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444B1 -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444B1
KR102104444B1 KR1020130008153A KR20130008153A KR102104444B1 KR 102104444 B1 KR102104444 B1 KR 102104444B1 KR 1020130008153 A KR1020130008153 A KR 1020130008153A KR 20130008153 A KR20130008153 A KR 20130008153A KR 102104444 B1 KR102104444 B1 KR 102104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rear cover
divided
display modu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1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95316A (en
Inventor
서민지
김준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8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444B1/en
Priority to US14/156,185 priority patent/US9854693B2/en
Priority to EP14000196.7A priority patent/EP2759903B1/en
Priority to CN201610626805.6A priority patent/CN106055040B/en
Priority to CN201410035467.XA priority patent/CN103971601B/en
Publication of KR20140095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3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4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위치하며, 분할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을 포함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한다.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odule in which an image is implemented; A variable member that changes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And a rear cover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partitioned by the divided portion.

Description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Rear co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커버하기 적합하도록 설계된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cove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relates to a rear cover designed to cover a display modul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가 있다. Various forms are used as display devices for realizing images. For example, there are various display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plasma display panel,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분야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각 사용 분야에서 다양한 특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단순히 화상을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특성뿐만 아니라 입체감, 몰입감 등을 고려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다양한 형태로 개선하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As the field of use of the display device gradually expands, various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in each field of use, and there are increasing demands considering not only characteristics related to displaying images but also three-dimensional effect and immersion. In order to satisfy these various demands, research into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in various forms is continuing.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선 구조에 대응하여 형상이 쉽게 변화될 수 있는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rear cover and the same that can be easily chang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improved structure of the display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위치하며, 분할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을 포함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한다.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odule in which an image is implemented; A variable member that changes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And a rear cover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partitioned by the divided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면 커버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구성하는 후면 커버에 있어서, 분할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을 포함한다. The rear co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divided by a divided portion in a rear cover constituting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본 실시예에서는 후면 커버가 분할부에 의하여 구획된 복수의 분할 영역을 구비하므로 작은 힘에 의해서도 디스플레이 모듈과 일체화되어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원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균일하게 변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rear cover includes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partitioned by the divided portion, the shape can be changed by being integrated with the display module even with a small force. Accordingly, power consumption for changing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or the display device can be minimized, and it is possible to uniformly deform to have a desired shap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V-V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VI-V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후면 커버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후면 커버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일 변형예에 따른 후면 커버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는 도 9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후면 커버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후면 커버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면 커버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B-B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taken along line IV-IV.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2.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2.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chang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rear cover used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back cover used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rear cove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FIG. 9.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rear cover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FIG. 9.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back cover used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rear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4.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4.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in order to clearly and brief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on of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is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and the area are enlarged or reduced in order to make the description more clear. The thickness and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when a part is “included” in another part of the specification, the other part is not excluded and other parts may be further included,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above"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just above" but also another part in the middle. When a part such as a layer, a film, a region, or a plate is said to be "directly above" another part, it means that no other part is located in the midd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20)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 커버(30)을 포함한다. 이때, 후면 커버(30)는 분할부(32)에 의하여 구획되는 복수 개의 분할 영역(24)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가변 부재(2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이 변화될 때 후면 커버(30)의 형상이 쉽게 변화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1 to 3,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module 10 in which an image is implemented, a variable member 20 for changing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and a display It includes a rear cover 30 located on the rear of the module 10. At this time, the rear cover 30 includes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24 divided by the divided portion 32. Accordingly, when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is changed by the variable member 20, the shape of the rear cover 30 can be easily changed. This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실질적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14)와, 지지 부재(14)에 고정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도시하지 않음)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부(16)를 포함한다. The display module 10 includes a display panel 12 that substantially implements an image, a support member 14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2 to support the display panel 12, and a support member 14 It includes a panel driving unit (not shown) that is fixed to the display panel 12 and provides a signal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12, and a first frame unit 16 positioned at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display module 10.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은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을 가지며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가져 가변 부재(20)에 의하여 형상이 변화할 수 있는 패널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panel 12 is a panel having various structures and methods capable of realizing an image, and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so that the shape can be changed by the variable member 20.

일례로,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라 함은 형광 또는 인광 유기물 박막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자와 정공이 유기물 박막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밝고 선명한 화질을 가지고 시야각에 의한 제한이 없으며 전력 소모가 적은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다. 특히, 유기물 박막을 적층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한 특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을 가지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적용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display panel 12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s a self-emissive display panel using a principle in which light is generated while electrons and holes are combined in an organic thin film by flowing an electric current through a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organic thin fil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has various advantages such as a bright and clear picture quality, no limitation due to viewing angle, and low power consumption. In particular, since it can be manufactured by laminating an organic thin film, it has excellent flexible properti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display panels 12 having various structures and methods may be applied.

지지 부재(14)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을 지지한다. 또한 지지 부재(14)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을 구동하며 지지 부재(14)의 후면에 고정되는 패널 구동부 및 가변 부재(20)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14)는 디스플레이 패널(12), 패널 구동부 및 가변 부재(20)가 지지되고 고정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이 변화할 때는 형상이 변화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특성, 탄성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열적 스트레스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 부재(14)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유사한 수준의 열팽창 계수를 가질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14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panel 12 to support the display panel 12. In addition, a panel driving unit and a variable member 20 that drive the display panel 12 and ar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4 may b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4. Accordingly, the support member 14 has a strength capable of being supported and fixed by the display panel 12, the panel driver, and the variable member 20, and the shape may change when the shape of the display panel 12 changes. So it can have flexible properties, elasticity, and the like. In addition, to prevent thermal stress or the like from occurring, the support member 14 may have a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similar to that of the display panel 12.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14)는 강화 플라스틱 등의 복합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소재라 함은 두 종류 이상의 물질을 인위적으로 결합하여 우수한 특성을 가지도록 한 재료이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14)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 등의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플라스틱에 의하여 가볍고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면서도, 다양한 섬유 형태의 보강재에 의하여 높은 강도, 탄성,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14)는 단일의 복합 소재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우수한 강도를 위하여 복수 개의 복합 소재층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14 may include a composite material such as reinforced plastic. A composite material is a material that artificially combines two or more types of materials to have excellent properties.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14 may include reinforced plastics such as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and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 Then, while having light and flexible characteristics by plastic, it can have high strength, elasticity, and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by reinforcing materials of various fiber types. The support member 14 may be composed of a single composite material layer, or a plurality of composite material layers may be stacked for excellent strength.

지지 부재(14)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후면에 접착제(일례로,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지지 부재(14)가 고정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14 may b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2 using an adhesive (eg, double-sided tape) or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panel 12 and the support member 14 may be fixed by various other methods.

지지 부재(14)의 후면에 고정되는 패널 구동부는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다양한 배선, 소자 등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이러한 패널 구동부는 브라켓(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하여 지지 부재(14)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일례로, 브라켓은 중앙 부분에서만 지지 부재(14)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을 변화시킬 때 필요한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널 구동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panel driver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4 includes a circuit board (not shown) including various wires, elements, and the like that provide signals for driving the panel. The panel driving unit may be fixed to the support member 14 by a bracket (not shown) or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bracket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14 only in the central portion to change the shape of the display panel 12 The required force can be minimiz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a part or all of the panel driving unit located outside the display module 10 are possible.

