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8570A -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및 그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및 그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8570A
KR20030048570A KR1020010078508A KR20010078508A KR20030048570A KR 20030048570 A KR20030048570 A KR 20030048570A KR 1020010078508 A KR1020010078508 A KR 1020010078508A KR 20010078508 A KR20010078508 A KR 20010078508A KR 20030048570 A KR20030048570 A KR 20030048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input
mode
character
selection i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78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8570A/ko
Priority to US10/126,220 priority patent/US6919824B2/en
Publication of KR20030048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57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및 그의 작동방법은 모드변환버튼으로 입력모드를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모드하에서 원하는 문자에 대응하는 선택지시버튼을 누름으로써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키패드 및 그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문자를 나타내는 입력버튼과 다수의 기능버튼을 포함한 소형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에 있어서, 단말기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문자의 입력을 위한 입력모드를 변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모드변환버튼, 상기 단말기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각각의 입력버튼에 나타난 복수개의 문자 중 하나의 문자를 선택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시버튼, 및 상기 모드변환버튼의 누름에 의해 특정 입력모드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입력모드하에서 특정 입력버튼에 나타난 복수개의 문자 중 하나의 문자를 선택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버튼과 상기 선택지시버튼의 누름에 의해 문자버튼에 포함된 하나의 특정 문자가 선택입력되며 상기 선택 입력된 데이터를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하고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및 그의 작동방법{A KEYPAD ASSEMBLY WITH THE SUPPLEMENTARY BUTTONS AND ITS OPERATING METHOD}
본 발명은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히 소형 단말기(예로서, 소형, 휴대형, 이동통신용 단말기 등)에서 키패드의 모드를 변환하는 부가적 모드변환버튼과 한 버튼 내의 다수의 문자 중 하나의 문자를 선택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 선택지시버튼을 구비하여 제한된 개수의 입력버튼만으로 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 등의 다양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의 입력장치는 사람과 기계장치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로써 사람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고 전자계산기, 휴대용 컴퓨터 및 이동통신용 단말기 등이 존재하며 우리들의 생활에 아주 친숙한 장치이다. 특히, 휴대가 간편한 소형/휴대형 통신용 단말기는 그 사용수요가 급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단말기에서 입력방법이라 함은 인간의 의사를 기계가 인식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고, 입력장치는 대부분 사람의 접촉을 통하여 입력이 이루어지는 키패드(또는 Keyboard) 입력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키패드 입력장치는 제한된 공간안에 다수의 버튼을 장착하여 문자를 입력받으므로, 한 버튼으로 다수의 문자를 입력받아야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한다. 더욱이, 매우 제한된 크기를 갖는 소형/휴대형 단말기의 경우에는 한 버튼이 다수의 문자를 입력받아야 하는 경우가 더욱 빈번하게 발생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통상적인 소형 통신용 단말기의 구조도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휴대폰, 개인 휴대용 단말기 등과 같은 소형의 단말기들은 물리적 크기의 제약 때문에 입력장치 안에 많은 수의 버튼을 키패드안에 장착할 수 없었고 이로 인해, 입력장치의 버튼구성이 어렵게되고 키패드에 포함된 입력버튼의 개수 또한 대부분 적은 수의 버튼만을 갖는 것이 가능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숫자 0~9, 알파벳 A~Z, 특수문자 * 및 #을 나타내는 통상의 문자 입력버튼(13)과 복수개의 기능버튼(12)을 포함하여 그외 통상적인 다수개의 기능에 따른 종래의 일예에 따른 단말기의 폐쇄정면도(110), 좌측면도(120), 개방정면도(130), 우측면도(140), 후면도(150)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1은 표시창, 14는 마이크, 15는 키패드를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단말기는 통상의 것이고 본 발명의 요지로 볼 때 중요하지 않는 다른 기능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에는 특히 그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많은 수의 버튼을 장착할 수 없기 때문에 다양한 문자 즉, 숫자, 알파벳문자, 특수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하여는 기능버튼을 이용하여 모드의 변환을 행하여야 했고, 더욱이 선택된 모드에서 조차 어느 한 버튼당 할당된 문자의 수만큼 버튼의 누름 등의 조작이 필요하였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서는 특정버튼의 누름 횟수에 의해서 할당된 문자의 인식이 수행되므로 키패드가 누름 동작간의 어느정도의 지연시간을 기다려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키패드의 구조 및 그 동작방식 등은 사용자로 하여금 키패드 기능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필요로 하였으며, 여러 번의 버튼이 누름동작으로 인한 혼돈, 조작의 불편함 및 입력속도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한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5-48201호에 키패드의 접촉점 구조를 2개로 하여 하나의 키(key)로 하여금 2개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3 레이어(layer)구조로 이루어진 키이패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키이패드는 삼중의 레이어 주조를 이용하여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의 키이신호 감지수단을 구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키이패드를 누름에 있어, 강약의 조정으로 하나의 키이를 통해 2가지 이상의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키이패드에서는 누름의 강약을 잘 조절했었다. 또한, 키이버튼 상에 3개의 문자가 있을 경우에는 세 종류의 누름 힘을 구별해야하므로 사용시 문자입력오류가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7-11506호에 키이 높이를 개량하고 키이 표면적을 작게하며 상기 키이들의 간격을 크게함으로써 키이들을 정확하게 누를 수 있도록 제작된 자판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자판 구조체는 사용자가 한번에 하나 이상의 키이를 누르지 않게 하고 각각의 푸시버튼 옆에 알파벳 문자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이들이 발광하여 문자 및 숫자의 가시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버튼의 누름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고 여러 가지의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는 경우 문자 또는 숫자의 모드변환과 이들의 입력과정에서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었다.
