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684B1 -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684B1
KR100755684B1 KR1020040062250A KR20040062250A KR100755684B1 KR 100755684 B1 KR100755684 B1 KR 100755684B1 KR 1020040062250 A KR1020040062250 A KR 1020040062250A KR 20040062250 A KR20040062250 A KR 20040062250A KR 100755684 B1 KR100755684 B1 KR 100755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hedron
component
motion
information
polyhedro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3606A (ko
Inventor
옥준호
김성우
이정봉
강현주
우주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2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684B1/ko
Priority to US11/196,449 priority patent/US7917868B2/en
Priority to EP05254863A priority patent/EP1624368A3/en
Priority to CNB2005100877777A priority patent/CN100334532C/zh
Publication of KR20060013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Motion Graphic User Interface; 이하 MGUI라 함)및 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다수의 면으로 구성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종속된 다수의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은, 소정의 속성을 가지고 그 속성에 따라 정보가 변형되어 표시되고, 면에 대한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로 분리되는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 제어 모듈에서 생성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대한 사용자의 작용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종속된 다수의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속성을 부여하고 속성에 따라 정보가 표시되는 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매핑하며, 입력 모듈에서 입력받은 사용자의 작용에 관한 데이터에 따라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을 처리하고 모션에 따라 정보 표시를 변화시키며, 다수의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로 구성된 그룹을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분리(Dividable) 다면체 컴포넌트

Description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Three dimensional motion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and apparutus for providing this user interface}
도 1은 종래의 PC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컴포넌트를 사용한 UI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구성요소인 분리 다면체 컴포넌트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는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면에 정보가 매핑(Mapping)되는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b는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면에 매핑(Mapping)되는 정보가 3차원 입체형 정보일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의 작용(Action)에 의해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이 발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가 분리되면서 정보를 보여주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Motion) 중 위치가 이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Motion) 중 크기가 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Motion) 중 회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Motion) 중 스프링 락(Spring Lock)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및 도 14는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Motion) 중 2 이상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로 분리되면서 정보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카메라 뷰(Camera View)의 움직임에 따라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이 발생하는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다수의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로 이루어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정보가 표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2는 다수의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로 이루어진 그룹을 배치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Motion Graphic User Interface; 이하 MGUI라 함)및 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한 작용(Action)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시각적 효과를 높이고 정보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디지털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라 함)는 PC 운영체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컴포넌트들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2차원 UI가 주류를 이루고 3차원 UI라 하더라도 정적이고 기존의 2차원 UI의 특징을 벗어나지 못한 것이 대부분이다.
도 1은 종래의 PC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이하 GUI 라 함) 컴포넌트를 사용한 UI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종래의 UI들은 2차원의 UI로서 평면적이고 정적이다. 따라서 UI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의 형태도 문서 중심이 되어 사용자의 감성을 만족시키기에는 부족하고 시각적으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종래의 GUI가 제공하는 컴포넌트에는 3차원 컴포넌트도 존재하나 아직까지 2차원의 개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인해 시각적으로는 3차원으로 보이지만 사용방식에서는 3차원의 장점이 많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모든 디지털 장치들에 PC 운영체제의 GUI가 적 합한 것이 아니고, 특히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감성을 만족시키고 엔터테인먼트의 기능을 제공하기에는 기존의 UI는 한계를 갖는다. 이에 여러 발명(예를 들면, 미국 등록 특허 6,344,863 "다양한 속도의 원근 이동을 하는 3차원 GUI 윈도우즈(Three-dimensional gui windows with variable-speed perspective movement)" 발명)이 제시되었으나 상술한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이에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지털 장치들을 위한 동적이고 실감나는 UI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3차원 컴포넌트를 이용하는 UI를 제공함으로써 직관적이고 사용자의 감성을 만족시키는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 의한 화면 전환에 있어서 화면 전환 전후의 사용자 인식의 단절이 없이 자연스러운 화면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3차원 GUI 환경에서 정보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연결시켜주어 사용자 인식의 오류를 줄여주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보를 여러 각도에서 바라보고 컨트롤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정보를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 다면체 컴포넌트 및 분리 이후의 다수의 컴포넌트를 이루고 있는 면들에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기존의 UI에 비하여 많은 양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다수의 면으로 구성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종속된 다수의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은, 소정의 속성을 가지고 속성에 따라 정보가 변형되어 표시되고, 면에 대한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는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로 분리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다수의 면으로 구성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종속된 다수의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은, 소정의 속성을 가지고 그 속성에 따라 정보가 변형되어 표시되고, 면에 대한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로 분리되는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 제어 모듈에서 생성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대한 사용자의 작용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종속된 다수의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속성을 부여하고 속성에 따라 정보가 표시되는 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매핑하며, 입력 모듈에서 입력받은 사용자의 작용에 관한 데이터에 따라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을 처리하고 모션에 따라 정보 표시를 변화시키며, 다수의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로 구성된 그룹을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 모듈을 포 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다수의 면으로 구성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종속된 다수의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은, 소정의 속성을 가지고 속성에 따라 정보가 변형되어 표시되고, 면에 대한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로 분리되는 제 1 다면체 컴포넌트가 사용자에 의해 접근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을 발생시키는 작용을 입력받는 단계; 및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이 일어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다수의 면으로 구성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종속된 다수의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은, 소정의 속성을 가지고 속성에 따라 정보가 변형되어 표시되고, 면에 대한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로 분리되는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로 이루어진 그룹 내에서 특정 제 1 다면체 컴포넌트가 선택되는 단계; 선택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가 강조되어 표시되는 단계; 선택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정보가 표시되는 면에 표시된 정보가 상세정보로 표시되는 단계; 및 선택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제외한 그룹내의 다른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들의 표시가 변화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GUI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MGUI는 3차원 환경과 모션 그래픽스(Motion Graphics)를 통하여 보다 동적인 GUI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UI 개념이다. MGUI 환경은 크게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된다.
