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463A - 이동단말기 및 그의 브라우징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그의 브라우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463A
KR20110036463A KR1020090094140A KR20090094140A KR20110036463A KR 20110036463 A KR20110036463 A KR 20110036463A KR 1020090094140 A KR1020090094140 A KR 1020090094140A KR 20090094140 A KR20090094140 A KR 20090094140A KR 20110036463 A KR20110036463 A KR 20110036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mobile terminal
web page
displaying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석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4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6463A/ko
Priority to US12/728,761 priority patent/US20110083078A1/en
Publication of KR20110036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 및 그의 브라우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는 브라우저를 통해 웹에 접속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접속한 웹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들의 목록을 표시하며 상기 검색된 결과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결과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로딩하고, 상기 검색결과 목록을 표시하는 중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로딩된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이동단말기, 브라우징, 검색, 로딩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그의 브라우징 방법{MOBILE TERMINAL AND BROW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웹에서 검색된 결과들 중 소정 개의 결과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자동으로 로딩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의 브라우징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단말기는 무선 통신을 통해 웹에 접속하고, 그 접속한 웹에서 원하는 정보를 검색한다.
본 발명은 웹 검색을 통해 검색된 결과 중 소정 개의 결과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로딩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의 브라우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검색결과 중 소정 개의 결과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다면체로 형성된 표시화면의 각 면에 서로 다른 결과의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검색결과를 표시하는 화면 상에 입력되는 터치 드래그에 따라 검색결과 중 어느 하나의 결과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로딩하여 표시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화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일 영역에 검색결과를 표시하고, 다른 일 영역에 검색된 결과 중 어느 하나의 웹 페이지를 로딩하여 표시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브라우징 방법은 브라우저를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결과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결과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결과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결과 목록을 표시하는 중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로딩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브라우징 방법은 브라우저를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을 수행하면, 디스플레이 화면을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검색결과의 목록을 표시하고, 다른 하나의 영역에 상기 검색결과 목록 중 어느 하나의 검색결과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로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는 웹에 접속하는 무선통신부와, 검색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그 검색된 결과들의 목록을 표시하며 상기 검색결과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결과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로딩하고, 상기 로딩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는 웹 검색 후 검색된 결과들의 목록을 표시하며 검색된 결과들 중 소정 개의 검색결과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로딩하고, 검색결과목록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입체 브라우저 실행이 요청되면 로딩된 웹 페이지를 바로 표시하므로, 웹 페이지 로딩으로 인한 지연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단말기(100)와 이동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 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단말기의 방위, 이동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 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 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단말기(100)에서 수행 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 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 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입체 브라우저 실행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도 3은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가 출력된다. 소프트키(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이상의 실시 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브라우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브라우저(browser)를 실행시 키고 웹(web)에 접속한다(S101).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검색 엔진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검색 엔진은 인터넷 상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뉴 조작을 통해 브라우저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브라우저를 실행시키며 기설정된 특정 사이트(site)로 접속한다.
상기 브라우저가 실행된 후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는다(S102). 예를 들어, 브라우저의 검색어 입력창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텍스트 입력모드로 전환하며, 키패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측에 표시한다. 상기 표시된 키패드 아이콘 상에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그 터치 지점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검색어 입력창에 입력한다.
또는,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되는 특정 사이트의 웹 페이지에서 검색어 입력창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텍스트 입력모드로 전환하며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검색어를 상기 웹 페이지의 검색어 입력창에 입력한다.
상기 검색어 입력이 완료된 후,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검색엔진을 통한 검색을 수행한다(S103). 예컨대,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검색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검색어를 검색 엔진에 전달한다. 상기 검색 엔진은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웹에서 검색한다. 상기 검색엔진은 검색 명령이 입력된 후에 실행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사용할 검색엔진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포털 사이트가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검색 엔진은 구글(google), 야후(yahoo) 등을 포함한다.
상기 검색을 수행하며 제어부(180)는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된 결과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S104).
상기 검색결과를 표시하는 중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이벤트에 따라 검색결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과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로딩한다(S105, S106). 상기 특정 이벤트는 입체 브라우저 실행 요청 또는 터치 드래그와 같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로딩한 웹 페이지들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S107).
