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8887A - Display method of living formation using a map interface - Google Patents

Display method of living formation using a map inte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8887A
KR20010088887A KR1020010005157A KR20010005157A KR20010088887A KR 20010088887 A KR20010088887 A KR 20010088887A KR 1020010005157 A KR1020010005157 A KR 1020010005157A KR 20010005157 A KR20010005157 A KR 20010005157A KR 20010088887 A KR20010088887 A KR 20010088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p
area
living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1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형길
Original Assignee
유명순
씨티러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명순, 씨티러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명순
Priority to KR1020010005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8887A/en
Publication of KR20010088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887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providing living information using a map interface is provided to display map information in a region being shown on a map regardless of region by connecting a local living institution to event information in a map interactively and organically. CONSTITUTION: A whole country geographical features is classified based on information photographed actually(S801).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lassified region is inputted for setting a coordinate of the region(S803). Information of the region as building names, a telephone number, or a specific building is inputted(S805). In addition, liv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region may be inputted(S807). Central poin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region is inputted(S809). The inputted information is classifically inputted according to the classified regions and set as each pixel(S811).

Description

지도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생활 정보 제공 방법{DISPLAY METHOD OF LIVING FORMATION USING A MAP INTERFACE }How to provide life information using map interface {DISPLAY METHOD OF LIVING FORMATION USING A MAP INTERFACE}

본 발명은 지도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생활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단일화된 지도 정보를 다수의 셀(CELL)로 구분하고, 각 셀에 관련한 정보를 상호 연계토록 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범위내의 생활 시설문 및 이벤트 등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생활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living information using a map interfa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living facility within a range to be searched by dividing the unified map information into a plurality of cells (CELL) and interconn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each ce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life information using an interface for searching for a door and an event.

일반적으로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지도 검색은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위치 즉, 시(市), 구(區), 동(洞) 별로 데이터 베이스화된 정보를 구분토록 한 후, 해당 정보 써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도 검색 사이트는, http://www.hanmir.com, http://www.freemap.net, http://www.roadi.co.kr, http://www.seoulsubway.co.kr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사이트를 통해 검색되는 지도 정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general, the map search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site classifies the databased information by the location, namely, city, ward, and town, which the user wants to find, and then searches for the information. have. Such a map search site is http://www.hanmir.com, http://www.freemap.net, http://www.roadi.co.kr, http://www.seoulsubway.co.kr The map information retrieved through such sites is as follows.

도 1은 hanmir.com을 이용한 지도 검색의 초기 화면이다. 먼저 도 1은 전국 지도(100)가 표시되고, 사용자로부터 찾고자 하는 주소, 상호 및 전화번호로 써치 가능하도록 한 주소 입력난(102), 상호 입력난(104) 및 전화번호 입력난(106)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소 입력난(102)에서는 시(市)별로 입력 가능토록 지역 선택난이 구비되어 있다.1 is an initial screen of a map search using hanmir.com. First, FIG. 1 is a national map 100 is displayed, the address entry column 102, the mutual entry field 104 and the telephone number entry column 106 to be searchable from the user to the address, business name and phone number to look for from the user It is composed. In the address entry column 102, an area selection column is provided so that input is possible for each city.

사용자는 상기 주소 입력난(102)에서 요구하는 주소 정보를 입력하는데, 일예로 "서울특별시"를 선택한 후, "강남구 역삼동"을 입력할 경우, 스크린 상에는 "서울의 강남구"의 지도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스크린 상에는 "강남구"의 주변 지도 정보 또한 디스플레이되며, "강남구"지역의 지도 정보는 스크린의 중앙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써치하기에 수월하도록 표시된다.The user inputs the address information required by the address entry column 102. For example, if the user selects "Seoul" and then inputs "Yeoksam-dong, Gangnam-gu," the map information of "Gangnam-gu of Seoul" is displayed on the screen. . Here, the map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area of "Gangnam-gu" is also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map information of the "Gangnam-gu" area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arch.

