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731A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mittances using internet banking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mittances using internet ban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731A
KR20010044731A KR1020010014537A KR20010014537A KR20010044731A KR 20010044731 A KR20010044731 A KR 20010044731A KR 1020010014537 A KR1020010014537 A KR 1020010014537A KR 20010014537 A KR20010014537 A KR 20010014537A KR 20010044731 A KR20010044731 A KR 20010044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transfer
bank
account transf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5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46105B1 (en
Inventor
최성옥
Original Assignee
최성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옥 filed Critical 최성옥
Priority to KR10-2001-0014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105B1/en
Publication of KR20010044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7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10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Q50/60

Abstract

PURPOSE: A system and a method for management of account transfer using internet banking are provided to store data of remittance or account transfer and information necessary to account transfer in customer's computer, output the data and information if necessary and inform automatically remittance or account transfer of a recipient. CONSTITUTION: A communication device(101) transmits or receives data through an internet. A customer management device(102) decides and certifies user's connection to a bank server by using information stored in a customer data base(102a) in response to customer's request for connection. An account transfer management device(103) outputs information of an account number, a remitter and a recipient stored in an account details data base(103a) in case a customer requests for account transfer and performs input of information. An account transfer storage device(104) stores an amount of money transfered, a recipient and an account number into the account details data base(103a). A report device(105) informs state of account transfer of a recipient with reference to an address stored in an address data base(105a) after completion of account transfer.

Description

인터넷 뱅킹을 이용한 계좌이체관리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mittances using internet banking}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mittances using internet banking}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하여 계좌이체(송금)와 같은 업무를 처리할 때 특정계좌번호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가 한 번 또는 두 번의 클릭으로 용이하게 계좌번호 및 수신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계좌이체 또는 송금액 데이터를 저장, 출력하고, 수신자에게 통보할 수 있는 계좌이체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performing a transaction such as bank transfer (transfer) through the Internet, the specific account number is stored in advance, and the account number and the recipient can be easily input by one or two click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ount transfer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for storing, outputting data, and notifying a recipient.

은행에서는 업무처리를 원활하게 하고, 고객의 편의를 위하여 현금지급기, 통장정리기 등과 같은 무인관리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은행에 직접 가지 않고 잔액조회, 계좌이체(송금 포함)등과 같은 은행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인터넷 통신을 이용한 뱅킹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잔액조회, 또는 계좌이체 서비스를 이용하기 원하는 고객은 인터넷을 통하여 자신이 가입한 해당 은행의 계좌이체양식이 포함되어 있는 웹페이지에 접속한 후에 서비스화면에서 출금 및 입금을 위한 은행계좌번호(또는 구좌번호)와 비밀번호 등과 같은 잔액조회 또는 계좌이체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면 해당 은행의 중앙서버에서 요청된 서비스를 처리한 후에 그 결과를 고객의 단말기 화면상에 출력하여 거래성사를 확인시킨다.Banks use unmanned management devices, such as cash dispensers and bank accounts, to facilitate business processes and for the convenience of customers. It also provides banking services using internet communications to handle banking services such as balance checks and bank transfers (including remittances) without going directly to the bank. Customers who wish to use the balance inquiry or bank transfer service can access the bank account number (or account) for withdrawal and deposit from the service screen after accessing the web page containing the bank transfer form of the bank to which they subscribed through the Internet. If you input the necessary data for balance inquiry or account transfer such as number) and password, the central server of the bank processes the requested service and then prints the result on the customer's terminal screen to confirm the transaction.

상기와 같이 인터넷뱅킹은 고객이 직접 은행에 가지 않더라도 잔액조회나 계좌이체를 가정이나 직장에서 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지만, 계좌이체를 할 때마다 출금, 입금할 은행계좌번호, 비밀번호 등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입력하여야 하므로, 계좌번호를 적은 메모지를 잘 보관하여야 하며, 메모지를 분실한 경우에는 계좌번호를 다시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계좌번호입력시에도 입력된 번호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는가를 재삼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안심할 수 없었다.As mentioned above, Internet banking is convenient because you can check your balance or transfer money at home or at work, even if you do not go directly to the bank.However, each time you transfer money, you can manually withdraw the bank account number and password. Because you have to enter, you should keep a memo with the account number. If you lose the memo, you have to check the account number again. Also, when you enter the account number, you must check whether the entered number is entered correctly. I could not rest assured.

더욱이, 계좌이체나 송금을 빈번하게 할 때, 계좌이체내역이나 송금내역을 별도로 분류, 기록해 놓지 않으면, 후에 계좌이체내역을 해당 은행에 조회하여야 한다. 계좌이체내역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중복된 계좌이체나 송금이 발생하기도 하며, 계좌이체시켜야할 것을 잃어버려서 계좌이체가 되지 않아 입금시기를 잃어버리는 경우도 발생되었다.In addition, when making frequent transfers or remittances, the bank transfers should be inquired later, unless the bank transfers or remittances are classified and recorded separately. When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bank transfer history, duplicated account transfers or remittances may occur, and the transfer time is lost because the account transfer cannot be made because the account has to be transferred.

또한 계좌이체 또는 송금등의 업무를 처리한 후에 계좌이체 수신인에게 계좌이체 사실을 전화 또는 이메일등으로 통보하여야 하는데, 다른 업무처리중에 잃어버려서 통보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In addition, after processing the transfer or remittance, etc., the recipients of the transfer should be notified by telephone or e-mail,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y are not informed that they are lost during other operation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인터넷을 통하여 송금 또는 계좌이체와 같은 업무를 처리할 때 특정계좌번호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가 한 번의 클릭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송금 또는 계좌이체데이터를 저장, 출력할 수 있는 인터넷 뱅킹을 이용한 계좌이체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which is to store a specific account number in advance when processing a transfer such as wire transfer or bank transfer over the Internet, and can be entered with a single click, remittance 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ount transf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Internet banking for storing and outputting account transfer data.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좌이체 또는 송금을 한 후에 이것을 상대방 수신인에게 자동으로 통보할 수 있는 인터넷 뱅킹을 이용한 계좌이체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ount transf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Internet banking that can automatically notify the other recipients after the transfer or remittance.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계좌이체 또는 송금시에 은행 또는 고객의 PC에 계좌이체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출력함으로서 개선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 뱅킹을 이용한 계좌이체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ount transf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Internet banking that can provide improved services by stor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required for bank transfer to a PC of a bank or a customer when transferring or remitting money. To provid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통신망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계좌이체관리시스템의 블럭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bank transfer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계좌이체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aging a bank transf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계좌번호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의 일실시예,4A and 4B illustrate one embodiment of a screen showing a display state of an account number;

도 5는 인터넷 뱅킹의 계좌이체를 위한 입력용화면의 일실시예,5 is one embodiment of a screen for input for wire transfer of Internet banking,

도 6은 계좌이체사실을 통보하기 위한 화면의 일실시예,Figure 6 is an embodiment of a screen for notifying the account transfer facts,

도 7은 본 발명의 계좌이체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7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ank transfer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계좌이체관리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nk transfer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0,12: 은행서버 20: 사용자PC10,12: bank server 20: user PC

