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7157A - 간단한문자입력기능을갖춘통신용단말기 - Google Patents

간단한문자입력기능을갖춘통신용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7157A
KR20000047157A KR1019980063940A KR19980063940A KR20000047157A KR 20000047157 A KR20000047157 A KR 20000047157A KR 1019980063940 A KR1019980063940 A KR 1019980063940A KR 19980063940 A KR19980063940 A KR 19980063940A KR 20000047157 A KR20000047157 A KR 20000047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character
button
key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용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80063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7157A/ko
Publication of KR20000047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15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용 단말기의 키입력부에 소정의 문자입력 전환키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간단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간단한 문자입력기능을 갖춘 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각의 키버튼에 한글과 영문의 제1문자와, 제2문자 및, 제3문자가 표기되고, 상기 문자들의 입력을 위한 제1전환키, 제2전환키 및 제3전환키를 구비하여, 각 키버튼에 표기된 문자입력시, 제1전환키를 입력하고 임의의 키버튼을 입력하면 키버튼의 제1문자가 입력되고, 제2전환키를 입력하고 임의의 키버튼을 입력하면 제2문자가 입력되며, 제3전환키를 입력하고 임의의 키버튼을 입력하면 제3문자가 입력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 제3전환키의 입력이 없고 한글입력모드일 경우, 임의의 키버튼을 입력하면 한글의 모음문자가 입력되고, 상기 제1, 제2, 제3전환키의 입력이 없고 영문입력모드일 경우, 임의의 키버튼을 입력하면 숫자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용 단말기에서 문자입력을 용이하게 실행할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게 된다.

Description

간단한 문자입력기능을 갖춘 통신용 단말기
본 발명은 문자입력기능을 갖춘 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용단말기의 키입력부에 소정의 문자입력 전환키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간단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간단한 문자입력기능을 갖춘 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이나 전화기 등의 통신용 단말기들은 대부분 다이얼버튼에 한글이나 영문을 표기하여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통해 발신자의 이름을 입력한다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이름을 메모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수행하고 있다.
도 1은 상기한 문자입력기능이 적용된 통신용 단말기 중 일반적인 전화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은 외부 국선 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국선접속포트이고, 2는 상기 국선접속포트(1)를 통해 인가되는 링신호를 감지하는 링신호감지부, 3은 인가된 링신호를 근거로 소정의 전화벨소리를 출력하는 링 발생부, 4는 통화로의 접속여부 및 장치 내·외부로 입출력되는 통신신호 전반의 인터페이스기능을 수행하는 루프(loop)회로로서, 이 루프회로(4)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대국과의 접속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국선접속감지부와 장치간 신호의 인터페이스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참조번호 5는 송수화기이고, 6은 송수화기(5)의 들거나 놓음에 따라 연동되어 통화로를 온 또는 오프하는 훅스위치, 7은 상기 루프회로(4)를 거쳐 상대 단말기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는 기능과 측음(side tone)에 대한 신호처리 등을 수행하는 네트워크회로, 8은 단축다이얼 기능 등 전화기의 통상적인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또한, 참조번호 9는 각각의 숫자키에 한글모음 또는 자음이 표기되고, 한글문자의 입력기능을 위한 기능키(9a)와 실행데이터를 설정 등록하기 위한 등록키(9b) 및 입력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키(9c)가 구비된 키패드이다.
그리고, 상기 키패드(9)의 문자 배치구성을 도 2를 통해 도시한 바, 이는 하나의 키버튼에 한글 또는 영문 문자의 자소가 다수개로 배치되고, 다수의 자소는 그 알파벳 순서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참조번호 10은 문자 입력기능 실행을 제어함과 더불어 장치전반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고, 11은 상기 키패드(9)를 통해 입력된 소정키 입력에 대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DTMF(Dual Tone Multi-Frequency)신호를 출력하는 DTMF발생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12는 상기 키패드(9)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게 되면 입력된 문자와 이에 대응되는 설정된 전화번호를 표시함과 더불어 오프훅 상태일 때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DTMF신호를 송출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이다.
