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970B1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970B1
KR102058970B1 KR1020130038782A KR20130038782A KR102058970B1 KR 102058970 B1 KR102058970 B1 KR 102058970B1 KR 1020130038782 A KR1020130038782 A KR 1020130038782A KR 20130038782 A KR20130038782 A KR 20130038782A KR 102058970 B1 KR102058970 B1 KR 102058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state
shape
variable member
stopp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7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2106A (en
Inventor
성재현
박상돈
강기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8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970B1/en
Publication of KR20140122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1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9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 및 상기 가변 부재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가변 부재의 고정하는 스토퍼 부재를 포함한다.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module; A variable member for changing a shape of the display module; And a stopper member for fixing the variable memb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variable member.

Figure R1020130038782
Figure R1020130038782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Display devic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to a display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가 있다. Various forms are used as a display device for implementing an image. For example, there are various display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plasma display pan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nd the like.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분야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각 사용 분야에서 다양한 특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단순히 화상을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특성뿐만 아니라 입체감, 몰입감 등을 고려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다양한 형태로 개선하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As the field of use of display devices is gradually expanded, various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in each field of use, and demands that consider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simply displaying an image but also stereoscopic and immersive feelings are increasing. In order to satisfy such various needs, researche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apparatus into various forms have been continued.

본 발명은 시청감 및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고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improve the structure and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to improve the viewing and stabil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 및 상기 가변 부재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가변 부재의 고정하는 스토퍼 부재를 포함한다.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module; A variable member for changing a shape of the display module; And a stopper member for fixing the variable memb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variable member.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시청자의 만족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을 변화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을 곡면 상태 또는 평면 상태로 변화시켜, 몰입감이 필요한 경우에는 곡면 상태로 변화시키고 편안한 시청감을 원하는 경우에는 평면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may be change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viewer.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may be changed into a curved state or a planar state, so that when the immersion feeling is required, the display module may be changed into the curved state, and when desired, comfortable viewing feeling may be changed to the planar state.

또한, 스토퍼 부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러면, 각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변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전류를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pper member may be used to fix the display module. Then, the state of the display module can be stably maintained in each state. Then, power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continuously supply current to maintain the deformation state of the display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라 잘라서 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에 위치한 스토퍼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 부분에 위치한 스토퍼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스토퍼 부재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device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2.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opper member positioned at portion A of FIG. 3.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stopper member positioned at a portion A of FIG. 3.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first state and a second state of the stopper members of FIGS. 4 and 5.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for explaining a shape chang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illustrations of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and brief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the width, and the like are enlarged or reduced in order to clarify the description. The thickness, the width, and the lik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And when any part of the specification "includes" other parts, unless otherwise stated, other parts are not excluded, and may further include other parts. In addition, when a part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just above" but also the other part located in the middle. When parts such as layers, films, regions, plates, etc. are "just above" another part, it means that no other part is located in betwee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라 잘라서 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간략한 도시 및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후면 커버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device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In FIG. 3, the rear cover is omitted for simplicity and clarity.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20)와, 가변 부재(20)의 형상 또는 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 부재(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을 덮는 후면 커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1 to 3,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module 10 in which an image is implemented, a variable member 20 for changing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and a variable And a stopper member 40 which maintains the shape or state of the member 20. The rear cover 30 may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 This is explained in more detail.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료, 화상 등을 볼 수 있도록 화면으로 나타내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텔레비전, 컴퓨터의 모니터, 휴대폰, 전자책(e-book) 등의 다양한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apparatus 100 collectively refers to a device that is displayed on a screen for viewing materials, images,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televisions, computer monitors, mobile phones, e-books, and the like.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실질적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14)와, 지지 부재(14)에 고정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12) 및 지지 부재(14)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프레임부가 더 위치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10 includes a display panel 12 that substantially realizes an image, a support member 14 positioned at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2 to support the display panel 12, and a support member 14. And a panel driver (not shown) that is fixed to and provides a signal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12. Although not separately illustrated in the drawing, a frame portion surrounding edges of the display panel 12 and the support member 14 may be further located.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은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을 가지며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가져 가변 부재(20)에 의하여 형상이 변화할 수 있는 패널이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display panel 12 is a panel having various structures and methods capable of realizing an image, and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so that the shape may be changed by the variable member 20.

일례로,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라 함은 형광 또는 인광 유기물 박막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자와 정공이 유기물 박막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밝고 선명한 화질을 가지고 시야각에 의한 제한이 없으며 전력 소모가 적은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다. 특히, 유기물 박막을 적층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한 특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을 가지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적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play panel 12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s a self-luminous display panel using a principle that light is generated while electrons and holes are combined in an organic thin film by flowing a current through a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organic thin fil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has various advantages, such as bright and clear image quality, no limitation on viewing angle, and low power consumption. In particular, since it can be produced by laminating an organic thin film, the flexible characteristics are excell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display panels 12 having various structures and methods may be applied.

지지 부재(14)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을 지지한다. 또한 지지 부재(14)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을 구동하며 지지 부재(14)의 후면에 고정되는 패널 구동부 및 가변 부재(20)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14)는 디스플레이 패널(12), 패널 구동부 및 가변 부재(20)가 지지되고 고정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이 변화할 때는 형상이 변화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특성, 탄성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열적 스트레스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 부재(14)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유사한 수준의 열팽창 계수를 가질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14 is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12 to support the display panel 12. In addition, a panel driver and a variable member 20 which drive the display panel 12 and ar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4 may b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4. Accordingly, the support member 14 may have a strength that the display panel 12, the panel driver, and the variable member 20 may be supported and fixed, and may change when the shape of the display panel 12 changes. It may have flexible properties, elasticity and so on.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14 may have a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similar to that of the display panel 12 to prevent thermal stress and the like from occurring.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14)는 강화 플라스틱 등의 복합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소재라 함은 두 종류 이상의 물질을 인위적으로 결합하여 우수한 특성을 가지도록 한 재료이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14)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 등의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플라스틱에 의하여 가볍고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면서도, 다양한 섬유 형태의 보강재에 의하여 높은 강도, 탄성,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14)는 단일의 복합 소재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우수한 강도를 위하여 복수 개의 복합 소재층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14 may include a composite material such as reinforced plastic. Composite materials are materials that have excellent properties by artificially combining two or more kinds of materials. 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14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reinforced plastic such as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 Then, while having light and flexible properties by the plastic, it can have a high strength, elasticity, excellent wear resistance by a variety of fiber type reinforcement. The support member 14 may be composed of a single composite material layer, or a plurality of composite material layers may be stacked for excellent strength.

지지 부재(14)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후면에 접착제(일례로,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지지 부재(14)가 고정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14 may b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2 by using an adhesive (for example, a double-sided t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panel 12 and the support member 14 may be fixed by various other methods.

지지 부재(14)의 후면에 고정되는 패널 구동부는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다양한 배선, 소자 등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이러한 패널 구동부는 브라켓(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하여 지지 부재(14)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일례로, 브라켓은 중앙 부분에서만 지지 부재(14)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을 변화시킬 때 필요한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널 구동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패널 구동부는 가변 부재(20)를 구동하기 위한 배선,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anel driver fixed to the back side of the support member 14 includes a circuit board (not shown) including various wirings, elements, and the like, which provide signals for driving the panel. The panel driver may be fixed to the support member 14 by a bracket (not shown) or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bracket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14 only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to change the shape of the display panel 12. The required force can be minimiz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such as some or all of the panel driver located outside the display module 10. The panel driver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wiring, an element, and the like for driving the variable member 20.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2) 및 지지 부재(14)의 가장자리를 보호하는 프레임부(도시하지 않음)가 더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지지 부재(14)를 보호하는 한편, 고정 부재(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하여 후면 커버(3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부의 형상, 프레임부와 후면 커버(30)의 고정 구조 등은 다양한 구조,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a frame portion (not shown) may be further positioned to protect edges of the display panel 12 and the support member 14. The frame part protects the display panel and the support member 14, and allows the rear cover 30 to be fixed by a fixing member (not shown) or the like. The shape of the frame portion, the fixing structure of the frame portion and the rear cover 30, etc. may be applied in various structures, method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디스플레이 모듈(10)(좀더 상세하게는, 지지 부재(14))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 부재(20)가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 부재(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지지 부재(14)에 고정되는 제1 부분(22)과, 지지 부재(14)와 제1 부분(22) 사이에 위치하며 양측 단부가 제1 부분(22)의 양측 단부에 고정되는 제2 부분(24)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부분(22)의 내측 부분에서 지지하는 가이드 부재(28)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부분(22)에 고정된 제2 부분(24)의 양측 단부 사이의 거리(이하 "연결 길이")를 변화시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을 변화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분(22, 24)의 형상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At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10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member 14), a variable member 20 capable of changing the display panel 12 is located.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variable member 2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art 22 fixed to the support member 14 of the display module 10, between the support member 14 and the first part 22, and on both sides thereof. The second portion 24 has an end fixed to both ends of the first portion 22. And a guide member 28 supporting at the inner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22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may be changed by changing a distance (hereinafter, “connection length”) between both ends of the second part 24 fixed to the first part 22. The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2, 2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실시예에서 가변 부재(20)는 일 방향(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변 부재(20)의 제2 부분(24)의 연결 길이가 짧아지면 제1 부분(22)의 양쪽 단부 부분이 돌출되는 형상으로 전체적으로 휘게 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좌우 방향에서 일정한 곡률 반경(도 7의 참조부호 R, 이하 동일)을 가지도록 전체적으로 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이 변화하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2)까지의 거리가 중앙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에서 차이를 가지지 않거나 차이가 있더라도 아주 미세한 수준이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가변 부재(20)의 변형 형상이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변형 형상이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variable member 20 may be elongated along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When the connecting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24 of the variable member 20 is shortened, both end portions of the first portion 22 are bent as a whole to protrude. Then, the display module 10 may be bent as a whole so as to have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refer to R in FIG. 7). As such, when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changes, the distance from the user's eyes to the display panel 12 may be very fine even if there is no difference or no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part and the edge part. Accordingly, the immersion of the user can be improv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deformation shape of the variable member 20 may vary, and accordingly, the deformation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may vary.

