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1180A - 문자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1180A
KR19990081180A KR1019980014977A KR19980014977A KR19990081180A KR 19990081180 A KR19990081180 A KR 19990081180A KR 1019980014977 A KR1019980014977 A KR 1019980014977A KR 19980014977 A KR19980014977 A KR 19980014977A KR 19990081180 A KR19990081180 A KR 19990081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number button
input key
sequentially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덕
윤영석
Original Assignee
김경덕
윤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덕, 윤영석 filed Critical 김경덕
Priority to KR1019980014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1180A/ko
Publication of KR19990081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180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0 내지 9의 숫자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숫자 버튼에 복수개의 문자 요소를 할당하고 복수개의 문자 요소중에서 첫 번째 요소를 선택하기 위한 제 1입력키와, 상기 숫자 버튼에 할당된 복수개의 문자 요소중 두 번째 요소를 선택하기 위한 제 2입력키와, 상기 숫자 버튼에 할당된 복수개의 문자 요소중 세 번째 요소를 선택하기 위한 제 3입력키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키패드에 의하면 용이하게 문자를 형성하여 전송할 수 있고, 인터넷 메일 등 전자 메일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문자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
본 발명은 문자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키를 이용하여 숫자 버튼과의 조합에 의해 문자를 형성할 수 있는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전자식 전화기중 특히 표시창을 가진 키폰이나 휴대폰 등에서 숫자 버튼에 문자 요소(A, B, C……, Z)를 할당하고 이들 숫자 버튼을 눌러서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화기 또는 팩시밀리를 사용하여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고 저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 버튼의 세가지 문자 요소를 시간의 지연에 의해 커서를 이동시키면서 해당 키의 입력 횟수에 의해 요소를 선택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숫자 버튼 2에 A, B, C 의 알파벳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 A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숫자 버튼 2를 1회 누르고, B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숫자 버튼 2회를 연속해서 누르고, C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숫자 버튼 2를 3회 누른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해당 버튼을 반복해서 수차례 입력하는 방법은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실수로 잘못 입력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 셀룰라폰이나 무선호출기와 같은 이동통신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기기로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해당 이동통신기기에 문자를 전송하기 위해서 입력자는 키보드를 통해 컴퓨터를 사용하여 문자를 형성한 후 이를 전송하거나, 통신사업자에게 전화를 걸어 오퍼레이터에게 원하는 문장을 구술한 후 오퍼레이터가 서버 컴퓨터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일반 전화기나 셀룰라폰의 키패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문자 요소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실제로 문장을 구성하기가 어려워 실제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글자 요소의 선택이 용이한 키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글자 요소를 선택하는 입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글자를 형성하여 목적지 전화번호로 전송할 수 있는 키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인터넷 메일을 송수신할 수 있는 키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문자 입력키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문자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파벳 문자판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키패드의 숫자 및 기호에 따라 규정된 DTMF 주파수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문자판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문자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0 내지 9의 숫자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숫자 버튼에 복수개의 문자 요소를 할당하고 복수개의 문자 요소중에서 첫 번째 요소를 선택하기 위한 제 1입력키와, 상기 숫자 버튼에 할당된 복수개의 문자 요소중 두 번째 요소를 선택하기 위한 제 2입력키와, 상기 숫자 버튼에 할당된 복수개의 문자 요소중 세 번째 요소를 선택하기 위한 제 3입력키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전화기 또는 팩시밀리는 DTMF 톤에 의해 각 숫자마다 고유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발생하고 전화교환기에 의해 인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화기 또는 팩시밀리의 키패드는 0 내지 9 및 *(별표) 및 #(사프)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숫자 버튼마다 문자 요소가 할당된다.
알파벳의 경우에 숫자 버튼 2에는 A, B 및 C 가 할당되어 있고, 3에는 D, E 및 F, 4에는 G, H, 및 I, 5에는 J, K 및 L, 6에는 M, N 및 O, 7에는 P, R 및 S, 8에는 T, U 및 V, 9에는 W, X 및 Y가 할당되어 규약으로 정해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숫자 버튼 1에 ·(마침표), Q 및 Z를 할당하고, 숫자 버튼 0에 @(at), -(dash) 및 →(커서를 우측으로 이동하여 여백을 형성함, 타자기나 키보드의 스페이스바에 해당)를 할당한다(도 1참조).
