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6772A - 인터넷 계좌이체 지불시의 정산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계좌이체 지불시의 정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6772A
KR20020006772A KR1020000040172A KR20000040172A KR20020006772A KR 20020006772 A KR20020006772 A KR 20020006772A KR 1020000040172 A KR1020000040172 A KR 1020000040172A KR 20000040172 A KR20000040172 A KR 20000040172A KR 20020006772 A KR20020006772 A KR 20020006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ayment
information
shopping mall
bu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익진
이승훈
정진근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20000040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6772A/ko
Publication of KR20020006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772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인터넷 계좌이체 지불시의 정산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인터넷 전자상거래시에 사이버 쇼핑몰이라는 가상의 공간에서 구매자가 상품을 주문하고 상품대금을 온라인 입금, 특히 전자지불을 통해 지급한 경우에 쇼핑몰 사업자(판매자)와 구매자(고객)에게 대한 신속한 정산기능을 통해 정산의 효율화를 기하기 위한 인터넷 계좌이체 지불시의 정산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인터넷 전자상거래 지불시스템에서의 정산 방법에 있어서, 상품 구매자가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쇼핑몰에서 상품 구매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주문정보 및 계좌이체 지불정보를 입력받는 제 1 단계; 상기 쇼핑몰의 판매시점 정보관리시스템이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와 상기 주문정보 및 계좌이체 지불정보를 지불시스템으로 알리는 제 2 단계; 및 상기 해당 상품에 대한 배송 확인시에, 상기 지불시스템에서 상품 구매자와 상품 판매자간에 지불을 보증하고 백오피스 기관과 연계하여 상기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대금을 정산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인터넷 전자상거래시 정산 서비스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인터넷 계좌이체 지불시의 정산 방법{Method of calculation in internet account remittance payment}
본 발명은 인터넷 전자상거래 지불시스템에서 쇼핑몰이 가상의 공간을 통해 판매한 상품(혹은 물품)에 대한 인터넷 계좌이체 지불시의 정산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은 컴퓨터와 컴퓨터가 연결된 네트워크라는 의미에서보다는 기업과 개인, 개인과 개인간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실시간으로 가능하게 해주는 뉴 미디어(Media)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인터넷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가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통해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인터넷 쇼핑몰은 그 중에서도 핵심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상품을 파는 백화점용 쇼핑몰에서부터 전문적인 상품만을 판매하는 전문 쇼핑몰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형태의 인터넷 쇼핑몰이 등장하고 있다.
현재, 컴퓨터, 인터넷의 발달과 통신 환경의 개선으로 인해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업체 및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인데, 이는 주지하다시피 인터넷이 가상(Cyber) 공간 서비스 뿐만아니라 상품의 구매, 판매 및 교환과 같은 상거래에 적합한 장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터넷 전자상거래 쇼핑몰 개설이 증대됨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컴퓨터 이용자는 더욱 다양해진 상품과 보다 저렴한 가격의 동일 상품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
전자상거래(EC : Electronic Commerce)는 인터넷(Internet)이나 PC 통신을 이용해 상품 등을 사고 파는 행위를 말하는 것으로, 넓은 의미로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상품 및 서비스 구매나 발주 광고 활동 등이 모두 포함된다. 이와 같은 거래의 가장 큰 장점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다는 점이기 때문에 직접 매장까지 나가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고, 거래대금은 주로 신용카드로 결제된다. 또한, 유통 비용이나 건물 임차료 등의 비용이 전혀 없으며 전세계 모든 인터넷 가입자가 잠재고객이란 점에서 첨단황금 어장에 비유되기도 하고 광속 거래(CALS : Commerce at the light speed)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전자상거래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인터넷 관련 기술의 비약적 향상은 쇼핑몰이라는 가상의 공간의 통해 구매자와 판매자를 연결하여 상품의 구매와 판매가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판매자는 쇼핑몰에 입점, 즉 쇼핑몰에 가상의 상점을 구축하고, 구매자는 인터넷에 연결된 PC를 통해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상품을 주문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인터넷 전자상거래시에 지불시스템(PG : Payment Gateway)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전자상거래에서 신용카드사와 같은 금융기관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구매에 대한 지불승인 및 정산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상품을 판매한 상점이 카드사와 연계된 시스템을 사용하여 판매대금을 지불받도록 하는 것이다.
