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142A -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 Google Patents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142A
KR20130021142A KR1020110083493A KR20110083493A KR20130021142A KR 20130021142 A KR20130021142 A KR 20130021142A KR 1020110083493 A KR1020110083493 A KR 1020110083493A KR 20110083493 A KR20110083493 A KR 20110083493A KR 20130021142 A KR20130021142 A KR 20130021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appliance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user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4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09027B1 (en
Inventor
심종훈
박형준
김양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3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027B1/en
Priority to EP12181412.3A priority patent/EP2562967B1/en
Priority to US13/591,801 priority patent/US20130214935A1/en
Publication of KR20130021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1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0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s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continuously access specific information the user needs at any place inside or outside a home via communication between home appliances and a wireless terminal, thereby facilitating remote control and remote information management of the home appliances at remote places. CONSTITUTION: Multiple home appliances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and a display unit each have a predetermined device ID. A wireless terminal has a unique device ID and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home appliances. A server system(1) is equipped in a home and stores device IDs. The server system communicates with multiple home appliances(100) and the wireless terminal. As a precondition for the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home appliances or between the home appliance and the server system, an authentication process between the server system and the home appliance is required. The home appliances transmit or receive information or signal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wireless terminal. [Reference numerals] (1) Server system; (101,CC,201) Control unit; (102,AA,202) Communication unit; (103,BB,203) Input unit; (104,DD,204) Display unit; (105,EE) Driving unit; (106,FF,206) Memory unit; (11,16) DM server; (12) DL server; (13) ONM server; (14) Legacy server; (15) Notification server; (2) Representative site; (310) External service business operator server; (320) Payment agency; (GG) User 1; (HH) User 2; (II) User 3

Description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Electronic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기제품와 무선단말기 간에 통신이 가능하게 구현되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 등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고 전기제품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applian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in detail,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he wireless terminal is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provide the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can remotely manage the electrical appliance. Electrical applian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집안 내부에 배치되는 전기제품의 경우, 냉장고, 세탁기, 공기조화기와 같이, 각 전기제품의 특성에 맞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In the case of electrical appliances arranged inside the house, such as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nd an air conditioner, it provides convenience to the user while performing a function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lectrical appliance.

최근에는 집안 내에 있는 전기제품들이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일명 '홈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러한 홈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격으로 집안 내에 있는 전기제품을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In recent years, the electrical appliances in the house form a so-called 'home network' in which a single network is connected, and through such a home network, the user can remotely control the electrical appliances in the house.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집에 부재중 이어도, 전기제품을 on/off 시키거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Through this, even when the user is not at home, it is possible to turn on or off the electrical appliances or control the function.

다만, 이러한 홈네트워크를 통한 전기제품의 제어는 전기제품 본래의 동작에 국한될 수 밖에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the control of the electrical appliance through such a home network has a limitation that can only be limited to the original oper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최근 집안 내부의 전기제품의 스마트화 경향에 따라서, 전기 제품 본연의 기능 이외에도 다른 편의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전기제품의 경우, 홈 네트워크에 편입되어 있지 않고 단독으로만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다른 구성요소들과 함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Recently, according to the trend of smartization of electric appliances inside the house, electric appliances that provide other convenience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original functions of electric appliances have been released, but such electric appliances are not added to the home network but added only by themselv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 in creating synergies with other components by providing a functional function.

본 발명은 전기제품과 무선단말기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서 여러 종류의 정보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al applian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at can enhance the user's convenience by communicating between an electrical appliance and a wireless terminal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r signals accordingly.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통신부와 표시부를 구비하며, 소정의 디바이스 ID를 구비하는 전기제품과;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display unit, the electrical appliance having a predetermined device ID;

상기 전기제품의 통신부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기제품과 연동되어 상기 전기제품에서 발생된 정보나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생성된 정보나 신호를 상기 전기제품방향으로 송신하는 무선단말기와,A wireless terminal having a communication unit and a display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n connection with the electrical appliance to receive information or signals generated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or to transmit the generated information or signal toward the electrical appliance Wow,

상기 전기제품 및 무선단말기와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디바이스 ID가 저장되고 서버시스템을 포함하되, Is provid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he wireless terminal, the device ID is stored and includes a server system,

상기 전기제품에서 생성되는 신호 또는 정보가 상기 무선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거나,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신호 또는 정보가 상기 전기제품의 표시부에 표시되거나 상기 전기제품의 구동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signal or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electrical applianc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the signal or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wireless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or change the driving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Provides electrical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상기 전기제품이 조리기기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요리시간과 온도를 세팅하면, 상기 조리기기가 원격으로 제어되어 요리시간과 온도가 세팅됨으로써,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요리를 할 수 있다.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nfigured as a cooking appliance, when the user sets the cooking time and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the cooking appliance is controlled remotely so that the cooking time and temperature are set, so that it is easy from the outside. I can cook it.

상기 전기제품이 세탁기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세탁기기의 세탁코스과 세탁시간을 세팅하여 세탁기를 제어할 수 있어서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세탁을 할 수 있다.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nfigured as a washing machine, the user can control the washing machine by setting a washing course and a washing time of the washing machine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so that washing can be performed easily from the outside.

상기 전기제품이 복수개의 상업용 세탁기로 구성되는 경우, 용이하게 이용가능한 세탁기를 파악할 수 있고, 타인이 무단으로 자신이 사용 중인 세탁기를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어서 세탁물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mercial washing machines, it is possible to identify a washing machine that is readily available, and it is possible to know that another person uses the washing machine in use without permission, thereby preventing theft of laundry.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가족의 스케쥴 정보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grasp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mily.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가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한 구매리스트나 위시리스트가 용이하게 냉장고 또는 무선단말기 사이에 송수신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urchase list or a wish list generated or updated by a user may be easily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a refrigerator or a wireless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전기제품의 문을 열지 않고도 카메라 촬영된 데이터로서 전기제품의 내부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internal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s the camera photographed data without opening the doo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집 외부에 있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집 내부를 감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side of the house can be continuously monitored even when outside the house.

그리고, 유아나 어린이가 세탁기 안에 들어가서 안전사고를 당하기 이전에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before the infant or child enters the washing machine and receives a safety accident, the infant or child may be detected and notified to the user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도1은 본 발명의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어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서 사용자 정보 및 전기제품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 정보 및 전기제품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서 무선단말기에 전용 어플리 케이션을 인스톨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를 받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서 조리기기가 원격으로 제어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에서 세탁기가 원격으로 제어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에서 상업용 세탁기의 정보를 원격으로 확인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에서 다수의 전기제품의 작동정보를 무선단말기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에서 세탁기의 코스를 편집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세탁물의 태그를 이용하여 세탁코스를 추천받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가족 스케쥴을 공유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있어서, 메세지가 공유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가족 위치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저장식품 또는 위시리스트가 관리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6은 본 발명에 있어서, 레서피를 기반으로 위시리스트가 관리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있어서, 촬영된 사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시리스트가 관리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8은 본 발명에 있어서, 영수증 인식을 기반으로 저장식품 리스트가 관리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9는 본 발명에 있어서, 구매패턴이나 주기를 기반으로 위시리스트가 관리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20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전기제품 내부 상황 감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2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집안 내부 상황 감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2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전기제품 이상작동 감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23은 본 발명에서 건강정보를 바탕으로 추천식단을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24는 본 발명에서 전기제품과 무선단말기 간에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25와 도26은 본 발명에서, 전기제품이 SNS를 이용하여 메세지를 남기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gistering user information and electrical appliance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leting user information and electrical appliance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installation of a dedicated application on the wireless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receives the service accordingly.
Figure 6 shows that the cooking appliance is controlled remotely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that the washing machine is controlled remotely in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remotely confirming information of a commercial washing machin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hows that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rmed by a wireless terminal.
Figure 10 shows the editing of the course of the washing machin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llustrates that the washing course is recommended using the laundry tag in the present invention.
12 illustrates sharing a family schedul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llustrates that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ssage is shared.
Figure 14 illustrates sharing family location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shows that the stored food or wish list is manag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shows that the wish list is managed in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recipe.
FIG. 17 illustrates that a wish list is managed based on photographed picture data.
18 illustrates that the list of stored foods is managed based on receipt recogn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llustrates that the wish list is managed based on a purchase pattern or a cycl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shows t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nal condition monitoring of an electric appliance is performed.
Fig. 21 shows t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rnal situation monitoring of the house is performed.
Figure 22 shows that the abnormal operation monitoring of the electrical appliance for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is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shows providing a recommendation diet based on health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24 shows data exchange between an electric appliance and a wireless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25 and 26 illustrate a state in which an electric product leaves a message using SNS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제품 정보관리시스템의 중심에는 가정 등에 마련되는 전기제품들의 등록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등록되어 저장되는 서버시스템(1)과, 상기 서버시스템(1)과 통신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 및 전기제품들의 등록정보를 기입하여 제공할 수 있는 대표사이트(2)가 마련된다.At the cente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rver system 1 in which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of electrical appliances provided in a home and the like is registered and stored, and a user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system 1. Representative site (2) is provided which can fill in the information and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s to provide.

그리고, 상기 서버시스템(1)은 주변의 여러 요소들과 통신가능하게 마련된다.In addition, the server system 1 is provid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various elements around.

우선, 상기 서버시스템(1)은 가정이나 사무실에 마련되는 전기제품(100)들과 연결되어 전기제품(100)들을 통하여 요청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전기제품(100) 방향으로 펌웨어나 기타 운용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server system 1 is connected to electrical appliances 100 provided in a home or an office to provide information requested through the electrical appliances 100, or firmware or other operating software toward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Can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서버시스템(1)과 통신하는 전기제품(100)은 각각 고유의 디바이스 ID를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ical appliances 100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system 1 each have a unique device ID.

한편, 상기 서버시스템(1)과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전기제품(100)이 하나의 장소(가정 또는 사무실)에 둘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 둘 이상의 전기제품(100)들은 상기 서버시스템(1)과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 할 뿐만 아니라, 각 전기제품(1) 끼리도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Meanwhile, when two or more electrical appliances 100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system 1 exist in one place (home or office), the two or more electrical appliances 100 are connected to the server system 1. In addition to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each electrical appliance (1)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이를 통해 하나의 전기제품(1)에서 생성되거나 관리하는 정보가 다른 전기제품(100)에 전달되어 정보의 공유를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하나의 전기제품(100)에 입력되거나 생성된 정보가 다른 전기제품(1)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Through this, information generated or managed by one electrical appliance 1 may be transferred to another electrical appliance 100 to share information. Furthermore, information input or generated in one electrical appliance 10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other electrical appliance 1.