1. MGUI 공간(space)
2. MGUI 컴포넌트(component)
3. MGUI 컴포넌트를 배치(Presentation)하는 방식
4. MGUI 카메라뷰(camera view)
5. MGUI 정보면과 정보 공간
MGUI 공간(200)은 MGUI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공간 영역으로 공간이 지정될 때 공간 종류의 특성에 따라 공간이 활성 공간(active space)(210)과 비활성 공간 (inactive space)(220)으로 나뉜다. UI를 디자인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은 활성 공간(210)이다. 활성 공간에 MGUI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컴포넌트(240)들을 배치시키려면 활성 공간 안에서 다시금 정보 공간(230)의 영역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 즉, 정보 공간(230)은 활성 공간 안에서 MGUI 컴포넌트들(240)이 실제 놓일 수 있는 영역이다.
MGUI 컴포넌트들(240)은 MGUI 환경에서 사용자와 상호작용(Interaction)을 하면서 정보를 제공하는 MGUI의 구성 객체를 의미한다. MGUI 컴포넌트는 하나 이상의 정보면을 포함하는데 MGUI 컴포넌트 및 컴포넌트의 구성요소와 정보면 및 정보 공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MGUI 컴포넌트를 배치(Presentation)하는 방식이란 정보 공간 속에서 한 개 이상의 컴포넌트들이 그룹으로 묶여 어떠한 방식으로 조작되고, 조작 과정에서 어떠한 모션이 일어나며 화면에 배열되는지를 정해주는 방식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6내지 도 22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카메라 뷰(Camera View)는 MGUI 안에서의 시점(Viewpoint)을 말한다. 시점의 이동은 곧 공간 안에서의 네비게이션(Navigation)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공간 전체적으로 모션이 발생하게 된다. MGUI의 카메라 뷰는 MGUI의 각 컴포넌트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모션 속성과 함께 MGUI 환경에서 모션을 일으키는 주된 요인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5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구성요소인 분리 다면체 컴포넌트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분리 다면체 컴포넌트는 다수의 면(310)과 모서리(320)와 꼭지점(330)으로 이루어진 다면체로서, 정보를 표시하는 2 이상의 다면체 컴포넌트로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분리 다면체 컴포넌트를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로, 분리된 후의 다면체 컴포넌트를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로 칭하기로 한다.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외관은 4개 이상의 면이 모여 이루어지는 입체도형으로서 사면체, 오면체, 육면체 등이 될 수 있다. 구(Sphere)도 무수히 많은 면으로 이루어진 다면체로 근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다면체 중 육면체를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면이 선택된 상태에서 분리 지시가 내려지면 제 1 다면체 컴포넌트가 그 면에 배정된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 세트(Set)(340)로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사용자에 의해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한 면이 포커스 되면 그 면에 지정된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을 보여주고 사용자의 분리지시에 따라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로 분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분리전에 지정된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을 미리 보여주지 않고 사용자의 분리지시에 따라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한 면이 포커스 되면 그 면에 지정된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을 미리 보여주고 사용자가 관심있는 제 2 다면체 컴포넌트(350)를 선택하면 선택된 부분만 분리될 수도 있다.
한 세트로 묶일 수 있는 컴포넌트는 3차원 MGUI 컴포넌트들이다. 한 세트로 묶일 수 있는 제 2 다면체 컴포넌트의 개수는 최소 2개이며 최대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각 면에 한 세트씩 배정될 수 있으므로 한 개의 제 1 N-면체 컴포넌트는 최대 N개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 세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두 개 이상의 면에 1개의 동일한 제 2 다면체 컴포넌트 세트를 배정할 수도 있다. 만약 어떤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든 면에 동일한 제 2 다면체 컴포넌트 세트를 배정시키면 이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는 항상 같은 제 2 다면체 컴포넌트 세트로 분리될 것이다.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는 다음과 같은 속성을 갖는다. 제 1 다면체에 대한 속성으로서 제 1 다면체의 식별자 및 크기를 갖고, 면에 관한 속성으로서 번호, 색상, 투명도, 정보면인지 여부를 포함한다. 또한 모서리에 대한 속성으로서 모서리의 색상을 포함한다. 이 외에 일정 면에 배정된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에 관한 정보,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가 분리될 방향, 그리고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의 분리 후 배치 및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보면이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이루는 다수의 면 중 정보가 표현될 수 있는 면을 의미한다. 정보면에 대한 설명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MGUI의 정보면은 기존의 GUI의 윈도우에 해당한다. MGUI에서 정보면은 MGUI 컴포넌트에 종속되어 있으며, MGUI 컴포넌트에 대한 종속은 다음의 2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첫째는 다면체를 구성하는 하나의 면으로 존재하는 것이고, 둘째는 다면체를 구성하는 면이 아닌 다면체와 분리된 가시화된 형태(예를 들어, 도 4a의 정보면(420))로 존재하는 것이다. 결국, 정보면이 MGUI 컴포넌트에 종속되어 있다 함은, MGUI의 다면체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면인지, 다면체를 구성하는 면과 분리된 형태인지에 상관없이 해당 정보면이 MGUI 컴포넌트와 연관되어 동작하고 정보를 표시하게 됨을 의미한다.
도 4a는 MGUI의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하나인 육면체의 6면이 모두 정보면 속성을 가지고 각종 정보를 보여주고 있는 모습(410)이다. 육면체 옆의 사각형(420)은 정보면이 마치 하나의 컴포넌트처럼 화면에 가시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 경우 정보면은 기존의 GUI의 윈도우와 유사하게 깊이(depth)가 없는 2차원 면으로 화면에 존재하고, 육면체 컴포넌트가 표시하는 정보가 변하거나 육면체가 동작하면 이와 연동되어 정보가 변하고 동작한다.