101: 통신수단 102: 고객관리수단101: communication means 102: customer management means

102a: 고객DB 103: 계좌이체관리수단102a: customer DB 103: account transfer management means

103a: 계좌내역DB 104: 계좌이체저장수단103a: account details DB 104: account transfer storage means

105: 통보수단 105a: 연락처DB105: notification means 105a: contact DB

201: 통신수단 202: 은행계좌관리수단201: communication means 202: bank account management means

202a: 계좌저장DB 203: 계좌이체관리수단202a: account storage DB 203: account transfer management means

203a: 계좌이체저장DB 204: 계좌이체통보수단203a: bank transfer storage DB 204: bank transfer notification means

204a: 이메일송신부 204b: 전화통지부204a: E-mail sending unit 204b: Telephone notification unit

204c: 팩스송신부 205: 계좌이체출력수단204c: fax transmission unit 205: account transfer output means

206: 계좌양식확인수단206: account form verification mea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터넷 뱅킹을 이용한 계좌이체관리시스템 및 방법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account transf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Internet ban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인터넷 뱅킹을 이용한 계좌이체관리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수단과, 은행고객의 접속요구에 대하여 고객DB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허락을 판단, 인증하는 고객관리수단과, 고객의 계좌이체요청시에 계좌내역DB에 저장된 입출금용 계좌번호, 송금자, 수신자등에 대한 제반정보를 출력하고 정보입력을 수행하는 계좌이체관리수단과, 계좌이체된 금액, 수신인, 계좌번호등을 계좌내역DB에 저장하기 위한 계좌이체저장수단과, 계좌이체가 완료된 후에 연락처DB에 저장된 수신처를 참고하여 수신인에게 계좌이체상황을 통보하는 통보수단을 포함한다.Account transf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ban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customer management means for determining and authenticating the access permission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ustomer DB for the connection request of the bank customer And, the account transfer management means for outputting all the information about the deposit and withdrawal account number, remitter, recipient, etc. stored in the account history DB and input the information, and the amount transferred, recipient, account number Account transfer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etc. in the account history DB, and a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the recipient of the account transfer status by referring to the destination stored in the contact DB after the account transfer is completed.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사용자가 은행에 접속하고 인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계좌이체메뉴를 선택하면 계좌이체용화면과 미리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계좌이체에 필요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계좌이체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전송하면 계좌이체요구에 따른 송금처리를 수행하고 계좌이체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계좌이체 수신인에게 송금내역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accesses the bank and authenticates, and if the user selects the account transfer menu, the screen for the account transfer and the data required for the account transfer previously input by the user, and the user, When the user inputs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transfer, the bank may perform the remittanc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bank transfer request,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nk transfer, and notify the wire transfer recipient of the remittance details.

본 발명의 인터넷 뱅킹을 이용한 계좌이체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터넷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수단과, 은행의 계좌번호를 입력란에 입력하고 계좌저장DB에 계좌이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은행계좌관리수단과, 은행계좌를 통하여 자금을 계좌이체시키고 그 결과를 계좌이체저장DB에 저장하는 계좌이체관리수단과, 계좌이체된 내역을 수신인에게 통보하기 위한 계좌이체통보수단과, 계좌이체된 내역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계좌이체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bank transf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ban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ver the Internet, and input the bank number of the bank in the input field and storing the data for the account transfer in the account storage DB A bank account management means, a bank transfer management means for transferring funds through a bank account and storing the result in a bank transfer storage DB, a bank transfer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the recipient of the account transfer, and a bank transf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nk transfer output means for visually outputting the details.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뱅킹모드와 접속은행을 선택하여 접속하고 인증받는 단계와, 선택된 은행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고 계좌이체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와, 입력된 데이터를 은행의 서버로 전송하는 것과 동시에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계좌이체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좌이체사실을 수신인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elects a banking mode and an access bank to access and authenticate, accesses a web page of the selected bank, inputs data for account transfer, and inputs data. And storing the input data at the same time as transmitting to the server of the bank, and notifying the recipient of the fact of the transfer using the stored data when the transfer is normally completed.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characteristics in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연결상태도로서, 통상의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다수의 은행서버(10,12)들이 사용자PC(20)와 연결됨을 알 수 있다. 도면에서는 2개의 은행서버(10,12)와 하나의 사용자PC(20)가 표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다수 확장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 be seen that a plurality of bank servers 10 and 12 are connected to a user PC 20 through a general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lthough two bank servers 10 and 12 and one user PC 20 are shown in the figure, it is obvious that this can be extended in number.

은행서버(10,12)들은 각각의 은행에 위치하고 있으며 통상의 인터넷뱅킹, 또는 PC뱅킹의 업무를 처리한다. 각 은행서버(10,12)들은 자체적으로 구성된 웹페이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것은 각 은행고유의 형식을 가진다. 따라서 은행서버(10,12)에 접속하여 잔액조회 또는 계좌이체를 하기 위해서는 인증을 위하여 각각의 은행의 고유형식에 맞는 데이터(계좌번호, 비밀번호등)들을 입력하고 접속하여야 한다.The bank servers 10 and 12 are located in respective banks and handle normal Internet banking or PC banking tasks. Each bank server 10, 12 has its own web page, which has its own format. Therefore, in order to check balances or transfer funds by accessing the bank servers 10 and 12, data (account number, password, etc.) corresponding to each bank's unique format must be entered and authenticated for authent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계좌이체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블록구성도로서, 은행에 설치되는 서버부분을 표시하고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버(10)를 대상으로 설명한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ank transf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server portion installed in a bank,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erver 1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수단(101)과, 은행고객의 접속요구에 대하여 고객DB(102a)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허락을 판단, 인증하는 고객관리수단(102)과, 고객의 계좌이체요청시에 계좌내역DB(103a)에 저장된 입출금용 계좌번호, 송금자, 수신자등에 대한 제반정보를 출력하고 정보입력을 수행하는 계좌이체관리수단(103)과, 계좌이체된 금액, 수신인, 계좌번호등을 계좌내역DB(103a)에 저장하기 위한 계좌이체저장수단(104)과, 계좌이체가 완료된 후에 연락처DB(105a)에 저장된 수신처를 참고하여 수신인에게 계좌이체상황을 통보하는 통보수단(105)을 포함한다.As shown, the communication means 10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customer management means 102 for determining and authenticating the access permission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ustomer DB 102a for the connection request of the bank customer. And, the bank transfer management means 103 for outputting all the information on the deposit and withdrawal account number, the remitter, the recipient, etc. stored in the account history DB (103a) at the request of the customer's account transfer and performs information input; Account transfer storage means 104 for storing the amount of money, the recipient, the account number, etc. in the account history DB (103a), and the account transfer status to the recipient by referring to the destination stored in the contact database (105a) after the transfer is completed. And notification means 105 for informing.

상기 통신수단(101)은 인터넷을 통하여 다른 컴퓨터 또는 서버들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것이다. 이것은 통상의 모뎀, 전용선 또는 ADSL등과 같은 인터넷통신용의 하드웨어들을 제어하여 데이터들을 송수신한다. 통신수단(101)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며 인터넷 익스플로러 또는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와 같은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데이터들을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은행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계좌이체를 위한 데이터입력용 화면을 표시하는데에도 역시 이용된다.The communication means 101 is for data communication with other computers or servers via the Internet. It controls data for Internet communication such as a modem, leased line or ADSL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communication means 101 may transmit data by using an Internet protocol and providing an interface using a web browser such as Internet Explorer or Netscape Navigator. In particular, it is also used to display the screen for data input for the account transfer provided from the bank server 10.