또한 문자입력키로서 1 내지 3개의 키를 제공하며, 이들 키는 각각 DTMF 톤의 규약상 A, B 및 C 톤으로 규정된 버튼과 대응하도록 한다. 즉, 제 1입력키는 DTMF A톤, 제 2입력키는 DTMF B톤, 제 3입력키는 DTMF C톤을 사용하며, DTMF D톤은 숫자와 문자의 전환을 위한 전환키로 사용된다.
DTMF 0 내지 9 및 A 내지 D 톤은 국제 규약으로 정해져 있으며, 그 주파수는 1(697㎐, 1209㎐), 2(697㎐, 1336㎐), 3(697㎐, 1477㎐), 4(770㎐, 1209㎐), 5(770㎐, 1336㎐), 6(770㎐, 1477㎐), 7(852㎐, 1209), 8(852㎐, 1336㎐), 9(852㎐, 1477㎐), *(941㎐, 1209㎐), 0(941㎐, 1336㎐), #(941㎐, 1477㎐), A(697㎐, 1633㎐), B(770㎐, 1633㎐), C(852㎐, 1633㎐) 및 D(941㎐, 1633㎐)으로 되어 있다(도 2참조)
본 발명에 따라서, 각 숫자 버튼마다 3개의 문자 요소가 할당되어 A, B 및 C 의 입력키마다 한 개의 문자 요소가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컨대 숫자 버튼 1에 할당된 "SUN"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7C8B6B를 차례로 입력함으로써 전화기 또는 팩시밀리의 키패드를 사용하여 문자를 형성하고 이를 전송할 수 있다(도 1참조).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를 구비한 전화기 또는 팩시밀리을 이용해서 인터넷 메일(email)을 보낼 수 있다. 예컨대 인터넷 메일의 주소가 "abc123@uu.net"인 경우에, 본 발명의 키패드를 사용하여 "2A2B2C1D2D3D0A8B8B1A6B3B8A"를 차례로 누름으로써 상기 인터넷 메일의 주소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문자 입력 도중에 숫자를 입력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숫자 버튼을 먼저 누르고 이어서 D 버튼을 누르면 문자와 숫자가 혼합된 문장도 쉽게 형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숫자 버튼 2 내지 9에 할당되는 알파벳은 국제 규격에 의하여 규정되어 있고, 숫자 0 및 1에 할당되는 알파벳은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숫자 1에는 ·(마침표), Q 및 Z를 할당하고 숫자 0에는 @, -(dash) 및 →를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 표시는 커서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면서 여백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키패드를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가급적 자신이 형성한 문자, 단어 및 문장이 뜻하는대로 형성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싶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키패드를 갖춘 전화기 또는 팩시밀리에는 표시창(LCD)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단어 및 문장이 LCD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정확한 키 입력을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키폰이나 셀룰라폰 또는 팩시밀리에는 LCD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문자의 입력을 표시할 수 있고, 일반 전화기에 본 발명의 키패드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표시창과 함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숫자 버튼 1 에 할당되는 문자 요소를 ·(마침표), Q 및 Z로, 숫자 버튼 0에 할당되는 문자 요소를 @, - 및 →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이들 문자 요소를 다른 것으로 바꾸거나 그 순서를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특히 사용하는 기기의 사용 목적에 따라 인터넷, 전자 상거래 등 필요한 상황이나 환경에 적합하게 문자 요소를 할당하여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를 사용하여 상술한 알파벳 이외에 한글은 물론 그밖에 다른 문자 요소를 할당하여 문자, 단어 및 문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단순히 문자 요소를 무엇으로 규정할 것인가 하는 선택의 문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한글의 경우에, 숫자 버튼 1에 순차적으로 ㄱ, ㄴ 및 ㄷ을, 숫자 버튼 2에 ㄹ, ㅁ 및 ㅂ을, 숫자 버튼 3에 ㅅ, ㅇ 및 ㅈ을, 숫자 버튼 4에 ㅊ, ㅋ 및 ㅌ를, 숫자 버튼 5에 ㅍ, ㅎ 및 ·(마침표)를, 숫자 버튼 6에 ㅏ, ㅑ 및 ㅓ를, 숫자 버튼 7에 ㅕ, ㅗ 및 ㅛ를, 숫자 버튼 8에 ㅜ, ㅠ 및 ㅡ를, 숫자 버튼 9에 ㅣ, ㅐ 및 ㅔ를, 숫자 버튼 0에 ㅒ, ㅖ 및 →(우측으로 커서 이동)를 할당할 수 있다. 다만, 이들 문자 요소의 순서나 배열은 사용빈도나 사용상 편의를 고려하여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이들 한글의 글자 요소는 앞서 설명한 문자 입력키 1 내지 3과 제 4입력키를 사용하여 원하는 글자 및 숫자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 따라 이들 한글의 문자 요소를 선택하여 이들을 한글 2벌식에 따라 임의의 글자를 조합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조합형으로서 어떠한 문자의 형성도 한글 2벌식 타자 방법에 따라 가능한 것이다.