한편, 상기 서버시스템(1)은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무선단말기(200)와도 통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무선단말기(200)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server system 1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terminal 200 owned by the user.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be configured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capable of internet acc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무선단말기(200)도 전기제품과 같이 고유의 디바이스 ID를 구비하고, 서버시스템(1)과 상호 인증 절차를 거침으로써 서버시스템(1)과 통신할 수 있는데, 상기 무선단말기(200)와 상기 서버시스템(1) 간의 통신을 통하여, 원격지(가정, 사무실) 내에 마련되는 전기제품(100)에 대한 원격제어 및 원격 정보 관리가 가능하다.The wireless terminal 200 also has a unique device ID, such as electrical appliances,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server system 1 by undergoing a mutual authentication procedure with the server system 1,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 system 1, it is possible to remote control and remote information management for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provided in a remote place (home, office).

따라서, 무선단말기(200)에 입력되거나, 무선단말기에서 관리되는 정보나 신호가 상기 서버시스템(1)을 통하여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원격지에 마련되는 전기제품(100)에 전달되어 해당 전기제품에 표시 또는 저장이 될 수 있다.Therefore, information or signals inpu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managed by the wireless terminal are transmitt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provided at a remote location through the server system 1 or via the Internet network, and displayed on the electrical appliance. Or storage.

또한, 상기 전기제품(100)에서 생성되거나, 관리되는 정보, 또는 신호가 상기 서버시스템(1)을 통하여 또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무선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nformation or signals generated or managed by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may be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server system 1 or through an internet network.

한편, 상기 무선단말기(200)와 상기 서버시스템(1) 사이에 정보나 신호 교환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무선단말기(200) 쪽에서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자동적으로 상기 서버시스템(1)에서 상기 무선단말기(200) 방향으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업데이트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exchange information or signals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server system 1,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automatically in the server system (1) Firmware or software upgrade or update is possible toward the terminal 200.

상기 서버시스템(1)이 상기 전기제품이나 스마트폰과 연결되는 것 이외에도, 외부 서비스 제공자(300)와 연결되어 외부 서비스 제공자(300)가 제공하는 정보나 신호 또는 프로그램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server system 1 being connect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or the smart phone, the server system 1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300 to provide information, signals, or programs provided by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300 to the user.

즉, 쇼핑센터나, 학원, 학교, 병원, 기타 방송국 등과 연결되어 이러한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정보를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전기제품(100)이나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는 통로역할을 상기 서버시스템(1)이 제공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erver system is connected to a shopping center, a school, a school, a hospital, and other broadcasting stations to provide a path for provid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se operators to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terminal 200 that users are using. (1) can provide.

즉, 상기 서버시스템(1)으로부터 인증받은 전기제품(1)을 통해서 특정 외부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버시스템(1)이 해당 사용자의 정보 또는 전기제품의 정보를 외부 사업자(300)에게 제공하고, 필요한 정보가 해당 사용자로 전달될 수 있도록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re is a request for a service provided by a specific external operator through the electrical appliance 1 certified by the server system 1, the server system 1 externally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user or the electrical appliance information. It is provided to the operator 300, and serves as an intermediary so that necessary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to the user.

이러한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는 원격으로 쇼핑이나, 생활정보, 의료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고, 외부사업자(300)는 서버시스템(1)을 통하여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사용자의 정보를 취득하고, 그에 맞는 광고나 서비스 안내를 할 수 있다.Through such a service, a user can be provided with shopping, living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nd the like remotely, and the external provider 300 obtains the user's information by obtaining the user's consent through the server system 1, and The right advertisement or service guide can be provided.

한편, 상기 서버시스템의 중개에 의하여 특정사용자(U)가 다른 사용자(U')와 정보 또는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Meanwhile, a specific user U may exchange information or a signal with another user U 'by mediation of the server system.

즉, 특정사용자(U)가 자신의 특정한 전기제품(100)의 입력부와 표시부를 이용하여 소정의 정보를 생성하거나 관리하고, 이를 다른 사용자(U')와 공유하고자 할 경우, 상기 서버시스템(1)을 통하여 이러한 정보를 관리하면서, 다른 사용자(U')에게 제공할 수 있다.That is, when a specific user U wants to create or manage predetermined information using an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of his or her specific electrical appliance 100 and share it with another user U ', the server system 1 By managing this information, it can be provided to the other user (U ').

즉, 상기 서버시스템(1)에 의하여 인증된 사용자끼리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 자신의 운동정보나, 건강정보, 레서피 정보 등을 다른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여러 사용자간의 친목을 도모하거나, 상호 간에 운동이나 건강관리에 대한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case of providing th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s authenticated by the server system 1, by showing the user's exercise information, health information, recipe information, etc. to other users to promote the friendship between several users, or mutual exercise It aims to be able to motivate people to manage their health.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사용자에게 속해 있는 복수의 전기제품(100)의 구성을 보면, 제어부(101)와, 통신부(102), 입력부(103), 표시부(104), 구동부(105), 메모리 부(106)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configura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100 belonging to one user is shown, the control unit 101, the communication unit 102, the input unit 103, the display unit 104, and the driving unit 105 are described. ), A memory unit 106.

여기서, 상기 통신부(102)는 상기 서버시스템(1) 또는 다른 전기제품의 통신부,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통신부(202)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Here, the communication unit 102 serves as a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unit 202 of the server system 1 or other electrical appliances,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상기 입력부(103)는 버튼이나 터치패드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소정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표시부(104)는 외부에서 전달되거나 사용자가 관리하는 정보를 시각화 하여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The input unit 10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utton or a touch pad so that a user can input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the display unit 104 serves to visualize and displa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r managed by the user.

상기 구동부(105)는 전기제품의 특성에 따라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즉, 전기제품이 냉장고인 경우, 압축기, 냉기팬 등이 구동부가 되고, 세탁기의 경우, 구동모터나 급수 밸브가 구동부를 구성할 것이다.The drive unit 105 is a part that performs a natural fun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n other words, i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a refrigerator, a compressor, a cold fan, or the like will be the driving unit, and in the case of a washing machine, the driving motor or the water supply valve will constitute the driving unit.

상기 메모리부(106)는 사용자가 관리하거나, 외부에서 제공받은 정보가 저장되는 곳이다.The memory unit 106 is a place where information managed by a user or externally provided is stored.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경우도, 제어부(201), 통신부(202), 입력부(203), 메모리부(206)를 포함하는데, 그 기능은 상기 전기제품의 그것들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이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하겠다.The wireless terminal 200 also includes a control unit 201, a communication unit 202, an input unit 203, and a memory unit 206, and the functions thereof are similar to thos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so that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duplicated. I will omit it to prevent it.

한편, 상기 서버 시스템(1)은 외부 사업자 서버(310)와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고, 이를 사용자의 전기제품(10)으로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rver system 1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operator server 310, can exchange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user's electrical appliance (10).

그리고, 쇼핑 등과 같이 대금결제가 필요한 서비스의 경우, 상기 서버시스템(1)은 외부의 결제 대행사(320)와도 통신가능하게 마련되어, 서비스의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ervice that requires payment, such as shopping, the server system 1 is also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payment agency 320 to serve to facilitate the progress of the service.

한편, 상기 서버시스템(1)은 여러 사용자와 동시에 접속하여, 이들간의 정보교환이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본 도면에서 복수의 사용자는 사용자 1(U1), 사용자2(U2), 사용자3(U3) 등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각 사용자들은 상기 전기제품(100)이나 무선단말기(200) 등을 통하여 다른 사용자와 정보교환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server system (1) is connected to a number of users at the same time, to provide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m.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users are represented as User 1 (U1), User 2 (U2), User 3 (U3), and the like, and each user is a different user through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Information exchange with is possible.

즉, 각 사용자가 구비한 전기제품(100)의 구성요소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구성요소는 상술한 전기제품의 구성요소( 제어부(101)와, 통신부(102), 입력부(103), 표시부(104), 구동부(105), 메모리 부(106))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구성요소(제어부(201)와, 통신부(202), 입력부(203), 표시부(204), 메모리 부(206))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That is, the components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provided by each user or the components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re the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lectrical appliances (control unit 101, communication unit 102, input unit 103, display unit) (104), drive unit 105, memory unit 106) or components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ontrol unit 201, communication unit 202, input unit 203, display unit 204, memory unit 206) Same or similar to)).

상기 서버시스템(1)에는 상기 사용자 ID와 함께 해당 전기제품의 디바이스 ID 및 특성정보(예컨대, 제품종류, 모델정보 등등)가 함께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In the server system 1, a device ID a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eg, product type, model information, etc.) of a corresponding electric product may be registered together with the user ID.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 ID는 제품종류나 모델정보와 같은 제품의 특성정보와 관계없이 만들어질 수도 있지만, 제품의 특성정보가 함께 코드화되어 있을 수 있다.The device ID may be generated regardless of produ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such as product type or model information, but produ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be coded together.

그래서, 디바이스 ID만을 가지고 상기 서버시스템(1)은 해당 제품의 종류나 모델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Thus, the server system 1 may be made to recognize the type or mode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with only the device ID.

사용자는 상기 서버시스템(1)에 등록된 전기제품(100)에 대해서는 그 전기제품(100)을 통해서 서비스를 요청하여 받을 수 있다.The user may request and receive a service through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for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registered in the server system 1.

예컨대,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창을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그 냉장고는 서버시스템(1)에 통신하여 해당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 desired service is selected and input through the display window of the refrigerator, the refrigerator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system 1 to request the corresponding service.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을 보다 편리하게 하고, 또한, 전기제품(100)의 관리 서비스 항목의 확장을 위해서 전기제품 이외의 다른 수단을 통한 서비스 요청을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In order to make the service request of the user more convenient, and to expand the management service item of the electric appliance 100, it may be necessary to enable the service request through means other than the electric appliance.

전기제품(100)을 통하여 서버시스템(1)에 억세스하는 경우에는 억세스할 때 상기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고유계정을 통해 억세스함에 따라 서버시스템(1)이 서비스 대상을 특정지을 수 있지만, 전기제품(100)을 통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떻게 서비스 대상의 전기제품(100)을 특정할 지가 결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When the server system 1 is accessed through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the server system 1 specifies a service target according to the access through the unique accoun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It can be built, but if not through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t may be necessary to determine how to specify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to be serviced.

일례로, 사용자는 대표 사이트(2)에 접속하여 서비스받고자 하는 전기제품(100)의 디바이스ID를 입력하면서 서비스를 요청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access the representative site 2 and request a service while inputting the device ID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to be serviced.

그러나,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전기제품(100)들의 디바이스 ID를 모두 기억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in this case,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remember all of the device IDs of the electrical appliances 100 owned by the user.

