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151A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151A
KR20120109151A KR1020110027396A KR20110027396A KR20120109151A KR 20120109151 A KR20120109151 A KR 20120109151A KR 1020110027396 A KR1020110027396 A KR 1020110027396A KR 20110027396 A KR20110027396 A KR 20110027396A KR 20120109151 A KR20120109151 A KR 20120109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bile terminal
display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3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혜원
한송희
김용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7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9151A/en
Publication of KR20120109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1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user interface aspects for indicating selection options for a communication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portab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display icons corresponding to application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object included in an image. CONSTITUTION: A camera(121) captures images. A memory(160) stores one or more applications. A control unit(180) displays icons corresponding to one application related to one or more applications. One or more related applications correspond to one or more selection object attributes. The selected object includes the captured image. [Reference numerals]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1) Broadcasting reception module; (112)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Wireless internet module; (114) Local communication module; (115)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20) A/V input unit; (121) Camera; (122) Microphone; (130) User input unit; (140) Sensing unit; (150) Output unit; (151) Display module; (152) Sound effect output module; (153) Alarm unit; (154) Haptic module; (160) Memory; (170) Interface unit; (180) Control unit; (181) Multimedia module; (190) Power supply unit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미지에 포함된 특정 오브젝트의 속성에 대응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된 아이콘을 표시함으로써, 특정 오브젝트와 관련된 기능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display an icon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an attribute of a specific object included in an image, thereby enabling a mobile terminal to easily use a function related to the specific object; The control method is related.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or a mobile phone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a multimedia device having a complex function such as photographing or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music or a moving picture fi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The terminal can move It may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it is present.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the terminal, it is contemplated to improve the structural and / or software portion of the terminal.

최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단말기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메뉴 구조 또한 복잡해지는 추세이다. 또한 이동 단말기로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각종 디지털문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Recently, a variety of terminals including mobile terminals provide a complex and various functions, and the menu structure is also becoming complicated. In addition, a function of displaying various digital documents including a web page is added to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미지에 포함된 특정 오브젝트의 속성에 대응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된 아이콘을 표시함으로써, 특정 오브젝트와 관련된 기능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by displaying an icon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an attribute of a specific object included in an image, thereby easily using a function related to the specific object.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촬영한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 오브젝트의 속성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된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a display; A camera for taking an image; A memory for storing at least one applica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on the display, an ic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related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an attribute of at least one selected object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among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한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속성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된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the step of displaying an image; Acquiring a selection signal for at least one object included in the displayed image; And displaying an ic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related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an attribute of the at least on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이미지에 포함된 특정 오브젝트의 속성에 대응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된 아이콘을 표시함으로써, 특정 오브젝트와 관련된 기능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of easily using a function related to a specific object by displaying an icon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an attribute of the specific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현 형태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도면이다.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한 입체영상(stereoscopic image)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 이미지의 표시 및 선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 오브젝트의 속성에 따른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 오브젝트의 속성을 획득하는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1 검색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의 표시 및 그 선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C and 2D are diagrams illustrating implementation forms and display screen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ximity depth of a proximity sensor.
4 is a block diagram of 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method using a binocular parallax associated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illustrate the display and selection of the FIG. 11 image.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ed application according to an attribute of an object of FIG. 11.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th for obtaining an attribute of the object of FIG. 14.
16 and 17 illustrate display and selection of the retrieved application icon of FIG. 11.
18 and 19 illustrate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n addition, the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navigation. 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also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etc.,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mobile termin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udio / video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unit 160, An interface unit 170, a control unit 180,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a DVBH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In particular,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broadcasting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DMBS), a media forward link only (MediaFLO), a digital video broadcasting ), And ISDBT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 Terrestrial).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dapted to other broadcasting systems that provide broadcast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can be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externally.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confirming or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typical exampl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is a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According to the current technology, the GPS module 115 calculates information on a distance (distance)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to one point (entity), information on the time when the distance information is measured, ,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of one point (individual) in one hour can be calculated. Further, a method of calculat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the error of the calculated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another satellite is also used. The GPS module 115 continues to calculate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and uses it to calculate speed information.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all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he camera 121 may be equipped with two or more camera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and output.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122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may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it may be responsible for a sensing function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Meanwhi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the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and a haptic module 154 .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video or UI and GUI are displayed.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a transparent LCD or the like.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151 may also be of a light transmission type.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e an object located behind the terminal body through the area occupied by the display unit 151 of the terminal body.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in the mobile terminal 100, a plurality of display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r may be disposed integrally with one another, and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respectively.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151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ensor)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hereinafter, abbreviated as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is an output device. It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As a result, the controller 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is touched.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Referring to FIG. 1, a proximity sensor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mobile terminal or in the vicinity of the touch screen, which is enclosed by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 nearby object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The proximity sensor has a longer life span than the contact sensor and its utilization is also high.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An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when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allowing the pointer to be recognized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a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The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roximat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touched.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and the li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n acoustic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that occur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touch input, and the like.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for example, vibratio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can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152.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haptic module 1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is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sequentially output.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haptic module 154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an effect of stimulation by a pin arrangement vertically moving with respect to a contact skin surface, an effect of stimulation by air spraying force or suction force through a jet opening or a suction opening, A variety of tactile effects such as an effect of stimulation through contact of an electrode, an effect of stimulation by an electrostatic force, and an effect of reproducing a cold sensation using a heat absorbing or exothermic element can be generated.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54 may not only deliver the haptic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also implement the haptic effect through the muscle sense of the user's finger or arm. The haptic module 154 may include two or more haptic modules 154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80 and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moving picture, etc.). 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data related to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ted when a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emory unit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t least one of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 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programmable read- Lt; / RTI > type of storage medium.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unit 16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ransfer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to transmit data in the mobi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70.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 general user authentication module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s") can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port.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the interface unit may be a path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by the user to the cradle may be transmitted It can be a pa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Various command signals or power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signals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terminal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80. [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In some cases such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ntroller 180 < / RTI >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Also, the software codes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and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80. [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2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The disclosed mobile terminal 100 has a bar-shaped terminal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relatively movably coupled.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body includes a case (a casing, a housing, a cover, and the like) which forms an appearance. In this embodiment,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 A variety of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the audio output unit 152, the camera 121, the user input units 130/131 and 132, the microphone 122, and the interface 170 may be disposed in the terminal body, mainly the front case 101. have.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The display unit 151 occupies most of the main surface of the front case 101. A sound output unit 152 and a camera 121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151 and a user input unit 131 and a microphone 122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other end. The user input unit 132, the interface 170, and the like ar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30 is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131 and 132.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manipulation units 131 and 132 may also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anipulating portions,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operates the tactile manner with a tactile feeling.

