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469A - 리스트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리스트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469A
KR20000017469A KR1019990035050A KR19990035050A KR20000017469A KR 20000017469 A KR20000017469 A KR 20000017469A KR 1019990035050 A KR1019990035050 A KR 1019990035050A KR 19990035050 A KR19990035050 A KR 19990035050A KR 20000017469 A KR20000017469 A KR 20000017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ps
battery
electronic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0351B1 (ko
Inventor
야노쥰로
사쿠라자와나오히코
미나미순지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20000017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3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3/00Protecting clockworks by shields or other means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magnetic field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34Power consum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35Constructional details or hardware or software details of the signal processing chain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60/00Constructional details
    • G04R60/06Antenna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clock or watch bodies
    • G04R60/10Antenna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clock or watch bodies inside c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 Clock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Structure Of Receiver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Details Of Measuring And Other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차폐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내충격성도 겸하여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기케이스(309)(상부케이스(301), 안쪽덮개(302))와, 이 기기케이스내에 수용된 전자차폐용의 몸체(100)를 구비하고, 몸체(100)내에 설치된 전자부품(예를 들면 아날로그기판(28) 또는 아날로그기판(54), 디지털기판(43))을 구비하며, 몸체 (100)는 각각 둘레부에 기립한 포위(surrounding)틀(19, …, 48, …)을 갖고 일단측에 개구부 (18k, 47k)를 갖는 상자형상의 전자차폐재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반(半)몸체(실드체 (18) 또는 실드체(52)와 실드체(47))를 개구부(18k, 47k)측에서 서로 결합하여 구성되어 있고, 일부의 전자부품(예를 들면 아날로그기판(28) 또는 아날로그기판 (54))과 다른 전자부품(예를 들면 디지털기판(43))의 사이에는 전자차폐용 칸막이부재(실드체(34))가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의 반몸체(실드체(18))의 외측에는 안테나(2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스트장치 및 전자기기{WRIST INSTRUMENT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손목시계, 휴대단말, 전자수첩 등에 적용하여 유용한 리스트장치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휴대용의 전자기기에 GPS수신기나 위치검출시스템을 구비한 것이 각종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초소용 휴대용의 전자기기에 GPS수신기나 위치검출시스템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수신안테나와 수신회로부 및 수신회로부내의 아날로그기판과 디지털기판을 극히 근접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디지털기판은 고주파디지털노이즈의 발생원으로 되는 것이고 수신안테나나 아날로그기판은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운 것이다. 따라서 수신안테나와 디지털기판의 사이 및 아날로그기판과 디지털기판의 사이에 전자차폐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 종래의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회로기판(아날로그기판)의 부착방법에서는 전자기기에 쇼크가 가해졌을 때에 보스가 부러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자차페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내충격성도 겸하여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은 한정된 설치공간내에 각종의 기능부를 콤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리스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1 항에 기재한 발명은 사용자의 손목에 장착하기 위한 밴드(310, 311)를 구비한 리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밴드에 의해 홀딩되어 있는 장치본체(302)와,
이 장치본체의 표측 중의 보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 표시부(320)와,
상기 장치본체 중 사용자와 대면하는 측의 앞위치에 설치된 조작부(336)와,
상기 조작부와 반대측의 위치에 설치된 전지수용부(340)와,
상기 표시부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데이터수신부(35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밴드는 한쌍의 밴드에 의해 구성되고, 각각 장치본체의 가장자리부에 대향하여 설치된 것이어도 좋고, 일체의 밴드의 양단이 장치본체의 가장자리부에 대향하여 설치된 것이어도 좋다.
제 1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목에 장착하기 위한 밴드를 구비한 리스트장치에 있어서, 밴드에 의해 홀딩되어 있는 장치본체와, 이 장치본체의 표측 중의 보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 표시부와, 장치본체 중 사용자와 대면하는 측의 앞위치에 설치된 조작부와, 조작부가 반대측의 위치에 설치된 전지수용부와, 표시부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데이터수신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장치본체에 각종의 기능부를 콤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 장치본체의 표측에 설치된 표시부에 의해 표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장치본체에 설치된 표시부에 의해 표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장치본체의 주위에 설치된 조작부에 의해 각종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전원이 되는 전지를 수용하는 전지수용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휴대시의 사용에 적합해 있다.
제 2 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한 리스트장치이고, 장치본체는 시각을 계시하는 계시수단(810)과, 데이터수신부(350)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부(820)와, 계시수단에 의해 계시된 시각과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의 적어도 한쪽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부(CPU(82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2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장치본체는 시각을 계시하는 계시수단과, 데이터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부와, 계시수단에 의해 계시된 시각과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의 적어도 한쪽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시켜서 확인할 수 있다.
제 3 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한 리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부(350)는 외부로부터 보내어져 온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용 안테나(23)를 구비하고 있고, 이 위치정보수신용 안테나는 상기 표시부(23)의 좌우방향 및 전부방향의 어느 쪽인가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3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수신부는 외부로부터 보내어져 온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용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고, 이 위치정보수신용 안테나는 표시부의 좌우방향 및 전부방향의 어느 쪽인가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작부의 조작을 실시할 때에 위치정보수신용 안테나를 손으로 숨겨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표시부를 시계(視界)로부터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정보수신용 안테나에 의해 수신을 실시하면서 적합하게 조작부의 조작을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표시부의 표시를 확인하면서 조작부의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제 4 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한 리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제 1 밴드(310)와 제 2 밴드(3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밴드의 일단부는 상기 전지수용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밴드의 일단부는 상기 기기케이스 중의 상기 조작부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4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밴드는 제 1 밴드와 제 2 밴드로 이루어지고, 제 1 밴드의 일단부는 상기 전지수용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밴드의 일단부는 기기케이스 중의 조작부측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들 제 1 밴드와 제 2 밴드에 의해 리스트장치를 손목에 장착할 수 있다.
제 5 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한 리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지수용부(340)는 전지를 수용하는 통형형상의 통형도전부재(500)와, 이 통형도전부재내에 수용된 전지(344)의 한쪽의 단자부(345)에 맞닿도록 상기 통형도전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제 1 단자부(501)와, 상기 통형도전부재내에 수용된 전지의 다른쪽의 단자부(346)에 맞닿는 제 2 단자부(511)를 갖고, 또한 상기 통형도전부재의 전지수용부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통형도전부재의 상기 일단측에 맞닿도록 상기 장치본체(305)에 부착된 덮개부재(341)와, 상기 제 1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동시에 상기 통형도전부재의 측면위치에 설치된 전원꺼냄부(52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5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전지수용부는 전지를 수용하는 통형형상의 통형도전부재와, 이 통형도전부재내에 수용된 전지의 한쪽의 단자부에 맞닿도록 통형도전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제 1 단자부와, 통형도전부재내에 수용된 전지의 다른쪽의 단자부에 맞닿는 제 2 단자부를 갖고, 또한 상기 통형도전부재의 전지수용부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통형도전부재의 상기 일단측에 맞닿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부착된 덮개부재와, 제 1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동시에 통형도전부재의 측면위치에 설치된 전원꺼냄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지의 한쪽의 단자부를 전지의 측면의 옆까지 끌고 다닐 수 있어 리스트장치의 배선 등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제 6 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한 리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지수용부(442; 340)는 상기 장치본체(445; 305)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전지로서는 평판형(원판모양, 사각판모양 등)의 전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전지수용부는 장치본체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장치본체의 전후방향의 외형치수와 좌우방향의 외형치수 중 어느 쪽인가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본체를 겉보기에 작게 할 수 있다.
제 7 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한 리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지수용부(432; 340)는 상기 밴드(436; 310)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전지로서는 평판형(원판모양, 사각판모양 등)의 전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7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전지수용부는 밴드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전지교환을 하여 잘못 전지수용부의 기밀이 유지되지 않은 상태로 되었다고 해도 장치본체의 기밀에 영향이 생기는 일이 없다.
제 8 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한 리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320)의 표시면과 상기 데이터수신부(350)의 수신면(GPS수신용 안테나(23)의 수신면)은 상기 데이터수신부의 수신면을 대략 수평으로 했을 때에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이 사용자와 대면하는 각도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8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표시부의 표시면과 데이터수신부의 수신면은 데이터수신부의 수신면을 대략 수평으로 했을 때에 표시부의 표시면이 사용자와 대면하는 각도로 설계되어 있으므로, 데이터수신부의 수신면을 대략 수평으로 했을 때에 사용자가 표시부의 표시면을 시인하기 쉽다. 따라서 수신을 실시하면서 용이하게 표시면을 시인할 수 있다.
제 9 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한 리스트장치에 있어서, 장치본체 (605; 305)는 해당 장치본체가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진 것을 검출하는 경사검출부 (613)와, 이 경사검출부가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를 검출한 것을 조건으로 데이터수신부(350; 840)의 수신처리를 개시하는 수신처리부(82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9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장치본체는 해당 장치본체가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진 것을 검출하는 경사검출부와, 이 경사검출부가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를 검출한 것을 조건으로 상기 데이터수신부의 수신처리를 개시하는 수신처리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장치본체를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시킴으로써 경사검출부가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를 검출하고 수신처리부에 의해 데이터수신부의 수신처리를 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조작부에 의한 조작에 따라 수신처리가 개시되는 경우에 비하여 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다.
제 10 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한 리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605; 305)는 상기 표시부(320)를 조명하기 위해 발광되는 발광부(발광패널 (650))(83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0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장치본체는 상기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해 발광되는 발광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암소에서도 표시부의 표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 11 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한 리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605; 305)의 이면측은 사용자의 손목을 따르도록 만곡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1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장치본체의 이면측은 사용자의 손목을 따르도록 만곡해 있으므로, 밴드에 의해 리스트장치를 손목에 장착했을 때에 리스트장치와 손목의 착용감이 양호하게 된다.
제 12 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한 리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605; 305)는 시각을 지시 또는 표시하는 시계부(81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2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장치본체는 시각을 지시 또는 표시하는 시계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시각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3 항에 기재한 발명은 기기케이스(309)(상부케이스(3), 하부케이스(4))와,
이 기기케이스내에 수용된 전자차폐용의 몸체(100)와,
해당 몸체내에 설치된 전자부품(예를 들면 아날로그기판(28) 또는 아날로그기판(54), 디지털기판(43))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몸체는 각각 둘레부에 기립한 포위틀(19, …, 48, …)을 갖고 일단측에 개구부(18k, 47k)를 갖는 상자형상의 전자차폐재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반몸체(실드체(18) 또는 실드체(52)와 실드체(47))를 상기 개구부측에서 서로 결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3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기기케이스내에 수용된 전자차폐용의 몸체와, 해당 몸체내에 설치된 전자부품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몸체에 의해 전자부품이 그 주의의 대략 전체방향에 걸쳐서 전자차페되어 우수한 전자차폐성이 얻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디지털회로 등의 전자적인 노이즈를 발생하는 전자부품과, 아날로그회로나 수신안테나 등의 전자적인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운 전자부품을 몸체에 의해 사이를 둠으로써, 전자적인 노이즈를 발생하는 전자부품과, 전자적인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운 전자부품을 극히 근거리에 설치해도 그 전자부품은 전자적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전자손목시계 등의 초소형의 전자기기류에 있어서도 전자적인 노이즈를 발생하는 전자부품과, 전자적인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운 전자부품을 근접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제 14 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 13 항에 기재한 전자기기이고, 상기 전자부품은 복수의 전자부품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복수의 전자부품 중의 일부의 전자부품(예를 들면 아날로그기판(28) 또는 아날로그기판(54))과 다른 전자부품(예를 들면 디지털기판(43))의 사이에는 전자차폐용 칸막이부재(실드체(34))가 배치되며, 해당 전자차폐용 칸막이부재에 의하여 상기 일부의 전자부품과 상기 다른 전자부품은 서로 전자차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4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전자차폐용 칸막이부재에 의해 전자차폐용의 몸체의 내부가 또한 칸막이되어 있고, 칸막이된 공간의 각각에 전자부품 중의 일부의 전자부품과 다른 전자부품을 각각 별개로 배치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차폐용의 몸체내에 있어서 전자차폐용 칸막이부재에 의하여 상기 일부의 전자부품과 상기 다른 전자부품을 또한 서로 전자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디지털회로 등의 전자적인 노이즈를 발생하는 전자부품과, 아날로그회로 등의 전자적인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운 전자부품을 전자차폐용의 몸체내에서 전자차폐용 칸막이부재에 의하여 사이를 둠으로써, 전자적인 노이즈를 발생하는 전자부품과, 전자적인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운 전자부품을 극히 근거리에 설치해도 그 전자부품은 전자적인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전자손목시계 등의 초소형의 전자기기류에도 전자적인 노이즈를 발생하는 전자부품과, 전자적인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운 전자부품을 둘다 설치할 수 있다.
제 15 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 13 항에 기재한 전자기기이고, 상기 몸체는 상기 한쌍의 반몸체(실드체(18) 또는 실드체(52)와 실드체(47))를 서로 대향시켜서 한쪽의 반몸체(실드체(18) 또는 실츠데(52))의 포위틀(19, …)이 다른쪽의 반몸체(실드체(47))의 포위틀(48, …)의 내측에 들어가도록 끼워 넣어져서 구성되는 한쪽이고, 상기 전자부품(예를 들면 아날로그기판(28) 또는 아날로그기판(54))은 상기 한쪽의 반몸체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른쪽의 반몸체의 포위틀에는 상기 전자부품의 스위칭을 실시하기 위한 스위치편(48b, …)이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5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전자차폐용의 몸체의 일부를 전자부품의 스위칭을 실시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겸용할 수 있어 전자기기의 디자인면에서 스페이스절약화를 꾀할 수 있다.