상기 고객관리수단(102)은 은행에 접속하여 계좌이체등의 업무를 원하는 고객이 접속하여 계좌이체가 허용된 회원인가를 확인하고 접속 및 계좌이체를 허용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고객관리수단(102)은 통신수단(101)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접속이 요청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등록한 정당사용자인가 아닌가를 확인한다. 정당사용자는 통상 은행거래를 위하여 은행에 뱅킹서비스를 신청한 사람으로서 은행계좌를 소지한 사람이다. 고객관리수단(102)은 인터넷뱅킹이 허용된 ID 및 패스워드를 저장한 고객DB(102a)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판독하고 회원임을 확인한다. 회원이 아니면 접속불가메시지를 출력한다.The customer management means 102 is to set up to connect to the bank to confirm that the customer who wants to work, such as account transfer, access the account is allowed member and to allow access and account transfer. The customer management means 102 checks whether the user is a party user registered using the ID and password inputted by the user when the user requests a connec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101. A party user is a person who has applied for banking services to a bank for banking transactions and has a bank account. The customer management means 102 reads the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customer DB 102a which stores the ID and password allowed for internet banking and confirms that it is a member. If you are not a member, you will be prompted to connect.

정당한 회원으로 판단되면 고객관리수단(102)은 메뉴화면을 출력한다. 사용자는 출력된 메뉴화면에서 필요한 기능, 예를 들면 계좌이체, 잔액조회등의 필요한 기능을 선택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egitimate member, the customer management means 102 outputs a menu screen. The user selects the necessary functions, such as account transfer and balance inquiry, from the output menu screen.

선택된 기능이 송금 또는 계좌이체이면 계좌이체관리수단(103)에서 계좌이체에 필요한 정보입력화면과 함께 등록고객이 미리 저장한 계좌이체에 필요한 정보를 출력한다. 계좌이체의 정보입력화면의 일례가 도 5에 표시되어 있다. 이 정보입력화면은 은행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도 5는 국내은행중 "한빛은행"의 계좌이체화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출금계좌번호, 비밀번호, 입금계좌번호, 예금주의 성명등의 입력란이 표시되어 있다. 통상 계좌이체를 하기 위하여서는 고객은 각 입력란에 필요한 사항을 직접 입력시켜야 하였다.If the selected function is money transfer or bank transfer, the account transfer management unit 103 outputs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account transfer previously stored by the registered customer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input screen required for the bank transfer. An example of the information input screen of the bank transfer is shown in FIG. This information input screen differs slightly depending on the bank. Figure 5 shows the screen transfer screen of the "Hanbit Bank" of the domestic bank, and the input fields such as withdrawal account number, password, deposit account number, the name of the account holder. In order to transfer money, the customer had to manually enter the necessary information in each field.

상기와 같은 계좌이체에 필요한 정보입력화면과 함께 본 발명에 의하면 도 4a 및 4b와 같은 계좌이체 출금 및 입금에 필요한 데이터가 표시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input screen required for the above-mentioned account transfer, data necessary for withdrawal and deposit of the bank transfer as shown in FIGS. 4A and 4B is displayed.

도 4a 및 도 4b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등록된 은행계좌번호, 예금주등의 일실시예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도 5와 같은 계좌이체용 화면상에서 도 4a와 같이 표시된 별도의 화면상에 있는 출금용 "은행명"을 마우스를 이용하여 클릭(또는 더블클릭)하면 기재되어 있는 출금용 계좌번호가 해당 입력란에 표시된다. 입력은 커서를 입력란에 위치시키고, 마우스를 입력시키고자 하는 은행명 또는 해당 계좌번호를 클릭하여 입력시킬 수 있다.4A and 4B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bank account number, an account holder, and the like, which are registered in advance by a user. When the user clicks (or double-clicks) the withdrawal "bank name" on the separate screen displayed as shown in FIG. 4A on the screen for transfer of funds as shown in FIG. Is displayed. Input can be done by placing the cursor in the input box and clicking the bank name or the account number to which the mouse is to be entered.

도 4a에서는 다수의 은행에 대한 계좌번호, 예금주등에 대한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지만, 실제 특정은행에서는 고객에게 자은행의 계좌번호만을 저장하도록 허용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특정은행에 접속한 상태에서는 고객이 보유한 해당은행의 계좌번호만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은 명백하다. 이러한 문제점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발생되지 않는다.In FIG. 4A, data on account numbers, account holders, etc. for a plurality of banks is displayed, but in practice, a specific bank tends to allow a customer to store only an account number of its own bank. Therefore, i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only the account number of the corresponding bank held by the customer in a state connected to a specific bank, it is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display example. This problem does not occur 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계좌이체관리수단(103)으로부터 전송되는 은행계좌번호, 예금주등의 데이터들은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은행서버(10)의 계좌내역DB(103a)에 저장되었다가 해당 고객이 접속하고 계좌이체기능이 요구되면 자동적으로 출력된다. 물론 등록되지 않은 계좌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함은 명백하다.Data such as the bank account number, the account holder, etc. transmitted from the bank transfer management unit 103 are stored in advance in the account history DB 103a of the bank server 10 by the user, and when the customer accesses and the bank transfer function is required. It is output automatically.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enter an unregistered account number directly.

상기와 같이 계좌번호를 클릭하여 계좌번호가 웹페이지의 입력란에 입력되면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직접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비밀번호를 미리 저장하지 않는 것은 거래상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원한다면 비밀번호를 저장한 상태에서 클릭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ccount number is entered in the input box of the web page by the user, the user directly inputs the password using the keyboard. Not storing passwords in advance is intended to maintain transactional safety. If you want, you can save your password and enter it automatically by clicking.

비밀번호의 입력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는 계좌이체되어서 돈을 입금받는 입금용 은행의 계좌번호를 입력시킨다. 이것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입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입금은행이 "국민은행"이고 계좌번호가 "021-22-0111-998"이면 커서를 입금은행 및 계좌번호입력란에 순차적으로 위치시키고 마우스를 이용하여 해당 계좌번호를 클릭하여 입력시킬 수 있다. 또는 예금주를 기준으로 한 색인자료를 출력하고 한 번의 클릭을 통하여 예금주, 계좌이체번호등의 필요한 정보를 입력시킬 수 있다. 입력후에 계좌이체시킬 금액의 입력을 수행한다.After the input of the password is completed, the user enters the account number of the deposit bank which is transferred to the account and receives the money. This can also be input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f the deposit bank is "Kookmin Bank" and the account number is "021-22-0111-998", the cursor can be placed in the deposit bank and the account number input fields sequentially and click the corresponding account number using the mouse. have. Or you can print out the index data based on the account holder, and enter the necessary information such as the account holder and bank transfer number with a single click. After input, the amount of money to be transferred to the account is entered.