특히 영문자와 혼합된 단어나 문장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 4입력키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숫자마다 한글 및 영어의 글자 요소를 동시에 할당하고 문자 입력 상태에서 영어를 입력하다가 숫자를 입력할 때는 해당 숫자 버튼과 숫자 전환키(DTMF D)를 누르고, 다시 한글을 입력할 때는 제 4입력키를 연속 2회 입력함으로써 글자판의 모드를 한글로 전환하여 한글을 입력하도록 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다시 제 4입력키를 2회 연속 누르면 글자판이 다시 영문으로 전환되어 영문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전환키(DTMF D)는 일종의 모드 선택키로 구성하여 필요한 글자판이나 모드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글 문자 요소를 배당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4는 숫자 버튼 1에 순차적으로 ㄱ, ㄴ 및 ㄷ를, 숫자 버튼 2에 ㄹ, ㅁ 및 ㅂ을, 숫자 버튼 3에 ㅅ, ㅇ 및 ㅈ을, 숫자 버튼 4에 ㅊ, ㅋ 및 ㅌ를, 숫자 버튼 5에 ㅍ, ㅎ 및 ·(마침표)를, 상기 숫자 버튼 6에 ㅏ, ㅑ 및 ㅓ를, 숫자 버튼 7에 ㅕ, ㅗ 및 ㅛ를, 숫자 버튼 8에 ㅜ, ㅠ 및 ㅡ를, 숫자 버튼 9에 ㅣ, ? 및 !를, 숫자 버튼 0에 &, →(우측으로 커서 이동) 및 ←(좌측으로 커서를 이동)를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복모음인 "ㅒ"는 "ㅐ" + "ㅣ"를 연속 입력하고, "ㅖ"는 "ㅔ" + "ㅣ"를 입력하여 글자를 형성하도록 한다. 특히 글자 요소 이외에, ?, !, &, → 및 ←는 단지 한글을 표현하는데 자주 사용되는 기호를 표시한 것이며, 사용 환경이나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필요한 다른 기호를 할당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버튼의 배열은 제조 및 사용상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4×4의 형태로서 제 1행에서 숫자 버튼 1, 숫자 버튼 2, 숫자 버튼 3 및 상기 제 1입력키로 형성되고, 제 2행에서 숫자 버튼 4, 숫자 버튼 5, 숫자 버튼 6 및 상기 제 2입력키로 형성되고, 제 3행에서 숫자 버튼 7, 숫자 버튼 8, 숫자 버튼 9 및 상기 제 3입력키로 형성되고, 제 4행에서 *(별표) 버튼 1, 숫자 버튼 0, #(샤프) 버튼 3 및 상기 제 4입력키로 형성할 수 있다.