제 16 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 13 항에 기재한 전자기기이고, 상기 전자부품(예를 들면 아날로그기판(28) 또는 아날로그기판(54), 디지탈기판(43))은 회로기판(아날로그기판(54))상에 설치되고, 상기 기기케이스(309)(상부케이스(3), 하부케이스(4))에는 상기 몸체(실드체(52)와 실드체(47)로 이루어진다)와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기기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판(하우징(55))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와 상기 고정용 판의 사이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몸체에는 훅 (52a, …)이, 상기 회로기판에는 해당 훅을 통과시키는 구멍부(54a, …)가, 상기 고정용 판에는 오목부(55a, …)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훅은 상기 구멍부를 통하여 상기 오목부에 납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6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몸체에 설치된 훅이 회로기판에 설치된 구멍부를 통하여 고정용 판에 설치된 오목부에 납땜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몸체와 회로기판을 고정용 판을 통하여 기기케이스에 일체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몸체와 회로기판을 동일 전위로 할 수 있어 전자차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7 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 16 항에 기재한 전자기기이고, 상기 고정용 판(하우징(55))의 둘레부에는 해당 고정용 판에 대하여 상기 회로기판(아날로그기판(54))을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55b,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7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고정용 판의 둘레부에 형성된 위치결정부에 의해 회로기판을 해당 고정용 판에 대하여 위치결정함으로써 해당 회로기판이 고정용 판에 대하여 어긋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고정용 판과 회로기판의 일체화를 보다 적합하게 얻을 수 있다.
제 18 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 16 항에 기재한 전자기기이고, 상기 회로기판(디지털기판(43))과 접합되는 접합부(240)를 갖고, 해당 접합부를 해당 회로기판에 접합함으로써 해당 회로기판을 다른 전자부품(예를 들면 LCD(11))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가요성의 히트시일(12)을 구비하고,
상기 회로기판(43)은 열을 이루어 형성된 복수의 패턴전극의 단자(232, …)와, 이들 단자의 주위에 형성된 피접착면(233, …)을 갖고, 상기 접합부와 접합되는 단자부(260, …)를 구비하는 한쪽이고,
상기 히트시일(12)의 상기 접합부(240)는 상기 각 단자에 대응하여 열을 이루도록 형성된 해당 각 단자와 동수(同數)의 도체층(242, …)과, 이들 도체층의 주위에 설치되고 상기 단자부에 대하여 해당 접합부를 눌러내림으로써 상기 피접착면에 접착되고 이에 따라 해당 접합부와 상기 단자부를 접합하는 동시에 상기 각 도체층과 상기 각 패턴전극의 단자를 도통시키기 위한 접착층(243)을 갖고 있고,
상기 피접착면으로부터 상기 패턴전극의 단자의 상면까지의 높이가 15㎛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히트시일(12)은 예를 들면 상기 회로기판과 LCD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피접착면으로부터 패턴전극의 단자의 상면까지의 높이는 1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히다.
또 피접착면으로부터 패턴전극의 단자의 상면까지의 높이를 작게 설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회로기판본체에 형성된 패턴전극의 주위에 패턴전극의 단자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 피접착층을 형성하고 이 피접착층의 상면을 피접착면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피접착층은 예를 들면 회로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영구도금레지스트층인 것을 들 수 있다.
제 18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피접착면으로부터 패턴전극의 단자의 상면까지의 높이가 15㎛ 이하로 낮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패턴전극의 단자끼리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 있어서도 접착층과 피접착층면의 충분한 접착부분을 확보할 수 있어 도체층과 패턴전극의 단자를 확실히 도통시킬 수 있다.
제 19 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 13 항에 기재한 전자기기이고, 상기 한쌍의 반몸체 중의 한쪽의 반몸체(실드체(18))의 외측에는 안테나(23)가 설치되고, 해당 안테나와 상기 전자부품(예를 들면 아날로그기판(28) 또는 아날로그기판(54), 디지털기판(43))은 상기 몸체에 의해 서로 전자차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9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한쌍의 반몸체 중의 한쪽의 반몸체의 외측에는 안테나가 설치되고, 해당 안테나와 전자차폐용의 몸체내의 전자부품은 해당 몸체에 의해 서로 전자차폐되어 있으므로, 전자부품에 전자적인 노이즈를 발생하는 전자부품이 포함되어 있다고 해도 안테나가 수신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0 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 19 항에 기재한 전자기기이고, 상기 안테나 (23)는 GPS위성으로부터의 신호의 수신을 실시하는 GPS수신용 안테나이고, 상기 전자부품(예를 들면 아날로그기판(28) 또는 아날로그기판(54), 디지털기판(43))은 이 GPS수신용 안테나에 의해 수신한 수신신호를 신호처리하는 GPS수신용의 수신회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20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GPS수신용 안테나인 안테나에 의해 GPS위성으로부터의 신호의 수신을 실시하고, 이 GPS수신용 안테나에 의해 수신한 수신신호를 GPS수신용의 수신회로부인 전자부품에 의해 신호처리할 수 있어 전자기기에 GPS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제 21 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 20 항에 기재한 전자기기이고,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기기케이스(309, 401, 411, 421, 431, 441, 609)의 바깥쪽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부위에 부착되고, 해당 전자기기를 손목에 장착하기 위한 한쌍의 밴드(310, 311)와,
상기 기기케이스의 표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신회로부에 의한 상기 신호처리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320)와,
상기 기기케이스의 둘레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기기의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조작부(331, 336)와,
전원이 되는 전지(344, 434, 444)를 수용하는 전지수용부(340, 432, 442)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21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전자기기는 밴드를 구비한 리스트장치이므로 밴드에 의해 손목에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 기기케이스의 표측에 설치된 표시부에 의해, 수신회로부에 의한 신호처리에 의해 생성된, 예를 들면 측위데이터 (현재위치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기케이스의 둘레부에 설치된 조작부에 의해 각종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전원이 되는 전지를 수용하는 전지수용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휴대시의 사용에 적합해 있다.
제 22 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 21 항에 기재한 전자기기이고,
상기 GPS수신용 안테나(23)는 상기 표시부(320)의 후부 이외의 어느 쪽인가의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331, 336)는 상기 기기케이스의 오른쪽 가장자리부와, 상기 표시부의 후부와, 상기 GPS수신용 안테나의 후부 중 적어도 어느 쪽인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제 22 항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GPS수신용 안테나와 조작부의 위치관계에는 크게 나누어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몇 개인가의 바리에이션이 있다.
① GPS수신용 안테나는 표시부의 좌측에 설치되고, 조작부는 기기케이스의 오른쪽 가장자리부와, 표시부의 후부와, GPS수신용 안테나의 후부 중 적어도 어느 쪽인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② GPS수신용 안테나는 표시부의 우측에 설치되고, 조작부는 기기케이스의 오른쪽 가장자리부와, 표시부의 후부와, GPS수신용 안테나의 후부 중 적어도 어느 쪽인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③ GPS수신용 안테나는 표시부의 전부에 설치되고, 조작부는 기기케이스의 오른쪽 가장자리부와, 표시부의 후부와, GPS수신용 안테나의 후부 중 적어도 어느 쪽인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 22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①의 경우 GPS수신용 안테나는 표시부의 좌측에 설치되고, 조작부는 기기케이스의 오른쪽 가장자리부와, 표시부의 후부와, GPS수신용 안테나의 후부 중 적어도 어느 쪽인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왼쪽손목에 리스트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조작부의 조작을 실시했을 때에 GPS수신용 안테나를 손으로 숨겨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표시부의 표시를 시계로부터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GPS수신용 안테나에 의해 수신을 실시하면서 적합하게 조작부의 조작을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표시부의 표시를 확인하면서 조작부의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 ②의 경우 GPS수신용 안테나는 표시부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왼쪽손목에 리스트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양복의 소매 등에 의해 리스트장치의 일부가 덮여 버린 경우에도 양복의 소매 등에 의해 GPS수신용 안테나가 덮여 버릴 가능성이 적다. 따라서 GPS수신용 안테나에 의한 수신이 적합하게 실시된다.
또한 GPS수신용 안테나는 표시부의 우측에 설치되고, 조작부는 기기케이스의 오른쪽 가장자리부와, 표시부의 후부와, GPS수신용 안테나의 후부 중 적어도 어느 쪽인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왼쪽손목에 리스트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조작부의 조작을 실시해도 안테나를 손으로 숨겨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③의 경우 GPS수신용 안테나는 표시부의 전부에 설치되고, 조작부는 기기케이스의 오른쪽 가장자리부와, 표시부의 후부와, GPS수신용 안테나의 후부 중 적어도 어느 쪽인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왼쪽손목에 리스트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조작부의 조작을 실시해도 안테나를 손으로 숨겨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3 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 22 항에 기재한 전자기기이고,
상기 GPS수신용 안테나(23)와, 상기 표시부(320)와 상기 전지수용부(340) 중 어느 쪽인가 2개가 좌우로 나열되고, 나머지의 1개는 좌우에 나열된 2개 중 어느 쪽인가의 앞에 위치하며,
상기 전지수용부는 상기 기기케이스(309, 421, 609)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23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GPS수신용 안테나와, 표시부와, 전지수용부 중 어느 쪽인가 2개가 좌우에 나열되고, 이들 2개 중 어느 쪽인가의 앞에 다른 1개가 위치하며, 전지수용부는 기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GPS수신용 안테나와, 표시부와, 전지수용부의 3개가 직선상으로 나열되어서 기기케이스에 설치되는 일이 없어 치수가 한방향으로 커지는 일이 없다.
또 특히 GPS수신용 안테나와 표시부가 좌우로 나열되는 경우에는 전지수용부는 이들 GPS수신용 안테나와 표시부보다도 전부에 있어서 기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GPS수신용 안테나와 표시부가 전후에 나열되는 경우에는 전지수용부는 이들 GPS수신용 안테나와 표시부보다 좌측 또는 우측에 있어서 기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지수용부의 설치스페이스와 GPS수신용 안테나나 표시부의 설치스페이스가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큰 치수이고 용량이 큰 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 특히 GPS수신용 안테나와 표시부가 전후에 나열되는 경우에 전지수용부를 GPS수신용 안테나와 표시부의 좌측에 설치하고, 또한 밴드를 GPS수신용 안테나 및 표시부를 끼워서 대향하는 부위에 부착했다고 하면 밴드에 의해 왼쪽손목에 리스트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전지수용부가 밴드보다 왼손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왼쪽손목을 구부려도 손등에 전지수용부의 돌출부분이 닿는 일이 없다. 따라서 리스트장치를 쾌적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리스트장치 또는 전자기기의 한 예로서의 GPS손목시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GPS손목시계의 우측면도.
도 3은 GPS손목시계의 본체의 좌측면도.
도 4는 밴드를 버클에 의해 체결한 상태의 GPS손목시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GPS손목시계를 전부에서 본 정면도.
도 6은 GPS손목시계를 후부에서 본 정면도.
도 7은 GPS손목시계의 기기케이스를 이면측에서 본 평면도.
도 8은 GPS손목시계의 기기케이스의 내부에 내부기기류를 설치한 상태에서 기기케이스를 이측에서 본 평면도.
도 9는 GPS손목시계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GPS손목시계의 내부기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11은 실드체에 아날로그기판 등을 맞붙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전지수용부의 긴 쪽 방향을 따른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A부확대도.
도 14는 도 13의 Ⅱ-Ⅱ단면도.
도 15는 전지와 전지에 덮이는 도전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도전부재가 덮인 상태의 전지와 덮개와 전극부재와 전극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도전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히트시일에 의해 LCD와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a 및 도 18b는 도 17의 단면도이고, 도 18a는 히트시일을 회로기판에 열압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8b는 열압착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를 나타내고, GPS손목시계의 표시부, 안테나부, 밴드, 전지수용부, 조작부의 레이아웃을 설명하기 위한 GPS손목시계의 개략도이며, 이 중 도 19a는 평면도, 도 19b는 우측면도.
도 20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의 GPS손목시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0b는 측면도.
도 21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변형예의 GPS손목시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1b는 측면도.
도 22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3 변형예의 GPS손목시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2b는 측면도.
도 23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4 변형예의 GPS손목시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3b는 측면도.
도 2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5 변형예의 GPS손목시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4b는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를 나타내는 GPS손목시계의 분해사시도.
도 26은 도 GPS시계의 내부기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GPS수신안테나의 부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은 실드체에 아날로그기판 등을 맞붙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9는 아날로그기판을 하우징에 맞붙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0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예의 GPS손목시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0b는 측면도.
도 31은 GPS손목시계의 본체의 전후방향을 따른 개략단면도.
