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771U - 소자 코일 내장형 수상관 - Google Patents

소자 코일 내장형 수상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771U
KR20000006771U KR2019980018016U KR19980018016U KR20000006771U KR 20000006771 U KR20000006771 U KR 20000006771U KR 2019980018016 U KR2019980018016 U KR 2019980018016U KR 19980018016 U KR19980018016 U KR 19980018016U KR 20000006771 U KR20000006771 U KR 200000067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aussing coil
tube
water pipe
coil
wa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0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용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8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6771U/ko
Publication of KR200000067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771U/ko

Link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텔레비젼이나 모니터등에 사용되는 수상관(브라운관, CRT : CATHOD RAY TUBE)상에 발생된 부분 자기를 소자하기 위해 수상관 외주면에 체결하는 소자 코일(Degaussing Coil : 디가우싱 코일)을 수상관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고 소자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소자 코일 내장형 수상관에 관한 것으로서, 텔레비젼이나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기기에 사용되는 수상관(10)의 전면 소정 위치의 둘레에 절연 테이프(200)를 부착 형성하고, 그 상부에 수상관에 착자된 자기를 소자하기 위한 디가우싱 코일(300)을 삽입시키고 다시 절연 테이프(400)를 부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텔레비젼이나 모니터 등의 수상관의 자기 소거를 위한 디가우싱 코일을 수상관에 최대한으로 밀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소자 효율을 증대시켜서 수상관의 색얼룩을 최대한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수상관에 디가우싱 코일을 체결하는 제조 공정을 단순하게 하여 제조비 절감 및 양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소자 코일 내장형 수상관(CATHOD RAY TUBE HAVING DEGAUSSING COIL WITHIN)
본 고안은 텔레비젼이나 모니터 등의 수상관(브라운관, CRT : CATHOD RAY TUBE)의 소자(消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텔레비젼 수상기의 수상관상에 발생된 부분 자기를 제거하기 위해 수상관 외주면에 체결하는 소자 코일(Degaussing Coil : 디가우싱 코일)을 수상관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고 소자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소자 코일 내장형 수상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자 장치인 디가우싱 코일은 텔레비젼의 수상관 후방에서 편향코일 등의 코일군으로 인해 새도우 마스크나 부착용구 및 캐비닛 등이 지자기나 방해자기 등으로 인하여 착자한 것을 소자하는 장치이다.
만약, 새도우 마스크나 부착용구 등이 착자되어 있게 되면 전자빔이 휘어서 색순도가 나빠지며, 착자된 상태에서 색순도 조정이 잘 되어 있다고 할지라도 텔레비젼 수상기의 방향을 바꾸면 잔류자기의 영향으로 색순도가 나빠지고 결국 이러한 착자된 부분에서 색얼룩이 발생되기 때문에 잔류 자기는 반드시 소거해야 화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텔레비젼 수상기의 수상관 소자 장치에 대한 도면으로서, 포지스터(Posistor)(10), 디가우싱 코일(2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포지스터(10)는 저항의 온도 계수가 양의 값을 가지는 서미스터로서, 교류 전원 인가 초기에 낮은 저항값으로 인하여 인가된 교류 전원을 그대로 출력하다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저항값이 증가하여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서서히 감소시키다가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저항값이 무한대로 증가하여 출력하는 교류 전원을 차단한다.
그리고, 디가우싱 코일(20)은 포지스터(10)로부터의 교류 전원에 의거하여 구동되어 수상관의 자기보다 충분히 큰 교변 자화력을 발생하여 수상관을 균일하게 자화시키다가 포지스터(10)로부터의 교류 전원의 레벨이 감소됨에 따라서 수상관의 자기 크기를 점차로 줄여서 '0'로 만들어 완전한 소자를 수행한다.
한편, 이러한 디가우싱 코일(20)은 동선을 소정 회수(예를 들면, 20∼40회)로 감은 상태에서 동선 묶음에 절연 테이프를 감고서 코일의 일단에 교류 전원의 일단자가 연결된 포지스터(10)를 납땜 연결하고 코일의 타단에 교류 전원의 타단자를 납땜 연결하여 수상관의 둘레에 체결시킨다.