한편, 문자를 선택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의 한 예로서, 일본특허 제1998-315522호에 소프트웨어,키보드를 구성한 복수개의 문자,기호를 일람표 중의 미리 정해진 복수개의 특정위치에 유사 문자, 기호군을 할당해 두고 그 특정 위치의 어느 한 쪽 1개의 키이 위치가 선택지시받을 때에, 할당된 유사 문자,기호군 일람 리스트를 표시한 후, 그 중 한개의 문자, 기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문자,기호 입력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 및 방법에서는 입력할 문자,기호의 일람표와 선택지시에 따른 유사 문자,기호군 일람리스트를 표시해야하므로 공간제약이 따르는 소형 단말기에는 적용하는데는 한계가 있었고 키패드 자체에 표시된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이 아니라 표시창에 표시된 문자,기호군을 선택지시수단의 선택지시에 의해 입력하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통상의 전화기 버튼과 기능버튼을 포함하는 다수의 입력버튼 이외에 키패드의 모드를 변환시키는 부가적 모드변환버튼과 한 버튼의 다수의 문자 중 하나의 문자를 선택지시하는 부가적 선택지시버튼을 장착하여 적은 횟수의 버튼 입력으로 간편하게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소형 통신용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가적 버튼들을 장착한 소형통신용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문자 입력버튼 중 하나의 입력버튼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가적 버튼들을 장착한 소형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전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가적 버튼들을 장착한 소형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가적 버튼들을 장착한 소형단말기의 입력동작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표시창 12 : 기능버튼
13: 입력버튼 14 : 마이크
15 : 키패드 17: 제1 선택지시버튼(P1)
18: 제2 선택지시버튼(P2) 19: 제3 선택지시버튼(P3)
20: 모드변환버튼(T) 21 :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복수개의 문자를나타내는 입력버튼과 다수의 기능버튼을 포함한 소형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에 있어서,
단말기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문자의 입력을 위한 입력모드를 변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모드변환버튼;
상기 단말기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각각의 입력버튼에 나타난 복수개의 문자 중 하나의 문자를 선택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시버튼;
상기 모드변환버튼의 누름에 의해 특정 입력모드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입력모드하에서 특정 입력버튼에 나타난 복수개의 문자 중 하나의 문자를 선택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버튼과 상기 선택지시버튼의 누름에 의해 문자버튼에 포함된 하나의 특정 문자가 선택입력되며 상기 선택 입력된 데이터를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하고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하며 복수개의 문자를 나타내는 입력버튼과 다수의 기능버튼을 포함한 소형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일측면에 상기 문자의 입력을 위한 입력모드를 변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모드변환버튼 및 각각의 입력버튼에 나타난 복수개의 문자 중 하나의 문자를 선택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시버튼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모드변환버튼을 이용하여 문자의 입력을 위한 입력모드를 변환하는 제2 단계;
상기 변환된 입력모드 상태에서 입력할 문자를 나타내는 입력버튼을 누르는제3 단계;
상기 입력버튼에 나타난 문자의 순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시버튼 중 해당 선택지시버튼을 눌러 상기 입력버튼에 나타난 복수개의 문자 중 하나의 문자를 선택지시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선택 입력된 데이터를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하고 저장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모드전환버튼 및 선택지시버튼을 부가적으로 형성하여 문자를 보다 간편하고 적은 횟수의 누름에 의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부가적 버튼이 장착된 키패드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어지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가적 버튼들을 장착한 소형통신용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도 2에서 도 1에서의 동일한 장치에는 동일한 부호가 기재된다. 도 2는 도 1과 그 장치 및 기능은 거의 동일하지만, 도 1에서 설명한 "0-9", "A-Z", "*" 및 "#" 등을 나타내는 통상의 문자 입력버튼(13)과 다수의 기능버튼(12)을 포함하는 다수의 기능 및 입력버튼 이외에, 도 2에서는 부가적으로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 문자판 입력 모드를 변환할 수 있는 모드변환버튼(20)과, 상기 문자 입력버튼(13) 또는 기능버튼(12) 등의 어느 한 버튼안의 다수의 문자 중 하나의 문자를선택지시할 수 있는 제1 선택지시버튼(17), 제2 선택지시버튼(18) 및 제3 선택지시버튼(19) 등의 부가적 버튼이 장착되며 이러한 종래의 버튼이외에 부가적으로 모드변환버튼(20), 제1,2,3 선택지시버튼(17,18,19)이 장착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폐쇄정면도(210), 좌측면도(220), 개방정면도(230), 우측면도(240), 후면도(250)가 도시되어 있다. 