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1088A -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 관리 및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 관리 및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1088A
KR20040051088A KR1020020078927A KR20020078927A KR20040051088A KR 20040051088 A KR20040051088 A KR 20040051088A KR 1020020078927 A KR1020020078927 A KR 1020020078927A KR 20020078927 A KR20020078927 A KR 20020078927A KR 20040051088 A KR20040051088 A KR 20040051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address book
data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재
길태홍
김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론통신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론통신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론통신기술
Priority to KR102002007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1088A/ko
Publication of KR2004005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088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유/무선 전화기를 통해 교환기를 거쳐 서비스 센터에 접속하거나, 또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센터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을 하고, 자신 및 고객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주소록 정보를 입력하면 서비스 센터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 및 주소록 정보를 동기화 한 후 항목별로 분류하여 서버내 저장수단에 저장한 후, 회원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저장된 주소록 정보로부터 직접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검색된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회원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휴대폰을 이용하여 서비스센터에 접속한 후, 자신의 휴대폰에 저장된 주소록 데이터를 직접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에 저장된 주소록 정보로부터 특정 전화번호를 검색한 후 검색된 전화번호로 즉시 통화를 하거나 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전송기능 또는 음성변환 메시지 전송기능을 이용하여 검색된 전화번호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된 회원 사용자의 주소 정보가 변경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수정하고, 주소록 정보 중에서 회원 사용자가 지정한 곳으로 SMS, 전화, 이메일 중 한 가지 방법으로 변경된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기능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원 사용자의 주소록에 등록된 사람이 서비스 제공자의 회원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기능을 이용하여 등록 회원에게 직접 주소 정보 변경을 통보하는 기능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회원 사용자의 휴대폰이 변경된 경우에는 서버내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던 구 휴대폰의 저장 주소록 데이터 및 기초정보(벨소리, 배경화면 정보 등을 의미하며 이하 "기초정보"라 함)중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 데이터를 유무선 인터넷 전송 방법을 통해 신 휴대폰으로 전송하여 이전 시켜주는 기능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 관리 및 제공 방법{A managing and providing method of personal address information by using wire/wireless communication means}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 관리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일종의 개인비서 서비스(Secretary Call Service)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동통신 이용자와 같은 회원의 개인 주소록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해주고, 이를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검색하여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IT분야의 독보적인 진보를 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1996년 이동통신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이동통신 시장은 괄목할만한 성장을 가져왔다. 그러나 이에 비해 고객환경 서비스에 대한 콘텐츠 개발은 미약한 실정인 게 사실이다.
예를 들면, 보통의 경우 개인들은 친구 및 고객의 전화번호, 주소 등과 같은 주소록 정보를 자신의 휴대폰(cellular phone)이나 PDA 등에 일일이 입력을 하고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주소록에 등재된 전화번호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일일이 관리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비효율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휴대폰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방식과 웹 환경에서 관리하는 데이터 방식이 달라 지금까지 웹과 휴대폰의 데이터를 서로 공유하여 관리한다는 시도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처럼 종래에는 유/무선 통신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검색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지 않았다.
아울러 변경된 전화번호를 SMS로 발송하고, 이기종 단말기간의 전화번호를 이전하거나, 웹으로 개인전화번호를 관리하고, 유/무선을 연동하여, 음성 정보를 검색하는 등의 시스템 기술이 제공되고 있지 않았다.