조작 유닛들(131,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contents input by the manipulation units 131 and 132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31 receives commands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32 controls the siz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152 or the siz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51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touch screen.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FIG. 2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2A.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B, a camera 121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at is, the rear case 102. The camera 121 'may have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e camera 121 (see FIG. 2A), and may be a camera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camera 121.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121 may have a low pixel so that the face of the user can be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in case of a video call or the like, and the camera 121 ' It is preferable to have a large number of pixels. The cameras 121 and 121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body such that they can be rotated or popped up.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flash 123 and a mirror 124 ar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camera 121 '. The flash 123 illuminates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121 '. The mirror 124 allows the user to illuminate the user's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intends to shoot himself / her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camera 121 '.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An acoustic output 152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implement the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sound output unit 152 (see FIG. 2A), and may be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ntenna for a call or the like, a broadcast signal reception antenna 124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The antenna 124 constituting a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see FIG. 1) may be install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from the terminal body.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A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or may be directly detachable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The rear case 102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ad 135 for sensing a touch. The touch pad 135 may also be of a light transmission type like the display unit 151. [ In this case, if the display unit 151 is configured to output time information on both sides, the time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pad 135 as well. The information output on both sides may be all controlled by the touch pad 135. [ Alternatively, a display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touch pad 135, and a touch screen may be disposed on the rear case 102.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touch pad 135 operates in association with the display unit 151 of the front case 101. The touch pad 135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151. The touch pad 135 may have a size equal to or smaller than that of the display unit 151.

도 2c 및 도 2d는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부(151)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2C and 2D illustrate various embodiments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unit 151.

디스플레이부(151)는 물리적으로 표시패널들이 분할된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바디가 힌지나 슬라이드로 체결된 폴더형 또는 슬라이드형 이동 단말기에서, 제 1디스플레이부(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어느 한 바디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부(또는 보조 디스플레이부, 외부 디스플레이부)는 다른 바디의 내부면이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부는 이동 단말기와 분리된 디스플레이부로써, 이동 단말기 바디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first display unit in which display panels are physically divided and a second display unit. In a folding or slide type mobile terminal in which two bodies are hinged or slide, the first display unit (or the main display unit)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one body, and the second display unit ( Alternatively, the auxiliary display unit and the external display unit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r an outer surface of another body. The secondary display unit is a display unit separate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body through an interface means to display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도 2c와 같이 표시패널 내에서 논리적으로 분할된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first display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that are logically divided in the display panel as shown in FIG. 2C.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ximity depth of a proximity sensor.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As shown in FIG. 3, when a pointer such as a user's finger is close to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disposed in or near the touch screen detects this and outputs a proximity signal.

근접 센서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may be configured to output different proximity signals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proximity-touched pointer and the touch scre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ximity depth").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근할 때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간단하게는 상기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상기 근접 깊이를 알 수 있다. A distance at which the proximity signal is output when the pointer approaches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a detection distance. In short, by using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having different detection distances, the proximity signals output from the proximity sensors are compared, .

도 3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In FIG. 3, for example, a cross section of a touch screen on which three proximity sensors capable of sensing three proximity depths is disposed is illustrated. Of course, proximity sensors that detect less than three or more than four proximity depths are also possible.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Specifically, when the pointer is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d0), it is recognized as a contact touch. If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at a distance less than the distance d1, it is recognized as a proximity touch of the first proximity depth.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If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at a distance d1 or less and less than the distance d2, the pointer is recognized as a proximity touch of the second proximity depth. When the pointer is spaced apart from the d2 distance by more than d3 distance on the touch screen, it is recognized as a proximity touch of a third proximity depth. If the pointer is located at a distance d3 or more on the touch screen, it is recognized that the proximity touch is released.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거리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80 can recognize the proximity touch as various input signals according to the proximity and proximity positions of the pointer to the touch screen, and perform various operation controls according to the various input signals.

도 4를 참조하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수개의 이동단말기들(100), 다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 270),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275), 및 모바일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s; MSCs, 280)을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는, 퍼블릭스위치텔레폰네트워크(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 PSTN, 29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는 또한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은 백하울 라인들(backhaul lines)을 통하여 상기 기지국들(270)에 연결된다. 상기 백하울 라인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E1/T1, ATM, IP, PPP,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두 개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들(275)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Referring to FIG. 4, 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00,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270, 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275, and a mobile switching center. Centers; MSCs, 280). The mobile switching center 28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 (PSTN) 290. The mobile switching center 280 is also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s 275. The base station controllers 275 are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s 270 via backhaul lines. The backhaul lines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E1 / 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or xDS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ystem may include more than one base station controller 275.

