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917A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917A
KR20140122917A KR1020130039976A KR20130039976A KR20140122917A KR 20140122917 A KR20140122917 A KR 20140122917A KR 1020130039976 A KR1020130039976 A KR 1020130039976A KR 20130039976 A KR20130039976 A KR 20130039976A KR 20140122917 A KR20140122917 A KR 20140122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deformable member
stable state
portions
deform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9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아름
김포진
김진수
송현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9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2917A/en
Publication of KR20140122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9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splay module, and a variable member for changing a shape of the display module, wherein the variable member includes a deformable member including multi-stable materials. The display device can change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a viewer, and can easily change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by using a switch driving member.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Display devic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가 있다.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for realizing images are used. For example, there are various display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plasma display panel,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분야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각 사용 분야에서 다양한 특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단순히 화상을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특성뿐만 아니라 입체감, 몰입감 등을 고려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다양한 형태로 개선하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As the field of use of display devices is gradually expanded, various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in various fields of use, and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not only characteristics related to displaying images, but also three- In order to satisfy such various demands, studies for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in various forms are continuing.

본 발명은 시청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mproved in structure to improve view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부재는, 다중 안정(multi-stable) 소재를 포함하는 변형 부재를 포함한다.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odule; And a deformable member for changing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wherein the deformable member includes a deformable member including a multi-stable material.

상기 변형 부재가 쌍안정(bi-stable) 소재를 포함하여, 스냅 스루(snap through)에 의하여 전환되는 제1 안정 상태와 제2 안정 상태를 가질 수 있다. The deformable member may include a bi-stable material and may have a first stable state and a second stable state that are switched by snap through.

상기 쌍안정 복합 소재는, 중심층과, 상기 중심 소재의 일면에 위치하며 섬유가 일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복합 소재를 포함하는 제1 층과, 상기 중심층의 다른 일면에 위치하며 섬유가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제2 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istable composite material includes a core layer, a first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enter core material and including a composite material in which the fibers are aligned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lay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re layer, And a second layer arranged side by sid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상기 변형 부재가 상기 제1 안정 상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평면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변형 부재가 상기 제2 안정 상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곡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maintains a flat state when the deformable member is in the first stable state and the display module can maintain a curved state when the deformable member is in the second stable state.

상기 변형 부재는 상기 제1 또는 제2 안정 상태에서 하나의 기준축을 가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eformable member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having one reference axis in the first or second stable state.

상기 변형 부재는, 상기 제1 안정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정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eformable member may be formed convex toward the display module in the first stable state and concave toward the display module in the second stable state.

상기 변형 부재는, 상기 제1 안정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 방향에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정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향하여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deformable member is formed to be convex in a first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from the first stable state toward the display module and in a second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first direction toward the display module in the second stable state As shown in FIG.

상기 제1 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하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좌우 방향이며, 상기 제2 안정 상태일 때 상기 변형 부재의 좌우 단부가 상기 변형 부분의 중앙 부분보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변형시킬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direction i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second direction i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deformable member are in a position So that the display module can be deformed.

상기 변형 부재는 각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복수의 변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변형 부분은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다른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deformable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formed portions each extending along one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plurality of deformed portions may b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other direction intersecting the one direction.

상기 복수의 변형 부분을 상기 다른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deformed portions in the other direction.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서로 평행한 제1 및 제2 가장자리에 각기 대응하는 제1 및 제2 연결 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앙 부분에 대응하는 제3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member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corresponding to first and second edges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display module, and a third connection member corresponding to a central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상기 제3 연결 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third connection member and the display module.

상기 변형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변형 부재의 안정 상태의 전환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환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And a switching drive member connected to the deformable member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switching the stable state of the deformable member.

상기 전환 구동 부재의 양측 단부가 상기 변형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전환 구동 부재의 상기 양측 단부 사이의 연결 길이가 변화하여 상기 변형 부재의 안정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Both end portions of the switching and driving member are fixed to the deformable member and the connection length between the both side ends of the switching and driving member is changed to switch the stable state of the deformable member.

상기 전환 구동 부재는 형상 기억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witching drive member may include a shape memory alloy.

상기 전환 구동 부재는 열 에너지 또는 전기 에너지의 공급에 의하여 상기 연결 길이가 변화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drive member may change the connection length by supply of thermal energy or electric energy.

상기 전환 구동 부재는, 상기 변형 부재의 제1 면 쪽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면과 반대되는 상기 변형 부재의 제2 면 쪽에 연결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switching drive member includes a first portion positioned on a first surface side of the deformable member and a second portion connected to a second surface side of the deformable member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portions may be formed in direction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상기 변형 부재의 상기 제1 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한 면이고,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부분의 양측 단부가 상기 변형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2 부분의 양측 단부가 상기 변형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surface of the deformable member is a surface adjacent to the display module, the first portion is formed along a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both side ends of the first portion are fixed to the deformable member, Two portions are formed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so that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portion can be fixed to the deformable member.

상기 변형 부재가 스냅 스루에 의하여 전환되는 제1 안정 상태와 제2 안정 상태를 가지고, 상기 변형 부재가 상기 제1 안정 상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평면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변형 부재가 상기 제2 안정 상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곡면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 안정 상태에서 상기 제2 안정 상태로 전환할 때 상기 제1 부분의 연결 길이를 변화시키고, 상기 제2 안정 상태에서 상기 제1 안정 상태로 전환할 때 상기 제2 부분의 연결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Wherein the deformable member has a first stable state and a second stable state in which the deformable member is switched by a snap-through, the display module maintains the flat state when the deformable member is in the first stable state, Wherein the display module maintains a curved state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 a stable state and changes a connection length of the first portion when switching from the first stable state to the second stable state, State,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can be changed.

상기 제1 부분이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부분이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부분이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부분이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irst portions are connected in series, parallel or series-parallel, a plurality of second portions ar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ortions are connected in series, parallel or series-parallel Lt; / RTI >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청자의 만족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을 변화할 수 있다. 이때, 가변 부재가 다중 안정 소재를 포함하는 변형 부재와 상태 전화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환 구동 부재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 변화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change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so a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viewer.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by using the deformable member including the multi-stable material and the diverting drive member for providing the driving force for the state telephone.

