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435B1 -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 Google Patents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435B1
KR101923435B1 KR1020110083498A KR20110083498A KR101923435B1 KR 101923435 B1 KR101923435 B1 KR 101923435B1 KR 1020110083498 A KR1020110083498 A KR 1020110083498A KR 20110083498 A KR20110083498 A KR 20110083498A KR 101923435 B1 KR101923435 B1 KR 101923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erver
product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4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21147A (en
Inventor
심종훈
박형준
김양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3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435B1/en
Priority to EP12181412.3A priority patent/EP2562967B1/en
Priority to US13/591,801 priority patent/US20130214935A1/en
Publication of KR20130021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1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4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제품과 외부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와 통신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서 여러 종류의 정보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ID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제품과; 상기 전기제품의 ID가 수록되며, 기 수록된 ID와 연관된 전기제품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전기제품과 소정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전기제품과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서버시스템을 구비하되, 상기 전기제품은 상기 서버시스템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버와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a user by communicating with an electronic product and a server of an external service provider and transmitting / receiv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or signals accordingly hav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 appliance comprising: an electric appliance having a predetermined ID; And a server system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product so that predetermined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with the electrical product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electrical product associated with the stored ID, And the product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 server of a service provider through the server system.

Figure R1020110083498
Figure R1020110083498

Description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기제품과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 간에 통신이 가능하게 구현되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 등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고 전기제품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hich is capable of communicating between an electronic product and an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so as to promptly provide information required by a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집안 내부에 배치되는 전기제품의 경우, 냉장고, 세탁기, 공기조화기와 같이, 각 전기제품의 특성에 맞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In the case of an electric appliance disposed inside the house, the appliance functions as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nd an air conditioner.

최근에는 집안 내에 있는 전기제품들이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일명 '홈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러한 홈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격으로 집안 내에 있는 전기제품을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In recent years, electric appliances in the house have formed a so-called 'home network' which is connected to one network, and through this home network, a user can remotely control electric appliances in the house.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집에 부재중 이어도, 전기제품을 on/off 시키거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This allows the user to turn on / off the electronic product or control the function even when the user is away from home.

다만, 이러한 홈네트워크를 통한 전기제품의 제어는 전기제품 본래의 동작에 국한될 수 밖에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the control of electrical appliances through such a home network has a limitation that it is limited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itself.

최근 집안 내부의 전기제품의 스마트화 경향에 따라서, 전기 제품 본연의 기능 이외에도 다른 편의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전기제품의 경우, 홈 네트워크에 편입되어 있지 않고 단독으로만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다른 구성요소들과 함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Recently, electric appliances that provide other convenient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functions of electric appliances have been released in accordance with the tendency of electric appliances in the house to become smart. However, in the case of such electric applianc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synergy effects can not be created with other components.

본 발명은 전기제품과 외부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와 통신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서 여러 종류의 정보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a user by communicating with an electronic product and a server of an external service provider and transmitting / receiv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or signals accordingly hav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ID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제품과; 상기 전기제품의 ID가 수록되며, 기 수록된 ID와 연관된 전기제품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전기제품과 소정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전기제품과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서버시스템을 구비하되, 상기 전기제품은 상기 서버시스템 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버와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appliance comprising: an electric appliance having a predetermined ID; And a server system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product so that predetermined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with the electrical product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electrical product associated with the stored ID, And the product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 server of a service provider through the server system.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위시리스트에 포함된 상품과 관련된 쇼핑정보나 쿠폰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cquire shopping information or coupon information related to a product included in a wish list.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있는 식당의 정보 및 특정 식당에서의 메뉴 가격정보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nformation of a restauran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position designated by the user and menu price information in a specific restaurant can be obtained.

또한, 사용자의 기분에 따른 추천 식당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는 편리함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convenience of being able to receive recommended restaura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mood.

도1은 본 발명의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어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서 사용자 정보 및 전기제품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 정보 및 전기제품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서 무선단말기에 전용 어플리 케이션을 인스톨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를 받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서 위시리스트상 제품의 쇼핑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에서 위시리스트상 제품의 쇼핑 정보와 최적 쇼핑 스케쥴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에서 위시리스트상 제품의 쇼핑 정보와 최적 이동 경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에서 특정 요리에 대한 레서피 정보 및 필요한 제품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에서 상용 아이템 쇼핑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에서 계절과일 쇼핑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에서 위시 리스트상 제품의 쿠폰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에서 유효 기한이 임박한 쿠폰정보 제공을 받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본 발명에서 주위 식당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5는 본 발명에서 기분에 따른 추천 식당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gistering user information and electrical product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leting user information and electrical product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installing a dedicated application in a wireless terminal and receiving a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the shopping information of a wish list on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llustrates that shopping information and optimal shopping schedule information of a wish list product ar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llustrates shopping information and optimal travel route information of a wish list produc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9 shows recipes information and necessary product information for a specific dish in the present invention.
10 illustrates receipt of commercial item shopping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11 illustrates receipt of seasonal fruit shopp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shows that coupon information of a product on the wish list i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shows that the expiration date of the coupon information is receiv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shows the provision of an ambient restaurant information ser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llustrates the provision of a recommended restaurant service according to moo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제품 정보관리시스템의 중심에는 가정 등에 마련되는 전기제품들의 등록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등록되어 저장되는 서버시스템(1)과, 상기 서버시스템(1)과 통신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 및 전기제품들의 등록정보를 기입하여 제공할 수 있는 대표사이트(2)가 마련된다.The center of the electrical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system 1 for registering and storing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of electrical products provided in the home and the like, And a representative site 2 in which registration information of electrical products can be written and provided.

그리고, 상기 서버시스템(1)은 주변의 여러 요소들과 통신가능하게 마련된다.The server system 1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various surrounding elements.

우선, 상기 서버시스템(1)은 가정이나 사무실에 마련되는 전기제품(100)들과 연결되어 전기제품(100)들을 통하여 요청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전기제품(100) 방향으로 펌웨어나 기타 운용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server system 1 is connected to electrical appliances 100 provided in a home or an office and provides information requested through the electrical appliances 100 or transmits firmware or other operating software Can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서버시스템(1)과 통신하는 전기제품(100)은 각각 고유의 디바이스 ID를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appliances 100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system 1 has a unique device ID.

한편, 상기 서버시스템(1)과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전기제품(100)이 하나의 장소(가정 또는 사무실)에 둘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 둘 이상의 전기제품(100)들은 상기 서버시스템(1)과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 할 뿐만 아니라, 각 전기제품(1) 끼리도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If there are two or more electrical appliances 100 communicable with the server system 1 in one place (home or office), two or more electrical appliance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system 1, So that the electric appliances 1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well.

이를 통해 하나의 전기제품(1)에서 생성되거나 관리하는 정보가 다른 전기제품(100)에 전달되어 정보의 공유를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하나의 전기제품(100)에 입력되거나 생성된 정보가 다른 전기제품(1)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Thus, information generated or managed in one electrical product 1 can be transmitted to the other electrical product 100 to perform sharing of information. Furthermore, the information inputted or generated in one electric appliance 100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art of the other electric appliance 1.

한편, 상기 서버시스템(1)은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무선단말기(200)와도 통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무선단말기(200)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server system 1 is provid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terminal 200 owned by the user.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be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무선단말기(200)도 전기제품과 같이 고유의 디바이스 ID를 구비하고, 서버시스템(1)과 상호 인증 절차를 거침으로써 서버시스템(1)과 통신할 수 있는데, 상기 무선단말기(200)와 상기 서버시스템(1) 간의 통신을 통하여, 원격지(가정, 사무실) 내에 마련되는 전기제품(100)에 대한 원격제어 및 원격 정보 관리가 가능하다.The wireless terminal 200 also has a unique device ID such as an electrical product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server system 1 through the mutual authentication procedure with the server system 1, Remote control and remote information management of the electrical product 100 provided in a remote place (home, office)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 systems 1 is possible.