상기 기지국(270)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섹터들(sectors)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omnidirectional antenna) 또는 상기 기지국(270)으로부터 특정한 방사방향으로 조정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각각의 섹터는 다이버시티수신(diversity reception)용 안테나 두개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270)은 다수개의 주파수 할당들(frequency assignments)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파수 할당들은 특정 스펙트럼(예를들어, 1.25MHz, 5Mhz)을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base stations 270 may include one or more sectors and each sector may include an omnidirectional antenna or a specific radially tuned antenna from the base station 270 . Alternatively, each sector may include two antennas for diversity reception. Each base station 27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frequency assignments, and the frequency assignments may have a specific spectrum (e.g., 1.25 MHz, 5 MHz).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인터섹션(intersection)은 CDMA 채널로 칭할 수 있다. The intersection of sectors and frequency assignments may be referred to as a CDMA channel.

상기 기지국들(27)은 또한 기지국 트랜스시버 서브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s; BTSs)으로 칭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기지국 제어기(275)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들(270)을 집합적으로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들은 또한 "셀 사이트"라고 표기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주어진 기지국(270)의 개별적인 섹터들이 셀 사이트들로 일컬어질 수 있다.The base stations 27 may also be referred to as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s (BTSs). In some instances, the term "base station" may be used to refer collectively to a base station controller 275 and one or more base stations 270. The base stations may also be denoted "cell sites ". Alternatively, individual sectors of a given base station 270 may be referred to as cell sites.

지상파 DMB 송신기(295)는 상기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이동단말기들(100)에 방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방송수신모듈(111)은 일반적으로 상기 DMB 송신기(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른 타입의 방송 및 멀티캐스트 시그널링(broadcast and multicast signaling)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terrestrial DMB transmitter 295 can broadcast to the mobile terminals 100 operating in the system.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generally configured to receive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by the DMB transmitter 295. This may be similarly applied to other types of broadcast and multicast signaling as described above.

도 4는 여러가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들(300)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위성들(300)은 몇몇 또는 모든 이동단말기들(1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두개의 위성들이 도시되었으나, 위치정보는 그보다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위성들로부터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다른 타입의 위치추적기술(예를 들어, GPS 기술을 대신하거나 또는 그에 더하여 사용될 수 있는 위치추적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몇몇 또는 모든 상기 GPS 위성들(300)은 별도로 또는 부가적으로 위성 DMB 전송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4 illustrates various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atellites 300. These satellites 300 may track the location of some or all of the mobile terminals 100. Although two satellites are show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more or fewer satellites. Other types of location tracking techniques (e.g., location tracking techniques that may be used in place of or in addition to GPS technology) may be used. If desired, some or all of the GPS satellites 300 may be configured to separately or additionally support satellite DMB transmission.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작동중에, 상기 기지국들(270)은 여러개의 이동단말기들(100)로부터 역방향 링크 신호들(reverselink signals)을 수신한다. 상기 이동단말기들(100)은 통화 중이거나, 메시지를 보내고 있거나, 그리고 다른 통신을 수행 중일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각각의 역방향 링크 신호는 상기 기지국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된 데이타는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 제어기(275)로 전송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275)는 콜 리소스 할당(call resource allocation)을 제공하며, 그리고 기지국들(270) 사이의 소프트 통화채널전환(soft handoffs)의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을 포함하는 이동관리기능(mobility management functionality)을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는 또한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MSCs, 280)로 전송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는 상기 퍼블릭스위치텔레폰네트워크(PSTN, 290)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추가적인 루팅 서비스들(routing services)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상기 퍼블릭스위칭텔레폰네트워크(290)는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와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과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은 차례로 상기 기지국들(270)을 제어하여 순방향 링크 신호들을 상기 이동단말기들(100)로 전송하도록 한다.During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base stations 270 receive reverse link signals from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00. The mobile terminals 100 may be busy, are sending messages, and are performing other communications. Each reverse link signal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is processed at the base station. The process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ed base station controller 275. The base station controller 275 provides call resource allocation and provides mobility management functionality including orchestration of soft handoffs between the base stations 270. [ ). The base station controllers 275 also transmit the received data to the mobile switching centers (MSCs) 280. The mobile switching center 280 provides additional routing ser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290. Similarly,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290 interfaces with the mobile switching center 280 and the mobile switching center interfaces with the base station controllers 275. The base station controllers 275 in turn control the base stations 270 to transmit forward link signals to the mobile terminals 100.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한 입체영상(stereoscopic image)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method using binocular parallax associated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 to 10 are views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Figure is shown.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 stereo disparity)는 사람의 좌안과 우안이 사물을 보는 시각의 차이를 의미한다. 사람의 뇌에서 좌안을 통해 보는 영상과 우안을 통해 보는 영상을 합성하면, 그 합성된 영상은 사람에게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아래에서는, 사람이 양안시차에 따라 입체감을 느끼는 현상을 '입체시(stereoscopic vision)'라 명명하여 사용하고, 입체시를 일으키는 영상을 '입체영상(stereoscopic image)'이라 명명하여 사용한다. 또한, 영상에 포함된 특정 객체(object)가 입체시를 일으키는 경우, 해당 객체를 '입체 객체'라 명명하여 사용한다.Binocular parallax (stereo disparity) refers to the difference in the way the left and right eyes of a person see objects. When a human's brain synthesizes the image seen through the left eye and the image seen through the right eye, the synthesized image makes a person feel three-dimensiona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phenomenon in which a person feels a stereoscopic sense according to binocular parallax is referred to as 'stereoscopic vision', and an image causing stereoscopic vision is referred to as a 'stereoscopic image'. Also, when a specific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causes stereoscopic vision, the object is referred to as a 'stereoscopic object'.