버튼을 3행×5열 형태로 배열하는 경우에, 제 1행에서 숫자 버튼 1, 숫자 버튼 2 및 숫자 버튼 3으로 형성되고, 제 2행에서 숫자 버튼 4, 숫자 버튼 5 및 숫자 버튼 6로 형성되고, 제 3행에서 숫자 버튼 7, 숫자 버튼 8 및 숫자 버튼 9로 형성되고, 제 4행에서 *(별표) 버튼 1, 숫자 버튼 0 및 #(샤프) 버튼 3로 형성되고 제 5행에서 상기 제 1입력키, 상기 제 2입력키, 상기 제 3입력키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키패드 배열에 하단으로 1행의 입력키 배열을 추가하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제 4입력키(숫자 전환키)는 임의의 위치에 편리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 0 내지 9의 숫자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숫자 버튼마다 복수개의 문자 요소를 순차로 배열하고, 상기 숫자 버튼에 배열된 첫 번째 요소를 선택하기 위해서 해당 숫자 버튼을 입력한 후 제 1입력키를 입력하고, 상기 숫자 버튼에 배열된 두 번째 요소를 선택하기 위해서 해당 숫자 버튼을 입력한 후 제 2입력키를 입력하고, 상기 숫자 버튼에 배열된 세 번째 요소를 선택하기 위해서 해당 숫자 버튼을 입력한 후 제 3입력키를 입력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숫자 버튼마다 복수개의 문자 요소, 바람직하게는 3개의 문자 요소를 순차로 배열한 후 첫 번째 요소의 선택을 위해서는 해당 숫자 버튼을 누르고 다시 제 1입력키를 누르고, 두 번째 요소를 선택하기 위해서 해당 숫자 버튼을 입력한 후 제 2입력키를 입력하고, 세 번째 요소를 선택하기 위해서 해당 숫자 버튼을 입력한 후 제 3입력키를 입력한다. 만일 숫자 버튼마다 4개의 문자 요소를 할당하는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는 입력키가 구비되어 그 요소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패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목적지 인터넷 메일주소(email) 및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입력하고 이를 전화선으로 전송하는 경우에 전화를 받은 원격지의 서버 컴퓨터가 목적지 인터넷 메일주소로 입력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인터넷 메일 이외에 특정 통신회사가 제공하는 통신 메일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자가 본 발명의 키패드를 사용하여 원격지에 설치된 서버 시스템으로 자신의 인터넷 메일주소를 전송하면, 서버 컴퓨터는 해당 주소에 수신된 인터넷 메일을 검색하여 전화를 건 단말기(전화기, 팩시밀리, 셀룰라폰 등)로 검색된 메일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키패드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전자 메일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키패드를 갖춘 단말기를 사용하여 문자를 형성한 경우에 이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우선 목적지 전화번호나 서버 시스템으로 전화를 걸고 원하는 메시지를 형성한 다음 전송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전송을 달성할 수 있다. 전송 명령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구성할 수 있으며, 예컨대 A 및 B 버튼을 동시에 입력하는 방법 등을 취할 수 있다.
이상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에 따르면 빠르고 쉽게 문자를 입력하여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오퍼레이터를 경유하지 않고도 무선호출기로 문자를 스스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인터넷 메일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키패드가 채용된 일반 전화기나 공중전화기를 사용해서도 목적지로 문자를 전송하거나 전자 메일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3)

  1. 0 내지 9의 숫자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숫자 버튼에 복수개의 문자 요소를 할당하고 복수개의 문자 요소중에서 첫 번째 요소를 선택하기 위한 제 1입력키와,
    상기 숫자 버튼에 할당된 복수개의 문자 요소중 두 번째 요소를 선택하기 위한 제 2입력키와,
    상기 숫자 버튼에 할당된 복수개의 문자 요소중 세 번째 요소를 선택하기 위한 제 3입력키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문자 요소가 3개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 1입력키가 DTMF A버튼이고, 상기 제 2입력키가 DTMF B버튼이고, 상기 제 3입력키가 DTMF C버튼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 버튼 1에 할당된 문자 요소가 한글의 순차적으로 ㄱ, ㄴ 및 ㄷ 이고, 상기 숫자 버튼 2에 할당된 문자 요소가 순차적으로 ㄹ,ㅁ 및 ㅂ 이고, 상기 숫자 버튼 3에 할당된 문자 요소가 순차적으로 ㅅ, ㅇ 및 ㅈ 이고, 상기 숫자 버튼 4에 할당된 문자 요소가 순차적으로 ㅊ, ㅋ 및 ㅌ 이고, 상기 숫자 버튼 5에 할당된 문자 요소가 순차적으로 ㅍ, ㅎ 및 ·(마침표) 이고, 상기 숫자 버튼 6에 할당된 문자 요소가 순차적으로 ㅏ, ㅑ 및 ㅓ 이고, 상기 숫자 버튼 7에 할당된 문자 요소가 순차적으로 ㅕ, ㅗ 및 ㅛ 이고, 상기 숫자 버튼 8에 할당된 문자 요소가 순차적으로 ㅜ, ㅠ 및 ㅡ 이고, 상기 숫자 버튼 9에 할당된 문자 요소가 순차적으로 ㅣ, ㅐ 및 ㅔ 이고, 상기 숫자 버튼 0에 할당된 문자 요소가 순차적으로 ㅒ, ㅖ 및 →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의 문자 요소를 사용하여 한글 2벌식으로 글자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 버튼 1에 할당된 문자 요소가 순차적으로 알파벳 ·(마침표), Q 및 Z 이고, 상기 숫자 버튼 2에 할당된 문자 요소가 순차적으로 A, B 및 C 이고, 상기 숫자 버튼 3에 할당된 문자 요소가 순차적으로 D, E 및 F 이고, 상기 숫자 버튼 4에 할당된 문자 요소가 순차적으로 G, H 및 I 이고, 상기 숫자 버튼 5에 할당된 문자 요소가 순차적으로 J, K 및 L 이고, 상기 숫자 버튼 6에 할당된 문자 요소가 순차적으로 M, N 및 O 이고, 상기 숫자 버튼 7에 할당된 문자 요소가 순차적으로 P, R 및 S 이고, 상기 숫자 버튼 8에 할당된 문자 요소가 순차적으로 T, U 및 V 이고, 상기 숫자 버튼 9에 할당된 문자 요소가 순차적으로 W, X 및 Y이고, 상기 숫자 버튼 0에 할당된 문자 요소가 @, -(대쉬) 및 →(커서 우측 이동) 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7. 