상기 대표 사이트(2)는 그러한 불편을 해소하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대표 사이트(2)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ID와 패스워드를 부여받을 수 있다.The representative site 2 may be made to solve such inconvenience. A user may register with the representative site 2 as a member and receive an ID and password.

사용자는 상기 대표사이트(2)에 로그인하여 자신이 보유한 전기제품(100)을 모두 등록할 수 있다. The user may log in to the representative site 2 and register all of the electric products 100 owned by the user.

대표 사이트에 등록된 전기제품(100)들은 서버시스템(1)에 해당 사용자 ID와 함께 등록될 수 있다. Electrical appliances 100 registered in the representative site may be registered with the corresponding user ID in the server system (1).

이는, 상기 대표 사이트(2)에서 자동으로 상기 서버시스템(1)에 그 정보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This may be done by automatically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server system 1 at the representative site 2.

또한, 상기와 같은 전기제품(100)의 서버시스템(1)에의 등록은 후술하게 될 활성화(activation) 절차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gistr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n the server system 1 may be performed through an activation procedur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어느 경우이든, 사용자가 ID를 발급받는 경우 그 ID는 그 사용자의 전기제품(100)과 함께 서버시스템(1)에 등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In any case, when a user is issued an ID, the ID may be registered and managed in the server system 1 together with the electric product 100 of the user.

상기 대표 사이트(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접수된 서비스는 운영자가 서버시스템(1)에 해당 관리서비스를 위한 명령을 내림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The service received from the user through the representative site 2 can be performed by the operator giving the server system 1 an instruction for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service.

또는, 오픈 API를 통해 상기 대표 사이트(2)가 서버시스템(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대표 사이트(2)를 통해 서버시스템(1)에 직접 관리 요청을 할 수 있게 된다. Alternatively, the representative site 2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system 1 through an open API, and in this case, the user may directly request a management system to the server system 1 through the representative site 2.

서버시스템(1)에는 관리 서비스를 위한 서버측 프로토콜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서버측 프로토콜은 제품의 상기 클라이언트측 관리프로토콜과 연동하여 요청된 관리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The server system 1 is provided with a server side protocol for a management service, and the server side protocol performs the requested management service in conjunction with the client side management protocol of the product.

서버시스템(1)과 전기제품(100) 간의 상기와 같은 관리 서비스 수행을 위한 프로토콜로서 OMA DM 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다.The OMA DM protocol may be used as a protocol for performing the above management service between the server system 1 and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물론, OMA DM이 아닌 다른 솔루션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OMA DM 프로토콜을 이용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Of course, a solution other than OMA DM may be used. In this embodiment, the OMA DM protocol is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관리 서비스를 위해 다음과 같은 관리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ice may include the following management contents.

부트스트랩(Bootstrap):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DM(디바이스 매니지먼트) 클라이언트가 최초로 관리 세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후술할 DM(디바이스 매니지먼트) 서버와의 인증 정보 및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과정을 Bootstrap이라고 한다.Bootstrap: In order for the DM (device management) client of the electronic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perform a management session for the first time,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a DM (device management) serv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 network for network connect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is required, and the process for this is called Bootstrap.

프로비져닝(Provisioning): 최초로 관리 세션을 수행하는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는 부트스트랩을 통하여 DM(디바이스 매니지먼트) 서버에 등록이 되며,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구성을 최신으로 업데이트한다.Provisioning (Provisioning):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performing the management session for the first time is registered with the DM (devic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bootstrap,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order to provide a service,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updated to the latest.

이를 위한 과정을 프로비져닝이라 한다.The process for this is called provisioning.

콘피겨레이션 메니지먼트(Configuration Management):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 관련 설정 정보를 조회, 변경 또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설정, 조회, 변경하는 관리 작업을 디바이스구성(Device Configuration) 관리라 한다.Configuration Management: Management of setting up, inquiring and changing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ic appliance 100 or wireless terminal 200 or setting, inquiring and changing service related information is called device configuration management. .

콘트롤 메니지먼트(Control Management):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를 제어하는 관리작업을 말한다.Control Management: Refers to a management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사용자 알림(User Alert): DM(디바이스 매니지먼트) 서버는 DM (디바이스 매니지먼트) 클라이언트에게 Alert 신호를 보냄으로써 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관리 작업에 대한 내용을 알리거나, 승인을 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와 상호 작용을 통하여 향상된 관리 작업이 가능하다.User Alert (DM) The DM server sends an Alert signal to a DM (Device Management) client so that the user can be notified of the management task or approved through the screen of the terminal. In other words, improved management is possible through interaction with users.

진단 및 모니터링(Diagnostic and Monitoring): 사용자가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를 사용하는 중에 성능저하 또는 장애가 발생될 수 있다. Diagnostic and Monitoring: Degradation or failure may occur while a user uses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이런 상태를 미리 인지하고 인지된 상황에 맞는 조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제품 사용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진단 및 모니터링(Diagnostic and Monitoring) 관리라 한다.It is necessary to be aware of this condition in advance and to provide users with a stable environment for using the product through appropriate actions. This task is called Diagnostic and Monitoring Management.

펌웨어 업데이트 메니지먼트(Firmware Uptate Management): 제조 업체에서 단말기를 판매한 후에 단말기상의 문제가 발생하거나, 기능상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위한 관리 작업이다.Firmware Update Management (Firmware Uptate Management): If a problem occurs on the device or a change in function occurs after the device is sold by the manufacturer, there is a case where the firmware is updated.

소프트웨어 콤포넌트 메니지먼트(Software Component Management): 단말기에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설치, 업데이트, 삭제하는 관리작업을 소프트웨어 관리라 한다.Software Component Management: Software management that installs, updates, and deletes software components on a terminal is called software management.

백업 및 복원 메니지먼트(Backup and Restore Management): 단말기의 데이터를 DM 서버에 백업/복원하는 관리작업이다.Backup and Restore Management: Backup and Restore Management is a management task to back up / restore the data of the terminal to the DM server.

한편, 상기 서버시스템(1)은 위치적으로는 여러 곳에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에 서버시스템 1을 설치하고, 미국에 서버시스템 2를 설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rver system 1 may be distributed in various places in a location. For example, the server system 1 may be installed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server system 2 may be installed in the United States.

또한, 상기 서버시스템(1)은 역할에 따라 다수의 서버로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system 1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rvers according to the role.

상기 서버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들은 아래와 같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ervers constituting the server system are as follow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DM 서버(DM Server) ><DM Server>

DM 서버(11)의 역할은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DM 클라이언트에게 단말관리 명령을 내리는 것이다. 여기서 DM클라이언트는 상기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통신부(102,202)의 기능 중 제품 관리와 관련된 기능을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The role of the DM server 11 is to issue a terminal management command to the DM clien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DM client is a component that specifically performs functions related to product management among the functions of the communication units 102 and 202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즉, 관리 명령을 통해 펌웨어 업데이트(모뎀 펌웨어/OS) 관리작업, 소프트웨어 관리작업, 진단 관리작업 등등을 원격으로 처리하는 관리기능을 제공한다.That is, it provides a management function to remotely handle firmware update (modem firmware / OS) management work, software management work, diagnostic management work, etc. through management commands.

DM 서버(11)는 세션 메니지먼트(Session Management) 영역, 서큐리티 메니지먼트(Security Management) 영역, DM 프로토콜 프로세스(DM Protocol Process) 영역, 싱크엠엘 프로토콜 엔진(SyncML Protocol Engine)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M server 11 may include a session management area, a security management area, a DM protocol process area, a SyncML protocol engine area, and the like. .

< DL서버(DL Server) ><DL Server>

DL 서버(12)는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DL 클라이언트에게 파일을 전송하는 것이다.The DL server 12 transmits a file to the DL clien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즉, DD(Download Descriptor)를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의 정보를 전달하여, DL 클라이언트가 정확하게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at is, the DL client delivers the information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DD (Download Descriptor), thereby providing a function of accurately downloading the file.

여기서 DL클라이언트는 상기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통신부(102,202)의 기능 중 다운로드와 관련된 기능을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Here, the DL client is a component that specifically performs a function related to downloading among the functions of the communication units 102 and 202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다운로드되는 파일은 펌웨어 업데이트 패키지와 소프트웨어 관리 패키지가 있다. DL서버는 세션 메니지먼트(Session Management) 영역, 패키지 메니지먼트(Package Management) 영역, 다운로드(Download) 영역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ownloaded file includes a firmware update package and a software management package. The DL server may include a session management area, a package management area, a download area, and the like.

< 오엔엠서버(ONM Server) 또는 사용자 포털(User Portal) ><ONM Server or User Portal>

ONM 서버(13)의 역할은 DM서버(11) 또는 DL 서버(12) 및 후술할 레가시(Legacy)서버(14)와 인터페이스하며, 비즈니스 로직이 구현된다.The role of the ONM server 13 interfaces with the DM server 11 or DL server 12 and the legacy server 14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business logic is implemented.

운영자는 ONM 서버(13)의 관리 웹 페이지를 통하여 관리 명령을 내리거나, 관리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The operator can issue a management command or query management information through the management web page of the ONM server 13.

사용자 포털은 ONM서버(13)의 일부 기능을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he user portal provides some functions of the ONM server 13 to the general user.

이때, DM 서버(11)의 오픈 API를 통해 구현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포털을 통해 DM 서버에 관리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implemented through the open API of the DM server 11. The user can make a management service request to the DM server through the user portal.

< 레가시서버(Lagacy Server) >Legacy Server

ONM 서버(13)가 연동되는 대표적인 레가시(Legacy)서버(14)는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 정보를 전달받는 서버와 사용자 정보를 전달받는 서버가 있다.The legacy legacy server 14 to which the ONM server 13 is interworked includes a server that receives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a wireless terminal 200 and a server that receives user information.

즉, 사용자 정보 또는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정보를 ONM 서버(13)로 전달하여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That is, the user information or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transmitted to the ONM server 13 to provide information for implementing business logic.

< 통지서버(Notification Server) ><Notification Server>

통지서버(15)는 DM 서버(11)의 통지 메시지를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로 전송한다. The notification server 15 transmits the notification message of the DM server 11 to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통지서버(15)는 세센 제너레이션(Session Generation) 영역, 스케쥴 메니지먼트(Schedule Management) 영역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notification server 15 may include a session generation area, a schedule management area, and the like.

만약,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 단말기(200)가 사설망(private network)에 존재한다면,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와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서버 측에 특별하게 구성되는 연결메니져(Connection Manager)가 필요할 수 있다.I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exists in a private network, a connection manager specially configured on the server side for maintaining a connection with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 Connection Manager) may be required.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 단말기(200)가 부팅후 자동으로 TCP 연결을 요청할 수 있으며, 연결메니져는 요청된 TCP 연결을 유지한다. DM 서버(11)는 이를 통해 통지 메시지를 전달한다.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automatically request a TCP connection after booting, and the connection manager maintains the requested TCP connection. The DM server 11 delivers a notification message through this.