또한 도면에서는 가변 부재(20)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부 부분에 하나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부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로 도시하였다. 가변 부재(20)가 중앙 부분에서 하나만 위치할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 부분의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을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이와 같이 가변 부재(20)가 복수 개로 구비되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변 부재(20)를 하나만 구비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구조를 단순화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대면적화되는 경우 등을 고려하여 3개 이상의 가변 부재(20)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 외에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variable member 20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in which one is position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an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When only one variable member 2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portion, it is considered that deformation of the upper and lower edge portions of the display module 10 may not occur. As such, when the plurality of variable members 20 are provided,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may be uniformly chang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ly one variable member 20 may be provided to reduce cost and simplify the structure. Alternatively, three or more variable members 20 may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 display module 10 has a large area.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때, 제2 부분(24)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는 형상(일례로, 와이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부분(24)의 연결 길이는 다양한 에너지(즉, 열적 에너지, 전기적 에너지, 기계적 에너지)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portion 24 may have a shape (eg, a wire shape) that is elongat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display module 10.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24 can be varied by various energies (ie thermal energy, electrical energy, mechanical energy).

일례로, 제2 부분(24)이 온도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열적 에너지 또는 전기적 에너지를 제공하여 제2 부분(24)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2 부분(24)의 연결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부분(24)이 형상 기억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형상 기억 합금은 오스테나이트-마르텐사이트 변태를 하는 금속에서 나타나는 형상 기억 및 초소성 성질을 이용하는 합금으로, 온도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지게 된다. 제2 부분(24)은 패널 구동부에서 가변 부재(20)를 구동하는 소자 등에 연결되어 온도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연결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부분(24)이 형상 기억 합금을 포함하여 열적 에너지 또는 전기적 에너지에 의하여 연결 길이가 달라지면, 구조가 간단하여 적용이 쉬우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변형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For example, when the second portion 24 is made of a material whose shape changes with temperature, the second portion 24 is provided by changing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portion 24 by providing thermal energy or electrical energy. You can change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In this case, the second portion 24 may comprise a shape memory alloy. The shape memory alloy is an alloy that utilizes shape memory and superplasticity properties that appear in austenitic-martensitic metals and has different shapes with temperature. The second portion 24 is connected to an element or the like for driving the variable member 20 in the panel driver so that the temperature is adjusted, and thus the connection length may be changed. As such, when the connection length is changed by thermal energy or electrical energy, including the shape memory alloy, the second part 24 is easy to apply due to its simple structure, and noise is not generated when the display module 10 is deformed.

다른 예로, 패널 구동부와 함께, 제2 부분(24)의 연결 길이가 기계적 에너지를 공급하는 별도의 구동부(도시하지 않음, 일례로, 모터)에 제공된 기계적 에너지에 의하여 변화될 수도 있다. 즉, 제2 부분(24)의 일부를 모터에 고정시켜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제2 부분(24)의 일부가 모터의 회전축에 감기거나 풀리는 등에 의하여 제2 부분(24)의 연결 길이가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부분(24)은 다양한 조건에서도 늘어나지 않거나 거의 늘어나지 않으며 큰 항복 강도를 가지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부분(24)이 늘어나게 되면 연결 길이를 정밀하게 변형시키기 어려울 수 있으며 더 많은 기계적 에너지를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일례로, 제2 부분(24)은 금속 강선(일례로, 스테인리스 강선),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탄소 강선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제2 부분(24)이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기계적 에너지를 제공하는 모터 등의 구동부는 가변 부재(2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 등의 구동부가 기계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가변 부재(20)의 형상을 변화시키면, 가변 부재(20)를 쉽게 변형할 수 있고 가변 부재(20)의 변형 정도, 변형 시간 등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ogether with the panel drive,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24 may be varied by the mechanical energy provided to a separate drive (not shown, for example a motor) that supplies mechanical energy. That is, a part of the second part 24 is fixed to the motor so that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second part 24 may change due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and the part of the second part 24 being wound or unwound by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Can be. In this case, the second portion 24 may be made of a material which does not stretch or hardly stretch even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has a large yield strength. As the second portion 24 is stretched it can be difficult to precisely deform the connection length and provide more mechanical energy. In one example, the second portion 24 may include a material such as metal wire (eg, stainless steel wire), aramid fiber, carbon steel wir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second portion 24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A driving unit such as a motor that provides mechanical energy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capable of changing the shape of the variable member 20. As such, when a driving unit such as a motor changes the shape of the variable member 20 by using mechanical energy, the variable member 20 can be easily deformed, and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variable member 20, the deformation time, etc. are precisely controlled. can do.

이러한 제2 부분(24)은 직경이 0.5mm 내지 10mm일 수 있다. 제2 부분(24)의 직경이 0.5mm 미만이면, 구동부 등으로부터 에너지를 받을 때 제2 부분(24)이 끊어지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2 부분(24)의 직경이 10mm를 초과하면, 제2 부분(24)의 연결 길이를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기계적 에너지가 커져서 비용이 증가하고 구성이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부분(24)이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portion 24 may have a diameter of 0.5 mm to 10 mm. If the diameter of the second portion 24 is less than 0.5 mm, problems may occur such that the second portion 24 is broken or deformed when receiving energy from the driving unit or the like. If the diameter of the second portion 24 exceeds 10 mm, problems may occur such that the mechanical energy required to change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24 becomes large, resulting in increased cost and complicated constru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portion 24 may have various diameters.

또한, 도면에서는 각각의 제1 부분(22)에 대하여 제2 부분(24)이 하나만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2 부분(24)이 복수로 구비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lthough the drawing illustrates that only one second portion 24 is provided for each first portion 22,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portions 24.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부분(24)의 연결 길이가 변화하면 제1 부분(22)의 형상이 변화하고, 제1 부분(22)이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힘을 가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 또한 이에 대응하도록 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부분(22)은 제2 부분(24)에 의하여 힘을 받아서 변형하는 것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제1 부분(22)은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가지면서도 우수한 강도를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22)을 구성하는 물질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경량화할 수 있도록 가벼운 물질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second part 24 is changed, the shape of the first part 22 is changed, and the first part 22 exerts a force on the display module 10 to The shape will also change to correspon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ortion 22 is a portion that changes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by being deformed by the force of the second portion 24. Accordingly, the first portion 22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excellent strength. In addition,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first part 22 may be a light material to reduce the weight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일례로, 제1 부분(22)은 복합 소재, 일례로 강화 플라스틱(CFRP, GFRP 등)을 포함하는 층을 단일 또는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물질로 제1 부분(22)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1 부분(22)은 일정한 폭(W)을 가지면서 길게 이어지는 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힘을 좀더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부분(22)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one example, the first portion 22 may have a single or multiple layers comprising a composite material, for example reinforced plastics (CFRP, GFRP, etc.).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part 22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In addition, the first portion 22 may have a band shape that is elongated while having a constant width (W). As a result, a force can be more effectively provided to the display module 1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part 22 may have various shapes.

이때, 제1 부분(22)은 중앙부가 디스플레이 모듈(10)(좀더 상세하게는 지지 부재(14))의 중앙부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 부분(22)의 양측 단부는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제1 부분(22)의 형상이 좀더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portion 22 is fix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member 14) is immovably fixed, and both ends of the first portion 22 are fixed to be movable do.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first portion 22 can be changed more freely.