결국, 도 2와 도 1의 차이는 부가적 버튼들(17,18,19,20)이 우측면(또는 좌측면)에 장착된 것을 차이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부가적 버튼 중 선택지시버튼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그 개수를 많이 장착하게 되면 선택지시하는 횟수가 줄어들어 보다 편리할 수는 있으나 제한된 단말기의 크기와 비용이 추가되며 처리 과정을 더 복잡해질 것이다. 반대로 그 개수를 적게 장착하게 되면 단말기의 크기 및 비용은 줄어들지만 하나의 문자를 선택지시하는 횟수는 증가하여 불편할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부가적 버튼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문자 입력버튼(13) 중 하나의 입력버튼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문자 입력버튼(300)은 숫자모드에서 숫자 "2"가 할당되고, 문자모드에서 문자 "A', "B", "C"가 할당되며 특수문자모드에서 "@", "#", "$"가 할당된 입력버튼이다. 이와 같은 입력버튼(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에 장착된 복수개의 문자 입력버튼 중의 하나이며 상기 입력버튼(300) 상에 할당된 문자는 변경될 수도 있다. 도 3의 상기 입력버튼(300)을 이용하여 도 2에서 보인 모드변환버튼(20), 제1,2,3 선택지시버튼(17,18,19)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숫자모드, 문자모드 및 특수문자모드의 변환은 상기 모드변환버튼(20)에 의해 변환된다. 즉, 초기에는 숫자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모드변환버튼(20)을 한번 누르게 되면 문자모드로 변환되며 다시 한번 더 누르게 되면 특수문자모드로 변환되는 것이다. 상기 특수문자모드 상태에서 상기 모드변환버튼(20)을 한번 더 누르게 되면 초기의 숫자모드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각 모드의 변환시 그 변환되는 순서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드변환버튼(20)을 한 번씩 누를 때마다 각각 모드가 변환되는 것이다. 상기 초기의 모드 설정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초기 모드 설정을 숫자모드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숫자모드로 변환된 상태에서는 상기 입력버튼(300)을 누르게 되면 숫자 2가 입력된다. 상기 숫자모드인 경우에는 도 2의 다른 문자 입력버튼(13)을 누르게 되면 설정된 숫자가 입력되는 것이다. 상기 문자 입력버튼(13) 상에는 각각 하나의 숫자가 할당되어 있으므로 상기 문자 입력버튼(13)을 누르게 되면 해당 숫자가 입력되는 것이다.
그러나, 숫자모드의 경우와는 달리, 문자모드로 변환된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한 제1,2,3 선택지시버튼(17,18,19)을 이용하여 각각의 문자를 입력된다. 여기서 문자는 영문자를 나타낸다. 상기 문자모드로 변환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버튼(300)을 누른 후, 상기 제1 선택지시버튼(17)을 누르면 영문자 "A"가 입력되고 상기 제2 선택지시버튼(18)을 누르면 영문자 "B"가 입력되며, 상기 제3 선택지시버튼(19)을 누르면 영문자 "C"가 입력된다. 이때, 상기 문자보드로 변환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버튼(300)을 누른 후 상기 제1 선택지시버튼(17)을 누르면 영문자 "B" 또는 "C"가 입력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선택지시버튼(17)을 누르면 좌측문자, 제2 선택지시버튼(18)을 누르면 중간 문자, 그리고 제3 선택지시버튼(19)을 누르면 우측 문자가 입력되도록 설정한다.
한편, 상기 모드변환버튼(20)을 눌러 특수문자모드로 변환된 상태에서도 상기한 제1,2,3 선택지시버튼(17,18,19)을 이용하여 각각의 특수문자가 입력된다. 상기 특수문자모드로 변환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버튼(300)을 누른 후, 상기 제1 선택지시버튼(17)을 누르면 "@"가 입력되고 상기 제2 선택지시버튼(18)을 누르면 "#"가 입력되며, 상기 제3 선택지시버튼(19)을 누르면 "$"가 입력된다. 이때, 상기 특수문자모드로 변환된 상태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제1 선택지시버튼(17)을 누르면 좌측 문자, 제2 선택지시버튼(18)을 누르면 중간 문자, 그리고 제3 선택지시버튼(19)을 누르면 우측 문자가 입력되도록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숫자, 문자, 특수문자는 상기 모드변환버튼(20), 제1,2,3 선택지시버튼(17,18,19)을 누름으로써 입력된다. 예를 들어, "2 A C #"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초기에는 숫자모드이므로 상기 입력버튼(300)을 누르면 숫자 "2"가 먼저 입력된다. 이어, "A"는 문자이므로 문자모드로 변환해야 한다. 현재의 모드가 숫자모드이므로 상기 모드변환버튼(20)을 한번 눌러서 문자모드로 변환한다. 문자모드로 변환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버튼(300)을 누르고 제1 선택지시버튼(17)을 누르면 영문자 "A"가 입력되며 이어 제3 선택지시버튼(19)을 누르면 영문자 "C"가 입력된다. 계속하여 "#"는 특수문자이므로 상기 모드변환버튼(20)을 한번 눌러서 특수문자모드로 변환한다. 특수문자모드로 변환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버튼(300)을 누르고 상기 제3 선택지시버튼(19)을 누르면 특수문자 "#"가 입력된다. 이로써, 상기 "2 A C #"가 모두 입력되는 것이다.
