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8768A -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의 멀티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의 멀티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8768A
KR20010028768A KR1019990041181A KR19990041181A KR20010028768A KR 20010028768 A KR20010028768 A KR 20010028768A KR 1019990041181 A KR1019990041181 A KR 1019990041181A KR 19990041181 A KR19990041181 A KR 19990041181A KR 20010028768 A KR20010028768 A KR 20010028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mbling code
scrambling
code
transmission
altern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1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4042B1 (ko
Inventor
황승오
강희원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9990041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042B1/ko
Priority to US09/667,350 priority patent/US6956948B1/en
Priority to PCT/KR2000/001062 priority patent/WO2001022636A1/en
Priority to AU74568/00A priority patent/AU761470B2/en
Priority to JP2001525881A priority patent/JP3553548B2/ja
Priority to CNB008020264A priority patent/CN1160885C/zh
Priority to EP00963116A priority patent/EP1129533A4/en
Publication of KR20010028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0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 H04J13/12Generation of orthogona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4Orthogonal
    • H04J13/0044OVSF [orthogonal variable spreading fa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using multiple or variable r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2013/0037Multilevel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의 다중 스크램블링 코드 할당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나의 주파수대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와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위한 압축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두 개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송신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전송모드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정상모드 전송 확산률 또는 압축모드 전송 확산률로 입력되는 전송데이터를 특정 인덱스 번호의 직교가변확산률(OVSF) 부호로 확산하는 확산기와, 소정의 스크램블링 발생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와 두 개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인덱스 번호순으로 세 개를 매핑한 그룹들을 생성하고, 상기 전송모드 제어정보에 따라 소정 그룹의 스크램블링 부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와, 상기 선택 출력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와 상기 확산된 전송데이터를 승산하여 출력하는 승산기와, 모드전송 신호를 상위 계층으로부터 입력받아 전송모드 제어신호를 상기 확산기 및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부로 제공하고, 자원을 검사하여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정보를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로 제공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의 멀티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ATING MULTI SCRAMBLING COD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의 주파수간 핸드오프(Inter-frequency handoff)를 위한 압축 모드(Compressed mode) 전송에 대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확산율(Spreading Factor : 이하 SF라 칭한다)을 절반으로 줄여 프레임을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라 하면 차세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표준안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vider)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파수간 핸드오프는 단말기가 통신하고 있는 기지국과 단말기가 이동하는 기지국의 주파수가 다른 경우에 발생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단말기가 통신하는 기지국을 A라 하고, 단말기가 이동하는 목표 기지국을 B라 한다. 상기 주파수간 핸드오프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단말기와 기지국 A는 주파수내 핸드오프와는 달리 일정 시간동안 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한다. 상기 일정 시간동안 데이터 전송이 중단된 기간을 휴지기간(Idle Period)이라 한다.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한 후에, 단말기가 현재 기지국 A와 통신에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외에 다른 주파수에서 목표 기지국 B의 주파수를 찾는다. 단말기는 상기 목표 기지국 B의 주파수를 찾으면, 상기 기지국 B의 주파수에서 제어채널을 찾는다. 상기 핸드오프 목표 기지국 B의 주파수와 제어채널을 찾으면, 상기 단말기는 찾아진 정보를 저장하고, 통신하고 있던 기지국 A의 주파수 대역으로 돌아와 기지국 A와 통신을 지속하다가 핸드오프 시점이 되면 상기 목표 기지국 B의 주파수와 제어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 B의 주파수대역으로 옮겨가서 통신을 계속한다.
차세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표준안인 3GPP 표준안을 예로 들면 상기 유휴기간은 3GPP 표준안에서 사용하는 10ms 프레임에서 일정기간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음으로서 생성된다. 상기 10ms 프레임내에서 유휴기간동안은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그 외의 나머지 기간동안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형태를 압축 모드 전송(Compressed Mode Transmission)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압축 모드 전송에서는 한 프레임동안 전송해야 할 데이터를 줄여서 전송함으로서 프레임안의 유휴기간을 생성한다. 프레임안에 유휴기간을 만드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 방법은 펑쳐링(Puncturing)을 사용하여 10ms 프레임내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율(Code rate)를 줄여서 전송하여, 프레임내에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유휴기간을 만드는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은 확산부호의 SF를 절반으로 줄여서, 하나의 프레임동안 전송할 정보를 반프레임내에 전송하고,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은 유휴기간으로 만드는 방법으로서 프레임길이의 50를 유휴기간으로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다.
상기 SF를 절반으로 줄여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은 프레임내 유휴기간을 프레임길이의 50을 확보할 수 있다. 3GPP 표준안에서 사용하고 있는 프레임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3GPP 표준안에서 사용하는 프레임의 길이가 10ms이고, 상기 프레임에 전송할 데이터를 SF를 절반으로 줄여서 확산시키면, 상기 데이터는 5ms동안 전송된다. 상기 프레임중에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되지 않은 5ms 동안은 유휴기간으로서, 단말기가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위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가 아닌 다른 주파수를 탐색할 수 있는 기간으로 사용한다. 상기 방법에서 프레임내의 유휴기간을 50이하로 하고 싶다면 부가적인 전송율정합(rate matching)을 사용하여 필요한 만큼의 유휴기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SF를 절반으로 줄여서 프레임안에 필요한 유휴기간을 확보하는 방법의 문제점은 SF를 절반으로 줄여서 전송할 경우, 압축 모드로 전송되는 하향 채널과 다른 하향채널들간에 직교성이 보장되지 않음으로서 채널들간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3GPP 표준안에서 채널을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OVSF(Orthogonal Variable Spreading Factor)의 특성 때문에 발생한다.
상기 OVSF부호는 기지국에서 단말기로의 하향채널들을 구별하는데 사용하는 부호이며, 데이터 전송율과 SF가 다른 하향채널들사이에 직교성을 보장해주는 부호이다. 상기 도1은 OVSF부호의 생성방법을 도시한 그림이다. 상기 도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OVSF부호는 월쉬부호의 일종으로서 SF의 증가에 따라 생성되는 부호이다. 상기 도1에서 SF가 동일한 111과 113은 상호 직교(Orthogonal)이며, SF가 동일한 121,123,125,127도 상호 직교이고, SF가 다른 111과 125,127도 상호 직교이며, SF가 다른 113과 121, 123도 상호직교이다. 상기 도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OVSF부호는 SF가 동일하거나 다른 경우에도 직교성이 보장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도1의 111과 121은 상호 직교가 아니며, 111과 123 역시 상호직교가 아니다. 상기 도1의 113과 125, 113과 127 역시 상호직교가 아니다. 따라서 OVSF부호는 OVSF 부호 생성 트리에서 SF가 증가하면서 생성되는 OVSF부호와 상기 OVSF부호가 생성된 원래의 OVSF부호와는 서로 직교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특성도 가지고 있다.
상기의 OVSF 부호 생성 트리에서 SF가 증가하면서 생성되는 OVSF부호와 상기 OVSF부호가 생성된 원래의 OVSF부호와는 서로 직교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특성 때문에 압축 전송 모드에서 SF를 절반으로 줄여 프레임내 유휴기간을 확보하는 방법은 압축모드에서 전송하는 채널과 다른 하향채널들간에 직교성을 보장하지 못하므로 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도1을 예로 설명하면 도1의 121 부호를 사용하는 단말기에 기지국이 하향채널을 전송할 경우 기지국은 도1의 111부호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 도1의 123부호를 사용하는 단말기가 있다면 압축모드에서 도1의 111부호로 사용하게 되는 단말기의 채널과 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압축 전송 모드에서 SF를 절반으로 줄여 프레임내 유휴기간을 생성하는 방법은 단순하게 SF를 절반으로 줄여서 가능한 것이 아니라 SF를 절반으로 줄였을 경우 이미 존재하는 OVSF부호들과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OVSF 부호를 사용할 수 있어야 가능해진다.
