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284B1 -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284B1
KR101002284B1 KR20030060000A KR20030060000A KR101002284B1 KR 101002284 B1 KR101002284 B1 KR 101002284B1 KR 20030060000 A KR20030060000 A KR 20030060000A KR 20030060000 A KR20030060000 A KR 20030060000A KR 101002284 B1 KR101002284 B1 KR 101002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mobile
mobile communication
identifi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60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2999A (ko
Inventor
박준형
배동석
김양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60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284B1/ko
Publication of KR20050022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28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식별번호를 통합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이동 통신망에서, 발신자 번호와 함께 발신측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 통신 업체의 로고나 마크 등의 식별자를 동시에 착신측 단말기에 표시해 주는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식별번호를 통합하여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통신망을 통한 무선 전화 통화를 수행함과 더불어, 착신호가 수신될 때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발신측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 통신 업체의 식별자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상기 이동 통신망과 연동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 통신 업체의 식별자와 함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해 주는 식별자 표시 제공 서버; 및 다수의 이동 통신 업체의 식별자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는 식별자표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 통신망, 발신자 표시, 식별자, CID, 이동 단말기, Caller ID

Description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Caller Identificaion of Subscription Tele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식별자표시 제공서버(140)의 내부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019 이동 단말기에서 발신측 단말기의 가입 019 통신 업체 로고와 발신측 단말기인 011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표시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시스템 110 : 019 이동 단말기
120 : 019 무선 기지국 122, 162 : 기지국 전송기
124, 164 : 기지국 제어기 130 : 019 이동 교환국
132, 172 : HLR 134, 174 : VLR
140 : 식별자표시 제공서버 142 : 식별자표시 DB
150 : 011 이동 단말기 160 : 011 무선 기지국
170 : 011 이동 교환국 210 : 프로그램 저장부
220 : 메모리 230 : 제어부
240 : 표시부 250 : 통신부
260 : 데이터베이스 서버 270 : 키입력부
본 발명은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식별번호를 통합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이동 통신망에서, 발신자 번호와 함께 발신측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 통신 업체의 로고나 마크 등의 식별자를 동시에 착신측 단말기에 표시해 주는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무선 통신 사업자들은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로 불리는 통화 관련 부가 서비스를 실시하여 가입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이러한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는 통상 "Caller ID" 서비스, 즉 "CID" 서비스라 약칭하기도 한다. CID 서비스는 CCITT(Consultative Committee on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y: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 현재의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V.32 규약에 따른 신호 규격을 이용하여, 전화를 건 발신자의 이름, 혹은 고유 식별번호로서의 전화번호, 전화 발신 및 착신에 따른 시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현재 CID 서비스는 전화 통화 관련한 수신자의 사생활 보호에 따른 이점과, 그리고 발신자의 확인을 통한 전화 수신 선택권의 보호 측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제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유선, 혹은 유/무선 전화기를 통해 전화가 걸려오면 표시창에 나타나는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고, 선별하여 전화 통화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인 휴대폰에서도 호(Call) 착신시에 표시창에 나타나는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여 선별 통화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동 통신망의 경우에는 이동통신 사업자 식별번호를 신규 가입자부터 모두 '010'으로 통합하고, 가입된 이동 통신 업체를 바꾸더라도 자신의 전화번호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식별번호 통합 정책을 정부 차원에서 실시하려 하고 있다. 그동안 셀룰러와 PCS 등 2세대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가입된 통신 업체를 바꾸고 싶어도 사용하는 이동 전화번호가 바뀌기 때문에 이동 통신 업체가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그대로 사용해야만 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이동 통신 업체들은 서비스나 품질 개선보다 고객 수 늘리기에 치중해 왔던 게 사실이다. 이동통신 식별번호 통합은 이동전화 가입자간 3자리의 식별번호를 누르지 않고 8자리 전화번호만 누르면 되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데다가, 이동전화 식별번호로 생기는 업체간 불공정 시비도 없애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정책하에서 이동통신 사업자 식별번호, 예컨대, '011'을 포함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가입자가, '011'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이동 통신 업체(이하, '011 통신 업체'라 칭함)가 아닌 다른 이동 통신 업체, 예컨대, '019' 식별번호를 가지는 이동 통신 업체(이하, '019 통신 업체'라 칭함)에 가입한 상태에서, 019 통신 업체에 가입되고 '019'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를 갖는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화를 걸게되는 경우, '019'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를 갖는 착신측에 전술한 CID 서비스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발신자 번호인 '011'을 포함하는 전화번호 가 착신측 이동 단말기에 표시된다. 