상기 모드변환버튼(20) 및 제1,2,3 선택지시버튼(17,18,19)을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전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가적 버튼들을 장착한 소형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전이도이다. 입력 모드는 크게 숫자모드(22), 알파벳문자모드(25; 이하, 영문자모드라 함), 그리고 특수문자모드(35)로 구성되며 각 모드로의 전이는 모드변환버튼(20)을 입력함으로써 순환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3에서 입력 수행이 시작되는 제어부(21)는 기본 입력모드의 설정을 숫자모드(22)로 하여 숫자를 입력 받는다. 이때, 상기 제어부(21)는 바람직하게는 알파뉴머릭(Alphanumeric) 편집기이다. 숫자모드(22)에서 숫자패턴(23; "0~9")만을 입력한다면 모드는 항상 숫자모드(22)에 머무르게 되고, 숫자모드(22)에서 모드변환버튼(24)을 누르면 모드는 영문자모드(25)로 전이되고 문자를 입력받게 된다. 상기 문자모드(25)에서 영문자패턴(26; "A~Z")만을 입력한다면 모드는 항상 영문자모드(25)에 머무르게 된다. 상기 영문자모드(25)에서 모드변환버튼(34)을 누르면 모드는 특수문자모드(35)로 전이되고 특수문자를 입력받게 된다. 특수문자모드(35)에서 특수문자패턴(36; !,@,# ...)만을 입력한다면 모드는 항상 특수문자모드(35)에 머무르게 된다. 특수문자모드(35)에서 모드변환버튼(44)을 누르면 다시 숫자모드(22)로 회귀하고 모드변환버튼(20)의 누름에 의하여 모드의 변환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숫자모드(22), 영문자모드(25), 그리고 특수문자모드(35) 안의 내부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숫자모드(22)는 내부 상태는 비어 있는상태로 아무런 선택지시버튼의 사용이 없다. 즉, 제1 선택지시버튼(17), 제2 선택지시버튼(18) 그리고 제3 선택지시버튼(19)의 사용은 없다. 왜냐하면, 상기 문자 입력버튼(13)의 각각의 버튼에는 숫자가 하나만 할당되어 있으므로 숫자모드 내부상태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영문자모드(25) 및 특수문자모드(35)의 경우에는 각 버튼에 세 개의 영문자 및 특수문자가 할당되어 있으므로 내부 상태는 제1,2,3 선택지시버튼(17,18,19)의 사용이 존재하게 된다. 도 4에서는 상기 제1,2,3 선택지시버튼(17,18,19)의 누름을 각각 P1,P2,P3으로 표시한다.
상기 문자모드(25)는 특정 입력버튼(예로서, 도 3의 입력버튼(300))이 눌려지고 이어, 제1 선택지시버튼(28)이 눌려지면 입력버튼에 할당된 문자 중 첫번째 할당된 영문자를 선택입력하는 상태(29)로 전이되어 할당된 문자를 선택하고, 제2 선택지시버튼(30)이 눌려지면 문자 입력버튼에 할당된 문자 중 두번째 할당된 문자를 선택입력하는 상태(31)로 전이되어 할당된 문자를 선택하며, 제3 선택지시버튼(32)이 눌려지면 문자입력버튼에 할당된 문자 중 세번째 할당된 문자를 선택입력하는 상태(33)로 전이되어 하나의 할당된 문자를 선택한다. 각 할당된 영문자를 선택입력하는 상태들(29,31,33)의 전이가 끝나고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영문자모드의 내부상태는 자동으로 버튼선택상태(27)로 전이하여 입력을 지속한다.
한편, 특수문자모드(35)는 어느 특수문자 입력버튼(예로서, 도 3의 입력버튼(300))이 입력되고 이어, 제1 선택지시버튼(38)이 눌려지면 특수문자 입력버튼에 할당된 특수문자 중 첫번째 할당된 특수문자를 선택입력하는 상태(39)로 전이되어 할당된 특수문자를 선택하고 제2 선택지시버튼(40)이 눌려지면 상기 특수문자 입력버튼에 할당된 특수문자 중 두번째 할당된 특수문자를 선택입력하는 상태(41)로 전이되어 할당된 특수문자를 선택하며, 제3 선택지시버튼(42)이 눌려지면 상기 특수문자 입력버튼에 할당된 문자 중 세번째 할당된 특수문자를 선택입력하는 상태(43)로 전이되어 할당된 하나의 특수문자를 선택한다. 각 할당된 특수문자를 선택입력하는 상태들(39,41,43)로의 전이가 끝나고 선택이 완료되면 내부상태는 자동으로 버튼선택상태(37)로 전이하여 입력을 지속한다.
상기 각각의 숫자모드(22), 영문자모드(25), 그리고 특수문자모드(35)에서 특수기능버튼인 종료버튼(45;END button)이 눌려지면 입력종료가 실행되어 상기 제어부(21)의 입력상태에서 벗어난다.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과정들을 제어하고 상기 과정을 통해 선택입력된 문자의 데이터를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하고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가적 버튼들을 장착한 소형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부 인식 처리과정을 특정 입력버튼(300)과 제1 선택지시버튼(17), 제2 선택지시버튼(18), 제3 선택지시버튼(19) 및 모드변환버튼(20)을 사용한 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문자 입력버튼(13)의 일예로서 도 3의 입력버튼(300)을 참조하여 상기 처리과정을 설명한다. 이러한 모든 처리과정 및 기능은 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21)에 의해 입력제어가 시작되면 초기의 모드상태는 숫자모드로설정된다(S501). 이어, 모드는 숫자모드로 전이된다(S502). 숫자모드(53)에서 임의의 버튼이 눌려지고(S503), 상기 눌려진 버튼이 입력버튼(300)인지를 판단하여(S504) 상기 입력버튼(300)이면 숫자 "2"의 입력이 인식된 후(S505), 숫자모드상태에서의 입력을 지속하기 위하여 상기 단계(S502)로 회귀한다. 그러나, 상기 단계(S504)의 판단결과 상기 눌려진 버튼이 입력버튼(300)이 아니면 상기 눌려진 버튼이 모드변환버튼(20)인지를 판단한다(S506). 상기 단계(S506)의 판단결과 모드변환버튼(20)이 아니면 종료되고 반대로 모드변환버튼(20)이면 모드상태는 영문자모드로 설정되어(S507) 영문자모드로 전이한다(S508).