정보면에는 2D 비주얼 정보에 해당하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2차원 위젯(Widget)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3차원 아이콘과 같이 입체형 정보도 정보면에 표시 가능한데 이런 경우 입체형 정보(430)는 정보면 상에 부착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MGUI 컴포넌트의 속성에 따라 정보면이 정의된 경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부여된 속성 값에 따라 정보면에 정보가 표시되는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면이 정의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크기 값 또는 정보면의 크기 값에 따라 정보면에 표시되는 정보의 크기 또는 정보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디지털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장치란 디 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회로를 가진 장치로서, 컴퓨터, 프린터, 스캐너, 페이저, 디지털 카메라, 팩스, 디지털 복사기,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 핸드폰, 디지털 가전기기, 디지털 전화, 디지털 프로젝트, 홈서버,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TV 방송 수신기,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및 셋탑박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500)는 입력 모듈(510),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520), 제어 모듈(530), 출력 모듈(540), 저장 모듈(55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DB,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 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 모듈(530)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 및 분리 후의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 세트를 생성하며, 다른 모듈들을 연결하고 관리한다.
저장 모듈(550)은 제어 모듈(530)에 의해 생성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 및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를 저장한다.
입력 모듈(510)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대한 사용자의 작용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사용자의 작용이란 사용자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접근하거나, 특정 컴포넌트를 선택하거나, 컴포넌트의 특정 정보면 또는 정보면상의 특정 메뉴 등을 선택하거나, 컴포넌트를 동작시키는 행위를 모두 포함한다.
출력 모듈(54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52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520)에 관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520)은 제어 모듈(530)에서 생성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520)은 다시 컴포넌트 속성 부여 모듈(521), 모션 처리 모듈(522) 및 컴포넌트 그룹 관리 모듈(523)로 나뉘어진다.
컴포넌트 속성 부여 모듈(521)은 제어 모듈(530)에서 생성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도 3에서 상술한 속성을 부여하고, 그 속성에 따라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정보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매핑한다. 또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 또는 메뉴에 따라 지정된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로 분리되면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이 표시하는 정보를 결정하여 매핑한다.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면에 표시되는 정보와 제 2 다면체 컴포넌트에 표시되는 정보는 계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계층구조라 함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상위 정보 또는 간략 정보이면 제 2 다면체 컴포넌트에 표시되는 정보는 그에 대한 하위 정보 또는 상세 정보가 됨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하위 정보 또는 상세 정보인 경우, 제 2 다면체 컴포넌트에 표시되는 정보는 그에 대한 상위 정보 또는 상세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다면체 컴포넌트가 영화 메뉴를 나타내는 경우, 분리된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은 영화 메뉴에 속하는 각각의 영화들을 나타내거나 영화를 다루거나 조작하기 위해 필요한 메뉴(검색, 삭제, 연결 등) 또는 컨트롤러(재생, 정지, 잠시멈춤 등)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면에 표시되는 정보와 제 2 다면체 컴포넌트에 표시되는 정보가 아무런 관련성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정보 공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잘 사용되지 않는 관련성 없는 정보들을 하나의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로 묶어둘 수 있다.
모션 처리 모듈(522)은 입력 모듈(510)에서 입력받은 사용자의 작용에 관한 데이터에 따라 MGUI 공간 내에서의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을 처리하고, 컴포넌트 속성 부여 모듈(521)을 통하여 모션에 따라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정보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다시 매핑시킨다.
컴포넌트 그룹 관리 모듈(523)은 입력 모듈(51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 그룹 내의 특정 컴포넌트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받아 선택된 컴포넌트를 강조하는 처리를 하고, 컴포넌트 속성 부여 모듈(521)을 통하여 선택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정보면에 매핑되는 정보를 수정한다. 그룹 내의 선택되지 않은 다른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들의 표시를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520)은 그 기능에 따라 세부 모듈로 나누어지고, 이들에 의해 처리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데이터는 제어 모듈(530)을 거쳐 출력 모듈(540)에 의해 디스플레이된다.
도 7은 사용자의 작용(Action)에 의해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이 발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MGUI의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는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모션이 일어나는 동적인 3차원 UI 컴포넌트이다. 모션이 일어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접근(Access)하여(S710) 컴포넌트에 일정한 작용(Action)을 한다(S720). 사용자의 작용(Action)(S720)에 따라 컴포넌트의 정보면들에 표시되는 정보가 변하면서(S730) 컴포넌트의 모션이 일어난다(S740).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정보면들에 표시되는 정보의 변화 없이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이 발생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접근(Access)하는 단계(S710)는 MGUI 환경에서 관심있는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특정 컴포넌트에 접근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컴포넌트에 대한 접근은 마우스, 키보드, 키 패드, 터치 패드 등의 다양한 입력 수단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일정한 작용(Action)을 하는 단계(S720)는 컴포넌트의 정보면에 있는 특정 메뉴를 선택하거나, 컴포넌트의 특정 면을 선택함으로써 그 면에 지정된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로 분리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찾기 위하여 컴포넌트를 이동 또는 회전시키거나 크기를 변화시키는 등의 형태로 일어날 수 있다. 제 1 다면체 컴포넌트가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로 분리되면서 정보를 보여주는 과정은 도 8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컴포넌트를 분리하는 것, 특정 메뉴의 선택, 다면체 컴포넌트의 이동, 회전 등은 마우스, 키보드, 키 패드, 터치 패드 등의 다양한 입력 수단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메뉴의 선택은 키 패드 상의 선택 버튼을 클릭하고,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이동 또는 회전은 키 패드 상의 화살표 버튼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션을 발생시키고자 하는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특정하면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모션에 대한 메뉴가 팝업(Pop-Up)되어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컴포넌트에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접근 또는 사용자의 작용에 관한 데이터는 디지털 장치(500)의 입력 모듈(510)에 의해 제어 모듈(530)을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520)에 제공된다.