양안시차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 방법은 특수 안경이 필요한 안경식과 안경이 필요 없는 무안경식으로 구분된다. 안경식은 파장 선택성이 있는 색안경을 이용하는 방식, 편광차에 따른 차광 효과를 이용한 편광 안경 방식, 눈의 잔상 시간 내에 좌우의 화상을 교대로 제시하는 시분할 안경 방식 등이 있다. 이외에도 좌우안에 각각 투과율이 다른 필터를 장착하여 투과율의 차로부터 오는 시각계의 시간차에 따라서 좌우 방향의 움직임에 대한 입체감을 얻는 방식이 있다.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binocular disparity is divided into glasses type which requires special glasses and glassesless type which do not need glasses. The spectacles include a method using sunglasses with wavelength selectivity, a polarization glasses method using a light blocking effect according to a polarization difference, and a time-division glasses method alternately presenting left and right images within an afterimage time of an eye. 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in which a filter having different transmittances is mount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to obtain a stereoscopic effect on the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time difference of the visual system coming from the difference in the transmittances.

그리고, 관찰자 쪽이 아닌 영상 표시면 쪽에서 입체감이 발생하는 방식인 무안경식에는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방식 또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microlens array) 방식 등이 있다. The autostereoscopic method, in which a stereoscopic effect is generated on the image display surface rather than the observer, includes a parallax barrier method, a lenticular lens method, a microlens array method, and the like.

도 5를 참조하면,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81a)를 포함한다.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81a)는 좌안(82a)에 입력될 픽셀(L)과 우안(82b)에 입력될 픽셀(R)이 가로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된 표시면(83)과 좌우안(82a, 82b) 사이에 위치하며, 좌안(82a)에 입력될 픽셀(L)과 우안(82b)에 입력될 픽셀(R)에 대한 광학적인 변별 지향성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81a)를 통과한 영상은 좌안(82a)과 우안(82a)에서 분리되어 관찰되고, 사람의 뇌는 좌안(82a)을 통해 보는 영상과 우안(82b)을 통해 보는 영상을 합성하여 입체영상을 관찰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display module 151 includes a lenticular lens array 81a to display a stereoscopic image. The lenticular lens array 81a includes a display surface 83 and left and right eyes 82a in which pixels L to be input to the left eye 82a and pixels R to be input to the right eye 82b ar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Located between 82b), it provides optical discrimination directivity for the pixel L to be input to the left eye 82a and the pixel R to be input to the right eye 82b. Accordingly, the image passing through the lenticular lens array 81a is observed separately from the left eye 82a and the right eye 82a, and the image of the human brain is seen through the left eye 82a and the image seen through the right eye 82b. By synthesiz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

도 6을 참조하면,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수직 격자 모양의 패럴랙스 배리어(81b)를 포함한다. 패럴랙스 배리어(81b)는 좌안(82a)에 입력될 픽셀(L)과 우안(82b)에 입력될 픽셀(R)이 가로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된 표시면(83)과 좌우안(82a, 82b) 사이에 위치하며, 수직 격자 모양의 개구(aperture)를 통해 좌안(82a)과 우안(82b)에서 영상이 분리되어 관찰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람의 뇌는 좌안(82a)을 통해 보는 영상과 우안(82b)을 통해 보는 영상을 합성하여 입체영상을 관찰하게 된다. 이러한 패럴랙스 배리어(81b)는 입체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온(on) 되어 입사 시각을 분리하고, 평면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오프(off)되어 입사 시각을 분리시키지 않고 그대로 통과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display module 151 includes a vertical lattice-like parallax barrier 81b to display a stereoscopic image. The parallax barrier 81b includes a display surface 83 and left and right eyes 82a in which pixels L to be input to the left eye 82a and pixels R to be input to the right eye 82b ar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82b) between the left eye 82a and the right eye 82b through the vertical lattice-shaped aperture (aperture) to be viewed separately. Therefore, the human brain synthesizes an image viewed through the left eye 82a and an image viewed through the right eye 82b to observe a stereoscopic image. The parallax barrier 81b is turned on only when a three-dimensional image is to be displayed and is separated from the incident time, and is turned off when a planar image is to be displayed. have.

한편, 전술한 입체영상 표시 방법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양안시차를 이용한 입체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method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a stereoscopic image using binocular disparity using a variety of method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도 7은, 복수의 영상 객체(10, 11)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이 표시된 예를 도시한다.FIG. 7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stereoscopic image including a plurality of image objects 10 and 11 is displayed.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입체영상은, 상기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된 영상일 수 있다. 상기 입체영상은, 제1 영상 객체(10)와 제2 영상 객체(11)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영상 객체(10, 11)를 상정하였으나, 실제로는 더 많은 영상 객체가 상기 입체영상에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ereoscopic image illustrated in FIG. 7 may be an image acquired through the camera 121. The stereoscopic image includes a first image object 10 and a second image object 11. Here, although two image objects 10 and 11 are assum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more image objects may be included in the stereoscopic image.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카메라(121)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영상을 카메라 프리뷰(preview) 형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an image acquired in real time through the camera 121 on the display unit 151 in a camera preview format.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객체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양안시차(stereo disparity)를 획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obtain at least one stereo disparity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t least one image object.

상기 카메라(121)가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3D 카메라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된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통해 상기 제1 영상 객체(10) 및 상기 제2 영상 객체(11)의 양안시차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When the camera 121 is a 3D camera capable of acquiring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first image object throug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cquired through the camera 121. 10) and binocular disparity of the second image object 11 may be obtained, respectively.

도 8은 입체영상에 포함된 영상 객체의 양안시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describing binocular disparity of an image object included in a stereoscopic image.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영상 객체(10)는, 사용자가 좌안(20a)으로 보는 좌안영상(10a)과 우안(20b)으로 보는 우안영상(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the first image object 10 may include a left eye image 10a viewed by the user as the left eye 20a and a right eye image 10b viewed by the right eye 20b.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좌안영상(10a)과 상기 우안영상(10b)을 통해 상기 제1 영상 객체(10)에 대응되는 양안시차(d1)를 획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obtain a binocular parallax d1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object 10 through the left eye image 10a and the right eye image 10b.