상기 특정 이벤트가 입체 브라우저 실행 요청이면 제어부(180)는 기설정된 정보에 따라 표시화면을 다면체로 형성하고 상기 로딩한 웹 페이지들을 다면체의 서로 다른 각 면에 각각 표시한다. 예를 들어, 검색결과 중 상위 3개를 로딩하도록 설정된 경우 제어부(180)는 입체 브라우저 실행이 요청되면 4개의 면으로 구성된 다면체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검색결과 목록을 하나의 면에 표시하고, 검색결과 중 첫 번째 및 두 번째 결과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들을 상기 검색결과 목록이 표시된 면에 가장 근접한 면들에 각각 표시하고 나머지 하나의 면에 세 번째 결과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표시한다.
또는, 상기 특정 이벤트가 터치 드래그이면 제어부(180)는 터치 드래그 방향에 따라 검색결과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오른쪽에서 왼쪽방향으로 터치 드래그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검색결과 중 상위 첫 번째 결과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로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다시 오른쪽에서 왼쪽방향으로 터치 드래그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검색결과 중 상위 두번째 결과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로드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터치 드래그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검색결과 중 상위 첫 번째 결과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다시 표시한다. 즉, 제어부(180)는 터치 드래그가 감지될 때마다 검색결과 각각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슬라이드 넘기듯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브라우징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 예는 3차원(3D) 브라우저 실행이 요청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18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기설정된 검색엔진을 제공하는 사이트(검색 포털 사이트)에 접속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접속한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도 5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브라우저의 검색어 입력창(301a) 또는 웹 페이지의 검색어 입력창(301b)에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텍스트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검색어 입력창(301a 또는 301b)에 커서를 표시한다. 상기 텍스트 입력모드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검색어 입력창(301a 또는 301b)에 입력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검색어 입력창(301b)에 '엘지전자'를 검색어로 입력한다.
이후,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아이콘이 터치되면 제어부(180)는 그 터치 입력을 검색 명령으로 인식하여 상기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웹에서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이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도 5의 (b)와 같이 검색된 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검색된 결과를 카테고리별(웹, 이미지, 뉴스, 블로그 등)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검색결과를 표시하는 중 3차원(3D) 브라우저 실행이 요청되면 제어부(180)는 웹 페에지를 표시할 적어도 3이상의 면으로 구성된 다면체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3D 브라우저 실행이 할당된 특정 아이콘(302)에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기설정된 3D 브라우저 환경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소정 개의 면으로 구성되는 다면체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환결설정 정보에 검색결과 중 정확도가 높은 상위 4개의 결과를 로딩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80)는 5개의 면으로 구성되는 다면체를 형성한다. 상기 다면체가 형성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다면체의 서로 다른 각 면에 상기 검색된 결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과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로드하여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표시한다.
상기 검색결과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가 각각 표시되는 면들로 구성된 다면체가 표시되는 상태(3D 브라우저 실행 중)에서 터치 드래그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다면체를 드래그 방향으로 회전시킨다(도 5의 (c) 및 (d)). 상기 다면체를 회전시켜 원하는 웹 페이지가 표시되는 면에 도달하면 사용자는 해당 면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면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를 2차원(평면)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브라우징하는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브라우저를 통해 검색 포털 사이트(검색 사이 트)에 접속하고, 그 검색 사이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웹에서 검색하여 그 검색결과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상기 검색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사용자가 터치 드래그를 수행하면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상기 터치 드래그를 감지한다. 상기 터치 드래그가 좌우방향 드래그이면 제어부(180)는 드래그 방향이 오른쪽에서 왼쪽인지 또는 왼쪽으로 오른쪽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에 따라 제어부(180)는 검색된 결과들 중 어느 하나의 결과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로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검색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오른쪽에서 왼쪽방향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검색결과들 중 상위 첫 번째 결과 'LG 전자'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로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b). 첫 번째 결과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화면에서 오른쪽에서 왼쪽방향으로의 드래그가 다시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검색결과들 중 상위 두 번째 결과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로드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c).