상기와 같이 은행계좌이체에 필요한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전송명령을 위하여 마우스를 클릭한다. 마우스클릭에 의한 데이터전송명령이 입력되면 웹페이지의 입력란에 입력된 계좌번호, 금액, 비밀번호등의 데이터들은 암호화되어 해당 은행서버(10 또는 12)로 전송된다. 은행서버(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계좌이체정보를 이용하여 송금업무를 처리한다. 송금업무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정상처리결과화면을 사용자PC로 송출한다.When the input of the data required for bank account transfer is completed as above, the user clicks the mouse for a transfer command. When a data transmission command is inputted by a mouse click, data such as an account number, an amount, and a password entered in an input field of a web page are encrypted and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bank server 10 or 12. The bank server 10 processes the remittance service using the account transf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If the remittance service is processed normally, the normal processing result screen is sent to the user PC.

이와 동시에 계좌이체저장수단(104)은 정상적으로 송금된 계좌이체내역을 계좌내역DB(103a)에 저장한다. 저장되는 내용은 각 고객별로 날자, 시간, 금액, 출금계좌, 입금계좌, 수신인등이 된다. 저장된 계좌이체내역은 후에 고객으로부터 출력요청이 있으면 특정한 형식, 예를 들면 날자별, 수신인별 등으로 분류, 출력된다.At the same time, the bank transfer storage means 104 stores the bank transfer history normally transferred to the account history DB (103a). The contents stored are the date, time, amount, withdrawal account, deposit account, and recipient for each customer. Stored account details are later sorted and output in a specific format, for example, by date, by address, etc., upon request from the customer.

상기와 같이 계좌이체가 완료된 후에 통보수단(105)을 이용하여 계좌이체사실을 수신인에게 통보한다. 통보수단은 통상의 이메일을 사용하거나 팩스전송 또는 전화기를 이용한 자동음성안내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전화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고객 또는 수신인이 특별히 지정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할 수 있다. 도 6에는 이메일 또는 팩스를 이용하여 전송가능한 형태의 전송메시지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transfer, the notification means 105 is used to notify the recipient of the fact of the transfer. The notification means may use ordinary e-mail, fax transmission or automatic voice guidance using a telephone. When using a telephone, it can be limited only when a customer or a recipient specifically designates. 6 shows an example of a transmission message in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using an e-mail or a fax.

도 3은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로서, 고객은 인터넷통신망을 통하여 은행에 접속하고 인증과정을 거치게 된다. 인증과정은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정당한 고객임을 확인한다. 인증과정이 종료되면 고객의 사용자PC에 메뉴화면이 출력된다. 고객은 메뉴화면에서 자신이 요구하는 기능을 선택한다. 만일 잔액조회기능이 선택되면 은행서버는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는 화면을 출력한다. 고객이 계좌이체를 선택하면 서버에서는 계좌이체용 입력화면(도 5참조)과 함께 입출금용 계좌번호, 예금주등이 표시된 정보화면을 출력한다. 고객은 출력된 정보화면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계좌번호, 예금주등을 마우스를 이용하여 클릭함으로서 필요한 정보를 입력시킨다. 상세한 입력과정은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3 is a flowchart show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ed in the system a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customer is connected to the bank through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nd undergoes an authentication process. The authentication process confirms that the customer is legitimate by entering the ID and password. When the authentication process is finished, the menu screen is displayed on the customer's user PC. The customer selects the required function from the menu screen. If the balance inquiry function is selected, the bank server outputs a screen for performing the selected function. When the customer selects the account transfer, the server outputs an information screen displaying the account number for deposit and withdrawal, the account holder, etc. together with the input screen for the account transfer (see FIG. 5). The customer inputs the necessary information by clicking on the desired account number, account holder, etc. by using the output information screen. Since the detailed input process has already been described, it will be omitted.

출금용 계좌번호, 송금인, 비밀번호, 입금용 계좌번호, 수신인등의 자료입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마우스를 이용하여 하나씩 입력시키거나, 또는 일괄적으로 입력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시말하면, 도 4b의 화면에서 예금주를 클릭 또는 더블클릭하면 은행, 계좌번호, 예금주가 동시에 입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data input such as a withdrawal account number, a remitter, a password, a deposit account number, and a recipient may be inputted one by one using a mouse or collectively. In other words, when the account holder is clicked or double-clicked on the screen of FIG. 4B, the bank, account number, and account holder are simultaneously input.

필요한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고객은 데이터전송버튼을 눌러서 계좌이체명령을 전송한다. 서버는 계좌이체명령 및 입력데이터가 전송되면 데이터에 포함된 계좌번호가 올바른 형식인가를 확인한 후에 계좌이체를 처리한다. 올바른 형식이 아니면 에러메시지를 표시한다.When the necessary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customer presses the data transmission button to send a bank transfer order. When the transfer command and the input data are sent, the server checks whether the account number included in the data is in the correct format, and then processes the transfer. If it is not in the correct format, an error message is displayed.

계좌이체가 정상적으로 처리된 후에 서버에서는 수신인에게 계좌이체상황을 통보한다. 이것은 송금한 고객이 미리 연락처주소를 입력하여 요청하면, 은행서버에서 연락처주소를 이용하여 통보할 수 있다. 연락처주소는 고객이 계좌이체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에 별도의 입력란을 만들어 입력하거나 또는 계좌내역DB(103a)의 입금계좌의 예금주에 대하여 미리 설정, 저장할 수 있다. 고객은 체크박스(미도시됨)를 이용하여 원하는 경우에 계좌이체상황을 수신인에게 통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After the transfer has been processed normally, the server notifies the recipient of the status of the transfer. This can be notified by using the contact address in the bank server when the remittance customer requests the contact address in advance. When the customer inputs the account transfer data, the contact address may be input by making a separate input field or may be set and stored in advance with respect to the account holder of the deposit account of the account history DB 103a. The customer can set up a check box (not shown) to notify the recipient of the status of the transfer if desired.

또한 고객은 은행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계좌이체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고객은 은행서버에 날자별, 월별, 수신인별 등과 같이 특정한 기준을 설정하고 그에 맞추어서 계좌이체내역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출력된 내역은 사용자PC로 전송된다. 고객은 출력된 내역을 파일로 저장하거나 프린터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stomer can access the bank server to check their account transfer history. In other words, the customer can set specific criteria such as date, month, recipient, etc. on the bank server and output the account transfer accordingly. The output is sent to the user's PC. The customer can save the output to a file or print it using a printer.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계좌이체관리시스템의 제2실시예의 블록구성도로서, 은행서버에서만 고객의 계좌이체내역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PC에서 관리를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Figure 7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bank transf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does not manage the account transfer history of the customer only in the bank server, but has a feature that can be managed in the user PC.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터넷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수단(201)과, 은행의 계좌이체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저장하고, 입력란에 출력하며 계좌저장DB(201a)에 은행명, 계좌번호등의 계좌데이터를 저장하는 은행계좌관리수단(202)과, 은행계좌를 통하여 자금을 계좌이체시킨 후에 그 결과를 계좌이체저장DB(203b)에 저장하는 계좌이체관리수단(203)과, 계좌이체된 내역을 수신인에게 통보하기 위한 계좌이체통보수단(204)과, 계좌이체된 내역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계좌이체출력수단(205)을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ure 7, the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ver the Internet 201, and stores the data necessary for the bank transfer of the bank, and outputs in the input field, the bank name, account number in the account storage DB (201a) Bank account management means 202 for storing account data such as, account transfer management means 203 for storing funds in the account transfer storage DB 203b after transferring funds through a bank account, and account transfer; Account transfer notification means 204 for notifying the recipient of the details, and account transfer output means 205 for visually outputting the details of the transfer.

