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4371A -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4371A
KR20000054371A KR1020000030494A KR20000030494A KR20000054371A KR 20000054371 A KR20000054371 A KR 20000054371A KR 1020000030494 A KR1020000030494 A KR 1020000030494A KR 20000030494 A KR20000030494 A KR 20000030494A KR 20000054371 A KR20000054371 A KR 20000054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data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승한
송승준
Original Assignee
송승한
송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승한, 송승준 filed Critical 송승한
Priority to KR1020000030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4371A/ko
Publication of KR20000054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371A/ko
Priority to AU44828/01A priority patent/AU4482801A/en
Priority to US13/445,870 priority patent/USRE45392E1/en
Priority to JP2001576702A priority patent/JP4311903B2/ja
Priority to PCT/KR2001/000570 priority patent/WO2001080580A1/en
Priority to US10/240,779 priority patent/US7698313B2/en
Priority to KR10-2001-0017839A priority patent/KR100438757B1/ko
Priority to CNB018076378A priority patent/CN1271870C/zh

Link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관리수단을 통해 정보데이터를 추가, 갱신, 삭제, 검색하도록 하여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본인의 개인정보를 통상의 명함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기지국과 인터넷망을 통해서 알릴 수 있는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① 유선인터넷일 경우, 개인의 컴퓨터(50)에서 인터넷망(60)을 경유하여 CGI(110 ; Common Gateway Ineterface)로 서버(100)의 DBMS(120)에 도달한다. 무선인터넷일 경우는 개인휴대통신기에서 중계부(40)를 경우하여 CGI(110)를 통해 서버(100)의 DBMS(120)에 도달한다. ② 이후 본인의 ID(계정 ; Identification)를 포함한 멀티미디어(사진, 화상, 동화상 포함) 정보데이터를 정보관리수단(70)을 통해 DBMS(120)에 생성 / 기록한다. 이렇게 기록되어진 본인의 ID 및 신상 정보 레코드는 같은 방식으로 입력되는 타인의 데이터 레코드와 데이터 관계를 설정하는데 사용되게 된다. ③ 타인의 데이터 레코드와의 관계설정을 위한 명령은 본인의 이동통신단말기(10)를 통하여 요청된다. ④ 이러한 요청으로 서버(100)의 데이터 베이스에 관계설정이 기록되면, 본인의 정보데이터는 서버(100)로부터 기지국(30)을 통해 무선으로 전송되어 타인의 이동통신단말기(20)의 데이터 저장장치에 저장된다. 타인의 정보데이터 역시 서버로부터 기지국(30)을 통해 송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에 저장된다. ⑤ 이러한 결과물의 데이터 베이스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관리될 수 있다. ⑥ 또한 데이터 베이스에서 관계레코드의 입력일시와 신상 정보의 입력일시를 비교하여 요청시 또는 주기적으로 새로운 신상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제공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보관리시스템은 본인의 개인정보를 통상의 명함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서 송수신하여 관리할 수 있고, 또한 타인의 변경된 신상 정보를 본인이 직접 재입력하지 않고도 관리할 수 있어 기존의 개인정보관리(PIMS)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IMS using PDAs mobile telephone pagers wire and wireless internet and DBMS}
본 발명은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인터넷에 적용 가능한 정보관리수단을 활용하여, 개개인들의 신상 정보 및 홍보용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 대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이동통신단말기 대 웹사이트 간에 서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정보의 입력 및 관리에 있어서의 효율성을 부여한 개인정보관리시스템(PIMS :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보급이 대중화되고 있으며, 컴퓨터를 통한 인터넷의 사용자 증가로 인하여, 비즈니스와 커뮤니티 상에서 개인과 사업 내용을 자유롭고 광범위하게 알리는 개인 정보의 공유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정보 통신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정보화 사회를 맞이하면서 개인의 사회, 경제 활동이 점차 증가하고 산업활동에서 정보 전달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언제나,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정보를 교환하고자 하는 개인의 욕구가 증가하고 개인화, 휴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개인휴대통신장치는 PDAs(Personal Data Assistants)와, 페이저(pagers), 휴대폰, 핸드폰, 디지털 PCS 등의 이동통신단말기과 같이 개인들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장비이다.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사용자의 편리를 위하여 여러 가지 기능이 있는데, 최근에는 인터넷과 접속되어 날씨, 뉴스, 학습, 생활, 경제, 또는 증권 등의 여러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한편, 통상의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전화번호와 이에 대응하는 사람의 이름을 등록하여 이들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이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라 칭함)를 통해서 인터넷과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끼리 메시지 또는 전화번호를 주고받을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를 증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SMS는 디지털 이동통신의 가입자가 메시지를 한글 또는 영어로 다른 사람에게 보내면 공중전화망이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해 메시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SMS 기술은 단순히 문자만을 주고받는 형태이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한정된 저장공간에 개개인들의 전화번호, 이름 이외에 다른 개인정보, 예컨대 주소, 성별, 이메일(E-mail), 팩스번호 등을 모두 저장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이동통신단말기는 인터넷 또는 PC 통신을 통해서 개인정보를 DB(Data Base)화한 명함관리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아 명함 정보데이터가 저장 / 생성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터넷 또는 PC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로의 명함 정보데이터 전송방식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직접 데이터를 수정해서 인터넷의 명함관리시스템에 전송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이동통신단말기끼리 서로의 개인 정보를 주고 이를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이 아직까지 개발되고 있지 않아 개개인들이 필요에 따라 송신된 전화번호에 대한 개인의 신상 정보를 직접 입력 및 이를 관리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갱신되는 정보 또는 휴대폰 교체시의 정보를 다시 입력 해야 되거나, 그때마다, 인터넷 또는 PC 통신망에 접속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개인의 신상 정보가 변경되었을 경우 변경된 신상 정보를 개별적으로 통보하여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멀티미디어의 발달로 대부분의 개인용 컴퓨터 및 이동통신단말기에서도 음성 및 화상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나, 기존의 명함관리시스템은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였다.