그리고 유/무선통신 이용자의 주소록을 일원화하여 쉽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의 불편을 해소시키고 필요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도 제공되고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우선 휴대폰에서 사용되는 주소록 데이터 방식과 웹 환경에서 관리하는 주소록 데이터 방식을 동기화 시켜 관리의 일원화 및 이들 상호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토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SCS(Secretary Call Service) 방법을 써서 개인이 관리하고 있는 주소록 및 e-mail 정보 등을 온라인을 이용하여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방식에 의해 등록한 뒤, 유/무선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번호로 전화를 거는 경우 안내원이 전화를 받아 개인이 등록한 정보에 대한 안내뿐 아니라 서비스 사업자가 준비하고 있는 여러 가지 부가정보(Contents)를 one stop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개인 주소록 정보를 관리하고 제공해주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해 휴대폰 내에 저장된 사용자의 주소록 정보를 서비스센터의 서버로 직접 전송받아 데이터 맵핑(Mapping) 한 후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해 서비스 센터의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록 중 선택된 목록을 휴대폰에 저장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SCS 전체 구성 및 서비스 흐름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정보 안내 서비스 절차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낸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데이터 이전 및 백업과정을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교환기 200: Call Center
300: 데이터베이스 서버 400: TTS 시스템
600: 웹 서버 700: WAP/ME 서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 관리 및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는 도 1 에 예시된 바와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유/무선 전화기와 교환기를 통해 서비스 센터에 접속하거나 또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센터에 접속하여(s20) 기존 회원인지 확인해서(s40) 기존 회원이 아니면 회원 가입을 한 뒤(s60), 무선인터넷 기능이 있는 휴대폰을 이용하는지 확인하고(s70) 기존 회원이면 바로 s70 단계를 수행한다. 무선인터넷 기능이 있는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으면, 자신 및 고객(친구, 고객을 포함한 사용자가 관계를 맺고자 하는 대상을 의미하며 이하 "고객"이라 함)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주소록 정보를 입력한다(s80). 서비스 센터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 및 주소록 정보를 동기화 한 후(s100), 서비스센터는 전송된 주소록 데이터를 관련 항목별로 분류하고 데이터 맵핑(Mapping) 한 후 파일 형태로 서버 내 저장수단에 저장한 뒤(s120), 회원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저장된 주소록 정보로부터 직접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회원에게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회원이 무선인터넷 기능이 있는 휴대폰을 이용하면, 휴대폰내에 있는 주소정보를 서버로 직접 전송한 뒤(s75), 상기 단계(s120)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서비스센터는 서버 내 저장수단에 회원 사용자별로 임의 메모리를 할당한 후 상기 저장된 주소록 정보를 항목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함으로써, 추후 회원 사용자 및 회원 사용자가 지정한 고객이 서비스센터에 접속하여 직접 검색하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항목별로 분류된 데이터가 서버 내 저장수단에 저장이 된 뒤, 회원 사용자는 서비스센터에 접속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한다(s140).
회원이 특정 전화번호 검색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회원 사용자는 서버에 저장된 주소록 정보로부터 특정 전화번호를 검색한다(s280). 서비스 센터는 사용자가 검색한 결과를 제공하여(s300), 사용자가 제공받은 전화번호로 즉시 통화하기를 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20). 회원이 즉시 통화하기를 원하면 휴대폰으로 통화하기를 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해서(s330), 휴대폰의 경우 이동통신회사에 호(call)를 연결시켜 휴대폰으로 검색정보를 전송(s340)한다. 그러나 유선 전화를 통해 통화하기를 원하면 서비스 센터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전송기능 또는 음성변환 메시지 전송기능을 이용하여 검색된 유선전화번호로 정보를 전송한 뒤(s360) 종료한다.
만약 상기 단계(s320)에서 회원이 즉시 통화하기를 원하지 않으면 서비스 센터는 회원에게 인터넷을 통해 검색 정보를 전송해준 뒤(s325) 종료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주소록 정보 변경 서비스를 선택한 뒤, 저장된 회원 사용자의 주소록 정보 데이터를 수정하고(s160), 주소록 정보 중에서 회원 사용자가 지정한 곳으로 SMS, 전화, 이메일 중 한 가지 전송방법을 선택하여(s180) 선택된 방법으로 변경된 주소록 정보를 전송한 뒤(s200) 종료한다.
만약 회원 사용자가 상기 단계(s140)에서 휴대폰 변경 서비스를 선택하면, 서버 내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던 구 휴대폰의 저장 주소록 데이터 및 기초정보(벨소리, 배경화면 정보 등을 의미하며 이하 "기초정보"라 함)중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 데이터를 선택하여(s220) 유/무선 인터넷 전송 방법을 통해 신 휴대폰으로 선택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이전시켜준 뒤(s240) 종료한다.
한편, 서비스센터가 입력되거나 전송받은 주소록 데이터를 관련 항목별로 분류하고 데이터 맵핑(Mapping) 한 후 파일 형태로 서버 내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s120)는 도 2 에 예시된 바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휴대폰으로부터 전송된 주소록 데이터에 고유 파일명, 휴대폰 번호, 휴대폰 기기명, 전송일자 및 시간, 파일 크기를 포함하는 항목을 부여한 후 저장한 다음 파일 리스트를 보여준다(s121). 이후 상기 파일 리스트에서 파일을 선택하고(s122), 오픈하여(s123), 파일 헤더정보(단말기 주소록 필드 정보)를 읽어들인 뒤(s124), 파일 헤더에서 읽어온 정보로 주소록 맵을 위한 단말기 주소록 필드와 웹 주소록 데이터베이스 필드를 구성하고, 주소록 관리를 위해 서비스센터내 서버에 지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관리항목 필드와 상기 헤더정보로부터 읽어들인 휴대폰의 주소록 필드가 일치되도록 웹 주소록 필드와 단말기 주소록 필드를 맵핑한다(s125).
