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4075A -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4075A
KR20070074075A KR1020060001765A KR20060001765A KR20070074075A KR 20070074075 A KR20070074075 A KR 20070074075A KR 1020060001765 A KR1020060001765 A KR 1020060001765A KR 20060001765 A KR20060001765 A KR 20060001765A KR 20070074075 A KR20070074075 A KR 20070074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mmand
home
network system
electronic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7497B1 (ko
Inventor
양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1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497B1/ko
Priority to EP06126618A priority patent/EP1816551A3/en
Priority to CNA2006101727343A priority patent/CN1996413A/zh
Priority to US11/649,127 priority patent/US20070200658A1/en
Publication of KR20070074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2Domotique, domestic, home control, automation, smart ho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는 키 입력부;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 식별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동작의 종류에 의거하여 대응된 명령어를 생성하는 명령어 생성부; 및 상기 전자기기들과 연결된 홈-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명령어 생성부에서 생성된 명령어를 상기 홈-서버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전달 장치를 통해 특정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과정; 상기 전달 장치가 동작 인식 모드임을 인식하는 과정; 상기 전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는 과정; 상기 전달 장치에 행해지는 동작을 인식하는 과정; 상기 동작 인식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명령이 수행되어야 할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과정; 상기 동작 인식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판단된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된 전자기기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홈-네트워크, 전자기기, 동작 인식, 리모콘, 제어

Description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COMMAND IN HOME NETWORK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장치에서 전자기기의 위치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전자기기에게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정에서는 PC(Personal Computer) 등의 정보기기, 전화 등의 통신 기기, TV(Television) 등의 방송 기기, DVD(Digital Video Disc) 플레이어나 디지털 카메라 등을 포함한 AV(Audio and Video) 기기, 가전기기 등과 같은 각종 기기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기들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해 ‘홈-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이 제안되었고 현재 상용화 단계에 이르렀다.
상기 ‘홈-오토메이션’은 초기에 전화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가전기기들을 별도로 제어하는 수준이었다. 즉 초기의 ‘홈-오토메이션’은 각 가전기기들 간에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가전 기기들 간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두어 통합/관리하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전 기기들을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통합/관리 하는 시스템을 ‘홈-네트워크 시스템’이라 한다.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홈-게이트웨이(home gateway) 또는 홈-서버(home server)와 같은 제어기에 각종 네트워크 가전기기(예컨대, TV, 세탁기, 전자레인지, 가스레인지, 오디오, 에어컨, 보일러 등), 조명, 가스 밸브 및 현관문 등을 연결하고 특정 단말기(예컨대, 리모콘 등, 이하, ‘리모콘’이라 칭함)를 통해 상기 기기들을 제어한다.
즉,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된 특정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리모콘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전달하면 상기 제어기는 그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해당 기기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리모콘에 구비된 각종 버튼을 눌러서 원하는 메뉴를 검색하고 원하는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이러한 종래의 제어명령 전달방식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된 기기들의 숫자가 많아질수록 복잡해지고 어려워진다. 특히, 상기 기기들 사이에 연동된 동작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그 제어 절차가 더욱 복잡하였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전자기기(이하 ‘제1 전자기기’라 칭함)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다른 기기(이하 ‘제2 전자기기’라 칭함)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기기 선택 메뉴를 띄운다. 그리고 기기 선택 메뉴에서 ‘제1 전자기기’를 선택한 후 ‘제1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 선택 메뉴를 다시 띄운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상기 제어 명령 선택 메뉴로부터 ‘제1 전자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2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선택한 후 전송할 데이터를 선택한다. 마지막으로 전송 명령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된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 기기 선택 메뉴와 해당 기기의 제어 명령 선택 메뉴를 순차적으로 제어기의 화면에 띄운 후 원하는 제어 명령을 선택하여 전달하여야 했다.
따라서 종래에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된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 최소한 2번의 메뉴 선택 과정을 수행하여야만 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방식은 그 절차가 복잡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했다. 특히 기기별 제어 명령을 찾아가기 위해 여러 단계의 메뉴를 거쳐야 하므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명령이 어디에 있는지 조차 알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작 기반의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장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된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 상기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 식별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동작의 종류에 의거하여 대응된 명령어를 생성하는 명령어 생성부; 및 상기 전자기기들과 연결된 홈-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명령어 생성부에서 생성된 명령어를 상기 홈-서버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장치는 상기 위치 식별부의 위치 식별 결과와 상기 센서부의 동작 감지 결과를 상기 홈-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위치 식별 결과 및 동작 감지 결과에 의해 제어 명령 수행 대상으로 결정된 전자기기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인터페이스부에게 상기 명령어가 전달될 전자기기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전자기기들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관리 데이터베이스; 상기 센서 부에서 감지된 동작 정보와 상기 위치 식별부에서 감지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명령이 전달되어야 할 전자기기를 판단하는 전자기기 판단부; 및 상기 전자기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전자기기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는 사용자의 동작 인식을 개시하도록 하는 동작 인식키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동작의 세기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및 동작의 방향을 감지하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전자기기의 절대 위치 정보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 식별부는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구비된 건물 내에 위치한 각종 센서들로부터 신호를 감지하고 그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거나, RFID 식별 태그를 장착한 후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구비된 건물 내에 위치한 리더기에서 인식한 결과를 전달받아서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거나, 전파 발생부를 포함하고, 그 전파 발생부에서 지속적으로 무선 전파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 판단부는 상기 단말 위치 식별부에서 식별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어떤 방향으로 동작이 행해졌는지를 판단하고, 그 동작이 행해진 위치 정보를 예측한 후 상기 위치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된 전자기기 정보를 검출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방법은 상기 전달 장치를 통해 특정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과정; 상기 전달 장치가 동작 인식 모드임을 인식하는 동작모드인식 과정; 상기 전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식별 과정; 상기 전달 장치에 행해지는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 인식 과정; 상기 동작 인식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명령이 수행되어야 할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전자기기 식별 과정; 상기 동작 인식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명령 생성 과정; 및 상기 판단된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명령 전달 과정을 포함한다.