또한 기존의 인터넷 또는 PC서버는 로긴과정을 거쳐야 자신의 계정에 접속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인의 신상 정보(사진, 음성, 동화상 정보포함)가 기록된 서버상의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이하,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에서 개인의 신상 정보가 담긴 레코드를 정보의 교환을 원하는 다른 사용자의 레코드와 관계를 설정한 후, 양측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이러한 결과로서의 신상 정보를 전송 저장하고, 정보관리수단을 통해 정보데이터를 추가, 갱신, 삭제, 검색하도록 하여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본인의 개인정보를 통상의 명함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기지국과 인터넷망을 통해서 알릴 수 있는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버의 DBMS에 본인의 신상 정보를 변경하면 다른 사용자에게 바로 본인의 신상 정보의 변경상태를 알리고 환경설정 값에 따라 선별적으로 갱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개인휴대통신의 구동시에 비밀번호 입력등으로 사용허가를 받았다면 무선인터넷 사용시에 기지국에 수신된 식별전화번호를 사용하여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로긴(login)과정없이 유무선 인터넷을 활용하여 서버의 자신의 계정에 접속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기능 및 이를 지원하는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DBMS)과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시스템으로부터 개개인의 신상 정보가 상호 이동통신단말기에 동시에 전송되는 상황을 데이터의 흐름을 간략하게 표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DBMS)을 구성하는 주요 데이터 베이스(DB)의 주요 필드에 대한 개요도.
도 5는 개인의 컴퓨터 및 개인휴대통신장치에서 정보관리수단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인의 이동통신단말기
13 : 명령을 전송하는 소정의 부호
15 : 적외선등 외부포트을 통해 교신
20 : 타인의 이동통신단말기
22 :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기억장치
30 : 기지국
32 : 데이터송수신수단
34 : 메시지송수신수단
40 : 중계부
50 : 개인의 컴퓨터
60 : 인터넷망
70 : 정보관리수단
71 : 개인의 컴퓨터에서 내 주소록 보기 폼의 예
72 : 개인의 컴퓨터에서 개인정보 수정 폼의 예
73 : 개인의 컴퓨터에서 타인정보 편집 폼의 예
74 : 개인의 컴퓨터에서 환경설정시 자동응신 선택의 예
75 : 개인휴대통신장치에서의 각종 정보관리수단의 예
100 : 서버
110 : CGI
120 : DBMS(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
130 : Main DB
131 : Main DB의 갱신일시(date) 필드
132 : Main DB의 레코드
134 : 수신자의 식별전화번호
135 : 송신자의 식별전화번호
136 : 수신자 ID (P.K. ; Primary Key)
137 : 송신자 ID
140 : 관계 DB
141 : 관계 DB의 일시(date) 필드
142 : 관계 DB의 레코드
150 : 추가 DB
152 : 추가 DB의 레코드
160 : 사용자 DB
162 : 사용자 DB의 레코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기억장치에 개개인의 신상과 개인의 활동에 대한 소개를 할 수 있는 정보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서, 기지국과 인터넷망에 연결된 서버를 구비하되,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서 새롭고 갱신된 정보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 / 관리하도록, 데이터송수신수단, 메시지송수신수단, 정보관리수단 및,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을 구비하며, 서버에 본인의 ID와 타인들의 ID에 해당하는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들을 구축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들로부터 입력된 개인정보 데이터들을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해서 이를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관리수단에서는 수신자가 본인의 ID에 대응하는 환경설정값을 자동응신으로 선택했을 경우, 수신자의 공개된 신상 정보가 정보데이터의 수신시 동시에 송신자에게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자가 개인정보 데이터의 송신을 요청할 때, 요청식별부호에 덧붙여 수신자의 수신허가를 위한 보안번호와, 전송 데이터의 양 또는 종류를 결정하는 암호와, 식별키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상기 정보관리수단은 상기 정보데이터들을 관리하기 위해서, 추가, 삭제 및 업데이트기능과, 분류, 정렬 및 필터링 기능과, 이메일 엑셀화일 지원기능 및, DM발송기능 그리고 파일 업로드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관리수단은 개인정보 데이터중에서 공개와 비공개여부를 선택하여 공개사항에 해당하는 정보만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정보 데이터는 ID, 비밀번호, 우편번호, 이름,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우편번호, 주소, 성별, 메일주소, 이동통신단말기번호, 홈페이지주소, 직장명, 직장전화번호, 직장Fax번호, 직책, 사진, 음성, 동화상, 거래은행명, 은행계좌번호과 같은 항목으로 이루어진 