그리고 맵핑된 필드에 대해 상기 저장된 파일로부터 데이터값을 읽어들여 데이터 맵을 임포팅(Importing)한다(s126) 이후 데이터 임포팅 진행상황을 표시하고(s127), 롤백(Roll Back) 즉 임포트 이전 상태로 되돌린다(s128). 이후 임포트 처리 내역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확인 버튼을 누르고(s129), 임포트 이전 상태로 복구(Roll Back)하기 위해서는 취소버튼을 누르면 된다(s130).
도 3 은 서비스 센터의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록 가운데 선택된 목록을 휴대폰에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첫째, 대상 단말기 모델을 검색하고, 둘째, 단말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단말기 정보를 검색한 뒤, 셋째, 검색 결과를 화면으로 출력한다. 넷째, 모델명을 선택하고, 다섯째, 테이블명을 설정하고, 여섯째, 레코드를 선택한 뒤, 일곱째, 서버에서 선택한 레코드를 휴대폰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첫째 내지 여섯째 단계는 웹에서 일어나는 작업으로서 서버가 수행한다. 그리고 일곱째 단계는 휴대폰에서 수행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유/무선 통신 방법을 통해 개인 주소록 정보를 관리하고 제공해주는 방법의 일 실시예로서, 기존의 전화번호 안내시스템인 114 시스템의 변형 시스템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의 전화번호 주소록 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어디에서나 직접 문의 또는 검색이 가능하고, 휴대폰과의 데이터 호환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로는, 전화번호와 같은 주소록 정보 이외에 회원 사용자가 요구하는 생활정보(예를 들어 음식점 정보, 지도 정보, 광고 정보, 교통 정보 등)도 함께 제공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SCS 시스템은 개인이 관리하고 있는 주소록 및 e-mail 등의 정보를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등록기능에 의하여 개인이 등록한 서비스 사업자가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 정보와 더불어 서비스 사업자가 준비한 부가정보(전화번호정보)를 전화 연결시 자동 검색하여 전화 연결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직접 연결을, 안내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식과 상기 방식을 실현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의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이 관리하고 있는 정보를 등록하면 서비스 사업자는 이 정보와 부가정보(전화번호정보)를 편집/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둘째, 안내를 원하는 가입자가 있으면 필요한 정보에 대하여 TTS(Text to Speech) 응답, 직접연결 방법을 해당 가입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SCS(개인정보 안내) 시스템의 전체 구성 및 서비스 흐름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개인정보 안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환기(100)는 음성 전화를 이용하여 특정 번호로 들어오는 사용자 접속을 순서에 맞게 Call Center(200)의 안내원에게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Call Center(200)는 다수의 안내원이 모여 개인 정보 서비스를 제공해주는곳이다. 안내원들은 교환기(100)를 통해 들어온 사용자 전화를 받아 사용자 요청에 따른 정보(개인정보, 사업자 제공 부가정보)를 안내 단말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로부터 검색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해당 내용을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개인 정보 안내가 요청되는 경우 TTS 시스템(400)을 이용하여 해당 내용을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개인 전화번호로 직접 연결하기를 요구할 경우 교환기(100)의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를 연결시켜주는 것이 본 발명의 직접 연결 시스템이다.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는, 개인사용자의 개인등록정보나 사업자의 부가정보(전화번호정보)를 가공하여 저장하고 있고, 안내원 단말 프로그램에서 요청한 정보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안내 단말에게 제공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안내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다. 고객이 유/무선 음성 전화를 이용하여 특정 번호를 통해 안내원에게 연결을 요청하면, 안내원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임을 확인하는 절차를 밟고, 안내원에게 특정 정보를 요청하면, 안내원은 안내 단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통해 검색한 뒤, 검색된 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이때 검색된 정보가 전화번호인 경우에 사용자가 해당 번호로 연결을 요구하면그 번호로 직접 전화를 연결하여 주고, 요청한 정보가 개인정보인 경우에는 TTS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개인 정보를 안내한다.