한편 상기 카메라(121)가 2D 카메라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2D 영상을 3D 영상으로 변환하는 소정의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된 2D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amera 121 is a 2D camera, the controller 180 converts the 2D image obtained through the camera 121 into a 3D image using a predetermined algorithm for converting a 2D image into a 3D image. Display on the display unit 151.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변환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생성된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 객체(10)의 양안시차와 상기 제2 영상 객체(11)의 양안시차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use the left-eye image and the right-eye image generated by using the image conversion algorithm, respectively, to determine the binocular disparity of the first image object 10 and the binocular disparity of the second image object 11, respectively. Can be obtained.

도 9는 도 27에 도시된 영상 객체들(10, 11)의 양안시차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for comparing binocular disparity between the image objects 10 and 11 illustrated in FIG. 27.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영상 객체(10)의 양안시차(d1)와 상기 제2 영상 객체(11)의 양안시차(d2)는 서로 다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d2가 d1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2 영상 객체(11)가 상기 제1 영상 객체(10)보다 사용자로부터 더 멀리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Referring to FIG. 9, the binocular disparity d1 of the first image object 10 and the binocular disparity d2 of the second image object 11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since the second image object 11 is larger than d1, the second image object 11 may appear to be farther from the user than the first image object 1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객체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대응되는 양안시차를 갖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obtain at least one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t least one image object.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the obtained at least one graphic object on the display unit 151 to have a corresponding binocular disparity.

도 10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사용자 측으로 돌출된 듯한 효과를 보일 수 있는 제1 영상 객체(10)를 도시하였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좌안영상(10a)과 우안영상(10b)의 위치가, 도 29와 반대로 표시될 수 있다. 좌안영상(10a)과 우안영상(10b)의 위치가 반대로 표시되면, 좌안(20a)과 우안(20b)은 각각 서로 반대방향의 영상이 보여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영상 객체(10)가 시선이 교차하는 지점인,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에 표시된 것으로 느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양(+)의 깊이감을 느끼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디스플레이부(151) 보다 후방에 제1 영상 객체(10)가 표시된 듯한 음(-)의 깊이감을 느끼게 되는 도 9의 경우와 상이하다.FIG. 10 illustrates a first image object 10 that may have an effect as if it protrudes toward the user from the display unit 151. As illustrated in FIG. 29, the positions of the left eye image 10a and the right eye image 10b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s opposed to FIG. 29. When the positions of the left eye image 10a and the right eye image 10b are displayed in reverse, the left eye 20a and the right eye 20b may be shown in opposite directions. Accordingly, the user may feel that the first image object 10 is displayed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151, which is a point at which the gaze intersects. That is, the display unit 151 may feel a positive depth. This is different from the case of FIG. 9 in which a feeling of a negative (-) depth is felt as if the first image object 10 is displayed behind the display unit 151.

제어부(180)는 필요에 따라서, 양 또는 음의 깊이감을 느끼도록 입체영상을 표시함으로서 사용자가 다양한 깊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f necessary, the controller 180 can display a stereoscopic image to feel a positive or negative depth so that the user can feel various depths.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1)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S10)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an operation (S10) of displaying an image on the display 151.

이미지는,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121)를 사용하여 촬영하는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 주변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있을 수 있으며, 촬영하고 있는 영상이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이나 제어부(180)의 제어동작에 의하여 특정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imag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may be an image captured by using the camera 121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user may be photographing an image around him / her in real time using the camera 121, and the image being capture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51. Alternatively, a specific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51 by a user's selection or a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80 among the images stored in the memory 160.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신호를 획득하는 단계(S20)가 진행될 수 있다.Acquiring a selection signal for the object (S20) may proceed.

오브젝트는, 표시된 이미지에 포함된 특정한 형상일 수 있다. 즉, 오브젝트는, 이미지 중에서 실재물(實在物, entity)에 대응된 영상 부분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나의 이미지에는 다양한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에 포함된 건물, 인물, 상품 각각이 오브젝트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object may be a particular shape included in the displayed image. That is, the object may be an image part corresponding to an entity in an image. One image may include various objects. For example, it means that each building, person, and product included in the image can be an object.

사용자의 터치동작 또는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특정한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에 건물, 인물, 상품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특정한 건물을 터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Selection of a specific object included in an image may be performed by a user's touch operation or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80. For example, when a building, a person, a product, etc. are included in an image, it means that a user may perform an operation of touching a specific building by using a finger or the like.

특정한 오브젝트를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터치한 지점을 포함하는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1) 중에서 인물의 영상이 표시된 부분을 터치한 경우에, 제어부(180)는 터치된 인물영상의 윤곽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인물영상을 추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When a specific object is touched, the controller 180 can extract an image including the touched point. For example, when a part of the display 151 in which the image of the person is displayed is touched, the controller 180 may extract the person image by detecting a contour of the touched person image.

선택된 오브젝트의 속성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0)가 진행될 수 있다.Acquir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object (S30) may proceed.

속성정보는, 선택된 오브젝트가 어떠한 실재물에 대응된 것인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속성정보는 선택된 오브젝트가 인물의 영상인지, 건물의 영상인지, 특정한 상품의 영상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선택된 오브젝트가 어떠한 인물 또는 사물에 대한 영상인가는,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영상분석 기법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즉, 선택된 오브젝트의 윤곽선에 대한 감지를 통하여, 선택된 오브젝트가 인물인지 건물인지에 대한 판단이 가능할 수 있다. 선택된 오브젝트가 인물로 판단된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얼굴의 특징적인 구성인 눈, 코, 입 등의 배치 및 형상과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는 인물의 눈, 코, 입 등의 배치 및 형상을 비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교과정을 거쳐 제어부(180)는, 선택된 오브젝트가 그 인적사항을 알 수 있는 특정한 인물의 영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The attribut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which entity the selected object corresponds to. For example, the attribut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selected object is an image of a person, an image of a building, or an image of a specific product. Whether the selected object is an image of a person or an object may be known through an image analysis technique for the selected object. That is, by detecting the outline of the selected object, it may be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elected object is a person or a building.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lected object is a person, the controller 180 arranges and shapes the eyes, nose, and mouth, which ar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face, and the eyes, nose, and mouth of the person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shapes can be compared. Through such a comparison process,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the selected object is an image of a specific person who can know the personal information.