따라서, 무선단말기(200)에 입력되거나, 무선단말기에서 관리되는 정보나 신호가 상기 서버시스템(1)을 통하여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원격지에 마련되는 전기제품(100)에 전달되어 해당 전기제품에 표시 또는 저장이 될 수 있다.Thus, information or signals input to or managed by the wireless terminal 200 are transmitted to the electrical product 100 provided at a remote site through the server system 1 or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nd displayed on the electrical product Or storage.

또한, 상기 전기제품(100)에서 생성되거나, 관리되는 정보, 또는 신호가 상기 서버시스템(1)을 통하여 또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무선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Information or signals generated or managed in the electrical product 100 may be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server system 1 or via the Internet.

한편, 상기 무선단말기(200)와 상기 서버시스템(1) 사이에 정보나 신호 교환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무선단말기(200) 쪽에서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자동적으로 상기 서버시스템(1)에서 상기 무선단말기(200) 방향으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업데이트가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exchange information or signals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server system 1 so that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automatically from the server system 1, Firmware or software upgrade or update in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200 is possible.

상기 서버시스템(1)이 상기 전기제품이나 스마트폰과 연결되는 것 이외에도, 외부 서비스 제공자(300)와 연결되어 외부 서비스 제공자(300)가 제공하는 정보나 신호 또는 프로그램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system 1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300 and provide information or signals or programs provided by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300 to the user.

즉, 쇼핑센터나, 학원, 학교, 병원, 기타 방송국 등과 연결되어 이러한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정보를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전기제품(100)이나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는 통로역할을 상기 서버시스템(1)이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server 100 is connected to a shopping center, a school, a school, a hospital, and other broadcasting stations, and serves as a channel through which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roviders can be provided to the electric appliance 100 or the terminal 200, (1).

즉, 상기 서버시스템(1)으로부터 인증받은 전기제품(1)을 통해서 특정 외부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버시스템(1)이 해당 사용자의 정보 또는 전기제품의 정보를 외부 서비스 사업자(300)에게 제공하고, 필요한 정보가 해당 사용자로 전달될 수 있도록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re is a request for a service provided by a specific external service provider through the electric appliance 1 authenticated by the server system 1, the server system 1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user or the inform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To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300, and serves as an intermediary so that necessary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user.

이러한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는 원격으로 쇼핑이나, 생활정보, 의료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고, 외부사업자(300)는 서버시스템(1)을 통하여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사용자의 정보를 취득하고, 그에 맞는 광고나 서비스 안내를 할 수 있다.Through this service, the user can receive shopping, living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nd the like remotely, and the external provider 300 can acquire the user's information through the server system 1 with the user's consent, You can get the right ad or service guide.

한편, 상기 서버시스템의 중개에 의하여 특정사용자(U)가 다른 사용자(U')와 정보 또는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Meanwhile, a specific user U can exchange information or signals with another user U 'by intermediation of the server system.

즉, 특정사용자(U)가 자신의 특정한 전기제품(100)의 입력부와 표시부를 이용하여 소정의 정보를 생성하거나 관리하고, 이를 다른 사용자(U')와 공유하고자 할 경우, 상기 서버시스템(1)을 통하여 이러한 정보를 관리하면서, 다른 사용자(U')에게 제공할 수 있다.That is, when a specific user U generates or manages predetermined information using an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of his / her specific electrical product 100 and wants to share it with another user U ', the server system 1 (U '), while managing such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U').

즉, 상기 서버시스템(1)에 의하여 인증된 사용자끼리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 자신의 운동정보나, 건강정보, 레서피 정보 등을 다른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여러 사용자간의 친목을 도모하거나, 상호 간에 운동이나 건강관리에 대한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at is, in the case of providing information between users authenticated by the server system 1, it is possible to show friendship information among different users by showing their own exercise information, health information, recipe information and the like to other users, And motivation for health care.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사용자에게 속해 있는 복수의 전기제품(100)의 구성을 보면, 제어부(101)와, 통신부(102), 입력부(103), 표시부(104), 구동부(105), 메모리 부(106)를 포함한다.2, the configuration of a plurality of electric appliances 100 belonging to one user includes a control unit 101, a communication unit 102, an input unit 103, a display unit 104, a driving unit 105 ), And a memory unit 106.

여기서, 상기 통신부(102)는 상기 서버시스템(1) 또는 다른 전기제품의 통신부,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통신부(202)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02 serves as a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unit 202 of the server system 1 or another electric appliance or the communication unit 202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상기 입력부(103)는 버튼이나 터치패드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소정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표시부(104)는 외부에서 전달되거나 사용자가 관리하는 정보를 시각화 하여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The input unit 10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utton or a touch pad so that the user can input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the display unit 104 visualize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r managed by the user.

상기 구동부(105)는 전기제품의 특성에 따라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즉, 전기제품이 냉장고인 경우, 압축기, 냉기팬 등이 구동부가 되고, 세탁기의 경우, 구동모터나 급수 밸브가 구동부를 구성할 것이다.The driving unit 105 performs a fun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al product. That is, when the electrical product is a refrigerator, a compressor, a cooling fan, or the like is a driving unit, and in the case of a washing machine, a driving motor or a water supply valve constitutes a driving unit.

상기 메모리부(106)는 사용자가 관리하거나, 외부에서 제공받은 정보가 저장되는 곳이다.The memory unit 106 is a place where information managed by a user or provided from outside is stored.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경우도, 제어부(201), 통신부(202), 입력부(203), 메모리부(206)를 포함하는데, 그 기능은 상기 전기제품의 그것들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이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하겠다.The wireless terminal 200 also includes a control unit 201, a communication unit 202, an input unit 203, and a memory unit 206, and its function is similar to those of the electrical product, I will skip it to prevent that.

한편, 상기 서버 시스템(1)은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310)와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고, 이를 사용자의 전기제품(10)으로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rver system 1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310 to exchange information, and may provide the same to the user's electric appliance 10. [

그리고, 쇼핑 등과 같이 대금결제가 필요한 서비스의 경우, 상기 서버시스템(1)은 외부의 결제 대행사(320)와도 통신가능하게 마련되어, 서비스의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In the case of a service requiring payment such as shopping, the server system 1 is also provid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ettlement agency 320, thereby facilitating smooth progress of the service.

한편, 상기 서버시스템(1)은 여러 사용자와 동시에 접속하여, 이들간의 정보교환이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본 도면에서 복수의 사용자는 사용자 1(U1), 사용자2(U2), 사용자3(U3) 등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각 사용자들은 상기 전기제품(100)이나 무선단말기(200) 등을 통하여 다른 사용자와 정보교환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server system 1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users at the same time to provide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m. In this figure, a plurality of users are represented by a user 1 (U1), a user 2 (U2), a user 3 (U3) Information exchange is possible.

즉, 각 사용자가 구비한 전기제품(100)의 구성요소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구성요소는 상술한 전기제품의 구성요소( 제어부(101)와, 통신부(102), 입력부(103), 표시부(104), 구동부(105), 메모리 부(106))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구성요소(제어부(201)와, 통신부(202), 입력부(203), 표시부(204), 메모리 부(206))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That is,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lectric product 100 or the components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provided by each user include the components (the control section 101, the communication section 102, the input section 103, (The control section 201, the communication section 202, the input section 203, the display section 204, the memory section 206, and the memory section 206)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상기 서버시스템(1)에는 상기 사용자 ID와 함께 해당 전기제품의 디바이스 ID 및 특성정보(예컨대, 제품종류, 모델정보 등등)가 함께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The server system 1 may register the user ID and the device ID a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example, product type, model information, etc.) of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product together.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 ID는 제품종류나 모델정보와 같은 제품의 특성정보와 관계없이 만들어질 수도 있지만, 제품의 특성정보가 함께 코드화되어 있을 수 있다.Here, the device ID may be created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product, such as the product type or the model information, but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product may be coded together.