DB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송수신수단은 단말기 교체시와 데이터 업데이트시 및 단말기로부터 검색요청시, 정보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은 이동통신가입자가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여 타인에게 신상 정보를 전송하는 데이터 필드들과 수신측이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필드를 구분하여 관리하여, 신상자료의 관리에 있어 다수의 사람이 자신의 주소록을 관리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자의 소유자가 직접 본인의 ID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입력 갱신 관리하는 메인 데이터 베이스와, 송신자 ID와 수신자 ID간의 관계설정을 나타내는 관계 데이터 베이스와, 사용자가 타인의 ID에 상응하는 추가 정보를 임의로 관리할 수 있는 추가 데이터 베이스들을 별도로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의 확인을 위해서 비밀번호등의 보안기능을 갖추고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신상 정보 송신자가 본인의 이동통신단말기(10)에서 정보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20)의 식별번호 및 전송하는 명령을 무선을 통해 보내면 기지국(30)에서 이를 수신한 후 제어기, 교환기 또는 왑게이트웨이(Wireless Application Protocal Gateway)등으로 구성된 구비한 중계부(40)를 통해 송신자의 발신번호 및 수신자의 식별번호가 서버(100)에 전달된다.
서버(100)에 부속된 DBMS(120)에서는 (이동통신 사용자로 가입시에) 이미 작성되어 있는 송신자와 수신자의 신상 정보를 파악한다. 또한 송신자와 수신자의 관계가 형성되었음을 나타내는 레코드를 저장한다. 동시에 서버(100)는 송신자의 개인정보 및 수신자의 개인정보의 데이터를 기지국을 통해 쌍방에 교환하여 전송하여 정보 송신자 및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 20)는 서로의 신상 데이터가 수신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기억장치에 저장되게 된다.
여기에서, 신상 정보 데이터는 ID, 비밀번호, 이름, 회사 상호명,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회사주소, 집주소, 성별, 메일주소, 이동통신번호, 홈페이지주소, 직장명, 직장전화번호, fax번호, 직책, 기념일, 메모, 은행명, 은행계좌번호, 사진, 음성, 동화상등과 같이 개인의 신상 정보 및 회사정보를 홍보할 수 있는 정보들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은 인터넷(60)상에 접속된 개인의 컴퓨터(50)를 이용하여, 서버(100) 및 CGI(110)를 통해 DBMS(120)에 접속하여 본인의 개인정보 데이터를 입력, 갱신 또는 수정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중계부(40)의 왑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DBMS(120)에 접근하였을 때도 새로운 정보데이터를 입력, 갱신, 구성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관리시스템에 적용되는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10, 20)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직접적인 통신을 위한 적외선 포트 또는 외부 시리얼포트(도시 안됨)를 부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이는 상대편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번호를 입력하는 것을 생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외선 포트, 외부 시리얼포트 등을 통한 교신(15)으로, 상대편 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번호를 인식하도록 하고, 직접적으로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10, 20)들간에 특수키 또는 비밀번호를 누르는 방법을 이용하여, 명함 정보의 전달 방식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송수신수단(32)은 개인정보 데이터의 업데이트시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0, 20)들로부터 검색요청시 정보 데이터를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10, 20)들에 전송한다.
또한, 도 2는 서비스 기능 및 이를 지원하는 DBMS와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서버(100)에는 DBMS(120)을 구축하는데, 그 DBMS(120)는 이동통신단말자의 소유자가 직접 본인의 ID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입력 갱신 관리하는 메인 데이터 베이스(130 ; 이하, Main DB라 한다)와, 송신자 ID와 수신자 ID간의 관계설정을 나타내는 관계 데이터 베이스(140 ; 이하, 관계 DB라 한다) 및 사용자가 타인의 ID에 상응하는 추가 정보를 임의로 관리할 수 있는 추가 데이터 베이스(150 ; 이하 추가 DB라 한다)들을 별도로 둔다.
도 1과 도 2에서 본 발명의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은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10, 20)들과 인터넷망(60)에 접속된 서버(100)를 통해 각종 개인정보 데이터를 갖는 DBMS(120)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정보관리수단(70)을 제공한다. 정보관리수단은 인터넷망(60)에 연결된 개인의 컴퓨터(50)의 브라우저 및 중계부(40)의 왑게이트웨이를 통하여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10, 20)를 통해 제공된다.
