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051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051A
KR20130018051A KR1020110080887A KR20110080887A KR20130018051A KR 20130018051 A KR20130018051 A KR 20130018051A KR 1020110080887 A KR1020110080887 A KR 1020110080887A KR 20110080887 A KR20110080887 A KR 20110080887A KR 20130018051 A KR20130018051 A KR 20130018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terminal
transmission
pdsch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8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기범
박경민
안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10080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8051A/en
Priority to PCT/KR2012/006381 priority patent/WO2013025014A2/en
Publication of KR20130018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0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find a path attenuation estimate between transmitting/receiving points when a terminal performs an up-link transmission for the transmitting/receiving points. CONSTITUTION: A radio resource control(RRC) message processing unit(1011) analyzes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PDSCH) setting information elements. The RRC message processing unit obtains transmission power for a reference signal. The RRC message processing unit induces energy per resource elements of the reference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power. The RRC message processing unit calculates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RSRP). A path attenuation calculation unit(1012) calculates a path attenuation estimate for transmitting/receiving points from the energy and the RSRP. [Reference numerals] (1005) Terminal RF unit; (1010) Terminal processor; (1011,1071) RRC message processing unit; (1012) Path attenuation calculation unit; (1060) Transceiving point RF unit; (1070) Transceiving point processor; (1072) Path attenuation difference calculation unit; (AA) PDSCH setting information element, setting information about CIS-RS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무선통신 시스템의 성능과 통신 용량을 높이기 위하여 다중 셀 협력이 소개되고 있다. 다중 셀 협력은 CoMP(cooperative multiple 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라고도 한다. Multi-cell cooperation has been introduced to increase the performance and communication capac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Multi-cell cooperation is also known as cooperative multiple 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MP).

CoMP에는 인접하는 셀들이 협력하여 셀 경계의 사용자에게 간섭을 완화하는 빔 회피 기법과 인접하는 셀들이 협력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조인트 전송(joint transmission) 기법 등이 있다. CoMP includes a beam avoidance technique in which neighboring cells cooperate to mitigate interference to a user at a cell boundary, and a joint transmission technique in which neighboring cells cooperate to transmit the same data.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m이나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Advanced와 같은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셀 경계에 위치하여 인접 셀로부터 심한 간섭을 받는 사용자들의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 주요 요구 사항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CoMP가 고려될 수가 있다.Next-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6m or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Advanced, are located at cell boundaries and are subject to severe interference from adjacent cell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oMP can be considered.

이러한 CoMP에 관하여 다양한 시나리오가 가능하다.Various scenarios are possible with this CoMP.

하나의 기지국 주변에 다수의 셀이 존재하는 인트라-사이트(intra-site) CoMP가 있고, 하나의 매크로 셀 주변에 복수의 고-전력(High-Power) 원격 무선헤드(Remote Radio Head : RRH)가 존재하는 고-전력 RRH CoMP가 있고, 하나의 매크로 셀 주변에 저-전력(low-power) RRH가 존재하되 RRH의 셀 ID와 매크로 셀의 셀 ID가 동일한 경우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가 각각 존재하는 저전력 RRH CoMP가 있다. There is an intra-site CoMP with multiple cells around one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high-power remote radio heads (RRHs) around one macro cell. There are high-power RRH CoMPs that exist, and low-power RRHs exist around one macro cell, but the cell IDs of the RRHs and the cell IDs of the macro cells are not the same. There is a low power RRH CoMP.

단말이 CoMP로 동작하는 여러 송수신점들 중 하나의 송수신점을 선택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때,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기준이 아직까지 정해진 바가 없다. When the terminal performs uplink transmission by selecting one transmission point amo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s operating in CoMP,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has not yet been determin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송수신점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signals from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s.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송수신점들로 전송된 사운딩 기준신호를 이용하여 송수신점과 단말간의 경로감쇄 차이를 계산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path attenuation difference between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int and a terminal using a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ints.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채널상태정보의 피드백을 위해 전송되는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참조신호 대 수신신호, 경로감쇄 예상치 및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계산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reference signal to a received signal, a path loss estimate, and an uplink transmission power using a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for feedback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단말에 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채널상태정보의 추정을 위해 사용되는 참조 신호에 관한 전송 전력을 지시하는 물리하향링크 공용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설정 정보 요소를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참조 신호를 상기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PDSCH 설정 정보 요소가 지시하는 상기 참조 신호에 관한 전송 전력으로부터 상기 참조 신호의 자원요소당 에너지를 계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에 대해 물리계층 수준의 필터링과 상위계층 수준의 필터링을 적용하여 참조 신호 대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참조 신호의 자원요소당 에너지 및 상기 참조 신호 대 수신 전력으로부터 상기 송수신점에 대한 경로감쇄 예상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감쇄 예상치를 기초로 상기 송수신점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uplink transmission power for a terminal performed by a terminal. The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indicating a transmission power with respect to a reference signal used for estimation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receiving the reference signal. Receiving from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calculating energy per resource element of the reference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reference signal indicated by the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and filtering at the physical layer level and higher layer level for the reference signal Calculating a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by applying a filtering function, and calculating a path loss estimate for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from the energy per resource element of the reference signal and the reference signal to received power. And an uplink to the transceiver point based on the path loss estimate. And a step of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power is greater.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1 송수신점에 의해 수행되는 단말에 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사운딩 기준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SRS를 제1 송수신점이 수신한 결과로부터 얻은 상기 단말과 상기 제1 송수신점간의 제1 경로감쇄 예상치와, 상기 SRS를 제2 송수신점이 수신한 결과로부터 얻은 상기 단말과 상기 제2 송수신점간의 제2 경로감쇄 예상치간의 차이인 경로감쇄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감쇄 차이를 지시하는 물리하향링크 공용채널(PDSCH) 설정 정보 요소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for a terminal performed by a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The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from a terminal, a first path loss estimat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obtained from a result of receiving the SRS by a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Calculating a path attenuation difference,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a second path attenuation expected valu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obtained from a result of receiving the SRS by a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and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indicating the path attenuation difference Sending a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to th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말에 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채널상태정보의 추정을 위해 사용되는 참조 신호에 관한 전송 전력을 지시하는 물리하향링크 공용채널(PDSCH) 설정 정보 요소, 상기 참조 신호를 상기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는 단말 RF부, 상기 PDSCH 설정 정보 요소를 분석하여 상기 참조 신호에 관한 전송 전력을 획득하고, 상기 참조 신호에 관한 전송 전력으로부터 상기 참조 신호의 자원요소당 에너지를 유도하며, 상기 참조 신호에 대해 물리계층 수준의 필터링과 상위계층 수준의 필터링을 적용하여 RSRP를 계산하는 RRC 메시지 처리부, 및 상기 참조 신호의 자원요소당 에너지 및 상기 RSRP로부터 상기 송수신점에 대한 경로감쇄 예상치를 계산하는 경로감쇄 계산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for a terminal is provided. The terminal is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indicating a transmission power for a reference signal used for estimation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a terminal RF unit for receiving the reference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he PDSCH configuration Analyze information elements to obtain transmit power for the reference signal, derive energy per resource element of the reference signal from transmit power for the reference signal, and physical layer level filtering and higher layer level for the reference signal RRC message processing unit for calculating the RSRP by applying the filtering, and path loss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energy loss per resource element of the reference signal and the path loss estimate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from the RSRP.

동일한 물리적 셀 ID를 사용하는 다수의 송수신점들에 대해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때, 각 송수신점들간의 경로감쇄 예상치를 알 수 있어 효율적인 상향링크 전력제어가 가능하다.When the terminal performs uplink transmission on a plurality of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s using the same physical cell ID, it is possible to know the path loss estimate between each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thereby enabling efficient uplink power control.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정규 CP의 경우에 CSI-RS가 자원요소에 매핑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확장 CP의 경우에 CSI-RS가 자원요소에 매핑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수의 송수신점과 단말이 통신하는 일 시나리오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수의 송수신점과 단말이 통신하는 다른 시나리오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과 송수신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and 3 schematically show the structure of a radio fram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CSI-RS is mapped to a resource element in the case of a normal CP.
6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CSI-RS is mapped to a resource element in the case of an extended CP.
7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scenario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s and a terminal communicate with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scenario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s and a terminal communicat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and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는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네트워크에 링크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esent specification describes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work performed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performed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network and transmitting data in a system (for example, a base station) that manages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a terminal linked to the network. Work can be done i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일반적으로 셀(cell)이라고 함)(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15a, 15b, 15c)은 다시 다수의 영역들(섹터라고 함)로 나누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is widely deployed to provide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voice, packet data, and the lik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includes at least one base station 11 (BS). Each base station 11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for a particular geographic area or frequency area (generally called a cell) 15a, 15b, 15c. Cells 15a, 15b, and 15c may in turn be divided into a number of regions (called sectors).

단말(12; mobile station, MS)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2)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 기지국(femto eNB), 가내 기지국(Home eNB: HeNB), 릴레이(relay),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셀(15a, 15b, 15c)은 기지국(11)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A mobile station (MS) 12 may be fixed or mobile and may be a user equipment (UE), a mobile terminal (MT), a user terminal (UT), a subscriber station (SS), a wireless device,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wireless modem, a handheld device, and the like. The base station 11 generally refers to a fixed station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12, and includes an evolved-NodeB (eNB),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an access point, and a femto eNB. ), A home eNB (HeNB), a relay, a remote radio head (RRH), etc. may be referred to as other terms. Cells 15a, 15b, and 15c should be interpreted in a comprehensive sense indicating some areas covered by the base station 11, and encompass all of the various coverage areas such as megacells, macrocells, microcells, picocells, and femtocells. to be.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10)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변조 기법들은 통신 시스템의 다중 사용자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복조하여 통신 시스템의 용량을 증가시킨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downlink refers to a communication or communication path from the base station 11 to the terminal 12, and uplink refers to a communication or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erminal 12 to the base station 11. . In the downlink, the transmitter may be part of the base station 11, and the receiver may be part of the terminal 12. In the uplink, the transmitter may be part of the terminal 12, and the receiver may be part of the base station 11.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multiple access scheme appli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C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Single Carrier-FDMA , OFDM-CDMA, and the like. These modulation techniques demodulate signals received from multiple users of a communication system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he uplink transmission and the downlink transmission may use a time division duplex (TDD) scheme transmitted using different times or 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scheme transmitted using different frequencies.

무선통신 시스템(10)은 CoMP(Coordinated Multi Point) 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CoMP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 또는 CoMP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말한다. CoMP는 다중 송수신점들(multi transmission/reception(Tx/Rx) points)에 의해 전송 또는 수신되는 신호들을 조정 또는 조합하는 기술이다. CoMP는 데이터 전송율을 증가시키고 높은 품질과 높은 스루풋(throughput)을 제공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may be a Coordinated Multi Point (CoMP) system. The CoMP system refers to a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oMP or a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CoMP is applied. CoMP is a technique for adjusting or combining signals transmitted or received by multi transmission / reception (Tx / Rx) points. CoMP can increase data rates and provide high quality and high throughput.

송수신점은 요소 반송파, 또는 셀, 또는 기지국(매크로 기지국, 피코 기지국(Pico eNB), 펨토 기지국(Femto eNB)등), 또는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 중 어느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송수신점은 안테나 포트(antenna port)들의 집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점은 안테나 포트들의 집합에 관한 정보를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signaling)으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셀 내에 다수의 전송점들을 안테나 포트들의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포트들의 집합 간의 교집합은 언제나 공집합이다.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may be defined as a component carrier or a cell or a base station (macro base station, pico base station, femto base station, etc.), or a remote radio head (RRH). Alternativel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may be defined as a set of antenna ports. The transceiver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set of antenna ports to the terminal through radio resource control (RRC) signaling. Therefore, a plurality of transmission points in one cell can be defined as a set of antenna ports.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set of antenna ports is always empty.

셀(15a)의 기지국(11), 셀(15b)의 기지국(11) 그리고 셀(15c)의 기지국(11)들이 다중 송수신점들을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다중 송수신점들은 호모지니어스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매크로 셀의 기지국들일 수 있다. 또한, 다중 송수신점은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매크로 셀의 기지국과 매크로 셀 내의 피코 셀의 기지국들일 수도 있다. 또한, 다중 송수신점은 매크로 셀의 기지국과 매크로 셀 내의 RRU(Remote Radio Unit)일 수도 있다. 또한, 다중 송수신점은 매크로 셀 내, 매크로 셀의 기지국에 속하는 RRH와 이종 셀(e.g. 피코 셀)의 기지국 속하는 RRH일 수도 있다.The base station 11 of the cell 15a, the base station 11 of the cell 15b and the base station 11 of the cell 15c may configure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s. For example, the multiple transmit / receive points may be base stations of a macro cell forming a homogeneous network. Further, the multiple transmit / receive points may be base stations of macro cells and base stations of pico cells within macro cells, forming a heterogeneous network. In addition, the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s may be a base station of the macro cell and a remote radio unit (RRU) in the macro cell. In addition, the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s may be RRHs belonging to the base station of the macro cell and RRHs belonging to the base station of the heterogeneous cell (e.g. pico cell) in the macro cell.

CoMP 시스템은 CoMP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CoMP 시스템이 CoMP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를 CoMP 모드라 하고, 그렇지 않은 모드를 일반 모드(normal mode)라 한다. 예를 들어, CoMP가 유리하다고 판단되면, CoMP 시스템은 CoM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반면 CoMP가 불리하다고 판단되면, CoMP 시스템은 일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The CoMP system may selectively apply CoMP. A mode in which a CoMP system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CoMP is called a CoMP mode, and a mode other than the CoMP system is called a normal mode. For example, if CoMP is determined to be advantageous, the CoMP system may operate in CoMP mode. On the other hand, if CoMP is determined to be disadvantageous, the CoMP system may operate in a normal mode.

단말(12)은 CoMP 단말일 수 있다. CoMP 단말은 CoMP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CoMP 협력 집합(CoMP Cooperating Set)과 통신을 수행한다. CoMP 단말도 CoMP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CoMP 모드로 동작하거나, 일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CoMP 협력 집합은 CoMP 단말에 대하여 어떤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데이터 전송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송수신점들의 집합이다. 예를 들어 셀(15a)의 기지국(11), 셀(15b)의 기지국(11) 그리고 셀(15c)의 기지국(11)들이 CoMP 협력 집합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점들은 반드시 동일한 커버리지를 제공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셀(15a)의 기지국(11)은 매크로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이고, 셀(15b)의 기지국(11)은 RRH일 수 있다. The terminal 12 may be a CoMP terminal. The CoMP terminal is a component of the CoMP system and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 CoMP cooperating set. Like the CoMP system, the CoMP terminal may operate in the CoMP mode or in the normal mode. The CoMP cooperative set is a set of transmit / receive point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e in data transmission on a time-frequency resource for a CoMP terminal.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11 of the cell 15a, the base station 11 of the cell 15b, and the base station 11 of the cell 15c may form a CoMP cooperative set. Also, the transmit and receive points do not necessarily have to provide the same coverage. For example, base station 11 of cell 15a may be a base station providing a macro cell, and base station 11 of cell 15b may be an RRH.