다음에, 텔레비젼의 전원 온 구동시 교류 전원의 양단자에 인가되는 교류 전원에 의거하여 디가우싱 코일(20)로부터 발생하는 자화력에 의거하여 수상관 상에 불균일하게 발생된 자기를 소자시키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 96-37825호에서는 이러한 자기를 소자하기 위한 디가우싱 코일이 도 2a와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잡한 체결 구조를 통해서 수상관에 결합된다.
부연 설명하면, 수상관의 디가우싱 코일 고정용 와이어 조립체(1)는 크게 체결용 볼트(3)와 가요성 와이어(13), 고정용 와셔(17) 및 멈춤링(19)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운데 체결용 볼트(3)는 원통형 몸체(7)의 둘레 부분에 나선(5)이 가공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헤드(9)가 부착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아래쪽에는 몸체(7) 둘레 부분에 가요성 와이어(13)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링(11)이 끼워져 있다.
또한, 체결링(11) 바로 아래쪽에는 볼트(3)의 몸체(7) 둘레에 삽입되는 고정용 와셔(17)가 삽입되어 있는데, 고정용 와셔(17)는 외주 에지면에 하향 절곡되어 있는 톱니(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용 와셔(17)의 바로 아래쪽에는 마찬가지로 볼트(3)의 몸체(7) 둘레에 삽입되는 박판의 멈춤링(19)이 끼워져 있는데, 이 멈춤링(19)은 볼트(3)의 나선(5) 골에 탄력적으로 걸리도록 볼트(3)의 몸체(7) 둘레면에 끼워지는 중심구멍(21)의 내주 에지 부분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돌기(23)가 방사상으로 대칭을 이루며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텔레비젼의 프론트 마스크(25)에 수상관(27)를 끼워 결합할 때, 수상관(27)의 러그(29)를 프론트 마스크(25)의 내벽면에 돌출되어 있는 보스(31)에 정렬시킨 후 보스(31)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에 상술한 디가우싱 코일 고정용 와이어 조립체(1)를 삽입하여 볼트(3)를 조임으로써 수상관(27)와 마스크 프론트(25)를 결합하면서 동시에 와이어 조립체(1)를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4개의 고정용 와이어 조립체(1)를 수상관(27)의 4개의 러그(29)에 각각 체결하고난 뒤 수상관(27)의 후방 외주면에 감겨져 있는 디가우싱 코일(33)을 러그(29)와 인접한 4개의 위치에서 와이어 조립체(1)의 와이어(13)로 결박함으로써, 수상관(27)에 디가우싱 코일(33)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텔레비젼 제조시 디가우싱 코일을 수상관에 체결하는데, 복잡한 구조와 공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기에 그 작업성이 어려우며 따라서 노동 집약적인 제조 공정으로 인하여 양산성이 떨어지고 제조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텔레비젼의 수상관에 발생하는 부분적인 자기를 소자하기 위한 디가우싱 코일을 수상관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소자 효율을 높이고 작업 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소자 코일 내장형 수상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텔레비젼 수상관의 소자 장치에 대한 도면.
도 2a는 종래의 텔레비젼 수상관과 소자 코일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수상관의 후면도.
도 2b는 도 2a의 고정용 와이어 조립체의 측면도.
도 2c는 종래의 텔레비젼 수상관과 소자 코일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수상관의 측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소자 코일 내장형 수상관에 대한 후면도.
도 3b는 도 3a의 A-A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상관(CRT) 200, 400 : 절연 테이프
300 : 디가우싱 코일
본 고안에 따른 소자 코일 내장형 수상관은, 텔레비젼이나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기기에 사용되는 수상관의 둘레에 절연 테이프를 부착 형성하고, 그 상부에 수상관에 착자된 자기를 소자하기 위한 디가우싱 코일을 삽입시키고 다시 절연 테이프를 부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소자 코일 내장형 수상관에 대한 후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A-A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자 코일 내장형 수상관은 수상관(100)의 둘레에 절연 테이프(200)가 형성되고, 수상관(100)의 둘레에 감싸여 형성된 절연 테이프(200)의 상부에 수상관(100)에 착자된 자기를 소자하기 위한 디가우싱 코일(300)가 삽입되며, 이 디가우싱 코일(300)의 상부에 절연 테이프(400)를 형성하여 디가우싱 코일(300)을 두 절연 테이프(200,400)의 사이에 고정시켜서 디가우싱 코일(300)을 수상관(100)에 일체형으로 구성한다.
