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688A -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콘텐츠 처리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콘텐츠 처리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688A
KR20070043688A KR1020067005386A KR20067005386A KR20070043688A KR 20070043688 A KR20070043688 A KR 20070043688A KR 1020067005386 A KR1020067005386 A KR 1020067005386A KR 20067005386 A KR20067005386 A KR 20067005386A KR 20070043688 A KR20070043688 A KR 20070043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source
list
content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5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우지로우 타나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3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6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1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by binding digital rights to specific entities
    • G06F21/1012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by binding digital rights to specific entities to domai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이용자가 보유하는 복수의 기기의 등록 또는 해제를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시스템 등을 제공한다. 상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 처리장치는, 콘텐츠 재생장치의 제2의 소스ID 리스트를 취득하고;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하여, 콘텐츠 재생장치가 관리 서버에 미등록에서,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콘텐츠 처리장치의 레코더ID가 미등록이라고 검출되었을 때, 등록을 권하고; 콘텐츠 재생장치의 등록 지시를 접수했을 때, 관리 서버에 대하여 콘텐츠 재생장치의 등록을 요구하고; 관리 서버로부터 회신된 등록 완료를 수신하고;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기억되는 그룹ID를 콘텐츠 재생장치의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하고; 콘텐츠 재생장치의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를 접수하지 않았을 때,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콘텐츠 처리장치의 레코더 ID를 추가한다.
통신 시스템, 레코더, 관리 서버, 콘텐츠 처리장치

Description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콘텐츠 처리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CONTENTS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복수의 콘텐츠 처리장치간에 콘텐츠 데이터를 저작권 관리하는 저작권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악 등의 디지털 콘텐츠는, 종래의 아날로그 콘텐츠와는 달리, 품질의 열화를 따르지 않고 복수회 복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최근, 인터넷의 보급이나 PC(퍼스널컴퓨터) 등의 고속, 대용량화에 따라서, 저작자의 허락을 얻지 않은 위법의 콘텐츠의 배포, 교환 등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의 위법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콘텐츠의 유통, 이용에 제한을 가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디지털 저작권 관리) 기술을 이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저작권 관리시스템에서는 SDMI(Secure Digital Music Initiative)등에 의해 제안되어 있는 것 같이, 오리지날 콘텐츠의 카피수를 엄밀하게 관리함으로써, 위법 카피를 제한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3-296486호 공보 참조).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오리지날 콘텐츠의 카피수를 엄밀하게 관리하는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에서는, 콘텐츠의 카피시에, 콘텐츠 이용자의 기기(콘텐츠 처리장치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 등)를, 총 카피수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에 접속하고, 이 관리 서버에 의해 콘텐츠의 카피를 허가/불허가한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콘텐츠 이용자의 기기의 성능이나, 복수의 기기 상호의 접속 형태 등이 한정되어 버릴 뿐만 아니라, 콘텐츠의 카피를 행할 때마다 저작권 관리처리를 실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비효율적이었다. 따라서, 콘텐츠 이용의 자유도가 낮고, 특히, 옳은 콘텐츠 이용자(즉, 콘텐츠 작성자에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사적사용의 범위내에서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람)에 있어서는, 복수의 기기를 이용해서 콘텐츠를 공유하는 경우에, 설계 자유도가 낮아 불편했다.
또한, 콘텐츠 이용자가 콘텐츠를 이용하려면, 콘텐츠 이용자가 보유하는 1 또는 2이상의 기기를, 미리 어떠한 등록을 해 두는 것이 필요하여, 유저에게도 불편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가 보유하는 복수의 기기의 등록 또는 해제를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하고 개량된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콘텐츠 처리장치, 및 컴퓨터 ㅍ프플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의 관점에 의하면, 콘텐츠 데이 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콘텐츠 처리장치와,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와 통신 접속가능하고 적어도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와, 콘텐츠 처리장치와 통신 접속가능하고 콘텐츠 처리장치 및 콘텐츠 재생장치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구비한 통신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 처리장치는, 당해 콘텐츠 처리장치가 관리 서버에 유저 단위로 등록됨으로써, 유저 단위로 생성되는 그룹ID가,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이 보유하는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되어, 콘텐츠 데이터의 제공원을 나타내는 소스ID 중 재생이 허가된 소스ID를 리스트화한 상기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해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제어부와; 콘텐츠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기억하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하여, 콘텐츠 재생장치가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지, 및, 제2의 소스ID 리스트 내에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이 콘텐츠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부가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당해 검출부에 의해, 콘텐츠 재생장치가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 및,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 ID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되었을 때, 관리 서버에의 등록을 권하는 통지 정보를 출력하는 통지부와; 콘텐츠 재생장치의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를 접수했을 때, 관리 서버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등록을 요구하는 등록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등록 요구정보 송신부와; 관리 서버로부터 등록 요구 정보에 따라 회신된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기억되는 그룹 ID를, 콘텐츠 재생장치의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하는 그룹ID 추가부와; 콘텐츠 재생장치의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를 접수하지 않았을 때, 콘텐츠 재생장치의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는 레코더ID 추가부를 갖고, 관리 서버는, 등록 요구 정보에 따라, 콘텐츠 재생장치를 유저 단위의 등록 레코드에 등록함과 아울러,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완료 정보를 콘텐츠 처리장치에 송신하는 등록 완료 정보 송신부를 갖고 있고, 콘텐츠 재생장치는, 콘텐츠 처리장치를 거쳐서 관리 서버가 관리하는 등록된 콘텐츠 처리장치의 유저의 등록 레코드에 등록됨으로써, 콘텐츠 처리장치와 같은 그룹ID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 자신이 보유하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되고, 소스ID가 부가되어서 유통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해 제어하는 재생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츠 재생장치를 콘텐츠 처리장치에 접속했을 때에, 콘텐츠 처리장치가 콘텐츠 재생장치가 보유하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를 취득하고, 콘텐츠 재생장치의 등록 상황을 검출하고,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과 같은 레코더ID가 등록되지 않고 있으면, 콘텐츠 재생장치의 서비스 등록을 통지하고, 서비스 등록을 하지 않을 경우, 콘텐츠 처리장치는, 콘텐츠 재생장치를 자동적으로 로컬 등록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콘텐츠 재생장치의 등록 상황에 따라, 콘텐츠 처리장치는, 적확하게 로컬 또는 서비스 등록의 가부를 판단하여서, 자동적으로 로컬 등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특단의 처리가 요구되는 경우도 없어, 원활하게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다.
검출부가, 콘텐츠 재생장치가 보유하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 내에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검출하고, 또한, 콘텐츠 재생장치내에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출했을 때, 레코더ID 추가부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의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소거함과 아울러,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접속처의 콘텐츠 처리장치 이외의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의 레코더ID가 콘텐츠 재생장치의 소스ID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도, 콘텐츠 재생장치측에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콘텐츠 재생장치를 로컬 등록을 행할 수 있고, 유저는 특단의 처리가 요구되지 않아, 원활하게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다.
검출부가,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검출하고, 또한, 콘텐츠 재생장치내에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했을 때, 통지부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의 소거를 권하는 통지 정보를 출력하고; 검출부에 의해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의 소거가 검출된 후, 레코더ID 추가부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의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소거함과 아울러,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적어도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와 통신가능해서,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를 적어도 관리하는 관리 서버와 통신가능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콘텐츠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는, 당해 콘텐츠 처리장치가 관리 서버에 유저 단위로 등록됨으로써, 유저 단위로 생성되는 그룹ID가,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이 보유하는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되어, 콘텐츠 데이터의 제공원을 나타내는 소스ID 중 재생이 허가된 소스ID를 리스트화한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제어부와; 콘텐츠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기억하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하여, 콘텐츠 재생장치가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지, 및,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검출부에 의해, 콘텐츠 재생장치가 관리 서버에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 및,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고, 또한, 콘텐츠 재생장치의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가 입력되지 않았을 때, 콘텐츠 재생장치의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콘텐츠 처리 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는 레코더ID 추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검출부에 의해 콘텐츠 재생장치가 관리 서버에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 및, 검출부에 의해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 콘텐츠 처리장치는, 관리 서버에의 등록을 권하는 통지 정보를 출력하는 통지부와; 콘텐츠 재생장치의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의 입력을 접수했을 때, 관리 서버에, 콘텐츠 재생장치의 등록을 요구하는 등 록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와; 관리 서버로부터 등록 요구 정보에 따라 회신된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등록된 그룹ID를, 콘텐츠 재생장치의 제2의 소스1D리스트에 추가하는 그룹ID 추가부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검출부에 의해 콘텐츠 재생장치가 관리 서버에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 및 검출부에 의해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 콘텐츠 처리장치는, 관리 서버에의 등록을 권하는 통지 정보를 출력하는 통지부와; 콘텐츠 재생장치의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의 입력을 접수했을 때, 관리 서버에, 콘텐츠 재생장치의 등록을 요구하는 등록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와; 관리 서버로부터 등록 요구 정보에 따라 회신된 등록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등록된 그룹ID를, 콘텐츠 재생장치의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하는 그룹ID 추가부를 더 구비하도록 하여도 된다.
검출부가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검출하고, 또한,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콘텐츠 재생장치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상기 검출부가 검출했을 때, 레코더ID 추가부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의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소거함과 아울러,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검출부가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검출하고, 또한,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콘텐츠 재생장치내에 존재하는 것을 상기 검출부가 검출했을 때, 콘텐츠 처리장치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의 소거를 권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통지부를 구비하고, 검출부가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소거된 것을 검출한 후, 레코더ID 추가부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의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소거함과 아울러,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검출부에 의해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이 관리 서버에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및, 검출부에 의해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 이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 콘텐츠 처리장치는, 관리 서버에의 등록을 권하는 통지 정보를 출력하는 통지부와; 콘텐츠 재생장치 및/또는 콘텐츠 처리장치의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의 입력을 접수했을 때, 관리 서버에, 콘텐츠 재생장치 및/또는 콘텐츠 처리장치의 등록을 요구하는 등록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와; 관리 서버로부터 등록 요구 정보에 따라 회신된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그룹ID를 등록하고, 및/또는 콘텐츠 재생장치의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하는 그룹ID 추가부를 구비하고, 그룹ID 추가부는,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의 레코더ID가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등록된 그룹ID에 속하는 것을 나타내는 그룹 증명서를 발행하도록 더 구성해도 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콘텐츠 처리장치와, 콘텐츠 처리장치와 통신 접속가능하고 적어도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와, 콘텐츠 처리장치와 통신 접속가능하고 콘텐츠 처리장치 및 콘텐츠 재생장치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처리장치는, 당해 콘텐츠 처리장치가 관리 서버에 유저 단위로 등록됨으로써, 유저 단위로 생성되는 그룹ID가,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이 보유하는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되어, 콘텐츠 데이터의 제공원을 나타내는 소스ID 중 재생이 허가된 소스ID를 리스트화한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하여 제어하는 재생 제어 기능을 가지고, 콘텐츠 재생장치는, 콘텐츠 처리장치를 거쳐서 관리 서버가 관리하는 등록된 콘텐츠 처리장치의 유저의 등록 레코드에 등록됨으로써, 콘텐츠 처리장치와 같은 그룹ID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 자신이 보유하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되고, 소스ID가 부가되어서 유통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해 제어하는 재생 제어 기능을 갖고 있고, 콘텐츠 처리장치는, 콘텐츠 재생장치와의 통신 접속을 검출하면, 콘텐츠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기억하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를 취득하고; 콘텐츠 처리장치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하여, 콘텐츠 재생장치가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지, 및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콘텐츠 처리장치가 콘텐츠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부가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검출하고; 콘텐츠 처리장치는, 콘텐츠 재생장치가 관리 서버에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 및,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상기 레코더ID가 등록되 지 않고 있는 것을 검출했을 때, 관리 서버에의 등록을 권하는 통지 정보를 출력하고; 콘텐츠 처리장치는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를 접수했을 때, 관리 서버에 대하여 콘텐츠 재생장치의 등록을 요구하는 등록 요구 정보를 송신하고; 관리 서버는, 등록 요구 정보에 따라, 유저 단위의 등록 레코드에 콘텐츠 재생장치를 등록함과 아울러,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를 콘텐츠 처리장치에 송신하고; 콘텐츠 처리장치는,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기억되는 그룹ID를, 콘텐츠 재생장치의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하고; 콘텐츠 처리장치는,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를 접수하지 않았을 때, 콘텐츠 재생장치의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레코더ID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콘텐츠 처리장치가,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검출하고, 또한, 콘텐츠 재생장치내에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출했을 때, 콘텐츠 처리장치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의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소거함과 아울러,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콘텐츠 처리장치가,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검출하고, 또한, 콘텐츠 재생장치내에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했을 때, 콘텐츠 처리장치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의 소거를 권하는 통지 정보를 출력하고; 콘텐츠 처리장치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 가 소거된 것을 검출한 후,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의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소거함과 아울러,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적어도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와 통신가능하고,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를 적어도 관리하는 관리 서버와 통신가능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콘텐츠 처리장치의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콘텐츠 처리장치는, 당해 콘텐츠 처리장치가 관리 서버에 유저 단위로 등록됨으로써, 유저 단위로 생성되는 그룹ID가,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이 보유하는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되고, 콘텐츠 데이터의 제공원을 나타내는 소스ID를 리스트화한 소스ID 리스트 중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해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상기 통신 방법은, 콘텐츠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기억하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취득 스텝에 의해 취득된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하여, 콘텐츠 재생장치가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지, 및,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 스텝과; 검출 스텝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장치가 관리 서버에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 및,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한 레코더ID가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고, 또한, 콘텐츠 재생장치의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가 입력되지 않았을 때, 콘텐츠 재생장치의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한(로컬 등록)레코더 ID 추가 스텝 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검출 스텝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장치가 관리 서버에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 및,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통신방법은, 관리 서버에의 등록을 권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통지 스텝과; 콘텐츠 재생장치의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의 입력을 접수했을 때, 관리 서버에, 콘텐츠 재생장치의 등록을 요구하는 등록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등록 요구 정보 송신스텝과; 관리 서버로부터 등록 요구 정보에 따라 회신된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등록된 그룹ID를,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하는 그룹ID 추가 스텝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검출 스텝에 있어서,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검출하고, 또한,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콘텐츠 재생장치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출했을 때, 레코더ID 추가 스텝에서는,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의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소거함과 아울러,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검출 스텝에 있어서,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검출하고, 또한,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내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통신방법은,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의 소거를 권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통지 스텝을 더 포함하고, 검출 스텝에서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소거된 것을 검출한 후, 레코더ID 추가 스텝에서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의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 ID를 소거함과 아울러,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검출 스텝에 있어서,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이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 및,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통신방법은, 관리 서버에의 등록을 권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통지 스텝과; 콘텐츠 재생장치 및/또는 콘텐츠 처리장치의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의 입력을 접수했을 때, 관리 서버에, 콘텐츠 재생장치 및/또는 콘텐츠 처리장치의 등록을 요구하는 등록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등록 요구 정보송신 스텝과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 요구 정보에 따라 회신된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등록된 그룹ID를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하는 그룹ID 추가스텝을 포함하고, 그룹ID 추가 스텝은,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의 레코더ID가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등록된 그룹ID에 속하는 것을 나타내는 그룹 증명서를 발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컴퓨터를 하 고,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콘텐츠 처리장치와,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와 통신 접속가능하고 적어도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와,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와 통신 접속가능하고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및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하여, 콘텐츠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기억하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를 취득하는 취득 처리와; 취득된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지, 및,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이 콘텐츠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부가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처리와; 콘텐츠 재생장치가 관리 서버에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 및,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을 권하는 통지 정보를 출력하는 통지 처리와; 콘텐츠 재생장치의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를 접수했을 때, 관리 서버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등록을 요구하는 등록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등록 요구 정보 송신처리와; 관리 서버로부터 등록 요구 정보에 따라 회신된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처리와;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기억되는 그룹ID를,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하는 그룹ID 추가 처리와; 콘텐츠 재생장치의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를 접수하지 않았을 때(예를 들면, 소정 시간내에 요구가 없었거나 또는 등록 요구를 거부하는 지시를 접수했을 때 등), 콘텐츠 재생장치의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는 (로컬 등록) 레코더ID 추가처리를 실행시켜, 관리 서버에 대하여, 등록 요구 정보에 따라,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를 유저 단위의 등록 레코드에 등록함과 아울러,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를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에 송신하는 등록 완료 정보 송신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컴퓨터를 하고, 적어도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와 통신가능해서,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를 적어도 관리하는 관리 서버와 통신가능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및/ 또는 재생하는 콘텐츠 처리장치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하여, 콘텐츠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기억하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를 취득하는 취득처리와; 취득된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하여, 콘텐츠 재생장치가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지, 및,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처리와; 콘텐츠 재생장치가 관리 서버에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 및,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고, 또한, 콘텐츠 재생장치의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가 입력되지 않았을 때, 콘텐츠 재생장치의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는 (로컬 등록) 레코더ID 추가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츠 재생장치 또는 콘텐 츠 처리장치 등의 기기를 미리 등록 해두면, 이용자가 보유하는 복수의 기기의 등록 또는 해제를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그룹 등록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주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6a는, 동 실시예에 관한 그룹 관리 방식의 콘텐츠와,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콘텐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b는, 동 실시예에 관한 그룹 관리 방식의 콘텐츠와,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콘텐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은,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부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8은, 동 실시예에 관한 리스트 관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0은,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1은, 동 실시예에 관한 서버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2는, 동 실시예에 관한 그룹 등록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3은,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공유 방법의 기본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다.
도14는,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PC)의 그룹 등록 처리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다.
도15는,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PC)의 그룹 등록 해제 처리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다.
도16은,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PD)의 그룹 등록 처리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다.
도17은,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PD)의 그룹 등록 해제 처리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다.
도18은,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PC)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방식의 콘텐 츠 재생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9는,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소스 ID 리스트 갱신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20a는, 동 실시예에 관한 로컬 등록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0b는, 동 실시예에 관한 로컬 등록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0c는, 동 실시예에 관한 로컬 등록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a는, 동 실시예에 관한 로컬 등록 또는 서비스 등록에 있어서의 소스 ID 리스트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1b는, 동 실시예에 관한 로컬 등록 또는 서비스 등록에 있어서의 소스 ID 리스트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1c는, 동 실시예에 관한 로컬 등록 또는 서비스 등록에 있어서의 소스 ID 리스트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2는,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의 그룹 등록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3은,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 또는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한 등록 처리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24는,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 또는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한 등록 처리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25는,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 또는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한 등록 처리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26은, 동 실시예에 관한 경고 화면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7은, 동 실시예에 관한 경고 화면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8은, 동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등록 처리시의 입력 화면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9는,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그룹 관리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0은,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를 서비스 등록하는 개략을 나타내는 시퀸스도이다.
도31은,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를 서비스 등록하는 개략을 나타내는 시퀸스도이다.
도32는,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3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콘텐츠 처리장치 내의 콘텐츠의 타이틀 리스트를 표시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34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콘텐츠 처리장치 내의 재생 불가능 콘텐츠의 삭제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35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콘텐츠 재생장치 내의 콘텐츠의 타이틀 리스트를 표시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36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콘텐츠 재생장치 내의 재생 불가능 콘텐츠의 삭제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37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 내의 콘텐 츠를 재생시키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38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콘텐츠 재생장치 내의 콘텐츠의 타이틀 리스트를 표시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39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콘텐츠 재생장치 내의 콘텐츠의 타이틀 리스트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화면 레이아웃이다.
도40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콘텐츠 재생장치 내의 콘텐츠의 타이틀 리스트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화면 레이아웃이다.
도41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타이틀 리스트의 다른 표시예를 나타내는 화면 레이아웃이다.
도42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타이틀 리스트의 다른 표시예를 나타내는 화면 레이아웃이다.
도43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타이틀 리스트의 다른 표시예를 나타내는 화면 레이아웃이다.
도44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재생 불가능 콘텐츠의 삭제처리가 행해질 경우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화면 레이아웃이다.
도45는,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46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콘텐츠 재생장치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에의 콘텐츠 전송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47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콘텐츠 재생장치의 전송 모드의 판단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48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방식에서의 콘텐츠 재생장치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에의 콘텐츠 전송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49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에서의 콘텐츠 재생장치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에의 체크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50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에의 콘텐츠 전송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51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방식에서의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에의 콘텐츠 전송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52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에서의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에의 체크아웃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53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전송을 유저에게 행하게 하기 위해서 표시되는 화면의 레이아웃예이다.
도54는,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PD)에 있어서의 콘텐츠 재생 제어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55는,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PD)에 있어서의 콘텐츠 재생 제어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6a는,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PD)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타이틀 리스트를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56b는,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PD)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타이틀 리스트를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56c는, 동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PD)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타이틀 리스트를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그 구성요소 에 관하여 설명한다.
<1.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의 개요>
우선, 본 실시예에 관한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에 대응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복수의 기기(콘텐츠 처리장치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 등) 사이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이용을 관리하고,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저작권 관리 시스템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인터넷 등을 통한 콘텐츠의 대량 배포 행위 등이라고 하는 콘텐츠의 위법 이용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상이한 유저가 소유하는 기기 사이에서는, 콘텐츠의 공유를 제한한다.
한편으로, 이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동일한 유저 (예를 들면, 단독 유저 뿐만 아니라, 가족, 친구, 회사의 동료 등의 한정된 범위의 유저 그룹을 포함한다. 이하 동일하다.)가 소유하는 복수의 기기 사이에서는, 콘텐츠를 어느 정도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는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실현하는 시스템으로서도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저작권 관리를 행하면서도, 사적이용의 범위 내에서는 콘텐츠의 공유를 인지하고, 동일 유저가 소유하는 복수의 기기 사이에서의 콘텐츠 공유의 편리성,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한 저작권 관리 방식(후술하는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 스킴)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SDMI 준거의 「체크인·체크아웃 방식」만에 대응한 종래의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서는, 콘텐츠의 이용 권한을 정한 권리정보인 라이센스에 의거하여, 「콘텐츠 단위」로 콘텐츠의 복사수(체크인·체크아웃 회수)를 제한함으로써, 콘텐츠의 위법 이용을 제한하고 있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콘텐츠 처리장치 사이에서 콘텐츠를 복사(체크인·체크아웃)할 때마다 저작권 관리 처리를 행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시스템 구성이 복잡하고 처리가 늦어져, 사적사용의 범위 내에서의 콘텐츠 이용의 자유도가 낮아 편리성이 부족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서는, 유저는, 항상 콘텐츠의 복사원이나 복사 회수를 의식해서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또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본래의 목적인 「타인이 소유하는 기기에의 콘텐츠의 복사 방지」는, 실현되지 않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상기 종래의 체크인 ·체크아웃 방식 뿐만 아니라,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를 실행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서는, 콘텐츠 이용의 관리 단위를, 「콘텐츠의 제공원 (source; 소스)」 단위(구체적으로는 「콘텐츠를 최초로 소유한 유저 단위」 또는 「콘텐츠를 작성한 기기 단위」)로 하고, 각 기기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재생을, 콘텐츠의 제공원에 따라 허가/ 불허가한다고 하는 저작권 관리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서는, 각 유저가 소유하는 복수의 기기를 그룹 관리 서버에 유저 단위로 그룹 등록하고, 그룹 등록된 각 기기에 있어서, 콘텐츠의 제공원을 나타내는 소스 ID와, 소스 ID 리스트에 의거하여,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유저의 기기 그룹에 등록된 기기 사이에서는, 동일한 제공원의 콘텐츠를 자유롭게 복사해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또, 콘텐츠는, 예를 들면, 음악, 강연, 라디오 프로그램 등의 음성(Audio) 콘텐츠나, 영화, 텔레비젼 프로그램, 비디오 프로그램, 사진, 회화, 도표 등을 구성하는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으로 이루어진 영상(Video) 콘텐츠, 전자도서(E-book), 게임, 소프트웨어 등, 임의의 콘텐츠라도 좋다. 이하에서는, 콘텐츠로서, 음성 콘텐츠, 특히, 분배 서버로부터 분배된, 또는 음악 CD로부터 리핑된 음악 콘텐츠의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도 1에 의거하여, 상기와 같은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를 행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에 있어서의 그룹 등록의 개 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의 그룹 등록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텐츠 처리장치(PC) 10-1, 2 및 콘텐츠 재생장치(PD) 20-1, 2는, 예를 들면, 유저 A가 소유하는 기기 그룹(콘텐츠 처리장치 10-1, 콘텐츠 재생장치 20-1)과, 유저 B가 소유하는 기기 그룹(콘텐츠 처리장치 10-2, 콘텐츠 재생장치 20-2)으로 그룹화되어 있다. 이러한 기기의 그룹화는, 그룹 관리 서버(32)에 대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콘텐츠 재생장치(20)를, 유저 단위로 그룹 등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그룹 등록에 대해서, 유저 A가 소유하는 콘텐츠 처리장치(PC) 10-1의 예를 들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유저 A는, 자신이 소유하는 콘텐츠 처리장치 10-1을 사용해서 그룹 관리 서버(32)에 액세스하고, 유저 인증 처리를 행하여, 콘텐츠 처리장치 10-1의 기기 ID(예를 들면 터미널 ID)을 그룹 관리 서버(32)에 송신한다. 다음에, 그룹 관리 서버(32)는,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 10-1의 기기 ID를 유저 A에 관련시켜 보존하고, 콘텐츠 처리장치 10-1을 유저 A의 기기 그룹에 그룹 등록한다. 또한, 그룹 관리 서버(32)는, 콘텐츠 처리장치 10-1에 대하여, 유저 A를 나타내는 유저 식별 정보(예를 들면, 후술하는 리프 ID)를 송신하고, 콘텐츠 처리장치 10-1은, 수신한 유저 식별 정보를 자기의 기억 수단에 격납한다. 같은 방법으로,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도 그룹 등록된다. 또, 콘텐츠 재생장치(PD) 20의 그룹 등록은, 콘텐츠 처리장치(PC) 10을 개재해서 행해지지만,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이러한 그룹 등록에 있어서는, 1개의 기기(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콘텐츠 재생장치(20))는, 단일의 유저의 기기 그룹에만 등록할 수 있고, 다른 유저의 기기 그룹에 동시에 등록할 수 없다. 따라서, 콘텐츠 처리장치 10-2의 소유자가 유저 A로부터 유저 B로 변경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 10-2의 그룹 등록을 변경, 즉, 유저 A의 기기 그룹으로부터의 등록 해제 및 유저 B의 기기 그룹에의 재등록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유저 A가 콘텐츠 처리장치 10-3을 신규로 구입했을 경우에는, 이 콘텐츠 처리장치 10-3은 그룹 미소속의 상태이므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 10-3을, 유저 A의 기기 그룹에 그룹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이미 유저 A의 기기 그룹에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 처리장치 10-1을, 그룹 등록 해제해서 그룹 미소속으로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에서는, 그룹 관리 서버(32)에 대하여, 기기를 소유하는 유저 단위로 각 기기를 그룹 등록한다. 이 결과, 동일 유저의 기기 그룹에 등록된 기기 사이에서는, 콘텐츠를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유저의 기기 그룹에 등록된 기기 사이에서는, 콘텐츠를 공유할 수 없다.
여기에서, 도 2에 의거하여, 이러한 콘텐츠 공유의 관리 방법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의 주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은, 소스 ID 부가부(1)와, 콘텐츠 재생부(2)와, 리스트 관리부(3)를, 주된 구성요소로 하 고 있다.
소스 ID 부가부(1)는, 예를 들면, 콘텐츠 처리장치(10) 등에 설치되어, 콘텐츠에, 콘텐츠의 제공원을 나타내는 소스 ID를 부가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 「콘텐츠에 소스 ID를 부가한다 」란, 콘텐츠에 소스 ID를 관련시킨다고 하는 의미이며, 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콘텐츠 파일) 내에 소스 ID의 데이터를 추가하는 처리나, 상기 콘텐츠 파일과, 소스 ID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관련시키는 처리 등을 포함한다.
또, 「콘텐츠의 제공원」은,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 내에서 공유되는 콘텐츠의 개인 유저 레벨에서의 출처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콘텐츠의 제공원은, 예를 들면, (1) 콘텐츠 분배 서비스를 이용해서 콘텐츠를 취득(구입 등)한 유저, (2) 리핑 또는 셀프 레코딩 등에 의해 콘텐츠를 작성한 콘텐츠 처리장치(10) 등이다. 상기 소스 ID는, 이러한 콘텐츠 제공원마다 고유하게 부여되는 식별자이다. 이 소스 ID를 콘텐츠에 부가함으로써, 시스템 내에서 유통하는 콘텐츠의 제공원을 특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소스 ID로서, 예를 들면, 레코더 ID와, 그룹 ID를 사용한다. 레코더 ID는, 콘텐츠 처리장치(10)를 콘텐츠의 제공원으로 할 경우의 소스 ID이며, 그룹 ID는, 유저를 콘텐츠의 제공원으로 할 경우의 소스 ID이다.
레코더 ID는, 콘텐츠의 리핑(ripping) 기능을 가지는 콘텐츠 처리장치(10)(PC 등) 단위로 고유하게 부여되는 식별자이다. 이 레코더 ID는, 상기 리핑 기능을 가지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의해,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기기 ID 등 에 의거하여 생성되어,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 내에 안전하게 보존되어 있다.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음악 CD 등의 리무버블 기억매체로부터, 콘텐츠를 리핑하였을 때에, 리핑된 콘텐츠(이하 「리핑 콘텐츠」라고 한다.)에 대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의 레코더 ID를 부가한다. 따라서, 이러한 레코더 ID에 의해, 리핑 콘텐츠의 작성원(즉, 콘텐츠의 제공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를 특정할 수 있다.
또, 그룹 ID는, 콘텐츠 처리장치(10) 및/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를 소유하는 유저 단위로 고유하게 부여되는 식별자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그룹 ID는,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콘텐츠 공유 서비스의 유저 어카운트 단위로 부여된다. 이러한 그룹 ID에 의해,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가 소속하는 기기 그룹, 및 이들의 소유자를 식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그룹 ID는, 예를 들면,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의해,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등록시, 또는 분배 콘텐츠의 수신시에, 리프 ID(leaf ID)에 의거하여 생성된다. 이 리프 ID는, 유저 단위로 부여되는 식별자이며, 예를 들면, 그룹 관리 서버(32)에 대한 유저 등록시에, 그룹 관리 서버(32)에 의해 생성된다. 이러한 리프 ID는, 유저 식별 정보의 일례로서 구성되어 있고, 각 기기의 그룹 등록시나 콘텐츠 분배시에, 그룹 관리 서버(32)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 통지된다.
콘텐츠 처리장치(10)는, 그룹 관리 서버(32)로부터 통지된 리프 ID 및 서비스 ID에 의거하여, 그룹 ID를 생성한다. 이 서비스 ID는,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에 있어서 실현되는 콘텐츠 분배 서비스 또는 리핑 콘텐츠 공유 서비스 단위로 고 유한 ID이다. 여기에서, 콘텐츠 분배 서비스는, 콘텐츠 분배 서버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콘텐츠를 분배하는 서비스이다. 또, 리핑 콘텐츠 공유 서비스는, 상기 그룹 등록을 행함으로써, 리핑 콘텐츠를, 동일 유저 소유의 복수의 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콘텐츠 재생장치(20) 사이에서 공유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예를 들면, 이 콘텐츠 분배 서비스 및 리핑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따로 관리하지 않고, 양쪽의 서비스에 공통인 서비스 ID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서비스 ID와 리프 ID를 결합시켜서, 1종류의 그룹 ID가 생성된다.
「그룹 ID」= 「서비스 ID」+ 「리프 ID」
한편, 콘텐츠 분배 서비스와 리핑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따로 관리할 경우에는, 콘텐츠 분배 서비스 단위로 고유한 콘텐츠 분배 서비스 ID와, 리핑 콘텐츠 공유 서비스 단위로 고유한 리핑 콘텐츠 공유 서비스 ID가 생성된다. 이 때문에, 다음과 같이 각 서비스의 서비스 ID와 리프 ID를 각각 결합시켜서, 각 서비스에 대응한 2종류의 그룹 ID가 생성된다.
「제1 그룹 ID」= 「콘텐츠 분배 서비스 ID」+ 「리프 ID」
「제2 그룹 ID」= 「리핑 콘텐츠 공유 서비스 ID」+ 「리프 ID」
이중에서 제1 그룹 ID는, 콘텐츠 분배 서버로부터 분배되는 분배 콘텐츠를 구입한 유저를 식별하기 위해서, 해당 분배 콘텐츠에 부가된다. 또, 제2 그룹 ID는, 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콘텐츠 재생장치(20) 사이에서 리핑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해서, 후술하는 소스 ID 리스트에 레코더 ID를 추가할 때에, 추가의 가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제1 그룹 ID와 제2 그룹 ID를 생성하는 후자의 방법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그룹 ID와 제2 그룹 ID를 구별하지 않고, 양쪽을 그룹 ID로 표현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그룹 ID는, 예를 들면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의해, 콘텐츠 분배 서버로부터 분배된 분배 콘텐츠에 부가된다. 이렇게 그룹 ID를 분배 콘텐츠에 부가 함으로써, 해당 분배 콘텐츠의 구입원(즉, 콘텐츠의 제공원)의 유저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콘텐츠 처리장치(10)가 가지는 소스 ID 부가부(1)에 의해 소스 ID(레코더 ID, 그룹 ID)이 부가된 콘텐츠는, 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콘텐츠 재생장치(20) 사이에서, 자유롭게 복사가능하다. 즉,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서는, 소스 ID가 부가된 콘텐츠(즉, 저작권 관리 대상의 콘텐츠)의 복사시에, 종래의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 시스템과 같은, 복사 회수의 제한 처리가 행해질 일은 없다.
다음에, 콘텐츠 재생부(2)는, 콘텐츠의 재생기 또는 재생 소프트웨어 등에서 구성되어,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설치된다. 이 콘텐츠 재생부(2)는, 해당 콘텐츠 재생부에 있어서 재생을 허가된 소스 ID가 추가되는 소스 ID 리스트 L을 가지고 있다. 이 소스 ID 리스트 L은, 콘텐츠 재생부(2)마다 각각 설정되는 것이며, 콘텐츠 재생부(2)가 다르면, 각각의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는 소스 ID도 다르다.
콘텐츠 재생부(2)는, 상기 소스 ID가 부가된 콘텐츠를 재생할 때에는, 상기 소스 ID 리스트 L을 체크하여, 해당 콘텐츠의 재생을 가능화/불능화한다. 즉, 콘텐츠 재생부(2)는,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가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고, 한편,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가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를 재생할 수 없다. 이렇게, 콘텐츠 재생부(2)는, 소스 ID 단위, 즉 콘텐츠 제공원 단위로,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한다.
더욱이, 콘텐츠 재생부(2)는, 예를 들면, 리스트 관리부(3)에 대하여, 자기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에의 신규 소스 ID의 추가를 요구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재생부(2)는, 자신이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신규한 소스 ID가 부가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소스 ID 리스트 L에 해당 신규한 소스 ID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콘텐츠 재생부(2)는, 소스 ID 리스트 L의 갱신을 허가하는 리스트 관리부(3)에 대하여, 해당 신규 소스 ID의 추가 허가를 요구한다.
리스트 관리부(3)는, 예를 들면, 콘텐츠 처리장치(10) 내에 설치되고, 상기 콘텐츠 재생부(2)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을 갱신한다. 여기에서, 소스 ID 리스트 L의 갱신이란, 소스 ID 리스트 L에 대한 소스 ID의 추가, 삭제이다. 리스트 관리부(3)는, 소스 ID 리스트 L에 대하여 소스 ID를 추가/삭제함으로써, 콘텐츠 재생부(2)에 있어서의 해당 소스 ID가 부가된 콘텐츠의 재생을 가능화/불능화할 수 있다.