상기 통지서버(15)는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200) 또는 전기제품(100)과 통신가능하게 마련되어, 전기제품(100) 상의 정보(저장물 관리정보, 쇼핑 위시리스트, 상품 구매 완료 정보, 결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notification server 15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user's wireless terminal 200 or electrical appliance 100, information o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store management information, shopping wish list, product purchase completion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 Changes, it notifies the user.

< 오픈 API(Open API) ><Open API>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은 DM 서버에서 제공되는 오픈 API를 통해 단말기들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다.An application of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can remotely manage the terminals through an open API provided by a DM server.

한편, 상기 서버시스템(1)은 데이터 베이스 서버(16)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rver system 1 may include a database server 16.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16)는 상기 대표사이트에 회원가입하여 ID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base server 16 may include a user information database in which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 having an ID by registering on the representative site is stored.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사용자의 개인정보(성명, 주소, 전화번호 등)가 수록될 수 있고, 한편으로는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전기제품에 관한 정보(보유 수량, 제품 종류)도 수록될 수 있다.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may store user's personal information (name, address, telephone number, etc.), and on the other hand, information (amount owned, product type) about electric products owned by the user may also be stored. .

이하에서는 관리 서비스의 내용 및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tents and procedures of the management service will be described.

도3은 회원가입 및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활성화에 관해 도시하고 있다.3 illustrates membership and activ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표 사이트(2)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하면서 ID와 패스워드를 부여받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be given an ID and a password while accessing the representative site 2 and signing up for membership.

전기제품 활성화는 사용자의 전기제품(100)이나 무선단말기(200)를 서버시스템에 등록하는 절차라 할 수 있다.The activ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may be referred to as a procedure for registering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of the user in the server system.

전기제품(100)이나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는 사용자 ID(User ID), 패스워드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이 팝업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그 화면을 통해 활성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pop up a window for inputting a user ID, a password, etc., and the user may perform an activation procedure through the screen.

사용자가 자신의 ID 및 패스워드를 화면에 입력하고, 활성화를 위한 명령을 입력하면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는 사용자 ID, 패스워드, 디바이스ID, 및 제품 특성정보 등을 사용자 사이트(2)로 전송하게 된다.When the user inputs his ID and password on the screen and inputs a command for activatio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displays the user ID, password, device ID, and produ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Will be sent).

이때, 전기제품(100)이나 무선단말기(200)의 메모리부에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가 저장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put user ID and password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그래서, 상기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Thus, it can be used to authenticate a user through the user ID and password.

상기 디바이스ID는 전기제품(100)이나 무선단말기(200)에 기 입력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활성화 절차를 수행할 때 자동으로 전기제품(100)이나 무선 단말기 (200)내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The device ID may be previously input to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may be automatically generated i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when the activation procedure is performed.

또는, 전기제품(100)이나 무선 단말기(200)를 사서 처음으로 온시킬 때 자동으로 디바이스ID가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device ID may be automatically generated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purchased and turned on for the first time.

상기 전기제품(100)이나 무선 단말기(200)의 특성정보로는 이들의 모델정보, 제품코드, 제조일자, 생산 제품번호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include their model information, product code, manufacturing date, production product number and the like.

또한, 활성화 절차에서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 단말기(200)는 패스워드, 서비스 URL 및 서버의 ID와 패스워드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ctivation procedure,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password, the service URL, and the ID and the password of the server together.

활성화 절차에서 사용자 사이트(2)에 전송하는 정보 중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제외한 정보는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 단말기(200)에서 자동으로 생성되거나 기 입력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Information, except for the user ID and password, of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site 2 in the activation procedure may be automatically generated or pre-input i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활성화 절차를 통해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 단말기(200)로부터 전술한 정보들이 사용자 사이트에 수신되면 사용자 사이트(2)는 그 사용자 ID에 해당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를 등록한다.When the above-mentioned information is received at the user site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activation procedure, the user site 2 registers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with the user ID. .

그래서, 사용자 사이트(2)에는 사용자 ID별로 그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기제품(100)또는 무선단말기(200)가 등록된다.Thus, in the user site 2, the electric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used by the user for each user ID is registered.

이후, 사용자 사이트(2)는 서버시스템(1)으로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 디바이스ID, 제품 특성정보 등을 전송한다. 이때, 서버의 ID 및 패스워드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site 2 transmits the user ID and password, the device ID, the produ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like to the server system 1. At this time, the ID and password of the server may be transmitted together.

서버시스템(1)은 전송된 정보에 대해 먼저 인증을 수행한다. 그래서, 인증이 통과되면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 디바이스ID, 제품 특성정보 등이 서버시스템(1)에 등록된다. 이때, 디바이스 패스워드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The server system 1 first authenticates the transmitted information. Thus, if authentication passes, the user ID and password, device ID, produ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registered in the server system 1. In this case, the device password may also be transmitted.

이러한 활성화 절차는 서버시스템(1) 및 사용자 사이트(2)로 접속할 수 있는 통신환경이 구비된 상태라면 장소에 구애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품을 구입한 그 구입처에서 활성화 절차를 대신 수행해 줄 수도 있다.This activation procedure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place as long as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accessing the server system 1 and the user site 2 is provided. For example, an activation procedure may be performed instead at the place of purchase.

사용자는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해당 전기제품(100)이나 무선 단말기(200)의 표시부에서 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다.The user may request a service from the display unit of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receive the service.

예컨대,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 원하는 서비스의 화면을 팝업시킨 후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서비스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popping up a screen of a desired service on a display uni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a user ID and password may be input and a service request may be performed.

이때, 상기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에서는 서비스 요청과 관련된 정보 이외에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와 디바이스ID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transmit a user ID, a password, and a device ID together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rvice request.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사이트(2)를 통해서도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사이트(2)에는 관리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웹페이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웹페이지에서 원하는 관리 서비스를 요청할 수도 있다.The user can also request a desired service through the user site 2. The user site 2 may be provided with a web page for requesting a management service, and the user may request a desired management service from the web page.

사용자로부터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사이트(2)는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정보를 서버시스템(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와 디바이스ID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When a service is requested from a user, the user site 2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rvice request to the server system 1. In this case, the user ID, password, and device ID may be transmitted together.

또한, 사용자는 고객 콜센터에 전화를 걸어 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다. 고객 콜센터에는 ARS 시스템으로 관리서비스를 접수받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call a customer call center to request a service. The customer call center may be designed to receive managed services through the ARS system.

한편, 사용자는 등록된 자신의 전기제품(100)이나 무선 단말기(200) 등록 취소 또는 폐지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may perform a procedure for canceling or abolishing the registered his or her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상기 전기제품(100)이나 무선단말기(200)의 화면에서 등록 취소 또는 폐지를 위한 화면을 팝업시키고,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등록 취소 또는 폐지 명령을 입력하면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 단말기(200)는 대표 사이트(2) 또는 서버시스템(1)에 접속하여 그 등록 취소 또는 폐지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On the scree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a pop-up screen for canceling or abolishing the registration, entering a user ID and password, and then entering a registration cancellation or abolition command,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connects to the representative site 2 or the server system 1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cancellation or revocation of the registration.

그리고, 대표 사이트(2) 또는 서버시스템(1)은 그에 따라 해당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등록을 취소 또는 폐지하게 된다.Then, the representative site 2 or the server system 1 will cancel or abolish the registr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accordingly.

또한, 사용자는 대표 사이트(2)에서 회원탈퇴를 할 수 있는데, 회원탈퇴를 하면 그 사용자에 속하여 등록된 전기제품(100)또는 무선단말기(200)들은 모두 등록이 취소 또는 폐지된다.In addition, the user can withdraw from the member at the representative site (2), if the membership withdrawal, all registered electrical products 100 or wireless terminal 200 belonging to the user is canceled or abolished.

도4에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의 삭제를 요청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4 illustrates a procedure for requesting the user to delete his / her user ID and password through the terminal.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 화면에서 삭제할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전송하면 대표 사이트(2) 또는 서버시스템(1)은 해당 회원의 정보 및 그에 속한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들의 등록을 모두 취소 또는 폐지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Enter the ID and password to be delet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ransmit the representative site (2) or server system (1) is the information of the member and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wireless belonging to the member The procedure of canceling or abolishing all registrations of the terminals 200 may be performed.

한편,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단말기(1)를 통해서도 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다. 도5(a)는 관리서비스를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는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request can also be made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1 such as a smartphone. Figure 5 (a) illustrates the appearance of downloading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the management service.

사용자가 전기제품에 부착된 QR코드를 스마트 폰(200)을 이용하여 읽어들이면, 스마트폰(200)의 화면에 모바일 웹이 표시된다. 그리고, 모바일 웹에 나타난 소정의 선택 버튼 중 앱(어플리케이션) 설치 버튼을 누르면 앱 인스톨과 관련된 화면으로 바뀐다.When the user reads the QR code attached to the electrical product using the smart phone 200, the mobile web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phone 200. When an app (application) installation button is pressed among predetermined selection buttons displayed on the mobile web, the screen changes to a screen related to app installation.

그리고, 인스톨 버튼을 누르면, 해당 앱이 스마트 폰(200)에 설치된다. And, if you press the install button, the app is installed on the smartphone (200).

여기서 앱(어플리케이션)은 서버시스템(1)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되며,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전기제품을 관리할 수 있다.Here, the app (application) becomes an interfa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erver system 1, through which the user can remotely manage electrical appliances using a smart phone.

도5(b)에는 스마트폰(200), 고객콜센터, 및 전기제품(그 도면에는 전기제품으로서 세탁기 및 냉장고를 도시하였다)(100)를 통해서 서비스를 요청하는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FIG. 5 (b) illustrates a request for service through a smartphone 200, a customer call center, and an electrical appliance (the figure shows a washing machine and a refrigerator as electrical appliances).

전기제품(100)을 통해서 서비스 요청을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기제품(100)의 표시부에 나타난 입력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① 번의 경우)When the service request is made through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the user may request a service by inputting a user ID and a password by using an input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n the case of ①).

전기제품(100)을 통해서 서비스 요청을 하는 경우, 상기 서버시스템(200)은 해당 전기제품(100)에 대해서 필요한 서비스(정보제공, 고장진단)를 수행하고(③의 경우), 해당 전기제품(100)은 서버 시스템 방향으로 서비스 결과를 전송한다(④의 경우).When the service request is made through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the server system 200 performs the necessary service (information provision, failure diagnosis) for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n the case of ③), and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appliance ( 100 transmits the service result toward the server system (in case of ④).