이때, 변형 부재가 다중 안정 소재를 포함하여 별도의 스토퍼 부재, 고정 부재 등의 구성을 구비하지 않아도 각 안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전환 구동 부재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변형 부재의 다른 면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여, 변형 부재의 안정 상태를 쉽게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전환 구동 부재로 형상 기억 합금을 사용하여 소음 없이 안정 상태를 쉽게 전환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abilized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even if the deformable member does not include the structure of the stopper member, the fixing member, and the like including the multistable material. And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witching drive member intersects with each other and loc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deformable member, so that the stable state of the deformable member can be easily switched. At this time, the shape memory alloy can be used as the switching drive member to easily switch the stable state without noi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 부분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가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par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formable member for explaining a shape chang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for explaining a shape chang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the width, and the like are enlarged or reduced in order to make the description more clear, and the thickness, width, etc.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Wherever certain parts of the specification are referred to as "comprising ", the description does not exclude other parts and may include other par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when a portion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portion, i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another portion is located in the middle as well as the other portion. When a portion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on" another portion, it means that no other portion is located in the midd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이때, 명확한 도시를 위하여 도 2에서는 후면 커버의 도시를 생략한다. 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illustration of the rear cover is omitted in FIG. 2 for the sake of clarity.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을 덮는 후면 커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1 and 2,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module 10 in which an image is implemented and a deformable member 20 that changes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 And a rear cover 30 covering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 This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료, 화상 등을 볼 수 있도록 화면으로 나타내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텔레비전, 컴퓨터의 모니터, 휴대폰, 전자책(e-book) 등의 다양한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0 collectively refers to a device that displays data, images, and the like on a screen.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various kinds of devices such as a television, a computer monitor, a mobile phone, and an e-book.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실질적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14)와, 지지 부재(14)에 고정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2) 및 지지 부재(14)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프레임부(도시하지 않음)가 더 위치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10 includes a display panel 12 that substantially implements an image, a support member 14 that is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2 and supports the display panel 12, And a panel driver (not shown) that is fixed to the display panel 12 and provides a signal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12. Further, a frame portion (not shown) that surrounds the edges of the display panel 12 and the support member 14 may be further positioned.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은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을 가지며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가져 가변 부재(20)에 의하여 형상이 변화할 수 있는 패널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panel 12 is a panel having various structures and systems capable of implementing an image, and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the shape of which can be changed by the deformable member 20.

일례로,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라 함은 형광 또는 인광 유기물 박막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자와 정공이 유기물 박막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밝고 선명한 화질을 가지고 시야각에 의한 제한이 없으며 전력 소모가 적은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다. 특히, 유기물 박막을 적층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한 특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을 가지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적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play panel 12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s a self-luminous display panel that uses a principle that a current is generated in a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organic thin film to combine electrons and holes in the organic thin film to generate ligh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has various advantages such as a bright and clear image quality, no limitation by the viewing angle, and low power consumption. In particular, since the organic thin film can be produced by laminating it, the flexible property is excell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display panels 12 having various structures and systems can be applied.

지지 부재(14)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을 지지한다. 또한 지지 부재(14)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을 구동하며 지지 부재(14)의 후면에 고정되는 패널 구동부 및 가변 부재(20)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14)는 디스플레이 패널(12), 패널 구동부 및 가변 부재(20)가 지지되고 고정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이 변화할 때는 형상이 변화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특성, 탄성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열적 스트레스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 부재(14)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유사한 수준의 열팽창 계수를 가질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14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2 to support the display panel 12. A panel driving part and a deformable member 20 which ar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14 by driving the display panel 12 may b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14. [ The supporting member 14 has a strength that can be supported and fixed to the display panel 12, the panel driving unit and the deformable member 20, and the shape can be changed when the shape of the display panel 12 is changed Elasticity,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14 may have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similar to that of the display panel 12 in order to prevent thermal stress or the like from occurring.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14)는 강화 플라스틱 등의 복합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소재라 함은 두 종류 이상의 물질을 인위적으로 결합하여 우수한 특성을 가지도록 한 재료이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14)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 등의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플라스틱에 의하여 가볍고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면서도, 다양한 섬유 형태의 보강재에 의하여 높은 강도, 탄성,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14)는 단일의 복합 소재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우수한 강도를 위하여 복수 개의 복합 소재층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14 may comprise a composite material such as reinforced plastic. Composite material is a material that artificially combines two or more kinds of materials to have excellent properties.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14 may include reinforced plastics such as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 and the like. Then, it is possible to have high strength, elasticity, and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by a reinforcing material of various fiber form while having light and flexible characteristics by plastic. The support member 14 may be composed of a single composite material layer or may b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composite material layers for superior strength.

지지 부재(14)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후면에 접착제(일례로,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지지 부재(14)가 고정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14 may b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2 using an adhesive (for example, a double-sided t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panel 12 and the supporting member 14 can be fixed by various other methods.