도 32는 안테나의 완충체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3은 GPS손목시계의 GPS측위처리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예의 전체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기기케이스(상부케이스) 4: 기기케이스(하부케이스)
18, 47, 52: 반몸체(실드체) 18k, 47k: 개구부
19, 48: 포위틀 23: 안테나(GPS수신용 안테나)
28, 54: 전자부품(아날로그기판)
34: 전자차폐용 칸막이부재(실드체) 43: 전자부품(디지털기판)
48b: 스위치편 52a: 훅
54a: 구멍부 55: 고정용 판(하우징)
55a: 오목부 55b: 위치결정부
100: 몸체 12: 히트시일
232: 단자 233: 피접착면
260: 단자부 240: 접합부
242: 도체층 243: 접착층
300: GPS손목시계 303: 부착부위(피부착부)
304: 부착부위(피부착부) 305: 장치본체
309: 기기케이스(상부케이스(301)와 안쪽덮개(302)로 구성된다)
310: 밴드 311: 밴드
320: 표시부 331: 조작부
336: 조작부 340: 전지수용부
344: 전지 350: 안테나부(데이터수신부)
400: GPS손목시계 401: 기기케이스
405: 본체(장치본체) 410: GPS손목시계
411: 기기케이스 415: 본체(장치본체)
420: GPS손목시계 421: 기기케이스
425: 본체(장치본체) 430: GPS손목시계
431: 기기케이스 432: 전지수용부
434: 전지 435: 본체(장치본체)
436: 밴드 440: GPS손목시계
441: 기기케이스 442: 전지수용부
444: 전지 445: 본체(장치본체)
500: 도전부재(통형도전부재) 501: 맞닿음부(제 1 단자부)
503: 전원꺼냄부(측벽) 511: 맞닿음부(제 2 단자부)
341: 덮개부재(덮개) 520: 전극부재
521: 삽입부 522: 맞닿음부
530: 피삽입부 600: GPS손목시계
605: 본체(장치본체) 609: 기기케이스
613: 경사스위치 650: 발광패널(발광부)
820: CPU
〈제 1 실시형태예〉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1 실시형태예를 도 1부터 도 1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리스트장치 또는 전자기기의 한 예로서의 GPS손목시계(300)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GPS손목시계(300)의 우측면도, 도 3은 GPS손목시계(300)의 장치본체(305)의 좌측면도, 도 4는 밴드(310, 311)를 버클(312)에 의해 체결한 상태의 GPS손목시계(30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GPS손목시계 (300)를 전부에서 본 정면도, 도 6은 GPS손목시계(300)를 후부에서 본 정면도, 도 7은 GPS손목시계(300)의 상부케이스(301)를 이면측에서 본 평면도, 도 8은 GPS손목시계(300)의 상부케이스(301)의 내부에 내부기기류(36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301)를 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또 도 9는 GPS손목시계(300)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GPS손목시계(300)의 내부기기류(360)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11은 실드체(18)에 아날로그기판 (28) 등을 맞붙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는 전지수용부(340)의 긴 쪽 방향을 따른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A부확대도, 도 14는 도 13의 Ⅱ-Ⅱ단면도이다. 도 15는 전지(344)와 전지(344)에 덮이는 도전부재(50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도전부재(500)가 덮인 상태의 전지(344)와 덮개(덮개부재)(341)와 전극부재(520)와 전극부재(520)가 삽입되는 삽입부(530)와 도전부재(5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히트시일(12)에 의해 LCD(액정표시장치)(11)와 디지털기판(회로기판) (43)을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a 및 도 18b는 도 17의 단면도이고, 도 18a는 히트시일을 회로기판에 열압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8b는 열압착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제 1 실시형태예의 GPS손목시계(300)는 밴드(310, 311)에 의해 홀딩되어 있는 장치본체(305)와, 이 장치본체(305)의 표측 중의 보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 표시부(320)와, 장치본체(305) 중 사용자와 대면하는 측의 앞위치에 설치된 조작부 (336)와, 조작부(336)와 반대측의 위치에 설치된 전지수용부(340)와, 표시부(320)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안테나부(데이터수신부)(350)를 구비하여 개략구성되어 있다.
우선 도 1에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PS손목시계(300)는 상부케이스 (301) 및 안쪽덮개(302)로 이루어지는 기기케이스(309)와, 기기케이스(309)의 바깥쪽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부위에 부착되고 해당 GPS손목시계(300)를 손목에 장착하기 위한 밴드(310, 311)와, 기기케이스(309)의 표측에 설치되며 수신회로부에 의한 신호처리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표시하고 표시창(321)을 통하여 시인 가능한 표시부(320)와, 기기케이스(309)의 둘레부에 설치되고 GPS손목시계 (300)의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조작부(331, 336)와, 기기케이스(309)내부에 GPS손목시계수신용 안테나(23)가 수용된 부위인 안테나부(350)와, 전원이 되는 원통형의 전지(344)를 수용하는 전지수용부(340)를 구비하여 개략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밴드(310, 311)를 제외한 부분에 의해 GPS손목시계(300)의 본체(장치본체)(305)가 구성되어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301)의 하단부의 이측에는 안쪽덮개(302)를 상부케이스(301)에 대하여 비스멈춤하기 위한 비스구멍(315)이 형성되어 있고, 조작부(336)의 바로 안쪽에는 후술하는 스위치버튼(335, …)의 눌러내림조작 /조작해제에 의해 이동/복귀하고 후에 상세히 서술하는 내부기기류(360)의 접점과 접촉/비접촉하는 접점(337, …)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시는 생략하지만 조작부 (331)의 바로 안쪽에는 후술하는 스위치버튼(330, …)의 눌러내림조작에 의해 눌러내림조작/조작해제에 의해 이동/복귀하여 내부기기류(360)의 접점과 접촉/비접촉하는 3개의 접점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상부케이스(301)의 내부에 내부기기류(36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301)의 이측에 안쪽덮개(302)를 설치하고 도시하지 않은 비스에 의해 안쪽덮개(302)를 상부케이스 (301)에 대하여 비스멈춤함으로써 기기케이스(309)에 의해 내부기기류(360)가 수용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스위치버튼(330, …, 335, …)의 이측의 상기 접점, 접점 (337, …)이 내부기기류(360)측의 접점과 대향한 상태로 되고, 스위치버튼(330, …, 335, …)의 눌러내림조작에 의해 상기 접점, 접점(337, …)이 내부기기류(360)측의 접점과 맞닿고, 예를 들면 표시부(320)의 표시전환 등의 각종 조작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밴드(310)는 상부케이스(301)의 전부에 형성된 밴드부착부(303)에 대하여 그 긴 쪽 방향이 전후방향을 따르도록 부착되어 있다. 한편 밴드(310, 311)를 체결하기 위한 버클(312)을 갖는 밴드(311)는 상부케이스(301)의 후부에 형성된 밴드부착부(304)에 대하여 그 긴 쪽 방향이 전후방향을 따르도록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버클(312)에 의해 밴드(310, 311)끼리를 체결하고 GPS손목시계(300)를 손목에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눈앞에서 표시부(320)측을 위를 향하여 밴드(310, 311)를 전후방향을 따른 상태로 하면 표시부(320)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표시부(320)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밴드부착부(303, 30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부케이스(301)에 설치되어 있다.
기기케이스(309)에는 표시부(320)의 좌측에 돌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가 내부에 GPS수신용 안테나(23)를 갖는 안테나부(350)로 되어 있다.
또 조작부(331)는 복수(예를 들면 3개)의 스위치버튼(330, …)을 구비하고 상부케이스(301)의 우측면에 표시부(320)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조작부 (336)는 복수(예를 들면 5개)의 스위치버튼(335)을 구비하고 상부케이스(301)의 표면에 있어서 표시부(320)의 후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지수용부(340)는 표시부(320)의 전부에 위치하도록 기기케이스(309)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전지수용부(340)의 내부에는 덮개(341)에 의해 탈락을 방지하며 전지(344)가 수용되어 있다. 이 전지수용부(340)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한 설명을 실시한다.
이상에 있어서 안테나부(350)부는 표시부(320)의 좌측에 설치되고 조작부 (331)는 기기케이스(309)의 오른쪽 가장자리부(우측면)에 조작부(336)는 표시부 (320)의 후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왼쪽손목에 GPS손목시계(300)를 장착한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조작부(331, 336)의 조작을 실시했을 때에 GPS수신용 안테나 (23)를 손으로 숨겨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표시부(320)의 표시를 오른손에 의하여 시계로부터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안테나부(350)가 표시부(320)의 좌측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밴드(310, 311)의 부착부위(밴드부착부(303, 304))는 표시부(320)를 끼워서 대향배치되어 있으므로, 밴드(310, 311)에 의해 왼쪽손목에 GPS손목시계(300)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GPS수신용 안테나(23)를 갖는 안테나부(350)가 밴드(310, 311)보다도 왼손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왼쪽손목을 구부려도 손등에 안테나부(350)의 돌출부분이 닿는 일이 없다.
또한 GPS수신안테나(23)를 갖는 안테나부(350)와 표시부(320)가 좌우로 나열되는 경우에 있어서 전지수용부(340)는 이들 GPS수신안테나(23)와 표시부(320)보다도 전부에 있어서(본 실시예의 경우 표시부(320)의 전부) 기기케이스(309)의 전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지수용부(340)의 설치스페이스와 GPS수신용 안테나(23)를 갖는 안테나부(350) 및 표시부(320)의 설치스페이스가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큰 치수이고 용량이 큰 전지(344)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기케이스(309) 중 전지수용부(340)가 위치하는 부분은 아래쪽으로 내려간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밴드부착부(303, 304)는 각각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기기케이스(309)는 전체로 전후방향을 따라 윗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GPS손목시계(300)를 밴드(310, 311)에 의해 손목에 장착했을 때에 GPS손목시계(300)와 손목의 착용감이 양호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원통형상의 대용량의 전지(344)를 구비한 전지수용부(340)의 경우 비교적 부피가 커지는 것으로 되어 버리지만 전지수용부(340)를 기기케이스(309)의 전부에 설치함으로써 GPS손목시계(300)와 손목의 착용감을 낳으면서 전지수용부 (340)를 기기케이스(309)내부에 넣을 수 있다.
다음으로 내부기기류(36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을 실시한다.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GPS손목시계(300)의 내부기기류(360)는 상부케이스(기기케이스)(301) 및 안쪽덮개(302)(기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 내부기기류(360)는 전자차폐용의 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부분과 해당 전자차폐용의 몸체(100)의 외부(상부)에 설치된 부분으로 크게 나누어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10 참조).
상기 전자차폐용의 몸체(100)는 각각 주변부에 기립한 포위틀(19, …, 48, …)을 갖고 일단측에 개구부(18k, 47k)를 갖는 상자형상의 전자차폐재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반몸체인 실드체(18) 및 실드체(47)를 개구부(18, 47k)측에 있어서 서로 대향시켜서 한쪽의 반몸체(실드체(18))의 포위틀(19, …)이 다른쪽의 반몸체(실드체(47))의 포위틀(48, …)의 내측에 들어가도록 끼워 넣어져서 구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이 전자차폐용의 몸체(100)에 의해 해당 몸체(100)의 내부와 외부가 서로 전자차폐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몸체(100)의 내부에는 전자차폐용 칸막이부재(실드체(34))가 배치된 것으로, 해당 몸체(100)의 내부가 서로 전자차폐된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으로 칸막이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몸체(100)의 내부 중 실드체(34)에 의하여 칸막이된 몸체(100)내의 상측 부분에는 아날로그기판(전자부품)(28) 등이 설치되고, 하측부분에는 디지털기판(전자부품)(43)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아날로그기판(28) 및 디지털기판(43)은 후술하는 GPS수신안테나(23)에 의해 수신한 신호의 신호처리를 실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아날로그기판(28)은 전자적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운 것이고 한편 디지털기판(43)은 고주파디지털노이즈의 발생원으로 되는 것인데, 아날로그기판(28)과 디지털기판(43)은 실드체(34)에 의해 서로 전자차폐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아날로그기판(28)이 디지털기판(43)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또 아날로그기판(28)과 디지털기판(43)은 둘다 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몸체(100)의 외부로부터의 외래노이즈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몸체(100)의 외측 상면, 즉 상기 실드체(18)의 외측 상면에는 GPS위성으로부터의 신호의 수신을 실시하는 GPS수신용 안테나(23)가 양면도전테이프(2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GPS수신용 안테나(23)의 하부에 형성된 급전핀 (23a)이 아날로그기판(28)의 급전점(28b)에 끼워 넣어져 납땜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아날로그기판(28)과 GPS수신용 안테나(23)는 동일 전위로 되어 있다. 또 이 GPS수신용 안테나(28)는 몸체(100)의 외부에 있고 디지털기판(43)은 몸체 (100)의 내부에 있기 때문에, 전자적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운 GPS수신용 안테나 (23)가 고주파디지털노이즈의 발생원인 디지털기판(43)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또 실드체(18)의 외측 상면에는 LCD(액정표시장치)(11)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LCD(11)에 표시되는 정보는 GPS수신안테나(23)에 의해 수신한 신호의 신호처리를 아날로그기판(28) 및 디지털기판(43)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생성된 현재위치정보나 시각정보 및 그 외의 정보이다.
GPS손목시계(300)의 내부기기류(360)의 각 구성요소는 이하와 같이 맞붙어 있다.
