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8533A -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8533A
KR20130048533A KR1020110113422A KR20110113422A KR20130048533A KR 20130048533 A KR20130048533 A KR 20130048533A KR 1020110113422 A KR1020110113422 A KR 1020110113422A KR 20110113422 A KR20110113422 A KR 20110113422A KR 20130048533 A KR20130048533 A KR 20130048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s
user interface
display
objects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진
천소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3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8533A/ko
Priority to US13/545,547 priority patent/US20130106738A1/en
Priority to EP12845151.5A priority patent/EP2774316A4/en
Priority to CN201280054270.XA priority patent/CN103917941A/zh
Priority to PCT/KR2012/005869 priority patent/WO2013065929A1/en
Publication of KR20130048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3Remote control using macros, scrip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1Remote control based on location and proxim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2Universal remote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어 가능한 복수의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홈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오브젝트들 중 제1 오브젝트를 터치하여, 제2 오브젝트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들의 연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Method for operating a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은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집안과 밖에서 언제든지 편리하고 안전하며 경제적인 생활 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서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PC, TV, 냉장고, 휴대 단말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들이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어, 각종 데이터를 공유하거나 전송할 있다.
한편, 이러한 경향에 맞추어 다양한 전자기기 및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전자기기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어 가능한 복수의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홈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오브젝트들 중 제1 오브젝트를 터치하여, 제2 오브젝트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들의 연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어 가능한 복수의 전자기기 중 2 이상의 전자기기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선택된 전자기기들의 연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선택된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전자기기들을 연결함으로써, 사용자는 컨텐츠 및 정보를 더욱 편리하고 다양하게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에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와 제어 가능한 전자기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원격제어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12는 도 4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도 13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와 제어 가능한 전자기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100)는, 전자기기와 적외선 방식, RF 방식, 근거리 자기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방식,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장치(100)는 복수의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전자기기들로 적외선 방식, RF 방식 등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전자기기의 예로, 영상표시장치(200), 셋탑박스(300), 네트워크 저장장치(400), 냉장고(500), 세탁물 처리기기(600), 공기조화기(700)를 예시한다. 그 외, 조리기기, 홈 씨어터, 카메라, 게임 기기 등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원격제어장치는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태블릿(tablet) PC,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 등이 가능하다.
원격제어장치(100)는 영상표시장치(200), 셋탑박스(300), 네트워크 저장장치(400), 냉장고(500), 세탁물 처리기기(600), 공기조화기(700) 등 다른 전자기기와 로그인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센서부(140), 저장부(150), 제어부(160), 디스플레이(170), 오디오 출력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스위치(switch), 정압식, 정전식 등의 터치 패드(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원격제어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원격제어장치(100)는 전자기기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TV,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냉장고 등과 같은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다른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위한 이동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통신부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영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100)는 유무선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방송 수신을 위한 별도의 방송수신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방송수신부(미도시)는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으며 신호의 수신 및 신호 처리를 위한 튜너, 복조부, 역다중화부, 디코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부(미도시)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원격제어장치(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TV,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냉장고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원격제어장치(100)의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원격제어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100)는 예를 들어,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상술한 외부 장치 이외에도 원격제어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원격제어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원격제어장치(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60) 또는 저장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연결된 다른 전자기기로 사용자의 명령 또는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거나 허락된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PC를 이용한 예약 작업을 수행하거나, 스마트 냉장고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가족 구성원의 스마트 폰으로부터 메시지 또는 명령 등 각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원격제어장치(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원격제어장치(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원격제어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센서부(140)는 감지센서, 압력센서, 및 모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원격제어장치(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원격제어장치(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는 원격제어장치(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는 사용환경에 따라 원격제어장치(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가 디스플레이(170)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170)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17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원격제어장치(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 및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원격제어장치(1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원격제어장치(1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100)는 저장부(15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저장부(150)가 제어부(16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6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원격제어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원격제어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원격제어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또는 음성이 디스플레이(17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170) 또는 오디오출력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영상 통화 모드시 통화 상대방의 영상, 사용자의 영상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7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수신되는 통화 상대방의 음성 신호에 기초한 음성을 오디오출력부(180)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또한, 제어부(160)는 터치 입력 신호의 패턴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이 알파벳, 숫자, 기호 등 문자 입력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의 궤적과 대응하는 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는 한글, 영어, 중국어, 일본어, 숫자, 기호 등을 포함하며, 제어부(160) 또는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터치 입력의 패턴에 대응하는 문자를 저장된 문자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하거나 터치 입력의 궤적 자체를 필기 입력으로 처리하여 입력 궤적 그 자체로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원격제어장치(100)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은, 상술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OS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플랫폼은 제어부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에 프로그램 형태로 구비되거나,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단말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은, OS 커널(OS Kernel), OS 커널 상의 드라이버(Driver), 미들웨어(Middleware), 프레임워크(Framework),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OS 커널은, 유닉스 기반(리눅스), 윈도우 기반 등 다양한 운영체제(OS) 기반의 커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OS 커널은, 공개(open)된 OS 커널로서, 다른 전자기기 등에서 사용가능한 범용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70)는,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70)는 PDP,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7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출력부(180)는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수신되거나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출력부(180)는 원격제어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효과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오디오출력부(180)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원격제어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와 같은 구성의 원격제어장치(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복수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것으로, 도 3의 (a)는 복수의 기기에 대응하는 IR 키(key) 값을 가지고, 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통합 리모콘을 예시하고, 도 3의 (b)는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예시한 것이다.