이 때, 전자기기 식별 과정은 상기 위치 식별 과정에서 식별된 전달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어떤 방향으로 동작이 행해졌는지를 판단하고, 그 동작이 행해진 위치 정보를 예측한 후 상기 위치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된 전자기기 정보를 검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 전달 과정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LAN) 및 적외선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한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이하, ‘제어 명령 전달 장치’라 칭함)는 키 입력부(110), 센서부(120), 메모리부(130), 전자기기 위치 관리 DB(140), 단말위치 식별부(150), 전자기기 판단부(160), 명령어 생성부(170), 제어부(180) 및 인터페이스부(190)를 포함한다.
키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한다. 이를 위해 키 입력부(110)는 다양한 형태의 키 버튼들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키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동작인식을 개시하도록 하는 ‘동작 인식키’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해당키가 눌린 상태에서 상기 동작을 제어 명령 전달 장치에 행해지는 특정 동작에 대해 이를 명령으로 인식하게 하는 ‘동작 인식키’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120)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즉, 센서부(120)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특히 센서부(120)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120)는 ‘가속도 센서’와 ‘지자기 센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가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를 어느 정도의 세기로 움직였는지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특히 ‘가속도 센서’가 ‘3축 가속도계’인 경우 3차원 공간에서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가 움직이는 방향과 정도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는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가 단방향으로 움직였는지 왕복운동을 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한다.
한편, ‘지자기 센서’는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의 방향을 감지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즉 ‘지자기 센서’는 절대 방위를 기준으로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가 어느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메모리부(130)는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들(예컨대, 시스템 구동 제어를 위한 구동 프로그램,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부(130)는 동작인식을 통해 감지된 동작에 해당하는 명령을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전자기기 위치 관리 데이터베이스(DB:Database)(14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전자기기 위치 관리 DB(140)는 전자기기의 절대 위치 정보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전자 기기 위치 관리 DB(140)는 전자기기의 위치를 보다 정확히 관리하기 위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비된 건물의 평면도를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즉 전자기기 위치 관리 DB(140)는 건물의 평면도와 그 평면도 상에서의 전자기기의 위치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단말 위치 식별부(150)는 단말의 위치를 식별한다. 즉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가 동작 인식에 의해 동작할 경우 그 동작 방향에 따른 전자기기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의 절대 위치 정보를 식별한다. 만약 전자기기 위치 관리 DB(140)에 해당 건물의 평면도가 저장된 경우 단말 위치 식별부 (150)는 상기 평면도 상에서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의 위치를 식별한다. 이를 위해 단말 위치 식별부(150)는 가정 내에 위치한 각종 센서를 이용하거나, 단말 위치 식별부(150)에 RFID 식별 태그를 장착한 후 가정 내 곳곳에 위치한 리더기에서 상기 RFID 식별 태그를 인식하거나, 단말 위치 식별부(150)에서 지속적인 무선 전파를 발신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전자기기 판단부(160)는 단말 위치 식별부(150)에서 식별된 단말의 위치 정보와 센서부(120)에서 감지된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의 동작 방향에 의거하여 제어 명령이 수행되어야 할 전자기기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전자기기 판단부(160)는 단말 위치 식별부(150)에서 식별된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어떤 방향으로 동작이 행해졌는지를 판단하고, 동작이 행해진 위치 정보를 예측한다. 그리고 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기기 위치 관리 DB(140)로부터 대응된 전자기기 정보를 검출한다.