여기서, 제1 부분(22)의 중앙부는 중앙 고정부(26a)에 의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제1 부분(22)의 중앙부와 지지 부재(14)의 중앙부 사이의 제1 거리(L1)는 제1 부분(22)의 단부와 지지 부재(14)의 단부 사이의 거리(L2)보다 클 수 있다. 일례로, 제1 부분(22)의 중앙 영역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으로 좀더 돌출된 라운드 형태를 가지도록 제1 부분(22)이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제2 부분(24)의 연결 길이가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전체적으로 일정한 곡률 반경(R)로 변형할 때 좀더 쉽게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변형할 수 있다. Here,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22 is immovably fixed by the central fixing portion 26a. At this time, the first distance L1 between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22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14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L2 between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22 and the end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14. Can be large. For example, the first portion 22 may have a curved shape such that the central region of the first portion 22 has a round shape that protrudes further toward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10. Then, the display module 10 may be more easily deformed when the display module 10 is deformed to a certain radius of curvature R as a whole by changing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second part 24.

중앙 고정부(26a)는, 지지 부재(14)로부터 제1 부분(22)을 이격시키면서 제1 부분(22)과 제2 부분(24)을 이격하는 브라켓(260a)와, 브라켓(260a) 또는 제1 부분(22)과 지지 부재(14)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262a)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entral fixing portion 26a includes a bracket 260a that separates the first portion 22 and the second portion 24 while separating the first portion 22 from the support member 14, the bracket 260a, or It may include a fastening member 262a for fastening the first portion 22 and the support member 14.

여기서, 브라켓(260a)은 제1 부분(22)와 지지 부재(14) 사이의 거리를 단부보다 중앙부에서 크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부분(22)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을 향하여 좀더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 부분(24)이 브라켓(260a)와 지지 부재(14) 사이에 위치되므로 브라켓(260a)은 제1 부분(22)과 제2 부분(24)을 서로 이격하여 제1 부분(22)과 제2 부분(24)의 거리(즉, 제1 거리(L1))가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도록 한다. 제1 부분(22)과 제2 부분(24) 사이의 면적이 넓을수록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가 커져서 제2 부분(24)의 연결 길이의 변화에 따라 제1 부분(22)의 형상 변화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부에서 제1 부분(22)과 제2 부분(24)의 제1 거리(L1)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부분(22)과 제2 부분(24) 사이의 면적이 커지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부분(24)의 형상 변화를 좀더 쉽게 구현할 수 있다. Here, the bracket 260a serves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rtion 22 and the support member 14 at the center portion rather than at the end portion. As a resul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ortion 22 may maintain a more protruding state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part 24 is positioned between the bracket 260a and the support member 14, the bracket 260a spaces the first part 22 and the second part 24 apart from each other and thus the first part 22.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rtion 24 (ie, the first distance L1) has a relatively large value. As the area between the first portion 22 and the second portion 24 increases, the bending moment increases, so that the shape change of the first portion 22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24. It's easy to implement.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distance 22 between the first portion 22 and the second portion 24 by relatively increasing the first distance L1 of the first portion 22 and the second portion 24 in the center portion. The area can be made large, thereby making it easier to implement the shape change of the first portion 24.

일례로, 브라켓(260a)의 두께(T1)(즉, 제1 부분(22)과 제2 부분(24) 사이의 제1 거리(L1))는 10mm 내지 50mm일 수 있다. 브라켓(260a)의 두께(T1)가 50mm를 초과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제1 부분(22)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260a)의 두께(T1)가 10mm 미만이면, 굽힘 모멘트가 크지 않아 제1 부분(22)의 변형에 큰 에너지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브라켓(260a)의 두께(T1)는 화면의 크기, 화면의 곡률 반경(R) 등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thickness T1 of the bracket 260a (ie, the first distance L1 between the first portion 22 and the second portion 24) may be 10 mm to 50 mm. When the thickness T1 of the bracket 260a exceeds 50 mm,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increased and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first portion 22 may be degraded. When the thickness T1 of the bracket 260a is less than 10 mm, the bending moment is not large and a large energy may be required for deformation of the first portion 2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ickness T1 of the bracket 260a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creen,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screen, and the like.

그리고 체결 부재(262a)는 중앙부에서 제1 부분(22)과 지지 부재(14)를 체결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 및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지지 부재(14)에 팸 너트(14a)가 위치하고, 체결 부재(262a)가 제1 부분(22) 및/또는 브라켓(260a)을 관통하여 팸 너트(14a)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간단하고 쉽게 제1 부분(22)을 지지 부재(14)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부재(14)와 제1 부분(22)의 고정 구조로는 다양한 방식,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 262a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and methods for fastening the first portion 22 and the support member 14 at the center portion. For example, the fem nut 14a may be positioned on the support member 14, and the fastening member 262a may be fastened to the fem nut 14a by passing through the first portion 22 and / or the bracket 260a. This makes it possible to fix the first portion 22 to the support member 14 simply and easi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ethods and structures may be used as the fixing structure of the support member 14 and the first portion 22.

본 실시예에서 제1 부분(22)의 단부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간격(D1)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일례로, 제1 부분(22)의 단부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D1)은 1mm 내지 30mm일 수 있다. 상기 간격(D1)이 30mm를 초과하면, 제1 부분(22)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가장자리까지 힘을 균일하게 가하게 어려울 수 있다. 상기 간격(D1)이 1mm 미만이면, 변형 중에 제1 부분(22)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외부까지 돌출되어 문제가 되거나 다른 부품이 위치하여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간격(D1)이 화면의 크기, 화면의 곡률 반경(R) 등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portion 22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edge of the display module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1. In one example, the distance D1 between the end of the first portion 22 and the side edge of the display module 10 may be 1 mm to 30 mm. When the distance D1 exceeds 30 mm, it may be difficult for the first portion 22 to apply the force evenly to the edge of the display module 10. When the gap D1 is less than 1 mm, the first part 22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module 10 during deformation, which may cause a problem or other components may be located so that deformation may not occur easi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tance D1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creen,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screen, and the like.

제2 부분(24)은 양측 단부가 제1 부분(22)의 양측 단부에 각기 고정되어 있고, 제2 부분(24)의 양측 단부 사이가 연결 길이가 된다. 이때, 제2 부분(24)의 양측 단부는 단부 고정부(26b)에 의하여 제1 부분(22)의 양측 단부에 각기 고정될 수 있다. 즉, 단부 고정부(26b)는, 제2 부분(24)의 일측 단부를 제1 부분(22)의 일측 단부에 고정하는 제1 단부 고정부(261b)와, 제2 부분(24)의 타측 단부를 제1 부분(22)의 타측 단부에 고정하는 제2 단부 고정부(262b)를 포함할 수 있다. Both end portions of the second portion 24 are fix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first portion 22,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on length is formed between both end portions of the second portion 24. In this case, both end portions of the second portion 24 may be fix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first portion 22 by the end fixing portion 26b. In other words, the end fixing portion 26b includes a first end fixing portion 261b for fixing one end of the second portion 24 to one end of the first portion 22,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ortion 24. It may include a second end fixing portion (262b) for fixing th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ortion (22).

단부 고정부(26b)는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제2 부분(24)을 제1 부분(22)에 고정할 수 있다. 일례로, 단부 고정부(26b)가 중앙 고정부(26a)의 브라켓(260a)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고, 제2 부분(24)이 단부 고정부(26b)의 일부를 관통하도록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또는, 제1 부분(22)의 단부에 홀을 형성하고, 홀에 제2 부분(24)의 단부를 통과시킨 다음 접착제 또는 밀봉재 등을 이용하여 홀을 채우는 것에 의하여 제2 부분(24)의 단부를 제1 부분(22)의 단부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외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End fixation 26b may secure second portion 24 to first portion 22 in a number of ways. In one example, the end fixing portion 26b has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bracket 260a of the central fixing portion 26a, and the second portion 24 may be embedded therein to penetrate a portion of the end fixing portion 26b. have. Alternatively, the end of the second portion 24 is formed by forming a hole in the end of the first portion 22, passing the end of the second portion 24 through the hole, and then filling the hole with an adhesive or a sealing material or the like. Can be fixed to the end of the first portion 2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other methods may be applied.

이에 따라, 제1 부분(22)의 단부와 제2 부분(24)의 단부 사이의 간격이 상술한 제1 거리(L1)보다 작은 제2 거리(L2)를 가지게 된다. 이에 의하여 제2 부분(24)의 연결 길이 변화에 따른 굽힘 모멘트를 크게 하여 제1 부분(22)을 쉽게 변형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first portion 22 and the end of the second portion 24 has a second distance L2 smaller than the above-described first distance L1. As a result, the bending momen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24 may be increased to easily deform the first portion 22.

