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5068A - 타사와 연동된 에스엠에스 메시지의 전송결과 확인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타사와 연동된 에스엠에스 메시지의 전송결과 확인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5068A
KR20050115068A KR20040040338A KR20040040338A KR20050115068A KR 20050115068 A KR20050115068 A KR 20050115068A KR 20040040338 A KR20040040338 A KR 20040040338A KR 20040040338 A KR20040040338 A KR 20040040338A KR 20050115068 A KR20050115068 A KR 20050115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s
party
smc
terminal
shor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40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40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5068A/ko
Publication of KR20050115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068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사와 연동된 SMS 메시지의 전송결과 확인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SMS 메시지를 발송한 발신 가입자에게 타 이동통신회사(KTF,LGT 등)로 전송한 SMS 메시지의 정상 수신결과 여부를 확인시켜 주는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사와 연동된 SMS 메시지 전송결과의 확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에서 작성된 단문메시지를 타사의 착신 단말로 전송하기 위하여 SMC로 전달하는 제 1단계와; 상기 SMC 수신까지의 단문메시지 전송 결과를 발신 단말로 전달하는 제 2단계와; 상기 SMC와 연동된 SMS 서버에서 타사 SMC를 통하여 발신 단말의 단문메시지를 타사의 착신 단말로 전달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타사의 착신 단말로 전달된 단문메시지 수신결과 여부를 SMS 서버에서 발신 단말로 전달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사와 연동된 SMS 메시지 전송결과의 확인 서비스방법 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SMS 메시지를 발송한 발신 가입자에게 타 이동통신회사(KTF,LGT 등)로 전송한 SMS 메시지의 정상 수신결과 여부를 확인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파 환경의 영향으로 인하여 기지국으로 단문메시지가 전송되지 못하는 경우는 물론 단문메시지의 유실 여부도 발신 가입자의 이동단말에서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다.

Description

타사와 연동된 에스엠에스 메시지의 전송결과 확인 서비스방법{Method for service confirmation of other matters linkage with SMS transfer result}
본 발명은 타사와 연동된 SMS 메시지의 전송결과 확인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SMS 메시지를 발송한 발신 가입자에게 타 이동통신회사(KTF,LGT 등)로 전송한 SMS 메시지의 정상 수신결과 여부를 확인시켜 주는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이 대중화되면서 이동 통신과 휴대폰을 공급하는 사업자들은 사용자에게 좀 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이동 통신 시스템을 통한 단순한 통화 연결 외에도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한 정보 제공, 전자 우편, 웹 서핑 등의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휴대폰 또한 단말 자체의 소형화, 경량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기능적인 면에서도 통화 서비스를 위한 기능 외에 전자 수첩, 알람, 시계 등 부가적 기능의 추가와 개선으로 사용자의 편리함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의 다른 기능 또는 이동 통신의 부가 서비스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새로운 기능이 휴대폰에 추가된다면 고품질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SMS는 Short Message Services의 약자로 단문메시지 등으로 표현되고, 이 서비스는 이동통신망에서 비교적 짧은 길이(보통 80바이트에서 160여 바이트까지)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비스이다.
이 SMS는 이동통신망이 디지털 방식으로 진화를 하면서 이동통신망 내부와 기지국과 이동단말 사이에도 디지털 데이터가 전달되면서 자연스럽게 생겨난 서비스이다.
이러한 SMS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MS: Mobile Station)(10), 기지국(BTS: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12), BSC/MSC(제어국/교환국: Base Station Controller/ Mobile Switching Center)(14), HLR(홈위치 등록기: Home Location Register)(16), SMC(단문메시지 센터: SMS Message Center)(18), SMS 서버(20), OMC(운용관리 센터: Operating Management Center)(22), CBC(셀방송 센터: Cell Broadcating Center)(24), 및 셀방송(CB)용 IP(정보 제공자: Information Provider)(26)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단말(10)은 임의의 기지국(12)의 범위 내에 있고, 이동단말(10)의 정보는 기지국(12)과 이를 제어하는 BSC/MSC(14)에 전송되며, BSC/MSC(14)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는 기지국(12)을 거쳐 이동단말(10)로 전송된다.