명령어 생성부(170)는 센서부(120)에서 감지된 동작의 종류에 의거하여 대응된 명령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동작의 종류가 ‘단방향’인 경우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에 저장된 데이터(예컨대, 컨텐츠 등)를 전자기기 판단부(160)에서 판단된 전자기기로 전달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생성하고, 동작의 종류가 ‘왕복’인 경우 전자기기 판단부(160)에서 판단된 전자기기로부터 특정 데이터(예컨대, 전자 사진 정보 등)를 읽어오도록 하는 명령어를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동작의 종류에 대응된 명령어가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경우 명령어 생성부(170)는 메모리부(130)로부터 대응된 명령어를 검출함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80)는 키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 신호 또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 정보에 의거하여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80)는 키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각종 전자 기기가 연결된 제어기(예컨대, '홈-서버', '홈-게이트웨이'등, 이하 '홈-서버'라 칭함)를 통해 특정 전자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달하도록 인터페이스부(190)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키 입력부(110)의 ‘동작 인식키’의 눌림에 응답하여 센서부(120)로부터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에 행해진 동작 정보를 전달받아 단말 위치 식별부(150), 전자기기 판단부(160) 및 명령어 생성부(170)의 동작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인터페이스부(190)는 홈-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특정 전자 기기로의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또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된 각종 전자 기기들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홈-서버에 저장된 각종 컨텐츠(예컨대, 영화, 음악, 사진 및 문서 등)를 수신하기도 한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90)는 다양한 종류의 근거리 무선 통신(예컨대, ZigBee, Bluetooth, WLAN, 적외선 통신 등) 방식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인터페이스부(190)는 상기 홈 서버와 연결된 전자 기기와 직접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는 내부에 저장된 각종 명령과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에 저장된 각종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는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각종 컨텐츠 정보를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전자기기 위치 관리 DB(140) 및 전자기기 판단부(160)는 홈-서버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제어명령 전달장치(100)의 위치 정보와 동작 인식 결과(예컨대, 동작 방향)를 홈-서버에게 전달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 및 동작 인식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 명령 수행 대상으로 결정된 전자기기 정보를 홈-서버로부터 전달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전자기기의 위치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예컨대, 전자기기 위치 관리 DB(140))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기기 위치 관리 DB(140)는 식별정보(141)/전자기기명(142)/위치정보(145) 필드를 포함한다.
식별정보 필드(141)는 전자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전자기기명 필드(142)는 해당 전자기기 명(예컨대, 텔레비전, 세탁기 등)를 저장하고, 위치정보 필드(145)는 해당 전자기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위치정보 필드(145)는 해당 전자기기가 구비된 건물의 평면도 상에서의 위치 정보 또는 절대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전자기기 위치 관리 DB(140)는 제어 명령 전달장치(100) 및 홈 서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 명령 전달장치(100) 또는 홈-서버에 저장된 특정 데이터(각종 컨텐츠 등)가 선택된 상태에서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가 동작 인식모드로 동작 중이면(S105), 즉 키 입력부(110)에 포함된 ‘동작 인식키'가 선택되었으면 제어부(180)는 이를 인식하고 단말 위치 식별부(150)를 통해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의 위치를 파악한다(S110). 이 때 상기 특정 데이터의 선택은 제어 명령 전달장치(100) 또는 홈-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어 명령 전달장치(100) 또는 홈-서버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된 데이터 목록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는 가정 내에 위치한 각종 센서를 이용하거나, RFID 식별 태그를 장착한 후 가정 내 곳곳에 위치한 리더기에서 상기 RFID 식별 태그를 인식하거나, 지속적인 무선 전파를 발신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센서부(120)를 통해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에 행해진 동작이 감지되면(S115) 전자기기 판단부(160)를 통해 상기 동작 방향에 위치한 전자기기를 판단한 후(S120), 해당 전자기기를 기동시킨다(S125).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전자기기 판단부(160)로부터 동작 대상 전자기기 정보를 전달받고 명령어 생성부(170)를 제어하여 상기 전자기기를 기동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생성한 후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홈-서버로 상기 명령어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과정(S120)은 상기 과정(S110)에서 감지된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의 위치 정보와 상기 과정(S115)에서 감지된 동작 방향을 기준으로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평면도상 어느 위치에 있으며 주변의 전자 장비 중에 어떤 장비를 향해 동작을 수행했는지를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기기 위치 관리 DB(140) 및 전자기기 판단부(160)가 홈-서버에 저장된 경우 상기 과정(S120)은 홈-서버에서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과정(S115)은 센서부(120)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을 감지하여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가 어느 정도의 속도로 움직였는지를 감지하고, ‘지자기 센서’의 출력값을 감지하여 그 움직임의 방향이 절대 방위 중에 어떤 방향인지를 감지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가속도 센서’가 ‘3축 가속도 센서’인 경우 상기 과정(S115)은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가 3차원 공간 상에서 어느 방향으로 움직였는지를 감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과정(S115)은 동작 오류를 줄이기 위해 감지된 동작 범위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동작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80)는 센서부(120)로부터 전달된 동작 종류를 파악하여(S130) 동작 종류가 ‘단방향’이면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 또는 홈-서버에 기 저장된 특정 데이터(예컨대, 컨텐츠 정보 등)를 상기 과정(S120)에서 판단된 전자기기로 전달한다(S135). 그리고 그 전달된 데이터를 상기 전자기기에 적용하도록 하는 명령을 전달한다(S140). 예를 들어 상기 판단된 전자기기가 ‘TV’이고,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에 ‘특정 동영상’이 저장된 경우 상기 과정(S135)에서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는 상기 '특정 동영상'을 ‘TV'로 전달하고, 상기 과정(S140)에서 그 동영상을‘TV’에서 플레이하도록 하는 명령을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에 기 저장된 특정 컨텐츠 정보(예컨대, 영화 등)를 선택하는 과정이 선행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에 ‘단방향’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의 예로서, 사용자가 키 입력부(110)의 ‘동작 인식키’를 누른 상태에서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를 상기 전자기기 방향으로 던지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 동작 종류가 ‘왕복’이면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는 상기 과정(S120)에서 판단된 전자기기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홈-서버를 통해 읽어온다(S145). 그리고 그 특정 데이터를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에 저장한다(S150). 예를 들어 상기 판단된 전자기기가 ‘전자 액자’이고, ‘전자 액자’에 특정 그림 파일이 표시 중이라면 상기 과정(S145)에서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는 홈-서버로부터 상기 그림 파일을 읽어오고, 상기 과정(S150)에서 상기 특정 그림 파일을 내부에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가 상기 특정 그림 파일을 홈-서버로부터 읽어오는 것은, 상기 그림 파일이 전자 액자에 표시 중이기는 하나 실질적으로 데이터 파일은 홈-서버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에 ‘왕복’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의 예로서, 사용자가 키 입력부(110)의 ‘동작 인식키’를 누른 상태에서 제어 명령 전달 장치(100)를 상기 전자기기 방향으로부터 끌어오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방식은 홈-네트워크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장치(예컨대, 리모콘 등)에 행해진 동작을 인식하여 대응된 제어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된 전자 기기들 각각으로의 제어 명령 전달이 용이하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된 전자기기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6)