데이터 전송 또는 수신에 직접 참여한다는 것은 송수신점들이 해당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실제로 데이터를 CoMP 단말로 전송하거나 CoMP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 전송 또는 수신에 간접 참여한다는 것은 송수신점들이 해당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실제로 데이터를 CoMP 단말로 전송하거나 CoMP 단말로부터 수신하지 않지만, 사용자 스케줄링/빔포밍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데에 공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articipating directly in data transmission or reception means that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ints actually transmit data to or receive data from the CoMP terminal in the corresponding time-frequency resource. Indirect participation in data transmission or reception means that the transmit / receive points do not actually transmit or receive data to or from the CoMP terminal in the corresponding time-frequency resource, but contribute to making decisions about user scheduling / beamforming. .

CoMP 단말은 CoMP 협력 집합으로부터 동시에 신호를 수신하거나, CoMP 협력 집합으로 동시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CoMP 시스템은 CoMP 협력 집합을 구성하는 각 셀의 채널 환경을 고려하여 CoMP 협력 집합 간에 간섭 영향을 최소화한다. The CoMP terminal may simultaneously receive signals from the CoMP cooperative set or transmit signals simultaneously to the CoMP cooperative set. At this time, the CoMP system minimizes the interference effect between the CoMP cooperation sets in consideration of the channel environment of each cell constituting the CoMP cooperation set.

CoMP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때, 수신점과 CoMP 단말간에 채널환경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채널환경은 CoMP 단말에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폭, 하향링크 경로감쇄(pathloss: PL) 등 CoMP 단말을 위한 스케줄링에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들의 집합이다. 채널환경은 수신점마다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이는 채널환경이 수신점마다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만약 채널환경이 수신점마다 다르면, CoMP 단말은 각 수신점에 대해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달리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CoMP 단말은 채널환경이 각 수신점마다 어떻게 다른지 알아야 한다. When the CoMP terminal performs uplink transmission, a channel environment is formed between the reception point and the CoMP terminal. For example, the channel environment is a set of parameters that affect scheduling for a CoMP terminal, such as a frequency bandwidth allocated to the CoMP terminal and a downlink pathloss (PL). The channel environment is formed individually for each receiving point. This means that the channel environment may be different for each receiving point. If the channel environment is different for each receiving point, the CoMP terminal should set uplink transmission power differently for each receiving point. Therefore, the CoMP terminal needs to know how the channel environment is different for each receiving point.

CoMP 시스템의 운용시, 다양한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제1 시나리오는 하나의 기지국 주변에 다수의 셀이 존재하는 인트라-사이트(intra-site) CoMP 시나리오이다. 제2 시나리오는 하나의 매크로 셀 주변에 복수의 고-전력(High-Power) RRH가 존재하는 고-전력 CoMP 시나리오이다. 제3 시나리오는 하나의 매크로 셀 주변에 저-전력(low-power) RRH가 존재하되 RRH의 물리적 셀 ID와 매크로 셀의 물리적 셀 ID가 동일하지 않은 CoMP 시나리오이다. 제4 시나리오는 하나의 매크로 셀 주변에 저-전력 RRH가 존재하되 RRH의 물리적 셀 ID와 매크로 셀의 물리적 셀 ID가 동일한 CoMP 시나리오이다. When operating a CoMP system, various scenarios are possible. The first scenario is an intra-site CoMP scenario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exist around one base station. The second scenario is a high-power CoMP scenario in which a plurality of high-power RRHs exist around one macro cell. The third scenario is a CoMP scenario in which a low-power RRH exists around one macro cell but the physical cell ID of the RRH and the physical cell ID of the macro cell are not the same. The fourth scenario is a CoMP scenario in which a low-power RRH exists around one macro cell, but the physical cell ID of the RRH and the physical cell ID of the macro cell are the same.

제3 시나리오와 같이 다수의 수신점들이 모두 서로 다른 물리적 셀 ID를 가지면, CoMP 단말은 각 수신점을 구별할 수 있고, 각 수신점별로 다른 채널환경을 구별할 수 있다. 그런데 제4 시나리오와 같이 송수신점들의 물리적 셀 ID가 동일한 경우 CoMP 단말은 다수의 수신점들을 구별하고, 그에 따라 다른 채널환경을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If the plurality of receiving points all have different physical cell IDs as in the third scenario, the CoMP terminal may distinguish each receiving point and may distinguish different channel environments for each receiving point. However, when the physical cell IDs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s are the same as in the fourth scenario, the CoMP terminal should distinguish a plurality of reception points and accordingly different channel environments.

CoMP의 범위(category)에는 조인트 프로세싱(Joint Processing: JP, 이하 'JP'라 함)과 협력 스케줄링/빔포밍(Coordinated Scheduling/Beamforming: CS/CB, 이하 'CS/CB'라 함)이 있으며 JP와 CSCB를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CoMP's category includes Joint Processing (JP) and Coordinated Scheduling / Beamforming (CS / CB). It is also possible to mix CSCB with.

JP의 경우에, 단말에 대한 데이터가 어떤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CoMP 협력 집합의 적어도 한 송수신점에서는 이용 가능(available)하다. JP는 조인트 트랜스미션(Joint Transmission: JT, 이하 'JT' 라 함)과 동적 송수신점 선택(Dynamic Point Selection: DPS, 이하 'DPS'라 함)을 포함한다. In the case of JP, data for the terminal is available at at least one transmit / receive point of the CoMP cooperative set in some time-frequency resource. JP includes Joint Transmission (JT, hereinafter referred to as 'JT') and Dynamic Point Selection (DP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PS').

JT는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한 단말 또는 복수의 단말들에게 CoMP 협력 집합에 속하는 다중 송수신점들(multi-points)로부터 함께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는 것을 말한다. JT의 경우에 한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중 셀(다중 송수신점)들은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을 수행한다. JT refers to data transmission being performed together from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s belonging to a CoMP cooperative set to one terminal or a plurality of terminals in time-frequency resources. In the case of JT, multiple cells (multi-transmitting / receiving points) transmitting data to one terminal perform transmission using the same time / frequency resource.

DPS의 경우에는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CoMP 협력 집합의 한 송수신점로부터 데이터 전송이 수행된다. 송수신점은 간섭을 고려하여 서브프레임마다 바뀔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 내의 자원블록 쌍(Resource Block Pair)에 걸쳐 변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송되는 데이터는 복수의 송수신점들에서 동시에 이용 가능하다. DPS는 동적 셀 선택(Dynamic Cell Selection: DCS)를 포함한다. In the case of DPS,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from on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of a CoMP cooperative set in time-frequency resource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may be changed for each subframe in consideration of interference, and includes a change over a resource block pair within a subframe. The data to be transmitted is simultaneously available at multiple transmit and receive points. DPS includes Dynamic Cell Selection (DCS).

CS의 경우에, 데이터는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하여 CoMP 협력 집합 내의 한 송수신점으로부터 전송되는데, 사용자 스케줄링은 해당 CoMP 협력 집합의 포인트들 사이에서 협력(coordination)에 의해 결정된다. 이때, 이용되는 송수신점은 동적으로 혹은 반-정적으로 선택된다. 동적으로 송수신점을 선택하는 경우에, 전송은 한번에 한 송수신점에서만 수행되는데, 송수신점은 서브프레임마다 바뀔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 내의 자원블록 쌍에 걸쳐 변하는 것을 포함한다. 반-정적으로 포인트를 선택하는 경우에, 한번에 한 송수신점에서만 전송이 수행되며, 반 정적인 방법으로만 송수신점이 변경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CS, data is transmitted from one transmit / receive point in a CoMP cooperation set for time-frequency resources, and user scheduling is determined by coordination between the points of that CoMP cooperation set.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used is dynamically or semi-statically selected. In the case of dynamically selecting a transmit / receive point, transmission is performed only at one transmit / receive point at a time, which may change from subframe to subframe, and includes changing across resource block pairs within a subframe. In the case of semi-statically selecting points, only on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is transmitted at a time,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can be changed only in a semi-static manner.

CB의 경우 역시, 해당 CoMP 협력 집합의 송수신점들 사이에서 협력에 의해 결정된다. CB(Coordinated Beamforming)에 의해 이웃 셀의 단말들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간섭을 피할 수 있다.In the case of CB, it is also determined by cooperation betwee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ints of the CoMP cooperation set. By the CB (Coordinated Beamforming) it is possible to avoid the interference occurring between the terminals of the neighbor cell.

상술한 바와 같이, JP와 CS/CB를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CoMP 협력 집합 내의 몇몇 송수신점들은 JP에 따라서 타겟 단말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CoMP 협력 집합 내의 다른 송수신점들은 CS/CB를 수행할 수도 있다. As mention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mix JP and CS / CB. For example, some transmit / receive points in the CoMP cooperative set may transmit data to the target terminal according to JP, and other transmit / receive points in the CoMP cooperative set may perform CS / CB.

한편, DCS에 대하여,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값은 영 전력 CSI-RS 설정(zero power CSI-RS configuration)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or the DCS, the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value may be derived by a zero power CSI-RS configuration.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송수신점은 기지국, 셀 또는 RRH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 또는 RRH가 송수신점이 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지국이 다중 송수신점들이 될 수도 있고, 복수의 RRH들이 다중 송수신점들이 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모든 기지국 또는 RRH의 동작은 다른 형태의 송수신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include a base station, a cell, or an RRH. That is, the base station or the RRH may be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Meanwhile,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may be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s, and the plurality of RRHs may be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s. Of course, the operation of all base stations or RRH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other types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s.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제1 계층(L1), 제2 계층(L2), 제3 계층(L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제1 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The layers of the radio interface protocol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re based on the lower three layers of the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model, which is well known in the communication system. It may be divided into a second layer L2 and a third layer L3. Among them, the physical layer belonging to the first layer provides an information transfer service using a physical channel.

물리계층에서 사용되는 몇몇 물리채널들이 있다. 물리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이하 PDCCH)은 하향링크 공용채널(Downlink Shared Channel: DL-SCH)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 상향링크 공용채널(Uplink Shared Channel: UL-SCH)의 자원 할당 정보, 물리하향링크 공용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상으로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과 같은 상위 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단말 그룹내 개별 단말들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명령(command)의 집합 등을 나를 수 있다. 복수의 PDCCH가 제어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으며,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There are several physical channels used in the physical layer. Th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includes a resource allocation and transmission format of a downlink shared channel (DL-SCH), a resource of an uplink shared channel (UL-SCH) Resource allocation of an upper layer control message such as allocation information, a random access response transmitted on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individual terminals in an arbitrary terminal group : TPC) commands, and so on. A plurality of PDCCHs can be transmitted in the control domain, and the UE can monitor a plurality of PDCCHs.

PDCCH에 맵핑되는 물리계층의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이하 DCI)라고 한다. 즉, DCI는 PDCCH을 통해 전송된다. DCI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자원할당필드, 상향링크 전송전력제어 명령 필드, 페이징을 위한 제어필드, 랜덤 액세스 응답(RA response)을 지시(indicate)하기 위한 제어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physical layer mapped to the PDCCH is referred to as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That is, the DCI is transmitted on the PDCCH. The DCI may include an uplink or downlink resource allocation field, an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 field, a control field for paging, a control field for indicating a random access response (RA response), and the like.

DCI는 그 포맷(format)에 따라 사용용도가 다르고, DCI내에서 정의되는 필드(field)도 다르다. 표 1은 여러가지 포맷에 따른 DCI를 나타낸다. DCI has different uses according to its format, and fields defined in DCI are also different. Table 1 shows DCIs according to various formats.

DCI 포맷DCI format 설명Explanation 00 PUSCH(상향링크 그랜트)의 스케줄링에 사용됨Used for scheduling of PUSCH (Uplink Grant) 1One 1개 셀에서의 1개의 PDSCH 코드워드(codeword)의 스케줄링에 사용됨Used for scheduling one PDSCH codeword in one cell 1A1A 1개 셀에서의 1개의 PDSCH 코드워드의 간략한 스케줄링 및 PDCCH 명령에 의해 초기화되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 사용됨Used for simple scheduling of one PDSCH codeword in one cell and in a random access procedure initiated by a PDCCH command. 1B1B 프리코딩 정보를 이용한 1개 셀에서의 1개의 PDSCH 코드워드의 간략한 스케줄링에 사용됨Used for simple scheduling of one PDSCH codeword in one cell using precoding information 1C1C 1개의 PDSCH 코드워드의 간략한 스케줄링 및 MCCH 변경의 통지를 위해 사용됨Used for brief scheduling of one PDSCH codeword and notification of MCCH changes 1D1D 프리코딩 및 전력 오프셋 정보를 포함하는 1개 셀에서의 1개의 PDSCH 코드워드의 간략한 스케줄링에 사용됨Used for simple scheduling of one PDSCH codeword in one cell, including precoding and power offset information. 22 공간 다중화 모드로 구성되는 단말에 대한 PDSCH 스케줄링에 사용됨Used for PDSCH scheduling for terminals configured in spatial multiplexing mode. 2A2A 긴 지연(large delay)의 CDD 모드로 구성된 단말의 PDSCH 스케줄링에 사용됨Used for PDSCH scheduling of UEs configured in CDD mode with large delay. 2B2B 전송모드 8(이중 레이어(layer) 전송)에서 사용됨Used in transmission mode 8 (dual layer transmission) 2C2C 전송모드 9(다중 레이어(layer) 전송)에서 사용됨Used in transmission mode 9 (multi-layer transmission) 33 2비트의 전력 조정을 포함하는 PUCCH와 PUSCH를 위한 TPC 명령의 전송에 사용됨Used to transmit TPC commands for PUCCH and PUSCH with power adjustment of 2 bits 3A3A 단일 비트 전력 조정을 포함하는 PUCCH와 PUSCH를 위한 TPC 명령의 전송에 사용됨Used for transmission of TPC commands for PUCCH and PUSCH with single bit power adjustment. 44 PUSCH(상향링크 그랜트)의 스케줄링에 사용됨. 특히 공간 다중화 모드로 구성되는 단말에 대한 PUSCH 스케줄링에 사용됨Used for scheduling of PUSCH (uplink grant). In particular, it is used for PUSCH scheduling for terminals configured in the spatial multiplexing mode.