또한, 참조번호 13은 문자 입력기능이 선택되면 상태플래그를 셋트하는 플래그 레지스터, 14는 상기 키패드(9)를 통해 설정된 문자와 전화번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등록정보저장부, 15는 전화기의 현재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CD표시부, 16은 문자 입력기능에 관한 안내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안내메시지저장부, 17은 이 안내메시지저장부(1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신호로 출력하거나 반대로 상기 네트워크회로(7)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코드화하는 코덱(CODEC:COder-DECoder), 18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제어에 따라 코덱(17)으로부터 입출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탈신호처리프로세서(DSP:Digital Signal Processor)이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문자입력기능을 구비한 전화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9)를 통해 이용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등록 설정하게 되는 바,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패드(9)에 구비된 기능키(9a)가 눌려지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상기 프로그램메모리(12)의 프로그램에 따라 플래그 레지스터(13)의 상태플래그를 '1'로 셋트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DSP(18)를 제어하여 안내메시지저장부(16)로부터 예컨대, "이름과 전화번호를 새로 등록하고자 할 경우 이름과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등록키를 누르시고, 그렇지 않을경우 원하시는 이름을 입력하여 주십시요"라는 음성데이터를 독출하여 코덱(17)을 통해 코드변환하고 네트워크회로(7)와 송수화기(5)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청음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상대방의 이름과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등록키(9b)가 입력되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입력된 문자로 된 이름과 이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등록정보저장부(14)에 저장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표시부(15)를 통해 등록되는 이름과 전화번호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기가 등록하는 이름과 전화번호를 올바르게 등록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문자의 등록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는 하나의 키버튼에 영문 또는 한글의 자음이나 모음의 문자가 다수로 표기되고 그 자소가 알파벳 순서에 따라 표기되는데, 예컨대 한글입력모드에서 임의의 키버튼을 1회 누르게 되면 키버튼에 표기된 한글문자 중 첫 번째 한글문자가 입력되고, 2회 누르게 되면 두 번째 한글문자가 입력되며, 3회 누르게 되면 세 번째 한글자소가 입력되게 된다.
즉, "대우통신 3779-7835"를 입력 설정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가 키패드(9)의 기능키(9a)를 누르게 됨으로 한글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플래그 레지스터(13)를 한글입력모드로 셋팅하여 키패드(9)의 한글 자소가 입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어, 사용자는 키패드(9)를 통해 '2'번 버튼을 1회, '6'번 버튼을 2회씩 차례로 누르고(대), '4'번 버튼 2회와 '9'번 버튼을 1회 입력하며(우), '3'번 버튼을 3회 '8'버튼 2회 '4'번 버튼 2회를 입력하고(통), '4'번 버튼 1회 '0'번 버튼 1회 '1'번 버튼 2회를 입력(신)하게 됨으로써 입력된 '대우통신'이라는 문자가 표시부(15)를 통해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대우통신' 문자 입력에 이어, 이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숫자키를 이용하여 입력하게 되고, 그 현황이 표시부(15)를 통해 표시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등록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입력한 데이터를 확인하면 등록키(9b)를 입력함으로써 상기한 데이터가 저장 등록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등록키(9b)가 