그래서, 디바이스 ID만을 가지고 상기 서버시스템(1)은 해당 제품의 종류나 모델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Thus, the server system 1 can be made to recognize the type and model information of the product only with the device ID.

사용자는 상기 서버시스템(1)에 등록된 전기제품(100)에 대해서는 그 전기제품(100)을 통해서 서비스를 요청하여 받을 수 있다. A user can request and receive a service through the electrical product 100 for the electrical product 100 registered in the server system 1. [

예컨대,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창을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그 냉장고는 서버시스템(1)에 통신하여 해당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desired service is selected and input through the display window of the refrigerator, the refrigerator can communicate with the server system 1 and request the corresponding service.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을 보다 편리하게 하고, 또한, 전기제품(100)의 관리 서비스 항목의 확장을 위해서 전기제품 이외의 다른 수단을 통한 서비스 요청을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It may be necessary to make the service request of the user more convenient and also to enable the service request through the means other than the electrical product in order to expand the management service item of the electronic product 100. [

전기제품(100)을 통하여 서버시스템(1)에 억세스하는 경우에는 억세스할 때 상기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고유계정을 통해 억세스함에 따라 서버시스템(1)이 서비스 대상을 특정지을 수 있지만, 전기제품(100)을 통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떻게 서비스 대상의 전기제품(100)을 특정할 지가 결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When accessing the server system 1 through the electrical product 100, the server system 1 accesses through the unique account of the electrical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when accessing the server system 1, However, when the electronic product 100 does not pass through the electronic product 100, it may be necessary to determine how to specify the electronic product 100 to be serviced.

일례로, 사용자는 대표 사이트(2)에 접속하여 서비스받고자 하는 전기제품(100)의 디바이스ID를 입력하면서 서비스를 요청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access the representative site 2 and request a service while inputting the device ID of the electrical product 100 to receive the service.

그러나,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전기제품(100)들의 디바이스 ID를 모두 기억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remember all the device IDs of the electric products 100 held by the user.

상기 대표 사이트(2)는 그러한 불편을 해소하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대표 사이트(2)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ID와 패스워드를 부여받을 수 있다.The representative site 2 may be made to eliminate such inconvenience. The user can join the representative site 2 as a member and receive an ID and a password.

사용자는 상기 대표사이트(2)에 로그인하여 자신이 보유한 전기제품(100)을 모두 등록할 수 있다. The user can log in to the representative site 2 and register all of the electric products 100 held by the user.

대표 사이트에 등록된 전기제품(100)들은 서버시스템(1)에 해당 사용자 ID와 함께 등록될 수 있다. The electrical products 100 registered in the representative site can be registered in the server system 1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user ID.

이는, 상기 대표 사이트(2)에서 자동으로 상기 서버시스템(1)에 그 정보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This may be done by automatically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server system 1 at the representative site 2. [

또한, 상기와 같은 전기제품(100)의 서버시스템(1)에의 등록은 후술하게 될 활성화(activation) 절차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Also, the registr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100 in the server system 1 may be performed through an activation procedure to be described later.

어느 경우이든, 사용자가 ID를 발급받는 경우 그 ID는 그 사용자의 전기제품(100)과 함께 서버시스템(1)에 등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In any case, if the user is issued an ID, the ID can be registered and managed in the server system 1 together with the user's electrical product 100.

상기 대표 사이트(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접수된 서비스는 운영자가 서버시스템(1)에 해당 관리서비스를 위한 명령을 내림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The service received from the user through the representative site 2 can be performed by an operator giving an instruction for the management service to the server system 1. [

또는, 오픈 API를 통해 상기 대표 사이트(2)가 서버시스템(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대표 사이트(2)를 통해 서버시스템(1)에 직접 관리 요청을 할 수 있게 된다. Alternatively, the representative site 2 can be connected to the server system 1 through the open API. In this case, the user can directly request the management server system 1 via the representative site 2.

서버시스템(1)에는 관리 서비스를 위한 서버측 프로토콜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서버측 프로토콜은 제품의 상기 클라이언트측 관리프로토콜과 연동하여 요청된 관리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The server system 1 has a server-side protocol for the management service, and the server-side protocol performs the requested management service in conjunction with the client-side management protocol of the product.

서버시스템(1)과 전기제품(100) 간의 상기와 같은 관리 서비스 수행을 위한 프로토콜로서 OMA DM 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다. An OMA DM protocol may be used as a protocol for carrying out such management service between the server system 1 and the electrical product 100. [

물론, OMA DM이 아닌 다른 솔루션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OMA DM 프로토콜을 이용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Of course, solutions other than OMA DM may be used. 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uses the OMA DM protoco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상기 관리 서비스를 위해 다음과 같은 관리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The following management contents may be included for the management service.

부트스트랩(Bootstrap):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DM(디바이스 매니지먼트) 클라이언트가 최초로 관리 세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후술할 DM(디바이스 매니지먼트) 서버와의 인증 정보 및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과정을 Bootstrap이라고 한다.Bootstrap: In order for the DM (Device Management) client of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perform a management session for the first time,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a DM (Device Management) server and a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is needed, and the process for this is called Bootstrap.

프로비져닝(Provisioning): 최초로 관리 세션을 수행하는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는 부트스트랩을 통하여 DM(디바이스 매니지먼트) 서버에 등록이 되며,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구성을 최신으로 업데이트한다. Provisioning: An electronic product 100 or a wireless terminal 200 that performs a management session for the first time is registered in a DM (Devic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ootstrap, and is registered in the electric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order to provide the service,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updated to the latest.

이를 위한 과정을 프로비져닝이라 한다.The process for this is called provisioning.

콘피겨레이션 메니지먼트(Configuration Management):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 관련 설정 정보를 조회, 변경 또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설정, 조회, 변경하는 관리 작업을 디바이스구성(Device Configuration) 관리라 한다.Configuration management: The management task for inquiring, changing, or setting, inquiring, and chang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ical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referred to as device configuration management .

콘트롤 메니지먼트(Control Management):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를 제어하는 관리작업을 말한다.Control Management: Control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

사용자 알림(User Alert): DM(디바이스 매니지먼트) 서버는 DM (디바이스 매니지먼트) 클라이언트에게 Alert 신호를 보냄으로써 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관리 작업에 대한 내용을 알리거나, 승인을 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와 상호 작용을 통하여 향상된 관리 작업이 가능하다.User Alert: The DM (Device Management) server sends an Alert signal to the DM (Device Management) client to notify the user of the contents of the management work through the screen of the terminal or to receive approval. That is,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improved management opera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user.

진단 및 모니터링(Diagnostic and Monitoring): 사용자가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를 사용하는 중에 성능저하 또는 장애가 발생될 수 있다.Diagnostic and Monitoring: A performance degradation or failure may occur while the user is using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이런 상태를 미리 인지하고 인지된 상황에 맞는 조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제품 사용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진단 및 모니터링(Diagnostic and Monitoring) 관리라 한다.It is necessary to provide users with a stable product usage environment by recognizing such conditions in advance and taking measures according to the recognized situation. This task is called Diagnostic and Monitoring management.

펌웨어 업데이트 메니지먼트(Firmware Uptate Management): 제조 업체에서 단말기를 판매한 후에 단말기상의 문제가 발생하거나, 기능상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위한 관리 작업이다.Firmware Uptate Management: When a problem occurs on the terminal after the manufacturer sells the terminal, or when the function is changed, the firmware is updated. This is the management task for the firmware update management.

소프트웨어 콤포넌트 메니지먼트(Software Component Management): 단말기에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설치, 업데이트, 삭제하는 관리작업을 소프트웨어 관리라 한다.Software Component Management: The management task of installing, updating, and deleting software components on a terminal is called software management.