상기 통신수단(201)은 인터넷을 통하여 다른 컴퓨터 또는 서버들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것이다. 이것은 통상의 모뎀, 전용선 또는 ADSL등과 같은 인터넷통신용의 하드웨어들을 제어하여 데이터들을 송수신한다. 통신수단(201)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며 인터넷 익스플로러 또는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와 같은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데이터들을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eans 201 is for data communication with other computers or servers via the Internet. It controls data for Internet communication such as a modem, leased line or ADSL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communication means 201 may transmit data by using an internet protocol and providing an interface using a web browser such as Internet Explorer or Netscape Navigator.

은행계좌관리수단(202)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은행계좌에 대한 데이터들을 계좌저장DB(202a)에 저장하고, 저장되어 있는 은행계좌데이터들을 출력한다. 출력된 은행계좌데이터들은 도 4a 및 도 4b에 표시된 것과 같은 화면으로서 웹브라우저 화면과는 별도의 프레임화면으로 출력된다. 출력된 은행계좌데이터화면을 이용하여 도 5와 같은 특정은행의 은행계좌이체화면에서 필요한 데이터들을 마우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신인들에 대한 이메일주소, 전화번호, 또는 팩스번호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이것은 후에 계좌이체사실을 통보하는데 사용된다.The bank account management means 202 stores data about the bank account input by the user in the account storage DB 202a and outputs the stored bank account data. The outputted bank account data is a screen as shown in FIGS. 4A and 4B and is output as a frame screen separate from the web browser screen. Using the output bank account data screen, the necessary data on the bank account transfer screen of a specific bank as shown in FIG. 5 may be input using a mouse. Also, although not shown, it may further store e-mail addresses, telephone numbers, or fax numbers for recipients. This is later used to notify you of the transfer.

또한 주기적으로 특정계좌에서 다른 특정계좌로 계좌이체를 수행하는 경우에 이것을 한 번의 작업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특정은행과 계좌번호(출금, 입금동시포함), 계좌이체금액을 미리 저장하고 단축기능키를 설정한 후에 단축기능키를 눌러주면 은행계좌관리수단(202)에서 한 번의 동작으로 은행접속 및 계좌번호 입력을 수행한다. 계좌번호들과 같은 데이터들이 입력된 후에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입력시키고 계좌이체를 수행한다.Also, if you transfer your account from one account to another at regular intervals, you can do this in one operation. That is, after saving the specific bank and account number (including withdrawal and deposit at the same time), the amount of money transfer in advance, and setting the shortcut function key, press the shortcut function key to access the bank in one operation in the bank account management means 202. Enter the account number. After data such as account numbers are entered, the user enters a password and performs a bank transfer.

은행계좌이체화면을 이용하여 계좌이체를 위한 데이터들의 입력후에, 계좌데이터들을 전송하면, 계좌데이터들은 은행서버(10 또는 12)로 전송된다. 전송된 계좌이체 내역은 해당 은행서버에서 처리되고 그 결과가 사용자PC(20)의 화면으로 전송된다. 이 때 계좌이체입력란에 입력된 데이터들은 임시 저장상태가 된다.After inputting the data for account transfer using the bank account transfer screen, when the account data are transmitted, the account data are transmitted to the bank server 10 or 12. The transferred account transfer history is processed in the bank server and the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screen of the user PC (20). At this time, the data entered in the account transfer input box is temporarily stored.

사용자PC(20)의 화면상에 계좌이체에 대한 처리결과가 표시되면 사용자PC(20)의 계좌이체관리수단(203)은 그 결과를 판독하고 내용을 저장한다. 다시말하면 계좌이체가 정상적으로 처리된 것으로 은행서버로부터 통보가 되면 계좌이체에 대한 데이터들을 계좌이체저장DB(203a)에 저장한다. 상기 계좌이체관련 데이터들은 사용자에 의하여 도 5에 도시된 화면의 입력란에 입력되었던 데이터들이 은행서버(10 또는 12)로의 전송과 동시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던 것이다. 임시저장되었던 데이터들이 은행서버(10 또는 12)로부터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확인한 후에 확정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확정저장된 계좌이체 관련데이터들은 계좌이체한 날자, 시간별로 각각 저장된다.When the result of the processing of the account transf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PC 20, the account transfer management means 203 of the user PC 20 reads the result and stores the contents. In other words, when the bank server is notified that the bank transfer is normally processed, the bank transfer data is stored in the bank transfer storage DB 203a. The data related to the bank transfer were temporarily stored at the same time as the data inputted in the input box of the screen shown in FIG. 5 by the user to the bank server 10 or 12. After confirming that the data that has been temporarily stored has been normally processed from the bank server 10 or 12, it is confirmed and stored. As described above, the debit-related data of the account transfer are stored for each date and time when the account is transferred.

본 발명에서는 또한 정기적으로 계좌이체를 수행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소정시간이 되면 자동적으로 은행에 접속하여 특정계좌로부터 다른 특정계좌로 이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예약기능은 계좌이체관리수단(203)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set to perform the transfer from one account to another specific account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bank at a predetermined time in preparation for the case of performing a regular account transfer. Such a reservation function may be performed using the account transfer management means 203.

은행간의 계좌이체가 완료되면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다시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입력을 대기한다. 만일 사용자가 다른 계좌이체를 선택하면 상술한 것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계좌이체를 수행한다.When the transfer between banks is completed,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gain waits for a command input from the user. If the user selects another bank transfer, the bank transfer is performed through the same process as described above.

계좌이체가 완료되면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은 계좌이체의 수신인에게 계좌이체내역을 통보한다. 이것은 계좌이체통보수단(204)에 의하여 수행된다. 계좌이체통보수단(204)은 이메일, 전화기 및/또는 팩시밀리등을 통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계좌이체통보수단(204)에는 이메일송신부(204a), 전화통지부(204b), 및 팩스송신부(204c)가 포함되어 있다.Upon completion of the transfer,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notifies the recipient of the account transfer. This is performed by the wire transfer notification means 204. The wire transfer notification means 204 transmits via email, telephone and / or fax. For this purpose, the bank transfer notification means 204 includes an e-mail transmitter 204a, a telephone notice 204b, and a fax transmitter 204c.