SF를 절반으로 줄여도 서로 충돌하지 않는 OVSF부호를 생성하는 방법은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Scrambling)부호를 변화시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3GPP의 표준안에서는 기지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0에서 262,143까지의 번호를 붙여 구별해 놓았고, 이중에서 16*k (k=0,..,511) 번째 부호를 각 기지국을 식별할 경우 사용되는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로 할당하였고, 상기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에 부합하는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 15개를 16*k +j( k=0,..,511, j=1,..,15)로 할당했다. 즉 정상 모드 전송을 위하여 8192개의 스크램블링 부호를 할당하였다. 3GPP표준안은 상기 정상 모드 전송을 위한 스크램블링 부호외에 압축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크램블링 부호로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even numbered alternative scrambling code) 8192개와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odd numbered alternative scrambling code) 8192개를 할당해 놓았다. 상기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는 정상 모드 전송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번호 I에 8192를 더한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는 정상 모드 전송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 I에 16384를 더한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3GPP의 표준안을 따르는 기지국에서는 각 단말기에게 채널을 할당하여 전송할 경우, OVSF부호로 확산시켜서 일차로 채널을 구별하고, 스크램블링 부호로 스크램블하여 이차로 채널을 구별한다. 기지국에서 스크램블링 과정에 사용하는 부호는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 혹은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한다.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는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와 같이 사용되는 OVSF부호가 부족하여 기지국이 단말기에게 더 이상 할당할 하향 전송 채널이 없을 경우 사용한다. 즉 OVSF부호는 동일하게 사용하지만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로 스크램블하므로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로 스크램블되어서 전송되는 채널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상기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를 적용하여 기지국의 용량을 늘리는 방법을 압축모드에서 SF를 절반으로 줄여서 프레임내에 유휴기간을 만드는 방법에 적용하면 SF를 절반으로 줄여도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채널을 생성하여 기존에 존재하던 채널들의 전송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필요한 유휴기간을 얻을 수 있다.
압축모드의 프레임 전송에 정상 모드 전송(normal mode transmission)시에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와 다른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할 경우 단말기는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부호와 쌍을 이루는 압축 모드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종래기술에서는 압축 모드에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할당하는 방법은 하기의 설명과 같다. 정상 모드에서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 1개에 압축 모드에서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2개 할당한다. 즉 기지국에는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16개와 압축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32개가 존재한다. 상기 압측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32개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even numbered alternative scrambling code) 16개와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even numbered alternative scrambling code) 16개로 구성된다. 정상모드에서 전송을 하던 기지국과 단말기가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위해 압축 모드 전송이 필요하면 스크램블링 부호를 변화시키는데 상기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와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중에 정해진 규칙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의 스크램블링 부호의 변화의 규칙은 정상모드에서 단말기에 할당된 채널에서 사용되는 OVSF부호가 우수(even numbered) OVSF부호이면, 압축 모드에서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의 집합에서 정상 모드 전송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와 부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선택한다. 정상모드에서 단말기에 할당된 채널에서 사용되는 OVSF부호가 기수(odd numbered) OVSF부호이면, 압축 모드에서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의 집합에서 정상 모드 전송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와 부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선택한다. 상기의 설명에서 우수 OVSF 부호는 상기 도1의 123과 127과 같은 짝수번째 OVSF부호를 칭하는 것이며, 기수 OVSF 부호는 상기 도1의 121과 125와 같은 홀수번째 OVSF부호를 칭하는 것이다.
상기 압축모드에서 스크램블링 부호를 변화시켜 전송하는 방법의 동작은 하기의 설명과 같다. 기지국은 단말기가 압축모드에서 프레임을 전송해야 하는 경우 단말기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OVSF 부호 생성 트리에서 SF를 절반으로 줄인 상위 OVSF부호의 사용가능 여부를 조사하여, 사용 가능하면 압축모드의 프레임전송에 상위 OVSF부호를 할당한다. 상기 할당된 OVSF부호는 정상모드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하여, 정상모드에서 사용하던 OVSF부호의 상위 OVSF부호로서 정상모드의 SF의 절반에 부합하는 OVSF부호이다. 단말기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OVSF 부호 생성 트리에서 SF를 절반으로 줄인 상위 OVSF부호의 사용이 불가능 할 경우에 기지국은 현재 단말기에게 할당된 OVSF부호가 우수 OVSF부호인지 기수 OVSF 부호 인지를 판별하여, 상기 각 경우에 부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압축 모드 전송에 사용한다는 정보를 단말기에게 전달하며, 현재 정상모드에서 사용하고 있는 OVSF부호의 SF를 절반으로 줄이고, 압축 모드에서 사용할 스크램블링 부호를 적용하여 단말기에게 압축 모드 프레임을 전송한다.
종래 기술에서 기지국이 정상모드에서 압축모드에 사용할 스크램블링 부호를 할당하는 방식은 그림 2와 같다. 상기 도 2의 250은 스크램블링 부호의 번호가 된다. 상기 도 2에서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번호 순서대로 16개씩 기지국에 할당되는 것을 가정하였고, 기지국 번호와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의 번호는 동일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상기 도 2의 201은 스크램블링 부호 0번으로 첫 번째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에 해당하며, 기지국 1에서 사용한다. 상기 기지국 1은 도 2의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 204( 스크램블링 부호 번호 1)에서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 205( 스크램블링 부호 번호 15)까지 15개의 스크램블링 부호를 기지국 용량의 확장을 위한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2의 스크램블링 부호 202는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로서 기지국 2에서 사용된다. 상기의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기지국은 순차적으로 16개의 스크램블링 부호를 할당받아 사용하여, 이중 16*i(i=0,...,511)의 번호를 가지는 스크램블링 부호는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로 사용하고, 16*i+k( i=0,..,511, k=1,...,15)의 번호를 가지는 스크램블링 부호는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로 사용한다. 상기 도2의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 203은 기지국 512가 사용하는 부호로서 스크램블링 부호의 번호는 8176이고, 512번째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도2에서 스크램블링 부호 8192번부터 16383번까지 8176개의 스크램블링 부호와 스크램블링 부호 16384부터 24576번까지 8176개의 스크램블링부호는 기지국이 압축 모드 전송을 할 경우 사용되는 부호의 집합이다. 상기 도2의 210은 8192번 스크램블링 부호부터 16383번 스크램블링 부호까지를 가리키며,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Even Alternative Scrambling Code)라고 부른다. 상기 도2의 220은 16384번 스크램블링 부호부터 24575번 스크램블링 부호까지를 가리키며,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Odd Alternative Scrambling Code)라고 한다. 상기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는 정상 전송에서 기지국과 단말기 간의 하향 전송채널에 사용되는 OVSF부호가 짝수일 경우 압축모드의 전송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이며,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는 정상 전송에서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하향 전송채널에 사용되는 OVSF부호가 홀수일 경우 압축모드의 전송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도2의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211은 스크램블링 부호의 번호가 8192번이고, 도2의 스크램블링 부호 201에 부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도2의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212은 스크램블링 부호의 번호가 8193번이고, 도2의 스크램블링 부호 204에 부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도2의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213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번호가 8207번이고, 도2의 스크램블링 부호 205에 부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도 2의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211부터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213까지 16개의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는 기지국 1에서 사용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각 기지국은 16개의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2의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210은 번호는 정상 전송 모드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번호에 8192를 더한 값을 가지며, j(j=0...,8191)번째 정상 전송 모드에서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와 j+8192번째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는 1:1로 부합된다.