사용자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일정한 작용을 하면 그 작용에 따라 컴포넌트의 정보면들에 표시되는 정보가 바뀌거나, 분리된 제 2 다면체 컴포넌트가 나타내는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520)내의 컴포넌트 속성 부여 모듈(521)이 정보면 또는 분리된 제 2 다면체 컴포넌트에 매핑되는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작용 단계(S720)에서 특정 정보 면의 특정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 모듈(530)이 선택된 면 또는 선택된 메뉴에 지정된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컴포넌트 속성 부여 모듈(521)은 제 2 다면체 컴포넌트에 선택된 메뉴와 계층구조를 갖는 정보들을 매핑하고 그 결과를 출력 모듈(540)이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이 일어나는데 이는 사용자의 작용의 형태에 따라 다른 모션을 유발시킨다. 사용자의 작용에 따른 모션의 처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520)내의 모션 처리 모듈(522)에서 이루어진다. 모션 처리 모듈(522)은 모션에 따른 컴포넌트의 위치나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출력 모듈(54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8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가 분리되면서 정보를 보여주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접근(Access)(S810)하여 특정 면에 일정한 작용(S820)을 하면, 제 1 다면체 컴포넌트가 그 면에 지정된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로 분리되면서 각각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는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특정면이 표시하는 정보와 계층구조를 갖는 정보를 표시한다(S830). 한편, 분리된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은 미리 지정된 속성 정보에 따라 배치되고 동작한다(S840). 사용자가 분리된 제 2 다면체 컴포넌트가 표시하는 정보를 살펴본 후, 일정한 작용을 하면(S850), 분리되었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이 분리 전의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로 합체되면서 분리되기 전의 정보를 표시한다(S860).
사용자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접근(Access)하는 단계(S810)는 MGUI 환경 에서 관심있는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특정 컴포넌트에 접근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컴포넌트에 대한 접근은 마우스, 키보드, 키 패드, 터치 패드 등의 다양한 입력 수단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분리하기 위하여 접근된 컴포넌트의 특정 면에 사용자가 작용(S820)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관심있는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면을 선택하거나, 특정 정보면의 특정 메뉴를 선택하거나, 관심있는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접근 또는 사용자의 작용에 관한 데이터는 디지털 장치(500)의 입력 모듈(510)에 의해 제어 모듈(530)을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520)에 제공된다.
사용자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특정 면을 선택하거나 정보면 상의 특정 메뉴를 선택하거나, 관심있는 제 2 다면체 컴포넌트 부분을 선택(S820)하면,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는 선택된 면 또는 선택된 메뉴에 사전에 지정된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로 분리되거나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로부터 선택된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만이 분리되고, 제 2 다면체 컴포넌트 각각은 선택된 면 또는 선택된 메뉴가 나타내는 정보에 대한 계층구조를 갖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S830). 분리된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은 미리 지정된 속성에 따라 배치되고 동작(S840)하게 된다.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의 배치 및 동작은 컴포넌트 그룹 관리 모듈(523)에서 이루어진다.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는 다양한 MGUI 컴포넌트, 예를 들면, 정보를 표시하는 면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다면체 컴포넌트, 개폐가능한 면을 하나 이상 갖는 개폐 가능한 다면체 컴포넌트, 또는 분리 다면체 컴포넌트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 2 다면체 컴포넌트가 분리되는 방향을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한 속성으로 미리 지정할 수 있다.
분리 단계(S830) 및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의 배치 및 동작 단계(S840)의 상세한 수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특정 면에 대한 작용이 입력 모듈(510) 및 제어 모듈(530)을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520)에 전달되면, 컴포넌트 속성 부여 모듈(521)이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에 속성을 부여하고 분리 후 표시할 정보를 매핑한다. 한편, 모션 처리 모듈(522)이 사용자의 작용에 따른 분리 모션 및 미리 지정된 속성에 따라 분리 후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의 동작을 처리한다.
사용자가 분리된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에 작용을 하는 단계(S850)는 분리된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에 직접 명령을 내리거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을 가까이 근접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이 합체하는 단계(S860)는 계층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경우 하위에서 상위로 연쇄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즉 상위의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합체 명령을 내리면, 하위의 모든 분리 다면체 컴포넌트는 먼저 합체되고 하위의 모든 개폐가능한 다면체 컴포넌트는 개폐면이 닫힌 후에 자신들이 속한 상위의 분리 다면체 컴포넌트로 합체된다.
제 1 다면체 컴포넌트가 취할 수 있는 모션에는 이동, 크기의 변동, 회전, 스프링 락,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로의 분리 등이 있다. 이 때 모션의 기준이 되는 면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정면이나 사용자와 배향된 면이 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모션의 기준이 되는 면을 다양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션의 기준이 되는 면에 포인터를 두어 사용자가 그 포인터를 움직여 모션의 기준이 되는 면을 선택할 수도 있다. 각각의 모션에 대하여는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Motion) 중 위치가 이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이동은 사용자가 특정 컴포넌트를 선택한 후 다양한 입력 수단에 의하여 이동 후의 위치를 지정해 줌으로써 해당 위치로의 이동이 일어난다. 예를 들면, 입력 수단이 마우스인 경우 사용자가 이동시키고자 하는 컴포넌트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선택한 후 이동시킬 위치로 컴포넌트를 드래그(Drag)할 수 있다.
도 10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Motion) 중 크기가 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 하는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선택한 후 크기를 변화시킨다. 예를 들면, 입력 수단이 마우스인 경우 다면체의 꼭지점을 선택하여 드래그(Drag)하는 방식으로 다면체 컴포넌트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도 11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Motion) 중 회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육면체를 X축을 중심으로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보여주고 있 는데, 회전은 X축, Y축, 또는 Z축 뿐만 아니라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임의의 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Motion) 중 스프링 락(Spring Lock)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스프링 락(Spring Lock)이란 사용자의 작용에 의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각 만큼 회전이 되었다가 회전의 원인이 된 사용자의 작용이 해제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는 것을 말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회전된 상태에서 이를 유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특정 조작을 하면 원래 상태로 돌아가게 만들 수도 있다.