이동단말(10)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문자 수신 시에는 순방향 채널(Forward Channel)을 이용하고, 발신 시에는 역방향 채널(Reverse Channel)을 사용한다.이 때, 모든 문자 정보는 SMS를 이용하는데, 수신 시에는 이동착신(MT) SMS를 이용하고, 발신 시에는 이동발신(MO) SMS를 이용한다.
이동단말(10)은 서비스범위 번호(SCN)와 메시지 식별번호(MID) 쌍(Pair)의 이력(History)을 이용한 메시지 중복 처리가 가능한 단말기로서, SMS와 CB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단말(10)은 기지국(12), BSC/MSC(14) 등을 통하여 단문서비스 시스템(즉, SMC(18), SMS 서버(20), CBC(24) 등을 포함)으로 논리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시스템은 수신 시 CDMA 이동통신시스템 방식의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e Burst Message)를 사용하고, 사용자가 통화중일 경우에는 순방향 트래픽 채널(Forward Traffic Channel)의 데이터버스트 메시지로 해당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문자메시지 발신 시 일정 길이 이내일 때는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사용하고, 통화 중 또는 일정 길이 이상일 때는 역방향 트래픽 채널(Reverse Traffic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사용하여 송신한다.
이동단말(10)에서 송수신된 문자 메시지는 고주파 신호처리 및 호 처리를 위한 기지국(12)을 통해 BSC/MSC(14)로 접속된다.
기지국(12)은 이동단말(10)을 BSC/MSC(14)에 접속시키며, 디지털 채널 장치(DCU), 시간/주파수 제어 장치(TCU), 무선주파수 장치(RFU), 및 위치측정시스템(GPS)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기지국(12)은 이동단말(10)과 무선을 통해 통신하고, BSC/MSC(14)와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유무선 변환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BSC/MSC(14)의 기능을 살펴보면, BSC는 기지국(12)을 MSC에 접속시켜 기지국(12)간의 연결을 조정하며 기지국(12)과 MSC간의 통신을 위한 신호처리 기능을 하고, MSC는 HLR(16), SMC(18)와 연동하여 이동통신 회원 호를 처리한다.
또한, MSC는 BSC와 접속하여 이동단말(10)의 통화설정 및 해제 기능 등을 수행하고, 호 처리 및 부가서비스 관련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BSC/MSC(14)는 일반 호, SMS 메시지 등을 라우팅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HLR(16)은 BSC/MSC(14) 및 SMC(18)에 연결되어 이동전화 회원의 각종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SMS, CB 등의 부가서비스 가입여부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상기 HLR(16)은 여러 BSC/MSC와 연동하여 회원 위치 등록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이동단말(10) 및 회원의 영구적인 정보 및 위치정보 등을 저장하며, MSC내에 실장된 이동단말(10)과 관련된 회원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미도시된 VLR(방문자위치 등록기: Visitor Location Register)와 상호 작용하여 호 처리 및 부가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기능을 지원한다.
SMC(18)는 BSC/MSC(14), HLR(16), SMC(18), OMC(22)에 연결되어 SMS 처리에 핵심을 담당하며, SMS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입력되는 신호의 통신서비스 식별자(TI: Tele service Identifier)와 착신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이용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망 요소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특히, 상기 SMC(18)는 해당 메시지가 SMS 서버(20)로 설정되어 있으면 BSC/MSC(1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SMS 서버(20)로 전송한다.
상기 SMC(18)가 다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BSC/MSC(14)를 통한 메시지는 신호교환기(STP: Signaling Transfer Protocol)를 통해 적당한 SMC(18)로 전달되고, 이 메시지는 다시 신호교환기를 통해 하나의 BSC/MSC(14)로 전달되어 다른 이동단말로 전송된다.