속성정보는 선택된 오브젝트의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교 및 검색을 통하여 선택된 오브젝트가 어떠한 인물인가 여부 및 그 인물의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 구체적인 정보를 알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선택된 오브젝트가 특정한 건물인 경우라면, 위치정보 등을 활용하여 그 건물의 위치, 주소 등을 알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선택된 오브젝트가 특정한 상품인 경우라면, 그 상품의 형상이나 그 상품에 표시된 바(bar)코드, 큐알(QR)코드 등을 이용하여 그 특정 상품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알 수 있다.The attribute information may includ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selected object.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rough comparison and search, it is possible to know what kind of person the selected object is, and specific information such as name, phone number, and e-mail address of the person. In addition, when the selected object is a specific building, it means that the location, address, etc. of the building can be known using lo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the selected object is a specific product, more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product may be known using the shape of the product, a bar code, a QR code, or the like displayed on the product.

획득한 속성정보에 대응된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단계(S40) 및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S50)가 진행될 수 있다.Searching for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attribute information (S40) and displaying an icon of the searched application (S50) may be performed.

메모리(160)에는 다양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데이터 중 일부는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일 수 있다.The memory 160 may include various data, and some of the data may be an application for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선택된 오브젝트의 종류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오브젝트가 인물인 경우에, 속성정보는 그 인물의 전화번호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속성정보에 대응된 어플리케이션은, 통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즉, 그 인물과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Depending on the type of object selected, the application may vary. For example, when the selected object is a person, the attribute information may be a phone number of the person. In such a case,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may be a call application. That is, it can be an application that allows the call with the person.

선택된 오브젝트가 장소인 경우에, 속성정보는 그 장소의 위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속성정보에 대응된 어플리케이션은, 지도표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즉, 그 장소가 지도상의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가 여부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When the selected object is a place, the attribute information may be a location of the place. In such a case,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may be a map display application. That is, it means that the application may be to indicate which location on the map corresponds to the place.

선택된 오브젝트가 특정한 상품인 경우에, 속성정보는 그 상품의 종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속성정보에 대응된 어플리케이션은, 그 상품의 최저가격을 검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When the selected object is a specific product, the attribute information may be a kind of the product. In such a case,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may be an application capable of searching the lowest price of the product.

도 12 및 도 13은 도 11 이미지의 표시 및 선택을 도시한 도면이다.12 and 13 illustrate the display and selection of the FIG. 11 image.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표시된 이미지(IM)에 포함된 특정 오브젝트(OB)가 선택되면, 선택된 오브젝트(OB)의 속성을 판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when the specific object OB included in the displayed image IM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the selected object OB. You can judge the property of.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복수의 이미지(IM)가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이미지(IM)는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가 그 원래의 크기보다 작게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미지(IM)가 썸내일 형태로 표시되면, 디스플레이(151)에는 동시에 많은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A, a plurality of images IM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51. The plurality of images IM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thumbnail. For example, it means that a plurality can be displayed smaller than its original size. When the image IM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thumbnail tomorrow, the display 151 may display many images at the same time.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하나의 이미지(IM)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2의 (a)와 같은 썸네일 형태의 표시에서 도 12의 (b)에 도시한 전체 이미지(IM)로의 전환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썸네일 형태의 이미지(IM) 중 특정한 하나를 터치하면, 그 이미지(IM)가 확대되며 디스플레이(151) 전체 화면에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12B, one image IM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51. The change from the thumbnail-type display as shown in FIG. 12A to the entire image IM shown in FIG. 12B may be made through a user's touch input. For example, when a specific one of the thumbnail images IM is touched, it means that the image IM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151.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된 이미지(IM) 중에서 특정한 오브젝트(OB)를 선택할 수 있다. 오브젝트(OB)에 대한 선택은 손가락(F)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3A, the user may select a specific object OB from the image IM displayed on the display 151. The selection of the object OB may be made using the finger F or the like.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이미지(IM) 중에서 선택된 오브젝트(OB)에 대한 영상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오브젝트(OB)의 윤곽선을 인식할 수 있다. 오브젝트(OB)의 윤곽선은, 오브젝트(OB)와 배경의 색상, 명암 등의 차이를 통하여 감지될 수 있다. 오브젝트(OB)를 그 배경에서 추출하면, 제어부(180)는 그 오브젝트(OB)가 어떠한 종류에 해당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3B,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image analysis on the object OB selected from the images IM. That is, the controller 180 can recognize the outline of the object OB. The contour of the object OB may be detected through a difference in color, contrast, and the like of the object OB and the background. When the object OB is extracted from the background, the controller 180 may proceed to determine what kind of object the object OB is.

오브젝트(OB)의 종류는, 그 오브젝트(OB)의 속성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오브젝트(OB)가 인물인지, 건물인지, 특정한 상품인지 여부 등을 판단하는 과정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type of the object OB may be a process of identify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object OB. For example, it means that the object OB may be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it is a person, a building, or a specific product.