제 1 항에 있어서, 문자 요소의 선택으로부터 숫자의 선택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 4입력키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입력키가 DTMF D톤 버튼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배열이 제 1행에서 숫자 버튼 1, 숫자 버튼 2, 숫자 버튼 3 및 상기 제 1입력키로 형성되고, 제 2행에서 숫자 버튼 4, 숫자 버튼 5, 숫자 버튼 6 및 상기 제 2입력키로 형성되고, 제 3행에서 숫자 버튼 7, 숫자 버튼 8, 숫자 버튼 9 및 상기 제 3입력키로 형성되고, 제 4행에서 *(별표) 버튼, 숫자 버튼 0, #(샤프) 버튼 및 상기 제 4입력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배열이 제 1행에서 숫자 버튼 1, 숫자 버튼 2 및 숫자 버튼 3으로 형성되고, 제 2행에서 숫자 버튼 4, 숫자 버튼 5 및 숫자 버튼 6로 형성되고, 제 3행에서 숫자 버튼 7, 숫자 버튼 8 및 숫자 버튼 9로 형성되고, 제 4행에서 *(별표) 버튼 1, 숫자 버튼 0 및 #(샤프) 버튼 3로 형성되고 제 5행에서 상기 제 1입력키, 상기 제 2입력키 및 상기 제 3입력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11. 0 내지 9의 숫자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숫자 버튼마다 복수개의 문자 요소를 순차로 배열하고,
    상기 숫자 버튼에 배열된 첫 번째 요소를 선택하기 위해서 해당 숫자 버튼을 입력한 후 제 1입력키를 입력하고,
    상기 숫자 버튼에 배열된 두 번째 요소를 선택하기 위해서 해당 숫자 버튼을 입력한 후 제 2입력키를 입력하고,
    상기 숫자 버튼에 배열된 세 번째 요소를 선택하기 위해서 해당 숫자 버튼을 입력한 후 제 3입력키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를 사용하여 목적지 전자 메일주소 및 메시지를 원격지에 설치된 서버 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전자 메일을 발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인터넷 메일주소를 원격지에 설치된 서버 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해당 전자 메일을 검색 및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14977A 1998-04-27 1998-04-27 문자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 KR19990081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977A KR19990081180A (ko) 1998-04-27 1998-04-27 문자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977A KR19990081180A (ko) 1998-04-27 1998-04-27 문자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180A true KR19990081180A (ko) 1999-11-15

Family

ID=6589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977A KR19990081180A (ko) 1998-04-27 1998-04-27 문자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1180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157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간단한문자입력기능을갖춘통신용단말기
KR20000049639A (ko) * 2000-04-19 2000-08-05 김명수 전화기 번호판을 이용한 한글문자 표현방법
KR100349976B1 (ko) * 2000-04-28 2002-08-23 주식회사 언어과학 단축형 키패드를 사용한 영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30048570A (ko) * 2001-12-12 2003-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및 그의 작동방법
KR20040027197A (ko) * 2002-09-27 2004-04-01 김준모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517029B1 (ko) * 2000-01-17 2005-09-26 김민겸 한국어 자모 입력방법
KR100513007B1 (ko) * 1998-08-19 200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기에서 이메일 어드레스 입력 방법
KR100680579B1 (ko) * 2001-01-08 2007-02-15 김민겸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848727B1 (ko) * 2000-01-17 2008-07-25 김민겸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855410B1 (ko) * 2000-01-17 2008-08-29 김민겸 키패드에서의 한국어를 포함한 글자 입력방법