정보관리수단(70)은 서버(100)의 DBMS(120)의 Main DB의 ID에 부속된 신상 정보 및 본인의 ID에 대응한 서버상의 사용자 DB에서 본인과 연관지어진 사람들의 데이터를 추가 / 삭제 및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정보관리수단(70)은 미리 정한 범주(예를 들면, 친구, 거래처, 동호회, 가족, 회사, 모임 등)로 필터링(filtering) 하므로써, 개인정보 데이터를 분류, 정렬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개인의 컴퓨터에서 기타정보를 입력하는 경우(72)에는 본 발명의 정보관리시스템은 인터넷 및 개인휴대통신에 적용가능하고, 개인의 활동에 대한 소개를 할 수 있는 각종 정보데이터의 DB를 구축하도록 회사소개, 업무소개, 선전용 카다로그, 사진, 음성 및 음악, 동화상, 기타 바이너리 화일등을 입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정보관리수단(70)은 인간 친화적 디자인을 갖는 데이터 관리 표시창을 제공하고, 통상적인 이메일과 메일링리스트 및 엑셀화일(excel file) 지원기능을 구비하여, 데이터의 변환이 자유로운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또한, 정보관리수단(70)은 통상적인 인터넷을 이용한 DM(Direct Mail)발송 기능 및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기능도 갖는다.
또한, 도1 및 도4에서 본 발명에서 정보관리수단(70)에로의 무선인터넷 접속은 개인의 계정에 통상의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작업없이 접속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는 기본적으로 사용보안을 위한 비밀번호등의 보안장치가 있으며 사용을 위해서는 이를 통과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식별번호가 기지국(30)에 전달된다면 접속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보안체계를 통과한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서버의 Main DB에 있는 식별 전화번호(134, 135)가 기지국에 수신된다면 사용자는 서버의 자신의 계정에 접속시 특별한 Login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정보관리수단(70)에서의 환경설정시에 선별적으로 이용가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데이터송수신수단(32)은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10, 20)들의 교체시, 저장된 개인정보 데이터를 교체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지국을 통해 전송 받을 수 있고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기억장치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식별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본인의 ID로 인터넷에 연결된 서버에 접속하고, 레코드검색을 통해 서버에 저장된 DB의 검색이 가능하다.
메시지송수신수단(34)은 사용자 DB의 개인정보 데이터에 기록된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이동통신 운영사업체에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동보전송 기능과, 서버에 기 등록된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갖는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시스템으로부터 개개인의 신상 정보가 상호 이동통신단말기에 동시에 전송되는 상황을 데이터의 흐름을 간략하게 표시한 도면이다.
본인의 이동통신단말기(10)는 송신자가 되고 타인의 이동통신단말기(20)를 수신자가 된다. 서버(100)는 송신자의 개인정보 및 수신자의 개인정보의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달하고 기지국은 이 데이터를 각각 상호간에 전송하여 정보 송신자 및 수신자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10, 20)는 쌍방의 신상 데이터가 교환되어 내부 기억장치(22)에 저장되게 된다. 또한, 송신자가 송신을 요청시에 보안 및 전송 데이터의 양을 결정하는 암호 및 식별키를 적어 넣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인(예컨대, 홍길동)의 이동통신단말기(10)에서 상대방(예컨대, 춘향이)의 이동통신단말기(2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본인의 개인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소정의 부호(13)를 누르고 통화(또는 SEND) 버튼을 누르게 된다(이때, 소정의 부호대신에 직접 정보제공버튼으로 대체될 수 있음).
보안 및 전송데이터의 양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예는 다음과 같다. 01x-xxx-xxxx(전화번호) # (구분부호) xxxx(보안번호) # xxx(데이터번호) #(전송부호). 즉, 보안번호는 수신자에게 일방적인 데이터가 타인으로부터 전달되는 것을 막게 하기위해 수신자가 수신시 암호를 지정했을 경우 입력해야하는 것이고, 데이터번호는 송신자가 일련의 공개 데이터(회사소개, 본인이 하는 일에 대한 소개, 판매용 카다로그 사진, 홈페이지 URL, e-mail주소 등..)를 수개 그룹지어 놓고 그 중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기지국으로부터 송신자와 수신자의 전화번호가 서버(100)에 전달되고 부속된 DBMS는 전달된 전화번호를 활용하여 Main DB의 사용자 중에 춘향이와 홍길동의 레코드를 찾아 관계 DB(142)에 이를 연결한다. 이후 쌍방의 공개된 데이터를 기지국을 통해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10, 20)들로 전송하고,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10, 20)들은 이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춘향이의 이동통신단말기(20)의 내부 기억장치(22)에는 수신된 홍길동의 신상명세에 관한 개인정보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홍길동의 이동통신단말기(10)의 내부 기억장치(12)에도 갱신된 춘향이의 정보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1과 도 3에서 정보관리수단은 두 가지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첫째, 기지국(30)과 중계부(40)를 경유하여 서버(100)에 연결되어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10, 20)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둘째, 인터넷망(60)에 연결된 개인의 컴퓨터(50)를 통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BMS을 구성하는 주요 데이터 베이스(DB)의 주요 필드에 대한 개요도이다.