오브젝트(OB)의 종류에 관한 속성을 파악하면, 제어부(180)는 그 오브젝트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속성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OB)가 인물인 경우에 제어부(180)는, 그 인물이 누구인지 여부를 검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선택된 오브젝트(OB)에 대응된 인물에 대한 정보는, 오브젝트(OB)에 대한 영상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오브젝트(OB)에 대한 영상분석을 통하여, 선택된 인물의 특징적인 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 코, 입의 상대적인 위치, 눈 사이의 거리 등에 기초하여 선택된 인물의 특징적인 요소를 알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선택된 인물의 특징적 요소를 알면,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의 특징적 요소와 비교하는 방법을 통하여, 선택된 오브젝트(OB)에 포함된 인물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If the attribute regarding the type of the object OB is grasped, the controller 180 can search for a more specific attribute regarding the object. For example, when the object OB is a person, the controller 180 may search for who the person is. Information about a pers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OB may be obtained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object OB.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object OB,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selected person may be identified. For example, it means that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selected person can be known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eyes, the nose, the mouth,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yes. Knowing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selected person, the controller 180 collects the information of the person included in the selected object OB through a method of comparing with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person included in another image stored in the memory 160. can do.

도 14는 도 11 오브젝트의 속성에 따른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ed application according to an attribute of an object of FIG. 11.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오브젝트(OB)의 종류에 적절한 어플리케이션을 대응시킬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rrespond to an application suitable for the type of the object OB.

오브젝트(OB)는 인물이거나, 물건이거나, 특정한 장소일 수 있다.The object OB may be a person, an object, or a specific place.

오브젝트(OB)가 인물인 경우라면, 그 인물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인물과 통화를 하거나, 그 인물에게 메시지를 보내거나, 그 인물에게 이메일을 송부하거나, 그 인물에게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거나, 그 인물과 관련된 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선택된 인물과 관련해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이 검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If the object OB is a person,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person may be selected. For example, you can call the person, send a message to the person, send an email to the person, send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related content to the person, or see a schedule related to that person. This means that an application can be selected. That is, it means that applications that can perform a specific function in relation to the selected person can be searched.

오브젝트(OB)가 물건인 경우라면, 그 물건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물건의 상품정보를 알 수 있거나, 그 물건의 가격을 알 수 있거나, 그 물건의 구매처를 알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선택된 물건과 관련해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검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If the object OB is an object,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object may be selected. For example, it means that an application that can know product information of the object, can know the price of the object, or know where to buy the object can be selected. That is, it means that an application capable of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can be searched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object.

오브젝트(OB)가 장소인 경우라면, 그 장소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장소를 식별할 수 있는 지도를 표시하거나, 그 장소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선택된 장소와 관련해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검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If the object OB is a place,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place may be selected. For example, it means that an application capable of displaying a map for identifying the place or displaying an image related to the place may be selected. That is, it means that an application capable of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can be searched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place.

도 15는 도 14 오브젝트의 속성을 획득하는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th for obtaining an attribute of the object of FIG. 14.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S)로부터 특정한 오브젝트(OB)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S)는 다른 단말기(1000, 2000)로부터 그 정보를 회득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서버(S)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btain information on a specific object OB from the server S. The server S may obtain the information from other terminals 1000 and 2000 and store the information. The server S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related service.

이동 단말기(100)가 특정 오브젝트(OB)에 대한 정보를 서버(S)로 요청하면, 서버(S)는 저장하고 있던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나아가, 서버(S)에 관련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면, 다른 이동 단말기(1000, 2000)로 관련 정보의 송신을 요청할 수도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0 requests the server S for information on a specific object OB, the server S may transmit the stored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100. Furthermore, if the relevant information does not exist in the server S, other mobile terminals 1000 and 2000 may request transmission of the related information.

도 16 및 도 17은 도 11 검색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의 표시 및 그 선택을 도시한 도면이다.16 and 17 illustrate display and selection of the retrieved application icon of FIG. 11.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an icon of a found application.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오브젝트(OB)와 관련된 아이콘(I)을 디스플레이(151)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에 표시한 아이콘(I)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오브젝트(OB)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6,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an icon I related to the object OB selected by the user on the display 151. As described above, the icons I displayed on the display 151 may display an application capable of executing a function directly related to the object OB.

오브젝트(OB)가 인물인 경우에,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1)에 그 인물의 이름(ID)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된 아이콘(I)으로서 통화 아이콘(I1), 메시지 아이콘(I2), 일정 아이콘(I3)이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object OB is a person,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the name ID of the person on the display 151. In addition, the call icon I1, the message icon I2, and the schedule icon I3 may be displayed as the icon I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application.

아이콘(I)은 선택된 오브젝트(OB)를 중심으로 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아이콘(I)이 선택된 오브젝트(OB)와 관련된 것이라는 점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선택된 오브젝트(OB)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아이콘(I)의 배치상태만으로도 사용자는 그 아이콘(I)이 어떠한 인물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인가 여부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The icon I may be arranged around the selected object OB. That is, it means that the icon I may be disposed around the selected object OB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at the icon I is related to the selected object OB. Therefore,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whether the icon I is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person only by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icon I. FIG.

제어부(180)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빈도에 기초하여 아이콘(I)을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빈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된 아이콘(I)을 상대적으로 위쪽에 배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사용빈도에 따라 선택된 오브젝트(OB)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아이콘을 배치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arrange the icon I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pplication. For example, it means that the icon I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with high usage frequency can be disposed relatively upward. The controller 180 may arrange an icon relatively close to the selected object OB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통화 아이콘(I1)을 손가락(F) 등으로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a) of FIG. 17, the user may select a call icon I1 related to an application to be executed by touching with a finger F or the like.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통화 기능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오브젝트(OB)의 인물에게 통화를 시도하는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계층구조의 메뉴탐색 과정 없이 특정한 인물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b) of FIG. 17, a function of attempting a call to the person of the selected object OB may be executed by the user's selection of the call function. Since a function related to a specific person can be executed without a menu search process of a hierarchical structure,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conveniently operated.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18 and 19 illustrate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오브젝트(OB)의 장소와 관련된 기능을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a func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object OB can be conveniently executed.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카메라(121)를 사용하여 특정한 건물인 오브젝트(OB)를 촬영하고 있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18A,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hotograph an object OB which is a specific building using the camera 121.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사용하여 촬영하고 있는 오브젝트(OB)와 관련된 아이콘(I)을 표시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8B, 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display an icon I related to the object OB photographed using the camera 121.