이때 개인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WEB 서버(600)는, 고객에게 웹 접속이 가능한 다양한 단말기(노트북, 데스크탑, PDA 등)를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정보를 검색하여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모든 개인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다.
WAP/ME 서버(700)는 고객이 휴대폰의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정보를 검색하여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모든 자료는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모든 개인 정보는 웹 서버(600)나 WAP/ME 서버(70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 가공하여 저장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는 인터넷 연결을 지원하는 형태로 구축된다.
사용자가 등록하거나 수정한 개인 정보를 다른 사람에게 통보하기 원하는 경우 SMS/e-mail 서버(800)를 통해 해당 변경사항을 통보해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입력방법을 나타낸다. 처음에 휴대폰의 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하거나 유선 인터넷의 경우 웹 브라우저를 통해 해당 사이트로 접속하고, ID와 패스워드 입력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임을 확인한다. 그리고 개인정보를 등록/검색/수정/삭제한다.
이후 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예로서 Outlook Express)과 주소록을 동기화하고, 휴대폰 주소록과 동기화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을 SMS를 통해 해당 일자에 사용자에게 통보하며, 주소록에 등록된 사람에게 SMS나 e-mail을 통해 변경된 전화번호를 고객의 설정에 의해 통보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고객은 고객의 개인정보를 직접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데이터 이전 및 백업과정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SCS 시스템에서는 구형단말기를 새로운 단말기로 교체하는 경우 벨소리, 배경화면, 전화번호 등의 각종 단말기 데이터를 교체단말기로 이전하거나, 백업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리점이나 서비스 센터를 방문한 고객이 단말기를 구매하거나 교체한 뒤 단말기 데이터의 이전을 요청하고, 구형 단말기의 이전할 데이터를 선택한다. 그러면 단말기 대리점은 SCS의 단말기 대 단말기 데이터 전송기능을 이용하여 구현 단말기의 데이터를 신규 단말기로 이전한다. 이후 고객은 단말기 데이터가 정확하게 이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대리점은 고객의 요청시 이전된 데이터를 파일로 저장하여 제공한다.
하지만 고객이 SCS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회원가입을 하고 직접 데이터를 갱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원가입한 뒤 서비스 받을 항목(예를 들어, 개인주소록 관리 서비스, 전화번호 변경시 SMS 알림 서비스 등)을 선택하고, 개인주소록을 등록 또는 관리한다.
주소록에 등록된 전화번호 가운데 원하는 번호를 선택하여 SMS로 전화번호 변경안내 서비스 신청을 하면, 전화번호 변경시 자동으로 변경된 전화번호를 서비스 신청한 번호로 SMS를 이용해 자동 발송한다.
SCS 서비스는 유료 및 무료 서비스가 가능하고, 웹 상에서 PIM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 전화번호, 위치정보(GIS) 검색 서비스를 포함한다.
이제 SCS 무선데이터 백업 및 전화번호 검색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서비스의 주체는 고객과 서비스 사업자가 된다. 먼저 고객이 SCS 서비스 신청을 한 뒤, 무선 또는 유선으로 단말기의 데이터를 백업받는다. 단말기의 저장용량이 한계를 넘어선 경우 삭제한다. 그러나 SCS에서는 해당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다.
SCS에 저장된 번호를 무선 인터넷(음성)으로 검색하고, 통화버튼을 눌러 검색된 번호로 전화를 건다. 그리고 SCS에 저장된 전화번호는 무선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관리(등록, 수정, 삭제)한다.
이때 SCS 시스템은 전화번호 저장용 데이터베이스, 전화번호 검색엔진, 음성인식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유/무선을 동기화하여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위해서는 고객은 SCS 서비스 신청을 하고, 무선 또는 유선으로 단말기의 데이터를 백업한다. 무선 또는 유선으로 주소록의 데이터를 관리(등록, 수정, 삭제)하고, 단말기의 저장용량이 한계를 넘어선 경우 삭제한다. 이때도 SCS에서는 지워지지 않는다.
SCS에 저장된 번호를 무선(음성) 또는 유선(웹)으로 검색하고, 무선의 경우 통화버튼을 눌러 검색된 번호로 전화를 하며 웹의 경우 SMS 전송기능을 수행하고,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베시지를 전송한다.
전화번호 변경시 SMS 자동전송 서비스를 요청하고, 전화번호 변경시 SMS 자동전송을 할 대상을 선택(웹 또는 무선)한다. 그러면 전화번호 변경시 SMS 자동전송을 한다.