백업 및 복원 메니지먼트(Backup and Restore Management): 단말기의 데이터를 DM 서버에 백업/복원하는 관리작업이다.Backup and Restore Management: Backup / Restore Management: Backup / Restore Management: Backup / Restore Management.

한편, 상기 서버시스템(1)은 위치적으로는 여러 곳에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에 서버시스템 1을 설치하고, 미국에 서버시스템 2를 설치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rver system 1 may be distributed in various places. For example, the server system 1 may be installed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server system 2 may be installed in the United States.

또한, 상기 서버시스템(1)은 역할에 따라 다수의 서버로 분리될 수 있다.Also, the server system 1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rvers depending on its role.

상기 서버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들은 아래와 같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rvers constituting the server system are as follow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DM 서버(DM Server) ><DM server (DM Server)>

DM 서버(11)의 역할은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DM 클라이언트에게 단말관리 명령을 내리는 것이다. 여기서 DM클라이언트는 상기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통신부(102,202)의 기능 중 제품 관리와 관련된 기능을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role of the DM server 11 is to issue a terminal management command to the DM client of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Here, the DM client is a component that specifically performs functions related to product management among functions of the electrical product 100 or the communication units 102 and 202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즉, 관리 명령을 통해 펌웨어 업데이트(모뎀 펌웨어/OS) 관리작업, 소프트웨어 관리작업, 진단 관리작업 등등을 원격으로 처리하는 관리기능을 제공한다.That is, it provides management functions to remotely manage firmware update (modem firmware / OS) management tasks, software management tasks, diagnostic management tasks, and the like through management commands.

DM 서버(11)는 세션 메니지먼트(Session Management) 영역, 서큐리티 메니지먼트(Security Management) 영역, DM 프로토콜 프로세스(DM Protocol Process) 영역, 싱크엠엘 프로토콜 엔진(SyncML Protocol Engine)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M server 11 may include a session management area, a security management area, a DM protocol process area, a SyncML protocol engine area, .

< DL서버(DL Server) ><DL Server (DL Server)>

DL 서버(12)는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DL 클라이언트에게 파일을 전송하는 것이다. The DL server 12 transmits a file to the DL client of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즉, DD(Download Descriptor)를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의 정보를 전달하여, DL 클라이언트가 정확하게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That is, the DL client delivers information of a file to be transmitted through a download descriptor (DD), and provides a function for the DL client to accurately download the file.

여기서 DL클라이언트는 상기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통신부(102,202)의 기능 중 다운로드와 관련된 기능을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Here, the DL client is a component that specifically performs functions related to downloading among the functions of the electrical product 100 or the communication units 102 and 202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다운로드되는 파일은 펌웨어 업데이트 패키지와 소프트웨어 관리 패키지가 있다. DL서버는 세션 메니지먼트(Session Management) 영역, 패키지 메니지먼트(Package Management) 영역, 다운로드(Download) 영역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ownloaded files are a firmware update package and a software management package. The DL server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ssion management area, a package management area, a download area, and the like.

< 오엔엠서버(ONM Server) 또는 사용자 포털(User Portal) ><ONM Server or User Portal>

ONM 서버(13)의 역할은 DM서버(11) 또는 DL 서버(12) 및 후술할 레가시(Legacy)서버(14)와 인터페이스하며, 비즈니스 로직이 구현된다. The role of the ONM server 13 interfaces with the DM server 11 or the DL server 12 and a legacy server 14 to be described later, and business logic is implemented.

운영자는 ONM 서버(13)의 관리 웹 페이지를 통하여 관리 명령을 내리거나, 관리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The operator can issue a management command through the management web page of the ONM server 13 or inquire management information.

사용자 포털은 ONM서버(13)의 일부 기능을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The user portal provides some functions of the ONM server 13 to the general user.

이때, DM 서버(11)의 오픈 API를 통해 구현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포털을 통해 DM 서버에 관리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implemented through the open API of the DM server 11. The user can make a management service request to the DM server through the user portal.

< 레가시서버(Lagacy Server) ><Lagacy Server>

ONM 서버(13)가 연동되는 대표적인 레가시(Legacy)서버(14)는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 정보를 전달받는 서버와 사용자 정보를 전달받는 서버가 있다. A representative legacy server 14 in which the ONM server 13 is interlocked includes a server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electric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a server for receiving user information.

즉, 사용자 정보 또는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정보를 ONM 서버(13)로 전달하여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That is, the user information or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transmitted to the ONM server 13 to provide information for implementing the business logic.

< 통지서버(Notification Server) ><Notification Server>

통지서버(15)는 DM 서버(11)의 통지 메시지를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로 전송한다. The notification server 15 transmits the notification message of the DM server 11 to the electric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

통지서버(15)는 세센 제너레이션(Session Generation) 영역, 스케쥴 메니지먼트(Schedule Management) 영역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notification server 15 may include a sessiongeneration area, a schedule management area, and the like.

만약,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 단말기(200)가 사설망(private network)에 존재한다면,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와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서버 측에 특별하게 구성되는 연결메니져(Connection Manager)가 필요할 수 있다. If the electrical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present in a private network, a connection manager (not shown) that is specially configured on the server side for maintaining the connection with the electrical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Connection Manager) may be required.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 단말기(200)가 부팅후 자동으로 TCP 연결을 요청할 수 있으며, 연결메니져는 요청된 TCP 연결을 유지한다. DM 서버(11)는 이를 통해 통지 메시지를 전달한다.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can automatically request a TCP connection after booting, and the connection manager maintains the requested TCP connection. The DM server 11 delivers a notification message through it.

상기 통지서버(15)는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200) 또는 전기제품(100)과 통신가능하게 마련되어, 전기제품(100) 상의 정보(저장물 관리정보, 쇼핑 위시리스트, 상품 구매 완료 정보, 결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The notification server 15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user's wireless terminal 200 or the electric product 100 and stores information on the electric product 100 (storage management information, shopping wish list, ) Is changed, it notifies the user of the change.

< 오픈 API(Open API) ><Open API>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은 DM 서버에서 제공되는 오픈 API를 통해 단말기들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such as the smart phone can remotely manage the terminals through the open API provided in the DM server.

한편, 상기 서버시스템(1)은 데이터 베이스 서버(16)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rver system 1 may include a database server 16.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16)는 상기 대표사이트에 회원가입하여 ID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base server 16 may include a user information database in which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 who joins the representative site and has an ID is stored.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사용자의 개인정보(성명, 주소, 전화번호 등)가 수록될 수 있고, 한편으로는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전기제품에 관한 정보(보유 수량, 제품 종류)도 수록될 수 있다.Personal information (name, address, telephone number, etc.) of the user may be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and information (quantity of the product, product type) about the electric appliance owned by the user may also be recorded .

이하에서는 관리 서비스의 내용 및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The contents and procedures of the management service will be described below.

도3은 회원가입 및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활성화에 관해 도시하고 있다.3 illustrates subscription and activ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표 사이트(2)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하면서 ID와 패스워드를 부여받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access the representative site 2 and receive an ID and a password while registering.

전기제품 활성화는 사용자의 전기제품(100)이나 무선단말기(200)를 서버시스템에 등록하는 절차라 할 수 있다. Activ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may be a procedure for registering the user's electrical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the server system.

전기제품(100)이나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는 사용자 ID(User ID), 패스워드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이 팝업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그 화면을 통해 활성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A window for inputting a user ID (User ID), a password, and the like can be popped up on the display unit of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user can perform an activation procedure through the screen.

사용자가 자신의 ID 및 패스워드를 화면에 입력하고, 활성화를 위한 명령을 입력하면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는 사용자 ID, 패스워드, 디바이스ID, 및 제품 특성정보 등을 사용자 사이트(2)로 전송하게 된다. When the user inputs his ID and password to the screen and inputs a command for activation, the electric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transmits the user ID, password, device ID, and produ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to the user site 2 ).