상기 도2의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221은 스크램블링 부호의 번호가 16384번이고, 도2의 스크램블링 부호 201에 부합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도2의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222 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번호가 16385번이고, 도2의 스크램블링 부호 204에 부합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도2의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223은 스크램블링 부호의 번호가 16399번이고, 도2의 스크램블링 부호 205에 부합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도 2의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211부터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213까지 16개의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는 기지국 1에서 사용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각 기지국은 16개의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2의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210의 번호는 정상 전송 모드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번호에 16384를 더한 값을 가지며, j(j=0,...,8191)번째 정상 전송 모드에서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와 j+16384번째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는 1:1로 부합된다.
상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0 - 8191까지의 스크램블링 부호 8192개를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연속적으로 할당하였고, 8192 - 16383까지의 스크램블링 부호 8192개를 압축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로 할당하였으며, 16384 - 24575까지의 스크램블링 부호 8192개를 압축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로 할당하였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은 상기의 스크램블링 부호의 할당방식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의 하드웨어 복잡도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상기의 종래 기술대로 스크램블링 부호를 할당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는 압축 모드 전송이 발생할 경우마다, 일일이 부호의 초기값을 다시 설정하여 압축 모드의 전송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거나, 별도의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를 구비하여 정상 전송 모드에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 압축 전송 모드에 사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 압축 전송 모드에 사용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각각 생성해야 한다.
일예로 기지국에서 종래의 기술인 도 2의 스크램블링 부호 배치도를 사용한다면 기지국내에 속한 단말기가 압축 모드 전송을 해야하는 경우에 기지국은 정상 모드 전송을 위한 스크램블링 부호 생성기와는 별도로 압축 모드 전송을 위한 스크램블링 부호 생성기를 구비해야 한다. 상기 기지국에서 구비하는 압축 모드 전송을 위한 스크램블링 부호 생성기도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생성기와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생성기를 각각 구비해야 한다. 상기 도2의 스크램블링 부호 배치도를 사용하는 기지국에서 정상 모드 전송과 압축 모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최소 3개의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를 구비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모드 전송 시 정상 모드에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와 압축 모드에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인덱스 번호에서 정상 모드 전송에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와 압축 모드 전송에 사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및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순으로 생성할 수 있는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의 멀티 스크램블링 할당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지국과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에서 정상 모드에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와 압축 모드에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별도의 초기값 변경없이 생성하여 하드웨어 복잡도를 줄일 수 있는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지국에서 구비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의 수를 하나로 했을 경우에도 기지국에서 필요한 모든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할 수 있는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나의 주파수대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와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위한 압축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두 개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송신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전송모드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정상모드 전송 확산률 또는 압축모드 전송 확산률로 입력되는 전송데이터를 특정 인덱스 번호의 직교가변확산률(OVSF) 부호로 확산하는 확산기와, 소정의 스크램블링 발생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와 두 개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인덱스 번호순으로 세 개를 매핑한 그룹들을 생성하고, 상기 전송모드 제어정보에 따라 소정 그룹의 스크램블링 부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와, 상기 선택 출력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와 상기 확산된 전송데이터를 승산하여 출력하는 승산기와, 모드전송 신호를 상위 계층으로부터 입력받아 전송모드 제어신호를 상기 확산기 및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부로 제공하고, 자원을 검사하여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정보를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로 제공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정 단말기가 사용하는 직교 변환 확산률 부호의 번호를 가지고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위한 압축 모드 전송 시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방법에 있어서, 확산률을 절반으로 줄인 직교 변환 확산률 부호를 사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직교 변환 확산률 부호를 사용할 수 있으면 상기 직교 변환 확산률 부호의 번호가 착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번호가 짝수이면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고, 홀수이면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직교 가변 확산율 코드를 발생하기 위한 코드트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일반적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부호 배치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부호 배치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램블링 코드 발생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장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램블링 코드 발생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드부호 발생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램블링 코드 발생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수신장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송신장치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수신장치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할당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3의 350은 스크램블링 부호의 번호가 된다. 상기 도3에서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번호 순서대로 48개씩 기지국에 할당한다. 상기 도 3의 311은 스크램블링 부호 0번으로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 1번에 해당하며, 기지국 1에서 사용한다. 상기 도3의 312는 스크램블링 부호 1번으로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0번에 부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로서 압축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도3의 313은 스크램블링 부호 2번으로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0번에 부합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로서 압축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도 3의 314는 스크램블링 부호 3번으로 기지국 1에서 사용하는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 중 첫 번째에 해당한다. 상기 도3의 315는 스크램블링 부호 4번으로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3번에 부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로서 압축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도3의 316은 스크램블링 부호 5번으로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3번에 부합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로서 압축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도 3의 317은 스크램블링 부호 45번으로 기지국 1에서 사용하는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중 15번째에 해당한다. 상기 도3의 318은 스크램블링 부호 46번으로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45번에 부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로서 압축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도3의 319는 스크램블링 부호 47번으로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45번에 부합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로서 압축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의 설명대로 본 발명에서는 각 기지국에서 48개의 스크램블링 부호를 연속적으로 사용한다.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의 배치 순서는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압축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압축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의 3가지 부호의 순열로 정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압축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압측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의 순서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스크램블링 부호의 순서를 정하면 기지국과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에 별다른 동작이 필요없이, 즉 초기값의 변경없이 압축모드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압축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와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는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1회 쉬프트 한 부호, 2회 쉬프트한 부호와 동일하다. 따라서 정상 모드 전송에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발생시키는 부호기에서 한 탭 앞에서 부호를 생성시키면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가 생성되며, 두 탭 앞에서 부호를 생성시키면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가 생성된다.
상기 도 3의 321,322,323,324,325,326,327,328,329는 기지국 2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로서 321은 스크램블링 부호 48번으로 기지국 2에서 사용하는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이고, 322는 스크램블링 부호 49번으로 스크램블링 부호 48번에 부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이며, 323은 스크램블링 부호 50번으로 스크램블링 부호 48번에 부합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도 3의 324는 기지국 2에서 사용하는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 중 첫 번째로 스크램블링 부호 51번이고, 325는 스크램블링 부호 52번으로 스크램블링 부호 51번에 부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이며, 326은 스크램블링 부호 53번으로 스크램블링 부호 51번에 부합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도 3의 327은 기지국 2에서 사용하는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 중 15번째로 스크램블링 부호 93번이고, 328은 스크램블링 부호 94번으로 스크램블링 부호 93번에 부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이며, 329는 스크램블링 부호 95번으로 스크램블링 부호 93번에 부합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도 3의 331,332,333,334,335,336,337,338,339는 기지국 512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로서 331은 스크램블링 부호 24528번으로 기지국 512에서 사용하는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이고, 332는 스크램블링 부호 24529번으로 스크램블링 부호 24528번에 부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이며, 333은 스크램블링 부호 24530번으로 스크램블링 부호 24528번에 부합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도 3의 334는 기지국 512에서 사용하는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 중 첫 번째로 스크램블링 부호 24531번이고, 335는 스크램블링 부호 24532번으로 스크램블링 부호 24531번에 부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이며, 336은 스크램블링 부호 24533번으로 스크램블링 부호 24531번에 부합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도 3의 337은 기지국 512에서 사용하는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 중 15번째로 스크램블링 부호 24573번이고, 338은 스크램블링 부호 24574번으로 스크램블링 부호 24573번에 부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이며, 339는 스크램블링 부호 24575번으로 스크램블링 부호 24573번에 부합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도 4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를 사용하는 기지국 송신 장치의 도면이다. 상기 도 4에서는 한대의 단말기에 대한 하향 채널만을 가정하였다. 제어기 42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 420은 상위, 즉 기지국 제어기(BSC) 또는 이동교환국(MSC)로부터 특정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의 전송 모드에 따른 전송모드 제어신호, OVSF 인덱스 번호 등을 포함하는 전송모드 제어정보를 출력한다. 확산기 401은 상기 제어기 420으로부터 전송모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OVSF 부호의 확산률을 결정하고, 결정된 확산률로 단말기로 전송할 하향 전송데이터를 확산하여 출력한다. 상기 전송 모드 제어 신호 415가 압축 모드 전송 신호이면 확산기 401은 현재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고 있 OVSF부호의 SF를 절반으로 줄인 OVSF부호로 단말기로 전송할 하향 전송 데이터를 확산시킨다.