우선 실드체(47)의 저부의 소정 위치에 코일스프링(46, …)을 배치한 후 하우징(44)을 실드체(47)의 저부에 배치한다. 이 하우징(44)의 상부에 디지털기판 (43)을 재치한 후 디지털기판(43)의 구멍부(43a, …)에 코일스프링(40, …)을 배치하고 또한 하우징(37)을 디지털기판(43)의 상부에 배치하며 하우징(37)과 하우징 (44)에서 디지털기판(43)을 상하로부터 끼워 넣어서 하우징(37)과 하우징(44)에서 디지털기판(43)을 수납한다. 또한 코일스프링(40, …)이 실드체(34)의 구멍부 (34b, …)를 관통하도록 실드체(34)를 배치한다. 이와 같이 몸체(100)의 하측 부분, 즉 실드체(34)와 실드체(47)에 끼워진 부분에는 하우징(37, 44)을 통하여 디지털기판(43)이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하우징(31)의 구멍부(31a)를 코일스프링(40, …)이 관통하도록 하우징(31)을 실드체(34)의 상면에 재치하고 하우징(31)의 상부에 아날로그기판(28)을 재치한다. 또한 아날로그기판(28)의 상면에 절연시트(25)를 재치한다. 이 상태에서 실드체(18)의 포위틀(19)이 실드체(47)의 포위틀(48)의 내측에 들어가도록 끼워 넣고 실드체(18)를 실드체(47)에 맞붙인다. 이와 같이 몸체(100)의 상측 부분, 즉 실드체(18)와 실드체(34)에 끼워진 부분에는 하우징(31), 절연시트(25)를 통하여 아날로그기판(28)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실드체(18), 실드체(34) 및 실드체(47)는 각각 도전성을 갖는 금속제이다. 실드체(34)의 포위틀(35)에는 노치(notch)가 설치되고 이들 노치의 내부에 실드체(18)에 대한 접점(35a, …)이 탄성변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접점(35a, …)을 외측으로 접고 접점(35a, …)을 실드체(18)에 접촉시킴으로써 실드체(18)와 실드체(34)가 동일 전위로 되어 있다.
또 똑같이 실드체(47)의 포위틀(48)에도 노치가 설치되고 이들 노치의 내부에 실드체(18)에 대한 접점(48a, …)이 탄성변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접점(48a, …)을 내측에 접어 넣고 접점(48a, …)을 실드체(18)에 접촉시킴으로써 실드체(18)와 실드체(47)(실드체(34)와)가 동일 전위로 되어 있다.
따라서 디지털기판(43)은 실드체(47)와 실드체(34)로 대략 주위 전체방향을 포위하여 외부와 전자차페된 상태로 되고, 아날로그기판(28)은 실드체(18)와 실드체(34)로 대략 주위 전체방향을 포위하여 외부와 전자차폐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몸체(100)의 상부, 즉 실드체(19)의 상부에는 하우징(16)이 부착되어 있다. 이 하우징(16)의 내부에는 실드체(14), LCD(11)의 백라이트로서 이용되는 EL소자(13) 및 상기 LCD(11)가 각각 위치결정·수납되어 있다. 또 LCD(11)의 일단에는 LCD(11)에 전기적 접속을 주는 히트시일(12)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하우징(16), 실드체(18)에는 접점고무(17, …)를 끼워 통하기 위한 끼워통함구멍(16a, …, 18a, …)이 각각 설치되고, 절연시트(25)에는 절연시트(25)가 접점고무(17, …)의 방해가 되지 않는 노치부(25a, …)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끼워통함구멍(16a, …, 18a, …), 노치부(25a, …)에 대응하여 접점고무(17, …)가 설치되어 있다. 접점고무(17, …)는 내부에 도전입자가 흩어져 끼워진 것이고 눌러내리는 것으로 도전상태로 되는 것이다. 또 아날로그기판(28)에는 끼워통함구멍 (16a, …)에 대응한 위치에 각각 한쌍의 접점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301)에는 스위치버튼(335, …)이 설치되고 사용자가 이들 스위치버튼(335, …)을 눌러내리는 것으로, 접점고무(17, …)를 눌러내려서 아날로그기판(28)에 설치된 접점간을 도통상태로 하고 각종 조작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드체(47)의 포위틀(48)에는 다른 노치가 설치되고 이들 노치의 내부에 스위치편(48b, …)이 탄성변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아날로그기판(28)에는 스위치전극(28a, …)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스위치전극(28a, …)이 실드체(18)에 설치된 슬릿부(18b, …)가 돌출해 있다.
또 상부케이스(301)에는 스위치버튼(331, …)이 설치되고 사용자가 이들 스위치버튼(331, …)을 눌러내리는 것으로, 스위치편(48b, …)이 스위치전극(28a, …)에 맞닿고 각종 조작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스위치편(48b, …)의 선단부는 각각 내측에 접어 넣은 형상으로 되어 있고, 스위치전극(28a, …)은 각각 궁형으로 깊이 베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어 이들 스위치편(48b, …)의 선단부의 스위치전극(28a, …)에 대한 맞닿음이 적합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전지수용부(34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을 실시한다.
우선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344)는 통형형상을 갖고 있고 그 양 단면측에 +단자부(345), -단자부(346)를 각각 갖고 있다.
그리고 도전부재(500)는 도 15에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성의 재질에 의해 대략 원통형상의 반몸체상으로 형성된 것이고, 전지(344)의 한쪽의 단자부(예를 들면 +단자부(345))에 맞닿는 맞닿음부(제 1 단자부)(501)와, 이 맞닿음부(501)와 도통되는 동시에 전지(344)의 측면의 옆에 위치하는 전원꺼냄부, 즉 도전부재(500)의 측벽(503)을 갖는 것이다.
맞닿음부(501)는 단부(502, 502)를 통하여 측벽(503)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503)의 단부보다도 상기 원통형상의 단면측에 돌출해 있다.
이와 같은 도전부재(500)를 맞닿음부(502)의 내면측이 전지(344)의 단자부 (345)에 맞닿도록 해당 도전부재(500)를 전지(344)에 덮으면 측벽(503)에 의해 전지(344)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가 덮인 상태로 된다(본 실시예의 경우 전지(344)의 주위를 대략 덮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도전성의 도전부재(500)에 의해 전지(344)의 한쪽의 단자부(345)를 전지(344)의 측면의 옆까지 끌고 다닌 상태로 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301)의 전지수용부(340)의 전지수용실(349)의 근처에는 납땜에 의해 전지(344)에 의한 전원의 공급처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슬릿부(피삽입부)(53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부재(520)는 도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단측의 맞닿음부 (522)와, 타단측의 삽입부(521)와, 삽입부(521)로부터 맞닿음부(522)에 이르는 중간부의 휨부(524)와, 스토퍼(523)를 갖고 있다.
이 중 맞닿음부(522)는 도전부재(500)의 측벽(503)에 맞닿는 것이고, 삽입부 (521)는 슬릿부(530)에 삽입되는 것이다. 또 휨부(524)는 탄성변형·복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523)는 슬릿부(530)에 삽입부(521)를 삽입했을 때의 스토퍼로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극부재(520)의 삽입부(521)를 스토퍼(523)가 상부케이스(301) 중 슬릿부(530)의 주위의 부분에 맞닿기까지 슬릿부(530)에 삽입함으로써 전극부재 (520)의 맞닿음부(522)로부터 상기 공급처까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전지수용실(349)의 내부에 전지(344) 및 도전부재(500)를 삽입했을 때에 도전부재(500)의 측벽(503)에 맞닿음부(522)가 맞닿을 수 있도록 이 상태에서는 맞닿음부(522)는 전지수용실(349)의 내부에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다.
도전부재(510)는 그 일단측에는 선단부가 전지(344)의 -단자부(346)에 맞닿는 맞닿음부(제 2 단자부)(511)로 되어 있는 코일스프링을 갖고, 타단측에는 전원꺼냄부(512)가 형성된 것이다. 이 도전부재(510)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511)가 전지수용실(349)의 -단자측에 위치하는 한쪽이고 전원꺼냄부 (512)가 전지수용실(349)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상부케이스(301)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전원꺼냄부(512)는 납땜에 의해 상기 공급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전지수용부(340)의 전지수용실(349)의 내부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부재(500)의 맞닿음부(502)의 내면측이 전지(344)의 단자부(345)에 맞닿도록 하고, 해당 도전부재(500)를 덮은 상태의 전지(344)를 해당 전지(344)의 -단자(346)측으로부터 삽입한다. 또한 덮개(341)의 누름부(342)에 의해 도전부재(500)의 맞닿음부(502)를 통하여 전지(344)를 도전부재(510)의 맞닿음부(511)에 대하여 꽉 누르면서 덮개(341)를 상부케이스(301)의 나사구멍(301a)에 대하여 나사식으로 들어간다. 이에 따라 전지(344)의 -단자부(346)가 도전부재(510)의 맞닿음부(511)에 맞닿는 한쪽이고 도전부재(500)의 맞닿음부(501)의 이면이 전지(344)의 +단자부(345)에 맞닿는 동시에 전지(344)가 도전부재(500)에 의해 절반 덮인 상태에서 전지(344) 및 도전부재(500)가 전지수용실(349)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도전부재(500)의 측벽(503)이 도전부재(520)의 맞닿음부(522)에 맞닿고 이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전지(344)의 +단자부(345)는 도전부재(500) 및 전극부재(520)를 통하여 전원의 공급처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된다.
한편 전지(344)의 -단자(346)는 도전부재(510)의 맞닿음부(5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해당 도전부재(510)를 통하여 전원의 공급처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된다.
또한 2개의 O링(550, 550)에 의해 덮개(341)와 상부케이스(301)의 확실한 기밀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히트시일(12)과 디지털기판(43)의 접속장소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지털기판(43)의 가장자리부에는 열을 이루어 형성된 다수의 패턴전극의 단자(232, …)(도 18 참조)를 갖는 단자부(260)가 구비되어 있다.
또 히트시일(12)은 그 일단측에 디지털기판(43)의 단자부(260)와 접합되는 접합부(240)를 구비하고, 이 접합부(240)에 있어서는 히트시일(12)의 베이스필름(241)의 하면에 각 단자(232, …)와 동수의 도체층(242, …)이 각 단자(232, …)에 대응하여 열을 이루어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도체층(242)에는 금속필러(filler)가 포함되어 있다. 또 이들 도체층(242, …)은 각각 LCD(11)측의 접합부(210)로 연장되어 있으며, 각각 LCD(11)의 패턴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들 도체층(242, …)의 주위에는 이들 도체층(242, …)의 간격을 메우도록 접착층(24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접착층(243)은 도체층(242, …)의 하면측도 약간 덮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접착층(243)은 가열을 실시하면서 접합부(240)를 단자부(260)에 대하여 눌러내림으로써, 후술하는 영구도금레지스트층(250, …)의 상면, 즉 피접착면(233, …)에 접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디지털기판(43)의 단자부(260)의 단자(232, …)의 간격에는 이들 단자(232, …)보다 높이가 작은 영구도금레지스트층(250,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영구도금레지스트층(250, …)의 상면이 접착층(243)이 접착되는 피접착면(233, …)이다. 여기에서 이들 영구도금레지스트층(250, …)의 상면으로부터 단자(232, …)의 상면까지의 높이는 10㎛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히트시일(12)의 접합부(240)를 디지털기판(43)의 단자부(260)에 대하여 접합하는 데에는 각 단자(232, …)와 각 도체층(242)이 서로 마주 보도록 위치결정하고 가열을 실시하면서 접합부(240)를 단자부(260)에 대하여 눌러내린다. 그러면 도체층(242)에 포함되는 금속필러가 해당 도체층(242, …)의 하면을 약간 덮는 접착층(243)을 뚫고 각 도체층(242, …)과 각 단자(232, …)이 도통한다. 또 동시에 접착층(243) 중 각 도체층(242, …)의 간격에 위치하는 부분은 각각 베이스필름(243)과 함께 약간 침하해서 이들의 부분이 각각 피접착면(233, …)에 접착된다.
이에 따라 각 도체층(242, …)과 각 단자(232, …)가 도통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영구도금레지스트층(250, …)을 형성함으로써 피접착면(233, …)의 상면으로부터 단자(232, …)의 상면까지의 높이는 10㎛ 정도로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접착층(243) 중 각 도체층(242, …)의 간격에 위치하는 부분 및 이들의 부분에 대응하는 베이스필름(243)의 침하는 극히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232, …)의 간격이 같아도 영구도금레지스트층(250, …)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접착층(243)과 피접착면(233, …)의 접착부분을 넓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영구도금레지스트층(250, …)이 없는 경우, 즉 환언하면 피접착면으로부터 단자(…, 232, …)의 상면까지의 높이가 큰 경우에 비하여 이들 접착층(243)과 피접착면 (233, …)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어 히트시일(12)의 접합부(240)와 디지털기판(43)의 단자부(260)를 확실히 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히트시일(12)의 접합부(240)를 폭좁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 1 실시형태예에 의하면 GPS손목시계(300)는 해당 GPS손목시계(300)를 손목에 장착하기 위한 밴드(310, 311)를 구비한 리스트장치이므로 밴드 (310, 311)에 의해 손목에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 기기케이스(309)의 표측에 설치된 표시부(320)에 의해 수신회로부에 의한 신호처리에 의해 생성된, 예를 들면 측위데이터(현재위치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기케이스(309)의 주위에 설치된 조작부(331, 336)에 의해 각종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전원이 되는 전지를 수용하는 전지수용부(34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휴대시의 사용에 적합해 있다.