한편, 상술한 구성부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소자 코일 내장형 수상관은 먼저, 수상관(100)의 제조가 완료되면 전자총이 구비된 수상관(100)의 후단부 반대편의 수상관(100) 전단부의 최대 직경을 갖는 소정 부위 둘레에 절연 테이프(200)를 감싸서 부착 형성하게 된다.
다음에, 수상관(100)에 부분적으로 착자된 자기를 소거하기 위한 소자 코일인 디가우싱 코일(300)을 부착된 절연 테이프(200)의 상부에 밀착 위치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이 디가우싱 코일(300)의 상부에 다시 절연 테이프(400)를 부착하되, 수상관(100)에 부착된 절연 테이프(200)와, 디가우싱 코일(300)의 상부에 부착된 절연 테이프(400)가 밀착되도록 부착하여 디가우싱 코일(300)을 수상관(100)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디가우싱 코일(300)이 내장된 수상관(100)을 제조하게 된다.
즉, 수상관(100)에 디가우싱 코일(300)을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조립체를 구비하지 않고, 절연 테이프(200,400)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디가우싱 코일(300)을 수상관(100)에 내장시킴으로서, 그 공정이 단순해지며, 따라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절연 테이프(200,400)에 의해 디가우싱 코일(300)이 수상관(100) 둘레에 밀착하여 형성되므로, 텔레비젼이나 모니터 등에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에 수상관에 발생하는 불균일한 자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소자하여 수상관 화면상의 색얼룩을 최대한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텔레비젼이나 모니터 등의 수상관의 자기 소거를 위한 디가우싱 코일을 수상관에 최대한으로 밀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소자 효율을 증대시켜서 수상관의 색얼룩을 최대한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수상관에 디가우싱 코일을 체결하는 제조 공정을 단순하게 하여 제조비 절감 및 양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텔레비젼이나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기기에 사용되는 수상관(10)의 전면 소정 위치의 둘레에 절연 테이프(200)를 부착 형성하고, 그 상부에 수상관에 착자된 자기를 소자하기 위한 디가우싱 코일(300)을 삽입시키고 다시 절연 테이프(400)를 부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자 코일 내장형 수상관.
KR2019980018016U 1998-09-21 1998-09-21 소자 코일 내장형 수상관 KR200000067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016U KR20000006771U (ko) 1998-09-21 1998-09-21 소자 코일 내장형 수상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016U KR20000006771U (ko) 1998-09-21 1998-09-21 소자 코일 내장형 수상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771U true KR20000006771U (ko) 2000-04-25

Family

ID=6950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016U KR20000006771U (ko) 1998-09-21 1998-09-21 소자 코일 내장형 수상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677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2347A (en) Degaussing device for colour cathode ray tubes
KR20000006771U (ko) 소자 코일 내장형 수상관
US3497843A (en) Deflection yoke assembly and mounting
JP3233820B2 (ja) 線材保持具
KR0135766Y1 (ko) 브라운관의 표면전하 방전구조
JPS586139Y2 (ja) 撮像管装置
KR100692551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디가우싱 코일 장착구조
JP3573333B2 (ja) 消磁コイル保持構造及び保持具
JP2002320242A (ja) 磁気補正用コイルの端末部固定方法および磁気補正用コイル
KR200156512Y1 (ko) 모니터 수상관의 디가우싱 코일 고정 구조
KR200327940Y1 (ko) 텔레비젼 음극선관의 소자코일 고정장치
KR200180462Y1 (ko) 이탈 방지용 홀더
KR200189296Y1 (ko)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KR19990027382U (ko) 디가우싱코일
JP2752583B2 (ja) フィールドコア
JPH0429305B2 (ko)
KR200250019Y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더미코일 설치구조
KR200296126Y1 (ko) 디가우싱코일 고정용 리브가 형성된 영상 표시기기
JP2589129Y2 (ja) 偏向ヨーク装置
KR0149640B1 (ko) 감전방지용 캡을 구비한 커넥터
KR0140581Y1 (ko) 입력핀의 설치구조를 개선한 고압 보빈
KR20000040884A (ko) 자동 지자계 보상회로의 보호방법
KR20020070368A (ko) 소자 코일 장착 방법 및 장치
JPH04116348U (ja) コンバージエンス装置付偏向ヨーク
KR19990016627U (ko) 모니터 수상관의 디가우싱 코일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