상기 확산기 401은 일반적으로 기지국에서 전송하는 하향 채널들에 적합한 OVSF부호를 생성하여 각각의 하향 채널들을 확산시키는 장치이나, 확산 401에 대한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확산기 401이 하향 전용 채널을 확산하는 경우로 한정해서 설명한다.
상기 상기 SF가 반으로 줄어든 OVSF부호는 OVSF부호 생성 트리에서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고 있는 OVSF부호의 근(root)에 해당하는 부호이다. 상기 상기 확산기 401에서 확산되어 출력되는 하향 전송 데이터는 승산기 417로 입력한다. 상기 승산기 417은 상기 전송 데이터를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로 승산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기 420에서 사용하는 정보는 현재 기지국에서 전송하는 하향 채널들에 대해서 각각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종류와 수 및 각각의 하향 채널들에 대한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이다.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하는 하향 채널들의 전송모드에 대하여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종류와 수에 관한 것은 하기 <표 1>과 같다.
일차스크램블링 부호 이차스크램블링 부호 우수 대안스크램블링 부호 기수 대안스크램블링 부호
정상 전송 모드 1 0 0 0
1 a 0 0
정상 전송 모드 +압축 전송 모드 1 0 1 1
1 a 1∼ a+1 1∼ a+1
상기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수와 종류는 각각의 경우에 따라 달라지며, <표 1>의 a는 기지국에서 기지국의 용량 확대를 위해 필요한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의 수이다. 상기 a는 1에서 최대 15가 될 수 있다.
상기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종류는 최소 1에서 최대 4까지이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수는 최소 1에서 최대 3a +3까지이다. 상기 도 4의 제어기 420은 현재 기지국에서 전송하는 하향채널들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수와 종류를 파악하여 기지국에서 필요한 만큼의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전송 모드 제어 정보 415과 스크램블링 부호 인덱스 413을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 411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 420은 기지국에서 전송하는 하향채널들에 적합한 OVSF부호를 생성 및 정상 전송 모드와 압축 전송 모드를 지원하는 하향 전용채널들에 적합한 OVSF부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확산기 401을 제어한다.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 411은 스크램블링 부호 인덱스와 전송 모드 제어정보를 입력받고, 스크램블링 부호 인덱스 413의 값을 초기값으로 사용하여 정상 모드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발생된 스크램블링 부호는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 1개가 될 수 있고, 기지국 용량의 확대를 위한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 1개부터 최대 15개일 수 있다. 상기 도4의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 411은 전송 모드 제어 신호 415에 따라서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와 압축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압축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와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가 있으며, 상기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는 현재 단말기로의 하향 채널에 사용되는 OVSF부호의 번호가 짝수일 경우 사용되며,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는 현재 단말기로의 하향 채널에 사용되는 OVSF부호의 번호가 홀수일 경우 사용된다. 상기 도 4의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 411에서 압축 모드 전송 시에서 생성되는 우수 스크램블링 부호는 정상 모드 전송 시에 생성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1회 쉬프트형이며, 기수 스크램블링 부호는 정상 모드 전송시에 생성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2회 쉬프트형이다. 상기 도 4의 승산기 417에서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 411에서 생성된 스크램블링 부호로 스크램블된 하향 채널 데이터는 여파기 403, RF 부 405를 거쳐서, 안테나 407을 통해 단말기로 전송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본 발명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에서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만 사용한다는 것을 가정하였다. 도 5의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는 m-시퀀스의 생성을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 2개로 이루어지는 골드 부호 생성부 501과, 생성된 골드 부호를 I 채널 부호와 Q 채널 부호로 이루어지는 복소수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부로 구성된다. 상기 도5의 골드 부호 생성기 501에서 생성되는 골드 부호의 종류는 정상 모드 전송에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 골드 부호, 정상 모드 전송에 사용하는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 골드 부호,압축 모드 전송에 사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 골드 부호, 압축 모드 전송에 사용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 골드 부호의 4 종류이다. 따라서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부에는 각각 다른 채널에 적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부가 있다.
상기 각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부들 각각은 상기 골드 부호 발생기 501에서 출력되는 골드 부호를 일정 칩 동안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기 513, 515,..., 517을 각각 하나씩 구비한다. 따라서 지연기의 수는 기지국에서 생성할 수 있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수 N의 개수와 동일하다.
상기 N의 최대값은 기지국에서 구비할 수 있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수와 동일한 48이 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서 구비할 수 있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수는 최대 48이나 실제적으로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가 증가할 때마다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사이의 간섭이 커지므로,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수는 매우 제한적이다.
상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5에서 서로 다른 골드 부호를 동시에 생성하는 골드 부호 생성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스크램블링 부호의 배치도는 본 발명의 활용예인 도 3을 따르는 것을 가정하였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기지국내의 한 대의 단말기에 적용되는 골드 부호들을 생성하는 골드 부호 생성기로 가정한다.
상기 도6의 쉬프트 레지스터 601과 603은 서로 다른 m_시퀀스를 표현하는 쉬트프 레지스터이며 상기 쉬트프 레지스터 601과 603의 출력을 배타적 합 연산을 취하면 골드 부호가 생성된다. 상기 도 6의 배타적 합 연산기 611은 쉬프트 레지스터 601의 레지스터 0과 레지스터 7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비트들에 대하여 배타적 합 연산을 하여 17번째 레지스터에 입력한다. 상기 도 6의 배타적 합 연산기 613은 쉬프트 레지스터 603의 레지스터 0, 레지스터 5, 레지스터 7, 레지스터 10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비트들에 대하여 배타적 합 연산을 하여 17번째 레지스터에 입력한다.
상기 도6의 배타적 합 연산기 613,614,615는 본 발명의 스크램블링 부호 배치도 도 3에 따라 각각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의 생성에 사용되는 골드 부호, 상기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에 부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의 생성에 사용되는 골드 부호, 상기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에 부합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의 생성에 사용되는 골드 부호를 생성한다. 상기 배타적 합 연산기 613,614,615에서 출력된 골드 부호들은 스위치 #1 621로 입력된다. 상기 스위치 #1은 상기 제어기 420으로부터 전송 모드 제어 정보의 OVSF 부호의 번호 및 전송 모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전송 모드 제어 신호가 압축 모드 전송 신호이고 OVSF 부호의 번호가 짝수 이라면,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상기 도6의 배타적 합 연산기 616,617,618은 본 발명의 스크램블링 부호 배치도 도 3에 따라 각각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 #5)의 생성에 사용되는 골드 부호, 상기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에 부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의 생성에 사용되는 골드 부호, 상기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에 부합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의 생성에 사용되는 골드 부호를 생성한다. 상기 배타적 합 연산기 616,617,618에서 출력된 골드 부호들은 스위치 #6 623에서 기지국에서 단말기로의 하향 채널의 전송모드 및 단말기에게 할당된 OVSF부호의 번호에 따라 선택되어 출력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도6에서 한 대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하향 채널에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 하나만을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여 도시한 것이며,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전송하는 하향 채널이 정상 전송과 압축 전송을 반복하는 것을 가정하였고, 스크램블링 부호의 배치도는 본 발명의 활용예인 도 3을 따르는 것을 가정하였다.