서버(100)는 부속된 DBMS(120)에 연계되어있는 Main DB(130)에서 송신자 및 수신자의 개인정보레코드의 수신자 ID와 송신자 ID(136, 137 ; Primary Key)를 검색해 낸 후, 관계 DB(140)에 수신자와 송신자의 관계를 나타내는 레코드(142)를 형성하여 저장한다.
131은 Main DB(130)의 갱신일시(date) 필드이고, 132는 Main DB(130)의 레코드이며, 134는 수신자의 식별전화번호이며, 135는 송신자의 식별전화번호이며, 141은 관계 DB(140)의 일시(date) 필드이고, 150은 추가 DB이며, 152는 추가 DB(150)의 레코드이고, 160은 사용자 DB이고, 162는 사용자 DB(160)의 레코드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신상 정보가 이동통신단말기 및 개인용 컴퓨터 화면에 정보관리수단이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DBMS)의 정보를 관리(추가, 삭제, 갱신, 검색)하기 위해서 정보관리수단을 구비한다.
개인의 컴퓨터에서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경우(72), 본 발명의 정보관리시스템은 인터넷 및 개인휴대통신에 적용가능하고, 개인의 신상명세서에 대한 사용자 DB를 구축하도록, ID, 비밀번호, 이름, 회사 상호명,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회사주소, 집주소, 성별, 메일주소, 이동통신번호, 홈페이지주소, 직장명, 직장전화번호, fax번호, 직책, 기념일, 메모, 은행명, 은행계좌번호, 사진, 음성, 동화상을 입력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데이터의 공개 여부는 사용자가 공개, 또는 비공개 혹은 공개1, 공개2, 비공개1, 비공개2 를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자동응신에 대한 선택과 거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본 발명이 이루려고 하는 다수의 사람이 한명에게 신뢰성있는 신상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고자 한다.
서버의 DBMS(120)하의 Main DB(130)에서 가입자의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134, 135)를 통해 송신자와 수신자가 확인되면, 관계 DB(140)에 이들의 수신자 ID와 송신자 ID(136, 137)인 Primary Key들을 레코드에 저장한다. 한번 이러한 상관관계가 지어지면 수신자측에서는 송신자의 신상 정보와 상응하는 추가DB를 정보관리수단에서 검색, 갱신, 수정할 수 있게 된다. 수신자가 본인의 정보 입력시에 환경설정값을 자동응신(74)으로 선택했을 경우, 수신자의 공개된 신상 정보가 같은 경로로 다시 송신자에게 전달되게 된다.
한번 관계가 맺어진 ID의 개인적인 인적사항이 수정되었을 경우, 다시말해서 관계가 설정된 일자(141)보다 이후에 갱신되는 ID의 갱신일시(131)에 대해서는 내 주소록 보기에 변경됨 표시가 나타나게 된다. 내 주소록 보기에서 갱신이 선택되면, 관계가 설정된 일자(141)를 현재시점으로 업데이트하고, 사용자 DB를 갱신한다. 관계가 설정된 일자를 업데이트 하는 것은 이후 인적사항의 변경 여부를 알 수 있게 한다.
주소록 보기(71)에서 편집을 선택하면 타인 정보 편집 화면(73)이 출력된다. 여기에서 Main DB(130)의 하나의 레코드(132)와 추가 DB(150)의 하나의 레코드(152)를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이는 Main DB의 레코드는 ID의 소유자만이 개인정보 관리 폼(72)을 사용하여 갱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개인적인 신상 정보는 ID의 소유자만이 관리하도록 하여 정보 신뢰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ID의 소유자와 본인과의 연관성에 관한 데이터들은 추가 DB의 레코드를 사용하여 관리하게 되고, 이는 ID의 소유자의 신상 정보(Main DB)와 분리된 별개의 DB에서 관리됨으로 신상 정보가 변경된다 하더라도 영구히 유지할 수 있다.