따라서, '019'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를 갖는 착신측 가입자는 '011'을 포함하는 발신자 번호를 확인하고 발신자가 011 통신 업체에 가입한 것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렇게, 019 통신 업체에 가입한 착신측에서 발신자가 '011'을 포함하는 전화번호를 갖지만 019 통신 업체에 가입한 것을 알지못하고, 011 통신 업체에 가입한 것으로 오인함으로써, 같은 019 통신 업체에 가입한 가입자들끼리 특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이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019 통신 업체에 가입한 착신측 가입자에서 '011'을 포함하는 전화번호를 갖는 발신자가 019 통신 업체에 가입한 것을 인식할 수 있는 경우, 발신자와 착신자가 가족 관계이면 착신측 가입자는 CID 서비스를 통하여 확인한 발신측 전화번호에 대하여 '패밀리 서비스' 대상으로 설정하여 통화 요금을 면제받거나 할인받을 수 있으나, 착신측 단말기에 '011'을 포함하는 전화번호만 발신번호로 표시되기 때문에 019 통신 업체에 가입한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이유로, 이동통신 식별번호 통합이 이루어진 이후에, 이동통신 식별번호를 포함한 전화번호를 변경하지 않고 유지한 채 다른 이동 통신 업체에 가입한 가입자들을 위하여, 전술한 CID 서비스를 통하여 발신자 번호를 제공할 때 발신자가 어느 이동 통신 업체에 가입한 상태인지를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알려 줄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식별번호를 통합하여 이 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이동 통신망에서, 발신자 번호와 함께 발신측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 통신 업체의 로고나 마크 등의 식별자를 동시에 착신측 단말기에 표시해 주는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식별번호를 통합하여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통신망을 통한 무선 전화 통화를 수행함과 더불어, 착신호가 수신될 때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발신측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 통신 업체의 식별자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상기 이동 통신망과 연동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 통신 업체의 식별자와 함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해 주는 식별자 표시 제공 서버; 및 다수의 이동 통신 업체의 식별자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는 식별자표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발신자 번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이동 단말기로서,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 통신망의 로고 또는 마크를 상기 발신자 번호와 함께 수신하여 표시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의하면, 이동통신 식별번호를 통합하여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으로서,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통화 요청 신호를 근거로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의 가입 이동 통신망의 식별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의 이동 통신망 식별자와 함께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해 주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목적에 의하면,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요청에 따라,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 통신망의 로고 또는 마크와,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함께 수신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 통신망의 로고 또는 마크와,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함께 표시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 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시스템(100)은 019 이동 단말기(110), 019 무선 기지국(120), 019 이동 교환국(130), 식별자표시 제공서버(140), 식별자표시 데이터베이스(142), 011 이동 단말기(150), 011 무선 기지국(160), 011 이동 교환국(170)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이동 통신 가입자 중 대표적인 '019' 이동 통신망과 '011' 이동 통신망에 대하여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016', '017', '018' 등의 이동 통신망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019 이동 단말기(110) 및 011 이동 단말기(15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무선 전화 통화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CID 서비스를 통하여 착신호가 수신될 경우, 식별자표시 제공서버(140)로부터 착신측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 통신 업체의 로고나 마크 등을 함께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10, 15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폰은 최근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019 무선 기지국(120) 및 011 무선 기지국(160)은 기지국 전송기(BTS: Base Transceiver Station)(122, 162) 및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124, 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지국 전송기(122, 162)는 각기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이동 단말기(110, 150)에서 발생하는 통화 요청을 이동 교환국(130, 170)으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110, 150)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122, 162)는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이동 단말기(110, 150)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기지국 전송기(122, 162)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미도시)로부터 기지국 전송기(122, 162)가 위치한 위도와 경도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기지국 전송기(122, 162)의 위치 정보를 순방향 링크 호출 채널의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10, 150)로 전달한다. 이동 단말기(110, 150)는 자신이 속해 있는 셀의 기지국 전송기(122, 162)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10, 150) 자신의 이동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새로운 위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위치 등록은 이동 단말기(110, 150)의 위치, 상태, 식별자, 슬롯 주기 및 그 밖의 다른 특징들을 해당 기지국 전송기(122, 162)를 통하여 이동 교환국(130, 170)에 알리는 처리 절차로서 기지국 전송기(122, 162)가 이동 단말기(110, 150)로 착신호를 설정하고자 할 때 이동 단말기(110, 150)를 효과적으로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이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110, 150)의 위치 등록은 이동 단말기(110, 15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때, 이동 단말기(110, 150)가 이동 교환국(130, 170) 간을 이동할 때, 그리고, 이동 단말기(110, 150)의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경우에 실시된다.