  1.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에 있어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된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
    상기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 식별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동작의 종류에 의거하여 대응된 명령어를 생성하는 명령어 생성부; 및
    상기 전자기기들과 연결된 홈-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명령어 생성부에서 생성된 명령어를 상기 홈-서버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식별부의 위치 식별 결과와 상기 센서부의 동작 감지 결과를 상기 홈-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위치 식별 결과 및 동작 감지 결과에 의해 제어 명령 수행 대상으로 결정된 전자기기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인터페이스부에게 상기 명령어가 전달될 전자기기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 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들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관리 데이터베이스;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동작 정보와 상기 위치 식별부에서 감지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명령이 전달되어야 할 전자기기를 판단하는 전자기기 판단부; 및
    상기 전자기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전자기기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는
    사용자의 동작 인식을 개시하도록 하는 동작 인식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동작의 세기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및
    동작의 방향을 감지하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는
    3차원 공간에서 동작의 방향 및 정도를 감지하는 3축 가속도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전자기기의 절대 위치 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구비된 건물의 평면도와 그 평면도 상에서의 전자기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식별부는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구비된 건물 내에 위치한 각종 센서들로부터 신호를 감지하고 그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식별부는
    RFID 식별 태그를 장착한 후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구비된 건물 내에 위치한 리더기에서 인식한 결과를 전달받아서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식별부는
    전파 발생부를 포함하고, 그 전파 발생부에서 지속적으로 무선 전파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판단부는
    상기 단말 위치 식별부에서 식별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어떤 방향으로 동작이 행해졌는지를 판단하고, 그 동작이 행해진 위치 정보를 예측한 후 상기 위치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된 전자기기 정보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생성부는
    동작의 종류가 ‘단방향’인 경우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전자기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전자기기로 전달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생성부는
    동작의 종류가 ‘왕복’인 경우 상기 전자기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전자기기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읽어오도록 하는 명령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동작에 대응된 제어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 생성부는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동작에 대응된 제어 명령을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LAN) 및 적외선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는
    내부에 저장된 각종 명령,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장치의 동작 상태 및 내부에 저장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장치.
  18.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전달 장치의 제어 명령 전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달 장치를 통해 특정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과정;
    상기 전달 장치가 동작 인식 모드임을 인식하는 동작모드인식 과정;
    상기 전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식별 과정;
    상기 전달 장치에 행해지는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 인식 과정;
    상기 동작 인식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명령이 수행되어야 할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전자기기 식별 과정;
    상기 동작 인식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명령 생성과정; 및
    상기 판단된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명령 전달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인식 과정은
    상기 전달 장치에 구비된 동작 인식키의 조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식별 과정은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구비된 건물 내에 위치한 각종 센서들로부터 센싱값을 감지하고 그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전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식별 과정은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구비된 건물 내에 위치한 RFID 리더기로부터 상기 전달 장치에 장착된 RFID 식별 태그의 인식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전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식별 과정은
    상기 전달 장치에 구비된 전파 발생부에서 지속적으로 무선 전파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전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인식 과정은
    상기 동작의 방향 및 종류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식별 과정은
    상기 위치 식별 과정에서 식별된 전달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어떤 방향으로 동작이 행해졌는지를 판단하고, 그 동작이 행해진 위치 정보를 예측한 후 상기 위치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된 전자기기 정보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방법.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 생성 과정은
    상기 동작 인식 과정에서 인식된 동작의 종류가 ‘단방향’인 경우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전자기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전자기기로 전달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방법.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 전달 과정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LAN) 및 적외선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명령 전달 방법.