이때, 본 실시예의 패널 구동부는 가변 부재(20)를 구동하기 위한 배선,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At this time, the panel driving unit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wiring, elements, etc. for driving the variable member 20,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디스플레이 패널(12) 및 지지 부재(14)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1 프레임부(16)이 위치한다. 제1 프레임부(16)은 디스플레이 패널(12) 및 지지 부재(14)를 고정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2) 및 지지 부재(14)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1 프레임부(16)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후면을 덮는 후면 커버(30) 등이 고정될 수 있다. The first frame portion 16 is positioned along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display panel 12 and the support member 14. The first frame portion 16 serves to fix the display panel 12 and the support member 14 and protect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display panel 12 and the support member 14. In addition, a rear cover 30 covering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2 may be fixed to the first frame portion 16.

좀더 구체적으로, 제1 프레임부(16)은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부(16a)와, 전면부(16a)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고정부(16b) 및 절곡 고정부(16c)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frame portion 16 includes a front portion 16a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2, a protruding fixing portion 16b and a bending fixing portion 16c protruding from the front portion 16a. It may include.

돌출 고정부(16b)는 전면부(16a)로부터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특히, 지지 부재(14))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절곡 고정부(16c)는 전면부(16a)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특히, 지지 부재(14))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과 평행하게 절곡될 수 있다. 이때, 돌출 고정부(16b)에는 제1 고정 부재(36)를 이용하여 후면 커버(30)가 고정되고, 절곡 고정부(16c)는 제2 고정 부재(144)에 의하여 지지 부재(14)에 고정된다. The protruding fixing portion 16b may extend from the front portion 16a and protrude to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10 (in particular, the supporting member 14). The bending fixing portion 16c may protrude from the front portion 16a to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10 (in particular, the support member 14) and bend in parallel with the display module 10. At this time, the rear cover 30 is fixed to the protruding fixing portion 16b using the first fixing member 36, and the bending fixing portion 16c is attached to the support member 14 by the second fixing member 144. Is fixed.

절곡 고정부(16c)는 다양한 구조, 방법에 의하여 지지 부재(14)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나사 결합을 이용한다. 즉, 절곡 고정부(16c)에 나사 구멍(140a)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지지 부재(40)에 나사 구멍(142a)이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 구멍(140a, 142a)에 나사로 구성된 제2 고정 부재(144)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제1 프레임부(16)와 지지 부재(14)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일례로, 끼움 결합, 접착 물질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프레임부(16)와 후면 커버(30)의 고정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bending fixing portion 16c may be fixed to the supporting member 14 by various structures and methods. In this embodiment, screw coupling is used as an example. That is, a screw hole 140a is formed in the bending fixing portion 16c, and a screw hole 142a is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40 correspondingly. The first frame portion 16 and the support member 14 can be fixed by fastening the second fixing member 144 made of screws to the screw holes 140a and 142a.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of course, various methods (eg, fitting, bonding materials, etc.) may be applied. The fixing of the first frame portion 16 and the rear cover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프레임부(16)이 전면부(16a)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가장자리를 좀더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면부(16a)를 구비하지 않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전체 면에 화상이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그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frame portion 16 includes the front portion 16a to more stably fix the edge of the display panel 12 to impart aesthetic sens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ront panel 16a may not be provided so that an image may be implemen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2.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그리고 제1 프레임부(16)에 후면 커버(30)가 고정되는 돌출 고정부(16b) 및 지지 부재(14)와 고정되는 절곡 고정부(16c)를 구비하여, 후면 커버(30) 및 지지 부재(14)를 함께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이 변화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12), 지지 부재(14) 및 후면 커버(30)가 일체감을 가지면서 함께 변형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힘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필요한 전력 소모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cover portion 16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fixing portion 16b to which the rear cover 30 is fixed and a bending fixing portion 16c to be fixed to the supporting member 14, so that the rear cover 30 and the supporting member are provided. (14) to be fixed together. Then, when the shape of the display panel 12 changes, the display panel 12, the support member 14, and the back cover 30 may be deformed together with a sense of unity. Then, the force for changing the shape of the display panel 12 can be reduced, and accordingly, power consumption and the like required can be minimized.

이때, 돌출 고정부(16b)는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의 돌출 고정 부분을 포함한다. 그리고 절곡 고정부(16c)도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의 절곡 고정 부분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돌출 고정 부분 및 복수의 절곡 고정 부분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힘을 줄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힘을 가할 수 있다. 즉, 돌출 고정부(16b) 및 절곡 고정부(16c)가 각기 전체적으로 길게 이어지면 일종의 보강재로 기능하게 되므로 이들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데 좀더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되고 균일하게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 고정부(16b) 및 절곡 고정부(16c)가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분할하여 각각의 돌출 고정 부분 및 절곡 고정 부분의 형상만을 변화시키면 되므로 필요한 힘을 최소화하고 균일하게 변형이 될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projecting fixing portion 16b includes a plurality of projecting fix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bending fixing portion 16c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bending fix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including a plurality of projecting fixing portions and a plurality of bending fixing portions, a force required to change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can be reduced, and a uniform force can be applied to the display module 10 as a whole. That is, when the protruding fixing portion 16b and the bending fixing portion 16c each extend long as a whole, they function as a kind of reinforcing material, so more force is required to change their shape and may not be uniformly deformed.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rotrusion fixing portion 16b and the bending fixing portion 16c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t regular intervals, only the shape of each protrusion fixing portion and the bending fixing portion needs to be changed, thereby minimizing the required force and uniformly deforming Should be able to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에서 돌출 고정 부분와 절곡 고정 부분을 하나씩 교번하여 형성하므로, 후면 커버(30) 및 지지 부재(14)를 함께 고정할 때 균형을 이루어 한쪽으로 더 많은 하중이 가해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protrusion fixing portion and the bending fixing portion are alternately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display module 10, when the rear cover 30 and the supporting member 14 are fixed together, more load is applied to one side by balancing. It can prevent problems such as losing.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 고정부(16b) 및 절곡 고정부(16c)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 프레임부(16)가 아닌 다른 부분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후면 커버(30)와의 고정 구조 및 지지 부재(14)와의 고정 구조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protruding fixing portion 16b and the bending fixing portion 16c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or may be located at other portions than the first frame portion 16. That is, the fixed structure with the back cover 30 and the fixed structure with the support member 14 can be variously modified.

지지 부재(14)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을 변형시킬 수 있는 가변 부재(20)가 위치한다. 가변 부재(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을 변화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 및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A variable member 20 that can deform the display panel 12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4. The variable member 20 may be applied to various configurations and methods that can change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본 실시예에서 가변 부재(20)는, 변형부(22)와, 변형부(22)를 지지 부재(14)에 고정하는 고정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24)의 양쪽 단부에는 각기 스토퍼 부재(26)가 위치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variable member 20 may include a deformed portion 22 and a fixing portion 24 that fixes the deformed portion 22 to the support member 14. And the stopper member 26 may b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24, respectively.