WO2013042910A1 (ko) * 2011-09-21 2013-03-28 Kim Ho-Sung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30265236A1 (en) * 2012-04-05 2013-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to a display device via a remote control device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007B1 (ko) * 1998-08-19 200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기에서 이메일 어드레스 입력 방법
KR20000047157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간단한문자입력기능을갖춘통신용단말기
KR100855410B1 (ko) * 2000-01-17 2008-08-29 김민겸 키패드에서의 한국어를 포함한 글자 입력방법
KR100517029B1 (ko) * 2000-01-17 2005-09-26 김민겸 한국어 자모 입력방법
KR100848727B1 (ko) * 2000-01-17 2008-07-25 김민겸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49639A (ko) * 2000-04-19 2000-08-05 김명수 전화기 번호판을 이용한 한글문자 표현방법
KR100349976B1 (ko) * 2000-04-28 2002-08-23 주식회사 언어과학 단축형 키패드를 사용한 영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680579B1 (ko) * 2001-01-08 2007-02-15 김민겸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48570A (ko) * 2001-12-12 2003-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및 그의 작동방법
US6919824B2 (en) 2001-12-12 2005-07-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Keypad assembly with supplementary button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040027197A (ko) * 2002-09-27 2004-04-01 김준모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13042910A1 (ko) * 2011-09-21 2013-03-28 Kim Ho-Sung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284771B1 (ko) * 2011-09-21 2013-07-17 김호성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3814344A (zh) * 2011-09-21 2014-05-21 金浩圣 用于在移动终端中输入文字的装置及方法
JP2014530423A (ja) * 2011-09-21 2014-11-17 キム,ホソン 携帯端末における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US20130265236A1 (en) * 2012-04-05 2013-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to a display device via a remote contro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2599A (en) Telephone communications system for the deaf
US6483913B1 (en) Method for interactively entering alphanumeric text into a multiline display device using a keypad
RU2004118850A (ru) Переносное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клавиатурой
US20100283638A1 (en) World's fastest multi-tap phone and control means
KR19990081180A (ko) 문자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
CA2094547C (en) Dialing apparatus for displaying stored character with reduced key operations
KR19990024170A (ko) 문자 입력이 용이한 키패드
US20060029211A1 (en) Enhanced User Functionality from a Telephone Device to an IP Network
US6243460B1 (en) Telephone with character keypad
KR1007695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자모 배치구조
KR1003704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20030000712A (ko) 지에스엠 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 키 패드 배열방법및 영문 키패드
WO2005022370A1 (en) Method of inputting alphanumeric codes by means of 12 keys
US20070279255A1 (en) Character entry and display method for use with a keypad
WO200109142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lphanumeric data
KR100378986B1 (ko) 전화기의 키패드와 문자입력방법
CN101226428A (zh) 适合遥控器和手持设备的中英文键盘和相应输入方法
KR20000041317A (ko) 한글 영문 입력장치
KR100339341B1 (ko) 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983727B1 (ko) 휴대폰의 영어 문자 입력방법
KR19980059494U (ko) 전화기숫자판 - 한글 영문 입력방식
CN101621556A (zh) 五行六列三十个字符按键的全字母手机键盘
KR1011116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84424B1 (ko) 숫자 입력 겸용 문자 입력 자판
KR1007959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