스마트폰(200)을 통해 서비스 요청을 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관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시동한 후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면서 전기제품에 대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②번의 경우).When the service request is made through the smart phone 200, the user may start a management servic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200 and then request a service for an electric product while inputting a user ID and password (in case of ②). .

스마트폰(200)은 서비스 요청을 위해,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정보를 서버시스템(1)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디바이스ID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The smartphone 20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on the service request to the server system 1 for the service request, and may transmit the user ID, the password, and the device ID together.

상기 서버시스템(1)은 해당 전기제품(100)에 대해서 필요한 서비스(정보제공, 고장진단)를 수행하고(③의 경우), 해당 전기제품(100)은 서버 시스템(1) 방향으로 서비스 결과를 전송한다(⑤의 경우).The server system 1 performs a necessary service (information provision, failure diagnosis) for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n the case of ③), and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receives the service result in the direction of the server system 1. Transmit (if ⑤).

이하에서는 도1 및 도2에서 나타난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에서 전기제품(100)과 무선단말기(200)간에 상기 서버시스템(1)을 매개로 한 정보 또는 신호를 교환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exchanging information or signals via the server system 1 betwee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the electrical applian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S. 1 and 2 will be described. .

상기 전기제품(100)과 무선단말기(200)간 정보교환의 전제조건으로, 상기 서버시스템(1)과 전기제품(100) 및, 상기 서버시스템(1)과 상기 무선단말기(200) 간의 인증절차가 필요하다.As a prerequisite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an authentication procedure between the server system 1 and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and the server system 1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needed.

인증은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에서 서버시스템(1)에 접속을 하는 경우, 서버시스템(1)측에서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에 대해서 인증요구를 하고, 사용자는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인증에 필요한 정보(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 기타 인증번호) 등을 입력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authentication is connected to the server system 1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erver system 1 side requests the authentic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user may be performed by inputting information (user ID and password, other authentication number) necessary for authentication by manipulating the input uni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본 발명에서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 또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전기제품(100)이 원격 제어되거나, 상기 전기제품(100)의 상태 정보가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s remotely controlled by the information or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an be displayed.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기제품(100)이 전기오븐인 경우 사용자는 무선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전기오븐을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for example, when the electric appliance 100 is an electric oven, the user may control the electric oven by us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즉, 무선단말기(200)와 상기 전기오븐이 상호 인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요리시간과 온도조절 명령을 하면, 전기오븐은 명령한 요리 시간과 온도로 세팅된다.That is, when the user commands the cooking time and temperature control in the state i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electric oven are mutually authenticated, the electric oven is set to the commanded cooking time and temperature.

그 후, 상기 전기 오븐은 상기 무선단말기(200) 방향으로 시간과 온도의 세팅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한편, 구동 상태를 알린다.Thereafter, the electric oven notifies that the setting of time and temperature is completed in the dire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informs the driving state.

그리고, 사용자가 무선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요리 종료시간을 예약하면, 상기 전기오븐에서는 요리 종료시간이 세팅되고, 상기 전기오븐은 상기 무선단말기(200) 방향으로 요리 종료시간이 세팅되었음을 알린다.When the user reserves a cooking end time us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cooking end time is set in the electric oven, and the electric oven notifies that the cooking end time is set in the dire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도7에서는 전기제품(100)이 세탁기인 경우에, 상기 무선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원격 운전 설정을 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FIG. 7 illustrates that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s a washing machine, remote operation setting can be made us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즉, 세탁기와 무선단말기(200)가 상호 인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선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세탁코스와, 시간을 설정하고, 구동명령을 내리면, 세탁기에서는 명령된 대로 코스와 시간이 세팅된다.That is, when the washing machine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are mutually authenticated, when the user sets the washing course and time us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issues a driving command, the washing machine sets the course and time as instructed. do.

그리고, 세탁기에서 무선단말기(200) 방향으로 세팅 완료 및 구동 상태를 알린다.Then, the washing machine informs the setting completion and driving state in the dire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이후 세탁이 종료되면, 세탁이 종료되었다는 신호가 상기 세탁기 로부터 무선단말기(200) 방향으로 송신되고,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는 세탁이 종료되었다는 메세지가 표시된다.After the washing is finished,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washing is finished is transmitted from the washing machine toward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washing is finish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도8에서는 셀프 세탁소에 복수개의 상업용 세탁기가 설치된 경우, 가용한 세탁기의 정보 또는 세탁기의 사용정보를 무선단말기(200)를 통해 볼 수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In FIG. 8, when a plurality of commercial washing machines are installed in a self-laundry, information of available washing machines or usage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s can be viewed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200.

즉, 도8(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셀프 세탁소에 복수의 세탁기가 마련되고, 셀프세탁소에는 각각의 세탁기와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통신장치가 마련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8A, a plurality of washing machines are provided in a self-cleaning laundry, and a communication device is provided in the self-cleaning laundry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each washing machine.

상기 통신장치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단말기(200)과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며, 통신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 도8(b)와 같은 여러가지 종류의 메세지가 표시된다.The communication device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 wireless terminal 200 such as a user's smart phone, and various types of messages as shown in FIG. 8 (b)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to be communicated. do.

구체적인 사용 실시예를 도8(c)를 참고해서 보면, 상업용 세탁기와 무선단말기(200) 간에 상호 인증이 된 상태에서, 사용작 무선단말기(200)를 통해서 세탁기 사용정보를 요구하면, 상업용 세탁기 측에서 현재 가용한 세탁기의 정보를 송신한다(도8(b) 첫 번째 그림 참조).Referring to Figure 8 (c) of a specific use example, when the washing machine usage information is requested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commercial washing machine and the commercial washing machine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mutually authenticated, the commercial washing machine side Transmits the currently available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see the first figure of FIG. 8 (b)).

또한, 사용자가 특정한 세탁기에 세탁물을 넣고 구동시킨 이후에, 세탁이 종료되면, 세탁이 완료되었다는 메세지가 상기 세탁기로부터 무선단말기(200) 방향으로 송신되고, 무선 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된다(도8(b) 두 번째 그림 참조).In addition, after the user puts the laundry into a specific washing machine to drive the laundry, when the washing is finished,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washing is completed is transmitted from the washing machine toward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Figure 8 (b) See second figure).

한편, 세탁이 종료된 이후에 도어락 해제 시도를 하는 경우, 상기 세탁기에서 무선 단말기(200) 방향으로 사용자 인증 요청을 보낸다. 사용자가 무선단말기(200)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면, 도어락이 해제되고, 사용자는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수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lock release attempt after the washing is finished, the washing machine sends a user authentication request toward the wireless terminal (200). When the user authenticates the user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door lock is released, and the user can collect the laundry in which the washing is completed.

다만, 사용자 인증 요청이 있었는데,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계속 도어락 해제 시도가 있는 경우에는 세탁기에서는 확인되지 않은 사용자가 세탁기를 조작하는 것으로 인식한다.However, if there is a user authentication request, and the door lock release attempt is continuously made without authentication, the washing machine recognizes that the unidentified user operates the washing machine.

세탁기는 경고 메세지를 무선단말기(200) 방향으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단말기(200) 표시부에 그러한 경고 메세지가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알 수 있게 한다(도8(b) 세 번째 그림 참조).The washing machine transmits a warning message in the dire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warning mess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so that the user can know it (refer to the third figure of FIG. 8 (b)).

도9는 무선단말기(200)를 통해서 가정 내에 있는 모든 전기제품(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9 shows that the wireless terminal 20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all the electrical appliances 100 in the home.

즉, 무선단말기(200)를 통하여 AP(무선공유기)의 보안을 설정하여 다른 사람이 무선 인터넷을 임의로 사용할 수 없도록 설정한다.That is, by setting the security of the AP (wireless router)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set the other person to use the wireless Internet arbitrarily.

그리고, 무선단말기(200)를 이용하여 가정 내 전기제품(100)의 신호 송신 요청을 한다. 이 요청을 수신한 각 전기제품(100)에서 무선단말기(200) 방향으로 송신을 하면, 상기 무선단말기(200)와 각 전기제품(100)을 포함하는 네트워크가 설정된다.Then,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used to make a signal transmission request of the home appliance 100.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receiving the request is transmitted toward the wireless terminal 200, a network includ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each electrical appliance 100 is established.

이후, 사용자가 상기 무선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전기제품(100)의 on/off 동작 및 구동 조절명령을 터치 또는 음성방식으로 수행하면, 해당 전기제품(100)은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하고, 현재 상태를 무선단말기(200) 방향으로 송신한다.Subsequently, when the user performs the on / off operation and driving control command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us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a touch or voice manner,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performs a user's command. The current state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그에 따라서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는 각 전기제품(100)의 구동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riving state of each electrical appliance 10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도10은 전기제품(100)과 무선단말기(200) 간에 통신을 통하여 전기제품(100)의 운전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FIG. 10 shows that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100 can be edited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ic appliance 1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제품(100)이 세탁기로 구성되는 경우에, 세탁기와 무선단말기(200)는 상호 인증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10,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s a washing machine, the washing machine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perform mutual authentication.

그리고, 세탁기에서 무선단말기(200) 방향으로 세탁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세탁정보는 그동안 세탁기가 수행했던 세탁 히스토리, 코스 , 구동시간, 세제량 등을 포함한다.Then, the washing machine transmits the washing information toward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laundry information includes a laundry history, a course, a driving time, a detergent amount, and the like, which the washing machine has performed.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DB에 세탁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선택에 따라서 코스를 편집할 수 있다. 즉, 표준코스에서 세탁시간을 늘리거나, 헹굼 횟수를 줄이거나, 탈수 시간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코스를 편집할 수 있는 것이다.Laundry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B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user may edit the course according to his / her choice. In other words, you can edit your favorite course by increasing the washing time in the standard course, reduce the number of rinses, or adjust the dehydration time.

사용자가 무선단말기(200)를 이용하여 편집된 코스로 세탁기가 동작되도록 코스 구동명령을 내리면, 세탁기에서 코스 구동을 수행하고, 구동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기(200)로 제공한다.When the user issues a course driving command to operate the washing machine with the course edited us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driving is performed by the washing machine, and the driving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도11는 무선단말기(200)가 태그 , 또는 QR코드, 케어라벨(C) 등을 인식하고, 인식한 정보를 전기제품(100) 측에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 11 illustrates that the wireless terminal 200 recognizes a tag, a QR code, a care label, and the like, and provides the recognized information to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side.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제품(100)이 세탁기로 구성되는 경우, 세탁기와 무선단말기(200)는 상호인증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11,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ncludes a washing machine, the washing machine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perform mutual authentication.