이 때, 사용자가 "강남구"의 지도 정보 이외에 타지역 예컨대, "서울 면목동 "을 써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통해 스크린의 중심점을 상기 "면목동"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면목동"에서 찾고자 하는 정보를 검색할 경우에는 상기 주소 입력난(102), 상호 입력난(104) 또는 전화번호 입력난(106)을 통해 해당 정보를 입력하므로서, 스크린 상에서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wants to search other regions, for example, "Seoul Myeonmok-dong" in addition to the map information of "Gangnam-gu", the center point of the screen is moved to the "Myeonmok-dong" through a mouse or a keyboard. When the user searches for information to search for in "Myeonmok-dong", the desired information is input on the screen by inputt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hrough the address input column 102, the mutual input column 104, or the telephone number input column 106. You can search.

한편, 사용자가 타 지역의 정보를 검색하고자 할 경우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목동"을 써치하던 중 근교의 "구리시"를 써치하고자 할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when a user wants to search for information of another area, that is, to search for "Guri-si" of the suburbs while searching for "Myeonmok-dong" as shown in FIG.

먼저 경계선(205)을 중심으로 좌측으로는 면목동이 위치하고, 우측으로는 구리시가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위치(T)에서 찾고자 하는 위치 정보 예컨대, 병원 (201)일 경우 즉, 사용자는 지역 구분과 관계 없이 현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병원(201)을 찾고자 할 경우이다. 현재 사이트 상에서 제공하는 지도 정보는 서울시 또는 서울시의 "면목동"만의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병원(201)을 입력할 경우에는 "면목동"상에 위치한 병원(201)의 위치 정보만을 브라우저 상에 제공한다.First, Myeongmok-dong is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Guri-si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oundary line 205. In the case of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hospital 201, that is, the user is to be found at the current location T, that is, the user is irrespective of the area classification. If you want to find the nearest hospital (201) from the current location. The map information provided on the current site provides only information of "Myeonmok-dong" of Seoul or Seoul, and when the hospital 201 is input from a user, on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ospital 201 located on "Myeonmok-dong" is displayed on a browser. to provide.

도시된 바와 같이, 서울시에 포함되는 "면목동" 및 서울에 해당하는 지역의 지도 정보는 표시되지만, 서울시가 아닌 경기도 구리시는 대략적인 지도 정보만을 표시토록 하고 있다. 이는 현재 사이트상의 검색 정보는 "서울시"내의 정보만을 표시토록 하고 있어 "서울시"가 아닌 경기도는 지도상의 지리적 조합을 위해 단순 표시만을 하고 있는 것이다.As shown, the map information of "Myeonmok-dong" included in Seoul and the area corresponding to Seoul is displayed, but Guri-Gyeonggi-do, not Seoul, is intended to display only map information. This means that the current search information on the site only displays information in "Seoul City", and Gyeonggi-do, not "Seoul City", only displays a simple display for the geographical combination on the map.

일례로서, 사용자는 현재 위치(T)에서 가장 가까운 병원(203)의 위치 정보를 얻고자 할 경우, 현재 위치가 "면목동"이므로 현재 위치(T)에서 병원(201)을 검색할 것이다. 그러나 지도 검색 정보는 서울시의 "면목동"내의 병원(201) 정보를 써치하여 디스플레이 할 것이며 이로인해, 사용자는 현 위치(T)에서 가장 가까운 병원(203)을 찾지 못하고 지리적으로 먼 지역의 병원(201)의 위치 정보를 얻게 되는 것이다.As an example, if the user wants to obta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ospital 203 closest to the current location T, the user will search for the hospital 201 at the current location T because the current location is "Myeonmok-dong". However, the map search information will be displayed by searching the information of the hospital 201 in "Myeonmok-dong" of Seoul, so that the user cannot find the hospital (203) nearest to the current location (T), and the hospital (201) ) Location information.

이는 현재 사용되는 인터넷 지도 검색 정보가 지역별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당 지역의 모든 정보는 해당 지역안에서만 써치되도록 함에 따라, 지역 구분이 상이할 경우에는 지리적으로 근접된 지역이라 할 지라도, 사용자는 원하는 특정 지역을 써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current Internet map search information is used by region, and all the information of the region is searched only within the region. The problem is that it cannot be searched.

또한, 주소 입력난(102)을 통해 입력한 주소 정보내의 지도 정보를 벗어나 타 지역의 지도 정보를 얻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주소 입력을 이행하지 않고는 해당 지역 정보를 얻을 수 없어 지도 검색에 따른 불편함이 발생되고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p information in the address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address input field 102 is obtained and the map information of another region is obtained, the corresponding region information cannot be obtained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address input. Discomfort has arisen.