PG 서비스는 상점(Merchant)과 카드사를 온라인(On-line)으로 연결해 주고, 지불에 따른 승인이나 정산 등의 여러 업무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망에서 안전한 거래, 즉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거래내용이 제3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성, 거래내용의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무결성, 성립된 거래에 대한 부당한 번복을 방지하기위한 부인방지, 승인되지 않은 거래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상호인증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의 구현을 위해서는 암호화 알고리즘 기반의 안전한 전자상거래 프로토콜이 이용된다.
그런데, 암호화 알고리즘 기반의 거래 프로토콜을 이용한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통상 고객시스템, 즉 고객의 컴퓨터에 설치되는 전자지갑(Digital Wallet) 소프트웨어가 요구된다. 이러한 고객용 전자지갑은 다양한 전자상거래 프로토콜을 지원함으로써, 고객의 지불수단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쇼핑몰을 통해 발생하는 거래는 쇼핑몰에 입점하여 가상의 상점을 구축하고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쇼핑몰 사업자)와 웹브라우저를 통해 상품을 구입하는 구매자(고객)를 연결하여 상품의 매매가 이루어지도록 중간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때, 구매자가 온라인으로 요청한 상품의 배송을 완료한 판매자에게 상품의 판매대금을 지불하거나, 구매자가 상품의 구매를 취소한 경우 상품대금을 구매자에게 다시 되돌려 줄 필요성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특히 판매자와 구매자의 중간에서 정산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세계의 실물거래와는 다르게 가상의 공간을 통해 거래가 이루어지므로 신속하게 정산기능을 수행하기가 쉽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이버 쇼핑몰이라는 가상의 공간에서 구매자가 상품을 주문하고 상품대금을 온라인 입금, 특히 전자지불을 통해 지급한 경우에 판매자와 구매자에게 대한 신속한 정산기능을 통해 정산의 효율화를 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인터넷 전자상거래시에 사이버 쇼핑몰이라는 가상의 공간에서 구매자가 상품을 주문하고 상품대금을 온라인 입금, 특히 전자지불을 통해 지급한 경우에 쇼핑몰 사업자(판매자)와 구매자(고객)에게 대한 신속한 정산기능을 통해 정산의 효율화를 기하기 위한 인터넷 계좌이체 지불시의 정산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지불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계좌이체 지불시의 정산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객시스템 11 : 전자지갑
20 : 상점시스템(쇼핑몰) 21 : 판매시점 정보관리시스템(POS)
30 : 지불시스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터넷 전자상거래 지불시스템에서의 정산 방법에 있어서, 상품 구매자가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쇼핑몰에서 상품 구매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주문정보 및 계좌이체 지불정보를 입력받는 제 1 단계; 상기 쇼핑몰의 판매시점 정보관리시스템이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와 상기 주문정보 및 계좌이체 지불정보를 지불시스템으로 알리는 제 2 단계; 및 상기 해당 상품에 대한 배송 확인시에, 상기 지불시스템에서 상품 구매자와 상품 판매자간에 지불을 보증하고 백오피스 기관과 연계하여 상기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대금을 정산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품 구매자의 취소/환불 요청시에, 상기 해당 상품에 대한상품 판매대금에서 취소/환불 금액을 감산하여 나머지 배송 확인된 판매대금만을 정산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인터넷 전자상거래 지불시스템에, 상품 구매자가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쇼핑몰에서 상품 구매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주문정보 및 계좌이체 지불정보를 입력받는 제1 기능; 상기 쇼핑몰의 판매시점 정보관리시스템이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와 상기 주문정보 및 계좌이체 지불정보를 지불시스템으로 알리는 제2 기능; 및 상기 해당 상품에 대한 배송 확인시에, 상기 지불시스템에서 상품 구매자와 상품 판매자간에 지불을 보증하고 백오피스 기관과 연계하여 상기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대금을 정산하는 제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품 구매자의 취소/환불 요청시에, 상기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대금에서 