변형부(22)는, 온도 변화, 전기적 신호 등에 의하여 길이, 형상 등이 변화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변형부(22)가 형상 기억 합금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는 와이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형상 기억 합금은 오스테나이트-마르텐사이트 변태를 하는 금속에서 나타나는 형상 기억 및 초소성 성질을 이용하는 합금으로, 온도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지게 된다. 변형부(22)는 패널 구동부에서 가변 부재(20)를 구동하는 소자 등에 연결되어 온도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그 길이가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부(22)로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하면 구조가 간단하여 적용이 쉬우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변형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Deformation unit 22, a variety of structures and methods that can be changed in length, shape, etc. due to temperature changes, electrical signals, and the like can be applied. As an example, the deformable portion 22 may include a shape memory alloy and may have a wire shape extending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display module 10. The shape memory alloy is an alloy that uses shape memory and superplastic properties that appear in austenite-martensitic transformation metals, and has different shapes depending on temperature. The deformable portion 22 is connected to an element driving the variable member 20 in the panel driving portion, the temperature is adjusted, and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display panel 12 may be changed by changing its length. When the shape memory alloy is used as the deformable portion 22,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apply, and noise is not generated when the display module 10 is deformed.

변형부(22)가 고정부(24)에 고정되고, 변형부(22)가 고정된 고정부(24)가 지지 부재(14)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24)는 변형부(22)가 내부에 위치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24)는 변형부(22)를 지지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이 변화할 때 함께 형상이 변화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24)는 복합 소재, 일례로 강화 플라스틱(CFRP, GFRP 등)을 포함하는 층을 단일 또는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물질로 고정부(24)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deformable portion 22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24, and the deformable portion 22 is fixed to the fixed portion 24 may be fixed to the support member 14. The fixing part 24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deformed part 22 ext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while being located inside. The fixing part 24 may include a material capable of changing the shape together when the shape of the display panel 12 changes while supporting the deformation portion 22. Accordingly, the fixing part 24 may be provided with a single material or a plurality of layers including a composite material, for example, reinforced plastic (CFRP, GFRP, etc.).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of course, the fixing part 24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이때, 고정부(24)의 중앙 부분에 위치한 고정 부재(24a)가 일정 높이를 가져 고정부(24)와 지지 부재(14)는 중앙 부분과 다른 부분보다 큰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고정부(24)의 중앙 부분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으로 좀더 돌출된 라운드 형태를 가지도록 고정부(24)가 지지 부재(14) 상에 위치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xing member 24a locat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24 has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fixing portion 24 and the supporting member 14 may have a larger distance than the central portion and other portions. In one example, the fixing portion 24 may be positioned on the support member 14 such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24 has a more protruding round shape toward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10.

이와 같이 고정부(24)의 중앙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좀더 돌출된 라운드 형태로 위치하게 되면, 변형부(22)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을 변형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12)을 좀더 쉽게 변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가변 부재(2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양측 단부를 돌출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곡률 반경(R)을 가지는 곡면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고정부(24)를 중앙 부분에서 좀더 돌출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고정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좀더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24 is positioned in a more protruding round shape than the other portions, the display panel 12 is more easily deformed when the display panel 12 is deformed by the deforming portion 22. You can. That is,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both ends of the display panel 12 are protruded using the variable member 20 so that the display panel 12 becomes a curved surface having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ly, the fixing module 24 is fixed to the display module 10 so as to protrude more from the central portion, so that the display module 10 can be more easily deformed.

스토퍼 부재(26)는 변형부(22)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2)의 형상이 변화한 경우에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The stopper member 26 serves to fix the display panel 22 to maintain its state when the shape of the display panel 22 is changed by the deformed portion 22.

패널 구동부에 의하여 변형부(22)에 전류를 가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면 변형부(22)의 길이가 짤아지면서 변형부(22)의 양쪽 단부가 앞으로 휘어질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의 양쪽 단부가 앞으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좌우 방향에서 일정한 곡률 반경(R)을 가지면서 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2)까지의 거리가 중앙 부분과 측면 부분에서 차이를 가지지 않거나 차이가 있더라도 아주 미세한 수준이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할 수 있다. When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deformable portion 22 by the panel driver, both ends of the deformed portion 22 may bend forward while the length of the deformed portion 22 is cut. Then, both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display module 10 protrude forward, so that the display module 10 can bend while having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n, the distance from the user's eyes to the display panel 12 does not have a difference i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or even a very small level. Accordingly, the immersion of the user can be improved.

이와 같은 변형 상태에서 스토퍼 부재(26)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의 변형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패널(12)의 변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전류를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such a deformed state, the stopper member 26 may be used to secure the deformed state of the display panel 12. The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continuously supply current to maintain the deformed state of the display panel 12, power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2)를 다시 원래 상태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스토퍼 부재(26)의 상태를 원래 상태로 돌리거나 전류 공급을 제거하여 변형부(22)를 원래 길이로 되돌리면 디스플레이 패널(12)이 다시 평판 형상으로 변화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change the display panel 12 back to the original state, if the state of the stopper member 26 is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or the current supply is removed to return the deformed portion 22 to its original length, the display panel 12 is restored. It changes into a flat plate shape.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온도가 상승하면 변형부(22)가 길이가 줄어들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이 변화하도록 설정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변형부(22)가 온도가 상승할 때 변형부(22)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그 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가변 부재(20)가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변형부(22)를 이용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변형부(22)가 모터, 스프링 부재 등의 다양한 방식 및 구조를 이용한 것일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shape of the display panel 12 is changed while the length of the deformed portion 22 decreases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deformable portion 22 increases, the deformable portion 22 may be set to have a longer length, and various other deformable shapes are possible. In addition, although the variable member 20 is illustrated using the deformed portion 22 using a shape memory alloy, the deformed portion 22 may use various methods and structures such as a motor and a spring member.