표 1을 참조하면, DCI 포맷 0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이고, 하나의 PDSCH 코드워드의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 하나의 PDSCH 코드워드의 간단한(compact)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A, DL-SCH의 매우 간단한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C, 폐루프(Closed-loop)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모드에서 PDSCH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2, 개루프(Open-loop)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PDSCH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2A, 상향링크 채널을 위한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 명령의 전송을 위한 포맷 3 및 3A 등이 있다. Referring to Table 1, DCI format 0 is uplink scheduling information, format 1 for scheduling one PDSCH codeword, format 1A for compact scheduling of one PDSCH codeword, and very simple A format 2 for scheduling, a format 2 for PDSCH scheduling in a closed-loop spatial multiplexing mode, a format 2A for PDSCH scheduling in an open-loop spatial multiplexing mode, an uplink channel And formats 3 and 3A for the transmission of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s.

DCI의 각 필드는 n개의 정보비트(information bit) a0 내지 an -1에 순차적으로 맵핑된다. 예를 들어, DCI가 총 44비트 길이의 정보비트에 맵핑된다고 하면, DCI 각 필드가 순차적으로 a0 내지 a43에 맵핑된다. DCI 포맷 0, 1A, 3, 3A는 모두 동일한 페이로드(payload) 크기를 가질 수 있다. DCI 포맷 0은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라 불릴 수도 있다. Each field of the DCI is sequentially mapped to n information bits a 0 through a n -1 . For example, if the DCI is mapped to a total of 44 bits of information bits, each DCI field is sequentially mapped to a 0 to a 43 . DCI formats 0, 1A, 3, and 3A may all have the same payload size. DCI format 0 may be called an uplink grant.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2 and 3 schematically show the structure of a radio fram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전송하는 시간(길이)을 전송 시간 구역(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컨대, 한 서브프레임(1 subframe)의 길이는 1ms 이고, 한 슬롯(1 slot)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2 and 3, a radio frame includes 10 subframes. One subframe includes two slots. The time (length) of transmitting one subframe is called a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Referring to FIG. 1, for example, one subframe may have a length of 1 ms, and one slot may have a length of 0.5 ms.

한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심벌(symbol)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하향링크(DownLink, DL)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하는 무선 시스템의 경우에 상기 심벌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일 수 있다. 한편, 시간 영역의 심벌 구간(symbol period)에 대한 표현이 다중 접속 방식이나 명칭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시간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심벌은 OFDM 심벌 외에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벌, 심벌 구간 등일 수도 있다.One slo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ymbols in the time domain. For example, in a wireless system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in downlink (DL), the symbol may be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mbol. Meanwhile, the representation of the symbol period in the time domain is not limited by the multiple access scheme or the name.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ymbols in the time domain may be a 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symbol, a symbol interval, or the like in addition to the OFDM symbol.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개수는 CP(Cyclic Prefix)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정규(normal) CP인 경우에 1 슬롯은 7 OFDM 심벌을 포함하고, 확장(extended) CP인 경우에 1 슬롯은 6 OFDM 심벌을 포함할 수 있다.The number of OFDM symbols included in one slot may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of a cyclic prefix (CP). For example, in case of a normal CP, one slot may include 7 OFDM symbols, and in case of an extended CP, one slot may include 6 OFDM symbols.

하나의 슬롯은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하고, 시간 영역에서 7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한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로, 자원 블록이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면, 하나의 자원 블록은 7×12개의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를 포함할 수 있다.One slot includes a plurality of subcarriers in the frequency domain and seven OFDM symbols in the time domain. A resource block (RB) is a resource allocation unit. If a resource block includes 12 subcarriers in the frequency domain, one resource block may include 7 × 12 resource elements (REs).

자원 요소는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심벌 또는 제어 채널의 변조 심벌이 매핑되는 가장 작은 주파수-시간 단위를 나타낸다. 한 OFDM 심벌 상에 M개의 부반송파가 있고, 한 슬롯이 N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한다면, 한 슬롯은 MxN 개의 자원요소를 포함한다. The resource element represents the smallest frequency-time unit to which the modulation symbol of the data channel or the modulation symbol of the control channel is mapped. If there are M subcarriers on one OFDM symbol, and one slot includes N OFDM symbols, one slot includes MxN resource elem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데이터의 송/수신, 시스템 동기 획득, 채널 정보 피드백 등을 위하여 상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의 채널을 추정할 필요가 있다. 급격한 채널환경의 변화에 의하여 생기는 신호의 왜곡(distortion)을 보상하여 전송 신호를 복원하는 과정을 채널추정(channel estimation)이라고 한다. 또한 단말이 속한 셀 혹은 다른 셀에 대한 채널 상태(channel state) 역시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채널 추정 또는 채널 상태 측정을 위해서 단말과 송수신점이 상호 간에 알고 있는 참조 신호(RS: Reference Signal)를 이용하게 된다.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estimate an uplink channel or a downlink channel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synchronization acquisition, channel information feedback, and the like. A process of compensating for a distortion of a signal caused by a sudden change in channel environment and restoring a transmission signal is called channel estim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measure the channel state of the cell or other cell to which the terminal belongs. In general, a reference signal (RS) that is known to a terminal and a transceiver is mutually used for channel estimation or channel state measurement.

단말은 참조 신호의 정보를 알고 있기 때문에 수신된 참조 신호를 기반으로 채널을 추정하고 채널 값을 보상해서 송수신점에서 보낸 데이터를 정확히 얻어낼 수 있다. 송수신점에서 보내는 참조 신호를 p, 참조 신호가 전송 중에 겪게 되는 채널 정보를 h, 단말에서 발생하는 열 잡음을 n, 단말이 수신한 신호를 y라 하면 y = h·p + n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참조 신호 p는 단말이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LS(Least Square) 방식을 이용할 경우 수학식 1과 같이 채널 정보(

Figure pat00001
)를 추정할 수 있다.Since the UE knows th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signal, the terminal can estimate the channel based on the received reference signal and compensate the channel value to accurately obtain the data sent from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int. If p is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 receiver, h is channel information experienced by the reference signal during transmission, n is thermal noise generated at the terminal, and y is the signal received at the terminal, it can be expressed as y = h · p + n. have. In this case, since the reference signal p is already known by the terminal, when the LS (Least Square) method is used, channel information (
Figure pat00001
) Can be estimated.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서, 참조 신호 p를 이용하여 추정한 채널 추정값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값에 의존하게 되므로, 정확한 h값의 추정을 위해서는
Figure pat00005
이 0에 수렴시킬 필요가 있다. 많은 개수의 참조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Figure pat00006
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Here, the channel estimation value estimated using the reference signal p
Figure pat00003
The
Figure pat00004
Value, so for accurate estimation of the h value
Figure pat00005
It is necessary to converge to zero. By using a large number of reference signals
Figure pat00006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channel by minimizing the influence of the channel.

참조 신호는 모든 부반송파에 할당될 수도 있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부반송파 사이에 할당될 수도 있다. 참조 신호가 모든 부반송파에 할당되는 방식에서는 채널 추정 성능의 이득을 얻기 위하여 특정 전송 타이밍의 신호가 프리앰블(preamble)와 같은 참조 신호만으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부반송파 사이에 참조 신호가 할당되는 방식에 의하면 데이터의 전송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e reference signal may be allocated to all subcarriers or between data subcarriers transmitting data. In a scheme in which a reference signal is allocated to all subcarriers, a signal of a specific transmission timing is made only of a reference signal such as a preamble in order to obtain a gain of channel estim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a method in which a reference signal is allocated between data subcarriers,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can be increased.

참조 신호는 일반적으로 시퀀스(sequence)로 전송된다. 참조 신호 시퀀스는 특별한 제한 없이 임의의 시퀀스가 사용될 수 있다. 참조 신호 시퀀스는 PSK(Phase Shift Keying) 기반의 컴퓨터를 통해 생성된 시퀀스(PSK-based computer generated sequence)를 사용할 수 있다. PSK의 예로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등이 있다. 또는, 참조 신호 시퀀스는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CAZAC 시퀀스의 예로는 ZC(Zadoff-Chu) 기반 시퀀스(ZC-based sequence), 순환 확장(cyclic extension)된 ZC 시퀀스(ZC sequence with cyclic extension), 절단(truncation) ZC 시퀀스(ZC sequence with truncation) 등이 있다. 또는, 참조 신호 시퀀스는 PN(pseudo-random)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PN 시퀀스의 예로는 m-시퀀스, 컴퓨터를 통해 생성된 시퀀스, 골드(Gold) 시퀀스, 카사미(Kasami) 시퀀스 등이 있다. 또, 참조 신호 시퀀스는 순환 쉬프트된 시퀀스(cyclically shifted sequence)를 이용할 수 있다.Reference signals are generally transmitted in sequence. The reference signal sequence may be any sequence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The reference signal sequence may use a PSK-based computer generated sequence (PSK) -based computer. Examples of PSKs include Binary Phase Shift Keying (BPSK) and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Alternatively, the reference signal sequence may use a 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CAZAC) sequence. Examples of the CAZAC sequence include a ZC-based sequence, a ZC sequence with a cyclic extension, a truncation ZC sequence (ZC sequence with truncation), and the like . Alternatively, the reference signal sequence may use a PN (pseudo-random) sequence. Examples of PN sequences include m-sequences, computer generated sequences, Gold sequences, and Kasami sequences. Also, the reference signal sequence may use a cyclically shifted sequence.

하향링크 참조 신호로는 셀 특정 참조 신호(CRS: Cell-specific RS), MBSFN 참조 신호, 단말 특정 참조 신호(UE-specific RS), 포지셔닝 참조 신호(PRS: Positioning RS) 및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참조 신호(CSI-RS) 등이 있다.The downlink reference signal includes a cell-specific RS (CRS), an MBSFN reference signal, a UE-specific RS, a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And a reference signal (CSI-RS).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한 안테나의 참조 신호에 사용된 자원 요소는 다른 안테나의 참조 신호에 사용되지 않는다. 안테나 간 간섭을 주지 않기 위해서이다. 예컨대, 한 안테나당 한 참조 신호만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In a multi-antenna system, resource elements used for reference signals of one antenna are not used for reference signals of other antennas.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antennas. For example, only one reference signal may be transmitted per antenna.

CRS는 셀 내 모든 단말에게 전송되는 참조 신호로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CRS는 PDSCH 전송을 지원하는 셀 내의 모든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있다. The CRS is a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to all terminals in a cell and used for channel estimation. The CRS may be transmitted in all downlink subframes in a cell supporting PDSCH transmission.

단말 특정 참조 신호는 셀 내 특정 단말 또는 특정 단말 그룹이 수신하는 참조 신호로, 특정 단말 또는 특정 단말 그룹의 데이터 복조(demodulation)에 주로 사용되므로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S: DMRS)라 불릴 수 있다.The UE-specific reference signal is a reference signal received by a specific terminal or a specific terminal group in a cell, and is mainly used for data demodulation of a specific terminal or a specific terminal group and may be called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MBSFN 참조 신호는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한 참조 신호로, MBSFN 전송을 위해 할당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있다. MBSFN 참조 신호는 확장 CP 구조에서만 정의될 수 있다.The MBSFN reference signal is a reference signal for providing a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and may be transmitted in a subframe allocated for MBSFN transmission. The MBSFN reference signal may be defined only in the extended CP structure.

PRS는 단말의 위치 측정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PRS는 PRS 전송을 위하여 할당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내의 자원 블록을 통해서만 전송될 수 있다. The PRS may be used for location measurement of the terminal. The PRS may be transmitted only through resource blocks in a downlink subframe allocated for PRS transmission.

CSI-RS는 채널 상태 정보의 추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CSI-RS는 주파수 영역 또는 시간 영역에서 배치된다. CSI-RS를 이용한 채널 상태의 추정을 통해 필요한 경우에 채널 품질 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프리코딩 행렬 지시자(PMI: Precoding Matrix Indicator) 및 랭크 지시자(RI: Rank Indicator) 등이 채널 상태 정보로서 단말로부터 보고될 수 있다. CSI-RS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포트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CSI-RS may be used for estimation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The CSI-RS is arranged in the frequency domain or the time domain.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and rank indicator (RI) rank information such as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if necessary through the estimation of the channel state using the CSI-RS As reported from the terminal. The CSI-RS may be transmitted on one or more antenna port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PDSCH 설정 정보 요소(PDSCH-Config information element) 및/또는 CSI-RS에 관한 설정정보를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한다(S400). PDSCH 설정 정보 요소는 공용 또는 단말 특정한 PDSCH 설정을 각각 특정하는데 사용되는 RRC 메시지, 예를 들어 SIB(system information block)2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으며, 그 일 예는 아래의 표와 같다. Referring to FIG. 4, the terminal receives configuration information about a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and / or CSI-RS from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S400). The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may be information included in an RRC message, for example, a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2 used to specify a common or terminal specific PDSCH configuration, and an example thereof i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 ASN1START

PDSCH-ConfigCommon ::= SEQUENCE {
referenceSignalPower INTEGER (-60..50),
p-b INTEGER (0..3)
}

PDSCH-ConfigDedicated::= SEQUENCE {
p-a ENUMERATED {
dB-6, dB-4dot77, dB-3, dB-1dot77,
dB0, dB1, dB2, dB3}
}

-- ASN1STOP
- ASN1START

PDSCH-ConfigCommon :: = SEQUENCE {
referenceSignalPower INTEGER (-60..50),
pb INTEGER (0..3)
}

PDSCH-ConfigDedicated :: = SEQUENCE {
pa ENUMERATED {
dB-6, dB-4dot77, dB-3, dB-1dot77,
dB0, dB1, dB2, dB3}
}

-ASN1STOP

표 2를 참조하면, PDSCH 설정 정보 요소는 PDSCH-ConfigCommon 필드와 PDSCH-ConfigDedicated 필드를 포함한다. p-a는 단말 특정한 파라미터이고, p-b는 셀 특정한 파라미터이다. referenceSignalPower는 하향링크 참조신호 전송 전력을 지시하고 dBm단위로 제공되며, 이로부터 하향링크 참조 신호의 자원요소당 에너지(Energy Per Resource Element: EPRE)가 유도될(derived)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2, the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includes a PDSCH-ConfigCommon field and a PDSCH-ConfigDedicated field. p-a is a terminal specific parameter and p-b is a cell specific parameter. referenceSignalPower indicates a downlink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power and is provided in units of dBm. From this, energy per resource element (EPRE) of the downlink reference signal may be derived.