입력되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상기 입력된 '대우통신 3779-7737' 데이터를 등록정보저장부(14)에 소정의 데이터로 저장해 두게 되고, 플래그 레지스터(13)의 상태플래그를 리셋트하여 문자입력 모드를 해제하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한 키패드 구성으로 된 전화기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게 될 경우, 하나의 키버튼을 여러번 키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한글문자의 경우 자소배치가 글자를 이루기 쉬운 구성으로 되지 않고 알파벳 순서에 따라 배치 구성되어 있으므로, 문자 입력시 곧바로 찾아 입력하기에는 다소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통신용 단말기의 키입력부에 소정의 문자입력 전환키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간단하게 문자를 입력할수 있도록 된 간단한 문자입력기능을 갖춘 통신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전화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2는 도 1의 키패드(9) 구성을 나타낸 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단한 문자입력기능을 갖춘 통신용 단말기의 키입력부(30) 구성을 나타낸 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단한 문자입력기능을 갖춘 통신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8 : 메모리 9 : 키패드
10 : 마이크로프로세서 13 : 플래그레지스터
14 : 등록정보저장부 15,43 : 표시부
30 : 키입력부 31 : 제1전환키
32 : 제2전환키 33 : 제3전환키
34 : 한/영입력키 41 : 모드상태저장부
42 : 키입력데이터저장부 44 : 전화회로
45 : 제어부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간단한 문자입력기능을 갖춘 통신용 단말기는 각각의 키버튼에 한글과 영문의 제1문자와, 제2문자 및, 제3문자가 표기되고, 한글과 영문입력을 위한 한/영입력키, 문자입력기능을 위한 제1전환키, 제2전환키 및 제3전환키를 구비하여, 각 키버튼에 표기된 문자입력시, 제1전환키를 입력하고 임의의 키버튼을 입력하면 키버튼의 제1문자가 입력되고, 제2전환키를 입력하고 임의의 키버튼을 입력하면 제2문자가 입력되며, 제3전환키를 입력하고 임의의 커버튼을 입력하면 제3문자가 입력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 제3전환키의 입력이 없고 한글입력모드일 경우, 임의의 키버튼을 입력하면 한글의 모음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 제3전환키의 입력이 없고 영문입력모드일 경우, 임의의 키버튼을 입력하면 숫자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키버튼에 한글문자의 모음문자 키배열은 모든 키버튼의 중앙에 있는 키버튼을 기준으로 모음문자의 형상을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키버튼에 한글문자의 자음문자 키배열은 숫자 키버튼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에 따라 자음의 알파벳 순서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자입력장치는 제1전환키와 제2전환키 및 제3전환키를 입력하여 전환된 문자입력모드를 저장하는 모드상태저장부와, 각각의 키버튼에 설정된 한글과 영문의 제1문자와 제2문자, 제3문자 및 숫자 등이 매칭되어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는 키입력데이터저장부, 입력된 문자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제1전환키와 제2전환키 및 제3전환키 중 임의의 전환키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해당 문자입력모드로 전환하여 모드상태저장부에 저장하고, 이 상태에서 임의의 키입력이 있으면 제1문자와 제2문자 및 제3문자 중 해당 문자입력모드의 문자데이터로 입력하여 이를 근거로 문자데이터를 표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2, 제3전환키의 입력이 없고 한글입력모드일 경우, 임의의 키버튼을 입력하면 키버튼에 표기된 한글의 모음문자를 입력하여 표시하고, 영문모드일 경우 임의의 키버튼을 입력하면 키버튼에 표기된 숫자 데이터를 입력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화기의 문자입력에 있어서, 한글입력이든 영문입력이든 용이하게 배치된 키배열과, 각각의 전환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화기의 문자입력에 있어 그 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단한 문자입력기능을 갖춘 통신용 단말기의 키입력부(30)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30)는 문자입력기능을 위한 