취소/환불 금액을 감산하여 나머지 배송 확인된 판매대금만을 정산하는 제4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존에 우편, 전화 전자메일(E-mail)을 이용하여 정산요청을 받고 배송증명자료를 요청하던 방식에 비해, 정산 홈페이지에서 쇼핑몰 사업자(판매자)가 판매된 상품 그리고 판매된 상품의 배송결과를 입력하면, 배송확인된 상품에 대해 판매금액을 정산하여 쇼핑몰 계좌로 입금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품에 대한 이력(사용자정보, 상품정보, 상품가격 등)이 자동적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 되며,쇼핑몰 사업자는 자신의 배송내역 및 정산내역을 수시로 조회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지불시스템의 구성 예시도로서, 온라인 전자상거래 지불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는 신용카드 기반의 전자지불, 은행의 계좌이체 기반의 전자지불 및 기타 방안에 기반한 전자지불 서비스에의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전자상거래 지불시스템은 상품을 구매하고자 희망하는 고객(상품 구매자)이 고객시스템(10)으로 인터넷을 통해 상품을 주문하고 상품대금을 전자지갑(11)으로 지불한 경우에, 상품 판매자(쇼핑몰 사업자)가 판매하여 배달 완료된 상품에 대한 판매대금을 지불시스템(30)에서 지급하는 정산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판매자가 판매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상품가격, 이를 구매한 구매자정보는 지불시스템(30)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어, 판매자의 배송이 확인되면 배송 확인된 상품에 대한 판매금액을 정산하여 쇼핑몰 계좌로 입금시킨다. 이는 종래의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은행의 온라인 송금기능(무통장 입금기능)을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정보통신망을 이용해서 온라인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객시스템(10), 상점시스템(20) 그리고 지불시스템(30)은 우선 전자상거래 인증기관(CA : Certification Authority)으로부터 전자인증서(Digital Certificate)를 발급받아야 한다. 이때, 발급된 전자인증서는 고객의 계좌이체 정보를 보호하고 서로 상대방을 확인하기 위해 서로 교환하여 확인한 다음 계좌이체 지불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온라인 전자상거래 지불시스템은 은행의 계좌이체 기능을 이용하되, 전자상거래 지불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계좌이체 지불처리를 온라인으로 처리함으로써, 구매자와 판매자가 은행을 직접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한다.
전자상거래 계좌이체 지불서비스를 위해서는, 전자지갑(11)을 장착한 고객시스템(10), 상점시스템(20) 그리고 은행의 호스트 시스템과 연결된 지불시스템(30)이 요구된다. 이들 요소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은 다음과 같다.
고객시스템(10)에는 일반적으로 웹브라우저와 전자상거래 지불 프로토콜 처리를 위한 전자지갑(11)이 장착된다.
전자지갑(11)은 전자인증서의 관리 및 확인 기능,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 그리고 지불 프로토콜에 따른 지불메시지의 전문의 전달 및 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결국, 전자지갑(11)은 상점시스템(20)과 연동되어 전자상거래 지불전문을 처리한다.
온라인 계좌이체 지불처리를 위해, 전자지갑(11)은 상점시스템(20)과 지불시스템(30)의 전자인증서 유효여부를 확인하고, 계좌이체 지불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암호용 키를 지불시스템(30)의 전자인증서에 포함된 공개키로 암호화한다. 이러한 암호화된 계좌이체 정보와 암호화된 키를 전자상거래 지불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점시스템(20)에게 전달하고, 그결과를 전달받아 확인한다.
상점시스템(20)은 인터넷 등과 같은 개방형 정보통신망을 통해 고객에게 유무형의 상품을 판매하는 시스템으로, 계좌이체 지불처리를 위한 상점용 전자지갑이 장착된다.
상점용 전자지갑은 고객시스템(10) 및 지불시스템(30)과 연계하여 계좌이체 지불정보를 중계하고, 그 결과를 지불시스템(30)으로부터 전달받아 고객시스템(10)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상점용 전자지갑의 기능을 판매시점 정보관리시스템(POS : Point Of Sale system)(21)이 한다.
온라인 계좌이체 지불처리를 위해, 상점시스템(20)은 고객의 전자인증서 유효여부를 확인한 후에, 고객시스템(10)이 보내온 암호화된 계좌이체 지불정보(암호화된 계좌이체정보, 암호화된 키)를 전자상거래 지불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지불시스템(30)에게 전달하여 지불처리를 전달하고, 그 결과를 전달받아 고객시스템(10)에 전달한다.
지불시스템(30)은 은행 호스트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점시스템(20)이 요청한 계좌이체 지불처리를 수행한다.