한편, 검색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왼쪽에서 오른쪽방향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검색결과들 중 하위 첫 번째 결과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로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브라우징하는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먼저, 제어부(18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사용자가 입력에 따라 검색엔진을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접속한 사이트 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도 7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검색어 입력창(301b)에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텍스트 입력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검색어 입력창(301b)에 커서를 표시한다. 상기 텍스트 입력모드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검색어 입력창(301b)에 입력한다.
이후, 도 7의 (a)와 같이 검색어 입력이 완료된 상태에서 검색 아이콘에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그 터치 입력을 검색 명령으로 인식하여 웹에서 상기 검색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검색 중임을 알리는 알림 신호(메시지, 이미지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검색을 수행하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데이터 표시영역(400)을 적어도 둘 이상의 화면으로 분할한다. 상기 화면이 분할되면 제어부(180)는 그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검색결과 목록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다른 분할 영역에 검색된 결과들 중 어느 하나의 결과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로드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데이터 표시영역(400)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그 중 하나의 영역(410)에 검색결과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나머지 다른 하나의 영역(420)에 상기 검색결과 중 첫 번째 결과인 'LG 전자'에 링크된 사이트에 접속하여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다운받아 표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브라우징하는 일 예를 도시한 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브라우저를 실행시키고, 검색엔진을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접속한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다운로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a).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웹 페이지에 검색 아이콘(311) 외에 3D 브라우저 검색을 요청하는 3D 검색 아이콘(312)을 별도로 구비한다.
상기 검색엔진에서 검색어 입력창(301b)에 검색어를 입력한 후 상기 3D 검색 아이콘(312)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웹에서 검색한다. 상기 검색을 수행하는 동안 제어부(180)는 다면체를 형성한다.
상기 검색이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검색된 결과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과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로드하여 상기 형성된 다면체의 서로 다른 각 면에 각각 표시한다(b).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검색결과들에 링크된 웹 페이지들 중 로딩 시간이 짧은 웹 페이지부터 다면체의 각 면에 순차로 표시한다. 즉, 로딩시간이 A 사이트, B 사이트, C 사이트 순이면 A 사이트의 접속화면(홈 페이지)를 다면체의 일면(321)에 로딩하여 표시하고, B 사이트의 접속화면을 상기 A 사이트의 접속화면에 표시되는 면(321)의 가장 근접한 일 면(322)에 표시한다. 그리고, C 사이트의 접속화면은 상기 B 사이트의 접속화면이 표시되는 면(322)에 가장 근접하게 나란한 면(323)에 표시한다.
상기 검색결과에 링크된 웹 페이지들이 각각 표시되는 면들로 구성된 다면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좌우방향의 터치 드래그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방향에 따라 다면체를 회전시킨다(b)(c).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다면체에 표시된 웹 페이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먼저, 제어부(18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특정 검색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들 중 기설정된 개수의 결과들에 링크된 페이지를 로드하여 다면체의 각 면에 각각 표시한다(a). 상기 다면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좌우 드래그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드래그 방향으로 다면체를 회전시킨다.
상기 다면체를 회전시키다 그 다면체의 어느 한 면에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해당 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2차원(2D)으로 표시한다(b). 즉,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면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전체 화면(full screen)에 표시한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터치 드래그 입력에 따라 표시화면을 제어하는 일 예이다.