SMS 서버(20)는 OMC(22), CBC(24) 및 IP(26)와 연동되고, 특히 SMC(18)와 연동되어 SMS 회원의 단말기 종류, 서비스 종류 등을 저장하고 있다가 해당 통신서비스 식별자(TI)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온 정보를 SMC(18)로 전송한다.
CBC(24)는 방송형 정보 서비스와 관련된 작업을 하는 서버로서, 셀 방송용 서버(CBS: CB Server)라고도 하며, 셀방송용 IP(26)와 연결되어 이로부터 정보를 받아서 방송 정보 메시지의 전송과 스케쥴링 등 방송정보서비스와 관련된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SMS 시스템에 있어서 타사와 연동된 SMS 메시지의 전송결과 확인 과정은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발신 가입자가 이동단말(10)에 내장된 메뉴 중에서 메시지 보내기에 해당하는 메뉴를 선택한 후, 각종 문자 버튼 키를 이용하여 단문메시지를 작성한다.
그 후, 상기 작성된 단문메시지를 전송할 상대방(타 이동통신회사)의 착신 가입자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단문메시지 전송을 시도한다.
이 때, 상기 작성된 단문메시지의 전송은 발신 가입자의 이동단말(10) -> BSC/MSC(14) -> 신호교환기(STP) -> SMC(18) -> 발신 가입자의 이동단말(10)로 전달되고(S11 ~ S14), 상기 단문메시지는 다시 SMS서버(20) -> 타사 SMC -> 착신 가입자의 이동단말(10)로 전송된다(S15 ~ S17).
그러나, 타사와 연동된 종래의 SMS 메시지 전송결과 확인은 발신 가입자가 단문메시지를 타사(예컨대, KTF,LGT 등)로 전송할 때 단지 타사 SMC 수신까지의 전송 결과만을 알 수 있을 뿐, 실제로 상대방(착신 가입자)의 이동단말(10)에 단문메시지의 도착여부(전파 환경의 영향으로 인하여 기지국으로 단문메시지가 전송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됨)를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기존의 SMS 연동 메시지 전송결과의 문구는 각 이동통신회사 마다 다양한 문구, 예컨대 “전송 성공하였습니다 ”라는 애매한 문구가 발신 가입자의 단말에 표시됨으로써 고객에게 통일된 단문메시지의 전송결과 문구를 제공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SMS 메시지를 발송한 발신 가입자에게 타사로 전송한 SMS 메시지의 정상 수신결과 여부를 확인시켜 줌과 더불어 가입자들에게 이동통신회사 마다 각기 다른 단문메시지의 전송결과 확인 문구를 통일시켜 제공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은
타사와 연동된 SMS 메시지 전송결과의 확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에서 작성된 단문메시지를 타사의 착신 단말로 전송하기 위하여 SMC로 전달하는 제 1단계와;
상기 SMC 수신까지의 단문메시지 전송 결과를 발신 단말로 전달하는 제 2단계와;
상기 SMC와 연동된 SMS 서버에서 타사 SMC를 통하여 발신 단말의 단문메시지를 타사의 착신 단말로 전달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타사의 착신 단말로 전달된 단문메시지 수신결과 여부를 SMS 서버에서 발신 단말로 전달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사와 연동된 SMS 메시지 전송결과의 확인 서비스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사와 연동된 SMS 메시지의 전송결과 확인 서비스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SMS 시스템의 구성은 도 1과 동일하므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살펴보면, 먼저 발신 가입자가 이동단말(10)에 내장된 메뉴 중에서 메시지 보내기에 해당하는 메뉴를 선택한 후, 각종 문자 버튼 키를 이용하여 단문메시지를 작성한다.
그 후, 상기 작성된 단문메시지를 전송할 상대방(타 이동통신회사)의 착신 가입자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단문메시지 전송을 시도한다.