영문자모드에서 임의의 버튼이 눌려지고(S509) 상기 눌려진 버튼이 입력버튼(300)인지를 판단한다(S510). 상기 단계(S510)의 판단결과 상기 눌려진 버튼이 입력버튼(300)이면 이후의 단계(S511)로 진행하고 선택지시버튼이 눌려진다(S511). 상기 단계(S511)에서 상기 선택지시버튼 중 제1 선택지시버튼(17)이 눌려지면(S512) 영문자 "A"의 입력이 인식되고(S513), 제2 선택지시버튼(18)이 눌려지면(S514) 영문자 "B"의 입력이 인식되며(S515), 제3 선택지시버튼(19)이 눌려지면(S516) 영문자 "C"의 입력이 인식된다(S517). 이어, 영문자모드상태에서의 입력을 지속하기 위하여 상기 단계(S508)로 회귀한다.
그러나, 상기 단계(S510)의 판단결과 상기 눌려진 버튼이 입력버튼(300)이 아니면 상기 눌려진 버튼이 모드전환버튼(20)인지를 판단한다(S518). 상기 단계(S518)에서 상기 눌려진 버튼이 모드전환버튼(20)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종료되고, 반대로 모드전환버튼(20)이면 영문자모드에서 특수문자모드로 모드상태가변환되어 모드상태는 특수문자모드로 설정된다(S519). 이어, 특수문자모드로 전이된다(S520).
상기 특수문자모드에서 임의의 버튼이 눌려지고(S521) 상기 눌려진 버튼이 입력버튼(300)인지를 판단한다(S522). 상기 단계(S522)의 판단결과 상기 눌려진 버튼이 입력버튼(300)이면 이후의 단계(S523)로 진행하고 이어, 선택지시버튼이 눌려진다(S523). 상기 단계(S523)에서 상기 선택지시버튼 중 제1 선택지시버튼(17)이 눌려지면(S524) 특수문자 "@"의 입력이 인식되고(S525), 제2 선택지시버튼(18)이 눌려지면(S526) 특수문자 "#"의 입력이 인식되며(S527), 제3 선택지시버튼(19)이 눌려지면(S528) 특수문자 "$"의 입력이 인식된다(S529). 이어, 특수문자모드상태에서의 입력을 지속하기 위하여 상기 단계(S520)로 회귀한다.
그러나, 상기 단계(S522)의 판단결과 상기 눌려진 버튼이 입력버튼(300)이 아니면 상기 눌려진 버튼이 모드전환버튼(20)인지를 판단한다(S530). 상기 단계(S530)에서 상기 눌려진 버튼이 모드전환버튼(20)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종료되고, 모드전환버튼(20)인 경우에는 다시 상기 단계(S501)로 회귀하여 숫자모드로 설정되어(S501) 숫자모드로 전이한다(S502).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상기 단계(S506), 상기 단계(S518) 및 상기 단계(S530)에서 종료로 진행하는 과정에서의 상기 종료는 각 모드의 입력 중 본 발명에서 제공하지 않는 동작행위에 대하여는 입력 탈출상태로 전이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비정상 입력처리는 더욱 지능적인 처리상태로 전이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가적 버튼들을 장착한 소형단말기의 입력동작을 보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영문자(알파벳), 숫자, 특수문자의 입력 동작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a)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왼손으로 소형단말기를 지지하면서 우측면에 장착된 모드변환버튼(20) 및 제1,2,3 선택지시버튼(17,18,19)을 작동하고, 오른손으로 문자 입력버튼(13)의 키패드를 작동하며, 제어부 내 문자 편집기의 기본 입력모드는 숫자모드라고 가정한다. 도 6(b)는 도 6(a)의 입력문자열을 입력받는 과정을 표시하는 테이블이다.