도 13및 도 14는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Motion) 중 2 이상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로 분리되면서 정보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하나의 분리 다면체 컴포넌트가 미리 지정된 방향에 따라 6개의 다면체 컴포넌트(1310, 1330), 1개의 분리 다면체 컴포넌트(1320), 및 1개의 개폐가능한 다면체 컴포넌트(1340)로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분리된 후의 각각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은 정보면으로 지정된 면에 해당하는 정보들을 나타내게 된다. 하위 다면체 컴포넌트(1310, 1330)는 해당 정보를 표시하면서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모션을 취할 수 있고, 하위 분리 다면체 컴포넌트(1320)는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다시 제 3 다면체 컴포넌트로 분리될 수 있으며, 하위 개폐가능한 다면체 컴포넌트(1340)는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개폐면이 열리면서 내부 공간에 담겨진 정보 객체들을 살펴볼 수 있다.
도 14는 분리 다면체 컴포넌트를 이용한 핸드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4의 이미지들은 분리 다면체 컴포넌트가 분리되면서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이 하위 메뉴를 표시하고 배치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Mobile Album"이라는 상위 메뉴를 표시하는 제 1 다면체 컴포넌트(1410)가 6개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로 분리되기 시작(1420)하면서 "Mobile Album"의 하위 메뉴인 "Photo Album", "Movie Album", "Music Album" 등을 표시(1430)한다. 분리된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들이 정렬되기 시작(1440)하고 미리 지정된 속성에 따라 공간상에 배치(1450)되게 된다.
분리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직접적인 작용에 의해 발생하나, MGUI 공간의 변화(활성 공간의 분할 방식 변동, 공간 축소, 공간 확대 등) 또는MGUI 공간에서의 시점(Viewpoint)인 카메라 뷰가 이동함에 따라 발생할 수도 있다.
도 15는 카메라 뷰가 왼쪽으로 회전함에 따라 MGUI 공간 내의 모든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들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외에 카메라 뷰가 줌-아웃(Zoom-out)되면 MGUI 공간 내의 모든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들이 축소되고, 카메라 뷰가 줌-인(Zoom-in)되면 MGUI 공간 내의 모든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들이 확대되어 보인다.
MGUI는 다수의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다수의 컴포넌트를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하여 UI상의 배치나 움직임에 통일성을 주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탐색하는데 효율적인 UI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다수의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로 이루어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정보가 표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 그룹내의 특정 컴포넌트를 선택(S1610)하면, 선택된 컴포넌트가 강조되어 표시(S1620)된다. 또한 선택된 컴포넌트의 정보면에 매핑된 정보가 상세정보로 표시(S1630)될 수 있다. 한편, 같은 그룹내의 다른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들의 표시가 변하게 된다(S1640).
사용자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 그룹 내의 특정 컴포넌트를 선택(S1610)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마우스, 키보드, 키패드, 터치패드 등의 다양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특정 컴포넌트에 접근하여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다양한 입력 수단을 이용해 특정 컴포넌트를 선택하면 입력 모듈(510)이 그 정보를 제어 모듈(530)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520) 내의 컴포넌트 그룹 관리 모듈(523)에 전달한다.
특정 제 1 다면체 컴포넌트가 선택되면 선택된 컴포넌트가 강조되어 표시(S1620)되는데, 이는 선택된 컴포넌트가 확대되거나 Z축 방향으로 사용자에게 가깝게 앞쪽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색상이 변하거나 모서리가 굵게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포커스를 표시하는 다양한 표시가 나타날 수도 있다. 특정 제 1 다면체 컴포넌트가 선택되면 컴포넌트의 정보면은 컴포넌트 속성 부여 모듈(521)에서 매핑되어 있던 개략적인 정보보다 더욱 상세한 정보를 표시(S1630)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컴포넌트가 강조되어 표시되는 것과 반대로 같은 그룹 내의 다른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들은 축소되거나 사용자로부터 멀어지거나 색상이 흐려짐으로써 선택된 컴포넌트를 강조하면서 정보의 연속성을 표시(S1640)하게 된다. 이 단계는 컴포넌트 그룹 관리 모듈(523) 및 컴포넌트 속성 부여 모듈(521)에서 이루어진다.
도 17 내지 도 22는 도 16에서 상술한 다수의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로 이루어진 그룹을 배치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크기에 변화를 주어 표현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중요한 정보와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배치 방법을 보여준다. 즉, Z축 방향으로 사용자에게 가까운 다면체의 정보가 중요한 정보이며 멀리있는 다면체의 정보가 중요하지 않은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Z축 방향으로 멀리있는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앞으로 당기면 확대되고 Z축 방향으로 가까이 있는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뒤로 밀면 축소될 수 있다. 이 때, 선택된 다면체(1710)가 확대되면서 충돌하는 주변의 다른 컴포넌트들은 축소되게 된다. 또한, 특정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선택하면 확대될 수 있다. 컴포넌트의 선택은 사용자의 포커스가 이동하거나, 사용자의 포커스는 고정된 채 컴포넌트들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가능하다.
도 18은 선택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1810)만 확대되고 다른 컴포넌트들은 점진적으로 작게 표현되어 정보들간의 자연스러운 연결성을 나타내는 배치 방법을 보여준다. 이 방법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들이 곡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원 또는 직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 다. 컴포넌트의 선택은 사용자의 포커스가 이동하거나, 사용자의 포커스는 고정된 채 컴포넌트들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가능하다.
도 19는 동일한 크기의 다수의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들을 격자모양으로 배치하고, 특정 컴포넌트가 선택되면 그 컴포넌트가 전체화면으로 확대되어 표시되는 배치 방법을 보여준다. 이 방법은 많은 양의 정보를 간략하게 한 화면상에 펼쳐보여주는 방식으로 더 상세한 정보를 알고 싶은 경우 해당 컴포넌트를 선택하여 확대하면 된다.