상기 이메일송신부(204a)는 미리 설정된 이메일전송폼에 계좌이체가 이루어진 수신인에 대한 데이터(이름, 은행명, 시간등)을 더 추가하여 전송한다. 이에 비하여 전화통지부(204b)는 모뎀을 통하여 전화버튼을 눌러서 상대방을 호출하고 접속이 완료되면 사용자에게 전화가 연결됨을 표시하여 통화를 하거나 음성모뎀(voice modem)을 이용하여 음성메시지를 남기는 형식으로 통지한다. 음성메시지는 핸드폰과 같이 메시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팩스송신부(204c)는 미리 설정된 팩스전송폼에 계좌이체가 이루어진 수신인에 대한 데이터(이름, 은행명등)를 더 추가하여 전송한다.The e-mail transmitter 204a further adds and transmits data (name, bank name, time, etc.) about a recipient who has made an account transfer to a preset e-mail transmission form. On the other hand, the telephone notification unit 204b calls the other party by pressing the telephone button through the modem, and when the connection is completed, the telephone notification unit 204b indicates that the telephone is connected and makes a call or notifies the user in the form of leaving a voice message using a voice modem. do. The voice message is preferable when providing a message service such as a mobile phone. In addition, the fax transmitter 204c further transmits the data (name, bank name, etc.) for the recipient who has made the account transfer to the preset fax transmission form.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계좌이체통보수단(204)은 수신인들에 대한 이메일주소, 전화번호, 또는 팩스번호등의 데이터를 미리 입력시켜 둔다. 또는 계좌이체통보수단(204)은 은행계좌관리수단(20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이메일주소, 전화번호, 또는 팩스번호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계좌이체관리수단(203)에서 계좌이체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을 확인하면 해당 수신인에 대한 이메일주소, 전화번호, 또는 팩스번호를 다른 데이터와 함께 전송한다.For this purpose, the wire transfer notification means 204 pre-populates data such as an e-mail address, a telephone number, or a fax number for recipients. Alternatively, the bank transfer notification means 204 may use an e-mail address, a telephone number, a fax number, or the like previously stored in the bank account management means 202. This is especially when the bank transfer management means 203 confirms that the bank transfer has been completed normally, sends the email address, telephone number, or fax number for the recipient along with other data.

도 6에 표시된 것은 이메일 또는 팩시밀리로 전송되는 계좌이체 통보용 양식의 일례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자의 이메일주소(또는 팩시번호), 송금액, 송금자들에 대한 데이터가 기재되어서 출력된다. 물론 다른 형태의 양식을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며,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음은 명백하다. 단, 전화통보는 사용자가 직접 상대방과 통화를 하게 되므로 별도의 양식이 필요없다. 계좌이체통보수단(204)은 3가지 통보수단중에서 사용자가 하나 또는 다수의 통보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메뉴화면을 출력한다.Shown in FIG. 6 is an example of an account transfer notification form sent by email or facsimile. As shown, data about the recipient's email address (or facsimile number), remittance amount, and remitters are listed and output.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send other forms, and it is clear that data can be added or reduced. However, the phone call does not need a separate form because the user will directly talk to the other party. The account transfer notification means 204 outputs a selection menu screen so that the user can select one or more notification means from among three notification means.

또한 상기 계좌이체출력수단(205)은 화면상으로 계좌이체내역(전체 또는 부분적인 내역)을 표시한다. 또한 필요하면 화면내역을 프린터를 이용하여 출력하여 보관하기도 한다. 또는 이메일형태(전체적인 계좌이체 내역을 위주로 함)로 출력하여 특정인에게 통보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은 사용자가 메뉴화면을 보고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account transfer output means 205 displays the account transfer history (full or partial details) on the screen. Also, if necessary, the screen contents can be printed out and stored on the printer. Alternatively, a specific person may be notified by printing an email form (mainly based on the overall transfer history). This output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view and select the menu screen.

또한 사용자PC(20)에는 계좌양식확인수단(206)이 더 포함된다. 상기 계좌양식확인수단(206)은 사용자가 입력란에 입력하는 은행계좌번호를 확인하고, 해당 은행에서 설정한 계좌번호양식에 적합한가 아닌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즉 각 은행마다 계좌번호의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A은행에서 자금이체를 하려고 할 때, B은행의 계좌가 입력되면 에러가 발생되므로 계좌번호의 구조를 확인함으로서 에러발생을 방지하여 정확한 은행계좌번호의 입력을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user PC 20 further includes an account form checking means 206. The account form checking means 206 checks the bank account number entered by the user in the input box and confirms whether or not it is suitable for the account number form set by the bank. In other words, since the structure of account numbers is different for each bank, when bank A transfers funds, an error occurs when the account of bank B is entered. Therefore, by checking the structure of the account number, the error is prevented by entering the correct bank account number. To do that.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rried out in the system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using the flowchart of FIG. 8 as follows.

도 5는 국내은행중 "한빛은행"의 계좌이체화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출금계좌번호, 비밀번호, 입금계좌번호, 예금주의 성명등의 입력란이 표시되어 있다. 통상 계좌이체를 하기 위하여서는 고객은 각 입력란에 필요한 사항을 직접 입력시켜야 하였다.Figure 5 shows the screen transfer screen of the "Hanbit Bank" of the domestic bank, and the input fields such as withdrawal account number, password, deposit account number, the name of the account holder. In order to transfer money, the customer had to manually enter the necessary information in each field.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특정웹페이지가 화면상에 표시되면 은행계좌관리수단(202)에 의하여 은행계좌들이 기재된 양식이 표시된다. 도 4a 및 도 4b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등록된 은행계좌번호, 예금주등의 일실시예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도 5와 같은 계좌이체용 화면상에서 도 4a와 같이 표시된 별도의 화면상에 있는 출금용 "은행명"을 마우스를 이용하여 클릭(또는 더블클릭)하면 기재되어 있는 출금용 계좌번호가 해당 입력란에 표시된다. 입력은 커서를 입력란에 위치시키고, 마우스를 입력시키고자 하는 은행명 또는 해당 계좌번호를 클릭하여 입력시킬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fic web p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described above, the bank account management means 202 displays a form in which bank accounts are described. 4A and 4B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bank account number, an account holder, and the like, which are registered in advance by a user. When the user clicks (or double-clicks) the withdrawal "bank name" on the separate screen displayed as shown in FIG. 4A on the screen for transfer of funds as shown in FIG. Is displayed. Input can be done by placing the cursor in the input box and clicking the bank name or the account number to which the mouse is to be entered.

상기와 같이 계좌번호를 클릭하여 계좌번호가 웹페이지의 입력란에 입력되면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직접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비밀번호를 미리 저장하지 않는 것은 거래상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ccount number is entered in the input box of the web page by the user, the user directly inputs the password using the keyboard. Not storing passwords in advance is intended to maintain transactional safety.

비밀번호의 입력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는 계좌이체되어서 돈을 입금받는 입금용 은행의 계좌번호를 입력시킨다. 이것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입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입금은행이 "국민은행"이고 계좌번호가 "021-22-0111-998"이면 커서를 입금은행 및 계좌번호입력란에 순차적으로 위치시키고 마우스를 이용하여 해당 계좌번호를 클릭하여 입력시키거나 예금주를 기준으로 하여 한 번의 마우스클릭으로 필요한 정보를 동시에 입력시킬 수 있다. 그 후에 계좌이체시킬 금액의 입력을 수행한다.After the input of the password is completed, the user enters the account number of the deposit bank which is transferred to the account and receives the money. This can also be input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f the deposit bank is "Kookmin Bank" and the account number is "021-22-0111-998", the cursor is placed in the deposit bank and the account number input fields sequentially and click the corresponding account number by using the mouse. Based on the account holder, you can enter the necessary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with one mouse click. Then enter the amount to be transferred to the account.