또한 GPS수신용 안테나(23)를 갖는 안테나부(350)는 표시부(320)의 좌측에 설치되고 조작부(331)는 기기케이스의 오른쪽 가장자리부에, 조작부(336)는 표시부 (320)의 후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왼쪽손목에 GPS손목시계(300)를 장착한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조작부(331, 336)의 조작을 실시했을 때에 GPS수신용 안테나(23)를 손으로 숨겨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표시부(320)의 표시를 시계로부터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있다. 따라서 GPS수신용 안테나(23)에 의해 수신을 실시하면서 적합하게 조작부(331, 336)의 조작을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표시부(320)의 표시를 확인하면서 조작부(331, 336)의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안테나부(350)가 표시부(320)의 좌측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밴드(310, 311)의 부착부위, 즉 밴드부착부(303, 304)는 표시부(320)를 끼워서 대향배치되어 있으므로, 밴드(310, 311)에 의해 GPS손목시계(300)를 왼쪽손목에 장착한 상태에서 왼쪽손목을 구부려도 왼손의 등에 GPS수신용 안테나(23)를 갖는 안테나부(350)의 돌출부분이 닿는 일이 없다. 따라서 GPS손목시계(300)를 쾌적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전지수용부(340)는 표시부(320)보다도 전부에 있어서 기기케이스(309)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지수용부(340)의 설치스페이스와 GPS수신용 안테나(23)를 갖는 안테나부(350)나 표시부(320)의 설치스페이스가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큰 치수이고 용량이 큰 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덧붙여서 기기케이스(309)는 전체로서 전후방향을 따라 윗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GPS손목시계(300)를 밴드(310, 311)에 의해 손목에 장착했을 때에 GPS손목시계(300)와 손목의 착용감이 양호하게 되도록 되어 다.
또 실드체(18)와 실드체(47)로 이루어지는 전자차폐용의 몸체(100)의 내부에 전자차폐용 칸막이부재(실드체(34))를 사이에 두고 아날로그기판(28)과 디지털기판 (43)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아날로그기판(28)이 디지털기판(43)에 의한 전자적 노이즈의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아날로그기판(28) 및 디지털기판 (43)이 둘다 몸체(100)의 외부로부터의 외래노이즈의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몸체(100)의 외부에 설치된 GPS수신용 안테나(23)가 디지털기판 (43)에 의한 전자적 노이즈의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몸체(100)는 한쌍의 반몸체(실드체(18)와 실드체(47))를 서로 대향시켜서 한쪽의 반몸체(실드체(18))의 포위틀(19, …)이 다른쪽의 반몸체(실드체(47))의 포위틀(48j, …)의 내측에 들어가도록 끼워 넣어져서 구성되는 한쪽이고, 아날로그기판(28)은 상기 한쪽의 반몸체(실드체(18))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른쪽의 반몸체(실드체(47))의 포위틀(48, …)에는 아날로그기판(28)의 스위칭을 실시하기 위한 스위치편(48b, …)이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자차폐용의 몸체의 일부를 아날로그기판(28)의 스위칭을 실시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겸용할 수 있어 GPS손목시계(300)의 디자인면에서 스페이스절약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전지(344)의 한쪽의 단자부(예를 들면 +단자부(345))에 맞닿는 맞닿음부(501)와, 이 맞닿음부(501)와 도통되는 동시에 전지의 측면의 옆에 위치하는 전원꺼냄부(503)를 갖는 도전부재(50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지(344)의 한쪽의 단자부(345)를 전지(344)의 측면의 옆까지 끌고 다닐 수 있어 전기배선 등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 이 도전부재(500)를 반몸체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반몸체형상의 단면의 이면을 맞닿음부(501)로 하며 해당 반몸체형상의 측벽(503)이 전원꺼냄부이므로, 반몸체형상의 측벽(503) 중 어느 위치로부터도 전지의 전원을 꺼낼 수 있어 전지 (344)를 전지수용실(349)에 수용하는 작업이 쉬워진다.
또한 전극부재(520)의 삽입부(521)를 피삽입부(예를 들면 슬릿부(530))에 삽입고정했으므로, 전지(344)측으로부터의 충격이나 외부충격에 의해서도 삽입부 (521)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해서 전극부재(520)를 통하여 이들의 진동이 GPS손목시계(300)의 내부기기로 전달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납땜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서 디지털기판(43)의 피접착면(233, …)으로부터 패턴전극의 단자(232, …)의 상면까지의 높이가 15㎛ 이하(예를 들면 10㎛ 정도)로 낮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패턴전극의 단자(232, …)끼리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 있어서도 접착층(243)과 단자부(260)의 피접착면(233, …)의 충분한 접착부분을 확보할 수 있어 도체층(242, …)과 패턴전극의 단자(232, …)를 확실히 도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히트시일(12)의 디지털기판(43)의 접속측을 폭넓게 설정할 필요가 없고,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히트시일(12)과 디지털기판(43)의 접합부(240)를 히트시일(12)과 LCD(11)의 접합부(210)와 똑같은 작은 폭으로 설정할 수 있다.
피접착면(233, …)으로부터 패턴전극의 단자(232, …)의 상면까지의 높이는 15㎛ 이하이면 충분하지만 1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예에서는 리스트장치의 한 예로서 GPS손목시계(300)를 예시했는데, 리스트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단순히 GPS기능만을 갖는 것 등, GPS손목시계 이외의 것이어도 좋다.
또 실드체(34)에 의해 전자차폐용의 몸체(100)를 칸막이하여 해당 몸체(100)의 내부의 상측부분과 하측부분을 서로 전자차폐하고, 이 상측부분에 아날로그기판 (28)을, 하측부분에 디지털기판(43)을 배치한 구성으로 했는데, 실드체(34)를 이용하지 않고 아날로그기판(28)을 전자차폐용의 몸체의 외부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반몸체형상의 도전부재(503)를 1개만 이용하는 것으로 했는데, 전지 (344)의 양 단자부(345, 346)에 각각 대응하여 두 개의 반몸체형상의 도전부재를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도전부재(503)끼리가 접촉하지 않도록 도시예의 도전부재(503)보다 양 단면간의 치수가 작은 것을 이용하면 좋다.
또한 피삽입부로서 슬릿부(530)를 예시했는데, 피삽입부는 홈부이어도 좋다. 이 피삽입부에 삽입되는 전극부재의 일단의 형상은 피삽입부의 형상에 대응한 것이면 좋다.
〈제 2 실시형태예〉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2 실시형태예를 도 19a로부터 도 2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예의 GPS손목시계(300)의 개략도이며, 도 19a는 평면도, 도 19b는 측면도이다.
또 도 20a∼도 2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예에 있어서의 각각 제 1 로부터 제 5 변형예의 GPS손목시계(400, 410, 420, 430, 44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0a, 도 21a, 도 22a, 도 23a 및 도 24a는 평면도, 도 20b, 도 21b, 도 22b, 도 23b 및 도 24b는 측면도이다.
이 제 2 실시의 각 형태예의 GPS손목시계(400, 410, 420, 430, 440)의 각 구성요소 중 상기 제 1 실시형태예의 GPS손목시계(300)의 각 구성요소와 똑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2 실시형태예의 GPS손목시계(400, 410, 420, 430, 440) 중 GPS손목시계(400, 410, 420)는 그 표시부(320), 안테나부(350), 밴드(310, 311), 조작부 (336) 중 적어도 어느 쪽인가의 레이아웃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예의 GPS손목시계 (300)의 그 표시부(320), 안테나부(350), 밴드(310, 311), 조작부(336)의 레이아웃과 다른 것이다.
또 이와 같이 표시부(320), 안테나부(350), 밴드(310, 311), 조작부(336) 중 적어도 어느 쪽인가의 레이아웃이 다름으로써, GPS손목시계(400, 410, 420)의 기기케이스(401, 411, 421)의 형상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예의 GPS손목시계(300)의 기기케이스(309)의 형상과 다르다. 따라서 GPS손목시계(400, 410, 420)는 GPS손목시계 (300)의 기기케이스(309)와 다른 형상의 기기케이스(401, 411, 421)를 각각 갖는 본체(405, 415, 525)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GPS손목시계(400, 410, 420)는 그 표시부(320), 안테나부(350), 밴드(310, 311), 조작부(336) 중 적어도 어느 쪽인가의 레이아웃과, 기기케이스 (401, 411, 421)의 형상(본체(405, 415, 525)의 형상)이 다른 점 외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예의 GPS손목시계(300)와 똑같은 것이다.
또 제 2 실시형태예의 GPS손목시계(400, 410, 420, 430, 440) 중 GPS손목시계(430, 440)는 그 전지수용부(432, 442)의 레이아웃 및 전지(434, 444)의 형상이 이 제 2 실시형태예의 GPS손목시계(420)의 전지수용부(340)의 레이아웃 및 전지 (344)의 형상과 다른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전지수용부(432, 442)의 레이아웃 및 전지(434, 444)의 형상이 다름으로써, GPS손목시계(430, 440)의 기기케이스(431, 441)의 형상은 GPS손목시계(420)의 기기케이스(421)의 형상과 다르다. 따라서 GPS손목시계(430, 440)는 GPS손목시계(420)의 기기케이스(421)와 다른 형상의 기기케이스(431, 441)를 각각 갖는 본체(435, 445)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GPS손목시계(430, 440)는 그 전지수용부(432, 442)의 레이아웃 및 전지(434, 444)의 형상과, 기기케이스(431, 441)의 형상(본체(435, 445)의 형상)이 다른 점 외는 이 제 2 실시형태예의 GPS손목시계(420)와 똑같은 것이다.
이들 GPS손목시계(400, 410, 420, 430, 440) 중 우선 GPS손목시계(400)는 안테나부(350)는 표시부(320)의 우측에 설치되고, 조작부(336)는 표시부(320)의 후부에 설치되며, 조작부(331)는 기기케이스(401)의 우측면(오른쪽 가장자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밴드(310, 311)의 부착부위는 GPS수신용 안테나(23)를 갖는 안테나부(350)를 끼워서 대향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GPS손목시계(400)에 의하면 GPS수신용 안테나(23)는 표시부(320)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왼쪽손목에 GPS손목시계(400)를 장착한 상태에서 양복의 소매 등에 의해 GPS손목시계(400)의 일부가 덮여 버린 경우에도 양복의 소매 등에 의해 GPS수신용 안테나(23)가 덮여 버릴 가능성이 적다. 따라서 GPS수신용 안테나(23)에 의한 수신이 적합하게 실시된다.
또 GPS수신용 안테나(23)는 표시부(320)의 우측에 설치되고, 조작부(331, 336)는 기기케이스(401)의 오른쪽 가장자리부와 표시부(320)의 후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왼쪽손목에 GPS손목시계(400)를 장착한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조작부 (331, 336)의 조작을 실시해도 GPS수신용 안테나(23)를 손으로 숨겨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GPS수신용 안테나(23)에 의한 수신이 적합하게 실시된다.
또한 밴드(310, 311)의 부착부위는 GPS수신용 안테나(23)를 갖는 안테나부 (350)를 끼워서 대향배치되어 있으므로, 밴드(310, 311)에 의해 왼쪽손목에 GPS손목시계(400)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표시부(320)는 밴드(310, 311)보다 왼쪽손목의 부분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왼쪽손목을 구부려도 손등에 표시부(320)의 돌출부분이 닿는 일이 없다. 따라서 GPS손목시계(400)를 쾌적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도 21a 및 도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PS손목시계(410)는 GPS손목시계(400)에서는 표시부(310)의 후부에 설치되어 있던 조작부(336)가 안테나부 (350)의 후부에 설치된 점이 GPS손목시계(400)와 다르고 GPS손목시계(400)와 대략 똑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도 22a 및 도 2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PS손목시계(420)는 전지수용부(340)를 기기케이스(421)내부의 안테나부(350)의 전부에 설치한 점이 GPS손목시계(400)와 다른 것이다.
즉 GPS수신안테나(23)와 표시부(320)가 좌우에 나열된 경우에 GPS수신안테나 (23)보다도 전부에 있어서 기기케이스(421)의 내부에 전지수용부(340)를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GPS손목시계(420)에 의하면 GPS손목시계(400)와 대략 똑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전지수용부(340)의 설치스페이스와 GPS수신용 안테나(23)나 표시부 (320)의 설치스페이스가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큰 치수이고 용량이 큰 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3a 및 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PS손목시계(430)는 밴드(436)에 전지수용부(432)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 GPS손목시계(400)와 다르다. 여기에서 전지(434)는 예를 들면 평판형(원판모양 등)의 박형의 전지이다. 또 전지수용부(432)는 밴드(436)와 밴드(311)를 체결하기 위한 버클로서 겸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밴드(436)의 내부에는 전지수용부(432)와 본체(435)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439, 439)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GPS손목시계(430)에 의하면 GPS손목시계(400)와 대략 똑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전지수용부(432)는 밴드(31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전지교환을 하여 잘못 전지수용부(432)의 기밀이 유지되지 않은 상태로 되었다고 해도 기기케이스(431)의 기밀에 영향이 생기는 일이 없다.
또 도 24a 및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PS손목시계(400)는 그 전지수용부(442)가 기기케이스(441)내부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점이 GPS손목시계(400)와 다르다. 여기에서 전지(444)는 예를 들면 평판형(원판모양 등)의 박형의 전지이다.
따라서 GPS손목시계(440)에 의하면 GPS손목시계(400)와 대략 똑같은 효과가 얻이지는 외에 전지수용부(442)는 기기케이스(441)내부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기기케이스(441)의 전후방향의 외형치수와, 좌우방향의 외형치수 중 어느 쪽인가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기기케이스(441)를 겉보기에 작게 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예〉
이 제 3 실시형태예는 제 1 실시형태예의 내부기기류(360)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 제 3 실시형태예의 내부기기류(960)의 각 구성요소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예에 있어서의 내부기기류(360)의 각 구성요소와 대략 같으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3실시형태예를 도 25로부터 도 2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3 실시형태예를 설명하기 위한 GPS손목시계 (900)의 장치본체(905)의 분해사시도, 도 26은 내부기기류(960)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7은 GPS수신안테나(23)의 부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은 실드체(52)에 아날로그기판(54) 등을 맞붙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9는 아날로그기판(54)을 하우징(55)에 맞붙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으로부터 도 2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예에 있어서의 실드체(18)와 대략 똑같은 실드체(52)에는 그 둘레부를 따라서 훅(52a, …)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6, 도 2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예에 있어서의 아날로그기판(28)과 대략 똑같은 아날로그기판(회로기판)(54)에는 그 둘레부의 내측을 따라서 훅(52a, …)이 끼워 넣어지는 구멍부(54a,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예에 있어서의 하우징(31)과 대략 똑같은 하우징(55)(고정용 판)에는 그 상면의 둘레부의 내측을 따라서 구멍부(54a, …)와 대응한 위치에 오목부(55a, …)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6, 도 2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양면도전테이프(56)를 실드체 (52)에 붙인 상태에서도 양면도전테이프(56)에 의하여 실드체(52)에 설치된 훅 (52a, …)이 덮이지 않도록 양면도전테이프(56)에는 노치(56a, …)가 형성되어 있다.