그리고 고정부(24) 및 스토퍼 부재(26)의 구조 및 방식 또한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 부재(26)가 고정부(24)의 양쪽 단부에 하나씩 위치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스토퍼 부재(26)는 그 구조 및 방식에 따라 그 위치, 배열 등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In addition, various structures and methods of the fixing part 24 and the stopper member 26 may also be applied. In this embodiment, the stopper member 26 is illustrated as being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2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stopper member 26 may be variously modified in its position, arrangement, etc. according to its structure and method.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좌우 방향에서 일정한 곡률 반경(R)을 가지는 곡면을 가지도록 변형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도 곡면을 가지도록 변형하거나, 그 외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display panel 12 is modified to have a curved surface having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form to have a curved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o deform in various other shapes.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변 부재(20)가 지지 부재(14)의 후면에 위치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지지 부재(14)의 사이, 지지 부재(14)의 내부, 지지 부재(14)와 후면 커버(30)의 사이, 후면 커버(30)의 외부 등 다양한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힘을 제공하면 족하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variable member 20 is illustrated as being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display can be displayed at various locations, such as between the display panel 12 and the support member 14, inside the support member 14, between the support member 14 and the back cover 30, and outside the back cover 30. It is sufficient to provide a force for changing the shape of the panel 12.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는 후면 커버(30)가 위치한다. 후면 커버(30)는 패널 구동부 등의 구성이 위치할 공간을 제공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 패널 구동부 등을 외부 충격으로 보호한다. 또한, 후면 커버(30)는 패널 구동부 등을 덮어서 외부에서 내부 구성이 보이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을 향상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후면 커버(30)는 전체적으로 완곡한 곡면으로 이루어져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외관을 향상할 수 있다. The rear cover 30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module 10. The rear cover 30 protects the display module 10, the panel driver, and the like with external impact while providing a space in which a configuration such as a panel driver is located. In addition, the rear cover 30 covers the panel driving unit and the like to prevent the internal configuration from being seen from the outside and serves to improve the appearance. In one example, the rear cover 30 is made of a curved surface as a whole to sufficiently secure a space and improve appearance.

본 실시예에서 후면 커버(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이 변화할 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 변화를 방해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이 변화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보호하고 외관을 유지하도록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rear cover 30 has a structure capable of responding to a change in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when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changes. Accordingly, without disturbing the shape change of the display module 10, the display module 10 is protected and the appearance is maintained even when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is changed.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후면 커버(30)는 분할부(32)에 의한 구획되는 복수 개의 분할 영역(34)을 포함한다. 여기서, 분할부(32)라 함은 이웃한 분할 영역(34)을 완전하게 분할하여 이웃한 분할 영역(34)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경우뿐 아니라, 두께의 일부에 해당하는 부분만 제거하여 이웃한 분할 영역(34)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분할부(32)에 의하여 영역이 구획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이웃한 분할 영역(34)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IV-IV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참고로, 분할부(32)가 두께의 일부에 해당하는 부분에만 형성된 실시예에서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the rear cover 30 includes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34 divided by the divided portion 32. Here, the dividing part 32 completely divides the neighboring divided areas 34 so that the neighboring divided areas 3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nly removes portions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thickness. This includes the case where the adjacent divided regions 3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regions are divided by the divided portions 32. A case in which neighboring divided regions 3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taken along line IV-IV. For reference, 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dividing portion 32 is formed only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thickness,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2.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분할부(32)는 복수 개의 분할 영역(34)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분할 영역(34)이 서로 이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후면 커버(30)가 복수 개의 분할 영역(34)을 포함하게 되면 가변 부재(2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이 변화할 때 후면 커버(30)의 형상을 변화하는 힘을 줄일 수 있다. 즉, 후면 커버(30)가 분할부(32)를 구비하지 않아서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하나의 판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하나의 판의 형상을 전체적으로 변화하여야 하므로 큰 힘이 필요하다. 또한, 하나의 판을 기준으로 하므로 변위 또한 커지며 모든 부분에 균일하게 힘을 가하기도 어렵다. 반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후면 커버(30)가 복수 개의 분할 영역(34)을 포함하면 하나의 분할 영역(34)을 변형할 수 있는 정도의 상대적으로 작은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각 분할 영역(34)의 변위가 작으므로 형상 변화에 좀더 잘 대응할 수 있으며 균일한 형상 변화가 가능하다. 2 to 4, the dividing portion 32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to penetrate between the plurality of dividing regions 34 so that the dividing regions 3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ar cover 30 includes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34, when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is changed by the variable member 20, the force of changing the shape of the rear cover 30 is reduced. You can. That is, when the rear cover 30 is formed of one plate having a uniform thickness because it does not have a partition 32, a large force is required because the shape of one plate must be changed as a whole. In addition, since it is based on one plate, the displacement is also large,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a uniform force to all parts. On the other han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the rear cover 30 includes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34, it is possible to deform by applying a relatively small force such that it can deform one divided region 34. . In addition, since the displacement of each divided region 34 is small, it is possible to better cope with shape changes and uniform shape changes are possible.

일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좌우 방향에서 일정한 곡률 반경(R)을 가지는 곡면으로 변형되는 경우, 분할부(32)가 좌우 방향과 교차하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곡면으로 변형되는 경우에는 후면 커버(30)의 좌우 방향에서 굽힘력(bending force)가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분할부(32)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게 형성하여, 복수 개의 분할 영역(34)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에 의하여 굽힘력이 가해지는 분할 영역(34)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아져서 분할 영역(34)이 쉽게 변형될 수 있다. As an examp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module 10 is deformed into a curved surface having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R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dividing part 32 has a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left-right direction. You ca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module 10 is deformed to a curved surface, bending forces are appli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rear cover 30.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viding portions 32 are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dividing regions 34 ar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ly, the width of the divided region 34 to which the bending force is applied becomes relatively small, so that the divided region 34 can be easily deformed.

이때, 분할부(32)에 의하여 분할된 분할 영역(34)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이어질 수 있다. 그리고 분할 영역(34)은, 완만한 곡면을 이루며 외곽을 형성하는 본체부(34a)와, 본체부(34a)의 상하 방향에서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부(16)와의 고정을 위한 고정단(3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16)와 고정단(34b)은 제1 고정 부재(36)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할 영역(34)은 변형 방향과 교차하는 상하 방향의 양 단부에 형성된 고정단(34b)에 의하여 제1 프레임부(16)에 고정된다. 즉, 상하 방향의 양 단부는 고정하되 좌우 방향의 양 단부는 별도로 고정되지 않으므로, 좌우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게 쉽게 변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vided region 34 divided by the divided portion 32 may exten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divided region 34 is for fixing the main body portion 34a forming a smooth curved surface and forming an outline, and the first frame portions 16 located at both 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4a. It may include a fixed end (34b). The first frame portion 16 and the fixed end 34b may be fixed by the first fixing member 36. In this way, the divided region 34 is fixed to the first frame portion 16 by fixed ends 34b formed at both 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ntersect the deformation direction. That is, both 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ixed, but both 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not fixed separately, and thus can be easily deformed in response to a force appl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일례로,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고정단(34b)은 내측 프레임(16)의 돌출 고정부(16b)와 나사 결합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는, 고정단(34b)은 돌출 고정부(16b)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돌출 고정부(16b) 상에 위치할 수 있고, 돌출 고정부(16b)의 나사 구멍(160b)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 구멍(340b)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 고정부(16b)에 고정단(34b)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 고정 부재(36)(일례로, 나사)를 나사 구멍(160b, 340b)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단(34b)을 돌출 고정부(16b)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나사 결합 구조를 이용하면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분할 영역(34)을 내측 프레임(16)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together, the fixed end 34b may be fixed by a screw connection with the protruding fixing portion 16b of the inner frame 16. More specifically, the fixed end 34b is formed parallel to the protruding fixing portion 16b and can be positioned on the protruding fixing portion 16b, and corresponds to the screw hole 160b of the protruding fixing portion 16b. A screw hole 340b may be provided at the position. Accordingly, by fixing the first fixing member 36 (eg, a screw) to the screw holes 160b and 340b in a state where the fixing end 34b is positioned on the protruding fixing portion 16b, the fixing end 34b ) Can be fixed on the projecting fixing portion 16b. If such a screw coupling structure is used, the divided region 34 can be firmly fixed to the inner frame 16 by a simple method.