이때, 전기제품(100)이나 무선단말기(200)의 메모리부에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가 저장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put user ID and password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of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

그래서, 상기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Thus, the user ID and password may be used to authenticate the user.

상기 디바이스ID는 전기제품(100)이나 무선단말기(200)에 기 입력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활성화 절차를 수행할 때 자동으로 전기제품(100)이나 무선 단말기 (200)내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The device ID may be input to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may be automatically generated in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when the activation procedure is performed.

또는, 전기제품(100)이나 무선 단말기(200)를 사서 처음으로 온시킬 때 자동으로 디바이스ID가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device ID may be automatically generated when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purchased for the first time.

상기 전기제품(100)이나 무선 단말기(200)의 특성정보로는 이들의 모델정보, 제품코드, 제조일자, 생산 제품번호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include model information, a product code, a manufacturing date, a product number, and the like.

또한, 활성화 절차에서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 단말기(200)는 패스워드, 서비스 URL 및 서버의 ID와 패스워드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ctivation procedure,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can transmit the password, the service URL, and the ID and password of the server together.

활성화 절차에서 사용자 사이트(2)에 전송하는 정보 중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제외한 정보는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 단말기(200)에서 자동으로 생성되거나 기 입력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Information other than the user ID and the password, which are transmitted to the user site 2 in the activation procedure, may be automatically generated or input by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활성화 절차를 통해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 단말기(200)로부터 전술한 정보들이 사용자 사이트에 수신되면 사용자 사이트(2)는 그 사용자 ID에 해당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를 등록한다. When the abov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activation procedure at the user site, the user site 2 registers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with the user ID .

그래서, 사용자 사이트(2)에는 사용자 ID별로 그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기제품(100)또는 무선단말기(200)가 등록된다.Thus, the electric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used by the user is registered in the user site 2 by the user ID.

이후, 사용자 사이트(2)는 서버시스템(1)으로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 디바이스ID, 제품 특성정보 등을 전송한다. 이때, 서버의 ID 및 패스워드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Then, the user site 2 transmits the user ID and password, the device ID, the produ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like to the server system 1. At this time, the ID and password of the server may be transmitted together.

서버시스템(1)은 전송된 정보에 대해 먼저 인증을 수행한다. 그래서, 인증이 통과되면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 디바이스ID, 제품 특성정보 등이 서버시스템(1)에 등록된다. 이때, 디바이스 패스워드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The server system (1) first authenticates the transmitted information. Thus, when the authentication is passed, the user ID and password, the device ID, the produ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registered in the server system 1. At this time, the device password can also be transmitted.

이러한 활성화 절차는 서버시스템(1) 및 사용자 사이트(2)로 접속할 수 있는 통신환경이 구비된 상태라면 장소에 구애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품을 구입한 그 구입처에서 활성화 절차를 대신 수행해 줄 수도 있다.Such an activation procedure can be performed without regard to the location if a communication environment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server system 1 and the user site 2 is provided. For example, the purchaser of the product may perform the activation procedure instead.

사용자는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해당 전기제품(100)이나 무선 단말기(200)의 표시부에서 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다. The user can make a service request from the display part of the electric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receive the service.

예컨대,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 원하는 서비스의 화면을 팝업시킨 후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서비스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after a desired service screen is popped up on the display unit of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a service request can be performed after inputting a user ID and a password.

이때, 상기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에서는 서비스 요청과 관련된 정보 이외에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와 디바이스ID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ctric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can transmit the user ID, the password, and the device ID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rvice request.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사이트(2)를 통해서도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사이트(2)에는 관리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웹페이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웹페이지에서 원하는 관리 서비스를 요청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request a desired service through the user site 2 as well. The user site 2 may be provided with a web page for requesting the management service, and the user may request the desired management service from the web page.

사용자로부터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사이트(2)는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정보를 서버시스템(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와 디바이스ID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When a service is requested from a user, the user site 2 can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rvice request to the server system 1. [ At this time, the user ID, the password, and the device ID can be transmitted together.

또한, 사용자는 고객 콜센터에 전화를 걸어 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다. 고객 콜센터에는 ARS 시스템으로 관리서비스를 접수받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Also, the user can make a service request by calling the customer call center. Customer call centers may also be made to receive managed services with the ARS system.

한편, 사용자는 등록된 자신의 전기제품(100)이나 무선 단말기(200) 등록 취소 또는 폐지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perform the procedure of canceling or canceling the registration of the registered electr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상기 전기제품(100)이나 무선단말기(200)의 화면에서 등록 취소 또는 폐지를 위한 화면을 팝업시키고,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등록 취소 또는 폐지 명령을 입력하면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 단말기(200)는 대표 사이트(2) 또는 서버시스템(1)에 접속하여 그 등록 취소 또는 폐지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When a registration cancellation or cancellation instruction is entered on the screen of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a registration cancellation or a cancellation instruction is input after inputting the user ID and the password, (200) accesses the representative site (2) or the server system (1) and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registration cancellation or revocation.

그리고, 대표 사이트(2) 또는 서버시스템(1)은 그에 따라 해당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등록을 취소 또는 폐지하게 된다.Then, the representative site 2 or the server system 1 cancels or cancels the registration of the electr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accordingly.

또한, 사용자는 대표 사이트(2)에서 회원탈퇴를 할 수 있는데, 회원탈퇴를 하면 그 사용자에 속하여 등록된 전기제품(100)또는 무선단말기(200)들은 모두 등록이 취소 또는 폐지된다.In addition, the user can withdraw the membership from the representative site 2. When the member is withdrawn, the registered electric appliances 100 or the wireless terminals 200 belonging to the user are all canceled or canceled.

도4에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의 삭제를 요청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FIG. 4 shows a procedure for a user to request deletion of a user ID and a password thereof through a terminal.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 화면에서 삭제할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전송하면 대표 사이트(2) 또는 서버시스템(1)은 해당 회원의 정보 및 그에 속한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들의 등록을 모두 취소 또는 폐지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The representative site 2 or the server system 1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member and the electric product 100 or wireless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the procedure of canceling or canceling all the registrations of the terminals 200.

한편,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단말기(1)를 통해서도 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다. 도5(a)는 관리서비스를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는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 service request can be made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1 such as a smart phone. 5 (a) illustrates downloading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a management service.

사용자가 전기제품에 부착된 QR코드를 스마트 폰(200)을 이용하여 읽어들이면, 스마트폰(200)의 화면에 모바일 웹이 표시된다. 그리고, 모바일 웹에 나타난 소정의 선택 버튼 중 앱(어플리케이션) 설치 버튼을 누르면 앱 인스톨과 관련된 화면으로 바뀐다.When the user reads the QR code attached to the electrical product using the smartphone 200, the mobile web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200. Then, when a user presses an application (application) installation button among predetermined selection buttons displayed on the mobile web, the screen is changed to a screen related to the installation of the application.

그리고, 인스톨 버튼을 누르면, 해당 앱이 스마트 폰(200)에 설치된다. Then, when the install button is pressed,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200.

여기서 앱(어플리케이션)은 서버시스템(1)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되며,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전기제품을 관리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application) is an interface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server system 1, through which the user can remotely manage the electrical product using the smartphone.

도5(b)에는 스마트폰(200), 고객콜센터, 및 전기제품(그 도면에는 전기제품으로서 세탁기 및 냉장고를 도시하였다)(100)를 통해서 서비스를 요청하는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FIG. 5B illustrates a service request through a smart phone 200, a customer call center, and an electrical product (the figure shows a washing machine and a refrigerator as electrical appliances) 100.

전기제품(100)을 통해서 서비스 요청을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기제품(100)의 표시부에 나타난 입력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① 번의 경우)When a service request is made through the electrical product 100, the user can request a service by inputting a user ID and a password using the input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electrical product 100 (case (1)).