또한, 인터넷 지도 검색은 지리적 정보만을 제공하므로서, 써치 하고자 하는 해당 지역의 생활 환경 정보를 포함한 지역 정보가 탑재되지 않아 써치 정보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ternet map search provides only geographical inform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quality of the search information is not improved because the local information including the l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region to be searched is not load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도내의 지역 생활 시설물이나 이벤트 정보등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지역 구분없이 지도상에서 보이는 지역내의 지도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지도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생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local living facilities and event information in a map to be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map information in an area visible on a map can be displayed without region class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life information using a map interfa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지도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생활 정보 제공 방법은, a) 최소 단위의 지리적 구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b) 상기 지리적 구역에 대응한 지리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c) 상기 지리적 구역에 대응한 지역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d) 상기 지리적 구역에 대응한 광고 정보 및 상권 정보를 포함한 생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e) 상기 지리적 구역에 관한 중심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f) 상기 지리적 구역에 대응한 상기 지리 정보, 지역 정보, 중심점 정보 및 생활 정보를 하나의 픽셀로 구성하되, 상기 분할된 구역별로 이루어지도록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는 단계; g)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도 창의 크기 및 축척에 따라 상기 픽셀의 제공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h) 상기 픽셀의 제공 범위내에서 상기 각 픽셀의 지리 정보를 토대로 픽셀을 조합하는 단계; 및 i) 상기 조합된 픽셀내의 지도 정보, 지역 정보 및 생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living information using a map interface, the method comprising: a) dividing into geographical regions of a minimum unit; b) inputting geograph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ographic area; c) inputting reg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ographical region; d) inputting living information includ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and commerci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ographical area; e) entering center point information about the geographic area; f) mak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ographic area, the area information, the center point information, and the living information into one pixel, and making a database for each of the divided areas; g) setting a provision range of the pixel according to the size and scale of a map window input from a user; h) combining pixel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of each pixel within a range of providing the pixel; And i) displaying map information, area information, and living information in the combined pixel.

도 1은 종래 지도 검색 사이트의 초기 화면을 나타내며,1 shows an initial screen of a conventional map search site,

도 2는 도 1의 특정 지역을 확대하여 써치를 이행하는 화면을 나타내고,FIG. 2 illustrates a screen for performing a search by expanding a specific region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도 검색 사이트의 초기 화면을 나타내며,3 shows an initial screen of a map search s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특정 지역을 확대하여 써치를 이행하는 화면을 나타내고,4 illustrates a screen for performing a search by expanding a specific region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픽셀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내며,5 illustrates a screen for explaining a pix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픽셀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6 and 7 are for explaining the pixel of FIG. 5,

도 8은 픽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ixel.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1 : 창 501 : 경계선301: window 501: boundary line

503 : 서울지역 505 : 경기도 지역503: Seoul area 505: Gyeonggi-do area

507 : 픽셀(PIXEL) 509 : 현 지도의 중심점507 Pixels 509 Center points of the current map

T : 써치하고자 하는 지역 C : 현 지도의 중심 좌표T: Area to search C: Center coordinate of current map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 화면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표시창(301)에 도시된 전국 지도(303)를 통해 찾고자 하는 특정의 지도를 검색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마우스를 통해 일정 지역을 클릭한다. 클릭된 지역이 서울이라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울시내의 모든 구(區)가 구획되어 도시된다. 미설명된 T는 사용자의 현 위치 또는 찾고자 하는 특정 위치로서 이 후, 실시예로서 설명될 것이다.3 shows a part of an initial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earches for a specific map to be searched through the national map 303 shown in the display window 301, and typically clicks a certain region by a mouse. If the clicked area is Seoul, as shown in Fig. 4, all the districts of Seoul are divided and shown. The unexplained T i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or the specific location to be search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an embodiment.

도 8은 본 발명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도 6 및 도 7은 도 8의 이해를 돕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5는 실시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최소 단위의 구역 분할 단계(S801)로 진입하여, 전국 지리를 실사 즉, 실질적으로 촬영한 정보를 토대로 세분화한다. 예컨대, 가로/세로 각 1M 단위로 세분화하는 것이다.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and 7 are configuration diagram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FIG. 8, and FIG. 5 will be described as an embodiment. First, referring to FIG. 8, the process proceeds to the divisional division step S801 of the smallest unit, and the national geography is subdivided based on real-life, that is, actually photographed information. For example, it is subdivided into units of 1M each in width and length.