기지국 제어기(124, 164)는 기지국 전송기(122, 162)를 제어하며, 이동 단말기(110, 15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 단말기(110, 150) 및 기지국 전송기(122, 162)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럭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124, 164)는 기지국 전송기(122, 162)를 통하여 수신된 통화 요청 신호를 이동 교환국(130, 170)으로 전달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124, 164)는 위치 등록된 이동 단말기(110, 150)의 가입자 정보를 이동 교환국(130, 170)으로 전송한다.
019 이동 교환국(130) 및 011 이동 교환국(170)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10, 150)가 CID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110, 150)의 통화 요청 신호를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달할 때, 식별자표시 제공서버(140)로부터 이동 단말기(110, 150)가 가입한 이동 통신 업체의 로고나 마크 등을 제공받아 이동 단말기(110, 150)의 발신번호와 함께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해 준다.
또한, 이동 교환국(130, 170)은 무선 기지국(120, 160)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전화망(PSTN)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동 교환국(130, 170)은 무선 기지국(120, 160)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10, 150)의 위치 등록이 수행되면, 이동 교환국(130, 170) 내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이하 'VLR'이라 칭함)(134, 174)에 이동 단말기(110, 150)의 가입자 정보를 임시 저장한 후,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칭함)(132, 172)로 이동 단말기(110, 150)의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
여기서, HLR(132, 172)은 이동 단말기(110, 150)의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에 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가입자의 전화 호를 비롯하여 이동 단말기(110, 150)의 단말기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단말기 고유 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ESN) 및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HLR(132, 172)은 이동 단말기(110, 150)가 위치한 무선 기지국(120, 160)과 이동 교환국(130, 170)의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 교환국(130, 170)은 제어부, 통화로부 및 주변기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 단말기(110, 150)에 대한 과금 자료 수집 기능도 갖는다.
식별자표시 제공서버(140)는 이동 교환국(130, 170)과 연동하여, CID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110, 150)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통화 요청을 발신한 이동 단말기(110, 150)의 가입 통신 업체 로고나 마크를 식별자표시 데이터베이스(142)로부터 읽어와 이동 교환국(130, 170)을 통하여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제공해 준다.
식별자표시 데이터베이스(142)는 019 이동 통신 업체를 비롯한 011, 016, 017, 018 등 다수의 이동 통신 업체의 로고나 마크 등의 이미지 데이터나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도 2는 식별자표시 제공서버(140)의 내부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식별자표시 제공서버(140)는 프로그램 저장부(210), 메모리(220), 제어부(230), 표시부(240), 통신부(250), 데이터베이스 서버(260), 키입력부(270) 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저장부(210)는 CID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110, 150)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통화 요청을 발신한 이동 단말기(110, 150)의 가입 통신 업체 로고나 마크를 식별자표시 데이터베이스(142)로부터 읽어와 이동 교환국(130, 170)으로 전송해 주는 식별자 전송 서비스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위 식별자 전송 서비스 프로그램은 식별자표시 제공서버(140)의 운영 체제(OS)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현할 수 있는데, 예컨대, 'C' 프로그램 언어나 객체 지향형의 'C++', 'Java' 프로그램 언어로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제어부(2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이동 교환국(130, 170)으로부터 수신된 통화 요청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통화 요청 데이터에는 발신측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제어부(230)는 식별자표시 제공서버(140)의 장치 전반을 제어하며, 특히 CID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110, 150)의 통화 요청 데이터를 이동 교환국(130, 170)으로부터 수신한 경우, 통화 요청을 발신한 이동 단말기(110, 150)의 가입 통신 업체 로고나 마크를 식별자표시 데이터베이스(142)로부터 읽어와 이동 교환국(130, 170)으로 전송해 주는 과정을 제어한다.