지지 부재(14)의 후면에 고정되는 패널 구동부는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다양한 배선, 소자 등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이러한 패널 구동부는 브라켓(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하여 지지 부재(14)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일례로, 브라켓은 중앙 부분에서만 지지 부재(14)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을 변화시킬 때 필요한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널 구동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디스플레이 모듈(1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패널 구동부는 가변 부재(20)를 구동하기 위한 배선,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anel driver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4 includes a circuit board (not shown) including various wires, elements, and the like to provide a signal for driving the panel. Such a panel driving unit may be fixed to the supporting member 14 by a bracket (not shown) or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bracket is fixed to the supporting member 14 only at the central portion to change the shape of the display panel 12 The required force can be minimiz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part or all of the panel driving unit is located outside the display module 10 or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like. The panel driving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wiring, devices, and the like for driving the deformable member 20. [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2) 및 지지 부재(14)의 가장자리를 보호하는 프레임부(도시하지 않음)가 더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지지 부재(14)를 보호하는 한편, 고정 부재(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하여 후면 커버(3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부의 형상, 프레임부와 후면 커버(30)의 고정 구조 등은 다양한 구조,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Further, a frame portion (not shown) for protecting the edges of the display panel 12 and the support member 14 may be further positioned. Such a frame portion protects the display panel and the support member 14 while allowing the back cover 30 to be fixed by a fixing member (not shown) or the like. The shape of the frame portion, the fixing structure of the frame portion and the rear cover 30, and the like can be applied in various structures and schemes,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디스플레이 모듈(10)(좀더 상세하게는, 지지 부재(14))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 부재(20)가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변 부재(20)가 복수 개의 형상에서 안정 상태를 이루는 다중 안정 소재를 포함하는 변형 부재(22)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변 부재(20)는 변형 부재(22)에 연결되어 변형 부재(22)의 형상 변화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환 구동 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member 14), a deformable member 20 capable of changing the display panel 12 is positioned. In this embodiment, the deformable member 20 includes a deformable member 22 that includes a multi-stable material that is in a stable state in a plurality of shapes. And the deformable member 20 may include a switching driving member 24 connected to the deformable member 22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changing the shape of the deformable member 22. [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변형 부재(22)는 다중 안정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평면 상태 또는 곡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변형 부재(22)가 두 개의 안정 상태(즉, 제1 안정 상태, 제2 안정 상태)를 구비하는 쌍안정 소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쌍안정 소재는, 제1 안정 상태에서 일정 이상의 구동력이 가해지면 제2 안정 상태로 전환이 되어 안정화되고, 제2 안전 상태에서 일정 이상의 구동력이 가해지면 다시 제1 안정 상태로 전환되어 안정화되는 스냅 스루(snap-through) 특성을 가진다. 이에 의하여 변형 부재(22)는 하나의 안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전환이 필요할 때는 안정 상태를 쉽게 전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안정 상태만을 구비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eformable member 22 may be composed of a multistable material.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a pair of the deformable member 22 having two stable states (i.e., the first stable state and the second stable state) so that the display module 10 can maintain a planar state or a curved state, A stable material can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bistable material is stabilized by switching to the second stable state when a driving force greater than a certain level is applied in the first stable state, and is stabilized by switching to the first stable state when a driving force greater than a certain level is applied in the second safe state And has a snap-through characteristic. Thus, the deformable member 22 can easily switch from a stable state to a stable state when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stable state. In this embodiment, only two stable states are provided to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변형 부재(22)로 사용되는 쌍안정 복합 소재로는 두 개의 안정 상태를 구비할 수 있는 쌍안정 특성을 가지는 복합 소재로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힘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복합 소재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의 강화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플라스틱에 의하여 가볍고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면서도, 다양한 섬유 형태의 보강재에 의하여 높은 강도, 탄성,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The bistable composite material used as the deformable member 22 is a composite material having a bistable property capable of having two stable states. The composite material is used as a material for the display module 10 so that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can be changed. A variety of materials that can apply force can be used. As the composite material, reinforced plastics such as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and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Then, it is possible to have high strength, elasticity, and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by a reinforcing material of various fiber form while having light and flexible characteristics by plastic.

이때, 쌍안정 복합 소재는 중심층과, 중심층의 일면에 위치하며 섬유가 일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복합 소재를 포함하는 제1 층과, 중심층의 다른 일면에 위치하며 섬유가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제2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층은 양 방향으로 섬유가 배열되는 복합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제1 층과 제2 층의 섬유 방향에 의하여 쌍안정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물질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변형 부재(22)가 쌍안정 특성을 가질 수 있다. The bistable composite material includes a core layer, a first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re layer and including a composite material in which the fibers are aligned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lay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re layer, And a second layer arranged side by side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The core layer may comprise a composite material in which the fibers are arranged in both directions. Thus, the bistable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by the fiber directions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which intersect with each o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eformable member 22 may have bistable characteristics by various methods using various materials.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 개 이상의 안정 상태가 필요한 경우에는 이에 적합한 복수 개의 안정 상태를 가지는 다중 안정 소재를 변형 부재(22)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안정 소재는 각 안정 상태를 가지도록 섬유를 배열한 다양한 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그 외의 다양한 물질, 방법에 의하여 다중 안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ree or more stable states are required, a multi-stable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stable states suitable for the three stable states may be used as the deformable member 22. Such a multi-stable material may include various layers in which fibers are arranged so as to have respective stable states, and may have a multi-stable structure by various other materials and methods.

변형 부재(22)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변형 부재(22)가 제1 안정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평면 상태를 유지하고, 변형 부재(22)가 제2 안정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좀더 상세하게는, 변형 부재(22)가 제2 안정 상태일 때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좌우 방향에서 일정한 곡률 반경(도 5의 참조부호 R, 이하 동일)을 가지는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by the deformable member 22 can be variously modified.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when the deformable member 22 is in the first stable state, the display module 10 maintains the flat state, and when the deformable member 22 is in the second stable state, State is maintained. More specifically, when the deformable member 22 is in the second stable state, the display module 10 can be deformed into a curved surface having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reference symbol R in FIG. 5, hereinafter the same) in the left-right direction.

변형 부재(22)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변형 부분(220)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변형 부재(22)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에서 균일하게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변형 부재(22)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변형 부분(220)을 복수 개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변형 부분(220)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향하여 볼록하게 위치하는 제1 안정 상태일 경우에 변형 부분(220)의 상하 단부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정도(도 3의 (a)에서 참조부호 P)를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일례로 두 개의 변형 부분(220)을 구비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변형 부분(220)이 세 개 이상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변형 부재(22)가 하나의 변형 부분(220)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The deformable member 22 includes at least one deformed portion 220 formed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Thus, the deformable member 22 can uniformly apply for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display module 10. 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formable members 22 are formed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and have a plurality of deformed portions 2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3 (a) and 3 (b),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eformed portion 220 protrude toward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100 when the deformed portion 220 is in the first stable state in which the deformed portion 220 is convex toward the display module 10 Quot; P " in (a) of FIG. 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reduced. In the drawing, for example, two deformed portions 220 are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hat three or more deformed portions 220 are provide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deformable member 22 consists of one deformed portion 220.