하향링크 참조신호 전송 전력은 동작 시스템 대역폭(operating system bandwidth)내의 CRS 또는 CSI-RS를 운반하는 모든 자원요소들의 전력 기여들(power contributions)에 대한 선형 평균(linear average)으로 정의된다. CoMP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모든 송수신점에 관한 EPRE들은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된다. The downlink reference signal transmit power is defined as a linear average of power contributions of all resource elements carrying a CRS or CSI-RS within an operating system bandwidth. In the case of CoMP mode, it is assumed that the EPREs for all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s are the same.

한편, CoMP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기지국과 RRH에 관한 EPRE들이 서로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이는 PDSCH 설정 정보 요소의 다른 예로서 아래의 표와 같다. Meanwhile, in the case of CoMP mode, EPREs related to the base station and the RRH may be set differently. This i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as another example of the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 ASN1START

PDSCH-ConfigCommon ::= SEQUENCE {
referenceSignalPower _eNB INTEGER (-60..50),
referenceSignalPower _RRH INTEGER (-60..50),
p-b INTEGER (0..3)
}

PDSCH-ConfigDedicated::= SEQUENCE {
p-a ENUMERATED {
dB-6, dB-4dot77, dB-3, dB-1dot77,
dB0, dB1, dB2, dB3}
}

-- ASN1STOP
- ASN1START

PDSCH-ConfigCommon :: = SEQUENCE {
referenceSignalPower _eNB INTEGER (-60..50),
referenceSignalPower _RRH INTEGER (-60..50),
pb INTEGER (0..3)
}

PDSCH-ConfigDedicated :: = SEQUENCE {
pa ENUMERATED {
dB-6, dB-4dot77, dB-3, dB-1dot77,
dB0, dB1, dB2, dB3}
}

-ASN1STOP

표 3을 참조하면, PDSCH-ConfigCommon 필드에서 기지국(eNB)과 RRH가 서로 다른 자원요소당 에너지(EPRE) 값이 설정된다. 여기서 기지국(eNB)과 RRH간의 EPRE값은 서로 다르나, RRH들간에는 EPRE값이 모두 동일하다. Referring to Table 3, an energy per resource element (EPRE) value different from a base station eNB and an RRH is set in the PDSCH-ConfigCommon field. Here, the EPRE values between the eNB and the RRH are different, but the EPRE values are the same between the RRHs.

또는, 각 송수신점에 관한 EPRE들이 서로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이는 PDSCH 설정 정보 요소의 또 다른 예로서 아래의 표와 같다. Alternatively, EPREs for each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may be set differently. This i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as another example of the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 ASN1START

PDSCH-ConfigCommon ::= SEQUENCE {
referenceSignalPower _eNB INTEGER (-60..50),
referenceSignalPower _RRH1 INTEGER (-60..50),
referenceSignalPower _RRH2 INTEGER (-60..50),
p-b INTEGER (0..3)
}

PDSCH-ConfigDedicated::= SEQUENCE {
p-a ENUMERATED {
dB-6, dB-4dot77, dB-3, dB-1dot77,
dB0, dB1, dB2, dB3}
}

-- ASN1STOP
- ASN1START

PDSCH-ConfigCommon :: = SEQUENCE {
referenceSignalPower _eNB INTEGER (-60..50),
referenceSignalPower _RRH1 INTEGER (-60..50),
referenceSignalPower _RRH2 INTEGER (-60..50),
pb INTEGER (0..3)
}

PDSCH-ConfigDedicated :: = SEQUENCE {
pa ENUMERATED {
dB-6, dB-4dot77, dB-3, dB-1dot77,
dB0, dB1, dB2, dB3}
}

-ASN1STOP

표 4를 참조하면, PDSCH-ConfigCommon 필드에서 기지국(eNB)과 RRH1, RRH2가 서로 다른 자원요소당 에너지(EPRE) 값이 설정된다. Referring to Table 4, an energy per resource element (EPRE) value different from a base station eNB, RRH1, and RRH2 is set in the PDSCH-ConfigCommon field.

CSI-RS에 관한 설정정보(CSI-RS-Config)는 CSI-RS 설정을 특정하는데 사용되는 정보 요소로서, CSI-RS를 사용하는 각 단말에게 개별적으로 전송된다. CSI-RS에 관한 설정정보는 아래의 표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CSI-RS-Config) related to the CSI-RS is an information element used to specify the CSI-RS configuration and is individually transmitted to each terminal using the CSI-RS. Setting information about the CSI-RS may be defined as shown in the table below.

-- ASN1START

CSI-RS-Config ::= SEQUENCE {
csi-RS CHOICE {
release NULL,
setup SEQUENCE {
antennaPortsCount ENUMERATED {an1, an2, an4, an8},
resourceConfig INTEGER (0..31),
subframeConfig INTEGER (0..154),
p-C-eNB INTEGER (-8..15)
p-C-RRH INTEGER (-8..15)
}
} OPTIONAL, -- Need ON
zeroTxPowerCSI-RS CHOICE {
release NULL,
setup SEQUENCE {
zeroTxPowerResourceConfigList BIT STRING (SIZE (16)),
zeroTxPowerSubframeConfig INTEGER (0..154)
}
} OPTIONAL -- Need ON
}

-- ASN1STOP
- ASN1START

CSI-RS-Config :: = SEQUENCE {
csi-RS CHOICE {
release NULL,
setup SEQUENCE {
antennaPortsCount ENUMERATED {an1, an2, an4, an8},
resourceConfig INTEGER (0..31),
subframeConfig INTEGER (0..154),
pC-eNB INTEGER (-8..15)
pC-RRH INTEGER (-8..15)
}
} OPTIONAL, - Need ON
zeroTxPowerCSI-RS CHOICE {
release NULL,
setup SEQUENCE {
zeroTxPowerResourceConfigList BIT STRING (SIZE (16)),
zeroTxPowerSubframeConfig INTEGER (0..154)
}
} OPTIONAL-Need ON
}

-ASN1STOP

표 5를 참조하면, 안테나 포트 개수(antennaPortsCount)는 CSI-RS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의 개수를 나타내며, an1은 안테나 포트 1개, an2는 안테나 포트 2개,...에 대응한다. p-C는 단말이 CSI 피드백을 유도할 때 PDSCH 자원요소당 에너지(EPRE) 대 CSI-RS 자원요소당 에너지(EPRE)의 추측비율(assumed ratio)이다. p-C는 [-8, 15]dB의 범위의 값을 가지며, 1dB 크기 간격으로 증감한다. p-C-eNB는 송수신점이 기지국인 경우로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CSI-RS에 관한 p-C이다. p-C-RRH는 송수신점이 RRH인 경우로서, RRH에 의해 전송된 CSI-RS에 관한 p-C이다. PDSCH 자원요소당 에너지는 상기 표 2 또는 3에서 referenceSignalPower에 의해 유도되는 하향링크 참조 신호의 자원요소당 에너지(: EPRE)와 같다. Referring to Table 5, the number of antenna ports (antennaPortsCount) represents the number of antenna ports used for CSI-RS transmission, and an1 corresponds to one antenna port, an2 corresponds to two antenna ports, and so on. p-C is an estimated ratio of energy per PDSCH (EPRE) to energy per CSI-RS resource element (EPRE) when the UE induces CSI feedback. p-C has a value in the range of [-8, 15] dB and increases and decreases in 1 dB increments. p-C-eNB is a case where the transceiver point is a base station, and is a p-C for the CSI-RS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p-C-RRH is a case wher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is RRH, and is p-C for CSI-RS transmitted by RRH. The energy per PDSCH resource element is equal to the energy per resource element (EPRE) of the downlink reference signal derived by referenceSignalPower in Table 2 or 3 above.

단말은 임의의 서빙셀 C에 대한 자원요소에 맵핑된 CSI-RS를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한다(S405). 도 5는 정규 CP의 경우에 CSI-RS가 자원요소에 매핑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CSI-RS의 매핑은 정규 CP에 대한 CSI 설정 0에 관한 예로서, Rp는 안테나 포트 P에서 CSI-RS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도 6은 확장 CP의 경우에 CSI-RS가 자원요소에 매핑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CSI-RS의 매핑은 확장 CP에 대한 CSI 설정 0에 관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CSI-RS는 전송되는 안테나 포트에 따라서 일정한 패턴으로 자원요소에 매핑될 수 있다. The terminal receives the CSI-RS mapped to the resource element for any serving cell C from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S405). 5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CSI-RS is mapped to a resource element in the case of a normal CP. The mapping of CSI-RS illustrated in FIG. 5 is an example of CSI configuration 0 for a normal CP, where R p represents a resource element used for CSI-RS transmission at an antenna port P. FIG. 6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CSI-RS is mapped to a resource element in the case of an extended CP. The mapping of CSI-RS shown in FIG. 6 relates to CSI configuration 0 for extended CP. 5 and 6, the CSI-RS may be mapped to resource elements in a predetermined pattern according to the antenna port transmitted.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PDSCH-ConfigCommon 필드에서 referenceSignalPower로부터 하향링크 참조 신호, 즉 CSI-RS의 자원요소당 에너지(EPRE)를 유도하거나, 또는 p-C 값으로부터 CSI-RS의 자원요소당 에너지(EPRE)를 유도하며, 참조신호 대 수신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을 계산한다(S410). RSRP 측정 또는 경로감쇄 예상치의 계산의 기준을 CRS로 할지 CSI-RS로 할지는 단말이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RSRP 측정 또는 경로감쇄 예상치의 계산의 기준을 CRS와 CSI-RS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PS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CSI-RS가 CRS보다 우선순위를 가지고, DPS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CRS가 CSI-RS보다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규칙을 둘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4, the terminal derives a downlink reference signal, that is, energy per resource element (EPRE) of the CSI-RS from referenceSignalPower in the PDSCH-ConfigCommon field, or energy per resource element of the CSI-RS from the pC value ( EPRE) is derived and a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is calculated (S410). The terminal may select whether to use the CRS or the CSI-RS as the basis for the RSRP measurement or the calculation of the path loss estimate.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select one of the CRS and the CSI-RS as a criterion for the RSRP measurement or the calculation of the path loss estimate based on the priority. For example, if the DPS is applied, the CSI-RS may have a priority over the CRS, and if the DPS is not applied, the CRS may have a priority over the CSI-RS.

RSRP는 고려되는 측정 주파수 대역폭내(considered measurement frequency bandwidth)내의 CRS 또는 CSI-RS를 운반하는 모든 자원요소들의 전력 기여들에 대한 선형 평균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CRS는 안테나 포트 0,1,2,3에 대해 정의되며 CSI-RS는 안테나 포트 15 내지 22에 대해 정의된다. 따라서 R0는 안테나 포트 0에 존재하는 CRS를 의미하며 R15는 안테나 포트 15에 존재하는 CSI-RS를 의미한다(도 5 및 도 6 참조). RSRP is defined as the linear average of the power contributions of all resource elements carrying CRS or CSI-RS within the considered measurement frequency bandwidth. Here, CRS is defined for antenna ports 0, 1, 2, and 3 and CSI-RS is defined for antenna ports 15 to 22. Therefore, R 0 means CRS present in antenna port 0 and R 15 means CSI-RS present in antenna port 15 (see FIGS. 5 and 6).

RSRP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단말은 물리계층 수준에서의 필터링(filtering)에 의해 측정 샘플(measurement sample)들을 획득하고, 측정 샘플들을 아래의 수학식과 같이 상위계층 수준에서 필터링한다. RSRP may be specifically obtained by the following procedure. The terminal acquires measurement samples by filtering at the physical layer level, and filters the measurement samples at a higher layer level as in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수학식 2에서, Mn은 가장 최근의 측정 샘플이고, Fn은 측정보고에 의해 보고될 측정값이며, Fn -1은 이전의 측정보고에 의해 보고된 측정값이고, a는 1/2(k/4)로서 k는 필터링을 위해 사용되는 필터 상수(filter coefficient)이다. In Equation 2, M n is the most recent measurement sample, F n is the measurement to be reported by the measurement report, F n -1 is the measurement reported by the previous measurement report, and a is 1/2 where (k / 4) k is the filter coefficient used for filtering.

측정 샘플은 서브프레임 단위의 측정값으로서, RSRP 또는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를 도출하는데 필요한 변수이다. 또는, 측정 샘플은 단말이 수신한 모든 서브프레임에 대한 측정값들 중 무선 시스템에서 정의한 측정규칙에 의해 선택된 서브프레임 대한 측정값을 의미한다. 측정 샘플은 단말의 물리계층에서 획득될 수 있고, 필터링은 단말의 상위계층, 예를 들어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에서 수행될 수 있다. The measurement sample is a measurement value in units of subframes and is a variable required to derive RSRP or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Alternatively, the measurement sample means a measurement value for the subframe selected by the measurement rule defined in the wireless system among the measurement values for all the subframes received by the terminal. The measurement sample may be obtained at the physical layer of the terminal, and filtering may be performed at an upper layer of the terminal, for example,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layer.

측정 샘플은 매 서브프레임마다 연속적으로 획득될 수도 있지만 단말의 용량이나 시스템에서 정의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에서 불연속적으로 획득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측정 샘플이 획득된 후 일정 시간의 이격구간 이후에 또 다른 측정 샘플이 획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부 서브프레임에 대해서는 측정 샘플이 획득되지 않는다. 상기 이격구간은 주기적(periodic)일 수도 있고, 비주기적(aperiodic)일 수도 있다. The measurement sample may be acquired continuously every subframe, but may be obtained discontinuously as long as the capacity of the terminal or a condition defined by the system is satisfied. That is, another measurement sample may be obtained after a predetermined interval of time after one measurement sample is obtained. In this case, measurement samples are not obtained for some subframes. The spacing section may be periodic or aperiodic.