도 20은 정보가 표시된 여러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들을 동일한 크기로 한 줄로 펼쳐서 보여주거나 여러 컴포넌트들이 쌓여진 상태로 보여주는 배치 방법을 보여준다. 이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한 방향의 시선처리를 통해 일관성 있는 정보 검색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수단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특정 컴포넌트를 선택하면 선택된 컴포넌트의 윗면에 공간이 생성되어 더욱 상세한 정보를 보여준다. 컴포넌트의 선택은 사용자의 포커스가 이동하거나, 사용자의 포커스는 고정된 채 컴포넌트들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가능하다.
도 21은 다수의 컴포넌트들을 방사형으로 배치함으로써 정보의 트리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배치 방법을 보여준다. 사용자가 관심있는 정보가 표시된 컴포넌트를 선택하면 해당 컴포넌트가 확대되고 관련 정보들이 나열된다. 이때 주변의 선택되지 않은 컴포넌트들은 축소되거나 멀어진다.
도 22는 많은 양의 정보들이 뒤로 겹쳐져서 보여지고 현재 선택된 컴포넌트의 정보가 가장 앞에 위치하고 중요하지 않은 정보들은 뒤쪽에 위치하는 배치 방법 을 보여준다. 겹쳐져 있는 정보면 중 하나를 사용자가 꺼내보는 방식은 다음의 방식들이 가능한다.
첫째, 사용자가 지정한 정보면이 슬라이드 되면서 튀어 나오는 방식(2210)으로, 슬라이딩 되는 방향, 슬라이딩이 멈추는 시점과 위치 등은 UI의 디자인 단계에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둘째, 일반 책에서 페이지를 넘기는 것과 유사하게 사용자가 지정한 정보면의 앞에 있는 모든 정보면 들이 넘겨지는(flip) 방식(2220)으로 지정한 정보면이 보여진다. 셋째, 사용자가 지정한 정보면의 앞에 있는 모든 정보면들이 투명하게 바뀌는 방식(2230)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3차원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동적인 3차원 UI를 제공함으로써 직관적이고 사용자의 감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사용자에 의한 화면 전환에 있어서 화면 전환 전후의 사용자 인식의 단절이 없이 자연스러운 화면 전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셋째,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이나 다수의 컴포넌트들의 그룹을 여러 방법으로 배치함으로써 정보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연결시켜주어 사용자 인식의 오류를 줄여주는 장점도 있다.
넷째, 정보를 여러 각도에서 바라보고 컨트롤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정보를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다섯째, 다면체 컴포넌트를 이루고 있는 면들에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기존의 UI에 비하여 많은 양의 정보를 표시할 수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4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다수의 면으로 구성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종속된 다수의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은, 소정의 속성을 가지고 상기 속성에 따라 정보가 변형되어 표시되고,
    상기 면에 대한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로 분리되는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대한 사용자의 작용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종속된 다수의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상기 속성을 부여하고 상기 속성에 따라 상기 정보가 표시되는 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매핑하며, 상기 입력 모듈에서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의 작용에 관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을 처리하고 상기 모션에 따라 정보 표시를 변화시키며, 다수의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로 구성된 그룹을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속성은,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크기,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면의 색상, 면의 투명도, 면이 정보를 표시하는 면인지 여부, 면에 지정된 상기 제 2 다면체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 상기 제 2 다면체 컴포넌트의 배치 및 동작에 관한 정보, 상기 제 2 다면체 컴포넌트의 분리될 방향 또는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서리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이 개폐가능한 다면체 컴포넌트인,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면에 표시되는 정보와 상기 제 2 다면체 컴포넌트에 표시되는 정보는 계층구조를 가지는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0. 삭제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종속된 다수의 면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와 분리되어 구성되고, 상기 분리 구성된 면에 상기 정보가 표시되는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활성 공간 내에서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바라보는 시점에 의해서도 변형되어 표시되는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3차원으로 표시되는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4.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는 분리 후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로 합체되는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5.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는
    상기 사용자가 작용하는 면에 따라 다르게 지정되는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 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6.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는
    다수의 면으로 이루어진 다면체 컴포넌트인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7.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는
    상기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면에 대한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다수의 제 3 다면체 컴포넌트로 분리되는 컴포넌트인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8. 삭제
  2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는
    분리 후 각 분리된 상기 제 2 다면체 컴포넌트에 지정된 속성에 따라 각각 배치되고 동작되는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3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은
    상기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모션인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3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은
    상기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모션인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3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은
    상기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다수의 축(Axes)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모션인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3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은
    상기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다수의 축(Axes)에 대하여 회전시켰다가 회전 이전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모션인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34.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로 구성된 그룹의 관리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가 하나 이상의 동일한 속성을 포함하도록 하는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35. 다수의 면으로 구성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종속된 다수의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은,
    소정의 속성을 가지고 상기 속성에 따라 정보가 변형되어 표시되고,
    상기 면에 대한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로 분리되는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가 사용자에 의해 접근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을 발생시키는 작용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작용에 따라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션이 일어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속성은,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크기,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면의 색상, 면의 투명도, 면이 정보를 표시하는 면인지 여부, 면에 지정된 상기 제 2 다면체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 상기 제 2 다면체 컴포넌트의 배치 및 동작에 관한 정보, 상기 제 2 다면체 컴포넌트의 분리될 방향 또는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서리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이 개폐가능한 다면체 컴포넌트인,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면에 표시되는 정보와 상기 제 2 다면체 컴포넌트에 표시되는 정보는 계층구조를 가지는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7. 삭제
  38.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이 일어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가 사용자에 의한 작용을 받은 면에 지정된 상기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로 분리되는 단계; 및