이러한 리스트 관리부(3)는, 그룹 ID와 레코더 ID가 관련된 공유 정보인 그 룹 증명서(Group Certificate) G를 취득하고, 이러한 그룹 증명서 G에 의거하여 소스 ID 리스트 L을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리스트 관리부(3)는, 그룹 증명서 G 내에 포함되는 그룹 ID가 상기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는 그룹 ID와 동일할 경우에는, 그룹 증명서 G 내에 포함되는 레코더 ID를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유저의 기기 그룹에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더 ID를,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하고, 이러한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리핑한 리핑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에서는, 상기 소스 ID 부가부(1), 콘텐츠 재생부(2) 및 리스트 관리부(3)에 의해, 각 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함으로써, 콘텐츠 처리장치(10) 사이에서 복사되는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다. 또, 이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은, 상기와 같은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 뿐만 아니라, 종래의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2. 시스템 구성>
다음에, 도 3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의 전체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 3은,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은, 예 를 들면, 복수의 콘텐츠 처리장치 10-1, 2,…, n,(이하에서는 「콘텐츠 처리장치(10)」로 총칭할 경우도 있다.)과, 복수의 콘텐츠 재생장치 20-1,2,…,m, n,(이하에서는 「콘텐츠 재생장치(20)」으로 총칭할 경우도 있다)와, 서버(30)와, 이들 장치를 서로 접속하는 네트워크(5) 및 로컬 라인(9)과, 기억매체(7)로 구성된다. 서버(30)는, 예를 들면, WWW(World Wide Web) 서버(31), 그룹 관리 서버(32), 콘텐츠 분배 서버(34), 증명서 관리 서버(36), 과금 서버(38) 등을 포함한다.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를 기록 및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PC) 등의 컴퓨터 장치(노트형, 데스크톱형을 묻지 않는다)로 구성되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5)를 개재한 통신기능을 가지는 기기이면, 예를 들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가정용 게임기, 정보가전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5)를 통해 서버(30)와의 사이에서 통신 접속가능하다. 이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예를 들면, 콘텐츠 분배 서비스용의 소프트웨어나, 리핑 콘텐츠 공유 서비스용의 소프트웨어를 인스톨가능하다. 이에 따라,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분배 서버(34)로부터 콘텐츠의 분배를 받고, 이 분배 콘텐츠를 스토리지 장치나 기억매체(7) 등의 기록 수단에 기록 할 수 있다.
또,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예를 들면, 셀프 레코딩(자기녹음, 녹화 등)이나 리핑 등에 의해, 신규로 콘텐츠를 작성하고, 스토리지 장치나 기억매체(7)에 기록할 수 있다. 또, 셀프 레코딩이란,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이 가지는 촬상장치 /집음장치에 의해 촬영/집음된 영상/음성 등을, 영상/음성의 디지털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또, 리핑이란, 음악 CD, 비디오 DVD, 소프트웨어용 CD-ROM 등의 기억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 형식의 콘텐츠 데이터(음성 데이터나 영상 데이터 등)를 추출하여, 컴퓨터로 처리가능한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고, 스토리지 장치나 기억매체(7)에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상기 분배 콘텐츠 및 리핑 콘텐츠를, 예를 들면, ATRAC3(소니 주식회사의 등록상표)(Advanced Transform Acoustic Coding 3) 방식, 또는 MP3(MPEG Audio Layer-3)방식 등의 소정의 압축 부호화방식으로 압축 부호화하고, DES(Data Encryption Standard) 등의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해서 기록할 수 있다.
더욱이,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상기 분배 콘텐츠나 리핑 콘텐츠를,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 사이에서, 네트워크(5)나 로컬 라인(9)을 통해 송수신하거나, 또는 기억매체(7)를 통해 교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콘텐츠 처리장치(10), 콘텐츠 재생장치(20) 사이에서, 콘텐츠를 제공/취득하고,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또, 콘텐츠 처리장치(10)는, 네트워크(5)를 개재해서 접속된 그룹 관리 서버(32)에 대하여 그룹 등록된다. 또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은 소스 ID 부가부(1), 콘텐츠 재생부(2) 및 리스트 관리부(3)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이렇게,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상기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 방식에 대응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콘텐츠 처리장치(10) 는, 예를 들면, 종래의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 방식에도 대응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지만,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콘텐츠 재생장치(20)는, 휴대형의 콘텐츠 재생장치인 포터블 디바이스(PD)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재생장치(20)는, 예를 들면 몇십 GB의 기억 용량을 가지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를 구비한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 등으로 구성되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형 영상/음성 플레이어, PDA, 휴대전화, PHS 등, 각종의 휴대가능한 장치이여도 좋다. 또,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기억매체, 또는 장전가능한 외부기억매체(7)는, ADD에 한하지 않고, 광 디스크, 광자기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FeRAM, 및, 자기 메모리 등, 랜덤 액세스 가능한 기억매체이면 개의치 않는다. 또, 이 콘텐츠 재생장치(20)는, 콘텐츠 재생 전용기이여도 좋다.
이 콘텐츠 재생장치(20)는, 예를 들면, 로컬 라인(9)을 통해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로컬로 접속가능하며, 콘텐츠 처리장치(10)와의 사이에서 각종의 데이터를 통신가능하다. 이 로컬 라인(9)은, 예를 들면,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케이블 등의 유선 케이블 등으로 구성된다. 또, 콘텐츠 처리장치(10)와 콘텐츠 재생장치(20)는, 무선통신으로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콘텐츠 재생장치(20)는, 로컬 라인(9)을 통해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나, 기억매체(7)에 의해 제공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 콘텐츠 재생장치(20)는, 콘텐츠 처리장치(10)를 개재하여, 그룹 관리 서 버(32)에 대하여 그룹 등록된다. 또, 콘텐츠 재생장치(20)는, 예를 들면, 전술한 콘텐츠 재생부(2)에 해당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렇게, 콘텐츠 재생장치(20)는, 상기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 방식에 대응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장치(20)는,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 방식에도 대응하고 있어,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의한 설정에 따라 그룹 관리 방식과,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을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서버(30)는, 서버 기능을 갖춘 컴퓨터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이 서버(30)는, 예를 들면, WWW 서버(31)와, 그룹 관리 서버(32)와, 콘텐츠 분배 서버(34)와, 증명서 관리 서버(36)와, 과금 서버(38) 등을 포함한다.
WWW 서버(31)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해 온 콘텐츠 처리장치(10)와의 통신을 확립하고, 유저 등록 처리, 유저 인증 처리 등을 행한다. 유저 인증이 완료했을 경우에는, WWW 서버(31)는, 콘텐츠 처리장치(10)를 그룹 관리 서버(32) 또는 콘텐츠 분배 서버(34)와 접속시킨다.
그룹 관리 서버(3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저 등록된 유저가 소유하는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의 등록 요구에 따라, 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콘텐츠 재생장치(20)를 유저 단위로 그룹 등록한다.
콘텐츠 분배 서버(34)는, 콘텐츠 분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며, 유저가 소유하는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의 분배 요구에 따라,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네트워크(5)를 통해 콘텐츠를 분배한다. 이 콘텐츠 분배 서버(34)는, 예를 들면, 전자 음악 분배(EMD; Electronic Music Distribution) 서비스를 제공하는 EMD 서버 등이다. 이 콘텐츠 분배 서버(34)는, 분배 대상의 음악 콘텐츠를, 예를 들면, ATRAC3 방식 또는 MP3 방식 등의 압축 부호화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하고, DES 등의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한 후에,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분배한다. 또, 콘텐츠 분배 서버(34)는, 암호화된 분배 콘텐츠와 함께, 해당 분배 콘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콘텐츠 키를 암호화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송신한다.
증명서 관리 서버(36)는, 각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발행한 그룹 증명서 G를 취득해서 관리하고, 동일 기기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배포한다. 이에 따라, 콘텐츠 처리장치(10)는, 동일 기기 그룹에 속하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더 ID를 추가하여, 리핑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과금 서버(38)는,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34)에 의한 콘텐츠의 분배에 따라, 콘텐츠를 구입한 유저에 대하여 과금처리를 행한다.
이들 WWW 서버(31), 그룹 관리 서버(32), 콘텐츠 분배 서버(34), 증명서 관리 서버(36), 과금 서버(38)는, 그것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드웨어로서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각각 따로따로의 서버 장치로 구성되어도 좋다.
네트워크(5)는,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서버(30)를 쌍방향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는 통신 회선망이다. 이 네트워크(5)는, 예를 들면, 인터넷, 전화 회선망, 위성통신망 등의 공중회선망이나, WAN, LAN, IP-VPN 등의 전용 회선망 등으로 구성되고 있고, 유선·무선을 묻지 않는다.
더욱이, 이러한 네트워크(5)는, 사적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사적 네트워크란, 저작권 관리의 관점에서 보아서, 사적사용의 범위 내에서 콘텐츠를 공 유하는 복수의 콘텐츠 처리장치(10)를 서로 접속하는 네트워크다. 이러한 사적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동일 유저에 의해 사용되는 복수의 콘텐츠 처리장치(10)를 접속하는 네트워크나, 동일한 가정 내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콘텐츠 처리장치(10)를 접속하는 홈 네트워크, 소규모의 한정된 그룹(회사, 친구 등) 내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콘텐츠 처리장치(10)를 접속하는 LAN 등을 들 수 있다.
기억매체(7)는, 콘텐츠, 그룹 증명서 G, 프로그램 등의 각종 데이터를 격납하는 것이 가능한 리무버블 미디어이며, 예를 들면, DVD-R, DVD-RW, DVD-RAM, CD-R, CD-RW, 광자기디스크 등의 각종의 광 디스크이나,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 각종의 반도체 메모리 등이다. 또, 이 기억매체(7)는, 예를 들면, 암호 키 등을 이용하여 콘텐츠의 복사나 재생 등을 제한하는 저작권 관리기능을 갖는 기억매체이여도 좋다.
이 기억매체(7)는, 콘텐츠 처리장치(10) 사이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제공/취득 매체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콘텐츠 처리장치 10-1에 의해 콘텐츠가 기록된 기억매체(7)를, 콘텐츠 처리장치 10-2에 로딩해서 해당 콘텐츠를 판독함으로써, 콘텐츠 처리장치 10-1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 10-2에 대하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처리장치 10-1은, 네트워크(5)에 접속 불능한 콘텐츠 재생장치(20)와의 사이에서도, 기억매체(7)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취득 할 수 있다. 또, 이 기억매체(7)는, 콘텐츠 처리장치(10) 사이에 있어서의 그룹 증명서 G의 제공/취득 매체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이 기억매체(7)는, 판매점의 점두 등에 설치된 콘텐츠 판매 단말(도시 생략)에 삽입되어, 유저 조작에 따라 구입된 콘텐츠를 기억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3. 콘텐츠 처리장치(PC)>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PC)(1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과, ROM(Read Only Memory)(102)와, RAM(Random Access Memory)(103)과, 호스트 버스(104)와, 브리지(105)와, 외부 버스(106)와, 인터페이스(107)와, 입력장치(108)와, 출력장치(110)와, 스토리지 장치(ADD)(111)와, 드라이브(112)와, 접속 포트(114)와, 통신장치(115)를 구비한다.
CPU(101)는, 연산 처리장치 및 제어장치로서 기능하고,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 내의 각 부를 제어한다. ROM(102)은, CPU(101)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을 기억한다. RAM(103)은, CPU(101)의 실행에 있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그 실행에 있어서 적당하게 변화되는 파라미터 등을 1차 기억한다. 이것들은 CPU 버스 등으로 구성되는 호스트 버스(1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호스트 버스(104)는, 브리지(105)를 개재하고,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Interface) 버스 등의 외부 버스(106)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장치(108)는, 예를 들면, 마우스, 키보드, 터치 패널, 버튼, 스위치, 레버 등의 조작 수단과, 입력 신호를 생성해서 CPU(101)에 출력하는 입력 제어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유저는, 이 입력장치(108)를 조작함으로써,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하여 각종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 동작을 지시하거나 할 수 있다.
출력장치(110)는, 예를 들면,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장치, 액정 모니터(LCD) 장치, 램프 등의 표시장치와, 스피커 등의 음성출력장치 등에서 구성된다. 이 출력장치(110)는, 예를 들면, 재생된 콘텐츠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장치는 재생된 영상 데이터 등의 각종 정보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표시한다. 한편, 음성 출력장치는, 재생된 음성 데이터 등을 발음한다.
스토리지 장치(111)는,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기억부의 일례로서 구성된 데이터 수납용의 장치이며, 예를 들면, ADD(Hard Disk Drive)로 구성된다. 이 스토리지 장치(111)는, 하드디스크를 구동하고, CPU(1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격납한다. 또, 이 스토리지 장치(111)에는, 후술하는 도 5에 나타내는 소스 ID 리스트 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6), 자기 ID용 데이터베이스(117), 콘텐츠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18) 등이 격납되어 잇다.
드라이브(112)는, 기억매체용 리더 라이터이며,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내장, 또는 외부 부착된다. 이 드라이브(112)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로딩된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억매체(7) 에 대하여, 콘텐츠, 그룹 증명서 G, 프로그램 등의 각종 데이터를 기록/재생한다.
구체적으로는, 드라이브(112)는, 리무버블 기억매체(7)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고, 인터페이스(107), 외부 버스(106), 브리지(105), 및 호스트 버스(104)를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는 RAM(103)에 공급한다. CPU(101)는, 필요에 따라, 이들 데이터를 ROM(102) 또는 스토리지 장치(111) 등에 격납한다. 한편, 드라이브(112)는, ROM(102) 또는 스토리지 장치(111) 등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나, 새롭게 생성한 데이터, 외부장치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CPU(101)로부터 받아, 리무버블 기억매체(7)에 기록한다.
접속 포트(114)는, 예를 들면 콘텐츠 재생장치(20) 등의 외부 주변기기를 접속하는 포트이며, USB, IEEE 1394 등의 접속단자를 가진다. 접속 포트(114)는, 인터페이스(107), 및 외부 버스(106), 브리지(105), 호스트 버스(104) 등을 거쳐서 CPU(101) 등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 포트(114)에 의해,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재생장치(20)와 로컬 라인(9)을 통해 각종의 데이터를 통신 가능해 진다.
통신장치(115)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5)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 등으로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이 통신장치(115)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나 서버(30) 등의 외부기기와의 사이에서, 네트워크(5)를 개재하여, 콘텐츠, 소스 ID 리스트 L, 그룹 증명서 G, 제어신호 등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다음에, 도 5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주된 기능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기능 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예를 들면, 데이터 통신부(120)와, 그룹 등록부(130)와, 리스트 관리부(140)와, 증명서 발행부(150)와, 분배 서비스 이용부(152)와, 소스 ID 부가부(154)와, 콘텐츠 처리부(160)와, ICV 데이터 관리부(190)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6)와, 자기 ID용 데이터베이스(117)와, 콘텐츠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18)를 구비한다.
데이터 통신부(120)는, 콘텐츠 처리장치(10)와 외부장치와의 사이에서 각종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통신부(120)는, 상기 통신장치(115)를 이용하여, 네트워크(5)를 개재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와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서버(3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 데이터 통신부(120)는, 상기 접속 포트(114)를 이용하여, 로컬 라인(9)을 개재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와 콘텐츠 재생장치(2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룹 등록부(130)는, 그룹 관리 서버(32)에 대하여, 유저 등록 처리,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등록 처리(기기 등록 처리)를 행한다. 이 그룹 등록 처리에서는, 그룹 등록부(130)는, 그룹 등록 요구 정보(예를 들면, 그룹 등록 요구 통지, 유저 ID, 패스워드, 터미널 ID, 레코더 ID 등)를, 그룹 관리 서버(32)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터미널 ID는, PC 등으로 구성된 콘텐츠 처리장치(10)를 일의로 식별하는 ID이다. 이 터미널 ID 및 레코더 ID는, 각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의해, 예를 들면, 독자적으로 발생시킨 난수나, 각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디바이스 ID 등에 의거하여, 고유하게 생성된다.
또한, 그룹 등록부(130)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등록에 따라, 그룹 관리 서버(32)로부터 통지된 서비스 데이터(리프 ID, 서비스 공통 키 등)를 수신한다. 또한, 그룹 등록부(130)는, 예를 들면, 수신한 리프 ID를 리스트 관리부(140)에 출력하고, 수신한 서비스 공통 키를 콘텐츠 처리부(160)에 출력한다. 이 서비스 공통 키(비밀키)는,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해서 필요한 열쇠이며, 변경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격납된다.
또, 그룹 등록부(130)는, 그룹 관리 서버(32)에 대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등록 해제 요구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에도, 등록시와 마찬가지로, 그룹 등록 해제 요구 정보(예를 들면, 그룹 등록 해제 요구 통지, 유저 ID, 패스워드, 터미널 ID 등)를 그룹 관리 서버(32)에 송신한다. 등록 해제가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그룹 등록부(130)는, 그 취지를 리스트 관리부(140)에 통지한다.
또, 그룹 등록부(130)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접속된 콘텐츠 재생장치(20)를, 그룹 관리 서버(32)에 그룹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그룹 등록부(130)에 의한 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콘텐츠 재생장치(20)의 그룹 등록 처리, 등록 해제 처리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리스트 관리부(140)는, 도 2에 나타낸 리스트 관리부(3)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리스트 관리부(140)는, 예를 들면,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을 갱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상기 그룹 등록시에는, 리스트 관리부(140)는, 그룹 등록부(130)로부터 받은 리프 ID에 서비스 ID를 부가하고, 해당 서비스 ID가 부가된 리프 ID를 그룹 ID로 변환하고, 이 그룹 ID를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한다. 또, 리스트 관리부(140)는, 그룹 관리 서버(32) 또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배포된 그룹 증명서 G를 취득했을 때에는, 이 그룹 증명서 G 내에 포함되는 그룹 ID와,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는 그룹 ID가 일치할 경우에, 해당 그룹 증명서 G 내에 포함되는 레코더 ID를 해당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한다. 또, 이들 그룹 ID 또는 레코더 ID라고 하는 소스 ID에 유효 기한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리스트 관리부(140)는, 소스 ID 리스트 L에의 소스 ID의 추가시에, 해당 소스 ID의 유효 기한 정보도 소스 ID 리스트 L에 기술한다.
또, 리스트 관리부(140)는, 그룹 등록 해제시에는, 소스 ID 리스트 L 내의 소스 ID를 모두 삭제한다. 또한, 리스트 관리부(140)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접속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을 갱신할 수도 있다. 또, 이러한 리스트 관리부(140)에 의한 리스트 갱신 처리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 소스 ID 리스트 L은,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스토리지 장치(111), 또는 ROM(102) 등에, 안전하게 격납되어 있다. 이 소스 ID 리스트 L은, 유저에 의한 부정한 변경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암호화되어, 디지털 서명이 부착한 상태로 격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룹 등록시에 리프 ID에 근거해 생성된 그룹 ID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소스 ID 리스트 L내에 포함되도록 하고, 콘텐츠 처리장치(10) 내에 격납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그룹 ID를, 해당 그룹 ID가 부가된 분배 콘텐츠를 재생 가능하게 하기 위한 소스 ID로서 이용하여, 이러한 그룹 ID에 의 거하여 분배 콘텐츠의 재생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이다. 또, 예를 들면, 그룹 ID를, 소스 ID로서가 아니라, 리핑 콘텐츠 공유 서비스에 있어서의 소스 ID 리스트 L에의 레코더 ID의 추가 기준용의 소스 ID(상기 제2 그룹 ID)로서만 이용할 경우에는, 그룹 ID는, 반드시 소스 ID 리스트 L 내에 격납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그룹 ID는, 예를 들면, 스토리지 장치(111) 내의 다른 기억영역, 예를 들면 자기 ID용 데이터베이스(117)에 격납되어도 좋고, 그 밖의 ROM(102) 등에 격납되어도 좋다.
증명서 발행부(150)는, 예를 들면,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이 소속하는 기기 그룹을 증명하기 위해서 그룹 증명서 G를 발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증명서 발행부(150)는,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콘텐츠 처리장치(10)가 그룹 등록되어 그룹 ID-A를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응하는 레코더 ID1과, 그룹 ID-A와 관련시킨 그룹 증명서 G를 발행한다. 이러한 그룹 증명서 G에 의해, 레코더 ID1에 대응하는 콘텐츠 처리장치(10)가, 그룹 ID-A에서 특정되는 유저 소유의 기기 그룹에 소속하고 있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또, 이 그룹 증명서 G에는, 변경 검출용의 디지털 서명, 예를 들면 MAC(Message Authentication Code)이 부가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그룹 증명서 G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그룹 증명서 G를 발행할 경우, 증명서 발행부(150)는, 스토리지 장치(111)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 ID와 그룹 ID를 판독하고, 이 판독한 레코더 ID와 그룹 ID에 상기 디지털 서명을 부착해서 암호화처리함으로써 그룹 증명서 G를 생성하여, 발행한다.
증명서 발행부(150)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등록후에는, 예를 들면, 임의의 타이밍으로 그룹 ID를 발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증명서 발행부(150)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유저의 입력에 따라, 또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의 증명서 요구에 따라, 자기의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응하는 그룹 증명서 G를 발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증명서 발행부(150)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등록후에, 그룹 증명서 G를 발행해서 증명서 관리 서버(36)에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증명서 발행부(150)는, 발행하는 그룹 증명서 G에 대하여, 유효기간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이에 따라, 해당 그룹 증명서 G을 취득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해당 그룹 증명서 G에 포함되는 유효기간 정보로 나타내는 유효기간 내에 한하여, 해당 그룹 증명서 G에 포함되는 레코더 ID를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할 수 있게 된다.
또, 증명서 발행부(1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발행한 그룹 증명서 G를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배포할 때의 경로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증명서 관리 서버(36)를 개재해서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배포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증명서 관리 서버(36)는, 각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증명서 G를 일괄 관리하여, 동일한 기기 그룹에 속하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배포할 수 있게 된다.
또, 그룹 증명서 G의 배포 방법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5) 또는 로컬 라인(9)을 개재하여, 그룹 증명서 G를 직접 송신하거나, 그룹 증명서 G를 전자우편에 첨부해서 송신하거나, 그룹 증명서 G를 홈 페이지 상에 붙이거나 해도 좋다. 또, 그룹 증명서 G를 기록한 기억매체(7)를 통해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제공해도 좋다. 또한, 그룹 증명서 G를 콘텐츠와 함께 기록한 기억매체(7)를 통해 배포해도 좋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리핑 콘텐츠와 함께, 이 리핑 콘텐츠에 부가된 레코더 ID와, 리핑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ID를 동시에 배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동일한 기기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이면, 해당 리핑 콘텐츠를 바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배포된 그룹 증명서 G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있어서, 공유 등록, 즉, 소스 ID 리스트 L에의 레코더 ID의 추가에 이용된다. 이에 따라, 동일 기기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그룹 증명서 G의 배포를 받은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는, 동일한 그룹 ID를 소유하는 기기의 레코더 ID를 입수하여,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할 수 있다.
이렇게, 그룹 ID와 레코더 I가 관련된 그룹 증명서 G를 발행해서 배포함으로써, 동일한 기기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 처리장치(10)끼리에서, 직접적으로 접속하지 않아도, 상호의 레코더 ID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증명서 발행부(150)가 발행한 그룹 증명서 G나,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증명서 관리 서버(36)로부터 취득한 그룹 증명서 G를, 상기 증명서 데이터베이스(도시 생략)에 보존해서 관리하는 증명서 관리부(도시 생략.)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이 증명서 관리부는, 이러한 증명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과거에 취득한 그룹 증명서 G를 판독하고,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 등에 배포할 수 있게 된다.
분배 서비스 이용부(152)는,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34)와의 사이에서, 콘텐츠 분배 서비스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분배 서비스 이용부(152)는, 예를 들면, 상기 콘텐츠 분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유저 인증 정보(유저 ID, 패스워드 등), 과금정보, 콘텐츠 분배 요구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34)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거나, 이들 정보의 입출력을 지원하거나 한다.
또, 분배 서비스 이용부(152)는, 콘텐츠 분배 서버(34)로부터 송신된 분배 콘텐츠와 해당 분배 콘텐츠의 라이센스를, 네트워크(5) 및 통신장치(115)를 통해 수신한다. 즉,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유저가 콘텐츠 분배 서비스를 이용해서 콘텐츠를 구입하면, 분배 서비스 이용부(152)는,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34)로부터 분배 콘텐츠의 파일과, 해당 분배 콘텐츠의 이용 조건을 정한 라이센스의 파일을, 예를 들면 별도의 파일로 다운로드한다.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가 행해지는 콘텐츠의 경우에는, 분배 콘텐츠의 라이센스에는, 상기 그룹 등록에 의해 유저에 할당된 리프 ID가 기술되어 있다. 한편,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가 행해지는 콘텐츠의 경우에는, 해당 라이센스에는, 콘텐츠의 이용 조건정보(Usage Rule)인, 체크인·체크아웃 회수 제한, 재생 회수 제한, 재생 기한 등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분배 서비스 이용부(152)는, 이렇게 수신한 분배 콘텐츠의 데이터 및 라이센스의 데이터를 가공하여, 예를 들면, 콘텐츠와 라이센스를 동일 파일로 한 콘텐츠 파일을 작성한다.
이때, 그룹 관리 방식의 분배 콘텐츠에 관해서는, 소스 ID 부가부(154)에 의해, 분배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에 그룹 ID가 부가된다. 소스 ID 부가부(154)는, 상기 소스 ID 부가부(1)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소스 ID 부가부(154)는, 분배 콘텐츠에 대하여는, 그룹 ID를 부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스 ID 부가부(154)는, 분배 콘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에 기술되어 있는 리프 ID를, 그룹 ID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 리프 ID로부터 그룹 ID에의 변환 처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리프 ID에, 콘텐츠 분배 서비스의 서비스 ID를 추가함으로써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분배 콘텐츠에 대하여, 해당 분배 콘텐츠를 구입한 유저 및 서비스를 나타내는 그룹 ID가 관련된다.
이와 같이 하여, 분배 서비스 이용부(152) 및 소스 ID 부가부(154)는, 분배된 콘텐츠의 파일과, 라이센스의 파일을 결합시킨 콘텐츠 파일을 작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도6a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그룹 관리 방식의 콘텐츠 파일 F1은, 예를 들면, 콘텐츠 ID와, 콘텐츠 키로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와,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만이 취급 가능한 시스템 공통 키로 암호화된 콘텐츠 키와, 그룹 ID 등의 소스 ID가 기술된 라이센스를 포함한다.
한편, 도 6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콘텐츠 파일 F2는, 예를 들면, 콘텐츠 ID와, 콘텐츠 키로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와, 상기 시스템 공통 키로 암호화된 콘텐츠 키와, 이용 조건 정보가 기술된 라이센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콘텐츠 파일 F1,F2에 있어서의 라이센스는, 변경을 검출 할 수 있게 암호화 처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소스 ID 또는 이용 조건을 콘텐츠에 안전하게 관련시킬 수 있다. 또,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예를 들면, 암호화된 콘텐츠 키의 복호 및 라이센스의 변경 체크를 행할 수 있게, 공통의 비밀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콘텐츠가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 내에서 공유되어도, 콘텐츠에 부가된 소스 ID나, 이용 조건이 변경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분배 서비스 이용부(152)는, 이렇게 작성한 콘텐츠 파일을, 예를 들면 스토리지 장치(111) 내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6)에 기록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콘텐츠와 라이센스를 동일 파일로 관리하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6)에 격납하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콘텐츠와 라이센스를 별도의 파일로 관리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콘텐츠의 파일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6)에 격납되고, 라이센스의 파일은 라이센스 데이터베이스에 격납되고, 양쪽의 파일에 포함되는 콘텐츠 ID 등에 의해 콘텐츠와 라이센스를 관련시켜도 좋다.
또, 분배 서비스 이용부(152)는, 콘텐츠의 분배시에, 콘텐츠 분배 서버(34)로부터, 분배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수신한다. 이 분배 콘텐츠의 속성정보는, 예를 들면, 분배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예를 들면, 곡명, 아티스트(가수)명, 앨범명, 장르, 재생시간 등) 콘텐츠 ID, 분배 일시, 데이터 사이즈, 데이터 포맷, 저작권 관리 방식의 타입 등이다. 분배 서비스 이용부(152)는, 이러한 분배 콘텐츠의 속성정보나, 분배 콘텐츠의 기록 장소(예를 들면 콘텐츠 DB(116) 내의 어드레스) 등을, 콘텐츠 관리 정보로서, 콘텐츠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18)에 기록한다.
이상과 같은 분배 서비스 이용부(152)는, 예를 들면, 이용하는 콘텐츠 분배 서비스에 대응한 콘텐츠 분배 서비스용의 소프트웨어를,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인스톨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또, 이 분배 서비스 이용부(152)는, 유저가 이용하는 복수의 콘텐츠 분배 서비스마다 복수 설정되어도 좋다.
또, 소스 ID 부가부(154)는, 후술하는 리핑부(184)에 의해 음악 CD(7a) 등으로부터 리핑된 콘텐츠(리핑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의 그룹 ID를 부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스 ID 부가부(154)는, 자기 ID용 데이터베이스(117)에 보존되어 있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더 ID를 판독하여, 이 레코더 ID를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작성하고, 이러한 라이센스를 리핑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킨다. 즉, 소스 ID 부가부(154)는, 도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콘텐츠 ID와, 암호화된 리핑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와, 암호화된 콘텐츠 키와, 레코더 ID가 기술된 라이센스를 포함하는 콘텐츠 파일 F1을 작성한다. 소스 ID 부가부(154)는, 이렇게 하여 레코더 ID를 부가한 리핑 콘텐츠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6)에 기록한다.
또, 이 레코더 ID의 부가 타이밍은, 예를 들면, 콘텐츠의 리핑 완료 시점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리핑 콘텐츠에 레코더 ID를 바로 부가함으로써, 저작권 관리가 필요한 리핑 콘텐츠가 시스템(100) 내에 유통하기 전에 확실하게 레코더 ID를 부가할 수 있다. 또, 레코더 ID의 부가 타이밍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리핑 콘텐츠의 첫회 재생시,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에의 복사시 등이여도 좋다.
자기 ID용 데이터베이스(117)에는, 예를 들면,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디바이스 ID, 레코더 ID, 터미널 ID 등,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에 대응하는 ID가 격납되어 있다.
디바이스 ID는, 각종 기기(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콘텐츠 재생장치(20) 등) 단위로 고유하게 부여되는 식별자이다. 이 디바이스 ID는, 예를 들면,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공장출시시 등에 부여되어, 자기 ID용 데이터베이스(117) 내에 안전하게 격납되어 있다.
또, 터미널 ID(Terminal ID)은, PC 등의 콘텐츠 처리장치(10) 단위로 고유하게 부여되는 ID이다. 또, 레코더 ID는, 상기한 바와 같이, 리핑 기능을 가지는 콘텐츠 처리장치(10) 단위로 고유하게 부여되는 식별자이다. 이들 터미널 ID 및 레코더 ID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의해, 디바이스 ID나 난수에 의거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마다 고유하게 되도록 생성되는 이들 ID는, 부정한 변경을 방지하기 위해서, 암호화되어서, 자기 ID용 데이터베이스(117)에 안전하게 격납된다.
콘텐츠 처리부(160)는, 콘텐츠에 대한 각종 처리를 행한다. 이 콘텐츠 처리부(160)는, 예를 들면, 콘텐츠를 이용(예를 들면 재생, 전송 등)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이것들의 이용을 저작권 관리하는 DRM 모듈 등을,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인스톨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이 콘텐츠 처리부(160)는, 예를 들면, 콘텐츠 재생부(170)와, 콘텐츠 제공부(180)와, 콘텐츠 취득부(182)와, 리핑부(184)를 구비한다.
콘텐츠 재생부(170)는, 도 2에 나타낸 콘텐츠 재생부(2)에 대응하는 구성요 소이다. 이 콘텐츠 재생부(170)는, 예를 들면, 콘텐츠 재생 기능을 가지는 재생장치, 혹은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인스톨된 콘텐츠 재생용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종의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 콘텐츠 재생부(170)에 의해 재생된 콘텐츠 데이터는, 상기 출력장치(110)로부터 출력된다.
또, 콘텐츠 재생부(170)는, 예를 들면, 그룹 관리 방식의 콘텐츠와,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콘텐츠의 양쪽에 대응가능해서, 그룹 관리 방식의 재생 제어,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재생 제어를 실행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그룹 관리 방식으로 재생 제어할 경우에는, 콘텐츠 재생부(170)는,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부가된 소스 ID가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는가 아닌가에 의거하여, 해당 재생 대상의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으로 재생 제어할 경우에는, 콘텐츠 재생부(170)는,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의 이용 조건 정보를 만족시키는가 아닌가에 의거하여, 해당 재생 대상의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한다. 이러한 콘텐츠 재생부(170)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 콘텐츠 재생부(170)는, 1개의 콘텐츠 처리장치(10)에 2개 이상 설치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개의 콘텐츠 처리장치(10)에 2종 이상의 콘텐츠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인스톨하는 것, 2대 이상의 재생장치를 설치하는 것, 또는, 콘텐츠 재생용 소프트웨어와 재생장치를 병용하는 것 등에 의해, 1개의 콘텐츠 처리장치(10) 내에, 각 콘텐츠 분배 서비스나 각 저작권 관리 방식에 대응한, 2개 이상의 콘텐츠 재생부(170)를 구성해도 좋다.
콘텐츠 제공부(180)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 에 대하여, 콘텐츠를 제공한다. 또, 콘텐츠 취득부(182)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한다. 이들 콘텐츠 제공부(180) 및 콘텐츠 취득부(182)는, 콘텐츠의 제공/취득 처리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5) 또는 로컬 라인(9)을 개재한 송수신 처리에 의해 실행해도 좋고, 또는, 기억매체(7)를 통해 실행해도 좋다.
또, 이러한 콘텐츠의 재생, 제공, 취득시에는, 콘텐츠 처리부(160)는, 콘텐츠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18) 내의 콘텐츠 관리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처리를 제어해도 좋고, 또, 이들의 콘텐츠 관리 정보를 출력장치(110)에 표시해도 좋다.
리핑부(184)는, 음악 콘텐츠나 영상 콘텐츠를 기록한 CD, DVD 등의 기록 매체(7a)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리핑한다. 구체적으로는, 리핑부(184)는, 예를 들면, 유저 입력에 따라, 드라이브(112)를 제어하여, 기억매체(7a)로부터 음악/영상 데이터 등을 추출하고, 이러한 음악/영상 데이터를 콘텐츠 처리장치(10)에서 처리가능한 포맷(예를 들면 ATRAC3 형식 등)으로 변환한 콘텐츠를 작성한다. 이렇게 리핑된 콘텐츠는, 소스 ID 부가부(154)에 의해,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더 ID가 부가된다.
또, 이 리핑부(184) 이외에도, 자기 녹음·녹화에 의해 콘텐츠를 신규로 작성하는 셀프 레코딩부(도시 생략)를 만들어도 좋다. 이 셀프 레코딩부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주변의 음성을 집음, 피사체를 촬상하여,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 등을 생성하고, 이러한 데이터에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시해서 콘텐츠를 신규 작성해도 좋고, 통신장치(115) 등을 거쳐서 수신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라디 오 프로그램 등의 영상/음성 데이터를, 기록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고, 신규 콘텐츠를 작성해도 좋다. 이 셀프 레코딩부에 의해 작성된 콘텐츠에 대하여도 레코더 ID를 부가함으로써, 이러한 콘텐츠를 그룹 관리 방식으로 저작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ICV 데이터 관리부(190)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ICV(Integrity Check Value) 데이터, 및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접속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ICV 데이터를 관리한다. ICV 데이터는, 콘텐츠의 처리를 행할 때에, 그 처리의 정당성을 체크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 처리에서는, 이 ICV 데이터는, 소스 ID 리스트 L의 MAC값(키를 갖는 해시값)을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ICV 데이터 관리부(190)는, 이러한 ICV 데이터에 의거하여, 소스 ID 리스트 L이 정당한가 아닌가, 즉, 소스 ID 리스트 L이 부정하게 변경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한다. 한편,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 처리에서는, 이 ICV 데이터는, 콘텐츠의 라이센스의 MAC값(키를 갖는 해시값)을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ICV 데이터 관리부(190)는, 이러한 ICV 데이터에 의거하여, 라이센스가 정당한가 아닌가, 즉, 라이센스가 부정하게 변경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한다.