한편, RSRQ는 수학식 3과 같이 RSRP와 수신신호 강도지시자(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간의 비율로서 정의될 수 있다. Meanwhile, RSRQ may be defined as a ratio between RSRP and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as shown in Equation (3).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여기서, N은 무선접속망의 반송파 RSSI 측정 대역폭의 자원요소들의 개수이다. 수학식 3에서 분자와 분모에 대한 측정은 동일한 자원블록의 집합에 대해 수행된다. RSSI는 전체 수신 전력의 선형평균치를 포함한다. 전체 수신 전력은 측정 대역폭내의 기준심볼들을 포함하는 OFDM 심볼내에서만 관측되며, N개의 자원블록에 걸쳐서 얻어지는 값이다. 만일 단말이 상위계층에서 RSRQ 측정을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면 RSRQ 측정이 지시된 서브프레임에서 RSSI 측정은 해당 서브프레임내 모든 OFDM 심볼에 대하여 진행된다.Here, N is the number of resource elements of the carrier RSSI measurement bandwidth of the radio access network. In Equation 3, the numerator and denominator are measured for the same set of resource blocks. RSSI includes a linear average of the total received power. The total received power is observed only within an OFDM symbol containing reference symbols within the measurement bandwidth and is a value obtained over N resource blocks. If the UE receives signaling indicating RSRQ measurement at a higher layer, RSSI measurement is performed for all OFDM symbols in the subframe in which the RSRQ measurement is indicated.

단말은 CSI-RS의 EPRE값과 RSRP로부터 송수신점과 단말간의 경로감쇄(pathloss: PL) 예상치를 계산한다(S415). 경로감쇄 예상치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The terminal calculates a pathloss (PL) estimate betwee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int and the terminal from the EPRE value of the CSI-RS and the RSRP (S415). The path loss estimate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수학식 4를 참조하면, PLC는 단말이 계산한 서빙셀 C에 대한 하향링크 경로감쇄 예상치로서 dB단위이다. referenceSignalPower는 상위계층에서 제공되는 값으로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EPRE 값으로 dBm 단위이다. 참조 서빙셀로 선택된 서빙셀 C 그리고 PLC 계산을 위해 사용되는 referenceSignalPower와 RSRP간의 링크(link) 결정은 상위계층 파라미터인 경로감쇄 참조링크 정보(pathlossReferenceLinking)에 의해 구성된다. 경로감쇄 참조링크 정보에 의해 구성되는 참조 서빙셀은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 PCell) 또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uplink component carrier: UL CC)와 SIB2 연결설정되어 있는(corresponding)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의 하향링크 부요소 반송파(downlink SCC)가 될 수 있다. Referring to Equation 4, PL C is an estimated downlink path loss for the serving cell C calculated by the UE in dB units. referenceSignalPower is a value provided from the upper layer and is the EPRE value of the downlink reference signal in dBm. The link determination between referenceSignalPower and RSRP used for calculating the serving cell C and PL C selected as the reference serving cell is configured by pathlossReferenceLinking, which is a higher layer parameter. The reference serving cell configured by the path loss reference link information includes a primary serving cell (PCell) or an uplink component carrier (UL CC) and a secondary serving cell (corresponding) in which SIB2 is established. It may be a downlink SCC of a serving cell (SCell).

상기 제4 시나리오와 같이, CoMP 협력 집합에서 다수의 송수신점이 동일한 물리적 셀 ID를 이용하여 CRS를 전송하는 경우, RSRP 측정의 기준이 되는 CRS가 다수의 송수신점에서 동일하다. 따라서, 단말은 CRS에 기반하여서는 각 송수신점별로 경로감쇄 예상치를 구분할 수 없다. 그런데, 경로감쇄 예상치의 정의상 각 송수신점마다 RSRP가 구분되어 측정되어야 한다. 특히 CoMP 모드에서는 DPS가 지원되기 때문에, 단말은 송수신점별로 경로감쇄 예상치를 알아야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은 CoMP 시스템에서 송수신점1에서 경로감쇄 예상치가 PL1이고, 송수신점2에서 경로감쇄 예상치가 PL2이라 하자. CoMP 단말은 DPS에 기반하여 송수신점1과 송수신점2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또는 둘 다에 대해 동적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PL1과 PL2가 구분되지 않으면, 단말은 송수신점2에 대한 경로감쇄 예상치를 PL1로 잘못 인식하고, PL1을 수학식 5 또는 수학식 6에 대입함으로써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계산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As in the fourth scenario, when a plurality of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s transmit CRS using the same physical cell ID in the CoMP cooperative set, the CRS, which is a reference for RSRP measurement, is the same at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s. Therefore, the terminal cannot distinguish the path loss estimate for each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based on the CRS. However,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he path loss prediction value, RSRP should be measured separately for each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In particular, since the DPS is supported in the CoMP mode, the UE can accurately control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by knowing the path loss estimate for each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For example, in the CoMP system as shown in FIG. 7, it is assumed that the path loss estimate is PL1 a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1 and the path reduction estimate is PL2 a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2. The CoMP terminal may dynamically perform uplink transmission for either or both of the transmission point 1 and the transmission point 2 or both based on the DPS. In this case, if PL1 and PL2 are not distinguished, the terminal may incorrectly recognize the path loss estimate for the transceiver point 2 as PL1, and assign an PL1 to Equation 5 or Equation 6 to calculate an uplink transmission power. have.

반면, 단계 S410 및 S415과 같이 CSI-RS를 RSRP 측정의 기준으로 삼으면, 각 송수신점별로 경로감쇄 예상치가 구별되므로, 단말은 송수신점별로 정확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CSI-RS as a reference for RSRP measurement as in steps S410 and S415, since the path attenuation value is distinguished for each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the terminal may calculate the accurate uplink transmission power for each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이와 같이 단말이 각 송수신점마다 서로 구분된 경로감쇄 예상치를 도출할 수 있는 상황에서, 어떠한 경로감쇄 예상치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도출할지 결정해야 한다. 일 예로서, 단말은 DPS 동작에 따라 다중 송수신점들 중 하나의 송수신점을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타겟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상기 선택된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계산한 경로감쇄 예상치를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도출에 적용한다. 즉, 단말은 송수신점, 특히 기지국으로부터 별도의 시그널링 없이 단말 스스로의 판단으로 상향링크 무선링크를 선택한 송수신점에 대한 경로감쇄 예상치를 계산하고 이를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도출에 적용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ituation where the UE can derive the path loss prediction values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each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ich path reduction prediction value is used to derive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As an example, the terminal may select on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among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s as a target for uplink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DPS opera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applies the path loss estimate calculated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lect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o derive uplink transmission power. That is, the terminal calculates a path loss estimate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for selecting the uplink radio link on the basis of the determination of the terminal itself, without additional signaling from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especially the base station and applies it to derivation of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다른 예로서, 단말은 최초 서빙셀로 설정한 송수신점에 대한 경로감쇄 예상치를 DPS 동작에 따라 선택된 송수신점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도출하는데 사용한다. 이는 단말이 CoMP 모드에서 DPS 동작에 따라 하나의 송수신점을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타겟으로 선택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DPS 동작에 의해 선택한 송수신점의 경로감쇄 예상치를 TPC 시그널링을 통해 조정한다. 상기 TPC시그널링은 DCI 포멧 3/3A 신호를 통해 진행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terminal uses the path loss estimate for the transceiver point set as the first serving cell to derive uplink transmit power for the transceiver point selected according to the DPS operation. This corresponds to a case in which the UE cannot select on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as a target for uplink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DPS operation in the CoMP mode. Therefore, the terminal adjusts the path loss estimate of the transceiver point selected by the DPS operation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PC signaling. The TPC signaling may be performed through a DCI format 3 / 3A signal.

단말은 서빙셀 C에 대한 경로감쇄 예상치로부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계산한다(S420). 상향링크 물리채널에는 물리상향링크 공용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과 물리상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있다.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전송하는 상향링크 물리채널에 따라 달리 제어될 수 있다. The terminal calculates uplink transmission power from the path loss estimate for the serving cell C (S420). The uplink physical channel includes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and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may be controll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plink physical channel to transmit.

PUSCH의 경우, 상향링크 전송 전력 PPUSCH ,C(i)는 적어도 하나의 PUSCH 전송이 이루어지는 안테나의 개수와 전송방식에 따라 구성된 안테나의 개수로 조정(scale)된다. C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서빙셀이고, i는 전력 PPUSCH ,C(i)로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의 번호이다. 그리고, 조정된 전체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적어도 하나의 PUSCH 전송이 이루어지는 안테나에 대하여 동등하게 나누어져 할당된다. In the case of the PUSCH,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P PUSCH , C (i) is scaled by the number of antennas for which at least one PUSCH transmission is performed and the number of antennas configured according to a transmission scheme. C is a serving cell to perform uplink transmission, and i is a number of a subframe in which uplink transmission is performed with power P PUSCH , C (i). The adjusted total uplink transmission power is equally divided and allocated to the antennas performing at least one PUSCH transmission.

PUSCH 전송 전력은 다시 임의의 서빙셀 C에 대하여 i) PUSCH와 PUCCH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경우와 ii) PUSCH와 PUCCH를 동시에 전송하는 경우로 나뉜다.PUSCH transmission power is further divided into i) a case in which PUSCH and PUCCH are not transmitted simultaneously for any serving cell C and ii) a case in which both PUSCH and PUCCH a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i)의 경우, 단말은 서빙셀 C에 대한 서브프레임 i에서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정의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PPUSCH ,C(i)을 계산한다.In case of i), the UE calculates uplink transmit power P PUSCH , C (i)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in subframe i for serving cell C.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ii)의 경우, 단말은 서빙셀 C에 대한 서브프레임 i에서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정의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PPUSCH ,C(i)을 계산한다.In case of ii), the UE calculates uplink transmit power P PUSCH , C (i)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in subframe i for serving cell C.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수학식 5와 수학식 6을 참조하면, PCMAX ,C(i)는 서빙셀 C에 대하여 구성된 최대 단말 송출전력이고,

Figure pat00012
는 dB값을 선형으로 변환한 값이다. 한편,
Figure pat00013
는 PPUCCH(i)를 선형으로 변환한 값이다. MPUSCH ,C(i)는 서빙셀 C에 대한 서브프레임 i에서 PUSCH가 할당된 자원의 대역폭을 자원블록의 개수로 표현한 값이다. Referring to Equations 5 and 6, P CMAX , C (i) is the maximum terminal outgoing power configured for the serving cell C,
Figure pat00012
Is the linear value of dB. Meanwhile,
Figure pat00013
Is a value obtained by linearly converting P PUCCH (i). M PUSCH , C (i) is a value representing the bandwidth of a resource allocated with a PUSCH in subframe i for the serving cell C in terms of the number of resource blocks.

P0 _ PUSCH ,C(i)는 서빙셀 C에 대한 P0 _ NOMINAL _ PUSCH ,C(j)와 P0 _ UE _ PUSCH ,C(j)의 합이다. 예를 들어, 반지속적(semi-persistent) 그랜드 PUSCH (재)전송인 경우 j=0값을 갖는다. 반면에, 동적 스케줄링되는(dynamic scheduled) 그랜드 PUSCH (재)전송인 경우 j=1값을 갖는다. j=0 또는 1인 경우 상위계층에 의해 시그널링된다. 그리고, 랜덤 액세스 응답 그랜트 PUSCH (재)전송인 경우 j=2값을 갖는다. 또한 랜덤 액세스 응답 그랜트 PUSCH (재)전송인 경우 P0 _ UE _ PUSCH ,C(2)=0이고 P0 _ NOMINAL _ PUSCH ,C(2)=P0 _ PREPREAMBLE_Msg3이다, 여기서 파라미터 preambleInitialReceivedTargetPower(P0 _ PRE)와 ΔPREAMBLE_Msg3는 상위계층으로부터 시그널링된다.P 0 _ PUSCH , C (i) is the sum of P 0 _ NOMINAL _ PUSCH , C (j) and P 0 _ UE _ PUSCH , C (j) for the serving cell C. For example, in case of semi-persistent grand PUSCH (re) transmission, it has a value of j = 0.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dynamic scheduled grand PUSCH (re) transmission, j = 1. If j = 0 or 1, it is signaled by a higher layer. And, in case of random access response grant PUSCH (re) transmission, j = 2. In addition, for random access response grant PUSCH (re) transmission, P 0 _ UE _ PUSCH , C (2) = 0 and P 0 _ NOMINAL _ PUSCH , C (2) = P 0 _ PRE + Δ PREAMBLE_Msg3 , where the parameter preambleInitialReceivedTargetPower (P 0 _ PRE ) and Δ PREAMBLE_Msg3 are signaled from higher layers.

만일 j=0 또는 1인 경우, 상위계층에서 제공되는 3비트 파라미터에 의해 αC∈{0, 0.4, 0.5, 0.6, 0.7, 0.8, 0.9, 1} 값들 중에서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j=2인 경우 항상 αC(j)=1이다. If j = 0 or 1, one of the values of α C ∈ {0, 0.4, 0.5, 0.6, 0.7, 0.8, 0.9, 1} may be selected by the 3-bit parameter provided in the upper layer. When j = 2, α C (j) = 1.

ΔTF ,C(i)=10log10((2BPRE · Ks-1)·βPUSCH offset)으로서,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에 의한 영향을 반영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여기서, KS는 각 서빙셀 C에 대하여 상위계층에서 deltaMCS-Enabled으로 제공되는 파라미터이다. 전송 다이버시티를 위한 모드인 전송모드 2인 경우 언제나 KS=0이다. UL-SCH 데이터 없이 PUSCH를 통해 제어정보만이 전송되는 경우 BPRE=OCQI/NRE이며, 상기 이외의 모든 경우에는 BPRE=

Figure pat00014
이다. 여기서, C는 코드블록의 개수이며, Kr은 코드블록의 크기이며, OCQI는 CRC 비트수를 포함한 CQI/PMI 비트 개수이며, NRE는 결정된 자원요소들의 개수이다. 즉, NRE=Msc PUSCH - initial·Nsymb PUSCH - initial이다. Δ TF , C (i) = 10log 10 ((2 BPRE · Ks −1) · β PUSCH offset ), which is a parameter for reflecting the influence of th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Here, K S is a parameter provided as deltaMCS-Enabled in the upper layer for each serving cell C. In transmission mode 2, which is a mode for transmit diversity, K S = 0. If only contro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PUSCH without UL-SCH data, BPRE = O CQI / N RE . In all other cases, BPRE =
Figure pat00014
to be. Here, C is the number of code blocks, K r is the size of the code block, O CQI is the number of CQI / PMI bits including the number of CRC bits, N RE is the number of determined resource elements. That is, NRE = M sc PUSCH - initialN symb PUSCH - initial .