도 10a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그 브라우저의 실행화면에서 히스토리(history) 메뉴가 선택되면 메모리(160)에 기록된 방문 목록을 읽어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a). 상기 방문 목록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터치 드래그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그 감지된 드래그의 방향을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감지된 드래그가 상하이동이면 제어부(180)는 그 드래그 방향에 따라 방문 목록을 스크롤한다. 즉, 제어부(180)는 드래그 거리 및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방문 목록을 상하로 이동시킨다(b). 본 실시 예에서 드래그 입력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플릭킹 입력에 따라 방문 목록을 스크롤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플릭킹 방향에 따라 방문 목록을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플릭킹 속도에 따라 방문 목록 스크롤 속도 및 이동 거리를 결정한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방문 목록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a). 상기 방문 목록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터치 드래그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상기 터치 입력이 좌우 드래그이면 제어부(180)는 상기 좌우 드래그를 3D 브라우저 실행 요청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좌우 드래그가 입력되면 로딩되는 웹 페이지가 표시될 적어도 둘 이상의 면으로 구성된 다면체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방문 목록에 기록된 각 항목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로드하여 상기 다면체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표시한다(b). 여기서, 제어부(180)는 상기 방문 목록에 있는 모든 항목의 웹 페이지를 로드하거나 또는 상기 방문 목록 중 소정 개의 항목에 대한 웹 페이지를 로드할 수 있다. 상기 로드할 웹 페이지 수 및 다면체의 면 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값이거나 또는 상기 방문목록에 포함되는 항목 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다면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좌우 드래그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그 감지된 드래그 방향에 따라 다면체를 좌 또는 우로 회전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멀티 검색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에 따르면, 먼저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브라우저를 실행시키고 검색 포털 사이트에 접속한다. 상기 검색 포털 사이트로부터 웹 페이지 정보를 제공받아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a). 상기 검색 포털 사이트 접속화면에서 사용자가 검색어 입력창(301b)을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텍스트 입력모드로 진입하며 검색어 입력창(301b)에 커서를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이 발생하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검색어 입력창(301b)에 삽입한다. 상기 검색어 입력이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검색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검색어 입력 후 검색 아이콘(310)을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입력을 검색 명령으로 인식하여 상기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웹에서 검색한다.
상기 검색이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다면체(430)를 형성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상기 다면체(430)의 각 면에 각각 표시한다(b). 예를 들어, 검색어 A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검색어 A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도 11의 (b)와 같이 다면체(430)를 형성하여 그 다면체(430)의 각 면에 각각 표시한다. 즉, 제어부(180)는 검색결과들 중 결과 1의 웹 페이지를 로드하여 다면체(430)의 일 면에 표시하고, 결과 2를 상기 결과 1이 표시되는 일 면 옆에 위치하는 면에 상기 결과 2의 웹 페이지를 로딩하여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검색 포털 사이트를 표시하 는 화면으로 돌아간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검색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어 B를 입력받아 검색어 입력창(301b)에 입력한다(c). 상기 검색어 B의 입력이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검색어 B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검색한다. 즉, 제어부(180)는 검색어 입력 후 검색 아이콘(310)이 선택되면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데이터 검색을 검색 서버에 요청한다. 상기 검색 서버는 이동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검색 엔진을 통해 상기 검색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이동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상기 검색이 완료되면 새로운 다면체(440)를 추가로 형성하고, 상기 새 다면체(440)의 각 면에 상기 검색어 B에 대한 검색결과들에 링크되는 웹 페이지를 로드하여 각각 표시한다(d).
상기 다면체들(430, 440)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좌우 드래그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그 드래그가 감지된 지점에 대응되는 다면체(430 또는 440)를 드래그 방향에 따라 회전시킨다. 또한, 상하 드래그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다면체들(430, 440)을 드래그 방향에 따라 스크롤(이동)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3D 브라우저 실행화면을 도시한 일 예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브라우저를 실행시키고, 사전에 설정된 특정 사이트에 접속한다(a).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접속한 사이트로부터 웹 페이지를 다운받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사전에 특정 사이트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빈 페이를 표시한다.
상기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중 3D 브라우저 실행이 요청되면 제어부(180)는 다면체를 형성하고, 다면체의 각 면에 서로 다른 기능의 실행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브라우저 실행화면을 다면체의 제1면(451)에 표시하고, 즐겨찾기 목록을 다면체의 제2면(452)에 표시한다(b). 또한, 제어부(180)는 다면체의 제3면(453)에 이전에 방문한 사이트 목록을 표시하고, 다면체의 제4면(454)에 환경설정 화면을 표시한다(c)-(d).
도 13a 내지 13h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즐겨찾기를 추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일 예이다.