표시부(240)는 식별자표시 제공서버(14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각종 상황이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며, 식별자 표시 서비스 처리 현황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통신부(250)는 이동 교환국(130, 170)과의 통신을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모듈이다.
데이터베이스 서버(260)는 식별자표시 데이터베이스(142)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26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키입력부(27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식별자표시 데이터베이스(142)에 갱신하여 저장한다. 즉, 관리자가 임의의 이동 통신 업체의 로고나 마크가 바뀐 경우, 바뀐 로고나 마크로 갱신하기 위해 키입력부(270)를 조작하여 갱신 명령을 입력하면, 데이터베이스 서버(260)는 기존의 로고나 마크에 대하여 새로운 로고나 마크로 갱신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서버(260)는 식별자표시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된 이동 통신 업체의 로고나 마크 출력 요구시 식별자표시 데이터베이스(142)로부터 해당 이동 통신 업체의 로고나 마크를 읽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260)는 예컨대, 오라클(Oracle)사의 "Oracle9i DB Release 2" 서버 프로그램이나, 마이크로 소프트(Micro Soft)사의 "MS-SQL 서버 2000"의 서버 프로그램 등으로 식별자표시 제공서버(14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치된다.
키입력부(270)는 관리자가 식별자표시 제공서버(140)의 정보 내용을 수동적으로 새로이 추가하거나 갱신할 때 데이터의 입력을 위해 사용한다. 또한, 프로그램 저장부(210)의 식별자 전송 서비스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경우나, 데이터베이스 서버(260)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경우 데이터 입력을 위해 사용된다.
즉, 위와 같이 구성된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시스템(100)은 CID 서비스가 설정되어 있으며 019 통신 업체에 가입된 011 이동 단말기(150)에서 019 통신 업체에 가입된 019 이동 단말기(110)로 전화를 걸게 될 경우, 011 이동 단말기(150)에서 발신한 통화 요청 신호는 011 무선 기지국(160)을 경유하여 011 이동 교환국(170)으로 전송된다. 이때, 통화 요청 신호는 발신측 전화번호 및 착신측 전화번호 포함하고 있다. 011 이동 교환국(170)은 011 이동 단말기(150)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식별자표시 제공서버(140)로 전달한다. 이에 대하여, 식별자표시 제공서버(140)는 통화 요청 신호를 근거로 011 이동 단말기(150)가 가입한 019 통신 업체의 로고(또는 마크)를 식별자표시 데이터베이스(142)로부터 읽어와 011 이동 교환국(170)으로 전송해 준다. 011 이동 교환국(170)은 통화 요청 신호에 있는 착신측의 전화번호인 019 이동 단말기(110)의 전화번호를 근거로 HLR(171) 또는 VLR(174)에 019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문의한 후, 019 이동 단말기(110) 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011 이동 단말기(150)의 통화 요청 신호와 함께 011 이동 단말기(150)가 가입한 019 통신 업체의 로고(또는 마크)를 착신측인 019 이동 단말기(110)를 관할하는 019 이동 교환국(130)으로 전송해 준다. 019 이동 교환국(130)은 착신측 단말기로서 019 이동 단말기(110)를 확인하고, 발신자 전화번호와 함께 발신자 전화번호가 가입되어 있는 이동 통신 업체의 로고를 019 무선 기지국(120)을 경유하여 019 이동 단말기(110)로 전송해 준다. 이에 따라, 019 이동 단말기(110)는 수신한 발신자 전화번호와 함께 발신자 전화번호가 가입되어 있는 이동 통신 업체의 로고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019 이동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CID 서비스를 통하여 발신자가 누구이며, 발신자가 어느 이동 통신 업체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019 통신 업체에 가입되어 있는 011 이동 단말기(150)를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019 통신 업체에 가입되어 있는 019 이동 단말기(110)를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발신자가 011 이동 단말기(150)를 휴대한 채 어느 일정한 장소에 위치한 경우, 011 이동 단말기(150)는 현재 자신이 위치해 있는 지역을 관할하는 011 무선 기지국(160)에 대하여 위치 등록을 실행한다. 이러한 위치 등록 과정은 당 업계에서 평이하게 알려진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과정은 생략한다.
