(200)는 상부의 면적이 하부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하방으로 테이퍼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 재배트레이(200)는 수직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프레임(120)에 고정된 지지부재(210)에 의해 수직프레임(120)에 지지되어 있다.The cultivating tray 200 has an upper area larger than the lower area and has a downwardly tapered shape. The cultivation tray 200 is supported on the vertical frame 120 by a support member 210 fixed to the vertical frame 1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120.

상기 지지부재(210)는 수직프레임(120)에 고정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단부 측에 재배트레이(2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재배트레이(200)의 하부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다.The support member 210 includes a central portion fixed to the vertical frame 120 and a lower portion of the cultivation tray 200 so as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cultivation tray 200 at a predetermined length, And bent portions bent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are formed.

상기 재배트레이(200)는 상기 지지부재(210)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A plurality of the cultivation trays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120 by the support member 210.

상기 재배포트(300)는 재배대상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을 가지며, 재배트레이(200)의 관통구멍(201)에 하부 일부가 삽입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재배포트(300)의 바닥면 또는 측면에는 재배트레이(200)의 수용공간으로 공급된 물이 재배포트(3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멍들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The cultivation port 300 has a planting space for planting the plant to be cultivated, and a part of the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01 of the cultivation tray 20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large number of inflow hole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r side surface of the reed port 300 so that water suppli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reed tray 200 can be introduced into the reed port 300.

상기 조명부(400)는 상기 재배트레이(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방에 위치하는 재배트레이(200)를 향하여 빛을 방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LED들을 구비한다. 상기 LED들은 적색광, 청색광, 백색광이 방출되는 것을 적용한다.The illuminating unit 40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ultivating tray 200 and emits light toward the cultivating tray 200 located below. The illuminating unit 400 includes LEDs emit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The LEDs emit red light, blue light, and white light.

상기 조명부(400)는 재배트레이(200)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401)와, 상기 고정부(402)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빛의 조사방향을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제1조명부(410)와 제2조명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명부(410)와 제2조명부(420)는 각각 내측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방열부(404)가 구비되며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405)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모듈(430)과,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모듈(430)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하우징(405) 외부로 투사시키는 투광판(미도시)을 구비한다.The illumination unit 400 includes a fixing unit 401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ultivation tray 200 and a rotatable member 402 rotatably mounted on the fixing unit 402, The first illumination unit 410 and the second illumination unit 420 are provided with a mounting space on the inner side and a heat dissipation unit 404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illumination unit 410 and the second illumination unit 420, A housing 405 having an opening on the side of the housing 405, an illumination module 430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a light emitting module 430 coupled to the opening to proje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module 430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05 (Not shown).

상기 고정부(401)는 재배트레이(200)의 하부에 피스 또는 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판(402)과, 고정판(402)으로부터 양측 하방으로 각각 소정길이 연장된 연장프레임(403)을 구비하며, 상기 제1조명부(410)와 제2조명부(420)의 하우징(405)은 상기 연장프레임(403)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fixing unit 401 includes a fixing plate 402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cultivation tray 200 through a piece or a bolt and an extension frame 403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fixing plate 402, The housing 405 of the first illumination unit 410 and the second illumination unit 420 is rotatably installed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extension frame 403.

상기 조명부(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사방향이 고정되게 LED형광등(400a)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The illumination unit 400 may adjust the irradiation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but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LED fluorescent lamp 400a with a fixed irradiation direction as shown in FIG.

상기 조명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광을 방출하는 제1LED(441)와, 상기 제1LED(441)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제1기판(445)을 포함하는 제1조명모듈(440)과, 청색광을 방출하는 제2LED(451)와, 상기 제2LED(451)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제2기판(455)을 포함하는 제2조명모듈(450)을 구비한다. 5, the illumination unit 400 includes a first LED 441 emitting red light and a first substrate 445 having the first LED 441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ED 44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econd illumination module 450 including a second LED 451 for emitting blue light and a second substrate 455 for spacing the second LED 45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조명부(400)는 2개의 제1조명모듈(440)과 1개의 제2조명모듈(450)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부(400)는 상기 제1LED(441)와 상기 제2LED(451)의 전체적인 비율을 5:1로 구성할 수 있다.The illumination unit 400 may include two first illumination modules 440 and one second illumination module 450. The illumination unit 400 may have a total ratio of the first LED 441 and the second LED 451 of 5: 1.

이와 다르게 상기 조명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광을 방출하는 제1LED(441)와 상기 제1LED(441)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제1기판(445)을 포함하는 제1조명모듈(440)과, 백색광을 방출하는 제3LED(461)와 상기 제3LED(461)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제3기판(465)을 포함하는 제3조명모듈(46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400)는 2개의 제1조명모듈(440)과 1개의 제3조명모듈(460)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부(400)는 상기 제1LED(441)와 상기 제3LED(461)의 전체적인 비율을 5:1의 비율로 구성할 수 있다.6, the illumination unit 400 includes a first illumination unit 441 including a first LED 441 emitting red light and a first substrate 445 disposed apart from the first LED 44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third illumination module 460 including a third LED 461 for emitting white light and a third substrate 465 for disposing the third LED 46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illumination unit 400 may include two first illumination modules 440 and one third illumination module 460. The illumination unit 400 may configure the overall ratio of the first LED 441 and the third LED 461 to a ratio of 5: 1.