본 실시예에서 변형 부분(220)은 하나의 안정 상태에서 하나의 기준축을 가지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기준축이라 함은 곡면 형상에서 곡률 반경의 중심이 되는 축이 이루는 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1 안정 상태일 경우와 제2 안정 상태일 경우에 그 기준축은 변하게 된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변형 부재(22)를 구성하는 변형 부분(220)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In this embodiment, the deformed portion 220 may have a curved shape with one reference axis in one stable state. Here, the reference axis means an axis formed by the axis which is the center of the radius of curvature in the curved surface shape. In the case of the first stable state and the second stable state, the reference axis is change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formed portion 220 constituting the deformable member 22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안정 상태에서 변형 부분(22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향하여 볼록하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변형 부분(220)의 곡률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하 방향에서 형성되고, 곡률 반경(R1)의 중심이 형성하는 기준축(A1)은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반대되는 쪽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게 된다. 즉, 변형 부분(220)의 상하 방향에서 중앙 부분이 디스플레이 모듈(10) 쪽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변형 부분(220)의 상하 단부가 디스플레이 모듈(10)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변형 부분(220)이 제1 안정 상태일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힘을 가하지 않아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평면 상태로 유지된다. 3 (a), in the first stable state, the deformed portion 220 is concave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0, convex toward the display module 10. At this time, the curvature of the deformed portion 220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and the reference axis A1 formed by the center of the radius of curvature R1 is displaced from the display module 10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central portion of the deformed portion 220 in the up-and-down direction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side of the display module 10,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eformed portion 220 are located away from the display module 10. When the deformed portion 220 is in the first stable state, no force is applied to the display module 10, so that the display module 10 is maintained in a flat state.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안정 상태에서 변형 부분(22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향하여 오목하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때, 변형 부분(220)의 곡률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에서 형성되고, 곡률 반경(R2)의 중심이 형성하는 기준축은 디스플레이 모듈(10) 쪽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하 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즉, 변형 부분(220)의 좌우 단부가 중앙 부분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0) 쪽으로 돌출된다. 이에 의하여 변형 부분(220)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에서 전체적으로 힘을 가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곡면 상태로 변화된다. 3 (b), in the second stable state, the deformed portion 220 is convexly form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0 toward the display module 10. The curvature of the deformed portion 220 is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and the reference axis formed by the center of the radius of curvature R2 is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 That is, the left and right end portions of the deformed portion 220 protrude toward the display module 10 from the center portion. As a result, the deformed portion 220 exerts an entire for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thereby changing the display module 10 into a curved surface state.

상술한 복수의 변형 부분(220)은 연결 부재(26)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부재(26)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변형 부분(220)을 연결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deformed portions 220 described above may b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 26. [ The connection member 26 is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and can connect a plurality of deformed portions 220 spac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부재(26)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가장자리에 각기 대응하는 제1 및 제2 연결 부재(262, 264)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앙 부분에 대응하는 제3 연결 부재(2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연결 부재(262, 264, 266)는 복수의 변형 부분(220)과 고정 부재(26a)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연결 부재(266)와 변형 부분(220)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26a)는 제1 내지 제3 연결 부재(266)와 변형 부분(220)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각 변형 부분(220)의 중심에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변형 부분(220)의 안정 상태가 전환될 때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고정 구조로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팸 너트와 볼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제1 내지 제3 연결 부재(266)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member 26 includes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262 and 264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display module 10, a third connecting portion 262 and 264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Member 266 as shown in FIG. The first to third connecting members 262, 264 and 266 can be fixed by the plurality of deformed portions 220 and the fixing member 26a. The fixing member 26a for fixing the first to third connecting members 266 and the deforming portion 220 may be de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to third connecting members 266 and the deforming portion 220 cross each other.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center of portion 220.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formed portion 220 from being disturbed when the stable state is switched. Various structures can be applied to the fixed structure. For example, Pam nuts and bolts can be used. Accordingly, the first to third connecting members 266 can be firmly fixed by a simple method.

또한, 제3 연결 부재(266)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26b)가 위치할 수 있다. 고정 구조로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팸 너트와 볼트를 이용할 수 있다. 즉, 가변 부재(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앙 부분에만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는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위치한다. 이에 의하여 변형 부재(22)의 안정 상태가 전환될 때 자유롭게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가변 부재(2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힘을 가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변형이 쉽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third connecting member 266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26b fixed to the display module 10. Various structures can be applied to the fixed structure. For example, Pam nuts and bolts can be used. That is, the deformable member 20 is fixed only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and freely positioned without being fixed at both side edges of the display module 10. As a result, the display module 10 is easily deformed by applying a force to the display module 10 by the deformable member 20 while allowing the switchable member to be freely switched when the stabilized state of the deformable member 22 is switch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연결 부재(262, 264, 266)에 의하여 복수의 변형 부분(220)을 안정적으로 연결 및 고정하고, 제3 연결 부재(266)를 이용하여 가변 부재(20)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고정하여, 복수의 변형 부분(22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그러면서도 연결 부재(26)의 개수는 최소화하여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deformed portions 220 are stably connected and fixed by the first to third connecting members 262, 264, and 266, and the deformable members 220 20 may be fixed to the display module 10 so that the display module 10 can be uniformly deformed uniformly by the plurality of deformed portions 220. [ The number of the connecting members 26 is minimized an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이와 같이 쌍안정 복합 소재로 구성된 변형 부재(22)는 일정한 구동력에 의하여 제1 안정 상태에서 제2 안정 상태로 전환되거나, 제2 안정 상태에서 제1 안정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변형 부재(22)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환 구동 부재(24)를 더 포함한다. Thus, the deformable member 22 composed of the bistable composite material is switched from the first stable state to the second stable state or switched from the second stable state to the first stable state by a constant driving force. At this time,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witching drive member 24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deformable member 22.