실드체(52)에 설치된 훅(52a, …)을 아날로그기판(54)에 설치된 구멍부(54a, …)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절연시트(53)에는 구멍부(53a, …)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55)의 둘레부에는 하우징(55)에 대하여 아날로그기판(54)을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55b, …)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 이상과 같이 구성된 각 부재는 이하와 같이 맞붙어 있다.
우선 위치결정부(55b, …)에 의해 위치결정하고 하우징(55)의 상부에 아날로그기판(54)을 재치한다. 이 상태에서 절연시트(53)를 아날로그기판(54)의 상부에 재치한다. 또한 훅(52a, …)을 절연시트(53)의 구멍부(53a, …) 및 아날로그기판 (54)의 구멍부(54a, …)에 끼워 넣게 하고 실드체(52)를 하우징(55)에 맞붙인 상태에서 해당 훅(52a, …)을 구멍부(53a, …), 구멍부(54a, …)를 통하여 하우징 (55)의 오목부(55a, …)에 각각 납땜한다.
이것에 따라 하우징(55), 아날로그기판(54), 절연시트(53) 및 실드체(52)가 일체로 된다.
또 내부기기류(960)의 그 외의 각 구성요소도 제 1 실시형태예와 똑같이 각각 맞붙인 후 하우징(55)을 상기 상부케이스(3)에 대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내부기기류(960)가 상부케이스(30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GPS수신용 안테나(23)의 급전핀(23a)은 아날로그기판(54)의 급전점 (54b)에 납땜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제 3 실시형태예에 의하면 실드체(52)에 설치된 훅(52a, …)을 아날로그기판(54)에 설치된 구멍부(54a, …)를 통하여 하우징(55)의 오목부 (55a, …)에 납땜되어 있으므로, 실드체(52), 아날로그기판(54) 및 하우징(55)의 일체성이 적합하게 얻어지는 동시에 아날로그기판(54)과 실드체(52) 및 아날로그기판(54)의 급전점(54b)에 납땜고정된 GPS수신용 안테나(23)를 동일 전위로 할 수 있어 실드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아날로그기판(54)이 하우징(55)의 위치결정부(55b, …)에 의해 위치결정되어 있으므로 아날로그기판(54)이 해당 하우징(55)에 대하여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제 1·제 2·제 3 실시형태예에서는 전자기기로서 GPS손목시계를 나타내어 설명을 실시했는데, GPS손목시계에 한정되지 않고 소형의 전자기기로 전자차페성을 필요로 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또 상기 전자차폐용의 몸체(100)를 각각 둘레부에 기립한 포위틀(19, 48)을 갖고 일단측에 개구부(18k, 47k)를 갖는 상자형상의 전자차폐재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반몸체(실드체(18) 또는 실드체(52)와 실드체(47))를 서로 대향시켜서 한쪽의 반몸체(실드체(18) 또는 실드체(52))의 포위틀(19, …)이 다른쪽의 반몸체 (실드체(47))의 포위틀(48, …)의 내측에 들어가도록 끼워 넣어서 구성했는데, 해당 전자차폐용의 몸체(100)는 개구부(18k, 47k)측에서 서로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한정시켜도 좋다.
덧붙여서 그 외의 구체적 세부구조 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당히 변경가능하다.
〈제 4 실시형태예〉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4 실시형태예를 도 30a로부터 도 3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0a는 제 4 실시형태예의 GPS손목시계(600)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0b는 GPS손목시계(600)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1은 GPS손목시계(600)의 본체(605)의 밴드부착방향을 따른 개략단면도, 도 32는 안테나(23)의 완충체(620)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3은 GPS손목시계(600)의 GPS측위처리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4는 본 실시예의 전체 블록도이다.
이 도 30a∼도 34에 나타내는 제 4 실시형태예의 GPS손목시계(600)는 상기의 각 실시형태예의 GPS손목시계와 비교하여 주로(GPS수신용 안테나(23)를 갖는다) 안테나부(350)와 표시부(320)의 위치관계와 GPS측위처리동작이 다를 뿐이고, 그 외의 점에 대해서는 똑같은 것이다. 따라서 제 4 실시형태예의 구성요소 중 상기의 각 실시형태예의 구성요소와 똑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4 실시형태예의 GPS손목시계(600)는 이 GPS손목시계(600)를 손목에 장착한 상태에서 GPS수신용 안테나(23)의 수신면을 대략 수평으로 했을 때에 표시부 (320)의 표시면이 수신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a)만큼 사용자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표시부(320)의 표시면을 시인하게 쉽게 한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하고 있다.
우선 도 3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PS손목시계(600)의 본체(605)는 그 중앙부에 표시부(320)가 설치되고, 이 표시부(320)의 전부에 GPS수신용 안테나(23)를 갖는 안테나부(35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표시부(320)의 좌측에는 전지수용부(340)가 그 긴 쪽 방향이 밴드부착방향을 따르도록 설치되고, 표시부(320)의 후부 및 기기케이스(601)의 우측면에 각각 조작부(336, 331)가 설치되어 있다. 또 밴드(310, 311)의 부착부위는 표시부(320), 안테나부(350)를 끼워서 전후방향에 있어서 대향배치되어 있다.
도 31에 있어서 상부케이스(601)의 이측에는 O링(615)을 통하여 비스멈춤에 의해 안쪽덮개(602)가 부착되고, 이들 상부케이스(601) 및 안쪽덮개(602)에 의해 구성되는 기기케이스(609)는 전후방향을 따라서 へ자형으로 굴곡한 형상을 갖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내부기기가 수용되어 있다.
또 기기케이스(609)의 후부의 중앙의 최상부에는 표시창(32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창(321)의 하부에는 기기케이스(609)의 내부에 고정된 하우징(612)의 상부에 고정되어 LCD(11)가 설치되고, LCD(11)의 하부에는 같이 하우징(612)의 상부에 고정된 발광패널(발광부)(650)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612)의 하부에는 완충체(617, 617)를 통하여 안쪽덮개(602)에 의해 하측을 지지한 하우징(616)이 하우징(612)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 (616)은 기기케이스(609)의 형상에 대응하여 전후방향을 따라 へ자형으로 굴곡한 형상을 갖고 있다. 디지털기판(43)은 이 하우징(616)의 후부와 하우징(612)에 의해 상하로부터 끼워두어져 있다. 또한 디지털기판(43)의 상부에는 경사스위치 (61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616)의 전부의 상부에는 해당 하우징(616)과 기기케이스(609)의 내부에 고정된 하우징(619)에 의해 상하로부터 끼워두워져서 아날로그기판(2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아날로그기판(28)과 상기 디지털기판(43)은 배선(63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하우징(619)의 상부에는 GPS수신용 안테나(23)가 설치되고, 이 GPS수신용 안테나(23)의 상면과 상부케이스(601)의 사이에는 완충체(620, …)가 설치되며, GPS수신용 안테나(23)의 내충격성이 높여져 있다.
여기에서 GPS수신용 안테나(23)에 대한 완충체(620, …)는 예를 들면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PS수신용 안테나(23)의 사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되 GPS손목시계(600)의 GPS수신용 안테나(23)의 수신면과 표시부(320)의 표시면은 도 3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PS손목시계(600)의 본체(605)의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a)를 이루도록 이들 GPS수신용 안테나(23)와 표시부(320)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부(320)의 표시면은 GPS손목시계(600)를 손목에 장착한 상태에서 GPS수신용 안테나(23)의 수신면을 대략 수평으로 했을 때에 수신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a)만큼 사용자측을 향하여 경사진다.
또한 상기 경사스위치(613)는 해당 경사스위치(613)를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시킴으로써 접점이 ON으로 되는 것이고, 해당 경사스위치(613)는 GPS수신용 안테나(23)의 수신면을 대략 수평으로 하고 해당 GPS수신용 안테나(23)를 수신상태로 했을 때에 경사스위치(613)의 접점이 ON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접점이 ON으로 됨으로써 수신회로부에 의한 예를 들면 GPS측위처리동작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 GPS수신용 안테나(23)에 의해 수신한 수신신호에 의거하는 수신회로부에 의한 신호처리가 종료하는 것과 대략 동시에 해당 신호처리에 의해 생성된 측위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표시부(320)가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LCD(11)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발광패널(650)은 표시부(320)의 백라이트로 되는 것이며, GPS수신용 안테나(23)에 의해 수신한 수신신호에 의거하는 수신회로부에 의한 신호처리가 종료하는 것과 대략 동시에 발광패널(650)이 점등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 도 33이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전체블록을 나타내는 도 34와 함께 도 33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즉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PS손목시계(600)의 전체를 제어하는 CPU(820)는 스텝S1에 있어서 시각계시부(810)의 시계에 따라서 통상시의 시계표시(시각표시)를 표시부(320)에서 실시한다. 이 시각표시의 상태로부터 조작부(331) 또는 조작부(336)를 포함하는 키입력부(800)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CPU(820)는 스텝S2에 있어서 GPS측위모드로 모드전환을 실시한다. 이와 같은 상태하에서 GPS수신용 안테나(23)의 수신면을 대략 수평으로 하도록 사용자가 손목을 움직이면 스텝S3에 있어서 경사스위치(613)의 접점이 ON으로 된다. 그러면 CPU(820)는 스텝S4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수신회로부 및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는 GPS계측부(840)의 계측에 의해 예를 들면 GPS측위처리동작을 개시한다. 그리고 이 동작이 완료하면(스텝S5) CPU(820)는 스텝S6에 있어서 EL표시부(830)의 작용으로 발광패널(613)을 점등표시키고 그 후 스텝S7에 있어서 GPS계측부(840)의 작용으로 해당 신호처리에 의해 생성된 측위결과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표시부(320)에 표시시킨다.
이와 같은 제 4 실시형태예에 의하면 표시부(320)의 표시면은 GPS손목시계 (600)를 손목에 장착한 상태에서 GPS수신용 안테나(23)의 수신면을 대략 수평으로 했을 때에 수신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a)만큼 사용자측을 향하여 경사지고 있으므로, GPS수신용 안테나(23)의 수신면을 대략 수평으로 하고 해당 GPS수신용 안테나(23)를 수신상태로 했을 때에 사용자가 표시부(320)의 표시면을 시인하기 쉽다. 따라서 수신을 실시하면서 용이하게 표시부(320)를 시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부(320)의 표시면과 GPS수신용 안테나(23)의 수신면이 이루는 각도(a)는 0∼60도임이 디자인성, 조작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표시부(320)와 같은 면에 조작부(33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양호한 조작성이 얻어진다.
또한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시킴으로써 접점이 ON으로 되는 경사스위치(613)를 구비하고 GPS수신용 안테나(23)의 수신면을 대략 수평으로 하고 해당 GPS수신용 안테나(23)를 수신상태로 했을 때에 상기 접점이 ON으로 됨으로써 수신회로부에 의한 신호처리를 개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GPS수신용 안테나(23)의 수신면을 대략 수평으로 하고 해당 GPS수신용 안테나(23)를 수신상태로 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경사스위치(613)의 접점이 ON으로 되어 수신회로부에 의한 신호처리가 개시되고, 예를 들면 조작부(335, 330)에 의한 조작에 의해서 밖에 신호처리가 개시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다.
덧붙여서 표시부(320)의 백라이트로 되는 발광패널(650)을 구비하고 GPS수신용 안테나(23)에 의해 수신한 수신신호에 의거하는 수신회로부에 의한 신호처리가 종료하는 것과 대략 동시에 해당 신호처리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표시부(320)가 표시하는 동시에 발광패널(650)이 점등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해당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에 특별한 조작이 불필요한 동시에 암소에서도 해당 데이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GPS수신용 안테나(23)를 갖는 안테나부(350)와 표시부(320)가 전후로 나열되고 전지수용부(340)를 안테나부(350)와 표시부(320)의 좌측에 설치하며, 또한 밴드(310, 311)를 안테나부(350) 및 표시부(320)를 끼워서 대향하는 부위에 부착했으므로, 밴드(310, 311)에 의해 왼쪽손목에 GPS손목시계(600)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전지수용부(340)가 밴드(310, 311)보다 왼손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왼쪽손목을 구부려도 손등에 전지수용부(340)의 돌출부분이 닿는 일이 없다. 따라서 GPS손목시계(600)를 쾌적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전지수용부(340)의 설치스페이스와 GPS수신용 안테나(23)를 포함하는 안테나부(350)나 표시부(320)의 설치스페이스가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큰 치수이고 용량이 큰 전지(344)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제 4 실시형태예에서는 도 3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 (320)의 표시면이 본체(605)의 윗쪽을 향하고 GPS수신용 안테나(23)의 수신면이 이 표시면에 대하여 전부가 될수록 내려가도록 소정의 각도(a)로 경사지고 있는 구성으로 했는데, GPS수신용 안테나(23)의 수신면이 본체(605)의 윗쪽을 향하고 표시부 (320)의 표시면이 이 수신면에 대하여 후부가 될수록 내려가도록 소정 각도(a)로 경사지고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이상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액정표시부에서 시각을 표시하는 손목시계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침(針)식의 시계기능을 갖는 손목시계, 시각표시기능을 갖지 않는 리스트형의 장치, 예를 들면 전자컴퍼스장치, 전자수심계장치의 각종의 리스트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또 상기한 전자차폐구조에서는 전자손목시계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퍼스널컴퓨터, 휴대전화, 휴대단말, 전자수첩 등의 각종의 전자기기에도 적용가능하다.