예를들어, 춘향이의 전화번호가 변경되었다면 이는 홍길동의 내 주소록 보기에 표시되어 있을 것이다. 홍길동은 갱신 버튼을 눌러 새로운 정보로 갱신하였다. 관계가 설정된 일자는 갱신 버튼을 누른 시점으로 변경되며, 사용자 DB 역시 갱신되었다. 갱신의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은 수신자가 기존의 정보를 유지할 필요도 있기 때문이다. 홍길동이 기타사항을 편집하기 위해 편집키를 누르면 두개의 필드군이 나타난다. 첫번째는 춘향이의 신상 정보(전화,주소,등..)이 있는 필드군이고 두번째는 개인적인 관계가 담긴 필드군(나와의 친분관계, 기억하고픈일, 둘만의 기념일, 메모사항)이다. 즉, 춘향이의 연락처는 언제고 한번의 갱신키로 모두 변경할 수 있게되지만, 친분관계등 남겨야하는 될 정보는 수정하지 않는 한 남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은 인터넷망(60)에 접속된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10, 20)들에 각자의 개인 신상 정보, 즉 개인정보를 송 / 수신하도록하여 이를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인의 이동통신단말기(10)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인터넷상의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본인의 ID와 연관되어 있는 공개된 개개인 신상명세에 관한 개인정보 데이터 중 일부필드를 열람, 보충, 갱신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써,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입자는 보다 쉽게 타인에 관한 명함 및 기타정보를 수집 및 관리할 수 있고, 원하는 사람들에게 본인의 개인정보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신상자료의 관리에 있어 다수의 사람이 자신의 주소록을 관리해주는 것과 같은 획기적인 효율성을 가질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입자들이 공개된 개인의 신상명세서 내용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고, 인터넷상의 서버에서는 각자 개인 신상명세서 정보를 입력 및 수정하여 각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그 내용을 전송하여 새로운 정보데이터로 업그레이드시키고, 상호관계가 설정된 사람들끼리는 인터넷상의 웹사이트에서 공개된 타인의 개인 신상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끼리 무선통신으로 서로의 개인정보(명함포함)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직접 상대방의 신상 정보를 단말기에 기록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할 수 있고,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직접 데이터를 입력해서 인터넷상의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어 종래 기술의 한계(인터넷에서 이동통신단말기로 정보제공)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신상 정보 뿐만아니라 각종 형태의 개인 활동 정보를 교류할 수 있어 서로간의 통성명시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를 교체하더라도 본인의 인터넷 DB를 통해 예전의 저장내용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관리시스템은 정보관리수단에 자동응신기능을 구비하여, 명함 정보데이터를 용이하게 양방향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관리시스템은 검색요청시에도 기지국 및 인터넷망을 통해서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레코드에 대한 필드 검색으로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중에도 필요로 하고자 하는 명함 정보데이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을뿐더러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기억장치능력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기억장치에 개개인의 신상명세서에 관한 정보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서, 기지국과 인터넷망에 연결된 서버를 구비한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서 새롭고 갱신된 정보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 / 관리하도록, 데이터송수신수단, 메시지송수신수단, 정보관리수단 및,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서버에 본인의 ID와 타인들의 ID에 해당하는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들을 구축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들로부터 입력된 개인정보 데이터들을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해서 이를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수단에서는 수신자가 본인의 ID에 대응하는 환경설정값을 자동응신으로 선택했을 경우, 수신자의 공개된 신상 정보가 정보데이터의 수신시 동시에 송신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가 개인정보 데이터의 송신을 요청할 때, 요청식별부호에 덧붙여 상기 수신자의 수신허가를 위한 보안번호와, 전송 데이터의 양을 결정하는 암호와, 식별키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수단은 상기 정보데이터들을 관리하기 위해서, 추가, 삭제 및 업데이트기능과, 분류, 정렬 및 필터링 기능과, 이메일 엑셀화일 지원기능 및, DM발송기능,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수단은 개인정보 데이터중에서 공개와 비공개여부를 선택하여 공개사항에 해당하는 정보만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 데이터는 ID, 비밀번호, 우편번호, 이름,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우편번호, 주소, 성별, 메일주소, 이동통신단말기번호, 홈페이지주소, 직장명, 직장전화번호, 직장Fax번호, 직책, 사진, 음성, 동화상, 거래은행명, 은행계좌번호과 같은 항목으로 이루어진 D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송수신수단은 단말기 교체시와 데이터 업데이트시 및 단말기로부터 검색요청시, 상기 명함 정보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은 이동통신가입자가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여 타인에게 신상 정보를 전송하는 데이터 필드들과 수신측이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필드를 구분하여 관리하여, 신상자료의 관리에 있어 다수의 사람이 자신의 주소록을 관리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자의 소유자가 직접 본인의 ID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입력 갱신 관리하는 메인 데이터 베이스와, 송신자 ID와 수신자 ID간의 관계설정을 나타내는 관계 데이터 베이스와, 사용자가 타인의 ID와의 관계를 임의로 관리할 수 있는 추가 데이터 베이스들을 별도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무선인터넷의 사용시에 개인휴대통신기의 보안체계를 통과하는 것을 로긴(login)에 성공한 것으로 보아, 기지국에서 수신한 개인휴대통신기의 식별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아이디 및 비밀번호등의 입력과정을 거치는 로긴 과정 없이 인터넷의 자신의 계정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타인의 데이터레코드와의 관계설정을 위한 명령은 이동통신 단말기이외에 인터넷을 경유한 User Computer 및 유선전화를 통하여도 요청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KR1020000030494A 2000-04-04 2000-06-02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KR20000054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494A KR20000054371A (ko) 2000-04-04 2000-06-02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AU44828/01A AU4482801A (en) 2000-04-04 2001-04-04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y means of portable appliances via wire or wireless internet and the method for the same