통합 원격 제어(Universal Remote Control)는 저장된 IR 키(key) 값을 이용하거나, 사용할 기기(device)를 등록한 후 사용할 때 각각 기기(device)를 선택하는 메뉴로 들어가 각각의 기기(device)를 하나의 원격제어장치를 사용하는 통합 리모콘 기능이 많다. 따라서, 다양한 제품을 사용하기에 제한적이다.
한편, 통합 원격 제어(Universal Remote Control)의 장점인 하나의 버튼으로 다수의 기기를 동시에 컨트롤할 수 있는 매크로 기능은, 일반 사용자가 설정하기 어렵고, 사용이 불편하여 일부 소비자만이 매크로 기능을 활용하여 복합 컨트롤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매크로 기능을 설정한 경우에도 설정한 본인 이외의 다른 사람이 그 기능이 어떤 기능인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활용하기 힘들다.
한편, 도 3의 (b)와 같이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도 각 기기별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거나, 각각의 디바이스 별 컨트롤 UI를 제공하고 있어 복합 원격제어장치로써의 기능이 미비하다.
아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한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5 내지 도 12는 도 4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원격제어장치(100)는 제어 가능한 복수의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홈(Home)화면을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한다.(S410)
원격제어장치(100)의 전원이 켜지는 경우 또는 복수의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170)에 도 5와 같은 제어 가능한 복수의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510, 520, 530, 540, 550, 560)을 포함하는 홈화면(500)이 표시될 수 있다.
제어할 전자기기는 홈화면에 배치되어 있는 오브젝트들(510, 520, 530, 540, 550, 560)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들로써, 홈 화면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기기는 각각 댁내의 통신 및 네트워크 환경에 맞게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도 5의 홈화면은 제어 가능한 전자기기로 TV(510), 광디스크 재생장치, 예를 들어,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BDP, 520), 셋탑박스(STB, 530), 오디오/비디오 리서버(AVR, 540), 스피커(550), 디지털 조명기기(560)를 예시한다. 도 5에 예시되지 않는 게임기, PC, 노트북 등 다른 전자기기들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비디오 리시버(540)와 앰프, 스피커(550)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오디오/비디오 리시버(540)를 통하여 앰프, 스피커(550)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홈화면(500)은 전자기기 외에도 음악(570), 디비디(DVD), 블루레이 디스크(BD)와 같은 비디오 타이틀(580), 사진(590)과 같이, 전자기기에서 이용 가능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들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음악(570), 비디오 타이틀(580)을 터치하면, 도 6과 같이, 재생 가능한 컨텐츠(610)가 리스트나 그래픽 오브젝트로 표시될 수 있다.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611)를 선택하여 TV(510), 플레이어(520), 오디오/비디오 리시버(540)로 드래그하면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이후, 도 7과 같이, 홈화면(500)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들 중 제1 오브젝트(520)를 터치하여, 제2 오브젝트(510)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420) 한편, 상기 드래그 입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에, 상기 터치된 제1 오브젝트(520)의 표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터치로 선택된 제1 오브젝트(520)의 크기, 색상, 투명도,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거나, 하이라이트 효과 등 그래픽 효과를 부가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터치 상태를 파악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상기 터치된 제1 오브젝트(520)에 대응하는 전자기기와의 연계 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들의 표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광디스크 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제1 오브젝트(520)가 선택된 경우에 광디스크 재생장치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는 TV에 대응하는 오브젝트(510)의 표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드래그 입력을 완료하기 전에 어떤 전자기기와 연결하여 동작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TV에 대응하는 오브젝트(510)가 터치된 경우에, TV(510)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는, 광디스크 재생장치(520), 셋탑박스(STB, 530), AVR(540), 스피커(550)의 표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된 제1 오브젝트(520)의 표시 상태는 상기 터치된 제1 오브젝트(520)에 대응하는 전자기기와의 연계 가능한 전자기기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들의 표시 상태는 상이할 수 있다.