KR1020060001765A 2006-01-06 2006-01-06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KR101287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765A KR101287497B1 (ko) 2006-01-06 2006-01-06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EP06126618A EP1816551A3 (en) 2006-01-06 2006-12-20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commands in home network system
CNA2006101727343A CN1996413A (zh) 2006-01-06 2006-12-26 在家用网络系统中发送控制命令的设备和方法
US11/649,127 US20070200658A1 (en) 2006-01-06 2007-01-03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commands in home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765A KR101287497B1 (ko) 2006-01-06 2006-01-06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075A true KR20070074075A (ko) 2007-07-12
KR101287497B1 KR101287497B1 (ko) 2013-07-18

Family

ID=37943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765A KR101287497B1 (ko) 2006-01-06 2006-01-06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00658A1 (ko)
EP (1) EP1816551A3 (ko)
KR (1) KR101287497B1 (ko)
CN (1) CN19964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2789B2 (en) 2013-10-28 2017-10-31 Kt Corporation Elevator security system
US10203669B2 (en) 2013-09-10 2019-02-12 Kt Corporation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based on footstep pattern
KR20210026925A (ko) 2019-09-02 2021-03-10 서성원 압력조절이 가능한 흡착식 공기 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9484B2 (en) 2004-03-16 2021-10-26 Icontrol Networks, Inc. Forming a security network including integrated security system components and network devices
US11201755B2 (en) 2004-03-16 2021-12-14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system management using status signal
US11343380B2 (en) 2004-03-16 2022-05-24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system automation
US10142392B2 (en) 2007-01-24 2018-11-27 Icontrol Network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system performance
US20160065414A1 (en) * 2013-06-27 2016-03-03 Ken Sundermeyer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US11677577B2 (en) 2004-03-16 2023-06-13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system management using status signal
WO2005091218A2 (en) 2004-03-16 2005-09-29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management system
US10237237B2 (en) 2007-06-12 2019-03-19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0200504B2 (en) 2007-06-12 2019-02-05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11368429B2 (en) 2004-03-16 2022-06-21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management configuration and control
US20090077623A1 (en) 2005-03-16 2009-03-19 Marc Baum Security Network Integrating Security System and Network Devices
US10156959B2 (en) 2005-03-16 2018-12-18 Icontrol Networks, Inc. Cross-client sensor user interface in a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US11916870B2 (en) 2004-03-16 2024-02-27 Icontrol Networks, Inc. Gateway registry methods and systems
US20170118037A1 (en) 2008-08-11 2017-04-27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cloud system for premises automation
US11190578B2 (en) 2008-08-11 2021-11-30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cloud system with lightweight gateway for premises automation
US11277465B2 (en) 2004-03-16 2022-03-15 Icontrol Networks, Inc. Generating risk profile using data of home monitoring and security system
US9729342B2 (en) 2010-12-20 2017-08-08 Icontrol Networks, Inc. Defining and implementing sensor triggered response rules
US11113950B2 (en) 2005-03-16 2021-09-07 Icontrol Networks, Inc. Gateway integrated with premises security system
US10522026B2 (en) 2008-08-11 2019-12-31 Icontrol Networks, Inc. Automation system user interface with three-dimensional display
US11316958B2 (en) 2008-08-11 2022-04-26 Icontrol Networks, Inc. Virtual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0721087B2 (en) 2005-03-16 2020-07-21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for networked touchscreen with integrated interfaces
US11489812B2 (en) 2004-03-16 2022-11-01 Icontrol Networks, Inc. Forming a security network including integrated security system components and network devices
US11244545B2 (en) 2004-03-16 2022-02-08 Icontrol Networks, Inc. Cross-client sensor user interface in a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US7711796B2 (en) 2006-06-12 2010-05-04 Icontrol Networks, Inc. Gateway registry methods and systems
US9141276B2 (en) 2005-03-16 2015-09-22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interface for mobile device
US11582065B2 (en) 2007-06-12 2023-02-14 Icontrol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 communication
US10339791B2 (en) 2007-06-12 2019-07-02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network integrated with premise security system
US9531593B2 (en) 2007-06-12 2016-12-27 Icontrol Networks, Inc. Takeover processes in security network integrated with premise security system
US11811845B2 (en) 2004-03-16 2023-11-0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10999254B2 (en) 2005-03-16 2021-05-04 Icontrol Networks, Inc. System for data routing in networks
US11615697B2 (en) 2005-03-16 2023-03-28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9306809B2 (en) 2007-06-12 2016-04-05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system with networked touchscreen
US20170180198A1 (en) 2008-08-11 2017-06-22 Marc Baum Forming a security network including integrated security system components
US20110128378A1 (en) 2005-03-16 2011-06-02 Reza Raji Modular Electronic Display Platform
US11496568B2 (en) 2005-03-16 2022-11-08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system with networked touchscreen