즉, 상기 작성된 단문메시지의 전송은 발신 가입자의 이동단말(10) -> BSC/MSC(14) -> 신호교환기(STP) -> SMC(18) -> 발신 가입자의 이동단말(10)로 전달되고(S21 ~ S24), 상기 단문메시지는 다시 SMS 서버(20) -> 타사 SMC -> 착신 가입자의 이동단말(10) -> SMS 서버(20)에서 발신 가입자의 이동단말(10)로 전송된다(S25 ~ S28).
이 때, 상기 발신 가입자의 이동단말(10)로부터 단문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1차적으로 SMC(18)에서는 예컨대, “메시지 센터에 수신 성공하였습니다 ”라는 문구를 발신 가입자의 이동단말(10)로 전송함과 더불어, 타사 SMC로부터 착신 가입자의 이동단말(10)로 단문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2차적으로 SMC 서버(20)에서는 해당 메시지의 수신 결과를 예컨대, “01*-***-****에게 메시지를 전송 완료했습니다 ”라는 문구를 발신 가입자의 이동단말(1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준다.
따라서, 상기 발신 가입자의 이동단말(10)에서는 타사와 연동된 SMS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상대방(착신 가입자)의 이동단말(10)로 전송됨을 인지하게 된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타사와 연동된 SMS 메시지의 전송결과를 타사 SMC 수신까지의 전송 결과를 알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타사 SMC와 연동된 착신 가입자의 이동단말(10) 수신까지도 SMS 메시지의 정상적인 수신결과를 확인 가능함으로써 전파 환경의 영향으로 인하여 기지국으로 단문메시지가 전송되지 못하는 경우는 물론 단문메시지의 유실 여부를 발신 가입자의 이동단말(10)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BSC/MSC(14)와 HLR(16), SMC(18), SMS 서버(20)와 각각 연동되어 O-SFI(Originating Service Features Indicator)에 의해 표준화된 메시지 전송문구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타사와 연동된 SMS 메시지의 전송 전에는 예컨대, “메시지 센터에 수신 성공하였습니다 ”라는 문구를, 발송 후에는 예컨대 “01*-***-****에게 메시지를 전송 완료했습니다 ”라는 표준화된 문구로 통일시켜 발신 가입자의 이동단말로 전달하여 줄 수 있다. 또한, SMS 발신 가입자에게 타사로 전송한 단문메시지의 실제 수신여부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O-SFI는 단말기의 특성(features) 활성화 상태를 정의하며, 단말기에서 SMS 타사 연동 메시지의 전송결과 표시에 대한 표준화(규격화)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O-SFI는 HLR(16), MSC(14), SMC(18)에 설정된 값으로 발신자의 부가서비스 사용 여부를 설정하는 필드로서 HLR(16), MSC(14), SMC(18)에는 O-SFI 필드가 이미 생성된 상태이다. 이를 바탕으로 SMS 타사 연동 메시지의 전송결과 확인 서비스에 적용하는 경우 발신자의 메시지 전송 시 해당 메시지에 플래그(FLAG)를 셋팅하여 전송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HLR(16), MSC(14)의 발신 가입자 정보에 SMS 타사 연동 메시지의 전송결과 확인서비스를 설정하도록 하여 메시지에 플래그를 형성한 후 SMC(18)로 전송하게 되면, 상기 SMC(18)에서는 해당 메시지 수신 시 플래그 셋팅 여부를 확인하여 SMS 타사 연동 메시지의 전송결과 확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SMS 메시지를 발송한 발신 가입자에게 타 이동통신회사(KTF,LGT 등)로 전송한 SMS 메시지의 정상 수신결과 여부를 확인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파 환경의 영향으로 인하여 기지국으로 단문메시지가 전송되지 못하는 경우는 물론 단문메시지의 유실 여부도 발신 가입자의 이동단말에서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회사 마다 각기 다른 단문메시지의 전송결과 확인 표시문구를 가입자들에게 통일화 시켜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따라서, SMS 서비스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이를 증대 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SMS 시스템의 구성도 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타사와 연동된 SMS 메시지의 전송결과 확인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타사와 연동된 SMS 메시지의 전송결과 확인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3)

  1. 타사와 연동된 SMS 메시지 전송결과의 확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에서 작성된 단문메시지를 타사의 착신 단말로 전송하기 위하여 SMC로 전달하는 제 1단계와;
    상기 SMC 수신까지의 단문메시지 전송 결과를 발신 단말로 전달하는 제 2단계와;