또 다른 예로, 상기 조명부(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LED(441)와 제1기판(445)을 포함하는 제1조명모듈(440)과, 제2LED(451)와 제2기판(455)을 포함하는 제2조명모듈(450)과, 제3패키지와 제3기판(465)을 포함하는 제3조명모듈(46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조명모듈(440) 내지 제3조명모듈(460)을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부(400)는 상기 제1LED(441)와 상기 제2LED(451)와 상기 제3LED(461)의 전체적인 비율을 5:1:1로 구성할 수 있다.7, the illumination unit 400 includes a first illumination module 440 including a first LED 441 and a first substrate 445, a second illumination module 440 including a second LED 451 and a second substrate 445, And a third illumination module 460 including a third package and a third substrate 465. The second illumination module 450 includes a second illumination module 455, At this time, the first illumination module 440 to the third illumination module 460 are respectively provided. The illumination unit 400 may configure the overall ratio of the first LED 441, the second LED 451, and the third LED 461 to 5: 1: 1.

상기의 제1기판(445) 내지 제3기판(465)에는 각 기판에 설치되는 제1LED(441)들 내지 제3LED(461)들에 펄스를 인가하기 위한 단자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는 각각 후술하는 컨트롤러(600)의 연결되어 있다.Terminals for applying pulses to the first LEDs 441 to the third LEDs 461 provided on the respective substrates ar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445 to the third substrate 465, And is connected to a controller 6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급수부(5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상기 재배트레이(200) 내부로 물을 공급 및 공급된 물을 회수하는 것으로서,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510)와, 상기 물탱크(510)로부터 상기 재배트레이(200)로 물을 펌핑하여 공급하는 공급펌프(미도시)와, 상기 공급펌프(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재배트레이(200) 들중 최상 측에 위치하는 재배트레이(200)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미도시)과, 상측 재배트레이(200)로부터 하측 재배트레이(200)로 물이 이동될 수 있도록 재배트레이(200) 상호를 연결하는 회수관(520)을 포함한다.The water supply unit 500 is installed in the main frame 100 to recover water supplied and supplied into the cultivation tray 200 and includes a water tank 510 in which water is stored, (Not shown) for pumping water from the tray 510 to the cultivation tray 200 and supplying the water to the cultivation tray 200, which is connected to the supply pump (not shown) (Not shown) for supplying water to the cultivation tray 200 and a collection tube 520 for connecting the cultivation trays 200 so that water can be moved from the upper cultivation tray 200 to the lower cultivation tray 200 .

상기 컨트롤러(600)는 상기 재배대상식물의 종류나 품종 및 생장시기에 따라 서로 다른 다양한 조명모드를 제공하도록 동일한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LED들 별로 빛의 세기를 조정 및 해당 빛의 세기 정보를 각각 조명모드별로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조명모드들 중에서 관리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controller 600 adjusts the intensity of light for each of the LEDs emitting the same color light to provide various different illumination modes according to the type of cultivated plant, It can be stored for each illumination mode, and the administrator can select any of the stored illumination modes.

상기 컨트롤러(600)는 세팅부(610)와, 출력조정부(610)와, 색상정보표시부(640)와, 설정정보표시부(650)와, 모드선택부(630)와, 외부전원입력부(670)와, 펄스출력부(680) 및 중앙처리부(660)를 구비한다.The controller 600 includes a setting unit 610, an output adjustment unit 610, a color information display unit 640, a setting information display unit 650, a mode selection unit 630, an external power input unit 670, A pulse output unit 680,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660.

상기 세팅부(610)는 상기 조명부(400)의 조명모드를 다양하게 설정 및 저장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600)를 설정모드로 전환시키거나, 상기 조명부(400)를 상기 설정모드에서 설정된 조명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600)를 설정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세팅부(610)는 버튼식 또는 토글식 스위치를 적용할 수 있다.The setting unit 610 may switch the controller 600 to the setting mode to variously set and store the illumination mode of the illumination unit 400 or may switch the illumination unit 400 to the illumination mode set in the setting mode And to switch the controller 600 from the set mode to the normal mode for oper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tting unit 610 may be a button type or a toggle type switch.

상기 출력조정부(610)는 동일한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LED들 별로 빛의 세기를 조정 및 조정할 대상 LED들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출력조정부(610)는 일 측으로 회전시킬 시에는 해당 LED의 세기를 증가시키고, 타 측으로 회전시킬 시에는 해당 LED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가압하여 누르면 조정할 대상 LED들이 변경된다. The output adjuster 610 may select LEDs for adjusting and adjusting the intensity of light for each LED that emits light of the same color. The output adjusting unit 610 increases the intensity of the LED when it is rotated to one side and decreases the intensity of the LED when it is rotated to the other side.