이제 SCS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고객이 서비스 사업자인 KOIS에게 SCS 서비스를 신청하고, 고객이 관리하고자 하는 개인전화번호부를 작성하여 서비스 사업자에게 제출한다.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개인이 직접 관리할 수도 있다.
고객이 신청한 개인전화번호부를 KOIS 담당자가 시스템에 등록하고, 고객이 서비스를 받기위해 114에 전화를 하면, 콜센터의 상담원이 전화를 받아 음성인식 시스템으로 호전환을 하고, 고객이 원하는 전화번호를 음성인식 시스템이 판독을 하여 원하는 번호로 전화를 연결하고, 홈페이지와 연계하여 고객이 전화번호를 관리(등록, 수정, 삭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무선 통신 방법을 통해 개인 주소록 정보를 관리하고 제공해주는 방법을 이용하면 다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휴대폰에서 사용되는 주소록 데이터 방식과 웹 환경에서 관리하는 주소록 데이터 방식을 동기화시킴으로써 데이터 관리를 일원화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어느 곳에서나 다양한 방법으로 서비스센터에 접속하기만 하면 찾고자 하는 주소록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도 있으며, 자신의 휴대폰에 저장된 주소록 데이터와 서비스센터에서 관리되고 있는 주소록 데이터를 일원화 하여 상호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고객의 욕구에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는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셋째, 이동통신기기의 분실, 고장 등의 이유로 인한 핸드폰 교체시 사용중인 핸드폰의 각종 데이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백업 및 전송할 수 있다.
넷째, 웹으로 개인 주소록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다섯째, 이동통신기기에서 음성인식으로 쉽고 빠르게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여섯째, 유무선 연동으로 가입자 전화번호 정보의 통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3)

  1. 유/무선 전화기와 교환기를 통해 서비스 센터에 접속하거나 또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센터에 접속하는 단계;
    기존 회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기존 회원이 아니면 회원 가입을 하여 다시 기존 회원임을 확인하는 단계;
    기존 회원임이 확인되면 무선인터넷 기능이 있는 휴대폰을 이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무선인터넷 기능이 있는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으면, 자신 및 고객(친구, 고객을 포함한 사용자가 관계를 맺고자 하는 대상을 의미하며 이하 "고객"이라 함)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주소록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주소록 정보가 입력되면 서비스 센터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 및 주소록 정보를 동기화 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무선인터넷 기능이 있는 휴대폰을 사용하면, 휴대폰내에 있는 주소정보를 서버로 직접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가 완료되거나 상기 휴대폰내에 있는 주소정보를 서버로 직접 전송한 경우, 서비스센터는 전송된 주소록 데이터를 관련 항목별로 분류하고 데이터 맵핑(Mapping) 한 후 파일 형태로 서버 내 저장수단에 저장하여 회원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저장된 주소록 정보로부터 직접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회원에게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항목별로 분류된 데이터가 서버 내 저장수단에 저장이 된 뒤, 회원 사용자는 서비스센터에 접속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
    회원이 특정 전화번호 검색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회원 사용자는 서버에 저장된 주소록 정보로부터 특정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서비스 센터는 사용자가 검색한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센터로부터 제공받은 전화번호로 즉시 통화하기를 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회원이 즉시 통화하기를 원하면 휴대폰과 유선전화 가운데 어느 것으로 통화하기를 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휴대폰으로 통화하기를 원하는 경우 이동통신회사에 호(call)를 연결시켜 휴대폰으로 검색정보를 전송하고 종료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유선전화를 통해 통화하기를 원하면 서비스 센터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전송기능 또는 음성변환 메시지 전송기능을 이용하여 검색된 유선전화번호로 정보를 전송한 뒤 종료하는 단계;
    만약 상기 확인 결과 회원이 즉시 통화하기를 원하지 않으면 서비스 센터는 회원에게 인터넷을 통해 검색 정보를 전송해준 뒤 종료하는 단계;
    만약 회원이 주소록 정보 변경 서비스를 원하면 주소록 정보 변경 서비스를 선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회원 사용자의 주소록 정보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
    상기 수정된 주소록 정보 중에서 회원 사용자가 지정한 곳으로 변경된 주소록 정보를 보내기 위해 회원이 SMS, 전화, 이메일 중 한 가지 전송방법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방법으로 변경된 주소록 정보를 전송한 뒤 종료하는 단계;
    만약 회원 사용자가 휴대폰 변경 서비스를 원하면, 서버 내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던 구 휴대폰의 저장 주소록 데이터 및 기초정보(벨소리, 배경화면 정보 등을 의미하며 이하 "기초정보"라 함)중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유/무선 인터넷 전송 방법을 통해 신 휴대폰으로 상기 선택한 항목 데이터를 전송하여 이전시켜준 뒤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 관리 및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센터가 입력되거나 전송받은 주소록 데이터를 관련 항목별로 분류하고 데이터 맵핑(Mapping) 한 후 파일 형태로 서버 내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는,