한편, 터치로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와 연결 동작이 불가능한 전자기기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도 표시 상태를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영을 넣거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또는, 연결 동작이 불가능한 전자기기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들에서는 편의를 위하여 표시 상태가 변경을 제1 오브젝트(520) 주위에 점선을 표시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소정 전자기기에 연계 동작 가능한 전자기기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후, 상기 제1 오브젝트와 상기 제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들의 연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430)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제어부(160)는 인터페이스부(135)에 포함되는 무선 통신부(미도시) 등을 통하여 전자기기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TV(510)와 광디스크 재생장치(520)로 연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연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는, 상기 제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를, 상기 제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의 입력 또는 출력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는, 전자기기의 전원을 켜기 위한 파워-온(power-on) 신호 또는 스탠바이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디스크 재생장치(BDP)와 TV를 연결하여 광디스크 재생장치(BDP)에 있는 블루레이 디스크 타이틀(BD Title)을 보고자 한다면, 광디스크 재생장치(BDP)를 선택한 후 드래그(Drag)하여 TV에 드랍(Drop)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행하면, TV가 켜지고, 광디스크 재생장치(BDP)가 켜지고 TV의 입력(Input)이 광디스크 재생장치(BDP)로 맞춰지는 복합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TV)의 사운드(Sound)를 AVR(540)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TV(510)를 선택한 후 드래그하여 AVR(540)에 드랍(Drop)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행하면, TV의 사운드(Sound) 즉, TV의 사운드 출력(Sound Output)이 AVR로 전환되는 복합 연계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VR의 사운드 입력(Sound Output)이 TV가 된다.
또한, TV(510)와 AVR(540) 중 켜져 있지 않거나, 스탠바이 모드인 경우에는 전자기기에는 전원을 켜기 위한 파워-온(power-on) 신호 또는 스탠바이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여 활성화시킨 후 추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는, 상기 제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를, 상기 제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자기기들과 네트워크 설정 정보, 로그인 정보, 기기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신호는 IR, RF, 지그비(zigbee) 등 해당 전자기기가 대응가능한 통신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만약 IR 신호와 같이 방향성에 제한이 있는 방식의 경우 블라스터(blaster) 또는 블라스터 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를 경유하여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 중 제3 오브젝트를 터치하여, 상기 제1 오브젝트 또는 상기 제2 오브젝트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3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와, 상기 제1,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들 사이의 연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미 연결된 전자기기에 대응하는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중 하나로 추가 연결하기 위한 전자기기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드래그 앤 드랍(drag & drop)함으로써 추가 연결이 가능하다. 따라서, 2개의 전자기기에 추가적으로 더 많은 전자기기를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TV, BDP, AVR를 연결하고자 한다면 TV와 BDP를 연결하고, TV와 BDP가 연결된 상태 AVR를 선택 후 드래그, 드랍하여 3가지 디바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0과 같이,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의 연계 상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예를 들어, 선 모양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자기기들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들과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들과 연계 가능한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130, 1140) 및 상기 제1,2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선 모양의 그래픽 오브젝트로 연결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의 예에서는 TV와 위성 방송 셋탑박스가 연결되어 대응하는 오브젝트들(1110, 1120)이 표시되고, 연계 가능한 전자기기(블루레이 플레이어, AVR)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130, 1140)들이 표시된다.