즉, 상기 출력조정부(610)를 한 번 누르면 적색광을 방출하는 제1LED(441)들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고, 두 번 누르면 청색광을 방출하는 제2LED(451)들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세 번 누르면 백색광을 방출하는 제3LED(461)들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출력조정부(610)를 세 번 누른 후 다시 누르면 다시 제1LED(441)들을 조정할 수 있다.That is, the intensity of the first LEDs 441 emitting red light can be adjusted by pressing the output adjusting unit 610 once, and the intensity of the second LEDs 451 emitting blue light can be adjusted by pressing twice, The intensity of the third LEDs 461 which emit white light can be adjusted by pressing the third times. The first LEDs 441 can be adjusted again after the output adjusting unit 610 is pressed three times and then again.

상기 색상정보표시부(640)는 상기 출력조정부(610)에 의해 조정되는 해당 LED들의 색상정보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으며, 적색LED, 청색LED, 백색LED 총 3개의 LED를 구비한다. The color information display unit 640 displays color information of the LEDs adjusted by the output adjustment unit 610 and includes three red LEDs, a blue LED, and a white LED.

상기 색상정보표시부(640)는 상기 출력조정부(610)에 의해 조정되는 대상 LED들이 제1LED(441)들에 해당하면 적색LED가 발광되고, 상기 출력조정부(610)에 의해 조정되는 대상 LED들이 제2LED(451)들에 해당하면 청색LED가 발광되며, 상기 출력조정부(610)에 의해 조정되는 대상 LED들이 제3LED(461)들에 해당하면 백색LED가 발광되며, 상기 출력조정부(610)의 누름 횟수에 따라 발광상태가 변경된다.When the LEDs to be adjusted by the output adjusting unit 610 correspond to the first LEDs 441, the red LED is emitted and the LEDs adjusted by the output adjusting unit 610 are turned on The blue LEDs emit light whe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EDs 451. When the LEDs adjusted by the output adjusting unit 610 correspond to the third LEDs 461, a white LED emits light. When the output adjusting unit 610 presses The light emitting stat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상기 설정정보표시부(650)는 상기 출력조정부(610)에 의해 조정되는 해당 LED의 세기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조정 대상인 해당 LED들의 세기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도록 7세그먼트(seven-segment)로 구성되어 있다.The setting information display unit 650 displays the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LED controlled by the output adjusting unit 610. The setting information display unit 65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intensity of the LEDs to be adjusted by a seven- .

상기 모드선택부(630)는 상기 컨트롤러(600)가 설정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상기 출력조정부(610)에서 조정되는 해당 LED의 세기 정보를 각각 조명모드별로 메모리에 저장처리하고, 상기 컨트롤러(600)가 일반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상기 조명부(400)를 상기 조명모드에 대응되게 동작시키도록 상기 조명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When the controller 600 operates in the setting mode, the mode selector 630 stores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LED adjusted by the output adjusting unit 610 in a memory for each lighting mode, The illumination mode can be selected so as to operate the illumination unit 400 corresponding to the illumination mode.

상기 모드선택부(630)는 다수의 선택버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출력조정부(610)에서 해당 LED의 세기 조정이 끝난 뒤 선택버튼을 누르면 메모리에 해당 LED들의 세기 정보가 저장된다.The mode selection unit 630 includes a plurality of selection buttons. When the selection adjustment button is pressed after the output adjustment unit 610 adjusts the intensity of the corresponding LED,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LEDs is stored in the memory.

상기 외부전원입력부(670)는 외부전원을 조명부(400)에 공급하도록 된 것으로서, 컨트롤러(600)의 전선이 연장되어 있다.The external power input unit 670 supplies external power to the illumination unit 400, and the wires of the controller 600 extend.

상기 펄스출력부(680)는 상기 조명부(400)의 제1조명모듈(440), 제2조명모듈(450), 제3조명모듈(460)에 에 각각 구비된 단자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펄스출력부(680)에서 출력되는 전원신호는 후술하는 중앙처리부(660)에 의해 펄스 폭 변조 처리되어 있다.The pulse output unit 680 is adapted to supply power to terminals provided respectively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illumination modules 440, 450 and 460 of the illumination unit 400 , And the power supply signal output from the pulse output unit 680 is subjected to pulse width modulation processing by a central processing unit 660 described later.