그리고 단부 고정부(26b)에 고정되는 제2 부분(24)의 단부와 디스플레이 모듈(10) 사이(또는 단부 고정부(26b)의 두께)는 제3 거리(L3)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제2 부분(24)의 단부가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제2 부분(24)의 연결 길이의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이 변화할 때 제2 부분(24)과 디스플레이 모듈(10) 사이의 간격이 좀더 가까워지므로 이를 고려한 것이다. 일례로, 제3 거리(L3)는 1mm 내지 10mm일 수 있다. 제3 거리가 10mm를 초과하면 불필요하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3 거리(L3)가 1mm 미만이면 제2 부분(24)의 단부가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간섭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end of the second part 24 fixed to the end fixing part 26b and the display module 10 (or the thickness of the end fixing part 26b) may be spaced apart by a third distance L3. This is to ensure that the end of the second portion 24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isplay module 10. In particular,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art 24 and the display module 10 is closer when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second part 24, which is considered. For example, the third distance L3 may be 1 mm to 10 mm. If the third distance exceeds 10 mm,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unnecessarily increased. When the third distance L3 is less than 1 mm,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24 may interfere with the display module 1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 고정부(26a)와 단부 고정부(26b) 사이에 위치한 부분에 제2 부분(24)을 제1 부분(22) 쪽으로 고정하여 제2 부분(24)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 방지 고정부(26c)가 위치할 수 있다. 간섭 방지 고정부(26c)는 중앙 고정부(26a)와 제1 단부 고정부(261b)의 사이 부분에 위치하는 제1 간섭 방지 고정부(261c)와, 중앙 고정부(26a)와 제2 단부 고정부(262b)의 사이 부분에 위치하는 제2 간섭 방지 고정부(262c)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part 24 and the display module 10 are fixed by fixing the second part 24 toward the first part 22 at a part located between the central fixing part 26a and the end fixing part 26b. An interference prevention fixing part 26c may be positioned to prevent interference of the device. The interference preventing fixing part 26c includes a first interference preventing fixing part 261c positioned at a portion between the central fixing part 26a and the first end fixing part 261b, and the central fixing part 26a and the second end part. The second interference prevention fixing part 262c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xing parts 262b.

이러한 간섭 방지 고정부(26c)에 의하여 제1 부분(22)과 제2 부분(24) 사이의 거리는, 중앙 고정부(26a)로부터 간섭 방지 고정부(26c)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부분(24)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사이의 거리는 중앙 고정부(26a)로부터 제1 간섭 방지 고정부(261c)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커졌다가, 제1 간섭 방지 고정부(261c)로부터 단부 고정부(261b)를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에 따라 제2 부분(24)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사이의 거리는 중앙 고정부(26a)로부터 제2 간섭 방지 고정부(262c)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커졌다가, 제2 간섭 방지 고정부(262c)로부터 단부 고정부(262b)를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art 22 and the second part 24 can be gradually reduced by the interference preventing fixing part 26c toward the interference preventing fixing part 26c from the central fixing part 26a.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rtion 24 and the display module 10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central fixing portion 26a toward the first interference preventing fixing portion 261c, and then the first interference preventing fixing portion 261c And gradually decrease toward the end fixing portion 261b. Likewise,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rtion 24 and the display module 10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central fixing portion 26a toward the second interference preventing fixing portion 262c, and then the second interference preventing fixing portion ( It can gradually become smaller from 262c toward the end fixture 262b.

이때, 제2 부분(24)의 중앙 부근을 구성하며 제2 부분(24)의 단부 쪽으로 향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는 구간을 중앙 구간(S11, S12)이라 하고, 중앙 구간(S11, S12)의 외측에 위치하며 제2 부분(24)의 단부 쪽으로 향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구간을 외측 구간(S21, S22)이라 할 수 있다. In this case, a section constituting the center of the second portion 24 and moving toward the end of the second portion 24 while the distanc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 is far away is referred to as the center sections S11 and S12. The sections located outside the sections S11 and S12 and toward the end of the second part 24 and closer to the end of the second portion 24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 may be referred to as the outer sections S21 and S22.

이때, 중앙 구간(S11, S12)는, 중앙 고정부(26a)와 제1 간섭 방지 고정부(261c) 사이의 제1 중앙 구간(S11)과, 중앙 고정부(26a)와 제2 간섭 방지 고정부(262c) 사이의 제2 중앙 구간(S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중앙 구간(S11)과 제2 중앙 구간(S12)은 중앙 고정부(26a)가 위치하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양쪽에 균일하게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뒤틀리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the center sections S11 and S12 include the first center section S11 between the center fixing part 26a and the first interference preventing fixing part 261c, and the central fixing part 26a and the second interference preventing height. It may include a second central section (S12) between the government (262c). The first central section S11 and the second central section S12 may have symmetrical structur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central fixing portion 26a is located. This is to prevent a problem such that the display module 10 is distorted due to a uniform bending moment acting on both sides.

마찬가지로, 외측 구간(S21, S22)는, 제1 간섭 방지 고정부(261c)와 제1 단부 고정부(261b) 사이의 제1 외측 구간(S21)과, 제2 간섭 방지 고정부(262c)와 제2 단부 고정부(262b) 사이의 제2 외측 구간(S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외측 구간(S21)과 제2 외측 구간(S22)은 중앙 고정부(26a)가 위치하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양쪽에 균일하게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뒤틀리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Similarly, the outer sections S21 and S22 include a first outer section S21 between the first interference preventing fixing part 261c and the first end fixing part 261b, and a second interference preventing fixing part 262c. It may include a second outer section (S22) between the second end fixing portion (262b). The first outer section S21 and the second outer section S22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where the central fixing portion 26a is located. This is to prevent a problem such that the display module 10 is distorted due to a uniform bending moment acting on both sides.

상술한 바에 따라, 제2 부분(24)은, 일례로, "W"자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굽힘 모멘트를 최대화하면서 간섭에 의한 문제는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ortion 24 may, for example, have a shape similar to the "W". This shape is to maximize the bending moment while preventing problems caused by interference.

이때, 제1 부분(22)의 전체 길이(L)에 대한 제1 중앙 구간(S1)(또는 제2 중앙 구간(S12))의 길이 비율이 0.1 내지 0.2일 수 있다. 상기 길이 비율이 0.1 미만이면, 제1 부분(22)과 제2 부분(24) 사이의 면적에 비례하는 굽힘 모멘트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상기 길이 비율이 0.2를 초과하면, 제2 부분(24)이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간섭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비율이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ength ratio of the first central section S1 (or the second central section S12) to the total length L of the first portion 22 may be 0.1 to 0.2. If the length ratio is less than 0.1, the magnitude of the bending moment proportional to the area between the first portion 22 and the second portion 24 may be reduced. If the length ratio exceeds 0.2, the second portion 24 may interfere with the display module 1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atio may be variously changed.

상술한 바와 같이 간섭 방지 고정부(26c)에 의하여 중앙 구간(S11, S12)에서는 제2 부분(24)과 디스플레이 모듈(10)과의 거리가 점진적으로 커지게 되므로, 제2 부분(24)이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간섭하여 변형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앙 구간(S11, S12)의 길이 비율을 최적화하여 제1 부분(22)에 큰 굽힘 모멘트를 전달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art 24 and the display module 10 is gradually increased in the center sections S11 and S12 by the interference preventing fixing part 26c. Interference with the display module 10 can be prevented from disturbing deformation. In addition, a large bending mom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portion 22 by optimizing the length ratio of the center sections S11 and S12.

이때, 중앙 구간(S11, S12)에서 제1 부분(22)과 제2 부분(24) 사이의 면적을 제1 면적(A1)이라 하고, 외측 구간(S21, S22)에서 제1 부분(22)과 제2 부분(24) 사이의 면적을 제2 면적(A2)이라 할 때, 제2 면적(A2)에 대한 제1 면적(A1)의 비)이 16 내지 400일 수 있다. 이는 굽힘 모멘트가 제1 면적(A1)과 제2 면적(A2)의 합(A1+A2)에 비례하는 것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제2 부분(24)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제1 면적(A1)과 제2 면적(A2)의 합이 최대한 큰 값을 가지도록 결정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비율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면적, 곡률 반경(R)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rea between the first part 22 and the second part 24 in the central sections S11 and S12 is called the first area A1, and the first part 22 in the outer sections S21 and S22. When the area between the second portion 24 and the second area A2 is referred to as a second area A2, the ratio of the first area A1 to the second area A2 may be 16 to 400. This takes into account that the bending moment is proportional to the sum A1 + A2 of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so that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display module 10 and the second part 24 does not occur. The sum of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is determined to have the largest possible valu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bove ratio may vary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display module 10, the radius of curvature R, and the like.