즉, 이미 연결된 전자기기와 이후에 추가적으로 연결된 가능성이 있는 전자기기들로 구성되는 화면을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연결된 전자기기들에 대응하는 오브젝트(1110, 1120)로만 구성되는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에, 상기 제1,2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각 전자기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터치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UI)는 사용자가 터치 입력으로 선택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용 메뉴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제1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에, 제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메뉴 즉, 선택된 전자기기의 전용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12, 도 14, 도 15 등과 같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UI)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 각각의 전용 유저 인터페이스를 조합하여 생성된,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을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UI)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터치(Touch) 입력으로 표시되는 메뉴는 통합 메뉴 또는 사용자가 터치한 기기에 대한 전용 메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전자기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된 상태의 전자기기 중 하나를 탭(tab)하게 되면 디스플레이(170)의 일부 영역에 연결된 전자기기들에 적합한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복합 리모콘 메뉴)가 출력될 수 있다.
도 12는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UI)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1200)는 연결된 전자기기 정보(1210)와 연결된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명령(command) 메뉴들(1220, 12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기기의 전용 유저 인터페이스(UI)를 호출하는 메뉴(124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TV(1241)를 선택하면 TV를 위한 전용 스크린 리모콘이 더 표시되고, 셋탑박스(1241)를 선택하면 셋탑박스를 위한 전용 스크린 리모콘이 더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상기 제1,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들을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UI)는 홈화면에 바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UI)는 홈화면이 포함하고 있는 제어 가능한 전자기기, 예를 들어, 도 5의 TV(510), 광디스크 재생장치, 예를 들어,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BDP, 520), 셋탑박스(STB, 530), 오디오/비디오 리서버(AVR, 540), 스피커(550), 디지털 조명기기(560)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기를 터치 입력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도 표시될 수 있다.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UI)에 관해서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4 내지 도 17은 도 13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어 가능한 복수의 전자기기 중 2 이상의 전자기기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S1310)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의 연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로 전송한다.(S1320)
여기서, 상기 선택 입력은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홈(Home) 화면에서의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는, 선택된 전자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전자기기의 입력 또는 출력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전자기기의 전원을 켜기 위한 파워-온(power-on) 신호 또는 스탠바이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는, 선택된 전자기기들을 네트워크 연결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한다.(S1330)
한편, 각 전자기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터치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UI)는 사용자가 터치 입력으로 선택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용 메뉴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2, 도 14, 도 15 등과 같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UI)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 각각의 전용 유저 인터페이스를 조합하여 생성된,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을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UI)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터치(Touch) 입력으로 표시되는 메뉴는 통합 메뉴 또는 사용자가 터치한 기기에 대한 메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UI) 표시 단계(S1330)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170)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화면에서 팝업 형태로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UI)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 각각의 전용 유저 인터페이스를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14는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UI)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a)는 TV와 위성 방송 셋탑박스가 연결되어 생성된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UI)를 도시한 것이다.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1400)는 연결된 전자기기 정보를 포함하고, 연결된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명령(command) 메뉴들(14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의 (b)는 TV와 광디스크 재생장치가 연결되어 생성된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UI)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의 (c)는 TV와 스마트 박스(Smart box)가 연결되어 생성된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UI)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스마트 박스는 네트워크 저장장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의 (a) 내지 도 14의 (c)는 TV와 다른 전자기기가 연결되어 통합 메뉴가 표시되는 예들로 연결되는 전자기기에 따라 표시되는 메뉴가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TV와 광디스크 재생장치를 통합 제어할 수 있는 메뉴(1450, 1460)와 TV와 스마트 박스(Smart box)를 통합 제어할 수 있는 메뉴(1470, 1480) 중에서 일부(1460, 1480)는 동일하거나 동일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독 동작은 물론, 2개 이상의 전자기기를 컨트롤할 경우 연결된 전자기기 상태에 맞는 각각의 원격제어 메뉴를 포함하는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직관력을 부여하고, 실제 댁내의 인터페이스 환경(Home GUI)를 제공하여 사용자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14의 (a)와 같이, 상기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UI)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 각각의 전용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는 메뉴(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 각각의 전용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는 메뉴 중 하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이 수신된 전자기기의 전용 유저 인터페이스를 더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 각각의 전용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는 메뉴 중 TV(1431)를 선택하면 도 15와 같이, TV를 위한 전용 스크린 리모콘(1500)이 더 표시된다. 또는, 셋탑박스(1432)를 선택하면 셋탑박스를 위한 전용 스크린 리모콘이 더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메뉴들이 더 존재하는 경우 페이지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420)와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 각각의 전용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는 메뉴(14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메뉴를 보기 위한 좌 또는 우 방향의 페이지의 전환은 좌 또는 우 방향의 슬라이딩 입력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UI)에 대한 슬라이딩(sliding)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sliding) 입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UI)를 다른 페이지(page)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12와 같이,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들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들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이 아닌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즉, 도 11의 화면에서 전자기기를 탭(tab)하면, 도 12의 화면으로 전환되고, 도 12의 화면에서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UI)가 표시되지 않은 영역을 탭하면 도 11이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복수의 기기가 연결된 후의 홈화면의 일예로, 도 5와 같은 홈화면으로도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홈화면(1600)은 다른 그룹의 전자기기들로 메뉴 및 오브젝트를 전환할 수 있는 메뉴(166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과 같이, 전자기기들은 거실, 방1, 방2 등 위치를 기준으로 분류되어 그룹화될 수 있다.