상점시스템(20)이 온라인 계좌이체 지불처리를 요청하면, 지불시스템(30)은 상점시스템(20)과 고객시스템(10)의 전자인증서 유효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만약 전자인증서가 유효한 경우에 지불시스템(30)은 자신의 개인키로 암호화된 키를 복호화한 다음, 암호화된 계좌이체 지불정보를 복호화한다. 이후에, 지불시스템(30)은 계좌이체 지불정보를 출금계좌인 고객계좌를 보유한 은행에 전달하여 계좌이체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전자상거래 지불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점시스템(20)에게 전달한다. 물론, 지불시스템(30)에서 판매상품에 대한 최종 정산은 배송확인된 상품에 한하여 정산함을 원칙으로 한다. 왜냐하면, 구매자가 상품의 구매를 취소한 경우 상품대금을 구매자에게 다시 되돌려 줄 필요성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백오피스 기관은 지불시스템(30)으로부터 구매자의 신용정보 조회 요구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 확인해 주는 기관으로서, 온라인 전자지불 서비스 시스템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지불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 및 연계되는 기관(예를 들면, 금융, 신용카드사 등)을 의미한다.
이제, 참고적으로 전자지불 서비스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고객이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쇼핑몰(20)에 들어가서 상품을 선택 후 지불기능을 선택하면, 이때 쇼핑몰(20)의 판매시점 정보관리 시스템(POS)(21)은 지불수단의 리스트를 고객의 전자자갑(11)으로 전송한다. 이때, 전자지갑(11)은 지불수단 리스트를 고객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고객이 지불수단을 선택하면, 해당 전자상거래 프로토콜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서비스의 거래전문을 처리하며, 요구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전자지갑(11)에는 사용자가 가상은행의 전자통장에서 미리 자신의 소유계좌를 등록하고, 계좌이체 등에 이용할 적절한 계좌를 선택하는 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신용카드, 직불카드 등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지불수단들이 등록되어야 한다.
또한, 쇼핑몰(20) 역시 종류별 신용카드, 직불카드 등 쇼핑몰(20)에서 지원하는 지불수단이 등록된다.
한편, 판매시점 정보관리 시스템(POS)(21)은 상품을 판매할 때 전자식 금전등록기 기능과 컴퓨터 기능 등에 의해 매출관리상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즉시 수집, 기록하는 단말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면, 백화점, 수퍼마켓, 소매점 등에 설치해 단품판매관리, 재고관리, 고객관리, 매출관리 등에 사용될 데이터를 판매시점에서 자동적으로 즉시 수집, 기록하는 장치로 일반적으로 금전등록기와 같은 레지스터기능, 데이터를 일시 기록해 두는 파일기능, 판매시점의 데이터를 상위장치(본사 호스트컴퓨터 등)에 접속, 전송하는 온라인기능 등을 가지고 있는 단말장치를 말한다.
상품코드(제조업체코드, 품목코드 등)의 입력방법에는 키(key) 입력을 비롯해 고정스캐너 또는 핸드헬드 스캐너에 의한 자동 판독장치로 입력을 하는데 광학 문자 판독기(OCR : Optical Character Reader) 문자나 바코드로 인쇄된 상품코드를 자동적으로 판독함으로써 상품의 움직임(입고, 매출 등)에 관한 정보가 판매시점에서 작성돼 상위장치에 온라인으로 전송된다.
이와 같은, POS는 기업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소비자의 구조적 변화에 의한 상품, 서비스의 다양화 등 시장 환경의 변화에 따라 소비자 동향에 대한 신속, 정확한 파악의 필요성(상품관리, 고객관리 등)으로 소스마킹의 보급과 함께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최근에는, 단순한 POS로부터 점포의 상점 자동화(SA : Store Automation)시스템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의미의 POS를 가정한다.
이제, 상품구매 및 정산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고객이 쇼핑몰(20)에 들어가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상품정보중 구매하려는 상품을 클릭하면, 별도 브라우저가 생성되어 구매진행 화면으로 전환되어, 고객은 성명(수취인)/배송지/지불방식 등록정보를 입력하면 된다. 이때의 지불방식은 회원이 등록시 입력한 신용카드, 자동이체 또는 전자화폐 등과 같이 인터넷 전자상거래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방식 가운데 하나가 될 것이다.