상술한 중앙 고정부(26a), 단부 고정부(26b) 및 간섭 방지 고정부(26c)는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은 고정이 쉽고 제2 부분(24)을 손상하지 않는 물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례로, 수지(일례로, 폴리페닐아마이드)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described center fixing part 26a, the end fixing part 26b, and the interference preventing fixing part 26c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These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easy to fix and does not damage the second part 24. For example, the material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resin (eg, polyphenylami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제1 부분(22)는 지지 부재(14)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28)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부분(22)의 쳐짐 등의 변형을 방지하면서도 제1 부분(22)을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portion 22 may be movably fixed by the guide member 28 fixed to the support member 14. As a result, the first portion 22 can be moved while preventing deformation such as sagging of the first portion 22.

가이드 부재(28)는, 지지 부재(14)와 일정한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는 상부 부분(28a)과, 상부 부분(28a)으로부터 절곡되어 지지 부재(14)에 인접하는 측면 부분(28b)을 포함한다. 측면 부분(28b)는 체결 부재(28c)에 의하여 지지 부재(14)에 고정된다. 일례로, 지지 부재(14)에 팸 너트(도시하지 않음) 등이 위치할 수 있고, 팸 너트 및 측면 부분(28b)의 체결 홀에 스크루 등의 체결 부재(28c)를 체결하여 가이드 부재(28)와 지지 부재(14)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팸넛과 스크루를 이용하면 간단하고 쉽게 체결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부재(14)와 측면 부분(28b)의 고정 구조로는 다양한 방식,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The guide member 28 includes an upper portion 28a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ing member 14 with a predetermined space, and a side portion 28b that is bent from the upper portion 28a and adjacent to the supporting member 14. Include. The side portion 28b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14 by the fastening member 28c. For example, a pam nut (not shown) or the like may be located on the support member 14, and the guiding member 28c such as a screw may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pam nut and the side portion 28b. ) And the support member 14 can be fixed. In this way, it is simple and easy to fasten using a pampnut and a screw.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ethods and structures may be used as the fixing structure of the support member 14 and the side portion 28b.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부분(22)과 디스플레이 모듈(10) 사이의 거리가 중앙부 쪽으로 갈수록 커지므로 가이드 부재(28)의 측면 부분(28b)의 높이도 중앙부 쪽으로 향하면서 커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 부분(22)이 가이드 부재(28)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지지되면서도 자유롭게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rtion 22 and the display module 10 increases toward the center portion, the height of the side portion 28b of the guide member 28 may also increase toward the center portion. According to this, the first portion 22 can be freely moved from side to side while being effectively supported by the guide member 28.

제1 부분(22)의 전체 길이(L)에 대하여, 각 가이드 부재(28)가 제1 부분(22)의 각 단부로부터 이격된 거리(D2)의 비율(D2/L)이 0.2 내지 0.4일 수 있다. 이러한 비율은 제1 부분(22)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이 쳐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결정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With respect to the total length L of the first portion 22, the ratio D2 / L of the distance D2 from which each guide member 28 is spaced from each end of the first portion 22 is 0.2 to 0.4 days. Can be. This ratio is determined so that both edge portions of the first portion 22 can be firmly fixed so as not to sa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은 구조의 가변 부재(2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은 제1 상태인 평면 상태에서 제2 상태인 곡면 상태로 변화되거나, 곡면 상태에서 평면 상태로 변화된다. 즉, 가변 부재(20)가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힘을 가하는 상태로 변화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곡면 상태로 변화되고, 가변 부재(20)가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가하는 힘을 가하지 않는 형상으로 변화되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평면 상태로 변화된다. 이때, 곡면 상태에서는 가변 부재(20)가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힘을 가하는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때, 가변 부재(20)에 계속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하여야 하면 전력에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is changed from the planar state in the first state to the curved state in the second state, or from the curved state to the planar state by the variable member 20 having such a structure. That is, when the variable member 20 changes to a state in which the force is applied to the display module 10, the display module 10 is changed into a curved state, and the variable member 20 does not apply force to the display module 10. When the shape is changed to a shape, the display module 10 is changed into a flat state. At this time, in the curved state, the variable member 20 must maintain a state in which a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display module 10. At this time, if the continuous supply of energy to the variable member 20 may be a loss in power.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가변 부재(20)의 형상 또는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가변 부재(20)를 고정하는 스토퍼 부재(40)를 포함한다. 스토퍼 부재(40)가 각 상태에서 가변 부재(20)를 고정하면 별도의 전류 공급 등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평면 상태 또는 곡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가변 부재(20)가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힘을 가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면 상태를 유지하여야 할 때 스토퍼 부재(40)가 가변 부재(20)를 고정하면 곡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topper member 40 that fixes the variable member 20 to maintain the shape or state of the variable member 20 constantly. When the stopper member 40 fixes the variable member 20 in each state, the display module 10 may maintain the planar state or the curved state as it is even without a separate current supply. In particular, when the variable member 20 is forced to the display module 10 to maintain the curved state of the display module 10, when the stopper member 40 fixes the variable member 20, the curved state may be maintained. Will be.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 부재(40)는 가변 부재(20)의 단부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좀더 정확하게는, 스토퍼 부재(40)는 양측 단부 부근에 하나씩 배치되며 단부 고정부(26b)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가변 부재(20)의 형상이 변화할 때 가변 부재(20)가 스토퍼 부재(40)에 의하여 간섭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변 부재(20)의 변위가 가장 큰 부분에 스토퍼 부재(40)를 위치시켜 가변 부재(20)의 형상 변화에 따라 스토퍼 부재(40)가 쉽게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topper member 40 may be located near the end of the variable member 20. More precisely, the stopper members 40 are disposed one by one near both end portions and may be located outside the end fixing portion 26b. As a result, when the shape of the variable member 20 changes, the variable member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terfered by the stopper member 40, and the stopper member 40 is disposed at the portion where the variable member 20 has the largest displacement. The position of the stopper member 40 can be easily operated according to the shape change of the variable member 20.

그리고 가변 부재(20)에는 스토퍼 부재(40)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스토퍼 부재(40)가 내부에 위치하는 개구부(29)가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스토퍼 부재(40)의 양 단부가 개구부에 고정된다. 이에 의하여 가변 부재(20)의 형상이 변화되면서 가변 부재(20)의 단부(좀더 정확하게는 개구부(29)의 외측에 위치한 단부)가 스토퍼 부재(40)를 가압하게 되어, 스토퍼 부재(40)가 작동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태 변화를 위하여 가변 부재(20)의 형상을 변화시킬 때 자연스럽게 스토퍼 부재(40)를 구동하여 스토퍼 부재(40)를 작동하기 위한 별도의 전류, 구동력 등을 공급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구조를 단순화하고 가변 부재(20)의 형상 변화에 대응하여 스토퍼 부재(40)를 쉽게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The variable member 20 is formed with an opening 29 at which the stopper member 40 is locat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member 40. More specifically, both ends of the stopper member 40 are fixed to the opening. As a result, the shape of the variable member 20 is changed, and the end of the variable member 20 (more precisely, the end positioned outside the opening 29) presses the stopper member 40, so that the stopper member 40 It works. That is, when the shape of the variable member 20 is changed to change the state of the display module 10, the drive member 40 is naturally driven to supply a separate current, a driving force, and the like for operating the stopper member 40. You don't have to.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and to easily operate the stopper member 40 in response to the shape change of the variable member 20.

이러한 스토퍼 부재(40) 및 이의 동작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에 위치한 스토퍼 부재(40)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 부분에 위치한 스토퍼 부재(40)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스토퍼 부재(40)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The stopper member 40 and it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topper member 40 positioned at the portion A of FIG. 3,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enlarged stopper member 40 positioned at the portion A of FIG. 3. 6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state and a second state of the stopper member 40 of FIGS. 4 and 5.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토퍼 부재(4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고정되며 내부의 공간부를 가지는 케이스부(42)와, 케이스부(42)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제1 축(44), 탄성부(46) 및 제2 축(48)를 포함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4 and 5, the stopper member 40 is fixed to the display module 10 and has a case portion 42 having a space therein and a first portion movably positioned inside the case portion 42. A shaft 44, an elastic portion 46 and a second shaft 48. This is explained in more detail.

케이스부(42)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고정되어 제1 축(44), 탄성부(46) 및 제2 축(48)이 위치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이에 의하여 제1 축(44), 탄성부(46) 및 제2 축(48)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ase part 42 is fixed to the display module 10 to provide an interior space in which the first axis 44, the elastic part 46, and the second axis 48 can be positioned. This allows the first shaft 44, the elastic portion 46 and the second shaft 48 to be located.