상기 중앙처리부(660)는 세팅부(610)의 조작에 따른 설정모드와 일반모드 간 변경, 출력조정부(610)의 조작에 따른 색상정보표시부(640)의 표시변경, 출력조정부(610)의 조작에 따른 설정정보표시부(650)의 표시변경, 조명부(400)를 모드선택부(630)에서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게 동작시키도록 외부전원입력부(670)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출력조정부(610)의 조정에 대응되도록 전원신호를 펄스 폭 변조하여 펄스출력부(680)로 출력하며, 컨트롤러(600)의 전반적인 제어프로세스를 담당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660 may change the setting mode and the general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tting unit 610 and change the display of the color information display unit 64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utput adjusting unit 610 and the operation of the output adjusting unit 610 The power of the external power input unit 670 is controlled by the output control unit 610 so as to operate the illumination unit 400 in accordance with the mode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unit 630, And outputs the pulse-width-modulated power signal to the pulse output unit 680 so as to control the overall control process of the controller 600.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작동 및 사용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us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먼저, 관리자는 조명부(400)의 조명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컨트롤러(600)에 구비된 세팅부(610)를 눌러 컨트롤러(600)를 일반모드에서 설정모드로 변경시킨다. First, the manager changes the controller 600 from the normal mode to the setting mode by pressing the setting unit 610 provided in the controller 600 to set the illumination mode of the illumination unit 400. [

그리고, 출력조정부(610)를 눌러 조정하고자 하는 LED들(제1LED(441)들)을 선택한 뒤, 출력조정부(610)를 회전시켜 선택된 LED들로부터 출력시키고자 하는 세기를 조정 및 설정한다. 이때, 관리자가 출력조정부(610)를 조정하는 도중에는 색상정보표시부(640) 및 설정정보표시부(650)가 모두 작동된다.Then, the LEDs (first LEDs 441) to be adjusted are selected by pressing the output adjusting unit 610, and then the output adjusting unit 610 is rotated to adjust and set the intensity to be output from the selected LEDs. At this time, the color information display unit 640 and the setting information display unit 650 are both operated while the administrator adjusts the output adjustment unit 610. [

이후, 제1LED(441)들에서 출력시키고자 세기가 맞춰지면, 모드선택부(630)의 선택버튼 들 중 저장하고자하는 선택버튼을 일정 시간 동안 누른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현재 관리자가 설정한 제1LED(441)들의 세기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처리되며 이후, 출력조정부(610)를 눌러 다른 LED들(제2LED)을 선택한 뒤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 조정, 저장과정을 반복하고, 출력조정부(610)를 재차 눌러 또 다른 LED들(제3LED)을 선택한 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들을 거치면, 어느 하나의 조명모드가 설정 완료되며, 다수의 선택버튼들에 각각 서로 다른 조명모드들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Then, when the first LEDs 441 output the self-intensity, the selection button to be stored among the selection buttons of the mode selection unit 630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first LEDs 441 set by the current manager is stored in the memory. Then, the output adjustment unit 610 is pressed to select other LEDs (second LED) If the LEDs (third LED) are selected again after pressing the output adjusting unit 610 again by repeating the storing process, one of the illumination modes is set and a plurality of select buttons Different lighting modes can be selected and set.

한편, 도 9 내지 도 10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에 수분공급유닛(700)을 설치한 본 고안의 제2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9 to 10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water supply unit 700 is installed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상기 수분공급유닛(7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상기 재배포트(300)로 물을 무화시켜 공급한다. 상기 수분공급유닛(700)은 하부케이스(710)와, 상부케이스(720)와, 물공급유닛과, 초음파발진자(740)와, 안내부(750)와, 전기분해부(760)를 구비한다.The water supply unit 700 is installed in the main frame 100 and supplies water to the reed port 300 by atomizing it. The water supply unit 700 includes a lower case 710, an upper case 720, a water supply unit, an ultrasonic oscillator 740, a guide unit 750, and an electrolysis unit 760 .

상기 하부케이스(71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고정되며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저장공간이 형성되어있으며,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The lower case 710 is fixed to the main frame 100 and has a water storage space for storing water,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is opened.

상기 물공급유닛은 상기 하부케이스(710)의 물저장공간에 물을 공급한다. 상기 물공급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된 것으로서,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510)와, 상기 물탱크(510)로부터 상기 하부케이스(710)로 물을 펌핑하여 공급하는 물공급펌프(미도시)와, 상기 하부케이스(710)와 상기 물공급펌프 및 상기 물탱크(510)를 서로 연결하는 물공급관(731)을 포함한다.The water supply unit supplies water to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lower case 710. The water supply unit is installed in the main frame 100 and includes a water tank 510 for storing water and a water supply pump for pump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510 to the lower case 710 And a water supply pipe 731 connecting the lower case 710, the water supply pump, and the water tank 510 to each other.

상기 초음파발진자(740)는 상기 하부케이스(710) 내에 설치되어, 물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을 무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무화란 액체를 미립자화 하는 것을 말한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초음파발진자(740)는 하부케이스(710)의 바닥 또는 측벽에 별도의 인입홈을 더 형성하고, 상기 인입홈에 설치할 수 있다.The ultrasonic oscillator 740 is installed in the lower case 710 to atomiz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Here, the atomization means to make the liquid into a fine particle. Although not shown, the ultrasonic oscillator 740 may be formed in the inlet groove so that a separate inlet groove is formed in the bottom or side wall of the lower case 710.