    상기 SMC와 연동된 SMS 서버에서 타사 SMC를 통하여 발신 단말의 단문메시지를 타사의 착신 단말로 전달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타사의 착신 단말로 전달된 단문메시지 수신결과 여부를 SMS 서버에서 발신 단말로 전달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사와 연동된 SMS 메시지 전송결과의 확인 서비스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타사의 착신 단말로 전달된 단문메시지 수신결과 여부를 SMS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발신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사와 연동된 SMS 메시지 전송결과의 확인 서비스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MC 및 SMS 서버에는 각각 O-SFI 설정에 의해 이동단말로 표준화된 메시지 전송결과 확인 표시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사와 연동된 SMS 메시지의 전송결과 확인 서비스방법.
KR20040040338A 2004-06-03 2004-06-03 타사와 연동된 에스엠에스 메시지의 전송결과 확인서비스방법 KR200501150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40338A KR20050115068A (ko) 2004-06-03 2004-06-03 타사와 연동된 에스엠에스 메시지의 전송결과 확인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40338A KR20050115068A (ko) 2004-06-03 2004-06-03 타사와 연동된 에스엠에스 메시지의 전송결과 확인서비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068A true KR20050115068A (ko) 2005-12-07

Family

ID=3728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40338A KR20050115068A (ko) 2004-06-03 2004-06-03 타사와 연동된 에스엠에스 메시지의 전송결과 확인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50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245B1 (ko) * 2006-04-25 2007-1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번호이동 가입자에 대한 sms 호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245B1 (ko) * 2006-04-25 2007-1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번호이동 가입자에 대한 sms 호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50820B1 (en) Routing of short message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20100274916A1 (en) Peer-to-peer mobile data transfer method and device
EP2153676A1 (en) A method for the forwarding of sm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0474977C (zh) 用于处理呼叫的方法和系统
US20040203943A1 (en) Intelligent network application protocol communication between phone system switch and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KR20060132254A (ko) 애칭 전송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50027332A (ko) 지능망을 이용한 휴대폰 위치확인 시스템
KR20050115068A (ko) 타사와 연동된 에스엠에스 메시지의 전송결과 확인서비스방법
KR20050114021A (ko)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전환방법
KR20050114919A (ko) 에스엠에스 전송결과 확인 서비스 방법
KR20050075470A (ko) 단문 메시지 발신자 위치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275479B1 (ko) 단문메시지서비스에서 발신전화번호를 이용한 응답메시지 전송방법
KR20080009846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sms를 이용한 실시간 착신전환방법
KR101002284B1 (ko)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16334A (ko) 이동 단말기간 통화 중 문자메시지 전송 방법
KR20040029594A (ko) Sms를 이용한 url 메시지 수신방법
KR2004004300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택적으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방법
KR101051021B1 (ko) 착신 이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100549685B1 (ko) 발신번호 메모 기능을 구비한 비동기 imt-2000 시스템및 발신번호 메모 서비스 방법
KR20040040543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sms 폰 메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29553A (ko) 휴대폰의 sms 서비스 재송신 방법
KR100501163B1 (ko) 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방법
KR100957636B1 (ko) 데이터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34005A (ko) 단문메시지 수신사실 통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