제1전환키(31)와, 제2전환키 (32), 제3전환키(33)를 구비하고, 각각의 키버튼에 좌단으로는 숫자가, 우단으로는 한글의 모음이 표기되고, 각 키버튼의 좌단과 우단사이에는 한글과 영문의 제1문자와, 제2문자 및, 제3문자가 표기되며, 또한 한글과 영문 입력을 위한 한/영입력키(34) 등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끼버튼에 한글문자의 모음문자 키배열은 모든 키버튼의 중앙에 있는 키버튼을 기준으로 모음문자의 형상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키버튼에 한글문자의 자음문자 키배열은 숫자 키버튼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에 따라 자음의 알파벳 순서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상기 간단한 문자입력기능을 갖춘 통신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는 상기 도3과 같이 구성되어 문자입력기능의 실행과 문자입력을 위한 키입력부(30)와, 이 키입력부(30)의 제1전환키(31), 제2전환키(32) 및 제3전환키(33)를 입력하면 선택된 문자입력모드를 저장하는 모드상태저장부(41), 각각의 키입력에 따른 키입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키입력데이터저장부(42), 입력된 문자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43), 전화통화에 관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화회로(44), 상기 제1전환키(31)와 제2전환키(32) 및 제3전환키(33) 중 임의의 전환키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해당 문자입력모드로 전환하여 모드상태저장부(41)에 저장하고, 이 상태에서 임의의 키입력이 있으면 제1문자와 제2문자 및 제3문자 중 해당 문자입력모드의 문자데이터로 입력하여 이를 근거로 문자데이터를 표시 제어하는 제어부(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45)는 상기 제1(31)전환키, 제2(32)전환키, 제3전환키(33)의 입력이 없고 한/영입력키(34)의 입력에 의한 한글입력모드일 경우, 임의의 키버튼을 입력하면 키버튼에 표기된 한글의 모음문자를 입력하여 표시하고, 한/영입력키(34)의 입력에 의한 영문모드일 경우 임의의 키버튼을 입력하면 키버튼에 표기된 숫자 데이터를 입력 표시하게 된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제어부(45)는 일반적인 통신에 관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바, 예컨대 전화기의 경우 상기 키입력부(30)를 통해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이를 근거로 호접속을 실행한다거나, 또는 전화회로(44)를 통해 호출신호가 착신되도록 하는 전화통화에 관한 일반적인 제어처리를 수행하는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신용 단말기에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전원을 온시켜 동작가능상태로 되게 하고, 전화기의 경우 송수화기를 들어서 오프훅상태로 되게하여 통화로를 온 시키게 된다.
이어,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30)의 한/영입력키(34)를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45)는 자체적인 동작모드를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즉, 상기 키입력부(30)를 통해 임의의 키입력을 실행하면 각 키버튼에 표기된 모음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모드상태로 모드상태저장부(41)에 셋팅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30)에 구비된 제1전환키(31)를 입력하고 임의의 키입력을 실행하면, 상기 키입력부(30)의 각 키버튼에 표기된 문자 중 제1문자가 입력되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대우통신"이라는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상기 키입력부(30)의 한/영입력키(34)가 입력된 상태에서, 먼저 제1전환키(31)를 누른 후 제1문자 "ㄷ"에 해당하는 3번 키버튼을 누르게 됨으로 "ㄷ"문자가 입력되게 된다. 이어 사용자는 "ㅐ"를 입력하기 위해 전환키(31, 32, 33)의 입력이 없이 "ㅏ" 6번 키버튼과 "ㅣ"의 3번 키버튼을 연이어 입력하게 된다.
즉, 상기 전환키(31, 32, 33)의 입력이 없이 임의의 키입력이 있게 되면, 제어부(45)는 각 키버튼의 우단에 표기된 모음문자를 입력하도록 모드상태저장부(41)에 셋팅을 한 상태에서, 전환키(31, 32, 33)의 입력이 있을 때마다 상기 모드상태저장부(41)에 셋팅된 모드를 일시 정지하고, 입력된 전환키(31, 32, 33)에 해당하는 입력모드를 실행하고, 다시 상기 모음을 입력하는 모드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5)는 키입력에 의해 입력된 "대" 문자를 표시부(43)로 표시하게 된다.