이 결과, 정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ICV 데이터 관리부(190)는, 콘텐츠 처리부(160)의 처리를 허가하고, 한편, 정당하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ICV 데이터 관리부(190)는, 콘텐츠 처리부(160)의 처리를 허가하지 않는다.
또한, 이 ICV 데이터에는, 저작권 관리 방식이, 그룹 관리 방식인지, 또는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인지를 나타내는 방식 식별 정보의 일례인 플래그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 플래그가 「0」이면, 그룹 관리 방식이며, 「1」이면,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인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콘텐츠 처리부(160)는, 이 플래그에 의거하여, 어느쪽의 저작권 관리 방식에 따라서 콘텐츠를 처리하면 좋을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ICV 데이터 관리부(190)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관한 ICV 데이터 뿐만 아니라,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접속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ICV 데이터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의해, 접속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ICV 데이터 내의 상기 플래그(방식 식별 정보)의 값을 설정함으로써, 해당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저작권 관리 방식을 설정 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저작권 관리 방식의 설정은, 해당 시스템(100)이 사용되는 지역을 의미하는 리전 정보에 의거하여 실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미국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그룹 관리 방식으로 설정하고, 일본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으로 설정해도 좋다.
또, 도시는 하지 않지만,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처리장치(PC)(10)와 콘텐츠 재생장치(PD)(20)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전송을 제어하는 전송제어부를 구비해도 좋다. 이 전송 제어부는, 예를 들면 유저 입력에 근거하는 전송 요구에 따라, 콘텐츠 처리장치(10)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의 콘텐츠 재생장치(20)에의 전송,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의 콘텐츠 처리장치(10)에의 전송을 제어한다.
또, 이 전송제어부는, 저작권 관리 대상의 콘텐츠(소스 ID가 부가된 콘텐츠)의 전송제어 뿐만 아니라, 저작권 관리되지 않고 있는 콘텐츠(예를 들면, 소스 ID가 부가되지 않고 있는 생 콘텐츠)의 전송제어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제어부는, 저작권 관리되지 않고 있는 콘텐츠에 관해,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에의 전송 요구,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의 전송 요구가 입력되면,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소스 ID 리스트 내의 그룹 ID와,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내의 그룹 ID를 비교한다. 전송제어부는, 이 비교의 결과, 양쪽의 그룹 ID가 일치할 경우에는 해당 전송을 허가하고, 한편, 양쪽의 그룹 ID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전송을 허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그룹 관리 방식으로 저작권 관리된 콘텐츠 뿐만 아니라, 저작권 보호되지 않고 있는 콘텐츠의 이용(기기 사이의 무제한의 복사)을 제한할 수도 있다.
이상,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각 구성요소에 관하여 설명했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120), 그룹 등록부(130), 리스트 관리부(140), 증명서 발행부(150), 분배 서비스 이용부(152), 소스 ID 부가부(154), 콘텐츠 처리부(160), ICV 데이터 관리부(190), 전송제어부 등은, 예를 들면, 상기 각 기능을 가지는 하드웨어로서 구성되어도 좋고, 또는, 상기 각 기능을 컴퓨터에서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인스톨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다음에, 도 7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부(17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7은,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부(170)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텐츠 재생부(170)는, 예를 들면, 재생 가부 판단부(172)와, 재생 실행부(174)와, 리스트 갱신 요구부(176)를 구비한다.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재생 요구된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한다.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그룹 관리 방식의 재생 제어와,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재생 제어의 양쪽을 실행가능하다.
그룹 관리 방식의 재생 제어를 행할 경우에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재생 요구된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레코더 ID 또는 그룹 ID)와, 소스 ID 리스트 L에 의거하여, 해당 콘텐츠의 재생의 가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예를 들면, 입력장치(108)로부터, 유저에 의해 지정된 콘텐츠의 재생 요구를 접수하면, 재생 요구를 받은 콘텐츠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6)로부터 판독하고, 이러한 콘텐츠에 소스 ID가 부가되어 있는가 아닌가, 즉, 해당 콘텐츠 파일 내의 라이센스에 소스 ID가 기술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콘텐츠에 소스 ID가 부가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저작권 관리가 불필요한 콘텐츠라고 판단하여, 콘텐츠의 재생을 허가하고, 재생 실행부(174)에 대하여 해당 콘텐츠의 재생 지시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콘텐츠에 소스 ID(레코더 ID 또는 그룹 ID)가 부가되어 있을 경우에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저작권 관리가 필요한 콘텐츠라고 판단하여,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우선,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콘텐츠 파일 내의 라이센스로부터 소스 ID를 판독함(추출함)과 함께, 소스 ID 리스트 L을 판독해서 해석한다. 다음에,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상기 콘텐츠로부터 판독한 소스 ID와,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는 소스 ID를 비교하여, 콘텐츠로부터 판독한 소스 ID가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이 비교의 결과, 콘텐츠로부터 판독한 소스 ID가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소스 ID의 유효기한을 체크하고, 유효 기한 내일 경우에,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해당 콘텐츠의 재생을 허가하고, 재생 실행부(174)에 대하여 콘텐츠의 재생 지시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콘텐츠로부터 판독한 소스 ID가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나, 소스 ID가 유효기한이 지난 경우에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해당 콘텐츠의 재생을 금지하고, 재생 지시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재생 실행부(174)는 해당 콘텐츠를 재생 불가능하다. 또, 이 경우에는, 재생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취지의 에러 통지를 표시하게 하여도 좋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관한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소스 ID가 부가된 콘텐츠의 재생을 완전하게 금지한다고 하는 재생 제한을 행한다. 그러나, 콘텐츠의 재생 제한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해당 콘텐츠의 재생을 시간적 또는 내용적으로 일부만에 한정해서 재생을 허가한다, 화질, 음질 등을 저하시켜서 재생을 허가하거나, 또는, 최초의 소정회(예를 들면 1회)만 재생을 허가하고 이후는 재생을 금지하는 것, 등이라고 한 재생 제한을 하여도 좋다.
또,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가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이러한 소 스 ID를 리스트 갱신 요구부(176)에 출력한다.
한편,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재생 제어를 행할 경우에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재생 요구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내의 이용 조건 정보(재생 회수 제한, 재생 유효기한)에 의거하여, 해당 콘텐츠의 재생의 가부를 판단한다. 이 결과, 라이센스의 이용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해당 콘텐츠의 재생을 허가하고, 재생 실행부(174)에 대하여 콘텐츠의 재생 지시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라이센스의 이용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해당 콘텐츠의 재생을 금지하고, 재생 지시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재생 실행부(174)는, 상기 재생 가부 판단부(172)의 재생 지시 신호에 따라, 지정된 콘텐츠를 재생한다. 구체적으로는, 재생 실행부(174)는, 우선, 서비스 공통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콘텐츠 키를 복호하고, 다음에, 이 복호화된 콘텐츠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콘텐츠를 복호하고, 또한, 해당 복호화된 콘텐츠를 디코드하고, 재생하여, 출력장치(110)로부터 출력한다.
리스트 갱신 요구부(176)는, 리스트 관리부(140)에 대하여, 소스 ID 리스트 L에의 레코더 ID의 추가 요구를 행한다. 이 추가 요구 처리는, 예를 들면, 추가 대상의 레코더 ID를 나타내는 ID 추가 요구 신호를 리스트 관리부(140)에 출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리스트 갱신 요구부(176)는, 예를 들면, 상기 재생 가부 판단부(172)로부터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소스 ID가 입력되면, 이러 한 소스 ID가 레코더 ID인지 또는 그룹 ID인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의 결과, 레코더 ID일 경우에는, 해당 레코더 ID를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하도록, 리스트 관리부(140)에 요구한다. 리스트 갱신 요구부(176)는, 이 추가 요구 처리를 자동적으로 행해도 좋고, 유저에 대하여 레코더 ID의 추가를 희망할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한 후에 행해도 좋다. 한편, 상기 판단의 결과, 그룹 ID일 경우에는, 추가 요구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이것은,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단일인 유저의 기기 그룹에밖에 등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음에, 도 8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리스트 관리부(14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8은, 본 실시예에 관한 리스트 관리부(14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리스트 관리부(140)는, 예를 들면, 증명서 요구부(141)와, 증명서 취득부(142)와, 레코더 ID 갱신부(144)와, 리스트 동기부(146)와, 자기 ID 추가부(148)와, 그룹 ID 갱신부(149)를 구비한다.
증명서 요구부(141)는, 유저 입력에 따라 또는 자동적으로,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증명서 관리 서버(36)에 대하여, 증명서 요구 신호를 송신하여, 동일한 기기 그룹에 속하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발행한 그룹 증명서 G를 요구한다. 예를 들면, 증명서 요구부(141)는, 특정한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증명서 관리 서버(36)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부(170)로부터 추가 요구된 레코더 ID를 통지하고, 해당 레코더 ID를 포함하는 그룹 증명서 G을 요구해도 좋다. 또, 증명서 요구부(141)는, 임의의 타이밍으로,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증명서 관리 서버(36)에 대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이 소유하는 그룹 ID를 송신하고, 해당 그룹 ID에 관련된 레코더 ID(즉, 동일한 기기 그룹에 속하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더 ID)을 포함하는 1 또는 2 이상의 그룹 증명서 G을 요구해도 좋다.
증명서 취득부(142)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증명서 관리 서버(36)로부터, 그룹 증명서 G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증명서 취득부(142)는, 외부의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증명서 관리 서버(36)로부터, 네트워크(5) 및 통신장치(115)를 통해 그룹 증명서 G를 수신하고, 취득할 수 있다. 또, 증명서 취득부(142)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제공된 기억매체(7)에 기록되어 있는 그룹 증명서 G를, 드라이브(112)를 이용해서 판독하여, 취득할 수 있다. 증명서 취득부(142)는, 이렇게 취득한 그룹 증명서 G를 레코더 ID 갱신부(144)에 출력한다.
레코더 ID 갱신부(144)는, 증명서 취득부(142)로부터 입력된 그룹 증명서 G에 의거하여, 소스 ID 리스트 L에 레코더 ID를 추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레코더 ID 갱신부(144)는, 그룹 증명서 G에 포함되어 있는 그룹 ID를 판독하는 동시에, 소스 ID 리스트 L 내의 그룹 ID를 판독한다. 다음에, 레코더 ID 갱신부(144)는, 양쪽의 그룹 ID가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의 결과, 양쪽의 그룹 ID가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그룹 증명서 G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응한 레코더 ID를 판독하여,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한다. 한편, 양쪽의 그룹 ID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그룹 증명서 G에 포함되어 있는 해당 레코더 ID를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동일한 기기 그룹에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응한 레코더 ID만을,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할 수 있다. 또, 레코더 ID 갱신부(144)는,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 가능한 레코더 ID수에 상한을 만드는 것 등으로 하여, 레코더 ID의 추가를 제한해도 좋다.
리스트 동기부(146)는, 복수의 소스 ID 리스트 L을 동기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에서 말하는 소스 ID 리스트 L의 동기란, 상이한 복수의 소스 ID 리스트 L을 병합(머지)하는 것을 말하고, 동기된 후의 소스 ID 리스트 L에는, 복수의 원래의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었던 레코더 ID의 모두가, 중복 없이, 포함되게 된다.
이 소스 ID 리스트 L의 동기처리는, 동일한 그룹 ID를 소유하는 콘텐츠 처리장치(10) 사이에서만 실행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리스트 동기부(146)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하여, 해당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는 그룹 ID와, 자기의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는 그룹 ID가 일치할 경우에만, 양쪽의 소스 ID 리스트 L을 동기한다.
이러한 동기처리에서, 동일한 기기 그룹의 등록된 복수의 기기가 가지는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는 레코더 ID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콘텐츠 처리장치(10) 사이에서, 리핑 콘텐츠를 공유하여, 서로 재생 가능해진다.
또, 이 동기처리는, 예를 들면 사적 네트워크 내의 콘텐츠 처리장치(10) 사이에서 리스트 동기부(146)가 정기적 또는 임의의 타이밍으로 자동적으로 행하여도 좋고, 또는, 유저의 지시에 따라, 지정된 특정한 콘텐츠 처리장치(10)와의 사이에서 행해도 좋다. 또, 이러한 동기처리는, 사적 네트워크로 접속된 콘텐츠 처리장치(10) 사이나, 로컬 라인(9)으로 접속된 콘텐츠 처리장치(10) 사이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5)를 통해 원격으로 접속된 콘텐츠 처리장치(10)이여도 실행가능하다.
자기 ID 추가부(148)는,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 ID를 예를 들면 무조건으로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자기 ID 추가부(148)는, 예를 들면, 자기 ID용 데이터베이스(117)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 ID를 판독하여, 소스 ID 리스트 L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콘텐츠 처리장치(10)는, 그룹 등록의 유무에 관계없이, 자신에서 리핑된 리핑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또, 그룹 ID는, 이 자기 ID 추가부가 난수 등에 근거해 생성하여, 자기 ID용 데이터베이스(117)에 기록해도 좋다.
그룹 ID 갱신부(149)는, 예를 들면,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등록시에, 상기 그룹 등록부(130)로부터 그룹 ID가 입력되면, 이러한 그룹 ID를 소스 ID 리스트 L 내에 추가한다. 이에 따라, 콘텐츠 처리장치(10)는, 해당 그룹 ID가 부가된 분배 콘텐츠를 재생 가능해 진다.
또한, 그룹 ID 갱신부(149)는, 상기 그룹 등록부(130)로부터 그룹 등록 해제 통지가 입력되면, 소스 ID 리스트 L 내에 포함되는 모든 소스 ID(레코더 ID, 그룹 ID)을 삭제한다. 단,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 ID만은, 소스 ID 리스트 L로부터 삭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자신이 작성한 리핑 콘텐츠, 및 저작권 관리되지 않고 있는 콘텐츠 밖에 재생할 수 없게 된다.
또, 레코더 ID 갱신부(144) 및 그룹 ID 갱신부(149)는,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수신한 소스 ID 리스트 L을 갱신하여, 회신할 수도 잇다.
이상, 본 실시예에 관한 리스트 관리부(140)에 관하여 설명했다. 이렇게, 리스트 관리부(140)는, 그룹 등록에 의해 얻어진 그룹 ID를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하는 동시에, 그룹 ID가 동일한가 아닌가를 기준으로 하여, 동일한 기기 그룹에 속하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더 ID를,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기기 그룹에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 처리장치(10) 사이에서는, 복사된 분배 콘텐츠 및 리핑 콘텐츠를 자유롭게 재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이한 기기 그룹에 등록되어 있거나, 또는 미등록의 콘텐츠 처리장치(10) 사이에서는, 복사된 콘텐츠의 재생을 제한하여, 콘텐츠의 위법 이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사적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콘텐츠 재생장치(20)에 관해서, 어떤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표적인 리스트 관리부(140)를 1개만 설치하고, 이러한 대표적인 리스트 관리부(140)가, 각 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을 일괄해서 갱신하게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대표적인 리스트 관리부(140)는, 예를 들면, 사적 네트워크의 접속 서버 장치 내 등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콘텐츠 처리장치(PD)>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PD)(2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 게 설명한다.
우선, 도 9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하드웨어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 9는,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텐츠 재생장치(20)는, 예를 들면, 메인 제어장치(201)와, 플래시 메모리(202)와, RAM(203)과, 데이터 처리장치(204)와, 버스(206)와, 입력장치(208)와, 표시장치(210)와, 스토리지 장치(ADD)(211)와, 디코더(213)와, 통신장치(215)와, 오디오 출력 회로(216)와, 리모트 콘트롤러(218)와, 헤드폰(219)을 구비한다.
메인 제어장치(201)는, 제어장치로서 기능하고, 콘텐츠 재생장치(20)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플래시 메모리(202)는, 예를 들면, 메인 제어장치(201)의 동작을 규정한 프로그램이나,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또, RAM(203)은, 예를 들면 SDRAM(Synchronous DRAM)으로 구성되어, 메인 제어장치(201)의 처리에 관한 각종 데이터를 1차 기억한다.
데이터 처리장치(204)는, 시스템 LSI 등으로 구성되고,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버스(206)는, 메인 제어장치(201), 플래시 메모리(202), RAM(203), 데이터 처리장치(204), 입력장치(208), 표시장치(210), 스토리지 장치(ADD)(211), 디코더(213), 통신장치(215) 및 오디오 출력 회로(216) 등을 접속하는 데이터 선이다.
입력장치(208)와 리모트 콘트롤러(218)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버튼 키, 레버, 다이얼 등의 조작 수단과, 유저에 의한 조작 수단에 대한 조작에 따라 입력 신호를 생성해서 메인 제어장치(201)에 출력하는 입력제어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유저는, 이 입력장치(208)나, 후술하는 리모트 콘트롤러(218)를 조작함으로써, 콘텐츠 재생장치(20)에 대하여 각종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 동작을 지시하거나 할 수 있다.
표시장치(210)는, 예를 들면 LCD 패널 및 LCD 제어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이 표시장치(210)는, 메인 제어장치(201)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에 보유되어 있는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를, 그 재생의 가부를 판별 가능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스토리지 장치(211)는,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기억부의 일례로서 구성된 데이터 수납용의 장치이다. 이 스토리지 장치(211)는, 예를 들면 수십 GB의 기억 용량을 가지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ADD)로 구성되고, 압축된 콘텐츠나, 메인 제어장치(201)의 프로그램, 처리 데이터 등의 각종의 데이터를 격납한다.
디코더(213)는, 암호화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복호처리, 디코드 처리, 서라운드 처리, PCM 데이터에의 변환 처리 등을 행한다.
통신장치(215)는, USB 콘트롤러 및 USB 단자 등으로 구성되고, USB 케이블 등의 로컬 라인(9)을 거쳐 접속된 콘텐츠 처리장치(10)와의 사이에서, 콘텐츠, 소스 ID 리스트 L, ICV 데이터, 콘텐츠 관리 정보, 제어신호 등의 각종 데이터를 송 수신한다.
오디오 출력 회로(216)는, 디코더(213)에 의해 복호되고, CPU에 의해 DA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증폭해서 리모트 콘트롤러(218)에 출력한다. 이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는, 리모트 콘트롤러(218)로부터 헤드폰(219)에 출력되어, 헤드폰(219)에 내장된 스피커로부터 출력된다.
여기에서, 이러한 하드웨어 구성의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있어서의 주된 데이터 흐름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콘텐츠 재생장치(PD)(20)가, 콘텐츠 처리장치(PC)(1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했을 때의 데이터 흐름에 관하여 설명한다. 콘텐츠 재생장치(20)와 콘텐츠 처리장치(10)가, USB 케이블 등의 로컬 라인(9)으로 접속되면, 콘텐츠 처리장치(10)에서는, 콘텐츠 재생장치(20)는 리무버블 ADD로서 인식된다. 이 상태에서,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콘텐츠 데이터 및 ICV 데이터 등의 제어 정보를 송신하면, 통신장치(215)는, 이들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음에,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는, 통신장치(215)에 의해 스토리지 장치(211)에 직접 기억된다. 한편, 통신장치(215)에 의해 수신된 제어 정보는, 데이터 처리장치(204)를 경유하여, 메인 제어장치(201)에 입력되어, 소정의 기억영역에 기억된다.
다음에, 콘텐츠 재생장치(PD)(20)가, 콘텐츠를 재생할 때의 데이터 흐름 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콘텐츠의 재생 요구가 메인 제어장치(201)에 입력되고, 메인 제어장치(201)에 의해 해당 콘텐츠의 재생이 허가되었을 경우에는, 데이터 처리장치(204)는, 재생 대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스토리지 장치(211)로부터 판독하고, RAM(203)에 전송하면서 동시 병행하여, RAM(203)에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를 디코더(213)에 전송한다. 다음에, 디코더(213)는, 암호화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복호처리, 디코드 처리, 서라운드 처리, PCM 데이터에의 변환 처리 등을 행하여, 메인 제어장치(201)에 전송한다. 또한, 메인 제어장치(201)는, 입력된 PCM 데이터를, DA 변환기(도시 생략.)에 의해서 볼륨 조정을 행해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오디오 출력 회로(216)의 앰프에 전송한다. 오디오 출력 회로(216)는, 이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리모트 콘트롤러(218)를 거쳐, 헤드폰(219)으로부터 출력한다.
다음에, 도10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주된 기능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10은,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텐츠 재생장치(20)는, 예를 들면, 데이터 통신부(220)와, 기억부(230)와, 재생 제어방식 판단부(240)와, 재생 가부 판단부(242)와, 재생 실행부(244)와,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250)와, 콘텐츠 선택부(252)를 구비한다.
데이터 통신부(220)는, 상기 통신장치(215)를 이용하여, 로컬 라인(9)을 개재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기억부(230)는, 예를 들면, 상기 스토리지 장치(211) 및 플래시 메모리(202) 등으로 구성되어,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에서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이 기억부(230)는, 예를 들면, ICV 데이터(231), 소스 ID 리스트 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4), 콘텐츠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36)를 격납하고 있다.
ICV 데이터(231)는,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10)의 ICV 데이터 관리부(190)에 의해 생성되어,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전송된 것으로,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있어서의 콘텐츠 재생 처리의 정당성을 체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 ICV 데이터(231)는, 예를 들면, 헤더 부분에 부가된 1비트의 플래그(232)와, MAC값(233)을 포함한다.
플래그(232)는,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있어서의 재생 제어방식(저작권 관리 방식)을 나타내는 방식 식별 정보의 일례이다. 예를 들면,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의해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재생 제어방식이 그룹 관리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플래그(232)는 「0」이며, 한편, 해당 재생 제어방식이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플래그(232)는 「1」이다.
또,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의해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재생 제어방식이 그룹 관리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MAC값(233)은, 소스 ID 리스트 L의 MAC값이다. 한편, 해당 재생 제어방식이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MAC값(233)은, 각 콘텐츠의 이용 조건정보를 포함하는 라이센스에 의거하여 생성된 MAC값이 된다.
또, 기억부(230) 내의 소스 ID 리스트 L은,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소스 ID 리스트 L과 대략 동일하다. 콘텐츠 재생장치(20)가 그룹 등록됨으로써, 그룹 ID가 추가되고, 또한, 동일한 기기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더 ID도 추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소스 ID 리스트 L은,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리스트 관리부(140)에 의해 갱신되지만,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에 리스트 관리부 를 설치하고, 콘텐츠 재생장치(20)가 자신의 소스 ID 리스트 L을 갱신하게 하여도 좋다.
또,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4)는,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를 격납한다.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재생 제어방식이 그룹 관리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4)에는, 상기 도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소스 ID를 포함하는 라이센스가 부가된 콘텐츠가 기억되고, 해당 재생 제어방식이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도 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이용 조건정보를 포함하는 라이센스가 부가된 콘텐츠가 기억된다.
콘텐츠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36)에는,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콘텐츠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18)외 마찬가지로, 콘텐츠 DB(234)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에 관해, 콘텐츠 ID,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곡명, 아티스트 명, 앨범명 등)라고 하는 콘텐츠의 속성 정보나, 기록 장소 정보(예를 들면 콘텐츠 DB(234) 내의 어드레스) 등이 기록된다.
또, 기억부(230) 내의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자기 ID용 데이터베이스에는, 예를 들면,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디바이스 ID가 안전하게 격납되어 있다. 이 디바이스 ID는, 공장 출시시 등에 콘텐츠 재생장치(20) 단위로 고유하게 부여되는 ID이며, 콘텐츠 재생장치(20)의 그룹 등록시에 사용된다.
재생 제어방식 판단부(240)는, 예를 들면 콘텐츠의 재생시 등에, 상기 ICV 데이터(231)의 플래그(232)를 판독하고, 이 플래그(232)에 의거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의해 설정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재생 제어방식을 판단한다. 구체적 으로는, 재생 제어방식 판단부(240)는, 예를 들면, 플래그(232)가 「0」일 경우에는, 해당 재생 제어방식이 그룹 관리 방식(제1 재생 제어방식)이라고 판단하고, 플래그(232)가 「1」일 경우에는, 해당 재생 제어방식이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제2 재생 제어방식)이라고 판단한다. 재생 제어방식 판단부(240)는, 이 판단 결과를 재생 가부 판단부(242)에 출력한다.
재생 가부 판단부(242)는, 재생 제어방식 판단부(240)에 의해 판단된 어느 한쪽의 재생 제어방식을 따라, 재생 요구를 받은 콘텐츠의 재생 가부를 판단한다. 이 재생 가부 판단부(242)는,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 스킴에 따른 재생 제어를 행하는 제1 재생 가부 판단부(242a)와,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 스킴에 따른 재생 제어를 행하는 제2 재생 가부 판단부(242b)를 구비한다.
재생 제어방식 판단부(240)에 의해,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재생 제어방식이 그룹 관리 방식(제1 재생 제어방식)으로 설정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재생 가부 판단부(242)는, 제1 재생 가부 판단부(242a)를 동작시켜서,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와, 소스 ID 리스트 L에 의거하여, 해당 콘텐츠의 재생의 가부를 판단한다. 또, 소스 ID 리스트 L 내의 소스 ID에 유효기한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소스 ID가 유효 기한 내일 경우에, 콘텐츠의 재생을 허가한다.
한편,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재생 제어방식이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제1 재생 제어방식)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재생 가부 판단부(242)는, 제2 재생 가부 판단부(242b)를 동작시켜서,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라이센스의 이용 조건 정보(재생 회수 제한, 재생 유효기한 등)에 의거하여, 해 당 콘텐츠의 재생의 가부를 판단한다. 또, 이 재생 가부 판단부(242)는,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재생 가부 판단부(172)와 대략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재생 실행부(244)는, 상기 재생 가부 판단부(242)에 의해 재생가능하다고 판단된 콘텐츠를 재생하여, 오디오 출력 회로한다. 또, 이 재생 실행부(244)는,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재생 가부 실행부(174)와 대략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250)는, 콘텐츠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36)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4)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중 전부 또는 일부의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를 판독하고,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의 리스트(이하, 「타이틀 리스트」라고 한다)를 작성한다. 이 타이틀 리스트는, 예를 들면, 음악 콘텐츠의 곡명의 일람이며, 부수 정보로서, 음악 콘텐츠의 아티스트 명이나 앨범명, 재생 시간 등을 포함한다. 또한,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250)는, 작성한 타이틀 리스트를 표시장치(210)에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유저는, 이 타이틀 리스트를 열람하여, 재생을 소망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고, 입력장치(208)를 조작해서 해당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를 지정하여, 재생 요구를 행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250) 및 표시장치(210)는,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1 또는 2 이상의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의 일례로서 구성되어 있다.
콘텐츠 선택부(252)는, 입력장치(208)에 대한 유저 입력에 의거하여, 재생 대상의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택결과를 재생 가부 판단부(242)에 출력한다. 구체적 으로는, 콘텐츠 선택부(252)는, 유저에 의해 재생이 요구된 콘텐츠의 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콘텐츠 ID 및 기억 장소를, 콘텐츠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36)로부터 판독하고, 이러한 정보를 재생 가부 판단부(242)에 출력한다. 이 결과, 재생 가부 판단부(242)는, 선택된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관해서 재생 가부 판단을 행하여, 재생가능한 콘텐츠만이 재생 실행부(244)에 의해 재생된다.
또,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250)는, 타이틀 리스트를, 재생가능한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를 판별 가능하게 작성해서 표시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250)는, 우선, 상기 재생 가부 판단부(242)에 의뢰하여, 표시 대상의 각 콘텐츠가 재생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단시켜, 이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재생가능한 콘텐츠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를 판별가능한 타이틀 리스트를 작성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재생가능한 콘텐츠 중에서, 재생을 소망하는 콘텐츠를 선택해서 지정할 수 있다. 이렇게, 표시장치(210)에 표시된 재생가능한 콘텐츠 중에서, 유저가 원하는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콘텐츠 선택부(252)는, 선택된 타이틀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콘텐츠 ID 및 기억 장소를, 재생 가부 판단부(242)에 출력하고, 재생 가부 판단부(242)는, 재생 가부 판단을 행하지 않고, 해당 콘텐츠를 재생시킨다.
이상,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기능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이 콘텐츠 재생장치(20)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의한 설정에 따라, 그룹 관리 방식의 재생 제어와,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재생 제어를 선택적으로 실행가능하다. 이 때문에,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유저의 편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 라, 각 재생 제어방식에 대응한, 서로 다른 모델의 콘텐츠 재생장치(20)를 설계 개발하는 필요가 없으므로, 개발 작업의 효율화 및 코스트 삭감을 꾀할 수 있다.
또, 콘텐츠 재생장치(20)는, 콘텐츠에 부가된 소스 ID와 소스 ID 리스트 L에 의거하여 콘텐츠를 재생 제어한다고 하는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에 대응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유저는, 자신이 소유하는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콘텐츠를 자유롭게 다운로드해서 재생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체크인·체크아웃 방식과 비교하여, 유저에 의한 콘텐츠 이용의 자유도가 높아, 보다 유저 프렌드리하다.
또, 상기 데이터 통신부(220), 재생 제어방식 판단부(240), 재생 가부 판단부(242), 재생 실행부(244),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250), 콘텐츠 선택부(252) 등은, 예를 들면, 상기 각 기능을 가지는 하드웨어로서 구성되어도 좋고, 또는, 상기 각 기능을 컴퓨터에서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인스톨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츠에 소스 ID가 부가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재생 가부 판단부(242)는, 저작권 관리가 불필요한 콘텐츠라고 판단하여, 해당 콘텐츠의 재생을 허가하고, 재생 실행부(244)에 대하여 해당 콘텐츠의 재생 지시 신호를 출력한다. 즉, 콘텐츠 재생장치(20)는, 소스 ID가 부가되지 않고 있는 콘텐츠 등이라고 하는, 저작권 보호되지 않고 있는 콘텐츠를, 자유롭게 재생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저작권 보호되지 않고 있는 콘텐츠의 이용 제한을, 상기한 그룹 관리 방식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 그 방 법을 나타낸다.
우선, 전술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전송제어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6)에 기억되어 있는 저작권 보호되지 않고 있는 콘텐츠를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전송하는 요구를 접수하면, 로컬 라인(9)에서 접속된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한다(스텝1).
다음에, 전송제어부는, 취득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 내의 그룹 ID와, 자신이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 내의 그룹 ID를 비교한다(스텝2).
이 비교의 결과, 전송제어부는, 상기한 2개의 그룹 ID가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전송 요구를 받은 저작권 보호되지 않고 있는 콘텐츠를,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전송을 금지한다(스텝3).
또, 저작권 보호되지 않고 있는 콘텐츠의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의 전송은, 기본적으로 금지되고 있지만, 상기한 그룹 관리 방식에 의해, 일부의 전송을 허가하도록 구성 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그 방법을 나타낸다.
우선,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전송제어부는, 로컬 라인(9)에서 접속된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해당 콘텐츠 재생장치(20)에 기억되어 있는 저작권 보호되지 않고 있는 콘텐츠를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전송하는 요구를 접수하면, 해당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한다(스텝1).
다음에, 전송제어부는, 취득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 내의 그룹 ID와, 자신이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 내의 그룹 ID를 비교한다(스텝2).
이 비교의 결과, 전송제어부는, 상기한 2개의 그룹 ID가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전송 요구를 받은 저작권 보호되지 않고 있는 콘텐츠를,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전송을 금지한다(스텝3).
이렇게, 본 실시예에 관한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 방식에서는, 콘텐츠 처리장치(10)와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사이의 전송을 제어함으로써, 저작권 관리되지 않고 있는 콘텐츠에 관해서도, 복사 전송을 제한해서 이용제한할 수 있다.
<5. 서버>
다음에, 도11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서버(3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1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서버(30)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서버(30)는, WWW 서버(31), 그룹 관리 서버(32), 콘텐츠 분배 서버(34), 증명서 관리 서버(36), 과금 서버(38)를 구비한다.
이 중, WWW 서버(31), 그룹 관리 서버(32) 및 증명서 관리 서버(36)는,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실행부를 구성하여, 동일 유저가 소유하는 복수의 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콘텐츠 재생장치(20)를 그룹 등록하고, 이러한 그룹 등록된 기기 사이에서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실행한다. 또, WWW 서버(31), 콘텐츠 분배 서버(34), 과금 서버(38)는, 분배 서비스 실행부를 구성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유저에 대하여, 예를 들면 유료로 콘텐츠를 분배하는 콘텐츠 분배 서비스를 행한다.
이하에서 각 서버(31, 32, 34, 36, 38)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각 서버(31, 32, 34, 36, 38)의 하드웨어 구성은, 상기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 콘텐츠 처리장치(PC)(10)의 하드웨어 구성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WWW 서버(31)에 관하여 설명한다. WWW 서버(31)는, 네트워크(5)를 통해 액세스해 온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의 요구를 접수하고, 콘텐츠 처리장치(10)와 서버(30) 사이의 통신을 제어한다. WWW 서버(31)는, 유저 등록부(312)와, 유저 인증부(314)를 구비한다.
유저 등록부(312)는, 콘텐츠 공유 서비스 및/또는 콘텐츠 분배 서비스의 이용을 희망하는 신규 유저의 등록 처리, 등록 변경 처리, 등록 해제 처리 및 유저 어카운트 정보(유저 ID, 크레딧 번호, 패스워드 등)의 관리 등을 행한다. 서비스 등록된 유저에 대하여는, 유저 단위로 고유한 리프 ID가 부여된다. 이러한 유저 등록부(312)에 의한 등록 처리에 의해 결정된 각종의 유저 어카운트 정보 및 리프 ID는, 그룹 등록 데이터베이스(324)에 보존된다. 그러나,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WWW 서버(31) 내에 유저 등록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고, 상기 유저 어카운트 정보 및 리프 ID를 유저 등록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해도 좋다.
유저 인증부(314)는,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콘텐츠 공유 서비스 및/또는 콘텐츠 분배 서비스에 등록된 유저가 소유하는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의 접속 요구(등록 요구, 등록 해제 요구, 콘텐츠 분배 요구, 증명서 요구, 유저 어카운트 정보 변경 요구 등)에 따라,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를 소유하는 유저를 인증하는 유저 인증 처리를 행한다. 이 유저 인증 처리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입력된 유저 어카운트 정보 등과, 그룹 등록 데이터베이스(324)의 유저 어카운트 정보에 근거해서 행해진다. 인증된 유저는, 예를 들면, 그룹 관리 서버(32), 콘텐츠 분배 서버(34) 또는 증명서 관리 서버(36) 등에의 로그인이 인정을 받는다.
다음에, 그룹 관리 서버(32)에 관하여 설명한다. 그룹 관리 서버(32)는, 동일 유저가 소유하는 복수의 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콘텐츠 재생장치(20)를 그룹 등록한다. 이 그룹 관리 서버(32)는, 기기 등록부(322)와, 그룹 등록 데이터베이스(324)를 구비한다.