상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5에서 서로 다른 골드 부호를 동시에 생성하는 골드 부호 생성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은 m-시퀀스의 생성에 있어서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방법, 갈로아 방법과 피보나치 방법중에 피보나치 방법을 사용한 골드부호 생성기에 대하여 도시하였다.[참고문헌 :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Handbook revised edition, Marvin K.Simon, Jim K. Omura, Robert A. Scholtz, Barry K.Levitt, 1985, McGraw-Hill] 상기 도 7의 쉬프트 레지스터 701은 길이가 18이며, m-시퀀스 m1(t)의 생성 다항식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 m1(t)의 생성 다항식은 생성 부호의 연속되는 심볼들에 대하여 하기 <수학식 1>의 궤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상기 도 7의 쉬프트 레지스터 701의 초기값으로 임의의 값을 사용할 수 있으며, 3GPP 표준안에서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들은 상기 초기값을 적용하여 생성된 스크램블링 부호를 쉬프트한 형태이다. 즉, 3GPP 표준안을 따르는 기지국 A에서 인덱스 125를 가지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한다면, 상기 기지국 A에서 사용하는 인덱스 125를 가지는 스크램블링 부호는 레지스터 701에 chrlrkqtdmf 적용하여 생성한 스크램브링 부호를 125 쉬프트한 부호이다. 따라서 기지국 Adptj 사용하는 인덱스 125의 스크램블링 부호를 완성하기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 701의 초기값은 0번 스크램블링 부호를 완성하기 위하여 사용한 초기값을 쉬프트 레지스터 701에 의해 125번 쉬프트 한 결과를 적용하면 된다.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숫자에서 1을 뺀 값의 이진표현을 초기치로 사용하며, 본 발명의 활용예에서는 쉬프트 레지스터 701의 초기치로 <1,0,0,0,0,0,0,0,0,0,0,0,0,0,0,0,0,0>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초기값을 적용하여 생성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상기 도3의 스크램블링 부호 배치도에서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 311로 가정하였다.
상기 도 7의 쉬프트 레지스터 703은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 701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있는 m-시퀀스 m2(t)의 생성다항식을 표현한 것이다. 상기 m2(t)의 생성 다항식은 생성 부호의 연속되는 심볼들에 대하여 하기 <수학식 2>의 궤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상기 m-시퀀스 m2(t)의 초기값은 모든 기지국에서 동일하게 사용하는 값이며, 본 발명의 활용예에서는 쉬프트 레지스터 703의 초기치를 <1,1,1,1,1,1,1,1,1,1,1,1,1,1,1,1,1,1>을 사용한다.
상기 도7의 배타적 합 연산기 711은 쉬프트 레지스터 601의 1번째 레지스터(제일 왼편에 있는 레지스터)안에 들어있는 비트와 8번째 레지스터안에 들어있는 비트에 대하여 배타적 합 연산을 한 후의 결과를 쉬프트 레지스터 701의 18번째 레지스터(제일 오른편에 있는 레지스터)에 입력한다. 상기의 궤환은 상기<수학식 1>을 만족시킨다. 상기 도 7의 배타적 합 연산기 712는 쉬프트 레지스터 703의 1번째 레지스터안에 들어있는 비트, 6번째 레지스터안에 들어있는 비트, 8번째 레지스터안에 들어있는 비트, 10번째 레지스터안에 들어있는 비트들에 대하여 배타적 합 연산을 한 후의 결과를 쉬프트 레지스터 703의 18번째 레지스터에 입력한다. 상기의 궤한은 상기 <수학식 2>를 만족시킨다.
상기 도 7의 배타적 합 연산기 713,714,715는 각각 쉬프트 레지스터 701의 1번째 레지스터의 출력, 2번째 레지스터의 출력, 3번째 레지스터의 출력과 쉬프트 레지스터 703의 1번째 레지스터의 출력을 배타적 합 연산을 하여 서로 다른 골드 시퀀스 3개를 생성한다. 상기 도 7의 배타적 합 연산기 714에서 생성된 골드 시퀀스는 상기 배타적 합 연산기 713에서 출력된 시퀀스를 1회 쉬트프 한 시퀀스와 동일한 시퀀스이며, 배타적 합 연산기 715에서 생성된 골드 시퀀스는 상기 배타적 합 연산기 713에서 출력된 시퀀스를 2회 쉬트프 한 시퀀스와 동일한 시퀀스이다.
상기 배타적 합 연산기 713, 714, 715에서 출력된 각각의 골드 부호들은 스위치 #1 721로 입력된다. 상기 스위치 #1 721은 기지국이 단말기로 전송하는 하향채널의 전송 모드와 OVSF 부호에 따라 적절한 골드 부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도 8은 본발명의 활용예에 따른 단말기의 수신기의 구조도이다. 기지국에서 전송한 하향 채널은 상기 도 8의 안테나 801을 통하여 단말기로 수신된다. 상기 안테나 801을 통해서 수신된 하향 채널 신호는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 837에서 디스크램블 된다. 상기 디스크램블러 837의 입력은 수신된 하향 채널 신호와 스크램블 부호 발생기 831에서 생성된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 831은 제어기 850의 제어를 받으며, 제어기 850에서 입력되는 스크램블링 부호 인덱스 833과 전송 모드 신호 835에 따라서 적절한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한다.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 831에서는 기지국에서 전송하는 공통 채널을 수신하기 위하여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를 항상 생성해야 하며, 기지국이 단말기로의 전용채널에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할 경우 일차 스크램블링 부호와 이차 스크램블링 부호를 동시에 생성해야 한다. 또한 단말기가 압축 전송 모드로 통신을 할 경우에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전송하는 하향 전용 채널이 정상 전송 모드와 압축 전송 모드로 전송될 시 필요한 스크램블링 부호를 각각 번갈아 생성해야 한다. 상기 도 8의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가 도 6의 구조를 가지고, 도 3의 스크램블링 배치도를 사용하면 상기에 설명한 각각의 경우에 필요한 스크램블링 부호를 동시에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도 8의 스크램블링 부호 인덱스 833은 기지국과 동일한 값을 사용하며, 스크램블링 부호의 초기 설정에 사용한다. 상기 도 8의 전송 모드 신호 835는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 801로 입력되는 단말기가 하향 채널을 수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스크램블링 부호의 종류 및 수에 대한 정보이며, 역확산기 803으로 입력되는 단말기가 수신한 프레임을 역확산하기 위해 필요한 OVSF 부호에 대한 정보이다.