US20120324566A1 (en) 2005-03-16 2012-12-20 Marc Baum Takeover Processes In Security Network Integrated With Premise Security System
US11700142B2 (en) 2005-03-16 2023-07-11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network integrating security system and network devices
US10079839B1 (en) 2007-06-12 2018-09-18 Icontrol Networks, Inc. Activation of gateway device
US11706279B2 (en) 2007-01-24 2023-07-18 Icontrol Network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ata communication
US7633385B2 (en) 2007-02-28 2009-12-15 Ucontrol,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nd controlling an alarm system from a remote server
US8451986B2 (en) 2007-04-23 2013-05-28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providing alternate network access for telecommunications
US10523689B2 (en) 2007-06-12 2019-12-31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11646907B2 (en) 2007-06-12 2023-05-09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237714B2 (en) 2007-06-12 2022-02-01 Control Networks, Inc.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US11212192B2 (en) 2007-06-12 2021-12-28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218878B2 (en) 2007-06-12 2022-01-04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423756B2 (en) 2007-06-12 2022-08-23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089122B2 (en) 2007-06-12 2021-08-10 Icontrol Networks, Inc. Controlling data routing among networks
US11601810B2 (en) 2007-06-12 2023-03-0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316753B2 (en) 2007-06-12 2022-04-26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8466790B2 (en) * 2007-07-20 2013-06-18 Nokia Corporation Information sharing in a smart space
US10223903B2 (en) 2010-09-28 2019-03-05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security system with parallel processing architecture
US11831462B2 (en) 2007-08-24 2023-11-28 Icontrol Networks, Inc. Controlling data routing in premises management systems
US7933619B2 (en) * 2007-10-02 2011-04-26 Airvana, Corp. Wireless control of access points
US11916928B2 (en) 2008-01-24 2024-02-2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20170185278A1 (en) 2008-08-11 2017-06-29 Icontrol Networks, Inc. Automation system user interface
US11758026B2 (en) 2008-08-11 2023-09-12 Icontrol Networks, Inc. Virtual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1258625B2 (en) 2008-08-11 2022-02-22 Icontrol Networks, Inc. Mobile premises automation platform
US11729255B2 (en) 2008-08-11 2023-08-15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cloud system with lightweight gateway for premises automation
US11792036B2 (en) 2008-08-11 2023-10-17 Icontrol Networks, Inc. Mobile premises automation platform
KR20100065812A (ko) * 2008-12-09 2010-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및 그 방법
US8638211B2 (en) 2009-04-30 2014-01-28 Icontrol Networks, Inc. Configurable controller and interface for home SMA, phone and multimedia
JP2011041222A (ja) * 2009-08-18 2011-02-24 Sony Corp 遠隔操作装置、遠隔操作方法、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20110019894A (ko) * 2009-08-21 2011-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8898567B2 (en) 2010-04-09 2014-11-2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virtual interactive workspace
US9235268B2 (en) 2010-04-09 2016-01-1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virtual interactive workspace
US8638222B2 (en) * 2010-04-19 2014-01-28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able device selection based on controller location
US9154797B2 (en) 2010-09-20 2015-10-06 Onecodec,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and decoding
US8836467B1 (en) 2010-09-28 2014-09-16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ed reporting of account and sensor zone information to a central station
WO2012050490A1 (en) * 2010-10-11 2012-04-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a media rendering unit
WO2012068796A1 (zh) * 2010-11-26 2012-05-31 深圳市同洲软件有限公司 数字电视接收终端与移动终端交互方法、装置和系统
WO2012071798A1 (zh) * 2010-12-01 2012-06-07 深圳市同洲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与数字电视接收终端分享网页方法及装置和系统
CN102455799B (zh) * 2010-12-06 2014-12-31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控制数字电视接收终端的方法、装置和系统
US11750414B2 (en) 2010-12-16 2023-09-05 Icontrol Networks, Inc. Bidirectional security sensor communication for a premises security system
US9147337B2 (en) 2010-12-17 2015-09-29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logging security event data
CN102118499A (zh) * 2010-12-31 2011-07-06 深圳市同洲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控制显示终端播放视频的方法、装置和系统
RU2584499C2 (ru) * 2011-02-28 2016-05-2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Способ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и ввода в действие устройств в сети zigbee
US20120253648A1 (en) * 2011-04-01 2012-10-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traffic information
US10025787B2 (en) 2011-08-17 2018-07-17 Bevara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digital data for archival
US10129556B2 (en) 2014-05-16 2018-11-13 Bevara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digital data
KR20130027665A (ko) * 2011-09-08 2013-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30048533A (ko) * 2011-11-02 2013-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EP2807752A4 (en) * 2012-01-25 2015-11-25 Onecodec Ltd SYSTEMS AND METHOD FOR CODING, SHARING AND DECODING MULTIMEDIA
US9268329B1 (en) * 2012-02-06 2016-02-23 Google Inc. Control interface
CN103325234B (zh) * 2012-03-22 2016-04-20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遥控装置及其自动调整遥控信号发射方向的方法
US10075814B2 (en) * 2012-12-24 2018-09-11 Intel Corporation Location-based selection of wireless peripheral devices