011 이동 단말기(150)가 011 무선 기지국(160)에 대해 위치 등록이 완료된 상태에서, 011 이동 단말기(150)는 평상시에 전화를 걸거나 걸려온 전화에 대해 통화할 수 있도록 전화 통화 모드로 설정되어 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
물론, 마찬가지로 019 이동 단말기(110)도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역을 관할하는 019 무선 기지국(120)에 대하여 위치 등록을 실행한 후, 전화를 걸거나 걸려온 전화에 대하여 통화할 수 있는 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
발신자는 011 이동 단말기(150)를 조작하여 착신측 이동 단말기인 019 이동 단말기(11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버튼(Send)을 입력하여 019 이동 단말기(110)에 대한 통화를 요청한다.
011 이동 단말기(150)에서 송출된 통화 요청 신호는 011 이동 단말기(150)의 MIN과 발신측 단말기인 019 이동 단말기(110)의 MIN을 포함한 채로 011 무선 기지국(160)을 경유하여 011 이동 교환국(170)로 전송된다(S302).
011 이동 교환국(170)은 011 무선 기지국(160)으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통화 요청 신호를 근거로 HLR(172) 또는 VLR(174)로 착신측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발신측 단말기의 가입 정보를 요청한다(S304).
HLR(172) 또는 VLR(174)에서는 발신측 단말기, 즉, 011 이동 단말기(150)가 어느 이동 통신 업체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는 가입 정보를 검색함과 더불어, 착신측 단말기가 현재 어느 곳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착신측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하여 얻은 위치 정보 및 가입 정보를 011 이동 교환국(170)으로 전송해 준다(S306).
HLR(172) 또는 VLR(174)로부터 위치 정보 및 가입 정보를 수신한 011 이동 교환국(170)은 식별자표시 제공서버(140)로 발신측 단말기의 가입 정보를 전송하여 가입 이동 통신 업체 로고를 요청한다(S308).
식별자표시 제공서버(140)는 011 이동 교환국(170)으로부터 발신측 단말기의 가입 정보를 수신하면, 발신측 단말기의 가입 정보, 예컨대, 019 통신 업체 가입 정보를 근거로, 발신측 단말기가 가입한 019 통신 업체 로고를 식별자표시 데이터베이스(142)로부터 읽어와 011 이동 교환국(170)으로 전송해 준다(S310).
011 이동 교환국(170)은 식별자표시 제공서버(140)로부터 수신한 019 통신 업체 로고와 착신측 단말기에 대한 통화 요청 신호를, 착신측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근거로 019 이동 교환국(130)으로 전송해 준다.
019 이동 교환국(130)은 011 이동 교환국(170)으로부터 수신한 착신측 단말기에 대한 통화 요청 신호를 근거로, 019 통신 업체 로고와 착신 신호를 019 무선 기지국(120)을 경유해 019 이동 단말기(110)로 전송해 준다(S312). 이때의 착신 신호는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포함된 착신 신호이다.