상기 세분화된 지역은 해당 지역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지리 정보 입력 단계(S803)를 거친다. 이는 상기 지역의 좌표를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지역과 해당 좌표를 일대일 대응시켜 소정의 정보로서 구축한다. 또한, 지역 생활 시설물 정보 입력 단계(S805)를 통해 상기 지역의 정보 예컨대, 해당 지역내의 건물 상호명, 전화 번호 또는 특정 건축물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The subdivided area goes through a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tep S803 of input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rea. This sets the coordinates of the area, and establishes as predetermined information by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area and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In addition, the local living facilities information input step (S805) through the information of the area,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building name, phone number or specific building in the area.

이와 더불어, 생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데, 이는 생활 광고 입력 단계(S807)를 거쳐 해당 지역의 생활지로서 활용 가능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생활 정보 입력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지역의 세분화가 1M 단위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개의 세분화된 지역을 조합하여 해당 생활 정보를 입력한다. 생활 정보로서는 해당 지역의 이벤트 정보, 부동산 정보, 중고자동차 매매를 포함한 상품 거래 정보 및 남녀간 데이트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차도의 노면 정보, 공사 구간 정보등을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ving information can be input, which is intended to be utilized as a living place in the region through the living advertisement input step (S807).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ubdivision of the area is in units of 1M, the living information is input by combining a plurality of subdivided areas as described above. The living information may be local event information, real estate information, product transaction information including used car sales, and dating information between men and women. In addition, road information on a road and construction section information may be input.

한편, 상기 정보와 더불어 해당 구역의 중심점 정보를 입력하는 중심점 정보 입력 단계(S809)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써치하고자 하는 위치가 모니터의 스크린 상 중심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중심 좌표 및 창의 크기, 축척을 설정할 뿐만 아니라, 이 후 설명될 생활 정보 검색에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proceeding to the center point information input step (S809) for inputting the center point information of the area in addition to the above information, to set the center coordinates, the size and scale of the window so that the position to be searched is displayed on the center of the screen of the monitor Rather, it is used for the retrieval of life inform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이 입력된 정보는 각각의 세분화된 구역별로 분할 입력되어, 각각의 픽셀(PIXEL)로 설정된다(S811). 따라서 하나의 픽셀에는 해당 구역의 지리 정보, 지역 정보, 생활 정보 및 중심점 정보가 입력되어 있으며, 운영자 서버(미도시함)는 상기 정보를 근거로 지도 정보를 완성한다.The input information is divided into respective subdivided zones and set to each pixel PIXEL (S811). Accordingly, geographic information, area information, living information, and center point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area are input to one pixel, and an operator server (not shown) completes the map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사용자는 특정 지역의 지도 정보를 확대/축소하여 원하는 축척으로 써치할 수 있으며, 이는 이미 설정된 다수개의 지도창 크기를 사용자가 설정할 경우 이에 대한 실축을 상기 서버가 연산한 후, 연산된 결과에 따라 상기 픽셀을 지리적으로 조합한다(S813). 물론, 축척에 따라 지도의 해상도를 달리하며,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되는 지리 정보의 삭제/추가가 이루어진다.The user may enlarge / reduce map information of a specific area and search for a desired scale. When the user sets a plurality of map window sizes that have already been set, the server calculates a real axis of the map window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sult. Pixels are combined geographically (S813). Of course, the resolution of the map varies according to the scale, which causes deletion / addition of the displayed geographic information.

그러면, 상기의 픽셀의 지리적 조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도 6 및 도 7이 참조된다. 사용자가 설정한 지리적 위치(C)와 축척 정도에 따라 스크린 상에는 상기 지리적 위치(C)를 중심으로 X축으로 2N개의 픽셀과 Y축으로 2M개의 픽셀을 구성한다. 픽셀의 갯 수는 축척에 따라 정해지며, 이는 화면의 크기에 비례하여 설정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보다 넓은 지역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좁은 지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815). 본 발명에서는 X/Y축으로 각각 2N/2M개로 설정함을 실시예로 한다.The geographical combinations of the pixels will then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position C and the degree of scale set by the user, 2N pixels on the X axis and 2M pixels on the Y axis are configured on the screen. The number of pixel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cale, which is set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screen, and may display a wider area or a narrower area as necessary (S815).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 is set to 2N / 2M pieces in the X / Y axis.