이때, 나사 구멍(160b, 340b)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에서 일정한 곡률 반경(R)을 가지는 곡면으로 변형되는 경우, 분할 영역(34)이 늘어나거나 및/또는 분할부(32)의 간격이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나사 구멍(160b, 340b)을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분할 영역(34) 및/또는 분할부(32)의 폭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screw holes 160b and 340b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display module 10. In the case where the display module 10 is deformed into a curved surface having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divided region 34 is stretched and / or the gap between the divided portions 32 is increased. Accordingly, the screw holes 160b and 340b ar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display module 10 to flexibly cope with changes in the width of the divided region 34 and / or the divided portion 32.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을 위한 돌출 고정부(16b), 고정단(34b), 제1 고정 부재(36)의 형상, 구조 및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 끼움 결합, 접착제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Of course, the shape, structure, and method of the protruding fixing portion 16b, the fixing end 34b, and the first fixing member 36 for fixing may be variously modified. As an example, various methods such as fitting and adhesive may be used.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분할 영역(34)이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여기서 동일한 폭이라 함은 물리적으로 완벽하게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공정 오차 등을 고려하여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폭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동일한 폭을 가지는 복수의 분할 영역(34)을 사용하게 되면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된 복수 개의 분할 영역(34)을 사용하여 후면 커버(30)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폭의 분할 영역(34)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34 have the same width. Here, the same width includes not only physically perfectly identical cases, but also widths that can be determined to be the same in consideration of process errors. When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34 having the same width are used, the rear cover 30 can be formed using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34 formed in the same process,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partition regions 34 having different widths.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영역(34)의 본체부(34a)는, 후면 커버(30)의 외곽면을 구성하는 외곽부(341a)와, 외곽부(341a)의 이웃한 분할 영역(34) 쪽으로 돌출되어 이웃한 분할 영역(34)과 중첩되는 중첩부(341b)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후면 커버(30)의 형상이 변화할 때 분할부(32)의 사이가 벌어지는 경우에도 눈으로 느끼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4, the main body portion 34a of the divided region 34 includes an outer portion 341a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cover 30 and a neighboring divided region of the outer portion 341a. And an overlapping portion 341b protruding toward 34 and overlapping with the neighboring divided region 34. Accordingly, when the shape of the rear cover 30 changes, even if the gaps between the dividing parts 32 are widened,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noticed by the eyes.

중첩부(341b)는 분할 영역(34)의 일측에서 이웃한 분할 영역(34)을 향하여 돌출되어, 분할 영역(34)의 외곽부(341a)의 외곽면과 중첩부(341b)의 외곽면 사이에서 이웃한 분할 영역(34)의 두께에 해당하는 단차가 구비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첩부(341b)가 본체부(34a)와 동일 또는 유사한 두께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의하여 본체부(34a)의 일부에 힘이 집중되어 변형이 뷸균일하게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곽부(341a) 및 중첩부(341b)가 다양한 형상,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overlap portion 341b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divided region 34 toward the adjacent divided region 34,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341a of the divided region 34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verlapped portion 341b. In step to be provided with a step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neighboring divided region (34). In this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e overlap portion 341b has the same or similar thickness to the body portion 34a. As a result, the force is concentrated on a part of the body portion 34a to prevent deformation from occurring uneven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outer portion 341a and the overlapping portion 341b may have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이러한 후면 커버(30)의 분할 영역(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을 구성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가볍고 형상 변형이 쉬운 물질을 포함하여야 한다. 분할 영역(34)은 다양한 금속 또는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으로는 가볍고 형상 변형에 적합한 알루미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수지로는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divided area 34 of the rear cover 30 should include a material that is light and easy to deform while having a strength sufficient to constitute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0. The divided region 34 may include various metals or resins. As a metal, aluminum or the like suitable for light and shape deformation may be used, and a rubber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resin.

다시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1 프레임부(16)와 분할 영역(34)의 고정단(34b)을 덮는 커버링 부재(40)가 위치할 수 있다. 커버링 부재(40)는 상면 또는 하면을 구성하는 제1 부분(40a)과, 제1 부분(40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부분(4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링 부재(40)에 끼움 돌출부(42)가 형성되고 후면 커버(34b)에 끼움 홈(340a)가 구비되어 커버링 부재(40)를 후면 커버(34b)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외에 접착제 등을 더 구비하여 커버링 부재(40)를 좀더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프레임부(16)와 분할 영역(34)의 연결 부분을 효과적으로 덮어서 이 부분이 노출되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외관을 향상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5, a covering member 40 covering the fixed end 34b of the first frame portion 16 and the divided region 34 may be located. The covering member 40 may include a first portion 40a constituting an upper or lower surface, and a second portion 40b extending from the first portion 40a. At this time, the fitting protrusion 42 is formed in the covering member 40 and the fitting groove 340a is provided in the rear cover 34b to stably fix the covering member 40 on the rear cover 34b.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secure the covering member 40 by providing an adhesive or the like. Accordingly,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frame portion 16 and the divided region 34 is effectively covered, thereby preventing problems that may occur due to exposure of the portion and improving appearance.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에 디스플레이 모듈(20) 및 후면 커버(30)를 덮는 제2 프레임부(50)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5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면부터 후면 커버(30)의 외면까지 연장되는 외곽부(52)와, 외곽부(52)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54)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면에 위치한 상기 외곽부(52)의 전면 부분(52a) 사이에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위치한다. 돌출부(54)와 후면 커버(30)의 외면에 위치한 외곽부(52)의 후면 부분(52b) 사이에 후면 커버(30)가 위치한다. 또는 외곽부(52)의 후면 부분(52b)에 형성된 홈(522)에 후면 커버(30)의 측면 일부가 끼워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 second frame unit 50 covering the display module 20 and the rear cover 30 may b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display device 100. The second frame portion 50 may include an outer portion 52 exten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cover 30 and a protruding portion 54 protruding from the outer portion 52. hav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the display module 10 is position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54 and the front portion 52a of the outer portion 52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display module 10. The rear cover 30 is position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54 and the rear portion 52b of the outer portion 52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cover 30. Alternatively,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cover 30 may be fitted into the groove 522 formed in the rear portion 52b of the outer portion 52.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돌출부(54)는 제3 고정 부재(56)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특히, 지지 부재(14))에 고정된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 결합에 의하여 제1 커버링 부재(50)와 지지 부재(14)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54)에 나사 구멍(540a)이 형성되고, 지지 부재(14)에 이에 대응하는 나사 구멍(142b)가 형성된다. 돌출부(54)의 나사 구멍(540a)과 지지 부재(14)의 나사 구멍(142b)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나사로 구성된 제3 고정 부재(56)를 나사 구멍(540a, 142b)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제2 프레임부(50)와 지지 부재(14)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사 결합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끼움 결합, 접착 물질 등을 이용한 다른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54 is fixed to the display module 10 (in particular, the support member 14) by the third fixing member 56.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vering member 50 and the support member 14 are fixed by screwing. Specifically, a screw hole 540a is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54, and a screw hole 142b corresponding thereto is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14. By fastening the third fixing member 56 made of screws to the screw holes 540a, 142b in a state where the screw hole 540a of the protrusion 54 and the screw hole 142b of the support member 14 are matched, The second frame portion 50 and the support member 14 can be fixed. By using the screw connec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fixing by a simple proces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other methods using a fitting bond, an adhesive material, or the like may be applied.