US13/445,870 USRE45392E1 (en) 2000-04-04 2001-04-04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y means of portable appliances via wire or wireless internet and the method for the same
JP2001576702A JP4311903B2 (ja) 2000-04-04 2001-04-04 携帯通信機構および有無線インターネットを用いる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PCT/KR2001/000570 WO2001080580A1 (en) 2000-04-04 2001-04-04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y means of portable appliances via wire or wireless internet and the method for the same
US10/240,779 US7698313B2 (en) 2000-04-04 2001-04-04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y means of portable appliances via wire or wireless Internet and the method for the same
KR10-2001-0017839A KR100438757B1 (ko) 2000-04-04 2001-04-04 휴대통신기구 및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및 그 방법
CNB018076378A CN1271870C (zh) 2000-04-04 2001-04-04 信息管理系统及信息管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730 2000-04-04
KR1020000030494A KR20000054371A (ko) 2000-04-04 2000-06-02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371A true KR20000054371A (ko) 2000-09-05

Family

ID=1967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494A KR20000054371A (ko) 2000-04-04 2000-06-02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4371A (ko)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833A (ko) * 2000-10-05 2001-02-05 박진 네트웍 기반 수신자 선택형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50547A (ko) * 2000-12-21 2002-06-27 정장호 무선단말기에 주소록 등록 방법
KR20020054144A (ko) * 2000-12-27 2002-07-06 송문섭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 가입자 정보 다운로딩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64474A (ko) * 2001-02-01 2002-08-09 황경자 무선을 이용한 개인정보통신단말기 명함(개인정보) 교환시스템 및 인터넷과 연계한 개인db관리 시스템
KR20020066477A (ko) * 2001-02-12 2002-08-19 김미희주 휴대형 음성통신 단말기에 대한 전화번호 저장 지원 방법및 시스템
KR20020067824A (ko) * 2001-02-19 2002-08-24 주식회사 파네즈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와 연동되는 이동전화 단말기용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73879A (ko) * 2001-03-16 2002-09-28 유기웅 발신자에 따라 설정된 콜모니터링 신호를 출력하는전화기의 콜모니터링방법
KR100365884B1 (ko) * 2000-06-05 2002-12-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명함 전송 방법
KR20030020518A (ko) * 2001-08-29 2003-03-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관리 방법
KR100375756B1 (ko) * 2001-01-18 2003-03-10 주충남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
KR100382623B1 (ko) * 2000-07-11 2003-05-01 (주)아이티포웹 무선 개인정보 서비스 시스템
KR20030062724A (ko) * 2002-01-18 2003-07-28 천성진 인터넷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장치 및방법
KR20030062990A (ko) * 2002-01-22 2003-07-28 주식회사 자라다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KR20030069325A (ko) * 2002-02-20 2003-08-27 김영길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기록매체
KR100404795B1 (ko) * 2001-02-06 2003-11-10 주식회사 에어아이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파일 송수신 시스템
KR100420278B1 (ko) * 2001-08-30 2004-03-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 데이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
KR20040020276A (ko) * 2002-08-30 2004-03-09 김진숙 인터넷을 이용한 전화번호 대조장치 및 그 방법
KR100422706B1 (ko) * 2001-09-03 2004-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40033686A (ko) * 2002-10-15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휴대폰 정보 저장방법 및 시스템
KR100464025B1 (ko) * 2001-11-29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소록 관리방법
KR100467627B1 (ko) * 2003-02-19 2005-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0474283B1 (ko) * 2002-02-07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원격 영상 데이터 저장 방법
KR100509916B1 (ko) * 2002-11-20 2005-08-2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와 연동되는 부가 컨텐츠 제공 방법및 장치
KR100708338B1 (ko) * 2005-08-30 2007-04-1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문자기반의 수신자식별번호에 따른 수신자정보를 제공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31012B1 (ko) * 2000-09-21 2007-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디스플레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100751044B1 (ko) * 2001-05-09 2007-08-22 (주) 엘지텔레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무선통신단말기의 착신음 정보서비스 방법
KR100771528B1 (ko) * 2000-09-15 2007-10-31 톰슨 라이센싱 핸드-헬드 디바이스와, 인터넷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홈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방법
KR100891897B1 (ko) * 2007-04-13 2009-04-03 주식회사 오픈비지니스솔루션코리아 통화 연결 방법,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기록매체
WO2015115746A1 (ko) * 2014-01-29 2015-08-06 이영환 데이터 필터링 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거래소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884B1 (ko) * 2000-06-05 2002-12-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명함 전송 방법