그룹 등록 데이터베이스(324)는, 그룹 관리 서버(32)가 구비하는 ADD 등의 스토리지 장치(도시 생략.) 내에 격납된다. 이 그룹 등록 데이터베이스(324)는, 도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예를 들면, 콘텐츠 공유 서비스 및 콘텐츠 분배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유저의 유저 어카운트 정보(유저 ID(3241), 크레디트 카드 번호(3242), 유저에 대응하는 리프 ID(3243), 그룹 등록된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기기 ID(3244), 그룹 등록된 콘텐츠 처리장치(10) 중 리핑 기능을 가지는 기기의 레코더 ID(3245)가 관련되어 보존되어 있다.
1개의 유저 ID(유저 어카운트)(3241)에 대하여는, 예를 들면 1개의 리프 ID(3243)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각 유저의 리프 ID(3243)에 대하여는, 해당 리프 ID가 의미하는 유저의 기기 그룹에 등록되어 있는 1 또는 2 이상의 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콘텐츠 재생장치(20)의 기기 ID(3244)(터미널 ID 또는 디바이스 ID)가 관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콘텐츠 처리장치(PC)(10)의 기기 ID(3244)로서는, 상기 터미널 ID가 등록되고, 콘텐츠 재생장치(PD)(20)의 기기 ID(3244)로서는, 상기 디바이스 ID가 등록된다. 또한, 이 터미널 ID에 대하여, 리핑 기능을 가지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더 ID가 관련되어 있다.
기기 등록부(322)는, 등록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를, 상기 유저 인증부(314)에 의해 인증된 유저가 소유하는 기기 그룹에 그룹 등록한다. 이 그룹 등록 처리는, 예를 들면, 상기 유저 인증 처리가 이루어진 후,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등록부(130)로부터 그룹 등록 요구 정보(예를 들면, 등록 요구 통지, 터미널 ID 또는 디바이스 ID, 레코더 ID 등)를 수신했을 경우에 행해진다. 기기를 그룹 등록할 경우에는, 상기 등록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기기 ID(터미널 ID 또는 디바이스 ID, 레코더 ID 등)을, 상기 그룹 등록 데이터베이스(324)의 기기 ID(3244)의 란에 있어서의 상기 인증된 유저에 대응하는 장소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그룹 등록된 기기의 기기 ID와, 상기 인증된 유저에 부여되어 있는 리프 ID(기기 그룹)가 관련된다.
또, 기기 등록부(322)는, 동일한 콘텐츠 처리장치(10)를, 다른 기기 그룹에 등록하는 것을 금지한다. 이를 위해, 기기 등록부(322)는, 그룹 등록 데이터베이스 (324) 내부를 검색하여, 등록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기기 ID가 이미 보존되어 있을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등록을 거절하여, 해당 기기 ID를 새롭게 그룹 등록 데이터베이스(324)에 기록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1개의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가 1개의 기기 그룹에만 소속하도록 할 수 있다.
또, 기기 등록부(322)는, 동일한 기기 그룹에 등록가능한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상한수, 구체적으로는, 동일한 유저의 리프 ID에 관련시키는 것이 가능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상한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기 등록부(322)는, 동일한 기기 그룹에 등록가능한 콘텐츠 처리장치(PC)(10)의 상한수를 예를 들면 소정 대수(예를 들면 3대)로 설정하고, 어떤 리프 ID에 터미널 ID를 소정의 상한수(예를 들면 3개)까지밖에 관련시키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기기 ID로서 터미널 ID를 가지는 콘텐츠 처리장치(PC)(10)로부터, 이러한 상한수를 초과한 수의 등록 요구를 받았을 경우에는, 기기 등록부(322)는, 그 등록을 거절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기기 그룹에 등록가능한 콘텐츠 처리장치(PC)(10)의 수를 예를 들면 3대 이하로 제한할 수 있으므로, 동일 기기 그룹 내에서, 분배 콘텐츠를 수신가능한 콘텐츠 처리장치(PC)(10)의 수를 제한할 수 있다.
또, 상한수의 다른 예로서는, 예를 들면, 기기 등록부(322)는, 동일한 그룹 ID에 대하여 관련시키는 것이 가능한 레코더 ID의 상한수(예를 들면 10개)를 설정해 두어도 좋다. 이 경우, 레코더 ID를 가지는 콘텐츠 처리장치(PC)(10)로부터, 이 러한 상한수를 초과한 수의 등록 요구를 받았을 경우에는, 등록을 거절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기기 그룹에 등록가능한, 리핑 기능을 가지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수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동일 기기 그룹 내에서, 공유가능한 리핑 콘텐츠의 제공원이 될 수 있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수를 제한할 수 있다.
또, 기기 등록부(32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를 소정의 기기 그룹에 등록했을 경우에, 그룹 등록된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하여, 서비스 데이터를 통지한다. 이 서비스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상기 인증된 유저(등록된 기기 그룹)에 대응하는 리프 ID와,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서비스 공통 키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그룹 등록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리프 ID를 수신하고, 그룹 ID로 변환하여, 자신의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할 수 있다.
또, 이렇게 그룹 관리 서버(32)의 기기 등록부(322)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리프 ID를 통지하는 것이 아니라, 기기 등록부(322)가 미리 리프 ID 등에 의거하여 그룹 ID를 생성하고, 이 생성한 그룹 ID를 콘텐츠 처리장치(10)에 통지하게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콘텐츠 처리장치(10)는, 그룹 ID를 스스로 생성하지 않아도 되며, 그룹 관리 서버(32)로부터 통지된 그룹 ID를 그대로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할 수 있다.
또, 기기 등록부(322)는, 등록 해제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를, 상기 인증된 유저가 소유하는 기기 그룹으로부터 등록 해제한다. 이 그룹 등록 해제 처리는, 예를 들면, 상기 유저 인증 처리가 이루어진 후,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등록부(130)로부터 그룹 등록 해제 요구 정보(예를 들면, 그룹 등록 해제 요구 통지, 터미널 ID 또는 디바이스 ID, 레코더 ID 등)를 수신했을 경우에 행해진다. 기기를 그룹 등록 해제할 경우에는, 상기 등록 해제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기기 ID(터미널 ID, 디바이스 ID)를, 상기 그룹 등록 데이터베이스(324)의 기기 ID(3244)의 란에서 삭제한다. 단, 레코더 ID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콘텐츠 처리장치(PC)(10)가 등록 해제되었다고 하더라도 삭제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리핑 기능을 가지는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일단, 상기 소정의 상한수(예를 들면 10대)까지 그룹 등록되었을 경우에는, 그 후에 일부의 콘텐츠 처리장치(10)를 등록 해제했다고 하더라도, 새로운 콘텐츠 처리장치(10)를 추가등록할 수 없다. 따라서, 공유가능한 리핑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등록수를 억제하여, 리핑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를 엄격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증명서 관리 서버(36)에 관하여 설명한다. 증명서 관리 서버(36)는, 각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발행한 그룹 증명서 G를 수집해서 관리하고, 동일 유저의 기기 그룹에 속하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에 그룹 증명서 G를 배포한다. 이 증명서 관리 서버(36)는, 증명서 관리부(362)와, 증명서 데이터베이스(364)를 구비한다.
증명서 데이터베이스(364)는, 증명서 관리 서버(36)가 구비하는 ADD 등의 스토리지 장치(도시 생략.) 내에 격납된다. 이 증명서 데이터베이스(364)는, 각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발행한 그룹 증명서 G를, 각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유저(리프 ID)에 관련시켜, 보존하고 있다.
증명서 관리부(362)는, 각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발행한 그룹 증명서 G를 네트워크(5)를 통해 취득하고, 취득한 그룹 증명서 G를 상기 증명서 데이터베이스(364)에, 유저에 관련시켜 보존한다. 또, 증명서 관리부(362)는, 이러한 증명서 데이터베이스(364)로부터, 어떤 유저의 기기 그룹에 속하는 1 또는 2 이상의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증명서 G를 판독하여, 동일한 기기 그룹에 속하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 등에 배포한다.
예를 들면, 증명서 관리부(362)는, 상기 그룹 관리 서버(32)에 의해 콘텐츠 처리장치(10)가 그룹 등록되었을 때에, 등록된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더 ID와 그룹 ID가 관련된 그룹 증명서 G를 취득하고, 증명서 데이터베이스(364)에 보관해 둔다. 또한, 동일한 기기 그룹에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새롭게 등록되었을 경우에는, 증명서 관리부(362)는, 새롭게 등록된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하여, 동일한 기기 그룹에 등록필의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증명서 G를 배포한다. 이에 따라, 새롭게 등록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등록필의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더 ID를 취득해서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함으로써, 리핑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등록의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증명서의 배포 요구가 있었을 경우나,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이 서버(30)에 액세스했을 경우 등에, 증명서 관리부(362)는,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하여, 동일한 기기 그룹에 속하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증명서 G를 배포해도 좋다.
또, 증명서 관리부(362)는,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등록 해제되었을 경우에는, 등록 해제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증명서 G를, 증명서 데이터베이스 (364)로부터 삭제한다.
이렇게, 증명서 관리 서버(36)의 증명서 관리부(362)는, 각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발행한 그룹 증명서 G를 일괄 관리하여, 동일한 기기 그룹에 속하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배포한다. 이에 따라, 콘텐츠 처리장치(10)끼리를 직접 접속하지 않고, 콘텐츠 처리장치(10)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증명서 G를 취득 가능하게 된다. 또한, 증명서 관리 서버(36)에서 그룹 증명서 G의 일괄관리를 행함으로써,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최신의 그룹 증명서 G를 항상 취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콘텐츠 처리장치(10)는, 동일 유저의 기기 그룹에 속하는 모든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증명서 G를 취득하고,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더 ID를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할 수 있다.
다음에, 콘텐츠 분배 서버(34)에 관하여 설명한다. 콘텐츠 분배 서버(34)는, 콘텐츠 분배 서비스에 유저 등록된 유저의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하여, 예를 들면 유료로 콘텐츠를 분배한다. 콘텐츠 분배 서버(34)는, 상기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 스킴에 대응한 콘텐츠와, 상기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 스킴에 대응한 콘텐츠의 양쪽을 분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콘텐츠 분배 서버(34)는, 예를 들면, 라이센스 발행부(342)와, 콘텐츠 분배부(344)와, 라이센스 데이터베이스(346)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48)를 구비한다.
라이센스 데이터베이스(346)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48)는, 콘텐츠 분배 서버(34)가 구비하는 ADD 등의 스토리지 장치(도시 생략.) 내에 격납된다. 라이센 스 데이터베이스(346)는, 콘텐츠 분배에 따라 발행되는 라이센스를 보존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48)는, 콘텐츠 분배 서비스의 분배 대상인 복수의 콘텐츠의 데이터베이스이다.
콘텐츠 분배부(344)는, 예를 들면, 인증이 얻어진 유저에 대하여, 분배가능한 콘텐츠의 리스트를 열람시켜, 분배를 소망하는 분배 콘텐츠를 선택시킨다. 또한, 콘텐츠 분배부(344)는, 유저가 이용하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하여, 네트워크(5)를 개재하여, 선택된 분배 콘텐츠를 분배한다. 또, 이 분배 처리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것과 같은 과금처리가 조건이 된다.
또, 콘텐츠 분배부(344)는, 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48) 등에 보존되어 있는 분배 콘텐츠에 관한 정보(콘텐츠 ID, 타이틀 정보(곡명, 아티스트 명, 앨범명, 재생 시간 등))도, 분배 콘텐츠에 관련시켜 송신한다.
라이센스 발행부(342)는, 상기 콘텐츠 분배부(344)에 의해 분배되는 콘텐츠의 라이센스(권리정보; Usage Right)를 발행한다. 이 라이센스 발행부(342)는, 저작권 관리 방식의 종류에 따라, 다른 종류의 라이센스를 발행가능하다.
예를 들면,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를 행할 경우에는, 라이센스 발행부(342)는, 분배 콘텐츠를 구입한 유저에 대응하는 리프 ID를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분배 콘텐츠에 관련시켜 발행한다. 이때, 라이센스 발행부(342)는, 해당 유저에 대응하는 리프 ID를, 상기 그룹 등록 데이터베이스(324)로부터 취득해도 좋고, 유저 인증부(314)로부터 취득해도 좋다.
이렇게 라이센스 발행부(342)가 라이센스를 발행하면, 콘텐츠 분배 서버(34) 는, 분배 콘텐츠의 파일과, 이 분배 콘텐츠를 구입한 유저에 대응하는 리프 ID를 포함하는 라이센스의 파일을 관련시켜,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송신한다. 이 결과, 이러한 분배 콘텐츠와 라이센스를 수신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해당 리프 ID를 그룹 ID로 변환해서 해당 분배 콘텐츠에 부가하고, 이 그룹 ID를 분배 콘텐츠용의 소스 ID로서 기능시켜, 상기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를 실행한다.
한편,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를 행할 경우에는, 라이센스 발행부(342)는, 체크인/아웃 회수 제한, 재생 회수 제한, 재생 기한 등의 이용 조건정보(Usage rule)가 기술된 라이센스를, 분배 콘텐츠에 관련시켜 발행한다. 이때, 라이센스 발행부(342)는, 유저가 소망하는 이용 조건 타입의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데이터베이스(346)의 라이센스 모형 정보에 의거하여 작성해도 좋다.
이렇게 라이센스 발행부(342)가 라이센스를 발행하면, 콘텐츠 분배 서버(34)는, 분배 콘텐츠의 파일과, 이용 조건정보를 포함하는 라이센스의 파일을 관련시켜,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송신한다. 이 결과, 이러한 분배 콘텐츠와, 이용 조건정보를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수신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해당 라이센스에 의거하여, 상기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를 실행한다.
라이센스 발행부(342)는, 발행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데이터베이스(346)에 보존해서 관리한다.
이상과 같이, 콘텐츠 분배 서버(34)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의 콘텐츠 분배시에, 분배 콘텐츠와 그것의 라이센스를 1세트로 송신한다. 이때, 콘텐츠 분배 서버(34)는, 그룹 관리 방식의 콘텐츠를 분배할 때는, 라이센스에 리프 ID를 포함 시키고,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콘텐츠를 분배할 때는, 라이센스에 이용 조건 정보를 포함시킨다.
또, 상기에서는, 콘텐츠 분배 서버(34)는, 분배 콘텐츠와, 라이센스를 별도의 파일로 송신하고 있지만, 양쪽을 동일 파일로 송신해도 좋다. 또, 상기에서는, 그룹 관리 방식의 콘텐츠 분배시에, 콘텐츠 분배 서버(34)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리프 ID를 통지하고, 콘텐츠 처리장치(10)는, 통지된 리프 ID에 의거하여 그룹 ID를 생성하고 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콘텐츠 분배 서버(34)가, 리프 ID에 의거하여 그룹 ID를 미리 생성하고, 생성한 그룹 ID를 콘텐츠 처리장치(10)에 통지하게 하여도 좋다.
다음에, 과금 서버에 관하여 설명한다. 과금 서버(38)는,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34)에 의한 콘텐츠의 분배에 따라 과금처리를 행한다. 이 과금 서버(38)는, 예를 들면, 과금처리부(382)와, 과금정보 데이터베이스(384)를 구비한다.
과금정보 데이터베이스(384)는, 유저마다의 과금정보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이며, 과금 서버(38)가 구비하는 ADD 등의 스토리지 장치(도시 생략.) 내에 격납된다.
과금처리부(382)는, 예를 들면, 콘텐츠의 분배를 받은 유저에 대하여, 분배되는 콘텐츠에 따른 액수의 지불을 요구하는 과금처리를 행한다. 이 과금처리에 의해 생긴 청구 금액, 결제 방법, 결제일 등의 과금정보는, 예를 들면, 과금정보 데이터베이스(384)에 보존된다.
<6. 콘텐츠 공유 방법>
다음에, 도13에 의거하여, 이상과 같은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을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의 기본적인 흐름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3은,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공유 방법의 기본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선, 신규 유저가, 자기가 소유하는 어느 한 개의 콘텐츠 처리장치(PC) 10-1을 사용하고, 서버(30)의 WWW 서버(31)에 대하여, 상기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 스킴을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의 유저 등록 요구를 행한다(S2). 그러면, WWW 서버(31)는, 해당 유저의 유저 인증 처리를 행하여, 해당 유저에 대하여 신규한 리프 ID를 부여하고, 유저 등록한다(S4). 또, 이 콘텐츠 공유 서비스의 유저 등록은, 콘텐츠 분배 서비스의 유저 등록을 겸해도 좋다. 또, 상기 유저 등록 처리는, WWW 서버(31) 대신에 그룹 관리 서버(32)가 행해도 좋다.
다음에, 유저는, 자기가 소유하는 콘텐츠 처리장치(PC)(10-1, 10-2)를 사용하고, 서버(30)에 대하여 각각의 기기의 등록 요구를 행한다(S8, S12). 그러면, 그룹 관리 서버(32)는, 이러한 기기의 등록 요구에 따라, 콘텐츠 처리장치(10-1, 10-2)를, 해당 유저의 기기 그룹에 그룹 등록하고, 해당 유저에 대응하는 리프 ID를 콘텐츠 처리장치(10-1, 10-2)에 통지한다(S10,S14). 콘텐츠 처리장치(10-1, 10-2)는, 통지된 리프 ID를 그룹 ID로 변환하고, 자신의 소스 ID 리스트 L에 각각 추가한다. 또, 이러한 각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기기 그룹 등록은, 동시일 필요는 없고, 각각 별개로 임의의 타이밍이어도 좋다.
다음에, 콘텐츠 처리장치 10-2는, 콘텐츠 처리장치 10-2 자신에 대응하는 그룹 ID와 레코더 ID를 관련시킨 그룹 증명서 G을 발행하고, 서버(30)의 증명서 관리 서버(36)에 송신한다(S16). 또한, 증명서 관리 서버(36)는, 콘텐츠 처리장치 10-2의 그룹 증명서 G를, 콘텐츠 처리장치 10-1에 배포한다(S18). 또, 이러한 그룹 증명서 G의 배포는, 증명서 관리 서버(36)를 경유하지 않고, 콘텐츠 처리장치 10-2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 10-1에 직접 행하여도 좋다. 또, 마찬가지로, 콘텐츠 처리장치 10-1의 그룹 증명서 G를, 콘텐츠 처리장치 10-2에 배포해도 좋다.
콘텐츠 처리장치 10-1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배포된 그룹 증명서 G를 취득하면, 자신이 가지는 소스 ID 리스트 L의 갱신 처리를 행한다(S20). 이 리스트 갱신 처리에서는, 상기 그룹 등록에 있어서, 콘텐츠 처리장치 10-1과 10-2가, 동일한 기기 그룹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양쪽의 기기가 동일한 그룹 ID를 가지므로, 콘텐츠 처리장치 10-1은, 그룹 증명서 G에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 처리장치 10-2의 레코더 ID를, 자기의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처리장치 10-1과 10-2가, 다른 기기 그룹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양쪽의 기기가 다른 그룹 ID를 가지므로, 콘텐츠 처리장치 10-1은, 그룹 증명서 G에 포함되어 있는 레코더 ID를, 자기의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할 수 없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콘텐츠 처리장치 10-2로부터 제공된 콘텐츠를, 콘텐츠 처리장치 10-1이 취득하여, 공유하는 케이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리핑 콘텐츠 등의 작성 콘텐츠를 공유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콘텐츠 처리장치 10-2는, 리핑, 셀프 레코딩 등에 의해 콘텐츠를 작성하고(S22), 이 러한 작성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 처리장치 10-2에 대응하는 레코더 ID를 부가한다(S24). 다음에, 콘텐츠 처리장치 10-2는, 이 레코더 ID가 부가된 작성 콘텐츠를, 네트워크(5), 로컬 라인(9) 또는 기억매체(7) 등을 거쳐서, 콘텐츠 처리장치 10-1에 제공한다(S26).
다음에, 콘텐츠 처리장치 10-1은, 이러한 작성 콘텐츠를 취득해서(S28), 예를 들면 유저의 재생 요구에 따라 해당 작성 콘텐츠의 재생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S30). 이 경우, 작성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레코더 ID가, 콘텐츠 처리장치 10-1의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콘텐츠 처리장치 10-1은, 해당 작성 콘텐츠를 재생가능하고, 한편, 해당 레코더 ID가 해당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콘텐츠 처리장치 10-1은, 해당 작성 콘텐츠를 재생 불가능하다.
다음에, 분배 콘텐츠 데이터를 공유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콘텐츠 처리장치 10-2가 그룹 관리 서버(32)에 대하여, 콘텐츠의 분배 요구를 행한다(S32). 그러면, 그룹 관리 서버(32)는, 분배 요구된 콘텐츠와, 콘텐츠 처리장치 10-2에 대응하는 리프 ID를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콘텐츠 처리장치 10-2에 분배한다(S34). 다음에, 콘텐츠 처리장치 10-2는, 수신한 라이센스 내의 리프 ID를 그룹 ID로 변환하고, 해당 그룹 ID를 분배 콘텐츠에 부가한다(S36). 다음에, 콘텐츠 처리장치 10-2는, 그룹 ID가 부가된 분배 콘텐츠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콘텐츠 처리장치 10-1에 제공하고(S38), 콘텐츠 처리장치 10-1은, 해당 분배 콘텐츠를 취득한다(S40). 다음에, 콘텐츠 처리장치 10-1은, 예를 들면 유저의 재생 요구에 따라 해당 분배 콘텐츠의 재생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S42). 이 경우, 분배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그룹 ID가, 콘텐츠 처리장치 10-1의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콘텐츠 처리장치 10-1은, 해당 분배 콘텐츠를 재생가능하고, 한편, 해당 그룹 ID가 해당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콘텐츠 처리장치 10-1은, 해당 분배 콘텐츠를 재생 불가능하다.
더욱이, 콘텐츠 처리장치(10-1, 10-2)가, 각각 등록 해제 요구를 행하면(S44,S48), 그룹 관리 서버(32)는, 이러한 등록 해제 요구에 따라, 콘텐츠 처리장치(10-1, 10-2)의 그룹 등록을 각각 해제한다(S46, S50).
이상과 같은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을 사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에서는, 동일 유저가 소유하는 복수의 콘텐츠 처리장치(10)를 동일한 기기 그룹에 등록하면, 이들 콘텐츠 처리장치(10) 사이에서, 작성 콘텐츠 및 분배 콘텐츠를 비교적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다.
<7. 그룹 등록·해제 처리>
다음에, 그룹 관리 서버(32)에 대하여, 콘텐츠 처리장치(PC)(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PD)(20)를 그룹 등록/등록 해제하는 처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의 처리 흐름에서는, 그룹 관리 서버(32)에 대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의 유저 등록이 이미 완료하고, 콘텐츠 처리장치(10)를 소유하는 유저에 대하여 리프 ID가 부여되어 있는 상태에서 개시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14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PC)(10)를 그룹 관리 서버(32)에 기기 등록하는 처리(그룹 등록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4는,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PC)(10)의 그룹 등록 처리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선, 스텝 S60∼S70에서는, 등록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와 서버(30) 사이에서 네트워크(5)를 개재한 통신 접속을 안전하게 확립하고, 유저 인증을 행한다. 이 S60∼S70의 처리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브라우저와, 서버(30)의 WWW 서버(31)의 사이에서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등록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유저 입력에 따라, 유저 ID 및 패스워드를 WWW 서버(31)에 송신한다(S60). 그러면, WWW 서버(31)는, 수신된 유저 ID 및 패스워드와, 그룹 등록 데이터베이스(324)에 등록되어 있는 유저 ID 및 패스워드를 대조하여, 유저 인증 처리를 행한다(S62). 이 결과, 유저 인증이 불성립일 경우에는, WWW 서버(31)는, 로그인을 허가하지 않고, 등록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유저 인증이 성립했을 경우에는, WWW 서버(31)는, 로그인을 허가하고, 유저 인증이 성립한 취지의 통지와, 안전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세션 정보를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송신한다(S64). 다음에, 콘텐츠 처리장치(10)는, 등록 요구 통지를 WWW 서버(31)에 송신한다(S66). 이 등록 요구 통지에 의해, WWW 서버(31)는,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등록 요구를 위해 액세스해 온 것을 인지한다. 다음에, WWW 서버(31)는, 트랜잭션 ID를 생성하고(S68), 상기 생성한 트랜잭션 ID와, 그룹 관리 서버(32)의 어드레스 정보의 일례인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송신한다(S70). 이에 따라,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수신된 URL 에 의거하여 그룹 관리 서버(32)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의 스텝 S72∼S86에서는, 콘텐츠 처리장치(10)를 그룹 관리 서버(32)에 실제로 등록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이 S72∼S86에서의 처리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저작권 관리부와, 서버(30)의 그룹 관리 서버(32) 사이에서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콘텐츠 처리장치(10)는, 그룹 관리 서버(32)에 서비스 데이터를 요구한다(S72). 그러면, 그룹 관리 서버(32)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서비스 데이터를 회신한다(S74). 이 서비스 데이터에는, 상기 인증된 유저에 대응하는 리프 ID와, 전술한 서비스 공통 키가 포함된다. 다음에, 콘텐츠 처리장치(10)는, 그룹 관리 서버(32)에 대하여, 상기 S70에서 수신한 트랜잭션 ID와,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에 대응하는 터미널 ID 및 레코더 ID를 송신하고, 그룹 관리 서버(32)에 등록 요구를 행한다(S76). 이 터미널 ID 및 레코더 ID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의해 생성된다. 또, 이 S74및 S76에서 주고받아지는 정보는, 상기 세션 정보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변경이 방지되므로, 안전하게 송수신 가능하다.
다음에, 그룹 관리 서버(32)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등록 가부를 판단한다(S78). 이 등록 가부 판단은, 예를 들면, 동일한 기기 그룹에 등록가능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상한수(예를 들면, 터미널 ID의 상한수(예를 들면 3개), 레코더 ID의 상한수(예를 들면 10개))에 근거해서 이루어진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인증된 유저의 기기 그룹에, 이미, 다른 터미널 ID를 가지는 예를 들면 3대의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등록필일 경우에는, 그룹 관리 서버(32)는, 새로운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등록을 금지한다. 또, 해당 유저의 기기 그룹에, 과거에, 다른 레코더 ID를 가지는 예를 들면 10대의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등록된 일이 있을 경우(현재 등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는 불문)에는, 그룹 관리 서버(32)는, 새로운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등록을 금지한다.
이러한 S78에서의 등록 가부 판단의 결과, 등록을 허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룹 관리 서버(32)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등록 불가인 취지의 에러 통지를 송신한다. 한편, S78에서의 등록 가부 판단의 결과, 등록을 허가할 경우에는, 그룹 관리 서버(32)는, 상기 등록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등록 처리를 행한다(S80). 구체적으로는, 그룹 관리 서버(32)는, 상기 등록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수신한 터미널 ID 및 레코더 ID를, 그룹 등록 데이터베이스(324)의 상기 인증된 유저의 레코드에 기록해서 등록한다. 또한, 그룹 관리 서버(32)는, 등록된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하여, 등록 완료 통지를 송신한다(S82).
다음에,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이러한 등록 완료 통지를 수신하면, 상기 S74에서 수신한 서비스 데이터를 유효화한다(S84). 또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유효화된 서비스 데이터 내의 리프 ID에 근거하여 그룹 ID(상기 제1 그룹 ID와 제2 그룹 ID의 양쪽)을 생성하고, 이 그룹 ID를 자신의 소스 ID 리스트 L 내에 추가해서 격납한다(S86). 이에 따라, 콘텐츠 처리장치(10)는, 해당 그룹 ID가 부가된 분배 콘텐츠를 재생 가능하게 되고, 또한, 해당 그룹 ID를 포함하는 그룹 증명서 G의 레코더 ID를 자신의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등록 처리 후에, 이하와 같은, 증명서 발행 및 배포 처리를 행해도 좋다. 즉, 우선,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자신에 대응하는 그룹 ID와 레코더 ID를 포함하는 그룹 증명서 G를 발행하고, 이 그룹 증명서 G을 증명서 관리 서버(36)에 송신한다(S88). 그러면, 증명서 관리 서버(36)는, 수신된 그룹 증명서 G을 증명서 데이터베이스(364)에 격납한다(S90). 이것에 의해,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동일한 기기 그룹에 등록되었을 때에, 해당 그룹 증명서 G를 배포하여, 레코더 ID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증명서 관리 서버(36)는, 동일한 기기 그룹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다른 1 또는 2 이상의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있을 경우에는, 이 등록필의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증명서 G를, 상기 등록된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배포한다(S92). 그러면, 상기 등록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수신된 그룹 증명서 G 내의 레코더 ID를 판독하고, 자신의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한다(S94). 이에 따라,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는, 동일한 기기 그룹에 속하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리핑된 리핑 콘텐츠를 재생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15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PC)(10)를, 이미 등록되어 있는 기기 그룹으로부터 등록 해제하는 처리(그룹 등록 해제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5는,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PC)(10)의 그룹 등록 해제 처리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선, 스텝 S100∼S110에서는, 등록 해제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와 서버(30)와의 사이에서 네트워크(5)를 개재한 통신 접속을 안전하게 확립하여, 유저 인증을 행한다. 이 S100∼S110의 처리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브라우저와, 서버(30)의 WWW 서버(31)와의 사이에서 행해진다. 또, 이 러한 S100∼S110의 처리는, S106에 있어서,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WWW 서버(31)에 등록 해제 요구 통지가 이루어지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14에서 설명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등록 처리의 S60∼S70과 대략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의 스텝 S112∼S120에서는, 콘텐츠 처리장치(10)를 실제로 등록 해제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이 S112∼S120에서의 처리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저작권 관리부와, 서버(30)의 그룹 관리 서버(32)와의 사이에서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상기 그룹 등록시에 그룹 관리 서버(32)로부터 취득해서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보유하고 있는 서비스 데이터를 무효화한다(S112).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자신의 소스 ID 리스트 L 내에 포함되는 그룹 ID 및 레코더 ID를 삭제한다. 이에 따라,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있어서, 이들 소스 ID가 부가된 콘텐츠의 재생이 불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콘텐츠 처리장치(10)는, 그룹 관리 서버(32)에 대하여, 상기 S110에서 수신된 트랜잭션 ID와,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에 대응하는 터미널 ID 및 레코더 ID를 송신하고, 그룹 관리 서버(32)에 등록 해제 요구를 행한다(S114). 또, 이 S114에서 송신되는 정보는, 상기 세션 정보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변경이 방지되므로, 안전하게 송신가능하다.
다음에, 그룹 관리 서버(32)는, 상기 등록 해제 요구를 수신하면,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등록 해제 가부를 판단한다(S116). 예를 들면, 등록 해제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미등록일 경우나, 부정한 등록 해제 요구일 경우 등에는, 그룹 관리 서버(32)는, 등록 해제를 허가하지 않는다.
이러한 S116에서의 등록 가부 판단의 결과, 등록 해제를 허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룹 관리 서버(32)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등록 해제 불가인 취지의 에러 통지를 송신한다.
한편, S116에서의 등록 가부 판단의 결과, 등록 해제를 허가할 경우에는, 그룹 관리 서버(32)는, 등록 해제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등록 해제 처리를 행한다(S118). 구체적으로는, 그룹 관리 서버(32)는, 그룹 등록 데이터베이스(324)의 상기 인증된 유저의 레코드로부터, 상기 등록 해제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의 터미널 ID를 삭제한다. 이때, 상기 등록 해제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더 ID는, 그룹 등록 데이터베이스(324)로부터 삭제하지 않고 잔존시킨다. 이에 따라, 리핑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과도하게 많은 리핑 기능을 가지는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등록되고, 해당 다수의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의 리핑 콘텐츠가 공유 가능해져 버리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그룹 관리 서버(32)는, 등록 해제된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하여, 등록 해제 완료 통지를 송신한다(S120).
이상과 같이 ,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등록 해제 처리에서는, 콘텐츠 처리장치(10)측에서, 먼저 서비스 데이터를 무효화(S112)한 후에, 그룹 관리 서버(32)측에서 등록 해제 처리(S118)를 행한다. 이에 따라, 그룹 관리 서버(32)에서 등록 해제된 콘텐츠 처리장치(10)에 관해서는,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보유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확실하게 무효화하여, 그룹 ID 등을 소스 ID 리스트 L로부터 삭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그룹 관리 서버(32) 상에서는 등록 해제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콘텐츠 처리장치(10) 상에서는 실제로는 서비스 데이터가 무효화되지 않고 있다고 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콘텐츠 처리장치(PC)(10)의 그룹 등록 처리 및 등록 해제 처리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또, 이미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 처리장치(10)를 재차 등록하려면, 일단 등록 해제하지 않으면 재차 등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다음에, 도16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PD)(20)를 그룹 관리 서버(32)에 기기 등록하는 처리(그룹 등록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6은,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PD)(20)의 그룹 등록 처리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콘텐츠 재생장치(PD)(20)를 그룹 등록할 경우에는, 등록 대상의 콘텐츠 재생장치(PD)(20)를, 이미 그룹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 처리장치(PC)(10)에 로컬 라인(9)을 개재해서 접속하고, 이 콘텐츠 처리장치(PC)(10)에 의해, 콘텐츠 재생장치(PD)(20)를 그룹 관리 서버(32)에 그룹 등록한다.
도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선, 스텝 S132∼S142에서는, 등록 대상의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접속된 등록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와 서버(30)와의 사이에서 네트워크(5)를 개재한 통신 접속을 안전하게 확립하고, 유저 인증을 행한다. 이 S132∼S142의 처리는,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브라우저와, 서버(30)의 WWW 서버(31)와의 사이에서 행해진다. 또, 이러한 S132∼S142의 처리는, S138에 있어서,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WWW 서버(31)에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등록 요 구 통지가 이루어지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14에서 설명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등록 처리의 S60∼S70과 대략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의 스텝 S144∼S164에서는, 콘텐츠 재생장치(20)를,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의해, 그룹 관리 서버(32)에 실제로 등록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이 S144∼S164에서의 처리는, 콘텐츠 재생장치(20)와,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저작권 관리부와, 서버(30)의 그룹 관리 서버(32)와의 사이에서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콘텐츠 처리장치(10)는, 등록 대상의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로컬 라인(9)을 개재하여, 해당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디바이스 ID를 취득한다(S144). 다음에, 콘텐츠 처리장치(10)는, 그룹 관리 서버(32)에 대하여, 상기 S142에서 수신한 트랜잭션 ID와,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의 터미널 ID와,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레코더 ID를 송신하고, 그룹 관리 서버(32)에,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등록 요구를 행한다(S146). 또, 이 S144에서 주고받는 정보는, 상기 세션 정보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변경이 방지되므로, 안전하게 송수신 가능하다.
다음에, 그룹 관리 서버(32)는, 상기 등록 요구를 받으면, 등록 대상의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등록 가부를 판단한다(S148).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등록 대수의 제한은 없기 때문에, 무조건으로 등록이 허가되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등록 대수에 상한수를 설정해도 좋다. 또, 등록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미등록일 경우에는, 그룹 관리 서버(32)는, 등록 대상의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등록을 허가하지 않는다.
이러한 S148에서의 등록 가부 판단의 결과, 등록을 허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룹 관리 서버(32)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등록 불가인 취지의 에러 통지를 송신한다.
한편, S148에서의 등록 가부 판단의 결과, 등록을 허가할 경우에는, 그룹 관리 서버(32)는, 등록 대상의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등록 처리를 행한다(S150). 구체적으로는, 그룹 관리 서버(32)는, 상기 등록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의 터미널 ID 등에 의거하여, 그룹 등록 데이터베이스(324) 내의 상기 인증된 유저의 레코드를 특정하고, 이러한 레코드에 등록 대상의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디바이스 ID를 기록한다. 또한, 그룹 관리 서버(32)는, 등록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하여, 등록 완료 통지를 송신한다(S152).
다음에,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이러한 등록 완료 통지를 수신하면,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의 등록시에 취득한 서비스 데이터에 포함되는 리프 ID에 의거하여, 그룹 ID(상기 제1 그룹 ID와 제2 그룹 ID의 양쪽)을 생성한다(S154).