이와 같이 제2 프레임부(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측면에서 복수 개의 구성들을 일체화하여 고정하고, 내부 구성이 불필요하게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관을 향상하는 역할을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frame portion 50 integrally fixes a plurality of components on the side of the display device 10, prevents the internal components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serves to improve the appearance.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상 변화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7은 도 3의 VII-VII 선에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에서는 명확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스토퍼 부재(도 3의 참조부호 26, 이하 동일)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The shape change of the display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chang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in FIG. 3. In FIG. 7, the illustration of the stopper member (reference numeral 26 in FIG. 3, hereinafter the same) is omitted for clarity and simplicity.

도 7의 (a)에서와 같이, 다른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평판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때, 가변 부재(20)는 중앙 부분이 고정 부재(24a)에 의하여 고정되며, 좌우 가장자리보다 중앙 부분에서 후면을 향해 좀더 돌출된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 변형이 좀더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7A, the display module 10 has a flat plate shape in the absence of other manipulations. At this time, the variable member 20, the central portion is fixed by the fixing member (24a), may be located in a more protruding form toward the rear from the center portion than the left and right edges. According to this,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can be made more easily.

사용자가 형상을 변화하기 위한 명령을 부여하면, 패널 구동부 중에서 가변 부재(20)를 구동하는 소자에 의하여 가변 부재(20)가 작동한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가변 부재(20)의 변형부(22)에 전류를 흘려 변형부(22)의 온도를 상승시키면, 형상 기억 합금으로 구성된 변형부(22)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가장자리 부분을 돌출시키면서 중앙 부분을 후퇴시키는 힘을 부여한다. 그러면, 도 7의 (b)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좌우 방향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곡률 반경(R)을 가지는 곡면으로 변형되어 사용자의 몰입감을 좀더 향상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고정된 후면 커버(30)도 이와 함께 곡면을 가지도록 변형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원하는 형상으로 변형되면 스토퍼 부재(26)를 이용하여 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user gives a command for changing the shape, the variable member 20 is operated by an element driving the variable member 20 among the panel driving units.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deformed portion 22 of the variable member 20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deformed portion 22, the length of the deformed portion 22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decreases and the display module While protruding the left and right edge portions of (10), the force for retracting the central portion is applied. Then, as shown in (b) of FIG. 7, the display module 10 is transformed into a curved surface having a uniform radius of curvature 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reby improving the user's immersion. At this time, the rear cover 30 fixed to the display module 10 is also modified to have a curved surface.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deformed to a desired shape, the stopper member 26 may be used to maintain this state.

그리고 사용자가 다시 원래 상태로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명령을 부여하면,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26)의 잠금을 풀거나 변형부(22)로의 전류 공급을 제한하여 변형부(22)가 최초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And when the user gives a command to change the shape back to the original state, as shown in Fig. 7 (a), by unlocking the stopper member 26 or limiting the current supply to the deformed portion 22 The deformable portion 22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후면 커버(30)가 분할부(32)에 의하여 구획된 복수의 분할 영역(34)을 구비하므로 작은 힘에 의해서도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일체화되어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원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균일하게 변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rear cover 30 includes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34 partitioned by the divided portion 32, the shape is changed by being integrated with the display module 10 even with a small force. You can. Accordingly, power consumption for changing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or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minimized, and it is possible to uniformly deform to have a desired shap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후면 커버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nd a rear cover included there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part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t par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후면 커버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rear cover used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후면 커버(301)는, 복수의 분할 영역(34)을 분할하는 분할부(32)에 대응하는 영역에 연결부(38)가 형성된다. 즉, 분할부(32)에 의하여 분할된 분할 영역(34)을 연결부(38)에 의하여 연결하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연결부(38)는 분할 영역(34)과 다른 물질, 일례로, 탄성, 플렉서블한 특성 등이 더 우수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복수의 분할 영역(34)이 연결되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이 변형될 때 후면 커버(301)도 작은 힘에 의하여 균일하게 변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in the rear cover 30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connection portion 38 is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ivision portion 32 that divides the plurality of division regions 34. That is, the division region 34 divided by the division portion 3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38. The connecting portion 38 may be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divided region 34, for example, a material having better elasticity, flexible properties, and the like. Then, even when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34 are connected, the rear cover 301 may be uniformly deformed by a small force when the shape of the display device is deformed.

일례로, 연결부(38)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일례로, 실리콘 수지, 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부(38)가 분할 영역(34)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one example, the connecting portion 38 may include a resin, for example, silicone resin, rubber, and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nection portion 38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as the divided region 34.

이와 같이 복수 개로 분할된 분할 영역(34)을 연결부(38)로 연결하게 되면 복수 개의 분할 영역(34)을 포함하는 후면 커버(301)가 단일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후면 커버(301)는 이종 사출 금형 등에 의하여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면 커버(301)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구조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고정하는 구조 또한 단순화할 수 있다. When the divided regions 34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38, the rear cover 301 including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34 may be formed in a single structure. This type of back cover 301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a heterogeneous injection mold or the like. Accordingl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rear cover 301 can be simplified. In addition, a structure having a single structure and fixed to the display module 10 may also be simplified.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후면 커버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일 변형예에 따른 후면 커버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는 도 9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후면 커버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back cover used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rear cove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FIG. 9,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rear cover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FIG. 9.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후면 커버(303)는 분할부(32a)가 후면 커버(303)의 두께의 일부만이 절개 또는 제거되는 형태를 가진다. 즉, 분할부(32a)가 일종의 홈, 오목부, 그루브(groove), 트렌치 등의 형태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9, the rear cover 303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s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thickness of the rear cover 303 is cut or removed by the dividing portion 32a. That is, the dividing portion 32a is formed in a form of a groove, a concave portion, a groove, a trench, or the like.

이에 의하여 복수 개의 분할 영역(34)은 서로 연결되면서 서로 분할부(32a)에 의하여 구획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 경우에도 분할부(32a)에 의하여 후면 커버(303)의 일부를 일정 패턴으로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후면 커버(303)를 변형하는 데 필요한 힘을 줄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곡면 형상으로 구부리는 경우에는 분할부(32a)가 후면 커버(303)의 외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좀더 작은 힘으로도 쉽게 변형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3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ve a shape divided by the divided portions 32a. Eve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orce required to deform the rear cover 303 by removing a part of the rear cover 303 in a predetermined pattern by the dividing portion 32a. At this time, when the display module 10 is bent in a curved shape, the dividing portion 32a may be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cover 303. Then, it can be easily transformed with a smaller force.