아이콘(I)은, 지도 아이콘(I4)과 사진 아이콘(I5)일 수 있다. 지도 아이콘(I4)은, 촬영하고 있는 오브젝트(OB)의 위치를 지도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그 위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된 것일 수 있다. 사진 아이콘(I5)은, 해당 오브젝트(OB)에 대응된 실재물(entity)이 촬영되거나 그 근방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사진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된 것일 수 있다.The icon I may be a map icon I4 and a picture icon I5. The map icon I4 may correspond to a map application that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object OB being photographed on a map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e location. The photo icon I5 may correspond to a photo application that displays an image captured by or near the entity corresponding to the object OB.

도 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F) 등을 이용하여 지도 아이콘(I4)을 선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9A, the user may select the map icon I4 using the finger F or the like.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도 아이콘(I4)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1)에 지도(MP)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지도(MP)에는, 촬영되고 있는 실재물의 위치, 촬영 장소, 촬영 방향 등이 표시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9B, when the map icon I4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can display the map MP on the display 151. On the displayed map MP, the position of the entity being photographed, the photographing place, the photographing direction,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에 따라서 아이콘(I) 및 오브젝트(OB)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display of at least one of the icon I and the object OB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도 2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가로방향으로 위치한 경우에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1)의 전체에 이미지(IM)를 표시하고, 이미지(IM) 중의 오브젝트(OB)와 관련된 아이콘(I)을 그 주위에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0A,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n image IM on the entire display 151 and the object in the image IM. An icon I related to (OB) can be displayed around it.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세로방향으로 위치한 경우에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1)의 홈 스크린(WP)을 표시할 수 있다. 홈 스크린(WP)은,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내지 위젯이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20B,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troller 180 can display the home screen WP of the display 151. The home screen WP may be a screen on which icons or widgets of an application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re displayed.

이동 단말기(100)가 세로방향으로 위치한 경우에 홈 스크린(WP)을 표시함과 함께, 오브젝트(OB)와 그 오브젝트(OB)에 관련된 아이콘(I)을 표시할 수 있다. 아이콘(I)을 선택하면, 별도의 절차 없이 해당 오브젝트(OB)에 대응된 사람과의 통화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ome screen WP may be displayed, and the object OB and the icon I related to the object OB may be displayed. If the icon I is selected, a call function with a pers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OB may be performed without a separate procedure.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100: mobile terminal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sensing unit 151: display unit
180:

Claims (13)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촬영한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 오브젝트의 속성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된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display;
A camera for taking an image;
A memory for storing at least one application;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on the display, an ic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related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an attribute of at least one selected object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may include: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taken in real time through the camer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 오브젝트의 주위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The at least one icon is arranged around the at least one selection objec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상기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사용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The at least one icon,
The at least one icon is arranged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ssociated applic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 오브젝트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이며,
상기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인물에 대한 통화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송신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송신 어플리케이션,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selection object is a person included in the image,
The related application is at least one of a call application, a message transmission application, an email transmission application, and a schedule management application for the pers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 오브젝트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장소이며,
상기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장소의 지도표시 어플리케이션, 상기 장소와 관련된 이미지표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selection object is a place included in the image,
The related application is at least one of a map display application of the place, an image display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pl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attitude)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자세에 따라 상기 이미지와 상기 관련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홈스크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attitude of the mobile terminal,
The control unit,
And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image and the related application on a home screen screen according to a posture sensed by the sensor unit.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지면에 대하여 세로방향으로 위치할 때, 상기 이미지와 상기 관련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홈스크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image and the related application on the home screen scree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position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한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속성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된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Displaying an image;
Acquiring a selection signal for at least one object included in the displayed image; And
And displaying an ic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related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an attribute of the at least on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signal.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카메라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image may include: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taken in real time through the camera.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주위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Displaying the icon,
And disposing the at least one icon around the at least one object.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사용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Displaying the icon,
And arranging the at least one icon based on a frequency of use of the related application.
제9 항에 있어서,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자세에 따라 상기 이미지와 상기 관련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홈스크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image and the related application on a home screen screen according to a posture sensed by a sensor unit.
KR1020110027396A 2011-03-28 2011-03-28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KR201201091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396A KR20120109151A (en) 2011-03-28 2011-03-28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396A KR20120109151A (en) 2011-03-28 2011-03-28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151A true KR20120109151A (en) 2012-10-08

Family

ID=47280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396A KR20120109151A (en) 2011-03-28 2011-03-28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915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7130A (en) * 2013-03-26 2014-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80080109A (en)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Food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for thereof
US10921039B2 (en) 2017-01-03 2021-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od storag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7130A (en) * 2013-03-26 2014-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80080109A (en)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Food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for thereof
KR20190104495A (en) * 2017-01-03 2019-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Food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for thereof
US10921039B2 (en) 2017-01-03 2021-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od storag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505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CN106412222B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12408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1806891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1666919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US2013023244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56353A (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57558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15293A (en) 3d camera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KR20150026338A (en) Mobile terminal
KR20110133655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31499A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s generation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KR20150055448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109151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KR20130065074A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KR20110028809A (en) Mobile terminal and information prcessing method thereof
KR102026639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19934B1 (en)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therof and information displaying system conpriisng it
KR101673409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KR20130064257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40122559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4315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977089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37929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24406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