제 1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리스트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목에 장착하기 위한 밴드를 구비한 리스트장치에 있어서, 밴드에 의해 홀딩되어 있는 장치본체와, 이 장치본체의 표측 중의 보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 표시부와, 장치본체 중 사용자와 대면하는 측의 앞위치에 설치된 조작부와, 조작부와 반대측의 위치에 설치된 전지수용부와, 표시부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데이터수신부를 구비하고있으므로 장치본체에 각종의 기능부를 콤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 장치본체의 표측에 설치된 표시부에 의해 표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장치본체에 설치된 표시부에 의해 표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장치본체의 주위에 설치된 조작부에 의해 각종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전원이 되는 전지를 수용하는 전지수용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휴대시의 사용에 적합해 있다.
제 2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리스트장치에 따르면, 장치본체는 시각을 계시하는 계시수단과, 데이터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부와, 계시수단에 의해 계시된 시각과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의 적어도 한쪽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시켜서 확인할 수 있다.
제 3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리스트장치에 따르면, 데이터수신부는 외부로부터 보내어져 온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용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고, 이 위치정보수신용 안테나는 표시부의 좌우방향 및 전부방향의 어느 쪽인가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작부의 조작을 실시할 때에 위치정보수신용 안테나를 손으로 숨겨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표시부를 시계로부터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정보수신용 안테나에 의해 수신을 실시하면서 적합하게 조작부의 조작을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표시부의 표시를 확인하면서 조작부의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제 4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리스트장치에 따르면, 밴드는 제 1 밴드와 제 2 밴드로 이루어지고, 제 1 밴드의 일단부는 상기 전지수용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 2 밴드의 일단부는 기기케이스 중의 조작부측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들 제 1 밴드와 제 2 밴드에 의해 리스트장치를 손목에 장착할 수 있다.
제 5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리스트장치에 따르면, 전지수용부는 전지를 수용하는 통형형상의 통형도전부재와, 이 통형도전부재내에 수용된 전지의 한쪽의 단자부에 맞닿도록 통형도전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제 1 단자부와, 통형도전부재내에 수용된 전지의 다른쪽의 단자부에 맞닿는 제 2 단자부를 갖고, 또한 통형도전부재의 타단에 고정된 덮개부재와, 제 1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동시에 통형도전부재의 측면위치에 설치된 전원꺼냄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지의 한쪽의 단자부를 전지의 측면의 옆까지 끌고 다닐 수 있어 리스트장치의 배선 등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제 6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리스트장치에 따르면, 전지수용부는 장치본체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장치본체의 전후방향의 외형치수와 좌우방향의 외형치수 중 어느 쪽인가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본체를 겉보기에 작게 할 수 있다.
제 7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리스트장치에 따르면, 전지수용부는 밴드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전지교환을 하여 잘못 전지수용부의 기밀이 유지되지 않은 상태로 되었다고 해도 장치본체의 기밀에 영향이 생기는 일이 없다.
제 8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리스트장치에 따르면, 표시부의 표시면과 데이터수신부의 수신면은 데이터수신부의 수신면을 대략 수평으로 했을 때에 표시부의 표시면이 사용자와 대면하는 각도로 설계되어 있으므로, 데이터수신부의 수신면을 대략 수평으로 했을 때에 사용자가 표시부의 표시면을 시인하기 쉽다. 따라서 수신을 실시하면서 용이하게 표시면을 시인할 수 있다.
제 9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리스트장치에 따르면, 상기 장치본체는 해당 장치본체가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진 것을 검출하는 경사검출부와, 이 경사검출부가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를 검출한 것을 조건으로 상기 데이터수신부의 수신처리를 개시하는 수신처리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장치본체를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시킴으로써 경사검출부가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를 검출하고 수신처리부에 의해 데이터수신부의 수신처리를 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조작부에 의한 조작에 따라 수신처리가 개시되는 경우에 비하여 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다.
제 10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리스트장치에 따르면, 장치본체는 상기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해 발광되는 발광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암소에서도 표시부의 표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 11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리스트장치에 따르면, 장치본체의 이면측은 사용자의 손목을 따르도록 만곡해 있으므로, 밴드에 의해 리스트장치를 손목에 장착했을 때에 리스트장치와 손목의 착용감이 양호하게 된다.
제 12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리스트장치에 따르면, 장치본체는 시각을 지시 또는 표시하는 시계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시각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3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기기에 따르면, 기기케이스내에 수용된 전자차폐용의 몸체와, 해당 몸체에 설치된 전자부품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몸체에 의해 전자부품이 그 주의의 대략 전체방향에 걸쳐서 전자차페되어 우수한 전자차폐성이 얻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디지털회로 등의 전자적인 노이즈를 발생하는 전자부품과, 아날로그회로나 수신안테나 등의 전자적인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운 전자부품을 몸체에 의해 사이를 둠으로써 전자적인 노이즈를 발생하는 전자부품과, 전자적인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운 전자부품을 극히 근거리에 설치해도 그 전자부품은 전자적인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전자손목시계 등의 초소형의 전자기기류에 있어서도 전자적인 노이즈를 발생하는 전자부품과, 전자적인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운 전자부품을 근접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제 14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기기에 따르면, 전자차폐용 칸막이부재에 의해 전자차폐용의 몸체의 내부가 또한 칸막이되어 있고, 칸막이된 공간의 각각에 전자부품 중의 일부의 전자부품과 다른 전자부품을 각각 별개로 배치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차폐용의 몸체내에 있어서 전자차폐용 칸막이부재에 의하여 상기 일부의 전자부품과 상기 다른 전자부품을 또한 서로 전자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디지털회로 등의 전자적인 노이즈를 발생하는 전자부품과, 아날로그회로 등의 전자적인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운 전자부품을 전자차폐용의 몸체내에서 전자차폐용 칸막이부재에 의하여 사이를 둠으로써 전자적인 노이즈를 발생하는 전자부품과, 전자적인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운 전자부품을 극히 근거리에 설치해도 그 전자부품은 전자적인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전자손목시계 등의 초소형의 전자기기류에도 전자적인 노이즈를 발생하는 전자부품과, 전자적인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운 전자부품을 둘다 설치할 수 있다.
제 15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기기에 따르면, 전자차폐용의 몸체의 일부를 전자부품의 스위칭을 실시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겸용할 수 있어 전자기기의 디자인면에서 스페이스절약화를 꾀할 수 있다.
제 16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기기에 따르면, 몸체에 설치된 훅이 회로기판에 설치된 구멍부를 통하여 고정용 판에 설치된 오목부에 납땜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몸체와 회로기판을 고정용 판을 통하여 기기케이스에 일체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몸체와 회로기판을 동일 전위로 할 수 있어 전자차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7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기기에 따르면, 고정용 판의 둘레부에 형성된 위치결정부에 의해 회로기판을 해당 고정용 판에 대하여 위치결정함으로써, 해당 회로기판이 고정용 판에 대하여 어긋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고정용 판과 회로기판의 일체화를 보다 적합하게 얻을 수 있다.
제 18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기기에 따르면, 피접착면으로부터 패턴전극의 단자의 상면까지의 높이가 15㎛ 이하로 낮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패턴전극의 단자끼리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 있어서도 접착층과 피접착면의 충분한 접착부분을 확보할 수 있어 도체층과 패턴전극의 단자를 확실히 도통시킬 수 있다.
제 19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기기에 따르면, 한쌍의 반몸체 중의 한쪽의 반몸체의 외측에는 안테나가 설치되고, 해당 안테나와 전자차폐용의 몸체내의 전자부품은 해당 몸체에 의해 서로 전자차폐되어 있으므로, 전자부품에 전자적인 노이즈를 발생하는 전자부품이 포함되어 있다고 해도 안테나가 수신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0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기기에 따르면, GPS수신용 안테나인 안테나에 의해 GPS위성으로부터의 신호의 수신을 실시하고 이 GPS수신용 안테나에 의해 수신한 수신신호를 GPS수신용의 수신회로부인 전자부품에 의해 신호처리할 수 있어 전자기기에 GPS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제 21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기기에 따르면, 전자기기는 밴드를 구비한 리스트장치이므로, 밴드에 의해 손목에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 기기케이스의 표측에 설치된 표시부에 의해 수신회로부에 의한 신호처리에 의해 생성된, 예를 들면 측위데이터(현재위치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기케이스의 둘레부에 설치된 조작부에 의해 각종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전원이 되는 전지를 수용하는 전지수용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휴대시의 사용에 적합해 있다.
제 22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기기에 따르면, GPS수신용 안테나는 표시부의 좌측에 설치되고, 조작부는 기기케이스의 오른쪽 가장자리부와, 표시부의 후부와, GPS수신용 안테나의 후부 중 적어도 어느 쪽인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왼쪽손목에 리스트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조작부의 조작을 실시했을 때에 GPS수신용 안테나를 손으로 숨겨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표시부의 표시를 시계로부터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GPS수신용 안테나에 의해 수신을 실시하면서 적합하게 조작부의 조작을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표시부의 표시를 확인하면서 조작부의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또 GPS수신용 안테나는 표시부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왼쪽손목에 리스트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양복의 소매 등에 의해 리스트장치의 일부가 덮여 버린 경우에도 양복의 소매 등에 의해 GPS수신용 안테나가 덮여 버릴 가능성이 적다. 따라서 GPS수신용 안테나에 의한 수신이 적합하게 실시된다.
또한 GPS수신용 안테나는 표시부의 우측에 설치되고, 조작부는 기기케이스의 오른쪽 가장자리부와, 표시부의 후부와, GPS수신용 안테나의 후부 중 적어도 어느 쪽인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왼쪽손목에 리스트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조작부의 조작을 실시해도 안테나를 손으로 숨겨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GPS수신용 안테나는 표시부의 전부에 설치되고, 조작부는 기기케이스의 오른쪽 가장자리부와, 표시부의 후부와, GPS수신용 안테나의 후부 중 적어도 어느 쪽인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왼쪽손목에 리스트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조작부의 조작을 실시해도 안테나를 손으로 숨겨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3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기기에 따르면, GPS수신용 안테나와, 표시부와, 전지수용부 중 어느 쪽인가 2개가 좌우에 나열되고, 이들 2개 중 어느 쪽인가의 앞에 다른 1개가 위치하며, 전지수용부는 기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GPS수신용 안테나와, 표시부와, 전지수용부의 3개가 직선상으로 나열되어서 기기케이스에 설치되는 일이 없어 치수가 한방향으로 커지는 일이 없다.

Claims (23)

  1. 사용자의 손목에 장착하기 위한 밴드를 구비한 리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밴드에 의해 홀딩되어 있는 장치본체와,
    이 장치본체의 표측 중의 보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 표시부와,
    상기 장치본체 중 사용자와 대면하는 측의 앞위치에 설치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와 반대측의 위치에 설치된 전지수용부와,
    상기 표시부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데이터수신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시각을 계시하는 계시수단과, 상기 데이터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부와, 상기 계시수단에 의해 계시된 시각과 상기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의 적어도 한쪽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부는 외부로부터 보내어져 온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용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고, 이 위치정보수신용 안테나는 상기 표시부의 좌우방향 및 전부방향의 어느 쪽인가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제 1 밴드와 제 2 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밴드의 일단부는 상기 전지수용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밴드의 일단부는 상기 기기케이스 중의 상기 조작부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수용부는 전지를 수용하는 통형형상의 통형도전부재와, 이 통형도전부재내에 수용된 전지의 한쪽의 단자부에 맞닿도록 상기 통형도전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제 1 단자부와, 상기 통형도전부재내에 수용된 전지의 다른쪽의 단자부에 맞닿는 제 2 단자부를 갖고, 또한 상기 통형도전부재의 전지수용부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통형도전부재의 상기 일단측에 맞닿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부착된 덮개부재와, 상기 제 1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동시에 상기 통형도전부재의 측면위치에 설치된 전원꺼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수용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수용부는 상기 밴드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과 상기 데이터수신부의 수신면은 상기 데이터수신부의 수신면을 대략 수평으로 했을 때에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이 사용자와 대면하는 각도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해당 장치본체가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진 것을 검출하는 경사검출부와,
    이 경사검출부가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를 검출한 것을 조건으로 상기 데이터수신부의 수신처리를 개시하는 수신처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표시부를 조명하기 위해 발광되는 발광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이면측은 사용자의 손목을 따르도록 만곡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시각을 지시 또는 표시하는 시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장치.