본 실시예에서는 분할 영역(34)이 분할부(32a)에 의하여 구획될 뿐 서로 완전하게 분할된 것이 아니므로 분할 영역(34)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도 9에서는 분할부(32a)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면 상대적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이 많이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형상 변화가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경우에도 피로 파괴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부(32a)가 삼각형의 단면을 가져서 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변형을 위한 힘을 좀더 줄일 수 있다. 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부(32a)가 라운드진 형상을 가져서 응력 집중을 좀더 완화할 수도 있다. 즉, 분할부(32a)의 형상은 다양한 다각형, 그리고 반원형, 반타원형, U자 형과 같은 다양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divided regions 34 are partitioned by the divided portion 32a and are not completely divided from each other, the divided regions 3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FIG. 9, it is illustrated that the dividing portion 32a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n,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state without a large portion of relatively concentrated stress, so that even when the shape change occurs repeatedly, fatigue destruction or the like can be preven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dividing portion 32a has a triangular cross section so that it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the force for deformation can be further reduced. Alternatively,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dividing portion 32a may have a rounded shape to further relieve stress concentration. That is, the shape of the dividing portion 32a may have various polygons, and various rounded shapes such as a semicircle, a semi-ellipse, and a U-shape.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후면 커버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back cover used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후면 커버(305)는 두께의 일부만이 제거되어 형성된 분할부(32a) 내에 분할 영역(34)과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충진부(39)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충진부(39)는 분할 영역(34)과 다른 물질, 일례로, 탄성, 플렉서블한 특성 등이 더 우수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충진부(39)에 의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하면서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이 변형될 때 후면 커버(305)도 작은 힘에 의하여 균일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충진부(39)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일례로, 실리콘 수지, 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진부(39)가 분할 영역(34)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2, in the rear cover 30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ly a part of the thickness is removed, and the filling portion 39 including the dividing region 34 and other materials may be formed in the divided portion 32a. have. The filling part 39 may be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divided region 34, for example, a material having superior elasticity, flexible properties, and the like. Then, when the shape of the display device is deformed while improving the structural stability by the filling part 39, the rear cover 305 may be uniformly deformed by a small force. In one example, the filling portion 39 may include a resin, for example, silicone resin, rubber, and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lling part 39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as the division area 34.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면 커버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3에서는 간략하고 명확한 도시를 위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고 복수 개의 분할 영역(34)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rear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3, unnecessary portions are deleted and only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34 are briefly illustrated for a simple and clear illustra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후면 커버(307)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분할 영역(3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분할 영역(34)이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제1 분할 영역(342)과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제2 분할 영역(34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분할 영역(342)과 제2 분할 영역(344)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3 분할 영역(346)이 위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the rear cover 307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divided regions 34 having different widths. As an example, the divided area 34 may include a first divided area 342 positioned at a central portion and a second divided area 344 positioned at an edge portion. Also, at least one third divided region 346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divided region 342 and the second divided region 344.

이때, 제1 분할 영역(342)의 폭(T1)보다 제2 분할 영역(344)의 폭(T2)이 더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3 분할 영역(346)은 제1 분할 영역(342)보다 작고 제2 분할 영역(344)보다 큰 폭을 가지되,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도면에는 제3 분할 영역(336)이 4개의 제3 분할 영역(346a, 346b, 346c, 346d)을 가지고, 제1 분할 영역(342)에 가장 인접한 제3 분할 영역(346a)의 폭(T31), 그 다음의 제3 분할 영역(346b)의 폭(T32)이 작고, 그 다음의 제3 분할 영역(346b)의 폭(T33), 제2 분할 영역(346)에 가장 인접한 제4 분할 영역(346d)의 폭(T34)이 차례로 작아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분할 영역(346a)의 개수 등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width T2 of the second divided region 344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T1 of the first divided region 342.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third divided region 346 has a width smaller than the first divided region 342 and a larger width than the second divided region 344, but the width may be gradually reduced. In the drawing, the third partition 336 has four third partitions 346a, 346b, 346c, and 346d, and the width T31 of the third partition 346a closest to the first partition 342 , The width T32 of the next third divided region 346b is small, the width T33 of the subsequent third divided region 346b, the fourth divided region closest to the second divided region 346 ( It was exemplified that the width T34 of 346d) gradually decrea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the third divided regions 346a and the like can be variously modified.

이에 따라 변위량이 많은 가장자리 부분에서 폭을 더 작게 하여 후면 커버(30)의 형상 변화에 필요한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변위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동일 또는 유사한 폭의 제1 분할 영역(342)을 복수 개로 위치하여 후면 커버(307)의 제조 공정을 좀더 단순화하고 중앙 부분에서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orce required to change the shape of the rear cover 30 by making the width smaller at the edge portion having a large displacement. At this time, a plurality of first divided regions 342 of the same or similar width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displacement amount is relatively small can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rear cover 307 and improve stability in the central portion. have.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B-B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1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4, an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4.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후면 커버(309)는 복수의 분할 영역(34)의 외면을 덮는 패브릭 부재(300)을 더 포함한다. 패브릭 부재(300)는 후면 커버(309)를 덮을 수 있으면서 복수 개의 분할 영역(34)에 일정한 텐션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텐션을 가하지 않는 재질의 패브릭 부재(300)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패브릭 부재(300)에 의하여 복수 개의 분할 영역(34)을 가지는 후면 커버(309)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고 심미감을 향상할 수 있다. 14 to 16, the rear cover 309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fabric member 300 cover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34. The fabric member 300 may have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covering the rear cover 309 and applying a constant tension to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34.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use a fabric member 300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apply tension.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ear cover 309 having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34 may be improved by the fabric member 300 and aesthetic sense may be improved.

패브릭 부재(300)는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후면 커버(3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패브릭 부재(300)의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는 커버링 부재(40)에 고정하고,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는 제2 프레임부(50)에 고정한다. 이때,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브릭 부재(300)가 커버링 부재(40)를 감싸면서 커버링 부재(40)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브릭 부재(300)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를 각기 가이드 부재(60)에 고정하고, 이 가이드 부재(60)가 제2 프레임부(50)의 외곽부(52)와 디스플레이 모듈(10) 사이에 끼워지면서 패브릭 부재(300)를 제2 프레임부(50)에 고정할 수 있다. 또는, 변형예로 패브릭 부재(300)가 후면 커버(309) 상에 접착 물질 등에 의하여 부착될 수도 있다. 그 외에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패브릭 부재(300)가 후면 커버(309) 상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abric member 300 may be located on the back cover 30 by various methods.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fabric member 300 are fixed to the covering member 40, and the left and right edges are fixed to the second frame portion 50.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5, the fabric member 300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covering member 40 while surrounding the covering member 40. And, as shown in Figure 16,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fabric member 300 are fixed to the guide member 60, respectively, the guide member 60 is the outer portion 52 of the second frame portion 50 ) And the display module 10, the fabric member 300 may be fixed to the second frame portion 50. Alternatively, as a variation, the fabric member 300 may be attached to the rear cover 309 by an adhesive material or the like. In addition, the fabric member 300 may be fixed on the rear cover 309 by various methods.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exemplified in each embodiment may be combined or modified for other embodiments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th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모듈
12: 디스플레이 패널
14: 지지 부재
20: 가변 부재
30: 후면 커버
32: 분할부
34: 분할 영역
100: display device
10: display module
12: Display panel
14: support member
20: variable member
30: rear cover
32: division
34: partition