상기 지리적 위치(C)의 좌표를 CX,CY로 할 경우, 도면의 좌측 하단부는 CX-N, CY-M으로 설정될 것이며, 도면의 우측 상단부의 좌표는 CX+N, CY+M으로 설정된다(S817). 따라서 CX좌표에는 CX-N에서 CX+N개의 픽셀을 필요로 하며, CY좌표에는 CY-M에서 CY+M개의 픽셀을 필요로 한다. 앞서 설명된 데이터 베이스화된 정보는 상기의 범위내에서 해당 정보를 출력토록 하는데, 도 7은 지리 정보에 따른 다수의 픽셀을 도시하고 있다.When the coordinates of the geographical position C are set to CX and CY, the lower left part of the drawing will be set to CX-N and CY-M, and the coordinates of the upper right part of the drawing are set to CX + N and CY + M. (S817). Therefore, CX coordinates require CX + N pixels in CX-N and CY coordinates require CY + M pixels in CY-M. The databased information described above cause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be output within the above range, and FIG. 7 shows a plurality of pixels according to geographic information.

각각의 픽셀은 상기 운영자 서버를 통해 좌표별로 조합되며, 해당 픽셀에 대한 정보는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저장된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써치 정보 입력시 이에 대응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내에서 스캔하기 위한 것으로, 스켄 결과는 리스트 또는 지도 상에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 한다.Each pixel is combined by coordinates through the operator server, and information about the pixel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memory. The stored information is for scann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the memory when the search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user, and the scan results are displayed graphically on a list or a map.

상기의 디스플레이 결과는 인터넷을 통한 개인 PC로 전송될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기기 예컨대, PDA, IMT2000, 모바일 폰, PC나 통신기기 들을 통해 전송가능하도록 하므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부각시킬 수 있다.The display results can be transmitted not only to a personal PC through the Internet, but also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PDA, IMT2000, mobile phone, PC, or communication device, thereby emphasiz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구성으로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elow.

사용자는 서울 "노원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특정 지역(T)에서 병원(601)을 찾고자 할 경우, 도 3에서 "서울"을 클릭한 후 도 4를 통해 "노원구"를 클릭한다. 이 때, 스크린 상에는 노원구의 중심 지역을 중심으로 해당 축척에 따라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는 특정 지역(T)을 찾기 위해 마우스를 통해 화면의 중심점을 이동시켜 자신의 위치를 써치할 것이다.If the user is located in "Nowon-gu" Seoul, and want to find a hospital 601 in a specific area (T), click "Seoul" in Figure 3 and then click "Nowon-gu" through FIG. At this time, on the screen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scale around the center area of the Nowon-gu. The user will search for his location by moving the center point of the screen with the mouse to find a specific area (T).

여기서 중심점의 이동은 축척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범위를 가변시키는 것으로, 가변된 지리 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지역 정보, 생활 정보 및 중심점 정보 등이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들이게 된다. 즉, 지리 정보와 축척 정보에 따른 다수개의 픽셀(507)을 읽어 들이는 것으로, 도 5는 이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Here, the movement of the center point changes the range of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scale, and corresponding area information, living information, and center point information are read from the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geographic information. That is, by reading a plurality of pixels 507 according to geographic information and scale information, FIG. 5 shows the result.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특정 지역(T)은 서울(503)과 경기도(505)의 경계선(501)의 근교에 위치하고 있으며, 미도시된 상호 입력난을 통해 "병원"을 입력한다. 상기 운영자 서버는 "병원"을 입력 받아 현재 읽어 들인 다수 개의 픽셀(507)에 포함된 지역 정보를 리드하는 것이다. 이는 데이터 베이스화된 정보중에서 X축으로 CX-N에서 CX+N 범위 및 Y축으로 CY-M에서 CY+M 범위내의 정보만을 읽어 들인 후, 상기 범위내에 위치한 "병원"을 찾는 것이다.The specific area T that the user wants to find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boundary 501 between Seoul 503 and Gyeonggi-do 505, and inputs a "hospital" through an input column not shown. The operator server receives a "hospital" and reads loc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pixels 507 currently read. This reads only information in the CX-N to CX + N range on the X-axis and CY-M to CY + M on the Y-axis of the databaseized information, and then finds a "hospital" located within that range.