표시창(11) 내에 "VICTORY123"의 문자 및 숫자(101)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우선 현재 숫자모드로 되어 있는 입력모드를 영문자입력모드로 변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모드변환버튼(20)을 눌러 입력모드를 영문자모드로 설정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V"를 나타내는 입력버튼(103)과 제3 선택지시버튼(19)을 조합하여 누름에 의하여 문자 "V"를 입력받고, "I"를 나타내는 입력버튼(104)과 상기 제3 선택지시버튼(19)을 조합하여 누름에 의하여 문자 "I"를 입력받고, "C"를 나타내는 입력버튼(105)과 상기 제3 선택지시버튼(19)을 조합하여 누름에 의하여 문자 "C"를 입력받고, "T"를 나타내는 상기 입력버튼(103)과 제1 선택지시버튼(17)을 조합하여 누름에 의하여 문자 "T"를 입력받고, "O"를 나타내는 입력버튼(106)과 상기 제3 선택지시버튼(19)을 조합하여 누름에 의하여 문자 "O"를 입력받고, "R"을 나타내는 입력버튼(107)과 제2 선택지시버튼(18)을 조합하여 누름에 의하여 문자 "R"을 입력받고, "Y"를 나타내는 입력버튼(108)과 상기 제3 선택지시버튼(19)을 조합하여 누름에 의하여 문자 "Y"를 입력받아 알파벳 영문자모드에서 상기 문자(101)의 "VICTORY"를 입력받는다. 다음으로, 숫자를 입력받기 위하여 현재의 영문자모드에서 입력모드를 숫자모드로 변환하는 상기 모드변환버튼(20)을 누른다. 그러면 현재 입력모드는 숫자모드로 변환되고 숫자 "1"을 나타내는 입력버튼(109)을 눌러 숫자 "1"을 입력받고, 숫자 "2"를 나타내는 입력버튼(105)을 눌러 숫자 "2"를 입력받고, "3"을 나타내는 입력버튼(110)을 눌러 숫자 "3"을 입력받음으로써, 상기 문자-숫자열(101)인 "VICTORY123"을 모두 입력받게 된다. 한편, 상기 과정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처리되며 본 발명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상태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도 6에서는 영문자와 숫자를 입력하는 일실시예를 기재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특수문자를 입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는 키패드의 입력버튼에 설정되는 숫자, 영문자 및 특수문자를 나타내고 이를 처리하는 동작 및 제어처리변환 알고리즘을 본 발명과 같이 구현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는 영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에 한정하여 입력하는 과정이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키패드 구조, 작동방법 및 제어처리 변환알고리즘은 한국어 문자의 입력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영문자 및 숫자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부가적인 모드변환버튼, 선택지시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과정이 개시되어 있지만 응용되는 분야별로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고, 포인팅 디바이스의 역할, 방향버튼 및 다양한 응용예에 사용될수 있다. 응용되는 분야별로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적인 버튼은 본 발명의 개념을 이용하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의 범위는 상기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만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구조, 동작방식 및 제어처리변환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문자의 선택지시가 용이하며 모드변환버튼을 독립적으로 가지므로 변환과 입력의 연속적인 작용이 이루어진다.
또한, 복수개의 선택지시버튼을 이용함으로써 문자 입력버튼 누름 횟수의 감소와 작동 혼돈의 감소와 입력속도의 향상과 입력인식지연의 제거 등의 개선이 가능해 지며, 문자의 입력은 단말기가 한 문자의 인식을 위하여는 누름 동작간 어느 정도의 지연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포인팅 디바이스 역할, 전자게임 등에서 방향버튼 등으로 사용 가능하며 다수의 응용에서 효과 발휘할 수 있다.

Claims (14)

  1. 복수개의 문자를 나타내는 입력버튼과 다수의 기능버튼을 포함한 소형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에 있어서,
    단말기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문자의 입력을 위한 입력모드를 변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모드변환버튼;
    상기 단말기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각각의 입력버튼에 나타난 복수개의 문자 중 하나의 문자를 선택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시버튼; 및
    상기 모드변환버튼의 누름에 의해 특정 입력모드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입력모드하에서 특정 입력버튼에 나타난 복수개의 문자 중 하나의 문자를 선택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버튼과 상기 선택지시버튼의 누름에 의해 문자버튼에 포함된 하나의 특정 문자가 선택입력되며 상기 선택 입력된 데이터를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하고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변환버튼의 누름에 의해 숫자모드, 문자모드 및 특수문자모드가 순환적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입력모드 상태에서 입력할 문자를 나타내는 입력버튼을 누른 다음 상기 문자에 대응하는 선택지시버튼을 눌러 상기 문자를 선택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지시버튼은 문자모드 및 특수문자모드의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지시버튼은 상기 입력버튼에 나타난 문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지시버튼은 상기 입력버튼에 나타난 특수문자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지시버튼은 상기 입력버튼에 나타난 하나의 문자에 각각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8. 프로세서를 구비하며 복수개의 문자를 나타내는 입력버튼과 다수의 기능버튼을 포함한 소형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일측면에 상기 문자의 입력을 위한 입력모드를 변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모드변환버튼 및 각각의 입력버튼에 나타난 복수개의 문자 중 하나의 문자를 선택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시버튼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모드변환버튼을 이용하여 문자의 입력을 위한 입력모드를 변환하는 제2 단계;
    상기 변환된 입력모드 상태에서 입력할 문자를 나타내는 입력버튼을 누르는 제3 단계;
    상기 입력버튼에 나타난 문자의 순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시버튼 중 해당 선택지시버튼을 눌러 상기 입력버튼에 나타난 복수개의 문자 중 하나의 문자를 선택지시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선택 입력된 데이터를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하고 저장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의 작동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변환버튼의 누름에 의해 숫자모드, 문자모드 및 특수문자모드가 순환적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의 작동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지시버튼은 문자모드 및 특수문자모드의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의 작동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지시버튼은 상기 입력버튼에 나타난 문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의 작동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지시버튼은 상기 입력버튼에 나타난 특수문자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의 작동방법.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하나의 선택지시버튼은 상기 입력버튼에 나타난 하나의 문자에 각각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의 작동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태지시버튼은 상기 입력버튼 내 각각의 문자 및 특수문자와 일대일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의 작동방법.