    휴대폰으로부터 전송된 주소록 데이터에 고유 파일명, 휴대폰 번호, 휴대폰 기기명, 전송일자 및 시간, 파일 크기를 포함하는 항목을 부여한 후 저장한 다음 파일 리스트를 보여주는 단계;
    상기 파일 리스트에서 파일을 선택하고, 오픈하여, 파일 헤더정보(단말기 주소록 필드 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
    파일 헤더에서 상기 읽어온 정보로 주소록 맵을 위한 단말기 주소록 필드와 웹 주소록 데이터베이스 필드를 구성하고, 주소록 관리를 위해 서비스센터내 서버에 지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관리항목 필드와 상기 헤더정보로부터 읽어들인 휴대폰의 주소록 필드가 일치되도록 웹 주소록 필드와 단말기 주소록 필드를 맵핑하는 단계;
    상기 맵핑된 필드에 대해 상기 저장된 파일로부터 데이터값을 읽어들여 데이터 맵을 임포팅(Importing)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임포팅 진행상황을 표시하는 단계;
    롤백(Roll Back) 상태로 되돌리는 단계; 및
    상기 임포트 처리 내역을 저장하기 원하는 경우 확인 버튼을 누르고, 임포트 이전 상태로 복구(Roll Back)하기 원하는 경우 취소버튼을 누르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는,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 관리 및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서비스센터는 서버 내 저장수단에 회원 사용자별로 임의 메모리를 할당한 후 상기 저장된 주소록 정보를 항목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함으로써, 추후 회원 사용자 및 회원 사용자가 지정한 고객이 서비스센터에 접속하여 직접 검색하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는,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 관리 및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전화번호 주소록 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어디에서나 직접 문의 또는 검색이 가능하고, 휴대폰과의 데이터 호환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 특징인,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 관리 및 제공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주소록 정보 이외에 음식점 정보, 지도 정보, 광고 정보,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사용자가 요구하는 생활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 관리 및 제공 방법.
  6.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를 관리 및 제공하기 위한 SCS 시스템 운영방법에 있어서,
    개인이 관리하고 있는 주소록 및 e-mail을 포함한 개인 정보를 등록하면 서비스 사업자는 이 정보와 부가정보인 전화번호정보를 편집/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정보와 더불어 서비스 사업자가 준비한 부가정보인 전화번호정보의 안내를 원하는 가입자가 있으면 해당 정보를 전화 연결시 자동 검색하여 전화 연결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직접 연결을, 안내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식과 상기 방식을 실현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SCS시스템 운영방법.
  7.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를 관리 및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센터의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록 가운데 선택된 목록을 휴대폰에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웹에서 서버에 접속해 대상 단말기 모델을 검색하는 단계;
    서버가 제공하는 단말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검색된 모델에 해당하는 단말기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모델명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모델명에 해당하는 테이블명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에서 원하는 레코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선택한 레코드를 휴대폰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센터의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록 가운데 선택된 목록을 휴대폰에 저장하는 방법.
  8.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를 관리 및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인정보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안내원이 모여 개인 정보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Call Center;
    음성 전화를 이용하여 특정 번호로 들어오는 사용자 접속을 순서에 맞게 상기 Call Center의 안내원에게 연결시켜주는 교환기;
    안내원들은 상기 교환기를 통해 들어온 사용자 전화를 받아 사용자 요청에 따른 정보(개인정보, 사업자 제공 부가정보)를 안내 단말 프로그램을 통해 검색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해당 내용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개인 정보 안내가 요청되는 경우 해당 내용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해 사용되는 TTS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개인 전화번호로 직접 연결하기를 요구할 경우 상기 교환기의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를 연결시켜주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개인사용자의 개인등록정보나 사업자의 부가정보(전화번호정보)를 가공하여 저장하고 있고, 안내원 단말 프로그램에서 요청한 정보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안내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S(개인정보 안내) 시스템.