따라서 상기 범위내에 포함되는 서울(503)과 경기도(505)에 위치한 "병원"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의 디스플레이 결과를 통해 현재 위치(C)에서 가장 가까운, 즉 서울과 경기도의 지역 구분 없이 현 위치에서 근접한 "병원"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hospital" located in Seoul 503 and Gyeonggi-do 505 that fall within the above range is to be displayed. The user can find the "hospital" closest to the current location (C), that is, close to the current location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Seoul and Gyeonggi-do.

또한, 사용자는 써치하고자 하는 "병원"이외에 해당 "병원"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지역 정보를 찾을 수 있는데, 이는 앞서 설명된 상기 병원의 지리적 정보와 더불어 지역 정보 및 생활 정보를 제공 받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병원의 특정 진료 유치를 위한 광고를 포함하여, 병원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구직 광고 또는 중고 매매 광고등을 한 눈에 살필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사용자는 써치하고자 하는 병원의 위치 정보이외에 병원에 관련한 주변 환경 정보를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find the local information of the region where the "hospital" is located in addition to the "hospital" to be searched, which is provided with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the living information as well as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hospital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ncluding advertisements for attracting a specific treatment of the hospital, job advertisements or used sale advertisements in the area where the hospital is located may be examined at a glance. As a result, the user may know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spital in addition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ospital to be searched.

이는 스크린의 일단으로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지역의 생활 정보, 상권 정보및 상권 홍보를 제공토록 하는 것으로, 상기의 정보를 토대로 무선 통신 상권 컨텐츠 제공, GIS NAVIGATION 솔루션 공급, IMT2000 컨텐츠 제공, CRM/DB 마케팅 제공, 경영 컨설팅 지원 등이 가능하다.This is to provide the living information, commercial information and commercial information of the area currently displayed to one end of the screen.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business contents provision, GIS NAVIGATION solution provision, IMT2000 contents provision, CRM / DB marketing provision, Management consulting support is available.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역별로 세분화한 픽셀로 구성토록 한 후, 각 픽셀에 대한 지리 정보, 지역 정보 및 생활 정보 등을 해당 좌표와 더불어 구성토록 함으로써, 시, 도, 구, 동 별에 따른 지역 구분에 관계 없이 현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범위내에서 모든 정보의 써치가 균등하게 이루어져, 사용자의 써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pixel divided by region, and then to configure the geographic information, regional information and living information for each pixel with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by city, province, district, district Irrespective of the regional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search, all the information is searched evenly within the range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thereby maximizing the user's search efficiency.

또한, 해당 지역에 따른 제공되는 생활 정보를 통해 원하는 지역에서의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어 사용자와 생활 정보간의 격차를 줄여, 생활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the desired information in the desired region through the provided l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gion, thereby reducing the gap between the user and the living information,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living.

또한, GIS 지리 정보를 IMT2000의 컨텐츠 또는 모바일 서비스로 이용토록 함에 따라, 본 발명의 기능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In addition, by using the GIS geographic information as a content or mobile service of the IMT200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unction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지도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생활 정보 제공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method of providing living information using the map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Claims (3)