먼저, 제어부(180)는 브라우저를 실행시키고, 홈 페이지로 기설정된 사이트에 접속하여 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도 13a). 상기 접속한 사이트를 즐겨찾기에 등록하기를 원하면 사용자는 즐겨찾기 추가 메뉴(303)를 선택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즐겨찾기 추가가 요청되면 즐겨찾기 추가화면이 표시되는 다면체의 해당 면으로 이동시킨다(도 13b). 여기서, 즐겨찾기 추가 요청이 있으면 제어부(180)가 다면체를 회전시켜 자동으로 즐겨찾기 추가화면이 표시되는 다면체의 해당 면으로 전환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즐겨찾기 추가 요청이 인식되면 다면체를 형성하여 다면체의 일 면에 즐겨찾기 추가화면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다면체의 회전으로 즐겨찾기 추가화면이 표시되는 면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화면에 표시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즐겨찾기 추가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각 필드에 입력한다(도 13c). 예를 들어,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즐겨찾기 타이틀 및 해당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즐겨찾기 추가화면에서 위치지정 필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다면체를 회전시켜 즐겨찾기 내 그룹 목록이 표시되는 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도 13d 및 도 13e). 상기 표시되는 즐겨찾기 내 그룹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즐겨찾기 추가화면으로 되돌아간다(도 13f 및 도 13g). 상기 즐겨찾기 추가 화면에서 'OK'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사이트를 상기 즐겨찾기 내 선택된 그룹에 추가한다.
상기 즐겨찾기 추가가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사이트를 표시하는 다면체의 면으로 돌아간다(도 13h).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3D 브라우저 실행화면 및 그의 전개도를 도시한다.
도 14의 (a)는 다면체로 형성된 3D 브라우저 실행화면을 도시하고, 도 14의 (b)는 다면체의 전개도이다. 도 14의 (b)의 전개도에 따르면, 다면체의 각 면에는 홈으로 설정된 사이트의 웹 페이지(A1), 즐겨찾기 목록(A2), 최근 방문한 페이지 목록(방문 목록)(A3), 즐겨찾기에 등록된 목록 중 소정 개의 즐겨찾기 사이트의 웹 페이지들(A4-A6)이 각각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단말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브라우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브라우징하는 일 예.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다면체에 표시된 웹 페이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일 예.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터치 드래그 입력에 따라 표시화면을 제어하는 일 예.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멀티 검색을 수행하는 일 예.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3D 브라우저 실행화면을 도시한 일 예.
도 13a 내지 13h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즐겨찾기를 추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일 예.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3D 브라우저 실행화면 및 그의 전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Claims (20)

  1. 브라우저를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결과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결과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결과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결과 목록을 표시하는 중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로딩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브라우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단계는,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검색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웹에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브라우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 로딩 단계는,
    상기 검색결과들 중 상위 소정 개의 결과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브라우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 로딩 단계는,
    상기 검색결과들 중 접속 빈도가 높은 순으로 소정 개의 결과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브라우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 로딩 단계는,
    상기 검색결과들 중 정확도가 높은 순으로 소정 개의 결과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브라우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 로딩 단계는,
    상기 검색결과들 중 로딩 시간이 짧은 순으로 소정 개의 결과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브라우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는,
    터치, 터치 드래그, 플릭킹과 같은 터치 입력 또는 입체 브라우저 실행이 할당된 키 입력 중 하나의 입력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브라우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 표시 단계는,
    상기 키 입력이 발생되면 표시화면을 다면체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면체의 각 면에 상기 로딩된 서로 다른 웹 페이지를 각각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브라우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 표시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 목록을 표시하는 중 터치 드래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드래그가 감지될 때마다 소정 순서로 상기 로딩된 웹 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브라우징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순서는,
    상기 터치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기 웹 페이지에 대응되는 검색결과의 상위 랭크순 또는 하위 랭크순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브라우징 방법.
  11. 브라우저를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을 수행하면, 디스플레이 화면을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검색결과의 목록을 표시하고, 다른 하나의 영역에 상기 검색결과 목록 중 어느 하나의 검색결과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로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브라우징 방법.