전기제품(100)을 통해서 서비스 요청을 하는 경우, 상기 서버시스템(200)은 해당 전기제품(100)에 대해서 필요한 서비스(정보제공, 고장진단)를 수행하고(③의 경우), 해당 전기제품(100)은 서버 시스템 방향으로 서비스 결과를 전송한다(④의 경우).When the service request is made through the electrical product 100, the server system 200 performs necessary service (information provision and fault diagnosis) for the electrical product 100 (in case of (3)), 100) transmits the service result to the server system (in case (4)).

스마트폰(200)을 통해 서비스 요청을 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관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시동한 후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면서 전기제품에 대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②번의 경우). When a service request is made via the smartphone 200, the user can start a management servic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200, and then request a service for the electrical product while inputting a user ID and a password (case (2)). .

스마트폰(200)은 서비스 요청을 위해,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정보를 서버시스템(1)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디바이스ID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The smart phone 20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rvice request to the server system 1 for service request, and may transmit the user ID and the password together with the device ID.

상기 서버시스템(1)은 해당 전기제품(100)에 대해서 필요한 서비스(정보제공, 고장진단)를 수행하고(③의 경우), 해당 전기제품(100)은 서버 시스템(1) 방향으로 서비스 결과를 전송한다(⑤의 경우).The server system 1 performs necessary services (information provision and fault diagnosis) for the electric product 100 (in case of (3)), and the electric product 100 transmits the service result to the server system 1 (In case of (5)).

이하에서는 도1 및 도2에서 나타난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에서 전기제품(100)과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300)가 상기 서버시스템(1)을 매개로 하여 정보 또는 신호를 교환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Hereinafter, in the electrical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 and FIG. 2,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ctrical product 100 and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300 exchange information or signals via the server system 1 I'll see.

상기 전기제품(100)과 서버시스템(1)간 정보교환의 전제조건으로, 상기 서버시스템(1)과 전기제품(100)간의 인증절차가 필요하다. An authentication procedure between the server system 1 and the electrical product 100 is required as a precondition for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ical product 100 and the server system 1. [

인증은 전기제품(100)에서 서버시스템(1)에 접속을 하는 경우, 서버시스템(1)측에서 전기제품(100)에 대해서 인증요구를 하고, 사용자는 전기제품(100)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인증에 필요한 정보(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 기타 인증번호) 등을 입력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When authentication is performed from the electrical product 100 to the server system 1, the server system 1 requests authentic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100, and the user operates the input unit of the electrical product 100 (User ID and password, other authentication number) necessary for authentication,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310)가 쇼핑 정보 제공 서버 또는 식당 정보 제공 서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310 preferably comprises a shopping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or a restaurant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03)를 통하여 필요한 정보 제공 요청을 하는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310)와 상기 전기제품 간의 상호 인증 및 정보의 교환이 상기 서버시스템(1)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 The mutual authentication and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310 and the electric appliance are performed via the server system 1 when the user requests the information provision through the input unit 103. [

사용자는 자신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The user can authenticate the user by inputting his / her ID and password.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310)에서는 쇼핑 정보나 식당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정보는 사용자의 전기제품(100)의 표시부나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된다.When th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310 provides shopping information or restaurant information, and the provided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user's electronic product 100 or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기 저장된 위시리스트를 상기 외부사업자 서버(310)로 송부하는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310)는 상기 위시리스트상 품목에 관한 쇼핑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쇼핑정보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user sends the pre-stored wish list to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310 through the input unit,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310 provides the shopping information on the wish list item, And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ortion of the electric product 100. [

도6에서는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와 쇼핑 사업자 서버(310) 간에 사용자의 위시리스트에 기반한 쇼핑정보를 제공을 할 수 있는 실시예가 도시된다.FIG. 6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shopping information based on a wish list of a user can be provided between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shopping provider server 310.

우선 사용자가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서버(310)에 대해서 엑세스 신호를 송부하면, 서버(310)에서 응답신호를 보낸다. 여기서 액세스 신호와, 응답신호에는 사용자와 서버(310)간의 인증을 위한 신호가 포함된다.First, when a user sends an access signal to the server 310 using the electrical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erver 310 sends a response signal. Here, the access signal and the response signal include a signal for authent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server 310.

서버(310)에서 응답신호를 보내면, 사용자는 전기제품(100)이나 무선단말기(200)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 위시리스트를 송부하고, 이를 받은 서버(310)는 상품 위시리스트 상의 품목에 관한 상품의 가격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server 310 sends a response signal, the user sends a goods wish list stored on the electr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server 310 receives the goods wish list stored in the goods wish list Quot ;, and &quot; price information &quot;

제공된 정보는 사용자의 전기제품(100)의 표시부나,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The provid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user's electronic product 100 or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도7에서는 도6과 유사한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여기서는 사용자가 위시리스트를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를 통하여 송부하면, 서버(310)에서는 위시 리스트 상의 세일정보를 제공한다. In FIG. 7, an embodiment similar to FIG. 6 is shown. Here, when the user sends the wish list through the electr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erver 310 provides the sale information on the wish list.

여기서 세일정보에는 위시리스트 상에 포함된 상품의 가격정보와, 해당 상품이 판매되고 있는 상점의 정보가 포함된다.Here, the sale information includes price information of the goods included in the wish list and information of the shops in which the goods are sold.

한편, 세일정보가 상기 전기제품(100)이나 무선단말기(200)에 수신되면, 이들의 제어부가 가격정보와 상품의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쇼핑 스케쥴을 산정하여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ale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control unit can calculate the optimal shopping schedule for the user and display the calculated shopping schedule on the display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pric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oods .

도8에서는 도7과 유사한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8에서 나타난 실시에서는 사용자가 위시리스트를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를 통하여 송부하면, 서버(310)에서는 위시 리스트 상의 세일정보를 제공한다. In FIG. 8, an embodiment similar to FIG. 7 i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when the user sends a wish list through the electr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erver 310 transmits sale information on the wish list to provide.

여기서 세일정보에는 위시리스트 상에 포함된 상품의 가격정보와, 해당 상품이 판매되고 있는 상점의 정보를 포함한다.Here, the sale information includes price information of the goods included in the wish list and information of the shop where the goods are sold.

그리고, 세일 정보 이외에도 해당 물품을 구매하기 위한 최적의 이동 경로에 관한 정보도 제공되고, 이러한 정보들은 상기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된다. In addition to the sale information, information on an optimal travel route for purchasing the article is also provided, and such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소정의 요리를 선택하여 이를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310)로 송부하는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310)는 상기 레서피 정보와, 상기 레서피에 필요한 제품 또는 식재료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정보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dish through the input unit and transmits the selected dish to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310,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310 transmits the recipe information and the product Or food ingredient information, and the provid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a display portion of the electric product 100. [

도9에서는 사용자가 전기제품(100)이나 무선단말기(200)를 통하여 선호하는 요리를 선택하면,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310)에서 해당 요리의 레서피와 식재료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9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310 provides a recipe and food ingredient information of the dish when the user selects a preferred dish through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

사용자가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된 여러가지 요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상기 전기제품(100)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200)에서 상기 서버(310)로 선택된 요리에 관한 정보를 요청한다.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various dish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electr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selects a dish selected as the server 310 from the electr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like.

상기 서버(310)에서는 해당 요리에 관한 레서피를 제공하고, 필요한 제품(식재료)의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필요한 제품의 정보를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 단말기 방향으로 제공한다.The server 310 provides a recipe relating to the cooking and provides the product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required product (foodstuff)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이 경우, 상기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는 제공된 레서피에 관한 정보 및 필요한 식재료 리스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n the recipe provided and the list of necessary ingredients lis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electric appliance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

도10은 사용자 생활에 필요한 필수 상용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서버(310)가 제공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FIG. 10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rver 310 provides information on essential commercial items necessary for user's life.