다음에, 콘텐츠 처리장치(10)는, 등록된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해당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 및 ICV 데이터를 취득한다(S156).
더욱이, 콘텐츠 처리장치(10)는, S156에서 취득한 ICV 데이터에 의거하여, 취득한 소스 ID 리스트 L의 정당성을 체크한다(S158). 상기한 바와 같이,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 스킴에서는, ICV 데이터에는 소스 ID 리스트 L의 해시값인 MAC값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취득한 소스 ID 리스트 L의 MAC값을 요구하여, ICV 데이터의 MAC값과 대조함으로써, 해당 소스 ID 리스트 L이 변경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할 수 있다.
이 S158에서의 정당성의 체크의 결과, 해당 소스 ID 리스트 L이 정당하지 않다고(변경되어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에러가 되어, 소스 ID 리스트 L의 갱신이 행해지지 않는다.
한편, S158에서의 정당성의 체크의 결과, 해당 소스 ID 리스트 L이 정당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을 갱신한다(S160).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취득한 소스 ID 리스트 L에, 상기 S154에서 생성한 그룹 ID를 추가한다. 이때, 또한,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의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는 레코더 ID를,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취득한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해도 좋다.
더욱이,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ICV 데이터를 갱신한다(S162).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상기 S160에서 갱신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의 MAC값을 요구하고, 새로운 ICV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후,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상기 S160에서 갱신한 소스 ID 리스트 L과, 상기 S162에서 갱신한 ICV 데이터를,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송신하고, 콘텐츠 재생장치(20)의 기억부에 기록한다(S164). 또, S156 및 S164에서는, 콘텐츠 처리장치(10)와 콘텐츠 재생장치(20)와의 사이에서,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ICV 데이터를 변경되지 않도록 해서 송수신한다.
이상과 같은 콘텐츠 재생장치(20)의 그룹 등록 처리에 의해, 콘텐츠 재생장 치(20)는, 자신의 소스 ID 리스트 L에 그룹 ID 추가되었기 때문에, 해당 그룹 ID가 부가된 분배 콘텐츠를 재생 가능해 진다.
다음에, 도17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PD)(20)를, 이미 등록되어 있는 기기 그룹으로부터 등록 해제하는 처리(그룹 등록 해제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7은,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PD)(20)의 그룹 등록 해제 처리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러한 콘텐츠 재생장치(PD)(20)의 그룹 등록 해제 처리도,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PD)(20)의 그룹 등록 처리와 마찬가지로, 콘텐츠 재생장치(PD)(20)를 콘텐츠 처리장치(PC)(10)에 로컬 접속하여, 콘텐츠 처리장치(PC)(10)가 서버(30)에 등록 해제 요구를 행함으로써 행해진다.
도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선, 스텝 S170∼S180에서는, 등록 해제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와 서버(30)와의 사이에서 네트워크(5)를 개재한 통신 접속을 안전하게 확립하여, 유저 인증을 행한다. 이 S170∼S180의 처리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브라우저와, 서버(30)의 WWW 서버(31)와의 사이에서 행해진다. 또, 이러한 S170∼S180의 처리는, S176에 있어서,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WWW 서버(31)에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등록 해제 요구 통지가 이루어지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14에서 설명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등록 처리의 S60∼S70과 대략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의 스텝 S182∼S198에서는, 콘텐츠 처리장치(10)를 실제로 등록 해제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이 S182∼S198에서의 처리는, 등록 해제 요구원의 콘텐 츠 처리장치(10)의 저작권 관리부와, 서버(30)의 그룹 관리 서버(32)와의 사이에서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콘텐츠 처리장치(10)는, 등록 해제 대상의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해당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 및 ICV 데이터를 취득한다(S182).
더욱이,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상기 S158과 같은 방법으로, S182에서 취득한 ICV 데이터에 의거하여, 취득한 소스 ID 리스트 L의 정당성을 체크한다(S184). 이 S184에서의 정당성의 체크의 결과, 해당 소스 ID 리스트 L이 정당하지 않다(변경되어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에러가 되어, 소스 ID 리스트 L의 갱신이 행해지지 않는다.
한편, S184에서의 정당성의 체크의 결과, 해당 소스 ID 리스트 L이 정당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을 갱신한다(S186).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취득한 소스 ID 리스트 L로부터, 그룹 ID를 삭제한다. 이때, 또한, 해당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는 레코더 ID를, 삭제해도 좋다. 이에 따라,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있어서, 이들 소스 ID가 부가된 콘텐츠의 재생이 불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ICV 데이터를 갱신한다(S188).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상기 S186에서 갱신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의 MAC값을 요구하고, 새로운 ICV 데이터를 생성 한다.
그후,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상기 S186에서 갱신한 소스 ID 리스트 L과, 상기 S188에서 갱신한 ICV 데이터를,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송신하고, 콘텐츠 재생장치(20)의 기억부에 기록한다(S190).
다음에, 콘텐츠 처리장치(10)는, 그룹 관리 서버(32)에 대하여, 등록 해제 대상의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등록 해제 요구를 행한다(S192).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처리장치(10)는, 그룹 관리 서버(32)에 대하여, 상기 S180에서 수신한 트랜잭션 ID와,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에 대응하는 터미널 ID와, 등록 해제 대상의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디바이스 ID를 송신하고, 등록 해제 요구를 행한다. 또, 이 S192에서 송신되는 정보는, 상기 세션 정보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변경이 방지되므로, 안전하게 송신가능하다.
다음에, 그룹 관리 서버(32)는, 상기 등록 해제 요구를 수신하면,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등록 해제 가부를 판단한다(S194). 예를 들면, 부정한 등록 해제 요구일 경우 등에는, 그룹 관리 서버(32)는, 등록 해제를 허가하지 않는다.
이러한 S194에서의 등록 가부 판단의 결과, 등록 해제를 허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룹 관리 서버(32)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등록 해제 불가인 취지의 에러 통지를 송신한다.
한편, S194에서의 등록 가부 판단의 결과, 등록 해제를 허가할 경우에는, 그룹 관리 서버(32)는, 등록 해제 대상의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등록 해제 처리를 행한다(S196). 구체적으로는, 그룹 관리 서버(32)는, 상기 등록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의 터미널 ID 등에 의거하여, 그룹 등록 데이터베이스(324) 내의 상기 인증된 유저의 레코드를 특정하고, 이 레코드로부터, 상기 등록 해제 대상의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디바이스 ID를 삭제한다.
그후, 그룹 관리 서버(32)는, 등록 해제 요구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하여, 등록 해제 완료 통지를 송신한다(S198).
이상과 같이,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등록 해제 처리에서는, 콘텐츠 처리장치(10)측에서, 앞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로부터 그룹 ID를 삭제(S186)한 후에, 그룹 관리 서버(32)측에서, 등록 해제 처리(S196)를 행한다. 이에 따라, 그룹 관리 서버(32)에서 등록 해제된 콘텐츠 재생장치(20)에 관해서는, 해당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로부터 그룹 ID를 확실하게 삭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그룹 관리 서버(32) 상에서는 등록 해제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실제의 소스 ID 리스트 L에는 그룹 ID가 잔존하고 있다고 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콘텐츠 처리장치(PC)(10) 및 콘텐츠 재생장치(PD)(20)의 그룹 등록 처리 및 그룹 등록 해제 처리의 기본적인 흐름에 관하여 설명했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동일한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유자가 변경이 된 경우에도, 등록 해제 및 재등록을 행함으로써,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또, 리핑 기능을 가지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신규 그룹 등록, 그룹 변경이 있었던 경우에도,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더 ID는 불변이다. 이 때문 에, 신규 그룹 등록전 또는 그룹 변경전에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의해 리핑 된 콘텐츠를, 신규 그룹 등록후 또는 그룹 변경후에 있어서도,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속하는 기기 그룹의 기기는, 자유롭게 재생가능하다. 이에 따라, 리핑 기능을 가지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유저의 편리성이 향상되어, 구입 메리트가 높아진다.
<8. 그룹 관리 방식의 재생 제어 처리>
다음에, 도18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방식의 콘텐츠 재생 제어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8은,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방식의 콘텐츠 재생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 그룹 관리 방식의 재생 제어 처리는,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와, 소스 ID 리스트 L에 의거하여,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처리이다.
도1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선, 스텝 S202에서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재생 요구가 이루어진다(스텝 S202; 재생 요구 스텝). 유저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입력장치(108)를 조작하고,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택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콘텐츠 재생부(170)에 대하여 지시한다.
다음에, 스텝 S204에서는,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가 판독된다(스텝 S204). 콘텐츠 재생부(170)의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우선, 상기 재생 요구된 콘텐츠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6) 또는 기록 매체(7) 등으로부터 판독하고, 다음 에, 이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라이센스에 포함되는 소스 ID를 판독해서 해석한다.
더욱이, 스텝 S206에서는, 상기 콘텐츠로부터 판독한 소스 ID가,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스텝 S206).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재생부(170)의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예를 들면 스토리지 장치(111)로부터 소스 ID 리스트 L을 판독해서 해석한다. 다음에,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상기 콘텐츠로부터 판독한 소스 ID와,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는 소스 ID를 비교하여, 상기 콘텐츠로부터 판독한 소스 ID가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의 결과, 콘텐츠로부터 판독한 소스 ID가,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해당 콘텐츠의 재생을 허가하고, 스텝 S208로 진행된다. 한편, 콘텐츠로부터 판독한 소스 ID가,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해당 콘텐츠의 재생을 허가하지 않고, 재생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더욱이, 스텝 S208에서는, 현재 시간이 취득된다(스텝 S208).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내장되어 있는 시간 측정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현재 시간을 취득한다.
그후, 스텝 S210에서는, 상기 취득한 현재시간이, 상기 콘텐츠로부터 판독한 소스 ID의 유효 기한 내인가 아닌가가 판단된다(스텝 S210). 구체적으로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우선, 상기 콘텐츠로부터 판독한 소스 ID에 대응하는 유효 기 한 정보를, 소스 ID 리스트 L로부터 판독한다. 상기 콘텐츠로부터 판독된 소스 ID에 대응하는 유효 기한 정보는, 예를 들면 소스 ID 리스트 L 내에, 해당 소스 ID와 관련되어 기록되어 있다.
다음에,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상기 취득한 현재 시간이, 상기 소스 ID의 유효기한을 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의 결과, 현재 시간이, 상기 소스 ID의 유효기한을 넘고 있을 경우에는, 소스 ID가 기한 마감으로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허가하지 않고, 재생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해당 현재 시간이, 상기 소스 ID의 유효 기한 내일 경우에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해당 콘텐츠의 재생을 허가하고, 스텝 212로 진행된다. 이 결과, 스텝 S212에서는, 재생 실행부(174)가 해당 콘텐츠를 재생한다(스텝 S212).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그룹 관리 방식의 콘텐츠 재생 제어 처리는,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 리스트 L 내의, 소스 ID와, 이 소스 ID의 유효 기한 정보에 의거하여 실행된다. 이러한 재생 제어에 의하면, 소스 ID 단위로 콘텐츠의 재생의 유효기한을 설정하여, 콘텐츠의 재생을 허가/불허가할 수 있다. 또, 소스 ID의 유효기한은 반드시 설정되지 않아도 좋다.
<9. 그룹 관리 방식의 소스 ID 리스트의 갱신 처리>
다음에, 도19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PC)(10)에 있어서의 소스 ID 리스트 L의 갱신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9는, 본 실시예에 관 한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있어서의 소스 ID 리스트 L의 갱신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리스트 갱신 처리는,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배포된 그룹 증명서 G를 취득하고, 이러한 그룹 증명서 G에 의거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의 소스 ID 리스트 L 또는 로컬 접속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을 갱신하는 예이다.
도1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선, 스텝 S220에서는, 콘텐츠 처리장치(10)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증명서 관리 서버(36)로부터 배포된 그룹 증명서 G를 취득한다(스텝 S220). 콘텐츠 처리장치(10)는, 네트워크(5) 또는 로컬 라인(9)을 통해 그룹 증명서 G를 수신하거나, 또는, 기억매체(7)에 기록되어 있는 그룹 증명서 G를 판독함으로써, 그룹 증명서 G를 취득가능하다.
다음에, 스텝 S222에서는, 상기 취득한 그룹 증명서 G가 유효 기한 내인가 아닌가가 판단된다(스텝 S222).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리스트 관리부(140)는, 우선, 그룹 증명서 G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 기한 정보를 판독하고,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내장되어 있는 시간 측정 장치로부터 현재 시간 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에, 리스트 관리부(140)는, 현재 시간이 그룹 증명서 G의 유효 기한 내 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의 결과, 그룹 증명서 G가 유효 기한 내일 경우에는, S224로 진행한다. 한편, 그룹 증명서 G가 유효기한을 지난 경우에는, 리스트 갱신을 거부하고, 리스트 갱신 처리를 종료한다.
더욱이, 스텝 S224에서는, 리스트 관리부(140)에 의해, 상기 취득한 그룹 증명서 G에 포함되어 있는 그룹 ID가 판독된다(스텝 S224).
그후, 스텝 S226에서는, 리스트 관리부(140)에 의해,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그룹 ID가 판독된다(스텝 S226). 본 실시예에서는, 각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있어서 그룹 ID는 소스 ID 리스트 L에 보존되어 있으므로, 리스트 관리부(140)는, 소스 ID 리스트 L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응하는 그룹 ID를 판독한다.
다음에, 스텝 S228에서는, 리스트 관리부(140)에 의해, 상기 취득한 그룹 증명서 G으로부터 판독한 그룹 ID와,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에 대응하는 그룹 ID가 일치하는가 아닌가가 판단된다(스텝 S228). 이 판단의 결과, 양쪽의 그룹 ID가 일치할 경우에는, 리스트 갱신이 허가되고, S230으로 진행한다. 한편, 양쪽의 그룹 ID가 다른 경우에는, 리스트 갱신이 거부되어, 리스트 갱신 처리를 종료한다.
더욱이, 스텝 S230에서는, 리스트 관리부(140)에 의해, 그룹 증명서 G에 포함되어 있는 레코더 ID가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된다(스텝 S230). 구체적으로는, 리스트 관리부(140)는, 상기 취득한 그룹 증명서 G으로부터 레코더 ID를 판독하고, 이러한 레코더 ID를 소스 ID 리스트 L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콘텐츠 처리장치(10)는, 해당 레코더 ID가 부가되어 있는 리핑 콘텐츠를 재생 가능해 진다. 이상까지에서, 그룹 증명서 G에 근거하는 소스 ID 리스트 L의 갱신 처리가 종료한다.
이상,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 및 이것을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의 기본적 구성에 관하여 설명했다. 이러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에서는,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와, SDMI 준거의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 방식을 실현할 수 잇다.
이중,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에 있어서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를 행할 경우에는, 복수의 기기 사이에서 공유되는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원 단위(제공원의 유저 단위 또는 기기 단위)로 관리하고,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의한 콘텐츠의 재생을, 콘텐츠 제공원에 따라 제한함으로써,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를 행한다. 즉, 기기 사이에서의 콘텐츠의 공유를 콘텐츠 제공원 단위로 허가/불허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콘텐츠 제공원이 부정한 콘텐츠 제공원일 경우에는, 콘텐츠 취득측의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있어서, 이 부정한 콘텐츠 제공원으로부터 취득한 모든 콘텐츠의 재생을, 일괄하여 금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불특정 다수의 유저에 대한 리핑 콘텐츠의 대량 배포 행위, 분배 콘텐츠를 인터넷 상에서 다운로드가능하게 공개하는 행위 등이라고 하는 위법 행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의 제공원이 정당한 콘텐츠 제공원일 경우에는, 일단, 이 콘텐츠 제공원의 소스 ID를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해서 콘텐츠의 공유를 허가해 두면, 그 후에는, 허가된 콘텐츠 제공원으로부터 제공된 것이면, 다른 콘텐츠이여도 자유롭게 재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적사용의 범위 내에서는, 복수의 기기 사이에서 콘텐츠를 자유롭게 복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적이용에 한하여 무제한의 복사를 인정하고 있었던 종래의 아날로그 콘텐츠의 유통 시스템에 가까운 저작권 관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은, (1) 콘텐츠 분배 서비스 등에 대하여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콘텐츠를 부정 이용하는 행위를 제한하는 저작 권리 관리 기능과, (2) 정당한 대가를 지불한 사적사용의 범위 내에서의 콘텐츠 이용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 이러한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 처리에서는, 원칙으로서, 콘텐츠 분배 서비스나 리핑 콘텐츠 공유 서비스의 등록시 등에 한번만, 소스 ID 리스트 L의 소스 ID를 추가하는 처리를 행하면 된다. 따라서, 종래의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 처리와 같이, 콘텐츠의 복사(체크인/체크아웃)를 행할 때마다 매회, 저작권 관리 처리를 실행할 경우와 비교하여, 저작권 관리 처리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더욱이,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유자(유저) 단위로, 각 기기를 그룹 등록해서 그룹화함으로써, 동일한 기기 그룹에 등록된 기기 사이에서는, 콘텐츠를 자유롭게 복사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적사용을 하는 정당한 유저는, 자기가 소유하는 기기 사이에서 자유롭게 콘텐츠를 복사할 수 있고, 또, 콘텐츠의 복사원이나 복사 회수 등을 의식할 필요가 없으므로,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존재를 느끼기 어렵다. 따라서, 사적사용의 범위 내에서는, 유저에 의한 콘텐츠 이용의 자유도, 및 편리성을 더욱 높여, 유저 프렌드리한 저작권 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
<10. 로컬 등록에 대해서>
여기에서, 도20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관한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 시스템(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에 있어서의 로컬 등록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0은, 본 실시예에 관한 로컬 등록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로컬 등록의 전제로서 우선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에는 레코더 ID를 1개만 등록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재생장치(20)는, 콘텐츠 처리장치(10)를 1개만 특정하여, 그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예를 들면 리핑된 콘텐츠 데이터(또는,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20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레코더 ID가 「레코더 ID1」인 콘텐츠 처리장치(10)와 콘텐츠 재생장치(20)가 USB 등의 인터페이스로 로컬 라인(9)(케이블)을 거쳐서 접속하면,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레코더 ID1이 추가된다. 즉, 콘텐츠 재생장치(20)를 레코더 ID1의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로컬 등록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로컬 등록의 일련의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장치(20)에는 1개의 레코더 ID밖에 등록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레코더 ID가 이미 등록되어 있었을 경우, 또 다른 레코더 ID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가 이미 콘텐츠 재생장치(20)에 기억되어 있었던 것 등의 경우, 로컬 등록할 수 없다.
도 20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에 레코더 ID1을 기술함으로써, 레코더 ID1의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리핑 등에 의해 기록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콘텐츠 재생장치(20)는, 재생할 수 있다. 또, 도 20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리핑 등에 의해 기록 한 콘텐츠 데이터에는 레코더 ID1이 부여되어 있다.
다음에, 도20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레코더 ID1의 콘텐츠 처리장치 10a에 대하여 로컬 등록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와 레코더 ID2의 콘텐츠 처리장치 10b가 로컬 라인 9b로 접속되고, 레코더 ID2의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하여, 재생하려고 하면,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등록되어 있는 레코더 ID는, 레코더 ID1이기 때문에 재생할 수 없다.
더욱이, 레코더 ID2를 소스 ID 리스트 L에 등록하려고 하여도, 이미 레코더 ID1이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에 기술할 수 없어 레코더 ID2의 콘텐츠 처리장치 10b에 로컬 등록할 수도 없다.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레코더 ID2의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려면, 소스 ID 리스트 L에 이미 기술되어 있는 레코더 ID1을 삭제하는 동시에, 레코더 ID1의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한다. 즉,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로컬 등록의 해제를 할 필요가 있다.
로컬 등록의 해제는,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에 기술된 레코더 ID를 삭제하는 것이다. 상기 레코더 ID의 삭제는, 레코더 ID를 추가한 콘텐츠 처리장치(10)를 비롯해, 어떤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도 콘텐츠 재생장치(20)에 로컬 라인(9)으로 접속함으로써 삭제할 수 있다.
또, 상기 레코더 ID의 삭제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HDD 등의 기록부를, 소스 ID 리스트 L을 포함시켜 일체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초기화 처리를 한 경우라도 좋고, 레코더 ID가 삭제되면, 로컬 등록의 해제를 할 수 있다.
소스 ID 리스트 L로부터 레코더 ID1이 삭제되고, 레코더 ID1의 콘텐츠 데이터가 삭제되면, 레코더 ID2의 콘텐츠 처리장치 10b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자신의 레코더 ID2를 추가할 수 있다. 즉 로컬 등록할 수 있다.
또, 이미 로컬 등록된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하여 로컬 등록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레코더 ID와, 그 레코더 ID가 부가된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레코더 ID만을 소스 ID 리스트 L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로컬 등록의 해제로 하고,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하여 로컬 등록하는 것을 허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20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에 기술된 레코더 ID1을 삭제하고, 레코더 ID2로 함으로써, 콘텐츠 재생장치(20)는, 레코더 ID2의 콘텐츠 처리장치 10b가 보유하는 레코더 ID2가 부가된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 레코더 ID2의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다음에, 도21을 참조하면서, 상기 설명한 그룹 등록 또는 로컬 등록했을 때의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1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레코더 ID1의 콘텐츠 처리장치 10a와, 레코더 ID2의 콘텐츠 처리장치 10b와, 로컬 등록필의 콘텐츠 재생장치(20)가 존재하고 있었다고 하자. 또, 콘텐츠 재생장치(20)는, 레코더 ID1의 콘텐츠 처리장치 10a에 대 하여 로컬 등록하여, 레코더 ID1의 콘텐츠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다음에, 도21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레코더 ID1의 콘텐츠 처리장치 10a가 그룹 IDA의 서비스 등록(또는, 그룹 등록으로 기재할 경우도 있다.)을 하면, 레코더 ID1의 콘텐츠 처리장치 10b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에는, 그룹 IDA가 추가된다. 또, 레코더 ID1은 자기의 레코더 ID이기 때문에 이미 기술되어 있다.
같은 방법으로, 레코더 ID2의 콘텐츠 처리장치 10b에 관해서도 그룹 IDA의 서비스 등록을 하면, 레코더 ID2의 콘텐츠 처리장치 10b의 소스 ID 리스트 L에는, 그룹 IDA가 기술된다.
더욱이, 같은 그룹 ID를 가지는 장치끼리에서 1개의 그룹을 형성하여, 그룹 등록할 수 있어, 소스 ID 리스트 L에 같은 그룹 ID를 가지는 장치의 레코더 ID가 추가된다.
도21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레코더 ID2의 콘텐츠 처리장치 10b의 소스 ID 리스트 L에는, 같은 그룹 IDA가 추가된 레코더 ID1의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더 ID가 추가되고, 레코더 ID1의 콘텐츠 처리장치 10a의 소스 ID 리스트에도 레코더 ID2가 추가된다.
또, 도21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소스 ID 리스트 L에 레코더 ID를 추가하는 타이밍으로서, 예를 들면, 그룹 관리 서버(32)에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액세스했을 때에, 그룹 관리 서버(32)로부터 송신되는 그룹 증명서 G를 수신한 타이밍 등을 예로 들 수 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그룹 증명서 G를 수신함으로써,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신규로 추가된 레코더 ID를 포함하여 해당 그룹 ID에 속하는 모든 레코더 ID를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할 수 있다.
액세스란, 예를 들면, 시스템의 이용, 서버에의 접속, 파일의 참조, 파일의 보존, 파일의 삭제, 또는 파일의 변경 등, 통신망(네트워크(5))을 통해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를 총칭해서 말한다.
다음에, 도21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미 그룹 IDA에서 서비스 등록필인 콘텐츠 처리장치 10a 이외에, 다시 레코더 ID1의 콘텐츠 처리장치 10a에 로컬 등록하고 있는 콘텐츠 재생장치(20)에 대해서도 그룹 IDA의 그룹에 서비스 등록하면,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에는, 그룹 IDA가 등록되고, 또한 레코더 ID2도 추가된다.
따라서, 콘텐츠 재생장치(20)가 그룹 IDA에서 서비스 등록하면, 레코더 ID1및 레코더 ID2의 콘텐츠 처리장치 10a, 10b가 리핑 등에 의해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재생장치(20)는 재생할 수 있다.
또, 콘텐츠 재생장치(20)를 서비스 등록함으로써, 우선 그룹 IDA가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되지만, 그 그룹 IDA에 속하는 예를 들면 레코더 ID2 등의 레코더 ID가 상기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되는 타이밍은, 예를 들면, 레코더 ID2의 콘텐츠 처리장치 10b에 로컬 라인(9)으로 접속했을 경우 등이 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도22를 참조하면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등록부에 구비되는 구성요소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22는,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 룹 등록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텐츠 처리장치(10) 내의 그룹 등록부에는, 취득부(401)와, 검출부(403)와, 레코더 ID 추가부(405)와,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07)와, 등록 완료 수신부(409)와, 통지부(411)와, 그룹 ID 추가부(413)가 구비된다.
상기 취득부(401)는, 접속처의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제2 소스 ID 리스트)을 취득한다. 또, 취득된 소스 ID 리스트 L은 ICV 계산되고, MAC값이 구해져, 별도 취득하는 변경 검출용 데이터에 포함되는 MAC값과 대조되어, 변경되지 않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변경 검출용 데이터는, 소스 ID 리스트 L에 근거해 생성된다.
상기 검출부(403)는, 상기 취득부(401)가 취득한 소스 ID 리스트 L의 콘텐츠 재생장치(20)가 서비스 등록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고, 또한 상기 취득부(401)가 취득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해당 취득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자(自)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더 ID가 기술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한다. 자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 등과 같은 의미이다.
레코더 ID 추가부(405)는, 상기 취득부(401)가 취득한 소스 ID 리스트 L에 자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더 ID를 추가하고, 그 소스 ID 리스트 L의 취득처인 콘텐츠 재생장치(20)에 대하여 추가된 소스 ID 리스트 L을 스토리지 장치 등에 격납한다.
레코더 ID 추가부(405)가 상기 소스 ID 리스트 L에 레코더 ID를 추가하는 조 건으로서, 나중에 설명하지만, 소스 ID 리스트 L의 취득처인 콘텐츠 재생장치(20)가 서비스 미등록이며, 그 소스 ID 리스트 L 내에 취득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자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더 ID 이외의 레코더 ID가 기술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부(403)에 의해 검출되는 것 등을 조건으로서 예시할 수 있다.
또, 레코더 ID 추가부(405)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레코더 ID를 추가할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레코더 ID 추가부(405)는,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에 레코더 ID를 추가할 경우 등이어도 좋다.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07)는, 유저에 의해 마우스 등의 입력부가 조작되어,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를 서비스 등록하는 취지의 요구 등을 접수하면,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07)는, 송신부에 등록 요구 정보를 송신한다. 또, 송신된 등록 요구 정보는, 송신부를 개재해 네트워크를 통해서 그룹 관리 서버(32)에 송신된다.
상기 등록 완료 수신부(409)는, 등록 요구 정보가 송신된 그룹 관리 서버(32)로부터 등록 완료의 취지를 알리는 등록 완료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수신한다. 또, 상기 그룹 관리 서버(32)로부터 정상적으로 콘텐츠 재생장치(20) 또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서비스 등록 처리가 종료하지 않을 경우, 등록 완료 정보 가 아니라, 등록 이상 정보 등이 송신된다.
상기 통지부(411)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표시 화면 위에 서비스 등록을 권하는 통지 등을 표시한다. 또, 콘텐츠 재생장치(20)에 기억된 자 콘텐츠 처리장 치(10)에 대응하지 않는 레코더 ID의 콘텐츠 데이터를 소거(초기화)하도록 권하는 통지 등을 표시 화면 위에 표시한다. 또, 콘텐츠 처리장치(10)의 표시 화면 위에 표시할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콘텐츠 재생장치(20)의 표시 화면 위에 서비스 등록을 권하는 통지 등이 표시되는 경우에도 실시가능하다.
그룹 ID 추가부(413)는, 상기 등록 완료 수신부(409)에서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에 기술된 그룹 ID를,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한다. 그 때, 취득부(401)가 취득한 소스 ID 리스트 L에 그룹 ID 추가부(413)는 그룹 ID를 추가한다.
또, 전술한 그룹 ID 추가부(413)가 구비하는 기능과 거의 동일한 기능을, 도 8에서 상기 설명한 그룹 ID 갱신부(149)가 구비할 경우 등에서도 실시가능하며, 그룹 ID 갱신부(149)가, 소스 ID 리스트 L에 그룹 ID를 추가 등 해도 좋다.
다음에, 도23∼도25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20)에 대한 자동적인 로컬 등록 처리를 포함하는 일련의 등록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2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텐츠 재생장치(20)가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케이블(로컬 라인(9)) 접속하면(S301), 콘텐츠 처리장치(10)에 구비된 취득부(401)가 케이블(로컬 라인(9)) 접속처인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한다.
취득부(401)가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하면, 검출부(403)는 상기 소스 ID 리스트 L에 근거해 취득처인 콘텐츠 재생장치(20)가 어떠한 등록이 행해져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한다(S302). 예를 들면, 검출부(403)는,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 하는 소스 ID 리스트 L에 그룹 ID가 기술되어 있는지, 취득원의 콘텐츠 처리장치(10)(자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더 ID가 기술되어 있는지 등을 검출한다.
검출부(403)가, 예를 들면 소스 ID 리스트 L에 그룹 ID가 기술되어 있었을 경우, 그 콘텐츠 재생장치(20)는 서비스 등록(또는 그룹 등록)필인 것을 검출하고, 소스 ID 리스트 L에 레코더 ID가 기술되어 있었을 경우, 그 콘텐츠 재생장치(20)는 로컬 등록필인 것을 검출한다.
검출의 결과, 로컬 등록 또는 서비스 등록 등, 콘텐츠 재생장치(20)가 어떠한 등록이 행해져 있었을 경우(S302), 다음에 검출부(403)는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로컬 등록필인가 아닌가를 검출하고(S303), 검출 결과가 로컬 미등록인 경우, 다음에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서비스 등록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한다(S304). 또,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서비스 등록되어 있는가 아닌가는,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제1 소스 ID 리스트)에, 그룹 ID가 기술되어 있는가 아닌가에 근거해 판단할 수 있다.
검출부(403)에 의한 검출의 결과,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서비스 미등록의 경우(S304), 즉 케이블(로컬 라인(9)) 접속된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로컬 미등록이며, 또한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서비스 미등록일 경우,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해서, 그룹 관리 서버(32)에 서비스 등록을 재촉하기 위한 서비스 등록 권고 정보를 통지부(411)가 생성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의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S305).
다음에, 상기 통지부(411)에 의한 서비스 등록 권고 정보를 표시 화면을 거 쳐서 유저가 시인함으로써,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서비스 등록하는 경우(S305), 표시 화면에 서비스 등록용의 등록 화면을 표시한다(S306).
화면에 표시된 등록 화면에 따라, 유저가 마우스 등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서비스 등록의 지시를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07)가 접수했을 경우, 해당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07)는, 등록 요구 정보를 그룹 관리 서버(32)에 송신한다.
콘텐츠 처리장치(10)가 그룹 관리 서버(32)로부터 서비스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여, 리프 ID에 근거해 그룹 ID를 생성하고, 그룹 ID 추가부(413)가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그룹 ID를 추가함으로써, 서비스 등록이 완료한다(S307). 또, 상기 그룹 ID의 추가와 함께, 그 그룹 ID에 속하는 레코더 ID에 관해서도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된다.
한편,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서비스 등록을 하지 않을 경우(S305), 콘텐츠 처리장치(10)의 표시 화면에 도2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경고 화면을 표시한다(S308). 도26에 나타내는 경고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유저에게 콘텐츠 재생장치(20)가 정확하게 등록이 행해져 있지 않은 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또,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이미 서비스 등록되어 있을 경우(S304), 예를 들면,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등록되어 있는 그룹 ID와,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등록되어 있는 그룹 ID가 동일한 것을, 검출부(403)가 검출하면(S309), 콘텐츠 처리장치(10)는,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에 격납된 상기 그룹 ID가 부여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전송 할 수 있다.(S310).
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에 기술된 그룹 ID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S309),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도26에 나타내는 경고 화면이 화면 위에 표시되어(S311),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분배 서버(34)로부터 분배된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전송할 수 없다.
다음에, S302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장치(20)가 아무것도 등록이 행해져 있지 않았던 경우, 도2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선 상기 통지부(411)에 의한 서비스 등록 권고 정보를 콘텐츠 처리장치(10)의 표시 화면을 거쳐서 유저가 시인하여, 콘텐츠 재생장치(20)가 서비스 등록하는 경우(S312), 다시 검출부(403)에 의해 케이블(로컬 라인(9)) 접속된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서비스 등록되어 있는지 등록 상황이 검출된다(S313).
검출부(403)에 의한 검출의 결과,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서비스 등록되어 있었을 경우(S313), 콘텐츠 처리장치(10)의 표시 화면에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서비스 등록용의 등록 화면을 표시한다(S314).
다음에, 유저는, 화면에 표시된 등록 화면을 따라, 마우스 등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콘텐츠 재생장치(20)에 대한 서비스 등록의 지시를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07)가 접수했을 경우, 해당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07)는, 등록 요구 정보를 그룹 관리 서버(32)에 송신한다.
콘텐츠 처리장치(10)가 그룹 관리 서버(32)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서 비스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속하는 그룹의 그룹 ID를 그룹 ID 추가부(413)가 추가함으로써, 서비스 등록이 완료한다(S315). 또, 상기 그룹 ID의 추가와 함께, 그 그룹 ID에 속하는 레코더 ID에 관해서도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된다.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서비스 등록이 마치면(S315), 콘텐츠 처리장치(10)는,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에 기억된 동일한 그룹 ID가 부여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전송할 수 있다.(S316).
한편, 검출부(403)에 의한 검출의 결과,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서비스 등록되어 있지 않았던 경우(S317), 콘텐츠 처리장치(10)의 표시 화면에 콘텐츠 재생장치(20) 및 콘텐츠 처리장치(10)를 서비스 등록하기 위한 등록 화면을 표시한다(S318).
화면에 표시된 등록 화면을 따라, 유저가 마우스 등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서비스 등록의 지시를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07)가 접수했을 경우, 해당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07)는, 등록 요구 정보를 그룹 관리 서버(32)에 송신한다.
또, S318에 있어서는 콘텐츠 재생장치(20) 및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서비스 등록이 행해지지만, 콘텐츠 재생장치(20)와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각각의 장치에 대해서 예를 들면 유저 ID, 패스워드 등의 입력을 접수하여, 각각 등록 요구 정보를 생성할 경우나, 상기 각각의 장치에 대해서 서비스 등록할 때에, 예를 들면 유저 ID나 패스워드 등, 공통되는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경우에는 어느 한쪽의 정 보를 접수하면, 자동적으로 등록 요구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등이어도 좋다. 후자의 경우에 의하면, 유저에 의한 정보입력 처리의 간략화나, 등록 요구 정보의 생성 시간의 단축화를 꾀할 수 있다.
콘텐츠 처리장치(10)가 그룹 관리 서버(32)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서비스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리프 ID에 근거해 그룹 ID를 생성하여, 그룹 ID 추가부(413)가 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그룹 ID를 추가함으로써, 서비스 등록이 완료한다(S318). 또, 상기 그룹 ID의 추가와 함께, 그 그룹 ID에 속하는 레코더 ID에 관해서도 콘텐츠 재생장치(20) 및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된다.
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서비스 등록이 마치면(S318), 콘텐츠 처리장치(10)가 기억하는 콘텐츠 데이터 중에서,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된 그룹 ID와 동일한 그룹 ID가 부가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전송할 수 있다(S319).