상기 도 8의 디스크램블러 837에서 디스크램블 된 수신신호는 역확산기 803으로 입력된다. 상기 역확산기 803은 도 8의 전송 모드 신호 835에 따라서 사용하는 OVSF부호를 변화시켜 역확산한다. 상기 전송 모드 신호 835가 압축 모드 전송임을 알려온다면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고 있는 OVSF부호의 SF를 절반으로 줄인 OVSF부호로 수신된 하향 전송 데이터를 확산시키며, 상기 OVSF부호는 OVSF부호 생성 트리에서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고 있는 OVSF부호의 근(root)에 해당하는 부호이다. 상기 도 8의 역확산기 803에서 역확산된 하향 수신 신호는 채널추정 805, 다중화기 807, 역인터리빙 809, 복호기 811을 거쳐서 사용자 데이터로 복원된다.
도 9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901단계에서 기지국은 상위 레이어에서 전송한 기지국의 압축 전송 명령을 수신한다. 상기 상위 레이어의 신호는 단말기가 주파수간 하드핸드오프를 해야할 시점에 있을 경우 전송된다. 상기 수신된 압축전송 명령은 기지국의 제어기 420으로 입력한다. 상기 압축전송 명령을 입력받은 제어기 420은 902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OVSF부호에서 SF를 절반으로 줄인 OVSF 부호가 사용가능한지에 대한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902단계에서의 판단은 현재의 상황, 즉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고 있는 OVSF 부호의 SF를 절반으로 줄인 OVSF부호를 구하고, 자신이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던 OVSF부호 외에 동일한 SF를 가지는 다른 OVSF 부호가 다른 단말기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만일 그러한 단말기가 있다면 SF를 절반으로 줄인 OVSF 부호 사용 불가 판정을 내리고, 없다면 사용 가능 판정을 내린다.
상기 도 9의 902단계에서 SF를 절반으로 줄인 OVSF부호의 생성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제어기 420은 903단계로 진행하여 SF를 절반으로 줄인 OVSF부호를 생성한다. 그러나 SF를 절반으로 줄인 OVSF 부호의 생성이 불가능하고 판단되면 제어기 420은 911단계로 진행한다. 이때부터 기지국 제어기 420 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변화시켜 SF를 절반으로 줄인 OVSF부호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를 변화시켜 SF를 절반으로 줄인 OVSF부호의 사용 하는 동작의 첫 번째가 도 9의 911단계로서 기지국 제어기 420은 911단계에서 현재 압축 모드 전송을 해야할 단말기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하향 채널의 OVSF부호의 번호가 짝수인지 홀수인지 판단한다. 상기 911단계에서 현재 정상 전송 모드에서 사용하고 있는 OVSF부호의 번호가 짝수이면 제어기 420은 912단계로 진행하여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고, 홀수이면 913단계로 진행하여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한다. 기지국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변화시켜 SF를 절반으로 줄인 OVSF부호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려는 동작의 두 번째가 912와 913이다. 상기 912에서 생성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는 도 3의 스크램블링 부호 배치를 이용한 것으로서, 현재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1회 쉬프트해서 생성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913에서 생성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는 도 3의 스크램블링 부호 배치를 이용한 것으로서, 현재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1회 쉬프트해서 생성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912 단계 또는 913단계에서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또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가 생성되면 제어기 420은 914단계로 진행하여 OVSF 부호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되는 OVSF 부호는 상기 903단계에서 생성되는 OVSF부호와 동일하다.
상기 도9의 903 혹은 914에서 각각의 동작을 수행한 기지국은 904단계에서 903단계 혹은 914단계에서 새로 생성한 OVSF부호를 사용하여 확산기 401을 통해 압축 모드로 전송할 프레임을 확산시킨다. 상기 확산 과정후에 905단계에서 기지국은 정상 모드 전송 스크램블링 부호 혹은 압축 모드 전송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하여 압축 모드로 전송할 프레임을 승산기 417에서 확산시킨다. 상기 정상 모드 전송 스크램블링 부호 혹은 압축 모드 전송 스크램블링 부호의 선택은 상기 902단계에서 이루어지며, 압축 모드 전송 스크램블링 부호 중에서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혹은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의 선택은 상기 911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도9의 904단계와 905단계에서 확산과 스크램블된 압축 모드 전송 프레임은 기지국의 의해 906단계에서 단말기로 전송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도10의 1001단계에서 단말기는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위한 압축 모드 프레임 수신 메세지를 상위 레이어, 즉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면 단말기 제어기 850은 1002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어떠한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메시지(이하 "스크램블링 할당 메시지"라 함)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스크램블링 할당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기 850은 상기 스크램블링 할당 메시지가 현재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고 있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변경 없이 사용한다는 메시지를 판단한다. 상기 1002단계에서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변경없이 사용한다면 제어기 850은 1003단계에서 현재 하향 전송 채널을 역확산 하는데 사용하는 OVSF부호를 압축 모드 전송 프레임을 역확산하는데 사용할 OVSF부호로 변경한다.
상기 1002단계에서 현재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고 있는 스크램블링 부호 대신에 압축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한다는 메시지를 수신 받으면 제어기 850은 1011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하향 채널을 역확산하는데 사용하고 있는 OVSF부호의 번호가 짝수인지 홀수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OVSF부호의 번호가 짝수이면 제어기 850은 1012단계로 진행하고, 홀수이면 10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12단계로 진행한 제어기 850은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고, 1013단계로 진행한 제어기 850은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한다. 상기 1012단계에서 생성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는 도 3의 스크램블링 부호 배치를 이용한 것으로서, 현재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1회 쉬프트해서 생성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1013단계에서 생성되는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는 도 3의 스크램블링 부호 배치를 이용한 것으로서, 현재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1회 쉬프트해서 생성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이다. 상기 도 10의 1012단계 혹은 1013단계에서 압축 모드 수신에서 사용할 적절한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한 제어기 850은 1014단계에서 현재 하향 전송 채널을 역확산 하는데 사용하는 OVSF부호를 압축 모드 전송 프레임을 역확산하는데 사용할 OVSF부호로 변경한다. 상기 변경되는 부호는 1003에서 생성되는 OVSF부호와 동일하다.
상기 도10의 1004단계에서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압축 모드 전송 프레임을 수신하여 기지국에서 압축 모드 전송 프레임을 스크램블하는데 동일한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하여 압축 모드 전송 프레임을 디스크램블러 837에서 디스크램블(descramble)한다.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는 정상 모드 전송 스크램블링 부호 혹은 압축 모드 전송 스크램블링 부호이며, 정상 모드 전송 스크램블링 부호 혹은 압축 모드 전송 스크램블링 부호의 사용여부는 기지국에서 결정하여 단말기로 송신한다. 상기 도10의 1005단계에서 단말기는 1004단계에서 디스크램블된 수신 압축 모드 전송 프레임을 1003단계 혹은 1014단계에서 새로 생성한 OVSF 부호를 사용하여 역확산기 803에서 역확산한 후, 채널추정 805, 다중화기 807, 역인터리빙 809 및 복호기 811을 통해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전송한 데이터를 복원한다.
종래의 기술인 도 2에 도시된 스크램블링 부호의 배치도를 사용한다면 정상 전송 모드에서 통신하고 있는 기지국과 단말기가 압축 전송 모드에서 통신하기 위해서 현재 정상 전송 모드에서 사용하고 있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8192번 쉬프트한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나 16384 쉬프트한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해야 한다. 상기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는 정상 전송 모드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8192번 쉬프트 한 값이므로, 정상 전송 모드에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에서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려면 정상 전송 모드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초기값을 8192번 쉬프트한 값을 별도의 초기치로 스크램블링 발생기에 입력하거나. 별도의 스크램블링 부호기를 구비하여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해야 한다. 상기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는 정상 전송 모드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16384번 쉬프트 한 값이므로, 정상 전송 모드에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에서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려면 정상 전송 모드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초기값을 16384번 쉬프트한 값을 별도의 초기치로 스크램블링 발생기에 입력하거나. 별도의 스크램블링 부호기를 구비하여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해야 한다.