전환 구동 부재(24)는 변형 부재(22)의 제1 면(일례로,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인접한 면)에 위치하는 제1 부분(242)과, 제1 면에 반대되는 제2 면에 위치하는 제2 부분(244)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부분(242)과 제2 부분(244)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인접한 제1 부분(242)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반대편에 위치한 제2 부분(244)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 변화가 좀더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다시 설명한다. The switching drive member 24 includes a first portion 242 located on a first side of the deformable member 22 (e.g., a surface adjacent to the display module 10), and a second portion 242 on a seco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And a second portion 244 positioned thereon. At this time, the first portion 242 and the second portion 244 may be formed in direction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adjacent first portion 242 of the display module 10 is formed in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second portion 244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is form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so that the shape change of the display module 10 becomes more smooth . This will be explained later.

구체적으로, 제1 부분(242)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하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1 부분(242)의 양측 단부가 단부 고정부(242a) 및 체결 부재(242b)에 의하여 변형 부재(22)에 고정된다. 좀더 원활하게 안정 상태를 전환하기 위하여 제1 부분(242)은 복수 개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부분(242)이 제1 연결 부재(262)와 제3 연결 부재(266) 사이에 두 개 위치하고 제3 연결 부재(266)와 제2 연결 부재(264) 사이에 두 개 위치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단부 고정부(242a)는 수지, 복합 소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체결 부재(242b)는 팸 너트와 볼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제1 부분(242)의 양측 단부를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고정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제1 부분(242)의 개수 또한 변화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portion 242 is formed parallel to the up-and-down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and both side ends of the first portion 242 are fixed by the end fixing portion 242a and the fastening member 242b 22). The first portion 242 may be located in a plurality of positions to switch the stable state more smoothly. The first portion 242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62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266 and the two portions between the third connecting member 266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64 . The end fixing portion 242a may be made of a resin, a composite material or the like, and the fastening member 242b may be formed of a Pam nut, a bolt, or the like. With this structure, both end portions of the first portion 242 can be firmly fixed by a simple structu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fixing structures can be applied, and the number of the first portions 242 can also be changed.

그리고 제2 부분(244)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2 부분(244)의 양측 단부가 단부 고정부(244a) 및 체결 부재(244b)에 의하여 변형 부재(22)에 고정된다. 좀더 원활하게 안정 상태를 전환하기 위하여 제2 부분(244)은 복수 개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부분(244)이 각 변형 부분(220)에 대응하여 두 개 위치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단부 고정부(244a)는 수지, 복합 소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체결 부재(244b)는 팸 너트와 볼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제2 부분(244)의 양측 단부를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고정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제2 부분(244)의 개수 또한 변화될 수 있다. And the second portion 244 is formed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and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portion 244 are fixed to the deforming member 22 by the end fixing portion 244a and the fastening member 244b. Respectively. The second portion 244 may be located in a plurality of positions to switch the stable state more smoothly.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e second portion 244 is located at two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deformed portions 220. The end fixing portion 244a may be made of a resin, a composite material or the like, and the fastening member 244b may be formed of a Pam nut, a bolt, or the like. With this structure, both end portions of the second portion 244 can be firmly fixed by a simple structu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fixing structures can be applied,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portions 244 can also be changed.

이러한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은 변형 부재(22)에 고정된 양측 단부 사이의 연결 길이가 변화되는 것에 의하여 변형 부재(22)의 안정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42 and 244 can change the stable state of the deformable member 22 by changing the connection length between the both end portions fixed to the deformable member 22. [

일례로,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은 온도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및 제2 부분(242, 244)에 열적 에너지 또는 전기적 에너지를 제공하여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의 연결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및 제2 부분(244, 244)이 형상 기억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형상 기억 합금은 오스테나이트-마르텐사이트 변태를 하는 금속에서 나타나는 형상 기억 및 초소성 성질을 이용하는 합금으로, 온도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지게 된다.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은 패널 구동부에서 가변 부재(20)를 구동하는 소자 등에 연결되어 온도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연결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이 형상 기억 합금을 포함하여 열적 에너지 또는 전기적 에너지에 의하여 연결 길이가 달라지면, 구조가 간단하여 적용이 쉬우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변형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In one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42 and 244 may be made of a material whose shape changes according to temperature. By providing thermal or electrical energy to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42 and 244 thereby chang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42 and 244,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42 and 244 Can be changed.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44 and 244 may include a shape memory alloy. The shape memory alloy is an alloy that utilizes shape memory and super plasticity appearing in a metal that undergo austenite-martensitic transformation and has a different shape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42 and 244 are connected to an element or the like for driving the variable member 20 in the panel driving portion so that the temperature is adjusted and thus the connection length can be changed. When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42 and 244 include shape memory alloys and the connection length is changed by thermal energy or electrical energy,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apply, and noise during deforma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Does not occur.