그리고, 무선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세탁물에 붙어 있는 태그 , 또는 QR코드, 케어라벨(C)을 읽으면, 무선단말기(200)에서 태그 , 또는 QR코드, 케어라벨(C)과 관련된 세탁정보가 표시된다.When the tag attached to the laundry, or the QR code and the care label (C) are read us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wash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ag, the QR code, or the care label (C) is read from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displayed.

그리고, 상기 무선단말기(200)에서 세탁기 방향으로 각 세탁물 특성에 맞는 코스를 추천하여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코스를 동작시키면 세탁기에서 무선단말기(200) 방향으로 현재의 동작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recommend and transmit a course suitable for each laundry characteristic in a washing machine direction.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urse, the washing machine may provide current operation information toward the wireless terminal 200.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전기제품(100)의 입력부를 통하여 소정의 정보 또는 신호가 생성되고, 이를 상기 무선단말기(200)로 송신하도록 설정되면,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해당 정보 또는 신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정보가 스케쥴 정보 또는 메세지 정보인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edetermined information or a signal is generated through an input uni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and is set to transmit the information or signal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information or signal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provided. Can be displayed. In particular, a case may be considered in which the information is schedule information or message information.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제품(100)이 냉장고인 경우, 냉장고와 무선단말기(200) 간에는 상호 인증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2,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s a refrigerator, mutual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refrigerator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사용자가 냉장고에 마련되는 입력부를 이용하여 스케쥴을 입력하면, 입력된 스케쥴 정보가 무선단말기(200)로 송신되고, 무선단말기(200) 표시부에는 스케쥴이 업데이트 된 상태가 표시된다.When a user inputs a schedule by using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the input schedul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display por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displays the updated schedule.

한편, 사용자가 무선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스케쥴을 입력하면, 입력된 스케쥴이 냉장고로 전송되고, 냉장고의 표시부에는 업데이트된 스케쥴이 표시된다.Meanwhile, when a user inputs a schedule us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input schedule is transmitted to the refrigerator, and the updated schedul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refrigerator.

이를 통하여, 가족 일 구성원이 스케쥴을 변경하는 경우, 모든 가족들이 변경된 스케쥴을 알 수 있다.Through this, when a family member changes the schedule, all the family members can know the changed schedule.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제품(100)이 냉장고인 경우, 냉장고와 무선단말기(200) 간에 상호 인증을 수행한 이후, 사용자가 냉장고의 입력부를 이용하여 소정의 메세지를 입력하면, 그 메세지가 다른 사용자의 무선단말기(200)로 송신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s a refrigerator, after mutual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refrigerator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when a user inputs a predetermined message using an input unit of the refrigerator, the message is displayed. May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of another user.

이 경우, 다른 사용자의 무선단말기(200)에는 메세지가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a message may be displayed on the wireless terminal 200 of another user.

한편, 사용자가 자신의 무선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메세지를 입력하면, 입력한 메세지가 냉장고로 송신되고, 냉장고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when a user inputs a message using his wireless terminal 200, the input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refrigerator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refrigerator.

한편, 본 발명에 의하여, 상기 전기제품(100)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생성되고, 이를 상기 무선단말기(200)로 송신하도록 설정되면, 상기 무선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전기제품(100)방향으로 위치신호가 송신되고, 상기 전기제품(100)의 표시부에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 signal for reques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generated through the inpu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and is set to transmit it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wireless terminal ( The posi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200 toward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and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도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제품(100)과 무선단말기(200) 간에 상호 인증이 완료된 이후에, 사용자가 전기제품(100)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상기 무선단말기(200) 방향으로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after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completed, a user manipulates an input uni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toward the wireless terminal 200. You can request

상기 무선단말기(200)는 위치 정보 요청을 받은 경우, 현재 위치 정보를 전기제품(100)으로 송신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전기제품(100)의 표시부에는 무선단말기(200)로 부터 받은 각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wireless terminal 200 receives a request for location information,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transmit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and through this, each position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May be displayed.

특히, 가족 구성원의 위치가 궁금한 경우, 본 발명을 이용하여 각 가족 구성원의 위치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In particular, if you are curious about the location of family members, it will be easy to grasp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family member using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 의하여 상기 전기제품(100)의 입력부를 통하여 소정의 정보가 생성되거나 업데이트 되고, 이를 상기 무선단말기(200)로 송신하도록 요청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는 수신된 정보가 표시되거나,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다른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generated or updated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and requested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received. Th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r other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즉, 도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제품(100)이 냉장고로 구성되고, 냉장고와 무선단말기(200) 간의 상호 인증이 완료된 이후에, 사용자는 냉장고에 저장된 저장식품의 리스트나 쇼핑 위시 리스트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15, after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s configured as a refrigerator, and the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the refrigerator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completed, the user can view a list of stored foods or a shopping wish list stored in the refrigerator. You can update it.

이 경우, 업데이트 된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기(200) 방향으로 송신되고,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는 업데이트 된 저장식품의 리스트 또는 쇼핑 위시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pd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ward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list of the updated stored food or the shopping wish lis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한편, 사용자는 무선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냉장고에 저장된 저장식품의 리스트나 쇼핑 위시 리스트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may update the list of stored foods or the shopping wish list stored in the refrigerator by us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이 경우, 업데이트 된 정보는 상기 냉장고 방향으로 송신되고, 상기 냉장고의 표시부에는 업데이트 된 저장식품의 리스트 또는 쇼핑 위시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pdate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in the direction of the refrigerator, and the list of the updated stored food or the shopping wish lis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refrigerator.

도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제품(100)이 냉장고로 구성되고, 냉장고와 무선단말기(200) 간의 상호 인증이 완료된 이후에, 사용자가 냉장고 표시부에 표시되는 여러가지 레서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레서피에 필요한 식재료 리스트가 생성되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s configured as a refrigerator, and after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the refrigerator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completed, the user selects any one of various recipes displayed on the refrigerator display unit, A list of ingredients required for the recipe may be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사용자는 표시된 식재료 리스트를 기반하여 식재료 위시 리시트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무선단말기(200)에 송신을 하면,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는 수신된 식재료 위시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The user may generate a food wish list based on the displayed food ingredient list, and when it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received food wish lis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도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제품(100)이 냉장고로 구성되고, 냉장고와 무선단말기(200) 간의 상호 인증이 완료된 이후에, 사용자가 냉장고에 마련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위시리스트에 넣을 특정한 제품을 촬영하면, 냉장고의 제어부에 의하여 제품이 인식되고, 그 제품에 대한 정보가 생성된다.As shown in FIG. 17, after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s configured as a refrigerator and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the refrigerator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completed, a specific product to be put on a wish list by using a camera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When photographing, the product is recogniz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refrigerator, and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is generated.

그리고, 그 제품이 위시리스트에 포함되어 위시리스트가 업데이트 되면, 업데이트 정보가 무선단말기(200) 방향으로 송신되고,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 위시리스트의 업데이트 정보가 표시된다.When the product is included in the wish list and the wish list is updated, the upd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ward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update information of the wish lis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도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제품(100)이 냉장고로 구성되고, 냉장고와 무선단말기(200) 간의 상호 인증이 완료된 이후에, 사용자는 무선단말기(200)를 이용해 쇼핑한 물품의 영수증을 촬영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무선단말기(200)에서 구매한 상품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after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s configured as a refrigerator, and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the refrigerator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completed, the user can take a receipt of the goods that are shopping us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is, the product information purchas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200 can be recognized.

그리고, 무선단말기(200)에서 전기제품(100) 방향으로 구매상품 정보가 송부되는 경우, 상기 냉장고에서는 구매상품 리스트가 생성되고, 이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보관할 상품만을 골라서, 보관상품 리스트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is sent from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a purchase product list is generated in the refrigerator, and the user selects only the product to be stored and updates the stored product list by using the list. can do.

도19은 전기제품(100)이 사용자의 제품 구매 패턴이나 구매 히스토리를 파악하여 예상 위시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 19 illustrates that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generates a predicted wish list by grasping a user's product purchase pattern or purchase history.

전기제품(100)이 냉장고로 구성되고, 냉장고와 무선단말기(200) 간의 상호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냉장고의 표시부에는 사용자의 구매 패턴이나 구매 히스토리를 기반으로 하여 예상 위시 리스트를 생성한다.In the state where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s configured as a refrigerator and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the refrigerator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completed, the display unit of the refrigerator generates an expected wish list based on a purchase pattern or a purchase history of the user.

도19(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유와 와인을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구매하고, 구매 시기가 다가온 경우, 해당 제품의 구매 의사를 물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19A, when a user periodically purchases milk and wine, and a purchase time approaches, a purchase intention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may be asked.

이때, 사용자가 와인을 구매하겠다고 입력하면, 와인이 위시리스트로 이동하여 위시 리스트가 업데이트 된다.At this time, if the user inputs to purchase wine, the wine is moved to the wish list is updated wish list.

업데이트 된 위시리스트는 무선단말기(200)로 전송되고, 무선단말기(200)에서는 위시리스트가 업데이트 된다.The updated wish list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wish list is updat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상기 무선단말기(200)에 마련되는 입력부와, 상기 전기제품(100) 내부에 마련되어 그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되,Further comprising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a camera provided inside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to photograph the inside,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입력부를 통하여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기제품(100)의 카메라에 의하여 상기 전기제품(100)의 내부가 촬영되고,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정보가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predetermined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and the captured image or video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도2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카메라가 마련되는 전기제품(100)과 무선단말기(200) 간에 상호 인증이 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전기제품(100) 내부 상황이 촬영되어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0, in a state where mutual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provided with a camera therein,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an image or Video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냉장고 저장실에 마련되는 카메라 또는 전기 오븐의 조리실 내부에 마련되는카메라에 의하여 냉장고 저장 상황 또는 전기 오븐 조리실 내의 요리 진행상황이 촬영될 수 있다.The refrigerator storage situation or the cooking progress in the electric oven cooking chamber may be photographed by a camera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storage room or a camera provid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of the electric oven.

이와 같이 촬영된 동영상 또는 이미지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기(200)로 송신되고,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서는 그러한 동영상 또는 이미지 정보가 표시된다.The video or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video or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이와 같은 기능에 의하여 사용자가 전기제품(100) 내부를 직접 들여다보지 않아도 용이하게 전기제품(100) 내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By such a function,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without directly looking into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기제품(100)에 마련되는 카메라 부 및 상기 전기제품(100)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전기제품(100)이 놓인 공간에 관한 감시 및 촬영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기제품(100)의 구동부 및 카메라부가 작동하여 해당 공간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상기 무선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전송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amera unit provided i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and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n which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s placed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When the monitoring and recording command for the input is input, the drive unit and the camera uni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s operated to shoot the corresponding space, and transmit the captured image or video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transmitted image or The video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즉, 도2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를 구비한 청소기와 같은 전기제품(100)과 상기 무선단말기(200)가 상호 인증된 상태에서, 무선단말기(200)로부터 집안 내부의 촬영 명령이 내려지면, 청소기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집안 내부 상황을 촬영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21, when the electric appliance 100, such as a cleaner having a camera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mutually authenticated, when a recording command from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inside of the house The cleaner uses the camera to take pictures of the inside of the house.