상기 전기분해부(760)는 야간에 재배대상식물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하부케이스(710)에 저장된 물을 전기분해 하도록 하부케이스(710)에 설치된다. The electrolysis unit 760 is installed in the lower case 710 to electrolyze the water stored in the lower case 710 to supply oxygen to the plant to be cultivated at night.

상기 상부케이스(720)는 상기 하부케이스(7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초음파발진자(740)에 의해 무화된 수분 및 상기 전기분해부(760)에 의해 발생하는 산소를 상기 재배트레이(200)의 재배대상식물로 배출될 수 있게 가습홈(721)이 형성된다. 상기 가습홈(721)은 상기 상부케이스(720)의 길이방향에 따라 길게 복수개가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 가습홈(721)의 형상과 개수는 자유롭게 될 수 있다.The upper case 720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710 and is configured to apply moisture generated by the ultrasonic oscillator 740 and oxygen generated by the electrolysis unit 760 to the upper side of the cultivation tray 200 A humidifying groove 721 is formed so as to be discharged to the plant to be cultivated. A plurality of the humidifying grooves 721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case 720. In some cases, the shape and the number of the humidifying grooves 721 can be freely set.

상기 안내부(750)는 상기 재배트레이(200)에 무화된 수분을 집중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설치하며, 자바라관(751)과 덮개(752)를 포함한다. 상기 자바라관(751)은 상기 상부케이스(720)의 가습홈(721)을 통해 배출되는 무화된 수분을 상기 재배트레이(200)로 공급하도록 가습홈(72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자바라관(751)은 중공구조로 형성되어 무화된 수분이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자바라관(751)은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휘어진 후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가습홈(721)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덮개(752)는 자바라관(751)의 말단과 연결되어 상기 재배트레이(200)의 상부를 덮을수 있게 형성되어, 내부의 수분이 밖으로 세어나가는걸 막는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경우에 따라, 상기 안내부(750)는 다수가 상기 재배트레이(200)의 일부에만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guiding part 750 is provided to intensively supply moisture to the cultivation tray 200 and includes a bellows pipe 751 and a lid 752. The bellows pipe 751 is connected to the humidification groove 721 to supply atomiz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umidification groove 721 of the upper case 720 to the cultivation tray 200. The bellows pipe 751 is formed in a hollow structure so that the atomized moisture can move inside. The bellows pipe 751 can be retained in its shape after it is bent by an external forc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humidification groove 721. The lid 752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bellows pipe 751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cultivation tray 200, thereby preventing the inside water from seeping out. Although not shown,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the guide units 750 may be individually installed in a part of the cultivation tray 200, respectively.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를 작동 및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물은 물공급펌프(미도시)에 의해 상기 물탱크(510)에서 물공급관(731)을 타고 상기 하부케이스(710)의 물저장공간까지 공급된다. 물저장공간에 공급된 물은 초음파발진자(740)에 의해 무화된다. 무화된 수분은 상기 상부케이스(720)에 형성된 가습홈(721)을 통해 재배포트(300)의 재배대상식물로 배출된다. 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nd using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510 to the water supply pipe (not shown) And is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lower case 710 by way of the water tank 731.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space is atomized by the ultrasonic oscillator 740. The atomiz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humidification groove 721 formed in the upper case 720 to the plant to be cultivated in the cultivation port 300.

한편, 가습홈(721)에 상기 안내부(750)가 설치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자바라관(751)에 일정 이상의 외력을 가해 말단을 상기 재배포트(300)로 향하게 하면, 무화된 수분이 상기 자바라관(751)의 내부를 통해 재배대상식물이 심어진 재배포트(300)에 다다르고, 덮개(752)는 자바라관(751)을 통해 공급되는 무화된 수분이 외부로 확산 되는 걸 막아 지속적인 수분공급이 필요한 특정 재배대상식물에 적합한 식생환경을 제공한다.If the guiding portion 750 is installed in the humidification groove 721, if the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equal to or greater than a certain level to the bellows pipe 751 and directs the distal end to the refilling port 300, And the cover 752 prevents the moisture that has been supplied through the bellows pipe 751 from diffusing to the outside so that the moisture is continuously supplied through the inside of the pipe 751, Provide a suitable vegetation environment for the specific cultivated plants required.

그리고, 야간에는 상기 전기분해부(760)을 작동시킴으로써 산소를 상기 가습홈(721)을 통해 재배대상식물로 공급한다.At night, oxygen is supplied to the plant to be cultivated through the humidification groove 721 by operating the electrolysis unit 760.