만일 PUSCH를 통해 UL-SCH 데이터 없이 제어정보만이 전송되는 경우 βPUSCH offsetCQI offset로 설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는 항상 1로 설정한다.If only control information is transmitted without UL-SCH data through the PUSCH, β PUSCH offset = β CQI offset is set. Otherwise, it is always set to 1.

δPUSCH ,C는 수정 값이다. 또한 서빙셀 c에 대한 DCI 포멧 0 또는 4 내에 존재하는 전송전력제어명령(TPC command) 또는 다른 단말들과 공동으로 부호화되어 전송되는 DCI 포맷 3/3A내의 TPC 명령을 참조하여 결정된다. DCI 포맷 3/3A는 순환반복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 패리티(parity) 비트들이 TPC-PUSCH-RNTI 로 스크램블링 되어 있어 상기 RNTI 값이 할당된 단말들만이 확인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값은 임의의 단말이 다수의 서빙셀들로 구성된 경우, 상기 각 서빙셀을 구분하기 위해 서빙셀마다 서로 다른 TPC-PUSCH-RNTI값이 할당될 수 있다. 또는 송수신점들을 구분하기 위해 각 송수신점마다 서로 다른 TPC-PUSCH-RNTI값이 할당될 수도 있다.δ PUSCH , C is a correction value. In addition, it is determined by referring to a TPC command present in DCI format 0 or 4 for serving cell c or a TPC command in DCI format 3 / 3A that is encoded and transmitted jointly with other terminals. In DCI format 3 / 3A, cyclic cyclic redundancy check (CRC) parity bits are scrambled with TPC-PUSCH-RNTI, so only terminals assigned the RNTI value can be checked. In this case, when an arbitrary terminal is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serving cells, a different TPC-PUSCH-RNTI value may be allocated to each serving cell to distinguish each serving cell. Alternatively, a different TPC-PUSCH-RNTI value may be assigned to each transmit / receive point to distinguish between the transmit and receive points.

fc(i)는 현재 서빙셀 C에 대한 PUSCH 전력제어 조정 상태를 나타내며,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정의된다.f c (i) represents a PUSCH power control adjustment state for the current serving cell C, and is defined as follows.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5

수학식 7은 서빙셀 C에 대하여 상위계층에 의해 누적(accumulation)이 활성화된 경우 또는 TPC 명령이 임시(temporary) C(Cell)-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포맷 0이 PDCCH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이다. 여기서,

Figure pat00016
는 서브프레임 #i-KPUSCH에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었었던 PDCCH 내의 DCI 포맷 0/4 또는 3/3A 내에 있는 TPC 명령이고, fc(0)는 누적 리셋 후 첫번째 값이다. KPUSCH 값과 관련하여, FDD인 경우 KPUSCH는 4이고, TDD 설정이 1 내지 6인 경우 KPUSCH 값은 다음 표와 같다.Equation (7) is the case in which accumulation is activated by a higher layer for serving cell C or when DCI format 0 scrambled by a temporary C (Cell) -RNTI is included in the PDCCH. . here,
Figure pat00016
Is a TPC command in DCI format 0/4 or 3 / 3A in the PDCCH that was transmitted in the subframe in subframe #iK PUSCH , and f c (0) is the first value after the cumulative reset. In relation to the K PUSCH value, in case of FDD, K PUSCH is 4, and when TDD is 1 to 6, K PUSCH values ar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TDD UL/DL 설정TDD UL / DL Settings 서브프레임 번호 iSubframe number i 00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00 -- -- 66 77 44 -- -- 66 77 44 1One -- -- 66 44 -- -- -- 66 44 -- 22 -- -- 44 -- -- -- -- 44 -- -- 33 -- -- 44 44 44 -- -- -- -- -- 44 -- -- 44 44 -- -- -- -- -- -- 55 -- -- 44 -- -- -- -- -- -- -- 66 -- -- 77 77 55 -- -- 77 77 --

표 6을 참조하면, ‘-‘ 표시된 부분은 DL 서브프레임이고, 숫자로 표시된 부분은 UL 서브프레임이다. Referring to Table 6, the portion marked with '-' is a DL subframe, and the portion indicated with a number is an UL subframe.

TDD 설정 #0인 경우, 만일 서브프레임 #2 또는 서브프레임 #7에서 PUS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PDCCH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PDCCH내의 DCI 포맷 0/4 내에 2비트 UL 인덱스의 LSB(Least Significant Bit) 값이 ‘1’로 설정되어 있다면 KPUSCH 는 7이다. 그 이외의 모든 경우의 KPUSCH 값은 상기 표 6과 같다. 상기 2비트 UL 인덱스는 상기 표 6으로 스케줄링할 수 없는 UL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스케줄링해주기 위하여 사용된다.In case of TDD configuration # 0, if a PDCCH for scheduling PUSCH transmission exists in subframe # 2 or subframe # 7, a LSB (Least Significant Bit) value of a 2-bit UL index in DCI format 0/4 in the PDCCH If is set to '1' K PUSCH is 7. K PUSCH values in all other cases are shown in Table 6 above. The 2-bit UL index is used to schedule UL subframes that cannot be scheduled in Table 6.

한편, 단말은 DRX(discontinous reception) 동작 중인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PDCCH를 디코딩하기 위해 시도한다. 이는, 단말의 C-RNTI에 대한 DCI 포맷 0/4 또는 SPS C-RNTI에 대한 DCI 포맷 0 및 단말의 TPC-PUSCH-RNTI에 대한 DCI 포맷 3/3A의 PDCCH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UE attempts to decode the PDCCH in all subframes except when the DRX (discontinous reception) operation. This includes the PDCCH of DCI format 0/4 for the C-RNTI of the UE or DCI format 0 for the SPS C-RNTI and DCI format 3 / 3A for the TPC-PUSCH-RNTI of the UE.

만일 서빙셀 C에 대한 DCI 포맷 0/4 와 DCI 포맷 3/3A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동시에 수신된 경우, 단말은 DCI 포맷 0/4의 δPUSCH ,C만을 사용하여야 한다.If DCI format 0/4 and DCI format 3 / 3A for the serving cell C are simultaneously received in the same subframe, the UE should use only δ PUSCH , C of DCI format 0/4.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대해서δPUSCH ,C는 0dB인 경우는 서빙셀 C에 대한 TPC 명령이 없거나 DRX 동작 중이거나 해당 서브프레임이 TDD의 UL 서브프레임인 경우이다. DCI 포맷 0/3/4 내의 TPC 명령 필드가 각각 0,1,2,3 일때, 누적된 δPUSCH , CdB 값은 각각 -1,0,1,3이다. 만약, DCI 포맷 0의 PDCCH가 SPS 활성화(activation) 또는 릴리즈(release) PDCCH로 승인되면, δPUSCH ,C는 0dB이다. DCI 포맷 3A 내의 TPC 명령 필드가 각각 0,1일 때, 누적된 δPUSCH , CdB 값은 각각 -1, 1이다.For a certain subframe , δ PUSCH , C is 0dB when there is no TPC command for the serving cell C, during DRX operation, or when the corresponding subframe is an UL subframe of TDD. When the TPC command fields in DCI format 0/3/4 are 0, 1, 2, and 3, respectively, the accumulated δ PUSCH and C dB values are -1, 0, 1, 3, respectively. If the PDCCH of DCI format 0 is approved as the SPS activation or release PDCCH, δ PUSCH , C is 0dB. When the TPC command fields in DCI format 3A are 0 and 1, respectively, the accumulated δ PUSCH and C dB values are −1 and 1, respectively.

만약, 단말이 서빙셀 C에 대하여 PCMAX ,C에 다다르면, 긍정적인(positive) TPC 명령이 누적되지 않을 것이다. 만약, 단말이 최소 전력에 다다르면, 부정적인(negative) TPC 명령이 누적되지 않을 것이다. If the UE reaches P CMAX , C for the serving cell C, the positive TPC command will not accumulate. If the terminal reaches the minimum power, negative TPC commands will not accumulate.

서빙셀 C에 대하여 P0 _ UE _ PUSCH ,C값이 상위계층에 의해서 변경되거나, 주서빙셀에 대하여 단말이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누적을 리셋(reset)할 것이다. If the value of P 0 _ UE _ PUSCH , C for the serving cell C is changed by the higher layer or the terminal receives the random access response message for the main serving cell, the terminal will reset the accumulation.

수학식 7에 있어서, 서빙셀 C에 대하여 상위계층에 의해 누적(accumulation)이 비활성화된 경우 fc(i)는 다음 수학식과 같다.In Equation 7, when accumulation is deactivated by the higher layer with respect to the serving cell C, f c (i) is as follows.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7

여기서,

Figure pat00018
는 서브프레임 #i-KPUSCH에서 서빙셀 C에 대한 PDCCH내의 DCI 포맷 0/4을 통해 전송된다. KPUSCH 값은 FDD의 경우 4이고, TDD UL/DL 설정 #1 내지 #6에서 상기 표 6과 같이 주어진다.here,
Figure pat00018
Is transmitted through DCI format 0/4 in PDCCH for serving cell C in subframe #iK PUSCH . The K PUSCH value is 4 for FDD and is given as shown in Table 6 in TDD UL / DL configuration # 1 to # 6.

TDD UL/DL 설정 #0에서, 서브프레임 #2 또는 서브프레임 #7의 PUSCH 전송이 스케줄링 되고, PDCCH내의 DCI 포맷 0/4의 2비트 UL 인덱스의 LSB는 '1'로 설정된다면, KPUSCH는 7이다. 그 이외의 경우 KPUSCH는 상기 표 6과 같이 주어진다.In TDD UL / DL configuration # 0, if PUSCH transmission in subframe # 2 or subframe # 7 is scheduled and the LSB of the 2-bit UL index of DCI format 0/4 in the PDCCH is set to '1', K PUSCH is 7. Otherwise, K PUSCH is given as shown in Table 6 above.

서빙셀 C에 대한 PDCCH내의 DCI 포맷 0/4가 디코딩되지 않거나, DRX가 발생하거나, TDD에서 서브프레임 #i가 UL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 fc(i)는 fc(i-1)과 같다. If DCI format 0/4 in PDCCH for serving cell C is not decoded, DRX occurs, or subframe #i is not an UL subframe in TDD, f c (i) is equal to f c (i-1). same.

P0 _ UE _ PUSCH ,C 값은 상위계층에 의해서 변경되고 서빙셀 C가 주서빙셀인 경우, 또는 P0 _ UE _ PUSCH ,C 값은 상위계층에 의해서 수신되고 서빙셀 C가 부서빙셀인 경우, fc(0)은 0이다. 그 밖의 경우, 서빙셀 C가 주서빙셀이라면 fc(0)=ΔPrampupmsg2 이고, 여기서, δmsg2는 랜덤 액세스 응답에 의해서 지시된 TPC 명령이다. 상기 TPC 명령은 RAR MAC CE를 포함한 PDSCH의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PDCCH내 DCI에 3비트로 존재한다. 또한, ΔPrampup은 상위계층에 의해서 제공되며, 최초의 프리앰블부터 마지막 프리앰블까지 총 전력 램프-업(ramp-up)에 대한 것이다.If P 0 _ UE _ PUSCH , C value is changed by higher layer and serving cell C is main serving cell, or P 0 _ UE _ PUSCH , C value is received by higher layer and serving cell C is secondary serving cell F c (0) is zero. In other cases, if the serving cell C is the main serving cell, f c (0) = ΔP rampup + δ msg2 , where δ msg2 is a TPC command indicated by a random access response. The TPC command is present in 3 bits in the DCI in the PDCCH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PDSCH including the RAR MAC CE. In addition, ΔP rampup is provided by the upper layer and is for the total power ramp-up from the first preamble to the last preamble.

단말은 계산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으로 PUSCH를 수신점으로 전송한다(S425). The terminal transmits the PUSCH to the reception point at the calculated uplink transmission power (S425).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CoMP 시스템의 시그널링을 나타내는 도 9를 기반으로 설명된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described based on FIG. 9 illustrating signaling of a CoMP system.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eNB)은 단말로 CRS를 전송한다(S800). 여기서, 기지국은 CoMP 시스템에서 송수신점들 중 하나로서, 다른 송수신점인 RRH와 연결된다. RRH는 CRS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일 RRH가 CRS를 송신하는 경우 기지국과 동일한 물리적 셀 ID(Physical Cell ID: PID)값으로 구분 가능한 CRS를 송신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base station eNB transmits the CRS to the terminal (S800). Here, the base station is one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s in the CoMP system,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RRH. The RRH may or may not transmit CRS. If the RRH transmits the CRS, it transmits a CRS that can be identified by the same physical cell ID (PID) value as the base station.

단말은 CRS를 기반으로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사운딩 기준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의 전송전력을 계산한다(S805).The terminal calculates a transmission power of a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by the following equation based on the CRS (S805).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19

수학식 9를 참조하면, PSRS ,C(i)는 서빙셀 C에 대한 서브프레임 i에서 전송되는 사운딩 기준신호에 대한 단말의 전송전력으로서, dBm단위이다. Referring to Equation 9, P SRS , C (i) is a transmission power of the terminal for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in subframe i for the serving cell C, and is in dBm unit.

PCMAX ,C(i)는 서빙셀 C에 대한 서브프레임 i에서 정의되는 단말에 구성된 최대송출전력을 나타낸다. PSRS _ OFFSET ,C(m)는 상위계층에 의해 구성되는 반정적인 4비트 파라미터로서, m=0 또는 m=1이다. 타입0의 주기적 SRS 전송에 있어서, m=0이고, 타입1의 비주기적 SRS 전송에 있어서, m=1이다. KS=1.25일 때, PSRS _ OFFSET ,C(m)의 값은 [-3,12] dB의 범위에서 1dB 간격으로 주어지고, KS=0일 때, PSRS _ OFFSET ,C(m)의 값은 [-10.5,12] dB의 범위에서 1.5dB 간격으로 주어진다. P CMAX , C (i) represents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configured in the terminal defined in subframe i for the serving cell C. P SRS _ OFFSET , C (m) is a semi-static 4-bit parameter configured by a higher layer, where m = 0 or m = 1. For type 0 periodic SRS transmission, m = 0 and for type 1 aperiodic SRS transmission, m = 1. When K S = 1.25, the values of P SRS _ OFFSET , C (m) are given in 1 dB steps in the range of [-3,12] dB, and when K S = 0, P SRS _ OFFSET , C (m ) Are given in 1.5 dB steps in the range [-10.5,12] dB.