그리고, 촬영한 동영상 또는 이미지 정보를 무선단말기(200) 방향으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서는 동영상 또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외부에서도 집안 내부를 감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ptured video or imag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ward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video or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is allows the user to monitor the inside of the house from the outside.

한편, 상기 청소기에 구비된 화재감지 센서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집안 내의 사고나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청소기는 사고 또는 화재 내용을 무선단말기(200)로 신속하게 송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detecting an accident or a fire in the house using a fire sensor or a camera provided in the cleaner, the cleaner can quickly transmit the accident or the fire content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기(200)에는 사고 또는 화재 내용이 표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 질 수 있다.Therefore, the user's wireless terminal 200 may display the contents of the accident or the fire,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respond.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전기제품(100)에 마련되는 센서부가 배치되되,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상기 전기제품(100)의 이상작동이 센싱되고, 센싱된 데이터가 상기 무선단말기(200)로 송신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 상기 전기제품(100)의 이상작동이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unit provided i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s disposed, and abnormal oper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s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and the sensed data is set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this case, abnormal oper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즉, 도2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와 같은 전기제품(100)과 무선단말기(200) 간에 상호 인증이 된 상태에서, 세탁기가 작동 중이지 않은 경우에 드럼의 이상 회전감지를 한 경우, 세탁기는 무선단말기(200) 방향으로 세탁기를 확인해 달라는 요청 메세지를 송신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22, in the state where the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such as a washing machine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washing machine is not in operation when the abnormal rotation detection of the drum, washing machine Transmits a request message for checking the washing machine toward the wireless terminal 200.

즉, 드럼 세탁기의 경우, 유아가 도어를 열고 드럼 내부로 들어가서 질식할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전기제품(100)의 이상작동 여부를 알리고 전기제품(100)을 확인해달라는 요청을 하는 것이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drum washing machine, there is a risk that the infant opens the door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drum to suffocate, so as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the user is notified of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and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t is asking for confirmation.

그러한 메세지가 송신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는 그 위험 감지 및 확인 요청 메세지가 표시된다.When such a message is transmitted, the risk detection and confirmation request mess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100)에서는 확인 요청을 위한 알람음이 발생한다.In additio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generates an alarm sound for a request for confirmation.

더 나아가, 세탁기의 경우, 도어가 폐쇄된 경우, 유아의 질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탁기에 마련되는 배관들이 개방되어 환기 모드에 돌입함으로써, 드럼 내부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washing machine, when the door is closed, pipes provided in the washing machine are opened to enter the ventilation mode to prevent the choking of the infant, thereby supplying air into the drum.

한편,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200)에 입력된 사용자의 건강정보(혈압, 운동량 등)를 전기제품(100)에 송신하여 건강정보를 표시하고, 추천식단정보를 제공할 수 도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health information (blood pressure, exercise amount, etc.) of the user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to display the health information and provide recommended diet information.

도2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와 같은 전기제품(100)과 무선단말기(200)가 상호 인증된 상태에서, 만보기가 장착된 무선단말기(200)가 측정한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혈압정보가 전기제품(100)으로 송신된다.As shown in FIG. 23, in the state where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such as a refrigerator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are mutually authenticated, the user's exercise information and the user's input measured by the wireless terminal 200 equipped with the pedometer are input. Blood pressur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그리고, 전기제품(100)에 마련되는 무채혈 혈당 센서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여 혈당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을 취합하고 이를 근거로, 상기 전기제품(100)의 표시부에는 사용자의 종합적인 건강정보가 표시되고, 추천 식단이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blood sugar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measuring blood glucose using a bloodless blood glucose sensor provided i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The information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on the basis of the display uni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Health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nd the recommended diet may be displayed.

그리고, 이러한 건강정보 또는 추천식단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기(200) 방향으로 송신되고,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된다.The health information or recommendation termin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ward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 파일이나 음악파일을 전기제품(100)에 전송하여 전기제품(100)에서 이미지 파일 또는 음악파일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the image file or the music file that the user desires to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so that the image file or the music file can be activated i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즉, 도2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 또는 냉장고와 같은 전기제품(100)과 무선단말기(200)가 상호 인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선단말기(200)에 저장된 음악파일, 동영상 파일, 이미지 파일을 전기제품(100)으로 송신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4, in a state where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such as a washing machine or a refrigerator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are mutually authenticated, a user stores a music file, a video file, and an image file stor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상기 전기제품(100)은 송신된 파일들을 다운로드 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파일들을 재생시켜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시각적, 청각적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다.The electrical appliance 100 may download the transmitted files, and selectively reproduce the files to form a visual and auditory atmosphere suitable for a user's taste.

한편, 본 발명에서,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전기제품(100)과 무선단말기(200)가 상호 간에 네트워킹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SNS (social network service) may perform networking with each other.

즉, 도2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와 같은 전기제품(100)이 무선단말기(200)와 상호 인증이 된 상태에서 전기제품(100) 측에서 상기 무선단말기(200) 방향으로 SNS의 친구등록을 신청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25,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such as a washing machine registered in the dire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the dire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n the state of mutual authent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200 Apply for

사용자가 무선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전기제품(100)의 친구등록을 승인하면, 상기 전기제품(100)은 전기제품(100)의 구동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 그러한 정보가 메세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When a user approves a friend registr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us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may prov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with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of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Th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message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즉, 세탁기와 무선단말기(200)가 통신하는 경우, 무선단말기(200)에서 볼 수 있는 SNS에 세탁기가 친구로 등록될 수 있고, 세탁기의 세탁 수행과 관련된 정보(예, 세탁완료 표시)가 사용자의 무선단말기(200)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washing machine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washing machine may be registered as a friend in the SNS that can be seen by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washing performance of the washing machine (for example, washing completion indication) is displayed by the user. It can be displayed on the wireless terminal 200.

도2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제품(100)과 무선단말기(200) 간에 상호 인증이 되고, 사용자와 전기제품(100)이 SNS 친구가 된 상태에서, 전기제품(100)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자가진단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체진단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26,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are mutually authenticated, and the user and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become SNS friends, a failure occurs in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In addition, self-diagnosis is performed by self-diagnosis program.

그리고, 자체 진단 결과를 웹 상의 사용자 SNS 게시판에 기재하면, 상기 무선단말기(200)에서는 자신의 SNS게시판에 글이 등록되었다는 문자가 표시된다.When the self-diagnosis result is written on the user SNS bulletin board on the web, the wireless terminal 200 displays a text indicating that the post has been registered on its SNS bulletin board.

사용자가 그러한 문자를 보고 자신의 SNS 게시판을 방문함으로써 전기제품(100)이 남긴 고장과 관련되는 메세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message related to the failure left by the electrical appliance 100 by visiting the SNS bulletin board by viewing the text.

1: 서버시스템 2:대표사이트
100: 전기제품 101: 제어부
102: 통신부 103: 입력부
104: 표시부 105: 구동부
106: 메모리부 200: 무선단말기
1: server system 2: representative site
100: electrical appliance 101: control unit
102: communication unit 103: input unit
104: display unit 105: drive unit
106: memory unit 200: wireless terminal

Claims (21)