    상기 분리 후 상기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가 사전지정된 속성에 따라 각각 배치되고 동작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는 분리 후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로 합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0.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은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모션인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1.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은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모션인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2.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은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다수의 축(Axes)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모션인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3.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은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다수의 축(Axes)에 대하여 회전시켰다가 회전 이전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모션인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4. 다수의 면으로 구성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에 종속된 다수의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은,
    소정의 속성을 가지고 상기 속성에 따라 정보가 변형되어 표시되고,
    상기 면에 대한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다수의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로 분리되는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로 이루어진 그룹 내에서 특정 제 1 다면체 컴포넌트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가 강조되어 표시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상기 정보가 표시되는 면에 표시된 정보가 상세정보로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를 제외한 상기 그룹내의 다른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들의 표시가 변화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속성은,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크기,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면의 색상, 면의 투명도, 면이 정보를 표시하는 면인지 여부, 면에 지정된 상기 제 2 다면체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 상기 제 2 다면체 컴포넌트의 배치 및 동작에 관한 정보, 상기 제 2 다면체 컴포넌트의 분리될 방향 또는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모서리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다면체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이 개폐가능한 다면체 컴포넌트인,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내의 하나의 제 1 다면체 컴포넌트가 이동하면 상기 그룹 내의 다 른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도 연속적으로 함께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6.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강조되어 표시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의 위치가 사용자에게 가까워지거나, 크기가 확대되거나, 색상이 변하거나, 모서리가 굵게 표시되거나, 포커스를 나타내는 표시가 나타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7.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들의 표시가 변화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들의 위치가 사용자로부터 멀어지거나, 크기가 축소되거나, 색상이 흐려지거나, 모서리가 얇게 표시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8.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내의 상기 제 1 다면체 컴포넌트들은
    트리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선택된 제 1 다면체 컴포넌트가 확대되면서 관련 정보가 트리구조로 확장되어 표시되는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9. 제35항 내지 제36항 및 제38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40062250A 2004-08-07 2004-08-07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100755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250A KR100755684B1 (ko) 2004-08-07 2004-08-07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US11/196,449 US7917868B2 (en) 2004-08-07 2005-08-04 Three-dimensional motion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e same
EP05254863A EP1624368A3 (en) 2004-08-07 2005-08-04 Three-dimensional motion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e same
CNB2005100877777A CN100334532C (zh) 2004-08-07 2005-08-08 三维运动图形用户界面以及提供该界面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250A KR100755684B1 (ko) 2004-08-07 2004-08-07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606A KR20060013606A (ko) 2006-02-13
KR100755684B1 true KR100755684B1 (ko) 2007-09-05

Family

ID=35094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250A KR100755684B1 (ko) 2004-08-07 2004-08-07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17868B2 (ko)
EP (1) EP1624368A3 (ko)
KR (1) KR100755684B1 (ko)
CN (1) CN100334532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0816A3 (en) * 2010-01-21 2011-10-27 Sony Corporation Three or higher 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reface for tv menu and document navig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9786B2 (en) * 2005-05-25 2012-05-29 Zenith Electronics Llc Encryption system
US7509588B2 (en)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KR100823272B1 (ko) * 2006-06-26 2008-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메뉴 표시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수행하는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313505B2 (en) 2006-09-06 2019-06-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widgets
US8519964B2 (en) 2007-01-07 2013-08-27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US8619038B2 (en)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KR101379337B1 (ko) * 2007-12-04 2014-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차원적 pip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기기 및 이를 적용한영상표시방법
CN101464771A (zh) * 2007-12-21 2009-06-24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信息处理装置和集成信息系统
CN101464861A (zh) * 2007-12-21 2009-06-24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医学图像信息管理系统及程序产品
US20090187862A1 (en) * 2008-01-22 2009-07-2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tuitive browsing of content
CN101943988B (zh) * 2009-07-09 2013-04-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用户界面自动调整系统及方法
KR20110036463A (ko) * 2009-10-01 2011-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브라우징 방법
US10007393B2 (en) * 2010-01-19 2018-06-26 Apple Inc. 3D view of file structure
KR101036280B1 (ko) * 2010-01-26 2011-05-23 광주과학기술원 수동 조작 도구를 이용한 3차원 메뉴 시스템
KR101126394B1 (ko) * 2010-01-29 2012-03-28 주식회사 팬택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US10788976B2 (en) 2010-04-07 2020-09-2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with multiple pages
US8423911B2 (en) 2010-04-07 2013-04-1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US8565830B2 (en) 2010-05-12 2013-10-2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3D images thereon
CN101924892B (zh) * 2010-08-20 2013-03-20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数字电视接收终端的菜单展示方法、系统及接收终端
CN102024247B (zh) * 2010-10-09 2012-07-18 宁波新然电子信息科技发展有限公司 用于实现新老显示界面切换的控制方法
CN101968713B (zh) * 2010-10-09 2012-07-25 宁波新然电子信息科技发展有限公司 显示界面三维切换控制方法
FR2969332A1 (fr) * 2010-12-21 2012-06-22 France Telecom Traitement perfectionne de donnees d'interface graphique.