MSRS ,C는 서빙셀 C에 대한 서브프레임 i에서 SRS 전송의 대역폭이며, 자원블록 단위로 표현된다. fc(i)는 현재 서빙셀 C에 대한 PUSCH 전력제어 조정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수학식 7 또는 수학식 8과 같이 정의된다. P0 _ PUSCH ,C(j)와 αC(j)는 상기 수학식 7과 8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M SRS , C is a bandwidth of SRS transmission in subframe i for serving cell C and is expressed in units of resource blocks. f c (i) represents a PUSCH power control adjustment state for the current serving cell C, and is defined as in Equation 7 or Equation 8. P 0 _ PUSCH , C (j) and α C (j) are as defined in Equations 7 and 8 above.

단말은 계산된 SRS 전송 전력으로 SRS를 송수신점들에게 전송한다(S810). SRS는 서브프레임내에서 지정된 위치의 심벌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RS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마지막 SC-FDMA 심벌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The terminal transmits the SRS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s with the calculated SRS transmission power (S810). The SRS may be transmitted on a symbol of a designated position in a subframe. For example, the SRS may be transmitted on the last SC-FDMA symbol in an uplink subframe.

기지국과 RRH는 각각 단말로부터 상기 SRS를 수신한다. 단말과 기지국간에는 제1 무선링크(radio link: RL) RL1이 형성되고, 실제 경로감쇄가 RPL1(Real PL1)만큼 발생한다. 그리고 단말과 RRH간에는 제2 무선링크 RL2가 형성되고, 실제 경로감쇄가 RPL2만큼 발생한다. 동일한 SRS라 할지라도 기지국은 RPL1의 경로감쇄에 따라 SRS를 수신하고, RRH는 RPL2의 경로감쇄에 따라 SRS를 수신한다. 즉, 기지국이 직접적으로 수신하는 SRS(이하 직접 수신된(directly received) SRS라 함)와 RRH를 통해 간접적으로 수신하는 SRS(이하 간접 수신된(indirectly received) SRS)는 서로 다르게 여겨질 수 있다. The base station and the RRH each receive the SRS from the terminal. A first radio link (RL) RL1 is form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nd actual path attenuation occurs as much as RPL1 (Real PL1). A second radio link RL2 is form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RRH, and the actual path attenuation occurs by RPL2. Even in the same SRS,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SRS according to the path loss of RPL1, and the RRH receives the SRS according to the path loss of RPL2. That is, an SRS directly received by a base st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rectly received SRS) and an SRS received indirectly through an RRH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directly received SRS) may be considered different.

기지국은 직접 수신된 SRS에 따른 경로감쇄 예상치 PL1을 계산하고, 간접 수신된 SRS에 따른 경로감쇄 예상치 PL2를 계산한다(S815). The base station calculates the path loss estimate PL1 according to the directly received SRS, and calculates the path loss estimate PL2 according to the indirectly received SRS (S815).

기지국은 PL1과 PL2간의 차이인 경로감쇄 차이 ΔPL을 수학식 10에 따라 계산한다(S820). The base station calculates a path attenuation difference ΔPL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PL1 and PL2 according to Equation 10 (S820).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0

경로감쇄 차이 ΔPL은 단말이 RL2에서의 경로감쇄 예상치 PL2를 구하는데 사용된다. 왜냐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CRS를 이용하여 PL1은 알 수 있으므로, ΔPL만 알면 수학식 10에 따라 PL2를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path loss difference ΔPL is used by the terminal to calculate the path loss prediction PL2 in RL2. This is because, since the terminal can know PL1 using the CR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PL2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Equation 10 only by knowing ΔPL.

기지국은 경로감쇄 차이 ΔPL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PDSCH 설정 정보 요소를 단말로 전송한다(S825). PDSCH 설정 정보 요소는 다음의 표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path loss difference ΔPL to the terminal (S825). The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may be defined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PDSCH-ConfigCommon ::= SEQUENCE {
point_Index_origin INTEGER (0..7),
point_Index_destination INTEGER (0..7),
delta_Pathloss INTEGER (-60..50),
}
PDSCH-ConfigCommon :: = SEQUENCE {
point_Index_origin INTEGER (0..7),
point_Index_destination INTEGER (0..7),
delta_Pathloss INTEGER (-60..50),
}

표 7을 참조하면, 기준 송수신점 인덱스(point_Index_origin)는 기준 PL 값이 존재하는 송수신점, 즉 도 9에서의 기지국을 지시하는 인덱스이다. 목표 송수신점 인덱스(point_Index_destination)는 기준 PL 값이 존재하지 않는 송수신점, 즉 도 9에서의 RRH을 지시하는 인덱스이다. delta_Pathloss는 경로감쇄 차이 ΔPL로서 dB단위이다. Referring to Table 7, a referenc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index (point_Index_origin) is an index indicat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at which a reference PL value exists, that is, a base station in FIG. 9. The target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index (point_Index_destination) is an index indicat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at which a reference PL value does not exist, that is, an RRH in FIG. 9. delta_Pathloss is a path loss difference ΔPL in dB.

PDSCH 설정 정보 요소는 RRC 메시지로서 데이터 영역상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PDSCH 설정 정보 요소가 맵핑된 데이터 영역은 PDCCH에 의해 지시된다. 상기 PDCCH에 맵핑된 DCI는 TPC-PUSCH-RNTI로 스크램블링되어 있는 DCI 포맷 3/3A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DCCH에 맵핑된 DCI는 C-RNTI로 스크램블링되어 있는 DCI 포맷 0/4내에 TPC 명령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단말은 상기 PDCCH를 먼저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상기 PDCCH에 의해 지시되는 PDSCH 설정 정보 요소를 데이터 영역에서 획득할 수 있다. The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is transmitted on the data area as an RRC message. The data region to which the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is mapped is indicated by the PDCCH. The DCI mapped to the PDCCH may be DCI format 3 / 3A scrambled with TPC-PUSCH-RNTI. In addition, the DCI mapped to the PDCCH may be transmitted as a TPC command in DCI format 0/4, which is scrambled with C-RNTI. Accordingly, the UE may blindly decode the PDCCH first and acquire a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indicated by the PDCCH in a data region.

단말은 PL1과 경로감쇄 차이 ΔPL을 상기 수학식 10에 대입함으로써 PL2를 계산하고, PL2에 기반하여 PUSCH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계산한다(S830). PL1은 단말이 CRS로부터 직접 계산할 수 있고, ΔPL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PDSCH 설정 정보 요소로부터 알 수 있다. PL1, PL2, ΔPL과 같은 파라미터들의 값과, 수학식 10의 계산은 dB가 아닌 실수 값에 따라 얻어질 수도 있다. PUSCH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예를 들어 단말이 PL2를 상기 수학식 5 또는 수학식 6에 대입하여 계산할 수 있다. The terminal calculates PL2 by substituting PL1 and the path attenuation difference ΔPL into Equation 10, and calculates a PUSCH uplink transmission power based on PL2 (S830). PL1 can be calculated by the UE directly from the CRS, ΔPL can be known from the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e values of parameters such as PL1, PL2, ΔPL and the calculation of Equation 10 may be obtained according to real values rather than dB. For example, the UE may calculate the PUSCH uplink transmission power by substituting PL2 into Equation 5 or 6 above.

단말은 계산된 PUSCH 상향링크 전송 전력으로 PUSCH를 RRH로 전송한다(S835). CoMP 단말의 경우 DPS에 의해 복수의 송수신점들 중 동적으로 어느 하나(즉, 기지국 또는 RRH)를 타겟으로 선택하고, 타겟으로 PUSCH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RRH를 타겟으로 선택한 경우 단말은 단계 S830에 의해 계산된 PL2를 반영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으로 PUSCH를 RRH로 전송한다. The UE transmits the PUSCH to the RRH at the calculated PUSCH uplink transmission power (S835). In the case of the CoMP terminal,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s (ie, the base station or the RRH) may be dynamically selected as a target by the DPS, and the PUSCH may be transmitted to the target. When the UE selects the RRH as a target, the UE transmits the PUSCH to the RRH with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reflecting the PL2 calculated by step S83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과 송수신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and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1000)과 송수신점(1050)은 서로간에 물리계층과 같은 하위계층에서의 신호를 주고받거나, 또는 매체접근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이나 RRC 계층과 같은 상위계층에서의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단말(1000)과 송수신점(1050)은 모두 CoMP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단말(1000)은 CoMP 단말일 수 있고, 송수신점(1050)은 기지국 또는 RRH로서 CoMP 모드로서 협력하여 단말(1000)에 신호를 전송하거나, 단말(10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terminal 1000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1050 exchange signals with each other in a lower layer such as a physical layer, or a higher layer such as a medium access control (MAC) layer or an RRC layer. You can send and receive signals at the layer. Both the terminal 1000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1050 may configure a CoMP system. That is, the terminal 1000 may be a CoMP terminal,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1050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terminal 1000 or may receive a signal from the terminal 1000 in cooperation with the base station or the RRH in the CoMP mode.

단말(1000)은 단말 RF부(1005) 및 단말 프로세서(1010)를 포함한다. 단말 프로세서(1010)는 다시 RRC 메시지 처리부(1011) 및 경로감쇄 계산부(1012)를 포함한다.The terminal 1000 includes a terminal RF unit 1005 and a terminal processor 1010. The terminal processor 1010 further includes an RRC message processor 1011 and a path loss calculator 1012.

단말 RF부(1005)는 상위계층 메시지인 PDSCH 설정 정보 요소, CSI-RS에 관한 설정정보와, 하위계층 신호인 CSI-RS, CRS등을 송수신점(1050)으로부터 수신하여 단말 프로세서(1010)로 보낸다. 특히, 상위계층 메시지는 RRC 메시지 처리부(1011)로 보내고, 하위계층 신호는 경로감쇄 계산부(1012)로 보낸다. 또한, 단말 RF부(1005)는 하위계층 신호인 PUSCH 또는 SRS를 송수신점(1050)으로 전송한다. The terminal RF unit 1005 receives the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the CSI-RS configur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upper layer message, and the CSI-RS, CRS, etc., which are the lower layer signals, from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1050 to the terminal processor 1010. send. In particular, the upper layer message is sent to the RRC message processor 1011, and the lower layer signal is sent to the path loss calculator 1012. In addition, the terminal RF unit 1005 transmits a PUSCH or SRS, which is a lower layer signal, to the transceiver point 1050.

RRC 메시지 처리부(1011)는 PDSCH 설정 정보 요소, CSI-RS에 관한 설정정보를 분석하여 단말(1000)과 송수신점(1050)간의 하향링크 경로감쇄 예상치의 계산에 사용될 파라미터들을 획득한다. The RRC message processor 1011 analyzes the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and configuration information about the CSI-RS to obtain parameters to be used for calculating the downlink path loss estimate between the terminal 1000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1050.

일 예로서, RRC 메시지 처리부(1011)는 PDSCH 설정 정보 요소에 포함된 송수신점(1050)의 하향링크 참조신호 전송 전력으로부터 단말(1000)과 송수신점(1050)간의 하향링크 경로감쇄 예상치의 계산에 사용될 EPRE를 유도한다. 이때 PDSCH 설정 정보 요소는 예를 들어 표 2 내지 표 4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RRC 메시지 처리부(1011)는 CSI-RS에 관한 설정정보에서 CSI 피드백을 유도하기 위한 PDSCH 자원요소당 에너지(EPRE) 대 CSI-RS 자원요소당 에너지(EPRE)의 추측비율을 획득한다. RRC 메시지 처리부(1011)는 하향링크 경로감쇄 예상치의 계산에 사용될 CSI-RS의 EPRE를 경로감쇄 계산부(1012)로 알려준다. 그리고 RRC 메시지 처리부(1011)는 예를 들어 수학식 2에 의해 CSI-RS에 관한 RSRP를 계산한다. 이때 경로감쇄 계산부(1012)는 EPRE와 RSRP에 기반하여 경로감쇄 예상치를 계산한다(S1012). 예를 들어 경로감쇄 계산부(1012)는 예를 들어 수학식 4에 따라 경로감쇄 예상치를 계산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RRC message processing unit 1011 calculates a downlink path loss estimate between the UE 1000 and the transceiver point 1050 from the downlink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power of the transceiver point 1050 included in the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Derivation of the EPRE to be used. In this case, the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may be defined, for example, in any one form of Tables 2 to 4. The RRC message processing unit 1011 obtains a speculative ratio of energy per PDSCH (EPRE) to energy per CSI-RS resource element (EPRE) for deriving CSI feedback from the CSI-RS configuration information. The RRC message processor 1011 informs the path loss calculator 1012 of the EPRE of the CSI-RS to be used for calculating the downlink path loss estimate. The RRC message processing unit 1011 calculates an RSRP for the CSI-RS, for example, using Equation 2 below. At this time, the path loss calculator 1012 calculates a path loss estimate based on the EPRE and the RSRP (S1012). For example, the path loss calculator 1012 may calculate the path loss estimate according to Equation 4, for example.

다른 예로서, RRC 메시지 처리부(1011)는 PDSCH 설정 정보 요소에 포함된 경로감쇄 차이 ΔPL을 읽고 경로감쇄 계산부(1012)로 알려준다. 여기서 PDSCH 설정 정보 요소는 예를 들어 표 7과 같은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경로감쇄 계산부(1012)는 예를 들어 수학식 10에 따라 경로감쇄 예상치를 계산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RRC message processing unit 1011 reads the path loss difference ΔPL included in the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and informs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012. Here, the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may be defined, for example, in the form shown in Table 7. In this case, the path loss calculator 1012 may calculate the path loss estimate according to Equation 10, for example.

경로감쇄 계산부(1012)는 계산된 경로감쇄 예상치를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 5 또는 수학식 6에 대입함으로써 PUSCH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계산한다. The path loss calculator 1012 calculates the PUSCH uplink transmission power by substituting the calculated path loss estimate into, for example, Equation 5 or 6 above.

단말 RF부(1005)는 경로감쇄 계산부(1012)에 의해 계산된 PUSCH 상향링크 전송 전력으로 PUSCH를 송수신점(1050)으로 전송한다. The terminal RF unit 1005 transmits the PUSCH to the transceiver point 1050 using the PUSCH uplink transmission power calculated by the path loss calculator 1012.

송수신점(1050)은 송수신점 RF부(1060) 및 송수신점 프로세서(1070)를 포함한다. 송수신점 프로세서(1070)는 다시 RRC 메시지 처리부(1071) 및 경로감쇄 차이 계산부(1072)를 포함한다.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1050 includes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RF unit 1060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processor 1070. The transceiver point processor 1070 again includes an RRC message processor 1071 and a path loss difference calculator 1072.