이후, 쇼핑몰(20)의 판매시점 정보관리시스템(21)은 판매된 상품에 대한 정보(고객정보, 상품정보, 상품가격)를 주기적(매시간 혹은 매일)으로 지불시스템(30)으로 알리고, 지불시스템(30)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이때, 판매한 상품의 금액에 대해서는 가 계산해 두었다가, 추후 판매자가 정산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판매한 상품을 배송하였음을 알리면 최종 정산하여 쇼핑몰 계좌로 배송확인된 상품의 판매대금만을 입금시킨다. 여기서, 판매한 상품에 대해서 가 계산을 하는 이유는 구매자가 상품의 구매를 취소한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계좌이체 지불시의 정산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계좌이체 지불시의 정산 방법은, 먼저 고객이 쇼핑몰(20)에 들어가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상품정보중 구매하려는 상품을 클릭하면(201), 별도 브라우저가 생성되어 구매진행 화면으로 전환되어(202), 고객은 성명(수취인)/배송지/지불방식 등록정보를 입력하면 된다(203).이때, 쇼핑몰(20)의 판매시점 정보관리시스템(21)은 판매된 상품에 대한 정보(고객정보, 상품정보, 상품가격)를 주기적(매시간 혹은 매일)으로 지불시스템(30)으로 알리고(204), 지불시스템(30)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한다(205).
다음으로, 판매자가 정산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판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 보기를 클릭하면(206), 지불시스템(30)은 판매상품에 대한 정보 리스트를 판매자에게 제공한다(207).
이어서, 판매자가 판매한 상품을 구매자에게 배송한 경우, 판매상품에 대한 정보 리스트에서 배송 확인을 클릭하면(208), 지불시스템(30)에서는 판매금액을 계산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후(209), 쇼핑몰 계좌로 배송확인된 상품의 판매대금을 입금시킨다(정산)(213).
그러나, 이때 구매자가 상품의 구매를 취소/환불을 요청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구매자가 상품 구매를 취소/환불을 요청하면(210), 판매시점 정보관리시스템(21)이 취소 내역을 지불시스템(30)으로 알리고(211), 지불시스템(30)에서는 판매대금에서 취소대금을 공제하여(212) 나머지 대금만을 쇼핑몰 계좌로 입금시킨다(정산)(213). 물론, 구매자의 상품 구매 취소/환불 요청시에, 판매자가 정산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판매상품에 대한 정보 리스트에서 취소 버튼을 클릭하면 지불시스템(30)에서 판매대금에서 취소대금을 공제한 나머지 판매대금만을 쇼핑몰 계좌로 입금시킬 수도 있다(정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판매자와 구매자에 대한 신속한 정산을 통해 쇼핑몰 관리 비용을 감소시키며, 정산 프로세스 단축을 통해 정산의 효율화를 기할 수 있으며, 특히 판매상품에 대한 정산 DB를 자동으로 구축하여 판매자의 정산 요청시 신속히 정산금액을 산정하여 쇼핑몰 계좌로 입금시킬 수 있고, 판매자 측면에서는 보다 간편하게 정산을 요청할 수 있고 자신의 배송내역 및 정산내역을 수시로 조회할 수 있으며, 지불사업과 연계된 응용 서비스의 개발 및 도입을 통해 전자상거래에서의 다양한 수익 창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인터넷 전자상거래 지불시스템에서의 정산 방법에 있어서,
    상품 구매자가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쇼핑몰에서 상품 구매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주문정보 및 계좌이체 지불정보를 입력받는 제 1 단계;
    상기 쇼핑몰의 판매시점 정보관리시스템이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와 상기 주문정보 및 계좌이체 지불정보를 지불시스템으로 알리는 제 2 단계; 및
    상기 해당 상품에 대한 배송 확인시에, 상기 지불시스템에서 상품 구매자와 상품 판매자간에 지불을 보증하고 백오피스 기관과 연계하여 상기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대금을 정산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인터넷 계좌이체 지불시의 정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품 구매자의 취소/환불 요청시에, 상기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대금에서 취소/환불 금액을 감산하여 나머지 배송 확인된 판매대금만을 정산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터넷 계좌이체 지불시의 정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시스템은,
    상기 쇼핑몰의 판매시점 정보관리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상품정보, 상기 주문정보 및 계좌이체 지불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구축하고, 정산 홈페이지를 통해 상품 판매자가 판매된 상품의 배송결과를 입력하면 배송확인된 상품에 대해 판매금액을 정산하여 쇼핑몰 계좌로 입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계좌이체 지불시의 정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시스템은,
    상기 쇼핑몰의 판매시점 정보관리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상품정보, 상기 주문정보 및 계좌이체 지불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구축하고, 정산 홈페이지를 통해 상품 판매자가 판매된 상품의 배송결과를 입력하면 배송확인된 상품에 대해 판매금액을 정산하여 쇼핑몰 계좌로 입금시키되, 상품 구매자의 취소/환불 요청시 상기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대금에서 취소/환불 금액을 감산한 후 나머지 배송 확인된 판매대금만을 정산하여 쇼핑몰 계좌로 입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계좌이체 지불시의 정산 방법.