019 이동 단말기(110)는 CID 서비스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019 무선 기지국(120)으로부터 수신한 착신 신호에 따라 착신 벨소리를 출력함과 더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019 통신 업체 로고와 발신측 단말기인 011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019 이동 단말기(110)의 착신자는 011 이동 단말기(150)의 전화번호를 통해 누가 전화를 걸었는지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019 통신 업체 로고를 통하여 발신자가 가입한 이동 통신 업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 게 된다. 이후, 착신자는 019 통신 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함께 제공받는 자로 발신자를 지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통신 식별번호를 통합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이동 통신망에서, 발신자 번호와 함께 발신측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 통신 업체의 로고나 마크 등의 식별자를 동시에 착신측 단말기에 표시해 주는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식별번호를 통합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이동 통신망에서, 발신자가 어느 이동 통신 업체에 가입한 상태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발신자의 가입 이동 통신 업체를 용이하게 파악함으로써, 동일한 이동 통신 업체의 가입자인 경우, 동일 가입자 간의 통신 서비스의 설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이동통신 식별번호를 통합하여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통신망을 통한 무선 전화 통화를 수행함과 더불어, 착신호가 수신될 때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발신측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 통신 업체의 식별자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상기 이동 통신망과 연동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가입한 이동 통신 업체의 식별자와 함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해 주는 식별자 표시 제공 서버; 및
    다수의 이동 통신 업체의 식별자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는 식별자표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이동 통신 업체의 로고나 마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망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입 정보를 상기 식별자 표시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주고, 상기 식 별자 표시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 통신 업체의 식별자를 수신하여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표시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 통신 업체의 식별자가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될 때,
    상기 이동 통신망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화 요청에 대해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교환국;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상기 통화 요청을 상기 이동 교환국으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기지국 전송기; 및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 및 관리하면서 핸드 오프를 포함한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을 수행하며, 위치 등록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상기 이동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기지국 제어기를 경유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시스템.
  5. 삭제
  6. 이동통신 식별번호를 통합하여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으로서,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통화 요청 신호를 근거로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의 가입 이동 통신망의 식별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의 이동 통신망 식별자와 함께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해 주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단계의 통화 요청 신호는,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의 가입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의 가입 이동 통신망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이동 통신망의 로고나 마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030060000A 2003-08-28 2003-08-28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002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0000A KR101002284B1 (ko) 2003-08-28 2003-08-28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0000A KR101002284B1 (ko) 2003-08-28 2003-08-28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999A KR20050022999A (ko) 2005-03-09
KR101002284B1 true KR101002284B1 (ko) 2010-12-20

Family

ID=37230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60000A KR101002284B1 (ko) 2003-08-28 2003-08-28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2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792B1 (ko) * 2004-05-28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신통신망 식별 시스템 및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식별 방법
KR100605530B1 (ko) * 2004-10-05 2006-07-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업자정보표시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100785940B1 (ko) * 2006-08-16 2007-12-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발신 표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567Y1 (ko) * 2002-10-14 2003-02-11 주석화 호 접속신호 수신시 화면에 이미지가 표시되는 기능이내장된 휴대전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567Y1 (ko) * 2002-10-14 2003-02-11 주석화 호 접속신호 수신시 화면에 이미지가 표시되는 기능이내장된 휴대전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999A (ko) 200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6823B2 (en) Location dependent service for mobile telephones
US5987318A (en) Call conference within a home zone
EP116657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eneral information to users in a mobile radio network
US20050202810A1 (en) Mobile and landline connection
KR101002284B1 (ko)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A2330075C (en) Provision of cellular wire-line service
KR100542377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13848A (ko) 착신자 통화 중 부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995477B1 (ko) 식별번호 통합 환경에서의 발신 지역명 표시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100599980B1 (ko) 양방향 sms 메시지 전송을 통한 자동 통화 연결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KR20050075470A (ko) 단문 메시지 발신자 위치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350248B1 (ko) 이동전화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방법
KR200335607Y1 (ko) 식별번호 통합 환경에서의 발신 지역명 표시 서비스 시스템
KR100557136B1 (ko) 서비스 제공자 변경과 무관하게 전화번호 유지 서비스를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06009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해외 로밍정보 자동 알림방법
KR10058432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995476B1 (ko) 식별번호 통합 환경에서의 착신 지역명 표시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200337320Y1 (ko) 식별번호 통합 환경에서의 착신 지역명 표시 서비스 시스템
KR100582726B1 (ko) 무선 공중망과 무선 사설망이 연동된 망에서 단문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120723A (ko) 통신 상태 실시간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U7641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eneral information to users in a mobile radio network
KR100706987B1 (ko) 이동통신망의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번호이동성에 따라발생하는 트래픽을 분석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6780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표시 및 발신 방법
KR100537694B1 (ko) 개인 정보 단말기가 결합된 이동 전화에 하나의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멀티 액세스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20050087603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신 마취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