도 12 내지 도 17에는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12 to 17 show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재배트레이(200)의 내측에는 상기 회수관(520)을 통해 상측에 위치하는 재배트레이(200) 내부로 공급된 물을 하측에 위치하는 재배트레이(200)로 공급하는 배수노즐(8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수노즐(800)은 45°에서 90° 사이의 각도로 휘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배수노즐(800)은 수경재배시 상기 재배포트(300)에 심어진 재배대상식물의 뿌리의 산소 공급과, 배수시 발생하는 소음의 감소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노즐(800)의 설치각도에 따라 배수 후반기에 상기 재배트레이(200) 내부의 잔류수위의 조절이 가능하다. A drainage nozzle 800 for supply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tray 200 located on the upper side through the collection pipe 520 to the cultivation tray 200 located on the lower side is disposed inside the cultivation tray 200 Is installed. The drain nozzle 800 is formed to be bent at an angle between 45 ° and 90 °. The drainage nozzle 800 aims at supplying oxygen to the roots of the cultivated plant, which is planted in the cultivation port 300 at the time of hydroponic cultivation, and reducing noise generated during drainage. In addition, the residual water level inside the cultivation tray 200 can be adjusted in the second half of the drainage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drainage nozzle 800.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를 작동 및 사용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nd using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12와 같이 물이 상기 재배트레이(200) 내부로 공급되고 물의 수위가 상기 배수노즐(800)보다 높은 수위가 되면 물의 압력에 의해 물이 상기 배수노즐(800)을 통해 배수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재배포트(300)에 심어진 재배대상식물의 뿌리는 물에 완전히 잠긴 상태가 된다. 이후, 사간이 경과함에 따라 도 13과 같이 물의 공급과 배수가 같이 진행되면서, 물의 수위가 낮아지게 된다. 이후, 도 14와 같이 물의 공급이 중단되면, 물은 상기 재배트레이(200)의 바닥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배수가 이루어지며, 이때 재배대상식물의 뿌리가 공기중에 노출되고, 이에 따라 식물의 뿌리에 산소가 공급되면서 재배대상식물의 뿌리의 발달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하, 상기 재배트레이(200) 내부의 수위를 배수 잔류수위라 한다.12, when water is supplied into the cultivation tray 200 and the water level becomes higher than the water discharge nozzle 800, the water starts to be drained through the water discharge nozzle 800 by the pressure of the water . At this time, the root of the cultivated plant planted in the cultivation port 300 is completely immersed in water. Thereafter, as the lapse of time elapses, the supply and drainage of water progress as shown in Fig. 13, and the water level becomes low. 14, the water is drained to a position close to the bottom of the cultivation tray 200. At this time, the roots of the plant to be cultivated are exposed to the air, whereby the roots of the plant As oxygen is supplied, it affects the development of the roots of the cultivated plant. Hereinafter, the water level inside the cultivation tray 200 is referred to as a residual water level.

또한, 도 15와 같이 상기 배수노즐(800)의 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면 상기 재배트레이(200) 내부의 배수 후반기에 잔류수위가 가장 낮은 상태가 되며 재배대상식물의 뿌리에 산소공급이 가장 많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16과 같이 상기 배수노즐(800)의 단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가 되면 상기 재배트레이(200) 내부의 배수 후반기에 잔류수위가 가장 높은 상태가 되며 재배대상식물의 뿌리에 산소공급이 가장 적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7과 같이 상기 배수노즐(800)의 단부가 측방을 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5, when the end of the drainage nozzle 800 is directed downward, the residual water level becomes the lowest in the second half of the drainage inside the cultivation tray 200, and oxygen supply to the roots of the cultivated plant Much is done. On the other hand, when the end of the drainage nozzle 800 is installed upward as shown in FIG. 16, the residual water level becomes the highest in the second half of the drainage inside the cultivation tray 200, and oxygen is supplied to the roots of the plant to be cultivated The least is done. 17, the end of the water discharge nozzle 800 may be set to face sideway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xample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implementation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cope of true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메인프레임
110 : 수평프레임
120 : 수직프레임
130 : 받침플레이트
140 : 연결프레임
200 : 재배트레이
210 : 지지부재
300 : 재배포트
400 : 조명부
410 : 제1조명부
420 : 제2조명부
430 : 조명모듈
440 : 제1조명모듈
450 : 제1조명모듈
460 : 제3조명모듈
500 : 급수부
600 : 컨트롤러
610 : 세팅부
620 : 출력조정부
630 : 모드선택부
640 : 색상정보표시부
650 : 설정정보표시부
660 : 중앙처리부
670 : 외부전원입력부
680 : 펄스출력부
700 : 수분공급유닛
710 : 하부케이스
720 : 상부케이스
740 : 초음파발진자
750 : 안내부
760 : 전기분해부
800 : 배수노즐
100: Mainframe
110: Horizontal frame
120: vertical frame
130:
140: connection frame
200: Cultivation tray
210: support member
300: Cultivation port
400:
410: first illumination unit
420: second illumination unit
430: Lighting module
440: First illumination module
450: first lighting module
460: Third lighting module
500:
600: controller
610:
620:
630:
640: Color information display section
650: setting information display section
660:
670: External power input unit
680: Pulse output section
700: Water supply unit
710: Lower case
720: upper case
740: Ultrasonic generator
750:
760:
800: Drain nozzle