상기와 같이 은행계좌이체에 필요한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전송명령을 위하여 마우스를 클릭한다. 마우스클릭에 의한 데이터전송명령이 입력되면 웹페이지의 입력란에 입력된 계좌번호, 금액, 비밀번호등의 데이터들은 암호화되어 해당 은행서버(10 또는 12)로 전송된다.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전송됨과 동시에 사용자PC(20)에서는 입력된 데이터들을 특정양식으로 변환하여 임시 저장된다. 즉, 데이터들은 은행서버로 전송되는 것과 동시에 자체 사용자PC(20)에 저장되는 것이다.When the input of the data required for bank account transfer is completed as above, the user clicks the mouse for a transfer command. When a data transmission command is inputted by a mouse click, data such as an account number, an amount, and a password entered in an input field of a web page are encrypted and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bank server 10 or 12. At the same time as the data is encrypted and transmitted, the user PC 20 temporarily converts the input data into a specific form. That is, the data is stored in its own user PC 20 at the same time it is transmitted to the bank server.

은행서버(10 또는 12)로 전송된 데이터들에 의하여 계좌이체업무가 처리된다. 만일 입력된 계좌이체관련데이터들이 정확한 것이라면 정상적으로 처리된 후에 그 결과가 사용자PC(20)의 화면상에 출력된다. 만일 부정확한 데이터의 입력이 있으면 에러결과가 표시된다.The account transfer service is processed by the data transmitted to the bank server 10 or 12. If the account transfer related data entered are correct, the result is output on the screen of the user PC 20 after being processed normally. If there is incorrect data input, an error result is displayed.

만일 처리결과가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PC(20)에서는 이것을 감지하고 직전에 입력한 계좌이체데이터를 정확한 것으로 확정하고 그 내용을 저장한다. 이 때 결과확인을 위하여 사용자PC(20)에서는 은행서버(10 또는 12)로부터 전송되어온 처리결과화면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결과화면의 저장은 예를 들어서 웹페이지전체를 텍스트형태(html파일형태)로 저장하거나 이미지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결과화면은 날자와 시간을 부가하여 저장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cessing result is normal, the user PC 20 detects this and confirms that the account transfer data entered immediately before is correct and stores the content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PC 20 stores the processing result screen transmitted from the bank server 10 or 12 for checking the result. The processing result screen can be saved, for example, in the form of an entire web page in text form (html file form) or in image form. Saved result screen is saved by adding date and time.

상기와 같이 인터넷뱅킹을 통한 계좌이체가 정상적으로 진행된 후에, 사용자PC(20)에서는 계좌이체결과를 수신인에게 통보한다. 수신인에게의 통보는 팩스, 전화기, 또는 이메일을 통하여 수행한다. 사용자PC(20)에는 팩스 또는 전화통화를 위하여 통상의 유선전화라인이 연결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transfer through the Internet banking proceeds normally, the user PC 20 notifies the recipient of the result of the transfer. Notification to the recipient may be by fax, telephone or e-mail. The user PC 20 is connected to a normal wireline for telephone or fax calls.

계좌이체의 통보를 위한 수단들은 사용자PC(20)에 설치되어 있는 보이스모뎀, 모뎀, 또는 인터넷폰들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보이스모뎀은 음성전달기능을 가진 것으로서 팩스전송과 함께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모뎀은 팩스전송과 함께 전화기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걸기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전화기를 이용한 통보는 전화가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연결되면 사용자가 직접 수화기를 이용하여 통화하거나 아니면 음성모뎀을 이용한 음성메시지를 남길 수 있다. 이메일, 팩스, 또는 음성메시지를 이용한 계좌이체의 통보는 계좌이체를 한 은행과 시각등의 정보를 기재한 내용을 전송한다.Means for notification of the wire transfer can be configured using a voice modem, a modem, or an Internet phone installed in the user PC 20. The voice modem has a voice transmission function. The voice modem can transmit a voice using a microphone. In addition, the modem includes a function of making a call using the other party's phone number while being connected to a telephone with a fax transmission. In the notification using the telephone, when the telephone is connected to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the user may call directly using the handset or leave a voice message using the voice modem. Notification of bank transfers by e-mail, fax, or voice mail will be sent to the bank and time of the transfer.

상기와 같이 계좌이체사실을 상대방에 통보한 후에는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또다른 계좌이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한 것과 같은 동작을 거쳐서 계좌이체를 수행한다. 만일 송금내역의 출력명령이 감지되면 계좌이체내역을 출력한다. 이 때 계좌이체내역을 수신자별 또는 날자별로 분류하여 출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notifying the other party of the fact of the transfer, the standby state is maintained. At this time, if another account transfer command is input, the account transfer is performed through the sam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f the remittance statement is detected, the bank statement is printed. In this case, the account transfer history may be classified and output by recipient or date.

본 발명에서는 또한 계좌이체(송금)뿐만 아니라, 은행계좌관리수단(202)을 사용하여 잔액조회시에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잔액조회를 위한 웹화면이 출력되면 은행계좌관리수단(202)에 의하여 은행계좌화면이 출력되고, 사용자는 잔액조회를 원하는 계좌번호를 입력란에 입력시켜서 잔액조회를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not only account transfer (transfer) but also balance check using the bank account management means 202. That is, when the web screen for balance inquiry is outputted, the bank account screen is output by the bank account management means 202, and the user can enter the account number desired for the balance inquiry in the input field to perform the balance inquiry.

본 발명에는 또한 자체적으로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패스워드를 설정함으로서 타인의 사용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종래 기술에 의하여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desirable to prevent the use of others by setting a password that allows itself to access the system. This can be easily accomplished by the prior ar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을 통하여 계좌이체(송금)와 같은 업무를 처리할 때 특정계좌번호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가 한 번의 클릭으로 입력하고, 계좌이체 또는 송금액 데이터를 저장, 출력할 수 있으며, 잔액조회시에도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ransaction such as bank transfer (transfer) is performed through the Internet, a specific account number is stored in advance, and a single click is inputted to store and output the bank transfer or transfer amount data.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when checking the balance.