  9.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를 관리 및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인정보 안내 방법에 있어서,
    고객이 유/무선 음성 전화를 이용하여 특정 번호를 통해 안내원에게 연결을 요청하면, 안내원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임을 확인하는 단계;
    안내원에게 특정 정보를 요청하면, 안내원은 안내 단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통해 검색한 뒤, 검색된 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정보가 전화번호인 경우에 사용자가 해당 번호로 연결을 요구하면 해당 번호로 직접 전화를 연결하여 주고, 요청한 정보가 개인정보인 경우에는 TTS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개인 정보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개인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시스템은, WEB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WAP/ME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웹 서버는 고객에게 웹 접속이 가능한 다양한 단말기(노트북, 데스크탑, PDA가 포함됨)를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정보를 검색하여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모든 개인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WAP/ME 서버는 고객이 휴대폰의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정보를 검색하여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모든 자료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모든 개인 정보는 웹 서버나 WAP/ME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가공하여 저장되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인터넷 연결을 지원하며, 사용자가 등록하거나 수정한 개인 정보를 다른 사람에게 통보하기 원하는 경우 SMS/e-mail 서버를 통해 해당 변경사항을 통보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안내 방법.
  10.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를 관리하고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인정보 입력방법에 있어서,
    휴대폰의 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하거나 유선 인터넷의 경우 웹 브라우저를 통해 해당 사이트로 접속하는 단계;
    ID와 패스워드 입력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임을 확인하는 단계;
    등록된 사용자임이 확인되면 개인정보를 등록/검색/수정/삭제하는 단계;
    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주소록 및 휴대폰 주소록을 동기화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을 SMS를 통해 해당 일자에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주소록에 등록된 사람에게는 SMS나 e-mail을 통해 변경된 전화번호를 고객의 설정에 의해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고객은 자신의 개인정보를 직접 수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특징인, 개인정보 입력방법.
  11.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를 관리하고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기 데이터 이전 및 백업하는 SCS 서비스에 있어서 구형단말기를 새로운 단말기로 교체하는 경우 벨소리, 배경화면, 전화번호를 포함한 각종 단말기 데이터를 교체단말기로 이전하거나, 백업하기 위해,
    대리점이나 서비스 센터를 방문한 고객이 단말기를 구매하거나 교체한 뒤 단말기 데이터의 이전을 요청하는 단계;
    구형 단말기의 이전할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에 따라 단말기 대리점은 SCS의 단말기 대 단말기 데이터 전송기능을 이용하여 구현 단말기의 데이터를 신규 단말기로 이전하는 단계;
    고객은 단말기 데이터가 정확하게 이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대리점은고객의 요청 시 이전된 데이터를 파일로 저장하여 제공하는 단계;
    고객이 SCS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회원가입을 하고 직접 데이터를 갱신하기를 원하는 경우, 회원가입한 뒤 서비스 받을 항목을 선택하고, 개인주소록을 등록 또는 관리하는 단계;
    고객이 주소록에 등록된 전화번호 가운데 원하는 번호를 선택하여 SMS로 전화번호 변경안내 서비스 신청을 하는 단계;
    상기 신청에 따라 전화번호 변경 시 자동으로 변경된 전화번호를 서비스 신청한 번호로 SMS를 이용해 자동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SCS 서비스는 유료 및 무료 서비스가 가능하고, 웹 상에서 PIM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 전화번호, 위치정보(GIS) 검색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단말기 데이터 이전 및 백업방법.
  12.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를 관리하고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기 데이터를 무선을 이용하여 이전 및 백업하는 SCS 서비스에 있어서 구형단말기를 새로운 단말기로 교체하는 경우 벨소리, 배경화면, 전화번호를 포함한 각종 단말기 데이터를 교체단말기로 이전하거나, 백업하기 위해,
    고객이 SCS 서비스 신청을 하는 단계;
    상기 신청에 따라 무선 또는 유선으로 단말기의 데이터를 백업받는 단계;
    SCS에 저장된 번호를 무선 인터넷(음성)으로 검색하고, 통화버튼을 눌러 검색된 번호로 전화를 거는 단계; 및
    SCS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무선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관리(등록, 수정, 삭제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SCS 시스템은 전화번호 저장용 데이터베이스, 전화번호 검색엔진, 음성인식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인, 단말기 데이터 이전 및 백업방법.