Claims (8)

직립가능하게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임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지지되며,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재배트레이와;
상기 재배트레이 상에 설치되는 재배포트와;
상기 재배트레이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방에 위치하는 재배트레이를 향하여 빛을 방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LED들을 구비한 조명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재배트레이 내부로 물을 공급 및 공급된 물을 회수하는 급수부와;
상기 재배대상식물의 종류나 품종 및 생장시기에 따라 서로 다른 조명모드를 제공하도록 동일한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LED들 별로 빛의 세기를 조정 및 해당 빛의 세기 정보를 각각 조명모드별로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조명모드들 중에서 관리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된 컨트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재배포트로 물을 무화시켜 공급하는 수분공급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A main frame formed upright;
A cultivating tray supported on the main frame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water therein;
A cultivation port installed on the cultivation tray;
An illumination uni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ultivating tray to emit light toward a cultivating tray located below and including LEDs emit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A water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main frame for recovering water supplied and supplied to the cultivation tray;
The intensity of light and the corresponding intensity information of each LED emitting light of the same color may be stored for each illumination mode to provide different illumination modes depending on the kind, breed, and growing time of the cultivated plant, A controller for allowing the administrator to select any of the stored illumination modes;
And a water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main frame for atomizing and supplying water to the redistribution troug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명부의 조명모드를 설정 및 저장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를 설정모드로 전환시키거나, 상기 조명부를 상기 설정모드에서 설정된 조명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를 설정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시키는 세팅부와,
동일한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LED들 별로 빛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출력조정부와,
상기 출력조정부에 의해 조정되는 해당 LED의 색상정보를 표시하는 색상정보표시부와,
상기 출력조정부에 의해 조정되는 해당 LED의 세기정보를 표시하는 설정정보표시부와,
상기 컨트롤러가 설정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상기 출력조정부에서 조정되는 해당 LED의 세기 정보를 각각 조명모드별로 메모리에 저장처리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일반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상기 조명부를 상기 조명모드에 대응되게 동작시키도록 상기 조명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된 모드선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switch the controller to the setting mode to set and store the illumination mode of the illumination unit or to set the controller to switch from the setting mode to the normal mode to operate the illumination unit in the set illumination mode, Wealth,
An outpu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intensity of light for each of the LEDs emitting light of the same color,
A color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color information of the LED adjusted by the output adjusting unit,
A setting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LED adjusted by the output adjusting unit,
When the controller operates in the setting mode, stores the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LED adjusted by the output adjusting unit in a memory for each lighting mode, and when the controller operates in the normal mode, And a mod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the illumination mode so as to select the illumination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재배트레이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빛의 조사방향을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제1조명부와 제2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명부와 제2조명부는 각각 내측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방열부가 구비되며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모듈과,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모듈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하우징 외부로 투사시키는 투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llumination unit includes a fixing unit fixedly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ultivating tray, a first illuminating unit and a second illuminating unit rotatably mounted on the fixing unit, the first illuminating unit and the second illuminating unit,
Wherein the first illumination unit and the second illumination unit each include a housing having a mounting space formed on the inner side thereof and a heat dissipation unit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 illumination modul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a translucent plate for proj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hous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물이 저장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재배트레이로 물을 펌핑하여 공급하는 공급펌프와, 상기 공급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재배트레이 들중 최상 측에 위치하는 재배트레이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측 재배트레이로부터 하측 재배트레이로 물이 이동될 수 있도록 재배트레이 상호를 연결하는 회수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comprises a water tank in which water is stored, a supply pump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to the cultivation tray and supplying water to the cultivation tray connected to the supply pump, And a return pipe connecting the cultivation trays to each other so that water can be moved from the upper cultivation tray to the lower cultivation tr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적색광을 방출하는 제1LED가 배치된 제1조명모듈과, 청색광을 방출하는 제2LED가 배치된 제2조명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1LED와 상기 제2LED가 5:1의 비율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llumination unit includes a first illumination module in which a first LED for emitting red light is disposed and a second illumination module in which a second LED for emitting blue light is disposed,
Wherein the illumination unit comprises the first LED and the second LED in a ratio of 5: 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저장공간과 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물저장공간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유닛과, 상기 하부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저장된 물을 무화 시키는 초음파발진자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초음파발진자에 의해 무화된 수분을 상기 재배포트의 재배대상식물로 배출될 수 있게 가습홈이 형성된 상부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lower case installed in the main frame and formed with a water storage space for storing water, a water supply unit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lower case, And an upper case coupled to the lower case and having a humidifying groove formed therein so as to discharge moisture that has been atomized by the ultrasonic oscillator to plants to be cultivated in the harvesting port.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유닛은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기 가습홈을 통해 배출되는 무화된 수분을 상기 재배트레이로 공급하는 자바라관과, 상기 재배트레이의 상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oisture supply unit includes a guiding part including a bellows tube for supplying atomiz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umidification groove of the upper case to the cultivation tray and a lid for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cultivation tray, Plant cultivation equipm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유닛은 야간에 재배대상식물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하부케이스에 저장된 물을 전기분해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에 설치되는 전기분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n electrolysis unit installed in the lower case to electrolyze water stored in the lower case to supply oxygen to the plant to be cultivated at night.
KR2020140004682U 2014-06-20 2014-06-20 Plant cultivation device KR2015000464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682U KR20150004641U (en) 2014-06-20 2014-06-20 Plant cultiv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682U KR20150004641U (en) 2014-06-20 2014-06-20 Plant cultiv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641U true KR20150004641U (en) 2015-12-30