KR1020010078508A 2001-12-12 2001-12-12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및 그의 작동방법 KR20030048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508A KR20030048570A (ko) 2001-12-12 2001-12-12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및 그의 작동방법
US10/126,220 US6919824B2 (en) 2001-12-12 2002-04-18 Keypad assembly with supplementary button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508A KR20030048570A (ko) 2001-12-12 2001-12-12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및 그의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570A true KR20030048570A (ko) 2003-06-25

Family

ID=19716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508A KR20030048570A (ko) 2001-12-12 2001-12-12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및 그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19824B2 (ko)
KR (1) KR2003004857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090B1 (ko) * 2005-11-02 2007-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739170B1 (ko) * 2004-12-31 200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데이터 변환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WO2013042910A1 (ko) * 2011-09-21 2013-03-28 Kim Ho-Sung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01448B1 (ko) * 2007-11-21 2014-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483170B1 (ko) * 2013-07-09 2015-01-26 김세일 간편 영문 입력 키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10616A (fi) * 2001-03-26 2002-09-27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y tietyn kohdan löytämiseksi indeksoidusta muistista
US7161579B2 (en) 2002-07-18 2007-01-09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Hand-held computer interactive device
US7623115B2 (en) 2002-07-27 2009-11-2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 input device
US7102615B2 (en) 2002-07-27 2006-09-0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an-machine interface using a deformable device
US7646372B2 (en) 2003-09-15 2010-01-1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direction detection when interfacing with a computer program
US8797260B2 (en) 2002-07-27 2014-08-0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Inertially trackable hand-held controller
US7883415B2 (en) 2003-09-15 2011-02-0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view of a scene being displayed according to tracked head motion
US8570378B2 (en) 2002-07-27 2013-10-29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three-dimensional movements of an object using a depth sensing camera
US8313380B2 (en) 2002-07-27 2012-11-2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Scheme for translating movements of a hand-held controller into inputs for a system
US7627139B2 (en) * 2002-07-27 2009-12-0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Computer image and audio processing of intensity and input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a computer program
US7760248B2 (en) 2002-07-27 2010-07-2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Selective sound source listening in conjunction with computer interactive processing
US8686939B2 (en) 2002-07-27 2014-04-0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input control
US9393487B2 (en) 2002-07-27 2016-07-19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Method for mapping movements of a hand-held controller to game commands
US9474968B2 (en) 2002-07-27 2016-10-25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America Llc Method and system for applying gearing effects to visual tracking
US9682319B2 (en) 2002-07-31 2017-06-20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Combiner method for altering game gearing
KR100630048B1 (ko) * 2002-11-14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7171498B2 (en) * 2003-01-09 2007-01-3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Alphanumeric keyboard input system using a game controller
US9177387B2 (en) 2003-02-11 2015-11-0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 time motion capture
US8072470B2 (en) 2003-05-29 2011-12-0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al-time three-dimensional interactive environment
US10279254B2 (en) 2005-10-26 2019-05-07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Controller having visually trackable object for interfacing with a gaming system
US8287373B2 (en) 2008-12-05 2012-10-1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Control device for communicating visual information
US7874917B2 (en) 2003-09-15 2011-01-2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depth and direction detection when interfacing with a computer program
US8323106B2 (en) 2008-05-30 2012-12-0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Determination of controller three-dimensional location using image analysis and ultrasonic communication
US9573056B2 (en) 2005-10-26 2017-02-21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Expandable control device via hardware attachment
US20080129552A1 (en) * 2003-10-31 2008-06-05 Iota Wireless Llc Concurrent data entry for a portable device
JP2007510234A (ja) * 2003-10-31 2007-04-19 イオタ・ワイアレス・エルエルシー 携帯デバイス用同時データ入力
US7663689B2 (en) 2004-01-16 2010-02-1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capture device settings through depth information
KR100598963B1 (ko) * 2004-02-25 2006-07-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기능 모드별 메뉴 제어 장치 및 방법
US8547401B2 (en) 2004-08-19 2013-10-0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Portable augmented reality device and method
US7454237B1 (en) * 2004-10-25 2008-11-18 Sprint Spectrum L.P. Pressure sensitive alphanumeric telephone keys
DE102005023959A1 (de) 2005-05-20 2006-11-23 Vodafone Holding Gmbh Mobiles Endgerät zur Nutzung in Telekommunikationsnetzen
KR101187579B1 (ko) 2005-11-01 2012-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WO2007052958A1 (en) * 2005-11-01 2007-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having display buttons and display method and medium for the device