즉, 쌀이나, 물과 같은 생활 필수요소의 경우, 사용자가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를 통하여 상용 아이템 정보 제공에 대한 신청을 하는 경우, 이러한 신청이 쇼핑 사업자 서버(310)에 접수된다. That is, in the case of a living essential element such as rice or water, when a user makes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commercial item information through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application is transmitted to the shopping provider server 310 Is accepted.

그리고, 쇼핑 사업자 서버(310)로 부터 주기적으로 상용 아이템에 관한 세일 정보가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Sale information about commercial items can be periodically provided from the shopping business server 310 toward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

도11에서는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와 서버(310) 간에 계절 과일에 대한 쇼핑정보 제공을 할 수 있는 실시예가 도시된다.11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shopping information about seasonal fruits can be provided between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server 310. [

즉, 사용자가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서버(310)에 대해서 계절 과일 가격 정보 제공 요청을 한다.That is, the user requests the server 310 to provide seasonal fruit price information by using the electr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그러면, 서버(310)에서 사용자 인증 요청을 하고, 그에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Then, the server 310 makes a user authentication request, and the user can input the ID and password of the user, thereby authenticating the user.

인증이 완료되면, 서버(310)에서 과일 종류 선택 요청을 한다.When th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server 310 makes a request for selecting a fruit type.

요청에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하면 서버(310)에서는 계절과일의 가격정보 및 판매 상점의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정보는 사용자의 전기제품(100)의 표시부나,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When the user inputs a request, the server 310 provides price information of the seasonal fruit and information of the sales shop, and the provided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user's electric appliance 100 or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도12에서는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와 서버(310) 간에 쇼핑에 필요한 쿠폰 정보 제공을 할 수 있는 실시예가 도시된다.12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coupon information necessary for shopping between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server 310 can be provided.

즉, 사용자가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위시리스트 상의 제품을 선택하고, 서버(310)에 대해서 선택된 제품에 대한 쿠폰 정보 요청을 한다.That is, the user selects a product on the wish list by using the electr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requests the server 310 for coupon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product.

그러면, 서버(310)에서 사용자 인증 요청을 하고, 그에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Then, the server 310 makes a user authentication request, and the user can input the ID and password of the user, thereby authenticating the user.

인증이 완료되면, 서버(310)에서는 해당 상품에 대한 쿠폰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정보는 사용자의 전기제품(100)의 표시부나,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server 310 provides coupon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and the provided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user's electric appliance 100 or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도13에서는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와 서버(310) 간에 유효기한이 임박한 쿠폰에 대한 정보제공을 할 수 있는 실시예가 도시된다.13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information about a coupon whose expiration date is imminent between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server 310 can be provided.

즉, 사용자가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서버(310)에 대해서 발급 받은 쿠폰 중에서 유효기한이 임박한 쿠폰에 관한 정보 제공 요청을 한다.That is, the user makes a request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coupons for which the expiration date is imminent, from the coupons issued to the server 310 by using the electr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그러면, 서버(310)에서 사용자 인증 요청을 하고, 그에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Then, the server 310 makes a user authentication request, and the user can input the ID and password of the user, thereby authenticating the user.

인증이 완료되면, 서버(310)에서 대상 제품 선택 요청을 한다. When th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server 310 requests the target product selection.

요청에 따라서 사용자가 대상 제품을 입력하면 서버(310)에서는 해당 제품과 관련되는 쿠폰 중 유효기한이 임박한 쿠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정보는 사용자의 전기제품(100)의 표시부나,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When the user inputs a target product in response to the request, the server 310 provides coup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duct with an expiration date that is close to the expiration date, and the provided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user's electronic product 100,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display unit 200.

도14에서는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와 서버(310) 간에 사용자가 지정한 지점 인근의 식당정보 및 메뉴정보 제공을 할 수 있는 실시예가 도시된다.14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restaurant information and menu information near the point designated by the user between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server 310 can be provided.

즉, 사용자가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서버(310)에 대해서 주위 식당 및 메뉴에 관한 가격 정보 제공 요청을 한다.That is, the user requests the server 310 to provide price information on the restaurant and the menu using the electr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그러면, 서버(310)에서 사용자 인증 요청을 하고, 그에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Then, the server 310 makes a user authentication request, and the user can input the ID and password of the user, thereby authenticating the user.

인증이 완료되면, 서버(310)에서는 사용자가 지정한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있는 식당 들의 위치를 지도로 표시하고, 지도에서 각 식당에서 제공하는 메뉴의 가격대 정보도 같이 제공한다. When th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server 310 displays the locations of the restauran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int designated by the user as a map, and provides the price information of the menus provided by the restaurants on the map.

제공된 정보는 사용자의 전기제품(100)의 표시부나,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The provid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user's electronic product 100 or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식당을 지정하면, 상기 서버(310)는 선택된 식당 메뉴 가격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한다. 제공된 정보는 사용자의 전기제품(100)의 표시부나,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the user designates a specific restaurant, the server 310 specifically provides the selected restaurant menu price information. The provid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user's electronic product 100 or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도15에서는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와 서버(310) 간에 사용자 기분에 따른 추천 식당 정보 제공을 할 수 있는 실시예가 도시된다.15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recommended restaurant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user's mood between the 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server 310. [

즉, 사용자가 전기제품(100) 또는 무선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서버(310)에 대해서 기분에 따른 추천 식당 정보 제공 요청을 한다.That is, the user requests the server 310 to provide recommended restaurant information according to his / her mood using the electric product 1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그러면, 서버(310)에서 사용자 인증 요청을 하고, 그에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Then, the server 310 makes a user authentication request, and the user can input the ID and password of the user, thereby authenticating the user.

인증이 완료되면, 서버(310)에서 현재의 기분 상태 입력 요청을 한다. When th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server 310 requests the current mood state input.

요청에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기분을 입력하면 서버(310)에서는 그 기분에 맞는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는 추천 식당 정보와 메뉴를 제공하고, 제공된 정보는 사용자의 전기제품(100)의 표시부나,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When the user inputs his or her mood according to the request, the server 310 provides recommended restaurant information and a menu that can form an atmosphere suitable for the mood, and the provided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user's electronic product 100, An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200.

1: 서버시스템 2:대표사이트
100: 전기제품 101: 제어부
102: 통신부 103: 입력부
104: 표시부 105: 구동부
106: 메모리부 200: 무선단말기
310: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
1: server system 2: representative site
100: electrical appliance 101: control unit
102: communication unit 103: input unit
104: display unit 105:
106: memory unit 200: wireless terminal
310: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Claims (16)