홈화면(1600)은 제어 가능한 복수의 전자기기들(세탁기,냉장고, 조리기기, 청소기)에 대응하는 오브젝트(1610, 1620, 1630, 16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기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1710)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원격제어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제어 가능한 복수의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홈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제1 오브젝트를 터치하여, 제2 오브젝트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오브젝트와 상기 제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들의 연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된 제1 오브젝트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된 제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와의 연계 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들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 중 제3 오브젝트를 터치하여, 상기 제1 오브젝트 또는 상기 제2 오브젝트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3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와, 상기 제1,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들 사이의 연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의 연계 상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들을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7. 제어 가능한 복수의 전자기기 중 2 이상의 전자기기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의 연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UI)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 각각의 전용 유저 인터페이스를 조합하여 생성된,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을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U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UI)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 각각의 전용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1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제어 가능한 복수의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홈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제1 오브젝트를 터치하여, 제2 오브젝트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 오브젝트와 상기 제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들의 연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된 제1 오브젝트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된 제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와의 연계 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들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 중 제3 오브젝트를 터치하여, 상기 제1 오브젝트 또는 상기 제2 오브젝트로 드래그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와, 상기 제1,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들 사이의 연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의 연계 상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들을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17. 디스플레이;
    제어 가능한 복수의 전자기기 중 2 이상의 전자기기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의 연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UI)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 각각의 전용 유저 인터페이스를 조합하여 생성된,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을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통합 유저 인터페이스(U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UI)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 각각의 전용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들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KR1020110113422A 2011-11-02 2011-11-02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KR20130048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422A KR20130048533A (ko) 2011-11-02 2011-11-02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US13/545,547 US20130106738A1 (en) 2011-11-02 2012-07-10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12845151.5A EP2774316A4 (en) 2011-11-02 2012-07-23 REMOTE CONTROL AND METHOD OF OPERATION
CN201280054270.XA CN103917941A (zh) 2011-11-02 2012-07-23 遥控器及其操作方法
PCT/KR2012/005869 WO2013065929A1 (en) 2011-11-02 2012-07-23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422A KR20130048533A (ko) 2011-11-02 2011-11-02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533A true KR20130048533A (ko) 2013-05-10

Family

ID=48171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422A KR20130048533A (ko) 2011-11-02 2011-11-02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106738A1 (ko)
EP (1) EP2774316A4 (ko)
KR (1) KR20130048533A (ko)
CN (1) CN103917941A (ko)
WO (1) WO201306592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074A (ko) * 2015-08-19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56932A (ko) * 2015-11-16 2017-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110678B2 (en) 2016-08-19 2018-10-23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based on image processing
US10809902B2 (en) 2015-12-29 2020-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902B1 (ko) * 2011-09-30 2019-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CN103248931B (zh) * 2012-02-14 2016-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遥控器及生成控制信号的方法
US20140176314A1 (en) * 2012-12-21 2014-06-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mart Device to Media Device Coupling to Create Virtual Control Environment
KR20140137080A (ko) * 2013-05-22 2014-12-02 (주)정직한기술 무선 리모컨 기능을 갖는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CN104254010A (zh) * 2013-06-28 2014-12-31 捷达世软件(深圳)有限公司 虚拟遥控器输入信号源切换系统及方法
WO2015015581A1 (ja) 2013-07-31 2015-02-05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映像表示装置
USD759042S1 (en) * 2013-10-25 2016-06-14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60063853A1 (en) * 2014-08-26 2016-03-03 Tsung-Hsiang Mi Personalized home situation control system and personalized home situation control method