  12. 웹에 접속하는 무선통신부와,
    검색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그 검색된 결과들의 목록을 표시하며 상기 검색결과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결과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로딩하고, 상기 로딩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결과 목록을 표시하는 중 입체 브라우저 실행이 요청되면 표시화면을 다면체로 형성하고 상기 로딩된 웹 페이지들을 상기 다면체의 각 면에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결과 목록을 표시하는 화면 상에 좌우방향으로 터치 드래그가 감지되면 표시화면을 다면체로 형성하고 상기 로딩된 웹 페이지들을 상기 다면체의 각 면에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드래그가 상하방향이면 상기 검색결과 목록을 스크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결과 목록을 표시하는 화면에서 좌우방향의 터치 드래그가 감지되면 상기 로딩된 웹 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이동단말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을 수행하면 표시화면을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일 영역에 상기 검색된 결과들의 목록을 표시하고 다른 일 영역에 상기 검색된 결과들 중 어느 하나의 검색결과에 링크된 웹 페이지를 로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의 결과는,
    상기 검색결과들 중 상위 또는 하위 순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의 결과는,
    상기 검색결과들 중 정확도가 높은 순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의 결과는,
    상기 검색결과들 중 로딩 시간이 짧은 순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 말기.
KR1020090094140A 2009-10-01 2009-10-01 이동단말기 및 그의 브라우징 방법 KR201100364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140A KR20110036463A (ko) 2009-10-01 2009-10-01 이동단말기 및 그의 브라우징 방법
US12/728,761 US20110083078A1 (en) 2009-10-01 2010-03-22 Mobile terminal and brows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140A KR20110036463A (ko) 2009-10-01 2009-10-01 이동단말기 및 그의 브라우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463A true KR20110036463A (ko) 2011-04-07

Family

ID=43824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140A KR20110036463A (ko) 2009-10-01 2009-10-01 이동단말기 및 그의 브라우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83078A1 (ko)
KR (1) KR201100364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128A (ko) * 2012-10-30 2014-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웹 브라우징 방법
KR101422208B1 (ko) * 2013-08-19 2014-07-24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터치 단말의 좌우 스크롤을 이용하는 유사 문서 검색 시스템 및 유사 문서 검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0389B2 (ja) * 2009-08-27 2013-10-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046988B2 (en) * 2010-05-17 2015-06-02 Eric Leebow System for recording, suggesting, and displaying fans of a subject
JP5621422B2 (ja) * 2010-09-07 2014-11-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US8645362B1 (en) * 2010-11-12 2014-02-04 Google Inc. Using resource load times in ranking search results
KR20120058763A (ko) * 2010-11-30 201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251508B2 (en) * 2010-12-09 2016-02-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telligent message processing
US20120284668A1 (en) * 2011-05-06 2012-11-08 Ht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e management
US20120284671A1 (en) * 2011-05-06 2012-11-08 Ht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e mangement
US8826182B2 (en) 2011-09-02 2014-09-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ulti-dimensional input
US8863014B2 (en) * 2011-10-19 2014-10-14 New Commerce Solutions Inc. User interface for product comparison
KR101692252B1 (ko) * 2012-04-08 201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3225226A (ja) * 2012-04-23 2013-10-31 Kyocera Corp 情報端末、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CN103488372B (zh) * 2012-06-11 2017-03-0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加载数据的方法及电子设备
US9069455B2 (en) * 2012-06-22 2015-06-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3D user interface for application entities
CN103577401A (zh) * 2012-07-18 2014-02-1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搜索方法及系统
CN103914466B (zh) * 2012-12-31 2017-08-0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标签按钮管理的方法及系统
US20140282073A1 (en) * 2013-03-15 2014-09-18 Micro Industries Corporation Interactive display device
CN103198125B (zh) * 2013-04-07 2016-08-24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页面数据加载的控制方法及系统
KR20140143556A (ko) * 2013-06-07 2014-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20150027614A (ko) * 2013-09-04 2015-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512084B1 (ko) * 2013-11-15 2015-04-17 한국과학기술원 가상현실 기반의 3차원 웹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 검색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2407623B1 (ko) * 2014-09-29 2022-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60313888A1 (en) * 2015-04-27 2016-10-27 Ebay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traction free shopping on a mobile device
CN104951183B (zh) * 2015-06-05 2019-01-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功能定位方法及电子设备
KR20170028001A (ko) * 2015-09-03 201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63898B1 (ko) 2016-12-28 201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971162B1 (ko) * 2017-07-26 2019-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5655B2 (ja) * 1990-03-05 2002-01-15 インキサイト ソフトウェ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作業スペースの表示処理方法
FR2662009B1 (fr) * 1990-05-09 1996-03-08 Apple Computer Icone manupulable a faces multiples pour affichage sur ordinateur.