도 3의 본 발명의 스크램블링 부호 배치도를 도 6의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활용예에 적용하면 스크램블링 부호기에서 초기값을 설정한 후 상기의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별도의 조작 없이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6개와 압축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12개를 생성할 수 있다. 현재 3GPP 표준안을 따르는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총 수가 48개이지만,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가 하나씩 증가할 때마다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들 사이의 간섭이 증가하므로 실제적으로 기지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총 수는 제한이 될 것이다. 상기 기지국에서 실제적으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는 도 6의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서 동시에 생성할 수 있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총 수인 18개를 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도 6의 구조를 가지는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와 도 3의 스크램블링 부호 배치도를 사용한다면 기지국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모든 스크램블링 부호를 스크램블링 부호의 초기치 설정만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인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대로 스크램블링 부호를 배치한다면 압축 모드 전송에서 사용할 스크램블링 부호의 생성시에 초기치를 다시 입력하거나 별도의 스크램블링 부호기를 구비해야 하므로 하드웨어의 복잡도가 증가하나, 본 발명의 활용예인 도 3의 구조를 가지는 스크램블링 부호 배치도를 사용한다면 초기 설정 하나만으로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모든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하드웨어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크램블링 부호를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압축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및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인덱스 번호순으로 매핑하므로 초기치 설정만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치 설정만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정상 모드 전송 및 압축 모드 전송간의 스크램블링 부호를 번갈아 사용할 경우 초기값 변경을 위한 별도의 스크램블링 부호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하드웨어 복잡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2)

  1. 하나의 주파수대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정상 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와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위한 압축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두 개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송신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전송모드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정상모드 전송 확산률 또는 압축모드 전송 확산률로 입력되는 전송데이터를 특정 인덱스 번호의 직교가변확산률(OVSF) 부호로 확산하는 확산기와,
    소정의 스크램블링 발생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와 두 개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인덱스 번호순으로 세 개를 매핑한 그룹들을 생성하고, 상기 전송모드 제어정보에 따라 소정 그룹의 스크램블링 부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와,
    상기 선택 출력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와 상기 확산된 전송데이터를 승산하여 출력하는 승산기와,
    모드전송 신호를 상위 계층으로부터 입력받아 전송모드 제어신호를 상기 확산기 및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부로 제공하고, 자원을 검사하여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정보를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로 제공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가,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와 두 개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인덱스 번호순으로 매핑한 그룹들을 생성하고, 상기 전송모드 제어 정보에 따라 소정 그룹의 골드 부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골드부호 발생기와,
    상기 선택 출력된 골드부호를 동위상의 골드부호와 직교위상의 골드부호로 출력하여 복소수의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생성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 제어 정보가 전송 모드 제어신호 및 직교 변환 확산률 부호의 번호 정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골드부호 발생기가,
    소정 개수의 레지스터를 구비하고, 소정의 제1다항식에 의해 순환 반복 구조를 갖는 제1쉬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개수의 레지스터를 구비하고, 소정의 제2다항식에 의해 순환 반복 구조를 갖는 제2쉬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제1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레지스터의 비트 값과 상기 제2쉬프트 레지스터의 최하위 비트의 값을 각각 배타적 합 하여 스크램블링 부호를 각각 출력하는 다수의 배타적 합 연산기와,
    상기 다수의 스크램블링 부호 중 최하위 비트로부터 스크램블링 부호,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순으로 세 개씩 매핑하고, 상기 전송 모드 제어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스위치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항식이 이하 <수학식 3>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다항식이 이하 <수학식 4>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의 레지스터 수가 18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쉬프트 레지스터의 초기치가 모두 1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장치.
  9. 하나의 주파수대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정상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와 주파수간 핸드오프 시 통신을 수행하는 압축모드 전송에서 사용하는 적어도 두 개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기 수신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스크램블링 발생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와 적어도 2개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인덱스 번호순으로 매핑한 그룹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신호와 스크램블링 발생정보에 따라 소정 그룹의 스크램블링 부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와,
    상기 선택 출력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에 의해 수신된 전송데이터를 디스크램블링하여 출력하는 디스크램블러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정상모드 전송 확산률 또는 압축모드 전송 확산률로 상기 디스크램블링된 전송데이터를 역확산하는 확산기와,
    압축모드전송 정보를 입력받아 전송모드 제어신호를 상기 확산기 및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부로 제공하고, 자원을 검사하여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정보를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로 제공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기 수신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가,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와 두 개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인덱스 번호순으로 그룹핑되는 그룹들을 생성하고, 상기 전송모드 제어 정보에 따라 소정 그룹의 골드 부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골드부호 발생기와,
    상기 선택 출력된 골드부호를 동위상의 골드부호와 직교위상의 골드부호로 출력하여 복소수의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생성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 제어 정보가 전송 모드 제어신호 및 직교 변환 확산률 부호의 번호 정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골드부호 발생기가,
    소정 개수의 레지스터를 구비하고, 소정의 제1다항식에 의해 순환 반복 구조를 갖는 제1쉬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개수의 레지스터를 구비하고, 소정의 제2다항식에 의해 순환 반복 구조를 갖는 제2쉬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제1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레지스터의 비트 값과 상기 제2쉬프트 레지스터의 최하위 비트의 값을 각각 배타적 합 하여 스크램블링 부호를 각각 출력하는 다수의 배타적 합 연산기와,
    상기 다수의 스크램블링 부호 중 최하위 비트로부터 스크램블링 부호,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순으로 세 개씩 그룹핑하고, 상기 전송 모드 제어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스위치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항식이 이하 <수학식 3>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다항식이 이하 <수학식 4>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의 레지스터 수가 18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쉬프트 레지스터의 초기치가 모두 1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장치.