Claims (10)

인터넷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수단(101)과, 은행고객의 접속요구에 대하여 고객DB(102a)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허락을 판단, 인증하는 고객관리수단(102)과, 고객의 계좌이체요청시에 계좌내역DB(103a)에 저장된 입출금용 계좌번호, 송금자, 수신자등에 대한 제반정보를 출력하고 정보입력을 수행하는 계좌이체관리수단(103)과, 계좌이체된 금액, 수신인, 계좌번호등을 계좌내역DB(103a)에 저장하기 위한 계좌이체저장수단(104)과, 계좌이체가 완료된 후에 연락처DB(105a)에 저장된 수신처를 참고하여 수신인에게 계좌이체상황을 통보하는 통보수단(10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뱅킹을 이용한 계좌이체관리시스템.Communication means 10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ver the Internet, customer management means 102 for determining and authenticating an access permission us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customer DB 102a in response to a connection request of a bank customer, and Account transfer management means 103 for outputting all the information on the deposit and withdrawal account number, the remitter, the recipient, etc. stored in the account history DB 103a and performing the information input at the time of the transfer request, and the amount transferred, the recipient,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the recipient of the account transfer status by referring to the account transfer storage means 104 for storing the account number and the like in the account history DB 103a and the destination stored in the contact DB 105a after the transfer is completed ( Account transf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bank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105). 사용자가 은행에 접속하고 인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계좌이체메뉴를 선택하면 계좌이체용화면과 미리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계좌이체에 필요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계좌이체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전송하면 계좌이체요구에 따른 송금처리를 수행하고 계좌이체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계좌이체 수신인에게 송금내역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뱅킹을 이용한 계좌이체관리시스템.The user accesses and authenticates the bank,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account transfer menu, outputting the screen for the account transfer and data necessary for the account transfer previously input by the user to the user, and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account transfer. When the input and transmission, the wire transfer processing system using the Internet banking, comprising the steps of performing a remittanc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transfer request and stor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ccount transfer, and notifying the remittance details to the account transfer recipients . 인터넷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수단(201)과, 은행의 계좌번호를 입력란에 입력하고 계좌저장DB(202a)에 계좌이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은행계좌관리수단(202)과, 은행계좌를 통하여 자금을 계좌이체시키고 그 결과를 계좌이체저장DB(203b)에 저장하는 계좌이체관리수단(203)과, 계좌이체된 내역을 수신인에게 통보하기 위한 계좌이체통보수단(204)과, 계좌이체된 내역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계좌이체출력수단(20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뱅킹을 이용한 계좌이체관리시스템.Communication means 20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ver the Internet, a bank account management means 202 for inputting a bank account number into a text box and storing data for account transfer in an account storage DB 202a, and a bank account Account transfer management means 203 for transferring funds through the account and storing the result in the account transfer storage DB 203b, account transfer notification means 204 for notifying the recipient of the details of the transfer, and account transfer. Account transf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bank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account transfer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visual details.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계좌이체통보수단(204)이 이메일송신부(204a), 전화통지부(204b), 또는 팩스송신부(204c)중의 하나 또는 그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뱅킹을 이용한 계좌이체관리시스템.The bank transf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bank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ount transfer notification means (204) comprises one or a combination of an email transmitter (204a), a telephone notification unit (204b), or a fax transmitter (204c).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계좌이체관리시스템이 은행계좌번호를 입력란에 입력시킬 때 해당 은행에 대한 정확한 계좌번호형태가 입력되었는가를 감지하는 계좌양식확인수단(20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뱅킹을 이용한 계좌이체관리시스템.When the bank transfer management system inputs the bank account number in the input field, the bank transfer using internet banking further comprises an account form checking means 206 for detecting whether the correct account number form for the corresponding bank is entered. Management system.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계좌이체출력수단(205)이 계좌이체된 내역을 프린터, 이메일, 또는 화면중의 하나 또는 2이상의 조합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뱅킹을 이용한 계좌이체관리시스템.Account transf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bank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ount transfer output means (205) outputs the details of the account transfer to a printer, an email,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screen. 다수의 은행서버들과 상기 은행서버들과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PC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bank servers and at least one or more user PCs connected to the bank servers via the Internet, 사용자가 뱅킹모드와 접속 은행을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은행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고 계좌이체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와, 입력된 데이터를 은행의 서버로 전송하는 것과 동시에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정상적으로 계좌이체가 완료된 것을 확인하면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좌이체사실을 수신인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뱅킹을 이용한 계좌이체관리방법.The user selects the banking mode and access bank, accesses the webpage of the selected bank, inputs data necessary for bank transfer, transfers the input data to the server of the bank, and stores the input data. And, when confirming that the transfer is normally completed, informing the recipient of the fact of the transfer using the stored data.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계좌이체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가 입력된 데이터가 특정은행의 계좌번호양식에 맞는가를 확인하는 계좌양식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뱅킹을 이용한 계좌이체관리방법.The account transfer management method using the Internet bank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inputting the data required for the account transfer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input data conforms to the account number form of a particular bank.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계좌이체를 수신인에게 통보하는 단계에서 통보가 이메일, 팩스 또는 전화통지를 통하여 통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뱅킹을 이용한 계좌이체관리방법.In the step of notifying the account transfer to the recipient, the account transfer management method using the Internet bank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notification is notified via email, fax or telephone notification.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계좌이체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가,The step of inputting data required for the bank transfer, 출금 및 입금을 위한 특정은행과 계좌번호, 계좌이체금액을 미리 저장하고 단축기능키를 설정한 후에 단축기능키를 눌러주면 한 번의 동작으로 은행접속 및 계좌번호 입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뱅킹을 이용한 계좌이체관리시스템 및 방법.The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storing the bank and account number and the amount of the bank transfer for withdrawal and deposit in advance and setting the shortcut key and then pressing the shortcut key to perform bank access and account number input in one operation. Account transf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Internet banking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1-0014537A 2001-03-21 2001-03-21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mittances using internet banking KR1004461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537A KR100446105B1 (en) 2001-03-21 2001-03-21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mittances using internet ban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537A KR100446105B1 (en) 2001-03-21 2001-03-21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mittances using internet bank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731A true KR20010044731A (en) 2001-06-05
KR100446105B1 KR100446105B1 (en) 2004-08-30

Family

ID=1970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537A KR100446105B1 (en) 2001-03-21 2001-03-21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mittances using internet ban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10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791A (en) * 2001-03-24 2001-06-05 최형섭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tax over network
KR20030003434A (en) * 2001-06-30 2003-01-10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for Internet Banking Service in Enterprise using Intern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791A (en) * 2001-03-24 2001-06-05 최형섭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tax over network
KR20030003434A (en) * 2001-06-30 2003-01-10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for Internet Banking Service in Enterprise using Inter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6105B1 (en) 2004-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58590B2 (en) ATMS/POS based electronic mail system
JP3504519B2 (en) Transaction support system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the system
AU2002349102B2 (en) Customer messaging service
CN1822636B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TW502187B (en) Personal information verification method in electronic-commerce system
CN104717618A (en) Instant communication method of mobile phone
JP2020170568A (en) Deposit management device, deposit management method, and deposit management program
KR100446105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mittances using internet banking
JP4920386B2 (en) Transaction inquiry system, transaction inquiry program, and transaction inquiry method
WO2000007112A1 (en) Terminal for public information utilization and system for public information utilization
KR100342723B1 (en) The notification method of bank account updating
KR100375431B1 (en) Transaction Notification Method and Accounting System
KR20090099924A (en) Method and unit for interactive multimedia response to multiple call distribution
CA2371061A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JP3979005B2 (en)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distribution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JP2005107580A (en) Account transfer notification management method, account transfer notification management program and account transfer notification management system
JP5070528B2 (en) Personal information confirmation method in electronic commerce system
JPH10171889A (en) Credit reference system attached to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KR19990016717A (en) Internet payphones and their use
KR100719649B1 (en) Sequential waiting number transmitting system and its method using short message service
US20040019529A1 (en) Publicly accessible deferred purchasing system
JP3096874U (en) Device for member registration
JP3096874U6 (en) Device for member registration
KR20240003068A (en) Open-deal system and method
GB2369956A (en) Providing facsimile and e-mail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