  5. 프로세서를 구비한 인터넷 전자상거래 지불시스템에,
    상품 구매자가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쇼핑몰에서 상품 구매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주문정보 및 계좌이체 지불정보를 입력받는 제1 기능;
    상기 쇼핑몰의 판매시점 정보관리시스템이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와 상기 주문정보 및 계좌이체 지불정보를 지불시스템으로 알리는 제2 기능; 및
    상기 해당 상품에 대한 배송 확인시에, 상기 지불시스템에서 상품 구매자와 상품 판매자간에 지불을 보증하고 백오피스 기관과 연계하여 상기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대금을 정산하는 제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품 구매자의 취소/환불 요청시에, 상기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대금에서 취소/환불 금액을 감산하여 나머지 배송 확인된 판매대금만을 정산하는 제4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40172A 2000-07-13 2000-07-13 인터넷 계좌이체 지불시의 정산 방법 KR20020006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172A KR20020006772A (ko) 2000-07-13 2000-07-13 인터넷 계좌이체 지불시의 정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172A KR20020006772A (ko) 2000-07-13 2000-07-13 인터넷 계좌이체 지불시의 정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772A true KR20020006772A (ko) 2002-01-26

Family

ID=19677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172A KR20020006772A (ko) 2000-07-13 2000-07-13 인터넷 계좌이체 지불시의 정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67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823A (ko) * 2002-02-18 2003-08-25 박재선 전자 상거래에서의 신용/거래 보증방법
KR20030095491A (ko) * 2002-06-12 2003-12-24 강태욱 소비자가 상점에서 상품(재화와 용역) 값을 판매자의전자상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결제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823A (ko) * 2002-02-18 2003-08-25 박재선 전자 상거래에서의 신용/거래 보증방법
KR20030095491A (ko) * 2002-06-12 2003-12-24 강태욱 소비자가 상점에서 상품(재화와 용역) 값을 판매자의전자상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결제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54484A1 (en) Anon virtual prepaid internet shopping card
US200600365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micro energy derivatives transactions on a network system
TW201013557A (en) Online processing for offshore business transactions
KR20150120886A (ko) 상품 대금을 선지급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US202202154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funding a purchase
KR20190116160A (ko) 해외 직접 구매를 위한 쇼핑몰 자동 번역 및 자동환전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010092198A (ko) 고객 및 가맹점 관리기능과 카드거래 승인기능을 구비한온라인과 오프라인모드 겸용의 적립카드 서비스시스템 및방법
KR20010000819A (ko) 인터넷에서 구매 카드를 이용한 직접 유통망 기업간 전자상거래 방법
JP5271633B2 (ja) 物流決済仲介システム、物流決済仲介方法、物流決済仲介プログラム、および前記物流決済仲介システムと共同する通信端末
KR20020006772A (ko) 인터넷 계좌이체 지불시의 정산 방법
KR100324548B1 (ko) 인터넷 상거래용 전자적 금전 결제시스템
KR100674802B1 (ko) 전자지불시의 이원적 전자화폐 지불서비스 방법
KR20020009370A (ko) 인터넷을 이용한 상거래방법 및 상거래시스템
KR20020064473A (ko) 전자지갑과 통합된 전자 지불 보증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10046860A (ko) 인터넷 전자상거래 쇼핑몰의 온라인 입금 정산 방법
KR20050082392A (ko) 구매정보 매매를 통한 마케팅시스템
KR20000030790A (ko) 거래 당사자간 신뢰 및 개인정보 보호 기능이 있는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0831542B1 (ko) 인터넷을 통한 원스톱 자금이체 서비스 방법
KR100767416B1 (ko) 상거래를 이용한 상품권 유통방법
KR20010081876A (ko) 인터넷 전자상거래용 전자적 수표 지불시스템
KR20020071144A (ko) 지불유보 은행계좌를 이용한 대금지불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76657A (ko) 이동전화를 이용한 소액지불 시스템
KR20060082012A (ko) 휴대폰을 이용한 전자 지불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50147A (ko) 구매 전용 카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JP2001175737A (ja) クレジット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クレジット情報処理用ソフトウェア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