여기서, 케이스부(42)의 일측(좀더 정확하게는, 가변 부재(20)의 단부가 위치하는 일측)에는 제1 축(44)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홀(422)과, 제1 축(44)의 삽입 돌기(444)가 삽입되는 삽입 홈(424)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제1 홀(42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1 축(44)이 가변 부재(20)의 단부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또한, 가압된 제1 축(44)에 형성된 삽입 돌기(444)가 삽입 홈(424)에 삽입 및 고정되어 스토퍼 부재(40)가 일정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 the first hole 422 for exposing the first shaft 44 to the outside on one side of the case portion 42 (more precisely, one side where the end of the variable member 20 is located), and It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424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444 of one axis 44 is inserted. As a result, the first shaft 44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hole 422 may be pressed by the end of the variable member 20. In addition, the insertion protrusion 444 formed on the pressurized first shaft 44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groove 424 so that the stopper member 40 can be fixed in a constant state.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그리고 케이스부(42)의 다른 일측에는 제2 축(48)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홀(426)이 형성되고, 탄성부(46)가 위치하여 제2 축(48)이 탄성력을 제공한다. In addition, a second hole 426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case part 42 to allow the second shaft 48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elastic part 46 is positioned so that the second shaft 48 has an elastic force. To provide.

이때, 케이스부(42)는, 상술한 제1 홀(424) 및 삽입 홈(424)을 구비하면서 일측을 구성하는 제1 케이스부인 베이스부(42a)와, 제2 홀(426)이 형성되며 탄성부(46)가 위치하는 다른 일측을 구성하는 제2 케이스부인 하우징부(4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축(44), 탄성부(46) 및 제2 축(48)를 베이스부(42a)와 하우징부(42b) 사이에 위치한 다음 베이스부(42a) 및 하우징부(42b)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스토퍼 부재(40)를 작동 가능하게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쉽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 부재(40)는 케이스부(42)에 형성된 체결 홀(428)에 체결 부재(429)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 부재(429)로는 나사, 볼트 등의 스크루 부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좀더 정확하게는 지지 부재(14))에는 체결 부재(429)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팸 너트(도시하지 않음) 등이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고정 방법에 의하여 스토퍼 부재(40)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고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ase part 42 is provided with the first hole 424 and the insertion groove 424 described above, the base part 42a which is the first case part constituting one side, and the second hole 426 are formed. It may include a housing portion 42b which is a second case portion constituting the other side where the elastic portion 46 is located. The first shaft 44, the elastic portion 46 and the second shaft 48 are positioned between the base portion 42a and the housing portion 42b, and then the base portion 42a and the housing portion 42b are disposed in the display module ( By fixing to 10, the stopper member 40 can be easily fixed to the display module 10 in an operable manner. In this case, the stopper member 40 may be fixed to the display module 10 by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429 to the fastening hole 428 formed in the case part 42. Screw members, such as screws and bolts, may be used as the fastening member 429, and a fem nut (not shown) 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429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display module 10 (more accurately, the support member 14). ) May be loca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opper member 40 may be fixed to the display module 10 by various fixing methods.

제1 축(44)에서 제2 축(48)에 대응하는 일면에 제1 기어(442)가 형성되고, 제1 축(44)의 외면에는 삽입 홈(424)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444)가 형성된다. 제2 축(48)에서 제1 축(44)에 대응하는 일면에 제1 기어(442)가 계합되는 제2 기어(482)가 형성되고, 제2 축(48)의 외면에 제2 축(48)의 외면에는 돌기부(484)가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gear 442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haft 44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haft 48,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444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24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haft 44. Is formed. A second gear 482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shaft 48 corresponding to the first shaft 44, and the first gear 442 is engaged, and the second shaft 48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haft 48. The protrusion 484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48.

탄성부(46)는 제2 축(48)의 외면에서 돌기부(484)와 케이스부(42)의 다른 일측 사이에 위치한다. 탄성부(46)는 힘을 가해 형태를 변형시켰다가 그 힘을 제거했을 때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오는 탄성을 가지는 다양한 구조,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스프링부(46)는 제2 축(48)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제2 축(48)를 제1 축(44) 쪽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The elastic portion 46 is located between the protrusion 484 and the other side of the case portion 42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haft 48. The elastic part 46 may have various structures and methods having elasticity that is deformed by applying a force and then reverts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force is removed. The spring part 46 serves to press the second shaft 48 toward the first shaft 44 by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shaft 48.

이때, 제1 기어(442)와 제2 기어(482)는 제1 축(44)이 제2 축(48) 쪽으로 가압된 후에 탄성부(46)에 의하여 제1 축(44)이 다시 밀려나갈 때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1 축(44)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기어(442, 482)는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회전 캠과 샤프트를 포함하는 구조가 적용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gear 442 and the second gear 482 are pushed back by the elastic portion 46 after the first shaft 44 is pressed toward the second shaft 48. When the first axis 44 is rotated by the interaction. The first and second gears 442 and 482 may be applied in various ways and structures capable of converting linear motion into rotational motion. For example, a structure including a rotary cam and a shaft may be applied.

이때, 삽입 돌기(444)는 서로 다른 폭 및/또는 삽입 길이를 가지는 제1 삽입 돌기(444a) 및 제2 삽입 돌기(444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삽입 돌기(444a)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제1 폭(제1 직경)(R1)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고, 제2 삽입 돌기(444b)는 단부 부분에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제2 직경)을 가지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42a)에 형성된 삽입 홈(424)은 제1 삽입 돌기(444a)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1 삽입 홈(424a)과 제2 삽입 돌기(444b)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2 삽입 홈(442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삽입 홈(424a) 및 제1 삽입 돌기(444a)는 전체적으로 제1 폭을 가지면서 제1 길이(SL1)로 형성되고, 제2 삽입 홈(424b)은 제1 폭을 가지는 부분이 제1 길이(SL1)보다 작은 제2 길이(SL2)로 형성되고 제2 폭을 가지는 부분이 제3 길이(SL3)만큼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3 길이(SL3)는 제1 길이(SL1)에서 제2 길이(SL2)를 뺀 만큼의 길이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sertion protrusion 444 may include a first insertion protrusion 444a and a second insertion protrusion 444b having different widths and / or insertion lengths. For example,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444a may be formed to have an overall uniform first width (first diameter) R1, and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444b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at the end portion. It may have a portion having a second width (second diameter). The insertion groove 424 formed in the base portion 42a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424a and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444b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444a. It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442b. That is, the first insertion groove 424a and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444a have a first width SL1 having a first width as a w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24b has a portion having a first width. A portion having a second length SL2 smaller than the first length SL1 and having a second width may be formed by the third length SL3. For example, the third length SL3 may be as long as the second length SL2 is subtracted from the first length SL1.

이러한 삽입 돌기(444) 및 삽입 홈(442)에 의하여 전환되는 스토퍼 부재(40)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서 (a)에는 스토퍼 부재(40)의 제1 상태를 도시하였고, 도 6의 (b)에는 스토퍼 부재(40)의 제2 상태를 도시하였다. A first state and a second state of the stopper member 40 switched by the insertion protrusion 444 and the insertion groove 44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In FIG. 6A, a first state of the stopper member 40 is illustrated, and in FIG. 6B, a second state of the stopper member 40 is illustrated.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1 상태에서는 제1 삽입 홈(424a)에 제1 삽입 돌기(444a)가 위치하고, 제2 삽입 홈(424b)에 제2 삽입 돌기(444b)가 위치한다. 이때, 제1 축(44) 및 제2 축(48)는 탄성부(46)에 의하여 가압되어 이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제1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삽입 돌기(444a, 444b)가 상대적으로 큰 제1 길이(SL1)만큼 제1 및 제2 삽입 홈(424a, 424b)에 삽입되어, 제1 축(44) 및 제2 축(48)이 가변 부재(20)의 단부 쪽에 가까운 위치에서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 6A, in the first state,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444a is position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424a, and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444b is position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24b. . At this time, the first shaft 44 and the second shaft 48 are pressed by the elastic portion 46 to maintain this state. In this first state,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444a and 444b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424a and 424b by a relatively large first length SL1, and thus, the first shaft 44. And the second shaft 48 is fixed at a position near the end side of the variable member 20.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제2 상태에서는 제1 삽입 홈(424a)에 제2 삽입 돌기(444b)가 위치하고, 제2 삽입 홈(424b)에 제1 삽입 돌기(444a)가 위치한다. 이때, 제1 축(44) 및 제2 축(48)는 탄성부(46)에 의하여 가압되어 이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제2 상태에서는 제1 삽입 돌기(444a)가 전체적으로 제1 폭을 가져 제2 삽입 홈(424b)에서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가지는 부분에는 삽입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삽입 돌기(444a)는 제1 길이(SL1)보다 작은 제2 길이(SL2)만큼 제1 및 제2 삽입 홈(424a, 424b)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에 의하여 제1 축(44) 및 제2 축(48)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앙부 쪽에 가까운 위치에서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 6B, in the second state,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444b is position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424a, and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444a is position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24b. . At this time, the first shaft 44 and the second shaft 48 are pressed by the elastic portion 46 to maintain this state. In this second state,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444a has a first width as a whole and cannot be inserted into a portion having a second width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24b.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444a ar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424a and 424b by the second length SL2 smaller than the first length SL1. As a result, the first shaft 44 and the second shaft 48 are fixed at positions close to the center of the display module 10.