이어, 사용자는 "우"자를 입력하기 위해 제1전환키(31)를 입력하고, "ㅇ"에 해당하는 8번 키버튼을 입력하며, 연속하여 "ㅜ"를 입력하기 위해 8번 키버튼을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45)는 입력된 문자를 완성하여 "우"라는 문자를 표시부(43)를 통해 표시해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통"자의 입력은 제3전환키(33)를 입력한 후 "ㅌ"에 해당하는 3번 키버튼을 입력하고, 연이어 "ㅗ"자에 해당하는 2번 키버튼을, 그리고 "ㅇ"자를 입력하기 위해 제1전환키(31)를 입력한 후 8번 키버튼을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45)는 상기 키입력부(30)를 통해 입력된 문자를 완성하여 표시부(43)를 통해 "통"자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30)를 통해 "신"자에 해당하는 키입력, 즉 제1전환키(31)의 입력과 7번 키버튼의 입력, 연이은 3번 키버튼의 입력, 제1전환키(31)와 2번 키버튼의 키입력이 있게 되면, 제어부(45)는 입력된 키입력에 따라 완성된 문자, "신"자를 표시부(43)를 통해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한글입력 모드상태에서, 영문입력모드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 키입력부(30)에 구비된 한/영입력키(34)를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45)는 모드상태 저장부(41)를 영문입력모드로 셋팅해 두게 된다. 즉, 영문입력모드일 경우 상기 전환키(31, 32, ,33)의 입력이 없이 임의의 키입력이 있으면 각 키버튼의 좌단에 표기된 숫자가 입력되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환키(31, 32, 33)의 입력과 함께 임의의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한글 입력모드의 경우와 같이 각 키버튼에 표기된 제1문자 또는 제2문자 또는 제3문자가 입력 표시되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DAE WOO"를 입력하기 위해 제1전환키(31)를 입력하고 3번 키버튼을(D), 제1전환키(31)를 입력하고 2번 키버튼을(A), 제2전환키(32)를 입력하고 3번 키버튼(E)을 입력하면, 제어부(45)는 입력된 문자를 완성하여 표시부(43)를 통해 "DAE"라는 문자를 표시하게 된다. 계속하여, 사용자가 키입력부(30)를 통해 제1전환키(31)와 9번 키버튼(W), 제3전환키(33)와 6번 키버튼(0), 제3전환키(33)와 6번 키버튼(0)을 입력하게 되면, 마찬가지로 제어부(45)는 완성된 "W00"라는 문자를 표시부(43)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문자입력에 이어 계속 전환키(31, 32, 33)의 입력이 없이 3번 키버튼과 7번 키버튼의 2회 입력, 9번 키버튼, 7번 키버튼, 8번 키버튼, 3번 키버튼, 5번 키버튼을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45)는 입력된 키버튼의 숫자데이터, "3779-7835"라는 숫자 데이터를 표시부(43)를 통해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한글입력모드를 통한 한글이 입력되거나 또는 영문입력모드를 통한 영문이 입력되고 엔터(ENTER) 키버튼이 입력되면 제어부(45)는 입력 표시된 한글문자 또는 영문문자를 키입력데이터저장부(42)에 저장해 두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문자나 영문문자를 입력함에 있어 전환키(31, 32, 33)를 통해 입력하게 됨으로써 용이하게 문자입력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바, 상기 실시예에서는 일반전화망(PSTN)에 이용되는 전화기에 적용하여 실시하였으나, 유선없이 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용 단말기에서 문자입력을 용이하게 실행하여 그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간단한 문자입력기능을 갖춘 통신용 단말기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각각의 키버튼에 한글과 영문의 제1문자와, 제2문자 및, 제3문자가 표기되고, 한글과 영문입력을 위한 한/영입력키, 문자입력기능을 위한 제1전환키, 제2전환키 및 제3전환키를 구비하여, 각 키버튼에 표기된 문자입력시, 제1전환키를 입력하고 임의의 키버튼을 입력하면 키버튼의 제1문자가 입력되고, 제2전환키를 입력하고 임의의 키버튼을 입력하면 제2문자가 입력되며, 제3전환키를 입력하고 임의의 키버튼을 입력하면 제3문자가 입력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단한 문자입력 기능을 갖춘 통신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전환키의 입력이 없고 한글입력모드일 경우, 임의의 키버튼을 입력하면 한글의 모음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단한 문자입력 기능을 갖춘 통신용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전환키의 입력이 없고 영문입력모드일 경우, 임의의 키버튼을 입력하면 숫자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단한 문자입력기능을 갖춘 통신용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키버튼에 한글문자의 모음문자 키배열은 모든 키버튼의 중앙에 있는 키버튼을 기준으로 모음문자의 형상을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단한 문자입력기능을 갖춘 통신용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키버튼에 한글문자의 자음문자 키배열은 숫자 키버튼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에 따라 