Claims (34)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위치하며, 분할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을 포함하는 후면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부가 상기 후면 커버의 두께의 일부를 절개하고,
상기 후면 커버의 양 가장자리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n image display module;
A variable member that changes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the rear cover including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partitioned by the divided portion
Including,
The dividing portion cuts a portion of the thickness of the rear cover,
A display device in which both edges of the rear cover are fixed to the display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부가 상기 후면 커버의 외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dividing portion is loca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ear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부의 단면 형상이 다각형 또는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isplay device having a polygonal or rounded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부에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과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충진부가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isplay device in which a filling part including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is located in the division pa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가 수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lling part comprises a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 방향에서 휘어지고,
상기 분할부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module is bent in a first direction,
A display device having a shape in which the division part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이 동일한 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have the same width.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이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have different width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영역이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제1 분할 영역과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제2 분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할 영역의 폭보다 상기 제2 분할 영역의 폭이 더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divided region includes a first divided region located in the center portion and a second divided region located in the edge portion,
A display device having a smaller width of the second divided area than a width of the first divided area.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 영역과 상기 제2 분할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제3 분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3 분할 영역은 상기 제1 분할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분할 영역으로 향하면서 폭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And at least two third divided regions located inside the first divided region and the second divided region,
The at least two third division areas are gradually reduced in width from the first division area to the second division area.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 영역이 복수 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A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the first divided area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의 외면을 덮는 패브릭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abric member covering an outer surface of the rear cov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 각기 위치하는 제1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할 영역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first frame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display module,
A display device in which both ends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divided area are fixed to the first frame portion.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영역의 상기 양측 단부가 제1 고정 부재에 의하여 상기 돌출 고정부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9,
The first frame portion includes a projecting fixing portion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A display device wherein both ends of the divided area are fixed to the protruding fixing part by a first fixing member.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고정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의 돌출 고정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0,
The protruding fixing part is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fix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평행하게 절곡되는 절곡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 고정부가 제2 고정 부재에 의하여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9,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 display panel and a supporting member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The first frame portion includes a bending fixing part protruding toward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and bent in parallel with the display module,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bending fixing part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by a second fixing membe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고정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의 절곡 고정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2,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bending fix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분할 영역의 고정 부분을 덮는 커버링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9,
And a covering member covering the first frame portion and a fixed portion of the divided region.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에 각기 고정되는 제2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9,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frame portion fixed to left and right edges of the display device, respectively.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부터 상기 후면 커버의 외면까지 연장되는 외곽부와, 상기 외곽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위치한 상기 외곽부의 부분 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후면 커버의 외면에 위치한 상기 외곽부의 부분 사이에 상기 후면 커버가 위치하며,
상기 돌출부가 제3 고정 부재에 의하여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5,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 display panel and a supporting member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The second frame portion includes an out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to an outer surface of the rear cover,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portion,
The display module is located between the protrusion and a portion of the outer portion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rear cover is positioned between the protrusion and a portion of the outer portion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cover,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protrusion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by a third fix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의 외면을 덮는 패브릭 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에 각기 위치하는 제1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분할 영역의 고정 부분을 덮는 커버링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에 각기 위치하는 제2 프레임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패브릭 부재의 가장자리가 상기 커버링 부재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abric member covering an outer surface of the rear cover;
A first frame portion positioned at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display device;
A covering member covering the first frame portion and a fixed portion of the divided region; And
Second frame portions respectively located at left and right edges of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device having an edge of the fabric member fixed to the covering member and the second frame.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패브릭 부재의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커버링 부재 또는 상기 제2 프레임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패브릭 부재를 상기 커버링 부재 또는 상기 제2 프레임부에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7,
Further comprising a guide member to which the edge of the fabric member is fixed,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guide member is positioned inside the covering member or the second frame portion to fix the fabric member to the covering member or the second frame por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구성하는 후면 커버에 있어서,
분할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분할부가 상기 후면 커버의 두께의 일부를 절개하는 후면 커버.
In the rear cover constituting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It includes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divided by the divided portion,
The rear cover of which the division part cuts a part of the thickness of the rear co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부에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과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충진부가 위치하는 후면 커버.
The method of claim 29,
A rear cover on which the filling portion including the plurality of division regions and other materials is located.
KR1020130008153A 2013-01-24 2013-01-24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1044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153A KR102104444B1 (en) 2013-01-24 2013-01-24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4/156,185 US9854693B2 (en) 2013-01-24 2014-01-15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14000196.7A EP2759903B1 (en) 2013-01-24 2014-01-20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1610626805.6A CN106055040B (en) 2013-01-24 2014-01-24 Show equipment
CN201410035467.XA CN103971601B (en) 2013-01-24 2014-01-24 Bonnet and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this bon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153A KR102104444B1 (en) 2013-01-24 2013-01-24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316A KR20140095316A (en) 2014-08-01
KR102104444B1 true KR102104444B1 (en) 2020-04-24

Family

ID=51743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153A KR102104444B1 (en) 2013-01-24 2013-01-24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44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576B1 (en) * 2017-12-11 2022-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Back Cov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183884B1 (en) 2020-04-21 2020-1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1872A (en) * 2004-05-21 2005-12-02 Nishiyama Stainless Chem Kk Display device
KR100768208B1 (en) * 2006-03-14 2007-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903B1 (en) * 2010-09-17 2012-08-22 애플 인크. Protective co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rotective cov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1872A (en) * 2004-05-21 2005-12-02 Nishiyama Stainless Chem Kk Display device
KR100768208B1 (en) * 2006-03-14 2007-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316A (en) 201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5698B2 (en) Display device
EP2759903B1 (en)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46927B1 (en) Display apparatus
KR20140101166A (en) Display apparatus
KR20150080837A (en) Display apparatus
JP3194934U (en) Flat panel display
US9516775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curvature changing member
US10330966B2 (en) Display device
US10126591B2 (en) Display apparatus
KR102493079B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829745B2 (en) Curved display device with light source fixed by bottom portion of container containing the light source
JP2009134269A (en) Display device
KR102266008B1 (en) Display device
KR102104444B1 (en)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50061418A (en)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135087B1 (en)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90642B1 (en) Display apparatus and rear cover used for the same
US20150124483A1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282937B1 (en) Curved display device
KR102058970B1 (en) Display apparatus
US9417373B2 (en) Display device
KR102068565B1 (en) Display Device Using Sandwich Honeycomb Panel
KR20140117182A (en) Display apparatus
KR102048360B1 (en) Display apparatus and variable member used for the same
KR102135094B1 (en)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