  13.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를 관리하고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무선을 동기화하여 연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고객이 SCS 서비스 신청을 하는 단계;
    무선 또는 유선으로 단말기의 데이터를 백업하는 단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주소록의 데이터를 관리(등록, 수정, 삭제 포함)하는 단계;
    SCS에 저장된 번호를 무선(음성) 또는 유선(웹)으로 검색하고, 무선의 경우 통화버튼을 눌러 검색된 번호로 전화를 하며 웹의 경우 SMS 전송기능을 수행하고,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베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전화번호 변경시 SMS 자동전송 서비스를 요청하고, 전화번호 변경시 SMS 자동전송을 할 대상을 선택(웹 또는 무선)하고 전화번호 변경시 SMS 자동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는, 유/무선을 동기화하여 연동하는 방법.
KR1020020078927A 2002-12-11 2002-12-11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 관리 및 제공방법 KR200400510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927A KR20040051088A (ko) 2002-12-11 2002-12-11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 관리 및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927A KR20040051088A (ko) 2002-12-11 2002-12-11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 관리 및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088A true KR20040051088A (ko) 2004-06-18

Family

ID=37345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927A KR20040051088A (ko) 2002-12-11 2002-12-11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 관리 및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1088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7143A1 (en) * 2005-03-09 2006-10-12 E-Infra Networks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using icon
KR100691808B1 (ko) * 2004-11-19 2007-03-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동적 개인정보 관리방법
KR100696824B1 (ko) * 2005-07-28 2007-03-19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통합 자동 싱크 방법
KR100816640B1 (ko) * 2006-03-14 2008-03-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폰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819154B1 (ko) * 2006-11-07 2008-04-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망에서의 실시간 주소록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KR100833599B1 (ko) * 2006-12-13 2008-05-30 주식회사 엠티오메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백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05767B1 (ko) * 2005-05-25 2012-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20160018254A (ko) 2014-08-08 2016-02-17 주식회사 케이티 대표 전화 번호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는 단체 주소록 관리 장치, 단체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단체 주소록 관리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808B1 (ko) * 2004-11-19 2007-03-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동적 개인정보 관리방법
WO2006107143A1 (en) * 2005-03-09 2006-10-12 E-Infra Networks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using icon
KR100863296B1 (ko) * 2005-03-09 2008-10-15 (주)이인프라네트웍스 아이콘을 이용한 통신 장치와 통신방법
KR101105767B1 (ko) * 2005-05-25 2012-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0696824B1 (ko) * 2005-07-28 2007-03-19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통합 자동 싱크 방법
KR100816640B1 (ko) * 2006-03-14 2008-03-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폰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819154B1 (ko) * 2006-11-07 2008-04-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망에서의 실시간 주소록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KR100833599B1 (ko) * 2006-12-13 2008-05-30 주식회사 엠티오메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백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18254A (ko) 2014-08-08 2016-02-17 주식회사 케이티 대표 전화 번호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는 단체 주소록 관리 장치, 단체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단체 주소록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82407B2 (ja) ユーザ通信装置および電子メールの送信または受信を制御する方法
CN1729468B (zh) 数据同步
CN1998224A (zh) 高级联络识别系统
KR100732560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06501713A (ja) 移動局に関連する情報の問合せと配送方法
KR20000054371A (ko)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KR100775567B1 (ko) 주소록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4672246B2 (ja) 携帯端末、及び電話帳管理システム
KR100603939B1 (ko)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번호 소유자 정보를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40051088A (ko)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 관리 및 제공방법
JP3678660B2 (ja)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3229957A (ja) 端末情報管理方法
JP7003318B2 (ja) 情報管理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
JP4667148B2 (ja)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アドレス帳管理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598978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US20090271440A1 (en) Personal Address Book Communication Service
JP2002268970A (ja) アクセス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提供装置
KR10092537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주소록을 이용한 오픈 다이어리 서비스를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00136B1 (ko) 개인 커뮤니티 정보 관리 방법
KR20010035314A (ko) 인터넷을 이용한 명함의 송·수신 및 통합관리 시스템.
KR101531309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통화 종료 후의 서비스 제공방법
KR100420551B1 (ko)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호스트 시스템 간의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JP2013051642A (ja)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4070726B2 (ja) 情報中継システム及びこの情報中継伝達システムを介して情報を送受するユーザ端末機に使用するプログラム
KR100467175B1 (ko) 개인용 전화통화 녹취 및 음성 기록 녹취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