이때, 제1 상태의 스토퍼 부재(40)는 가변 부재(20)를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단부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고, 제2 상태의 스토퍼 부재(40)는 가변 부재(20)를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단부로부터 멀리 위치하도록 한다. 즉, 제1 상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평면 상태일 때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제2 상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곡면 상태일 때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stopper member 40 in the first state is to be positioned relatively close to the end of the display module 10, the stopper member 40 in the second state relative to the variable member 20 To be located far from an end of the display module 10. In other words, the first state allows the display module 10 to maintain the planar state and the second state enables the display module 10 to maintain the curved state.

상술한 디스플레이 모듈(10), 가변 부재(20) 및 스토퍼 부재(40)의 후면에는 후면 커버(30)가 위치한다. 후면 커버(30)는 패널 구동부 등의 구성이 위치할 공간을 제공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 패널 구동부 등을 외부 충격으로 보호한다. 또한, 후면 커버(30)는 패널 구동부 등을 덮어서 외부에서 내부 구성이 보이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을 향상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후면 커버(30)는 전체적으로 완곡한 곡면으로 이루어져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외관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후면 커버(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물질,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The rear cover 3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10, the variable member 20, and the stopper member 40. The rear cover 30 protects the display module 10, the panel driver, and the like by an external impact while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panel driver and the like is located. In addition, the rear cover 30 serves to prevent the internal configuration from being seen from the outside by covering the panel driving unit and the like and improving the appearance. For example, the rear cover 30 may be formed of a curved surface as a whole to secure enough space and improve appearan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ar cover 30 may have a material, a structure, or the like that may correspond to the shape change of the display module 10.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상 변화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과 함께 도 7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7에서는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후면 커버(3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7의 (a)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평면 상태인 경우를 도시하였고 도 6의 (b)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곡면 상태인 경우를 도시하였다.The shape change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along with FIGS. 1 to 6.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for explaining a shape change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7, the rear cover 30 is omitted for clarity. FIG. 7A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display module 10 is in a planar state, and FIG. 6B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display module 10 is in a curved state.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는 스토퍼 부재(40)의 제1 축(44) 및 제2 축(48)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단부 부근에 치우져서 위치하는 제1 상태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평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6A, when there is no other operation, the first shaft 44 and the second shaft 48 of the stopper member 40 are disposed near the end of the display module 10. It is placed in the first state. Then, as shown in FIG. 7A, the display module 10 maintains the flat state.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을 곡면 상태로 변화하기 위한 명령을 부여하면, 패널 구동부 또는 모터 등의 구동부에 의하여 제2 부분(24)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연결 길이를 짧게 변화시킨다. 즉, 전기 에너지 또는 열 에너지를 제공하여 형상 기억 합금으로 구성된 제2 부분(24)의 연결 길이를 짧게 줄이거나, 기계적 에너지를 제공하여 제2 부분(24)을 회전축에 감는 것에 의하여 연결 길이를 짧게 줄인다. 그러면 제1 부분(22)의 단부가 중앙부 쪽으로 당겨지면서 제1 부분(22)이 전체적으로 휘면서 제1 부분(22)의 단부 영역이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 또한 변화된다. 그러면, 도 7의 (b)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좌우 방향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곡률 반경(R)을 가지는 곡면으로 변형되어 사용자의 몰입감을 좀더 향상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When the user gives a command to change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to the curved state, energy is supplied to the second portion 24 by a driver such as a panel driver or a motor to shorten the connection length. That is,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second part 24 made of the shape memory alloy is shortened by providing electrical energy or heat energy, or the connection length is shortened by winding the second part 24 on the rotational axis by providing mechanical energy. Reduce Then,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22 protrudes toward the front while the end of the first portion 22 is pulled toward the center portion as the first portion 22 is bent as a whole. As a result,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is also changed. Then, as shown in (b) of FIG. 7, the display module 10 is deformed into a curved surface having a generally uniform radius of curvature 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reby improving the immersion of the user.

이때, 제2 부분(24)의 단부가 중앙부 쪽으로 당겨지면서 제2 부분(24)의 단부가 스토퍼 부재(40)의 제1 축(44)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제1 축(44)이 가압되어 제2 축(48)를 가압한 다음, 탄성부(46)에 의하여 다시 베이스부(42a)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기어(442) 및 제2 기어(482)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1 축(44)이 회전하게 되면서 제1 삽입 돌기(444a) 및 제2 삽입 홈(444b)의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즉, 제1 삽입 홈(424a)에 위치하던 제1 삽입 돌기(444a)가 회전에 의하여 제2 삽입 홈(424b)의 위치로 이동하고, 제2 삽입 홈(424b)에 위치하던 제2 삽입 돌기(444b)가 회전에 의하여 제1 삽입 홈(424a)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탄성부(46)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러면, 삽입 깊이가 제2 길이(SL2)만큼 짧아지게 되고, 제1 축(44) 및 제2 축(48)는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앙부 쪽에 치우치는 제2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end of the second portion 24 is pulled toward the center portion, and the end of the second portion 24 presses the first shaft 44 of the stopper member 40. Then, the first shaft 44 is pressed to press the second shaft 48, and then moved back toward the base portion 42a by the elastic portion 46. At this time, the first shaft 44 is rotated by the interaction of the first gear 442 and the second gear 482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444a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44b changes. do. That is,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444a locat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424a moves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24b by rotation, and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locat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24b. 444b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424a by rotation. And it is fixed by the elastic part 46 in this state. Then, the insertion depth is shortened by the second length SL2, and the first axis 44 and the second axis 48 are fixed in the second state relatively biased toward the center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As a result, the curved state of the display module 10 may be maintained.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을 평면 상태로 변화하기 위한 명령을 부여하면, 패널 구동부 또는 모터 등의 구동부에 의하여 제2 부분(24)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연결 길이를 일시적으로 짧게 변화시킨다. 즉, 전기 에너지 또는 열 에너지를 제공하여 형상 기억 합금으로 구성된 제2 부분(24)의 연결 길이를 짧게 줄이거나, 기계적 에너지를 제공하여 제2 부분(24)을 회전축에 감는 것에 의하여 연결 길이를 짧게 줄인다. 이때, 전기 에너지 또는 열 에너지 등은 곡면 상태로의 변형을 위한 경우보다 짧은 시간 동안 제공될 수 있다. 즉, 곡면 상태로의 변형을 위한 경우에는 충분히 연결 길이가 줄어들어 고정될 수 있을 정도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반면, 평면 상태로의 변형을 위한 경우에는 스토퍼 부재(40)의 상태를 변화시킬 정도로만 에너지를 공급하면 족하다. When the user gives a command to change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to a flat state, energy is supplied to the second portion 24 by a driver such as a panel driver or a motor to temporarily change the connection length. . That is,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second part 24 made of the shape memory alloy is shortened by providing electrical energy or heat energy, or the connection length is shortened by winding the second part 24 on the rotational axis by providing mechanical energy. Reduce In this case, the electrical energy or the thermal energy may be provided for a shorter time than the case for the deformation to the curved state. That is, in the case of deformation into a curved state, the connection length is sufficiently shortened to supply energy so that it can be fixed, whereas in the case of deformation into a planar state, the energy is supplied only to change the state of the stopper member 40. That's enough.

그러면 제1 부분(22)의 단부가 중앙부 쪽으로 조금 더 당겨지면서 제2 부분(24)의 단부가 스토퍼 부재(40)의 제1 축(44)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제1 축(44)이 가압되어 제2 축(48)를 가압한 다음, 탄성부(46)에 의하여 다시 베이스부(42a)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기어(442) 및 제2 기어(482)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1 축(44)이 회전하게 되면서 제1 삽입 돌기(444a) 및 제2 삽입 돌기(444b)의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즉, 제1 삽입 홈(424a)에 위치하던 제2 삽입 돌기(444b)가 회전에 의하여 제2 삽입 홈(424b)의 위치로 이동하고, 제2 삽입 홈(424b)에 위치하던 제1 삽입 돌기(444a)가 회전에 의하여 제1 삽입 홈(424a)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탄성부(46)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러면, 삽입 깊이가 제1 길이(SL1)만큼 길어지게 되고, 제1 축(44) 및 제2 축(48)는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단부와 가까이 위치하는 제1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평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end of the second portion 24 then pushes the first shaft 44 of the stopper member 40 as the end of the first portion 22 is pulled further toward the center portion. Then, the first shaft 44 is pressed to press the second shaft 48, and then moved back toward the base portion 42a by the elastic portion 46. At this time, the first shaft 44 is rotated by the interaction of the first gear 442 and the second gear 482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444a and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444b change. do. That is,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444b locat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424a moves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24b by rotation, and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locat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24b. 444a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424a by rotation. And it is fixed by the elastic part 46 in this state. Then, the insertion depth is lengthened by the first length SL1, and the first axis 44 and the second axis 48 are fixed in the first state relatively located near the end of the display module 10. As a result, the planar state of the display module 10 may be maintained.