KR100802620B1 (ko) * 2006-02-03 200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080233937A1 (en) * 2006-05-08 2008-09-25 Marja-Leena Nurmel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US8781151B2 (en) 2006-09-28 2014-07-1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Object detection using video input combined with tilt angle information
US8310656B2 (en) 2006-09-28 2012-11-1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Mapping movements of a hand-held controller to the two-dimensional image plane of a display screen
USRE48417E1 (en) 2006-09-28 2021-02-02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Object direction using video input combined with tilt angle information
KR100911145B1 (ko) * 2006-10-02 2009-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KR101122386B1 (ko) 2007-03-02 201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090104928A1 (en) * 2007-10-22 2009-04-2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entering data on such a device
US8542907B2 (en) 2007-12-17 2013-09-2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Dynamic three-dimensional object mapping for user-defined control device
CN103258184B (zh) 2008-02-27 2017-04-12 索尼计算机娱乐美国有限责任公司 用于捕获场景的深度数据并且应用计算机动作的方法
US8368753B2 (en) 2008-03-17 2013-02-0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Controller with an integrated depth camera
US20100097322A1 (en) * 2008-10-16 2010-04-22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touch screen operation
US8961313B2 (en) 2009-05-29 2015-02-2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Multi-positional three-dimensional controller
US8527657B2 (en) 2009-03-20 2013-09-0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ally adjusting update rates in multi-player network gaming
US8342963B2 (en) 2009-04-10 2013-01-0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control of artificial intelligence game characters
US8142288B2 (en) 2009-05-08 2012-03-27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Base station movement detection and compensation
US8393964B2 (en) 2009-05-08 2013-03-1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Base station for position location
WO2012149671A1 (zh) * 2011-04-30 2012-11-08 Liu Benlin 手持式组合按键装置以及由手持式组合按键装置输入信息的方法
US8760406B2 (en) * 2012-04-03 2014-06-24 Motorola Mobility Llc Edge to edge qwerty keypad for a handheld device
EP3084566A4 (en) * 2013-12-16 2017-07-26 Intel Corporation Typing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CN108540666B (zh) * 2018-04-10 2021-04-23 南昌黑鲨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及控制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170A (ko) * 1998-12-16 1999-03-25 김경덕 문자 입력이 용이한 키패드
KR19990081180A (ko) * 1998-04-27 1999-11-15 김경덕 문자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
KR20000044457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무선단말기의 키 운용 방법
KR20000047157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간단한문자입력기능을갖춘통신용단말기
KR200205575Y1 (ko) * 2000-07-07 2000-12-01 송기석 휴대폰 문자 입력 장치
KR200251301Y1 (ko) * 2001-08-04 2001-11-22 송기석 휴대폰 문자입력 장치의 문자 제어버튼 구조
KR20020096156A (ko) * 2001-06-18 2002-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506A (ko) 1995-08-09 1997-03-27 이영복 자동차 유압 자동제한 차동 기어 장치
US7439957B2 (en) * 2001-01-25 2008-10-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act universal keyboard
US6622025B2 (en) * 2001-09-28 2003-09-1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numbers
US6947028B2 (en) * 2001-12-27 2005-09-20 Mark Shkolnikov Active keyboard for handheld electronic gadgets
AUPS107202A0 (en) * 2002-03-13 2002-04-11 K W Dinn Holdings Pty Limited Improved device interfa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1180A (ko) * 1998-04-27 1999-11-15 김경덕 문자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
KR19990024170A (ko) * 1998-12-16 1999-03-25 김경덕 문자 입력이 용이한 키패드
KR20000044457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무선단말기의 키 운용 방법
KR20000047157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간단한문자입력기능을갖춘통신용단말기
KR200205575Y1 (ko) * 2000-07-07 2000-12-01 송기석 휴대폰 문자 입력 장치
KR20020096156A (ko) * 2001-06-18 2002-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방법
KR200251301Y1 (ko) * 2001-08-04 2001-11-22 송기석 휴대폰 문자입력 장치의 문자 제어버튼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170B1 (ko) * 2004-12-31 200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데이터 변환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11090B1 (ko) * 2005-11-02 2007-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401448B1 (ko) * 2007-11-21 2014-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WO2013042910A1 (ko) * 2011-09-21 2013-03-28 Kim Ho-Sung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83170B1 (ko) * 2013-07-09 2015-01-26 김세일 간편 영문 입력 키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07500A1 (en) 2003-06-12
US6919824B2 (en) 2005-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48570A (ko)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및 그의 작동방법
KR100464115B1 (ko) 키입력장치
EP1980953B1 (en) Character input device
JP2009259262A (ja) キーボード配置
JP2007517294A (ja) キーボード配置
JP2007141249A (ja) キーボード配置
US6847310B1 (en) Keyboard
KR20120057735A (ko) 한글과 영문 등의 문자 입력이 용이한 스마트폰용 면촉 자판 및 컴퓨터 키보드
WO2003107632A1 (ja) 電子機器
KR100530490B1 (ko)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인접 키 입력 방식의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1046660B1 (ko)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765218B1 (ko) 문자/숫자/기호의 입력과 출력을 요하는 전자기기의입력장치
JP4043396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60109578A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쿼티 키패드 문자입력모드 전환방법
KR100415728B1 (ko) 특정키버튼을 이용한 글자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휴대전화기
JP2003015805A (ja) 携帯端末、及びその文字入力方法
KR1006972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KR20040003092A (ko) 새로운 확장형 키패드를 통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60026830A (ko) 휴대용 키패드 시스템
JP2000244623A (ja) 携帯電話
KR1011116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91577B1 (ko) 방위형 문자 입력 장치
KR100251719B1 (ko) 감소된수의버튼을가지는키폰시스템의문자입출력장치
KR2005005884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방향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JP2002251252A (ja) 携帯電話機、並びにその文字入力方法、及びその文字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