더욱이, 상기 통지부(411)에 의해 생성된 서비스 등록 권고 정보가 표시 화면에 표시되어, 그것을 유저가 시인한 결과,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서비스 등록을 하지 않을 경우(S312), 즉, 콘텐츠 재생장치(20)는 아무런 등록이 되어 있지 않고, 서비스 등록도 하지 않을 경우,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더 ID 추가부(405)는,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의 레코더 ID를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취득필의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하는 동시에, 갱신된 소스 ID 리스트 L로부터 ICV 계산함으로써 구 해진 MAC값을 포함하는 변경 검출용 데이터를 생성하고,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상기 추가후의 소스 ID 리스트 L과 변경 검출용 데이터를 격납한다(S320).
로컬 등록이 끝나면(S320),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보유하는 콘텐츠 데이터 중, 레코더 ID가 부가된 콘텐츠 데이터(리핑 콘텐트데이터)를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전송할 수 있다(S321).
따라서, 콘텐츠 재생장치(20)가 어떠한 등록이 행해지고 있지 않을 경우,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재생장치(20)를 자동적으로 로컬 등록한다. 이러한 로컬 등록에 의해, 예를 들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통신하는 기능이 없어도, 콘텐츠 재생장치(20)는,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보유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또, 콘텐츠 분배 서버(34)로부터 분배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서비스 등록이 되지 않는 한, 콘텐츠 재생장치(20)에서는 재생할 수 없다.
다음에, 도2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텐츠 재생장치(20)가 어떠한 등록이 행해지고(S302), 그중에 콘텐츠 재생장치(20)는 로컬 등록되어 있을 경우(S303)이며, 다시 도2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텐츠 재생장치(20)와 로컬 등록된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실제로 케이블(로컬 라인(9)) 접속되어 있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인가 아닌가 판단한다(S322).
요컨대, 검출부(403)가,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 ID와 동일한 레코더 ID가 기술되어 있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 콘텐츠 재생장치(20)와 로컬 등록한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실 제로 케이블(로컬 라인(9)) 접속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검출의 결과, 콘텐츠 재생장치(20)와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기술된 레코더 ID가 다른 경우(S322), 경고 화면을 콘텐츠 처리장치(10)의 화면에 표시하고(S323), 또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스토리지 장치에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는가 아닌가 확인한다(S324).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고 있었을 경우(S324), 콘텐츠 재생장치(20)에 대해서, 그룹 관리 서버(32)에 서비스 등록을 재촉하기 위한 서비스 등록 권고 정보를 통지부(411)가 생성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의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S325).
또,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었을 경우(S324), 도2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초기화를 재촉하는 화면이 콘텐츠 처리장치(10)의 화면 상에 표시된다(S326). 도27에 나타내는 화면을 거쳐서 유저에 의한 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초기화한다」 버튼이 눌러지면,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스토리지 장치에 기억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하여, 물리적인 초기화처리를 실행한다(S327).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20)에 대한 초기화 처리가 완료하면(S327),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더 ID 추가부(405)는, 로컬 등록 처리를 실행한다(S328). 구체적으로는, 레코더 ID 추가부(405)는,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의 레코더 ID를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취득필의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하는 동시에, 갱신된 소스 ID 리스트 L로부터 ICV 계산함으로써 구해진 MAC값을 포함하는 변경 검출용 데이터를 생성하고,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상기 추가후의 소스 ID 리스트 L과 변경 검출용 데이터를 격납한다(S328).
따라서, 콘텐츠 재생장치(20)에 대한 초기화처리를 실행함으로써(S327), 다른 레코더 ID를 가지는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등록되어 있었던 로컬 등록을 해제하고, 케이블(로컬 라인(9)) 접속된 자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더 ID로 자동적으로 로컬 등록할 수 있다.(S328).
다음에, 검출의 결과,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기술된 레코더 ID와,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기술된 레코더 ID가 동일할 경우(S322), 상기 통지부(411)에 의한 서비스 등록 권고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유저가 이 표시를 시인한 결과, 콘텐츠 재생장치(20)를 서비스 등록하지 않을 경우에는(S329), 예를 들면,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스토리지 장치에 기억된 콘텐츠 데이터 중, 레코더 ID가 부가된 콘텐츠 데이터(리핑 콘텐츠 데이터)만을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전송할 수 있다(S330).
또, 콘텐츠 재생장치(20)를 서비스 등록할 경우(S329)에, 또한, 검출부(403)에 의한 검출의 결과,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서비스 등록되어 있었을 경우(S331), 콘텐츠 처리장치(10)의 표시 화면에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서비스 등록용의 등록 화면을 표시한다(S332).
다음에, 유저는, 화면에 표시된 등록 화면을 따라, 마우스 등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콘텐츠 재생장치(20)에 대한 서비스 등록의 지시를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07)가 접수했을 경우, 해당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07)는, 등록 요구 정보를 그룹 관리 서버(32)에 송신한다.
콘텐츠 처리장치(10)가 그룹 관리 서버(32)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서비스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속하는 그룹의 그룹 ID를 그룹 ID 추가부(413)가 추가함으로써, 서비스 등록이 완료한다(S333).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서비스 등록이 마치면(S333), 콘텐츠 처리장치(10)는,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가 기억하는 콘텐츠 데이터 중,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된 그룹 ID와 동일한 그룹 ID가 부가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전송할 수 있다(S334).
한편,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서비스 등록되지 않고 있었을 경우(S331), 콘텐츠 처리장치(10)의 표시 화면에 콘텐츠 재생장치(20) 및 콘텐츠 처리장치(10)를 서비스 등록하기 위한 등록 화면을 표시한다(S335).
화면에 표시된 등록 화면에 따라, 유저가 마우스 등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서비스 등록의 지시를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07)가 접수했을 경우, 해당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07)는, 등록 요구 정보를 그룹 관리 서버(32)에 송신한다.
콘텐츠 처리장치(10)가 그룹 관리 서버(32)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서비스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여, 리프 ID에 근거해 그룹 ID를 생성하고, 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그룹 ID 추가부(413)가 그룹 ID를 추가함으로써, 서비스 등록이 완료한다(S336). 또, 상기 그룹 ID의 추가와 함께, 그 그 룹 ID에 속하는 레코더 ID에 관해서도 콘텐츠 재생장치(20) 및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된다.
콘텐츠 처리장치(10) 및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서비스 등록이 마치면(S336), 콘텐츠 처리장치(10)는,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가 기억하는 콘텐츠 데이터 중,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된 그룹 ID와 동일한 그룹 ID가 부가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전송할 수 있다(S337).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은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에 대한 전송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한 전송의 경우 등에서도 실시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등록부에 구비된 취득부(401)와, 검출부(403)와, 레코더 ID 추가부(405)와,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07)와, 등록 완료 수신부(409)와, 통지부(411)와, 그룹 ID 추가부(413)는 하드웨어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각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는, 1 또는 2 이상의 모듈 또는 컴포넌트로 구성되는 프로그램의 경우라도 좋다.
다음에,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의해 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할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콘텐츠 처리장치(10), 콘텐츠 재생장치 (20), 또는 서버(30) 등에 인스톨된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콘텐츠 처리장치(10), 콘텐츠 재생장치(20), 또는 그룹 관리 서버(32) 등의 컴퓨터에 각종의 처리를 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처리 스텝은, 반드시 흐름도로서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로 처리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혹은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면, 병렬처리 혹은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11. 동일 ID의 경우의 콘텐츠 처리장치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의 등록에 대해서>
다음에, 도28∼도31을 참조하면서, 유저 ID가 동일할 경우,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서비스 등록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28은, 본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등록 처리시의 입력 화면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29는, 본 실시예에 관한 그룹 관리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30은,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20)를 서비스 등록하는 개략을 나타내는 시퀸스도이며, 도3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10)를 서비스 등록하는 개략을 나타내는 시퀸스도이다.
우선,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를 서비스 등록할 때는, 콘텐츠 처리장치(10)가 그룹 관리 서버(32)에 네트워크를 거쳐서 액세스하여, 서비스 등록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그룹 관리 서버(32)(본 실시예에 관한 관리 서버)에 송신한다.
액세스란, 예를 들면, 시스템의 이용, 서버에의 접속, 파일의 참조, 파일의 보존, 파일의 삭제, 또는 파일의 변경 등, 통신망을 거쳐서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를 총칭해서 말한다.
더욱이, 그룹 관리 서버(32)가 리프 ID를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송신하고, 그 리프 ID에 근거해 콘텐츠 처리장치(10)가 그룹 ID를 생성하고, 해당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소스 ID 리스트 L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함으로써 서비스 등록이 행해지는 것을 상기에서 설명했다.
도2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텐츠 처리장치(10)의 표시 화면에는, 서비스 등록할 때에, 그룹 관리 서버(32)측으로부터 유저의 ID(유저 ID)과 패스워드를 요구하는 입력 화면이 표시되고, 유저는 마우스 등의 입력부를 조작함으로써, 그 입력 화면에 유저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동일한 유저 ID인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를 등록할 경우 등이라도, 그룹 관리 서버(32)에 유저 ID와 패스워드를 송신하지 않으면 안되어, 서비스 등록 처리의 효율성이 나쁘다.
그래서,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그룹 관리 서버(32)에 유저 ID 및 패스워드를 송신하지 않더라도 서비스 등록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서비스 등록 처리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2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관리부는, 유저 정보 송신부(430)와,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33)와, 리스트 관리부(리스트 갱신부)(140)를 적어도 구비한다. 또,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그룹 관리부의 구성을 설명할 때에 등장한 취득부(401), 검출부(403) 등도 구비되어도 좋다.
유저 정보 송신부(430)는, 유저에 의해 입력부가 조작됨으로써 입력된 유저 ID나 패스워드 등이 포함된 유저 정보를 접수하고, 그 유저 정보를 송신부를 통해서 그룹 관리 서버(32)에 송신한다.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33)는, 디바이스 ID 또는 터미널 ID를 포함하는 서비스 등록을 그룹 관리 서버(32)에 요구하기 위한 등록 요구 정보를 생성하고, 송신부를 통해서 그룹 관리 서버(32)에 송신한다.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33)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로컬 라인(9)으로 접속하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서비스 등록을 행할 경우, 취득부(401)에 의해 취득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디바이스 ID를 포함하는 등록 요구 정보를 생성한다.
또,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33)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서비스 등록을 행할 경우,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생성하는 터미널 ID를 포함하는 등록 요구 정보를 생성한다.
리스트 관리부(140)는, 상기 등록 요구 정보를 그룹 관리 서버(32)에 송신후, 그룹 관리 서버(32)로부터 회신되는 리프 ID를 수신하면, 그 리프 ID에 근거해 그룹 ID를 생성하고, 서비스 등록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에 추가한다.
다음에, 도 30을 참조하면서, 콘텐츠 재생장치(20)를 서비스 등록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전제 조건으로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이미 그룹 관리 서버(32)에 서비스 등록필이다.
콘텐츠 재생장치(20)가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로컬 라인(9)으로 케이블 접 속하면,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함으로써, 해당 콘텐츠 재생장치(20)가 서비스 등록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한다.
콘텐츠 재생장치(20)가 서비스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콘텐츠 처리장치(10)가 검출했을 경우, 도 3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선 콘텐츠 처리장치(10)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서버(30)에 대하여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등록 요구의 통지를 한다(S340).
특히 서버(30)에 구비된 WWW 서버(31)에 액세스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는 등록 요구 통지한다(S340). WWW 서버(31)는 등록 요구 통지를 접수하면, 그룹 관리 서버에 전송한다.
다음에,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등록 요구 통지되면, 서버(30)는, 등록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 등록 기동 정보를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송신한다(S341). 상기 등록 기동 정보에는, 예를 들면 데이터의 재전송에 필요한 트랜잭션 ID나, 그룹 ID를 생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리프 ID 등이 격납된 로케이션을 나타내는 URL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리프 ID는 그룹 관리 서버(32)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유저 식별 정보이다.
콘텐츠 처리장치(10)는, 등록 기동 정보를 수신하면,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취득부(401)는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디바이스 ID를 취득한다(S342).
디바이스 ID를 취득하면 (S342),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이 유지하는 터미널 ID를 취득한다(S343).
다음에,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33)가 상기 트랜잭션 ID와, 터미널 ID와, 디바이스 ID를 포함하는 등록 요구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30)에 송신한다(S344).
서버(30)의 WWW 서버(31)의 유저 등록부(등록부)(312)는, 터미널 ID에 의거하여, 이미 등록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레코드(등록 레코드)를 취득하는 동시에, 등록가능한가 체크를 행하여, 그 등록 레코드에 새롭게 디바이스 ID를 추가한다 (S345). 또,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등록 레코드에는, 예를 들면 유저 ID나 패스워드 등의 유저 정보가 터미널 ID 등과 대응되어 있다. 보통이면, 그 유저 ID 및 패스워드를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먼저 수신함으로써 그룹 관리 서버(32)는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등록된 레코드를 일의적으로 특정하고 있었지만, 터미널 ID를 수신하면, 레코드를 일의적으로 특정가능하기 때문에, 신속하고 또한 효율적인 서비스 등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 등록 레코드에 대해서는, 도12에 나타내는 그룹 등록 DB(324)에서 설명했지만, 등록 레코드(레코드 3241∼레코드 3245)는, 콘텐츠 처리장치(10) 등의 기기를 그룹 관리 서버(32)에 등록했을 때에 생성되는 레코드이다. 등록 레코드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 ID, 패스워드, 터미널 ID, 디바이스 ID, 및 레코더 ID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 WWW 서버(관리 서버)(31)는, 우선 유저 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유저 정보를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수신하고, WWW 서버(31)의 유저 인증부(인증부)(314)는, 그 유저 정보를 인증하고, 인증 허가 통지 정보를 콘텐츠 처리장치(10) 에 송신한다. 그 인증 허가 통지 정보를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수신하지 않으면, 등록 요구 정보를 서버(30)의 WWW 서버(31)에 송신할 수 없었지만, 유저 정보를 송신하지 않더라도 서버(30)는 터미널 ID를 수신하면, 레코드를 일의적으로 특정가능하기 때문, 신속하고 또한 효율적인 서비스 등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룹 관리 서버(32)가 관리하는 그룹 등록 DB(324)에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디바이스 ID가 추가되면(S345), 서버(30)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하여, 등록이 종료한 취지를 전하기 위한 등록 완료 정보를 송신한다(S346).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취득부(401)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한다(S347). 또, 취득부(401)는 소스 ID 리스트 L의 취득시에 변경을 검출하기 위해서 소스 ID 리스트 L을 ICV 계산하여 구해진 MAC값과, 소스 ID 리스트 L과 함께 취득하는 변경 검출용 데이터(ICV 데이터)에 포함되는 MAC값이 일치하는가 확인한다.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하면(S347), 리스트 관리부(140)는, 그 소스 ID 리스트 L에 이미 등록필의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그룹 ID를 추가한다(S348). 또한, 리스트 관리부(140)는, 갱신후의 소스 ID 리스트 L로부터 변경 검출용 데이터를 생성하고, 소스 ID 리스트 L과 함께 변경 검출용 데이터를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스토리지 장치에 격납한다(S349).
이상으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서비스 등록 처리가 종료한다. 콘텐츠 처리장치(10)를 이미 서비스 등록필이면, 동일 유저가 소유하는 콘텐츠 재생장치(20)를 서비스 등록할 때에, 일부러 유저에 의한 유저 ID 및 패스워드 등의 유저 정보 의 입력을 하지 않아도, 효율적으로 서비스 등록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31을 참조하면서, 콘텐츠 처리장치(10)를 서비스 등록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전제 조건으로서, 콘텐츠 재생장치(20)는 이미 그룹 관리 서버(32)의 그룹 등록 DB(324)에 서비스 등록필이라고 한다.
콘텐츠 재생장치(20)가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로컬 라인(9)으로 케이블 접속하면,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함으로써, 해당 콘텐츠 재생장치(20)가 서비스 등록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한다.
더욱이,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이 서비스 등록되어 있는가 아닌가에 관해서도 콘텐츠 재생장치(20)와 마찬가지로, 소스 ID 리스트 L에 그룹 ID 등이 기술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함으로써 판단한다.
여기에서,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서비스 등록되지 않고 있다고 콘텐츠 처리장치(10)가 검출했을 경우, 도3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선 콘텐츠 처리장치(10)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서버(30)에 대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의 서비스 등록 요구의 통지를 한다(S350).
다음에,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등록 요구 통지되면, 서버(30)는, 등록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 등록 기동 정보를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송신한다(S351). 상기 등록 기동 정보에는, 예를 들면 데이터의 재전송에 필요한 트랜잭션 ID나, 그룹 ID를 생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리프 ID 등이 격납된 로케이션을 나타내는 URL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 트랜잭션 ID는, 예를 들면 WWW 서버(31)에 의해 관리되고, 리프 ID는, 그룹 관리 서버(32)에 의해 관리된다.
콘텐츠 처리장치(10)는, 등록 기동 정보를 수신하면,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취득부(401)는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디바이스 ID를 취득한다(S352).
디바이스 ID를 취득하면(S352),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이 유지하는 터미널 ID를 취득한다(S353).
다음에,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33)가 상기 트랜잭션 ID와, 터미널 ID와, 디바이스 ID를 포함하는 등록 요구 정보를 생성하고, 서버(30)에 송신한다(S354).
WWW 서버(31)의 유저 등록부(312)는, 상기 등록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 디바이스 ID에 의거하여, 이미 등록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레코드(등록 레코드)를 취득하는 동시에, 콘텐츠 처리장치(10)를 등록가능한가 체크를 행하여, 등록가능하면, 그 등록 레코드에 새롭게 터미널 ID를 추가한다(S355). 또,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등록 레코드에는, 예를 들면 유저 ID나 패스워드 등의 유저 정보가 디바이스 ID등과 대응되어 있다. 보통이면, 그 유저 ID 및 패스워드를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더 수신함으로써 서버(30)는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등록된 등록 레코드를 일의적으로 특정하고 있었지만, 디바이스 ID를 수신하면, 등록 레코드를 일의적으로 특정가능하기 때문에, 신속하고 또한 효율적인 서비스 등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룹 관리 서버(32)의 그룹 등록 DB(324)의 해당하는 등록 레코드에 콘텐츠 처리장치(10)의 터미널 ID가 추가되면(S355), 서버(30)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하여, 등록이 종료한 취지를 전하기 위한 등록 완료 정보를 송신한다(S356).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취득부(401)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한다(S357). 또, 취득부(401)는 소스 ID 리스트 L의 취득시에 변경을 검출하기 위해서 소스 ID 리스트 L을 ICV 계산하여 구해진 MAC값과, 소스 ID 리스트 L과 함께 취득하는 변경 검출용 데이터(ICV 데이터)에 포함되는 MAC값이 일치하는가 확인한다.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하면(S357), 그 소스 ID 리스트 L에 기술된 이미 등록필의 콘텐츠 재생장치(20)의 그룹 ID를 취득하고, 리스트 관리부(140)는, 콘텐츠 처리장치(10) 자신의 소스 ID 리스트 L에 그 그룹 ID를 기록한다(S358).
이상으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서비스 등록 처리가 종료한다. 콘텐츠 재생장치(20)가 이미 서비스 등록필(예를 들면, 해당하는 등록 레코드에 디바이스 ID가 격납필 등)이면, 동일 유저가 소유하는 콘텐츠 처리장치(10)를 서비스 등록할 때에, 일부러 유저에 의한 유저 ID 및 패스워드 등의 유저 정보의 입력을 하지 않아도, 효율적으로 서비스 등록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의해 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할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콘텐츠 처리장치(10), 콘텐츠 재생장치(20), 또는 서버(30) 등에 인스톨된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컴퓨터에 각종의 처리를 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처리 스텝은, 반드시 흐름도로서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 로 처리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혹은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면, 병렬처리 혹은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10)에 구비된 유저 정보 송신부(430)와,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33)와, 리스트 관리부(140)는 각각 1 또는 2 이상의 모듈 또는 컴포넌트로 구성되는 프로그램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콘텐츠 처리장치(10)에 구비된 유저 정보 송신부(430)와,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433)와, 리스트 관리부(140)는 각각 하드웨어로 구성되는 경우 등이어도 실시가능하다.
<12. 콘텐츠의 재생 가부에 근거한 타이틀 정보의 리스트 작성 방법>
다음에, 콘텐츠의 재생 가부에 근거한 타이틀 정보의 리스트 작성 방법에 대해서, 도32 내지 도4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처리장치(10) 내에 기억 보존되는 콘텐츠에 대해서, 그 콘텐츠가 콘텐츠 처리장치(10)에서 저작권 관리상 재생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그 판별이 가능하게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의 리스트(이후, 타이틀 리스트라고도 칭한다)를 작성한다. 또,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작성한 타이틀 리스트를 콘텐츠 처리장치(10)가 구비하는 출력장치의 1개인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 또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서 저작권 관리상 재생할 수 없다고 판단한 콘텐츠를,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삭제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접속되는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에 기억 보존되는 콘텐츠에 대해서, 그 콘텐츠가 콘텐츠 재생장치(20)에서 저작권 관리상 재생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그 판별이 가능하게 콘텐츠의 타이틀 리스트를 작성한다. 또,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작성한 타이틀 리스트를 콘텐츠 처리장치(10)가 구비하는 출력장치의 1개인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 또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재생장치(20)에서 저작권 관리상 재생할 수 없다고 판단한 콘텐츠를,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삭제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상기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플러그인(502)과, 콘텐츠 취득부(504)와, 소스 ID 리스트 취득부(506)와, 콘텐츠 관리 정보 취득부(508)와, 타이틀 리스트 표시부(510)와,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와, 재생 가부 판단부(172)와, 삭제부(516) 등을 더 구비한다. 또,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스토리지 장치(111)에는, 콘텐츠 관리 정보 DB(118)과, 콘텐츠 DB(116)과, 소스 ID 리스트 L이 격납되어 있다.
복수의 플러그인(502)은, 데이터 통신부(120)에 포함되는 복수의 플러그인 모듈이다.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종류(예를 들면, PC, PDA, 휴대형 영상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IC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또는 MD 플레이어 등)에 대응한 복수의 플러그인 모듈이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인스톨됨으로써, 콘텐츠 처리장치(10)는, 각 플러그인 모듈을 거쳐서 각종의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접속의 검지 및 데 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각 플러그인 모듈에는, 그 플러그인 모듈이 접속을 검지해서 통신을 행하는 각 콘텐츠 재생장치(20)에 대하여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를 시킬 것일지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를 시킬 것일지의 종별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그룹 관리 방식의 종별이 설정되어 있는 플러그인 모듈이 동작할 경우에는,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의 재생 가부를, 소스 ID를 사용한 그룹 관리 방식으로 판단한다. 한편,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종별이 설정되어 있는 플러그인 모듈이 동작할 경우에는,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의 재생 가부를, 콘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를 사용한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으로 판단한다.
콘텐츠 관리 정보 취득부(508)는, 플러그인(502)을 통해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콘텐츠의 관리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가진다. 콘텐츠의 관리 정보에는, 콘텐츠 ID와,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어드레스와,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 등이 포함된다. 타이틀 정보에는, 예를 들면, 콘텐츠가 음악 콘텐츠일 경우에는 곡의 제목이나 아티스트명 등이 포함된다.
콘텐츠 취득부(504)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콘텐츠의 콘텐츠 ID나 그 어드레스가 제공되어, 플러그인(502)을 통해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상기 콘텐츠 ID 또는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콘텐츠를 취득하는 기능을 가진다.
소스 ID 리스트 취득부(506)는, 그룹 관리 방식의 종별이 설정되어 있는 플 러그인 모듈을 거쳐서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하는 기능을 가진다.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콘텐츠의 재생 가부 판단을 위해 참조하는 소스 ID 리스트 L에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하여 재생을 허가하는 콘텐츠의 제공원을 나타내는, 콘텐츠 처리장치(1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과, 콘텐츠 재생장치(20)에 대하여 재생을 허가하는 콘텐츠의 제공원을 나타내는,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의 2개가 있다. 전자는 제1 소스 ID 리스트의 일례이며, 후자는 제2 소스 ID 리스트의 일례이다.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콘텐츠 DB(116)에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를 콘텐츠 처리장치(10)에서 저작권 관리상 재생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재생장치(20)에서 저작권 관리상 재생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기능도 가진다. 이하, 우선 전자의 기능에 관하여 설명한다.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로부터 재생 가부의 판단 대상이 되는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취득하고, 콘텐츠 ID에 의거하여 콘텐츠 DB(116)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한다. 또,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스토리지 장치 등에 기억되어 있는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한다.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콘텐츠 DB(116)로부터 취득한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를 판독하고, 판독한 소스 ID가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을지를 조사하고,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소스 ID가 부가된 콘텐츠를 재생가능한 콘텐츠라고 판 단한다. 한편,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그 소스 ID가 부가된 콘텐츠를 재생불가능한 콘텐츠라고 판단한다.
또, 상기에서는, 콘텐츠 DB(116)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고, 그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를 참조하는 것과 같이 설명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미리 콘텐츠 ID와 소스 ID를 관련시켜 콘텐츠 관리 정보 DB(118) 등에 기록해 두면,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콘텐츠 DB(116)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지 않더라도, 콘텐츠 관리 정보 DB(118)을 콘텐츠 ID에 의거하여 참조함으로써 소스 ID를 취득할 수 있다.
다음에, 후자인,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재생장치(20)에서 저작권 관리상 재생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기능에 관하여 설명한다. 접속되어 있는 콘텐츠 재생장치(20)가,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를 행하고 있는지,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를 행하고 있는지에 의해, 재생 가부 판단부(172)가 행하는 처리는 다른 때문에, 나누어서 설명한다. 우선, 그룹 관리 방식의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의 콘텐츠 ID 또는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콘텐츠 ID 또는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콘텐츠 취득부(504)에 해당 콘텐츠를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취득시킨다. 또,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소스 ID 리스트 취득부(506)에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시킨다.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소스 ID 리스트 L 취득부(506)로부터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하고, 콘텐츠 취 득부(504)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며,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를 취득해서 해당 소스 ID가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을지를 조사한다.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해당 소스 ID가 부가된 콘텐츠를 재생가능한 콘텐츠라고 판단하고,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소스 ID가 부가된 콘텐츠를 재생불가능한 콘텐츠라고 판단한다.
또, 상기에서는,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여, 그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를 참조하는 것과 같이 설명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콘텐츠 ID와 소스 ID가 관련되어 기억된 데이터베이스를 콘텐츠 재생장치(20)가 구비하고 있으면, 그 데이터베이스를 취득함으로써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콘텐츠의 재생 가부의 판단에 필요한 소스 ID를 참조할 수 있다.
계속해서,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의 콘텐츠 ID 또는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콘텐츠 ID 또는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콘텐츠 취득부(504)에 해당 콘텐츠를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취득시킨다.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콘텐츠 취득부(504)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고,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라이센스에 설정되고 있는 재생 제한 정보를 판독해서 해당 콘텐츠가 재생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라이센스에 재생 제한 정보로서 재생 가능회수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재생 가능회수가 남아있을지(나머지 회수>0)를 조사하고, 남아있을 경우에는 재생가능한 콘텐츠라고 판단한다. 또, 재생 제한 정보로서 재생 가능기간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재생 가능기간 을 도과하지 않는가를 예를 들면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시스템 시간과 재생 가능기간을 비교함으로써 조사하여, 도과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재생가능한 콘텐츠라고 판단한다.
또, 상기에서는, 라이센스가 콘텐츠에 부가되고 있고,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해서 내부에 포함되는 라이센스를 참조하는 것과 같이 설명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라이센스가 콘텐츠에 부가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 재생장치(20)에서 예를 들면 다른 데이터베이스에서 콘텐츠 ID에 의해 관련되어 관리되고 있을 경우에는,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를 취득하는 것이 아니라 라이센스를 취득함으로써 상기 재생 가부의 판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삭제부(516)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에 의해 콘텐츠 처리장치(10)에서 재생 불가능이라고 판단된 콘텐츠를 콘텐츠 DB(116)로부터 삭제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 삭제부(516)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에 의해 콘텐츠 재생장치(20)에서 재생 불가능이라고 판단된 콘텐츠를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삭제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삭제부(516)는, 예를 들면 「일괄 삭제」 버튼의 눌림 등의 입력장치(108)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삭제대상의 콘텐츠가 콘텐츠 처리장치(10) 내의 콘텐츠인지,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인지를 판단한다. 판단에 근거하여, 재생 가부 판단부(172)에 콘텐츠 처리장치(10) 내부,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 내부의 콘텐츠의 재생 가부의 판단 요구를 하여, 재생 가부 판단부(172)로부터 회답을 취득한다. 회답에는, 예를 들면, 재생 가부 판단부(172)에 의해 재생 불가능이 라고 판단된 콘텐츠의 콘텐츠 ID 등이 포함된다.
삭제부(516)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로부터 취득한 재생 불가능 콘텐츠의 콘텐츠 ID와, 자기가 판단한 삭제대상(콘텐츠 처리장치(10) 내인지,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인지)에 의거하여, 콘텐츠 DB(116)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해당 하는 콘텐츠를 삭제한다. 콘텐츠 DB(116)로부터 콘텐츠를 삭제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콘텐츠 ID에 의거하여 해당 콘텐츠 ID가 부가되어 있는 콘텐츠를 삭제한다.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를 삭제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콘텐츠 ID와 삭제요구를 콘텐츠 재생장치(20)에 플러그인(502)을 통해 송신하고,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자기가 보유하는 콘텐츠 중에서 해당 콘텐츠 ID가 부가되어 있는 콘텐츠를 삭제시킨다.
콘텐츠 관리 정보 DB(118)에는, 콘텐츠 DB(116)에 격납되어 있는 각 콘텐츠에 일의적으로 부여되어 있는 콘텐츠 ID와, 콘텐츠의 어드레스와, 그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가 관련되어 기억되어 있다.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는, 입력장치(108)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하여, 콘텐츠의 타이틀 리스트를 작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타이틀 리스트에는,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고, 예를 들면 콘텐츠가 음악 콘텐츠일 경우에는 곡명이나 아티스트명 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유저가, 어떤 그룹(앨범) 중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를 일람 표시시키도록 입력장치(108)를 통해 지시했을 경우에,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는, 콘텐츠 관리 정보 DB(118)로부터 해당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판독하고, 판독한 콘텐츠 ID를 재생 가부 판단부(172)에 제공해서 그것들의 콘텐츠가 콘텐츠 처리장치(10)에서 재생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단시킨다. 그 후,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는 판단 결과를 재생 가부 판단부(172)로부터 취득하고, 콘텐츠 관리 정보 DB(118)에 포함되는 타이틀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재생 가부가 구별가능하도록 콘텐츠의 타이틀 리스트를 작성한다. 콘텐츠의 재생 가부가 구별가능하도록 콘텐츠의 타이틀 리스트를 작성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재생가능한 콘텐츠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에서 다른 휘도정보를 설정하거나, 다른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대응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또는, 재생가능한 콘텐츠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로 그룹 나눔을 해도 좋다.
타이틀 리스트 표시부(510)는,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에 의해 작성된 타이틀 리스트를 출력장치(110)의 1개인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표시에 의해, 예를 들면 있는 그룹(앨범) 안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를 일람 표시시키도록 입력장치(108)를 통해 지시한 유저는, 각 콘텐츠가 콘텐츠 처리장치(10)에서 재생 가능한가 아닌가를 포함해서 타이틀 정보의 일람을 볼 수 있다.
또, 유저가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를 일람 표시시키도록 입력장치(108)를 통해 지시를 했을 경우에는,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는 콘텐츠 관리 정보 취득부(508)에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관리 정보를 취득하도록 요구한다. 콘텐츠 관리 정보 취득부(508)는, 취득한 콘텐츠 관리 정보를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에 제공한다.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는, 콘텐츠 관리 정보에 포함 되는 콘텐츠 ID 또는 콘텐츠의 어드레스를 재생 가부 판단부(172)에 제공하고, 해당 콘텐츠 ID 또는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의 재생 가부를 판단시킨다.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제공된 콘텐츠 ID 또는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콘텐츠 취득부(504)를 통해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한다. 그 후,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취득한 콘텐츠의 재생 가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에 제공한다. 결과에는, 콘텐츠 ID와 재생 가부의 정보가 적어도 포함된다.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는, 콘텐츠 관리 정보와 판단 결과의 양쪽에 포함되는 콘텐츠 ID와, 콘텐츠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타이틀 정보와, 판단 결과에 포함되는 재생 가부의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재생 가부의 구별이 가능한 타이틀 리스트를 작성한다. 재생 가부의 구별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에, 도33에 의거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 내의 콘텐츠의 일람을, 재생 가부가 판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처리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410에서, 콘텐츠 처리장치(10) 내의 콘텐츠의 일람 표시가 명령된다(S410).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저로부터의 입력장치(108)를 개재한 지시에 따라,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가 표시 대상의 콘텐츠를 지정하여, 재생 가부 판단부(172)에 재생 가부의 판단을 요구한다. 다음에, 스텝 S412에서, 재생 가부 판단부(172)가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한다(S412). 계속해서,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에 의해 지정된 표시 대상 콘텐츠의 선두의 콘텐츠를 선택한다(S413). 구체적으로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로부터 1 이상의 콘텐츠 ID를 취득 하고, 취득한 순서로, 또는 임의의 순서로 각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DB(116)로부터 취득한다(S413, S419).
콘텐츠를 취득한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스텝 S414에서, 취득한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를 판독한다(S414). 그 후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판독한 소스 ID가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조사하여(S415),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텝 S417로 진행되어서 그 소스 ID가 부가된 콘텐츠가 재생 가능한 것을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에 통지한다. 한편, 스텝 S415에서, 소스 ID가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416으로 진행하여, 그 소스 ID가 부가된 콘텐츠가 재생불가능한 것을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에 통지한다.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로부터의 통지에 의거하여 타이틀 리스트를 작성하고, 타이틀 리스트 표시부(510)는 작성된 타이틀 리스트에 의거하여 해당 콘텐츠를 재생 가능 또는 재생 불가능의 콘텐츠로서 표시한다(S416, S417). 상기 처리가 표시 대상 콘텐츠의 모두에 대해서 행해진다(S418).
이상, 콘텐츠 처리장치(10) 내의 콘텐츠의 일람을 재생 가부가 판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처리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했다. 다음에, 도34에 의거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 내부로부터 저작권 관리상 재생할 수 없는 콘텐츠를 삭제하는 처리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420에서, 유저에 의해 예를 들면 「일괄 삭제」 버튼이 눌러진다(S420). 버튼이 눌러지면, 삭제부(516)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에 대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콘텐츠 DB(116)에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의 재생 가부를 판단하 도록 요구한다. 이 요구를 받은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우선 스텝 S421에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한다(S421). 그 후,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콘텐츠 DB(116)에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판독해서(S422, S427) 각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를 취득한다(S423). 계속해서,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취득한 소스 ID가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을지를 조사하여(S424),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그 소스 ID가 부가된 콘텐츠가 재생불가능한 것을 삭제부(516)에 통지하고, 그 통지에 의거하여 삭제부(516)가 해당 콘텐츠를 콘텐츠 DB(116)로부터 삭제한다(S425). 상기 처리가 콘텐츠 DB(116)에 격납되어 있는 모든 콘텐츠에 대해서 행해진다(S426).
이상, 콘텐츠 처리장치(10) 내부로부터 저작권 관리상 재생할 수 없는 콘텐츠를 삭제하는 처리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했다. 다음에, 도35에 의거하여,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를 행하는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의 일람을, 재생 가부가 판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처리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430에서, 콘텐츠 재생장치 내의 콘텐츠의 일람 표시가 명령된다(S430).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저로부터의 입력장치(108)를 거친 지시에 따라,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가 콘텐츠 관리 정보 취득부(508)에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의 콘텐츠 관리 정보의 취득을 요구한다. 콘텐츠 관리 정보 취득부(508)가 취득한 콘텐츠 관리 정보에 의거하여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가 재생 가부 판단부(172)에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의 재생 가부의 판단을 요구한다.