송수신점 RF부(1060)는 RRC 메시지 처리부(1071)에 의해 생성된 상위계층 메시지인 PDSCH 설정 정보 요소, CSI-RS에 관한 설정정보를 단말(1000)로 전송한다. 또한 송수신점 RF부(1060)는 하위계층 신호인 CSI-RS, CRS등을 생성하여 단말(1000)로 전송한다. 한편, 송수신점 RF부(1060)는 SRS를 단말(1005)로부터 수신한다. The transceiver point RF unit 1060 transmits the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which is an upper layer message generated by the RRC message processing unit 1071, and configuration information about the CSI-RS, to the terminal 1000. In additio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int RF unit 1060 generates a lower layer signal CSI-RS, CRS, and transmits to the terminal 1000. Meanwhile, the transceiver RF unit 1060 receives the SRS from the terminal 1005.

RRC 메시지 처리부(1071)는 PDSCH 설정 정보 요소와 CSI-RS에 관한 설정정보 등과 같은 상위계층 메시지를 생성한다. The RRC message processing unit 1071 generates a higher layer message such as a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and configuration information about the CSI-RS.

경로감쇄 차이 계산부(1072)는 상기 SRS를 단말(1005)로부터 수신한 결과를 RRH와 같은 다른 송수신점(도면에 미표시)으로부터 획득하고, 단말(1000)과 다른 송수신점간의 경로감쇄 예상치 PL2 및, 단말(1000)과 송수신점(1050)간의 경로감쇄 예상치 PL1을 계산하며, PL1과 PL2를 기초로 경로감쇄 차이 ΔPL을 계산한다. 이때 경로감쇄 차이 계산부(1072)는 예를 들어 수학식 7을 이용하여 경로감쇄 차이 ΔPL를 계산한다. 그리고 경로감쇄 차이 계산부(1072)는 경로감쇄 차이 ΔPL에 관한 정보를 RRC 메시지 처리부(1071)로 보낸다. 그리고 RRC 메시지 처리부(1071)는 경로감쇄 차이 ΔPL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PDSCH 설정 정보 요소를 생성한다. The path loss difference calculation unit 1072 obtains the result of receiving the SRS from the terminal 1005 from another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not shown), such as RRH, and estimates the path loss PL2 between the terminal 1000 and the other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The path loss estimate PL1 between the terminal 1000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1050 is calculated, and the path loss difference ΔPL is calculated based on the PL1 and PL2. At this time, the path attenuation difference calculator 1072 calculates a path attenuation difference ΔPL using, for example, Equation (7). The path loss difference calculator 1072 then transmits the information about the path loss difference ΔPL to the RRC message processor 1071. The RRC message processing unit 1071 generates a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including a field indicating the path loss difference ΔPL.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단말에 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채널상태정보의 추정을 위해 사용되는 참조 신호에 관한 전송 전력을 지시하는 물리하향링크 공용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설정 정보 요소를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참조 신호를 상기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PDSCH 설정 정보 요소가 지시하는 상기 참조 신호에 관한 전송 전력으로부터 상기 참조 신호의 자원요소당 에너지를 계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에 대해 물리계층 수준의 필터링과 상위계층 수준의 필터링을 적용하여 참조 신호 대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참조 신호의 자원요소당 에너지 및 상기 참조 신호 대 수신 전력으로부터 상기 송수신점에 대한 경로감쇄 예상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감쇄 예상치를 기초로 상기 송수신점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for the terminal performed by the terminal,
Receiving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indicating a transmission power with respect to a reference signal used for estimation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from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int;
Receiving the reference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The energy per resource element of the reference signal is calculated from the transmit power of the reference signal indicated by the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and physical layer level filtering and upper layer level filtering are applied to the reference signal. Calculating a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Calculating a path loss estimate for the transceiver point from the energy per resource element of the reference signal and the reference signal versus received power; And
And calculating uplink transmit power for the transmit / receive point based on the path loss estim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점은 협력적 다중 송수신점(coordinated multi point: CoMP) 모드로 동작하는 기지국에 연결된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is a remote radio head (RRH) connected to a base station operating in a coordinated multi point (CoMP)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에 관한 전송 전력은 동작 시스템 대역폭내의 상기 참조 신호를 운반하는 모든 자원요소들의 전력 기여들(power contributions)에 대한 선형 평균으로 정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mit power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ignal is defined as a linear average of power contributions of all resource elements carrying the reference signal within an operating system bandwid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DSCH 설정 정보 요소는 상기 송수신점을 포함한 다수의 송수신점들에서의 참조 신호 전송 전력을 개별적으로 정의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defines reference signal transmit power at a plurality of transmit / receive points including the transmit / receive point individual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에 관한 설정을 특정하는데 사용되는 정보 요소인 채널상태정보-참조신호에 관한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receiving setting information regarding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which is an information element used to specify the setting regarding the reference sign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정보-참조신호에 관한 설정정보는 상기 PDSCH의 자원요소당 에너지 내 상기 참조 신호의 자원요소당 에너지의 추측비율을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about the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indicates an estimated ratio of energy per resource element of the reference signal in energy per resource element of the PDSCH.
제1 송수신점에 의해 수행되는 단말에 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운딩 기준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SRS를 제1 송수신점이 수신한 결과로부터 얻은 상기 단말과 상기 제1 송수신점간의 제1 경로감쇄 예상치와, 상기 SRS를 제2 송수신점이 수신한 결과로부터 얻은 상기 단말과 상기 제2 송수신점간의 제2 경로감쇄 예상치간의 차이인 경로감쇄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감쇄 차이를 지시하는 물리하향링크 공용채널(PDSCH) 설정 정보 요소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for the terminal performed by the first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Receiving a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from the terminal;
A first path attenuation estimat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obtained from the result of receiving the SRS from the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and a second path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obtained from the result of receiving the SRS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Calculating a path attenuation difference that is a difference between two path attenuation estimates; And
And transmitting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indicating the path attenuation difference to the user equipmen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PDSCH 설정 정보 요소는 상기 제1 송수신점의 인덱스과 상기 제2 송수신점의 인덱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the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includes an index of the first transmit / receive point and an index of the second transmit / receive point.
단말에 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에 있어서,
채널상태정보의 추정을 위해 사용되는 참조 신호에 관한 전송 전력을 지시하는 물리하향링크 공용채널(PDSCH) 설정 정보 요소, 상기 참조 신호를 상기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는 단말 RF부;
상기 PDSCH 설정 정보 요소를 분석하여 상기 참조 신호에 관한 전송 전력을 획득하고, 상기 참조 신호에 관한 전송 전력으로부터 상기 참조 신호의 자원요소당 에너지를 유도하며, 상기 참조 신호에 대해 물리계층 수준의 필터링과 상위계층 수준의 필터링을 적용하여 RSRP를 계산하는 RRC 메시지 처리부; 및
상기 참조 신호의 자원요소당 에너지 및 상기 RSRP로부터 상기 송수신점에 대한 경로감쇄 예상치를 계산하는 경로감쇄 계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In the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for the terminal,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indicative of a transmission power for a reference signal used for estimation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a terminal RF unit for receiving the reference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Analyze the PDSCH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to obtain transmit power for the reference signal, derive energy per resource element of the reference signal from transmit power for the reference signal, and perform physical layer level filtering on the reference signal; An RRC message processing unit for calculating an RSRP by applying higher layer level filtering; And
And a path loss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path loss estimate for the transceiver point from the energy per resource element of the reference signal and the RSRP.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점은 협력적 다중 송수신점 모드로 동작하는 기지국에 연결된 원격 무선 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9,
The transceiver poi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te radio head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operating in the cooperative multiple transmission point mod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에 관한 전송 전력은 동작 시스템 대역폭내의 상기 참조 신호를 운반하는 모든 자원요소들의 전력 기여들에 대한 선형 평균으로 정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9,
And wherein the transmit power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ignal is defined as a linear average over power contributions of all resource elements carrying the reference signal within an operating system bandwidth.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RF부는 상기 참조 신호에 관한 설정을 특정하는데 사용되는 정보 요소인 채널상태정보-참조신호에 관한 설정정보를 수신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terminal RF unit further receives setting information regarding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which is an information element used to specify the setting regarding the reference signa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정보-참조신호에 관한 설정정보는 상기 PDSCH의 자원요소당 에너지 내 상기 참조 신호의 자원요소당 에너지의 추측비율을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about the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indicates an estimated ratio of energy per resource element of the reference signal in energy per resource element of the PDSCH.

KR1020110080887A 2011-08-12 2011-08-1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3001805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887A KR20130018051A (en) 2011-08-12 2011-08-1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2/006381 WO2013025014A2 (en) 2011-08-12 2012-08-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887A KR20130018051A (en) 2011-08-12 2011-08-1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051A true KR20130018051A (en) 2013-02-20

Family

ID=47715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887A KR20130018051A (en) 2011-08-12 2011-08-1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18051A (en)
WO (1) WO2013025014A2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7161A (en) * 2014-10-11 2016-04-20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Downlink resource distribution method and base station
US9419696B2 (en) 2011-12-19 2016-08-1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base stations
US10085165B2 (en) 2011-09-23 2018-09-2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cell signals in OFDM wireless networks
KR20220029039A (en) * 2020-09-01 2022-03-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Base station apparatus and beamform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85261A (en) * 2013-05-28 2014-12-03 索尼公司 Method, device and system used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32255B2 (en) 2013-08-30 2016-12-27 Intel IP Corporation Measurement triggers for customer care in a wireless network
US10560851B2 (en) * 2017-01-13 2020-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beam management in next generation wireless systems
CN111447595A (en) * 2017-04-13 2020-07-24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used i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11102733B2 (en) * 2017-05-05 2021-08-24 Apple Inc. Absolute power control tolerance for NB-IoT/MTC
KR102379822B1 (en) * 2017-06-15 2022-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a terminal in a beamforming system
WO2018230901A1 (en) 2017-06-15 2018-12-20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terminal in beamforming system
US11864110B2 (en) 2018-01-16 2024-01-02 Nokia Technologies Oy Monitoring user equipment energy consumption
WO2020062051A1 (en) * 2018-09-28 2020-04-02 株式会社Ntt都科摩 Method and device for uplink power control
CN110972247B (en) * 2018-09-28 2022-10-11 中国信息通信研究院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of uplink channe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1568B2 (en) * 2009-06-23 2012-12-1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Cited B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5165B2 (en) 2011-09-23 2018-09-2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cell signals in OFDM wireless networks
US11871262B2 (en) 2011-09-23 2024-01-0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cell signals in OFDM wireless networks
US11611897B2 (en) 2011-09-23 2023-03-2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cell signals in OFDM wireless networks
US11432180B2 (en) 2011-09-23 2022-08-3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cell signals in OFDM wireless networks
US10917807B2 (en) 2011-09-23 2021-02-0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cell signals in OFDM wireless networks
US10667164B2 (en) 2011-09-23 2020-05-2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cell signals in OFDM wireless networks
US10306506B2 (en) 2011-09-23 2019-05-2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cell signals in OFDM wireless networks
US10530439B2 (en) 2011-12-19 2020-01-0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handover messaging in a wireless network
US10715228B2 (en) 2011-12-19 2020-07-1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signaling in a wireless network
US9917624B2 (en) 2011-12-19 2018-03-1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handover messaging in a wireless network
US9826442B2 (en) 2011-12-19 2017-11-2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base stations
US10181883B2 (en) 2011-12-19 2019-01-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signaling in a wireless network
US10193605B2 (en) 2011-12-19 2019-01-2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codeword exchange between base stations
US10236956B2 (en) 2011-12-19 2019-03-1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handover messaging in a wireless network
US9917625B2 (en) 2011-12-19 2018-03-1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Handover signaling for beamforming communications
US9788244B2 (en) 2011-12-19 2017-10-1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signaling in a wireless network
US11950145B2 (en) 2011-12-19 2024-04-0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0530438B2 (en) 2011-12-19 2020-01-0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handover messaging in a wireless network
US10601476B2 (en) 2011-12-19 2020-03-2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base stations
US9680544B2 (en) 2011-12-19 2017-06-1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codeword exchange between base stations
US11647430B2 (en) 2011-12-19 2023-05-0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ignaling in a wireless network
US10804987B2 (en) 2011-12-19 2020-10-1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handover messaging in a wireless network
US9455775B2 (en) 2011-12-19 2016-09-2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Handover signaling for beamforming communications
US10966125B2 (en) 2011-12-19 2021-03-3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base stations
US10966124B2 (en) 2011-12-19 2021-03-3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codeword exchange between base stations
US11082896B2 (en) 2011-12-19 2021-08-0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signaling in a wireless network
US9419696B2 (en) 2011-12-19 2016-08-1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base stations
US11375414B2 (en) 2011-12-19 2022-06-2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9450656B2 (en) 2011-12-19 2016-09-2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handover messaging in a wireless network
US11510113B2 (en) 2011-12-19 2022-11-2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handover messaging in a wireless network
US11516713B2 (en) 2011-12-19 2022-11-2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handover messaging in a wireless network
US9444535B2 (en) 2011-12-19 2016-09-1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signaling in a wireless network
CN105517161B (en) * 2014-10-11 2019-04-26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A kind of descending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CN105517161A (en) * 2014-10-11 2016-04-20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Downlink resource distribution method and base station
KR20220029039A (en) * 2020-09-01 2022-03-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Base station apparatus and beamform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25014A3 (en) 2013-04-11
WO2013025014A2 (en) 201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9626B2 (en) Methods and equipment for deriving path loss for beam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0477487B2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erminal apparatus which can set appropriate uplink transmission power
KR201300180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920385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riving transmit power of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80255519A1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6073073B2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874379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plink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13168793A1 (en) Terminal, base st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1019025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133193A1 (en) Base st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20130061586A (e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uplink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WO2013047129A1 (e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JP2013098949A (en) Base st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EP2709409B1 (en) Method for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and user equipment
KR20130024898A (en) Power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mobile station device
US20140192673A1 (en) Uplink power controlling method and uplink signal receiving method thereof
JP2013197783A (en) Base st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JP2013123141A (en) Base st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13236288A (e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20130050267A (en) Communication method of point, uplink power control method of user equipment, point and user equipment thereof in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KR2013003638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3187818A (en) Base st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2015005099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mall cells
KR2015005251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mall cells
KR2015003529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mall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