다른 예로, 패널 구동부와 함께,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의 연결 길이가 기계적 에너지를 공급하는 별도의 구동부(도시하지 않음, 일례로, 모터)에 제공된 기계적 에너지에 의하여 변화될 수도 있다. 즉,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의 일부를 모터에 고정시켜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의 일부가 모터의 회전축에 감기거나 풀리는 등에 의하여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의 연결 길이가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은 다양한 조건에서도 늘어나지 않거나 거의 늘어나지 않으며 큰 항복 강도를 가지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이 늘어나게 되면 연결 길이를 정밀하게 변형시키기 어려울 수 있으며 더 많은 기계적 에너지를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일례로,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은 금속 강선(일례로, 스테인리스 강선),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탄소 강선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이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기계적 에너지를 제공하는 모터 등의 구동부는 가변 부재(2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 등의 구동부가 기계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가변 부재(20)의 형상을 변화시키면, 가변 부재(20)를 쉽게 변형할 수 있고 가변 부재(20)의 변형 정도, 변형 시간 등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42 and 244 together with the panel driving portion may be changed by the mechanical energy provided to a separate driving portion (not shown, for example, a motor) have. That is, a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parts 242 and 244 is fixed to the motor and a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parts 242 and 244 is wound or unwoun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And the second portions 242 and 244 may vary.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42 and 244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stretch or hardly elongate even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has a large yield strength. The elong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42 and 244 can be difficult to precisely deform the connection length and provide more mechanical energy. In one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42, 244 may comprise a material such as a metal wire (e.g., stainless steel wire), an aramid fiber, a carbon steel wir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42 and 244 may be constructed of various materials. A driving unit such as a motor for providing mechanical energy can have various configurations that can change the shape of the deformable member 20. [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iving member of the motor or the like changes the shape of the deformable member 20 by using mechanical energy, the deformable member 20 can be easily deformed and the deformation degree and the deformation time of the deformable member 20 can be precisely controlled can do.

이러한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은 직경이 0.5mm 내지 10mm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의 직경이 0.5mm 미만이면, 구동부 등으로부터 에너지를 받을 때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이 끊어지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의 직경이 10mm를 초과하면,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의 연결 길이를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기계적 에너지가 커져서 비용이 증가하고 구성이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이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42, 244 may be 0.5 mm to 10 mm in diameter. If the diameters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42 and 244 are less than 0.5 mm,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42 and 244 may be broken or deformed when receiving energy from the driving unit or the like. If the diameter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42 and 244 exceeds 10 mm, the mechanical energy required to change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42 and 244 increases, And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42 and 244 may have various diameters.

도면에서는 일례로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이 형상 기억 합금을 구비하고, 전기적 에너지를 제공 받아 연결 길이가 변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리고 제1 부분(242)과 제2 부분(244)의 온도가 올라가면 연결 길이가 줄어드는 것을 일례로 하였다. 이는 제1 및 제2 부분(242, 244)의 연결 길이가 늘어나면서 변형 부분(22)을 밀어내는 것보다 연결 길이가 줄어들면서 변형 부분(22)을 당기는 것이 좀더 쉽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도가 올라가는 것에 의하여 연결 길이가 늘어나도록 설계하는 등의 변형도 가능하다. In the drawing, for example, the case where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42 and 244 are provided with the shape memory alloy and the connection length is changed by receiving the electrical energy is exemplifi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ortion 242 and the second portion 244 is increased, the connection length is reduced. This is because it is easier to pull the deformation portion 22 while reducing the connection length than pushing the deformation portion 22 while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42 and 244 is increa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possible to modify the design such that the connection length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이때, 복수 개의 제1 부분(242)은 전선(282) 등에 의하여 서로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되어 동일한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함께 연결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제2 부분(244)은 전선(284) 등에 의하여 서로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되어 동일한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함께 연결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first portions 242 may be connected in series, parallel, or series-parallel with each other by electric wires 282 or the like, and the connection length may be changed by the same electrical signal. The plurality of second portions 244 may be connected in series, parallel, or series-parallel with each other by electric wires 284 or the like, and the connection lengths may be changed together by the same electrical signal.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가변 부재(20)의 후면에는 후면 커버(30)가 위치한다. 후면 커버(30)는 패널 구동부 등의 구성이 위치할 공간을 제공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 패널 구동부 등을 외부 충격으로 보호한다. 또한, 후면 커버(30)는 패널 구동부 등을 덮어서 외부에서 내부 구성이 보이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을 향상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후면 커버(30)는 전체적으로 완곡한 곡면으로 이루어져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외관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후면 커버(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물질,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The rear cover 30 is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 and the deformable member 20. The rear cover 30 protects the display module 10, the panel driving unit, and the like by an external impact while providing a space for the structure of the panel driving unit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rear cover 30 covers the panel driving unit and the like to prevent the internal structure from being seen from the outside and to improve the appearance. For example, the rear cover 30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as a whole to secure a sufficient space and improve the appearance. In this embodiment, the rear cover 30 may have a material, structure, and the like that can correspond to the shape change of the display module 10.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상 변화에 대하여 도 4 및 도 5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가변 부재(2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5에서는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후면 커버(3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4 및 도 5의 (a)는 가변 부재(20)가 제1 안정 상태인 경우를 도시하였고 도 4 및 도 5의 (b)는 가변 부재(20)가 제2 안정 상태인 경우를 도시하였다.A change in the shape of the display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formable member 20 for explaining the shape change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ape change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100 for explanation. 5, the illustration of the rear cover 30 is omitted for clarity. 4 and 5A show the case where the variable member 20 is in the first stable state and FIGS. 4 and 5B show the case where the variable member 20 is in the second stable state .

도 4의 (a) 및 도 5의 (a)에서와 같이, 다른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평면 상태를 가지게 된다. As shown in Figs. 4 (a) and 5 (a), the display module 10 has a planar state in the absence of any other operation.

이때,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 부재(22)는 제1 안정 상태를 가지게 된다. 즉, 변형 부재(22)(또는, 변형 부재(22))은 상하 방향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향하여 볼록하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는 변형 부재(22)의 상하 단부 부분이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반대쪽에 위치하고 있어서 변형 부재(22)가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힘을 가하지 않는다. 이에 의하여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평면 상태로 유지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A, the deformable member 22 has the first stable state. That is, the deformable member 22 (or the deformable member 22) is concavely form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0 so as to be convex toward the display module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state, the upper and lower end portions of the deformable member 22 are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play module 10, so that the deformable member 22 does not exert a force on the display module 10. [ As a result, the display module 10 is maintained in a planar state as shown in FIG. 5 (a).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을 변화하기 위한 명령을 부여하면, 패널 구동부에서 제1 부분(242)에 열 또는 전기 에너지를 제공한다. 그러면 형상 기억 합금으로 구성된 제1 부분(242)의 연결 길이가 짧아지게 되면서 제1 부분(242)이 변형 부재(22)의 상하 단부를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복수의 제1 부분(242)은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함께 연결되어 있으므로 함께 연결 길이가 짧아지면서 변형 부재(22)에 전체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When the user gives an instruction to change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it provides heat or electric energy to the first portion 242 at the panel drive portion. Then,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first portion 242 made of the shape memory alloy is shortened so that the first portion 242 pulls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eformable member 22. At this time, since the plurality of first portions 242 are connected together in series, parallel, or series and parallel, the coupling length is shortened together to provide the driving force to the deformation member 22 as a whole.