다음에, 스텝 S431에서, 재생 가부 판단부(172)가 소스 ID 리스트 취득부(506)를 통해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한다(S431). 계속해서,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에 의해 지정된 표시 대상 콘텐츠의 선두의 콘텐츠를 선택한다(S432). 구체적으로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로부터 1 이상의 콘텐츠 ID를 취득하고, 취득한 순서로, 또는 임의의 순서로 각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취득부(504)를 통해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취득한다(S432, S438).
콘텐츠를 취득한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스텝 S433에서, 취득한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를 판독한다(S433). 그 후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판독한 소스 ID가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을지를 조사하여(S434),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텝 S436으로 진행하여 그 소스 ID가 부가된 콘텐츠가 재생 가능한 것을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에 통지한다. 한편, 스텝 S434에서, 소스 ID가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435로 진행되어, 그 소스 ID가 부가된 콘텐츠가 재생불가능한 것을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에 통지한다.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로부터의 통지에 의거하여, 해당 콘텐츠를 재생 가능 또는 재생 불가능의 콘텐츠로서 표시한다(S435, S436). 상기 처리가 표시 대상 콘텐츠의 모두에 대해서 행해진다(S437).
또, 소스 ID 리스트 L에 소스 ID의 유효 기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유효기한을 도과한 소스 ID가 부가된 콘텐츠는 재생불가능하다고 판단한다.
이상,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의 일람을 재생 가부가 판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처리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했다. 다음에, 도36에 의거하여,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를 행하는 콘텐츠 재생장치(20) 내부로부터 저작권 관리상 콘텐츠 재생장치(20)로 재생할 수 없는 콘텐츠를 삭제하는 처리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440에서, 유저에 의해 예를 들면 「일괄 삭제」 버튼이 눌러진다(S440). 버튼이 눌러지면, 삭제부(516)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에 대하여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의 재생 가부를 판단하도록 요구한다. 이 요구를 받은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우선 스텝 S441에서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소스 ID 리스트 L을 소스 ID 리스트 취득부(506)를 통해 취득한다(S441). 그 후,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콘텐츠 취득부(504)를 통해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판독해서(S442, S447) 각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를 취득한다(S443). 계속해서,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취득한 소스 ID가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을지를 조사하여(S444),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그 소스 ID가 부가된 콘텐츠가 재생불가능한 것을 삭제부(516)에 통지하고, 그 통지에 의거하여 삭제부(516)가 해당 콘텐츠를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삭제하도록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삭제요구를 송신한다.(S445). 상기 처리가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모든 콘텐츠에 대해서 행해진다(S446).
이상, 콘텐츠 재생장치(20) 내부로부터 저작권 관리상 재생할 수 없는 콘텐츠를 삭제하는 처리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했다. 다음에, 도37에 의거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처리의 흐름 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450에서 콘텐츠 재생장치(20)가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접속된다(S450). 유저가,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의 일람 표시를 입력장치(108)를 통해 지시하면(S451),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소스 ID 리스트 L, 콘텐츠 관리 정보 및 콘텐츠를 취득하고(S452), 도35에서 설명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각 콘텐츠에 대해서 재생 가부의 판단을 행하여(S453), 재생 가능 콘텐츠와 재생 불가능 콘텐츠가 판별 가능하게 타이틀 리스트를 표시한다(S454). 유저는 표시된 타이틀 리스트로부터, 재생가능한 콘텐츠를 선택한다(S455). 이 때, 재생 불가능한 콘텐츠는 선택할 수 없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유저가 콘텐츠를 선택하면, 콘텐츠 처리장치(10)는 해당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지시한다(S456). 소스 ID와 소스 ID 리스트 L에 의한 재생 가부 판단은 이미 행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재차 행할 필요는 없다. 콘텐츠 재생장치(20)는, 지시된 콘텐츠를 재생한다(S457).
이상,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처리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했다. 다음에, 도38에 의거하여,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를 행하는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의 일람을 재생 가부가 판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처리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460에서, 콘텐츠 재생장치 내의 콘텐츠의 일람 표시가 명령된다(S460).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저로부터의 입력장치(108)를 통한 지 시에 따라,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가 콘텐츠 관리 정보 취득부(508)에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의 콘텐츠 관리 정보의 취득을 요구한다. 콘텐츠 관리 정보 취득부(508)가 취득한 콘텐츠 관리 정보에 의거하여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가 재생 가부 판단부(172)에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의 재생 가부의 판단을 요구한다.
다음에, 스텝 S461에서,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에 의해 지정된 표시 대상 콘텐츠의 선두의 콘텐츠를 선택한다(S461). 구체적으로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로부터 1 이상의 콘텐츠 ID 또는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취득한 순서로, 또는 임의의 순서로 각 콘텐츠 ID 또는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취득부(504)를 통해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취득한다(S461, S468).
콘텐츠를 취득한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스텝 S463에서, 취득한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라이센스로부터 재생 제한 정보를 판독한다(S463). 그 후 재생 가부 판단부(172)는, 판독한 재생 제한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콘텐츠가 재생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한 것과 같이, 재생 제한 정보에 재생 가능기간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시스템 시간 등과 비교함으로써, 재생 가능기간을 도과하고 있을지를 조사한다(S464). 재생 가능기간을 지나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스텝 S466으로 진행하여 그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재생 가능한 것을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에 통지한다. 한편, 스텝 S464에서, 재생 가능기간을 지나치고 있을 경우에는, 스텝 S465로 진행하여, 그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재생 불가능한 것을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에 통지한다.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512)는, 재생 가부 판단부(172)로부터의 통지에 의거하여, 해당 콘텐츠를 재생 가능 또는 재생 불가능의 콘텐츠로서 표시한다(S465, S466). 상기 처리가 표시 대상 콘텐츠의 모두에 대해서 행해진다(S467).
이상,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를 행하는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의 일람을 재생 가부가 판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처리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했다. 다음에, 도39 내지 도44에 의거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타이틀 리스트의 표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39는, 콘텐츠 처리장치(10) 내의 콘텐츠에 관한 타이틀 리스트의 표시예이다. 타이틀 리스트(520)에는, 타이틀 정보로서, 곡명, 아티스트 명, 연주 시간, 장르 등이 표시된다. 재생가능한 콘텐츠와 재생 불가능한 콘텐츠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 가능 아이콘(522)과 재생 불가능 아이콘(524)과 같이 색이나 형상, 크기 등이 다른 아이콘이 각 타이틀 정보의 선두에 표시됨으로써 구별된다.
도40은,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에 관한 타이틀 리스트의 표시예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표시 화면 상의 일부에 콘텐츠 재생장치(20)의 타이틀 리스트(530)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재생가능한 콘텐츠와 재생 불가능한 콘텐츠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 가능 아이콘(532)과 재생 불가능 아이콘(534)과 같이 다른 아이콘이 각 타이틀 정보의 선두에 표시됨으로써 구별된다.
도41, 도42 및 도43은, 재생가능한 콘텐츠와 재생 불가능한 콘텐츠를 구별해 서 표시하는 다른 예이다. 도41에서는, 재생가능한 콘텐츠와 재생 불가능한 콘텐츠는 다른 색, 또는 다른 휘도로 표시됨으로써 구별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가능한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에어리어(540)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에어리어(542)가 다른 색이나 휘도로 표시됨으로써, 유저는 재생가능한 콘텐츠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또, 이러한 표시에 의하면, 1개의 앨범 내에 재생가능한 콘텐츠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가 혼재하고 있을 경우에, 유저는, 앨범 내의 어느 콘텐츠가 재생가능하고, 어느 콘텐츠가 재생불가능한지를 인식할 수 있다.
도42에서는, 재생불가능한 콘텐츠가 정리해서 표시됨으로써 구별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불가능한 콘텐츠가 재생 NG곡으로서 그룹화되어서 표시됨으로써, 유저는 재생가능한 콘텐츠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또, 이러한 표시에 의하면, 콘텐츠 처리장치 내부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 내에 있어서의 재생 불가능 콘텐츠가 정리해서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는 콘텐츠 처리장치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에서 재생할 수 없는 콘텐츠를 일괄해서 확인할 수 있다.
도43에서는, 도39 및 도40과 마찬가지로 다른 아이콘이 표시됨으로써 구별된다.
도44는, 재생불가능한 콘텐츠가 유저의 조작에 의해 삭제될 경우의 화면 표시예이다. 유저가 입력장치(108)에 의해 디스플레이 상의 일괄 삭제 버튼(550)을 누름으로써, 재생불가능한 콘텐츠가 콘텐츠 처리장치(10)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 (20)로부터 삭제되어, 표시 화면의 타이틀 리스트 520 또는 530로부터도 삭제된 콘텐츠에 관한 타이틀 정보가 꺼진다.
이상,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기능 구성, 처리 흐름 및 화면 표시예에 관하여 설명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의하면, 저작권상 재생가능한 콘텐츠인가 아닌가가 판별 가능하게 표시됨으로써, 유저는 콘텐츠를 실제로 재생시켜 보지 않아도 재생 가부를 알 수 있다. 또, 재생불가능한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도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는 재생할 수 없는 콘텐츠의 정보를 알 수 있다.
<13. 콘텐츠 전송 방법>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있어서의 콘텐츠 전송 방법에 대해서 도45 내지 도5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접속되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저작권 관리 방식에 따라, 대응하는 형식으로 콘텐츠 재생장치(20)와의 사이에서 콘텐츠의 전송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재생장치(20)가 그룹 관리 방식으로 저작권 관리를 행할 경우에는,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콘텐츠를 수신한다. 또,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자기가 보유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송신한다. 한편, 콘텐츠 재생장치(20)가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를 행할 경우에는,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재생장치(20)와의 사이에서 체크인이나 체크아웃을 행한다. 이하, 상기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상기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제1표시부(602)와, 제2표시부(604)와, 제1조작 표시부(606)와, 제2조작 표시부(608)와, 복수의 플러그인과, 선택부(610)와, 요구부(612)와, 전송 모드 검출부(616)와, 전송제어부(614)와, 제1전송 처리부(618)와, 제2전송 처리부(622)와, 제3전송 처리부(620)와, 제4전송 처리부(624)와, 체크아웃 로그 격납부(626) 등을 더 구비한다.
제1표시부(602)는, 접속되어 있는 콘텐츠 재생장치(20)에 기억되는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를, 콘텐츠 처리장치(10)가 구비하는 출력장치의 1개인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제2표시부(604)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콘텐츠 DB(116)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제1표시부(602)와 제2표시부(604)는, 후술하는 화면 레이아웃과 같이, 각각의 표시 대상을 동일한 화면 상에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콘텐츠 처리장치(10) 내의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와,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접속되어 있는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의 양쪽을, 동일 화면 상에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택부(610)는,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10) 내의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 또는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 중에서, 유저에 의해 입력장치를 거쳐서 지정된 타이틀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ID를 요구부(612)에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유저에 의해 지정된 타이틀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ID를 콘텐츠 관리 DB로부터 검색해서 취득하고, 요구부(612)에 그 콘텐츠 ID를 제 공한다.
제1조작 표시부(606)는, 유저에 제1 조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조작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제1 조작이란,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의 콘텐츠의 전송을 지시하는 조작이다. 제1조작 표시부(606)는, 예를 들면 아이콘 등을 조작부로서 디스플레이에 표시시켜, 유저가 예를 들면 마우스에 의해 아이콘을 클릭하는 등, 유저에 의해 입력장치를 통한 조작이 조작부에 대하여 행해졌을 경우에, 요구부(612)에 해당 조작이 행해진 것을 통지한다.
제2조작 표시부(608)는, 유저에 제2 조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조작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제2 조작이란,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에의 콘텐츠의 전송을 지시하는 조작이다. 제2조작 표시부(608)는, 예를 들면 아이콘 등을 조작부로서 디스플레이에 표시시켜, 유저가 예를 들면 마우스에 의해 아이콘을 클릭하는 등, 유저에 의해 입력장치를 통한 조작이 조작부에 대하여 행해졌을 경우에, 요구부(612)에 해당 조작이 행해진 것을 통지한다.
요구부(612)는, 선택부(610)로부터 콘텐츠 ID를 취득하고, 제1조작 표시부(606)로부터 상기 통지를 받아,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의 전송을 전송제어부(614)에 요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선택부(610)로부터 취득한 콘텐츠 ID와,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의 전송 요구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 등을 전송제어부(614)에 제공한다.
또, 요구부(612)는, 제2조작 표시부(608)로부터 상기 통지를 받았을 경우에 는, 선택부(610)로부터 취득한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에의 전송을 전송제어부(614)에 요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선택부(610)로부터 취득한 콘텐츠 ID와,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에의 전송 요구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 등을 전송제어부(614)에 제공한다.
전송제어부(614)는, 요구부(612)로부터 콘텐츠의 전송 요구를 받고, 접속되어 있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전송 모드를 검출하는 것을 전송 모드 검출부(616)에 요구한다. 전송 모드 검출부(616)는, 복수의 플러그인 모듈로부터 동작하고 있는 플러그인 모듈을 검출하고, 그 동작하고 있는 플러그인 모듈에 설정되어 있는 저작권 관리 방식을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각 플러그인 모듈의 식별자와, 그 플러그인 모듈에 설정되어 있는 저작권 관리 방식이 관련된 파일 등을 미리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스토리지 장치 등에 격납해 두면, 전송 모드 검출부(616)는 그 파일을 참조함으로써 동작하고 있는 플러그인 모듈에 설정되어 있는 저작권 관리 방식을 취득할 수 있다. 플러그인 모듈에 설정된 저작권 관리 방식에 의해, 그 플러그인 모듈에 대응하는 콘텐츠 재생장치(20)는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를 행하고 있다. 따라서, 전송 모드 검출부(616)는, 동작하고 있는 플러그인 모듈에 설정되어 있는 저작권 관리 방식을 검출함으로써, 접속되어 있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저작권 관리 방식이 그룹 관리 방식인지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인지를 알 수 있다.
전송제어부(614)는, 전송 모드 검출부(616)로부터 검출 결과를 취득하고, 그 검출 결과 및 요구부(612)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제1전송 처리부(618), 제2전송 처리부(622), 제3전송 처리부(620) 또는 제4전송 처리부(624) 중 어느 하나에 전송 처리를 시킨다.
요구부(612)로부터의 통지가,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의 콘텐츠의 전송이며, 또한, 전송 모드 검출부(616)에 의한 검출 결과가,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제1 모드)일 경우에는, 전송제어부(614)는 제1전송 처리부(618)에 전송 처리를 시킨다.
요구부(612)로부터의 통지가,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에의 콘텐츠의 전송이며, 또한, 전송 모드 검출부(616)에 의한 검출 결과가,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일 경우에는, 전송제어부(614)는 제3전송 처리부(620)에 전송 처리를 시킨다.
요구부(612)로부터의 통지가,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의 콘텐츠의 전송이며, 또한, 전송 모드 검출부(616)에 의한 검출 결과가, 그룹 관리 방식(제2 모드)일 경우에는, 전송제어부(614)는 제2전송 처리부(622)에 전송 처리를 시킨다.
요구부(612)로부터의 통지가,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에의 콘텐츠의 전송이며, 또한, 전송 모드 검출부(616)에 의한 검출 결과가, 그룹 관리 방식일 경우에는, 전송제어부(614)는 제4전송 처리부(624)에 전송 처리를 시킨다. 이하, 각 전송 처리부의 전송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3전송 처리부(620)는,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의 콘텐츠의 체크아웃 처리를 행한다. 체크아웃 처리란,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콘텐츠 DB(116)에 보유하는 콘텐츠의 복사를, 그 콘텐츠의 복사에 대한 권리 정보가 설정된 라이센스를 부여해서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전송해서 그 콘텐츠를 콘텐츠 재생장치(20)에서 재생할 수 있게 하는 대신에, 콘텐츠 처리장치(10)가 그 콘텐츠를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권리를 제한하는 처리이다.
제3전송 처리부(620)는, 전송제어부(614)로부터 콘텐츠 ID를 취득하고, 그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DB(116)로부터 검색한다. 제3전송 처리부(620)는, 해당 콘텐츠에 부여되어 있는 라이센스에 설정되는 나머지 체크아웃 회수를 참조한다. 나머지 체크아웃 회수가 0보다 크면, 제3전송 처리부(620)는 그 콘텐츠를 체크아웃할 수 있으므로, 그 콘텐츠의 복사와 라이센스를 작성하고, 전송제어부(614)를 통해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작성된 콘텐츠에 작성된 라이센스를 부여해서 송신한다. 또, 제3전송 처리부(620)는,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송신한 콘텐츠의 복사원인 콘텐츠 DB(116)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의 라이센스에 설정되는 나머지 체크아웃 회수를 줄이는 처리를 행한다. 또, 제3전송 처리부(620)는, 콘텐츠의 송신처인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설정되는 디바이스 ID를 전송제어부(614)를 통해 취득하고, 송신한 콘텐츠의 콘텐츠 ID와 상기 디바이스 ID를 관련시켜 체크아웃 로그로서 체크아웃 로그 격납부(626)에 격납한다.
제1전송 처리부(618)는,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의 콘텐츠의 체크인 처리를 행한다. 체크인 처리란,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 텐츠 재생장치(20)에 상기한 바와 같이 체크아웃된 콘텐츠에 대해서,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그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권리를 박탈하고, 그 대신에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하여, 그 콘텐츠를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체크아웃할 수 있는 권리를 회복시키는 처리이다.
제1전송 처리부(618)는, 전송제어부(614)로부터 콘텐츠 ID를 취득한다. 또, 전송제어부(614)를 통해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그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디바이스 ID를 취득한다. 제1전송 처리부(618)는, 취득한 콘텐츠 ID 및 디바이스 ID에 의거하여, 체크아웃 로그 격납부(626)로부터 해당 콘텐츠 ID 및 디바이스 ID가 관련된 체크아웃 로그를 검색한다. 검색의 결과, 해당하는 체크아웃 로그가 체크아웃 로그 격납부(626)에 격납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는, 본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체크아웃된 콘텐츠인 것을 알 수 잇다. 그 경우에는, 제1전송 처리부(618)는 해당 콘텐츠의 체크인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에 부여되어 있는 라이센스를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삭제하는 요구를 콘텐츠 재생장치(20)에 대하여 송신하고, 콘텐츠 재생장치(20)에 해당하는 라이센스를 삭제시킨다.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도 마찬가지로 삭제시켜도 좋다. 또, 제3전송 처리부(620)는, 전송제어부(614)로부터 취득한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콘텐츠 DB(116)로부터 검색하고, 해당 콘텐츠에 부여되어 있는 라이센스에 설정되어 있는 체크아웃 나머지 회수를 늘리는 처리를 행한다. 또, 제3전송 처리부(620)는, 체크아웃 로그 격납부(626)로부터, 상기에서 검색된 체크아웃 로그를 삭 제한다.
제2전송 처리부(622)는,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의 콘텐츠의 전송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전송 처리부(622)는, 전송제어부(614)를 통해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 (제2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한다. 또, 제2전송 처리부(622)는,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소스 ID 리스트 L (제1 소스 ID 리스트 L)부터 그룹 ID를 판독하고, 취득한 제2 소스 ID 리스트 L로부터 그룹 ID를 판독하여, 2개의 그룹 ID가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일치할 경우에는, 콘텐츠 처리장치(10)와 콘텐츠 재생장치(20)는 같은 그룹으로서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의 콘텐츠의 전송이 허가된다. 따라서, 제2전송 처리부(622)는, 제1 소스 ID 리스트 L 및 제2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는 그룹 ID가 일치할 경우에는, 전송제어부(614)를 통해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전송을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요구하고, 전송된 해당 콘텐츠를 콘텐츠 DB(116)에 격납한다. 또, 제1 소스 ID 리스트 L이나 제2 소스 ID 리스트 L에 복수의 그룹 ID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1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는 그룹 ID의 어느 1개가 제2 소스 ID 리스트 L에 그룹 ID로서 포함되어 있으면 전송을 허가한다. 또, 제2전송 처리부(622)는, 동일 콘텐츠가 중복해서 콘텐츠 DB(116)에 격납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콘텐츠의 전송을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요구하기 전에, 전송제어부(614)로부터 콘텐츠 ID를 취득해서 해당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콘텐츠 DB(116)에 격납되어 있을지를 검색하고, 격납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만 전송을 요구 하게 하여도 좋다.
제4전송 처리부(624)는,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에의 콘텐츠의 전송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4전송 처리부(624)는, 전송제어부(614)를 통해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소스 ID 리스트 L (제2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한다. 또, 제2전송 처리부(622)는, 전송제어부(614)로부터 전송 대상의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취득하고,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DB(116)로부터 검색한다. 제2전송 처리부(622)는, 검색된 해당 콘텐츠에 부가되는 소스 ID를 취득하고, 취득한 소스 ID가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취득한 소스 ID 리스트 L (제2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조사한다. 그 결과,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있어서 그 소스 ID가 부가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으므로, 제4전송 처리부(624)는 해당 콘텐츠를 전송제어부(614)를 통해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전송한다. 또, 콘텐츠의 카피를 작성해서 송신해도 좋다.
이상,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기능 구성에 관하여 설명했다. 다음에, 도46 내지 도49에 의거하여,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의 콘텐츠의 전송 또는 체크인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46의 스텝 S502에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로부터, 유저가 원하는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를 선택해서 「←」 버튼을 누른다(S502). 「←」 버튼은, 조작부의 일례이다. 「←」 버튼이 입력장치를 거쳐서 눌림으로써, 콘텐츠 처리장치(10) 에서는 선택된 콘텐츠의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의 전송 요구가 발생한다.
다음에, 스텝 S504에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전송 모드를 검출한다(S504). 검출 처리를, 도47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스텝 S512에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동작하고 있는 플러그인 모듈의 식별자를 취득한다(S512). 그리고, 취득한 식별자에 의거하여, 동작하고 있는 플러그인 모듈 에 설정되어 있는 저작권 관리 방식을 취득한다(S514).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미리 식별자와 저작권 관리 방식이 관련되어 있는 파일을 참조하는 등으로 하여 플러그인 모듈에 설정되어 있는 저작권 관리 방식을 취득한다.
도46으로 되돌아가, 스텝 S504에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전송 모드(저작권 관리 방식)를 취득하고, 전송 모드가 그룹 관리 방식이면 스텝 S508로 진행되어서 그룹 관리 방식에 의한 전송 처리를 시작한다(S508). 한편, 전송 모드가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이면 스텝 S510으로 진행되어서 체크인·체크아웃 처리를 시작한다(S510).
도48을 참조하여, 그룹 관리 방식에 의한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의 콘텐츠의 전송 처리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520에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소스 ID 리스트 L (제2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한다(S520). 그후, 콘텐츠 처리장치(10)의 소스 ID 리스트 L(제1 소스 ID 리스트 L)로부터 그룹 ID를 취득하고, 그 그룹 ID가 제2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을지를 조사한다(S522). 그 결과 포함 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콘텐츠를 전송할 수 없다는 취지의 에러를 표시한다(S524). 한편,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의 콘텐츠 ID에 의거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이미 전송 대상의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을지를 조사한다(S526). 그 결과,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이미 전송 대상의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에는(S528), 이미 그 콘텐츠가 콘텐츠 처리장치(10) 내에 존재한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등 해서 유저에게 통지한다(S530).
한편, 콘텐츠 처리장치(10)가 전송 대상의 콘텐츠를 보유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S528),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콘텐츠를 전송시킨다(S532).
다음에, 도49에 의거하여,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에 의한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의 콘텐츠의 전송 처리(체크인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540에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 대상의 콘텐츠의 콘텐츠 ID와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디바이스 ID에 의거하여 체크아웃 로그를 검색하고(S540), 해당 콘텐츠를 콘텐츠 재생장치(20)에 대하여 체크아웃한 로그가 존재하고 있을지를 조사한다. 그 결과, 해당하는 체크아웃 로그가 없을 경우(S542)에는, 「이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체크아웃된 콘텐츠는 아닙니다」 등의 체크인을 할 수 없다는 취지의 에러를 표시한다(S544).
한편, 해당하는 체크아웃 로그가 있었을 경우(S542)에는, 체크인 대상의 콘 텐츠의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 처리장치(10) 내의 콘텐츠에 부여되어 있는 라이센스에 설정되는 나머지 체크아웃 회수를 1개 증가시킨다(S546). 그 후,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체크인 대상의 콘텐츠와 그 콘텐츠에 부여되어 있는 라이센스를 삭제한다(S548). 또, 스텝 S546과 스텝 S548은 역의 순서로 행해져도 관계 없다.
이상,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의 콘텐츠의 전송 또는 체크인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했다. 다음에, 도50 내지 도52에 의거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에의 콘텐츠의 전송 또는 체크아웃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50의 스텝 S550에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콘텐츠 처리장치(10) 내의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로부터, 유저가 원하는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를 선택해서 「→」 버튼을 누른다(S550). 「→」 버튼은, 조작부의 일례이다. 「→」 버튼이 입력장치를 거쳐서 눌림으로써, 콘텐츠 처리장치(10)에서는 선택된 콘텐츠의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에의 전송 요구가 발생한다.
다음에, 스텝 S552에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전송 모드를 검출한다(S552). 검출 처리는, 도47에서 설명한 처리와 같다. 검출의 결과, 전송 모드가 그룹 관리 방식이면 스텝 S556으로 진행되어서 그룹 관리 방식에 의한 전송 처리를 시작한다(S556). 한편, 전송 모드가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이면 스텝 S558로 진행되어서 체크인·체크아웃 처리를 시작한다(S558).
도51을 참조하여, 그룹 관리 방식에 의한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에의 콘텐츠의 전송 처리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560에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소스 ID 리스트 L(제2 소스 ID 리스트 L)을 취득한다(S560). 그 후, 유저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를 취득하고(S562), 그 소스 ID가 제2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을지를 조사한다(S564). 그 결과,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콘텐츠 재생장치에서 재생할 수 없는 콘텐츠입니다」 등의 전송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에러를 표시한다(S572). 한편,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전송 대상의 콘텐츠를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전송한다(S570).
다음에, 도52에 의거하여,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에 의한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에의 콘텐츠의 전송 처리(체크아웃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580에서,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선택된 콘텐츠 처리장치(10) 내의 전송 대상 콘텐츠에 부여되어 있는 라이센스를 참조한다(S580). 라이센스에 설정되어 있는 나머지 체크아웃 회수가 0일 경우에는(S582), 체크아웃할 수 없다는 취지의 에러를 표시한다(S592). 한편, 나머지 체크아웃 회수가 0보다 클 경우에는,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있어서의 해당 콘텐츠의 재생 제한 정보 등이 설정된 라이센스를 작성하고(S584), 해당 콘텐츠의 카피에 작성된 라이센스를 부여해서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송신한다(S586).
그 후,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송신된 콘텐츠의 복 사원인 콘텐츠 처리장치(10) 내의 콘텐츠에 부여되어 있는 라이센스에 설정되는 체크아웃 회수를 1개 줄인(S588). 그리고,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체크아웃을 행한 콘텐츠의 콘텐츠 ID와 체크 아웃처인 콘텐츠 재생장치(20)의 디바이스 ID를 관련시켜 체크아웃 로그를 작성한다(S590).
이상,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에의 콘텐츠의 전송 또는 체크아웃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했다. 다음에, 도53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 레이아웃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타이틀 리스트 630은, 제2표시부(604)에 의해 표시되는 콘텐츠 처리장치(10) 내의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의 일례이다. 타이틀 리스트 632는, 제1표시부(602)에 의해 표시되는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의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의 일례이다.
「→」 버튼(634)은, 제2조작 표시부(608)에 의해 표시되는 조작부의 일례이다. 「←」 버튼(636)은, 제1조작 표시부(606)에 의해 표시되는 조작부의 일례이다.
유저는, 타이틀 리스트(630)로부터 원하는 타이틀 정보를 선택해서 「→」 버튼(634)을 누름으로써, 콘텐츠 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20)에의 원하는 콘텐츠의 전송을 행할 수 있다. 그 때에, 전송처인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저작권 관리 방식에 따라, 그룹 관리 방식에 의한 콘텐츠의 전송 또는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에 의한 콘텐츠의 체크아웃이 선택적으로 행해진다.
또, 유저는, 타이틀 리스트 632로부터 원하는 타이틀 정보를 선택해서 「← 」 버튼(636)을 누름으로써, 콘텐츠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 처리장치(10)에의 원하는 콘텐츠의 전송을 행할 수 있다. 그 때에, 전송원인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저작권 관리 방식에 따라, 그룹 관리 방식에 의한 콘텐츠의 전송 또는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에 의한 콘텐츠의 체크인이 선택적으로 행해진다.
이상, 콘텐츠 처리장치(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 레이아웃의 일례 에 관하여 설명했다.
이상,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10)의 기능 구성, 처리 흐름 및 화면 표시예에 관하여 설명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의하면, 접속되어 있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저작권 관리 방식에 따라, 그 방식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동일한 조작부에 대한 조작이여도,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저작권 관리 방식을 콘텐츠 처리장치(10)가 검출해서 전송 방법을 구별하기 때문에, 유저가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저작권 관리 방식을 의식해서 전송 방법을 선택할 필요가 없다.
<14. 콘텐츠 재생장치(PD)에 있어서의 콘텐츠 재생 제어 방법>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PD)(20)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재생 제어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PD)(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 스킴과,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 스킴의 양쪽에 대응하고 있다. 이 때문에, 콘텐츠 재생장치(PD)(20)는, 콘텐츠에 부가된 소스 ID 와 소스 ID 리스트 L에 근거하는 그룹 관리 방식의 재생 제어와, 콘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의 이용 조건정보에 근거하는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재생 제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행가능하다.
콘텐츠 처리장치(PC)(10)는, 로컬 라인(9)을 통해 접속된 콘텐츠 재생장치(PD)(20)의 재생 제어방식을, 그룹 관리 방식 또는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어느 한쪽으로 설정한다. 이 재생 제어방식의 설정은, 콘텐츠 처리장치(PC)(10)가, 콘텐츠 재생장치(PD)(20)로부터, 콘텐츠 재생장치(PD)(20)의 ICV 데이터(231)를 취득하고, 해당 ICV 데이터(231) 내의 방식 식별 정보(플래그(232), 도10 참조)를 갱신한 후, 이 ICV 데이터(231)를 콘텐츠 재생장치(PD)(20)에 전송해서 기록함으로써 행해진다. 예를 들면, ICV 데이터(231) 내의 플래그(232)를 「0」으로 기술했을 경우에는, 콘텐츠 재생장치(PD)(20)의 재생 제어방식이 그룹 관리 방식으로 설정되고, 플래그(232)를 「1」로 기술했을 경우에는, 콘텐츠 재생장치(PD)(20)의 재생 제어방식이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으로 설정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재생장치(PD)(20)의 ICV 데이터(231)는, 로컬 접속된 콘텐츠 처리장치(PC)(10)만이 갱신가능하고, 콘텐츠 재생장치(PD)(20) 자신은 해당 ICV 데이터(231)를 갱신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콘텐츠 재생장치(PD)(20) 자신이, 유저 입력 등에 의거하여, ICV 데이터(231)를 갱신 가능하게 구성하고, 콘텐츠 재생장치(PD)(20)의 재생 제어방식을 스스로 전환가능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54 및 도10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 (PD)(20)에 있어서의 콘텐츠 재생 제어 처리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54는,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PD)(20)에 있어서의 콘텐츠 재생 제어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콘텐츠 재생 제어 처리는,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에 보존되어 있는 모든 콘텐츠 중에서, 재생 대상의 콘텐츠를 유저에 의해 선택시킨 후에, 이 선택된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관해 재생 가부를 판단해서 재생 제어하는 처리 흐름이다.
도5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선, 스텝 S600에서는, 콘텐츠 재생장치(20)가 기동한다(스텝 S600).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전원 버튼(재생 키 등)이 눌러지면, 콘텐츠 재생장치(20)가 기동한다. 또, 이 기동시에는, 콘텐츠 재생장치(20)와 콘텐츠 처리장치(PC)(10)가 접속되어 있는 필요는 없다.
다음에, 스텝 S602에서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재생 제어 방식 판단부(240)에 의해, 방식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재생 제어방식이 판단된다.(스텝 S602).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기동후에, 재생 제어방식 판단부(240)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기억부(230)에 기억되어 있는 ICV 데이터(231)를 판독하여, 해당 ICV 데이터(231) 내의 플래그(232)를 체크한다. 이 플래그(232)는, 콘텐츠의 재생 제어방식을 나타내는 방식 식별 정보의 일례이다. 재생 제어방식 판단부(240)는, 이러한 플래그(232)의 값에 의거하여,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재생 제어방식이, 그룹 ID 관리 방식(제1 재생 제어방식) 또는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제1 재생 제어방식)의 어떤 것으로 설정되어 있을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해당 플래 그(232)가 「0」일 경우에는, 재생 제어방식 판단부(240)는, 콘텐츠 재생장치(PD)(20)의 재생 제어방식이 그룹 관리 방식으로 설정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스텝 S604로 진행한다. 한편, 해당 플래그(232)가 「1」일 경우에는, 재생 제어방식 판단부(240)는, 콘텐츠 재생장치(PD)(20)의 재생 제어방식이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스텝 S606으로 진행한다.
다음에, 스텝 S604에서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재생 가부 판단부(242)에 의해, 그룹 관리 방식의 재생 제어를 행하는 것의 정당성이 체크된다(스텝 S604). 구체적으로는, 재생 가부 판단부(242)는, 기억부(230)에 기억되어 있는 ICV 데이터(231)에 의거하여, 기억부(230)에 기억되어 있는 소스 ID 리스트 L의 정당성을 체크, 즉, 해당 소스 ID 리스트 L이 부정하게 변경되지 않고 있는지를 체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룹 관리 방식의 ICV 데이터(231)에는, 정당한 소스 ID 리스트 L의 MAC값(233)이 포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재생 가부 판단부(242)는, 기억부(230)로부터 판독한 현재의 소스 ID 리스트 L의 MAC값과, 기억부(230)로부터 판독한 ICV 데이터(231)의 MAC값(233)과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소스 ID 리스트 L의 변경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스텝 S606에서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재생 가부 판단부(242)에 의해,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재생 제어를 행하는 것의 정당성이 체크된다(스텝 S606). 구체적으로는, 재생 가부 판단부(242)는, 기억부(230)에 기억되어 있는 ICV 데이터(231)에 의거하여, 기억부(230)에 기억되어 있는 각 콘텐츠의 라이센스의 정당성을 체크, 즉, 해당 라이센스가 부정하게 변경되지 않고 있는지를 체크한다. 전 술한 바와 같이,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ICV 데이터(231)에는, 각 콘텐츠의 라이센스에 근거하는 MAC값(233)이 포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재생 가부 판단부(242)는, 각 콘텐츠의 라이센스와, ICV 데이터(231)의 MAC값(233)과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라이센스의 변경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스텝 S604 및 S606에서의 정당성 체크의 결과, 부정한 변경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콘텐츠의 재생을 허가하지 않고, 에러 통지를 해서 모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부정한 변경이 검출되지 않고, 정당성이 확인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608로 진행한다.
다음에, 스텝 S608에서는, 콘텐츠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36)로부터 콘텐츠 관리 정보가 RAM(203)에 판독된다(스텝 S608). 이 콘텐츠 관리 정보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4)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 ID,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곡명, 아티스트 명, 앨범명, 재생 시간 등) 등이라고 한 콘텐츠의 속성정보나, 기록 장소 정보(예를 들면 콘텐츠 DB(234) 내의 어드레스) 등이다.