JP3697276B2 (ja) * 1993-10-27 2005-09-21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画像ディスプレイ方法及び画像ディスプレイ装置並びに画像スケーリング方法
US5515486A (en) * 1994-12-16 1996-05-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memory for directing a computer system to display a multi-axis rotatable, polyhedral-shape panel container having front panels for displaying objects
US5678015A (en) * 1995-09-01 1997-10-14 Silicon Graphics, Inc. Four-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5880733A (en) * 1996-04-30 1999-03-09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windows of an operating system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workspace for a computer system
US6043818A (en) * 1996-04-30 2000-03-28 Sony Corporation Background image with a continuously rotating and functional 3D icon
US5767854A (en) * 1996-09-27 1998-06-16 Anwar; Mohammed S. Multidimensional data display and manipulation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6710788B1 (en) * 1996-12-03 2004-03-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6070176A (en) * 1997-01-30 2000-05-30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raphically representing portions of the world wide web
US6577330B1 (en) * 1997-08-12 2003-06-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indow display device with a three-dimensional orientation of windows
US6363404B1 (en) * 1998-06-26 2002-03-26 Microsoft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models with markup documents as texture
US6157383A (en) * 1998-06-29 2000-12-05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 polyhedra for a three-dimensional (3D) user interface
US6597358B2 (en) * 1998-08-26 2003-07-2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two and three-dimensional computer applications within a 3D meta-visualization
US6621509B1 (en) * 1999-01-08 2003-09-16 Ati International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three 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6331852B1 (en) * 1999-01-08 2001-12-18 Ati International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three dimensional object on live video
US7263667B1 (en) * 1999-06-09 2007-08-2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nd data structure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which facilitates decision making
US20020111204A1 (en) * 1999-10-07 2002-08-15 Lupo Kenneth G 3D rotating viewpoint game
US7134095B1 (en) * 1999-10-20 2006-11-07 Gateway, Inc. Simulated three-dimensional navigational menu system
WO2001069367A2 (en) * 2000-03-17 2001-09-20 Vizible.Com Inc. A three dimensional spatial user interface
US6938218B1 (en) * 2000-04-28 2005-08-30 James Nol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 dimensional internet and computer file interface
JP2002082745A (ja) * 2000-09-07 2002-03-2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US6467205B1 (en) * 2000-11-09 2002-10-22 Cristopher Hastings Flagg Calendar cube apparatus
JP2002175139A (ja) * 2000-12-07 2002-06-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メニュー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US7216305B1 (en) * 2001-02-15 2007-05-08 Denny Jaeger Storage/display/action object for onscreen use
WO2002093352A1 (en) * 2001-05-11 2002-11-21 3Dna Corp.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3d gui) for computer systems and websites
US20030142136A1 (en) * 2001-11-26 2003-07-31 Carter Braxton Page Three 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7007242B2 (en) * 2002-02-20 2006-02-28 Nokia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JP2003281191A (ja) * 2002-03-20 2003-10-03 Fujitsu Ltd 検索サーバ及び検索結果提供方法
KR100871246B1 (ko) * 2002-09-09 2008-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뉴 구성 장치 및 방법
JP4173718B2 (ja) * 2002-10-31 2008-10-29 富士通株式会社 ウィンドウ切替装置及びウィンドウ切替プログラム
GB2404546B (en) * 2003-07-25 2005-12-14 Purple Interactive Ltd A method of organising and displaying material content on a display to a viewer
US7739281B2 (en) * 2003-09-16 2010-06-1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anking documents based upon structurally interrelated information
US7277572B2 (en) * 2003-10-10 2007-10-02 Macpearl Design Llc Three-dimensional interior design system
US7508377B2 (en) * 2004-03-05 2009-03-24 Nokia Corporation Control and a control arrangement
US7295220B2 (en) * 2004-05-28 2007-11-13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KR100608589B1 (ko) * 2004-07-24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100643276B1 (ko) * 2004-08-07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100755684B1 (ko) * 2004-08-07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US8583632B2 (en) * 2005-03-09 2013-11-12 Medio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active ranking of browser search engine results
US8046714B2 (en) * 2005-03-17 2011-10-25 Clarion Co., Ltd. Method, program and device for displaying menu
US7734622B1 (en) * 2005-03-25 2010-06-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driven browsing
WO2006127480A2 (en) * 2005-05-20 2006-11-30 Perfect Market Technologies, Inc. A search apparatus having a search result matrix display