제2 부분(24)에 스토퍼 부재(40)만을 가압할 수 있는 정도의 에너지만을 제공하였으므로 제2 부분(24)은 스토퍼 부재(40)를 가압한 후에는 최초의 연결 길이로 쉽게 복귀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가변 부재(20)가 최초 상태로 복원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힘을 가하지 않도록 하고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평면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Since only the energy to the pressure of the stopper member 40 is provided to the second part 24, the second part 24 easily returns to the original connection length after pressing the stopper member 40. As a result, the variable member 20 is restored to the initial state so that the display module 10 is not applied to the display module 10 and thereby the display module 10 is returned to the planar stat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시청자의 만족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을 변화할 수 있다. 일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가장자리가 앞으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좌우 방향에서 일정한 곡률 반경(R)을 가지도록 휘는 곡면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2)까지의 거리가 중앙 부분과 측면 부분에서 차이를 가지지 않거나 차이가 있더라도 아주 미세한 수준이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곡면 상태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시사, 교양 프로그램 같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평면 상태를 가지도록 하여 시청자의 다양한 요구를 모두 만족할 수 있다. As such,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may be change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viewer.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display module 10 may protrude forward to have a curved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10 is curved to have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n, the distance from the eyes of the user to the display panel 12 is very fine even if there is no difference or no difference in the center part and the side part. Accordingly, the immersion of the user can be improved. In addition, when a curved state is not required (for example, a preview or a culture program), the display module 10 may have a planar state to satisfy various demands of the viewer.

또한, 스토퍼 부재(4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평면 상태 또는 곡면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러면, 각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전류를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특히, 곡면 상태의 경우)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가변 부재(20)의 형상 변화에 따라 가변 부재(20)가 스토퍼 부재(40)를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스토퍼 부재(40)를 작동할 수 있으므로 스토퍼 부재(40)를 작동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 전력 등이 요구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stopper member 40 may be used to fix the display module 10 in a planar or curved state. Then, the state of the display module 10 can be stably maintained in each state. 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continuously supply the current in order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display module 10 (particularly, in a curved state), power consumption may be minimized. In addition, since the variable member 20 can operate the stopper member 40 by pressing the stopper member 40 according to the shape change of the variable member 20,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operating the stopper member 40. No power is required.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가변 부재(20)에 에너지를 제공하면 가변 부재(20)의 제2 부분(24)의 연결 길이 줄어들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이 변화하도록 설정되었다. 이는 제2 부분(24)의 연결 길이가 늘어나면서 제1 부분(22)을 밀어내는 것보다 연결 길이가 줄어들면서 제1 부분(22)을 당기는 것이 좀더 쉽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변 부재(20)에 에너지를 제공하면 연결 길이가 늘어나도록 설계하는 등의 변형도 가능하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the energy is supplied to the variable member 20,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 is changed while reducing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second part 24 of the variable member 20. This is because it is easier to pull the first portion 22 as the connection length is reduced than to push the first portion 22 as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24 is increa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the energy is supplied to the variable member 20, modifications such as designing to increase the connection length may be possible.

그리고 가변 부재(20)의 상태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좌우 방향에서 곡률을 가지도록 변형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가변 부재(20)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하 방향으로도 곡면을 가지도록 변형하거나, 그 외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display module 10 is deformed to have a curvatur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variable member 2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variable member 20 may be deformed to have a curved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or may be deformed to have various other shapes.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 부재(40)가 고정부(24)의 양쪽 단부에 하나씩 위치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스토퍼 부재(40)는 그 구조 및 방식에 따라 그 위치, 배열 등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topper members 40 are illustrated at one end of each of the fixing parts 2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stopper member 40 may be variously modified in position, arrangement, and the like according to its structure and manner.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변 부재(20)가 지지 부재(14)의 후면에 위치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지지 부재(14)의 사이, 지지 부재(14)의 내부, 지지 부재(14)와 후면 커버(30)의 사이, 후면 커버(30)의 외부 등 다양한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힘을 제공하면 족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variable member 20 is illustrated at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display is displayed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between the display panel 12 and the support member 14, inside the support member 14, between the support member 14 and the rear cover 30, and outside the rear cover 30. It is sufficient to provide a force to change the shape of the panel 12.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or modified with respect to other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모듈
20: 가변 부재
30: 후면 커버
40: 스토퍼 부재
100: display device
10: display module
20: variable member
30: back cover
40: stopper member

Claims (20)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 및
상기 가변 부재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가변 부재의 고정하는 스토퍼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부재는 중앙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고정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가변 부재의 단부 부근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module;
A variable member for changing a shape of the display module; And
A stopper member for fixing the variable memb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variable member.
Including,
The variable member has a central portion fixed to the display module,
And the stopper member is fixed to the display module near an end of the variabl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평면 상태 및 제1 방향에서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만곡되는 곡면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가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변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variable member deforms the display module such that the display module has any one of a planar state and a curved state curved to have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in the first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평면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변 부재를 고정하는 제1 상태와 상기 곡면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변 부재를 고정하는 제2 상태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topper member has a first state of fixing the variable member to maintain the planar state and a second state of fixing the variable member to maintain the curv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부재의 형상 변화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 부재가 작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topper member operates by a change in shape of the variable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부재에서 상기 스토퍼 부재가 위치한 부분에서 상기 스토퍼 부재가 내부에 위치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의 양 단부가 상기 개구부에 고정되고,
상기 가변 부재의 형상이 변화할 때 상기 스토퍼 부재의 적어도 일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스토퍼 부재가 작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An opening in which the stopper member is located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stopper member is located in the variable member;
Both ends of the stopper member are fixed to the opening,
And the stopper member operates by pressing at least one end of the stopper member when the shape of the variable member chang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가변 부재에 의하여 가압되며 제1 기어를 가지는 제1 축; 및
상기 케이스부의 다른 일측에 탄성부에 의하여 탄성력을 받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 기어에 계합되는 제2 기어를 가지는 제2 축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축이 가압되면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제1 축이 회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pper member,
A case part;
A first shaft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case part and pressed by the variable member and having a first gear; And
A second shaft having a second gear engaged with the first gear and positioned to receive elastic force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part by an elastic part;
Including,
And the first shaft is rotated by the interaction of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when the first shaft is press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의 외면에 서로 다른 형상의 제1 삽입 돌기와 제2 삽입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의 상기 일측에 상기 제1 삽입 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1 삽입 홈과 상기 제2 삽입 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삽입 홈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First and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having different shap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haft,
And a first insertion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at the one side of the case par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 돌기가 상기 제1 삽입 홈과 상기 제2 삽입 홈에서 삽입 길이가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And a first insertion protrusion having a different insertion length from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38782A 2013-04-09 2013-04-09 Display apparatus KR1020589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782A KR102058970B1 (en) 2013-04-09 2013-04-09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782A KR102058970B1 (en) 2013-04-09 2013-04-09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106A KR20140122106A (en) 2014-10-17
KR102058970B1 true KR102058970B1 (en) 2019-12-24

Family

ID=5199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782A KR102058970B1 (en) 2013-04-09 2013-04-09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97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057A1 (en) * 2021-12-14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534B1 (en) * 2015-01-30 2021-09-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20220148997A (en) 2021-04-29 2022-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6710B2 (en) * 1996-07-12 1999-02-10 日本電気移動通信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057A1 (en) * 2021-12-14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106A (en) 2014-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927B1 (en) Display apparatus
EP2782152B1 (en) Display apparatus
KR102206456B1 (en) Display apparatus
KR20140101166A (en) Display apparatus
KR101989989B1 (en) Display apparatus
EP2674930B1 (en) Display
TWI555943B (en) Adjustable display device
JP6316189B2 (en) Display device
KR102058970B1 (en) Display apparatus
CN110009999B (en) Back co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48360B1 (en) Display apparatus and variable member used for the same
KR20140117182A (en) Display apparatus
KR102090642B1 (en) Display apparatus and rear cover used for the same
US20150124483A1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135094B1 (en) Display apparatus
KR102104444B1 (en)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135087B1 (en)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40147562A (en) Display apparatus
KR20140122917A (en)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