US11405463B2 (en) 2014-03-03 2022-08-02 Icontrol Networks, Inc. Media content management
US11146637B2 (en) 2014-03-03 2021-10-12 Icontrol Networks, Inc. Media content management
KR102118482B1 (ko) 2014-04-25 202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48474B1 (ko) * 2014-04-30 2021-05-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성 명령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5176009A1 (en) 2014-05-16 2015-11-19 Bevara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digital data for archival
US9905126B2 (en) 2016-06-14 2018-02-27 Intel Corporation Home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US10965780B2 (en) 2018-01-18 2021-03-30 Bevara Technologies, Llc Browser navigation for facilitating data access
US11617058B2 (en) * 2019-12-02 2023-03-28 Storc Llc Labor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2951A (en) * 1989-04-28 1993-10-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gesture recognition in a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DE69228664T2 (de) * 1991-11-11 1999-09-3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zur Anlagensteuerung mit einem gemeinsamen Kommunikationskanal
US5583542A (en) * 1992-05-26 1996-12-10 Apple Computer, Incorporated Method for deleting objects on a computer display
US5880411A (en) * 1992-06-08 1999-03-09 Synaptics, Incorporated Object position detector with edge motion feature and gesture recognition
US5543588A (en) * 1992-06-08 1996-08-06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pad driven handheld computing device
EP0574213B1 (en) * 1992-06-08 1999-03-24 Synaptics, Inc. Object position detector
US5821930A (en) * 1992-08-23 1998-10-13 U S West,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working window in a computer system
US5564005A (en) * 1993-10-15 1996-10-08 Xerox Corporation Interactive system for producing, storing and retrieving information correlated with a recording of an event
US5552806A (en) * 1994-04-29 1996-09-0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selectable function icons on a display
JP3280559B2 (ja) * 1996-02-20 2002-05-13 シャープ株式会社 ジョグダイアルの模擬入力装置
US5748184A (en) * 1996-05-28 1998-05-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rtual pointing device for touchscreens
US5729219A (en) * 1996-08-02 1998-03-17 Motorola, Inc. Selective call radio with contraposed touchpad
US5943044A (en) * 1996-08-05 1999-08-24 Interlink Electronics Force sensing semiconductive touchpad
US6353406B1 (en) * 1996-10-17 2002-03-05 R.F. Technologies, Inc. Dual mode tracking system
US6424660B2 (en) * 1997-10-10 2002-07-23 Intel Corporation Addressable distributed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US7800592B2 (en) * 2005-03-04 2010-09-21 Apple Inc.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touch sensing devices
US6249606B1 (en) * 1998-02-19 2001-06-19 Mindmaker, Inc. Method and system for gesture category recognition and training using a feature vector
US6347290B1 (en) * 1998-06-24 2002-02-12 Compaq Information Technologies Group, L.P.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executing positional and gesture commands corresponding to movement of handheld computing device
US6563430B1 (en) 1998-12-11 2003-05-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device with location dependent interface
JP2000173982A (ja) * 1998-12-01 2000-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処理装置およびプラズマ処理方法
US6396523B1 (en) * 1999-07-29 2002-05-28 Interlink Electronics, Inc. Home entertainment device remote control
US6603420B1 (en) * 1999-12-02 2003-08-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device with motion-based control of receiver volume, channel selection or other parameters
US6505088B1 (en) * 2000-03-07 2003-01-07 Mental Models, Inc. Electronic controller
US20010033243A1 (en) * 2000-03-15 2001-10-25 Harris Glen Mclean Online remote control configuration system
US7187947B1 (en) * 2000-03-28 2007-03-06 Affinity Lab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selected information to an electronic device
US6750801B2 (en) * 2000-12-29 2004-06-15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Remote control device with directional mode indicator
JP2004192017A (ja) 2001-02-06 2004-07-08 Dainippon Printing Co Ltd Icカードを装着した移動体通信端末を利用した情報家電端末の遠隔制御システムとそれに使用する移動体通信端末とicカード
WO2002093923A2 (en) * 2001-05-14 2002-11-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interacting with real-time streams of content
WO2003023622A1 (fr) * 2001-09-07 2003-03-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rocede et dispositif de fourniture d'information
US7046230B2 (en) * 2001-10-22 2006-05-16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handheld device
KR100457929B1 (ko) * 2001-11-05 2004-11-18 한국과학기술원 손 지시 인식을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US6982697B2 (en) * 2002-02-07 2006-01-0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process for selecting objects in a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US7170422B2 (en) * 2002-06-24 2007-01-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ersonal programmable universal remote control
JP2004080382A (ja) * 2002-08-19 2004-03-11 Sony Corp 電子機器制御装置および電子機器制御方法
JP2004166193A (ja) * 2002-09-27 2004-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モコン装置
JP2004173003A (ja) * 2002-11-20 2004-06-17 Toshiba Corp 放送受信装置とコード信号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514191B1 (ko) * 2003-01-23 2005-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용셋톱박스
US7047092B2 (en) * 2003-04-08 2006-05-16 Coraccess Systems Home automation contextual user interface
US7233316B2 (en) * 2003-05-01 2007-06-19 Thomson Licensing Multimedia user interface