TW201229821A (en) * 2011-01-10 2012-07-16 Compal Electron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simulating three-dimensional operating interface
US20120272180A1 (en) * 2011-04-20 2012-10-2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flipping based on a scrolling operation
US20130263059A1 (en) * 2012-03-28 2013-10-03 Innovative Icroms, S.L.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d displaying mutlimedia contents
US9098516B2 (en) * 2012-07-18 2015-08-04 DS Zodiac, Inc. Multi-dimensional file system
US11237695B2 (en) * 2012-10-12 2022-02-01 Sling Media L.L.C. EPG menu with a projected 3D image
KR20140133353A (ko) * 2013-05-10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KR101803311B1 (ko) * 2013-05-10 201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AU2013404001B2 (en) 2013-10-30 2017-11-30 Apple Inc. Displaying relevant user interface objects
JP6330348B2 (ja) * 2014-01-30 2018-05-30 ティア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10007399B2 (en) * 2015-05-06 2018-06-2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Information block user interface
DK201670595A1 (en)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1816325B2 (en) 2016-06-12 2023-11-14 Apple Inc. Application shortcuts for carplay
US10509612B2 (en) 2017-08-10 2019-12-17 Td Ameritrade Ip Company, Inc.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system
US11675476B2 (en) 2019-05-05 2023-06-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idgets
USD959447S1 (en) 2019-12-20 2022-08-02 Sap Se Display system or portion thereof with a virtual three-dimensional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59476S1 (en) 2019-12-20 2022-08-02 Sap Se Display system or portion thereof with a virtual three-dimensional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59477S1 (en) 2019-12-20 2022-08-02 Sap Se Display system or portion thereof with a virtual three-dimensional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205296B2 (en) * 2019-12-20 2021-12-21 Sap Se 3D data exploration using interactive cuboids
US11983382B2 (en) * 2022-06-13 2024-05-14 Illusci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menus and toolbars to control computer oper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9644A2 (en) 1999-10-20 2001-04-26 Gateway, Inc. Simulated three-dimensional navigational menu system
JP2002175139A (ja) 2000-12-07 2002-06-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メニュー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3077004A (ja) 2001-06-29 2003-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3次元の静止した又は動くオブジェクトの階層イメージベース表現並びに該表現をオブジェクトのレンダリングに使用する方法及び装置
KR20040022638A (ko) * 2002-09-09 2004-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뉴 구성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2009B1 (fr) * 1990-05-09 1996-03-08 Apple Computer Icone manupulable a faces multiples pour affichage sur ordinateur.
US5148154A (en) * 1990-12-04 1992-09-15 Sony Corporation Of America Multi-dimensional user interface
US5602564A (en) * 1991-11-14 1997-02-11 Hitachi, Ltd. Graphic data processing system
US5528735A (en) * 1993-03-23 1996-06-18 Silicon Graph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ta within a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landscape
DE69534331T2 (de) * 1994-07-28 2006-01-12 Xerox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vorhebung der Einzelheit einer Baumstruktur
JPH0863326A (ja) * 1994-08-22 1996-03-08 Hitachi Ltd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H0863324A (ja) 1994-08-25 1996-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管理方式及びアイコン表示装置
US5515486A (en) * 1994-12-16 1996-05-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memory for directing a computer system to display a multi-axis rotatable, polyhedral-shape panel container having front panels for displaying objects
GB9606791D0 (en) * 1996-03-29 1996-06-05 British Telecomm Control interface
US5918232A (en) * 1997-11-26 1999-06-29 Whitelight Systems, Inc. Multidimensional domain modeling method and system
US6157383A (en) * 1998-06-29 2000-12-05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 polyhedra for a three-dimensional (3D) user interface
US6621509B1 (en) * 1999-01-08 2003-09-16 Ati International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three 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GB2354920A (en) * 1999-07-08 2001-04-04 Gordon Ross A multi-dimensional human computer interface using information categorisation and visualisation
US6344863B1 (en) 1999-11-24 2002-0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GUI windows with variable-speed perspective movement
US6636246B1 (en) * 2000-03-17 2003-10-21 Vizible.Com Inc. Three dimensional spatial user interface
US6334863B1 (en) * 2000-03-22 2002-01-01 Rusch, Inc.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an insertion medical device
KR100434851B1 (ko) 2001-01-31 2004-06-07 (주)우리랑월드 가상 다면체를 이용한 전자 문서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030001904A1 (en) * 2001-05-25 2003-01-02 Rosen Jon C. Multidimensional multimedia player and authoring tool
US6976228B2 (en) * 2001-06-27 2005-12-13 Nokia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comprising intersecting scroll bar for selection of content
US6907579B2 (en) * 2001-10-30 2005-06-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 three-dimensional graphical environment
US7043701B2 (en) * 2002-01-07 2006-05-09 Xerox Corporation Opacity desktop with depth perception
US7007242B2 (en) * 2002-02-20 2006-02-28 Nokia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GB2393624A (en) * 2002-05-22 2004-03-31 Gordon Ross Three-dimensional database
US7089266B2 (en) * 2003-06-02 2006-08-0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r. University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the query and visualization of multidimensional databas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9644A2 (en) 1999-10-20 2001-04-26 Gateway, Inc. Simulated three-dimensional navigational menu system
JP2002175139A (ja) 2000-12-07 2002-06-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メニュー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3077004A (ja) 2001-06-29 2003-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3次元の静止した又は動くオブジェクトの階層イメージベース表現並びに該表現をオブジェクトのレンダリングに使用する方法及び装置
KR20040022638A (ko) * 2002-09-09 2004-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뉴 구성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0816A3 (en) * 2010-01-21 2011-10-27 Sony Corporation Three or higher 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reface for tv menu and document navig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31874A1 (en) 2006-02-09
KR20060013606A (ko) 2006-02-13
EP1624368A2 (en) 2006-02-08
US7917868B2 (en) 2011-03-29
EP1624368A3 (en) 2012-04-04
CN100334532C (zh) 2007-08-29
CN1731333A (zh) 2006-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684B1 (ko)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100643276B1 (ko)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100608589B1 (ko)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100736078B1 (ko) 3차원 모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이를 제공하는 장치및 방법
KR100631763B1 (ko)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100679039B1 (ko)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이를 제공하는 장치 및방법
KR100746008B1 (ko) 3차원 모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이를 제공하는 장치및 방법
US7675514B2 (en) Three-dimensional object display apparatus, three-dimensional object switching display method, three-dimensional object display progra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03518681A (ja) 3d画像「ナビゲーション3d」の操作による3d画像の合成における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2016514875A (ja) 切替えリストの相互作用
KR100703813B1 (ko) 3차원 모션 다이얼을 이용한 메뉴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60014874A (ko)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EP1621988A2 (en) Three-Dimensional Motion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e same.
KR100562908B1 (ko)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방법
KR100714718B1 (ko)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Peuhkurinen et al. Using RDF data as basis for 3D Window management in mobi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