더욱이, 스텝 S610에서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표시장치(210)에 타이틀 리스트가 표시된다(스텝 S610). 콘텐츠 재생장치(PD)(20)의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250)는, 상기 콘텐츠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36)로부터 판독된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에 의거하여, 콘텐츠의 타이틀 리스트를 작성한다. 이 타이틀 리스트는, 예를 들면, 음악 콘텐츠의 곡명의 일람이며, 부수 정보로서, 음악 콘텐츠의 아티스트명이나 앨범명, 재생 시간 등을 포함한다. 또한,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250)는, 작성한 타이틀 리스트를 표시장치(210)에 표시시킨다.
그 후, 스텝 S612에서는, 유저에 의해 재생 대상의 콘텐츠가 선택된다(스텝 S612).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210)에 타이틀 리스트가 표시되면, 유저는, 이 타이틀 리스트를 열람하여, 재생을 소망하는 1 또는 2 이상의 콘텐츠를 선택하고, 입력장치(208)를 조작해서 해당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를 지정한다.
더욱이, 스텝 S614에서는, 유저에 의해 재생 지시가 행해진다(스텝 S614). 유저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재생을 소망하는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를 지정한 후, 예를 들면, 입력장치(208)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218)의 재생 키를 누르고, 재생 처리를 시작하도록 지시한다. 그러면, 콘텐츠 선택부(252)는, 유저에 의해 지정된 타이틀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재생 대상의 콘텐츠로서 선택하고, 이러한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콘텐츠 ID, 기억 장소 정보 등)를, 재생 가부 판단부(242)에 출력한다.
더욱이, 스텝 S616에서는, 상기 선택된 최초의 재생 대상의 콘텐츠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4)로부터 판독된다(스텝 S616). 구체적으로는, 재생 가부 판단부(242)는, 상기 콘텐츠 선택부(252)로부터 입력된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4)를 검색하여, 최초의 재생 대상의 콘텐츠의 파일을 판독한다.
그 후, 스텝 S618에서는, 상기 스텝 S602와 마찬가지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재생 제어방식이 판단된다.(스텝 S618). 이 결과, 그룹 관리 방식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620으로 진행되고,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622로 진행한다. 또, 상기 스텝 S602에서 재생 제어방식의 판별을 행하고 있으므로, 같은 재생 제어방식의 판별을 행하는 본 스텝 S618은, 생략할 수도 있다.
다음에, 스텝 S620에서는, 제1 재생 가부 판단부(242a)에 의해, 그룹 관리 방식의 재생 제어방식에 의거하여, 재생 대상의 콘텐츠의 재생 가부가 판단된다(스텝 S620). 구체적으로는, 제1 재생 가부 판단부(242a)는,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가, 콘텐츠 재생장치(20)의 기억부(230)에 기억되어 있는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는가 아닌가에 의거하여, 해당 콘텐츠의 재생 가부를 판단한다.
이 결과,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가, 해당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1 재생 가부 판단부(242a)는, 해당 콘텐츠의 재생을 허가하고, 스텝 S624로 진행한다. 한편,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가, 해당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제1 재생 가부 판단부(242a)는, 해당 콘텐츠의 재생을 허가하지 않고, 스텝 S626으로 진행한다.
또,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는 소스 ID에 유효기한이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이 스텝 S620에 있어서, 제1 재생 가부 판단부(242a)는, 상기 판단에 덧붙여 다시,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가 유효 기한 내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소스 ID가 유효 기한 내일 경우에 해당 콘텐츠의 재생을 허가하고, 한편, 해당 소스 ID가 유효기한을 지난 경우에 해당 콘텐츠의 재생을 허가하지 않는다.
한편, 스텝 S622에서는, 제2 재생 가부 판단부(242b)에 의해, 체크인·체크 아웃 방식의 재생 제어방식에 의거하여, 재생 대상의 콘텐츠의 재생 가부가 판단된다(스텝 S622). 구체적으로는, 제2 재생 가부 판단부(242b)는,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관련되어 있는 라이센스의 이용 조건(재생 회수 제한, 재생 기한 등)에 의거하여, 해당 재생 대상의 콘텐츠의 재생 가부를 판단한다.
이 결과, 상기 라이센스의 이용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예를 들면, 재생 기한내일 경우나, 과거의 재생 회수가 재생 회수의 상한에 도달하지 않고 있을 경우 등)에는, 제2 재생 가부 판단부(242b)는, 해당 콘텐츠의 재생을 허가하여, 스텝 S624로 진행한다. 이 때, 예를 들면, 라이센스의 이용 조건에 재생 회수 제한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재생 회수를 1개 증가시킨다. 한편, 상기 라이센스의 이용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을 경우(예를 들면, 재생 기한 마감일 경우나, 과거의 재생 회수가 재생 회수의 상한에 도달하고 있을 경우 등)에는, 제2 재생 가부 판단부(242b)는, 해당 콘텐츠의 재생을 허가하지 않고, 스텝 S626으로 진행한다.
그 후, 스텝 S624에서는, 상기 스텝 S620 또는 S622에서 재생이 허가된 재생 대상의 콘텐츠가 재생 실행부(244)에 의해 재생된다(스텝 S624). 한편, 상기 스텝 S620 또는 S622에서 재생이 허가되지 않은 재생 대상의 콘텐츠는, 재생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에러 통지를 행해도 좋다.
다음에, 스텝 S626에서는, 상기 S612에서 선택된 모든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대해서, 상기 S618∼S624의 재생 제어가 행해졌는가 아닌가가 판단된다(스텝 S626). 선택된 콘텐츠에서 아직 재생 제어가 행해지지 않고 있는 것이 있을 경우에는, 스텝 S628로 진행하여, 다음의 재생 대상의 콘텐츠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234)로부터 판독된다(스텝 S628), 그후, 해당 다음의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관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S618∼S624의 재생 제어가 행해진다. 이러한 처리를 상기 S612에서 선택된 모든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대해서 반복하면, 모든 처리 흐름이 종료한다.
다음에, 도55 및 도10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PD)(20)에 있어서의 콘텐츠 재생 제어 처리의 다른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55는,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PD)(20)에 있어서의 콘텐츠 재생 제어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콘텐츠 재생 제어 처리는, 예를 들면, 우선,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에 보존되어 있는 모든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를, 재생가능한 콘텐츠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를 판별 가능하게 리스트 표시하고, 다음에, 이 타이틀 리스트를 열람한 유저가, 재생가능한 콘텐츠 중에서 재생 대상의 콘텐츠를 선택한 후에, 이 선택된 재생 대상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처리 흐름이다.
도5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선, 상기 도54에서 설명한 스텝 S600∼S608과 같은 전처리를 행한다(스텝 S600∼S608).
다음의 스텝 S650∼S664에서는, 재생가능한 콘텐츠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를 판별가능한 타이틀 리스트를, 콘텐츠 재생장치(20)의 표시장치(210)에 표시시키는 타이틀 리스트 표시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스텝 S650에서는, 최초의 표시 대상의 콘텐츠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4)로부터 판독된다(스텝 S650). 구체적으로는, 재생 가부 판단 부(234)는, 상기 스텝 S508에서 판독된 콘텐츠 관리 정보 내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콘텐츠 ID, 기억 장소 정보 등)에 의거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2)를 검색하여, 최초의 표시 대상의 콘텐츠의 파일을 판독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4) 내에 보존되어 있는 모든 콘텐츠가 표시 대상의 콘텐츠가 되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선별 기준에 의거하여 일부의 콘텐츠만을 표시 대상의 콘텐츠로 하여도 좋다. 이 선별 기준은, 예를 들면, 음악 콘텐츠의 아티스트, 앨범, 장르, 발매 시기, 최근의 재생 시기, 유저에 의한 지정 등이다.
다음에, 스텝 S652에서는, 상기 스텝 S602와 마찬가지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재생 제어방식이 판단된다.(스텝 S652). 이 결과, 그룹 관리 방식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654로 진행되고,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656으로 진행한다. 또, 상기 스텝 S602에서 재생 제어방식의 판별을 행하고 있으므로, 같은 재생 제어방식의 판별을 행하는 본 스텝 S652는, 생략할 수도 있다.
더욱이, 스텝 S654에서는, 제1 재생 가부 판단부(242a)에 의해, 그룹 관리 방식의 재생 제어방식에 의거하여, 표시 대상의 콘텐츠의 재생 가부가 판단된다(스텝 S654). 구체적으로는, 제1 재생 가부 판단부(242a)는, 표시 대상의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가, 콘텐츠 재생장치(20)의 기억부(230)에 기억되어 있는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는가 아닌가에 의거하여, 해당 콘텐츠의 재생 가부를 판단한다.
이 결과, 표시 대상의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가, 해당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1 재생 가부 판단부(242a)는, 해당 콘텐츠가 재생가능한 콘텐츠라고 판단하여, 스텝 S658로 진행한다. 한편, 표시 대상의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 ID가, 해당 소스 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제1 재생 가부 판단부(242a)는, 해당 콘텐츠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라고 판단하여, 스텝 S660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656에서는, 제2 재생 가부 판단부(242b)에 의해,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재생 제어방식에 의거하여, 재생 대상의 콘텐츠의 재생 가부가 판단된다(스텝 S656). 구체적으로는, 제2 재생 가부 판단부(242b)는, 표시 대상의 콘텐츠에 관련되어 있는 라이센스의 이용 조건(재생 회수 제한, 재생 기한 등)에 의거하여, 해당 재생 대상의 콘텐츠의 재생 가부를 판단한다.
이 결과, 상기 라이센스의 이용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에는, 제2 재생 가부 판단부(242b)는, 해당 콘텐츠가 재생가능한 콘텐츠라고 판단하여, 스텝 S658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라이센스의 이용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제2 재생 가부 판단부(242b)는, 해당 콘텐츠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라고 판단하여, 스텝 S660으로 진행한다.
다음에, 스텝 S658에서는, 상기 스텝 S654 또는 S656에서 재생가능하다고 판단된 표시 대상의 콘텐츠가, 재생 가능 콘텐츠로서 표시된다(스텝 S658). 구체적으로는,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250)는, 상기 재생가능하다고 판단된 표시 대상의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를, 해당 콘텐츠가 재생가능하다는 취지를 유저가 인식할 수 있 도록 하는 형태로, 표시장치(210)에 표시시킨다.
한편, 스텝 S660에서는, 상기 스텝 S654 또는 S656에서 재생불가능하다고 판단된 표시 대상의 콘텐츠가, 재생 불가능 콘텐츠로서 표시된다(스텝 S660). 구체적으로는, 타이틀 리스트 작성부(250)는, 상기 재생불가능하다고 판단된 표시 대상의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를, 해당 콘텐츠가 재생불가능하다는 취지를 유저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표시장치(210)에 표시시킨다.
그 후, 스텝 S662에서는, 모든 표시 대상의 콘텐츠에 대해서, 상기 S652∼S660의 재생 가부 판단 및 표시 처리가 행해졌는가 아닌가가 판단된다(스텝 S662). 아직 재생 가부 판단 및 표시 처리가 행해지지 않고 있는 표시 대상의 콘텐츠가 있을 경우에는, 스텝 S664로 진행하여, 다음의 표시 대상의 콘텐츠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4)로부터 판독되고(스텝 S664), 그 후, 해당 다음의 표시대상의 콘텐츠에 관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S652∼S660의 재생 가부 판단 및 표시 처리가 행해진다. 이러한 처리를 모든 표시 대상의 콘텐츠에 대해서 반복하면, 스텝 S666으로 진행한다.
또, 이 스텝 S666으로 진행되는 시점에서는, 재생가능한 콘텐츠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를 판별가능한 타이틀 리스트가, 표시장치(210)에 표시된다. 이 타이틀 리스트의 표시예를 도56에 나타낸다.
도5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텐츠 재생장치(20)의 표시장치(210)에 표시된 타이틀 리스트(710)에는, 예를 들면, 어떤 아티스트 A에 관한 음악 콘텐츠의 타이틀 A∼E(곡명)가, 앨범 A, B마다 표시되어 있다. 이 타이틀 리스트(710), 재생가능 한 콘텐츠의 타이틀 A, C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의 타이틀 B, D, E가 구별되어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6a에 나타내는 타이틀 리스트(710)의 예에서는, 재생가능한 콘텐츠의 타이틀 A, C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의 타이틀 B, D, E는, 다른 색, 또는 다른 휘도로 표시됨으로써 구별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가능한 콘텐츠의 타이틀 A, C가 표시되어 있는 에어리어(712)와, 재생불가능한콘텐츠의 타이틀 B, D, E가 표시되어 있는 에어리어(714)가 다른 색이나 휘도로 표시됨으로써, 유저는 재생가능한 콘텐츠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또, 이러한 표시에 의하면, 1개의 앨범 내에 재생가능한 콘텐츠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가 혼재하고 있을 경우에, 유저는, 앨범 내의 어느 콘텐츠가 재생가능하고, 어느 콘텐츠가 재생불가능한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도56b에 나타내는 타이틀 리스트(7100의 예에서는, 재생가능한 콘텐츠의 타이틀 A, C에는, 음표 부착 마크의 재생 가능 아이콘(716)이 부가되고 있고, 한편, 재생불가능한 콘텐츠의 타이틀 B, D, E에는, × 마크의 재생 불가능 아이콘(718)이 부가되어 있다. 이렇게, 색이나 형태, 도안, 크기 등이 다른 아이콘을, 각 콘텐츠의 타이틀에 부가해서 표시함으로써, 재생가능한 콘텐츠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를 판별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 도56c에 나타내는 타이틀 리스트(710)의 예에서는, 재생불가능한 콘텐츠의 타이틀 A, C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의 타이틀 B, D, E가, 영역 구분해서 표시되어 있다. 즉, 재생불가능한 콘텐츠의 타이틀 A, C는, 재생 OK 에어리어(720) 내에 표시되고, 재생불가능한 콘텐츠의 타이틀 B, D, E는, 재생 NG 에어리어(722) 내에 표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저는 재생가능한 콘텐츠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또, 이러한 표시예에 의하면, 콘텐츠 재생장치(20)에 있어서의 재생 가능/재생불가능한 콘텐츠가 정리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는 콘텐츠 재생장치(20)로 재생 가능/재생불가능한 콘텐츠를 일괄해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도55로 되돌아가, 스텝 S666에서는, 유저에 의해, 재생가능한 콘텐츠 중에서, 재생 대상의 콘텐츠가 선택된다(스텝 S666).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210)에 타이틀 리스트가 선택되면, 유저는, 이 타이틀 리스트를 열람하여, 재생을 소망하는 1 또는 2 이상의 콘텐츠를 선택하고, 입력장치(208)를 조작해서 해당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를 지정한다. 이때, 도5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타이틀 리스트에는, 재생가능한 콘텐츠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가 판별 가능하게 표시되므로, 유저는, 재생가능한 콘텐츠 중에서, 재생을 소망하는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그후, 스텝 S668에서는, 유저에 의해 재생 지시가 행해진다(스텝 S668). 유저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재생을 소망하는 콘텐츠의 타이틀 정보를 지정한 후, 예를 들면, 입력장치(208)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218)의 재생 키를 눌러, 재생 처리를 시작하도록 지시한다. 그러면, 콘텐츠 선택부(252)는, 유저에 의해 지정된 타이틀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재생 대상의 콘텐츠로서 선택하고, 이러한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콘텐츠 ID, 기억 장소 정보 등)를, 재생 가부 판단부(242)에 출력한다.
다음에, 스텝 S670에서는, 상기 선택된 재생 대상의 콘텐츠 중에서, 최초의 콘텐츠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4)로부터 판독된다(스텝 S670). 구체적으로는, 재생 가부 판단부(242)는, 상기 콘텐츠 선택부(252)로부터 입력된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4)를 검색하고, 재생 대상의 콘텐츠 중 최초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파일을 판독한다. 그리고, 해당 콘텐츠의 재생 가부 판단을 하지 않고, 재생 실행부(244)에 대하여 해당 콘텐츠의 재생을 지시한다. 이것은, 상기 S666에서 유저가 선택한 콘텐츠는, 모두 재생가능한 콘텐츠이므로, 다시, 재생 가부 판단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스텝 S672에서는, 재생 실행부(244)에 의해, 재생 대상의 콘텐츠가 재생된다(스텝 S672).
다음에, 스텝 S674에서는, 상기 S666에서 선택된 모든 재생 대상의 콘텐츠가, 재생되었는가 아닌가가 판단된다(스텝 S674). 선택된 콘텐츠에서 미재생의 것이 있을 경우에는, 스텝 S676으로 진행하여, 다음의 재생 대상의 콘텐츠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34)로부터 판독되고(스텝 S676), 그 후, 해당 다음의 재생 대상의 콘텐츠가 재생된다(스텝 S672). 이러한 재생 처리를 상기 S666에서 선택된 모든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대해서 반복하면, 모든 처리 흐름이 종료한다.
이상, 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PD)(20)에 있어서의 콘텐츠 재생 제어 방법에 관하여 설명했다. 이 콘텐츠 재생장치(PD)(20)의 콘텐츠 재생 제어 처리에서는, 콘텐츠 재생장치(20)의 재생 제어방식이, 그룹 관리 방식인지, 또는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인지를 판별한 후에, 판별한 재생 제어방식을 따라, 콘텐츠를 재생 제어(재생 가부 판단)한다. 이 때문에, 콘텐츠 재생장치(20)는, 그룹 관리 방 식과, 체크인·체크아웃 방식의 2종류의 재생 제어방식을 선택적으로 실행 가능해 진다. 이 때문에, 유저의 편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재생 제어방식마다 다른 모델의 콘텐츠 재생장치(PD)(20)를 설계 개발할 필요가 없으므로, 개발 작업의 효율화 및 코스트 삭감을 꾀할 수 있다.
또, 콘텐츠 재생장치(PD)(20)는, 종래의 체크인·체크아웃 방식 뿐만 아니라, 콘텐츠에 부가된 소스 ID와 소스 ID 리스트에 의거하여 재생 제어를 행하는 그룹 관리 방식에 의한 저작권 관리 스킴에도 대응가능하다. 따라서, 유저에 의한 콘텐츠 이용의 자유도가 높아, 보다 유저 프렌드리한 저작권 관리 스킴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 지역마다 다른 저작권 관리 스킴을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인스톨될 경우에는, 각 저작권 관리 스킴(재생 제어방식)에 대응하는 방식 식별 정보(플래그(232) 등)를 콘텐츠 재생장치(20) 내에 설정하는 것만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콘텐츠 처리장치(PC)(10)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의 재생 제어가 가능해 진다.
또, 콘텐츠 재생장치(20)는, 보유하는 콘텐츠의 타이틀 리스트를, 재생가능한 콘텐츠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를 판별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는, 이러한 타이틀 리스트를 열람하여, 재생가능한 콘텐츠와 재생불가능한 콘텐츠를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재생가능한 콘텐츠 중에서 재생을 소망하는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했 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생각이 미칠 수 있다는 것은 명확하며, 그것들에 관해서도 당연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양해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 콘텐츠 처리장치(PC)(10)가,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유저 식별 정보(리프 ID)에 의거하여 그룹 ID를 생성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서버(30)가, 그룹 ID를 유저 단위로 생성해도 좋다. 이 경우, 그룹 관리 서버(32)가, 각 기기의 등록시에, 콘텐츠 처리장치(10)에 대하여, 상기 리프 ID 대신에 그룹 ID를 통지하고, 콘텐츠 처리장치(10)는, 수신한 그룹 ID를 소스 ID 리스트에 격납해도 좋다. 또한, 콘텐츠 분배 서버(34)는, 분배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리프 ID 대신에 그룹 ID를 관련시켜 송신해도 좋다. 이 때, 콘텐츠 분배 서버(34)가, 분배 콘텐츠의 파일 내에 그룹 ID를 미리 부가하여, 콘텐츠 처리장치(10)에 송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콘텐츠 처리장치간에 콘텐츠 데이터를 저작권 관리하는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Claims (18)

  1.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콘텐츠 처리장치와,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와 통신 접속가능하고 적어도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와,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와 통신 접속가능하고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및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구비한 통신시스템에서,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는,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에 유저 단위로 등록됨으로써, 유저 단위로 생성되는 그룹ID가,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이 보유하는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되어, 콘텐츠 데이터의 제공원을 나타내는 소스ID 중 재생이 허가된 소스ID를 리스트화한 상기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제어부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기억하는 제2의 소스ID리스트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지, 및,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이 콘텐츠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부가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 및,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 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을 권하는 통지 정보를 출력하는 통지부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를 접수했을 때, 상기 관리 서버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등록을 요구하는 등록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 요구 정보에 따라 회신된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기억되는 그룹 ID를,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하는 그룹ID 추가부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를 접수하지 않았을 때,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는 레코더ID 추가부를 갖고 있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등록 요구 정보에 따라,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를 유저 단위의 등록 레코드에 등록함과 아울러,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를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에 송신하는 등록 완료 정보송신부를 갖고 있고,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는,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를 거쳐서 상기 관리 서버가 관리하는 등록된 콘텐츠 처리장치의 유저의 등록 레코드에 등록됨으로써,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와 같은 그룹ID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 자신이 보유하는 제2의 소스 ID 리스트에 추가되고, 상기 소스ID가 부가되어서 유통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해 제어하는 재생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보유하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검출하고, 또한,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내에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레코더ID 추가부는,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의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소거함과 아울러,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가,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검출하고, 또한,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내에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통지부는,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의 소거를 권하는 통지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의 소거가 검출된 후, 상기 레코더ID 추가부는,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의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소거함과 아울러,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4. 적어도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와 통신가능하고,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를 적어도 관리하는 관리 서버와 통신가능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콘텐츠 처리장치에서: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에 유저 단위로 등록됨으로써, 유저 단위로 생성되는 그룹ID가,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이 보유하는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되고, 콘텐츠 데이터의 제공원을 나타내는 소스ID 중 재생이 허가된 소스ID를 리스트화한 상기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해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제어부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기억하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콘 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지, 및,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 및,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가 입력되지 않았을 때,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는 레코더ID 추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 및,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는,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을 권하는 통지 정보를 출력하는 통지부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의 입력을 접수했을 때, 상기 관리 서버에,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등록을 요구하는 등록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등록 요구 정보 송신부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 요구 정보에 따라 회신된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등록된 그룹 ID를,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하는 그룹ID 추가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가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검출하고, 또한,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상기 검출부가 검출했을 때,
    상기 레코더ID 추가부는,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의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소거함과 아울러,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가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 하는 레코더ID를 검출하고, 또한,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내에 존재하는 것을 상기 검출부가 검출했을 때,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는,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의 소거를 권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통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부가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소거된 것을 검출한 후, 상기 레코더ID 추가부는,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의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소거함과 아울러,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이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 및,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는,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을 권하는 통지 정보를 출력하는 통지부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 및/또는 콘텐츠 처리장치의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의 입력을 접수했을 때, 상기 관리 서버에,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 및/또는 콘텐츠 처리장치의 등록을 요구하는 등록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등록 요구 정보 송신 부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 요구 정보에 따라 회신된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그룹ID를 등록하고, 및/또는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하는 그룹ID 추가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룹ID 추가부는,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의 레코더ID가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등록된 그룹ID에 속하는 것을 나타내는 그룹 증명서를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장치.
  9.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콘텐츠 처리장치와,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와 통신 접속가능하고 적어도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와,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와 통신 접속가능하고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및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통신 방법에서: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는,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에 유저 단위로 등록됨으로써, 유저 단위로 생성되는 그룹ID가,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이 보유하는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되고, 콘텐츠 데이터의 제공원을 나타내는 소스ID 중 재생이 허가된 소스ID를 리스트화한 상기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해 제어하는 재생 제어 기능을 갖고,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는,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를 거쳐서 상기 관리 서버가 관리하는 등록된 콘텐츠 처리장치의 유저의 등록 레코드에 등록되는 것에 의해,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와 같은 그룹ID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 자신이 보유하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되고, 소스ID가 부가되어서 유통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해 제어하는 재생 제어 기능을 갖고 있고,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는,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와의 통신 접속을 검출하면,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기억하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를 취득하고;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는,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지, 및,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가 콘텐츠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부가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검출하고;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는,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 및,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상기 레코더ID가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을 권하는 통지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는,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를 접수했을 때, 상기 관리 서버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등록을 요구하는 등록 요구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등록 요구 정보에 따라, 유저 단위의 등록 레코드에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를 등록함과 아울러,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를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는, 상기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기억되는 그룹ID를,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하고;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는,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를 접수하지 않았을 때,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상기 레코더ID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가,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검출하고, 또한,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내에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는,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의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소거함과 아울러,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가,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검출하고, 또한,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내에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는,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의 소거를 권하는 통지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는,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소거된 것을 검출한 후,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의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소거함과 아울러,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2. 적어도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와 통신가능하고,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를 적어도 관리하는 관리 서버와 통신가능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콘텐츠 처리장치의 통신 방법에서: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는, 당해 콘텐츠 처리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에 유저 단위로 등록됨으로써, 유저 단위로 생성되는 그룹ID가,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이 보유하는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되고, 콘텐츠 데이터의 제공원을 나타내는 소스ID를 리스트화한 소스ID 리스트 중 상기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제어 기능을 갖고 있고,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로부터 그 콘텐츠 재생장치가 기억하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취득 스텝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지, 및,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 스텝과;
    상기 검출 스텝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 및,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가 입력되지 않았을 때,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는 레코더ID 추가스텝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스텝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 및,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을 권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통지 스텝과;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의 입력을 접수했을 때, 상기 관리 서버에,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등록을 요구하는 등록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등록 요구 정보 송신 스텝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 요구 정보에 따라 회신된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등록된 그룹ID를,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하는 그룹ID 추가 스텝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스텝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검출하고, 또한,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레코더ID 추가 스텝에서는,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의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소거함과 아울러,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스텝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검출하고, 또한,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내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의 소거를 권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통지 스텝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 스텝에서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소거된 것을 검출한 후, 상기 레코더 ID 추가 스텝에서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의 상기 다른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소거함과 아울러,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스텝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이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 및,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을 권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통지 스텝과;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 및/또는 콘텐츠 처리장치의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의 입력을 접수했을 때, 상기 관리 서버에,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 및/또는 콘텐츠 처리장치의 등록을 요구하는 등록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등록 요구 정보 송신 스텝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 요구 정보에 따라 회신된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등록된 그룹ID를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하는 그룹ID 추가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그룹ID 추가 스텝에서는,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의 레코더 ID가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등록된 그룹ID에 속하는 것을 나타내는 그룹 증명서를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7. 컴퓨터를,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콘텐츠 처리장치와,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와 통신 접속가능하고 적어도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와,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와 통신 접속가능하고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및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기억하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를 취득하는 취득 처리와;
    취득된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지, 및,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이 콘텐츠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부가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 처리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 및,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을 권하는 통지 정보를 출력하는 통지 처리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를 접수했을 때, 상기 관리 서버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등록을 요구하는 등록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등록 요구 정보 송신 처리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 요구 정보에 따라 회신된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처리와;
    상기 등록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의 소스ID 리스트에 기억되는 그룹ID를,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추가하는 그룹ID 추가 처리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를 접수하지 않았을 때,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는 (로컬 등록) 레코더ID 추가 처리를 실행시켜, 상기 관리 서버에 대하여, 상기 등록 요구 정보에 따라,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를 유저 단위의 등록 레코드에 등록함과 아울러,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정보를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에 송신하는 등록 완료 정보 송신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8. 컴퓨터를, 적어도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와 통신가능하고,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를 적어도 관리하는 관리 서버와 통신가능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콘텐츠 처리장치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기억하는 제2의 소스ID 리스트를 취득하는 취득 처리와;
    취득된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지, 및,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 처리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 및, 상기 제2의 소스ID 리스트내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가 등록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상기 관리 서버에의 등록 지시가 입력되지 않았을 때,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제2의 소스ID 리스트에 상기 콘텐츠 처리장치 자신에 대응하는 레코더ID를 추가하는 레코더ID 추가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067005386A 2004-07-21 2005-07-21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콘텐츠 처리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0700436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13682 2004-07-21
JPJP-P-2004-00213682 2004-07-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688A true KR20070043688A (ko) 2007-04-25

Family

ID=3578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386A KR20070043688A (ko) 2004-07-21 2005-07-21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콘텐츠 처리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77328B2 (ko)
EP (1) EP1783655A4 (ko)
KR (1) KR20070043688A (ko)
CN (1) CN100433034C (ko)
WO (1) WO20060092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0738A (zh) * 2011-03-08 2012-10-03 微软公司 归组个人帐户以定制web服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69130B (en) * 2000-05-29 2004-01-01 Sony Corp Data providing device and method, 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a
US20070009230A1 (en) * 2004-07-21 2007-01-11 Koujirou Tanaka Content processing device, content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4760101B2 (ja) * 2005-04-07 2011-08-31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JP4581870B2 (ja) * 2005-06-29 2010-11-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059188A (ja) * 2006-08-30 2008-03-13 Seiko Epson Corp 情報処理装置
JP5026148B2 (ja) * 2006-09-19 2012-09-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45560B2 (en) * 2007-02-28 2014-02-04 Sony Corporation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share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content output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JP4944812B2 (ja) * 2008-02-20 2012-06-06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と情報処理方法とプログラム
US20090249067A1 (en) * 2008-03-25 2009-10-01 Contineo Systems System and Method for Pre-Placing Secure Content on an End User Storage Device
CN101315280B (zh) * 2008-07-09 2011-02-09 深圳市凯立德计算机系统技术有限公司 一种导航设备激活方法、导航设备激活中心和导航设备
JP5599557B2 (ja) * 2008-08-29 2014-10-0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ライセンス判定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533117B2 (ja) * 2009-10-02 2014-06-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プログラム及び修正表示情報出力方法
JP5571998B2 (ja) * 2010-04-02 2014-08-13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コンテンツ送信方法、コンテンツ送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受信装置
US8918544B2 (en) 2011-03-31 2014-12-23 Logitech Europe S.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remote-control system
US9239837B2 (en) 2011-04-29 2016-01-19 Logitech Europe S.A. Remote control system for connected devices
US8849819B2 (en) 2011-08-05 2014-09-30 Deacon Johns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organizing metadata associated with on-line content
WO2013145518A1 (ja) * 2012-03-28 2013-10-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037962B1 (en) * 2013-08-20 2020-09-16 Fujitsu Limite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DE102014201234A1 (de) * 2014-01-23 2015-07-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Verwaltungsvorrichtung und Gerät zur Zertifikat-basierten Authentifizierung von Kommunikationspartnern in einem Gerät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2900A (en) * 1996-08-30 1999-04-06 Intertrust Technologie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and electronic rights protection
US5926624A (en) * 1996-09-12 1999-07-20 Audible, Inc. Digital information library and delivery system with logic for generating files targeted to the playback device
US6154844A (en) * 1996-11-08 2000-11-28 Finjan Software, Ltd.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a downloadable security profile to a downloadable
US6167520A (en) 1996-11-08 2000-12-26 Finjan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 client during runtime from hostile downloadables
JP2001142786A (ja) * 1999-09-01 2001-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著作権付き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746183B1 (ko) * 2000-02-09 2007-08-0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제어장치,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JP2002132457A (ja) * 2000-10-26 2002-05-10 Victor Co Of Japan Ltd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並びに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4146860A (ja) * 2000-12-29 2004-05-20 Ccp:Kk コンテンツのディレクトリ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2328846A (ja) * 2001-02-20 2002-11-1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コピー管理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端末装置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管理サーバ装置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クライアント端末装置の情報処理プログラム,管理サーバ装置の情報処理プログラム,コピー管理方法,クライアント端末装置の情報処理方法、及び管理サーバ装置の情報処理方法
AU2002225292A1 (en) * 2001-03-12 2002-09-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ceiving device for securely storing a content item, and playback device
JP2003085084A (ja) * 2001-09-12 2003-03-20 Sony Corp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携帯端末、配信サーバ、並びに記憶媒体
JP4391056B2 (ja) * 2002-04-15 2009-12-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管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CA2486671C (en) * 2002-05-31 2011-11-15 Onkyo Corporation Network type content reproducing system
EP1383327B1 (en) * 2002-06-11 2013-12-25 Panasonic Corporation Content distributing system and data-communication controlling device
TWI304970B (en) * 2002-08-28 2009-01-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Networked apparatus, content dupl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recorded therein content duplication management program
US7752433B2 (en) * 2002-08-28 2010-07-06 Panasonic Corporation Content-duplication managemen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4139473A (ja) 2002-10-18 2004-05-13 Toshiba Corp コンテンツ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並びに記憶媒体
CN100339844C (zh) * 2002-12-20 2007-09-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信息管理系统
WO2004077267A2 (en) * 2003-02-24 2004-09-10 Listen.Com Delivery system providing conditional media access
EP1599784A4 (en) * 2003-03-05 2011-10-19 Digimarc Corp CONTENT IDENTIFICATION, PERSONAL DOMAIN, COPIER NOTIFICATION, METADATA AND E-COMMERCE
KR100574519B1 (ko) * 2003-03-19 200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한 기기정보의 관리장치 및 방법
JP2005141635A (ja) 2003-11-10 2005-06-02 Sony Corp 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コンテンツ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コンテンツ共有方法
JP4333455B2 (ja) * 2004-04-09 2009-09-16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
JP4442294B2 (ja) * 2004-04-09 2010-03-31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
US20060265427A1 (en) * 2005-04-05 2006-11-23 Cohen Alexander J Multi-media search, discovery, submission and distribution control infrastructu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0738A (zh) * 2011-03-08 2012-10-03 微软公司 归组个人帐户以定制web服务
WO2012122073A3 (en) * 2011-03-08 2012-11-15 Microsoft Corporation Grouping personal accounts to tailor a web service
US8839390B2 (en) 2011-03-08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Grouping personal accounts to tailor a web service
CN102710738B (zh) * 2011-03-08 2017-05-17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归组个人帐户以定制web服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09208A1 (ja) 2006-01-26
EP1783655A4 (en) 2009-11-11
EP1783655A2 (en) 2007-05-09
US20080243698A1 (en) 2008-10-02
CN100433034C (zh) 2008-11-12
CN1842803A (zh) 2006-10-04
US7877328B2 (en) 201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3688A (ko)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콘텐츠 처리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CN100423014C (zh) 内容再现装置和内容再现控制方法
CN100423015C (zh) 内容处理装置和内容处理方法
WO2006009224A1 (ja) 通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処理装置,通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84245B2 (ja) コンテンツ処理装置,サーバ装置,通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06009207A1 (ja) コンテンツ処理装置,コンテンツ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333455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
JP4380480B2 (ja) ライセンス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ライセンス処理方法
JP2005351994A (ja)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配信方法,プログラム
KR20060051212A (ko) 이동 컴포넌트와 프로그램 및 이동 방법
WO2006009215A1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処理装置,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60051285A (ko) 복제 컴포넌트와 프로그램 및 그 복제 방법
KR20060051211A (ko) 재생 컴포넌트와 프로그램 및 그 재생 제어 방법
JP4752363B2 (ja) コンテンツ処理装置,コンテンツ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30004B2 (ja) 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共有方法
JP2006085483A (ja) ライセンス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ライセンス貸出方法
JP4677840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4710449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コンテンツ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10448B2 (ja) 通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処理装置,通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70031837A (ko) 콘텐츠 처리장치,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070031836A (ko) 콘텐츠 처리장치,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4613721B2 (ja) コンテンツ処理装置,コンテンツ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70031832A (ko) 통신 시스템, 콘텐츠 처리장치, 통신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070031838A (ko) 콘텐츠 재생장치, 콘텐츠 재생 제어 방법, 프로그램
KR20070031835A (ko) 콘텐츠 재생장치, 콘텐츠 처리장치, 콘텐츠 배신서버,콘텐츠 재생방법, 콘텐츠 처리방법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