US7487467B1 (en) * 2005-06-23 2009-02-03 Sun Microsystems, Inc. Visual representation and other effects for application management on a device with a small screen
CN101300621B (zh) * 2005-09-13 2010-11-10 时空3D公司 用于提供三维图形用户界面的系统和方法
KR100736078B1 (ko) * 2005-10-27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모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이를 제공하는 장치및 방법
US7725839B2 (en) * 2005-11-15 2010-05-25 Microsoft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active file explorer
US20070192319A1 (en) * 2006-01-27 2007-08-16 William Derek Finley Search engine application with ranking of results based on correlated data pertaining to the searcher
US8613018B2 (en) * 2006-02-17 2013-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US7880728B2 (en) * 2006-06-29 2011-02-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switching via a touch screen interface
US8869027B2 (en) * 2006-08-04 2014-10-21 Apple Inc. Management and generation of dashboards
KR100878535B1 (ko) * 2006-10-26 2009-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검색 장치 및 방법
WO2008056757A1 (fr) * 2006-11-10 2008-05-15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Toyohashi University Of Technology Procédé et système de recherche de modèle en trois dimensions et programme informatique
US8972898B2 (en) * 2007-02-06 2015-03-03 Novell Intellectual Properties, Inc. Techniques for representing and navigating information in three dimensions
US20080235629A1 (en) * 2007-03-23 2008-09-25 Mozes Incorporated Display of multi-sided user object information in networked computing environment
KR20080096134A (ko) * 2007-04-27 2008-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웹페이지 제어방법
US20090089692A1 (en) * 2007-09-28 2009-04-02 Morris Robert P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Information Relating To A Plurality Of Applications Using A Three Dimensional Object
US20090125801A1 (en) * 2007-11-10 2009-05-14 Cherif Atia Algreatly 3D windows system
KR101379337B1 (ko) * 2007-12-04 2014-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차원적 pip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기기 및 이를 적용한영상표시방법
CN101464771A (zh) * 2007-12-21 2009-06-24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信息处理装置和集成信息系统
US20090172571A1 (en) * 2007-12-28 2009-07-02 Nokia Corporation List based navigation for data items
JP5144293B2 (ja) * 2008-02-04 2013-02-13 株式会社プロフィールド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135331B2 (en) * 2008-04-07 2015-09-15 Philip J. Rosenthal Interface including graphic represent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search results
US20100050129A1 (en) * 2008-08-19 2010-02-25 Augusta Technology, Inc. 3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imultaneous Management Of Applications
US8046711B2 (en) * 2008-11-03 2011-10-25 W M Lucas Thomas Virtual cubic display template for search engine
US20100115471A1 (en) * 2008-11-04 2010-05-06 Apple Inc. Multidimensional widgets
US8132120B2 (en) * 2008-12-29 2012-03-0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Interface cube for mobile device
US8117564B2 (en) * 2009-04-10 2012-02-1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media guidance application with multiple perspective views
KR101841121B1 (ko) * 2011-02-17 2018-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128A (ko) * 2012-10-30 2014-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웹 브라우징 방법
KR101422208B1 (ko) * 2013-08-19 2014-07-24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터치 단말의 좌우 스크롤을 이용하는 유사 문서 검색 시스템 및 유사 문서 검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83078A1 (en) 201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6463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브라우징 방법
KR101078929B1 (ko) 단말기 및 그 인터넷 이용 방법
KR20100112003A (ko) 명령어 입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1005445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티티에스 음성 데이터 출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27306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3506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KR2010003027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객체 표시방법
KR20100019024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1004949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20100131605A (ko)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53811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1012785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1360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99828A (ko) 3차원 메뉴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1294306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0006225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20110020679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아이템 목록 로딩 방법
KR20130000280A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2532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20160196058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495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5418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0002961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00026362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방법
KR10128796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