소정의 ID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제품과;
상기 전기제품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전기제품의 ID가 수록되며, 기수록된 ID를 전기제품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전기제품과 소정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전기제품과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서버시스템을 구비하되,
상기 전기제품은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 정보와 전기제품의 ID를 상기 서버시스템으로 송신하여 상기 서버시스템과 직접 통신하며,
상기 전기제품은 상기 서버시스템을 통하여 소정의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와 통신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서버시스템은 기수록된 ID를 갖는 전기제품으로부터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상기 서버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전기제품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An electrical product having a predetermined ID;
A server system which is arrang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electrical product so that the user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and the ID of the electrical product are recorded and the recorded ID is exchanged with the electrical product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electrical product, , &Lt; / RTI &
Wherein the electrical product transmits user information and an ID of an electrical product to the server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and directly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system,
The electrical product is provid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 predetermined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through the server system,
Wherein the server system transmits to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a request for a service provided by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from the electrical product having the stored ID, Wherein the electronic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s provided with the electronic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과 통신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전기제품과 동기화되는 무선단말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선단말기는 상기 서버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와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terminal communicable with the electrical product and synchronized with the electrical product,
Wherein the wireless terminal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through the server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은,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와; 소정의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서버시스템 또는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통신부와; 상기 전기제품의 입력부와 상기 표시부와,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는,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와; 소정의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서버시스템 또는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무선단말기의 입력부와 상기 표시부와,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ical product includes an input unit to which a predetermined command is inpu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system or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An input unit of the electric product,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he wireless terminal includes an input unit to which a predetermined command is inpu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system or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An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과 무선단말기의 통신부는 상기 서버시스템 또는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와 상호 인증과정을 거친 이후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electronic product and the wireless terminal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after mutual authentication with the server system or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전기제품 또는 무선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필요한 정보 제공 요청을 하는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와 상기 전기제품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 간의 상호 인증이 이루어진 후,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부터 소정의 쇼핑 정보가 상기 전기제품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n a user makes a request for providing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electronic product or the wireless terminal,
Wherein after the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and the electronic product or the wireless terminal is performed, predetermined shopping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rt of the electronic product or the wireless terminal from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Management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전기제품 또는 무선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 위시리스트를 송부하는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위시리스트 상 제품의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a user sends a wish list to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electronic product or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provides purchase information of the product on the wish list.
소정의 ID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제품과;
상기 전기제품의 ID가 수록되며, 기 수록된 ID와 연관된 전기제품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전기제품과 소정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전기제품과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서버시스템을 구비하되,
상기 전기제품은 상기 서버시스템을 통하여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전기제품은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소정의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서버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그리고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시스템과 상호 인증과정을 거친 이후에 정보를 송수신하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 위시리스트를 송부하는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위시리스트 상 제품의 세일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일 정보에 기반한 최적 쇼핑 스케쥴을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최적 쇼핑 스케쥴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An electrical product having a predetermined ID;
And a server system which stores the ID of the electrical product and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electrical product so that predetermined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with the electrical product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electrical product associated with the ID,
Wherein the electrical product is communicable with an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providing shopping information through the server system,
The electronic product includes an input unit to which a predetermined command is input, a display unit to display predetermined information, a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system,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after mutual authentication with the server system,
When a user sends a wish list to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through the input unit,
Wherein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provides sale information of the product on the wish list,
Wherein the control unit provides an optimal shopping schedule based on the sale information, and the provided optimum shopping schedul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통신부와 표시부를 구비하며, 소정의 디바이스 ID를 구비하는 전기제품과;
통신부와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기제품과 연동되어 상기 전기제품에서 발생된 정보나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생성된 정보나 신호를 상기 전기제품방향으로 송신하는 무선단말기와,
상기 전기제품 및 무선단말기와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며, 사용자 정보와 상기전기제품의 디바이스 ID가 저장된 서버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전기제품은 상기 전기제품의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 정보와 전기제품의 디바이스 ID를 상기 서버시스템으로 송신하여 상기 서버시스템과 직접 통신하며,
상기 무선단말기는 상기 무선단말기의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 정보와 전기제품의 디바이스 ID를 상기 서버시스템으로 송신하여 상기 서버시스템과 직접 통신하고,
상기 서버시스템은 상기 무선단말기와 전기제품에서 수신하는 사용자 정보와 전기제품의 디바이스 ID를 상기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전기제품의 디바이스 ID와 매칭하고,
상기 전기제품에서 생성되는 신호 또는 정보가 상기 서버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무선단말기로 전달되어 상기 무선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거나,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신호 또는 정보가 상기 서버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전기제품으로 전달되어 상기 전기제품의 표시부에 표시되거나 상기 전기제품의 구동상태를 변화시키며,
상기 전기제품은 상기 서버시스템을 통하여 소정의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와 통신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서버시스템은 기수록된 ID를 갖는 전기제품으로부터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상기 서버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전기제품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An electric appliance having a communication unit and a display unit and having a predetermined device ID;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communication unit and a display unit and receiving information or a signal generated in the electric appliance in cooperation with the electric appliance 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formation or signal to the appliance,
And a server system that is communicatable with the electrical product and the wireless terminal and stores user information and a device ID of the electrical product,
Wherein the electrical product transmits user information and a device ID of the electrical product to the server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of the electrical product to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system,
The wireless terminal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device ID of the electrical product to the server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directly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system,
Wherein the server system matches the us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electronic product and the device ID of the electronic product with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and the device ID of the electronic product,
A signal or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electrical product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server system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A signal or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wireless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 appliance through the server system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the electric appliance or to change a driving state of the appliance,
The electrical product is provid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 predetermined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through the server system,
Wherein the server system transmits to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a request for a service provided by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from the electrical product having the stored ID, Wherein the electronic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s provided with the electronic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가 식당 정보 제공 서버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필요한 정보 제공 요청을 하는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와 상기 전기제품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 간의 상호 인증이 이루어진 후,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부터 소정의 식당 정보가 상기 전기제품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comprises a restaurant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When a user makes a request for providing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unit,
Wherein after the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and the electronic product or the wireless terminal is performed, predetermined restauran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rt of the electronic product or the wireless terminal from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Management system.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주위 식당 가격 범위 정보를 요청한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 소정거리 내에 있는 식당들의 가격 범위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제공된 여러 식당 중 특정 식당을 선택하면,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선택된 식당 메뉴 가격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n the user requests the surrounding restaurant price range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unit,
Wherein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provides price range information of restaurants within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distance designated by the user,
Wherein when the user selects a particular restaurant from among the provided restaurants,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provides the selected restaurant menu price information.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기분에 따른 추천식당 정보 제공을 요청한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사용자의 기분 상태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기분상태를 선택하면, 상기 외부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기분에 따른 추천 식당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If the user requests to provide recommended restaurant information according to his or her mood through the input unit,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requests the mood state input of the user,
Wherein when the user selects his / her mood state, the external service provider server provides recommended restaurant information according to mood.
KR1020110083498A 2011-08-22 2011-08-22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KR1019234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98A KR101923435B1 (en) 2011-08-22 2011-08-22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EP12181412.3A EP2562967B1 (en) 2011-08-22 2012-08-22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US13/591,801 US20130214935A1 (en) 2011-08-22 2012-08-22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98A KR101923435B1 (en) 2011-08-22 2011-08-22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147A KR20130021147A (en) 2013-03-05
KR101923435B1 true KR101923435B1 (en) 2018-11-29

Family

ID=48174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498A KR101923435B1 (en) 2011-08-22 2011-08-22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43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1681B2 (en) * 2015-12-29 2021-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tem purchase, item purchase method and refrigerator
KR102473583B1 (en) * 2017-08-30 2022-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8212A1 (en) * 2007-01-19 2008-07-24 Sony Corporation Network system, access management server, event notification method, network appliance and computer progra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8212A1 (en) * 2007-01-19 2008-07-24 Sony Corporation Network system, access management server, event notification method, network appliance and computer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147A (en) 201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026B1 (en)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US99552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 tracking using wireless beacons
EP2562967B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US20220286375A1 (en)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and server device
EP244822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mart appliances
KR101783615B1 (en) A system for purchasing and managing an item using a terminal and a refrigerator using the same
US9842362B2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shopping for goods using the same
US8897810B2 (en) System for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US20130080251A1 (en) Product registration and tracking system
JP2017509050A (en) Message mediation method, message processing method, servi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40135147A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interactive consumer engagement platform
US20150339634A1 (en) Home maintenance automation
KR101909027B1 (en)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KR101923435B1 (en)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KR101812170B1 (en)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JP2002352025A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coping with repair of household electric appliances, recording medium with this program recorded, method, server, and program for accepting repair of them, recording medium with this program recorded, method and program for requesting repair of them, recording medium with this program recorded, method and program for registering allowable repair date, recording medium with this program recorded, domestic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 for fault information of them, database for store, and communication terminal for store
KR101992188B1 (en)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onic appliance
KR20130021143A (en)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KR20130021145A (en)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KR101712395B1 (en) System for supporting servic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KR20140090504A (en) Mobile orderign method
JP2024051831A (en) Housekeeping support system and housekeeping support method
JP2024051810A (en) Housekeeping service support system and housekeeping service support method
JP5796122B1 (en) Order system
JP2021052298A (en) Network system, ser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