JP4289021B2 (ja) * 2003-05-22 2009-07-0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装置、車載装置の不正使用防止方法
US20040239622A1 (en) * 2003-05-30 2004-12-02 Proctor David W.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improved user interaction with a computing device
US7123180B1 (en) * 2003-07-29 2006-10-17 Nvid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single-axis gyroscopic remote control
US7499040B2 (en) * 2003-08-18 2009-03-03 Apple Inc.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JP4214025B2 (ja) * 2003-09-04 2009-01-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モニタ表示制御装置
US7363028B2 (en) * 2003-11-04 2008-04-2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location determination
US7136709B2 (en) * 2003-11-04 2006-11-14 Universal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s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7495659B2 (en) * 2003-11-25 2009-02-24 Apple Inc.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US20070143456A1 (en) * 2003-12-10 2007-06-21 Alex Mashinsky Exchange of centralized control data
US20050174325A1 (en) * 2003-12-23 2005-08-11 Authen Tec, Inc. Electronic device with finger sensor for character entry and associated methods
US7777649B2 (en) * 2004-01-20 2010-08-17 Nxp B.V. Advanced control device for home entertainment utilizing three dimensional motion technology
US20050162402A1 (en) * 2004-01-27 2005-07-28 Watanachote Susornpol J. Methods of interacting with a computer using a finger(s) touch sensing input device with visual feedback
GB0402952D0 (en) * 2004-02-11 2004-03-1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 and apparatus
US7903084B2 (en) * 2004-03-23 2011-03-08 Fujitsu Limited Selective engagement of motion input modes
US7365736B2 (en) * 2004-03-23 2008-04-29 Fujitsu Limited Customizable gesture mappings for motion controlled handheld devices
US20050212753A1 (en) * 2004-03-23 2005-09-29 Marvit David L Motion controlled remote controller
US7173604B2 (en) * 2004-03-23 2007-02-06 Fujitsu Limited Gesture identification of controlled devices
KR100562144B1 (ko) * 2004-04-07 2006-03-21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핑거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KR100580648B1 (ko) * 2004-04-10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포인팅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060241864A1 (en) * 2005-04-22 2006-10-26 Outland Research,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oint-and-send data transfer within a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EP1744290B1 (en) * 2005-07-15 2018-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selecting device controlled thereby
US20070116291A1 (en) * 2005-11-09 2007-05-24 Shmuel Silverma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a proximity network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uthentication
US7606552B2 (en) * 2005-11-10 2009-10-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an electronic device
US20080165145A1 (en) * 2007-01-07 2008-07-10 Scott Herz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terpreting a Finger Swipe Gesture
US8116831B2 (en) * 2007-11-29 2012-02-14 Motorola Mobility, Inc.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with auxiliary input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3669B2 (en) 2013-09-10 2019-02-12 Kt Corporation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based on footstep pattern
US9802789B2 (en) 2013-10-28 2017-10-31 Kt Corporation Elevator security system
KR20210026925A (ko) 2019-09-02 2021-03-10 서성원 압력조절이 가능한 흡착식 공기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96413A (zh) 2007-07-11
US20070200658A1 (en) 2007-08-30
EP1816551A3 (en) 2012-09-05
KR101287497B1 (ko) 2013-07-18
EP1816551A2 (en) 200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497B1 (ko)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US1035365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8887049B2 (en) Device, method and timeline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KR101276846B1 (ko)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EP1744290B1 (en)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selecting device controlled thereby
RU2684506C2 (ru) Способ и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US20090285443A1 (en) Remote Control Based on Image Recognition
US10956012B2 (en) Display apparatus with a user interface to control electronic devices in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US20200169427A1 (en) Smart internet of things menus with cameras
KR20110063516A (ko) 시스템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터치 감지형 무선 장치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JP2003219485A (ja) 家電制御システム、家電制御装置、家電機器、並びに遠隔操作装置。
US11609541B2 (en) System and method of IOT device control using augmented reality
US20150222862A1 (en) Camera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US20170206398A1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50256875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1586463B (zh) 显示设备
WO2009025499A1 (e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natural view user interface,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20060279584A1 (en) AV network system and display device-side subsystem included in the same system
WO2021218111A1 (zh) 确定搜索字符的方法及显示设备
KR101214294B1 (ko) 광 신호를 이용하는 홈 네트워킹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3573115B (zh) 确定搜索字符的方法及显示设备
KR102347582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제어 대상기기 동작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000792B1 (ko) 동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
CN114508835A (zh) 一种终端和空调模式调节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