Family

ID=5517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682U KR20150004641U (en) 2014-06-20 2014-06-20 Plant cultiv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641U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643A (en) 2018-02-27 2019-09-04 박준규 An apparatus for cultivation using carbon rods
KR20190108907A (en) 2018-03-16 2019-09-25 박준규 Plant cultivation device
KR20220046133A (en) 2020-10-07 2022-04-14 전현봉 Growth promo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mix water of oxy hydrogen with high concentration
KR102420734B1 (en) * 2022-01-18 2022-07-14 주식회사 어밸브 Stackable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KR20220130963A (en) 2021-03-19 2022-09-27 비비에이치 주식회사 Growth promo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water electrolysis device
KR20230109912A (en) 2022-01-14 2023-07-21 비비에이치 주식회사 Smart farm type small growth promotion system and water electrolysis device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622A (en) 2000-06-27 2002-01-0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device
KR100959994B1 (en) 2010-03-30 2010-05-27 파루스엘이디 주식회사 Led lighting device for plant facto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10107126A (en) 2010-03-24 2011-09-30 (주)제이에스엔지니어링 Plant cultivation device
KR101121067B1 (en) 2011-04-04 2012-03-16 이상우 Plant cultivation device of plants using of led light
KR101238115B1 (en) 2011-05-17 2013-02-2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Cultivating system using LED light for plant factor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622A (en) 2000-06-27 2002-01-0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device
KR20110107126A (en) 2010-03-24 2011-09-30 (주)제이에스엔지니어링 Plant cultivation device
KR100959994B1 (en) 2010-03-30 2010-05-27 파루스엘이디 주식회사 Led lighting device for plant facto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121067B1 (en) 2011-04-04 2012-03-16 이상우 Plant cultivation device of plants using of led light
KR101238115B1 (en) 2011-05-17 2013-02-2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Cultivating system using LED light for plant factor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643A (en) 2018-02-27 2019-09-04 박준규 An apparatus for cultivation using carbon rods
KR20190108907A (en) 2018-03-16 2019-09-25 박준규 Plant cultivation device
KR20220046133A (en) 2020-10-07 2022-04-14 전현봉 Growth promo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mix water of oxy hydrogen with high concentration
KR20220130963A (en) 2021-03-19 2022-09-27 비비에이치 주식회사 Growth promo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water electrolysis device
KR20230109912A (en) 2022-01-14 2023-07-21 비비에이치 주식회사 Smart farm type small growth promotion system and water electrolysis device thereof
KR102420734B1 (en) * 2022-01-18 2022-07-14 주식회사 어밸브 Stackable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9076B2 (en) Smart cabinet for home gardening
US11925152B2 (en) Plant growth system
US10172296B2 (en) Method for enhancing the nutritional value in an edible plant part by light, and lighting device therefore
JP4589773B2 (en) Three-dimensional hydroponics equipment
US10111392B2 (en) Lighting system for promoting the rapid maturation of commercial plants
KR20150004641U (en) Plant cultivation device
CN202759950U (en) Multifunctional planter
RU2504143C2 (en) Method and device for using light-emitting diode in greenhouse
ES2398107T3 (en) Apparatus for growing seedlings and method for growing seedlings
KR101249985B1 (en) Plant Cultivating Chamber
US20210176934A1 (en) Integrated hydroponic plant cultiv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40000163A1 (en) Water culture hydroponics system
JP2006262750A5 (en)
JP2015532839A (en) Plant grower using artificial light
CN112423580B (en) Cultivation device and cultivation method for seedlings of Solanaceae plants
KR102444052B1 (en) Medicinal crop sprout vegetable regeneration multi-stage material system
KR101004333B1 (en) Multi-cultivating apparatus
KR101463982B1 (en) Plant cultivation device equipped with LED lighting
KR20200002432A (en) Device for cultivating plants
US11723318B2 (en) Indoor plant-growing system
KR20150072486A (en) Plant Cultivation Equipment
KR20220118691A (en) Hydroponics cultivation apparatus
KR20120111872A (en) Device to cultivate of plant
TWM449451U (en) Multifunctional planting machine
CN113875514B (en) Cultivat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ntrol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