  13. 기기케이스와,
    이 기기케이스내에 수용된 전자차폐용의 몸체와,
    해당 몸체내에 설치된 전자부품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몸체는 각각 둘레부에 기립한 포위틀을 갖고 일단측에 개구부를 갖는 상자형상의 전자차폐재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반몸체를 상기 개구부측에서 서로 결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복수의 전자부품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복수의 전자부품 중의 일부의 전자부품과 다른 전자부품의 사이에는 전자차폐용 칸막이부재가 배치되며, 해당 전자차폐용 칸막이부재에 의하여 상기 일부의 전자부품과 상기 다른 전자부품은 서로 전자차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한쌍의 반몸체를 서로 대향시켜서 한쪽의 반몸체의 포위틀이 다른쪽의 반몸체의 포위틀의 내측에 들어가도록 끼워 넣어져서 구성되는 한쪽이고,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한쪽의 반몸체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른쪽의 반몸체의 포위틀에는 상기 전자부품의 스위칭을 실시하기 위한 스위치편이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회로기판상에 설치되고, 상기 기기케이스에는 상기 몸체와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기기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판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와 상기 고정용 판의 사이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몸체에는 훅이, 상기 회로기판에는 해당 훅을 통과시키는 구멍부가, 상기 고정용 판에는 오목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훅은 상기 구멍부를 통하여 상기 오목부에 납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판의 둘레부에는 해당 고정용 판에 대하여 상기 회로기판을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과 접합되는 접합부를 갖고, 해당 접합부를 해당 회로기판에 접합함으로써 해당 회로기판을 다른 전자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가요성의 히트시일을 구비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열을 이루어 형성된 복수의 패턴전극의 단자와, 이들 단자의 주위에 형성된 피접착면을 갖고 상기 접합부와 접합되는 단자부를 구비하는 한쪽이고,
    상기 히트시일의 상기 접합부는 상기 각 단자에 대응하여 열을 이루도록 형성된 해당 각 단자와 동수의 도체층과, 이들 도체층의 주위에 설치되고 상기 단자부에 대해 해당 접합부를 눌러내림으로써 상기 피접착면에 접착되고 이에 따라 해당 접합부와 상기 단자부를 접합하는 동시에 상기 각 도체층과 상기 각 패턴전극의 단자를 도통시키기 위한 접착층을 갖고 있고,
    상기 피접착면으로부터 상기 패턴전극의 단자의 상면까지의 높이가 15㎛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반몸체 중의 한쪽의 반몸체의 외측에는 안테나가 설치되고, 해당 안테나와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몸체에 의해 서로 전자차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GPS위성으로부터의 신호의 수신을 실시하는 GPS수신용 안테나이고, 상기 전자부품은 이 GPS수신용 안테나에 의해 수신한 수신신호를 신호처리하는 GPS수신용의 수신회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기기케이스의 바깥쪽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부위에 부착되고, 해당 전자기기를 손목에 장착하기 위한 한쌍의 밴드와,
    상기 기기케이스의 표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신회로부에 의한 상기 신호처리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기기케이스의 둘레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기기의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조작부와,
    전원이 되는 전지를 수용하는 전지수용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GPS수신용 안테나는 상기 표시부의 후부 이외의 어느 쪽인가의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기기케이스의 오른쪽 가장자리부와, 상기 표시부의 후부와, 상기 GPS수신용 안테나의 후부 중 적어도 어느 쪽인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GPS수신용 안테나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전지수용부 중 어느 쪽인가 2개가 좌우로 나열되고, 나머지의 1개는 좌우에 나열된 2개 중 어느 쪽인가의 앞에 위치하며,
    상기 전지수용부는 상기 기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19990035050A 1998-08-27 1999-08-23 리스트장치 및 전자기기 KR100330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42138 1998-08-27
JP24213898 1998-08-27
JP11163114A JP2000138607A (ja) 1998-08-27 1999-06-09 リスト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99-163114 1999-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469A true KR20000017469A (ko) 2000-03-25
KR100330351B1 KR100330351B1 (ko) 2002-04-01

Family

ID=2648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050A KR100330351B1 (ko) 1998-08-27 1999-08-23 리스트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49487B1 (ko)
EP (1) EP0982639A3 (ko)
JP (1) JP2000138607A (ko)
KR (1) KR100330351B1 (ko)
CN (1) CN1246621A (ko)
TW (1) TW4956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6623B1 (en) 1994-11-21 2001-07-24 Phatrat Technology, Inc. Sport monitor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loft time, speed, power absorbed and other factors such as height
US6539336B1 (en) * 1996-12-12 2003-03-25 Phatrat Technologies, Inc. Sport monitoring system for determining airtime, speed, power absorbed and other factors such as drop distance
US8280682B2 (en) 2000-12-15 2012-10-02 Tvipr, Llc Device for monitoring movement of shipped goods
US7386401B2 (en) 1994-11-21 2008-06-10 Phatrat Technology, Llc Helmet that reports impact information, and associated methods
JP2001264467A (ja) * 2000-03-22 2001-09-26 Seiko Instruments Inc 腕携帯機器
GB0014134D0 (en) * 2000-06-10 2000-08-02 Astrazeneca Ab Combination therapy
CN1463392A (zh) * 2001-03-26 2003-12-24 范努蓬·罗伊·阿斯瓦基亚特 腕部仪表
EP1274150A1 (fr) * 2001-07-05 2003-01-08 Eta SA Fabriques d'Ebauches Montre-bracelet avec antenne
JP4685349B2 (ja) * 2001-07-05 2011-05-18 ウーテーアー・エス・アー・マニファクチュール・オロロジェール・スイス 無線周波数信号を受信し、かつ/または送信するためのアンテナを備えた手首に装着する電子機器
WO2005083546A1 (en) 2004-02-27 2005-09-09 Simon Richard Daniel Wearable modular interface strap
US7911339B2 (en) 2005-10-18 2011-03-22 Apple Inc. Shoe wear-out sensor, body-bar sensing system, unitless activity assessment and associated methods
JP2007187504A (ja) * 2006-01-12 2007-07-26 Seiko Instruments Inc デジタル表示式電波修正時計及び該時計の標準電波受信方法
JP4765717B2 (ja) * 2006-03-28 2011-09-0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70271116A1 (en) 2006-05-22 2007-11-22 Apple Computer, Inc. Integrated media jukebox and physiologic data handling application
US8780675B2 (en) 2006-05-22 2014-07-15 Nike, Inc. Watch display using light sources with a translucent cover
US7643895B2 (en) 2006-05-22 2010-01-05 Apple Inc. Portable media device with workout support
US9137309B2 (en) 2006-05-22 2015-09-15 Apple Inc. Calibration techniques for activity sensing devices
US8073984B2 (en) 2006-05-22 2011-12-06 Apple Inc. Communication protocol for us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813715B2 (en) 2006-08-30 2010-10-12 Apple Inc. Automated pairing of wireless accessories with host devices
US7913297B2 (en) 2006-08-30 2011-03-22 Apple Inc. Pairing of wireless devices using a wired medium
EP1933213A1 (en) * 2006-12-11 2008-06-18 Globalsat Technology Corporation A water-proof watch case with GP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698101B2 (en) 2007-03-07 2010-04-13 Apple Inc. Smart garment
US8263872B2 (en) * 2008-02-21 2012-09-11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flex circuit to a printed circuit board
JP5569668B2 (ja) 2008-10-20 2014-08-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腕時計
KR101529921B1 (ko) * 2008-11-04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단말기
JP5609310B2 (ja) 2009-09-01 2014-10-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アンテナ内蔵式時計
US11209550B2 (en) * 2010-09-10 2021-12-28 Javad Gnss, Inc. Band-spectrum interference visualizer in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receiver
US9011292B2 (en) 2010-11-01 2015-04-21 Nike, Inc.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US8814754B2 (en) 2010-11-01 2014-08-26 Nike, Inc. Wearable device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KR101605999B1 (ko) * 2010-11-01 2016-03-23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운동 기능을 가지는 착용가능한 장치 조립체
US8974349B2 (en) 2010-11-01 2015-03-10 Nike, Inc.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JP5570462B2 (ja) * 2011-03-18 2014-08-13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子機器
US8698680B2 (en) * 2012-01-17 2014-04-15 Garmin Switzerland Gmbh Watch with improved ground plane
JP5910999B2 (ja) * 2012-02-17 2016-04-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緩衝構造および電子機器
JP5987596B2 (ja) * 2012-09-24 2016-09-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時計
WO2014095098A1 (fr) * 2012-12-17 2014-06-26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Dispositif electronique portable flexible
US9977461B2 (en) 2013-03-01 2018-05-22 Rufus Labs, Inc. Wearable mobile device
US9720443B2 (en) 2013-03-15 2017-08-01 Nike, Inc.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CN103458640A (zh) * 2013-08-12 2013-12-18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可佩戴电子设备的绑带及一种可佩戴电子设备
GB2517421B (en) * 2013-08-19 2020-09-02 Arm Ip Ltd A layered display unit with antenna for a wrist worn device
US20150241912A1 (en) * 2014-02-21 2015-08-27 Farshad Farjami Wristband Accessories For A Wearable Computer
US9170612B2 (en) 2014-02-21 2015-10-27 Farshad Farjami Wristband accessories for powering a wearable computer
US20160317086A1 (en) * 2015-05-01 2016-11-03 Otter Products, Llc Quick release system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152169B2 (en) 2015-06-05 2018-12-11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with cover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CN105093908B (zh) * 2015-07-08 2017-11-24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手表壳体结构及智能手表
EP3336619A1 (fr) * 2016-12-15 2018-06-20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Procede de realisation d'un bracelet intelligent muni d'un insert a composants electroniques
US20190137947A1 (en) * 2017-11-05 2019-05-09 Karim Jean Yaghmour Module-Driven Smartwatch
JP2019086414A (ja) * 2017-11-07 2019-06-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時計
JP6848820B2 (ja) * 2017-11-07 2021-03-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時計
CN107741693A (zh) * 2017-11-08 2018-02-27 湖南盛世威得科技有限公司 配件易装卸的电子表机芯
JP6947093B2 (ja) 2018-03-23 2021-10-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ボタン付き機器および電子時計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9708B2 (ko) * 1973-01-26 1981-05-09
US4095408A (en) 1973-07-24 1978-06-20 Casio Computer Co., Ltd. Watch device
CH579798A5 (en) 1974-01-29 1976-09-15 Dubs Paul Battery-operated pocket calculator - has key-operated control elements and retaining attachment
JPS5426044Y2 (ko) * 1977-02-26 1979-08-29
US4419770A (en) 1981-05-02 1983-12-06 Sony Corporation Wrist AM radio receiver
CH653846GA3 (ko) 1983-12-06 1986-01-31
US4644352A (en) 1984-03-30 1987-02-17 Casio Computer Co., Ltd. Radio wave data transmission watch device
JPS60228983A (ja) * 1984-04-26 1985-11-14 Citizen Watch Co Ltd 機能付腕時計
DE3680127D1 (de) 1985-03-19 1991-08-14 Citizen Watch Co Ltd Armbanduhr mit druckmessfuehler.
US4680676A (en) * 1986-01-06 1987-07-14 Motorola, Inc. Portable radio housing with logic and RF shielding
GB2201266A (en) 1986-12-23 1988-08-24 Upperpace Limited A radio paging watch
FR2641092A1 (en) 1988-12-27 1990-06-29 Camps Robert Wristwatch with information display
US5408444A (en) 1991-06-19 1995-04-18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timepiece capable of receiving signals from satellites
EP0616384B1 (en) 1993-03-17 2000-05-31 Seiko Epson Corporation Antenna device and apparatus including such an antenna device
US5346401A (en) 1993-04-22 1994-09-13 Motorola,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translating between first and second sets of terminals having different pitches
JP3123363B2 (ja) 1994-10-04 2001-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無線機
JPH09168413A (ja) 1995-07-18 1997-06-30 Seiko Epson Corp 腕装着型携帯機器およびそのバンド長さ調整方法
WO1997048025A1 (de) * 1996-06-10 1997-12-18 Asulab S.A. Tragbare präzisionsuhr mit zusatzfunktionen
US5872744A (en) * 1996-07-31 1999-02-16 Motorola, Inc. Battery arrangement for a wrist-carried radiotelephone
US5886954A (en) * 1997-08-20 1999-03-23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devices with a solar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0351B1 (ko) 2002-04-01
CN1246621A (zh) 2000-03-08
EP0982639A2 (en) 2000-03-01
TW495620B (en) 2002-07-21
JP2000138607A (ja) 2000-05-16
EP0982639A3 (en) 2000-08-09
US6249487B1 (en) 2001-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351B1 (ko) 리스트장치 및 전자기기
CN100570514C (zh) 对置于手表型电子装置中的印刷电路板的接地连接
KR100830572B1 (ko) 특정 기능을 지니는 상호교환가능한 이동 통신 장치용 커버부품
JP4820720B2 (ja) 携帯型電子時計
KR20100050028A (ko) 와치형 단말기
JP2007085821A (ja) 腕時計型機器
US20070000126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JP4055311B2 (ja) 携帯型情報端末
EP1030496A2 (en) Portable phone device
US709191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particular a timepiece, comprising an antenna formed by a large-diameter coil
KR20010092689A (ko) 손목휴대기기
JP2003283176A (ja) 携帯端末装置
JP7215538B2 (ja) アンテナ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時計の製造方法
JP5428082B2 (ja) 電子機器
JP6575541B2 (ja) 無線機器
JP2006235746A (ja) 携帯情報処理装置
US11144015B2 (en) Antenna device and timepiece
US8243457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EP2571339A2 (en) Thi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conductive member
JP2007263646A (ja) 機器モジュール
JP2000106297A (ja) タッチパネル付電子機器
JP7205711B2 (ja) 電子機器および時計
JP2003018264A (ja) 無線通信装置
JP6842643B2 (ja) モジュールおよび時計
CN117762001A (zh) 夹子装置及电子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