  17. 소정 단말기가 사용하는 직교 변환 확산률 부호의 번호를 가지고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위한 압축 모드 전송 시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방법에 있어서,
    확산률을 절반으로 줄인 직교 변환 확산률 부호를 사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직교 변환 확산률 부호를 사용할 수 있으면 상기 직교 변환 확산률 부호의 번호가 착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번호가 짝수이면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고, 홀수이면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생성 후 전송할 전송데이터를 상기 직교 변환 확산률 부호로 확산 후 상기 번호가 짝수이면 상기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할당하여 확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생성 후 전송할 전송데이터를 상기 직교 변환 확산률 부호로 확산후 상기 번호가 홀수이면 상기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할당하여 확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소정 단말기가 사용하는 직교 변환 확산률 부호의 번호를 가지고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기에서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위한 압축 모드 전송 시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 메시지에 할당된 스크램블링 부호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스크램블링 부호와 동일한 스크램블링 부호인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 메시지에 할당된 스크램블링 부호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스크램블링 부호와 동일하면 상기 직교 변환 확산률 부호의 번호가 착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번호가 짝수이면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고, 홀수이면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생성 후 상기 번호가 짝수이면 상기 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할당하여 수신데이터를 디스크램블링 한 후 상기 직교 변환 확산률 부호로 역확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 후 상기 번호가 홀수이면 상기 기수 대안 스크램블링 부호를 할당하여 수신데이터를 디스크램블링 한 후 상기 직교 변환 확산률 부호로 역확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9990041181A 1999-09-22 1999-09-22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의 멀티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594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41181A KR100594042B1 (ko) 1999-09-22 1999-09-22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의 멀티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US09/667,350 US6956948B1 (en) 1999-09-22 2000-09-22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ultiple scrambling codes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CT/KR2000/001062 WO2001022636A1 (en) 1999-09-22 2000-09-22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ultiple scrambling codes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U74568/00A AU761470B2 (en) 1999-09-22 2000-09-22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ultiple scrambling codes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1525881A JP3553548B2 (ja) 1999-09-22 2000-09-22 非同期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マルチスクランブリング符号発生装置及び方法
CNB008020264A CN1160885C (zh) 1999-09-22 2000-09-22 在异步移动通信系统中生成多个加扰码的装置和方法
EP00963116A EP1129533A4 (en) 1999-09-22 2000-09-22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EVERAL scrambling codes in a mobile asynchronous message transmiss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41181A KR100594042B1 (ko) 1999-09-22 1999-09-22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의 멀티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768A true KR20010028768A (ko) 2001-04-06
KR100594042B1 KR100594042B1 (ko) 2006-06-28

Family

ID=19612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0041181A KR100594042B1 (ko) 1999-09-22 1999-09-22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의 멀티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56948B1 (ko)
EP (1) EP1129533A4 (ko)
JP (1) JP3553548B2 (ko)
KR (1) KR100594042B1 (ko)
CN (1) CN1160885C (ko)
AU (1) AU761470B2 (ko)
WO (1) WO200102263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538B1 (ko) * 2001-05-29 2004-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744357B1 (ko) * 2001-09-10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데이터에할당되는 직교 코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WO2010064852A3 (en) * 2008-12-02 2010-07-29 Pantech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seudo random sequence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006199A (ko) * 2009-07-13 2011-01-20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시퀀스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5250B2 (en) 2001-07-09 2004-08-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sharing channelization code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TW531997B (en) * 2001-09-13 2003-05-11 Silicon Integrated Sys Corp Scrambling and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synchronous transmission bit stream
US6552996B2 (en) * 2001-09-18 2003-04-22 Interdigital Communications Corporation OVSF code system and methods
JP3896873B2 (ja) * 2002-03-07 2007-03-22 日本電気株式会社 可変通信システム
US6973579B2 (en) 2002-05-07 2005-12-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Generation of user equipment identification specific scrambling code for the 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
US7286589B1 (en) * 2003-08-29 2007-10-2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on of downlink scrambling code in wideband CDMA mobile devices
US9298423B2 (en) 2012-07-24 2016-03-29 Ternarylogic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a sequence of n-state symbols
US8374289B2 (en) 2004-02-25 2013-02-12 Ternarylogic Llc Generation and detection of non-binary digital sequences
US7580472B2 (en) * 2004-02-25 2009-08-25 Ternarylogic Llc Generation and detection of non-binary digital sequences
CN1691656B (zh) * 2004-04-26 2010-08-18 上海明波通信技术有限公司 在数字通信系统中生成扰码的方法及其装置
US7496167B2 (en) * 2005-01-20 2009-02-24 Marvell World Trade Ltd. Storage efficient sliding window sum
US8064424B2 (en) * 2005-07-22 2011-11-22 Qualcomm Incorporated SDMA for WCDMA
US7894327B2 (en) * 2005-08-23 2011-02-22 Agere Systems Inc. Buffer-based generation of OVSF code sequences
US20080039141A1 (en) * 2006-08-10 2008-02-14 Holger Claussen Changing the scrambling code of a base station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JP4444259B2 (ja) * 2006-10-03 2010-03-3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下りリンクスクランブル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JPWO2008053932A1 (ja) * 2006-10-31 2010-02-25 Kddi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端末装置
GB2456996B (en) * 2006-12-26 2011-09-21 Fujitsu Ltd Data compression apparatus and data decompression apparatus
US9357563B2 (en) * 2008-08-12 2016-05-3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reventing misuse of random access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74837B2 (en) * 2008-08-12 2016-06-2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reventing misuse of random access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91957B1 (ko) 2009-01-20 2010-11-04 주식회사 팬택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US9451466B2 (en) * 2013-03-15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Base station employing shared resources among antenna units
PL2884748T3 (pl) * 2013-12-11 2017-05-31 Squadeo S.A.S. Aparat i sposób dekodowania skompresowanego wideo
US9792246B2 (en) * 2014-12-27 2017-10-17 Intel Corporation Lower-power scrambling with improved signal integrity
CN107506326B (zh) * 2017-07-05 2019-03-15 芯启源(南京)半导体科技有限公司 数据传输加扰和解扰电路、发送和接收装置及系统
CN108965173B (zh) * 2018-06-12 2020-07-3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解扰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8768906B (zh) * 2018-06-12 2020-09-0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加扰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4322A (en) * 1965-08-19 1984-02-28 Racal Data Communications Inc. Coded data transmission system
DE2124320C1 (de) * 1971-05-17 1978-04-2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Elektrische Schaltung zur Erzeugung einer Vielzahl verschiedener Codes
US5600672A (en) * 1991-03-27 1997-02-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system
US5892879A (en) * 1992-03-26 1999-04-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system for plural data streams
ZA965340B (en) * 1995-06-30 1997-01-27 Interdigital Tech Corp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mmunication system
JPH1115642A (ja) * 1997-06-26 1999-01-22 Sony Corp スクランブル装置およびデスクランブル装置ならびにその方法
US6700881B1 (en) * 1998-03-02 2004-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DMA communication system
US6317422B1 (en) * 1998-04-15 2001-11-13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of N-chip resistant spreading in CDMA systems
JP4083302B2 (ja) * 1998-08-12 2008-04-30 株式会社東芝 動画像スクランブル/デスクランブル装置
US6389138B1 (en) * 1998-11-12 2002-05-14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complex scrambling code sequence
KR20000040479A (ko) * 1998-12-18 2000-07-05 강상훈 가변직교확산코드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406531B1 (ko) * 1999-05-31 2003-1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가변팩터직교확산 코드를 이용하여데이터 메시지를 변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TW462174B (en) * 2000-03-24 2001-11-01 Via Tech Inc Method and device for preloading seed of test code in physical lay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538B1 (ko) * 2001-05-29 2004-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744357B1 (ko) * 2001-09-10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데이터에할당되는 직교 코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WO2010064852A3 (en) * 2008-12-02 2010-07-29 Pantech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seudo random sequence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006199A (ko) * 2009-07-13 2011-01-20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시퀀스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4042B1 (ko) 2006-06-28
JP2003510892A (ja) 2003-03-18
US6956948B1 (en) 2005-10-18
CN1160885C (zh) 2004-08-04
JP3553548B2 (ja) 2004-08-11
EP1129533A1 (en) 2001-09-05
WO2001022636A1 (en) 2001-03-29
AU7456800A (en) 2001-04-24
CN1322420A (zh) 2001-11-14
AU761470B2 (en) 2003-06-05
EP1129533A4 (en) 200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4042B1 (ko)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의 멀티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JP3992981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スクランブリング符号の識別者通信方法
EP14294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crambling code in UMT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XPA01004393A (es) Uso de codigo en modo con intervalos con un sistema de comunicaciones celular.
WO1999012284A1 (en) A method for assigning spreading codes
KR100396506B1 (ko) 이중직교부호도약다중접속장치및방법
KR100241328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무선가입자 망 시스템에서 기지국시퀀스 할당 방법
KR100288149B1 (ko) 광대역 데이터 전송방법 및 장치
KR100331879B1 (ko) 공통 패킷 채널의 수신기 및 그의 신호 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