자음의 알파벳 순서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단한 문자입력기능을 갖춘 통신용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단말기는 제1전환키와 제2전환키 및 제3전환키를 입력하여 전환된 문자입력모드를 저장하는 모드상태저장부와, 각각의 키버튼에 설정된 한글과 영문의 제1문자와 제2문자, 제3문자 및 숫자 등이 매칭되어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는 키입력데이터저장부, 입력된 문자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제1전환키와 제2전환키 및 제3전환키 중 임의의 전환키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해당 문자입력모드로 전환하여 모드상태저장부에 저장하고, 이 상태에서 임의의 키입력이 있으면 제1문자와 제2문자 및 제3문자 중 해당 문자입력모드의 문자데이터로 입력하여 이를 근거로 문자데이터를 표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단한 문자입력기능을 갖춘 통신용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2, 제3전환키의 입력이 없고 한글입력모드일 경우, 임의의 키버튼을 입력하면 키버튼에 표기된 한글의 모음문자를 입력하여 표시하고, 영문모드일 경우 임의의 키버튼을 입력하면 키버튼에 표기된 숫자 데이터를 입력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단한 문자입력기능을 갖춘 통신용 단말기.
KR1019980063940A 1998-12-31 1998-12-31 간단한문자입력기능을갖춘통신용단말기 KR20000047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940A KR20000047157A (ko) 1998-12-31 1998-12-31 간단한문자입력기능을갖춘통신용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940A KR20000047157A (ko) 1998-12-31 1998-12-31 간단한문자입력기능을갖춘통신용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157A true KR20000047157A (ko) 2000-07-25

Family

ID=1957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940A KR20000047157A (ko) 1998-12-31 1998-12-31 간단한문자입력기능을갖춘통신용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7157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892B1 (ko) * 1999-03-10 2001-11-02 김영일 소형기기 또는 데스크탑 전화기에서 숫자 또는 문자를 빠르게 입력하는 장치
WO2002011306A1 (en) * 2000-07-07 2002-02-07 Song Ki Suk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cellular phone
KR20020011186A (ko) * 2000-08-01 2002-02-08 윤종용 이동전화기의 영문자 입력 방법
KR20020012913A (ko) * 2000-08-09 2002-02-20 유홍 선택 스위치가 구비된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휴대 전화기
KR100339341B1 (ko) * 1999-03-18 2002-06-03 서평원 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349976B1 (ko) * 2000-04-28 2002-08-23 주식회사 언어과학 단축형 키패드를 사용한 영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30004175A (ko) * 2002-11-08 2003-01-14 류동기 자모 분리 할당을 통한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통신 단말 장치
KR20030041677A (ko) * 2001-11-21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20030048570A (ko) * 2001-12-12 2003-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및 그의 작동방법
KR20040019828A (ko) * 2002-08-28 2004-03-06 서정현 이동 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 및 한글 입력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413A (ko) * 1991-08-02 1993-03-23 홍범준 전화번호 기억 및 검색장치를 구비한 전화기 및 한글자모입력 방법
KR960009540A (ko) * 1994-08-18 1996-03-22 김헌성 통신상에서 음성과 문자(숫자,한글,영문 등)를 동시에, 또는 선택하여 송수신하는 장치.
KR970063993A (ko) * 1996-02-24 1997-09-12 이봉훈 무선호출기의 문자 및 숫자 송수신 제어방법
KR970064093A (ko) * 1997-06-04 1997-09-12 김영수 전자식 전화기 버튼을 사용한 장치에서 한글 문자 입력 방법
KR19980018053A (ko) * 1996-08-05 1998-06-05 송재인 전화기의 다이알버튼을 이용한 한글, 영문자 코드화방법 및 그의 구현방법
KR19990024170A (ko) * 1998-12-16 1999-03-25 김경덕 문자 입력이 용이한 키패드
KR19990081180A (ko) * 1998-04-27 1999-11-15 김경덕 문자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413A (ko) * 1991-08-02 1993-03-23 홍범준 전화번호 기억 및 검색장치를 구비한 전화기 및 한글자모입력 방법
KR960009540A (ko) * 1994-08-18 1996-03-22 김헌성 통신상에서 음성과 문자(숫자,한글,영문 등)를 동시에, 또는 선택하여 송수신하는 장치.