KR100382623B1 (ko) * 2000-07-11 2003-05-01 (주)아이티포웹 무선 개인정보 서비스 시스템
KR100771528B1 (ko) * 2000-09-15 2007-10-31 톰슨 라이센싱 핸드-헬드 디바이스와, 인터넷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홈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방법
KR100731012B1 (ko) * 2000-09-21 2007-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디스플레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20010007833A (ko) * 2000-10-05 2001-02-05 박진 네트웍 기반 수신자 선택형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50547A (ko) * 2000-12-21 2002-06-27 정장호 무선단말기에 주소록 등록 방법
KR20020054144A (ko) * 2000-12-27 2002-07-06 송문섭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 가입자 정보 다운로딩장치 및 그 방법
KR100375756B1 (ko) * 2001-01-18 2003-03-10 주충남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
KR20020064474A (ko) * 2001-02-01 2002-08-09 황경자 무선을 이용한 개인정보통신단말기 명함(개인정보) 교환시스템 및 인터넷과 연계한 개인db관리 시스템
KR100404795B1 (ko) * 2001-02-06 2003-11-10 주식회사 에어아이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파일 송수신 시스템
KR20020066477A (ko) * 2001-02-12 2002-08-19 김미희주 휴대형 음성통신 단말기에 대한 전화번호 저장 지원 방법및 시스템
KR20020067824A (ko) * 2001-02-19 2002-08-24 주식회사 파네즈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와 연동되는 이동전화 단말기용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73879A (ko) * 2001-03-16 2002-09-28 유기웅 발신자에 따라 설정된 콜모니터링 신호를 출력하는전화기의 콜모니터링방법
KR100751044B1 (ko) * 2001-05-09 2007-08-22 (주) 엘지텔레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무선통신단말기의 착신음 정보서비스 방법
KR20030020518A (ko) * 2001-08-29 2003-03-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관리 방법
KR100420278B1 (ko) * 2001-08-30 2004-03-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 데이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
KR100422706B1 (ko) * 2001-09-03 2004-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464025B1 (ko) * 2001-11-29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소록 관리방법
KR20030062724A (ko) * 2002-01-18 2003-07-28 천성진 인터넷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장치 및방법
KR20030062990A (ko) * 2002-01-22 2003-07-28 주식회사 자라다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KR100474283B1 (ko) * 2002-02-07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원격 영상 데이터 저장 방법
KR20030069325A (ko) * 2002-02-20 2003-08-27 김영길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기록매체
KR20040020276A (ko) * 2002-08-30 2004-03-09 김진숙 인터넷을 이용한 전화번호 대조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33686A (ko) * 2002-10-15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휴대폰 정보 저장방법 및 시스템
KR100509916B1 (ko) * 2002-11-20 2005-08-2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와 연동되는 부가 컨텐츠 제공 방법및 장치
KR100467627B1 (ko) * 2003-02-19 2005-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0708338B1 (ko) * 2005-08-30 2007-04-1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문자기반의 수신자식별번호에 따른 수신자정보를 제공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91897B1 (ko) * 2007-04-13 2009-04-03 주식회사 오픈비지니스솔루션코리아 통화 연결 방법,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기록매체
WO2015115746A1 (ko) * 2014-01-29 2015-08-06 이영환 데이터 필터링 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거래소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54371A (ko)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US6687362B1 (en) Automatic address book update system
EP1146701B1 (en) Method of transferring data being stored in a database
KR100880729B1 (ko) 단말기에 물리적으로 근접한 디바이스들의 목록을 생성하는시스템 및 방법
KR100585748B1 (ko) 전화번호 싱크 방법 및 시스템
CN101702795A (zh) 共享权限使能的移动简档的系统和方法
KR100438757B1 (ko) 휴대통신기구 및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및 그 방법
US98468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global directory service
WO2007026810A1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WO2010006497A1 (zh) 一种通讯录系统及其实现方法
CN101764853A (zh) 在线通讯录管理伸延服务的方法和系统
KR20010019801A (ko) 인터넷을 이용한 중앙 명함관리시스템
JP2016516314A (ja) 電話番号連動基盤の電子名刺伝送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000037021A (ko) 인터넷과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
KR100384443B1 (ko) 사용자간 간략 정보 및 상세 정보 교환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 적합한 정보통신단말기
JP4667148B2 (ja)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アドレス帳管理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00059004A (ko) 전자명함서비스시스템
KR20020008606A (ko) 전자명함 교환 서비스 방법
CN101400056B (zh) 高安全性的手机系统和信息系统
KR20020006267A (ko) 번호를 이용한 네트웍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109816A (ja) 情報検索装置、情報検索方法、およ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
KR20020019316A (ko) 인간관계 관리를 위한 토탈 서비스 방법
EP1172976A1 (en) Method of transferring data being stored in a database
KR20070071734A (ko) 유무선 기간통신망과 인터넷을 연결하는 커뮤니케이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69200A (ko)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