a) 최소 단위의 지리적 구역으로 분할하는 단계;a) dividing into smallest geographical regions; b) 상기 지리적 구역에 대응한 지리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b) inputting geograph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ographic area; c) 상기 지리적 구역에 대응한 지역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c) inputting reg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ographical region; d) 상기 지리적 구역에 대응한 광고 정보 및 상권 정보를 포함한 생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d) inputting living information includ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and commerci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ographical area; e) 상기 지리적 구역에 관한 중심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e) entering center point information about the geographic area; f) 상기 지리적 구역에 대응한 상기 지리 정보, 지역 정보, 중심점 정보 및 생활 정보를 하나의 픽셀로 구성하되, 상기 분할된 구역별로 이루어지도록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는 단계;f) mak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ographic area, the area information, the center point information, and the living information into one pixel, and making a database for each of the divided areas; g)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도 창의 크기 및 축척에 따라 상기 픽셀의 제공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g) setting a provision range of the pixel according to the size and scale of a map window input from a user; h) 상기 픽셀의 제공 범위내에서 상기 각 픽셀의 지리 정보를 토대로 픽셀을 조합하는 단계; 및h) combining pixel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of each pixel within a range of providing the pixel; And i) 상기 조합된 픽셀내의 지도 정보, 지역 정보 및 생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생활 정보 제공 방법.i) displaying map information, area information and life information in the combined pixel; and providing life information using a map inte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지도 정보, 지역 정보 및 생활 정보는 IMT2000의컨텐츠, 모바일의 서비스, GIS NAVIGATION의 솔루션 및 CRM/DB 마케팅용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생활 정보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p information, the area information, and the life information are provided for content of IMT2000, mobile service, solution of GIS NAVIGATION, and CRM / DB market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정보는 시설물의 상호 정보, 전화 번호 정보이며, 상기 생활 정보는 해당 지역의 이벤트 정보, 부동산 정보, 중고자동차 매매를 포함한 상품 거래 정보 및 남녀간 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생활 정보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rea information is mutual information an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facilities, and the living information includes event information, real estate information, goods transaction information including used car sales, and dating information between men and women. Lif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 map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10005157A 2001-02-02 2001-02-02 Display method of living formation using a map interface KR200100888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157A KR20010088887A (en) 2001-02-02 2001-02-02 Display method of living formation using a map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157A KR20010088887A (en) 2001-02-02 2001-02-02 Display method of living formation using a map interf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887A true KR20010088887A (en) 2001-09-29

Family

ID=1970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157A KR20010088887A (en) 2001-02-02 2001-02-02 Display method of living formation using a map inte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8887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6052A1 (en) * 2007-09-10 2009-03-19 Mitac International Corporation Nearest-neighbor geographic search
US8554475B2 (en) 2007-10-01 2013-10-08 Mitac International Corporation Static and dynamic contours
KR101403297B1 (en) * 2009-09-04 2014-06-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dvertisement Delivering on a navigation,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KR20180101477A (en) * 2016-01-25 2018-09-12 구글 엘엘씨 Reduced latency of map interface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6052A1 (en) * 2007-09-10 2009-03-19 Mitac International Corporation Nearest-neighbor geographic search
US7882102B2 (en) 2007-09-10 2011-02-01 Mitac International Corporation Nearest-neighbor geographic search
US8554475B2 (en) 2007-10-01 2013-10-08 Mitac International Corporation Static and dynamic contours
KR101403297B1 (en) * 2009-09-04 2014-06-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dvertisement Delivering on a navigation,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KR20180101477A (en) * 2016-01-25 2018-09-12 구글 엘엘씨 Reduced latency of map interfaces
KR20200035491A (en) * 2016-01-25 2020-04-03 구글 엘엘씨 Reducing latency in map interfa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21008B (en) Map segment data are prefetched along route
US20080301565A1 (en) Bookmarking and lassoing in a geo-spatial environment
Johansen et al. Bridging between the regional degree and the community approaches to rurality—A suggestion for a definition of rurality for everyday use
EP1426876A1 (en)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KR20100030906A (en) Method of registering advertisements on an electronic map using advertisement registration reference information
US20080091689A1 (en) Simple discovery ui of location aware information
KR20010105569A (en) 3- Dimensional real-estate geographic Information internet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10088887A (en) Display method of living formation using a map interface
KR20020014011A (en) Facility management and consumer management system with digital map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s and the managing method thereof
KR100412023B1 (en) Method For Indication Of Advertisement by using position information In Electronic Map
Steiniger et al. Foundations of LBS
KR20000023936A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Region on the digital map
Nagi Cartographic visualization for mobile applications
KR100403535B1 (en) Method For Indication Of Advertisement In Electronic Map
KR100428797B1 (en) System for processing information of public transpotation
JP7036785B2 (en) Providing equipment, providing method, and providing program
KR20000072571A (en) Realizing and retrieving methods of local and geographic informationon on the Internet
KR20000063688A (en) A professional system for Analysing commercial district based on a Internet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KR20070102067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omepage and displaying detailed information based electronic map,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WO2022259791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arampanah A survey of usability issues in mobile map-based systems
JP2003076697A (en) Area specif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101526941B1 (en) Method and system displaying frame searching result
JP2008032952A (en) Map display system, map display device, map information distribution server, program, and map display method
JP4958947B2 (en) Image-based web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map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