KR970063993A (ko) * 1996-02-24 1997-09-12 이봉훈 무선호출기의 문자 및 숫자 송수신 제어방법
KR19980018053A (ko) * 1996-08-05 1998-06-05 송재인 전화기의 다이알버튼을 이용한 한글, 영문자 코드화방법 및 그의 구현방법
KR970064093A (ko) * 1997-06-04 1997-09-12 김영수 전자식 전화기 버튼을 사용한 장치에서 한글 문자 입력 방법
KR19990081180A (ko) * 1998-04-27 1999-11-15 김경덕 문자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
KR19990024170A (ko) * 1998-12-16 1999-03-25 김경덕 문자 입력이 용이한 키패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892B1 (ko) * 1999-03-10 2001-11-02 김영일 소형기기 또는 데스크탑 전화기에서 숫자 또는 문자를 빠르게 입력하는 장치
KR100339341B1 (ko) * 1999-03-18 2002-06-03 서평원 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349976B1 (ko) * 2000-04-28 2002-08-23 주식회사 언어과학 단축형 키패드를 사용한 영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WO2002011306A1 (en) * 2000-07-07 2002-02-07 Song Ki Suk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cellular phone
KR20020011186A (ko) * 2000-08-01 2002-02-08 윤종용 이동전화기의 영문자 입력 방법
KR20020012913A (ko) * 2000-08-09 2002-02-20 유홍 선택 스위치가 구비된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휴대 전화기
KR20030041677A (ko) * 2001-11-21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20030048570A (ko) * 2001-12-12 2003-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가적 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및 그의 작동방법
KR20040019828A (ko) * 2002-08-28 2004-03-06 서정현 이동 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 및 한글 입력방법
KR20030004175A (ko) * 2002-11-08 2003-01-14 류동기 자모 분리 할당을 통한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통신 단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47157A (ko) 간단한문자입력기능을갖춘통신용단말기
KR100492967B1 (ko) 숫자키를이용한한글입력장치및방법
WO2002098115A1 (fr) Appareil de communication
KR19980014248A (ko) 한글코드를 전화다이얼로 전송하는 방법 및 수신장치
KR20000044417A (ko) 영문자 간편 입력방법
KR100253074B1 (ko) 전화단말기의 지역번호 한글인식장치
KR20000018394A (ko) 전화기의 한글입력 인식방법
KR19980067883A (ko) 전화단말기의 한글문자입력장치
JPH0376356A (ja) 人声認識携帯電話機
US20040047457A1 (en) Dialing apparatus for international prepaid phone card
KR101055732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통화 중 키 버튼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0193830B1 (ko) 한글문자를 이용한 다이알링 방법
KR950009425B1 (ko) 음성인식 전화기의 다이얼링 제어 방법
KR100663505B1 (ko) 휴대전화단말장치의 한글입력방법과 그 입력장치
KR0148524B1 (ko) 전화기의 지역번호 자동검색 및 발신 제어방법
KR100243900B1 (ko) 전화기의 문자 송수신장치 및 휴대용 문자 송수신장치
KR19980058135A (ko) 전화번호 자동검색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712843B1 (ko)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247239B1 (ko) 전화번호 저장이 가능한 전화기, 그 전화번호의 저장방법 및 그 저장된 전화번호로 피호출자의 호출방법
JPH05102909A (ja) 携帯無線電話機
KR20000034430A (ko)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전화벨 편집장치
JPS61184952A (ja) 電話装置
JP3597120B2 (ja) 電話帳機能付電話機
KR100590557B1 (ko) 마이컴 제어부를 갖는 주파수톤을 이용한 문자통신 전화기
JP2008234454A (ja) 携帯機器の文字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