통신부와 표시부를 구비하며, 소정의 디바이스 ID를 구비하는 전기제품과;
상기 전기제품의 통신부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기제품과 연동되어 상기 전기제품에서 발생된 정보나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생성된 정보나 신호를 상기 전기제품방향으로 송신하는 무선단말기와,
상기 전기제품 및 무선단말기와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디바이스 ID가 저장되고 서버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전기제품에서 생성되는 신호 또는 정보가 상기 무선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거나,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신호 또는 정보가 상기 전기제품의 표시부에 표시되거나 상기 전기제품의 구동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An electrical appliance having a communication section and a display section, the electrical appliance having a predetermined device ID;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communication unit and a display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n connection with the electrical appliance to receive information or signals generated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or to transmit the generated information or signal toward the electrical appliance Wow,
Is provid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he wireless terminal, the device ID is stored and includes a server system,
The signal or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electrical applianc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the signal or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wireless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or change the driving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Electrical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의 통신부와 상기 무선단말기의 통신부는 상기 서버시스템과 상호 인증과정을 거친 이후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after the mutual authentication process with the server system, the electrical applian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선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 또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전기제품이 원격 제어되거나, 상기 전기제품의 상태 정보가 상기 무선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wireless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The electrical applian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al appliance is remotely controlled by the information or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or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은 조리기기로 구성되되,
상기 무선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요리시간과 온도를 세팅하면, 상기 조리기기가 원격으로 제어되어 요리시간과 온도가 세팅되고,
요리가 종료되면, 상기 무선단말기로 요리 종료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mposed of a cooking appliance,
When the user sets the cooking time and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the cooking appliance is remotely controlled to set the cooking time and temperature,
The electric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nd of cooking, the end of cooking to the wireless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은 세탁기로 구성되되,
상기 무선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세탁기기의 세탁코스과 세탁시간을 세팅하면, 상기 세탁기가 원격으로 제어되어 세탁코스와 세탁시간이 세팅되고,
세탁이 종료되면, 상기 무선단말기로 세탁 종료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ctrical appliance consists of a washing machine,
When the user sets the washing course and the washing time of the washing machine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the washing machine is remotely controlled to set the washing course and the washing time,
When the washing is finished, the electrical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notifying the end of the laundry to the wireless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은 복수개의 상업용 세탁기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단말기와 상기 세탁기가 통신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기에는 복수의 상업용 세탁기 중 이용가능한 세탁기의 정보 또는 확인되지 않은 세탁기 사용자의 세탁기 조작 사실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ctrical appliance includes a plurality of commercial washing machines,
And the washing machine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terminal so that the wireless terminal displays information on a washing machine available among a plurality of commerci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machine operation information of an unidentified washing machine us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에 마련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기제품의 입력부를 통하여 소정의 정보 또는 신호가 생성되고, 이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설정되면, 상기 무선단말기의 표시부에 해당 정보 또는 신호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a predetermined information or signal is generated through an input uni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he information or signal is set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스케쥴 정보 또는 메세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formation is electrical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chedule information or message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에 마련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기제품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생성되고, 이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설정되면,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전기제품방향으로 위치신호가 송신되고, 상기 전기제품의 표시부에 상기 무선단말기의 위치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electrical appliance,
When a signal for reques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generated through the electrical appliance input unit and is set to transmit the signal to the wireless terminal,
And a posi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toward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에 마련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기제품의 입력부를 통하여 소정의 정보가 생성되거나 업데이트 되고, 이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요청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의 표시부에는 수신된 정보가 표시되거나,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다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electrical appliance,
When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generated or updated through an input uni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requests to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Received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electr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other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은 냉장고로 구성되되,
상기 냉장고 또는 무선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여 기 저장된 저장식품 정보 또는 쇼핑 위시리스트 정보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 하면, 조작되지 않은 나머지 장치로 업데이트되거나 생성된 저장식품 정보 또는 쇼핑 위시리스트 정보가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mposed of a refrigerator,
When one of the refrigerator or the wireless terminal is operated to generate or update the pre-stored stored food information or shopping wish list information, the stored food information or the shopping wish lis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remaining unoperated device. Electrical applian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은 냉장고로 구성되되,
상기 냉장고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레서피 정보를 클릭하는 경우, 상기 레서피에 소요되는 식재료의 위시리스트가 생성되고, 송신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식재료의 위시리스트가 상기 무선단말기로 송신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mposed of a refrigerator,
When the recip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refrigerator is clicked, a wish list of the ingredients required for the recipe is generated, and when there is a request for transmission,
Electrical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wish list of the food is sent to the wireless terminal to be display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냉장고로 구성되되,
위시리스트에 넣고자 하는 제품을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경우, 촬영된 제품이 인식된 후, 인식된 결과에 따라 위시리스트가 업데이트되고, 송신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업데이트 된 위시리스트가 상기 무선단말기로 송신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mposed of a refrigerator having a camera,
When the product to be added to the wish list is photographed using the camera, after the photographed product is recognized, the wish list is updated according to the recognized result, and if there is a request for transmission, the updated wish list is wirelessly transmitted. Electrical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nd display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은 냉장고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제품을 구매한 영수증을 상기 무선단말기로 인식한 경우,
상기 영수증에 기재된 구매상품 정보가 상기 냉장고로 전송되고,
상기 냉장고에서는 상기 구매상품이 반영된 보관상품 리스트 생성되거나 업데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mposed of a refrigerator,
When the user recognizes the receipt for purchasing the product with the wireless terminal,
Purchase goods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receipt is sent to the refrigerator,
The electric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tor is generated or updated list of stored products reflecting the purchased produc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에서 자동적으로 정보가 업데이트 되고, 이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요청하는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의 표시부에는 수신된 업데이트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updated in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requests to transmit it to the wireless terminal,
Electrical applian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updated information receiv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은 냉장고로 구성되되,
상기 냉장고는 사용자의 구매패턴 또는 주기를 고려하여 예상 위시리스트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예상 위시 리스트에 배열된 상품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상품이 위시리스트에 업데이트 되고, 업데이트된 위시리스트가 무선단말기로 송신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mposed of a refrigerator,
The refrigerator generates an expected wish list in consideration of a user's purchase pattern or period, and when the user selects a product arranged in the expected wish list,
The selected product is updated in the wish list, the electrical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updated wish list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for displa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에 마련되는 입력부와, 상기 전기제품 내부에 마련되어 그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선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기제품의 카메라에 의하여 상기 전기제품의 내부가 촬영되고,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정보가 상기 무선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and further comprising a camera provided inside the electrical appliance for shooting the inside,
When a predetermined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The interio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he electrical applian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tographed image or video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에 마련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상기 전기제품의 이상작동이 센싱되고, 센싱된 데이터가 상기 무선단말기로 송신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의 표시부에 상기 전기제품의 이상작동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sensor unit provided in the electrical appliance,
When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and the sensed data is set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Electrical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은 세탁기로 구성되고,
상기 세탁기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드럼의 이상진동 또는 회전이 센싱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의 표시부에 상기 세탁기의 이상작동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mposed of a washing machine,
The washing machine includes a drum an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rotation of the drum,
When abnormal vibration or rotation of the drum is sensed, the electrical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에 마련되는 입력부와,
상기 전기제품에 마련되는 카메라 부 및 상기 전기제품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선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전기제품이 놓인 공간에 관한 감시 및 촬영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기제품의 구동부 및 카메라부가 작동하여 해당 공간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상기 무선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camera unit provided in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electrical appliance,
When the monitoring and photographing command for the space in which the electrical appliance is placed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The driving unit and the camera unit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operated to photograph the space, and the electrical applian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image or video to the wireless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이 사용자의 SNS(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되는 경우,
상기 전기제품이 상기 SNS에 송신하는 메세지가 사용자의 무선단말기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registered in the user's social network service (SNS),
Electrical applian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sage sent by the electrical appliance to the SNS is displayed on the user's wireless terminal.
KR1020110083493A 2011-08-22 2011-08-22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KR1019090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93A KR101909027B1 (en) 2011-08-22 2011-08-22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EP12181412.3A EP2562967B1 (en) 2011-08-22 2012-08-22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US13/591,801 US20130214935A1 (en) 2011-08-22 2012-08-22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93A KR101909027B1 (en) 2011-08-22 2011-08-22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142A true KR20130021142A (en) 2013-03-05
KR101909027B1 KR101909027B1 (en) 2018-10-17

Family

ID=4817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493A KR101909027B1 (en) 2011-08-22 2011-08-22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027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60627A (en) * 2014-11-10 2015-02-18 苏州朗捷通智能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building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87690A (en) * 2014-01-22 2015-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auxiliary equipment of home appliance
KR20170066537A (en) * 2015-07-31 2017-06-14 시아오미 아이엔씨.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mode
CN115484116A (en) * 2022-08-30 2022-12-16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Equipment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WO2024071661A1 (en) * 2022-09-30 2024-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4372657A4 (en) * 2021-12-28 2024-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lor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space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30521A1 (en) * 1999-02-19 2000-08-23 Aktiebolaget Electrolux (publ) Device and procedure for information on the contents in a cabinet
US20020016739A1 (en) * 1999-09-21 2002-02-07 Fujitsu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xpiration-dated products utilizing an electronic receipt
KR20060117714A (en) * 2005-05-13 200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Automatic order system
US20060282304A1 (en) * 2005-05-02 2006-12-14 Cnet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an electronic product advisor
WO2007004755A1 (en) * 2005-07-04 2007-01-11 Sk Telecom Co., Ltd. Home network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method of setting residential gateway for the same, and method of processing event protocol for the same
KR20070048658A (en) * 2004-05-31 2007-05-0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Network household electric control system
US20080178212A1 (en) * 2007-01-19 2008-07-24 Sony Corporation Network system, access management server, event notification method, network appliance and computer program
JP2008304127A (en) * 2007-06-07 2008-12-18 Aruze Corp Foo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KR20090041003A (en) * 2007-10-23 2009-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machine
KR20100052781A (en) * 2008-11-11 2010-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commericial washing system
KR20100134430A (en) * 2009-06-15 2010-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er
KR20110004182A (en) * 2009-07-07 201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sns associated with television broadcasting and apparatus thereof
JP2011075198A (en) * 2009-09-30 2011-04-14 Panasonic Corp Control system for heating cooker
KR20110086424A (en) * 2010-01-22 2011-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30521A1 (en) * 1999-02-19 2000-08-23 Aktiebolaget Electrolux (publ) Device and procedure for information on the contents in a cabinet
US20020016739A1 (en) * 1999-09-21 2002-02-07 Fujitsu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xpiration-dated products utilizing an electronic receipt
KR20070048658A (en) * 2004-05-31 2007-05-0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Network household electric control system
US20060282304A1 (en) * 2005-05-02 2006-12-14 Cnet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an electronic product advisor
KR20060117714A (en) * 2005-05-13 200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Automatic order system
WO2007004755A1 (en) * 2005-07-04 2007-01-11 Sk Telecom Co., Ltd. Home network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method of setting residential gateway for the same, and method of processing event protocol for the same
US20080178212A1 (en) * 2007-01-19 2008-07-24 Sony Corporation Network system, access management server, event notification method, network appliance and computer program
JP2008304127A (en) * 2007-06-07 2008-12-18 Aruze Corp Foo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KR20090041003A (en) * 2007-10-23 2009-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machine
KR20100052781A (en) * 2008-11-11 2010-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commericial washing system
KR20100134430A (en) * 2009-06-15 2010-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er
KR20110004182A (en) * 2009-07-07 201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sns associated with television broadcasting and apparatus thereof
JP2011075198A (en) * 2009-09-30 2011-04-14 Panasonic Corp Control system for heating cooker
KR20110086424A (en) * 2010-01-22 2011-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690A (en) * 2014-01-22 2015-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auxiliary equipment of home appliance
CN104360627A (en) * 2014-11-10 2015-02-18 苏州朗捷通智能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building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66537A (en) * 2015-07-31 2017-06-14 시아오미 아이엔씨.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mode
EP4372657A4 (en) * 2021-12-28 2024-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lor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space
CN115484116A (en) * 2022-08-30 2022-12-16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Equipment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15484116B (en) * 2022-08-30 2024-04-19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of equipment data,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WO2024071661A1 (en) * 2022-09-30 2024-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027B1 (en)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62967B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KR101909026B1 (en)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US10374822B2 (en) Home automation (HA) system including desired scene implementation based upon user-selectable list of addressable HA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10049181B2 (en) Home automation system including hub coupled wireless radio controllers and related methods
US10826716B2 (en) Home automation system including cloud and home message queue synchronization and related methods
JP6490887B2 (en) Home appliances and online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10523690B2 (en) Home automation system including device controller for terminating communication with abnormally operating addressab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TWI544804B (en) Registration assisting system in remote oper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7117051B2 (en) Applian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70006533A1 (en) Home automation system including device signature pairing and related methods
KR20130021142A (en)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US20070143456A1 (en) Exchange of centralized control data
KR20130017844A (en) A system for purchasing and managing an item using a terminal and a refrigerator using the same
JP2018077819A (en) Service distribution based on personality
JP4664524B2 (en) Home network system
US20190306786A1 (en) Home automation system including selective operation of paired device based upon voice commands and related methods
US11262711B2 (en) Home automation (HA) system including virtual assistant audible notification based upon learned device operational pattern and related methods
KR20130021146A (en)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KR101923435B1 (en)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KR20130021143A (en)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KR101992188B1 (en)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onic appliance
KR20130021145A (en)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US11082248B2 (en) Home automation system including changed current usage notification and related methods
KR20130013236A (en) Laundry machine and on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