그러면,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냅 스루 현상에 의하여 변형 부재(22)가 제2 안정 상태로 전환된다. 즉, 변형 부재(22)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향하여 좌우 방향에서 오목하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을 향하여 좌우 방향에서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변형 부재(22)의 좌우 단부가 중앙 부분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0) 쪽으로 돌출된다. 이에 의하여 변형 부재(22)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에서 전체적으로 힘을 가하여,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곡률 반경(R)을 가지는 곡면 상태로 변화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몰입감을 좀더 향상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시간이 지나면서 제1 부분(242)의 온도가 점진적으로 떨어지면 연결 길이가 다시 제1 길이로 길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점진적인 변화는 변형 부재(22)에 일정 이상의 구동력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변형 부재(22)가 제2 안정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Then, as shown in Fig. 4 (b), the deforming member 22 is switched to the second stable state by the snap-through phenomenon. That is, the deformable member 22 is formed to be concave in the left-right direction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0 so as to be concave toward the display module 10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us, the left and right end portions of the deformable member 22 are projected toward the display module 10 from the center portion. 5 (b), when the display module 10 is in a curved state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R, as shown in Fig. 5 (b), the deformable member 22 applies a force entirely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Change. As a result, the user's immersion feeling can be further improved. If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ortion 242 gradually decreases over time, the connection length again becomes longer to the first length. However, such a gradual change does not provide the deformable member 22 with a driving force equal to or greater than a certain level, so that the deformable member 22 remains in the second stable state.

그리고 사용자가 다시 원래 상태로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명령을 부여하면, 패널 구동부에서 제2 부분(244)에 열 또는 전기 에너지를 제공한다. 그러면 형상 기억 합금으로 구성된 제2 부분(244)의 연결 길이가 짧아지게 되면서 제2 부분(244)이 변형 부재(22)의 좌우 단부를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복수의 제2 부분(244)은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함께 연결되어 있으므로 함께 연결 길이가 짧아지면서 변형 부재(22)에 전체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면, 도 4의 (a) 및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냅 스루 현상에 의하여 변형 부재(22)가 제1 안정 상태로 전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곡면 상태를 가지게 된다. 시간이 지나면서 제2 부분(244)의 온도가 점진적으로 떨어지면 연결 길이가 다시 원래 상태로 길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점진적인 변화는 변형 부재(22)에 일정 이상의 구동력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변형 부재(22)가 제1 안정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When the user gives an instruction to change the shape to the original state again, it provides heat or electric energy to the second portion 244 at the panel driving portion. Then,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244 made of the shape memory alloy is shortened so that the second portion 244 pulls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deformable member 22. At this time, since the plurality of second portions 244 are connected together in series, parallel, or series-parallel, the coupling length is shortened together to provide the driving force to the deformation member 22 as a whole. Then, as shown in Figs. 4A and 5A, the deforming member 22 is switched to the first stable state by the snap-through phenomenon, and the display module 10 has a curved surface state . If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portion 244 gradually drops over time, the connection length becomes longer again to the original state. However, such a gradual change does not provide the deformable member 22 with a driving force equal to or greater than a certain level, so that the deformable member 22 remains in the first stable stat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시청자의 만족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을 변화할 수 있다. 일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가장자리가 앞으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좌우 방향에서 일정한 곡률 반경(R)을 가지도록 휘는 곡면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2)까지의 거리가 중앙 부분과 측면 부분에서 차이를 가지지 않거나 차이가 있더라도 아주 미세한 수준이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곡면 상태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시사, 교양 프로그램 같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평면 상태를 가지도록 하여 시청자의 다양한 요구를 모두 만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can be changed so a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viewers. For example, the display module 10 may be curv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display module 10 project forward so that the display module 10 has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n, the distance from the user's eyes to the display panel 12 is very fine even if there is no difference or difference in the center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Accordingly, the immersion feeling of the user can be improved. Further, when the curved surface state is not requir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urrent affairs program or a cultured program), the display module 10 may have a planar state to satisfy various demands of the viewer.

본 실시예에서는 가변 부재(20)가 다중 안정 소재를 포함하는 변형 부재(22)와 상태 전화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환 구동 부재(24)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 변화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is easily changed by using the deformable member 22 including the multi-stable material and the diverting drive member 24 providing the driving force for the state phone in the deformable member 20 .

변형 부재(22)가 다중 안정 소재를 포함하여 별도의 스토퍼 부재, 고정 부재 등의 구성을 구비하지 않아도 각 안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전환 구동 부재(24)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변형 부재(22)의 다른 면에 위치하는 제1 부분(242)과 제2 부분(244)을 포함하여, 변형 부재(22)의 안정 상태를 쉽게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전환 구동 부재(24)로 형상 기억 합금을 사용하여 소음 없이 안정 상태를 쉽게 전환할 수 있다. The stabilized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even if the deformable member 22 does not have the constitution of a separate stopper member, fixing member, or the like including the multistable material. And a first portion 242 and a second portion 244 which are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each other and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deformable member 22, You can easily switch states. At this time, the shape memory alloy can be used as the switching drive member 24 to easily switch the stable state without noise.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or modified in other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100: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모듈
20: 가변 부재
22: 변형 부재
24: 전환 구동 부재
26: 연결 부재
100: display device
10: Display module
20: variable member
22:
24:
26:

Claims (20)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부재는, 다중 안정(multi-stable) 소재를 포함하는 변형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module; And
And a deformable member for changing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Lt; / RTI >
Wherein the deformable member comprises a deformable member comprising a multi-stabl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재가 쌍안정(bi-stable) 소재를 포함하여, 스냅 스루(snap through)에 의하여 전환되는 제1 안정 상태와 제2 안정 상태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formable member includes a bi-stable material and has a first stable state and a second stable state that are switched by snap throug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쌍안정 복합 소재는, 중심층과, 상기 중심 소재의 일면에 위치하며 섬유가 일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복합 소재를 포함하는 제1 층과, 상기 중심층의 다른 일면에 위치하며 섬유가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제2 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istable composite material includes a core layer, a first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enter core material and including a composite material in which the fibers are aligned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lay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re layer, And a second layer arranged side by sid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재가 상기 제1 안정 상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평면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변형 부재가 상기 제2 안정 상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곡면 상태를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splay module maintains a flat state when the deformable member is in the first stable state,
And the display module maintains a curved state when the deformable member is in the second stable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재는 상기 제1 또는 제2 안정 상태에서 하나의 기준축을 가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formable member is formed in a curved shape having one reference axis in the first or second stable st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재는, 상기 제1 안정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정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eformable member is convexly formed toward the display module in the first stable state and is concave toward the display module in the second stable st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재는, 상기 제1 안정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 방향에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정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향하여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eformable member is formed to be convex in a first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from the first stable state toward the display module and in a second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first direction toward the display module in the second stable state The display device compri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하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좌우 방향이며,
상기 제2 안정 상태일 때 상기 변형 부재의 좌우 단부가 상기 변형 부분의 중앙 부분보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변형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direction is a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the second direction is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left and right end portions of the deformable member protrude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deformed portion towards the display module when the second stable state is established, thereby deforming the display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재는 각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복수의 변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변형 부분은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다른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formable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deformed portions each extending along one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Wherein the plurality of deformed portions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crossing the one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형 부분을 상기 다른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deformed portions in the other dir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서로 평행한 제1 및 제2 가장자리에 각기 대응하는 제1 및 제2 연결 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앙 부분에 대응하는 제3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first and second edges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display module and a third connecting member corresponding to a central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 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third connection member and the display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변형 부재의 안정 상태의 전환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환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witching drive member connected to the deformable member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switching the stable state of the deformable memb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구동 부재의 양측 단부가 상기 변형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전환 구동 부재의 상기 양측 단부 사이의 연결 길이가 변화하여 상기 변형 부재의 안정 상태를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Both end portions of the switching and driving member are fixed to the deformable member,
And the connection length between the both side ends of the switching and driving member changes to switch the stable state of the deformable memb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구동 부재는 형상 기억 합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witching drive member includes a shape memory alloy.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구동 부재는 열 에너지 또는 전기 에너지의 공급에 의하여 상기 연결 길이가 변화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witching drive member changes the connection length by supply of thermal energy or electric energ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구동 부재는, 상기 변형 부재의 제1 면 쪽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면과 반대되는 상기 변형 부재의 제2 면 쪽에 연결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witching drive member includes a first portion positioned on a first surface side of the deformable member and a second portion connected to a second surface side of the deformable member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Wherei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re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재의 상기 제1 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한 면이고,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부분의 양측 단부가 상기 변형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2 부분의 양측 단부가 상기 변형 부재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first surface of the deformable member is a surface adjacent to the display module,
Wherein the first portion is formed along a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both side ends of the first portion are fixed to the deformable member,
Wherein the second portion is formed along a left-right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and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portion are fixed to the deformable memb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재가 스냅 스루에 의하여 전환되는 제1 안정 상태와 제2 안정 상태를 가지고,
상기 변형 부재가 상기 제1 안정 상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평면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변형 부재가 상기 제2 안정 상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곡면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 안정 상태에서 상기 제2 안정 상태로 전환할 때 상기 제1 부분의 연결 길이를 변화시키고, 상기 제2 안정 상태에서 상기 제1 안정 상태로 전환할 때 상기 제2 부분의 연결 길이를 변화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said deformable member has a first stable state and a second stable state, which are switched by a snap-through,
Wherein the display module maintains a flat state when the deformable member is in the first stable state and the display module maintains a curved state when the deformable member is in the second stable state,
Changes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first portion when switching from the first stable state to the second stable state and changes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when switching from the second stable state to the first stable state,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이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부분이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부분이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부분이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a plurality of the first portions ar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first portions are connected in series, parallel or series-parallel,
Wherein a plurality of the second portions ar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ortions are connected in series, parallel or series-parallel.
KR1020130039976A 2013-04-11 2013-04-11 Display apparatus KR201401229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976A KR20140122917A (en) 2013-04-11 2013-04-11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976A KR20140122917A (en) 2013-04-11 2013-04-11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917A true KR20140122917A (en) 2014-10-21

Family

ID=51993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976A KR20140122917A (en) 2013-04-11 2013-04-11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291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5347B2 (en) Display apparatus
KR101989989B1 (en) Display apparatus
US9516775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curvature changing member
KR102046927B1 (en) Display apparatus
CN107644614B (en) A kind of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9282667B2 (en) Display apparatus
RU2627936C2 (en) Display
KR101319543B1 (en) Curved dispaly apparatus and multi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1341439A (en) Liquid crystal display unit
US10564457B2 (en) Back co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GB2541609A (en) Curvature-adjustable back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ame
US9280010B2 (en) Curvature-adjustable backplan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ame
KR102090642B1 (en) Display apparatus and rear cover used for the same
KR102058970B1 (en) Display apparatus
KR20140122917A (en) Display apparatus
KR20140117182A (en) Display apparatus
KR102048360B1 (en) Display apparatus and variable member used for the same
KR102104444B1 (en)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135094B1 (en) Display apparatus
KR102135087B1 (en)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3539115A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40147562A (en) Display apparatus
KR20060124739A (en) Elongated display fibers and display mad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