SE1451410A1 (sv) * 2014-11-21 2016-05-17 Melaud Ab Earphones with sensor controlled audio output
KR102353498B1 (ko) * 2014-12-16 2022-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116601B2 (en) * 2015-02-06 2018-10-30 Jamdeo Canada Ltd. Methods and devices for display device notifications
CN104811780B (zh) * 2015-04-30 2018-04-10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控制方法及装置
CN105228384B (zh) * 2015-08-27 2018-07-13 凯纬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一种抓握触控延迟式遥控器
KR20170035678A (ko) * 2015-09-23 2017-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5204767B (zh) * 2015-10-13 2018-11-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触摸遥控方法及移动终端
CN105338083B (zh) * 2015-10-30 2018-09-1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界面显示方法及装置
CN105430468A (zh) * 2015-11-30 2016-03-23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电视机顶盒的遥控方法及装置
KR101847200B1 (ko) * 2015-12-23 2018-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479578B1 (ko) * 2016-02-03 2022-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00069190A1 (en) * 2016-12-13 2020-03-05 Amolifescience Co., Ltd. Patch-type sensor module
CN107592560A (zh) * 2017-09-29 2018-01-16 北京盛世辉科技有限公司 控制方法、装置、智能遥控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417418B1 (ko) * 2017-12-12 2022-07-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CN108399040B (zh) * 2018-02-09 2020-11-24 黎辉 一种移动智能终端app操作显示方法
JP6621506B2 (ja) * 2018-08-23 2019-12-18 京セラ株式会社 操作端末、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11328585B1 (en) * 2019-12-10 2022-05-10 Amazon Technologies, Inc. Simultaneous multi-IR code protocol using phase mod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1930B2 (en) * 2001-11-20 2010-11-09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US8176432B2 (en) * 2001-11-20 2012-05-08 UEI Electronics Inc. Hand held remote control device hav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US8042049B2 (en) * 2003-11-03 2011-10-18 Openpeak Inc. User interface for multi-device control
US7155305B2 (en) * 2003-11-04 2006-12-2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s for home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control in a networked environment
KR101287497B1 (ko) * 2006-01-06 201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US7649456B2 (en) * 2007-01-26 2010-01-1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ser inte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used as a home controller
CN101639973B (zh) * 2008-07-30 2012-03-28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遥控器的管理方法
US20100146425A1 (en) * 2008-12-08 2010-06-10 Lance John M Drag and drop target indication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11019155A2 (en) * 2009-08-14 2011-02-17 Lg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1271539B1 (ko) * 2011-06-03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074A (ko) * 2015-08-19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56932A (ko) * 2015-11-16 2017-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86586A1 (ko) * 2015-11-16 2017-05-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868903B2 (en) 2015-11-16 2020-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809902B2 (en) 2015-12-29 2020-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87417B2 (en) 2015-12-29 2022-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devices
US10110678B2 (en) 2016-08-19 2018-10-23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based on image proc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74316A1 (en) 2014-09-10
CN103917941A (zh) 2014-07-09
US20130106738A1 (en) 2013-05-02
WO2013065929A1 (en) 2013-05-10
EP2774316A4 (en)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8533A (ko)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EP2521374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US11044510B2 (en) Adapting user interface of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remote control device
US940768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able, display control method, program, portable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9621434B2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US922602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933881B2 (en) Remote controll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lable by remote controller
KR101276846B1 (ko)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US20150193036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40259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30271404A1 (en) Remote controller equipped with touch pa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64276B1 (ko)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2013011447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59935B1 (ko) 영상통화 단말기의 전환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통화 단말기
EP3226568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20130083111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69276B1 (ko) 전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10742922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102330475B1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891614B1 (ko) 휴대 단말기 및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771458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